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078A -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및 치료방법 - Google Patents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및 치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078A
KR20130107078A KR1020120028885A KR20120028885A KR20130107078A KR 20130107078 A KR20130107078 A KR 20130107078A KR 1020120028885 A KR1020120028885 A KR 1020120028885A KR 20120028885 A KR20120028885 A KR 20120028885A KR 20130107078 A KR20130107078 A KR 20130107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tal reflection
biophotons
total
incident
biopho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9955B1 (ko
Inventor
황화수
Original Assignee
황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화수 filed Critical 황화수
Priority to KR1020120028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95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07Arrangements or means for the introduction of sources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85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articles applied to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생물광자의 전반사가 가능한 전반사체를 구비하는 치료도구를 전반사체의 입사면이 환부에 밀착되도록 환부에 근접시키는 단순한 조작만을 이용하여 환부로부터 발산되는 생물광자를 다시 환부 쪽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한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및 치료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및 치료방법 {a medical treatment tools using a bio photon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생물광자를 이용하여 환부의 증상 호전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된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혈을 자극하는 한방치료나 통상의 물리치료 과정에서는 원적외선이나 적외선 레이저와 같은 광파를 이용하여 치료효과를 높이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적외선램프를 구동시켜 환부로 적외선을 조사하거나 원적외선 물질에 열을 가하여 원적외선 물질이 환부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광파를 인체에 인위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광파를 이용한 치료과정에서는 전원과 같은 외부에너지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전원을 이용하는 광파 치료도구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환자가 자체적으로 사용하는데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또 원적외선이나 적외선 등이 전반적으로는 환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위적으로 가해지는 광파의 경우 인체 협응성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환자에 따라서는 치료 개선효과가 미흡하거나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인체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생물광자를 이용하여 치유효과를 높이는 것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생물광자의 경우 인체에서 자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어서 다른 광파에 비해 인체 협응성 및 이에 따른 환분 증상 호전 효과에 있어서 더욱 탁월할 뿐만 아니라 전원 등의 에너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보다 경제적이며 간편한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종래에는 생물광자의 강도 및 분포 등을 측정하여 인체의 건강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기구들 정도만 개발되어 있을 뿐, 생물광자를 이용한 환부의 증상호전 효과를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는 치료도구나 치료방법이 나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생물광자를 이용한 환부의 증상 호전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및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는 증상의 호전을 위해 인체에서 발생하는 생물광자를 인체 쪽으로 전반사시켜 회수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재질의 전반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반사체는 생물광자가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생물광자를 상기 입사면 쪽으로 전반사시키는 전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사면은 볼록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반사체 표면에는 상기 전반사체보다 밀도가 낮은 소재의 코팅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반사체는 실리콘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반사체는 복수개가 상기 입사면이 동일평면에 위치하도록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전반사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전반사체 사이를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투과가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입사면 쪽 상기 전반사조립체에 부착되는 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반사조립체와 천부재를 통해 이루어진 원단이 의복형태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생물광자를 인체 쪽으로 다시 전반사시켜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해 생물광자의 입사를 위한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생물광자를 상기 입사면 쪽으로 전반사시키는 전반사면을 포함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전반사체를 상기 입사면이 인체의 피부를 향하도록 인체에 근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반사체 복수개를 입사면이 동일평면에 위치되도록 신축 가능한 연결부로 연결하여 전반사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입사면 쪽 전반시트에 광투과가 가능한 천부재를 부착시켜 원단을 형성하며, 상기 원단을 상기 천부재가 안감을 형성하는 의복으로 가공하여 인체에 착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및 치료방법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물로 마련되는 치료도구를 인체 환부에 밀착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생물광자를 인체 쪽으로 회수되도록 전반사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이면서도 인체 협응력이 높은 생물광자를 이용하여 환부의 증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호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개별 전반사체에 의한 생물광자의 전반사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반사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의 치료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전반사체에 의한 생물광자의 전반사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및 치료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는 환부의 증상 호전을 위해 인체에서 발생하는 생물광자(bio photon)를 인체 쪽으로 전반사시키도록 마련된 것으로, 생물광자의 전반사를 위해 광투과성 재질로 마련된 전반사체(10)를 구비한다.
전반사체(10)는 생물광자의 입사를 위한 입사면(11)과, 입사면(11)을 통해 입사된 생물광자를 입사면(11) 쪽으로 전반사시키는 전반사면(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전반사체(10)를 이용하여 인체의 환부(a)를 치료할 때는 입사면(11)이 환부(a)를 향하도록 전반사체(10)를 인체에 밀착되게 근접시켜 인체로부터 발생하여 인체 외부로 발산되는 생물광자를 인체 쪽으로 회수되도록 전반사시킴으로써 생물광자에 의한 환부 치유 효과를 높이게 된다. 도면에서 절곡 연장된 화살표는 생물광자의 전반사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전반사체(10)의 재질은 유리나 피브이시(PVC) 아크릴 등 광투과가 가능한 다양한 재질이 될 수 있으며, 비용 및 인체 접촉감을 고려했을 때 전반사체(10)는 실리콘과 같이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유연하고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반사를 유도하기 위한 입사면(11)과 전반사면(12)의 각도는 전반사체(10)를 형성하는 재질의 굴절율에 스넬의 법칙(Snell's Law)을 적용하여 계산함으로써 전반사체(10)의 재질에 따라 그 값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입사면(11)의 경우에는 전반사된 생물광자의 초점거리가 길어지도록 하면서도 광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볼록렌즈형태의 볼록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반사체(10)의 형태가 정해진 상태에서도 입사면(11)과 전반사면(12)의 각도는 전반사체(10) 표면에 전반사체(10) 재질보다 밀도가 낮은 소재를 코팅하여 얻어지는 코팅층의 형태를 통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생물광자의 전반사 작용을 감안하여 코팅층의 밀도는 대기 등의 외부 환경보다는 밀도가 더 높은 재질이 되어야 한다.
생물광자의 전반사가 가능하도록 입사면(11)과 전반사면(12)을 구비하는 범위 내에서 전반사체(10)의 형태는 원뿔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면체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반사체(100,200,300)의 구조를 도시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전반사체(100,200,300)는 사각뿔과 같은 각뿔이나 각뿔대 또는 장방형의 구조체 형태 등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로는 개별 전반사체(10)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복수의 전반사체(1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조립체 형태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전반사체(10)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이때는 복수개의 전반사체(10) 사이를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입사면(11)이 동일평면에 위치하도록 연결부(20)를 통해 일체로 연결하여 전반사조립체(1)를 형성하고, 이러한 전반사조립체(1)를 각 전반사체(10)의 입사면(11)이 환부에 밀착되도록 환부(a)를 덮어 환부(a)의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전반사조립체(1)는 복수개의 전반사체(10)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넓게 분포되고 연결부(20)가 격자 형태를 이루며 각 전반사체(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등이나 배와 같이 넓은 면적의 환부(a)를 덮어 치료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이때 전반사체(10)와 연결부(20)로 둘러싸인 공간은 관통된 구멍(30)을 형성하여 전반사조립체(1)로 덮여진 환부(a)의 공기소통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 치료 과정에서 환부(a)에 땀 등이 차게 되는 불편함을 예방하게 된다.
팔과 같이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부위의 환부에 적용하기 접하도록 전반사조립체(1)는 전반사체(10)가 일방향으로 배치되고 연결부(20)가 전반사체(10) 사이를 직선 형태로 연결한 띠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반사조립체(1)는 전반사체(10)가 원이나 곡선형태로 배열된 구조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20)는 각 전반사체(10)의 입사면(10) 쪽 전사반사면(12)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연결부(20)는 생물광자의 전반사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입사면(11) 반대쪽이 되는 각 전반사체(10)의 상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겠다. 그리고 각 전반사체(10)의 입사면(11) 쪽 전반사면(12) 사이를 연결하게 될 경우 연결부(20)는 생물광자의 전반사 작용에 간섭되지 않도록 0.5mm ~ 2 mm 사이의 얇은 범위 내의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생물광자는 인체 부위별로 조금씩 다른 특질을 보유하게 되므로, 생물광자를 인체로 전반사시킬 때는 생물광자를 조금이라도 발산된 부위에 인접하도록 전반사시키는 것이 생물광자와 환부의 협응성을 높이는데 유리하게 된다.
따라서 인체 부위별 생물광자의 특질과 생물광자의 원활한 전반사 효율을 고려했을 때, 각 전반사체(10) 입사면의 지름크기(t1)는 0.5 mm ~ 10mm 범위 내로 제한하는 것이 인접 부위의 생물광자를 효과적으로 배제한 상태로 생물광자의 전반사 면적을 설정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그리고 전반사체(10)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게 될 경우에는 전반사되는 생물광자 사이에 간섭현상이 우려될 수 있고 전반사체(10)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클 경우에는 전반사되지 않고 외부로 방출되는 생물광자의 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전반사체(10) 사이의 간격(t2)은 생물광자 간의 간섭현상과 생물광자의 적절한 전반사량을 고려하여 0.5mm ~ 4mm 범위 내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결부(20)는 무릎과 같이 곡면을 이루는 환부를 전반사조립체(1)가 덮게 된 상태에서도 각 전반사체(10) 입사면(11)이 직교상태로 환부에 밀착될 수 있게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을 통해 마련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연결부(20)와 전반사체(10)를 모두 실리콘으로 형성할 수 있는 전반사조립체(1)는 사출금형 등을 이용하여 한 번에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의 구조가 도시된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는 입사면(11) 쪽 전반사조립체(1)에 부착되는 천부재(2)를 더 구비하는 원단이나 이 원단을 통해 가공된 의복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이용편리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전반사조립체(1)로 환부를 덮어 치료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움직이게 되면, 전반사조립체(1)가 환부로부터 분리되거나 정위치에서 쉽게 이탈될 우려가 생긴다.
따라서 전반사조립체(1)를 이용한 치료과정에서는 전반사조립체(1)를 테이프 등으로 환부(a)에 고정시키는 것이 좋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일상생활 중에 전반사조립체(1)를 이용하여 쉽게 치료를 받을 수 없게 되는데, 전반사조립체(1)에 천부재(2)를 대어 형성된 원단을 의복 형태로 가공한 치료도구를 이용하게 되면, 치료도구를 의복과 같이 착용할 수 있어 치료도구를 별도로 고정시키지 않고서도 활동이 자유롭게 되어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작용을 일상생활 중에도 마음껏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의복 형태의 치료도구는 도 8에 도시된 모자 이외에도 양말, 장갑, 상의, 하의, 토시 등은 물론 운동시 손목 등에 착용하는 보호밴드 형태의 것을 모두 포함하게 되며, 의복은 전반사체(10)의 입사면(11) 쪽에 부착되는 천부재(2)가 피부에 접촉되는 안감을 형성하도록 가공된다. 따라서 천부재(2)는 생물광자가 입사면(11)으로 입사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광투과가 용이하고 얇으며 통기성이 양호한 재질의 천을 통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도구는 의복의 겉감을 형성하는 외피(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는 전반사조립체(1)가 천부재(2)와 외피(3) 사이에 가려지게 되어 전반사조립체(1)의 노출로 인해 의복이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천부재(2)나 외피(3)가 전반사체(10)와 접착제 등을 통해 접착될 경우에는 접착제를 통해 생물광자의 전반사가 저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천부재(2)나 외피(3)는 연결부(20) 쪽을 이용한 박음질 작업 등을 통해 전반사조립체(1)에 부착되는 것이 좋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b는 전반사조립체(1)와 천부재(2)를 연결하는 박음질선을 가리킨다.
1: 전반사조립체 2: 천부재
3: 외피 10: 전반사체
11: 입사면 12: 전반사면
20: 연결부

Claims (10)

  1. 증상의 호전을 위해 인체에서 발생하는 생물광자를 인체 쪽으로 전반사시켜 회수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재질의 전반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반사체는 생물광자가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생물광자를 상기 입사면 쪽으로 전반사시키는 전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은 볼록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체 표면에는 상기 전반사체보다 밀도가 낮은 소재의 코팅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체는 실리콘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체는 복수개가 상기 입사면이 동일평면에 위치하도록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전반사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전반사체 사이를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7. 제 6항에 있어서,
    광투과가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입사면 쪽 상기 전반사조립체에 부착되는 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조립체와 천부재를 통해 이루어진 원단이 의복형태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9.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생물광자를 인체 쪽으로 다시 전반사시켜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해 생물광자의 입사를 위한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생물광자를 상기 입사면 쪽으로 전반사시키는 전반사면을 포함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전반사체를 상기 입사면이 인체의 피부를 향하도록 인체에 근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체 복수개를 입사면이 동일평면에 위치되도록 신축 가능한 연결부로 연결하여 전반사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입사면 쪽 전반시트에 광투과가 가능한 천부재를 부착시켜 원단을 형성하며, 상기 원단을 상기 천부재가 안감을 형성하는 의복으로 가공하여 인체에 착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방법.
KR1020120028885A 2012-03-21 2012-03-21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KR101369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885A KR101369955B1 (ko) 2012-03-21 2012-03-21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885A KR101369955B1 (ko) 2012-03-21 2012-03-21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078A true KR20130107078A (ko) 2013-10-01
KR101369955B1 KR101369955B1 (ko) 2014-03-06

Family

ID=4963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885A KR101369955B1 (ko) 2012-03-21 2012-03-21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95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649B1 (ko) * 2004-07-06 2005-03-14 김영대 복근강화기구
JP4488851B2 (ja) * 2004-09-17 2010-06-23 益充 須田 皮膚添着用癒し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955B1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38120A1 (en) Radiation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US8246666B2 (en) Phototherapy garment
AU593599B2 (en) Light rays radiation cloth for medical treatment
JP5199888B2 (ja) 体カバー、眼鏡および/または少なくとも部分的なヘッド・カバー、人体の少なくとも一部を放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体カバーの使用法
WO2014030856A1 (ko) 피부치료용 광 조사기
US20070208395A1 (en) Phototherap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Phototherapy to a Body Surface
TWI268787B (en) Light therapeutic device
WO2018205712A1 (zh) 可穿戴装置及其制造方法和可穿戴设备
JPWO2013027384A1 (ja) 光治療装置
KR101333741B1 (ko) 미용 마스크 장치
KR101369955B1 (ko)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CN106474629B (zh) 一种光疗设备
WO2020024328A1 (zh) 一种导光装置、激光服饰材料以及治疗服饰
KR20070026956A (ko) 근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을 이용한 유방암의 치료기
CN206660316U (zh) 用于抗腰椎腰肌损伤的柔性可穿戴式光疗仪
JPWO2019208177A1 (ja) 光照射装置、及び光照射方法
KR20020088317A (ko) 방사 전달 방법 및 장치
US11931596B2 (en) Phototherapy device
CN220369761U (zh) 一种坐垫
TWM621623U (zh) 光敷面膜結構
CN209714012U (zh) 一种用于口腔的牙弓型医疗仪器
CN215415985U (zh) 一种节约能源的导光板及具有其的嫩肤仪
KR102574702B1 (ko) 두피 관리용 장치
CN211301788U (zh) 一种多功能光子理疗贴
NL2026334B1 (en) Light therap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