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720A - 직관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직관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720A
KR20090110720A KR1020080036359A KR20080036359A KR20090110720A KR 20090110720 A KR20090110720 A KR 20090110720A KR 1020080036359 A KR1020080036359 A KR 1020080036359A KR 20080036359 A KR20080036359 A KR 20080036359A KR 20090110720 A KR20090110720 A KR 20090110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terminal
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용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0720A/ko
Publication of KR20090110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관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선택된 디바이스에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송신하고, 선택된 디바이스와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이에 의해 통신대상인 수신 디바이스를 직관적으로 선택하여 무선통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지향성, 무지향성, 디바이스

Description

직관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 및 그 방법{Apparatus for enabling intuitiv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및 그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 및 그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악이나 동영상 또는 사진 등의 멀티미디어를 포함한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인용 컴퓨터(PC) 및 휴대폰 이외에도 이동 컴퓨터(mobile computer), 헤드셋,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DA), MP3 플레이어, PMP 등을 포함하여 그 종류도 다양하다.
한편 디바이스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특정 단말에 있는 데이터를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실외에서 MP3 플레이어에 있는 음악을 무선 헤드셋을 통해 듣다가 집으로 오게 되면 거실에 있는 무선 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듣고 싶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PMP에서 교육용 강의를 청취하다 거실에 있는 큰 화면의 텔레비전으로 교육용 강의를 옮겨 강의를 청취하고 싶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장치 및 작업이 요구된다. 유선을 통한 연결을 예로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통해 컴퓨터에서 다운로드받은 비디오 파일을 큰 화면의 텔레비전을 통해 보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텔레비전의 측면 혹은 뒷면에 선을 추가로 연결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추가로 연결하기 위한 선을 휴대하고 있어야만 한다. 또한 기기 간의 연결 단자의 종류가 다양하거나 단말의 부피 및 비용의 제약으로 일부의 연결 단자만이 지원되는 경우 연결 방식이 호환되지 않아 임의의 두 기기가 서로 연결되지 못할 수도 있다. 나아가 유선을 통한 연결은 이동성이 제한되는 본질적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동이 자유로운 단말에 적합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무선을 이용한 연결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특정 기기와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서 먼저 주변의 연결 기기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리스트 중 사용자가 연결할 대상을 선택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연결대상을 이미 인지한 상황에서 기기의 리스트를 다시 선택해야 하며, 인지된 기기와 리스트 상에 나타나는 기기명을 상호 연관짓는 과정이 추가되어 사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연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추가로 구비되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지 않는 단말간에는 무선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직관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통신대상인 디바이스를 직관적으로 선택하여 무선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선택된 디바이스에 제1 안테나를 통해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 선택된 디바이스와 제2 안테나를 통해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제1 통신부를 통해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2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선택된 디바이스에 제1 안테나를 통해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송신하고, 선택된 디바이스와 제2 안테나를 통해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1 안테나를 통해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2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수신 디바이스는 송신 단말로부터 제1 안테나를 통해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송신 단말과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송수신된 데이터 메시지에 따라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통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 스 중 선택된 디바이스에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디바이스와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10) 및 수신 디바이스(20)간의 무선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단말(10)은 주변의 수신 디바이스(20)와 데이터를 무선 신호를 통해 교환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10)은 무선통신, 특히 근거리 무선통신 상황에서 주변의 디바이스들 중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이와 통신할 수 있다. 특정 디바이스는 무선통신 단말(10)의 직관적인 통신 대상으로서, 이를 위하여 지향성 통신 방식(Directional communication interface)을 통해 수신 디바이스(20)를 선택할 수 있다. 지향성 통신 방식은 특정한 방향으로 강하게 전파를 송신하거나, 특정한 방향에서 오는 전 파를 수신하는 방식을 말한다.
한편 무선통신 단말(10)은 선택된 디바이스(20)와 무지향성 통신 방식(Omni-Directional communication interface)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지향성 통신 방식은 전(全)방향성 통신 방식으로서 모든 방향으로 전파가 방사되거나 이를 수신하는 방식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통신 단말(10)은 지향성 안테나와 무지향성 안테나를 동시에 구비하여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 지향성 또는 무지향성 통신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우선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지향성 통신방식을 통해 통신하고자 하는 수신 디바이스(20)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직관적으로 행해지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무선 통신 단말(10)을 수신 디바이스로 향하고 무선통신 단말(10)에 마련된 입력키를 통해 수신 디바이스(20)가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무선통신 단말(10)이 선택하고자 하는 수신 디바이스(20)를 향하는 경우 입력키를 통해 선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무선통신 대상이 직관적으로 선택되면 무지향성 통신을 통해 선택된 디바이스(2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무선통신 단말(10)을 자유롭게 이동하는 중에도 동시에 선택된 디바이스(20)와 무선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10) 및 수신 디바이스(20)의 구성도이다.
무선통신 단말(10)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을 총칭하며, 특히 휴대 전화,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DA), MP3 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외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한편 수신 디바이스(20)는 무선통신 단말(10)과 무선통신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PMP, MP3 플레이어, TV, 오디오,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 스피커, 노트 PC,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디지털 방송 플레이어, 각종 디스플레이, 헤드 레스트(head-rest), 전자책(e-book), 전자종이(e-paper), 전자비서(e-assistant) 등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추후 등장할 수 있는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단말(10)과 주변의 수신 디바이스(20)는 오디오,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를 무선통신을 통해 교환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는 전술한 멀티미디어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추후 등장할 수 있는 모든 멀티미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무선통신 단말(10) 및 수신 디바이스(2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10)은 제1 통신부(100), 제2 통신부(110), 제1 안테나(130), 제2 안테나(14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100)는 무선통신 단말(10) 주변의 디바이스들 중 선택된 수신 디 바이스(20)에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송신한다. 통신설정 메시지는 도 5에서 후술할 디바이스 식별자(Device ID), 디바이스 유형(Device type), 콘텐츠 포맷(format) 또는 전송방법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제1 통신부(1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동작을 통해 지향성 통신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 단말(10)에 마련된 입력키를 통해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는데, 무선통신 단말(10)이 디바이스에 향해지는 경우 입력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직관적인 선택 방식은 마치 사용자가 리모컨(remote control)을 통해 원하는 디바이스, 예를 들면 텔레비전을 활성화시키는 것처럼 직접적이며 간편한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통신하고자 하는 디바이스 대상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디바이스와의 무선연결에서는 통신 대상이 인지되면 통신 가능한 대상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디바이스들을 비교하여 이 중에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해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10)의 수신 디바이스(20)간 무선연결은 통신 대상이 인지되면 전술한 지향성 통신 방식을 이용한 직관적 방법을 통해 바로 통신 대상이 선택되고 선택된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데 소요되는 지연시간이 제거되어 연결 시간이 단축되며, 유선을 이용한 연결 방법처럼 무선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 디바이스를 정확하고도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부(110)는 수신 디바이스(20)와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제2 안테나(140)를 통해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이 경우 지향성 통신방식을 통해 무선통신 대상을 직관적으로 선택한 이후 제2 통신부(110)를 통한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수신 디바이스(2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은 화면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10)인 PMP에 저장되어 있는 영화 데이터를 큰 화면을 제공하는 수신 디바이스(20)인 텔레비전으로 무선 전송하여 영화를 볼 수 있다. 또는 휴대폰이나 PDA에서 다채널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다 자가용 내에 탑승하여 계속해서 시청하고 싶은 경우 주변 디바이스인 헤드레스트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전송하여 헤드레스트에서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생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수신 디바이스(20)가 선택된 이후에는 무지향성 통신방식을 이용하므로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10)을 자유롭게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중에도 수신 디바이스(2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즉 수신 디바이스(20) 선택시에는 무선통신 단말(10)을 수신 디바이스(20)에 향하게 하여 선택되면 지향성 통신을 하나, 선택된 이후에는 수신 디바이스(20)를 향하지 않고도 무선통신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 선택시에는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송수신하다가, 통신 시간을 계산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전환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지향성 통신 방식의 연결 링크가 종료되는 즉시 무지향성 통신으로 핸드오버되도록 한다.
한편 제1 안테나(130)는 제1 통신부(100)와 연결되어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특정한 방향, 예를 들면 수신 디바이스(20)로 강하게 전파를 송신하거나, 특정한 방향에서 오는 전파를 수신한다. 이에 비하여 제2 안테나(140)는 제2 통신부(110)와 연결되어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모든 방향으로 전파를 방사하거나 방사되는 전파를 수신한다.
이때 무선통신 단말(10)은 제1 통신부(100) 및 제1 안테나(130)를 통한 지향성 통신 방식과 제2 통신부(110) 및 제2 안테나(140)를 통한 무지향성 통신 방식 모두 동일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안테나를 통해 지향성 또는 무지향성 통신을 하지만, 동일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블루투스, IEEE 802.11 a/b/g/n, IEEE 802.16e 또는 UWB, 지그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주변의 수신 디바이스(20)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성해야 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무선통신 모듈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구현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단일 IP 스택 상에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의 변경이 필요 없다.
한편 제어부(120)는 제1 통신부(100)를 통해 디바이스 선택하고, 제2 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수신 디바이스(20)와 송수신하는 메시지 유형에 따라 제1 통신부(100) 또는 제2 통신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설정 메시지는 지향성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1 통신부(100) 및 제1 안테나(130)를 통해 수신 디바이스(20)로 송신되며, 데이터 메시지는 무지향성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2 통신부(110)와 제2 안테나(140)를 통해 수신 디바이스(20)와 송수신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 단말(10)의 제1 안테나(130) 및 제2 안테나(140)는 전송범위가 동일하도록 전력이 통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향성 안테나와 무지향성 안테나를 동일한 전력으로 송출할 경우 지향성 안테나의 전송 거리가 길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10)은 무지향성 통신을 이용하는 제2 안테나(140)에 공급되는 전력에 비하여 지향성 통신을 이용하는 제1 안테나(130)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켜 제1 안테나(130)와 제2 안테나(140)의 전송 거리를 동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안테나(130,140)에 추가로 연결된 파워 앰프의 출력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파워 앰프는 안테나 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연결된 각각의 안테나(130,140)에 전력을 공급한다. 각 파워 앰프는 능동적으로 각 안테나(130,140)에 전송되는 전력값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각 파워 앰프에 전송되는 전력값은 제1 안테나(130)와 제2 안테나(140)의 고유 안테나 게인(Gain)값 비율에 반비례한다. 한편 이러한 방법은 전력 통제의 일 실시예일 뿐 그 외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10)은 하나의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및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즉 동일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이 적용되어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지향성 통신 또는 무지향성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디바이스의 선택은 지향성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직관적으로 형성되며, 이후의 데이터 송수신은 무지향성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디바이스(20)는 제3 통신부(200), 제3 안테나(230) 및 디바이스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제3 통신부(200)는 무선통신 단말(10)로부터 제3 안테나(230)를 통해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무선통신 단말(10)과 제3 안테나(230)를 통해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수신 디바이스(20)는 제3 안테나(230)인 단일 안테나로 구성되어 종래의 무선통신 모듈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위 프로토콜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수신 디바이스(20)는 별도의 모듈 변경 없이도 기존의 무선통신 방식과 호환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측의 구성이 간소화됨에 따라 소형 모듈로 구현되어 구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송신 측에 해당되는 무선통신 단말(10)에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요구되는 주기적인 메시지, 예를 들면 비컨(beacon) 메시지 등을 무선통신 단말(10)에 추가로 전송할 필요가 없어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20)는 송수신된 데이터 메시지에 따라 해당되는 콘텐츠를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콘텐츠는 오디오,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택된 수신 디바이스(20)가 MP3일 경우 음악 파일을 재생하고, 텔레비전일 경우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수신 디바이스(20)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저장부는 무선통신 단말의 접근 허용 여부에 대한 단말 리스트를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 리스트에는 단말의 명칭, 사용자 정보, MAC 어드레스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 암호화 정보 또는 비밀번호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유선이나 RFID 등의 다른 연결 방법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별도의 연결 허용 모드를 구비하여 해당 모드에 진입된 경우에 연결된 단말에 한하여 이후 연결을 허용하는 방법을 통해 단말 리스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10)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단말 리스트 정보가 수신 디바이스(20)에 존재하지 않으면 접근 허용을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일뿐 이외에 다양한 획득 방법이 가능하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디바이스(20)는 단일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및 단일 안테나를 포함한다. 즉 동일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이 적용되며 단일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모듈 구성이 소형화되며 추가 구성시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1a) 및 수신 디바이스(2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단말(10a)은 통신부(100a), 제1 안테나(130a), 제2 안테나(140a) 및 제어부(120a)를 포함한다. 도 2가 두 개의 통신부, 즉 제1 통신부(100) 및 제2 통신부(110)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10)이 도시한 도면임에 비하여, 도 3은 단일의 통신부(100a)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10a)을 도시한 도면이다.
통신부(100a)는 주변의 디바이스들 중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신 디바 이스(20)에 제1 안테나(130a)를 통해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송신한다. 통신설정 메시지는 도 5에서 후술할 디바이스 식별자(Device ID), 디바이스 유형(Device type), 콘텐츠 포맷(format) 및 전송방법을 포함한다. 그리고 통신부(100a)는 선택된 디바이스(20)와 제1 안테나(130a)를 통해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나아가 통신부(100a)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동작을 통해 지향성 통신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 단말(10a)에 마련된 입력키를 통해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는데, 이때 디바이스 선택은 무선통신 단말(10a)이 디바이스에 향해지는 경우 입력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무선통신 단말(10a)은 도 2에서 전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통신하고자 하는 디바이스 대상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통신 대상이 인지되면 전술한 지향성 통신 방식을 이용한 직관적 방법을 통해 바로 통신 대상이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데 소요되는 지연시간이 제거될 수 있어 연결 시간이 단축되며, 유선을 이용한 연결 방법과 같이 무선연결하고자 하는 대상 디바이스를 정확하고도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직관적인 선택이 이루어진 후에는 무지향성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선택된 수신 디바이스(20)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10a)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무선통신 단말(10a)은 통신부(100a)를 통한 지향성 통신 방식 및 무 지향성 통신 방식 모두 동일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안테나 및 동일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블루투스, IEEE 802.11 a/b/g/n, IEEE 802.16e 또는 UWB, 지그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주변의 수신 디바이스(20)와 지향성 또는 무지향성 통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및 복수 개의 안테나를 구성해야 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모듈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 단말(10a)의 제1 안테나(130a) 및 제2 안테나(140a)는 전송범위가 동일하도록 전력이 통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10)은 무지향성 통신을 이용하는 제2 안테나(140a)에 공급되는 전력에 비하여 지향성 통신을 이용하는 제1 안테나(130a)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켜 제1 안테나(130a)와 제2 안테나(140a)의 전송 거리를 동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a)는 제1 안테나(130a)를 통해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2 안테나(140a)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디바이스(20)는 제3 통신부(200), 제3 안테나(230) 및 디바이스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제3 통신부(200)는 무선통신 단말(10a)로부터 제3 안테나(230)를 통해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3 안테나(230)를 통해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도 3의 수신 디바이스(20)에 대한 구성은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관적 무선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은 지향성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디바이스(20)를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10)에 마련된 입력키를 도 4와 같이 클릭(click)하면 원하는 디바이스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마치 리모컨을 통해 원하는 디바이스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처럼 직접적이고도 간편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통신 단말(10)은 지향성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 디바이스(20)로 통신 설정 메시지를 송신한다. 통신 설정 메시지는 디바이스 식별자(Device ID), 디바이스 유형(Device type), 콘텐츠 포맷(format) 및 전송 방법, 환경 설정 정보(채널, SSID)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향성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는 통신하고자 하는 디바이스 대상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통신 대상이 인지되면 바로 통신 대상이 선택되고 선택된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방법이다.
이어서 무선통신 단말(10)과 수신 디바이스(20)는 무지향성 통신 방식을 통해 세션 유형(session type)을 결정한다. 그리고 교섭 메시지(negotiation message)를 통해 수신 디바이스(20)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데이터 형태를 결정한다. 데이터는 수신 디바이스(20)가 프린터일 경우 인화 가능한 데이터이며, 텔레비전일 경우 영상 데이터, 스피커일 경우 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 단말(10)은 수신 디바이스(20)와 자원을 할당(resource allocation)하고 키값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수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응답 메시지(Reply message)가 올 경우를 고려하여 딜레이(0≤t≤역치값)만큼 대기할 수 있다.
이어서 무선통신 단말(10)은 무지향성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 디바이스(20)에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 도중에 제어 메시지(control message)를 교환할 수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 선택시에는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송수신하다가, 통신 시간을 계산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전환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지향성 통신 방식의 연결 링크가 종료되는 즉시 무지향성 통신으로 핸드오버되도록 한다.
한편 송수신중인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기 위해 무선통신 단말(10)은 선택된 수신 디바이스(20)에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해제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수신 디바이스(20)와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연결을 종결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 및 수신 디바이스간의 무선통신의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단말(10)은 무선통신, 특히 근거리 무선통신 상황에서 주변의 디바이스들 중 수신 디바이스(20)를 선택하여 이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디바이스(20)는 직관적으로 선택되는 통신 대상이다.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무선통신 단말(10)이 mp3일 경우 사용자가 직접 수신 디바이 스(20)인 노트북 또는 오디오 콤포넌트를 선택하여 이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무선통신 단말(10)이 캠코더일 경우 사용자가 직접 수신 디바이스(20)인 텔레비전을 선택하여 이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동작을 통해 지향성 통신이 실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무선통신 단말(10)이 디바이스에 향해지는 경우 입력키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직관적 선택은 마치 리모컨을 통해 원하는 디바이스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처럼 직접적이며 효율적인 방법이다.
한편 도 7과 같이 노트북에 저장된 파일을 데스크톱 PC에 이동하고자 할 경우 이동식 메모리를 노트북으로 향하여 이를 선택하면 이동식 메모리로 파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이동식 메모리를 데스크톱 PC를 향하여 이를 선택하면 이동식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데스크톱 PC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 단말(10)은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와 연결될 디바이스의 종류 및 전송될 컨텐츠의 종류를 상호 인식할 수 있어 연결에 따른 동작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과 같이 카메라를 프린터로 향하고 연결하면 사진을 인화할 수 있고, 카메라를 전자 액자로 향하고 연결하면 전자 액자의 사진을 카메라 내의 사진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동일한 동작으로 연결하더라도 디바이스의 종류 및 전송될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조작이 이루어져 맞춤형 무선연결이 가능하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은 무선통신 상황에서 지향성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직관적인 통신 대상인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마치 리모컨을 이용하는 것처럼 직접적으로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 대상이 직관적으로 선택되면 이후 무지향성 통신을 통해 선택된 수신 디바이스와 무선통신할 수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나아가 무선통신 단말 및 수신 디바이스는 동일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에 따라 기존의 무선통신 모듈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어 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구현이 용이하다. 또한 수신 디바이스는 무선통신 모듈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서 호환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 및 수신 디바이스간의 무선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 및 수신 디바이스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 및 수신 디바이스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관적 무선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 및 수신 디바이스간의 무선통신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무선통신 단말 20 : 수신 디바이스
100 : 제1 통신부 110 : 제2 통신부
120 : 제어부 130,130a : 제1 안테나
140, 140a : 제2 안테나 100a : 통신부
200 : 제3 통신부 220 : 디바이스 제어부
230 : 제3 안테나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무선통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선택된 디바이스에 제1 안테나를 통해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와 제2 안테나를 통해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에 마련된 입력키를 통해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와 지향성 통신을 하는 무선통신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이 디바이스를 향하는 경우 상기 입력키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가 선택되는 무선통신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동일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전송범위가 동일하도록 전력이 통제되는 무선통신 단말.
  6.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무선통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선택된 디바이스에 제1 안테나를 통해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와 제2 안테나를 통해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통신 방식 및 상기 무지향성 통신 방식은 동일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
  8. 송신 단말과 무선통신하는 수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제1 안테나를 통해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단말과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 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송수신된 데이터 메시지에 따라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신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통신 방식 및 상기 무지향성 통신 방식은 동일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이 적용되는 수신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의 접근 허용 여부에 대한 단말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수신 디바이스.
  11.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과 무선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선택된 디바이스에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와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동일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중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와 상기 무지향성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무선통신 방법.
KR1020080036359A 2008-04-18 2008-04-18 직관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 및 그 방법 KR20090110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59A KR20090110720A (ko) 2008-04-18 2008-04-18 직관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59A KR20090110720A (ko) 2008-04-18 2008-04-18 직관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720A true KR20090110720A (ko) 2009-10-22

Family

ID=4153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359A KR20090110720A (ko) 2008-04-18 2008-04-18 직관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07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66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Fi service by Wi-Fi device
EP3029650B1 (en) Electronic device, audio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audio device power supply
KR101653671B1 (ko) Wi-Fi 디스플레이 연결의 오디오 및 음성 백 채널들의 설정 및 제어
KR101682385B1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3893109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bluetooth devices
CN112823554B (zh) 用于确定p2p操作信道的电子设备及其方法
JP2017147767A (ja) Bluetoothネットワークでデータ通信を中継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1166254B (zh) 一种在无线设备之间传送高速无线数据的方法及系统
KR20090007694A (ko) 오디오 헤드셋
JP703735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0434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in a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EP2975589B1 (en)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xternal apparatus
US201602051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udio/video strea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08464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1610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ialing
US201601653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plicit exclusion, inclusion and ranking of discovery and connectivity mechanisms
US200801610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22160967A1 (zh) 通信方法、移动设备、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001720A1 (zh) 电子设备、无线通信方法和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90110720A (ko) 직관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 및 그 방법
US96813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4844736A (zh) 一种设备及通话控制方法
KR101935355B1 (ko)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20240056720A1 (en)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CN114844735A (zh) 一种显示设备及语音转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