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353A - 배드민턴 라켓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353A
KR20130101353A KR1020120022438A KR20120022438A KR20130101353A KR 20130101353 A KR20130101353 A KR 20130101353A KR 1020120022438 A KR1020120022438 A KR 1020120022438A KR 20120022438 A KR20120022438 A KR 20120022438A KR 20130101353 A KR20130101353 A KR 20130101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roove
badminton racket
fasten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6583B1 (ko
Inventor
김선겸
Original Assignee
김선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겸 filed Critical 김선겸
Priority to KR1020120022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583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3Frames characterised by throat sections, i.e. sections or element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3Frames characterised by throat sections, i.e. sections or element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63B49/032T-shaped connection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드민턴 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셔틀 콕을 타격하도록 한 타격부와, 상기 타격부를 지지하도록 한 샤프트와, 라켓을 파지하도록 한 손잡이로 구성된 공지의 라켓으로서, 상기 샤프트는 회전을 방지하고,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그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상측 단부가 체결되도록, 타원형의 홈부가 형성된 체결구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샤프트의 하측 단부가 체결되도록, 타원형의 체결홈부가 더 형성되어, 타격하는 방향으로 일정하게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셔틀콕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타격한 셔틀콕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드민턴 라켓 { Badminton Racket }
본 발명은 배드민턴 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드민턴 라켓은 샤프트의 단면을 타원형으로 형성시켜 타격하는 방향으로 일정하게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셔틀콕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타격한 셔틀콕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배드민턴 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비교적 협소한 장소에서, 간단한 장비로 남녀노소가 즐길 수 있는 경기이고, 경기를 위해서 한 쌍의 배드민턴 라켓과 셔틀 콕이 필요한 장비이다.
상기한 배드민턴 라켓은 주로, 탄성끈이 그물 눈 형태로 형성되어 셔틀 콕을 타격하도록 한 타격부와, 상기 타격부를 지지하도록 봉 형태의 한 지지대와, 사용자가 라켓을 파지하도록 한 손잡이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고, 상기 타격부로 셔틀 콕을 타격하게 되면, 셔틀 콕은 상기 타격부의 탄성끈과 상기 지지대의 탄성으로 셔틀 콕이 반발하여 튀어 나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드민턴 라켓은 지지대의 양단부에 타격부와 손잡이가 고정되는데, 지지대가 봉형태로 형성되어있어 반복적으로 타격부의 외곽부로 셔틀콕을 타격시 충격에 의해 지지대를 중심으로 타격부 또는 손잡이가 회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대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셔틀콕을 타격시 타격방향으로 일정하게 휘어지지 않아 정확하게 셔틀콕을 타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의 단면을 타원형으로 형성시켜, 타격하는 방향으로 일정하게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셔틀콕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타격한 셔틀콕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배드민턴 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셔틀 콕을 타격하도록 한 타격부와, 상기 타격부를 지지하도록 한 샤프트와, 라켓을 파지하도록 한 손잡이로 구성된 공지의 라켓으로서, 상기 샤프트는 회전을 방지하고,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그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상측 단부가 체결되도록, 타원형의 홈부가 형성된 체결구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샤프트의 하측 단부가 체결되도록, 타원형의 체결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양단부에는 한조의 가이드 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체결되도록 상기 홈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에는 체결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외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방향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길이방향으로 긴 안내홈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단부가 끼움되도록 상기 홈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에는 체결고정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방향돌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아내홈의 양단부에는 외면에 한쌍의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홈부 및 상기 체결홈부에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들은 상호 연통되도록 긴 통기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저면은 상기 통기로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합성섬유시트를 단면이 타원형인 성형봉에 권취한 후 가열로에 투입하여 가열,성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배드민턴 라켓은 샤프트의 단면을 타원형으로 형성시켜 타격하는 방향으로 일정하게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셔틀콕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타격한 셔틀콕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배드민턴 라켓(10)은 셔틀 콕(도시생략)을 타격하도록 한 타격부(20)와, 상기 타격부(20)를 지지하도록 한 샤프트(30)와, 샤프트(30)의 단부에 설치되는 한 손잡이(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30)는 회전을 방지하고,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그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샤프트(30)의 상측 단부가 체결되도록, 타원형의 홈부(211)가 형성된 체결구(21)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40)에는 상기 샤프트(30)의 하측 단부가 체결되도록, 타원형의 체결홈부(41)가 더 형성됨으로서, 상기 배드민턴 라켓(10)으로 셔특 콕을 반복적으로 타격해도 샤프트(30)를 중심으로 타격부(20) 또는 손잡이(4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배드민턴 라켓(10)으로 셔틀콕을 타격시 단면이 원형인 라켓에 비해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샤프트(30)의 단면이 원형인 배드민턴 라켓으로 셔틀콕을 타격시 샤프트가 타격하는 방향으로 일정하게 휘어지지 않게 되는 반면, 샤프트의 단면이 타원형인 배드민턴 라켓으로 셔틀콕을 타격시 샤프트가 타격하는 방향으로 일정하게 휘어져 셔틀콕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게 되고 타격된 셔틀콕 또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20)에 탄력끈이 포함되는 구성이나 상기 손잡이(40)의 체결홈부(41)와 상기 타격부(20)의 홈부(211)에 상기 샤프트(30)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본딩, 나사체결, 억지끼움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은 이미 해당분야에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르게는, 상기 샤프트(30)는 단면이 원형 형태인 샤프트(30)의 양단부 및 중앙부분을 단면이 타원형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30)는 내부가 중공된 구조로 형성시키고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재질은 금속재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30)의 양단부에 한조의 가이드 돌기(31)를 더 형성하고, 상기 홈부(211)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31)와 대응되게 가이드 홈(311a)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41)에는 체결 가이드 돌기(411)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31)와 체결되며, 상기 샤프트(30)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방향홈(32)이 등간격을 유지하며 더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31)가 상기 가이드 홈(211a) 및 상기 체결 가이드 홈(411)에 체결되어 타격시 샤프트(30)를 기준으로 손잡이(40)나 타격부(20)가 회전되는 것을 재차 방지하게 되고, 타격시 상기 방향홈(32)을 기준으로 샤프트(30)가 휘어져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향홈(32)들은 상기 샤프트(30)의 외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도면에서와 같이 샤프트(30)의 중앙부분을 따라 형성시키게 되고, 휘어지는 샤프트의 압축력이 방향홈(32)에 집중되면서 일정하게 휘어져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30)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안내홈(33)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33)의 단부가 각각 끼움되도록 상기 홈부(211)에는 고정돌기(411b)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41)에는 체결고정돌기(412)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돌기(211b) 및 상기 체결고정돌기(412)에 상기 안내홈(33)이 끼움되어 타격시 타격부(20)와 손잡이(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타격시 휘어지는 샤프트(30)의 압축력이 상기 안내홈(33)으로 집중되면서 상기 안내홈(33)을 기준으로 휘어져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홈(33)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방향돌부(331)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33)의 양단부에는 외면에 한쌍의 가압돌기(332)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0)가 상기 홈부(211) 및 상기 체결홈부(41)에 억지끼움되도록 함으로서, 샤프트(30)의 방향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손잡이(40) 및 타격부(20)가 외력에 의해 빠지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르게는, 상기 안내홈(32)들은 상호 연통되도록 긴 통기로(333)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32)의 저면은 상기 통기로(333)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시켜, 스윙시 공기가 경시지게 형성된 안내홈(32)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통기로(333)를 통과하게 되므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에서는 샤프트(30)를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봉 또는 관 형태로 형성시킨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 샤프트(30)를 합성섬유시트를 단면이 타원형인 성형봉(도시생략)에 권취한 후 가열로에 투입하여 가열,성형시킨다.
즉, 열을 가할 경유 경화되는 합성섬유시트를 접착제를 일면에 도포하며 성형봉에 권취한 후 가압하여 고정시킨 다음 성형봉에서 분리한 후 가열로에 투입하여 경화시켜 샤프를 형성시킴으로서, 경량화시킴과 아울러 내구성을 향상시켜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 배드민턴 라켓 20 : 타격부
30 : 샤프트 40 : 손잡이
21 : 체결구 211 : 홈부
211a : 가이드홈 211b : 고정돌기
31 : 가이드 돌기 32 : 방향홈
33 : 안내홈 331 : 방향돌부
332 : 가압돌기 333 : 통기로
41 : 체결홈부 411 : 체결가이드홈
412 : 체결고정돌기

Claims (6)

  1. 셔틀 콕을 타격하도록 한 타격부와, 상기 타격부를 지지하도록 한 샤프트와, 라켓을 파지하도록 한 손잡이로 구성된 공지의 라켓으로서,
    상기 샤프트는 회전을 방지하고,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그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상측 단부가 체결되도록, 타원형의 홈부가 형성된 체결구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샤프트의 하측 단부가 체결되도록, 타원형의 체결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양단부에는 한조의 가이드 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체결되도록 상기 홈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에는 체결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외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방향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길이방향으로 긴 안내홈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단부가 끼움되도록 상기 홈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에는 체결고정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방향돌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아내홈의 양단부에는 외면에 한쌍의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홈부 및 상기 체결홈부에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들은 상호 연통되도록 긴 통기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저면은 상기 통기로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합성섬유시트를 단면이 타원형인 성형봉에 권취한 후 가열로에 투입하여 가열,성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
KR1020120022438A 2012-03-05 2012-03-05 배드민턴 라켓 KR101366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438A KR101366583B1 (ko) 2012-03-05 2012-03-05 배드민턴 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438A KR101366583B1 (ko) 2012-03-05 2012-03-05 배드민턴 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53A true KR20130101353A (ko) 2013-09-13
KR101366583B1 KR101366583B1 (ko) 2014-02-24

Family

ID=4945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438A KR101366583B1 (ko) 2012-03-05 2012-03-05 배드민턴 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4253A (zh) * 2016-06-29 2016-08-17 韩辉 一种保健按摩羽毛球拍
CN107080926A (zh) * 2017-06-26 2017-08-22 邬惠林 一种拍杆具有两处弯曲处的羽毛球拍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8654A (zh) * 2019-07-24 2019-10-25 合肥市尚技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减少风阻的羽毛球拍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9871A (en) 1990-05-02 1991-02-05 Sheng Chang C Badmington racquet structure
JP2785688B2 (ja) * 1994-05-11 1998-08-13 ヤマハ株式会社 ラケットフレームのグリップ構造
KR200439631Y1 (ko) * 2008-01-24 2008-04-24 김선겸 배드민턴 라켓
KR101165313B1 (ko) * 2010-04-30 2012-07-18 김선겸 카본원사 편직구조를 갖는 라켓용 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4253A (zh) * 2016-06-29 2016-08-17 韩辉 一种保健按摩羽毛球拍
CN107080926A (zh) * 2017-06-26 2017-08-22 邬惠林 一种拍杆具有两处弯曲处的羽毛球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583B1 (ko) 201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1386B1 (en) Hand grip attachment with mechanical means for adjusting firmness and feel
US8602925B1 (en) Grip training device
KR101366583B1 (ko) 배드민턴 라켓
KR20100012845U (ko) 손목운동기구
US9216339B2 (en) Ball net structure
JP5948082B2 (ja) テニスラケット
US20140256480A1 (en) Racket
US5653441A (en) Racket string comb
JP7463754B2 (ja) ラケット
US8007380B2 (en) Racket with moveably mounted bridge
KR200439631Y1 (ko) 배드민턴 라켓
US20100190591A1 (en) Ball-striking implement
KR102279959B1 (ko) 길이 조절형 스포츠 라켓
US11896883B2 (en) Hockey training device
KR100723578B1 (ko) 라켓 스트링 교정구
GB291141A (en) Improvements in racquets used in tennis, badminton and such-like games
KR101238700B1 (ko) 배드민턴라켓
US8021209B1 (en) Novelty sports equipment with adjustable impact surface
JP2007224971A (ja) 制振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7264563B2 (en) Racquet for hitting a ball
US20130274038A1 (en) Stringing device for sports racket
KR200480984Y1 (ko) 야구배트
KR102159451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1910343B1 (ko) 배드민턴 라켓
KR200495641Y1 (ko) 탄성을 갖는 로프로 이루어진 골프 스윙 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