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281A - 바이오 센서 - Google Patents

바이오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281A
KR20130104281A KR1020120025655A KR20120025655A KR20130104281A KR 20130104281 A KR20130104281 A KR 20130104281A KR 1020120025655 A KR1020120025655 A KR 1020120025655A KR 20120025655 A KR20120025655 A KR 20120025655A KR 20130104281 A KR20130104281 A KR 20130104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iosensor
sample
upper plat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재필
박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5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4281A/ko
Publication of KR20130104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8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stream of discrete samples flowing along a tube system, e.g. flow injection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36Integrated biosensor, microar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센서는, 검체 투입부가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 상부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검체 투입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필터부를 포함하고, 필터부는, 필터와 필터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프레임을 포함하며, 필터의 유리전이온도(Tg) 또는 용융온도(Tm)가 프레임의 유리전이온도(Tg)보다 높다. 이에 의해, 필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필터의 정렬이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오 센서{Bio sensor}
본 발명은 바이오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필터의 정렬이 용이한 바이오 센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기대 수명이 증가하면서, 그에 따라 수반되는 질병의 종류도 다양해지며 질병의 예방 및 진단을 위해서 다양한 진단 장치와 진단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임신 진단에서부터 암과 다발성경화증과 같은 각종 질병을 검사하는 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바이오 센서는 항체와 같은 미세한 단백질, DNA 등을 이용하므로 바이오 센서의 정확도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를 위해 검체가 투입되는 필터는 오염이나 손상 등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한편, 종래의 바이오 센서는 멤브레인 및 다수의 패드 등을 포함함으로써, 혈액 등의 검체로부터 혈장 등의 검출물질을 분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물질 등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는 등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공개특허공보 제2008-0051011호 "혈장 분리용 마이크로 필터 소자"는 외부구동없이 모세관력을 이용하에 자체적으로 전혈로부터 혈장을 분리할 수 있는 마이크로 필터 소자를 소개하고 있으나, 종이필터가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직접 접합하여 결합하고 있고, 이에 의해 필터가 오염 또는 손상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8-005101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필터의 정렬이 용이한 바이오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센서는, 검체 투입부가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 상부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검체 투입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필터부를 포함하고, 필터부는, 필터와 필터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프레임을 포함하며, 필터의 유리전이온도(Tg) 또는 용융온도(Tm)가 프레임의 유리전이온도(Tg)보다 높다.
또한, 필터의 하면은 하부 플레이트와 접촉한다.
여기서,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필터의 하면과 접하는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필터의 중앙부의 두께가 프레임이 부착된 필터의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에는 필터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형성된 패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는 검체의 유동 통로인 채널이 형성되고, 검체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채널 내에서 유동한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에는 채널과 연결된 저장 챔버가 형성되고, 저장 챔버는 검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저장 챔버에는 돌기들이 형성된다.
또한, 검체 투입부에는 필터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는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에는 벤트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필터부의 정렬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센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바이오 센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단면을 도시한 또 다른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바이오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바이오 센서는 일 양상이 구체화 될 수 있는 한 모든 생물학적 측정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 센서는 마이크로어레이칩, 측방유동(Lateral flow)분석 키트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센서(100)는, 검체 투입부(112)가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110)와 상부 플레이트(110)와 결합하는 하부 플레이트(120)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서 검체 투입부(112)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필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검체란 검출대상용액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석물질을 함유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검체는 혈액, 타액, 뇌척수액, 땀, 소변, 젖, 복수, 점액, 비강 유체(nasal fluid), 객혈, 관절혈액, 복강액 및 기타 등을 포함하여 생리적 유체와 같은 어떠한 생물학적 공급원(예컨대, 사람, 동물 등)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또한, 검체는 생물학적 공급원으로부터 직접 얻어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검체의 특성을 개질하는 사전 처리가 수행되어 사용할 수 있다. 사전 처리로는 여과, 침전, 희석, 혼합, 농축, 간섭 성분의 불활성화, 용해(lysis), 시약 첨가 등의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는 등의 조치가 수행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는 체결홈(117) 및 체결 돌기(127)등에 의해 상호 결합하며,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의 결합을 통해 검체의 이동통로인 채널(130)이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는 검체와 반응하지 않는 비반응성 물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라벨(미도시)로 둘러싸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검체의 이동통로인 채널(130)이 형성된다면,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오목한 형상의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 하부 플레이트(12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상부 플레이트(110)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는, 이와는 반대로 상부 플레이트(110)가 하부 플레이트(120)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110)는 검체 투입부(112), 돌출 벽부(116), 벤트 홀(118)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110)는 광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10)가 광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는, 검체의 유동과정과 채널(130) 상의 검체부에서 나타나는 결과를 모두 확인할 수 있고, 특히 검출부(13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투시창을 생략할 수 있다.
검체 투입부(112)는 바이오 센서(100) 내로 검체를 주입하는 곳으로, 상부 플레이트(110)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개구일 수 있다.
한편, 검체 투입부(112)에는 후술하는 필터부(200)를 수용하는 수용부(114)가 형성된다. 수용부(114)는 그 수평 단면이 필터부(200)와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필터부(200)의 두께와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서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수용부(114)에는 중앙에 홀(142)이 형성된 커버(140)가 결합하여, 필터부(200)가 검체 투입부(1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커버(140)는 검체 투입부(112)를 통한 검체의 투입시, 예를 들어, 피펫 등의 단부와 필터(210)가 직접 접촉하는 것에 의해 필터(2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이오 센서(100)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140)의 중앙에는 홀(142)이 형성되므로, 투입된 검체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필터부(200)에 흡수되므로, 검사 결과의 오차를 줄이고, 정확도를 향상시켜, 바이오 센서(100)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140)는 홀(142)이 형성된 중앙부분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 벽부(116)는 후술하는 하부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홈부(G)에 끼움 결합하여,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가 상호 결합하도록 하며, 검체의 이동 경로인 채널(130)을 형성한다. 채널(130) 내에서 검체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일 방향으로 유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부 플레이트(110)에는 하부 플레이트(120)의 구성과 대응하는 구성으로 돌출 벽부(116)만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플레이트(120)와 형합 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벽부(121)와 대응하는 홈(미도시)이 상부 플레이트(110)에 형성될 수 있다.
벤트 홀(118)은 상부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형성된 홀로써, 벤트홀(118)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의 공기가 빠지면서 바이오 센서(100) 내에서 검체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20)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필터부(200)가 안착되는 안착부(122), 홈부(G) 및 저장챔버(125)를 형성하는 벽부(121), 검체의 유동속도를 조절하는 패턴부(124), 저장챔버(125)에 형성된 돌기(126)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벽부(121)는 검체가 바이오 센서(10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부 플레이트(120)의 저면보다 높게 형성된다. 한편, 벽부(121)는 상부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돌출 벽부(116)와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돌출 벽부(116)와 결합하는 홈부(G)를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안착부(122), 채널(130) 및 저장챔버(125)는 하부 플레이트(120)의 저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벽부(121)는 상부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돌출 벽부(116)와 결합하기 위한 홈부(G)를 형성하기 위해 채널(130) 및 저장챔버(125)를 형성하는 단차진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한 개의 라인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안착부(122)는 필터부(200)가 안착되는 영역으로, 필터부(200)를 통과한 검체는 일 방향으로만 유동할 수 있도록 안착부(122)는 3면이 막힌 구조를 가진다.
한편, 안착부(122)에 안착되는 필터부(200)는, 필터(210)와 필터(210)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프레임(220)을 포함하며, 필터부(200)는,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필터(210)와 프레임(220)을 동시에 사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필터(210)는 상면 및 이와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하고,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20)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필터부(200)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성형이 가능한 고분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필터부(200)를 형성할 때, 필터(210)의 형상이나 구조가 변형되지 않도록, 필터(210)의 유리전이온도(Tg) 또는 용융온도(Tm)는 프레임(220)의 유리전이온도(Tg)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필터(210)는 폴리설폰(Polysulfone, Tg=185℃), 유리섬유(Glass fiber, Tg>800℃),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Tm>160℃),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Tm>177℃)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220)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Tg=95℃),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Tg=105℃),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Tg=150℃), ABS(Tg=105℃)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바이오 센서(100) 내로의 검체의 용이한 유입을 위해, 필터(210)의 하면은 하부 플레이트(120)와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패턴부(124)는 검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필터부(20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패턴부(124)는 필터부(200)로부터 유입되는 검체를 측방향으로 확산시켜 검체의 유동속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검체가 채널(130)로 일정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부(124)는 다수의 돌기들로 형성될 수 있는데, 채널(130)방향으로 이동하는 검체는 돌기에 의해 직선방향으로의 진행이 저지되고, 좌우로 확장되어 진행함으로써, 채널(130)로의 유입시 속도가 저하되고, 채널(130)의 폭에 대해 일정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달리, 패턴부(124)는 검체의 유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라인 패턴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라인 패턴도 검체를 좌우로 확장시켜 검체가 채널(130)로 일정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채널(130)은,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채널(130) 내에서 검체는 모세관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또한, 채널(130) 내에는 검출부(131)가 형성된다.
검출부(131)는 검출대상용액인 검체에 포함된 분석물질과 반응하는 검출물질을 포함한다. 검출부(131)는 예를 들어, 형광 시약이나 골드 시약 등과 같은 발색 시약을 채널(130) 상에 고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131)는 형광 또는 골드 나노비드 등과 같은 발색원이 혼합되어 있어서, 검체에 포함된 분석물질과 검출부(131) 내의 검출물질이 특이적으로 반응하면 발색 또는 형광 등의 시그널을 방출하고, 이러한 시그널은 육안이나 검출기로 검출하거나, 검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빛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검체 내에 포함된 분석물질의 유무나 양을 알 수 있다.
저장챔버(125)는, 채널(130)과 연결되어 검출부(131)에서 반응되지 않은 잔여물을 저장한다. 저장 챔버(125)는 모세관력을 증가시켜 잔여물의 유입을 촉진하고, 저장 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검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저장 챔버(125)에는 돌기(126)들이 형성되어, 저장 챔버(125)에 저장된 잔여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잔여물의 유동시 메니스커스(Meniscus)를 안정하게 만들어 공기가 갇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 필터부(200)가 안착부(122)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필터부(200)는 필터(210)와 필터(210)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터부(200)는, 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인서트 사출 성형시, 열에 의한 필터(210)의 형상이나 구조가 변형되지 않도록, 필터(210)의 유리전이온도(Tg) 또는 용융온도(Tm)는 프레임(220)의 유리전이온도(Tg)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200)는 초음파 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도 2의 110) 및 하부 플레이트(도 2의 120)와 접합할 수 있다. 이때, 필터부(200)와 하부 플레이트(도 2의 120)간의 접합은, 필터부(200)의 프레임(220)과 하부 플레이트(도 2의 120)의 안착부(122) 사이가 접합됨을 의미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필터부(200)와 상부 플레이트(도 2의 110) 간의 접합시에는 필터부(200)의 프레임(220)과 상부 플레이트(도 2의 110)가 접합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부(200)의 접합시 필터(210)는 접합에 직접 관여하지 않으므로, 필터부(200)의 접합시 필터(210)가 오염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검체는 필터(210)를 통과하여 채널(도 2의 130)로 유입된다. 이때, 필터(210)는 검체의 특성을 개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체가 혈액인 경우, 검체인 혈액은 필터(210)를 통과하면서 혈장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200)가 안착부(122)에 안착되면, 필터(210)의 하면이 하부 플레이트(도 2의 120)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터(210)의 하면이 안착부(122)의 상면과 접촉하면, 필터(210)의 하면에서 검체의 맺힘 현상이 방지되어 검체가 필터(210)로부터 신속하게 빠져나올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바이오 센서(100) 내로의 검체의 유입을 촉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은 하부 플레이트(도 2의 120)의 상면 즉, 안착부(122)의 상면에 필터(210)의 하면과 접하는 돌기(123)들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도면에는 돌기(123) 들이 삼각형을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돌기(123)들은 반원, 타원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는 필터(210)의 중앙부의 두께(T1)가 프레임(220)이 부착된 필터(210)의 가장자리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필터(210)의 하면이 안착부(122)의 상면과 접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필터(210)를 통과한 검체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신속하게 채널(도 2의 130)로 유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터(210)의 중앙부의 두께(T1)를 프레임(220)이 부착된 필터(210)의 가장자리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에 의한 필터부(200)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210)의 중앙부의 두께(T1)를 하부쪽으로 신장시킨 경우는, 사출 시 스트레스로 수십 ㎛ 단위로 발생하는 프레임(220)의 변형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바이오 센서(100)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부(200)는 인서트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도 5는 인서트 사출성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먼저, 도 5의 (a)는 인서트 사출성형에 사용되는 금형틀에 의해 형성된 제1성형품(310)을 도시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성형품(310)은 금형틀의 형상이 전사된 것이므로, 설명의 편의상 제1 성형품(310)을 가지고 금형틀의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성형품(310)에는 다수의 개구(312)와, 인서트 사출 성형 후 단위 셀로 분리하기 위한 골(314)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금형틀에는 상기 제1 성형품(310)의 형상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인서트 사출 성형은 상기 금형틀이 상, 하부에 위치하여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필터(도 2의 210)를 삽입한 후, 프레임(도 2의 220)을 형성하기 위한 재질을 금형틀에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인서트 사출 성형된 모습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이다.
도 5의 (b)는 필터(210)의 양면에 제1 성형품(310)과 제2 성형품(320)이 부착된 것을 도시한다. 제2 성형품(320)은 제1 성형품(31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즉, 필터(210)에 부착된 제1 성형품(310)과 제2 성형품(320)은 도 5의 (a)에서 도시하는 개구(312)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필터(210)와 접합하게 된다.
다음으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 성형품을 도 5의 (a)에 도시한 골(314)을 따라 절단하면, 도 5의 (c)와 같은 단위 필터부(20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필터부(200)는 필터(210)의 가장자리에 프레임(220)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다루기가 용이하여 바이오센서(도 1의 100) 내의 정렬이 용이하고, 상부 플레이트(도 2의 110) 및 하부 플레이트(도 2의 120)와의 접합시 필터(2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 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바이오 센서 110: 상부 플레이트
112: 검체 투입부 114: 수용부
116: 돌출 벽부 118: 벤트 홀
120: 하부 플레이트 122: 안착부
123: 돌기 125: 저장챔버
130: 채널 140: 커버
142: 홀 200: 필터부
210: 필터 220: 프레임

Claims (10)

  1. 검체 투입부가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검체 투입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의 유리전이온도(Tg) 또는 용융온도(Tm)가 상기 프레임의 유리전이온도(Tg)보다 높은 바이오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하면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바이오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의 하면과 접하는 돌기들이 형성된 바이오 센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중앙부의 두께는 상기 프레임이 부착된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두꺼운 바이오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필터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형성된 패턴부를 포함하는 바이오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검체의 유동 통로인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검체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채널 내에서 유동하는 바이오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채널과 연결된 저장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 챔버는 상기 검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바이오센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챔버에는 돌기들이 형성된 바이오센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 투입부에는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바이오센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벤트 홀이 형성된 바이오센서.
KR1020120025655A 2012-03-13 2012-03-13 바이오 센서 KR20130104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655A KR20130104281A (ko) 2012-03-13 2012-03-13 바이오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655A KR20130104281A (ko) 2012-03-13 2012-03-13 바이오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281A true KR20130104281A (ko) 2013-09-25

Family

ID=4945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655A KR20130104281A (ko) 2012-03-13 2012-03-13 바이오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42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537A (ko) * 2018-01-25 2019-08-02 (주)인텍바이오 진단샘플의 초기 이동거리 조절 기능을 가지는 진단 칩
KR102558990B1 (ko) * 2023-04-19 2023-07-21 이찬호 계수챔버를 갖는 정자 관찰용 슬라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537A (ko) * 2018-01-25 2019-08-02 (주)인텍바이오 진단샘플의 초기 이동거리 조절 기능을 가지는 진단 칩
KR102558990B1 (ko) * 2023-04-19 2023-07-21 이찬호 계수챔버를 갖는 정자 관찰용 슬라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524B1 (ko) 생체 시료 분석용 마이크로-나노 플루이딕 바이오칩
CN108704677B (zh) 一种微流控芯片及含其的分析仪器
JP6309688B2 (ja) 側方流アッセイデバイス
EP2374540B1 (en) Chip for analyzing fluids being moved without an outside power source
JP6676611B2 (ja) マイクロ流体チップ、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分析装置
US8059270B2 (en) Microchip
US8900528B2 (en) Disc-shaped analysis chip
US8404192B2 (en) Biochips and related automated analyzers and methods
CN101263392A (zh) 微流道芯片
KR102651768B1 (ko) 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유체 시스템
JP2013521773A (ja) 血球分離チップ
US20190134625A1 (en) Pillar structure for biochip
JP2006300741A (ja) 光学測定用マイクロ流路及びマイクロ流体チップ
KR101816933B1 (ko) 바이오 센서 및 그의 작동방법
JP5137007B2 (ja) マイクロチップ
JP5157629B2 (ja) 流路基板
JP2009287971A (ja) マイクロチップ
KR20130104281A (ko) 바이오 센서
KR101894100B1 (ko) 바이오 센서
US20090011947A1 (en) Detection Chip and Method for Detecting Substance Using Same
JP6017793B2 (ja) マイクロチップ
KR101104398B1 (ko) 생체물질을 측정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1157728A (zh) 光波导微流体检测系统
KR102094687B1 (ko) 유체 분석용 칩
CN211826082U (zh) 光波导微流体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