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574A - 배터리 셀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574A
KR20130107574A KR1020120029470A KR20120029470A KR20130107574A KR 20130107574 A KR20130107574 A KR 20130107574A KR 1020120029470 A KR1020120029470 A KR 1020120029470A KR 20120029470 A KR20120029470 A KR 20120029470A KR 20130107574 A KR20130107574 A KR 20130107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rivet
plates
electrod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767B1 (ko
Inventor
고성태
김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캄
Priority to KR1020120029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767B1/ko
Priority to PCT/KR2012/002262 priority patent/WO2013141431A1/ko
Publication of KR2013010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배터리 셀은 복수매가 적층 되며 양극 탭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양극판들; 상기 양극판들 사이에 개재되며 음극 탭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음극판들;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상기 양극 탭들을 관통하는 제1 리벳, 상기 음극 탭들을 관통하는 제2 리벳을 포함하는 리벳; 및 상기 양극 탭 및 상기 음극 탭을 관통한 상기 제1 및 제2 리벳들의 단부를 덮는 절연 도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셀{BATTERY CELL}
본 발명은 배터리 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팩(battery pack)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battery cell)을 직/병렬 연결하여 구성되며, 배터리 팩은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배터리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전기 자동차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주전원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배터리 팩을 이루는 배터리 셀은 양극판, 음극판 및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며, 양극판 및 음극판은 상호 교대로 배치된다.
양극판과 음극판에서 각각 양극 단자 탭 및 각 음극 단자 탭들은 초음파 융착 또는 리벳팅과 같은 전기적, 물리적 결합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교대로 배치된 양극판, 음극판 및 분리막은 금속 외장재 등에 의하여 포장된다.
양극판 및 음극판에 연결되는 각각의 단자 탭은 초음파 융착 또는 리벳팅 방법으로 인해 연결부위가 돌출되어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등 포장재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며, 연결부위의 금속이 포장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이 취약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을 관통하는 리벳에 의한 외장재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하며 도전성 외장재와의 전기 절연성을 향상시킨 절연 도막을 갖는 배터리 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배터리 셀은 복수매가 적층 되며 양극 탭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양극판들; 상기 양극판들 사이에 개재되며 음극 탭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음극판들;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상기 양극 탭들을 관통하는 제1 리벳, 상기 음극 탭들을 관통하는 제2 리벳을 포함하는 리벳; 및 상기 양극 탭 및 상기 음극 탭을 관통한 상기 제1 및 제2 리벳들의 단부를 덮는 절연 도막을 포함한다.
배터리 셀의 상기 절연 도막은 상기 양극 탭 및 상기 음극 탭의 측면을 덮는다.
배터리 셀의 상기 절연 도막 중 상기 제1 및 제2 리벳들을 덮는 부분은 제1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양극 탭 및 상기 음극 탭의 측면을 덮는 부분은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된다.
배터리 셀의 상기 절연 도막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성 수지를 포함한다.
배터리 셀은 상기 양극 탭에 결합 된 제1 외부 접속 단자 및 상기 음극 탭에 결합 된 제2 외부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외부 접속 단자; 및 상기 양극판들, 상기 음극판들 및 상기 절연 도막을 감싸는 외장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에 의하면, 양극판 및 음극판을 결합하는 리벳을 절연 도막을 이용하여 감싸 리벳에 의한 외장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벳을 감싸 외장재의 손상을 방지하는 절연 도막은 휘발성 용제에 의하여 녹은 합성수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지 도포 자동화 설비에 의하여 자동화를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양극판, 음극판 및 분리막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양극판, 음극판, 리벳을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양극 탭을 감싸는 절연 도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양극판, 음극판 및 분리막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양극판, 음극판, 리벳을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양극 탭을 감싸는 절연 도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들을 참조하면, 배터리 팩(battery pack)을 이루는 배터리 셀(100)은 양극판(110), 음극판(120), 분리막(130), 외부 접속 단자(140), 리벳(150), 절연 도막(160) 및 외장재(17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양극판(110)은 얇은 두께를 갖고 양극 활물질이 표면에 형성된 금속판을 포함한다. 양극판(110)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양극판(110)의 일측 테두리로부터는 양극판(110)에 양극성을 갖는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양극 탭(115)이 돌출된다. 양극 탭(115)에는 후술 될 리벳(15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관통홀(117)은 적어도 하나가 양극판(110)의 양극 탭(115)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음극판(120)은 얇은 두께를 갖고 음극 활물질이 표면에 형성된 금속판을 포함한다. 음극판(120)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음극판(120)은 양극판(120)과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음극판(110)의 일측 테두리로부터는 음극판(120)에 제2 극성을 갖는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음극 탭(125)가 돌출된다. 음극 탭(125)에는 후술 될 리벳(15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2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양극판(110)은 복수매가 적층된 형상으로 배치되며, 복수매가 적층된 양극판(110)들의 각 양극 탭(115)들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음극판(120)은 마주하는 양극판(110)들의 사이에 개재되며, 양극판(110)들의 사이에 개재된 음극판(120)들의 음극 탭(125)들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즉, 양극판(110) 및 음극판(120)은 교대로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막(130)은 교대로 배치된 양극판(110) 및 음극판(120)의 사이에 배치되며, 분리막(130)의 표면에는 고체 전해질이 코팅되어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접속 단자(140)는 제1 외부 접속 단자(142) 및 제2 외부 접속 단자(144)를 포함한다.
제1 외부 접속 단자(142)는 양극 탭(115)들 중 가장 바깥쪽 양극 탭(115)에 접속되며 제1 외부 접속 단자(142)에도 양극 탭(115)의 관통홀(117)과 대응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부 접속 단자(144)는 음극 탭(125)들 중 가장 바깥쪽 음극 탭(125)에 접속되며 제2 외부 접속 단자(144)에도 음극 탭(125)의 관통홀(127)과 대응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접속 단자(14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00)들을 전기적으로 병렬 방식으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형성하기 위해 양극 탭(115) 및 음극 탭(125)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양극판(110)들의 사이에는 분리막(130) 및 음극판(120)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양극판(110)들은 상호 이격 되고 이로 인해 양극판(110)들의 양극 탭(115)들 역시 상호 이격 되어 있다.
리벳(150)은 상호 이격 된 양극판(110)들의 양극 탭(115)들을 상호 전기적/기계적으로 연결한다.
아하, 양극 탭(115)들을 전기적/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리벳(150)은 제1 리벳(152)으로서 정의되며, 제1 리벳(152)은 양극판(110)의 양극 탭(115)들의 관통홀(117)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양극 탭(115)들을 전기적/기계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적층된 복수개의 양극판(110)들은 제1 리벳(152)에 의하여 상호 밀착되면서 제1 리벳(152)에 의하여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리벳(152)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 적어도 2 개가 양극판(110)의 양극 탭(115)들에 결합 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음극판(110)들의 사이에는 분리막(130) 및 양극판(110)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음극판(120)들은 상호 이격 되고 이로 인해 음극판(120)들의 음극 탭(125)들 역시 상호 이격 되어 있다.
리벳(150)은 상호 이격 된 음극판(120)들의 음극 탭(125)들을 상호 전기적/기계적으로 연결한다.
아하, 음극 탭(125)들을 전기적/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리벳(150)은 제2 리벳(154)으로서 정의되며, 제2 리벳(154)은 음극판(120)의 음극 탭(125)들의 관통홀(127)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음극 탭(125)들을 전기적/기계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적층된 복수개의 음극판(120)들은 제2 리벳(154)에 의하여 상호 밀착되며 제2 리벳(154)에 의하여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리벳(154)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 적어도 2 개가 음극판(120)의 음극 탭(125)들에 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양극판(110)의 양극 탭(115)를 연결하는 제1 리벳(152)의 길이는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모든 양극 탭(115)들의 전체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음극판(120)의 음극 탭(125)들을 연결하는 제2 리벳(154)의 길이는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모든 음극 탭(125)들의 전체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는 제1 및 제2 리벳(152,154)들의 길이가 양극 탭(115)들 및 음극 탭(125)들의 전체 두께보다 짧을 경우, 양극 탭(115) 및 음극 탭(125)들 중 일부가 제1 및 제2 리벳(152,154)들과 전기적/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리벳(152,154)들의 길이가 양극 탭(115) 및 음극 탭(125)들의 전체 두께보다 길게 형성될 경우, 제1 및 제2 리벳(152,154)들의 단부는 양극 탭(115) 및 음극 탭(125)들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제1 및 제2 리벳(152,154)들의 단부는 얇은 두께를 갖는 외장재(170)를 관통하거나 외장재(170)를 손상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절연 도막(160)은 양극 탭(115)을 관통한 제1 리벳(152)의 단부 및 음극 탭(125)을 관통한 제2 리벳(154)의 단부를 감싸 제1 리벳(152)의 상기 단부 및/또는 제2 리벳(154)의 상기 단부에 의하여 외장재(17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절연 도막(160)을 이루는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절연 도막(160)은 휘발성 용제에 의하여 녹은 후 휘발성 용제의 휘발에 의하여 경화되는 다양한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절연 도막(160)은 양극 탭(115)을 관통하여 돌출된 제1 리벳(152)의 단부 및 음극 탭(125)을 관통하여 돌출된 제2 리벳(152)의 단부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다.
절연 도막(160)은 제1 리벳(152)이 관통한 가장 바깥쪽 양극 탭(115) 및 제2 리벳(154)이 관통한 가장 바깥쪽 음극 탭(125)을 덮는 후박한 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절연 도막(160)은 제1 리벳(152)이 관통한 가장 바깥쪽 양극 탭(115) 및 제2 리벳(152)이 관통한 가장 바깥쪽 음극 탭(125)을 섬 형상으로 덮어도 무방하다.
양극 탭(115)의 측면 및 양극 탭(115)을 관통한 제1 리벳(152)을 덮는 절연 절연 도막(160) 중 양극 탭(115)의 제1 리벳(152)의 단부를 덮는 부분 및 음극 탭(125)의 제2 리벳(154)의 단부를 덮는 부분은 후박한 제1 두께(T1)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연 도막(160)의 제1 두께(T1)는 양극 탭(115)으로부터 돌출된 제1 리벳(152)의 돌출 길이 및 음극 탭(125)으로부터 돌출된 제2 리벳(154)의 돌출 길이보다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절연 도막(160) 중 음극 탭(115)의 측면을 덮는 부분 및 음극 탭(125)의 측면을 덮는 부분은 제1 두께(T1) 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절연 도막(160)은 휘발성 용제에 의하여 녹은 상태에서 양극 탭(115)의 측면 및 제1 리벳(152)의 단부 및 음극 탭(125)의 측면 및 제2 리벳(154)의 단부를 덮음으로써 제1 및 제2 리벳(152,154)들의 단부에 의하여 외장재(17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양극판 및 음극판을 결합하는 리벳을 절연 도막을 이용하여 감싸 리벳에 의한 외장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벳을 감싸 외장재의 손상을 방지하는 절연 도막은 휘발성 용제에 의하여 녹은 합성수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지 도포 자동화 설비에 의하여 자동화를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배터리 셀 110...양극판
120...음극판 130...분리막
140...외부 접속 단자 150...리벳
160...절연 도막 170...외장재

Claims (5)

  1. 복수매가 적층 되며 양극 탭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양극판들;
    상기 양극판들 사이에 개재되며 음극 탭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음극판들;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상기 양극 탭들을 관통하는 제1 리벳, 상기 음극 탭들을 관통하는 제2 리벳을 포함하는 리벳; 및
    상기 양극 탭 및 상기 음극 탭을 관통한 상기 제1 및 제2 리벳들의 단부를 덮는 절연 도막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도막은 상기 양극 탭 및 상기 음극 탭의 측면을 덮는 배터리 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도막 중 상기 제1 및 제2 리벳들을 덮는 부분은 제1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양극 탭 및 상기 음극 탭의 측면을 덮는 부분은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로 형성된 배터리 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도막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탭에 결합 된 제1 외부 접속 단자 및 상기 음극 탭에 결합 된 제2 외부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외부 접속 단자; 및
    상기 양극판들, 상기 음극판들 및 상기 절연 도막을 감싸는 외장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셀.

KR1020120029470A 2012-03-22 2012-03-22 배터리 셀 KR101327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470A KR101327767B1 (ko) 2012-03-22 2012-03-22 배터리 셀
PCT/KR2012/002262 WO2013141431A1 (ko) 2012-03-22 2012-03-28 배터리 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470A KR101327767B1 (ko) 2012-03-22 2012-03-22 배터리 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574A true KR20130107574A (ko) 2013-10-02
KR101327767B1 KR101327767B1 (ko) 2013-11-11

Family

ID=4963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470A KR101327767B1 (ko) 2012-03-22 2012-03-22 배터리 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7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3930A1 (de) * 2017-06-20 2018-12-27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CN112602230A (zh) * 2018-08-22 2021-04-02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用于超薄电池单元连接的折叠接线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643A (ko) * 2004-10-15 2006-04-19 주식회사 에너랜드 리벳에 의해 전극탭과 리드선이 접합되는 적층형리튬이차전지의 전극탭 처리방법
US8974952B2 (en) * 2009-10-13 2015-03-10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107082B1 (ko) 2009-11-24 2012-01-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153957B1 (ko) * 2010-07-13 2012-06-08 (주)열린기술 이차전지용 전극탭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3930A1 (de) * 2017-06-20 2018-12-27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CN112602230A (zh) * 2018-08-22 2021-04-02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用于超薄电池单元连接的折叠接线片
CN112602230B (zh) * 2018-08-22 2023-11-07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用于超薄电池单元连接的折叠接线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767B1 (ko) 201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304B1 (ko)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3828B1 (ko)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조립체들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기화학소자
KR101264527B1 (ko) 파우치형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10056577B2 (en) Battery cell of novel structure
KR102434771B1 (ko) 배터리 팩
KR101264430B1 (ko) 이차전지의 파우치
KR102030111B1 (ko) 배터리 팩
EP2963702B1 (en) Secondary battery
US10811721B2 (en) Accumulator device
US10686165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05609693B (zh) 电极组件以及具有该电极组件的电池包
KR102222111B1 (ko) 이차 전지
KR20130053000A (ko) 이차전지 팩
KR101749729B1 (ko) 이차전지
KR20150115358A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160092748A (ko) 이차 전지
EP3021382A1 (en) Secondary battery
KR101327767B1 (ko) 배터리 셀
EP2985809A1 (en) Battery pack
KR101327765B1 (ko) 배터리 셀
KR101327771B1 (ko) 배터리 셀
US9240582B2 (en) Battery pack
KR20170014476A (ko) 원형 전극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KR101792578B1 (ko) 변형된 형태의 리드 필름을 포함하는 전지셀
KR101327770B1 (ko) 배터리 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