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742A -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742A
KR20130104742A KR1020120026527A KR20120026527A KR20130104742A KR 20130104742 A KR20130104742 A KR 20130104742A KR 1020120026527 A KR1020120026527 A KR 1020120026527A KR 20120026527 A KR20120026527 A KR 20120026527A KR 20130104742 A KR20130104742 A KR 20130104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essage
devices
counterpar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355B1 (ko
Inventor
고경석
최환석
최인환
송원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35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2Pre-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와이파이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 디바이스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상대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WI-FI SERVICE}
본 발명은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간에 지원 가능한 와이파이 서비스 기능을 상호 인지하고 그에 따라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을 포함한 휴대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TV(Television),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포함한다.
최근 들어, 무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유선 네트워크가 무선 네트워크로 대체되고 있다. 즉, 유선 네트워크가 가지고 있는 이동성 제약을 무선 기술로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많은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 단말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융합(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TV의 경우에는 방송 수신 기능 이외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와이파이 접속 기능과 같이 인터넷 기능 등이 지원되어, 영상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한편,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은 무선 네트워크를 하이파이오디오와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로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휴대 단말이나 노트북 등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의 대중화와 더불어 개방형 무선 네트워크로서 잠재성을 지닌 무선 랜이 급속히 확장되고 있으며, 와이파이는 학교, 공항, 호텔, 사무실 등 도시 전체에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와이파이를 이용하려고 하는 경우, AP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다. 그에 따라 별도의 AP 없이 디바이스간 무선 통신만으로 직접 링크를 형성하여 통신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콘텐츠 시장이 급속하게 커짐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간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고 있어 더욱 그러하다.
그에 따라, 디바이스간 AP 없이 원하는 디바이스와 직접 연결을 하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술 등이 소개되고 있으나, 직접 연결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정의된 바가 없어 불편함이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에서 디바이스간 직접 무선 연결 링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메뉴를 통해 연결할 디바이스를 직접 선택해야 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어야 선택이 용이하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검색된 디바이스가 많거나 동일 기종의 디바이스가 검색될 경우 어떤 디바이스가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인지 찾기 힘든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디바이스간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 없이 직접 무선 연결 링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디바이스간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 없이 직접 무선 연결 링크를 형성할 수 있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와이파이 서비스 지원 정보를 상호 확인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정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중에서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최적의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무선 연결 링크를 수행하는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와이파이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 디바이스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상대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통해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가 없어도 디바이스간 직접 무선 연결 링크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 없이 디바이스간 직접 무선 연결 링크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원 정보를 상호 확인할 수 있어 최적의 상대 디바이스를 빠르게 선택하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중에서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최적의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디바이스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 설명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여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에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운용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운용하는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메시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메시지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에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를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서 연결 가능한 상대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연결 환경을 설정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스마트 폰을 포함한 휴대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TV, IPTV 등을 포함한 텔레비전 등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 설명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송신측 역할을 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이하, '송신 디바이스'라 한다)(100)와, 수신측 역할을 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이하, '수신 디바이스'라 한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는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200)는 다수 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 디바이스(200)는 와이파이 모듈이 내장된 음악재생 플레이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 게임 단말, 프린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200)는 상술한 다양한 전자기기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 개로서 설명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기반의 시스템은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00)간에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능을 지원하고, 다이렉트 접속(DA - Direct Access) 모드로 상호 간에 다이렉트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1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로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 200) 간에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는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근거리에 위치한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를 통하지 않고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다이렉트 접속 모드로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 200)은 수신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수신 디바이스들의 신호 정보(예컨대, 수신 신호 세기(RX Gain,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level, ToA(time of arrival) 값 등)를 식별하여 와이파이 서비스를 위한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 세기를 자진 수신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와이파이로 통신한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함으로써, 근거리에 존재하고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자신들이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지원 정보를 상호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가 와이파이 서비스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송신 디바이스(100)는 수신 디바이스(200)에서 전달된 지원 정보를 식별한다. 그리고 송신 디바이스(100)는 지원 정보를 참조하여 수신 신호 세기로 선별한 결과에 따른 수신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다수 개의 수신 디바이스들 중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다만, 상대 디바이스를 선별하는 기준은 그 순서를 달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신 디바이스를 선별한 후,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수신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행 애플리케이션이 펌 웨어 형태 등으로 디바이스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지원 정보 전달과 최종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 간에 다이렉트 접속 모드로 상호 연결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 200)이 반드시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 의한 연결만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무선 랜(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이용하는 경우의 시스템과, AP를 통하여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 간에 연결하는 시스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와이파이 모듈을 구비하고, 핫 스팟 지역에서 AP를 경유하여 중계기(예컨대, 라우터)를 통하여 인터넷 네트워크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AP가 구비되지 않은 지역에서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로 AP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상호 간에 연결 설정이 곤란한 경우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 사이의 AP를 통해 연결 설정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도 1의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00)에 공통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화면 데이터 표시를 위한 표시부,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 Radio Frequency) 모듈, 마이크(MIC - Microphone)와 스피커(SPK - Speaker)를 구비하는 오디오 처리부, 사진 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 모듈,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등)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일실시예는 도 3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 기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부(110)는 AP 모듈(미도시)과 스테이션(STA - Station)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AP 모듈을 웨이크(wake)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거나 STA 모듈을 웨이크하여 비 AP(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non-AP 모드(STA 모드)는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와이파이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디바이스 측의 기능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송신 디바이스(100)로서 동작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기 AP 모드는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와이파이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AP 측의 기능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신 디바이스(200)로서 동작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대한 기술 규격은 Wi-Fi P2P(Peer to Peer)로 통칭된다. P2P 그룹 내부에서 기존의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망에서 AP의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가 존재하는데 이를 P2P 규격에서는 P2P Group Owner(이하 GO)라고 칭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AP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은 디바이스가 P2P 그룹 내에서 GO인 경우를 포함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AP 모드, non-AP 모드, STA 모드는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상기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AP 모드에서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지원 정보에 대한 송신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AP 모드에서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지원 정보가 포함된 비컨 메시지(Beacon message)를 AP 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broadcasting)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10)는 AP 모드에서 non-AP 모드로 동작하는 타 와이파이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송신 디바이스(100))로부터 요청 메시지(예컨대, 프로브 요청 메시지 (Probe Request message))를 수신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10)는 제어부(140)가 전달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지원 정보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예컨대, 프로브 응답 메시지(Probe Response message))를 AP 모듈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non-AP 모드에서 STA 모듈을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AP 모드로 동작하는 타 와이파이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수신 디바이스(2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STA 모듈을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AP 모드로 동작하는 타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지원 정보가 포함되어 전달되는 비컨 메시지 또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10)는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Auto Provision Request message)와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Auto Provision Response message)의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컨 메시지, 프로브 요청 메시지, 프로브 응답 메시지,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 등의 메시지 송수신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여러 개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20)는 와이파이 기반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와이파이 기능 실행(예컨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 간 연결 설정을 위한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 수행 등)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패드,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입력부(120)는 별도로 리모트 컨트롤러 형태로 구비되고 와이파이 디바이스들(100,200)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3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운영 체제, 통신부(110)에 의한 AP 모드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통신부(110)에 의한 non-AP 모드(STA 모드)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자동 인증(Auto Provision) 기능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지원 정보 전송 기능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신호 정보(예컨대, 수신신호세기(RX Gain) 등)를 이용한 최적의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기능 운용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30)는 최적의 상대 디바이스 결정을 위한 미리 설정된 임계값(threshold)을 저장할 수 있고,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지원 정보 제공을 위한 정보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정보 테이블과 관련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WPS 기능의 자동화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주기에 따라 통신부(110)의 AP 모듈을 웨이크하거나 통신부(110)의 STA 모듈을 웨이크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통신부(110)의 운용 방식에 따라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AP 모드와 non-AP 모드(STA 모드)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로 AP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비컨 메시지를 비컨 인터벌(beacon interval)에 따라 주기적으로 방송할 때 상기 비컨 메시지에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제조사 정보,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기능 및 능력에 대한 지원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AP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non-AP(STA 모드)로 동작하는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제조사 정보, 상기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기능 및 능력에 대한 지원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AP 모드로 동작하는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비컨 메시지 또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지원 정보를 체크하여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기능 및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서비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상기와 같이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지원 정보를 참조하여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와이파이 기반 서비스를 위한 최적의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비컨 메시지 또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의 지원 정보를 참조하여 요청된 특정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1차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선별에 따른 수신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다수 개의 수신 디바이스들의 신호 정보(예컨대, 수신 신호 세기 등)를 식별하여 와이파이 서비스를 위한 최종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와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비디오 데이터 재생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획득된 지원 정보를 체크하여 비디오데이터의 출력 기능을 가지는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후 비디오 데이터를 결정된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결정되는 경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와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의 송수신에 의한 연결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non-AP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와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을 위해 정의된 방식에 따라 핀 코드 또는 입력 명령 코드를 포함하는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AP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메시지의 핀 코드 또는 입력 명령 코드에 따라 WPS 기능을 위한 핀 코드를 자동 입력하거나, WPS 기능을 위한 입력 메뉴 활성화를 제어하여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비컨 메시지 또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정의된 지원 정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들 간에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및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지원 정보에 의한 동일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메시지 송수신에 의한 자동 인증으로 WPS 기능의 자동화에 따른 연결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후술하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 밖에도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모든 정보통신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에 대한 응용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및 휴대 게임 단말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프린터 및 복합기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를 일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TV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모든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방송수신부(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 메모리(340), 컨트롤러(350), 유저 인터페이스(360), 디스플레이부(370), 오디오출력부(380) 및 전원공급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부(310)는 방송수신모듈(미도시), 디코더(미도시)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방송수신모듈과 디코더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를 구비하면서 방송수신모듈과 디코더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송수신모듈은, 외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신호는 지상파, 위성방송, 케이블 방송 등의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외부 소스 디바이스는 방송국, 케이블 사업자, VOD 사업자 등의 서버 또는 위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송수신모듈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튜너,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 또는 튜너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코더는 오디오 디코더 및 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하고,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디코더에서,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한다.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는 컨트롤러(350)로 입력되고, 상기 컨트롤러(350)는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한 후에 디스플레이부(37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출력부(380)로 음성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방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방송 신호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외부 신호에 대응한 다른 종류의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것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부 신호는 후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90)는 도 2에서 설명한 통신부(110)일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가 본 발명에 따라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는 경우,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고,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스케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스케줄 정보는 메모리(340)에 저장되어, 스케줄 정보를 공유할 때 방송 스케줄 정보도 함께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4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35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메모리(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340)는 도 2에서 설명한 저장부(130)일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외부 장치와 디바이스(3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BD(Blu-ray Disc,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350) 또는 메모리(340)로 전달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36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35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35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36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35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4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70)는 컨트롤러(35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3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7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380)는 컨트롤러(35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출력부(38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390)는 디바이스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컨트롤러(35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37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출력부(3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사용자 입력을 유저 인터페이스(36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50)는 도 2에서 설명한 제어부(140)일 수 있다.
한편, 도 4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여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에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는 디바이스는 크게 두 단계(phase)의 연결 과정을 갖는다. 첫째로, 두 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서로 상대방을 발견(find)을 하는 단계이고, 둘째로, 서로 발견된 디바이스들 간에 P2P GO 또는 P2P 틀라이언트의 역할을 결정하는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단계로 구성된다. 이를 기초로, 도 4를 참조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에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연결을 설정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송신 디바이스는 기존 와이파이 디바이스에서 AP 등을 찾는 과정과 같은 검색(Scan) 동작을 수행하는데(S400), 상기 검색(Scan) 절차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첫 번째는 능동 검색(Active Scan) 방법이다. 능동 검색 방법은 연결 설정하고자 하는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먼저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AP 모드의 상대 와이파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는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되는 특정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수신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통해 후보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수동 검색(Passive Scan) 방법이다. 수동 검색 방법은 AP 모드로 동작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비컨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비컨 메시지는 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값을 나타낸다. 이러한 비컨 메시지는 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존재와 지원 능력(신호 세기, 사용 가능한 비트레이트(bitrate) 등)을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에게 주기적으로 방송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비컨 메시지를 전송하는 후보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리스트와 더불어, 후보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및/또는 후보 와이파이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유형 정보와 능력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능동 검색 방식에서의 동작과 수동 검색 방식에서의 동작을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검색 절차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디바이스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수신(Liste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00). 3개의 소셜 채널(social channel) 중 하나의 채널만을 선택하여 수신 상태로 유지되다가 만약 다른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탐색 상태에서 전송한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프로브 응답 메시지로 응답한다.
상기 수신(Listen) 절차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탐색(Search)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00).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능동 탐색을 실시하는데, 이때 빠른 탐색을 위하여 탐색의 범위를 한정하여 채널 1, 6, 11의 소셜 채널을 사용하여 탐색을 실시할 수 있다.
상대 디바이스가 발견되면(S410), 서비스를 이용할 디바이스가 어떤 종류의 규격을 가지는지 알아볼 수 있고, 호환 가능한 서비스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 탐색(service discovery)를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바이스 내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다른 디바이스에서 호환이 가능한지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 디바이스의 존재 확인이 완료되면, 그룹 형성 단계로 진입한다. 발견된 상대 디바이스가 GO인지 아닌지 판단하여(S420), GO가 아닌 경우(S420-NO) GO 협상(negotiation)을 수행한다(S430). GO 협상 단계에서는 서로의 디바이스가 P2P GO 또는 P2P 클라이언트로서의 역할을 협상하고 P2P 그룹 내부에서 사용할 동작 채널(operaing channel)을 설정하게 된다.
상대 디바이스가 GO이거나(S420-YES), GO 협상이 완료되면 WPS(Wi-Fi Protected Setup)를 수행한다(S440). GO가 클라이언트를 인증(authentication) 등을 해주기 위한 과정으로 PIN, PBC, NF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링크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다만, 이때, 발견된 상대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는 연결하고자 하는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해야만 하는데, 상대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불편함이 있어 자동으로 특정 디바이스를 연결하고자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운용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송신 디바이스(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며, 수신 디바이스들(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 모드로 동작하는 다수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디바이스(100)는 주변에 존재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의 검색을 위해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방송한다(S500). 본 명세서에서 프로브 요청 메시지는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예컨대, 송신 디바이스(100))에 의해 요청되는 특정 서비스(예컨대,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데이터 실행, 재생, 출력, 저장 등의 요청 기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의 검색하기 위해 와이파이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디바이스들(200)은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송신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510). 이때, 본 발명의 수신 디바이스들(200)은 프로브 응답 메시지의 특정 필드를 이용하여 제조사 정보, 지원하는 기능 및 역량의 지원 정보,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지원 정보 등을 정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들(200) 중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210)와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230, 250)가 있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의 수신 디바이스(210)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정보를 정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반면, 다른 수신 디바이스들(230,250)은 표준 규약에 따르는 일반적인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100)는 주변에 존재하는 수신 디바이스들(200)로부터 프로브 응답 메시지들이 수신되면, 각 프로브 응답 메시지들의 특정 필드를 체크하여, 수신 디바이스가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판별한다(S520). 그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의된 지원 정보를 참조하여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신 디바이스(210)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송신 디바이스(100)는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신 디바이스가 다수 개일 때(예컨대, 수신 디바이스(210), 수신 디바이스(230)), 해당 수신 디바이스들(210, 230)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하여(S530), 조건에 부합하는 디바이스를 상대 디바이스로 최종 결정할 수 있다(S540).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수신 디바이스들(210,230)의 신호 정보(예컨대, 수신 신호 세기(RX Gain,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level, ToA(Time of Arrival) 값 등)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가지는 것인지에 대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송신 디바이스(100)는 신호 정보가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디바이스를 최종 상대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100)는 수신 디바이스(210)가 결정될 경우, 결정된 수신 디바이스(210)와 와이파이 연결 설정을 위한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Auto Provision Request message)를 전송한다(S550).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는 미리 약속된 규격으로 자동 인증에 의한 자동 연결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자동 연결 요청 및 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약속된 규격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방식 또는 PBC(Push Button Configuration) 방식에 따라 무선 암호화 설정을 위한 핀 코드 또는 버튼 입력 명령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디바이스(210)는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Auto Provision Response message)를 송신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560).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210)는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수신 시 PIN 방식에 따라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핀 코드를 이용한 자동 입력에 의하여 송신 디바이스(100)와의 연결 설정을 준비하고 그에 대한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수신 디바이스(210)는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수신시 PBC 방식에 따라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버튼 입력 명령 코드에 따라 WPS 기능에 대응하는 버튼의 자동 활성화에 의하여 연결 설정을 준비하고 그에 대한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10)는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및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의 송수신에 의해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호 간의 연결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S570).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실행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10) 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S580).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210)에 의해 비디오데이터 재생이 요청되고, 송신 디바이스(100)가 화면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10) 간에 자동 인증에 의한 연결 설정이 이루어질 경우, 수신 디바이스(210)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비디오데이터를 송신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비디오데이터를 수신한 송신 데이터(100)는 수신된 비디오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운용하는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에서 송신 디바이스(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며, 수신 디바이스들(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 모드로 동작하는 다수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을 나타낸다.
먼저, 송신 디바이스(100)는 주변에 존재하는 수신 디바이스들(200)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컨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데(S500), 상기 수신 디바이스들(200)은 비컨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송신 디바이스(100)의 비컨 메시지 수신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전에 수행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컨 메시지는 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방송하며,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그에 대응하여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비컨 메시지를 수신한 송신 디바이스(100)는 수신 디바이스들(210, 230)의 신호 정보(예컨대, 수신 신호 세기(RX Gain, RSSI level, ToA 값) 등)를 식별하여 수신 신호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할 수 있다(S610).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신호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가지는 조건으로 임계값 이상을 가지는 수신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20).
다만,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송신 디바이스(100)는 신호 정보가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디바이스를 최종 상대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최종 결정된 상대 디바이스가 수신 디바이스(210)인 것을 가정한다.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디바이스(210)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송신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630). 이때,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 및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제조사 정보, 지원하는 기능 및 역량의 지원 정보 등을 정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프로브 요청 메시지 또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정보를 정의하여 전송할 수 있고, 일반적인 디바이스는 표준 규약에 따르는 일반적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송신 디바이스(100)는 수신 디바이스(210)로부터 수신한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대하여 수신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판별하고(S640),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와이파이 연결 설정을 위한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650).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는 미리 약속된 규격으로 자동 인증에 의한 자동 연결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자동 연결 요청 및 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약속된 규격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는 PIN 방식 또는 PBC 방식에 따라 무선 암호화 설정을 위한 핀 코드 또는 버튼 입력 명령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디바이스(210)는 상기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송신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660).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210)는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수신시 PIN 방식에 따라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핀 코드를 이용한 자동 입력에 의하여 송신 디바이스(100)와의 연결 설정을 준비하고 그에 대한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수신 디바이스(210)는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수신시 PBC 방식에 따라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버튼 입력 명령 코드에 따라 WPS 기능에 대응하는 버튼의 자동 활성화에 의하여 연결 설정을 준비하고 그에 대한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10)는 상술한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및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의 송수신에 의해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호 간의 연결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S670).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실행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 디바이스(100)와 수신 디바이스(210)간 송수신할 수 있다(S68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메시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프로브 요청 메시지 내의 특정 필드(710)에 지원하는 서비스 정보를 정의해둔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알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성값 필드(710)을 'Requested Device Type'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속성값 필드(710)가 'Requested Device Type'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 지원 정보가 정의되는 서비스 정보 필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면 '1'또는 'TRUE', 제공하지 않으면 '0' 또는 'FALSE'값을 가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속성값(710)이 필수인지 선택인지 정의하는 필드(720)에 선택(optional)으로 설정하고, 내용 필드(730)에 속성값에 대한 설명을 저장해둘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메시지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 디바이스 정보 속성 포맷의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자동 인증을 통하여 연결 설정을 완료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명이 ''Number of Secondary Device Types'에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 지원 여부에 따라 값을 달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값이 '0'이면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서 인증 및 연결을 수행하고, 그 값이 '0'이 아니면 'Secondary Device Type List' 필드 값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인지 확인하여 자동 인증 요청 메시지 및 자동 인증 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호 간의 연결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특정 필드 또는 디바이스 속성 정보의 특정 필드 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여부를 확인하여, 자동 인증 수행 등을 수행하여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 이외에 WPS(Wi-Fi Protected Setup) IE(Information Element)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들이 서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의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에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디바이스(100)가 서비스 탐색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면(S910), 수신 디바이스(200)는 상기 서비스 탐색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탐색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920). 상기 서비스 탐색 요청 메시지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와 같이 지원하는 서비스인지 확인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WPS IE는 서비스 탐색을 위해 각각 송수신되는 서비스 탐색 요청 메시지 및 서비스 탐색 응답 메시지를 패킷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서비스 탐색 요청 메시지는 서비스 탐색 요청을 위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WPS IE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의미하고, 서비스 탐색 응답 메시지는 서비스 탐색 응답을 위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WPS IE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로, 상기 도 10에서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non-AP 모드로 동작하는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주변에 존재하는 와이파이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S1000). 상기 수신한 메시지는 상대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컨 메시지와 상대 디바이스가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 모드의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비컨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또는,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P 모드의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수신시, 상대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010).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서 미리 정의된 서비스 정보 필드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상대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대 디바이스의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한다(S1020). 상기 신호 정보가 신호 세기에 대하여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체크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대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한다(S1030). 이때, 미리 정의된 규약에 따른 자동 인증에 의해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대 디바이스와 자동 인증에 의한 연결을 설정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과 같이,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으나, 도 10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대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이다. 그에 따라, 송신 디바이스(100)가 다수 개의 수신 디바이스들(200) 중 다이렉트 접속에 따른 연결 설정을 수행할 최종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먼저, 와이파이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S11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 모드의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비컨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또는,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P 모드의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수신한 메시지의 기설정된 필드를 확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S1110), 이때,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별된 상대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지 판별한다(S1120).
상대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상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신호 정보를 확인하여(S1130). 상기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S1140). 본 명세서에서 상기 신호 정보는 수신 신호 세기, 비트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신호 정보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에서 신호 세기를 판별하는 규약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메시지 내에 각 디바이스들의 신호 정보(예컨대, 신호 세기, 비트레이트 등)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상기 신호 정보들 중 임계값 이상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각 디바이스들의 수신 신호 세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수신 신호 세기를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선별된 디바이스에 대하여, 다수 개인지 판별하여(S1150), 다수 개인 경우, 최고값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S1160), 최종 디바이스로 결정한다(S1170). 예를 들어,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최고값을 가지는 디바이스를 최종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선별된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최고값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 다른 기준을 통해 특정 디바이스르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 디바이스의 종류, 디바이스의 연결 회수 등이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를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과 같이,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non-AP 모드(STA 모드)로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으나, 도 11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대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결 설정을 수행할 최종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먼저, 와이파이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S12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 모드의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비컨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또는, non-AP 모드의 와이파이 디바이스로부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P 모드의 주변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수신한 메시지의 기설정된 필드를 확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S1210), 신호 정보를 확인하여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한다(S1220). 즉,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별된 상대 디바이스 중에서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신호 정보는 수신 신호 세기, 비트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신호 정보는 와이파이 디바이스에서 신호 세기를 판별하는 규약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메시지 내에 각 디바이스들의 신호 정보(예컨대, 신호세기, 비트 레이트 등)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상기 신호 정보들 중 임계값 이상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선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면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상대 디바이스들이 다수 개인지 판별한다(S1230). 상대 디바이스들이 다수 개인 경우, 취합된 디바이스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1240), 사용자의 수동에 의한 상대 디바이스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서 연결 가능한 상대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가 이동통신단말(1300)인 경우를 일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정보를 수신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경우, 다수 개의 상대 디바이스들 중에서 최고값의 신호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1순위로 추천하고(1310), 나머지 상대 디바이스들은 신호 세기 기준으로 후보 리스트(1320)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다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환경 설정 메뉴(1330)를 통하여 상대 디바이스를 결정할 우선 순위를 새로 설정하거나, 신호 정보에 대한 임계값 설정 등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에 대해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별도의 다른 선택이 없는 경우에는 1순위로 추천한 디바이스(1310)를 자동으로 최종 디바이스로 선택하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이 다수 개인 경우에 대해서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 것을 일실시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신호 정보만을 확인하여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다수 개의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리스트를 생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는 디바이스 정보와 함께 별도로 표시(예를 들어, '자동 연결 가능', '자동 인증 가능', '본 서비스 제공 기기' 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비스 실행 여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상대 디바이스를 연결할 최종 디바이스로 결정하고(S1250), 결정된 최종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한다(S1260).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연결 환경을 설정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가 이동통신단말(1400)인 경우로서, 도 13에서 연결 환경 설정 메뉴(1330)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실시예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디바이스의 신호 정보에 대하여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신호 세기 설정 메뉴(1410)를 통하여 임계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설정 이전에는 기설정된 기본값이 설정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하는 경우 신호 세기로 나타내면 사용자가 임계값을 설정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가 적절한지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통신하고자 하는 거리를 설정하도록 하고,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거리에 따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하기 용이한 신호 세기를 산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임계값에 해당하는 신호 세기(Pr)는 사용자가 입력한 거리(R)를 이용하여 아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Pt는 transmit power, Gt 및 Gr은 gain of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λ는 c/f이고, c는 light velocity, f는 frequency)
예를 들어, 임계값 산출을 위한 기본 조건이 Pt = 15㏈m, Gt = 0㏈i, Gr = 0㏈i, f = 2412 ㎒이고, 사용자가 입력한 거리(R)가 30㎝ 거리라고 하면, Pr 값은 약 -14㏈m 이 되므로 +/- 의 약 3㏈ 정도의 오차를 고려하면 약 50cm 이내에서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신호 세기의 임계값을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 이외에, 상대 디바이스의 종류(1420)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파이 서비스가 가능한 모든 기기에 대해서 적용되도록 할 수 있고, 휴대폰, PC, TV 등 특정 디바이스 종류들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특정 디바이스 종류들만 적용되도록 하는 경우, 수신한 메시지에서 디바이스 정보를 식별하여 서비스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 종류별 임계값 설정 즉 최대 신호 세기값(1430)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 디바이스의 종류 및 신호 세기 등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연결함에 있어서 우선 순위를 둘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
또한, 도 14에서는 단말기의 종류 및 신호 세기 등을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을 일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내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적용할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 종류 및 신호 세기 등에 대해서 우선 순위를 두어 우선 순위에 따라 연결을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대 디바이스가 다수 개인 경우, 단말기 종류를 1순위로, 신호 세기를 2순위로 우선 순위를 설정한 것을 가정한다. 1순위에 해당하는 단말기 종류가 TV인 경우, 다수 개의 상대 디바이스들 중 TV가 있다면 TV를 상대 디바이스로 최종 결정하면 된다. 그러나 TV가 여러 개이거나 모두 TV가 아닌 경우라면,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최종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200 와이파이 디바이스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Claims (5)

  1.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와이파이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 디바이스가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상대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대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비컨 메시지와, 상기 상대 디바이스가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서 미리 정의된 서비스 정보 필드를 이용하여 판별하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신호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정보가 신호 세기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체크하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기정의된 규약에 따른 자동 인증에 의해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대 디바이스와 자동 인증에 의한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20026527A 2012-03-15 2012-03-15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935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527A KR101935355B1 (ko) 2012-03-15 2012-03-15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527A KR101935355B1 (ko) 2012-03-15 2012-03-15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742A true KR20130104742A (ko) 2013-09-25
KR101935355B1 KR101935355B1 (ko) 2019-01-04

Family

ID=4945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527A KR101935355B1 (ko) 2012-03-15 2012-03-15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4446A1 (en) * 2013-12-16 2015-06-25 Intel Corporation Remote wakeup for wi-fi devices
KR20210085069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복수의 단말들간의 무선 연결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5246A1 (en) * 2002-12-30 2004-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identifying devices in wireless LAN home network environment
US20050078644A1 (en) * 2003-10-14 2005-04-14 Intel Corporation Service discovery architecture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s
US20060221919A1 (en) * 2005-04-05 2006-10-05 Mcrae Matthew B Wireless connection selection and setup
KR20110125756A (ko) * 2010-05-14 201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5246A1 (en) * 2002-12-30 2004-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identifying devices in wireless LAN home network environment
US20050078644A1 (en) * 2003-10-14 2005-04-14 Intel Corporation Service discovery architecture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s
US20060221919A1 (en) * 2005-04-05 2006-10-05 Mcrae Matthew B Wireless connection selection and setup
KR20110125756A (ko) * 2010-05-14 201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4446A1 (en) * 2013-12-16 2015-06-25 Intel Corporation Remote wakeup for wi-fi devices
CN105723780A (zh) * 2013-12-16 2016-06-29 英特尔公司 用于wi-fi设备的远程唤醒
CN105723780B (zh) * 2013-12-16 2019-10-18 英特尔公司 用于wi-fi设备的远程唤醒
KR20210085069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복수의 단말들간의 무선 연결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355B1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844B1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82385B1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091047B2 (en) Connecting devices to networks
US97302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evice-to-device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029650B1 (en) Electronic device, audio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audio device power supply
KR101700937B1 (ko) 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탐색 방법 및 장치
US9204470B2 (en) Method for a wireless target device to automatically connect to a target network, wireless network system with automatic network setting ability, and wireless target device thereof
EP30737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music and other audio content among mobile devices
US201602051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udio/video strea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37891B1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p2p operating channel and method thereof
US11800340B2 (en) Method for receiving audio data by using bluetooth technology, and apparatus therefor
WO2006133442A1 (en) Dynamic detection and configuration of networked audio/video components
EP3857975B1 (en) Mobil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ion methods thereof
KR20150081681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이동단말장치 및 이동단말장치의 구동방법
US1007551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35355B1 (ko)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50047278A (ko) 기기 간 자동 무선 통신 연결되는 영상 표시장치 및 이에 따른 영상표시 방법
CN113519176B (zh) 一种通信方法、通信装置及终端
WO2015037129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接続方法
US2014014676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6916075A (zh) 一种显示设备以及声道信息的确定方法
KR20100073716A (ko)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0720A (ko) 직관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