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369A - Ultraviolet curable ink receptive layer for color filter, and method of producing color filter - Google Patents

Ultraviolet curable ink receptive layer for color filter, and method of producing color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369A
KR20130105369A KR1020130021120A KR20130021120A KR20130105369A KR 20130105369 A KR20130105369 A KR 20130105369A KR 1020130021120 A KR1020130021120 A KR 1020130021120A KR 20130021120 A KR20130021120 A KR 20130021120A KR 20130105369 A KR20130105369 A KR 20130105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resin
transparent
ink
resin film
col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1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코이치 후지시로
토시히데 이타하라
토루 사이토우
카즈히사 우라노
타카히로 요시오카
타카시 콘노
토모노리 안도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5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3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PURPOSE: A UV-curable ink-accommodating layer is provided to form a colored region without mixing with other adjacent coloring ink and to obtain a color display device preventing the loss of brightness. CONSTITUTION: A UV-curable ink-accommodating layer is formed by making a transparent resin layer (13) consisting of a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in which a dissolved transparent resin accommodate a coloring ink. The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contains a UV-curable component as an essential ingredient.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lor filter includes a step of forming a transparent resin layer and discharging coloring ink with various colors onto the transparent resin film; and a step of drying the result and curing the transparent resin film by UV-irradiation to form a colored region.

Description

컬러 필터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수용층 및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ULTRAVIOLET CURABLE INK RECEPTIVE LAYER FOR COLOR FILTER, AND METHOD OF PRODUCING COLOR FILTER}UV curable ink receiving layer for color filter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filter {ULTRAVIOLET CURABLE INK RECEPTIVE LAYER FOR COLOR FILTER, AND METHOD OF PRODUCING COLOR FILTER}

본 발명은 컬러 필터의 착색 영역을 형성하는데에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성 수용층 및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반사형 컬러 디스플레이 등의 컬러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컬러 필터용 자외선 경화성 수용층 및 이것을 이용한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violet curable water-receiving layer used to form a colored region of a color filt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lor filter. Specifically, the ultraviolet-curable water-receiving layer for color filters used in color display devices such as reflective color displays and the lik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used color filter is related.

종이를 대체하는 전자 매체로서 전자 페이퍼의 개발이 왕성하게 행해지고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인 CRT나 액정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전자 페이퍼에 필요한 특성으로서는 반사형 표시 소자로 이루어지며, 또한 높은 백색 반사율·높은 콘트라스트비를 갖는 것, 표시에 메모리 효과가 있는 것, 저전압에서 구동할 수 있는 것, 얇고 가벼운 것, 저렴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표시 특성으로서는 종이와 동질인 백색 반사율·콘트라스트비가 요구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종이 매체는 당연히 풀 컬러 표시를 하고 있어 전자 페이퍼에 대한 컬러화의 요망은 매우 크다.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paper as an electronic medium replacing paper is being actively performed.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electronic paper for CRT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which are conventional displays, consist of reflective display elements, have a high white reflectance and a high contrast ratio, have a memory effect on the display, and can operate at low voltage. Thin, light and inexpensive. In particular, as display characteristics, a white reflectance and contrast ratio that is the same as that of paper is requir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per media naturally display full color, and the demand for colorization of electronic paper is very large.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는 컬러 표시가 가능한 전자 페이퍼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반사형 액정 장치에 컬러 필터를 형성한 매체가 이미 제품화되어 있지만 이들은 일반적으로 편광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광 이용 효율이 낮아 어두운 백색 표시밖에 되어있지 않다. 또한, 흑색을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콘트라스트비도 나쁘다.As a technique of electronic paper capable of color display which has been proposed so far, for example, a medium having a color filter formed on a reflective liquid crystal device has already been commercialized, but since they generally use a polarizing plate, they have a low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and thus a dark white display. It is not out there. In addition, the contrast ratio is also bad because black cannot be displayed.

또한, 밝은 반사형 표시 장치로서 대전된 백색 입자와 흑색 입자를 전장에서 움직이는 것을 원리로 하는 전기영동 방식이 있지만, 이것의 백색 입자에 의한 산란 반사율은 고작해야 40%약이라고 말해져 반사 효율의 향상이 더 요구되어 있다. 또한, 컬러화를 행하면 반사 효율이 저하되는 점에서 밝은 컬러 전자 페이퍼로의 기대는 크다.In addition, although there is an electrophoretic method in which charged white particles and black particles are moved in the electric field as a bright reflective display device, the scattering reflectance of the white particles is said to be about 40% at best, thereby improving the reflection efficiency. More is required. In addition, the expectation of bright color electronic paper is large because the reflection efficiency is lowered when colorization is performed.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등은 전기영동 방식의 표시 장치에 컬러 필터를 형성한 반사형 컬러 표시 매체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의 표시 장치에 대하여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고 있는 블랙 매트릭스를 갖는 컬러 필터, 또는 착색 화소에 의한 중첩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밝기를 손상해버린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다색 표시 소자를 실현하는 것에 있어서 착색 화소의 색수와 동일한 횟수만큼의 포토리소그래피 방식에 의해 착색 화소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그 공정 비용 및 착색 레지스트도 낭비하여 사용하게 된다.For example, Patent Literature 1, Patent Literature 2, Patent Literature 3, Patent Literature 4 and the like disclose a reflective color display medium in which a color filter is formed on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By the way, when using the color filter which has the black matrix used by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superposition by the colored pixel, these display apparatuses impair brightness. Further,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colored pixels are formed by the photolithography method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colors of the colored pixels in realizing the multicolor display element, the process cost and the colored resists are wasted.

한편, 잉크젯법을 사용한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은 화소가 구성되는 영역에 적, 청, 녹색의 잉크를 각각 필요한 화소에만 동시에 분사 도포하고 경화시켜서 화소 형성하는 방법이며, 미리 포토 공정에서 격벽을 형성하고, 그 화소부에 잉크를 토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5, 특허문헌 6 참조). 이 방법에서는 각 색영역의 번짐이나 서로 이웃하는 영역 간의 혼색을 피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7에는 잉크와 격벽 표면의 정적 접촉각이 30~65°에서 혼색을 피할 수 있는 예시가 있다. 이 방법은 상술의 포토리소그래피법에 비해 그 공정 비용 및 착색 레지스트를 삭감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or filter using the inkjet method is a method of forming a pixel by spray coating and curing the red, blue, and green ink only to the pixels required in the region where the pixel is formed, and forming the partition wall in the photo process in advance. And the method of discharging ink to the pixel part are proposed (refer patent document 5, patent document 6). In this method, in order to avoid bleeding of each color area or mixing color between neighboring areas, for example, Patent Document 7 has an example in which the static contact angle between the ink and the partition wall surface can be avoided at 30 to 65 °. This method reduces the processing cost and colored resist compared to the photolithography method described above.

또한, 잉크젯법 컬러 필터의 제조에 있어서 격벽을 형성하지 않고 착색 화소를 형성하는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8 참조). 그러나 이 수단은 미리 하지에 블랙 매트릭스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이 영역에 의해 나누어 도포하는 것이 이루어져 있는 것 또한 반사형 표시 장치인 전자 페이퍼에서는 블랙 매트릭스는 필요로 하지 않고, 오히려 밝기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Moreover, in manufacture of the inkjet method color filter, the means of forming a colored pixel without forming a partition is proposed (refer patent document 8). However, this means is that the black matrix layer is formed on the base in advance, and the coating is divided by this area. Also, in the electronic paper which is a reflective display device, the black matrix is not required, but the factor that lowers the brightness. Becomes

그런데 모노크롬 전자 페이퍼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은 공지이며, 흑백이 반전되는 캡슐 상에 시인측에는 여러 가지 투명 기판이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미리 컬러 필터를 형성한 투명 지지 기재를 패널 상에 부착시킬 수도 있지만 상기 투명 지지 기재 상에 직접 착색 영역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어느 투명 지지 기재 상에 컬러 필터를 배치할지 그 밝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잉크젯법에 의해 투명 지지 기재 상에 착색 화소를 형성하려 했을 경우 각각의 투명 지지 기재의 표면은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같은 착색 잉크의 젖어 퍼짐이 달라져 버려 경우에 따라서는 젖음이 지나치게 좋기 때문에 그 착색 영역을 제어할 수 없고, 그 반대로 젖음이 나빠 균일하며 또한 소망의 면적을 갖는 착색 영역을 형성할 수 없다는 과제가 발생한다.By the way,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 monochrome electronic paper are well-known, and various transparent substrates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visual recognition side on the capsule which black and white is reversed (for example, refer nonpatent literature 1). Although the transparent support base material which previously formed the color filter can be attached on a panel,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lored area directly on the said transparent support base material, and to design the brightness which color filter is arrange | positioned on which transparent support base material It is important. However, when the colored pixels are to be formed on the transparent support substrate by the inkjet method, the surfaces of the transparent support substrat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wetted spread of the same colored ink is different. The problem arises that it is not controllable, and conversely, the wetness is poor and a colored region having a desired area cannot be formed.

또한, 면내의 균일한 컬러 필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투명 지지 기재를 세정 또는 표면 처리를 행해서 착색 잉크가 지지 기재에 대한 접촉각이 균일해지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공지의 알칼리 세제에 의한 세정, 대기압 플라즈마법, 코로나 방전, 자외선 처리 등이다. 왜냐하면 지지 기재 상에 착탄된 잉크는 액상이며, 그 표면 장력에 추가해서 지지 기재와의 젖음성에 의해 접촉각이 결정되고, 액적량에 의해 퍼짐 지름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표면 처리 방법은 투명 지지 기재마다 접촉각을 동일하게 하기 위한 조건 설정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양산에 적합하지 않고, 또한 제어 범위도 한정되어 있다. 또한, 패널 상에 직접 잉크젯법에 의해 착색 영역을 형성할 경우는 이러한 표면 처리 방법은 패널에 대미지를 줄 우려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anufacture an in-plane uniform color filter, it is considered that a transparent support base material is wash | cleaned or surface-treated so that a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a support base material of a coloring ink may become uniform. For example, washing | cleaning with a well-known alkali detergent, atmospheric pressure plasma method, corona discharge, an ultraviolet-ray treatment, etc. are mentioned. This is because the ink impregnated on the supporting substrate is liquid, and the contact angle is determined by the wettability with the supporting substrate in addition to the surface tension thereof, and the spreading diameter is determined by the droplet amount. However, such a surface treatment method is not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and the control range is also limited since it is necessary to set conditions for the same contact angle for each transparent support substrate. In addition, when a colored region is formed directly on the panel by the inkjet method, such a surface treatment method may cause damage to the panel.

한편, 미리 투명 지지 기재 상의 잉크젯 패턴 영역 외에 단차를 갖는 패턴이나 격벽을 형성하는 일 없이 기재 상에 실리콘 수지나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알코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고, 이 위에 컬러 필터층을 잉크젯법에 의해 형성하는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9~13 참조). 이들은 모두 액정 디스플레이(LCD)용 컬러 필터에 적용한 사례이며, 통상은 블랙 매트릭스(BM)가 부착된 투명 지지 기재 상에 수용층을 형성한 후에 잉크젯법에 의해 착색 잉크의 비산이나 번짐 발생 방지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착색 영역의 한정(구획)에는 BM 단차가 작용하고 있다. 또한, 모든 착색 잉크의 착색 성분이 수용층에 흡수됨으로써 정착되어 컬러 필터를 형성하는 것이 목적이 되어 있고, 착색 잉크의 흡수를 더욱 빠르게 하기 위해서 실리카 등의 미립자를 혼합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특허문헌 13 참조).On the other hand, an ink receiving layer containing a silicone resin, an acrylic resin, and polyvinyl alcohol as a main component is formed on the substrate without forming a pattern or partition having a step other than the inkjet pattern region on the transparent support substrate in advance, and the color filter layer is inkjet thereon. Means to form by the method are proposed (refer patent documents 9-13). These are all applied to color filters for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nd in general,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scattering and bleeding of the coloring ink by the inkjet method after forming the receiving layer on the transparent support substrate with the black matrix (BM). The BM step acts on the limitation (compartment) of the colored region. Moreover, it aims at forming the color filter by fixing the coloring component of all the coloring ink by a water absorption layer, and may mix fine particles, such as a silica, in order to make absorption of a coloring ink quicker (patent document 13). Reference).

또한, 표시 캡슐층의 표면에 접착층을 갖고, 이 위에 잉크젯법에 의해 컬러 필터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4 참조). 이 접착층은 표면 보호를 위한 릴리스 필름을 루즈하게 접착시키는 것이며, 잉크젯법에 의해 토출된 잉크 형상을 제어하는 기재는 일절 없다.Moreover, the method which has an adhesive layer on the surface of a display capsule layer, and forms a color filter by the inkjet method on this is proposed (refer patent document 14). This adhesive layer loosely adhere | attaches the release film for surface protection, and there is no base material which controls the shape of the ink discharged by the inkjet method.

일본 특허 공개 2003-161964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161964 일본 특허 공개 2004-361514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4-361514 일본 특허 공개 2008-83536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8-83536 일본 특허 공개 2006-267831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267831 일본 특허 공개 소 59-75205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59-75205 일본 특허 공개 2001-350012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350012 일본 특허 공개 평 11-281815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281815 일본 특허 공개 2010-54777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0-54777 일본 특허 공개 2000-28818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28818 일본 특허 공개 2006-209115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209115 일본 특허 공개 2003-84115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84115 일본 특허 공개 2004-226517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4-226517 일본 특허 공개 2010-276986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0-276986 일본 특허 공표 2010-503895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2010-503895

(주)야노 경제 연구소, 「2010년판 전자 페이퍼 시장의 현재와 장래 전망」  Yano Institute of Economics, "present and future prospects of 2010 electronic paper market"

본 발명은 상술의 종래 기술의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밝기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종래의 모노크롬 전자 페이퍼의 방식을 간편하며 또한 저렴하게 컬러화할 수 있는 컬러 필터의 제조에 적합한 컬러 필터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수용층 및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situation, and is an ultraviolet curable ink for color filters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color filters which can easily and inexpensively colorize the conventional monochrome electronic paper without lowering the brightness. It is provid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receiving layer and a color filter.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검토를 행한 결과 컬러 필터의 착색에 필요한 영역을 최소한으로 남기고, 그 수단으로서 잉크젯법을 사용해서 착색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착색 잉크의 사용량을 필요량으로 억제할 수 있고, 그 이외를 무착색 또는 투명하게 함으로써 밝기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종래의 액티브 방식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어 있는 컬러 필터에서는 대향시키는 한쌍의 투명 기판에 구비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차광을 목적으로 전적으로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할 필요가 있지만, 예를 들면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한 전기영동식 전자 페이퍼의 경우 대향시키는 한쌍의 투명 기판 위 전체를 흑색 입자 또는 백색 입자가 덮기 때문에 시인측으로부터 대향하는 TFT까지 광이 도달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블랙 매트릭스에 상당하는 차광부가 불필요한 것에 의거한다. 대향시키는 투명 기판측을 오로지 백색 입자나 반사경면에 의해 TFT를 덮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패시브 방식 디스플레이나 세그먼트 방식 디스플레이에서는 TFT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컬러 필터측에 차광부는 불필요해진다. 또한, 잉크젯법에 의하면 착색 영역의 형성이 비용상으로도 우위이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As a result of performing various examination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present inventors can leave the area | region required for coloring of a color filter to a minimum, and can form the colored area | region using the inkjet method as a means, and can suppress the usage-amount of coloring ink to a required amount. It discovered that the fall of the brightness can be suppressed by making it colorless or transparent other than that. In the color filter used in a conventional active liquid crystal display, it is necessary to form a black matrix entirely for the purpose of shielding thin film transistors (TFT) provided in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facing each other. In the case of electrophoretic electronic paper, since black particles or white particles cover the whole of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facing each other, light does not reach from the viewing side to the opposing TFT, and thus the light shiel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lack matrix is unnecessary.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TFT is covered with only the white particles or the reflecting mirror surface on the opposing transparent substrate side. In the passive display and the segment display, the TFT does not have a TFT, so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unnecessary on the color filter side. Moreover, according to the inkjet method, formation of a coloring area is superior in cost.

추가해서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한 모노크롬 전자 페이퍼 등의 모노크롬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설치되는 투명 지지 기재의 표면성상에 의존하는 일 없이 그 착색 영역을 안정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투명 지지 기재 상에 수용층을 개재해서 착색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유효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In addition, in order to stably manufacture the colored area | region without relying on the surface property of the transparent support base material provided in the visual recognition side of monochrome display apparatuses, such as a monochrome electronic paper using a microcapsule, coloring is carried out on the transparent support base material through an receiving lay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y finding that forming a region is effective.

즉, 본 발명은 잉크젯법에 의해 토출된 복수색의 착색 잉크가 인접하는 다른 색의 착색 잉크와 혼색하는 일 없이 착색 영역을 형성한 컬러 필터를 얻는데에 사용되는 착색 잉크의 수용층으로서, 투명 수지를 용해시킨 투명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수지막이 착색 잉크를 수용한 후 자외선에 의한 경화가 실시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투명 수지 조성물이 자외선 경화성 성분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수용층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arent resin as a receiving layer of a coloring ink used for obtaining a color filter in which a plurality of colored ink ejected by the inkjet method forms a colored region without mixing with a coloring ink of another adjacent color. After the transparent resin film which consists of the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which melt | dissolved contains a coloring ink, it is hardened | cured by ultraviolet-ray, and is formed, The said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contains an ultraviolet curable component as an essential component, The ultraviolet curable ink for color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Water receiving layer.

본 발명의 컬러 필터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수용층은 전극을 갖는 한 쌍의 투명 기판 사이에 전계의 인가에 의해 이동 또는 회전하는 입자를 포함하는 표시체를 배치한 모노크롬 표시 패널(모노크롬 표시 장치)에 부착되는 컬러 필터를 얻는데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밝기의 저하를 방지하는 컬러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The ultraviolet curable ink receiving layer for color fil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monochrome display panel (monochrome display device) in which a display body including particles moving or rotating by application of an electric field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having electrodes. It is suitably used to obtain a color filter, and a color display device that prevents a decrease in brightness can be realized.

이러한 컬러 표시 장치에 있어서 우선 모노크롬 표시 장치에 대해서는 적합하게는 전극을 구비한 한쌍의 투명 기판 사이에 대전된 백색 입자와 흑색 입자를 갖고, 이들의 입자가 표시체를 형성하고, 전계의 인가에 의해 이동 또는 회전해서 모노크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 표시체는, 예를 들면 전기영동 입자를 분산매 중에 분산시켜서 밀봉한 마이크로 캡슐로 할 수 있다. 그 경우의 마이크로 캡슐의 입자 지름은 1~1000㎛정도가 바람직하고, 통상은 수십㎛이다. 마이크로 캡슐 중의 흑색 입자 및 백색 입자는 대전되어 있고, 이들이 한쌍의 투명 전극을 구비한 투명 기판 사이에 끼워져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모노크롬 표시를 행한다. 즉,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이 모노크롬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등의 구동 스위치(1)에 접속된 구동 전극(2)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구동측 투명 기판(3)과, 전극으로서 ITO 유리 등과 같이 도전층(4)을 구비한 시인측 투명 기판(5)을 구비하고, 이들 한쌍의 기판 사이에는 마이크로 캡슐(9)이 배치된다. 이 마이크로 캡슐(9)에는 서로 다른 전하에 대전된 백색 입자(6) 및 흑색 입자(7)로 이루어지는 표시체(10)이 투명 분산매(8)로 분산되어서 밀봉되어 있다.In such a color display device, a monochrome display device preferably has white particles and black particles charged between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having electrodes, and these particles form a display body by application of an electric field. It may move or rotate to form a monochrome image. Among these, the display body can be set as the microcapsule which disperse | distributed electrophoretic particle | grains in a dispersion medium, and was sealed, for example. As for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microcapsule in that case, about 1-1000 micrometers is preferable, and is usually several tens of micrometers. The black particles and the white particles in the microcapsules are charged, and they are sandwiched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s provided with a pair of transparent electrodes to apply monochrome display by applying an electric field.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1, the monochrome display device includes a drive side transparent substrate 3 having a drive electrode 2 connected to a drive switch 1 such as a thin film transistor (TFT)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an electrode. As an example, a visual side transparent substrate 5 having a conductive layer 4, such as ITO glass, is provided, and a microcapsule 9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ubstrates. The microcapsules 9 are sealed by dispersing the display body 10 made of the white particles 6 and the black particles 7 charged with different charges by the transparent dispersion medium 8.

그리고 모노크롬 표시 장치의 시인측의 기판 상에 배치되는 컬러 필터(11)의 제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투명 필름이나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지지 기재(12) 상에 우선, 투명 수지를 용해시킨 투명 수지 조성물을 도포해서 투명 수지막을 형성하고, 이 투명 수지막 위에 필요한 색수 및 화소수에 따라 잉크젯법에 의해 착색 잉크를 토출하고, 건조 및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투명 수지막을 경화시켜서 수용층(13)을 얻음과 아울러 착색 영역(14)을 형성한다. 여기서 투명 필름에는 시판된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PET 필름, COP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ITO 유리 등과 같이 도전층(4)을 구비한 투명 기판(5) 상에 투명 수지막을 형성하고, 즉 모노크롬 표시 장치의 한쪽의 투명 기판에 직접 투명 수지막을 형성하고, 이 위에 각 착색 영역(14)을 형성할 수도 있다.And in manufacture of the color filter 11 arrange | positioned on the board | substrate of the visual recognition side of a monochrome display apparatus, transparent resin which melt | dissolved transparent resin first on the transparent support base material 12 which consists of transparent films, glass, etc., for example. Applying the composition to form a transparent resin film, and discharging the coloring ink by the inkjet method according to the required number of colors and pixels on the transparent resin film, and curing the transparent resin film by drying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obtain the receiving layer 13 and In addition, the coloring region 14 is formed. A commercial film can be used here for a transparent film, For example, a polycarbonate film, PET film, COP film,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a transparent resin film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5 having the conductive layer 4, such as ITO glass, that is, a transparent resin film is directly formed on one transparent substrate of the monochrome display device, and the respective colored regions ( 14) may be formed.

여기서 착색 영역(14)을 형성하는 액적을 제공하는 잉크젯 잉크(착색 잉크)로서는 적어도 상온에서 액상인 수지, 상온에서 고형인 수지, 착색제 및 용매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잉크젯 잉크를 사용한다. 이러한 조성으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막과 우수한 작용을 발현하여 잉크젯법에 의한 착색 영역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져 본 발명의 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온이란 잉크젯 토출 시의 작업 환경 온도이며, 25℃ 전후, 예를 들면 15~35℃정도의 온도 범위를 말한다.As inkjet ink (coloring ink) which provides the droplet which forms the coloring area 14 here, the inkjet ink which contains a liquid resin at normal temperature, a solid resin at normal temperature, a coloring agent, and a solvent as essential components is used. By setting it as such a composition, the excellent effect | action with a transparent resin film is exhibited as mentioned later, and the precise control of the coloring area by the inkjet method is attained, and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is expressed. In addition, normal temperature as used in this invention is the working environment temperature at the time of inkjet discharge, and means the temperature range of about 25 degreeC, for example, about 15-35 degreeC.

착색 잉크에 사용되는 상온에서 액상인 수지로서는 액상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액상의 다관능 에폭시 수지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복수를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광 경화 후의 신뢰성과 잉크젯 토출 특성을 위한 잉크 저점성화의 관점으로부터 3관능~4관능의 반응기를 갖고 분자량이 1000 이하인 액상 수지가 바람직하다.As resin which is liquid at normal temperature used for a coloring ink, there exist a liquid polyfunctional acrylate, a liquid polyfunctional epoxy resin, etc.,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Among them, a liquid resin having a trifunctional to tetrafunctional reactor and a molecular weight of 1000 or less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ink low viscosity for reliability after photo curing and inkjet ejection characteristics.

또한, 착색 잉크에 사용되는 상온에서 고체의 수지로서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복수를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투명성이라는 관점으로부터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고, 또한 잉크젯의 토출을 안정적으로 행하는 저점도화를 위해서도 평균 중량 분자량은 10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 안료 분산 시에 사용되는 포화·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외에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디에스테르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변성 폴리에스테르류, 3급 아민 변성 폴리우레탄류 등의 고분자 계면활성제 등도 상온에서 고형인 수지이며, 미세화된 안료와 함께 첨가해도 좋다.Moreover, as a solid resin at normal temperature used for a coloring ink, a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 saturated polyester resin, a urethane methacrylate resin, etc. are mention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several. have. In these, a methacrylic acid copolymer or saturated polyester resin is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transparency, and also an average weight molecular weight is 10000 or less for the sake of low viscosity which stably discharges an inkjet. Moreover, in addition to the saturated and unsaturated polyester resin normally used at the time of pigment dispersion,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olyethylene glycol diester, sorbitan fatty acid ester, fatty acid modified polyester, tertiary amine modified polyurethane, etc. A polymeric surfactant etc. are also solid resin at normal temperature, and may be added with a refined pigment.

상온에서 액상인 수지와 상온에서 고체의 수지를 합한 수지 성분의 배합량에 대해서는 착색 잉크에 대하여 1~50중량%의 범위인 것이 좋다. 또한, 상온에서 액상인 수지와 상온에서 고체의 수지의 배합 비율은 10:90~99: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About the compounding quantity of the resin component which combined the resin which is liquid at normal temperature, and the solid resin at normal temperature, it is good that it is the range of 1-50 weight% with respect to a coloring ink.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unding ratio of resin which is liquid at normal temperature, and solid resin at normal temperature is 10: 90-99: 1.

착색 잉크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디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디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다른 에테르류, γ-부티로락톤 등의 고비점 용매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a solvent used for a coloring ink, For example, ethylene glycol monoalkyl ether acetates, such as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Diethylene glycol monoalkyl ethers such as 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nd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Diethylene glycol monoalkyl ether acetates such as diethylene glycol mono-n-but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alkyl ether acetates such as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and 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Other ethers, such as d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High boiling point solvents, such as (gamma) -butyrolactone, can be used.

또한, 착색 잉크에는 레드(R), 그린(G), 블루(B) 등을 비롯하여 요구하는 색에 맞춰서 소정의 착색제를 배합할 수 있다. 단, 전자 페이퍼 등의 반사형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컬러 필터에서는 무색 투명 또는 색을 조절할 필요가 없는 착색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는 점에서 그 경우에는 착색제를 배합하지 않고 착색 도막을 형성해서 무착색 또는 투명하게 하도록 해도 물론 좋다.Moreover, a predetermined coloring agent can be mix | blended with a coloring ink according to the color requested | required including red (R), green (G), blue (B), etc. However, color filters used for reflective display devices such as electronic papers may include colorless transparent or colored areas that do not require color adjustment. Or it may be made transparent.

착색제를 배합할 경우에는 유기 착색제 및 무기 착색제 중으로부터 임의의 것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료, 유기 안료, 천연 색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기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안료, 체질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유기 안료는 발색성이 높고, 내열성도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컬러 인덱스(C.I.; The Soiety of Dyers and Colourists사 발행)에 있어서 피그먼트(Pigment)로 분류되어 있는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컬러 인덱스(C.I.) 번호가 붙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When mix | blending a coloring agent, arbitrary things can be selected and used out of an organic coloring agent and an inorganic coloring agent. As the organic colorant, for example, dyes, organic pigments, natural pigment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inorganic colorant, for example, an inorganic pigment, a extender pigment, or the like can be used. Among these, organic pigments can be preferably used in view of high color development and high heat resistance. Examples of the organic pigments include compounds classified as pigments in the color index (CI; issued by The Soiety of Dyers and Colourists), and specifically those having the following color index (CI) numbers. Can be mentioned.

즉, C.I.피그먼트 옐로 1, C.I.피그먼트 옐로 3, C.I.피그먼트 옐로 12, C.I.피그먼트 옐로 13, C.I.피그먼트 옐로 14, C.I.피그먼트 옐로 15, C.I.피그먼트 옐로 16, C.I.피그먼트 옐로 17, C.I.피그먼트 옐로 20, C.I.피그먼트 옐로 24, C.I.피그먼트 옐로 31, C.I.피그먼트 옐로 55, C.I.피그먼트 옐로 60, C.I.피그먼트 옐로 61, C.I.피그먼트 옐로 65, C.I.피그먼트 옐로 71, C.I.피그먼트 옐로 73, C.I.피그먼트 옐로 74, C.I.피그먼트 옐로 81, C.I.피그먼트 옐로 83, C.I.피그먼트 옐로 93, C.I.피그먼트 옐로 95, C.I.피그먼트 옐로 97, C.I.피그먼트 옐로 98, C.I.피그먼트 옐로 100, C.I.피그먼트 옐로 101, C.I.피그먼트 옐로 104, C.I.피그먼트 옐로 106, C.I.피그먼트 옐로 108, C.I.피그먼트 옐로 109, C.I.피그먼트 옐로 110, C.I.피그먼트 옐로 113, C.I.피그먼트 옐로 114, C.I.피그먼트 옐로 116, C.I.피그먼트 옐로 117, C.I.피그먼트 옐로 119, C.I.피그먼트 옐로 120, C.I.피그먼트 옐로 126, C.I.피그먼트 옐로 127, C.I.피그먼트 옐로 128, C.I.피그먼트 옐로 129, C.I.피그먼트 옐로 138, C.I.피그먼트 옐로 139, C.I.피그먼트 옐로 150, C.I.피그먼트 옐로 151, C.I.피그먼트 옐로 152, C.I.피그먼트 옐로 153, C.I.피그먼트 옐로 154, C.I.피그먼트 옐로 155, C.I.피그먼트 옐로 156, C.I.피그먼트 옐로 166, C.I.피그먼트 옐로 168, C.I.피그먼트 옐로 175;That is, CI Pigment Yellow 1, CI Pigment Yellow 3, CI Pigment Yellow 12, CI Pigment Yellow 13, CI Pigment Yellow 14, CI Pigment Yellow 15, CI Pigment Yellow 16, CI Pigment Yellow 17, CI Pigment Yellow 20, CI Pigment Yellow 24, CI Pigment Yellow 31, CI Pigment Yellow 55, CI Pigment Yellow 60, CI Pigment Yellow 61, CI Pigment Yellow 65, CI Pigment Yellow 71, CI Pigment Pigment Yellow 73, CI Pigment Yellow 74, CI Pigment Yellow 81, CI Pigment Yellow 83, CI Pigment Yellow 93, CI Pigment Yellow 95, CI Pigment Yellow 97, CI Pigment Yellow 98, CI Pigment Yellow 100, CI Pigment Yellow 101, CI Pigment Yellow 104, CI Pigment Yellow 106, CI Pigment Yellow 108, CI Pigment Yellow 109, CI Pigment Yellow 110, CI Pigment Yellow 113, CI Pigment Yellow 114, CI Pigment Yellow 116, CI Pigment Yellow 117, CI CI Pigment Yellow 119, CI Pigment Yellow 120, CI Pigment Yellow 126, CI Pigment Yellow 127, CI Pigment Yellow 128, CI Pigment Yellow 129, CI Pigment Yellow 138, CI Pigment Yellow 139, CI Pigment Yellow 150, CI Pigment Yellow 151, CI Pigment Yellow 152, CI Pigment Yellow 153, CI Pigment Yellow 154, CI Pigment Yellow 155, CI Pigment Yellow 156, CI Pigment Yellow 166, CI Pigment Yellow 168 CI Pigment Yellow 175;

C.I.피그먼트 오렌지 1, C.I.피그먼트 오렌지 5, C.I.피그먼트 오렌지 13, C.I.피그먼트 오렌지 14, C.I.피그먼트 오렌지 16, C.I.피그먼트 오렌지 17, C.I.피그먼트 오렌지 24, C.I.피그먼트 오렌지 34, C.I.피그먼트 오렌지 36, C.I.피그먼트 오렌지 38, C.I.피그먼트 오렌지 40, C.I.피그먼트 오렌지 43, C.I.피그먼트 오렌지 46, C.I.피그먼트 오렌지 49, C.I.피그먼트 오렌지 51, C.I.피그먼트 오렌지 61, C.I.피그먼트 오렌지 63, C.I.피그먼트 오렌지 64, C.I.피그먼트 오렌지 71, C.I.피그먼트 오렌지 73;CI Pigment Orange 1, CI Pigment Orange 5, CI Pigment Orange 13, CI Pigment Orange 14, CI Pigment Orange 16, CI Pigment Orange 17, CI Pigment Orange 24, CI Pigment Orange 34, CI PIGMENT ORANGE 38, CI PIGMENT ORANGE 40, CI PIGMENT ORANGE 43, CI PIGMENT ORANGE 46, CI PIGMENT ORANGE 49, CI PIGMENT ORANGE 51, CI PIGMENT ORANGE 61, CI PIGMENT ORANGE 63, CI Pigment Orange 64, CI Pigment Orange 71, CI Pigment Orange 73;

C.I.피그먼트 바이올렛 1, C.I.피그먼트 바이올렛 19, C.I.피그먼트 바이올렛 23, C.I.피그먼트 바이올렛 29, C.I.피그먼트 바이올렛 32, C.I.피그먼트 바이올렛 36, C.I.피그먼트 바이올렛 38;C.I. Pigment Violet 1, C.I.Pigment Violet 19, C.I.Pigment Violet 23, C.I.Pigment Violet 29, C.I.Pigment Violet 32, C.I.Pigment Violet 36, C.I.Pigment Violet 38;

C.I.피그먼트 레드 1, C.I.피그먼트 레드 2, C.I.피그먼트 레드 3, C.I.피그먼트 레드 4, C.I.피그먼트 레드 5, C.I.피그먼트 레드 6, C.I.피그먼트 레드 7, C.I.피그먼트 레드 8, C.I.피그먼트 레드 9, C.I.피그먼트 레드 10, C.I.피그먼트 레드 11, C.I.피그먼트 레드 12, C.I.피그먼트 레드 14, C.I.피그먼트 레드 15, C.I.피그먼트 레드 16, C.I.피그먼트 레드 17, C.I.피그먼트 레드 18, C.I.피그먼트 레드 19, C.I.피그먼트 레드 21, C.I.피그먼트 레드 22, C.I.피그먼트 레드 23, C.I.피그먼트 레드 30, C.I.피그먼트 레드 31, C.I.피그먼트 레드 32, C.I.피그먼트 레드 37, C.I.피그먼트 레드 38, C.I.피그먼트 레드 40, C.I.피그먼트 레드 41, C.I.피그먼트 레드 42, C.I.피그먼트 레드 48:1, C.I.피그먼트 레드 48:2, C.I.피그먼트 레드 48:3, C.I.피그먼트 레드 48:4, C.I.피그먼트 레드 49:1, C.I.피그먼트 레드 49:2, C.I.피그먼트 레드 50:1, C.I.피그먼트 레드 52:1, C.I.피그먼트 레드 53:1, C.I.피그먼트 레드 57, C.I.피그먼트 레드 57:1, C.I.피그먼트 레드 57:2, C.I.피그먼트 레드 58:2, C.I.피그먼트 레드 58:4, C.I.피그먼트 레드 60:1, C.I.피그먼트 레드 63:1, C.I.피그먼트 레드 63:2, C.I.피그먼트 레드 64:1, C.I.피그먼트 레드 81:1, C.I.피그먼트 레드 83, C.I.피그먼트 레드 88, C.I.피그먼트 레드 90:1, C.I.피그먼트 레드 97, C.I.피그먼트 레드 101, C.I.피그먼트 레드 102, C.I.피그먼트 레드 104, C.I.피그먼트 레드 105, C.I.피그먼트 레드 106, C.I.피그먼트 레드 108, C.I.피그먼트 레드 112, C.I.피그먼트 레드 113, C.I.피그먼트 레드 114, C.I.피그먼트 레드 122, C.I.피그먼트 레드 123, C.I.피그먼트 레드 144, C.I.피그먼트 레드 146, C.I.피그먼트 레드 149, C.I.피그먼트 레드 150, C.I.피그먼트 레드 151, C.I.피그먼트 레드 166, C.I.피그먼트 레드 168, C.I.피그먼트 레드 170, C.I.피그먼트 레드 171, C.I.피그먼트 레드 172, C.I.피그먼트 레드 174, C.I.피그먼트 레드 175, C.I.피그먼트 레드 176, C.I.피그먼트 레드 177, C.I.피그먼트 레드 178, C.I.피그먼트 레드 179, C.I.피그먼트 레드 180, C.I.피그먼트 레드 185, C.I.피그먼트 레드 187, C.I.피그먼트 레드 188, C.I.피그먼트 레드 190, C.I.피그먼트 레드 193, C.I.피그먼트 레드 194, C.I.피그먼트 레드 202, C.I.피그먼트 레드 206, C.I.피그먼트 레드 207, C.I.피그먼트 레드 208, C.I.피그먼트 레드 209, C.I.피그먼트 레드 215, C.I.피그먼트 레드 216, C.I.피그먼트 레드 220, C.I.피그먼트 레드 224, C.I.피그먼트 레드 226, C.I.피그먼트 레드 242, C.I.피그먼트 레드 243, C.I.피그먼트 레드 245, C.I.피그먼트 레드 254, C.I.피그먼트 레드 255, C.I.피그먼트 레드 264, C.I.피그먼트 레드 265;  CI Pigment Red 1, CI Pigment Red 2, CI Pigment Red 3, CI Pigment Red 4, CI Pigment Red 5, CI Pigment Red 6, CI Pigment Red 7, CI Pigment Red 8, CI Pigment CI Pigment Red 9, CI Pigment Red 10, CI Pigment Red 11, CI Pigment Red 12, CI Pigment Red 14, CI Pigment Red 15, CI Pigment Red 16, CI Pigment Red 17, CI Pigment Red 18, CI Pigment Red 19, CI Pigment Red 21, CI Pigment Red 22, CI Pigment Red 23, CI Pigment Red 30, CI Pigment Red 31, CI Pigment Red 32, CI Pigment Red 37, CI Pigment Red 38, CI Pigment Red 40, CI Pigment Red 41, CI Pigment Red 42, CI Pigment Red 48: 1, CI Pigment Red 48: 2, CI Pigment Red 48: 3, CI Pigment CIment Red 48: 4, CI Pigment Red 49: 1, CI Pigment Red 49: 2, CI Pigment Red 50: 1, CI Pigment Red 52: 1, CI Pigment Red 53: 1, CI Pigment Red 57, CI Pigment Red 57: 1, CI Pigment Red 57: 2, CI Pigment Red 58: 2 , CI Pigment Red 58: 4, CI Pigment Red 60: 1, CI Pigment Red 63: 1, CI Pigment Red 63: 2, CI Pigment Red 64: 1, CI Pigment Red 81: 1, CI Pigment Red 83, CI Pigment Red 88, CI Pigment Red 90: 1, CI Pigment Red 97, CI Pigment Red 101, CI Pigment Red 102, CI Pigment Red 104, CI Pigment Red 105, CI Pigment Red 106, CI Pigment Red 108, CI Pigment Red 112, CI Pigment Red 113, CI Pigment Red 114, CI Pigment Red 122, CI Pigment Red 123, CI Pigment Red 144, CI Pigment Red 146, CI Pigment Red 149, CI Pigment Red 150, CI Pigment Red 151, CI Pigment Red 166, CI Pigment Level 168, CI Pigment Red 170, CI Pigment Red 171, CI Pigment Red 172, CI Pigment Red 174, CI Pigment Red 175, CI Pigment Red 176, CI Pigment Red 177, CI Pigment Red 178, CI Pigment Red 179, CI Pigment Red 180, CI Pigment Red 185, CI Pigment Red 187, CI Pigment Red 188, CI Pigment Red 190, CI Pigment Red 193, CI Pigment Red 194, CI Pigment Pigment Red 202, CI Pigment Red 206, CI Pigment Red 207, CI Pigment Red 208, CI Pigment Red 209, CI Pigment Red 215, CI Pigment Red 216, CI Pigment Red 220, CI Pigment Red 224, CI Pigment Red 226, CI Pigment Red 242, CI Pigment Red 243, CI Pigment Red 245, CI Pigment Red 254, CI Pigment Red 255, CI Pigment Red 264, CI Pigment Red 265;

C.I.피그먼트 블루 15, C.I.피그먼트 블루 15:3, C.I.피그먼트 블루 15:4, C.I.피그먼트 블루 15:6, C.I.피그먼트 블루 60;C.I. Pigment Blue 15, C.I. Pigment Blue 15: 3, C.I. Pigment Blue 15: 4, C.I. Pigment Blue 15: 6, C.I.Pigment Blue 60;

C.I.피그먼트 그린 7, C.I.피그먼트 그린 36;C.I. Pigment Green 7, C.I.Pigment Green 36;

C.I.피그먼트 브라운 23, C.I.피그먼트 브라운 25;CI Pigment Brown 23, CI Pigment Brown 25;

C.I.피그먼트 블랙 1, 피그먼트 블랙 7 등을 들 수 있다.C.I. pigment black 1, pigment black 7, etc. are mentioned.

또한, 무기 안료나 체질 안료의 구체예로서는 산화 티탄, 황산 바륨, 탄산 칼슘, 아연화, 황산 납, 황색 납, 아연황, 벵갈라(적색 산화철(Ⅲ)), 카드뮴적, 군청, 감청, 산화 크롬녹, 코발트녹, 엄버, 티탄 블랙, 합성 흑연, 카본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각 착색 잉크에 배합하는 착색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Specific examples of inorganic pigments and extender pigments include titanium oxide, barium sulfate, calcium carbonate, zinc oxide, lead sulfate, yellow lead, zinc sulfur, bengal (red iron oxide (III)), cadmium, ultramarine blue, royal blue, chromium oxide, Cobalt rust, umber, titanium black, synthetic graphite, carbon black,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the coloring agent mix | blended with each coloring ink may be used independently, respectively and may mix and use 2 or more types.

착색제는 잉크젯법에 의해 착색 잉크를 토출할 때의 노즐 막힘 등을 고려해서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분산제와 함께 100㎚ 이하의 입자에 미립화·분산 안정화되는 것이 좋다. 즉, 분산제는 착색제를 양호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착색 잉크 중에 필요에 따라 배합된다. 예를 들면, 분산제로서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양성, 실리콘계, 불소계 등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이하에 예시하는 고분자 계면활성제(고분자 분산제)가 바람직하다. 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디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디에스테르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변성 폴리에스테르류; 3급 아민 변성 폴리우레탄류 등의 고분자 계면활성제이다.The colorant is preferably atomized and dispersed and stabilized to particles of 100 nm or less together with the polymer dispersant in consideration of nozzle clogging or the like when discharging the colored ink by the inkjet method. That is, a dispersing agent is mix | blended as needed in a coloring ink in order to disperse | distribute a coloring agent favorably. For example, surfactants, such as cationic, anionic, nonionic, amphoteric, silicone, and fluorine, can be used as the dispersant. Among the surfactants, polymer surfactants (polymer dispersants) exemplified below are preferable. Namely, polyoxyethylene alkyl ethers such as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polyoxyethylene oleyl ether; Polyoxyethylene alkyl phenyl ethers such as polyoxyethylene octylphenyl ether and 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Polyethylene glycol diester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dilaurate and polyethylene glycol distearate; Sorbitan fatty acid esters; Fatty acid-modified polyesters; It is polymeric surfactant, such as tertiary amine modified polyurethanes.

착색 잉크에 착색제를 배합할 경우의 함유량은 잉크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착색제는 통상 1~60중량%, 바람직하게는 5~40중량%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좋다. 잉크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착색제의 배합 비율이 1중량%보다 적으면 착색 잉크를 소정의 막두께로 도포했을 때(일반적으로는 0.1~2.0㎛정도)의 투과 농도가 충분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60중량%를 초과하면 착색 잉크를 투명 수지막에 토출해서 경화시켰을 때 투명 수지막에 대한 착색 도막의 밀착성이 뒤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또한 도막 경도 등의 도막으로서의 특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고형분이란 착색 잉크를 160℃, 2시간 가열 후의 중량으로부터 산출되고, 실질적으로 용매를 포함할 경우에는 용매와 휘발 성분을 제외한 기타 성분의 합계량을 말한다.As for content when mix | blending a coloring agent with a coloring ink, it is good to mix | blend a coloring agent with 1 to 60 weight% normally, Preferably it is 5 to 40 weight% with respect to solid content in an ink. If the blending ratio of the coloring agent is less than 1% by weight relative to the solid content in the ink, the permeation concentration may be insufficient when the coloring ink is applied at a predetermined film thickness (generally, about 0.1 to 2.0 µm). On the contrary, when it exceeds 60 weight%, the adhesiveness of a colored coating film with respect to a transparent resin film may be inferior when a coloring ink is discharged and hardened | cured by a transparent resin film,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characteristics as a coating film, such as coating film hardness, may become inadequate. In addition, solid content as used in this invention is computed from the weight after heating a coloring ink at 160 degreeC for 2 hours, and when it contains a solvent substantially, it means the total amount of other components except a solvent and a volatile component.

일반적인 압전 소자의 잉크젯 헤드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액적이 형성되는 잉크 물성은 헤드 구성에 따라 다르지만 헤드 내부에 있어서의 온도에 있어서 점도는 3~150m㎩·sec, 바람직하게는 4~30m㎩·sec인 것이 좋다. 이것보다 크면 토출 불가능해지거나 낮으면 토출량이 안정되지 않는다. 표면 장력은 헤드 내부에 있어서의 온도에 있어서 20~40mN/m인 것이 좋다. 이것보다 크면 도포 개시 시의 액적 토출 불능이 되고, 낮으면 연속 토출 시의 액적량이 안정되지 않는다. 헤드 내부의 온도는 재료 안정성에 의존하지만 실온 20~45℃에서 사용된다. 잉크 중 고형분을 높여서 막두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35~45℃정도의 온도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Ink properties of stably forming droplets in an inkjet head of a general piezoelectric element vary depending on the head configuration, but the viscosity is 3 to 150 mPa · sec, preferably 4 to 30 mPa · sec at a temperature inside the head. good. If it is larger than this, the discharge becomes impossible or the discharge amount is not stabilized. It is preferable that surface tension is 20-40 mN / m in the temperature inside a head. When larger than this, the droplet discharge will be impossible at the start of coating, and when it is low, the droplet amount at the time of continuous discharge will not be stabilized. The temperature inside the head depends on the material stability but is used at room temperature 20-45 ° C. In order to increase the solid content in the ink to improve the film thickness, a temperature of about 35 to 45 ° C. may be preferably used.

착색 영역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모노크롬 표시 장치에 대해서는 구동측 투명 기판(3)에 있어서 구동 전극(2)이 형성되는 영역에 맞춰서 복수의 색을 구비하도록 적어도 블루, 그린, 레드의 3색을 나누어 칠한다. 즉, 모노크롬 표시 장치의 1화소에 대응시켜서 컬러 필터의 1화소를 형성한다. 또한, 색재현성 영역의 확대나 밝기 향상을 목적으로 해서 옐로, 시안, 투명 영역 등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색 컬러 필터의 제조에 있어서는 잉크젯 방식(잉크젯법)에서는 포토리소그래피 방식에 비교해서 현상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우위이다.For example, in the monochrom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the colored region includes at least three colors of blue, green, and red so as to have a plurality of colors in accordance with the region where the driving electrode 2 is formed in the driving-side transparent substrate 3. Divide the colors. That is, one pixel of the color filter is formed corresponding to one pixel of the monochrome display device. Further, yellow, cyan, transparent regions, etc. may be further formed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the color reproducibility region or improving the brightness. In the production of such a multicolor color filter, the inkjet method (inkjet method) is superior in that the developing step can be omitted in comparison with the photolithography metho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착색 영역을 잉크젯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모노크롬 표시 장치의 1화소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의 1화소에 있어서의 착색 영역(14)의 면적을 1화소 면적에 비교해서 9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도 2).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스위치(TFT)(1)에 접속된 구동 전극(2)을 둘러싸는 배선(15)에 의해 형성된 격자 단위를 1화소 단위로서 정의하면 컬러 필터측의 착색 영역(14)은 이것에 대응하도록 해서 형성함과 아울러 그 면적비에서 1화소 단위에 대하여 9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젯 방식에 의해 착색 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특히 3색을 동시 형성할 경우에는 그 혼색을 피하기 위해서 필요하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입사광이 착색 영역을 통과한 후에 마이크로 캡슐 중의 백색 입자에 반사되었을 경우에 인접하는 다른 착색 영역에 입사되지 않기 위해서도 필요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forming the colored region by the inkjet method, the area of the colored region 14 in one pixel of the color filter corresponding to one pixel of the monochrome display device is 90% or less compared to the one pixel area. It is a preferable form to form (FIG. 2). That is, as shown in FIG. 2, when the lattice unit formed by the wiring 15 surrounding the driving electrode 2 connected to the driving switch TFT 1 is defined as one pixel unit, the colored region on the color filter side ( 14)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is, and is preferably 90% or less with respect to one pixel unit in the area ratio. In forming the colored region by the inkjet method, especially when three colors are simultaneously formed, it is necessary to avoid the mixed color, and also when the incident light from the outside is reflected by the white particles in the microcapsules after passing through the colored region. It is also necessary in order not to be incident on another adjacent colored region.

한편, 패시브 방식 또는 세그먼트 방식에서는 패터닝된 전극 및 도전층에 끼워지는 공통 영역에 있어서 이것보다 대전 입자가 움직이기 위해서 화소 개구부가 되므로 컬러 필터측의 착색 영역(14)은 상기 면적비를 역시 9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컬러 필터에 있어서 착색 영역 이외의 부분을 무착색 또는 투명으로 함으로써 착색 잉크의 사용량을 삭감함과 아울러 밝은 컬러 표시 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착색 영역의 면적의 하한은 50% 이상이며, 이것을 하회하면 백색 입자로부터의 광 산란광에 실질적인 착색을 나타내기 어려워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ssive method or the segment method, in the common area sandwiched between the patterned electrode and the conductive layer, the charged particles move to become pixel openings so that the colored region 14 on the color filter side has the area ratio of 90% or less.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In addition, by using non-colored or transparent portions of the color filter other than the colored region, the amount of colored ink used can be reduced and a bright color display element can be realized. Moreover, the minimum of the area of a coloring area is 50% or more, and when it is less than this, it will become difficult to show substantial coloring to the light scattered light from a white particle.

또한, 잉크젯 방식에서의 인쇄에 있어서의 액적의 착탄 공차는 일반적으로 5~7㎛이다. 따라서, 착색 영역을 90% 이하로 함으로써 3색 동시 인쇄 시의 화소간의 혼색을 피할 수 있어 수율의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이 착탄 공차는, 예를 들면 120㎛×120㎛의 화소 영역을 인쇄하려 할 경우 착색 영역의 면적비에서 10% 정도의 공차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소 내에 동일량의 안료가 존재할 경우 착색 영역을 50% 이상으로 하면 그 착색 면적 공차 내에서의 색특성은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In addition, the impact tolerance of the droplet in printing in an inkjet system is 5-7 micrometers in general. Therefore, by setting the colored area to 90% or less, color mixing between pixels during three-color simultaneous printing can be avoided, contributing to improvement in yield. In addition, this impact tolerance gives about 10% tolerance in the area ratio of a coloring area, for example, when printing the pixel area of 120 micrometers x 120 micrometer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ame amount of pigment is present in the pixel, when the colored region is 50% or more, it was found that the color characteristics within the colored area tolerance are not affected.

착색 영역을 형성하는 착색 잉크에 대해서는 상기 성분에 추가해서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를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와 함께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는 기타 성분과의 상용성이나 잉크젯 연속 토출로의 적응성을 고려해서 자외선 경화성을 갖는 액상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점도가 25℃에 있어서 12000m㎩·s 이하의 범위인 것이 좋다. 점도가 12000m㎩·s보다 커지면 착탄 후의 액적 형상이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About the coloring ink which forms a coloring area, in addition to the said component, resin hardened | cured by an ultraviolet-ray or a heat can be added with a polymerization initiator as nee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 cured by such ultraviolet rays or heat contains a liquid resin having ultraviolet curability in consideration of compatibility with other components and adaptability to inkjet continuous ejection. Preferably, the viscosity is in the range of 12000 mPa · s or less at 25 ° C. When the viscosity becomes larger than 12000 mPa · s, the shape of the droplets after impacting may be uneven.

이 중 착색 잉크에 포함되는 자외선 경화 성분으로서는 다관능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잉크젯 토출에 용이한 저점성의 2관능 또는 3관능의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가 좋다. 관능기로서는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등을 들 수 있지만 물론 이들 이외의 것이어도 좋다. 자외선 경화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1,3-부티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들에 추가해서 광 경화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4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나 올리고머를 첨가해도 좋다.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톨을 골격으로 하는 3관능 또는 4관능의 아크릴레이트나 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을 골격으로 하는 5관능 또는 6관능의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 성분에 액상의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상온에서 액상인 수지를 겸할 수 있다.Among these, as an ultraviolet curing component contained in a coloring ink, a polyfunctional monomer can be used, Preferably a liquid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is mentioned. More preferably, a low viscosity bifunctional or trifunctional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that is easy for inkjet ejection is preferable. Although acryloyloxy group, methacryloyloxy group, etc. are mentioned as a functional group, Of course, these other than these may be sufficient. Specific examples of the ultraviolet curing component include 1,6-hexanediol diacrylate, 1,9-nonanediol diacrylate, 1,4-butanediol di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diacrylate, and trimethyl Roll propane triacrylate, 1, 3- 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etc. can be illustrated. Furthermor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photocurability, you may add a tetrafunctional or more than polyfunctional acryl monomer and oligomer. For example, the trifunctional or tetrafunctional acrylate which has a pentaerythritol frame | skeleton, methacrylate, the 5-functional or 6-functional acrylate which has a skeleton of dipentaerythritol,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Moreover, when a liquid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is selected for an ultraviolet curing component, it can also serve as liquid resin at normal temperature of this invention.

또한, 열에 의해 경화하는 열경화 성분으로서는 상기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가 열경화 성분으로서 전용 가능한 것 이외에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S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등의 에폭시 수지나 페닐글리시딜에테르, p-부틸페놀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디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Moreover, as a thermosetting component which hardens | cures by heat, in addition to the said polyfunctional acryl monomer being exclusively used as a thermosetting component, a phenol novolak-type epoxy resin, cresol novolak-type epoxy resin, bisphenol A-type epoxy resin, bisphenol F-type epoxy resin, Epoxy resins such as bisphenol S type epoxy resin, biphenyl type epoxy resin, alicyclic epoxy resin, phenylglycidyl ether, p-butylphenol glycidyl ether, triglycidyl isocyanurate, and diglycidyl isocyanate Epoxy resins, such as an anurate, allyl glycidyl ether, and glycidyl methacrylate, are mentioned.

또한, 착색 잉크에는 조막성을 목적으로 잉크젯 토출이 가능한 점도 범위에서 바인더를 첨가해도 좋다. 바인더로서는 그 자체는 중합 반응성이 없는 수지, 또는 그 자체가 중합 반응성을 갖는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의 바인더를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바인더가 상온에서 고형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상온에서 고형인 수지를 겸할 수 있다.Moreover, you may add a binder to coloring ink in the viscosity range from which inkjet discharge is possible for the purpose of film formation. As a binder, you may use either resin which does not have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reactivity itself, or resin which itself has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reactivity, and may use it combining 2 or more types of binders. When the binder is solid at room temperature, the binder may serve as a solid resin at room temper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착색 잉크에는 광중합 개시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바인더나 다관능 모노머의 반응 형식의 차이(예를 들면, 라디칼 중합이나 양이온 중합 등) 이외에 각 재료의 종류를 고려해서 적당히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아실포스핀옥사이드,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3-디메틸아미노-2-히드록시프로폭시)-3,4-디메틸-9H-티오크산톤-9-온메소클로라이드,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 메틸,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 p-디메틸아미노벤조산 에틸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벤조산 이소아밀에스테르, 1,3,5-트리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s-트리아진, 2-[2-(5-메틸푸란-2-일)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2-(푸란-2-일)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메틸벤조일포메이트,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의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Moreover, a photoinitiator can also be mix | blended with a coloring ink. Although the photoinitiator is suitably selected considering the kind of each material other than the difference in the reaction form of a binder and a polyfunctional monomer (for example, radical polymerization or cationic polymerization), For example, 1-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2 , 2-dimethoxy-1,2-diphenylethan-1-one, 2-methyl-1- [4- (methylthio) phenyl] -2-morpholinopropane-1-one, 2-benzyl-2 -Dimethylamino-1- (4-morpholinophenyl) -butan-1-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1- [4- (2-hydroxy Methoxy) phenyl] -2-hydroxy-2-methyl-1-propane-1-one,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bisacylphosphine oxide,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but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2-isopropyl thioxanthone, 2,4-diethyl thioxanthone, 2- (3-dimethylamino-2-hydroxypropoxy) -3,4-dimethyl- 9H-thioxanthone-9-one mesochloride, benzophenone, methyl o-benzoylbenzoate, 4- Benzoyl-4'-methyl-diphenylsulfide, 3,3 ', 4,4'-tetra (t-butylperoxycarbonyl), p-dimethylaminobenzoic acid ethyl ester, p-dimethylaminobenzoic acid isoamyl ester, 1 , 3,5-triacryloylhexahydro-s-triazine, 2- [2- (5-methylfuran-2-yl) ethenyl] -4,6-bis (trichloromethyl) -s-tri Azine, 2- [2- (furan-2-yl) ethenyl] -4,6-bis (trichloromethyl) -s-triazine, methylbenzoylformate, 2,4,6-trimethylbenzoyldiphenylforce Photoinitiators, such as a fin oxide, are mentioned.

본 발명에서는 모노크롬 표시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1화소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의 1화소의 착색 영역 내에 상기에서 설명한 잉크젯법에 의해 토출된 착색 잉크가 투명 수지막 상의 임의의 곳에서 일정하게 퍼지고, 또한 그 후의 건조, 노광에 있어서도 착색 영역의 면적이나 형상이 크게 변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용매나 액상의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 등의 흡수성을 갖는 투명 수지막을 형성하도록 해서 수용층을 형성한다. 이때의 투명 수지막의 막두께는 1㎛~30㎛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3~20㎛인 것이 좋다. 1㎛ 미만이면 목적으로 하는 착색 잉크의 퍼짐 지름을 제어하는 것이 불충분하며, 30㎛를 초과하면 착색 화소 사이에서 마이크로 캡슐로부터의 반사광의 혼색이 생길 우려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ed ink discharged by the inkjet method described above in the colored region of one pixel of the color filter corresponding to one pixel formed by the monochrome display device is constantly spread at any place on the transparent resin film. In order to prevent the area and the shape of the colored region from being greatly changed even in the subsequent drying and exposure, a water-soluble layer is formed by forming a transparent resin film having absorbency such as a solvent or a liquid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resin film at this time is 1 micrometer-30 micrometers, Preferably it is 3-20 micrometers. If it is less than 1 micrometer, it is insufficient to control the spreading diameter of the target coloring ink, and if it exceeds 30 micrometers,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mixed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from a microcapsule may arise between colored pixels.

또한, 이 투명 수지막에 대해서는 자외선 경화 후에 있어서도 그 막두께에 있어서의 400㎚의 광선 투과율은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400㎚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은 패널 밝기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이며, 높을수록 바람직하고, 95% 이상에서 사용을 견뎌낼 수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투명 수지막을 형성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은 투명한 수지 성분을 주체로 하는 것일 필요가 있으며, 또한 패널의 제조 환경, 사용 환경에 있어서도 투과율을 유지하는 성분이 선정된다.Moreover, about this transparent resin film, even after ultraviolet cur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of 400 nm in the film thickness is 95% or more. The light transmittance at 400 nm is an important influence on panel brightness, and the higher it is, the more preferable it is, and it can endure use at 95% or more. For that purpose, the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which forms a transparent resin film needs to consist mainly of a transparent resin component, and the component which maintains a transmittance | permeability is selected also in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and use environment of a panel.

잉크젯법에 의해 토출된 착색 잉크는 우선 투명 수지막 상에서 일정하게 퍼지고, 정적 접촉각에서 안정된다. 그 후 이하의 토출 잉크가 겹치기 전, 또는 건조 공정 전까지 착색 잉크 성분 중의 휘발 성분인 용제와 상온에서 액상인 수지가 단시간에 투명 수지막에 흡수되고, 착색 잉크 중의 안료 등의 착색제 및 상온에서 고형인 수지는 투명 수지막 표면과의 접촉면에서 고정되고, 그 후의 건조 공정에서도 착색 영역 면적이 거의 변화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레드, 블루, 그린의 착색 잉크를 각각의 잉크젯 헤드로부터 각각의 소정의 영역에 동시 인쇄해도 서로 혼색하는 일 없도록 인쇄할 경우 착색 잉크의 젖어 퍼짐 지름을 제어하는 관점으로부터 착색 잉크와 투명 수지막이 형성하는 정적 접촉각은 4°~40°가 바람직하다. 4° 미만이면 소망 영역 이상으로 잉크가 퍼질 가능성이 있고, 또한 소망의 색농도를 달성하는 것에 필요한 막두께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정적 접촉각이 40°를 초과하면 화소 내에 멀티 도트로 묘화했을 때에 도트 사이에 피킹이나 무착색 영역이 생기거나 하는 폐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The colored ink discharged by the inkjet method first spreads uniformly on the transparent resin film and is stabilized at a static contact angle. After that, before the following ejection ink overlaps or before the drying step, the solvent, which is a volatile component in the coloring ink component, and a liquid resin at room temperature are absorbed by the transparent resin film in a short time, and the colorants such as pigments in the coloring ink and solid at room temperature The resin is fixe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transparent resin film surface, and the colored area area is hardly changed even in the subsequent drying step. Therefore, for example, when printing red, blue, and green coloring inks from respective inkjet heads at the same time in each predetermined area so as not to be mixed with each other, the coloring inks and the colored inks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ling the wet spreading diameter of the coloring ink. As for the static contact angle which a transparent resin film forms, 4 degrees-40 degrees are preferable. When it is less than 4 degrees, ink may spread to a desired area or more, and it becomes difficult to form the film thickness necessary for achieving a desired color density. In addition, when the static contact angle exceeds 40 °, there may be a problem that peaking and non-colored areas are generated between the dots when drawing with multiple dots in the pixel.

모노크롬 표시 장치의 시인측의 투명 기판 또는 컬러 필터를 형성하는 다른 투명 지지 기재 상에 투명 수지막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는 투명 수지막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을 주체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을 이들 중 어느 한쪽 위에 도포하고, 건조를 행한다. 도포하는 수단으로서는 공지의 도포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필요한 투명 수지막의 막두께를 부여하기 위한 도포량, 도포 속도, 또는 투명 수지 조성물의 점도 등의 모든 물성에 의해 선택된다. 예를 들면, 다이코터, 슬릿코터, 그라비아코터, 콤마코터 등에 의해 투명 수지가 용해된 액상의 수지 용액을 포함한 투명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방법이나 미리 임의의 지지 필름 상에 드라이 필름상의 투명 수지막을 형성해 두고, 모노크롬 표시 장치의 시인측의 투명 기판 또는 컬러 필터를 형성하는 별도의 투명 지지 기재 상에 열 라미네이트로 전사하는 방법 등의 형성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As a means for forming a transparent resin film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on the viewing side of the monochrome display device or another transparent support base material forming a color filter, a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mainly composed of a resin component constituting the transparent resin film is applied on either one of them. And drying. Although a well-known coating method can be used as a means to apply | coat, it selects with all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 application amount, application | coating speed, or viscosity of a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for providing the film thickness of a required transparent resin film. For example, a method of drying after applying a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liquid resin solution in which a transparent resin is dissolved by a die coater, a slit coater, a gravure coater, a comma coater, etc. Forming means, such as a method of transferring by thermal lamination, on a transparent transparent base material which forms a resin film and forms the transparent substrate or color filter on the visual side of a monochrome display apparatus, can be applied.

상기와 같은 모든 특성을 갖는 투명 수지막을 형성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실온에서 조막성을 갖고, 또한 점성을 갖지 않는 수지 바인더를 함유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특성을 부여하는 적합한 것에 투명 수지 바인더를 주체로 하는 수지 조성물을 예시할 수 있다. 투명 수지 바인더 유리 전이 온도 또는 융점은 실온에서 2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한 것으로서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폴리비닐에테르/폴리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착색 잉크를 구성하는 용제 및 상온에서 액상인 수지(예를 들면, 다관능 모노머 성분 등)와 서로 상용성이 좋은 것이 선정된다. 상용성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면 투명 수지막 상의 착색 잉크를 건조한 후에 헤이즈나 산란 등의 광학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which forms the transparent resin film which has all the above characteristics contains a resin binder which has film forming property at least at room temperature and does not have viscosity. The resin composition mainly having a transparent resin binder can be illustrated to the suitable thing which provides such a characteristic.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resin bind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r melting point is 23 degreeC or more at room temperature, As such,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liphatic polyester copolymer, polyvinyl alcohol / polyvinyl ether / polyvinyl ester copolymer, unsaturated poly Ester etc. can be illustrated. These are selected that are compatible with the solvent constituting the coloring ink and a resin (for example, a polyfunctional monomer component, etc.) which are liquid at normal temperature. If the compatibility is not used, optical defects such as haze and scattering may occur after drying the coloring ink on the transparent resin film.

또한, 착색 잉크 용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프로필렌글리콜, 락트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계의 모노아세트산 에스테르, 디아세트산 에스테르, 모노아세트산 모노에틸에테르 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용제를 포함한 착색 잉크에 대하여 투명 수지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적합한 바인더 수지의 조합으로서는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등 분자 중에 에스테르기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 바인더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0~100000 정도의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30000 정도의 것이다. 분자량이 100000을 초과하면 착색 잉크와의 상용성이 나쁜 경우가 있다. 또한, 바인더 수지는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에 기인하는 산가를 갖는 수지이면 착색 잉크 중의 용제를 흡수하여 접촉선을 고정시키는데도 적합하다. 그 경우 적절한 산가의 범위는 10~120㎎KOH/g인 것이 좋다.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coloring ink solvent is generally preferably propylene glycol, lactic acid,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monoacetic acid ester, diacetic acid ester, and monoacetic acid monoethyl ether solvent. Therefore, as a combination of the suitable binder resin contained in the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loring ink containing such a solvent, what has ester group in molecules, such as a methacrylic acid copolymer, an aliphatic polyester copolymer, and unsaturated polyester, is preferable to be use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is binder resin is about 2000-100000, More preferably, it is about 2000-30000. When molecular weight exceeds 100000, compatibility with a coloring ink may be bad. The binder resin is also suitable for absorbing the solvent in the coloring ink and fixing the contact line as long as it is a resin having an acid value derived from a carboxyl group in the molecule. In that case, the suitable acid valu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120 mgKOH / g.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의 일부에 글리시딜기 잔기를 갖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부가시켜 광 가교성을 갖게 한 바인더 수지는 자외선 경화 성분으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nder resin which added the acrylic ester or methacrylic acid ester which has glycidyl group residue to the photocarboxylation property to a part of said carboxyl group can be used suitably also as an ultraviolet curing component.

또한, 자외선 경화 성분으로서 투명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자외선 경화성을 갖는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나 광 개시제를 배합한다. 여기서 액상의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를 배합하면 투명 수지막의 연화점을 낮춤으로써 착색 잉크 중의 용제를 흡수해서 착색 잉크의 퍼짐을 제어하기에 적합한 것이 된다. 여기서 선정되는 아크릴 모노머 및 광 개시제는 상술의 착색 잉크에서 예시한 것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고, 보다 적합하게는 무착색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Moreover, the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which has ultraviolet curability, and a photoinitiator are mix | blended with a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as an ultraviolet curing component. When a liquid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is mix | blended here, it becomes suitable for controlling the spread of a coloring ink by absorbing the solvent in a coloring ink by lowering the softening point of a transparent resin film. The acrylic monomer and photoinitiator selected here can similarly use what was illustrated by the above-mentioned coloring ink, More preferably, what is non-coloring is used preferably.

투명 수지 조성물에 수지 바인더와 상기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를 병용할 경우의 배합 비율로서는 수지 바인더/아크릴 모노머=35~95중량부/5~6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90중량부/10~60중량부로 배합하는 것이 좋다. 수지 바인더의 비율이 35중량부를 하회하면 투명 수지막에 점성이 생기거나 착색 잉크를 형성, 건조 후에 수용층 상의 착색 영역의 형상이 오목상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광 개시제를 배합할 경우에는 수지 바인더와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이하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인 것이 좋다. 15중량부를 초과하면 400㎚의 광선 투과율이 95% 미만이 되는 경우가 있고, 화이트 밸런스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As a blending ratio in the case of using a resin binder and the said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together in a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resin binder / acrylic monomer = 35-95 weight part / 5-65 weight part, Preferably 40-90 weight part / 10-60 weight part It is good to mix | blend by weight part. If the ratio of the resin binder is less than 35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is formed in the transparent resin film or the coloring ink is formed and dried, and the shape of the colored region on the receiving layer becomes concave, which is not preferable. When mix | blending a photoinitiato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5 weight part or less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total amounts of a resin binder and a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Preferably it is 10 weight part or less. When it exceeds 15 weight part, the light transmittance of 400 nm may become less than 95%, and since white balance falls, it is unpreferable.

투명 수지 조성물에 자외선 경화성을 부여해 둠으로써 잉크젯법에 의한 착색 영역을 형성한 후 착색 영역과 함께 자외선 조사에 의해 투명 수지막을 경화시켜서 수용층으로 했을 경우에 하지가 되는 기재나 기판과의 밀착력, 필름 강도의 유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providing ultraviolet curability to a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after forming the colored area | region by the inkjet method, when it hardens a transparent resin film by ultraviolet irradiation with a colored area, and sets it as a receiving layer, adhesiveness with a base material and a board | substrate, and film strength Maintenance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투명 수지막의 자외선 경화 유무에 있어서의 막 강도 및 내약품성의 증가를 이용해서 컬러 필터의 리워크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잉크젯 프로세스에 의해 투명 수지막 상에 착색 영역을 형성한 후에 착색 영역에 충분히 구비되지 않았을 경우 자외선 경화 전에 점착 필름을 사용하거나 세정 용제로 투명 수지막과 함께 착색 영역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Moreover, it becomes possible to comprise the rework process of a color filter using the increase in the film strength and chemical-resista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ltraviolet curing of a transparent resin film.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colored region is not sufficiently provided in the colored region after the colored region is formed by the inkjet process, it is possible to use the adhesive film before ultraviolet curing or to remove the colored region together with the transparent resin film with a cleaning solvent.

또한, 착색 잉크의 흡수를 촉진하기 위해서 투명 수지막을 형성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에는 그 투명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10~200㎚의 무색 미립자를 혼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실리카 미립자, 아크릴 미립자, 폴리비닐피롤리돈 미립자, 알루미나 등이다.Moreover, in order to promote absorption of a coloring ink, well-known 10-200 nm colorless fine particles can also be mixed with the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which forms a transparent resin film in the range which does not impair the transparency. Examples thereof include silica fine particles, acrylic fine particles, polyvinylpyrrolidone fine particles, alumina and the like.

이들의 투명 수지막을 형성하는 구성 성분을 용제에 용해하고, 양호 도포성을 더 부여할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액상의 투명 수지 조성물로서 다이코터, 슬릿코터, 그라비아코터, 콤마코터 등을 사용해서 모노크롬 표시 장치의 시인측 투명 기판 또는 컬러 필터를 형성하는 다른 투명 지지 기재 상에 도포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40℃~110℃에서 건조함으로써 소망의 투명 수지막을 얻을 수 있다.As a liquid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a die coater, a slit coater, a gravure coater, a comma coater, etc. are added as needed, in order to melt | dissolve the structural component which forms these transparent resin films in a solvent, and to add a surfactant as needed for the purpose of further providing favorable coating property. It can apply on the transparent transparent base material which forms the visual side transparent substrate of a monochrome display device, or a color filter using the following. And a desired transparent resin film can be obtained by drying at 40 degreeC-110 degreeC, for example.

계면활성제의 적정한 첨가량은 투명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를 O005~0.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0.1중량부인 것이 좋다. 계면활성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투명 수지 조성물을 건조시켰을 경우 표면이 오렌지 필이 되거나 불균일이 현저해지고, 광학 특성의 저하나 그 후의 잉크 액적의 퍼짐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계면활성제량이 0.5중량부를 초과하면 착색 잉크가 착탄되었을 때에 그 잉크 퍼짐 지름이 커져서 목적으로 하는 화소 영역(착색 영역)의 범위를 초과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실리콘계 및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빅케미사제 BYK시리즈, DIC제 FC시리즈 등을 예시할 수 있다.The appropriate addition amount of surfactant is O005-0.5 weight part of surfactan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s, More preferably, it is 0.005-0.1 weight part. If a surfactant is not present, when a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is dried, an orange peel or a nonuniformity may become remarkable, and the fall of an optical characteristic and the spreading shape of subsequent ink droplets may deform | transform, which is unpreferable. When the amount of the surfactant exceeds 0.5 parts by weight, the ink spreading diameter becomes large when the coloring ink is reached, which may exceed the range of the target pixel region (colored region). As such surfactants, nonionic surfactants are preferable, and silicone-based and fluorine-based surfactants are more preferably used. Specifically, BYK series made by BIC Chem Corporation, FC series made by DIC, etc. can be illustrated.

착색 잉크를 잉크젯법에 의해 잉크젯 노즐로부터 토출해서 착색 영역을 형성할 때는 착색 잉크 1방울로 형성해도 좋지만 복수 방울에 의해 착색 영역을 형성해도 좋다. 그 경우 모노크롬 표시 장치의 1화소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의 1화소에 있어서의 착색 면적 S를 잉크젯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사전에 잉크젯 노즐로부터 투명 수지막 상에 착색 잉크 1방울을 토출시켰을 때에 형성되는 접촉 면적 ao을 목표로 하면 바람직하다. 즉, S가 ao보다 큰 경우에는 복수 액적을 1착색 영역 내에 묘화할 수 있고, 액적을 겹치거나 고립시키거나 합체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1화소 내에 복수 액적으로 묘화할 경우에는 액적 사이의 착탄 시간차에 의해서도 그 합체의 모양은 다르지만 잉크젯 묘화 방법은 여기에 기재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투명 수지막 상에 착탄된 액적을 건조한 후에 형상을 관찰하면 건조 전후의 퍼짐 지름이 그다지 바뀌지 않고 볼록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때에 투명 지지 기재나 기판의 표면성상에 의존하는 일 없이 잉크젯법에 의해 착색 영역의 면적 및 형상이 안정된 컬러 필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the colored ink is discharged from the ink jet nozzle by the inkjet method to form the colored region, one drop of the colored ink may be formed, but the colored region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drops. In that case, when forming the coloring area S in one pixel of the color filter corresponding to one pixel of a monochrome display apparatus by the inkjet method, it forms when one drop of coloring ink is discharged from an inkjet nozzle on a transparent resin film beforehand. It is preferable to aim at the contact area a o to become. That is, when S is larger than a o , a plurality of droplets can be drawn in one colored region, and the droplets can be overlapped, isolated or coalesced. In the case of drawing a plurality of droplets in one pixel, the shape of the coalescence varies depending on the impact time difference between the droplets, but the inkjet drawing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described herein. Moreover, when a shape is observed after drying the droplets which landed on the transparent resin film by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read diameter before and after drying does not change so much, and it has a convex shape. At this time, it becomes possible to form a color filter with stable area and shape of the colored region by the inkjet method without depending on the surface property of the transparent support substrate or the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의 컬러 필터이 적용되는 컬러 표시 장치에 있어서 컬러 필터의 착색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착색 패턴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히 적합한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패턴 형상이 직사각형, 정사각형이나 원에 근접한 경우에는 3종류의 패턴이 반복하여 나열되어 있어도 좋고, L자 배열이어도 좋고, 삼각 배열이어도 좋다. 또한, 모자이크 배열이나 랜덤 배열이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착색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착색 패턴과 함께 투명 패턴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착색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컬러 필터 제조법에 비교해서 잉크젯법은 포토마스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패턴을 선택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4색 이상의 다색 표현에 있어서는 포토리소 공정을 복수 반복할 필요는 없어 비용상 우위이다. 또한, 본명세서 중에 있어서의 「무착색」이란 컬러 필터 상에 착색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또한, 착색 영역 이외를 투명으로 하는 것이란 안료 등의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는 착색 잉크를 사용해서 투명한 화소(투명 영역)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color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color filter of this invention is applied, the coloring pattern formed by the coloring area of a color filt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 shape suitable suitably can be used. For example, when each pattern shape is close to a rectangle, a square, or a circle, three types of patterns may be repeatedly arranged, an L-shaped array, or a triangular array may be used. It may also be a mosaic arrangement or a random arrangement. Moreover, a transparent pattern can be included with the coloring pattern which consists of several colored area | regions. In comparison with the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coloring photoresist, the inkjet method has the characteristic which can select various patterns, without using a photomask. In addition, in multi-color expression of four or more colors, it is not necessary to repeat a plurality of photolithography processes, and it is cost superior. In addition, "no coloring" in this specification means not forming a coloring pattern on a color filter. In addition, making transparent other than a colored area means forming transparent pixel (transparent area) using coloring ink which does not contain coloring agents, such as a pigment.

착색 잉크가 자외선 경화성을 가질 경우 잉크젯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에 적어도 자외선 노광을 실시해서 그 후의 열처리 공정에 의해 패턴 영역이 넓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도 균일한 컬러 필터를 얻는 것에 유효한 수단으로서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할 경우에는 자외선 노광에 의해 착색 잉크를 완전히 경화시킬 필요는 없고, 그 후의 처리로 패턴 영역이 넓어지지 않을 정도의 자외선 조사량이면 좋다.When coloring ink has ultraviolet curability, the method of carrying out inkjet coating, drying, and carrying out at least ultraviolet-ray exposure, and preventing a pattern area from widening by a subsequent heat processing process can also be taken as an effective means for obtaining a uniform color filter. When employ | adopting such a method, it is not necessary to fully harden a coloring ink by ultraviolet exposure, and what is necessary is just the amount of ultraviolet irradiation which the extent of a pattern area does not widen by subsequent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컬러 필터의 용도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컬러 표시 장치의 동작 원리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다. 즉, 적어도 한쪽에 컬러 필터를 형성한 한쌍의 투명 기판 사이에 백색 전기영동 입자와 흑색 전기영동 입자를 투명 분산매 중에 분산시켜서 밀봉한 마이크로 캡슐 또는 백색 및 흑색의 표면 영역을 갖는 회전 입자를 배치한 컬러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전기영동 입자 또는 회전 입자에 대하여 컬러 필터측이 정이 되는 방향의 전계를 인가하면 백색 전기영동 입자 또는 회전 입자의 백색 영역이 부에 대전되어 있을 경우 컬러 필터측으로 이동하고, 또는 회전에 의해 방향을 변경하여 관찰측(시인측)으로부터의 광이 그것에 반사해서 대향하는 착색 패턴을 투과하고, 그 착색 패턴의 색 표시가 된다. 반대로 전기영동 입자 또는 회전 입자에 대하여 컬러 필터측이 부가 되는 방향의 전계를 인가 하면 흑색 전기영동 입자 또는 회전 입자의 흑색 영역이 컬러 필터측으로 이동하고, 또는 회전에 의해 방향을 변경하여 관찰측으로부터의 광이 그것에 흡수되어 색 표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전기영동 입자 또는 회전 입자에 인가되는 전계의 방향을 적당히 선택·제어함으로써 소정의 컬러 표시를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color display apparatus used suitably as a use of the color filter of this invention is as follows. That is, a color in which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and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are dispersed and sealed in a transparent dispersion medium between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on which at least one color filter is formed, or rotating particles having white and black surface areas are arranged. In the display device, when an electric fiel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lor filter side is positive is applied to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or the rotating particles, the white region of the white electrophoretic particles or the rotating particles moves to the color filter side when negatively charged, or rotates. By changing the direction, the light from the observation side (viewing side) is reflected by it, transmits the opposing colored pattern, and color display of the colored pattern is obtained. On the contrary, when an electric fiel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lor filter side is added to the electrophoretic particles or the rotating particles is applied, the black region of the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or the rotating particles is moved to the color filter side, or the direction is changed by rotation to change from the observation side. Light is absorbed into it, and color display is not achieved. Thus, predetermined color display can be performed by suitably selecting and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applied to electrophoretic particle | grains or rotating particle | grains.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용층을 채용함으로써 잉크젯법에 의해 토출되어 착색 잉크가 인접하는 다른 착색 잉크와 혼색하는 일 없이 착색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하지가 되는 투명 지지 기재나 기판의 표면성상에 의존하는 일 없이 그 착색 영역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수용층을 구비한 컬러 필터에 의하면 밝은 컬러 전자 페이퍼 등의 컬러 표시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컬러 필터의 제조에 있어서 공정 수, 재료사용량의 삭감에도 공헌한다.By employing the receiving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ed region can be formed without being mixed by the inkjet method and the colored ink is mixed with other adjacent colored inks, and it is also dependent on the surface property of the transparent support base material or the substrate, which becomes the base. The coloring region can be obtained stably without doing it.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lor filter provided with the accommodating layer of this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color display apparatuses, such as a bright color electronic paper. 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t contributes also to the reduction of process number and material usage in manufacture of a color filter.

도 1은 본 발명의 컬러 표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일부)이다.
도 2는 컬러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한쌍의 투명 기판 중 TFT를 갖는 구동측의 투명 기판의 모양을 설명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3은 착색 잉크의 묘화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 설명도이다.
도 4는 착색 잉크의 다른 묘화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 설명도이다.
도 5는 착색 잉크에 의한 착색 영역의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 설명도이다.
도 6은 착색 잉크에 의한 8타점 묘화에 있어서의 묘화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 설명도이다.
도 7은 묘화 패턴의 표면 형상을 나타내는 표면 형상 측정 데이터이다.
1: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part)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color display apparatus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transparent substrate on the drive side with TFTs among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in a color display device. FIG.
It is a schematic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drawing pattern of a coloring ink.
4 is a schematic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drawing pattern of the coloring ink.
It is a schematic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hape of the colored area | region by colored ink.
It is a schematic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drawing procedure in eight RBI drawing by coloring ink.
7 is surface shape measurement data showing the surface shape of a drawing patter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의 표기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모두 중량부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as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shown, and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n addition, all description of a "part" is a weight part unless there is particular notice.

실시예Example

[착색 잉크젯 잉크(R1; 레드, G1; 그린, B1; 블루의 조제][Preparation of colored inkjet ink R1; red, G1; green, B1; blue]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컬러 필터용 미세 안료를 사용해서 고분자 분산제를 공존 하에서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용매로 해서 비즈밀 중에서 분산을 행하고, 레드, 그린 및 블루의 분산액을 조제했다. 이 분산액을 바탕으로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혼합하고, 혼합 용액을 1㎛ 마이크로 필터에 의해 가압 여과를 행하여 각 색의 착색 잉크젯 잉크(착색 잉크)를 조제했다. 물성값을 함께 표 1에 나타낸다.As shown in Table 1, first, dispersion was carried out in a bead mill using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as a solvent under coexistence of a polymer dispersant using a fine pigment for color filters, to prepare a dispersion liquid of red, green, and blue. Based on this dispersion liquid, it mix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the mixed solution was filtered under pressure with the 1 micrometer microfilter, and the coloring inkjet ink (coloring ink) of each color was prepared. The physical property values are shown in Table 1 together.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또한, 상기 표 1 및 후술하는 표 2에 있어서의 약칭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abbreviated-name in the said Table 1 and Table 2 mentioned later is as follows.

「PE-4A」: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kyoeisha Chemical Co.,Ltd.제)"PE-4A":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manufactured by kyoeisha Chemical Co., Ltd.)

「EGDAC」: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Daicel Chemical Industries,Ltd.제)"EGDAC":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manufactured by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KBM-5103」: 3-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Shin-Etsu Chemical Co., Ltd.제)"KBM-5103": 3-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Irgcure907」: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Ciba Japan K.K.제)"Irgcure907": 2-methyl-1- [4- (methylthio) phenyl] -2-morpholinopropane-1-one (manufactured by Ciba Japan K.K.)

「BYK-378」: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계 계면활성제(빅케미사제)`` BYK-378 '': Polyether-modified polydimethylsiloxane-based surfactants (manufactured by BIC Chem Corporation)

「PR254」: 피그먼트 레드 254`` PR254 '': Pigment Red 254

「PG36/PY150=50/50」: 피그먼트 그린 36과 피그먼트 옐로 150의 공분산`` PG36 / PY150 = 50/50 '': Covariance between Pigment Green 36 and Pigment Yellow 150

「PB15:6」: 피그먼트 블루 15:6`` PB15: 6 '': Pigment Blue 15: 6

「P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수지"P1": Resin obtained in Synthesis Example 1

「P2」: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수지"P2": Resin obtained in Synthesis Example 2

「P3」: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수지"P3": Resin obtained in Synthesis Example 3

「P4」: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TP217(The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Ltd.제, 분자량 16000, 유리 전이점 40℃, 40% 농도)"P4": Saturated polyester resin TP217 (manufactured by The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molecular weight 16000, glass transition point 40 ° C, 40% concentration)

「Q1」: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kyoeisha Chemical Co.,Ltd.제 PE-4A)"Q1":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PE-4A made by Tokyoeisha Chemical Co., Ltd.)

「Q2」: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TMPA)"Q2":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A)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물성값에 대해서 잉크 점도는 E형 점도계를 사용해서 23℃에서 측정을 행했다. 잉크 표면 장력은 백금판을 사용한 부력법에 의해 CBVP-Z(Kyowa Interface Science Co., Ltd제)를 사용해서 23℃에서 측정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착색 화소(착색 영역)의 표면 형상 및 크기에 대해서는 착탄 후 및 경화 후의 형상을 광학현미경으로 측정하고, 또한 형상을 광학 간섭식 표면 형상 측정기 WYCONT1100(Veeco Instruments Inc.제)을 사용해서 측정했다. 또한, Konica Minolta Holdings, Inc.제 잉크젯 헤드(KM512M, 14pl사양)를 사용해서 구동 주파수 4.8㎑, 인가 전압 16.8V에서 헤드 온도 23℃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각 착색 잉크 R1, B1, G1의 10분간 연속 토출 시험을 행한 결과 노즐 막힘은 전혀 없이 양호한 토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In addition, about the physical-property value shown in Table 1, ink viscosity was measured at 23 degreeC using the E-type viscosity meter. Ink surface tension was measured at 23 degreeC using CBVP-Z (made by Kyowa Interface Science Co., Ltd.) by the buoyancy method using a platinum board. In addition, about the surface shape and size of the colored pixel (colored area | region) demonstrated below, the shape after impacting and hardening were measured with the optical microscope, and the shape was measured with the optical interference type surface shape measuring instrument WYCONT1100 (made by Veeco Instruments Inc.). Measured using. In addition, the inkjet head (KM512M, 14pl specification)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Holdings, Inc. was used for 10 minutes of the coloring inks R1, B1, and G1 obtained above at a head temperature of 23 ° C. at a driving frequency of 4.8 kHz and an applied voltage of 16.8 V. As a result of the discharg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ozzle exhibited good discharge characteristics without any clogging.

[투명 수지막을 형성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of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to Form Transparent Resin Film]

이하의 합성예에서 얻어진 수지 용액의 특성을 이하와 같이 해서 구했다.The characteristic of the resin solution obtained by the following synthesis examples was calculated | required as follows.

<고형분 농도>&Lt; Solid content concentration >

합성에 의해 얻어진 수지 용액(반응성 생물이나 중합성 이중 결합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경우를 포함한다) 1g을 유리 필터[중량: WO(g)]에 함침시켜서 칭량하고[W1(g)], 160℃에서 2시간 가열한 후의 중량[W2(g)]으로부터 이하 식에 의해 구했다.1 g of a resin solution obtained by the synthesis (including the case of a reactive organism or a polymerizable double bond-containing (meth) acrylate resin) was impregnated into a glass filter [weight: WO (g)] and weighed [W1 (g)] And it calculated | required by the following formula from the weight [W2 (g)] after heating at 160 degreeC for 2 hours.

고형분 농도(중량%)=100×(W2-W0)/(W1-W0)Solid content concentration (% by weight) = 100 x (W2-W0) / (W1-W0)

<산가><Acid value>

수지 용액을 디옥산으로 용해시키고, 전위차 적정 장치(히라누마 세이사쿠쇼제 상품명 COM-1600)를 사용해서 1/10N-KOH 수용액으로 적정해서 구했다.The resin solution was dissolved in dioxane and titrated with 1 / 10N-KOH aqueous solution using a potentiometric titration device (trade name COM-1600 manufactured by Hiranuma Seisakusho).

<분자량><Molecular Weight>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전개 용매로 하고,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값으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구한 값이다.It is the value which calculated | require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s tetrapolyfuran as a developing solvent and it is a standard polystyrene conversion value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유리 전이점>&Lt; Glass transition point >

수지 용액을 유리 기판 상에 스핀코트하고, 100℃에서 1시간 건조한 후에 얻어진 도막을 사용해서 DSC법에 의해 유리 전이점을 구했다.The glass solution was spin-coated on the glass substrate, and the glass transition point was calculated | required by the DSC method using the coating film obtained after drying at 100 degreeC for 1 hour.

<점성><Viscosity>

건조 후의 투명 수지막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점착성을 나타내지 않고, 또한 지문 흔적이 남지 않는 것을 「점성이 보이지 않는다○」로 정의했다.By contact |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resin film after drying, the adhesiveness was not exhibited and the thing which a fingerprint trace does not remain was defined as "the viscosity is not seen ○."

<투명성><Transparency>

소정의 투명 지지 기재를 레퍼런스로 하고, 투명 수지막을 실시한 투명 수지가 부착된 지지 기재를 Hitachi High-Tech Fielding Corporation제 U-4000로 투과율을 350㎚~700㎚ 파장광으로 측정했다.Using the predetermined transparent support base material as a reference, the transmittance | permeability was measured with 350 nm-700 nm wavelength light by U-4000 by Hitachi High-Tech Fielding Corporation with the support base material with transparent resin which performed the transparent resin film.

(합성예 1)(Synthesis Example 1)

질소 도입관 및 환류관이 부착된 1000㎖ 4구 플라스크 중에 메타크릴산 이소부틸(iBMA) 54.5g(0.384㏖), 메타크릴산 메틸(MMA) 76.8g(0.768㏖),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AIBN) 1.0g(0.006㏖) 및 PGMEA(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00g을 주입하고, 80~85℃에서 질소 분위기 하, 8시간 교반해서 중합시켰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그 고형분을 30%로 조정하도록 PGMEA를 첨가해서 수지 용액 1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용액 1에 포함되는 수지 P1은 Mw=65000, 산가는 1 이하로 측정 불능이었다. 유리 전이점은 45-50℃이었다.54.5 g (0.384 mol) of isobutyl methacrylate (iBMA), 76.8 g (0.768 mol) of methyl methacrylate (MMA), 2,2'-azo in a 1000 ml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nitrogen inlet tube and a reflux tube. 1.0 g (0.006 mol) of bis (2-methyl- butyronitrile) (AIBN) and 200 g of PGMEA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were injected | poured, and it stirred and polymerized at 80-85 degreeC under nitrogen atmosphere for 8 hours. After cooling to room temperature, PGMEA was added to adjust its solid content to 30% to obtain Resin Solution 1. Resin P1 contained in obtained resin solution 1 had Mw = 65000 and the acid value was 1 or less, and it was impossible to measure. The glass transition point was 45-50 ° C.

(합성예 2)(Synthesis Example 2)

질소 도입관 및 환류관이 부착된 1000㎖ 4구 플라스크 중에 메타크릴산(MAA) 33.0g(0.384㏖), 메타크릴산 이소부틸(MPA) 6.15g(0.0433㏖), AIBN 2.21g(0.012㏖) 및 PGMEA 80g을 주입하고, 80~85℃에서 질소 분위기 하, 8시간 교반해서 중합시켰다. 또한, 플라스크 내에 메타크릴산 글리시딜(MGA) 48.8g(0.384㏖), 트리페닐포스핀1.44g(0.0055㏖) 및 2,6-디-tert-부틸-크레졸 0.055g을 PGMEA 83g과 함께 주입하고, 80~85℃에서 16시간 교반하여 중합성 이중 결합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성 이중 결합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IR 측정으로부터 1409㎝-1(비닐기), 1186㎝-1(카르복실기)에 피크가 관측되었다. 이것에 의해 중합성 이중 결합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PGMEA로 희석해서 고형분 농도 30%의 수지 용액 2를 조정했다. 얻어진 수지 용액 2에 포함되는 수지 P2의 평균 분자량 Mw=19000, 산가는 100㎎KOH/g이었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35-40℃이었다.33.0 g (0.384 mol) of methacrylic acid (MAA), 6.15 g (0.0433 mol) of isobutyl methacrylic acid (MPA) and 2.21 g (0.012 mol) of AIBN in a 1000 ml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nitrogen inlet tube and a reflux tube. And PGMEA80g were injected, and it stirred and polymerized at 80-85 degreeC under nitrogen atmosphere for 8 hours. In addition, 48.8 g (0.384 mol) of methacrylic acid glycidyl (MGA), 1.44 g (0.0055 mol) of triphenylphosphine and 0.055 g of 2,6-di-tert-butyl-cresol were injected into the flask together with 83 g of PGMEA. And it stirred at 80-85 degreeC for 16 hours, and obtained polymeric double bond containing (meth) acrylate resin. Peaks were observed in 1409 cm -1 (vinyl group) and 1186 cm -1 (carboxyl group) from IR measurement of the obtained polymerizable double bond-containing (meth) acrylate resin. This confirmed that it was polymerizable double bond containing (meth) acrylate resin. Furthermore, it diluted with PGMEA and adjusted the resin solution 2 of 30% of solid content concentration. Average molecular weight Mw = 19000 and acid value of resin P2 contained in obtained resin solution 2 were 100 mgKOH / 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resin was 35-40 degreeC.

(합성예 3)(Synthesis Example 3)

질소 도입관 및 환류관이 부착된 1000㎖ 4구 플라스크 중에 메타크릴산 18.9g(0.219㏖), 메타크릴산 메틸 38.4g(0.384㏖), 편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MMA/MPA 공중합체(중량 평균 분자량 6000에 메타크릴산 글리시딜을 등몰량 부하시킨 반응성 마크로머) 7.84g(약 0.0013㏖), AIBN l.00g(0.0052㏖) 및 PGMEA 120g을 주입하고, 80~85℃에서 질소 분위기 하, 8시간 교반해서 중합시켰다. 또한, 플라스크 내에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46.9g(0.219㏖), 트리페닐포스핀 1.44g(0.0055㏖) 및 2,6-디-tert-부틸-크레졸 0.055g을 PGMEA 80g과 함께 주입하고, 80~85℃에서 16시간 교반하여 중합성 이중 결합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성 이중 결합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IR 측정으로부터 1409㎝-1(비닐기), 1186㎝-1(카르복실기)에 피크가 관측되었다. 이것에 의해 중합성 이중 결합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PGMEA로 희석해서 고형분 농도 30%의 수지 용액 3을 조정했다. 얻어진 수지 용액 3에 포함되는 수지 P3의 평균 분자량 Mw=47000, 산가는 4㎎KOH/g이었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60-65℃이었다.MMA / MPA copolymer having 18.9 g (0.219 mol) of methacrylic acid, 38.4 g (0.384 mol) of methyl methacrylate, and a single terminal carboxyl group in a 1000 ml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nitrogen inlet tube and a reflux tub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7.84 g (approximately 0.0013 mol) of reactive macromers having an equal molar load of glycidyl methacrylate, 6000 g (0.0052 mol) of AIBN, and 120 g of PGMEA were charged, and the mixture was heated at 80 to 85 ° C. under a nitrogen atmosphere. It stirred for hours and superposed | polymerized. In addition, 46.9 g (0.219 mol) of methacrylic acid glycidyl, 1.44 g (0.0055 mol), and 0.055 g of 2,6-di-tert-butyl-cresol were injected into the flask together with 80 g of PGMEA, and 80 It stirred at -85 degreeC for 16 hours, and obtained polymeric double bond containing (meth) acrylate resin. Peaks were observed in 1409 cm -1 (vinyl group) and 1186 cm -1 (carboxyl group) from IR measurement of the obtained polymerizable double bond-containing (meth) acrylate resin. This confirmed that it was polymerizable double bond containing (meth) acrylate resin. Furthermore, it diluted with PGMEA and adjusted the resin solution 3 of 30% of solid content concentration.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resin P3 contained in the obtained resin solution 3 was 47000, and the acid value was 4 mgKOH / 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sin was 60-65 ° C.

[실시예 1]Example 1

합성예 2에서 조제한 수지 용액(P2 용액)을 사용해서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투명 수지 조성물을 조정하고, 이접착 PET(TOYOBO CO., LTD.제 A4100, 막두께100㎛)의 이접착면에 건조한 후 막두께가 5㎛가 되도록 슬릿코트에 의해 인쇄하고, 상온에서 1200㎩×20초, 400㎩×30초로 진공 건조시키고, 그 후 70℃×5분간 핫플레이트 상에서 열 건조시켜서 투명 수지막이 부착된 PET 필름을 얻었다. 투명 수지막의 도막 표면에 점성은 없었다. 또한, 그 400㎚ 광선 투과율은 95% 초과이었다.The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was adjusted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2 using the resin solution (P2 solution) prepared in Synthesis Example 2, and then to the easily adhesive surface of easy-adhesive PET (A4100 manufactured by TOYOBO CO., LTD., Film thickness of 100 μm). After drying, the film was printed by a slit coat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5 μm, vacuum dried at 1200 ° × 20 seconds and 400 ° × 30 seconds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thermally dried on a hot plate at 70 ° C. for 5 minutes to attach a transparent resin film. Obtained PET film. There was no viscosity on the coating film surface of a transparent resin film. Moreover, the 400 nm light transmittance was more than 95%.

이어서, Konica Minolta Holdings, Inc.제 잉크젯 헤드 KM512M(14pl 토출 가능한 노즐 512구멍을 장착)을 사용해서 상술의 착색 잉크젯 잉크 G1을 상술하는 투명 수지막이 부착된 PET 필름의 투명 수지막에 대하여 3O2㎛ 피치로 1타점으로 묘화해서 투명 수지막 상에 형성되는 착색 영역의 확대를 관찰했다. 묘화 후 핫플레이트 상에서 70℃에서 3분간 건조를 행하고, 자외선 노광기로 1500mJ(I선 기준) 노광하고, 70℃에서 10분간 어닐링 처리를 더 행하고, 투명 수지막을 경화시켜서 수용층으로 했다. 이때 착색 잉크의 액적의 퍼짐을 측정한 결과 투명 수지막에 묘화한 직후의 퍼짐 지름은 94㎛이며, 건조, 노광, 어닐링과 공정을 거쳐도 착색 영역의 확대는 대부분 관찰되지 않고, 그 단면 형상도 볼록 형상이었다.Subsequently, a pitch of 3O2 占 퐉 was applied to the transparent resin film of the PET film with a transparent resin film specifying the above-described coloring inkjet ink G1 using the ink jet head KM512M (equipped with 512 holes of 14 pl ejectable nozzles)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Holdings, Inc. The enlargement of the coloring area | region formed on one transparent point and formed on a transparent resin film was observed. After drawing, drying was performed for 3 minutes at 70 degreeC on the hotplate, 1500mJ (I line reference | standard) exposure was performed by the ultraviolet exposure machine, the annealing process was further performed at 70 degreeC for 10 minutes, and the transparent resin film was hardened and it was set as the receiving layer. At this tim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preading of the droplets of the coloring ink, the spreading diameter immediately after drawing on the transparent resin film was 94 µm, and the enlargement of the colored region was not observed even after drying, exposure, annealing, and processing. It was convex.

이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서 별도로 준비한 투명 수지막이 부착된 PET 필름에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회째의 묘화에서 중심간 거리를 45㎛ 떨어져서 G1 잉크를 2방울 묘화하고, 이것을 묘화 방향(Y방향)으로 302㎛ 피치 떨어져서 연속해서 묘화했다. 또한, 5초 후에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회째의 묘화를 1회째의 묘화로부터 X방향으로 중심간 거리를 45㎛ 떨어져서 2방울을 마찬가지로 모두 묘화하고, 합계 4방울을 겹쳐서 1화소 내를 묘화하고, 이하와 같이 해서 착색 영역을 형성한 후 착색 도막의 확대를 관찰했다. 즉, 묘화 후 70℃에서 3분간 건조하고, 자외선 노광기로 1500mJ 노광하고, 70℃에서 10분간 열처리를 더 행하여 얻어진 착색 영역의 퍼짐을 관찰했다. 이때의 착색 영역은 도 5(b)에 나타내는 형상 및 퍼짐은 150㎛×150㎛ 내로 받아들여진다(도 5(b)에서 말하는 Xmax=150㎛, Ymax=150㎛). 또한, 액적과 투명 수지막의 접촉선이 건조/노광/열처리 중에도 유지되어 있고, 4방울이 하나의 원상으로 퍼진 형상의 도트가 되는 경우는 없었다.Subsequently, two drops of G1 ink were drawn on the PET film with a transparent resin film prepared separately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ith a distance of 45 m between the centers in the first drawing, and the drawing direction (Y Direction), and were drawn continuously at 302 micrometer pitch. After 5 seconds, as shown in Fig. 3 (b), the second drawing is similarly drawn with the second distance from the first drawing in the X direction at a distance of 45 µm from the first drawing, and four drops in total are overlapped in one pixel. After drawing and forming colored region as follows, the enlargement of the colored coating film was observed. That is, after drawing, it dried for 3 minutes at 70 degreeC, 1500mJ exposure was performed by the ultraviolet exposure machine, and spreading of the colored area | region obtained by further heat-processing at 70 degreeC for 10 minutes was observed. At this time, the shape and spread of the colored region shown in Fig. 5 (b) are accepted within 150 μm × 150 μm (Xmax = 150 μm and Ymax = 150 μm in Fig. 5 (b)). Moreover, the contact line of a droplet and a transparent resin film was hold | maintained even during drying / exposure / heat processing, and four droplets did not become the dot of the shape spread to one circular shape.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TOYOBO CO., LTD.제 이접착 PET(A4100)의 이접착면(잉크가 번지기 쉬운 처리를 한 면)에 대하여 투명 수지막을 형성하는 일 없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G1 잉크를 직접 묘화하고, 마찬가지로 해서 건조, 노광, 열처리를 행했다. PET 상에 있어서의 액적의 퍼짐 지름은 150㎛를 초과해서 젖어서 퍼져 있고, 그 경계면은 일정하지 않았다.Draw G1 ink directly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ithout forming a transparent resin film on the easy-adhesive surface (the surface on which the ink was easily spread) of the easy-adhesive PET (A4100) made by TOYOBO CO., LTD. And drying, exposure, and heat treatment were performed. The spreading diameter of the droplets on PET was more than 150 µm wet and spread, and the interface was not constant.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G1 잉크를 4방울 겹쳐서 1화소 내의 착색 영역이 되도록 해서 착색 영역을 형성했다. 묘화 후의 액적의 퍼짐 지름은 150㎛×150㎛을 초과하고, 각 착색 영역의 퍼짐 형상을 비교해도 일정하지 않았다.Further,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four drops of G1 ink were overlapped to form a colored region in one pixel, thereby forming a colored region. The spreading diameter of the droplets after drawing exceeded 150 micrometers x 150 micrometers, and it was not fixed even if the spreading shape of each colored area was compar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TOYOBO CO., LTD.제 이접착 PET(A4100)의 통상 PET면에 투명 수지막을 형성하는 일 없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묘화를 행하고, 착색 영역을 형성하여 그 퍼짐을 관찰한 결과 도 5(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하나의 원상으로 퍼진 형상의 착색 영역이 되어 있었다.As a result of drawing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ithout forming a transparent resin film on the normal PET surface of the easy-adhesive PET (A4100) manufactured by TOYOBO CO., LTD. ), And the colored area | region of the shape spread to one circular shape was shown.

[실시예 2~3][Examples 2 to 3]

표 2의 실시예 2,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예 1에서 조제한 수지 용액(P1 용액)과 합성예 2에서 조제한 수지 용액(P2 용액)을 각각 사용하고, 또한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로서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kyoeisha Chemical Co.,Ltd.제 PE-4A)(Q1)를 사용하고, 또한 광 개시제로서 이르가큐어907(BASF제), 계면활성제로서 BYK333을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혼합해서 투명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TOYOBO CO., LTD.제 이접착 PET(A4100)의 이접착면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5㎛ 막두께로 해서 투명 수지막을 형성했다. 건조 후의 투명 수지막 표면의 점성은 없고, 또한 그 400㎚의 광선 투과율은 97% 초과이었다.As shown in Examples 2 and 3 of Table 2, the resin solution (P1 solution) prepared in Synthesis Example 1 and the resin solution (P2 solution) prepared in Synthesis Example 2 were used, respectively, and pentaerythritol tetraacrylic was used as the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Using a rate (PE-4A manufactured by Tokyoeisha Chemical Co., Ltd.) (Q1), Irgacure 907 (manufactured by BASF) as a photoinitiator, and BYK333 as a surfactant were mixed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2 to form a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and a transparent resin film was formed on the easily bonding surface of TOYOBO CO., LTD. Easily adhesive PET (A4100)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have a 5 μm film thickness. There was no viscosity of the transparent resin film surface after drying, and the light transmittance of 400 nm was more than 97%.

이어서, Y방향의 중심간 거리는 50㎛ 떨어져서 겹치도록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타점 피치 50㎛로 G1 잉크를 4타점이 겹치도록 직접 묘화하고, 마찬가지로 해서 건조, 노광, 열처리를 행했다. 묘화 직후 및 열처리 후에도 PET 상에 있어서의 액적의 퍼짐 지름은 이때의 착색 영역은 도 5(b)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그 퍼짐은 150㎛×150㎛ 내로 받아들어져 있엇다. 또한, 액적과 투명 수지막의 접촉선이 건조/노광/열처리 중에도 유지되어 있고, 4방울이 하나의 원상으로 퍼진 형상의 도트가 되는 경우는 없었다.Subsequently,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in the Y direction was 50 µm apart, and the G1 ink was directly drawn so as to overlap four R spots with a RBI pitch of 50 µm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similarly dried, exposed, and heat treated. Immediately after drawing and even after heat treatment, the spreading diameter of the droplets on the PET was in the shape shown in Fig. 5 (b), and the spreading was taken within 150 µm x 150 µm. Moreover, the contact line of a droplet and a transparent resin film was hold | maintained even during drying / exposure / heat processing, and four droplets did not become the dot of the shape spread to one circular shape.

[실시예 4~8]EXAMPLES 4-8

표 2의 실시예 4~8인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용액(P2~P4 용액)을 사용해서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의 투명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TOYOBO CO., LTD.제 이접착 PET(A4100)의 이접착면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5㎛ 막두께로 해서 투명 수지막을 형성했다. 건조 후의 투명 수지막 표면의 점성은 없고, 또한 그 400㎚의 광선 투과율은 97% 초과이었다.As shown in Examples 4-8 of Table 2, the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of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2 was prepared using resin solution (P2-P4 solution), and it was made of TOYOBO CO., LTD. The transparent resin film was formed in the easily bonding surface similarly to Example 1 as a 5 micrometer film thickness. There was no viscosity of the transparent resin film surface after drying, and the light transmittance of 400 nm was more than 97%.

이어서, 실시예 2, 3과 마찬가지로 해서 G1 잉크를 타점 피치 50㎛ (Y방향) 및 45㎛(X방향)으로 4타점이 겹치도록 직접 묘화하고(단, 실시예 5, 7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이 Y방향의 중심간 거리는 45㎛ 떨어져서 포개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해서 건조, 노광, 열처리를 행했다. 묘화 직후 및 열처리 후에도 PET 상에 있어서의 액적의 퍼짐 지름은 이때의 착색 영역은 도 5(b)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그 퍼짐은 150㎛×150㎛ 내로 받아들여져 있었다. 또한, 액적과 투명 수지막의 접촉선이 건조/노광/열처리 중에도 유지되어 있고, 4방울이 하나의 원상으로 퍼진 형상의 도트가 되는 경우는 없었다.Subsequently,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2 and 3, G1 ink was directly drawn so as to overlap four RBIs at a RBI pitch of 50 µm (Y direction) and 45 µm (X direction) (However, in Examples 5 and 7, Likewis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in the Y direction is superimposed at 45 µm apart). Similarly, drying, exposure and heat treatment wer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drawing and even after heat treatment, the spreading diameter of the droplets on the PET was in the shape shown in FIG. Moreover, the contact line of a droplet and a transparent resin film was hold | maintained even during drying / exposure / heat processing, and four droplets did not become the dot of the shape spread to one circular shape.

이하, 실시예 9~18에 있어서는 TFT의 1화소의 사이즈를 151㎛×153㎛로 해서 600×800화소의 6인치 패널에 대응하는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그리고 이들의 컬러 필터는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한 전기영동식의 모노크롬 표시 전자 서적Kindle(아마존사제 D701)의 투명 기판측에 부착해서 컬러 표시 장치를 얻도록 했다.Hereinafter, in Examples 9-18, the color filter corresponding to the 6-inch panel of 600x800 pixels was produced with the size of one pixel of TFT being 151 micrometer x 153 micrometers. These color filters were attached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side of the electrophoretic monochrome display electronic book Kindle (D701 manufactured by Amazon Corporation) using microcapsules to obtain a color display device.

[실시예 9][Example 9]

Konica Minolta Holdings, Inc.제 잉크젯 헤드 KM512M(14pl 토출 가능한 노즐 512구멍을 장착)을 사용해서 상술한 착색 잉크 R1,G1,B1을 실시예 1에서 작성한 투명 수지막이 부착된 PET 필름의 투명 수지막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묘화 방법에 의해 4타점에 의한 착색 영역을 형성하고,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X방향으로 153㎛ 피치(306㎛ 피치로 2회에 나누어서 형성), Y방향으로 151㎛ 피치(302㎛ 피치로 2회에 나누어서 형성)로 각 색을 어긋나게 묘화해서 이하와 같이 해서 연속한 착색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6인치 사이즈의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즉, 묘화 후 핫플레이트 상에서 70℃에서 3분간 건조를 행하고, 자외선 노광기로 1500mJ(I선 기준) 노광하고, 70℃에서 10분간 열처리를 더 행했다. 처리 과정에 있어서의 각 액적의 3색의 중복은 전혀 보이지 않고, 볼록 형상을 나타냈다.Coloring ink R1, G1, B1 mentioned above was used for the transparent resin film of PET film with the transparent resin film created in Example 1 using the inkjet head KM512M (The 14-pl ejectable nozzle 512 holes) by Konica Minolta Holdings, Inc. By the drawing method shown in Example 1, the colored region by four RBI was formed, and also 153 micrometer pitch (divided twice in 306 micrometer pitch) in the X direction shown in FIG. 4, and 151 micrometer pitch in the Y direction ( 6-inch size color filter was produced by drawing each color shift | deviating by 2 times with 302 micrometer pitch, and forming continuous colored region as follows. That is, after drawing, drying was performed for 3 minutes at 70 degreeC on the hotplate, 1500 mJ (I line reference | standard) exposure was performed by the ultraviolet exposure machine, and heat processing was further performed for 10 minutes at 70 degreeC. The overlap of three colors of each droplet in the process was not seen at all, and showed convex shape.

상기에서 얻어진 컬러 필터를 사용해서 1화소의 피치 151㎛×153㎛, 600×800화소수의 6인치 모노크롬 전자 페이퍼 패널에 아크릴계 투명 점착제를 통해 점착함으로써 컬러 표시 소자를 제작했다. 각 색의 화소를 점등한 결과 착색 화소간의 혼색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컬러 필터를 접착하기 전의 모노크롬 표시를 100%로 했을 때에 비교해서 컬러 표시 소자의 반사율은 모두 60%를 초과하여 밝은 패널을 얻어진 것을 확인했다.Using the color filter obtained above, the color display element was produced by sticking to the 6-inch monochrome electronic paper panel of the pitch of 151 micrometers x 153 micrometers of 600 pixels, and the pixel number of 600 x 800 pixels using the acrylic transparent adhesive. As a result of turning on the pixels of each color, the mixed color between the colored pixels was not seen. Moreover,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monochrome display before adhering a color filter was made into 100%, the reflectance of the color display element all confirmed that the bright panel was obtained more than 60%.

[실시예 10~18][Examples 10-18]

Konica Minolta Holdings, Inc.제 잉크젯 헤드 KM512M(14pl 토출 가능한 노즐 512구멍을 장착)을 사용해서 상술의 착색 잉크 R1,G1,B1을 실시예 2~10에서 작성한 투명 수지막이 부착된 PET 필름의 투명 수지막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묘화 방법으로 4타점에 의한 착색 영역을 형성하고,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X방향으로 153㎛ 피치(306㎛ 피치로 2회에 나누어서 형성), Y방향으로 151㎛ 피치(302㎛ 피치로 2회에 나누어서 형성)로 묘화하고, 이하와 같이 해서 연속한 착색 영역을 얻어 6인치 사이즈의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즉, 묘화 후 핫플레이트 상에서 70℃에서 3분간 건조를 행하고, 자외선 노광기로 1500mJ(I선 기준) 노광하고, 70℃에서 10분간 열처리를 더 행했다. 처리 과정에 있어서의 각 액적의 3색의 중복은 전혀 보이지 않고, 볼록 형상을 나타냈다.Transparent resin of PET film with transparent resin film which made colored ink R1, G1, B1 mentioned above in Examples 2-10 using inkjet head KM512M (14 holes ejectable nozzle 512 holes) by Konica Minolta Holdings, Inc. About the film | membrane, the coloring area | region by four RBI was formed by the drawing method shown in Example 1, and also 153 micrometer pitch (divided twice in 306 micrometer pitch) in the X direction shown in FIG. 4, and 151 micrometer pitch in Y direction (Divided twice in 302 micrometers pitch), and the continuous colored area | region was obtained as follows, and the 6-inch-size color filter was produced. That is, after drawing, drying was performed for 3 minutes at 70 degreeC on the hotplate, 1500 mJ (I line reference | standard) exposure was performed by the ultraviolet exposure machine, and heat processing was further performed for 10 minutes at 70 degreeC. The overlap of three colors of each droplet in the process was not seen at all, and showed convex shape.

상기에서 얻어진 컬러 필터를 사용해서 1화소의 피치 151㎛×153㎛, 600×800화소수의 6인치 모노크롬 전자 페이퍼 패널에 아크릴계 투명 점착제를 통해 점착함으로써 컬러 표시 소자를 제작했다. 각 색의 화소를 점등한 결과 착색 화소간의 혼색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컬러 필터를 점착하기 전의 모노크롬 표시를 100%로 했을 때에 비교해서 컬러 표시 소자의 반사율은 모두 60%를 초과하여 밝은 패널을 얻어진 것을 확인했다.Using the color filter obtained above, the color display element was produced by sticking to the 6-inch monochrome electronic paper panel of the pitch of 151 micrometers x 153 micrometers of 600 pixels, and the pixel number of 600 x 800 pixels using the acrylic transparent adhesive. As a result of turning on the pixels of each color, the mixed color between the colored pixels was not seen. Moreover, when the monochrome display before sticking a color filter was made into 100%, the reflectance of the color display element all confirmed that the bright panel was obtained more than 60%.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TOYOBO CO., LTD.제 이접착 PET(A4100)의 이접착면에 대하여 투명 수지막을 형성하는 일 없이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해서 R1,G1,B1 잉크를 각각 1화소에 4타점이 되도록 묘화하고, 마찬가지로 해서 건조, 노광, 열처리를 행했다. PET 상에 있어서의 액적의 퍼짐 지름은 150㎛를 초과해서 젖어서 퍼져 있고, 혼색이 보여졌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2, R1, G1, and B1 ink were drawn so as to have four RBIs in one pixel, without forming a transparent resin film on the easy-adhesive PET (A4100) made by TOYOBO CO., LTD. Similarly, drying, exposure, and heat processing were performed. The spreading diameter of the droplets on PET was more than 150 µm wet and spread, and mixed color was observed.

[실시예 19][Example 19]

건조 후의 투명 수지막의 막두께를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A4100의 이접착면에 투명 수지막을 형성했다. 건조 후의 투명 수지막 표면의 점성은 없고, 또한 그 400㎚의 광선 투과율은 95% 초과이었다.A transparent resin film was formed on the easily adhesive surface of A4100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lm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resin film after drying was 30 μm. There was no viscosity of the transparent resin film surface after drying, and the light transmittance of 400 nm was more than 95%.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G1 잉크를 직접 묘화하고, 마찬가지로 해서 건조, 노광, 열처리를 행했다. 묘화 직후 및 열처리 후에도 PET 상에 있어서의 액적의 퍼짐 지름은 이때의 착색 영역은 도 5(b)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그 퍼짐은 150㎛×150㎛ 내로 받아들여져 있었다. 또한, 액적과 투명 수지막의 접촉선이 건조/노광/열처리 중에도 유지되어 있고, 4방울이 하나의 원상으로 퍼진 형상의 도트가 되는 경우는 없었다.Nex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G1 ink was directly drawn, and in the same manner, drying, exposure, and heat treatment wer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drawing and even after heat treatment, the spreading diameter of the droplets on the PET was in the shape shown in Fig. 5 (b) in the colored region at this time, and the spreading was accepted within 150 µm x 150 µm. Moreover, the contact line of a droplet and a transparent resin film was hold | maintained even during drying / exposure / heat processing, and four droplets did not become the dot of the shape spread to one circular shape.

[참고예 1][Referential Example 1]

건조 후의 투명 수지막의 막두께를 0.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A4100의 이접착면에 투명 수지막을 형성했다. 건조 후의 투명 수지막 표면의 점성은 없고, 또한 그 400㎚ 투과율은 95% 초과이었다.A transparent resin film was formed on the easily bonding surface of A4100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lm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resin film after drying was 0.2 μm. There was no viscosity of the transparent resin film surface after drying, and the 400 nm transmittance | permeability was more than 95%.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G1 잉크를 투명 수지막의 막 상에 직접 묘화하고, 마찬가지로 해서 건조, 노광, 열처리를 행했다. 그 결과 1액적의 퍼짐 지름은 150㎛를 초과해서 젖어서 퍼져 있고, 그 또 4타점을 겹쳤을 경우는 그 경계면은 일정하지 않았다.Nex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G1 ink was directly drawn on the film of the transparent resin film, and similarly dried, exposed, and heat treated. As a result, the spreading diameter of one drop exceeded 150 µm and spread out, and when the four RBIs were overlapped, the boundary surface was not constant.

1: 구동 스위치 2: 구동 전극
3: 구동측 기판 4: 도전층
5: 투명 기판 6: 백색 입자
7: 흑색 입자 8: 분산매
9: 마이크로 캡슐 10: 표시 매체
11: 컬러 필터 12: 투명 수지막이 부착된 지지 기판
13: 투명 수지막 14: 착색층
15: 배선
1: drive switch 2: drive electrode
3: drive side substrate 4: conductive layer
5: transparent substrate 6: white particles
7: black particle 8: dispersion medium
9: microcapsules 10: display medium
11: color filter 12: support substrate with transparent resin film
13: transparent resin film 14: colored layer
15: wiring

Claims (7)

잉크젯법에 의해 토출된 복수색의 착색 잉크가 인접한 다른 색의 착색 잉크와 혼색하는 일 없이 착색 영역을 형성한 컬러 필터를 얻는데에 사용되는 착색 잉크의 수용층으로서:
투명 수지를 용해시킨 투명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수지막은 상기 착색 잉크를 수용한 후 자외선에 의한 경화가 실시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투명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성 성분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수용층.
As a receiving layer of the coloring ink used for obtaining the color filter in which the colored ink discharged by the inkjet method formed the colored area | region without mixing with the coloring ink of the other adjacent color:
The transparent resin film which consists of the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which melt | dissolved the transparent resin is formed by receiving hardening by ultraviolet-ray after accommodating the said coloring ink,
The said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contains an ultraviolet curable component as an essential component, The ultraviolet curable ink receiving layer for color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 조성물을 도포해서 얻어진 투명 수지막의 막두께는 1㎛ 이상 30㎛ 이하이며, 상기 투명 수지막의 400㎚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은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수용층.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m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resin film obtained by apply | coating the said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is 1 micrometer or more and 30 micrometers or less, The light transmittance in 400 nm of the said transparent resin film is 95% or more, The ultraviolet curable ink receiving layer for color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막은 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지지 기재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수용층.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aid transparent resin film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pport base material which consists of a transparent film, The ultraviolet curable ink receiving layer for color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자외선 경화성을 갖는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 광 개시제 및 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수용층.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aid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contains the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which has at least ultraviolet curability, a photoinitiator, and a solvent, The ultraviolet curable ink receiving layer for color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를 0.005~0.5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수용층.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aid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contains 0.005-0.5 weight part surfactan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said compositions, The ultraviolet curable ink receiving layer for color filter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자외선 경화성을 갖는 투명 수지를 용해시킨 투명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수지막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 수지막 상에 복수색의 착색 잉크를 잉크젯법에 의해 토출하여 건조시키고,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투명 수지막을 경화시켜서 착색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After forming the transparent resin film which consists of the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which melt | dissolved the transparent resin which has ultraviolet curability, a plurality of color inks were discharged by the inkjet method and dried on the said transparent resin film, and a transparent resin film was hardened by irradiating an ultraviolet-ray, Forming a colored area | reg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lor filt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막은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에는 상기 착색 잉크에 포함되는 용매 및 액상 수지의 흡수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ransparent resin film has a water absorbing property of a solvent and a liquid resin contained in the coloring ink before irradiating the ultraviolet rays.
KR1020130021120A 2012-03-16 2013-02-27 Ultraviolet curable ink receptive layer for color filter, and method of producing color filter KR2013010536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60800 2012-03-16
JP2012060800A JP5858835B2 (en) 2012-03-16 2012-03-16 UV curable ink receiving layer for color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color fi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369A true KR20130105369A (en) 2013-09-25

Family

ID=4913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120A KR20130105369A (en) 2012-03-16 2013-02-27 Ultraviolet curable ink receptive layer for color filter, and method of producing color filt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58835B2 (en)
KR (1) KR20130105369A (en)
CN (1) CN103309156A (en)
TW (1) TW201339656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9867A (en) * 2014-03-28 2015-11-02 Dic株式会社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cured product, adhesive and laminate film
CN104849935A (en) * 2015-03-25 2015-08-19 欢乐生活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paper color film layere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336725A (en) * 2015-07-16 2017-01-18 上海箩箕技术有限公司 Printing ink, and imaging module and coloring method thereof
JP6914005B2 (en) * 2016-03-31 2021-08-04 大日本塗料株式会社 Building board
JP6759801B2 (en) * 2016-07-22 2020-09-23 凸版印刷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s for color filters, reflective displays, and color filters
CN108205229A (en) * 2016-12-20 2018-06-26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Display device
CN117471809A (en) * 2023-11-17 2024-01-30 天津大学 Charge-controllable black-and-white electrophoresis display syste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2724B2 (en) * 1994-09-21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iquid crystal panel,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H08327811A (en) * 1995-06-01 1996-12-13 Canon Inc Ink for color filter, color filter, production of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panel
JP3984725B2 (en) * 1997-09-22 2007-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Ink jet recording ink, color filter, liquid crystal panel, compu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filter
JP4206704B2 (en) * 2002-07-31 2009-0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Electrophoresis device manufacturing method, electrophoresis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4175052A (en) * 2002-11-29 2004-06-24 Sony Corp Medium to be recorded by ink jetting, ink jet imaging method, and printed matter
WO2005000594A1 (en) * 2003-06-24 2005-01-06 Denenchofu Roman Co. Ltd. Ink-accepting layer forming material and aqueous ink
CN1906041A (en) * 2004-02-03 2007-01-31 三菱制纸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ink-jet recording material
JP2010076138A (en) * 2008-09-24 2010-04-08 Fujifilm Corp Ink set and inkjet recording method
JP2010145565A (en) * 2008-12-17 2010-07-01 Seiko Epson Corp Method of stirring liquid-like object in liquid droplet delivery head, and liquid droplet delivery device
JP5498051B2 (en) * 2009-04-24 2014-05-21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Bulkhead and color filter
JP2010276986A (en) * 2009-05-29 2010-12-09 Bridgestone Corp Transparent substrate with color filter, information display panel with color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ubstrate and the panel
KR20130087001A (en) * 2010-06-07 2013-08-05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Color display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color display element
CN102375338A (en) * 2010-08-16 2012-03-14 Jsr株式会社 Coloring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loring pattern, color filter, color display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lor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39656A (en) 2013-10-01
JP2013195546A (en) 2013-09-30
CN103309156A (en) 2013-09-18
JP5858835B2 (en)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5369A (en) Ultraviolet curable ink receptive layer for color filter, and method of producing color filter
KR101479475B1 (en) Processes for producing color filter and for producing liquid-crystal display
WO2011155410A1 (en) Color display device for electronic pape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4844450B2 (en)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and color filter
JP4983103B2 (en) Ink-jet ink for color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ethod for producing color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90032975A (en) Colored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color filter, and display device
JP4742648B2 (en) Ink-jet ink for color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ethod for producing color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619904B2 (en) Ink-jet ink for color filter,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527489B2 (en)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color filter, liquid crystal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color filter
JP5764916B2 (en) Dye dispersion, resin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color fil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30105368A (en) Color filter for color display device
JP2007122042A (en) Inkjet ink for color filter, color filter,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522915B2 (en) Ink-jet ink for color filter,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286657B2 (en) Pigment dispersion, inkjet ink for color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1132382A (en) Inkjet ink for color filter
JP201319554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 filter
JP5876870B2 (en) Image forming resin composition used in ink jet method, display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forming method
WO2012165192A1 (en) Method for producing color filter, color filter, and reflection-type display device
JP2015180959A (en)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color filter, and reflection display device
JP2009086285A (en)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