KR20130108322A - Graphical user interface - Google Patents

Graphical user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322A
KR20130108322A KR1020137008138A KR20137008138A KR20130108322A KR 20130108322 A KR20130108322 A KR 20130108322A KR 1020137008138 A KR1020137008138 A KR 1020137008138A KR 20137008138 A KR20137008138 A KR 20137008138A KR 20130108322 A KR20130108322 A KR 2013010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get
user
desktop
widgets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모리치오 코르보
Original Assignee
페라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라그 아게 filed Critical 페라그 아게
Priority claimed from PCT/CH2011/00021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2034245A1/en
Publication of KR2013010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3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영역 및 작업 영역의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위젯(W13, W13a, W13b, W13c)을 포함하는데, 이들 위젯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한 컴퓨터로 구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출력 위젯(W13)은 데이터 요소를 가진 하나 이상의 콘텐츠 윈도우(F13)를 포함한다. 위젯(W13, W13a, W13b, W13c) 및 콘텐츠 윈도우(F13)는 콘텐츠 윈도우(F13) 및/또는 콘텐츠 윈도우 내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가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 윈도우 및/또는 데이터 요소가 배치되는 출력 위젯(W13)으로부터 처리를 위해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되는 다수의 가능한 타겟 위젯(W13a, W13b, W13c) 중의 하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The invention comprises a workspace and a number of widgets (W13, W13a, W13b, W13c) arranged on top of the workspace, and relates to a computer-implemented graphical user interface (6) in which these widgets are displayed to the user. Each output widget W13 includes one or more content windows F13 with data elements. The widgets W13, W13a, W13b, and W13c and the content window F13 are output widgets W13 in which data elements selected in the content window F13 and / or the content window are placed by the user in the content window and / or data elements. Are coupled to be moved to one of a number of possible target widgets W13a, W13b, W13c that are visible to the user for processing.

Description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Graphical User Interface {GRAPHICAL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컴퓨터로 구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데스크톱 및 그 위에 배치된 여러 개의 위젯을 구비하는 컴퓨터로 구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특히 접촉 감응식 디스플레이에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implemented graphical user inte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a computer-implemented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a desktop and a number of widgets arranged thereon, and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this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 display, in particular a touch-sensitive display.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비용 효율이 좋고 해상도가 높은 디스플레이가 개발됨에 따라 최근에 개선되고 있으며, 이들의 애플리케이션은 정보 기술 및 정보 기술의 거의 모든 분야, 특히 전기통신, 엔터테인먼트 전자공학 및 산업 생산 및 처리 플랜트 분야에서의 정보 처리 영역에 기초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업상, 접촉 감응식 디스플레이, 즉 데이터 및 명령의 재생(출력) 및 입력을 위한 접촉 감응식 스크린 또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조작 인터페이스가 기계의 조작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특히 이러한 접촉 감응식 디스플레이가, 예를 들어 종래의 버튼, 키보드 또는 가동 컴퓨터 마우스 등의 전기기계식 조작 요소를 가진 인간-기계-인터페이스보다 더 유연하고 더 비용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Graphical user interfaces have recently been improved with the development of cost-effective, high-resolution displays, and their applications are found in almost all area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especially in telecommunications, entertainment electronics and industrial production and processing plants. It is widely used base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rea in. BACKGROUND Industrially, touch-sensitive displays, ie graphical manipulation interfaces displayed on touch-sensitive screens or "touch screens" for the reproduction (output) and input of data and commands, are widely used for the operation of machines. This is especially because such touch-sensitive displays are more flexible and more cost-effective than human-machine-interfaces with electromechanical operating elements such as, for example, conventional buttons, keyboards or moving computer mice.

WO07025396A의 주제는 터치 스크린과 기계적 버튼 및 회전 스위치를 구비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로서 설계된 조작 유닛에 의해 하나 이상의 기계의 시퀀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시퀀스 및 파라미터는 조작 유닛의 조작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 포인트를 사용하여 스크린상에 지원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되고 또한 동작가능하게 변경된다. 조작 인터페이스는 2개의 조작 패널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조작 패널은 상대적으로 큰 스크린을 가지며, 조작 상태, 테이블, 리스트 등을 표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퀀스 프로그래밍에 주로 사용된다. 제2 조작 패널은 조작 상의 중재를 위한 중앙 기능으로서 사용된다. 이들 조작 패널은 양 방향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되어 있다.The subject of WO07025396A is a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a touch screen and mechanical buttons and rotary switch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equence of one or more machines by an operating unit designed as a human-machine interface is disclosed. These sequences and parameters are programmed and operably changed in a supported manner on the screen using input points by the user in the operating interface of the operating unit. The operation interface can be separated into two operation panels. The first operating panel has a relatively large screen and is mainly used for sequence programming except for displaying operating states, tables, lists, and the like. The second operating panel is used as the central function for operational intervention. These operation panels are adapted to exchange data in both directions.

DE112005001152에는 산업 설비를 위한 기술적 데이터를 검색 및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112005001152의 주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대적으로 작은 디스플레이 및 입력 장치를 갖는 모바일 컴퓨터상에서 산업 설비에 접속된 더 큰 단말기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다. 휴대용 PDA(개인 휴대 단말)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산업 설비의 대형 스크린에 접근하면, PDA에 통합된 무선 설비는 대형 스크린의 부근에서 무선 설비에 의해 검출되고 접속이 확립된다. 사용자는 대응하는 단말기를 표시 및 선택할 수 있다. 대형 스크린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PDA 상에서와 동일한 표시의 복제를 나타낸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몇 개의 엔티티를 제공함으로써, 특별한 기계의 파라미터가 이러한 방식으로 신속하게 검색 및 조작될 수 있다.DE112005001152 discloses a method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technical data for industrial installations. The subject of DE112005001152 is a method for delivering a user interface to a larger terminal connected to an industrial facility on a mobile computer with a relatively small display and input device. When a user operating a portable PD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pproaches the large screen of an industrial facility, the wireless facility integrated in the PDA is detected by the wireless facility in the vicinity of the large screen and a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user can display and select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e large screen shows a duplicate of the same display as on the user's PDA, for example. By providing several entities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the parameters of a particular machine can be quickly retrieved and manipulated in this way.

EP1156437A2의 주제는 프린트 제작 워크플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다. 시스템은 워크플로의 방법 단계, 즉 순서의 시작, 순서의 입력, 순서의 처리, 프린트 제작 및 순서의 완료를 모니터링하고 이용하는 워크플로 관리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워크플로 관리 소프트웨어는 워크플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통합된 객체지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워크플로를 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문서의 순서화된 집합물로서의 복합 문서를 작성, 처리 및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워크플로 관리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문서의 하나의 페이지에서 또는 여러 페이지에서의 제거, 복사, 삽입, 이동 액션을 제공한다. 이 기능은, 풀다운 메뉴, 삽입된 다이얼로그 윈도우, 옵션 바, 또는 기호를 사용하여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션의 결과는 처리 스테이션의 디스플레이 상의 문서의 시각적 표시로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윈도우은 처리 스테이션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의 직관적인 시각적 표현을 위해 사용된다.The subject of EP1156437A2 is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int production workflow. The system includes workflow management software that monitors and utilizes the method steps of the workflow, namely the beginning of the sequence, the input of the sequence, the processing of the sequence, print production, and the completion of the sequence. Workflow management software includes an integrated object-oriented interface for visually presenting workflow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ediate workflows. In addition, the software provides the ability to create, process, and alter compound documents as ordered collections of documents. Workflow management software provides for remove, copy, insert, move actions, for example, on one page or multiple pages of a document. This function is preferably achieved using a pull-down menu, embedded dialog window, option bar, or symbol.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action is represented by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document on the display of the processing station. The display window is used for an intuitiv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work to be performed at the processing station.

DE102008001665A에는, 텍스타일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균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기본적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상이한 프로그래머에 의해 일반적으로 작성되며 상이한 외양을 갖는 상이한 조작관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추가의 기능을 갖는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현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의해, 조작자에 대한 훈련 수고가 많아지며, 조작 오류의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텍스타일 기계의 사용 중에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이 증가한다. 이를 피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요소 또는 디스플레이 루틴이 기억된 독립적인 그래픽 프로그램 모듈의 사용이 DE102008001665A에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크게 독립적으로 개발될 수 있으며, 조작자에게는 기본적인 애플리케이션 영역과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의 균일한 조작 철학을 가진 균일한 외양이 자동으로 제시된다. 따라서, DE102008001665A는 기본적인 애플리케이션과 이들의 추가의 기능에 대해 균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발에서 텍스타일 기계 제어의 제조업자를 지원한다.DE102008001665A discloses a method for creating a uniform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textile machine. Aside from the basic application programs, additional application programs are usually implemented by different programmers and have additional functions with user interfaces according to different operators with different appearances. This increases the training effort for the operator and increases the risk of operation error. In addition, the time used for manipulating during use of the textile machine is increased. To avoid this, the use of an independent graphics program module in which display elements or display routines are stored is proposed in DE102008001665A. Thus, the additional application program can be developed significantly independent of the basic application program, and the operator is automatically presented with a uniform appearance with a uniform operating philosophy in the basic application area and the additional application area. Thus, DE102008001665A assists manufacturers of textile machine control in the development of uniform user interfaces for basic applications and their additional functionality.

산업에서의 기계, 특히 인쇄 및 인쇄물 피니싱 산업에서의 기계의 조작은, 서로 접속된 다수의 기계를 포함하는 제어의 레벨 및 개별 기계의 레벨 또는 개별 기계의 부분을 포함하는 스테이션 레벨에서, 대부분 변화하는 비즈니스 영역에 대한 상업적 및 조작적 정보, 기계 타입, 기능, 사용자 및 사용자 인증 설정, 제어, 모니터링, 유지, 편집 및 표시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기계의 제조업자의 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며, 이에 의해 상이한 제조업자 및/또는 기계 생성의 기계 및/또는 스테이션이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전체적으로 불균일한 조작 인터페이스가 된다. 그러나 효율적인 훈련, 사용, 개발 및 적용에 대하여, 그래픽 조작 인터페이스를 가능한 균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종래 기술에서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The operation of machines in the industry, in particular in the printing and print finishing industries, varies mostly at the level of control that includes a number of machin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t the level of individual machines or station levels that include parts of individual machines. It requires a user interface for commercial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bout the business domain, machine type, function, user and user authentication setup, control, monitoring, maintenance, editing and display. In general, the registered user interface of the manufacturer of the machine is used, which results in an overall non-uniform operating interface when different manufacturers and / or machine-generated machines and / or stations are used in combination. However, for efficient training, us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t is desirable to make the graphic manipulation interface as uniform as possible, which is not proposed in the prior art.

또한, 그래픽 조작 인터페이스를 위한 조작 단말기가 산업 환경에서의 각각의 기계 또는 기계 요소에 비용 효율이 높게 정렬 또는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와 관련해서, 다양한 물류, 안전 관련 또는 조작 제한 조건이 산업 환경에 부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치수 제한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제한 조건에 의해, 조작 인터페이스가, 특히 생산 영역에서 5 내지 15인치의 스크린 사이즈를 갖는 소형 디스플레이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전체 생산 또는 처리 플랜트 및 가끔 있는 플랜트의 특수 기계나 스테이션의 높은 수준의 계획, 설정, 모니터링 및 제어 기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큰 치수를 가질 것을 필요로 한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n operating terminal for a graphical operating interface that can be aligned or mounted with high efficiency on each machine or machine element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In this regard, dimensional limitations often exist because various logistical, safety-related or operational constraints must conform to the industrial environment. Due to these limitations, the operating interface is often limited to small displays with screen sizes of 5 to 15 inches, especially in the production area. On the other hand, the high level of planning, setting,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special machines or stations of the entire production or processing plant and the occasional plant requires the user interface to have larger dimensions.

따라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특히 산업 생산 및 처리 플랜트의 조작에 대해 부분적으로 모순되고 상호 충돌하는 요건이 존재한다. 한편, 상이한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및 상이한 치수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갖는 조작 단말기가 동일 플랜트의 조작에 사용되지만, 한편으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균일하고 단순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Thus, there is a partially contradictory and conflicting requirement for the operation of graphical user interfaces, in particular industrial production and processing plants. On the one hand, operating terminals having displays of different sizes and operating interfaces of different dimensions ar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same plant, while on the other hand the user interface should be able to be used in a uniform and simple manner.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로 구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종래 기술의 적어도 몇 가지 단점을 갖지 않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단순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implemente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 display, wherein the user interface does not have at least some of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nd the user is simple. And manipulate the data in an efficient manner.

본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의 장점을 가진 구현예는 종속 청구항과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This object is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independent claims. Embodiments with further advantages will be apparent from the dependent claims and the description.

상기 언급한 목적은 본 발명의 의해 달성된다. 특히, 컴퓨터로 구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데스크톱 및 데스크톱 상에 사용자에게 가시적이 되도록 배치된 여러 개의 위젯을 포함하며, 소스 위젯은 데이터 요소를 갖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윈도우를 포함하며, 위젯 및 콘텐츠 윈도우는 콘텐츠 윈도우 및/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가 콘텐츠 윈도우(F13) 및/또는 데이터 요소(D)가 처리를 위해 선택될 때에 사용자에 대해 가시적인 몇 개의 가능한 타겟 위젯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The above mentioned objects ar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computer-implemented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es a desktop and a number of widgets arranged to be visible to the user on the desktop, the source widget comprising one or more content windows with data elements, the widgets and content windows The content window and / or selected data elements therein are combined such that they can be moved to several possible target widgets visible to the user when the content window F13 and / or data element D is selected for processing.

다른 실시예에서, 위젯 및 콘텐츠 윈도우는 콘텐츠 윈도우 및/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가 사용자에 의해 데스크톱 상에 배치하지 않고도 관련 소스 위젯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관련 콘텐츠 윈도우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가 처리될 수 있는 가능한 타겟 위젯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idget and the content window are combined such that the content window and / or the selected data element among them can be ejected from the associated source widget without being placed on the desktop by the user, and the associated content window or the selected data element is processed. Possible target widgets that may be present are shown to the user.

다른 실시예에서, 타겟 위젯 중의 하나는 타겟 위젯 내에 위치하는, 콘텐츠 윈도우 또는 그 선택된 데이터 요소의 복사물을 생성하고, 그 자체를 콘텐츠 윈도우 또는 데스크톱 상의 선택된 데이터 요소의 복제물을 포함하여 배치하도록 설정된다.In another embodiment, one of the target widgets is configured to create a copy of the content window or its selected data element, located within the target widget, and to place itself including a copy of the selected data element on the content window or desktop.

다른 실시예에서, 위젯 및 콘텐츠 윈도우는 타겟 위젯이 지붕 타일처럼 서로 적층되어 표시되도록 결합되는데, 타겟 위젯 중의 하나가 관련 콘텐츠 윈도우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가 현재 가장 앞에 표시된 타겟 위젯 또는 다시 소스 위젯 내에 위치할 때까지, 스택 내에서 가장 앞에 표시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idget and the content window are combined such that the target widget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like a roof tile, where one of the target widgets is located within the target widget or again the source widget with the associated content window or selected data element currently present. Until the front of the stack is displayed.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데스크톱의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 영역 및 정보 영역보다 작고 정보 영역의 외부에 배치되며 데스크톱 전체와 데스크톱의 위에 배치되는 위젯을 축소해서 나타낸 표현을 갖는 네비게이션 영역을 포함하며, 네비게이션 영역 및 정보 영역은 관련 콘텐츠 윈도우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가 배치되는 타겟 위젯의 축소 표현이 네비게이션 영역 내에서 사용자에 대해 표시되도록 결합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n information area for representing a section of the desktop and a navigation area that is smaller than the information area and disposed outside the information area and having a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entire desktop and widgets placed on top of the desktop; The navigation area and the information area are combined such that a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target widget on which the relevant content window or selected data element is placed is displayed for the user within the navigation area.

다른 실시예에서, 위젯은 하나 이상의 콘텐츠 윈도우를 포함하며, 위젯 및 콘텐츠 윈도우는 콘텐츠 윈도우가 사용자에 의해 관련 위젯으로부터 데스크톱 위로 완전히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위젯으로부터 이동된 콘텐츠 윈도우는 새로운 위젯을 생성하고, 콘텐츠 윈도우는 새롭게 생성된 위젯 내에 배치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idget includes one or more content windows, wherein the widget and the content window are combined such that the content window can be moved completely by the user from the associated widget onto the desktop, and the content window moved from the widget creates a new widget. The content window is disposed in the newly created widget.

다른 실시예에서, 위젯 및/또는 콘텐츠 윈도우는 사용자에 의해 헤더 바(header bar)까지 축소될 수 있으며, 헤더 바는 관련 위젯 또는 콘텐츠 윈도우에 할당된 현재의 상태 값을 나타내기 위한 상태 지시자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idget and / or content window may be collapsed by the user to a header bar, the header bar including a status indicator to indicate the current status value assigned to the associated widget or content window. do.

다른 실시예에서, 위젯은 관련 위젯과 링크된 다른 타겟 위젯의 하나 이상의 가시적 지시자를 포함하며, 위젯과 콘텐츠 윈도우는 콘텐츠 윈도우 및/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가 사용자에 의해 소스 위젯으로부터 지시자 중의 하나를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콘텐츠 윈도우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가 대응하는 처리를 위해 배치될 수 있는 관련 타겟 위젯의 가능한 처리 액션은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idget includes one or more visible indicators of other target widgets linked with the associated widget, wherein the widget and the content window are configured to allow one of the indicators from the source widget by the user by the content window and / or a data element selected therefrom. Possible processing actions of the associated target widget, which are coupled to be moved through and in which the content window or the selected data element can be placed for corresponding processing, are displayed to the user.

다른 실시예에서, 위젯 및 가시적 지시자는 지시자 중의 하나의 위의 콘텐츠 윈도우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가 이동하는 경우에, 지시자에 할당된 타겟 위젯은 소스 위젯의 옆에 표시되고, 가능한 처리 액션은 관련 타겟 위젯 내에 그래픽적으로 표시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idget and the visual indicator indicate that when the content window or selected data element above one of the indicators moves, the target widget assigned to the indicator is displayed next to the source widget, and the possible processing actions are related target widgets. Graphically displayed within.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관련 타겟 위젯의 가능한 처리 액션을 표현하기 위해 표시될 수 있는 2차원 유지 매트릭스를 포함하며, 관련 매트릭스 셀에 의해 정해진 처리 액션에 의해 콘텐츠 윈도우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의 처리를 위한 매트릭스 셀 내에서 콘텐츠 윈도우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의 배치를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two-dimensional persistence matrix that can be displayed to represent possible processing actions of the associated target widgets, and the processing of the content window or selected data elements by processing actions defined by the associated matrix cells. Provide a placement of the content window or selected data elements within the matrix cell.

다른 실시예에서, 위젯은 여러 개의 위젯이 사용자에 의해 데스크톱 위에 서로 이어지도록 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들이 사용자에 의해 서로 다시 분리될 때까지 데스크톱 위에 유닛으로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idgets can be linked together by having multiple widget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user on the desktop, which can be moved as units on the desktop until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gain by the user.

일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위젯 목록을 포함하는데, 위젯 목록은 데스크톱 상에 배치되지 않은, 이용가능하지만 현재에는 비작동 상태인 위젯의 표현을 포함하며, 데스크톱 및 위젯 목록은 작동 위젯이 사용자에 의해 데스크톱으로부터 위젯 목록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처리 동안 비작동 상태가 되며, 비작동 위젯이 위젯 목록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데스크톱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처리 동안 작동 상태가 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list of widgets, where the list of widgets includes a representation of the widgets that are available, but not currently active, that are not placed on the desktop, wherein the desktops and the list of widgets are displayed to the user. Can be moved from the desktop to the widget list, which becomes inactive during this processing, and inactive widgets can be moved from the widget list to the desktop by the user, which is combined in such a way as to be active during this processing.

컴퓨터로 구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추가로, 본 발명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특히 단말기의 접촉 감응식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갖는 컴퓨터로 구현한 방법 및 컴퓨터화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특히 프로세서가 다양한 단말기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프로세서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가 기억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o a computer implemented user inte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a computerized device having an interface module for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 display, in particular on a touch-sensitive display of a terminal.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mputer program product, in particular a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code stored thereon for controlling the processor such that the processor implements a method for setting up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arious terminals.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한 컴퓨터로 구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데스크톱의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 영역(information area)과, 정보 영역에 비해 규모가 작고, 정보 영역의 외부에 배치되는 네비게이션 영역(navigation area)을 포함하며,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위젯이 데스크톱 상에 배치되고, 네비게이션 영역은 데스크톱 전체와 데스크톱의 위에 배치되는 위젯을 축소해서 나타낸 표현을 가지며, 네비게이션 영역 및 정보 영역은 선택 지시자(selection indicator)에 의해 결합되는데, 축소 표현된 데스크톱의, 네비게이션 영역에 있는 선택 지시자에 의해 정해지는 부분 영역이 정보 영역 내에 표현된 데스크톱의 선택에 대응하도록 결합된다. In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computer-implemen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 has an information area for representing a section of the desktop and a navigation that is smaller than the information area and disposed outside the information area. A navigation area, where one or more widgets are placed on the desktop, the navigation area having a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entire desktop and the widgets placed on top of the desktop, and the navigation area and information area being selected indicators ( and a partial region of the reduced representation desktop, which is defined by the selection indicator in the navigation area, to match the selection of the desktop represented in the information area.

네비게이션 영역에 축소 표시된 위젯은 사용자에 의해, 축소된 데스크톱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네비게이션 영역 및 정보 영역은 네비게이션 영역의 축소된 데스크톱 상의 축소된 위젯의 위치 설정에 의해 데스크톱 상의 관련 위젯이 대응해서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get displayed in the navigation area can be moved by the user on the reduced desktop. The navigation area and the information area correspond to related widgets on the desktop by setting the location of the reduced widget on the reduced desktop in the navigation area. Combined so that they are positioned.

일실시예에서, 위젯은 사용자에 의해 정보 영역으로부터 네비게이션 영역에서 축소 표시된 데스크톱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동된 위젯은 네비게이션 영역에서 축소 표시되고, 네비게이션 영역 및 정보 영역은 네비게이션 영역의 축소된 데스크톱 상의 축소된 위젯의 위치 설정에 의해 데스크톱 상의 관련 위젯이 대응해서 위치된다. In one embodiment, the widget may be moved by the user from the information area to the collapsed desktop in the navigation area, wherein the moved widget is zoomed out in the navigation area, and the navigation area and information area are collapsed on the collapsed desktop of the navigation area. By setting the location of the widget, the associated widget on the desktop is correspondingly located.

다른 실시예에서, 데스크톱 상의 위젯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된 위젯이 데스크톱 상의 다른 위젯과 중첩된 경우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위치된 축소된 위젯이 사용자에 의해 위치된 축소된 위젯이 축소된 데스크톱 상에 배치된 다른 축소된 위젯과 중첩된 경우에, 위젯 또는 축소된 위젯의 중첩되지 않은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며, 네비게이션 영역 및 정보 영역은 위젯의 중첩되지 않은 배치에 의해 축소된 데스크톱 상의 축소된 위젯이 대응해서 배치되거나, 축소된 위젯의 중첩되지 않은 배치에 의해 데스크톱 상의 위젯이 대응해서 배치되도록 결합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idget on the desktop is on a desktop where the widget located by the user is overlaid with another widget on the desktop and / or the collapsed widget located by the user is collapsed on the desktop where the widget is located by the user. When nested with other collapsed widgets that have been placed, the non-nested placement of the widget or collapsed widget is combined so that the navigation area and information area are collapsed on the desktop collapsed by the non-nested placement of the widget. Correspondingly placed, or combined, non-overlapping arrangements of collapsed widgets are arranged so that widgets on the desktop are correspondingly placed

다른 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영역은 서로 분리되어, 데스크톱 및 그 위에 배치된 위젯의 서로 인접한 다수의 부분 중의 각각의 축소된 표현을 갖는 여러 개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을 포함한다. 위젯은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 중의 하나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으로부터 다른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으로 사용자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고,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 및 정보 영역은 데스크톱의 관련 부분의 축소 표현상에 축소된 위젯의 위치 설정에 의해 데스크톱 상의 대응하는 위젯이 대응해서 위치 설정되도록 결합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navigation regio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clude several navigation portion regions having respective reduced representations of the desktop and a plurality of adjacent portions of the widget disposed thereon. The widget can be moved by the user from one navigation portion area of the navigation portion area to another navigation portion area, the navigation portion area and the information area being positioned on the desktop b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widget reduced on the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relevant part of the desktop. The corresponding widgets are combined such that they are positioned correspondingly.

다른 실시예에서, 위젯 및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은,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 중의 하나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으로부터 다른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으로 사용자에 의해 위젯이 이동되는 경우에,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 외의 다른 곳으로의 위젯의 위치 설정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예를 들어 저장된 규칙에 따라, 검사해서, 위치 설정이 허용되지 않으면, 위젯의 이동을 거부하도록 결합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idget and navigation subregion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a widget is moved by a user from one navigation subregion to another navigation subregion, the positioning of the widget to a location other than the navigation subregion is different. It checks whether it is allowed, for example according to a stored rule, and if the positioning is not allowed, it is combined to reject the movement of the widget.

일실시예에서, 선택 지시자는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하며, 선택 지시자는 정보 영역 내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 중의 2개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 사이의 경계 영역(boundary area)을 넘어 위치 설정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2개의 서로 인접한 부분 및 그 위에 배치된 데스크톱의 위젯이 표현된다.In one embodiment, the selection indicator is moveable across the navigation portion area, where the selection indicator corresponds when positioned beyond a boundary area between two navigation portion areas of the navigation portion area in the information area. The two adjacent parts and the widgets of the desktop disposed thereon are represented.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복사 모드(copying mode)가 설정될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 영역 및 위젯은 복사 모드에서, 축소 표현된 위젯이 네비게이션 영역으로부터 정보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관련 위젯의 복사물이 생성되어 데스크톱 상에 배치되도록 결합된다. In another embodiment, a copying mode may be set by the user, wherein the navigation area and the widget are in copy mode, where a copy of the associated widget is created when the reduced-scaled widget moves from the navigation area to the information area. To be placed on the desktop.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정보 영역에서 위젯의 치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 영역 및 정보 영역은 정보 영역 내에서의 위젯의 치수의 변경에 의해 네비게이션 영역 내의 축소 표현된 관련 위젯이 대응해서 변경되도록 결합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can change the dimensions of the widget in the information area, and the navigation area and the information area are combined such that a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associated widget in the navigation area is correspondingly changed by changing the dimensions of the widget in the information area. do.

다른 실시예에서, 위젯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결합되며, 인터페이스 모듈은 사용자가 정의한 변경 및/또는 사용자 프로파일에서의 위젯의 위치 설정을 기억하도록 설계되고, 사용자가 로그인한 경우, 데스크톱 상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 위젯을 위치시키고, 이에 따라 정보 영역 및/또는 네비게이션 영역 내에 이들을 표현하도록 설계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idget is coupled to an interface module, wherein the interface module is designed to remember user-defined changes and / or location settings of the widget in the user profile, and, if the user is logged in, the widget according to the user profile on the desktop. Are positioned and thus represented within the information area and / or the navigation area.

다른 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영역 및 위젯은, 네비게이션 영역 내에 축소 표현된 위젯이 위치 설정되는 경우, 공간이 부족하면 위젯의 축소 표현이 되도록 스케일링되어, 네비게이션 영역 내의 축소된 모든 위젯이 중첩되지 않은 표현이 되도록 결합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navigation area and the widget are scaled to be a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widget when space is scarce when the reduced widget is positioned within the navigation area, such that all collapsed widgets in the navigation area have a non-overlapping representation. To be combined.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신속 액세스 요소(rapid-access element)를 더 포함하며, 신속 액세스 요소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마다 사용자에 의해 관련 신속 액세스 요소에 할당된 위젯이 정보 영역에 표현되고, 선택 지시자는 축소 표현된 데스크톱의, 그 위에 배치되는 축소 표현된 관련 위젯을 가진 대응하는 부분 영역을 네비게이션 영역에 표시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further comprises a rapid-access element, wherein each time the quick access element is operated by the user, a widget assigned to the relevant quick access element by the user is represented in the information area and The selection indicator displays, in the navigation area, a corresponding partial area of the reduced desktop that has a reduced widget associated thereon.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그래픽 설정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데스크톱(desktop)의 축소 표현(miniaturized representation)을 포함하며, 위젯의 축소 표현을 축소 표현된 데스크톱에 위치 설정하기 위한 위젯을 선택하고 위젯을 데스크톱에 배치하기 위한 설정 명령이 수신되며, 데스크톱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정해진 부분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설정 명령이 수신되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데스크톱 및 그 위에 배치된 위젯의 관련 단말기에 대한, 할당된 부분에 기초하여 단말기 중의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의 표현을 위해 정의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graphical settings interface includes a miniaturized representation of the desktop for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tting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he display of the various terminals, and includes a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widget. Receives a setup command for selecting a widget for positioning on the downsized desktop and for placing the widget on the desktop, a setup command for selectively assigning to a single or multiple fixed partial terminals of the desktop, and a graphical user interface Is defined for the representation on the display of one of the terminals, based on the assigned portion, for the associated terminal of the desktop and the widget disposed thereon.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서로 인접해서 배치되며 관련 단말기에 할당된, 데스크톱의 일부의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 영역을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정보 영역에 비해 규모가 작고, 정보 영역의 외부에 배치되며, 관련 단말기와 그 위에 배치된 위젯에 할당된 모든 부분을 가진 데스크톱의 위에 배치되는 위젯을 축소해서 나타낸 표현을 갖는 네비게이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네비게이션 영역 및 정보 영역은 네비게이션 영역에서 이동가능한 선택 지시자에 의해 결합되는데, 축소 표현된 데스크톱의, 네비게이션 영역 내의 선택 지지사에 의해 정해지는 선택 영역이 정보 영역 내에 표시된 데스크톱의 섹션에 대응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is preferably generated including an information area for representing a section of the desktop,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ssigned to an associated terminal, and is also smaller in size than the information area and external to the information area.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navigation area having a representation, which is a miniature representation of a widget disposed on top of a desktop having an associated terminal and all parts assigned to a widget disposed thereon, the navigation area and the information area being moved in the navigation area. Possible selection indicators are combined, where the selection areas defined by the selection support in the navigation area of the reduced representation desktop are preferably combined to correspond to the sections of the desktop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area.

일실시예에서, 서로 분리되고 관련 단말기 및 그 위에 배치된 위젯에 할당된 데스크톱의 부분 중의 하나의 축소 표현을 갖는 몇 개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을 포함하여 네비게이션 영역이 생성되며,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은 축소 표현된 위젯이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 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으로 사용자에 의해 이동가능하고, 네비게이션 영역 및 정보 영역은 데스크톱의 부분 중의 하나의 축소 표현상의 축소된 위젯의 위치 설정에 의해 관련 부분이 할당되는 단말기 내의 데스크톱의 관련 부분이 대응해서 위치 설정되도록 결합된다.In one embodiment, a navigation area is created including several navigation part area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have a reduced representation of one of the portions of the desktop assigned to the associated terminal and the widget disposed thereon, the navigation part area being reduced. The widget is moveable by the user from one of the navigation subregions to another, where the navigation area and the information area are assigned within the terminal to which the relevant part is assigned by positioning the reduced widget on the reduced representation of one of the parts of the desktop. Relevant parts of the desktop are combined to correspond correspondingly.

다른 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 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으로 위젯이 이동하는 경우에,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 외의 다른 곳으로의 위젯의 위치 설정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검사해서, 위치 설정이 허용되지 않으면, 위젯의 이동을 거부하도록 결합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navigation portion area checks whether the positioning of the widget to a place other than the navigation portion area is allowed when the widget is moved by the user from one of the navigation portion areas to another navigation portion area. If location settings are not allowed, the widgets are combined to deny movement.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이 인쇄 생산 시스템 또는 인쇄물 처리 시스템의 생산 설정을 정의하기 위한 준비 영역으로서 제공되며, 제2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이 인쇄 생산 시스템 또는 인쇄물 처리 시스템에서의 인쇄물의 생산 또는 처리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한 생산 영역으로서 제공되며, 제3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은 인쇄 생산 시스템 또는 인쇄물 처리 시스템에서의 인쇄물의 전달을 정의하기 위한 분배 영역으로서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4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은 통계적 기능 및 기능을 보고하기 위한 평가 영역으로서 제공된다.In another embodiment, a first navigation portion area is provided as a preparation area for defining a production setting of a print production system or a print processing system, and the second navigation portion area is a production of prints in a print production system or a print processing system or It is provided as a production area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rocessing, and the third navigation portion area is provided as a distribution area for defining the delivery of prints in the print production system or the print processing system. In another embodiment, the fourth navigation partial area is provided as an evaluation area for reporting statistical functions and functions.

다른 실시예에서, 데스크톱의 부분을 정의하기 위한 설정 명령이 수신되며, 하나의 부분은 단말기에 대해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결합된 것으로 정의된 데스크톱의 일부는 관련 부분이 할당되는 다른 단말기 내에서의 관련 부분의 변경을 복제하는 방식으로 생성되며, 결합 해제된 것으로 정의된 부분은 다른 단말기 내의 관련 부분의 변경을 복제하지 않는 방식으로 생성된다.In another embodiment, a setup command for defining a portion of the desktop is received, one portion may be defined as being coupled or unjoined for the terminal, and the portion of the desktop defined as being combined is assigned the relevant portion. It is created in such a way as to duplicate the change of the relevant part in the other terminal, and the part defined as uncoupled is created in such a way as not to duplicate the change of the related part in the other terminal.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사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복사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복사 모드에서, 축소된 위젯이 네비게이션 영역으로부터 정보 영역으로 이동될 때에 위젯의 복사물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관련 부분이 할당되는 단말기 내의 데스크톱의 일부의 위에 복사물을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comprises a copy function, wherein the copy function is configured to generate a copy of the widget when the reduced widget is moved from the navigation area to the information area in a copy mode set by the user, And to copy the copy over a portion of the desktop in the terminal to which the portion is assigned.

다른 실시예에서, 신속 액세스 요소를 단말기에 할당하기 위한 설정 명령이 수신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할당된 신속 액세스 요소를 포함하여 생성되며, 이들 요소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에, 관련 신속 액세스 요소에 할당된 데스크톱 및 그 위에 배치된 위젯의 정의된 영역이 정보 영역에 표시되며, 선택 지시자가 네비게이션 영역 내에서 축소 표시된 데스크톱의 대응하는 선택 영역 및 그 위에 배치된 대응해서 축소된 위젯을 나타내는 효과를 갖는다. In another embodiment, a setup command for assigning a quick access element to a terminal is received. The user interface is created with assigned quick access elements, which, when operated by the user, display in the information area the defined areas of the desktops assigned to the relevant quick access elements and the widgets placed thereon. The indicator has the effect of indicating a corresponding selected area of the desktop that has been reduced in the navigation area and a correspondingly reduced widget disposed thereon.

다른 실시예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로그인 영역을 가지며, 로그인 영역, 정보 영역 및 네비게이션 영역은 위젯이 기억된 사용자 조정에 따른 사용자 특정 방식, 데스크톱 상의 기억된 그룹 조정에 따른 일반적으로는 기억된 기본 조정에 따른 그룹 특정 방식으로 배치된 위젯이 정보 영역 및 네비게이션 영역에 표시되도록 결합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has a login area, where the login area, information area, and navigation area are user-specific ways according to user adjustments in which widgets are stored, and generally stored default adjustments according to stored group adjustments on the desktop. Widgets arranged in a group-specific manner according to are combined to be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area and the navigation area.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기용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위젯 목록을 포함하는데, 위젯 목록은 관련 단말기에 할당된 데스크톱의 일부 상에 배치되지 않은, 이용가능하지만 현재에는 전용으로 비작동 상태인 위젯의 표현을 포함하며, 데스크톱 및 위젯 목록은 작동 위젯이 사용자에 의해 관련 단말기에 할당된 데스크톱으로부터 위젯 목록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처리 동안 비작동 상태가 되며, 비작동 위젯이 위젯 목록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관련 단말기에 할당된 데스크톱의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처리 동안 작동 상태가 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terminal includes a list of widgets, the list of widgets representing a representation of the widgets that are available, but currently inactive, not placed on the portion of the desktop assigned to the associated terminal. And the desktop and widget list may be moved from the desktop to which the active widget is assigned to the associated terminal by the user, which is inactive during this processing, and the inactive widget is transferred from the widget list to the associated terminal by the user. It can be moved to the portion of the assigned desktop that is combined in such a way as to be operational during this process.

이하에서, 본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는 이하의 첨부된 도면으로 나타낸다.
도 1은 생산 플랜트를 작동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여러 개의 단말기, 상위 레벨의 라인 마스터 및 생산 라인의 다수의 기계를 갖는 생산 플랜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2b는 데스크톱 및 다양한 단말기의 축소 표현을 갖는 그래픽 설정 인터페이스와, 데스크톱의 일부를 단말기에 개별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입력 영역을 나타낸다.
도 3은 데스크톱 및 그 위에 배치된 위젯의 축소 표현을 위한 네비게이션 영역과 데스크톱 및 그 위에 배치된 위젯의 선택된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도 4a 및 4b는 정보 영역 내의 데스크톱의 상이한 섹션 및 네비게이션 영역 내에 대응해서 위치된 선택 지시자를 갖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네비게이션 영역 내의 축소된 위젯의 변위에 의해 데스크톱 상의 관련 위젯의 대응하는 위치 설정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정보 영역 내의, 정보 영역으로부터 네비게이션 영역으로의 변위에 의해 전체 데스크톱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된 위젯의 변위를 나타낸다.
도 7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네비게이션 영역으로부터 정보 영역으로의 위젯의 변위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복사 모드가 설정된 경우 정보 영역 내에 표시된 네비게이션 영역으로부터의 위젯의 복사물은 데스크톱의 섹션에서 생성된다.
도 8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2개의 위젯 사이의 한 시점에서 정보 영역으로부터 네비게이션 영역으로의 위젯의 변위의 경우의 위젯의 재배치를 나타낸다.
도 9a 및 9b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변위를 생성하는, 즉 다른 위젯의 재위치 설정하는, 정보 영역 내에서 위젯을 확대한 경우의 위젯의 재배치를 나타낸다.
도 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콘텐츠 윈도우를 가진 위젯의 표현 및 기존의 위젯으로부터 빠져나온 콘텐츠 윈도를 가진 위젯의 생성을 나타낸다.
도 1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관련 위젯의 형상의 변경의 경우에 위젯 내의 콘텐츠 윈도우의 재배치를 나타낸다.
도 12a 및 12b는 위젯을 위한 충분하지 않은 공간을 갖는 포인트에서 관련 부분 영역 내에 축소 표시된 위젯의 변위의 경우에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의 배치 및 스케일링을 나타낸다.
도 13a 및 13b는 관련 부분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일의 위젯의 다른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으로의 변위의 경우에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의 분리를 나타낸다.
도 14a 및 14b는 콘텐츠 윈도우 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의 소스 위젯으로부터 선택을 위해 캐스케이드 연결 표시된 가능한 링크가능한 타겟 위젯을 처리하기 위한 타겟 위젯으로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 15a 내지 도 16c는 콘텐츠 윈도우 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의 소스 위젯으로부터 처리를 위한 타겟 위젯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데, 실행될 처리 액션은 홀딩 매트릭스의 셀 또는 심볼 상에서의 배치에 의해 정해진다.
도 17a 및 17b는 내부에 생산 순서와 이들 각각의 생산 시퀀스가 표시된 스케일링가능한 타임 바를 나타낸다.
도 18a 내지 18d는 콘텐츠 영역이 스크롤가능한 라이더를 통해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한 영역 한계를 나타내는 스크롤가능한 콘텐츠 영역을 가진 콘텐츠 윈도를 나타낸다.
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by taking an example.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oduction plant with several terminals with a display for operating the production plant, a high level line master and a number of machines in the production line.
2A and 2B show a graphical setup interface with reduced representations of desktops and various terminals, and input areas for individually allocating portions of the desktop to the terminals.
3 shows a display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comprising a navigation area for a reduced representation of a desktop and a widget disposed thereon and an information area for representing a selected section of the desktop and a widget disposed thereon.
4A and 4B show graphical user interfaces having different sections of the desktop in the information area and selection indicators correspondingly located within the navigation area.
5 illustrates how within the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positioning of the associated widget on the desktop is made by displacement of the reduced widget in the navigation area.
6 shows the displacement of a widget within the user interface, such that it can be positioned on the entire desktop by displacement from the information area to the navigation area.
FIG. 7 shows the displacement of a widget from a navigation area to an information area within the user interface, where a copy of the widget from the navigation area displayed within the information area is created in the section of the desktop when the copy mode is set.
8 illustrates repositioning of a widget in the case of displacement of the widget from the information area to the navigation area at a point in time between two widgets within the user interface.
9A and 9B illustrate repositioning of a widget when the widget is enlarged within the information area, which generates displacements, ie, repositions of other widgets, within the user interface.
10 shows, within a user interface, the representation of a widget with a content window and the creation of a widget with a content window exiting from an existing widget.
11 shows the relocation of the content window in the widget in the case of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associated widget, within the user interface.
12A and 12B show the positioning and scaling of the navigation part area in the case of displacement of the widget displayed in miniature within the relevant part area at a point with not enough space for the widget.
13A and 13B show the separation of the navigation subregions in the case of displacement of a single widget present within the relevant subregion into another navigation subregion.
14A and 14B illustrate a move from a source widget of a content window or a selected data element among them to a target widget for processing cascaded displayed linkable target widgets for selection.
15A-16C illustrate the movement of the content window or data element selected therefrom from the source widget to the target widget for processing, wherein the processing action to be performed is determined by placement on the cell or symbol of the holding matrix.
17A and 17B show scalable time bars with production sequences and their respective production sequences therein.
18A-18D illustrate a content window with a scrollable content area in which the content area exhibits a variablely adjustable area limit through the scrollable rider.

도 1에는, 인쇄물을 처리하기 위한 산업 및/또는 물류 및 수송 영역에서, 그래픽 인쇄 생산 분야의 생산 플랜트(production plant)(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생산 플랜트(1)는 컨베이어(21, 22, 23, 24, 25)를 통해 서로 연결된, 하나(또는 몇 개)의 생산 라인의 몇 개의 기계(10, 11, 12, 13, 14, 15)를 포함하고 있다. 생산 플랜트(1)는 특히 기계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체인 및/또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다. 기계와 컨베이어는 인쇄 생산 시스템(예를 들어, 소위 순환), 인쇄용 기계를 구비하는 인쇄물 처리 시스템, 수집 시스템, 처리 플랜트, 신문 분배 시스템, 디지털 주문 책 생산 시스템, 및 분배 및 발송 시스템(메일 룸)을 포함한다. 수집 시스템은 수집을 위한 것(넓은 의미에서) 또는 조립, 삽입 또는 수집에 의해 몇몇 생산물로부터 생산 수집물을 수집하는 것(좁은 의미로)이다. 처리 플랜트는 피더(feeder), 파슬 호이스트(parcel hoist), 로드 피더(rod feeder), 와인딩 스테이션(winding station) 및 후핑 기계를 포함하는, 삽입, 래핑, 스테플링, 본딩, 커팅, 웰딩, 어드레싱 및/또는 스테킹을 위한 것이다. 생산 플랜트(1)는 또한 기계 유닛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접착 라벨(예를 들어, Memostick®)을 부착하거나 워크플로우에서 인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기계라고도 부른다. 생산물은 특히 평평하고 유연한 인쇄물이지만 두께가 다를 수 있으며, 데이터 미디어 등의 동봉물(enclosure) 등의 다른 납작한 생산물이 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생산 플랜트(1)가 매우 단순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기계(10-15) 및 연결용 컨베이어(21-25)를 포함하며, 생산 플랜트(1)는 유연하게 설정가능한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비하고, 기계(10-15) 및 컨베이어(21-25)는 점선 화살표(P)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이하게 설정가능한 컨베이어 경로를 통해 대부분 가변인 생산 케이스가 되도록 조합 및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1 shows a production plant 1 in the field of graphic printing production, in the industrial and / or logistics and transport area for processing printed matter. The production plant 1 shown schematically in FIG. 1 has several machines 10, 11, 12, 13 of one (or several) production line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conveyors 21, 22, 23, 24, 25. , 14, 15). The production plant 1 in particular comprises a machine and a conveyor, for example the conveyor has a conveyor chain and / or a conveyor belt. Machines and conveyors include printing production systems (eg, so-called circulation), print processing systems with printing machines, collection systems, processing plants, newspaper distribution systems, digital order book production systems, and distribution and shipping systems (mail rooms). It includes. The collection system is for collecting (in a broad sense) or collecting (in narrow sense) a production collection from several products by assembly, insertion or collection. Processing plants include inserting, lapping, stapling, bonding, cutting, welding, addressing and including feeders, parcel hoists, rod feeders, winding stations, and hooping machines. And / or for stacking. The production plant 1 also includes a mechanical unit, for examp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affixing adhesive labels (eg Memostick ® ) or printing in the workflow, also referred to herein as machines. The product is a particularly flat and flexible printed material but may vary in thickness and may be another flat product such as an enclosure such as data media. A person skilled in the art shows the production plant 1 in a very simple manner, but in practice it comprises a machine 10-15 and a conveyor 21-25 which are arranged sequentially, the production plant 1 being configurable flexibly With a conveyor system, the machines 10-15 and the conveyors 21-25 are combined and configured to be mostly variable production cases via differently configurable conveyor paths as shown in FIG. 1 by dashed arrows P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set.

생산 라인을 제어하기 위해, 생산 플랜트(1)는 서버 등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갖는 하나 이상의 조작가능한 컴퓨터를 구비하는 컴퓨터화된 라인 마스터(computerized line master)(8)를 포함한다. 라인 마스터는 관련 단말기(38)에 연결된다.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라인 마스터(8)는 통신 시스템(4)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각각 갖는 다수의 추가 단말기(31, 32, 33, 34, 35, 36, 37)에 연결된다. To control the production line, the production plant 1 comprises a computerized line master 8 having one or more operable computers with one or more processors, such as servers. The line master is connected to the associated terminal 38. The terminal includes a display. The line master 8 is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system 4 to a number of further terminals 31, 32, 33, 34, 35, 36, 37 each having a display.

단말기(31-38)의 디스플레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산(출력) 및 데이터 및 명령의 입력을 나타내는 접촉 감응식 디스플레이(터치 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손가락을 이용해서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소위 멀티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접촉 감응식 시스템은, 예를 들어 특히 산업적 환경을 고려한 직관적, 용량성 또는 압력 관련 센서 기술이다. 접촉 감응식 멀티 터치 스크린에 의해, 사용자는 데이터 및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자신의 손가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대상의 크기 및 치수를 변화시키거나 변경하는 것, 페이지의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롤링,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이 가능하다. The display of terminals 31-38 is preferably a touch-sensitive display (touch screen) indic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production (output) and input of data and commands.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a so-called multi-touch screen which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using several fingers. Contact sensitive systems used are, for example, intuitive, capacitive or pressure-related sensor technologies, especially considering the industrial environment. The touch-sensitive multi-touch screen allows the user to enter data and commands and manipulate the user interface with his or her finger, for example by changing or changing the size and dimensions of the object, Switching, scrolling of the user interface, and setting of the user interface are possible.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단말기(31-34)는 기계(11-14)에 직접 배치되어 연결되며, 단말기(35-38)는 기계(10-15)와 독립적으로 배치되어서, 예를 들어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단말기(31-38)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 및 데이터 출력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C), 산업용 PC 모듈, 모바일 PC, PDA (개인 휴대 단말), 또는 모바일 전화(스마트폰)로 구성된다. 생산 라인을 제어하기 위해, 라인 마스터(8)는 변형 실시예 및/또는 설정에 따라, 통신 시스템(4)을 통해 기계(10-15) 및 컨베이어(21, 22, 23, 24, 25)에 직접연결되거나, 기계(11-14)에 연결되는 단말기(31-34)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어, 설정 및 질의 데이터 및 커맨드는 라인 마스터(8)와, 생산 라인의 기계(10-15) 및 컨베이어(21-25) 사이에서 통신 시스템(4) 및 단말기(31-34)를 통해 직접 교환된다. 마찬가지로, 기계(10-15) 및 컨베이어(21-25)를 제어, 설정 또는 폴링하기 위한 단말기(31-38)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및 데이터는 관련 단말기(31-34)에 의해 이에 연결된 기계(11-14)에 직접 전달되거나, 통신 시스템(4)을 통해 원격에 배치된 기계(10-15) 또는 컨베이어(21-25)에 직접 전달되거나, 라인 마스터(8)를 통해 관련 기계(10-15) 또는 관련 컨베이어(21-25)에 직접 실행된다.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1, each terminal 31-34 is arranged and connected directly to the machine 11-14, and the terminals 35-38 are arranged independently of the machine 10-15, Free movement is possible, for example. The terminals 31-38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for example data input and data output terminals, personal computers (PCs), industrial PC modules, mobile PCs, PDAs (personal portable terminals), or mobile phones (smartphones). It consists of In order to control the production line, the line master 8 is connected to the machine 10-15 and the conveyors 21, 22, 23, 24, 25 via the communication system 4, according to a variant embodiment and / or setting. Directly or indirectly via terminals 31-34, which are connected to the machine 11-14. Accordingly, the control, configuration and query data and commands transfer the communication system 4 and the terminal 31-34 between the line master 8 and the machine 10-15 and the conveyor 21-25 of the production line. Are exchanged directly. Similarly, user commands and data input by the user via the terminals 31-38 for controlling, setting or polling the machine 10-15 and the conveyors 21-25 are transmitted by the associated terminals 31-34. Directly to the machine 11-14 connected thereto, directly to the machine 10-15 or conveyor 21-25 remotely located via the communication system 4, or via the line master 8 Is executed directly on the machine 10-15 or on an associated conveyor 21-25.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4)은 도체 없는(무선) 및/또는 도체로 연결된(예를 들어, 유선) 통신 링크 또는 근거리 통신망(LAN, WLAN), 시스템 버스 및/또는 개별의 직접 라인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system 4 may be a conductorless (wireless) and / or conductor (eg wired) communication link or local area network (LAN, WLAN), a system bus and / or a separate direct line, or the like. Communication network.

생산 플랜트(1)는 라인 마스터(8)가 생산 라인의 기계(10-15) 및 컨베이어(21-25)의 현재의 제어 및 설정 파라미터 및 상태 값을 가지며 생산 라인을 위한 생산, 분배 및 루트 계획을 가진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인 마스터(8)는 특히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하는데, 데이터 메모리는 생산 플랜트(1)를 조작하기 위한 단말기(31-38)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상에 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정의된 기본 세팅, 그룹 세팅 및 사용자 세팅을 위한 설정 데이터를 가지며,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production plant 1 has a production, distribution and route planning for the production line, in which the line master 8 has the current control and setting parameters and status values of the machines 10-15 and conveyors 21-25 of the production line.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memory for receiving and storing data having a. The line master 8 comprises in particular a data memory, which is defined on the various displays of the terminals 31-38 for operating the production plant 1, defined basic settings, group settings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setting data for user sett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이와 관련해서, "생산 플랜트의 조작"이라는 표현은 하나의 기계, 기계의 일부(스테이션), 플랜트 섹션 및/또는 생산 라인의 다수의 기계를 갖는 플랜트의 설정, 제어, 모니터링, 유지, 상위 레벨의 생산 계획을 위한 그리고, 생산 라인에 관련된 동작, 기술, 경제에 관한 정보의 질의, 편집, 제시 및 출력을 위한 매우 다양한 액션을 포함한다.In this regard, the expression “manipulation of a production plant” refers to the setup, control, monitoring, maintenance, and high-level of a plant with one machine, part of a machine (station), plant section and / or multiple machines in a production line. It includes a wide variety of actions for production planning and for querying, editing, presen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operations, technologies and economics related to the production line.

변형예 및 그 구성에 따라, 생산 플랜트(1)를 조작 및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라인 마스터(8)가 중앙에서 실행하는 또는 라인 마스터(8) 및 단말기(31-38)에서 분배되는, 프로그램된 생산 플랜트 제어 시스템 내에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된 생산 플랜트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구현된다. 따라서, 생산 플랜트(1)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9)을 포함한다. 이 인터페이스 모듈(9)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또는 신 클라이언트(thin-client) 구조를 대상으로 구성되고 라인 마스터(8) 및/또는 단말기(31-38) 내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 표시 및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a variant and its configuration, the user interface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production plant 1 is executed centrally by the line master 8 or distributed in the line master 8 and the terminals 31-38, It is implemented in a programmed production plant control system or in one or more programmed production plant control applications. The production plant 1 thus comprises one or more interface modules 9. This interface module 9 is for example configured for a conventional client / server architecture or thin-client architecture and is implemented within the line master 8 and / or the terminals 31-38. To create, display, and control interfaces.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 마스터(8)는 생산 라인(1)의 단말기(31-38)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듈(configuration module)(80)을 포함하는데, 이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단말기(31-38) 및/또는 기계(10-15) 또는 컨베이어(21-25)의 상이한 치수를 갖는 특정 디스플레이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설정 모듈(80)은 라인 마스터(8)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라인 마스터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연결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에 기억된다. 당업자는 설정 모듈(80)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31-38)에서 배치 및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1, the line master 8 comprises a configuration module 80 for setting up a user interface for the terminals 31-38 of the production line 1. And operate independently of specific displays having different dimensions of terminal 31-38 and / or machine 10-15 or conveyor 21-25. The configuration module 80 is preferably designed as a programmed software module containing computer program code for controlling one or more processors of the line master 8. The computer program code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permanently or removably connected to the line mast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onfiguration module 80 may, in other embodiments, be fully or partially executed by hardware components, and / or may be deployed and executed in one or more other terminals 31-38.

도 3은 생산 플랜트(1)를 조작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를 갖는 단말기(31-38), 적어도 하나의 기계(10-15), 하나의 컨베이어(21-25) 또는 생산 플랜트(1)의 다른 부분 중의 하나의 디스플레이(60)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6)는 네비게이션 영역(navigation area)(61), 정보 영역(62), 및 제어 바(control bar)(63)를 포함한다. 도시한 예에서, 네비게이션 영역(61)과 제어 바(63)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지만, 다른 실시예나 구성에서도,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3 shows a terminal 31-38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6 for operating a production plant 1, at least one machine 10-15, one conveyor 21-25 or a production plant 1. An example of the display 60 of one of the other parts of FIG.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3, the user interface 6 includes a navigation area 61, an information area 62, and a control bar 63.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navigation area 61 and the control bar 63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may also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ther embodiments or configurations.

제어 바(63)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스케일링가능한 타이밍 바(scalable timing bar)(631) 및 신속 액세스 요소(rapid-access element)(632)를 포함한다.The control bar 63 includes a scalable timing bar 631 and a rapid-access element 632,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정보 영역(62)은 데스크톱(A)의 사용자에게 선택가능한 섹션(A')을 표시한다. 데스크톱(A)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Microsoft Windows), 애플 맥 OS(Apple Mac OS) 또는 애플 아이폰 OS(Apple iPhone OS) 등의 윈도우 지향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데스크톱에 상당하는 가상의 2차원 영역이다. 데스크톱(A)은 디스플레이(60)의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폭/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소정의 완전한 이미지 해상도를 가진 디스플레이(60) 상에 완전히 표시되지 않아도 된다. Information area 62 displays a section A 'which is selectable to the user of desktop A. FIG. The desktop A is a virtual two-dimens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desktop in a window-oriented user interface such as Microsoft Windows, Apple Mac OS, or Apple iPhone OS. Since the desktop A has a size (width / height) that exceeds the size of the display 60, it does not have to be displayed completely on the display 60 with a certain complete image resolution.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개의 위젯(W1, W2, W3, W4, W5)이 데스크톱(A)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데, 위젯의 크기는 이중 화살표(P1, P2)에 의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6)를 통해, 예를 들어 접촉 감응식 디스플레이(60)에 대해 대응하는 손가락 조작에 의해 높이, 폭 및/또는 대각선이 변경될 수 있다. 위젯(W1-W5)은 사용자가 생성한 이벤트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시각 영역(윈도우)과 구성요소의 상태를 기억하며 소정의 조작을 통해 시각 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비가시 대상으로 구성된 그래픽 윈도우 시스템의 구성요소이다. 위젯(W1-W5)은 생산 플랜트 제어 시스템 또는 생산 플랜트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시스템에 링크되며 사용자 또는 윈도우 시스템, 생산 플랜트 제어 시스템 또는 생산 플랜트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위젯과 상호작용한다. 액티브 위젯(W1-W5)은 데스크톱(A)의 위에 배치되고, 생산 플랜트 제어 시스템 또는 생산 플랜트 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데, 이것을 "실행" 상태라고 말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에서 동작하는 것이 된다. As shown in FIG. 3, several widgets W1, W2, W3, W4, W5 are arranged on the desktop A, the size of the widget being schematically indicated by the double arrows P1, P2. The height, width and / or diagonal can be changed by the user via the user interface 6, for example by the corresponding finger manipulation with respect to the touch-sensitive display 60. The widget W1-W5 stores a visual area (window) for receiving an event generated by a user and displays data, and a graphic window composed of an invisible object that can change the visual area through a predetermined operation. It is a component of the system. The widgets W1-W5 are linked to the window system of the production plant control system or production plant control application and interact with the user or other widgets of the window system, production plant control system or production plant control application. The active widgets W1-W5 are placed on the desktop A and run in a production plant control system or production plant control application, which can be said to be "run" and run on one or more processors. .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젯(W5)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콘텐츠 윈도우(F51, F52)를 포함한다. 콘텐츠 윈도우(F51, F52)는 데이터를 표시 및/또는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며, 데이터 값 및/또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윈도우(F51, F52)에 나타낸 데이터는, 예를 들어 생산 및 플랜트 파라미터의 데이터 값, 생산 및 플랜트 특정의 상태 값, 생산 지정 또는 생산물 사이즈 등의 구체적인 생산 데이터 및/또는 신문 타이틀 페이지, 커버 페이지, 또는 인쇄물 처리에서의 동봉물의 제품 이미지 등의 그래픽이나 이미지(B5) 등의 다른 표시가능한 데이터 오브젝트를 가진 데이터 요소(D5)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콘텐츠 윈도우(F51)는, 신문의 발행자에 대한 데이터 레코드 등의 생산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레코드의 완전성에 관한, 생산에 필요한 생산전 제품(preproduct)(주제품 및 동봉물)으로 피드 컨베이어의 로딩에 관한, 및 생산 플랜트(1)의 기계(10-15) 및/또는 컨베이어(21-25)의 설정 및 상호연결을 위해 정의되고 선택가능한 현재의 정의에 관하여, 처리할 구체적인 신물의 타이틀 페이지로부터 특정적으로 정렬된 이미지(B5), 및 생산 특정 및 플랜트 특정의 상태 값을 가진 데이터 요소를 포함한다. 추가의 콘텐츠 윈도우(F52)는 다양한 신문 부분 등의 생산전 제품의 지정, 광고 삽입 및 관련된 편집 횟수를 가진 몇 개의 데이터 요소(D5)를 포함한다. A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3, the widget W5 includes one or several content windows F51 and F52. The content windows F51 and F52 are used to display and / or manipulate data and may further include input elements for entering data values and / or commands. The data shown in the content windows F51 and F52 may be, for example, specific production data such as data values of production and plant parameters, production and plant specific status values, production designations or product sizes and / or newspaper title pages, cover pages. Or a data element D5 having a graphic such as a product image of an enclosed product in print processing or another displayable data object such as an image B5. As a specific example, the content window F51 feeds the feed conveyor into preproducts (main products and enclosed items) required for production, relating to the completeness of the data records required for production, such as data records for the publishers of the newspaper. The title of the specific new material to be processed, with respect to the loading of, and the current definitions defined and selectable for the setting and interconnection of the machines 10-15 and / or the conveyors 21-25 of the production plant 1. An image B5 that is specifically aligned from the page, and data elements with status values specific to production and plant specific. The additional content window F52 contains several data elements D5 with the number of pre-production products, such as various newspaper parts, insertions of advertisements and associated edits.

네비게이션 영역(61)은 사용자에게 전체 데스크톱(A)의 축소화된 표현과 그 위에 배치된 위젯(W1-W5)을 표시한다. 축소화된 데스크톱(A*)과 축소화된 위젯(W1*, W2*, W3*, W4*, W5*)을 갖는 네비게이션 영역(61)은 선택 지시자(L)를 통해 정보 영역(62)에 결합된다. 선택 지시자(L)는 네비게이션 영역(61)의 사용자에게 정보 영역(62)에 제시된 데스크톱(A)의 섹션(A')을 표시한다. 선택 지시자(L)는 유리를 확장하는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며, 축소화된 데스크톱(A*) 내의 네비게이션 영역(61)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정보 영역(62)에서의 완전 해상도 표현을 위한 데스크톱(A)의 임의 섹션(A')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 지시자에서의 교차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 지시자(L)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섹션 선택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변형예에 의하면, 선택 지시자(L)의 치수(높이, 폭)는, 예를 들어 관련 디스플레이(60)의 치수에 따라, 조정 또는 설정(크기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변형예 또는 구성에서, 선택 지시자(L)의 폭은 축소화된 데스크톱(A*)의 폭과 일치하는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선택 지시자(L)만을 수직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데스크톱(A) 전체에 대해 네비게이트할 수 있다. 교차 화살표(P3)로 지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접촉 감응식 디스플레이(60)에서 하나 이상의 손가락으로, 원하는 방향으로의 스윕 이동에 의해 네비게이션 영역(62)에서 데스크톱(A)을 직접 변위시킴으로써 데스크톱의 지시된 섹션(A')을 선택할 수 있다.The navigation area 61 shows the user a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entire desktop A and the widgets W1-W5 disposed thereon. The navigation area 61 having a reduced desktop A * and a reduced widget W1 *, W2 *, W3 *, W4 *, W5 * is coupled to the information area 62 via a selection indicator L. . The selection indicator L displays the section A 'of the desktop A presented in the information area 62 to the user of the navigation area 61. The selection indicator L is used by the user, such as expanding the glass, and being movable within the navigation area 61 in the reduced desktop A *,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display a full resolution in the information area 62. You can select any section A 'of the desktop A for. As indicated by the cross arrow in the selection indicator, the selection indicator L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positioned by the user for section selection. According to a variant, the dimensions (height, width) of the selection indicator L can be adjusted or set (scaled),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the associated display 60. In a preferred variant or configuration, the width of the selection indicator L coincides with the width of the reduced desktop A *,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displace only the selection indicator L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entire desktop A. You can navigate. As indicated by the cross arrow P3, the user directly touches the desktop A in the navigation area 62 by, for example, one or more fingers in the touch-sensitive display 60, by sweeping in the desired direction. By displacing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indicated section A 'of the desktop.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61)은 몇 개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1, N2, N3)으로 분할된다.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1, N2, N3)은 예를 들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생산 위상 및/또는 데이터 그룹화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1)은 인쇄용 생산 시스템 또는 인쇄물 처리 시스템의 생산 설정을 정의하기 위한 위젯 및 콘텐츠 윈도우를 가진 준비 영역으로서 제공된다.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은 인쇄용 생산 시스템 또는 인쇄물 처리 시스템에서 인쇄물의 처리 또는 생산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한 위젯 및 콘텐츠 윈도우를 가진 생산 영역으로서 제공된다.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3)은 인쇄용 생산 시스템 또는 인쇄물 처리 시스템의 인쇄물의 전달을 정의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젯 및 콘텐츠 윈도우를 가진 분배 영역으로서 제공된다. 변형예로서, 추가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이, 인쇄용 생산 시스템 또는 인쇄물 처리 시스템에서 인쇄물의 생산, 처리 및/또는 전달을 위한 통계적 기능, 보고 기능 및 분석 기능을 위한 평가 영역으로서 제공된다. As can be seen from FIG. 3, the navigation area 61 is divided into several navigation subregions N1, N2, N3. The navigation portion regions N1, N2, N3 correspond to various applications, production phases and / or data groupings, for example. For example,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1 is provided as a preparation area having a content window and a widget for defining the production settings of the printing production system or the print processing system.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2 is provided as a production area with widgets and content window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rocessing or production of printed matter in the printing production system or the print processing system.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3 is provided as a distribution area with a widget and a content window for defining and monitoring the delivery of a printout of a printing production system or a print processing system. As a variant, an additional navigation portion area is provided as an evaluation area for statistical functions, reporting functions and analysis functions for production, processing and / or delivery of printed matter in a printing production system or a print processing system.

사용자 인터페이스(6)는 또한 위젯 목록(wedget inventory)(610)을 가진 카탈로그 영역(K1)을 포함하는데, 위젯 목록에는 모든 이용가능한 위젯이지만 현재는 작동하지 않는 위젯을 포함한다. 위젯 목록(610)은 완전히 비작동적인 위젯을 포함한다. 위젯이 데스크톱(A) 상에 위치하게 되면, 작동적으로, 즉 실행되는데, 위젯 목록(610)에서 사라지게 된다. 인터페이스 모듈(9)은 위젯이 정보 영역(62) 또는 네비게이션 영역(61)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1, N2, N3)으로부터 위젯 목록(610)으로 변위되는 경우에, 관련 위젯을 데스크톱(A)으로부터 제거하여 그 위젯을 비작동 상태로 하고, 위젯 목록(610)에 이용가능한 비작동 위젯으로서 목록화하도록 및/또는 그래픽적으로 아이콘으로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및/또는 비작동 위젯의 수에 따라, 위젯 목록(610)은 전체적으로 그리고 영구적으로 사용자에게 시각화되거나 그래픽 심볼을 클릭하는 등의 단순한 사용자 커맨드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The user interface 6 also includes a catalog area K1 with a widget inventory 610, which includes all the available widgets but not currently working. Widget list 610 includes widgets that are completely inoperative. When the widget is placed on the desktop A, it is operative, that is, executed, disappearing from the widget list 610. The interface module 9 is configured to move the relevant widget from the desktop A when the widget is displaced from the information area 62 or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1, N2, N3 of the navigation area 61 to the widget list 610. Remove to render the widget inactive, list it as an inactive widget available in widget list 610, and / or graphically represent the ic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nd / or the number of non-operational widgets, the widget list 610 is displayed to the user upon input of a simple user command, such as to visualize the user as a whole and permanently or to click on a graphic symbol.

사용자 인터페이스(6)는 또한 사용자 식별 정보, 액세스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및/또는 사용자 이름,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의 이미지 등의 로그인한 사용자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로그인 영역(log-in area)(612)을 포함한다. 로그인은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일례로 데이터 매체, 예를 들어 칩 카드로부터 액세스 인증 데이터를 판독하는 비접촉 또는 접촉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및/또는 판독되는 사용자 식별 및 인증 데이터는 예를 들어, 라인 마스터(8)에서 확인되는데, 인증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로그인이 이루어지는 관련 단말기(31-34)에 할당된, 자신과 관련된 인증으로 유효한 사용자로서 로그인한다. 변형예로서, 각 사용자는 정의된 사용자 그룹에 할당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6 also includes a log-in area configured to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ess authentication data and / or to indicate a logged in user, such as a user nam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an image of the user ( 612). The login may for example be via a contactless or contact connection interface which read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for example, access authentication data from a data carrier, for example a chip card. Use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data that is input and / or read is verified at the line master 8, for example, where authentication is present, the user is assigned to, for example, the associated terminal 31-34 where the login takes place. , Log in as a valid user with the associated authentication. As a variant, each user may be assigned to a defined user group.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동안, 인터페이스 모듈(9)은 관련 사용자, 관련 사용자 그룹 및 관련 디스플레이(60)에 할당된 또는 관련된 단말기(31-38)에 할당된, 기억된 설정 데이터에 따라 관련 디스플레이(60)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6)를 표시한다. 사용자 프로파일에 사용자에 대해 목록화되고 기억된 설정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는 로그인 하는 동안(또는 나중에 선택가능한 리셋 기능에 의해), 관련 단말기(31-38)에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가 사용자 인터페이스(6), 및 네비게이션 영역(61), 정보 영역(62), 제어 바(63), 위젯(W1-W5),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1, N2, N3), 콘텐츠 윈도우(F52), 선택 지시자(L), 타이밍 바(631), 신속 액세스 요소(632) 등과 같이, 그 내부에 배치되고 위치되며 치수를 갖는 구성요소 및 영역의 현재의 설정 및 표시를 위한, 사용자 특정의 사용자, 관련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억된 작업 세팅, 기억된 사용자 특정의 기본 세팅, 기억된 그룹 특정의 기본 세팅, 또는 일반적인 기본 세팅에 대해 사용되는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While the user is logging in, the interface module 9 is associated with the associated display 60 in accordance with the stored configuration data, assigned to the associated user, the associated user group and the associated display 60 or to the associated terminals 31-38. Display the user interface 6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etting data listed and memorized for the user in the user profile, while the user is logging in (or by means of a selectable reset function later), the user interface 6 in the associated terminal 31-38 is connected to the user interface ( 6) and navigation area 61, information area 62, control bar 63, widgets W1-W5, navigation area areas N1, N2, N3, content window F52, selection indicator L Stored in a user specific user, associated user profile, for the current setting and display of components and regions that are positioned, positioned and dimensioned therein, such as timing bars 631, quick access elements 632, etc. It can be selected whether or not to be used for stored job settings, memorized user specific default settings, memorized group specific default settings, or general default settings.

도 4a 및 4b는 2개의 이웃하는 인접한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1, N2)에 대한 선택 지시자(L)의 이동에 의한, 데스크톱(A)의 정보 영역(62)에 나타낸 섹션(A')의 변위(displacement)를 나타낸다. 이 변위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 영역(62)에서 데스크톱(A)을 이동시킴으로써 또는 네비게이션 영역(61)에서 선택 지시자(L)를 변위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화살표(P4)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위젯(W5)의 콘텐츠 윈도우(F52)는 사용자에 의해 그 사이즈가 변경될 수 있으며, 주위의 위젯(W5)의 크기도 이에 따라 자체적으로 변경된다. 화살표(P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젯(W5)의 콘텐츠 윈도우(F52)는 사용자에 의해 이들의 헤더 바(header bar)(K5)까지 축소시킬 수 있다. 변형예로서, 위젯은 사용자에 의해 이들의 헤더 바까지 축소될 수 있다. 위젯 및/또는 콘텐츠 윈도우(F52)를 축소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상태 지시자(SI)는 헤더 바(K5) 내에 설정가능하게 지시된다. 이 지시자는 관련 위젯 또는 콘텐츠 윈도우(F52)에 예를 들어, 심볼 또는 값으로서 포함된 상태 값의 현재의 값을 나타낸다. 실행, 애플리케이션 및 설정에 따라, 몇 개의 상태 값은 집합적인 상태를 형성하도록 미리 정해진 또는 사용자가 정한 규칙에 따라 헤더 바(K5) 내에 조합될 수도 있다. 4A and 4B show the displacement (A ') of the section A' shown in the information area 62 of the desktop A by the movement of the selection indicator L relative to two neighboring adjacent navigation portion areas N1 and N2. displacement). This displacement can be performed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by moving the desktop A in the information area 62 or by displacing the selection indicator L in the navigation area 61. As indicated by the arrow P4, the content window F52 of the widget W5 can be changed in size by the user, and the size of the surrounding widget W5 also changes accordingly. As indicated by arrow P5, the content window F52 of widget W5 can be reduced by the user to their header bar K5. As a variant, the widgets can be collapsed by their users up to their header bars. While shrinking the widget and / or content window F52, one or more status indicators SI are configurably indicated in the header bar K5. This indicator indicates the current value of the state value contained in the associated widget or content window F52, for example, as a symbol or valu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application and the settings, several state values may be combined in the header bar K5 according to predetermined or user defined rules to form a collective state.

도 2a 및 2b는 설정 모듈(80)에 의해 생성되며 생산 플랜트(1)의 단말기(31-38)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6)를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설정 인터페이스(81, 81')의 예를 나타낸다. 설정 인터페이스(81, 81')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6) 내의 설정 노브(configuration knob)(611)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인증 사용자가 설정 모드를 설정할 때에 디스플레이(60) 상에 표시된다.2A and 2B show examples of graphical setting interfaces 81 and 81 ′ generated by setting module 80 and for setting user interface 6 for terminals 31-38 of production plant 1. . The setting interface 81, 81 ′ is displayed on the display 60 when the authentication user sets the setting mode, for example, by operating a configuration knob 611 in the user interface 6. .

사용자 인터페이스(6)의 설정을 위해 설정 인터페이스(81, 81')를 통해 설정 모듈(80)에 의해 검출되는 설정 데이터는 예를 들어, 라인 마스터(8) 내에서 생산 플랜트(1)의 다양한 디스플레이(60) 또는 단말기(31-38)의 정의된 기본 세팅으로 기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정 모듈(80) 또는 설정 인터페이스(81, 8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의 그룹 특정 및/또는 사용자 특정의 세팅의 정의를 제공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자 특정의 설정 데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직접 정해지며, 예를 들어 라인 마스터(8)에 집중되는 사용자 프로파일 내에서 사용자 모듈(9)의 프로파일 모듈에 의해 기억되어 사용자에게 할당된다. The setting data detected by the setting module 80 via the setting interface 81, 81 ′ for the setting of the user interface 6 is for example displayed in various displays of the production plant 1 in the line master 8. (60) or the defined default settings of the terminals 31-38 are preferably stored. In addition, setting module 80 or setting interface 81, 81 ′ provides definition of group specific and / or user specific settings of user interface 6. Generally, however, user specific setting data is determined directly by the user's operation in the user interface 6, for example by the profile module of the user module 9 in the user profile concentrated on the line master 8. It is remembered and assigned to the user.

도 2a 및 2b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 인터페이스(81, 81')는 생산 플랜트 제어 시스템에서 또는 생산 플랜트 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각각 이용가능한 위젯을 갖는 위젯 카탈로그(K)를 포함한다. 위젯은, 예를 들어 위젯 타입이나 클래스 및 내부에 포함된 이용가능한 위젯으로서 계층적으로 구조화된 지정을 가진 그래픽 심볼이나 리스트로서 표시된다. 위젯 카탈로그(K) 내에서 선택된 위젯(W')은 위젯 설정 영역(W)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구체적으로 특정될 수 있으며, 그 사이즈, 포함된 콘텐츠 윈도우 및/또는 다른 위젯에의 연계와 관련해서 설정될 수 있다.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S. 2A and 2B, the setting interface 81, 81 ′ comprises a widget catalog K with widgets, each available in a production plant control system or in a production plant control application. Widgets are displayed as graphical symbols or lists with hierarchically structured designations, for example, as widget types or classes and available widgets contained therein. The widget W 'selected in the widget catalog K may be specifically specified by the user in the widget setting area W, with respect to its size, the included content window and / or its association to other widgets. Can be set.

도 2a 및 2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설정 인터페이스(81, 81')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축소되어 배치된 데스크톱(6)과 위젯의 관련 부분을 나타내는, 몇 개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의 네비게이션 영역(61')의 표현(representation)을 포함한다.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의 사이즈의 조정은 영역 한계(area limit)를 그에 따라 변위시키고 세팅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영역(61')의 표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직접 설정 인터페이스(81, 81')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은 결합된 것으로 또는 결합해제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결합된 것으로 정의된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은 관련 부분이 할당되는 다른 단말기(31-38) 내의 관련 부분의 변경을 복제하는 방식으로 나중에 생성된다. 이와 달리, 결합해제되는 것으로 정의된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은 다른 단말기(31-38) 내의 관련 부분의 변경을 복제하지 않는 방식으로 생성된다. As can be seen from FIGS. 2A and 2B, the setting interface 81, 81 ′ has several navigation portion areas, as described above, showing the relevant portions of the desktop 6 and widgets arranged therein, scaled down therein. A representation of the navigation area 61 ′ of the user interface 6. The adjustment of the size of the navigation portion area can be performed within the representation of the navigation area 61 ', preferably directly within the setting interface 81, 81' by displacing and setting the area limit accordingly. Also, the navigation portion area may be defined as combined or uncoupled. The navigation portion area defined as combined is later created in such a way as to duplicate the change of the relevant portion in other terminals 31-38 to which the relevant portion is assigned. In contrast, the navigation portion area defined as being unmapped is created in such a way that it does not duplicate the change of the relevant portion in the other terminals 31-38.

위젯 카탈로그(K)로부터 또는 위젯 설정 영역(W)으로부터 네비게이션 영역(61')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 내의 원하는 위치로 위젯(W')을 이동시킴으로써, 위젯(W')은 설정 인터페이스(81, 81')를 통해 데스크톱(A)의 사용자에 의해 위치 설정될 수 있다. By moving the widget W 'from the widget catalog K or from the widget setting area W to the desired position in the navigation portion area of the navigation area 61', the widget W 'is set to the setting interface 81, 81'. Can be positioned by the user of desktop A.

실시예에 따라, 위젯(W')은 사용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에 전용으로 할당되거나 하나 이상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에 대해 명시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정된 위젯(W')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6) 내의 허용될 수 없는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1, N2, N3)으로 변위될 수 없다. 위젯(W')을 허용 불가능한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으로 변위시키는 시도를 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9)에 의해, 위젯(W')은 대응하는 규칙에 따라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변형예로서, 소정의 위젯(W') 또는 위젯의 클래스는 위젯 카탈로그(K) 내에서 정의되는데, 소정의 부분 영역 내에서만 배치되거나 또는 소정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에 대해 차단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정의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dget W 'may be assigned exclusively to one or more navigation subregions or explicitly blocked for one or more navigation subregions, and the widget W' thus configured may be It cannot be displaced into an unacceptable navigation part area N1, N2, N3 in the user interface 6. When an attempt is made to displace the widget W 'to an unacceptable navigation part area, the interface module 9 causes the widget W'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rule. As a variant, the given widget W 'or class of widgets is defined in the widget catalog K,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placed only within a given subregion or blocked for a given navigation subregion. .

설정 인터페이스(81, 81')는 또한 모니터 영역(M)을 포함한다. 모니터 영역(M)에서는, 단말기(31-38) 또는 이들의 디스플레이(60)가 그래픽적으로 표시되며, 설정 인터페이스(81, 81')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6)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The setting interface 81, 81 ′ also includes a monitor area M. FIG. In the monitor area M, the terminals 31-38 or their displays 60 are graphically displayed and can be operated by the user via the setting interface 81, 81 ′, and the associated user interface 6. ) Can be set.

도 2a에 따른 예에서, 설정 인터페이스(81)는 정의된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어 특정 단말기(31-38) 또는 그 디스플레이(60)를 위한 박스를 클릭함으로써 계획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작동 및 할당될 수 있는 모니터 설정 영역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모니터 영역(M')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단말기(31-38) 또는 이들의 디스플레이(60)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타이밍 바(631)를 스위칭 온/오프하고 설정함으로써 그리고 신속 액세스 요소(632)를 추가/제거 및 설정함으로써 제어 바(63)의 추가의 특징을 설정할 수 있다. 신속 액세스 요소(632)는 위젯에 할당될 수 있는데, 데스크톱(A) 상의 소정의 위치에 또는 데스크톱(A)의 정해진 섹션(A')에 할당됨으로써, 관련 신속 액세스 요소(632)가 작동될 때에, 할당가능한 위젯을 가진 데스크톱(A)의 대응하는 섹션(A')이 정보 영역(62)에 표시되고, 선택 지시자(L)는 네비게이션 영역(61) 내에서 그 위에 배치된 축소된 관련 위젯을 가진, 축소 표시된 데스크톱(A*)의 대응하는 부분 영역을 나타낸다. 그러나 신속 액세스 요소(632)는 설정 인터페이스(81)를 통해 그리고 실행 동작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6)에서 위젯이 할당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속 액세스 요소(632) 및 위젯은 사용자가 데스크톱(A)으로부터 또는 축소 표시된 데스크톱(A*)으로부터 관련 위젯을 할당 및 위치 설정하거나 드롭할 원하는 신속 액세스 요소(632)로 이동(드래그)시킴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6)에서 동적 할당을 실행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신속 액세스 요소(632)에 대한 위젯의 동적 할당은 데스크톱(A) 또는 축소 표시된 데스크톱(A*) 상의 위젯의 위치 재설정이 없다. In the example according to FIG. 2A, the setting interface 81 operates deliberately and selectively by means of a user defined navigation subarea, for example by clicking on a box for a specific terminal 31-38 or its display 60. And a monitor setting area that can be assigned. In the specific monitor area M ', the user can switch on / off and set the user interface for the various terminals 31-38 or their displays 60, for example the timing bar 631 and the quick access element. Additional features of the control bar 63 can be set by adding / removing and setting 632. The quick access element 632 may be assigned to a widget, such that it is assigned to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desktop A or to a given section A 'of the desktop A so that when the relevant quick access element 632 is activated. The corresponding section A 'of the desktop A with assignable widgets is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area 62, and the selection indicator L displays a reduced associated widget placed thereon within the navigation area 61. The corresponding partial area of the desktop A * is shown. However, the quick access element 632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a widget can be assigned in the user interface 6 via the setting interface 81 and by the user in an execution operation. The quick access elements 632 and widgets are user interfaces by allowing the user to move (drag) the desired widgets from the desktop A or from the collapsed desktop A * to the desired quick access elements 632 where they can be assigned and positioned or drop. In (6) it is combined to execute dynamic allocation. However, the dynamic assignment of widgets to this quick access element 632 does not require repositioning of the widgets on the desktop A or on the scaled down desktop A *.

도 2b에 따른 예에서, 설정 인터페이스(81')는 모니터 영역(M) 또는 그 디스플레이(60)에서 선택된 단말기(31-38)에 대하여, 제어 바, 정보 영역 및 몇 개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을 갖는 네비게이션 영역을 포함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의 설정에 따른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6')의 축소된 표현(6')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은 축소된 표현(6')에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정의된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은 특정 단말기(31-38) 또는 그 디스플레이(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계획적으로 및 선택적으로 작동되고 할당될 수 있다. 제어 바(control bar)는 대응하는 제어 바 설정 영역(S)에서 소정의 단말기(31-38) 또는 그 디스플레이(60)에 대하여, 도 2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6')에 대하여 설정 영역(S)으로부터 제어 바의 축소된 표현으로 타이밍 바(631) 또는 신속 액세스 요소(632)의 구성요소를 선택 및 이동시킴으로써,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In the example according to FIG. 2B, the setting interface 81 ′ is a navigation having a control bar, an information area and several navigation sub-areas, for the terminal 31-38 selected in the monitor area M or its display 60. It comprises a reduced representation 6 'of the associated user interface 6' according to the current setting as described above, including the area. The setting of the user interface can be carried out directly by the user in the reduced representation 6 ', in particular the defined navigation part area being select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particular terminal 31-38 or its display 60. Intentionally and selectively can be operated and assigned. The control bar is associated with the associated user interface 6 ′, as indicated by the arrows in FIG. 2B, for a given terminal 31-38 or its display 60 in the corresponding control bar setting area S. FIG. It can be further defined by selecting and moving the components of the timing bar 631 or the quick access element 632 from the set area S to a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control bar.

다양한 단말기(31-38) 또는 이들의 디스플레이(60)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6)의 구성, 및 데스크톱(A) 및 관련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1, N2, N3)의 관련 구성은 라인 마스터(8) 및/또는 단말기(31-38) 내에서 설정 모듈(80)에 의해 기억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interface 6 for the various terminals 31-38 or their displays 60, and the relevant configuration of the desktop A and the associated navigation subregions N1, N2, N3 are described in the line master 8. And / or by the setting module 80 in the terminals 31-38.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스크톱(A)의 정보 영역(62)에 나타낸 섹션(A')은 네비게이션 영역(61)에서 선택 지시자(L)를 이동시키거나, 정보 영역(62)에서 데스크톱(6)을 이동시킴으로써 변위되고 변경될 수 있다. 설정 모듈(80)에 의해 정의되고 인터페이스 모듈(9)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는 위젯이 생산 동작 동안 데스크톱(A) 상의 사용자에 의해 변위되고 위치 재설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4A, and 4B, the section A ′ shown in the information area 62 of the desktop A moves the selection indicator L in the navigation area 61, or It can be displaced and changed by moving the desktop 6 in the information area 62. The user interface 6 defined by the setting module 80 and generated by the interface module 9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widget can be displaced and repositioned by the user on the desktop A during the production operation.

도 5는 위젯이 사용자에 의해 네비게이션 영역(61)에서 관련 위젯(W5*)의 축소된 표현을 그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위치 재설정될 수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의 예에서 화살표(P6)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변위가 수행되는데, 컴퓨터 마우스, 트랙 볼, 또는 터치 패드를 사용한 포인터의 위치 설정에 의해, 또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 끝을 접촉 감응식 디스플레이(60) 위에 적절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위젯(축소된 위젯)의 헤더 바가 취득되고, 디스플레이(60)의 스크린상에서 포인터나 손가락끝을 드래그한 다음 원하는 위치에 드롭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변위된다. 도 5의 예에서,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1)으로부터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의 새로운 위치, 즉 참조 부호 W5*'로 표시된 위치로 축소된 위젯(5*)의 경계를 지나가는 변위(boundary-crossing displacement)는, 데스크톱(A)의 정보 영역(62)에서 보이지 않는 영역으로부터 정보 영역(62)에 나타낸 데스크톱의 섹션(A')으로의 관련 위젯(W5)의 대응하는 변위(W5') 및 위치 재설정을 가능하게 한다.5 schematically shows that a widget can be repositioned by the user by moving a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relevant widget W5 * in the navigation area 61 accordingly. As indicated by arrow P6 in the example of FIG. 5, displacement is performed, by positioning of the pointer using a computer mouse, track ball, or touch pad, or preferably at least one fingertip. By properly positioning on the display 60, the header bar of the widget (reduced widget) is acquired and displaced to the desired position by dragging the pointer or fingertip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60 and dropping it to the desired position. In the example of FIG. 5, the boundary-crossing displacement from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1 to the new position of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2, ie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reference sign W5 * ', is reduced to the boundary-crossing displacement. ) Repositions and positions the corresponding displacement W5 'of the associated widget W5 from an invisible area in the information area 62 of the desktop A to a section A' of the desktop shown in the information area 62. To make it possible.

이 경우, 도면에서 축소 표시된 위젯은 별표(*)로 표시되며, 위치 재설정 및 변경은 어포스트로피(')로 표시되며, 축소 표시된 대상의 위치 재설정은 그 조합(*')으로 표시되며, 위치 재설정된 축소된 대상의 축소된 표현은 조합('*)으로 표시된다.In this case, the downscaled widget in the drawing is marked with an asterisk (*), the reposition and change are indicated with an apostrophe ('), the reposition of the reduced object is indicated with a combination (*'), and repositioned The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collapsed object is represented by a combination ('*).

도 6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6)에서 데스크톱(A) 상의 위젯을 변위시킬 수 있는 추가의 옵션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정보 영역(62) 내의 관련 위젯(W4, W5)은 도시된 섹션(A')에서 직접 취득되고, 섹션(A') 내의 다른 위치에 있는 정보 영역(62) 또는 네비게이션 영역(61)으로 변위된다. 도 6의 예에서 화살표(P7)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젯(W4)은 네비게이션 영역(61) 내의 축소된 위젯(W4*')에 대해 축소된 위젯(W4*)의 변위를 생성하는, 데스크톱(A) 상에 표시된 섹션(A') 내에서 직접, 참조 부호 W4'로 표시된 새로운 위치로 변위된다. 한편, 위젯(W5)은 정보 영역(62)에 표시된 섹션(A')으로부터 정보 영역(62) 내에 표시된 섹션(A')으로부터 데스크톱(A)의 정보 영역(62) 내에서 보이지 않는 영역으로의 변위 및 축소된 위젯(W5*)의 네비게이션 영역(61) 내의 축소된 위젯(W5*')으로의 변위를 생성하는, 네비게이션 영역(61)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으로 변위된다.FIG. 6 shows a further option by which the user can displace the widget on the desktop A in the user interface 6, where the relevant widgets W4 and W5 in the information area 62 are shown in the section A ′ shown. Is obtained directly and displaced into the information area 62 or the navigation area 61 at another location within the section A '. As indicated by arrow P7 in the example of FIG. 6, widget W4 generates a displacement of the collapsed widget W4 * relative to the collapsed widget W4 * ′ in navigation area 61. Directly within section A 'indicated on A), it is displaced to a new position indicated by reference W4'. On the other hand, the widget W5 is a section A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area 62 from a section A'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area 62 to an invisible area in the information area 62 of the desktop A. FIG. The displacement and displacement of the reduced widget W5 * into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2 of the navigation area 61, which creates a displacement to the reduced widget W5 * 'in the navigation area 61.

도 7은 데스크톱(A) 상의 위젯(W5)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6) 내의 데스크톱(A) 상의 다른 위치에서 복사물(copy)을 어떻게 생성하는 지를 예를 들어 나타낸다. 도 7의 예에서의 대시 기호로 된 화살표(P9)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복사 모드(copying mode)에서, 위젯(W5*)의 축소된 표현을 네비게이션 영역(61)으로부터, 참조 부호 W5+로 나타낸, 대응하는 위젯(W5)의 복제물의 작성을 생성하는, 데스크톱(A)의, 정보 영역(61)에서 보이는 섹션(A')으로 이동시키며,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 내의 복제물은 축소 표시된 위젯(W5+*)으로 표현된다. 복사 모드가 설정되지 않았으면,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1)으로부터 정보 영역(62) 내의 작동 섹션(A*)으로의 축소된 위젯(W5*)의 변위에 의해, 데스크톱(A) 상의 관련 위젯(W5)이 변위하고,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1)으로부터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으로 축소된 위젯(W5*)이 변위한다.7 shows by way of example how a user of widget W5 on desktop A creates a copy at another location on desktop A in user interface 6. As indicated by the dashed arrow P9 in the example of FIG. 7, the user displays the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widget W5 * in the copying mode set by the user in the navigation area 61. From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2, moving from the desktop A to the section A 'visible in the information area 61, which creates the creation of a duplicate of the corresponding widget W5, indicated by reference W5 +. The duplicate within is represented by the reduced widget W5 + *. If the copy mode is not set, the associated widget W5 on the desktop A is replac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collapsed widget W5 * from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1 to the operating section A * in the information area 62. ) Is displaced, and the widget W5 * reduced from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1 to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2 is displaced.

도 8은 위젯(W5)이 중첩되지 않은 위치 설정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갖지 않는 데스크톱(A) 상의 위치에서 이동하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6) 내의 인터페이스 모듈(9)에 의해 이루어진 위젯의 재배치를 예로 들어 나타내는데, 위젯의 재배치가 없으면, 이동된 위젯은 다른 위젯에 중첩될 것이다. 도 8의 예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소 표시된 위젯(W1*, W2*, W3*)은 화살표(P10)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섹션(A')으로부터 정보 영역(62)에서 보이지 않는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으로 위젯(W5)이 이동하는 동안 수평방향으로 변위되는데, 참조 부호 w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소 표시된 위젯의 중첩이 없는 위치 설정이 가능한 충분한 공간이 만들어지도록 변위된다. 데스크톱(A) 및 그 위에 배치된 네비게이션 영역(61)의 위젯의 비례적 표현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6) 내의 네비게이션 영역(61)에서의 축소된 위젯(W1*, W2*, W3*)의 재배치는 정보 영역(62)에서의 데스크톱(A)의 관련 부분 상의 대응하는 위젯(W1, W2, W3)의 대응하는 재배치에 의해 달성된다.8 shows an example of relocation of the widget made by the interface module 9 in the user interface 6 when the widget W5 moves from a location on the desktop A that does not have enough space for non-overlapping positioning. For example, if there is no relocation of the widget, the moved widget will be nested in another widget. As schematically shown in the example of FIG. 8, the reduced-scaled widgets W1 *, W2 *, W3 * are not visible in the information area 62 from the section A 'as indicated by the arrow P10. The widget W5 is displ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moving to N2,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w5 '*, so as to create a sufficient space for positioning without overlap of the reduced-display widget. By proportional representation of the widgets of the desktop A and the navigation area 61 disposed thereon, the reduced size of the widgets W1 *, W2 *, W3 * in the navigation area 61 in the user interface 6 Relocation is achieved by the corresponding re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widgets W1, W2, W3 on the relevant portion of the desktop A in the information area 62.

도 9a 및 9b는 위젯(W6)이 사용자에 의해 확대된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6)에서 인터페이스 모듈(9)에 의해 이루어진 위젯의 재배치의 예를 나타내는데, 이 경우, 위젯의 재배치가 없으면, 다른(인접하는) 위젯과 확대된 위젯이 중첩될 수 있다. 도 9a는 정보 영역(62)에 나타낸 섹션(A')의, 중첩되지 않고 배치된 위젯(W6, W7, W8, W9) 및 네비게이션 영역(61) 내의 대응하는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 내의 축소 표시된 대응하는 위젯(W6*, W7*, W8*, W9*)의 개시 위치를 나타낸다.9A and 9B show an example of relocation of the widget made by the interface module 9 in the user interface 6 when the widget W6 is enlarged by the user, in which case, if there is no relocation of the widget, Adjacent widgets and enlarged widgets may overlap. FIG. 9A shows a reduced display of non-overlapping widgets W6, W7, W8, W9 of section A ′ shown in information area 62 and corresponding navigation part area N2 in navigation area 61. Indicates the start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widget W6 *, W7 *, W8 *, W9 *.

도 9b는 참조 부호 W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젯(W6)이 확대된 경우에 위젯(W7, W8, W9) 또는 대응하는 축소 표시된 위젯(W7*, W8*, W9*)의 사용자 인터페이스(6)에서의 인터페이스 모듈(9)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재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의 예에서의 위젯의 수평방향의 변위에 추가로, 도 9a 및 도 9b의 예에서의 인터페이스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6) 내에 행 바꿈(line break)을 생성하는데, 행 바꿈이 없는 위젯(8)의 수평방향의 변위는 정해진 데스크톱(A)의 외부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행 바꿈을 가진 위젯의 재배치는 위젯이 재배치에 의해 데스크톱(A)의 측면 에지(폭 방향)로 밀려난 경우의 위젯이 도 8의 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영역(61)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수행된다.FIG. 9B shows the user interface 6 of the widgets W7, W8, W9 or the corresponding reduced-scaled widgets W7 *, W8 *, W9 * when the widget W6 is enlarged,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W6 '. Schematically shows the relocation generated automatically by the interface module 9 in. In addition to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widget in the example of FIG. 8, the interface module in the example of FIGS. 9A and 9B creates a line break in the user interface 6, with a widget without line breaks (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8) can be positioned outside of the determined desktop A. Repositioning of the widget with this line break is performed when the widget is located in the navigation area 61 according to the example of FIG. 8 when the widget is pushed to the side edge (width direction) of the desktop A by repositioning. .

도 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6) 또는 인터페이스 모듈(9)에 의해 각각 지원되고 수행되는 추가의 사용자 조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화살표(P11)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 윈도우(F9)는 사용자에 의해 이들이 삽입된 위젯(W9)으로부터 분리되어 데스크톱(A) 상의 새롭게 생성된 개별의 위젯(W+)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0의 예에서, 콘텐츠 윈도우(F9)는 화살표(1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취득되며, 개시 위젯(W9)으로부터 완전히 이동되고 데스크톱(9) 상의 개시 위젯(W9)의 외측에 위치(드래그 및 드롭)된다. 이 과정에서, 인터페이스 모듈(9)은 새로운 위젯(W+)을 생성하는데, 이 위젯 내에 콘텐츠 윈도우(F9)가 인터페이스 모듈(9)에 의해 삽입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로운 위젯(W+)은 참조 부호 W+*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영역(61) 내의 관련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에서 축소 표시된다.10 schematically shows further user operations supported and performed respectively by the user interface 6 or the interface module 9. As indicated by arrow P11, the content window F9 can be located within the newly created individual widget W + on the desktop A, separated by the user from the widget W9 into which they are inserted. In the example of FIG. 10, the content window F9 is acquired by the user, as indicated by arrow 11, completely moved out of the initiation widget W9 and positioned outside of the initiation widget W9 on the desktop 9. Drag and drop). In this process, the interface module 9 creates a new widget W +, in which a content window F9 is inserted by the interface module 9. As shown in Fig. 10, the new widget W + is reduced in the associated navigation portion area N2 in the navigation area 61, as indicated by the reference sign W + *.

도 1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6) 또는 인터페이스 모듈(9)에 의해 지원되는 추가의 사용자 조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화살표(P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젯(W10)은 사용자에 의해 치수가 조정되는데, 높이에 대한 폭의 비율이 치수 조정된 위젯(redimensioned widget)(W10')에서 반대가 되도록 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9)은 사용자 인터페이스(6)에서의 개시 위젯(W10)의 콘텐츠 윈도우(F11, F12)의 순서 재배열(reordering)을 수행하며, 이에 따른 콘텐츠 윈도우(F11', F12')는 새롭게 치수 조정된 위젯(W10') 내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필요한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은 또한, 이 과정에서, 스크롤링할 필요 없이, 새롭게 배치된 콘텐츠 윈도우(F10, F11', F12')의 완전한 표현을 제공하기 위해, 치수 조정된 위젯(W10')의 사이즈 조정(size adaptation)을 수행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젯(W10*)의 축소 표현은 참조 부호 W1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관련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 내에서 대응해서 조정된다.11 schematically shows a further user operation supported by the user interface 6 or interface module 9. As indicated by arrow P12, widget W10 is dimensioned by the user, such that the ratio of width to height is reversed in dimensioned widget W10 '. As shown in FIG. 11, in this case, the interface module 9 performs reordering of the content windows F11 and F12 of the start widget W10 in the user interface 6, and thus the content. The windows F11 'and F12' ar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newly dimensioned widget W10 '. If necessary, the interface module also resizes the dimensioned widget W10 'in this process to provide a complete representation of the newly placed content windows F10, F11', F12 'without having to scroll. (size adaptation). As shown in FIG. 11, the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widget W10 * is correspondingly adjusted in the associated navigation portion area N2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W10 '*.

도 12a 및 도 12b는 축소된 위젯의 중첩이 없는 표현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갖는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 내의 위치에 위젯을 위치 설정할 때에, 네비게이션 영역(61)의, 인터페이스 모듈(9)에 의해 제어된 행동(behavior)을 나타낸다. 이와 관련해서, 새롭게 위치 설정할 위젯은 정보 영역(62)으로부터 네비게이션 영역(61)으로 변위되거나, 네비게이션 영역(61) 내부로 변위될 수 있다. 화살표(P13)에 의해 도 12a 및 도 12b의 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소된 위젯(W11*)은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 내에서 하부 에지(lower edge) 상의 위치로 변위되는데, 이 위치는 위젯의 중첩 없는 위치 설정을 위한 공간이 너무 작다. 도 12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모듈(9)은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의 스케일 처리된 표현을 생성하는데, 선택 지시자(L') 및 축소된 위젯이 사이즈가 감축되어 변위된 축소된 위젯(W11*')이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 내에 중첩 없이 위치 설정될 수 있으며, 이것을 스케일 처리해서 나타내고 있다. 일례로,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에 할당된 데스크톱(A)의 부분, 즉 데스크톱(A) 전체가 이에 따라 확대된다. 다른 예로서, 데스크톱(A)의 전체 영역은 동일하고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에 할당된 데스크톱(A)의 부분은 대응해서 더 감축되는 데스크톱(A)의 다른 부분으로 연장된다.12A and 12B are controlled by the interface module 9 of the navigation area 61 when positioning the widget at a position in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2 having enough space for a non-overlapping representation of the reduced widget. Represents a behavior. In this regard, the newly positioned widget may be displaced from the information area 62 to the navigation area 61 or may be displaced into the navigation area 61.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S. 12A and 12B by the arrow P13, the reduced widget W11 * is displaced to a position on the lower edge in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2, which is the widget. Too little space for positioning without nesting of. As can be seen from FIG. 12B, the interface module 9 generates a scaled representation of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2 ′ where the selection indicator L ′ and the reduced widget are reduced in size and displaced. The widget W11 * 'can be positioned without overlapping in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2', and this is shown by scaling. In one example, the portion of the desktop A assigned to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2 ', i.e., the entire desktop A, is enlarged accordingly. As another example, the entire area of the desktop A is the same and the portion of the desktop A assigned to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2 'extends to another portion of the desktop A which is correspondingly further reduced.

도 13a 및 도 13b는 내부에 남아 있는 축소된 위젯(W12*)의 변위에 의해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3)의 비움(emptying) 과정에서, 네비게이션 영역(61)의 인터페이스 모듈(9)의 제어된 행동을 나타낸다. 화살표(P14)로 나타낸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3) 내의 축소된 위젯(W12*)이 다른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으로 변위되는데, 이에 의해 변위가 이루어진 후에,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3)에는 위젯이 남아 있지 않게 된다. 도 13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케일 처리된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 내의 위치 재설정된 위젯(W12*')이 대응해서 스케일 처리되어 표시된다. 도 13B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비워진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3)은 네비게이션 영역(61)으로부터 제거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축소된 위젯(w12*)의 변위에 의해 비워진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3)이 실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6)의 네비게이션 영역(61)으로부터 삭제될 준비가 되었다는 확인을 처음 요구한 후에, 제거된다. 삭제된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3)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설정 인터페이스(81, 81')를 통해 언제든 네비게이션 영역(61)에서 다시 작동될 수 있다. 도 13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워진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3)이 제거된 후에,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2+), 그 내부에 배치된 축소된 위젯, 및 선택 지시자(L+)는 이들의 원래 사이즈로 다시 복원되어 표시되고, 그 결과 복원된 표현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다시 만들어진다.13A and 13B illustrate the controlled behavior of the interface module 9 of the navigation area 61 in the process of emptying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3 by the displacement of the reduced widget W12 * remaining therein. Indicates. As indicated by the arrow P14, the reduced widget W12 * in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3 is displaced to another navigation portion area N2 ', whereby after the displacement is made,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3 The widget will not remain. As can be seen from Fig. 13A, the repositioned widget W12 * 'in the scaled navigation portion area N2' is correspondingly scaled and displayed.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13B, the empty navigation portion area n3 is removed from the navigation area 61, for example,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3 that is empti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widget w12 * that is reduced by the user. After the first request for confirmation that it is actually ready to be deleted from the navigation area 61 of the user interface 6, it is removed. The deleted navigation portion area N3 may be reactivated in the navigation area 61 at any time through the setting interface 81, 81 ′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As can be seen from FIG. 13B, after the empty navigation portion area N3 is removed,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2 +, the reduced widget disposed therein, and the selection indicator L +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size. It is restored and displayed, resulting in enough space for the restored representation.

추가의 사용자 조작에서, 2개 이상의 위젯이 데스크톱(A) 상에서 배열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2개의 인접한 쪽을 함께 밀어넣고 데스크톱(A) 상의 유닛으로서 이동시키는데, 정해진 동작에 의해 이들이 다시 서로 분리될 때까지 행해지며, 대응하는 손가락이나 마우스 조작에 의해 데스크톱(A) 상의 조합된 유닛 대상의 "셰이킹 이동"(shaking movement)에 의해 행해진다. In further user operations, two or more widgets can be arranged on the desktop A, for example pushing two adjacent sides together and moving them as units on the desktop A,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gain by a defined action. And the "shaking movement" of the combined unit object on the desktop A by the corresponding finger or mouse operation.

이하에서는, 소스 위젯으로부터 타겟 위젯으로 선택된 콘텐츠 윈도우 및/또는 데이터 요소를 공급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6)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고 촉발될 수 있는 작동 및 응용의 다양한 예를 도 14a, 14b, 15a-15c, 16a-1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xamples of operations and applications that can be specified and trigger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6 by supplying selected content windows and / or data elements from the source widget to the target widget are shown in FIGS. 14A, 14B, 15A.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15c and 16a-16c.

도 14a 및 도 14b는 콘텐츠 윈도우(F13) 및 그 내부에 포함된 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가 추가의 처리를 위한 소스 위젯(W13)으로부터 시작해서 정해진 액션이나 응용이 할당되는 몇 개의 가능한 타겟 위젯(W13a, W13b, W13c) 중의 하나로 전달되는 예를 나타낸다. 화살표(P1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데스크톱(A) 상에 또는 정보 영역(62) 내에 나타낸 섹션(A') 상에 위치 설정하지 않고, 소스 위젯(W13) 중에서 처리할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내부에서 선택되는 데이터 요소를 이동시킬 때에, 사용자에게 소스 위젯(W13)의 뒤로 순차 배치되는, 다시 말하면 지붕 기와처럼 서로 적층된 다양한 가능한 타겟 위젯(W13a, W13b, W13c)이 표시된다. 가능한 타겟 위젯(W13a, W13b, W13c)이 사용자에게 제시되는데, 예를 들면 하나가 순차 배치된 열에서 가장 앞에 배치되고 다른 위젯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해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번갈아 배치하는 방식으로 제시된다. 가능한 타겟 위젯(W13a, W13b, W13c)은 소스 위젯(W13) 및/또는 선택된 콘텐츠 윈도우나 데이터 요소에 의존해서 결정되는데, 예를 들면 설정 인터페이스(81, 81')를 통해 영구적으로 설정된 할당에 따라 결정되거나, 소스 위젯(W13) 및/또는 선택된 콘텐츠 윈도우나 선택된 데이터 요소의 정해진 타입이나 클래스에 의존해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가능한 타겟 위젯(W13a, W13b, W13c)은 내부에 위치된 콘텐츠 윈도우 또는 내부에 위치한 데이터 요소의 복사물을 생성하기 위해 설정되는 정해진 위젯을 포함한다. 덜 일반적인 타겟 위젯(W13a, W13b, W13c)은 인쇄물 처리 산업에서의 그래픽 인쇄 분야 및/또는 관련 콘텐츠 윈도우 또는 관련 데이터 요소에 대해 실행되는 수송 및 물류의 분야에서의 액션, 기능 및 응용을 포함한다. 화살표(1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선택된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를 원하는 타겟 위젯(W13c)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타겟 위젯(W13c)에 대한 또는 그 중의 데이터 요소의 할당 및 처리를 촉발할 수 있다. 선택된 데이터 요소가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는 타겟 위젯(W13c)은 인터페이스 모듈(9)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 완전히 시각적으로 되도록 맨 앞에 표시된다. 선택된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를 선택된 타겟 위젯(13c) 내에 드롭 및 위치 설정하는 것은 이들의 할당 및 처리를 명확하게 촉발한다. 도 14b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데이터 요소가 처리되는 선택된 타겟 위젯(W13c)의 위치는 네비게이션 영역(61) 내에서 축소 표시된 대응하는 위젯(W13c*)의 표시(이 경우에는 굵게)에 의해 나타낸다. 선택된 타겟 위젯(W13c)이 전에 작동된 적이 없으면, 비작동 위젯의 위젯 목록(610)으로부터 제거될 것이다.14A and 14B illustrate several possible target widgets (where a data element included in or selected from the content window F13 and selected therefrom are assigned a specific action or application starting from the source widget W13 for further processing). The example delivered to one of W13a, W13b, and W13c) is shown. As indicated by arrow P15, the content window F13 to be processed in the source widget W13 without being positioned by the user on the desktop A or on the section A 'shown in the information area 62. Or when moving the data element selected therein, the user is presented with a variety of possible target widgets W13a, W13b, W13c, which are sequentially arranged behind the source widget W13, that is, stacked on each other like a roof tile. Possible target widgets (W13a, W13b, W13c) are presented to the user, for example, by placing them one after the other in a sequential column and alternately for viewing by the user so that they are not obscured by other widgets. . The possible target widgets W13a, W13b, W13c a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ource widget W13 and / or the selected content window or data element,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assignment permanently set via the settings interface 81, 81 '. Or depending on the source widget W13 and / or the specified type or class of the selected content window or selected data element. In general, possible target widgets W13a, W13b, W13c include a fixed widget set to create a copy of a content window located therein or a data element located therein. Less common target widgets W13a, W13b, W13c include actions, functions, and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graphics printing in the print processing industry and / or in the field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xecuted on related content windows or related data elements. As indicated by the arrow 15, the user moves the selected content window F13 or selected data element to the desired target widget W13c, thereby assigning and processing data elements to or from the target widget W13c. It can be triggered. The target widget W13c to which the selected data element is moved by the user is displayed at the front such that it is completely visually presented to the user by the interface module 9. Dropping and positioning the selected content window F13 or the selected data element in the selected target widget 13c clearly triggers their allocation and processing. As shown schematically in FIG. 14B,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target widget W13c in which the selected data element is processed is indicated by the display (in this case bold) of the corresponding widget W13c * which is reduced in the navigation area 61. Indicates. If the selected target widget W13c has never been activated before, it will be removed from the widget list 610 of the inactive widget.

도 15a-15c의 예에서, 소스 위젯(W13)은 다른 위젯의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된 지시자(I1, I2, I3)를 포함하며, 가능한 타겟 위젯(W14)은 소스 위젯(W13)에 연결되거나 논리적 할당을 통해 링크된다. 이들 지시자는 예를 들어, 그래픽 심볼(아이콘) 및/또는 판독가능한 명칭으로 지정된다. 화살표(P1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는 사용자가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D)를 선택된 타겟 위젯(14)의 지시자(I1, I2, I3)를 통해 소스 위젯으로부터 이동시킬 때에 타겟 위젯(W13)의 가능한 처리 액션이 표시된다. 타겟 위젯(W13)의 가능한 처리 액션은 사용자에게 지시되는데, 예를 들어 그래픽 심볼 및/또는 판독가능한 명칭의 형태로 가시적인 지시자(I4, I5, I6)로서 다시 지시된다. 사용자가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D)를, 화살표(P1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하는 처리 액션의 지시자(I4)로 이동(드래그)시켜서 위치 설정(드롭)할 때에,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D)는 관련 지시자(I4)에 의해 정해지는 처리 액션에 따른 처리를 위한 타겟 위젯(14)으로 전달된다. 도 15b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데이터 요소가 내부에서 처리되는 선택된 타겟 위젯(W14)의 위치는 축소 표시된 대응하는 위젯(W14*)의 표시(여기서는 굵게)에 의해 네비게이션 영역(61) 내에 표시된다. 선택된 타겟 위젯(W14)이 이전에 작동된 적이 없으면, 비작동 위젯의 위젯 목록(610)으로부터 제거될 것이다.In the example of FIGS. 15A-15C, source widget W13 includes indicators I1, I2, I3 made visible to the user of another widget, and possible target widgets W14 are connected or logically connected to source widget W13. Linked via assignment. These indicators are designated, for example, by graphic symbols (icons) and / or readable names. As indicated by arrow P16, the user may have the user move the content window F13 or a data element D selected therefrom from the source widget through the indicators I1, I2, I3 of the selected target widget 14; At this time, the possible processing actions of the target widget W13 are displayed. Possible processing actions of the target widget W13 are directed to the user, for example again as visible indicators I4, I5, I6 in the form of graphic symbols and / or readable names. When the user moves (drags) and positions (drops) the content window F13 or the data element D selected therefrom to the indicator I4 of the desired processing action, as indicated by the arrow P16 ', The content window F13 or the data element D selected therefrom is transferred to the target widget 14 fo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ocessing action determined by the associated indicator I4.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15B,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target widget W14 in which the selected data element is processed is indicated in the navigation area 61 by the display (in bold here) of the corresponding widget W14 *, which is scaled down. do. If the selected target widget W14 has never been activated before, it will be removed from the widget list 610 of the inactive widget.

도 15c에서,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D)의 선택된 타겟 위젯(W14)의 선택가능한 처리 액션에 대한 할당이 인터페이스 모듈(9)에 의해 지시되는 유지 매트릭스(holding matrix)(X)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변형예를 나타낸다. 유지 매트릭스(X)는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D)의 매트릭스의 대응하게 선택된 셀 내에서의 위치 설정에 의해 처리 액션을 판정하기 위한 2개의 조합가능한 기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개의 기준은 매트릭스(X)의 행과 열로 매핑된다. 예를 들어, 행 위치는 생산 시간을 결정하며, 열 위치는 생산 플랜트(1)에서의 특정의 생산 케이스 또는 생산 경로를 결정함으로써, 콘텐츠 윈도우(F13)의 데이터 요소의 처리가 유지 매트릭스(X) 내에 대응하는 위치 설정을 가진 특정의 생산 시간 윈도우 및 특정의 생산 케이스에 할당될 수 있다. 선택된 타겟 위젯(W14)의 위치가 다시 네비게이션 영역(61) 내에 표시되고, 타겟 위젯(W14)은 필요한 경우 비작동 위젯의 위젯 목록(610)으로부터 제거된다.In FIG. 15C, a holding matrix (in which the assignment to the selectable processing action of the selected target widget W14 of the content window F13 or the data element D selected therefrom is indicated by the interface module 9 ( Through X), the modification determined by the user is shown. The maintenance matrix X preferably comprises two combinabl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processing action by positioning in the corresponding window of the content window F13 or the matrix of data elements D selected therein. The two criteria are mapped to the rows and columns of the matrix (X). For example, the row position determines the production time, and the column position determines the specific production case or production path in the production plant 1, so that the processing of the data elements of the content window F13 is maintained in the matrix X. Can be assigned to a particular production time window and a particular production case with corresponding positioning within.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target widget W14 is again displayed in the navigation area 61, and the target widget W14 is removed from the widget list 610 of the non-operational widget if necessary.

도 16a-16c에,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D)의 선택된 타겟 위젯(W14)의 특정의 처리 액션에의 할당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지시자(12)를 통해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D)를 위치 설정함으로써 결정된 화살표(P17)로 나타낸 타겟 위젯(W15)은 소스 위젯(W13)에 결합되거나 그래픽적으로 도킹(dock)된다. 타겟 위젯(W15)이 데스크톱(A) 상에서 이미 작동 중이면, 네비게이션 영역(61) 내의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3)의 위젯(W15*)의 축소 표현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3) 내의 원래 위치로부터 네비게이션 부분 영역(N1)으로 변위되거나, 적어도 임시로 지시되는데, 네비게이션 영역(61)에서 대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스 위젯의 축소 표현에 축소 표시된 타겟 위젯(w15*')으로서 도킹된 것으로 표시된다. 도 16a-16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타겟 위젯(15) 내의 가능한 처리 액션은 그래픽적으로, 예를 들어 그래픽 심볼(G1, G2, G3)로 표시되거나, 다양한 생산 라인, 생산 케이스, 컨베이어, 제품 배송 루트 등에 대한 포인트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D)를, 화살표(P17')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것이 위치하는 원하는 처리 액션의 그래픽 심볼(G1)로 이동시켜서(드래그) 위치(드롭)시키면,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D)는 관련 그래픽 심볼(G1)에 의해 결정된 처리 액션에 따른 처리를 위한 타겟 위젯(W15)으로 전달된다. 도 16b에서 네비게이션 영역(61) 내의 대시선 화살표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킹된 타겟 위젯(W15*')의 축소 표현은, 데이터 요소의 타겟 위젯(W15)으로의 전달을 완료한 후에, 축소된 타겟 위젯(W15*)의 원래 위치로 다시 이동하거나, 도킹된 타겟 위젯(W15*')의 임시 표현이 종료된다. 선택된 타겟 위젯(W15)이 이전에 작동된 적이 없으면, 비작동 위젯의 위젯 목록(610)으로부터 제거될 것이다. 16A-16C, another example of the assignment of the selected target widget W14 of the content window F13 or a data element D selected therefrom to a specific processing action is shown. As shown in FIG. 16A, the target widget W15 represented by the arrow P17 determined by positioning the content window F13 or a data element D selected therefrom through the indicator 12 by the user is a source widget ( W13) or graphically docked. If the target widget W15 is already operating on the desktop A, as indicated by the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widget W15 * of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3 in the navigation area 61, it is displayed in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3. Displac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navigation portion area N1 or at least temporarily indicated, as docked as the target widget w15 * 'in the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source widget, as indicated by the dashed arrow in the navigation area 61. Is displayed. As can be seen from FIGS. 16A-16C, the possible processing actions within the target widget 15 are graphically represented, for example, by graphic symbols G1, G2, G3, or by various production lines, production cases, conveyors, Provide points for product delivery routes and more. The user moves (drag) the content window F13 or the data element D selected therefrom to the graphic symbol G1 of the desired processing action in which it is located (drag), as indicated by arrow P17 '. Then, the content window F13 or the data element D selected therefrom is transferred to the target widget W15 fo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ocessing action determined by the associated graphic symbol G1. As schematically represented by dashed arrows in the navigation area 61 in FIG. 16B, the reduced representation of the docked target widget W15 * 'is reduced after completing the transfer of the data element to the target widget W15. The temporary representation of the docked target widget W15 * 'is ended or moved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target widget W15 *. If the selected target widget W15 has never been activated before, it will be removed from the widget list 610 of the inactive widget.

도 16c의 예에서,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D)의 선택된 타겟 위젯(W15)의 선택가능한 처리 액션에의 할당 및 전달은 그래픽 심볼(G1, G2, G3)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터페이스 모듈(9)에 의해 나타낸, 유지 매트릭스(X)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15c와 관련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살표(17')로 나타낸 관련 데이터 요소는 사용자에 의해 유지 매트릭스(X)의 특정의 셀에 할당된다. In the example of FIG. 16C, the assignment and delivery of the selected target widget W15 of the content window F13 or the selected data element D therein to the selectable processing action is made via the graphic symbols G1, G2, G3. Rather, via the retention matrix X, represented by the interface module 9.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15C, the relevant data elements represented by arrows 17 ′ are assigned to specific cells of the maintenance matrix X by the user.

도 17a, 17b, 18a-18d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내에서 그래픽적으로 표시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해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한 데이터 범위를 지시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윈도우 또는 데이터 윈도우의 예를 나타낸다. 17A, 17B, 18A-18D illustrate examples of content windows or data windows configured to indicate a data range that is graphically displayable within the user interface 6 and that is variably adjustable by the user.

도 17a 및 17b의 예에서, 데이터 범위는 특정의 스케일링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조정가능하기 때문에, 대응해서 상이한 해상도, 상이한 구체적인 내용 및/또는 상이한 스케일을 갖는 값(51)의 스케일의 상이한 범위의 섹션이 해당 스케일링에 의존해서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5, 5') 내에 표시된다. 스케일링은 사용자에 의해 스케일링 파라미터, 예를 들어 슬라이더, 변위가능한 라이더, 회전가능한 로터리 휠 등의 그래픽 조작 요소를 입력함으로써 입력 마스크를 통해, 또는 접촉 감응식 디스플레이(60)에서 대응하는 손가락 조작에 의해, 예를 들어 2개의 손가락을 디스플레이(60) 상에서 분리시키거나 붙임으로써 조정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17a 및 17b의 스케일링가능한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5, 5')는 스케일링 가능한 타임 윈도우 내에 다수의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시간 간격(T1, T2, T3)을 표현하기 위한 타이밍 바(631)로서 구성된다. 이 시간 간격(T1, T2, T3)은 예를 들어, 생산 플랜트(1)의 계획된 및/또는 현재의 생산을 나타낸다. 도 17a 및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시간(T)은 예를 들어, 그래픽 심볼, 기하학적 요소 또는 특정의 색 표시에 의해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5, 5') 내에 표시된다. 도 17a는 5:45h 및 10:45h 사이의 시간 도메인을 나타내는 고해상도 스케일링을 가진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5)를 나타낸다. 도 17a의 예에서의 해상도에서, 시간 간격(T1, T2, T3)은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5')에서 사용자에게 완전히 보이지 않는다. 도 17b는 3:45h 및 12:45h의 더 큰 시간 도메인을 나타내는 비교적 낮은 해상도의 스케일링을 가진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5)를 나타낸다. 도 17b의 예에서의 스케일링은 시간 간격(T1, T2, T3)의 완전한 표현을 위해 제공한다.In the example of FIGS. 17A and 17B, since the data range is adjustable by the user by the selection of a specific scaling, different ranges of scales of values 51 with correspondingly different resolutions, different details and / or different scales A section of is displayed in the content or data window 5, 5 'depending on the scaling. Scaling can be accomplished by inputting scaling parameters by a user, for example, graphical manipulation elements such as sliders, displaceable riders, rotatable rotary wheels, or by means of corresponding finger manipulations in the touch-sensitive display 60. For example, two fingers can be adjusted by detaching or pasting on the display 60.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calable content or data windows 5, 5 ′ of FIGS. 17A and 17B are timing bars for representing time intervals T1, T2, T3 represented in multiple graphics within a scalable time window. 631). These time intervals T1, T2, T3 represent, for example, the planned and / or current production of the production plant 1. As shown in Figs. 17A and 17B, the current time T is displayed in the content or data window 5, 5 ', for example by graphical symbols, geometric elements or specific color representations. 17A shows a content or data window 5 with high resolution scaling representing a time domain between 5: 45h and 10: 45h. At the resolution in the example of FIG. 17A, the time intervals T1, T2, T3 are not completely visible to the user in the content or data window 5 ′. FIG. 17B shows a content or data window 5 with a relatively low resolution scaling representing a larger time domain of 3: 45h and 12: 45h. Scaling in the example of FIG. 17B provides for a complete representation of the time intervals T1, T2, T3.

참조 부호 E1 및 E2는 04:45h 또는 07:00h 사이의 시간 이벤트를 지정하는데, 예를 들어 시간 간격(T1, T2, T3)에서 인터페이스 모듈(9)에 의해 그래픽적으로 정확한 시간에 발생한 생산 플랜트(1)의 장애, 고장, 또는 중단 등이 있다. 참조 부호 V1 및 V2는 이벤트(E1, E2)에 의해 현재의 생산에서 예상되는 그리고 시간 간격(T1, T2, T3)에서 그래픽적으로 강조된, 대략 50분 또는 대략 20분의 시간 지연을 나타낸다. 인터페이스 모듈(9)은 이벤트(E1, E2)의 시간 간격(T1, T2, T3) 및/또는 예상된 시간 지연(V1, V2)을 클릭하거나 접촉했을 때에 사용자 인터페이스(6) 내의 상세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Reference numerals E1 and E2 designate a time event between 04: 45h or 07: 00h, for example a production plant generated at a graphically accurate time by the interface module 9 in time intervals T1, T2 and T3. There is a failure, failure or interruption of (1). Reference signs V1 and V2 represent time delays of approximately 50 minutes or approximately 20 minutes, expected in the current production by events E1 and E2 and graphically highlighted in the time intervals T1, T2, T3. The interface module 9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in the user interface 6 when the user clicks or contacts the time intervals T1, T2, T3 and / or the expected time delays V1, V2 of the events E1, E2. It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to.

도 18a-18d의 예에서,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7)는 표시할 데이터 라인 간섭 영역(coherent area)을 수직방향으로 변위(스크롤링)시키기 위한 그래픽 요소, 특히 슬라이더(70)를 구비한다. 도 18a의 예에서, 슬라이더(70)는 최상단 위치에 도시되어 있는데, 본 예에서 번호 1부터 16까지 붙여져 있는, 최상단에 배치되거나 시작 위치에 있는 데이터 어레이 또는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라인이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7) 내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도 18b의 예에서, 슬라이더(70)는 최하단 위치에 설정되는데, 본 예에서 번호 85부터 100까지 붙여져 있는, 최하단에 배치되거나 마지막에 있는 데이터 어레이 또는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 라인이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7) 내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도 18a-18d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7)는 변위가능하고 표시가능한 데이터 영역을 결정하는 지시된 경계(71, 72)가 제공된다. 도 18a 및 18b의 예에서, 경계(71, 72)는 "1" 또는 "100"의 최대값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모든 데이터 라인(1-100)을 가진 전체 데이터 영역이 슬라이더(70)의 대응하는 조정에 의해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7) 내에서 검사된다. 사용자는 상이한 영역 및 상이한 개수의 데이터 라인이 검사되도록 하고 경계(71, 72)에 의존해서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7) 내에서 변위(스크롤)되도록 해서 경계(71, 72)를 설정함으로써 변위가능하고 표시가능한 데이터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8c 및 18d의 예에서, 경계(71, 72)는 값 "46" 및 "75"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라인(46-75)을 가진 데이터 영역이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7) 내에서 슬라이더(70)의 대응하는 조정에 의해 검사될 수 있다. 도 18c의 예에서, 슬라이더는 경계 영역의 최상단 위치에 설정됨으로써,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7) 내에 데이터 라인(46-61)을 사용자에게 대응해서 표시한다. 도 18d의 예에서, 슬라이더는 경계 영역의 최하단 위치에 설정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7) 내에 데이터 라인(60-75)이 대응해서 표시된다. 도 18c 및 1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계(71, 72)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그래픽으로 표현된 라이더를 변위시킴으로써 또는 데이터 입력 필드 내에 경계를 입력함으로써 조정되고 표시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S. 18A-18D, the content or data window 7 has graphical elements, in particular a slider 70, for vertically displacing (scrolling) the data line coherent area to be displayed. In the example of FIG. 18A, the slider 70 is shown at the top position, in which the data line of the data array or data file at the top position or start position, numbered 1 through 16, in this example is the content or data window. It is displayed to the user within 7. In the example of Fig. 18B, the slider 70 is set at the bottom position, in which the data line of the bottommost or last placed data array or data file, numbered 85 to 100, is in the content or data window 7 in this example. Is displayed to the user within).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S. 18A-18D, the content or data window 7 is provided with indicated boundaries 71, 72 that determine a displaceable and displayable data area. In the example of Figs. 18A and 18B, the boundaries 71 and 72 are set to the maximum value of "1" or "100". Thus, the entire data area with all data lines 1-100 is examined in the content or data window 7 by corresponding adjustment of the slider 70. The user is displaceable by setting the boundaries 71 and 72 so that different regions and different numbers of data lines are inspected and displaced (scrolled) within the content or data window 7 depending on the boundaries 71 and 72 and The displayable data area can be adjusted. In the example of Figs. 18C and 18D, the boundaries 71 and 72 are set to values "46" and "75". Thus, the data area with data lines 46-75 can be inspected by the corresponding adjustment of slider 70 in the content or data window 7. In the example of FIG. 18C, the slider is set at the top position of the border area, thereby correspondingly displaying data lines 46-61 in the content or data window 7 to the user. In the example of FIG. 18D, the slider is set at the lowest position of the boundary area. Accordingly, the data lines 60-75 are correspondingly displayed to the user in the content or data window 7. As shown in FIGS. 18C and 18D, the borders 71, 72 can be adjusted and displayed, for example, by displacing the rider represented by the corresponding graphic or by entering the border in the data input field.

당업자라면, 콘텐츠 또는 데이터 윈도우(5, 5', 7)는 도 17a, 17b 및 18a-1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또한 수평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ontent or data windows 5, 5 ', 7 can be align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s shown in Figs. 17A, 17B and 18A-18D.

결론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개시 내용에서 특정의 기능적 모듈에 할당되고 단계의 실행은 특정의 순서로 행해지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당업자라면,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단계의 순서는 보호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실시예의 여러 변형예에서 상기 언급한 기능적 모듈이 하드웨어 구성요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In conclusion, although computer program code has been shown in the disclosure to be assigned to a particular functional module and the execution of the steps is performed in a particular orde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ould appreciate that the computer program code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nd the order of the given step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can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protection. Furtherm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in various variations of this embodiment, the aforementioned functional modules may be configured at least partially or completely as hardware components.

Claims (15)

컴퓨터로 구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에 있어서,
데스크톱(desktop)(A) 및 상기 데스크톱(A) 상에 사용자에 가시적이 되도록 배치된 여러 개의 위젯(W13, W13a, W13b, W13c, W14, W15)을 포함하며, 소스 위젯(W13)은 데이터 요소(D)를 갖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윈도우(F13)를 포함하고, 상기 위젯(W13, W13a, W13b, W13c, W14, W15) 및 상기 콘텐츠 윈도우(F13)는 콘텐츠 윈도우(F13) 및/또는 데이터 요소가 처리를 위해 선택될 때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콘텐츠 윈도우(F13) 및/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D)가 사용자에 의해 이들이 내부에 배치되는 소스 위젯(W13)으로부터 사용자에게 가시적인 여러 개의 가능한 타겟 위젯(W13a, W13b, W13c, W14, W15) 중의 하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In the computer-implemented graphical user interface 6,
A desktop (A) and several widgets (W13, W13a, W13b, W13c, W14, W15) arranged to be visible to the user on the desktop (A), the source widget (W13) being a data element (D) one or more content windows (F13), wherein the widgets (W13, W13a, W13b, W13c, W14, W15) and the content window (F13) have a content window (F13) and / or a data element The content window F13 selected by the user when selected for processing and / or the data elements D selected therefrom are visible to the user from the source widget W13 where they are placed there by the user. User interface (6),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be moved to one of the widgets (W13a, W13b, W13c, W14, W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W13, W13a, W13b, W13c, W14, W15) 및 상기 콘텐츠 윈도우(F13)는 콘텐츠 윈도우(F13) 및/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D)가 사용자에 의해 데스크톱(A) 상에 배치하지 않고도 관련 소스 위젯(W13)으로부터 밀려날 수 있도록 결합되며, 관련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D)가 처리될 수 있는 가능한 타겟 위젯(W13a, W13b, W13c)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The method of claim 1,
The widgets W13, W13a, W13b, W13c, W14, and W15 and the content window F13 have a content window F13 and / or a data element D selected therefrom arranged on the desktop A by the user. Combined targets W13a, W13b, and W13c, which are coupled so as to be pushed out of the associated source widget W13 without being able to be processed, and in which the relevant content window F13 or the selected data element D can be processed. User interface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위젯(W13c) 중의 하나는 상기 타겟 위젯(W13c) 내에 위치되는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D)의 복사물을 생성하고,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데스트톱(A) 상의 선택된 데이터 요소(D)의 복제물에 의해 자체적으로 배치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ne of the target widgets W13c creates a copy of the content window F13 or selected data element D located within the target widget W13c and selects the selected data element on the content window F13 or desktop A. User interface 6,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be placed on its own by the replica of (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W13, W13a, W13b, W13c, W14, W15) 및 콘텐츠 윈도우(F13)는 타겟 위젯(W13a, W13b, W13c)이 지붕 타일처럼 서로 적층되어 표시되는데, 타겟 위젯(W13a, W13b, W13c) 중의 하나가 관련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D)가 현재 가장 앞에 표시된 타겟 위젯(W13c) 내에 또는 다시 소스 위젯(W13) 내에 배치될 때까지 스택 내에서 가장 앞에 표시되도록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widgets W13, W13a, W13b, W13c, W14, and W15 and the content window F13 are displayed by stacking target widgets W13a, W13b, and W13c together like a roof tile, and target widgets W13a, W13b, and W13c. Either one of the related content windows F13 or the selected data element D is alternately arranged to be displayed first in the stack until it is placed within the currently displayed target widget W13c or again in the source widget W13. Characterized by a user interface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톱(A)의 섹션(A')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 영역(62) 및 상기 정보 영역(62)보다 규모가 작고 상기 정보 영역(62)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며 데스크톱 전체와 그 위에 배치되는 위젯의 축소 표현을 갖는 네비게이션 영역(61)을 포함하며, 상기 네비게이션 영역(61) 및 상기 정보 영역(62)은 관련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D)가 배치된 타겟 위젯(W13c*)의 축소 표현이 네비게이션 영역(61) 내에서 사용자에 대해 표시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 information area 62 for representing a section A 'of the desktop A and a smaller size than the information area 62 and combined so as to be disposed outside the information area 62 and disposed on the entire desktop and above it. And a navigation area 61 having a reduced representation of a widget being formed, wherein the navigation area 61 and the information area 62 have a target widget W13c in which an associated content window F13 or a selected data element D is disposed. A user interface 6 characterized in that a reduced representation of *) is combined to be displayed for the user in the navigation area 6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W9)은 하나 이상의 콘텐츠 윈도우(F8, F9)를 포함하며, 상기 위젯(W9) 및 상기 콘텐츠 윈도우(F8, F9)는 콘텐츠 윈도우(F9)가 사용자에 의해 관련 위젯(W9)으로부터 데스크톱(A) 위로 완전히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위젯(W9)으로부터 이동된 콘텐츠 윈도우(F9)는 새로운 위젯(W+)을 생성하고, 콘텐츠 윈도우(F9')는 새롭게 생성된 위젯(W+)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widget W9 comprises one or more content windows F8 and F9, wherein the widget W9 and the content windows F8 and F9 have a content window F9 set by the user from the associated widget W9 to the desktop. (A) The content window F9, which is coupled to be fully moved above and moved from the widget W9, creates a new widget W +, and the content window F9 'is placed within the newly created widget W +. User interface 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및/또는 콘텐츠 윈도우(F52)는 사용자에 의해 헤더 바(header bar)(K5)까지 축소될 수 있으며, 상기 헤더 바(K5)는 관련 위젯 또는 콘텐츠 윈도우(F52)에 할당된 현재의 상태 값을 나타내기 위한 상태 지시자(status indicator)(S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widget and / or content window F52 may be reduced by the user to a header bar K5, the header bar K5 being the current state assigned to the associated widget or content window F52. A user interface 6 comprising a status indicator SI for indicating a valu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W13)은 관련 위젯(W13)과 링크된 다른 타겟 위젯(W14, W15)의 하나 이상의 가시적 지시자(I1, I2, I3)를 포함하며, 위젯(W13, W14, W15)과 콘텐츠 윈도우(F13)는 콘텐츠 윈도우(F13) 및/또는 그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요소(D)가 사용자에 의해 소스 위젯(W13)으로부터 지시자 중의 하나(I2)를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D)가 대응하는 처리를 위해 배치될 수 있는 관련 타겟 위젯(W14, W15)의 가능한 처리 액션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widget W13 includes one or more visible indicators I1, I2, I3 of other target widgets W14, W15 linked with the associated widget W13, and includes a widget W13, W14, W15 and a content window ( F13 is combined such that the content window F13 and / or the data element D selected therefrom can be moved by the user from the source widget W13 through one of the indicators I2, and the content window F13 or User interface (6),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sible processing actions of the relevant target widgets (W14, W15) in which the selected data element (D) can be placed for corresponding processing are displayed to the us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W13, W14, W15) 및 가시적 지시자(I1, I2, I3)는 지시자 중의 하나의 지시자(I2)를 통해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D)가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지시자(I2)에 할당된 타겟 위젯(W14, W15)은 소스 위젯(W13)의 옆에 표시되고, 가능한 처리 액션은 관련 타겟 위젯(W14, W15) 내에 그래픽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9. The method of claim 8,
The widgets W13, W14, W15 and the visible indicators I1, I2, and I3 are displayed when the content window F13 or the selected data element D moves through the indicator I2 of one of the indicators. The target widgets W14 and W15 assigned to (I2) are displayed next to the source widget W13, and possible processing actions are graphically displayed in the relevant target widgets W14 and W15. 6).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타겟 위젯(W14, W15)의 가능한 처리 액션을 표현하기 위해 표시될 수 있으며, 관련 매트릭스 셀에 의해 정해진 처리 액션에 의해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D)의 처리를 위한 매트릭스 셀 내에서 콘텐츠 윈도우(F13) 또는 선택된 데이터 요소(D)의 배치를 제공하는, 2차원 유지 매트릭스(two-dimensional holding matrix)(X)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Matrix cells for the processing of the content window F13 or the selected data element D by a processing action defined by the associated matrix cell, which may be displayed to represent possible processing actions of the relevant target widgets W14 and W15. A user interface (6) comprising a two-dimensional holding matrix (X), which provides a placement of the content window (F13) or the selected data element (D) within.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은 여러 개의 위젯이 사용자에 의해 데스크톱(A) 위에 서로 이어지도록 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이 사용자에 의해 서로 다시 분리될 때까지 데스크톱(A) 위에 유닛으로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widget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having a plurality of widget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user on the desktop A, and combined so that they can be moved as units on the desktop A until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user again. User interface (6).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스크톱(A) 위에 배치되지 않은, 사용은 가능하지만 현재는 비작동 상태인 위젯의 표현을 갖는 위젯 목록(widget inventory)(610)을 포함하며, 상기 데스크톱(A) 및 상기 위젯 목록(610)은, 작동 상태인 위젯이 사용자에 의해 데스크톱(A)으로부터 위젯 목록(610)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처리 동안 비작동 상태가 되도록, 그리고 비작동 상태인 위젯이 사용자에 의해 데스크톱(A) 상의 위젯 목록(610)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처리 동안 작동 상태가 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widget inventory 610 having a representation of a widget that is available, but currently inactive, not disposed on the desktop A, wherein the desktop A and the The widget list 610 can be moved by the user from the desktop A to the widget list 610 by the user and inactive during this processing, and the widget that is inactive is desktop by the user. User interface 6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oved from widget list 610 on (A) and coupled to be in an operational state during this processing.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를 디스플레이(60) 상에 생성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Computer-implemented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6) on the display (60)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컴퓨터 코드를 내부에 기억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코드에 의해,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60) 상에 생성하도록 상기 프로세서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rising a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toring computer code therein,
Computer program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by the computer code, the processor is controlled such that the processor generates on the display (60) a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디스플레이(60), 및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를 상기 디스플레이(60) 상에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Comput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60) and an interface module (9) for generating on the display (60) a graphical user interface (6)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
KR1020137008138A 2010-09-15 2011-09-13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3010832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483/10A CH703725A1 (en) 2010-09-15 2010-09-15 Computer-implemen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g. input of data for operating e.g. industrial production systems, has output and target widgets and content windows coupled with each other
CH1483/10 2010-09-15
PCT/CH2011/000215 WO2012034245A1 (en) 2010-09-15 2011-09-13 Graphical user inte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322A true KR20130108322A (en) 2013-10-02

Family

ID=4471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138A KR20130108322A (en) 2010-09-15 2011-09-13 Graphical user interfa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550590A1 (en)
JP (1) JP5900981B2 (en)
KR (1) KR20130108322A (en)
CH (1) CH703725A1 (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8505A (en) * 1991-08-16 1997-06-10 Sun Micro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moving/copying objects using destination and/or source bins
US6212577B1 (en) * 1993-03-03 2001-04-03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teraction with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data types and actions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US5548702A (en) * 1993-12-23 1996-08-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rolling a target window during a drag and drop operation
EP0741885B1 (en) * 1994-01-27 2002-11-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oftware notes
US5764873A (en) * 1994-04-14 1998-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zy drag of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bjects
US6535230B1 (en) * 1995-08-07 2003-03-18 Apple Computer,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providing consistent behavior for the dragging and dropping of content objects
US5870091A (en) * 1996-11-07 1999-02-09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mbining palettes on a computer display
JP4102045B2 (en) * 2001-09-28 2008-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cessing device for concealment window on desktop
JP2003280630A (en) * 2002-03-20 2003-10-02 Toshiba Corp Information processor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ed for the processor
US20070226642A1 (en) * 2006-03-22 2007-09-27 Business Object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ransparent windows when copying or moving items between windows
JP2008009831A (en) * 2006-06-30 2008-01-17 Seagrand Kk Window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or
US10503342B2 (en) * 2006-08-04 2019-12-10 Apple Inc. User interface spaces
US8117555B2 (en) * 2006-12-07 2012-02-14 Sap Ag Cooperating widgets
US8156445B2 (en) * 2008-06-20 2012-04-10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d interaction with heterogeneous data
JP5222717B2 (en) * 2008-12-26 2013-06-26 株式会社Access Display window selection method, display window selection program, and termi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703725A1 (en) 2012-03-15
EP2550590A1 (en) 2013-01-30
JP2013541760A (en) 2013-11-14
JP5900981B2 (en)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829B1 (en) Method for configur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9317193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30117763A (en) Computer-implemen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00097135A1 (en) User Interface Spaces
US9342239B2 (en) Virtual interface devices
US20130174066A1 (en) User interface system for operating machines
JP2008276776A (en) Touch-type tab navig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US2012016694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age division display function and page display method
EP2238526B1 (en) Input device
KR20130108322A (en)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289197A (en) It is a kind of under graphic programming platform across screen display methods and electronic equipment
NL2023624B1 (en)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Sorted List of Data Records
JP6562115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6255804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electronic device
CH704778A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