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093A -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093A
KR20130104093A KR1020120025271A KR20120025271A KR20130104093A KR 20130104093 A KR20130104093 A KR 20130104093A KR 1020120025271 A KR1020120025271 A KR 1020120025271A KR 20120025271 A KR20120025271 A KR 20120025271A KR 20130104093 A KR20130104093 A KR 20130104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field installation
unit
remot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9694B1 (ko
Inventor
이영석
김영대
조휘규
황진상
천동혁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엠플렛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엠플렛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엠플렛폼
Priority to KR102012002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69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현장 설치 모듈 및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미리 정해진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현장 설치 모듈과 상기 관리 모듈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 또는 제1 통신부에 송달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현장 설치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을 제어하되, 웨이크 업 회로부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상기 웨이크 업 회로부 외의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의 각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현장 설치 모듈과 상기 관리 모듈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관리 모듈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현장 설치 모듈 및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센서부와 웨이크 업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현장 설치 모듈의 각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불법 산행이나 샛길 출입과 같이 지형의 특성상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어렵고, 침입 횟수가 많지 않아 고 전력 사용이 비효율적인 곳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수집 모듈, 음성 출력 모듈 또는 영상 출력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용이하게 주변 영상을 수집하고, 안내 음성 또는 안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통신부와 무선 통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센서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감시 구역이 확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피뢰침, 절연 재질의 내부 케이스를 각각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낙뢰 방지부를 포함함으로써, 낙뢰 위험이 있는 산이나 공원 등 외부에 설치된 현장 설치 모듈을 보호하고, 낙뢰 방지 기능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SENSOR BASED REMOTE MONITORING AND AUTO GUIDE SYSTEM WITH LOW POWER}
본 발명은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 5일 근무의 확산과 건강 관심도 증가에 따라 산행 문화가 확산됨과 동시에, 불법 산행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사전 예방 차원의 관리 운영과 효율적인 공원 현장 관리 기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관리요원을 배치하는 등과 같이 인력을 직접 이용하는 실시간 현장 관리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효율성이 극히 떨어지고, 인력 투입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안내 표지판이나 안내 방송, 또는 CCTV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현장에 불법으로 침입하지 못하게 유도하거나, 무인으로 감시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안내 표지판이나 안내 방송은 단순히 불법 침입 저지 유도의 효과에 그칠 뿐이고, CCTV 카메라 등을 이용하는 것은 지속적인 전력 공급 및 대용량의 메모리 저장 공간이 요구되어, 실제 설치 후에도 방전 또는 메모리 삭제나 초과로 인해 기기가 작동하지 않아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주거 침입 감시 장치에 있어서, 무인으로 감시하는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특허출원 제 10-2004-7012782호 참조). 이와 같은 감시 시스템은, 센서와 통신 수단 및 중앙처리장치 등을 이용하여 중앙에서 원격으로 침입 등을 인식하고 이를 중앙에서 처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도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전력이 필요하고, 인터넷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특히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어렵고, 잦은 침입이 일어나지 않아 고 전력 사용이 비효율적인 불법 산행이나 샛길 출입 감시 등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불법 산행이나 샛길 출입 감시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저 전력으로 효율적 감시, 안내 및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현장 설치 모듈 및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센서부와 웨이크 업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현장 설치 모듈의 각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수집 모듈, 음성 출력 모듈 또는 영상 출력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용이하게 주변 영상을 수집하고, 안내 음성 또는 안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통신부와 무선 통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센서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감시 구역이 확대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피뢰침 또는 절연 재질의 내부 케이스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낙뢰 방지부를 포함함으로써, 낙뢰 위험이 있는 산이나 공원 등 외부에 설치된 현장 설치 모듈을 보호하고, 낙뢰 방지 기능도 할 수 있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은,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현장 설치 모듈 및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미리 정해진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현장 설치 모듈과 상기 관리 모듈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 또는 제1 통신부에 송달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현장 설치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을 제어하되, 웨이크 업 회로부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상기 웨이크 업 회로부 외의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의 각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현장 설치 모듈과 상기 관리 모듈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관리 모듈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이 설치된 주변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 수집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면, 상기 영상 수집 모듈이 웨이크 업 되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미리 저장된 음성이나 관리자의 실시간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면, 상기 음성 출력 모듈이 웨이크 업 되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미리 저장된 영상이나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듈이 웨이크 업 되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상기 제1 통신부와 무선 통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추가 센서부는,
열 감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낙뢰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낙뢰 방지부는,
피뢰침, 절연 재질의 내부 케이스, 또는 피뢰침 및 절연 재질의 내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시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각 모듈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세계 표준시각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상태 표시등을 더 포함하여,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의 작동 여부, 센서 작동 여부, 데이터 용량 경고 및 배터리 경고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이동식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 백업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의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면 경보가 울리도록 구현하여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원격 감시하는 경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은,
불법 산행이나 샛길 출입을 원격으로 감시하고 자동으로 안내 관리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현장 설치 모듈 및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센서부와 웨이크 업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현장 설치 모듈의 각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불법 산행이나 샛길 출입과 같이 지형의 특성상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어렵고, 침입 횟수가 많지 않아 고 전력 사용이 비효율적인 곳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수집 모듈, 음성 출력 모듈 또는 영상 출력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용이하게 주변 영상을 수집하고, 안내 음성 또는 안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통신부와 무선 통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센서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감시 구역이 확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피뢰침, 절연 재질의 내부 케이스를 각각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낙뢰 방지부를 포함함으로써, 낙뢰 위험이 있는 산이나 공원 등 외부에 설치된 현장 설치 모듈을 보호하고, 낙뢰 방지 기능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을 도식화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현장 설치 모듈 및 관리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을 도식화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의 사용태양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의 사용태양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의 사용태양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이 이동식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백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은,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현장 설치 모듈(100) 및 관리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장 설치 모듈(100)은, 침입 여부 등의 감시 및 음성 계도 등의 안내, 관리가 필요한 현장에 설치되어, 침입 여부 등을 인식하여 관리 모듈(200)에 정보를 전달하고, 음성 계도 등의 안내를 실행하는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이란, 저 전력 영상-음성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통제지역으로의 탐방객 유입을 센서 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카메라 촬영 또는 계도 방송을 하여 출입을 차단함으로써, 자연 훼손을 예방하는 등 원격으로 감시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설치 모듈(100)은, 센서부(110), 제1 통신부(120), 저장부(130), 전력 공급부(140) 및 제1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미리 정해진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사람, 동물 또는 자동차와 같이 물체가 접근하면, 그 물체가 발하는 열이나 소음, 적외선 등을 인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열 감지 센서, 음성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 방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각지대 없이 Zone을 구성하여 동체를 감지함이 바람직하다.
제1 통신부(120)는, 현장 설치 모듈(100)과 관리 모듈(200) 간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즉, 현장 설치 모듈(100)에서 수집한 정보들을 관리 모듈(200)에 전달하고, 관리 모듈(20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전달받는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WIFI나 무선 중계기 등의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인터넷망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동식 저장장치(USB 저장장치 등)에 저장되어 정보가 전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정의하고 있는 제1 통신부(120)는 두 모듈 간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의미한다.
저장부(130)는, 센서부(110)로부터 감지된 정보 또는 제1 통신부(120)에 송달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센서부(110)로부터 감지된 정보가 처리되기 전에 저장될 수 있고, 관리 모듈(200)로부터 제1 통신부(120)에 송달된 정보, 또는 미리 정해진 자극이나 실행 신호 등의 다양한 수집 정보(침입 정보 등), 실행 정보 또는 전달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시간대별로 저장하여 데이터화할 수도 있다.
전력 공급부(140)는, 현장 설치 모듈(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현장 설치 모듈(100)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이 요구되는데 일반적인 전자 기기 실행에 사용되는 전력 공급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배터리, 태양광 충전 등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기반으로 웨이크 업 회로부(151)를 포함함으로써, 저 전력으로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한바, 반드시 지속적으로 고 전력이 공급될 필요는 없다는 장점이 있다.
제1 제어부(150)는, 웨이크 업 회로부(151)를 포함하여 센서부(110)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웨이크 업 회로부(151) 외의 현장 설치 모듈(100)의 각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웨이크 업 회로부(151)란,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전압을 출력하는 등의 작동을 구현시키는 것을 말한다. Wake-up 기술로 극소전력을 소비하는 웨이크 업 회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모두 OFF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센서부(110)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여 특정 웨이크 업 신호를 제공하면, 웨이크 업 회로부(151)를 포함하는 제1 제어부(150)는, 일반적인 전자 기기에서 다른 구성부(제1 통신부(120), 저장부(130) 포함 기타 모든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기기를 계속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고, 침입 신호 등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기기를 작동시켜 전력을 매우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불법 산행이나 샛길 출입과 같이 지형의 특성상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어렵고, 침입 횟수가 많지 않아 고 전력 사용이 비효율적인 곳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에 특히 유용하다.
관리 모듈(200)은, 현장 설치 모듈(100)에서 인식한 침입 여부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관리 모듈(200)은, 현장 설치 모듈(1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분류하고, 조회,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데이터 분류란, 녹화된 영상을 보면서 사람, 동물을 1차 선택하고 이동 방향을 2차로 선택하여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데이터의 조회는 저장된 데이터에서 현장별, 시간별 조건에 따라 원하는 데이터가 검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녹화된 영상을 time bar를 사용하여 고속 탐색하고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원하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여 현장 설치 모듈(100)에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관리 모듈(200)은,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일 수 있고, 복수 개의 관리 모듈(200)이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모듈(200)은, 현장 설치 모듈(100)과 관리 모듈(200)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제2 통신부(210) 및 관리 모듈(200)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현장 설치 모듈(1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현장 설치 모듈(100)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이동식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정보가 전달될 수도 있는 등, 두 모듈 간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현장 설치 모듈 및 관리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현장 설치 모듈(100, 100’, 10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현장 설치 모듈(100)이 설치된 넓은 범위에서 감시 및 안내, 관리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은, 영상 수집 모듈(160), 음성 출력 모듈(171) 또는 영상 출력 모듈(1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수집 모듈(160)은, 현장 설치 모듈(100)이 설치된 주변 영상을 수집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카메라, CC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출력 모듈(171)은, 미리 저장된 음성이나 관리자의 실시간 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출력 모듈(172)은, 미리 저장된 영상이나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LCD, LED 액정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집 모듈(160), 음성 출력 모듈(171) 또는 영상 출력 모듈(172)은, 센서부(110)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면, 웨이크 업 되어 실행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가 사람의 존재를 인식하면, 카메라가 웨이크 업 되어 주변 영상을 수집하고, 스피커에서는 진입 금지 안내 방송 등이 출력되며, LCD 화면에는 진입 금지 안내 영상 및 문구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110)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실행이 되어 전력이 절약되고, 수집 데이터를 위한 대용량 메모리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100)은, 제1 통신부(120)와 무선 통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센서부(101, 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센서부(101, 101’)도 센서부(110)와 마찬가지로 열 감지 센서, 음성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통신부(120) 또는 제2 통신부(210)와 통신할 수 있는 제3 통신부, 전력 공급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탐방객(300, 300’)을 감시하는, 감시 구역이 확대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100)에는, 낙뢰 방지부(181, 18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낙뢰 방지부는, 피뢰침(181) 또는 절연 재질의 내부 케이스(182)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포함함으로써, 낙뢰 위험이 있는 산이나 공원 등 외부에 설치된 현장 설치 모듈(100)을 보호하고, 낙뢰 방지 기능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낙뢰 방지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뢰침(181)을 현장 설치 모듈(100)의 본체 옆에 구비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장치를 별도 절연 재질의 내부 케이스(182)로 보호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즉, 외부 금속 케이스와 별도로 내부에 절연 재질의 케이스(182)를 더 포함하고, 그 사이 공기층(Air)을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피뢰침(181)과 절연 재질의 내부 케이스(182)를 복합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중으로 보호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100)은,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시각 모듈(19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시각 모듈(190)을 더 포함함으로써, 현장 설치 모듈(100)의 표시부(영상 출력 모듈(172)이 될 수도 있음)를 통하여 현재 시각 정보를 탐방객(300, 300’)에게 제공할 수 있고, 센서부(110)가 자극을 감지한 시간, 영상 수집, 음성 출력, 영상 출력 시간 정보 등을 제1 통신부(120)를 통해 관리 모듈(200)에 전달하거나,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시각 모듈(190)은, 인공위성(400)으로부터 세계 표준시각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내부 시계의 고장 여부에 관계없이 정확한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바, 침입 정보 등의 정확한 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100)은, 상태 표시등(500)을 더 포함하여, 현장 설치 모듈(100)의 작동 여부, 센서(센서부(110) 및 복수의 추가 센서부(101, 101’)의 센서 포함) 작동 여부, 데이터 용량 경고 및 배터리 경고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태 표시등(500)은 엘이디 표시등(LED indicator)일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의 사용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현장 설치 모듈(100)에서 USB 저장 장치(600)를 통해 관리 모듈(200)로 수집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인 선로 작업 등이 불필요하므로, 현장 설치 모듈(100)의 설치 및 확장성이 용이하고 구축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인터넷망 등 통신 설비가 없는 지역에 적합하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현장 설치 모듈(100)은 복수 개의 추가 센서부(101)를 포함할 수 있고, 서로 무선 통신 할 수 있으며, 무선 공유기(700)와 통신 기지국(800)을 통해 근거리 인터넷망(WIFI, 약 50M)을 이용하여 관리 모듈(200)과도 실시간으로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거리 무선 중계기(900)를 추가로 이용함으로써, 현장 설치 모듈(100)과 관리 모듈(200) 간에 실시간 장거리(약 1KM)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유선 통신에 비하여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이 이동식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백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에서 현장 설치 모듈(100)은, 이동식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1000)에 데이터 백업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관리 모듈(200)은, 현장 설치 모듈(100)의 센서부(110)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면 경보가 울리도록 구현하여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원격 감시하는 경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가 요구되는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특히 불법 산행이나 샛길 출입을 원격으로 감시하고 자동으로 안내 관리에 유용하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상시 저 전력으로도 상시 감시 체계를 구축할 수 있고, 나아가 자연 훼손 예방 및 친환경 탐방 문화 장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 100”: 현장 설치 모듈
101, 101’: 추가 센서부 110: 센서부
120: 제1 통신부 130: 저장부
140: 전력 공급부 150: 제1 제어부
151: 웨이크 업 회로부 160: 영상 수집 모듈
171: 음성 출력 모듈 172: 영상 출력 모듈
181: 피뢰침 182: 절연 재질의 내부 케이스
190: 시각 모듈 200: 관리 모듈
210: 제2 통신부 220: 제2 제어부
300, 300’: 탐방객 400: 인공위성
500: 상태 표시등 600: USB 저장 장치
700: 무선 공유기 800: 통신 기지국
900: 장거리 무선 중계기 10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13)

  1.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으로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현장 설치 모듈 및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미리 정해진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현장 설치 모듈과 상기 관리 모듈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 또는 제1 통신부에 송달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현장 설치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을 제어하되, 웨이크 업 회로부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상기 웨이크 업 회로부 외의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의 각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현장 설치 모듈과 상기 관리 모듈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관리 모듈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이 설치된 주변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 수집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면, 상기 영상 수집 모듈이 웨이크 업 되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미리 저장된 음성이나 관리자의 실시간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면, 상기 음성 출력 모듈이 웨이크 업 되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미리 저장된 영상이나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면, 상기 영상 출력 모듈이 웨이크 업 되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상기 제1 통신부와 무선 통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추가 센서부는,
    열 감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낙뢰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 방지부는,
    피뢰침, 절연 재질의 내부 케이스, 또는 피뢰침 및 절연 재질의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시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각 모듈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세계 표준시각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상태 표시등을 더 포함하여,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의 작동 여부, 센서 작동 여부, 데이터 용량 경고 및 배터리 경고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은,
    이동식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 백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현장 설치 모듈의 센서부가 미리 정해진 자극을 감지하면 경보가 울리도록 구현하여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원격 감시하는 경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은,
    불법 산행이나 샛길 출입을 원격으로 감시하고 자동으로 안내 관리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KR1020120025271A 2012-03-13 2012-03-13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KR101359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271A KR101359694B1 (ko) 2012-03-13 2012-03-13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271A KR101359694B1 (ko) 2012-03-13 2012-03-13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093A true KR20130104093A (ko) 2013-09-25
KR101359694B1 KR101359694B1 (ko) 2014-02-11

Family

ID=4945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271A KR101359694B1 (ko) 2012-03-13 2012-03-13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6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6847A (zh) * 2016-07-25 2016-10-26 国家电网公司 变电站高压设备区作业人员安全预警系统
KR20180016743A (ko) * 2016-08-08 2018-02-2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센서 검출 시간이 개선된 감시 카메라 및 그 방법
CN114147736A (zh) * 2021-11-16 2022-03-08 摩霄智能科技(深圳)有限公司 多功能安防和陪伴机器人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0813A (zh) * 2017-09-18 2018-02-23 厦门市智联信通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防盗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964A (ko) * 2003-06-10 2004-12-20 주식회사 아이오코리아 실시간 동영상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692622B1 (ko) * 2006-02-24 2007-03-13 전자부품연구원 복합 능동형 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무선인식 시스템
KR100742754B1 (ko) * 2006-05-24 2007-07-25 주식회사 대흥데이타통신 무인 감지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0771941B1 (ko) * 2006-07-11 2007-10-31 주식회사 에스원 무선센서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하향 수시 통신이 가능한무선 방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6847A (zh) * 2016-07-25 2016-10-26 国家电网公司 变电站高压设备区作业人员安全预警系统
KR20180016743A (ko) * 2016-08-08 2018-02-2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센서 검출 시간이 개선된 감시 카메라 및 그 방법
CN114147736A (zh) * 2021-11-16 2022-03-08 摩霄智能科技(深圳)有限公司 多功能安防和陪伴机器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694B1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022B1 (ko) 운전자를 위한 도로 결빙 예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48507A1 (en) Traffic system for monitoring, analyzing, and modulating traffic patterns
CN101674469B (zh) 基于Zigbee网络的入侵报警、图像记录及传输系统
KR101359694B1 (ko) 저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는 센서 기반의 원격 감시 및 자동 안내 관리 시스템
CN106205042A (zh) 一种地铁拥挤踩踏事故预警联动系统及预警联动方法
CN105847754A (zh) 基于人员定位的监所安防监控系统
CN100470595C (zh) 周界全天候防范系统
US20100302373A1 (en) Camouflaged surveillance devices
CN105279878A (zh) 无线视频防盗自动报警系统及其方法
CN205563880U (zh) 一种不可移动文物的智能防盗系统
KR102207577B1 (ko) 살얼음 관제 시스템, 살얼음 관제 시스템용 표지판
CN206646863U (zh) 一种具有安防功能的多媒体信息亭
JP2014225377A (ja) 街路灯システム、街路灯ユニット、及び街路灯制御プログラム
JP2002228497A (ja) 落石防護ネット警報装置
KR101445330B1 (ko) 블랙박스를 이용한 회전형 불법투기 감시 시스템
CN110211339A (zh) 一种基于云平台的智慧型防灾预警监控系统和方法
KR101370574B1 (ko) 산불예방 홍보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3190353U (ja) 積雪量の監視装置
US20220337966A1 (en) Methods of controlling a digital display based on sensor data, and related systems
JP2004140586A (ja) 侵入監視システムとその制御装置と監視用端末装置と侵入監視プログラム
KR102385866B1 (ko) 도시관리플랫폼에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N113643508B (zh) 防灾紧急通道监控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1095340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교통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8522A (ko) 가로등을 이용한 원격감시 시스템
KR20230088980A (ko) 맨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