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649B1 - 복근강화기구 - Google Patents

복근강화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649B1
KR100473649B1 KR1020040052323A KR20040052323A KR100473649B1 KR 100473649 B1 KR100473649 B1 KR 100473649B1 KR 1020040052323 A KR1020040052323 A KR 1020040052323A KR 20040052323 A KR20040052323 A KR 20040052323A KR 100473649 B1 KR100473649 B1 KR 100473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dominal
abdomen
magnet
muscle strengthening
strengthen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김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1020040052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18Trunk or parts thereof
    • A61F2007/0022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7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combined with magnet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근강화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는 누워있는 사람의 복부위에 올려지며 그 내부에는 복부를 누르는 하나 이상의 중량판이 구비되고, 상기 중량판의 하부에는 복부에 자기력을 가하는 자석이 장착되어 있는 복부가압부와; 상기 복부가압부의 양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양옆구리를 커버하며 각각의 저면에는 옆구리에 자기력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어 있는 옆구리가압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복근강화기구는, 복근을 두껍고 탄력 있게 하여 복벽의 지탱력을 강화함은 물론 복부근육 주변에 있는 지방층이 자연스럽게 연소되어 없어지게 함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단시간에 복부의 비만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그 저면에 다수의 자석을 배열하여 자석의 자기력이 복부를 넓게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내장을 통과하는 기혈의 흐름이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른바 대체의학으로 알려진 자기(磁氣)치료를 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근강화기구{Abdominal muscles strengthening device}
본 발명은 복근강화기구에 관한 것이다.
불규칙한 식사와 과로 운동부족 등을 포함한 여러 이유로 현대인은 각종 성인병에 시달리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성인병의 대부분은 비만으로부터 비롯되므로 비만을 없애기 위한 다양한 운동이나 운동기구등이 제안되고 있다.
사람의 몸에서 비만이 제일 먼저 시작되는 부위는 복부이다. 사람의 복부는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복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복근이 얇아져 탄력을 잃고 약해지면 위장과 소장 및 대장이 확장되어 음식을 많이 먹어도 포만감을 느끼지 못하여 식후에도 군것질을 자주 하게 된다. 잦은 군것질이 복부비만을 일으키고 이는 부분비반을 거쳐 전신비만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비만의 문제 이외에도 복근이 약해지면 복벽의 지탱력이 약해져 내장기관이 하부로 쳐지게 되고 소장과 대장 방광 자궁 등이 눌려 기혈의 흐름이 불량해지며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질병을 얻게 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복부근육을 탄력 있고 두껍게 단련시키면 자연스럽고 부작용 없이 해결할 수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복근을 두껍고 탄력 있게 만들기 위한 대부분의 운동(예컨대 윗몸일으키기)은 복부 근육 자체를 직접 단련시키기보다 다른 부위의 근육을 단련시켜서 복근을 강화시키는 간접 운동방식이다. 이러한 운동은 오랜 시간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계속하여야 하고 그나마 효과도 미미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은 운동을 중도에 포기해 결국 복근 강화에 실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복근을 두껍고 탄력 있게 하여 복벽의 지탱력을 강화함은 물론 복부근육 주변에 있는 지방층이 자연스럽게 연소되어 없어지게 함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단시간에 복부의 비만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그 저면에 다수의 자석을 배열하여 자석의 자기력이 복부를 넓게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내장을 통과하는 기혈의 흐름이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른바 대체의학으로 알려진 자기(磁氣)치료를 겸할 수 있는 복근강화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누워있는 사람의 복부위에 올려지며 그 내부에는 복부를 누르는 하나 이상의 중량판이 구비되고, 상기 중량판의 하부에는 복부에 자기력을 가하는 자석이 장착되어 있는 복부가압부와; 상기 복부가압부의 양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양옆구리를 커버하며 각각의 저면에는 옆구리에 자기력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어 있는 옆구리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부가압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의 복부를 향하는 극성(極性)과 옆구리가압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의 옆구리를 향하는 극성은 상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복부가압부에 구비되는 자석의 복부를 향하는 극성은 N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부가압부의 상부에는 복부가압부의 상부에 추가적으로 올려져 복부가압부의 무게를 더 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중량판과 자석을 내장하는 스피드팩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스피드팩내에 구비되는 자석은 복부가압부에 장착되어 있는 자석의 극성과 같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자석의 저면에는 몸으로부터 외부로 발산하는 생체에너지의 일부를 반사하여 다시 몸속으로 되돌려 보내는 반사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부가압부의 복부를 향하는 저면은 볼록한 복부의 형상에 형합하도록 오목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부가압부의 내부에는 외부의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면상발열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근강화기구는 상기 옆구리가압부에는 옆구리가압부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중량블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복부가압부는 원판의 형태를 취하며 사용시 그 외주면의 사용자의 명치부위에 접하는 부위는 만곡되어 곡면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부가압부와 옆구리가압부의 연결부에는 골반에 의해 사용자의 허벅지와 복부 사이에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근강화기구의 사시도로서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피드팩도 같이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근강화기구(11)는, 대략 원판의 형태를 취하며 사용자의 복부 중앙에 올려지는 복부가압부(15)와, 상기 복부가압부(15)의 양측부에 위치하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의 옆구리를 커버하는 옆구리가압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부가압부(15)와 옆구리가압부(17)는 합성수지의 하나인 발포우레탄으로 성형하며 일체를 이룬다. 또한 도 2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복부가압부(15)의 내부에는 다수의 디스크형 중량판(도 2의 29)과 면상발열체(31)가 밀폐 수용되고, 복부가압부(15)와 옆구리가압부(17)의 저면에는 다수의 자석(41a,41b)이 구비된다.
상기 복부가압부(15)의 상부에는 스피드팩(19)을 안착시킬 수 있는 좌대(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좌대(21)는 복부가압부(15) 상에 스피드팩(19)을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으로서 측벽(23)을 갖는다. 상기 측벽(23)은 복부가압부(15)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한 것으로서 스피드팩(19)의 외주면을 내측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좌대(21)의 바닥면 이기도한 복부가압부(11)의 상면에는 동심을 갖는 두 개의 지지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홈(21a)은 스피드팩(19) 저면에 돌출되어 있는 삽입돌기(도 2의 19b)를 수용하는 홈이다.
상기 스피드팩(19)은 복부가압부(15)가 누르는 무게가 적을 때 올리는 추가웨이트이다. 상기 스피드팩(19)은 원판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좌대(21)에 올려져 복부를 더욱 무겁게 누른다. 상기 스피드팩(19)은 다수개 구비하여 원하는 개수만큼 적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복근강화기구(11)에는 복근강화기구(11)가 사용자의 체형에 보다 편안하게 맞도록 곡면부(27)와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곡면부(27)는 복부가압부(15)의 외주면 중 사용자의 명치부위(도 4의 B)에 닿는 부위를 부드럽게 만곡 형성한 부위이다. 이와같이 곡면부(27)를 형성해 놓음으로써 복부가압부(15)가 아무리 많이 하강하더라도 명치부위(B)가 찔릴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홈(25)은 복부가압부(15)와 옆구리가압부(17)의 연결부의 일측에 폭방향 외측으로 개방한 홈이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골반에 의해 사용자의 허벅지와 복부 사이에 돌출되는 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한 여유홈이다. 상기 홈(25)이 없다면 허벅지 상부의 돌출된 부위가 복부가압부(15)와 옆구리가압부(17)의 모서리 부위에 닿아 아프다.
도 2는 상기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복부가압부(15)의 내부에 세 개의 디스크형 중량판(29)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중량판(29)은 강자성을 갖는 금속판으로서 예컨대 철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강자성을 갖는 한에 있어서 철판 이외의 다른 재질로 제작할 수 도 있다.
상기 중량판(29)의 상부에는 원판형 자석(71)이 설치된다. 상기 자석은 후술할 자석(41a)의 자기력을 보강하기 위한 기본목적을 가지는 것으로서 위쪽이 S극 아래쪽이 N극을 갖는다. 경우에 따라 상기 자석(71)을 설치하지 않을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중량판(29)의 사이에는 한 장의 면상발열체(31)가 구비된다. 상기 면상발열체(31)는 접속소켓(33)을 통해 외부의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고 중량판(29)을 가열한다. 상기 면상발열체(31)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39)에는 상기 접속소켓(33)에 끼워지는 플러그(35)와, 전력량을 조절하기 위한 통사의 온도조절기(37)가 구비된다.
상기 중량판(29)의 하부에는 다수의 자석(41a)이 구비된다. 상기 자석(41a)은 원통형 자석으로서 위쪽이 S극 아래쪽이 N극이 되도록 고정된다. 알려진 자기의학(磁氣醫學)적 이론에 의하면 N극의 자기력은 혈류를 왕성하게 하고 진통을 완화하며 염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도시한 바와같이 자석(41a)의 N극이 복부를 향하도록 배열시킴으로서 복부 내부의 혈행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 자석(41a)의 저면에는 반사판(51)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판(51)은 일정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시트로서 자석(41a)의 저면에 접착 고정된다. 상기 반사판(51)은 도 6을 통해 설명하는 바와같이 몸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생체에너지를 반사하여 다시 몸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부가압부(15) 저면의 복부에 밀착하는 밀착면(49)은 오목한 형상을 취한다. 이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복부에 밀착면(49)의 보다 넓은 면적이 밀착할 수 있도록 감안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밀착면(49)에는 다수의 자극돌기(47)가 형성된다. 상기 자극돌기(47)는 밀착면(49)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돌기로서 복부의 경혈이나 경락을 자극한다.
한편, 상기 양측의 옆구리가압부(17)의 저면에도 다수의 자석(41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자석(41b)은 사용자의 옆구리부 내부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옆구리를 향하는 하측부가 S극이고 상부가 N극이다. S극의 자기력은 소염과 혈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같이 옆구리가압부(17)에 위치한 자석(41b)의 하측부에 S극을 위치시킨 것은 도 5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부가압부(15)의 하부로 가해지는 N극의 자기력을 양측으로 당겨 펼침으로서 자기장이 몸속을 보다 넓게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옆구리가압부(17)에 구비된 자석(41b)의 저면에도 반사판(51)이 부착된다.
상기 스피드팩(19)은 중앙부가 비어있는 디스크형 중량판(19c)과, 상기 중량판(19c)의 중앙 구멍에 끼워지는 자석(19d)과, 상기 중량판(19c) 및 자석(19d)을 밀폐 내장하는 합성수지 케이스(19e)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피드팩(19)은 복부가압부(15)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그 사용 및 사용갯수가 결정된다. 특히 상기 자석(19d)의 극성은 복부가압부(15) 저면에 구비된 자석(41a)의 극성과 같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각 케이스(19e)의 상면에는 지지홈(19a)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지지홈(19a 또는 21a)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좌대(21)위에 스피드팩(19)을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1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복부가압부(15)의 외주면 하측부에 상기한 곡면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곡면부(27)를 형성하지 않는다면 복부가압부(15)의 외주면 하측 모서리 부위가 명치부위를 찔러 복근강화기구(11)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복근강화기구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A)의 복부위에 본 실시예의 복근강화기구(11)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복근강화기구(11)는 중앙의 복부가압부(15)로 복부의 중앙부를 누르고 옆구리가압부(17)로 양쪽 옆구리를 커버하며 누른다. 이 상태로 사용자는 호흡에 맞추어 복근을 이용하여 복근강화기구(11)를 승강시키며 복근을 강화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곡면부(27)의 하부에 명치부(B)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명치부(B)는 호흡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니므로 복부가압부(15)가 하강할 때 곡면부(27)에 닿는다. 또한 상기 홈(25)에는 골반에 의해 사용자의 허벅지와 복부 사이에 돌출된 부위가 수용되어 있다.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복근강화기구가 제공하는 자기력의 분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복부가압부(15)의 저면에 구비된 모든 자석(41a)들의 극성은 N극이 하부(복부방향)를 향하고, 양측의 옆구리가압부(17)에 구비된 모든 자석(41b)들의 극성은 S극이 하부(옆구리방향)를 향한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같이, 복부가압부(15)의 하부로 가해지는 N극의 자기력은 S극 측으로 당겨져 퍼지며 사용자의 몸통을 전체적으로 넓게 관통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자기요법적 효과를 상승시킴은 물론 지방질 연소효과를 배가한다.
본 출원인은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35세 내지 45세의 중년여성 60명을 대상으로 P대학의 도움을 받아 상기한 자석 배치를 갖는 복근강화기구와 그렇지 않은 복근강화기구를 이용한 체지방 감소실험을 하였다.
비교 실험을 위하여, 자석이 복부가압부에만 설치되고 옆구리가압부에는 설치되지 않은 타입의 강화기구를 사용한 군(群)을 A그룹이라 하고, 자석이 복부가압부 및 옆구리가압부에 모두 설치되되 자석의 N극이 모두 복부쪽으로 향하게 설치된 타입의 강화기구를 사용한 군을 B그룹이라 하고, 자석이 복부가압부 및 옆구리가압부에 모두 설치되되 복부가압부에 설치된 자석의 N극과 옆구리가압부에 설치된 자석의 S극이 모두 복부를 향하도록 설치된 타입의 것(본원 발명에 따른 복근강화기구)을 사용한 군을 C그룹이라 정하고, 각 그룹이 각자의 강화기구를 8주간 사용한 결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 표와 같은 데이터를 얻었다.
<표>
체지방 감소실험 결과 (단위 %fat)
측정시점 A그룹 B그룹 C그룹
사용 전 35.10±4.94 32.12±6.76 32.58±3.81
8주 사용 후 34.04±4.35 30.17±2.41 29.44±3.18
전후비교 -1.06 -1.95 -3.14
상기 표에 나타나 있듯이 C 그룹을 구성하는 사람들 즉 본원발명의 복근강화기구를 사용한 사람들의 체지방 감소율이 가장 큼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근강화기구에 장착되는 반사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두께를 갖는 반사판(51)이 자석(41a,41b)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반사판(51)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금속판으로서 자석(41a,41b)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몸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생체에너지(R)를 반사하여 몸으로 다시 되돌려 보낸다. 이와같이 복근강화기구(11)를 사용하는 동안 생체에너지의 방출을 억제함으로서 운동의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판(51)의 저면에는 미감을 고려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우레탄코팅 또는 PVC코팅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근강화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절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리키며 그에 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복근강화기구(11)의 양쪽 옆구리가압부(17)에 중량블록(45)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중량블록(45)은 상기한 중량판(도 2의 29)과 마찬가지로 복근강화기구를 성형할 때 내부에 밀폐된다.
상기 중량블록(45)은 강자성 금속블록으로서 옆구리가압부(17)의 상면에 위치하여 옆구리가압부(17)가 사용자의 옆구리를 보다 강하게 가압하도록 무게를 제공한다. 상기 중량블록(45)은 철(鐵)로 제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근강화기구을 뒤집어 그 저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복부가압부(15)와 옆구리가압부(17)의 저면에 다수의 반사판(51)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각 반사판(51)의 뒤쪽에 자석(41a,41b)이 위치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부호 47은 상기한 자극돌기이다.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복근강화기구의 다른 예를 부분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양쪽 옆구리가압부(17)에 구비되는 자석(41b)이 옆구리가압부(17)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자석(41b)이 돌출되게 함으로써 자석이 본래의 목적을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옆구리를 깊이 눌러 자극을 줄 수 있다.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한 복근강화기구의 사용예를 자기력의 분포곡선과 함께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자(A)의 복부위에 복근강화기구(11)가 올려져 있다. 또한 상기 복근강화기구(11)의 저면에 분포되는 자석(41a,41b)의 자기력선은 도 5에 설명한 바와같이 N극과 S극이 상호 당기는 패턴을 가져 넓게 퍼지며 몸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통과한다.
아울러 상기 옆구리가압부(17)의 저면에 돌출되어 있는 자석(41b)이 중량블록(45)의 무게에 의해 눌려 사용자의 옆구리를 가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자석(41b)이 옆구리측으로 보다 깊이 들어가 자기력을 제공하므로 상기한 자기력의 효과가 그만큼 더 높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복근강화기구는, 복근을 두껍고 탄력 있게 하여 복벽의 지탱력을 강화함은 물론 복부근육 주변에 있는 지방층이 자연스럽게 연소되어 없어지게 함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단시간에 복부의 비만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그 저면에 다수의 자석을 배열하여 자석의 자기력이 복부를 넓게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내장을 통과하는 기혈의 흐름이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른바 대체의학으로 알려진 자기(磁氣)치료를 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근강화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복근강화기구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복근강화기구가 제공하는 자기력의 분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근강화기구에 장착되는 반사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근강화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근강화기구을 뒤집어 그 저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복근강화기구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복근강화기구가 제공하는 자기력의 분포 특성을 나타내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복근강화기구 15:복부가압부
17:옆구리가압부 19:스피드팩(speed pack)
19a:지지홈 19b:삽입돌기
19c:중량판 19d:자석
19e:케이스 21:좌대
21a:지지홈 23:측벽
25:홈 27:곡면부
29:중량판 31:면상발열체
33:접속소켓 35:플러그
37:온도조절기 39:전력선
41a,41b,71:자석 45:중량블록
47:자극돌기 49:밀착면
51:반사판

Claims (10)

  1. 누워있는 사람의 복부위에 올려지며 그 내부에는 복부를 누르는 하나 이상의 중량판이 구비되고, 상기 중량판의 하부에는 복부에 자기력을 가하는 자석이 장착되어 있는 복부가압부와;
    상기 복부가압부의 양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양옆구리를 커버하며 각각의 저면에는 옆구리에 자기력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어 있는 옆구리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부가압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의 복부를 향하는 극성(極性)과 옆구리가압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의 옆구리를 향하는 극성은 상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강화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가압부에 구비되는 자석의 복부를 향하는 극성은 N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강화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가압부의 상부에는 복부가압부의 상부에 추가적으로 올려져 복부가압부의 무게를 더 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중량판과 자석을 내장하는 스피드팩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스피드팩내에 구비되는 자석은 복부가압부에 장착되어 있는 자석의 극성과 같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강화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자석의 저면에는 몸으로부터 외부로 발산하는 생체에너지의 일부를 반사하여 다시 몸속으로 되돌려 보내는 반사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강화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가압부의 복부를 향하는 저면은 볼록한 복부의 형상에 형합하도록 오목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강화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가압부의 내부에는 외부의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면상발열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강화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옆구리가압부에는 옆구리가압부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중량블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강화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가압부는 원판의 형태를 취하며 사용시 그 외주면의 사용자의 명치부위에 접하는 부위는 만곡되어 곡면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강화기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가압부와 옆구리가압부의 연결부에는 골반에 의해 사용자의 허벅지와 복부 사이에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강화기구.
KR1020040052323A 2004-07-06 2004-07-06 복근강화기구 KR100473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323A KR100473649B1 (ko) 2004-07-06 2004-07-06 복근강화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323A KR100473649B1 (ko) 2004-07-06 2004-07-06 복근강화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3649B1 true KR100473649B1 (ko) 2005-03-14

Family

ID=3722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323A KR100473649B1 (ko) 2004-07-06 2004-07-06 복근강화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6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135B1 (ko) 2007-03-12 2008-03-17 김경준 히터 내장형 덤벨
KR101369955B1 (ko) * 2012-03-21 2014-03-06 황화수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135B1 (ko) 2007-03-12 2008-03-17 김경준 히터 내장형 덤벨
KR101369955B1 (ko) * 2012-03-21 2014-03-06 황화수 생물광자를 이용한 치료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2709B2 (en) Magnetic therapeutic pad for a human spine
US7097602B1 (en) Abdominal exerciser
CN2936239Y (zh) 腰椎治疗仪
KR100473649B1 (ko) 복근강화기구
KR20100086240A (ko) 고주파 심부 온열치료기
JP3750997B2 (ja) 腹部筋肉運動器
CN213788758U (zh) 一种指压按摩枕
WO2000078265A1 (en) Massage apparatus cum exercise mat
US200201693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rol of appetite
RU8212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ятия боли в мышцах
KR100576771B1 (ko) 복근강화기구
JP2006271906A (ja) 背面つぼ押圧機
US7101345B1 (en) Finger acupressure apparatus
CN215135471U (zh) 一种头枕式失眠仪
CN215192701U (zh) 腰椎舒缓器
CN202775467U (zh) 一种符合生理造型的磁疗枕
CN207678944U (zh) 磁疗按摩鞋垫
CN109172255A (zh) 一种具有自动摇晃和多种中医疗养康复功能的座椅
CN103948213A (zh) 一种保健鞋垫
KR200293154Y1 (ko) 비만치료용 이침구
CN209187159U (zh) 老年人专用暖脚器
CN203913624U (zh) 一种保健鞋垫
CN213666079U (zh) 具可调式结构的热敷袋
CN210961321U (zh) 一种加热按摩可调节的乳胶低枕头
CN209865045U (zh) 一种旋磁理疗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