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334A -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 Google Patents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334A
KR20130101334A KR1020120022402A KR20120022402A KR20130101334A KR 20130101334 A KR20130101334 A KR 20130101334A KR 1020120022402 A KR1020120022402 A KR 1020120022402A KR 20120022402 A KR20120022402 A KR 20120022402A KR 20130101334 A KR20130101334 A KR 20130101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ation
case
medium
birefringence
pola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욱
김주원
Original Assignee
최욱
김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욱, 김주원 filed Critical 최욱
Priority to KR102012002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1334A/ko
Publication of KR2013010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7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the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 controlling the colour, i.e. a spectral characteristic, of the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02B27/10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moving optical part of parts, e.g.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1000)는 케이스(4)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4)에 제1편광수단(10)이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편광수단(10)의 후방에는 복굴절매질(20)이 배치되고 상기 복굴절매질(20)의 후방에는 제2편광수단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구동기구(50)가 제공되어 상기 복굴절매질(20)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색상의 변화가 보이게 된다.

Description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color-change by menas of polarization}
본 발명은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편광 및 복굴절현상을 이용하여 색상변화가 디스플레이 되는 색상변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는 인디케이터, 광고, 간판, 건물의 실외장식, 인테리어 또는 장식용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편광현상은 빛이 편광자를 통과하면서 진행방향에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서 전기장의 방향이 일정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편광현상의 대표적인 예는 두 개의 편광자를 상호간에 편광방향이 수직이 되게 놓고 빛을 통과시키는 경우 빛의 투과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편광현상을 이용하여 편광필름 등을 이용하여 빛에 대하여 일정방향의 편광성을 가지게 하거나, 편광된 빛을 복굴절 필름과 같은 복굴절 매질을 통과시켜 파장에 따라 각기 다른 편광방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편광현상을 이용하여 색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과 관련되어, 엘시디(LCD)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엘시디(LCD)는 두 개의 편광판 사이에서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여 빛의 편광방향을 조정하여 빛의 투과여부를 결정하여 빛을 나타내는 것이고, 나타나는 색상은 컬러필터 또는 백라이트광원의 색상에 의존한다.
한편, 본 출원인은 편광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장치 등을 출원하였는데 관련출원번호 및 발명의 명칭은 아래와 같다.
-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0-0072201 편광디스플레이장치
-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0-0088893 편광디스플레이장치
-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0-0091423 편광디스플레이장치
-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0-0117952 반사체를 대상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0-0117956 액정소자를 이용하여 편광방향의 변화를 이루는 편광디스플레이장치
-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11-0003062 편광디스플레이장치
-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1-0032626 편광조명장치
-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1-0039994 편광반사조명시스템
-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1-0048592 편광조명테이블
-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1-0063584 보는 위치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보일 수 있는 편광디스플레이 장치
-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1-0074013 편광디스플레이장치 (위 출원 건들 중 출원번호 10-2010-0072201, 10-2010-0088893, 10-2011-0003062, 10-2010-0117956, 10-2010-0091423에 대한 우선권 주장 출원 건)
- 국제특허출원번호 PCT/KR2011/005501 편광디스플레이장치 (위 출원 건들 중 출원번호 10-2010-0072201, 10-2010-0088893, 10-2011-0003062, 10-2010-0117956, 10-2010-0091423에 대한 우선권 주장 국제특허출원 건)
-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87761 편광조명시스템
-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124247 편광조명시스템 (위 출원번호 10-2010-0117952 및 10-2011-0087761에 대한 국내우선권주장 출원 건)
- 국제특허출원번호 PCT/KR2011/009054 편광조명시스템 (위 출원번호 10-2010-0117952, 10-2011-0032626, 10-2011-0039994, 10-2011-0087761 에 대한 우선권주장 국제특허출원의 건)
본 출원인은 기존의 연구를 더욱 심화시켜 편광수단 또는 복굴절매질의 구동을 통하여 색상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여 인디케이터, 광고, 간판, 건물의 실외장식, 인테리어 또는 장식용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를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수단 또는 복굴절매질의 구동을 통하여 색상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여 인디케이터, 광고, 간판, 건물의 실외장식, 인테리어 또는 장식용 등으로 활용 가능한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색상의 변화가 노출되는 가운데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어둡게 보여 새로운 미감을 창출하는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측면에서, 계기판이나 시계 등과 같이 값을 지시하여 알리는 인디케이터(indicator)에서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아가서,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보이면서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어둡게 보여 새로운 미감을 창출하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이 일체로서 회전하거나 또는 이들이 등속운동을 하여 색상이 변화하여 보이는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건 특허출원의 제1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편광수단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어느 하나 또는 어느 두 개 또는 모두가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다른 것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 중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모두 또는 일부를 구동하여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면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상기 구동기구에 의하여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이루는 회전은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상대적 회전을 이루고 상기 제2편광수단은 정지된 경우;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의 상대적 회전은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정지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을 하는 경우와, 이들 모두가 회전을 이루는데 그 회전속도가 다른 경우를 포함하며,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상대적 회전을 이루고 상기 제1편광수단은 정지된 경우; 여기서,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의 상대적 회전은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정지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을 하는 경우와, 이들 모두가 회전을 이루는데 그 회전속도가 다른 경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상대적 회전을 이루고 상기 복굴절매질은 정지된 경우;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의 상대적 회전은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정지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을 하는 경우와, 이들 모두가 회전을 이루는데 그 회전속도가 다른 경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모두 회전을 이루고, 이들의 회전속력은 상호간에 모두 다른 경우;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같이 회전을 이루고 상기 제2편광수단은 정지된 경우;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같이 회전을 이루는 경우는 이들이 등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와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경우를 포함하며,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같이 회전을 이루고 상기 제1편광수단은 정지된 경우; 여기서,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같이 회전을 이루는 경우는 이들이 등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와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경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같이 회전을 이루고 상기 복굴절매질은 정지된 경우;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같이 회전을 이루는 경우는 이들이 등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와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경우를 포함하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 또는 상기 제2편광수단이 정지하는 것은 이들이 상기 케이스에서 고정 설치되어 정지된 경우와, 이들이 상기 케이스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구에 의하여 구동되지 않아 정지된 경우를 포함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1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2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1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는 인디케이터, 광고, 간판, 건물의 실외장식, 인테리어 또는 장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2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편광수단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에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모두 선편광수단이거나 또는 모두 선편광수단과 위상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편광수단이고. 만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선편광수단인 경우 편광방향이 상호간에 80°에서 100°사이의 차이를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90°의 차이를 가지며, 만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원편광수단인 경우 둘 중에 하나는 좌원편광수단이고 나머지 하나는 우원편광수단으로서 이들 두개 원편광수단에 포함된 두개의 위상차판에 의한 위상차의 합이 반파장의 10%의 값을 뺀 값과 반파장에 반파장의 10%의 값을 더한 값의 사이의 값을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반파장의 값을 가지며, 상기 복굴절매질이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복굴절매질이 회전을 이루면 상기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상기 복굴절매질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어둡게 보이는 가운데 상기 복굴절매질의 회전에 따른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2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복굴절매질은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이들은 상기 구동기구에 의하여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특허출원의 제2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복굴절매질은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2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색상변화장치는 특정 값을 지시하여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로서 상기 복굴절매질은 특정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을 이룰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2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색상변화장치는 시계이며, 상기 복수개의 복굴절매질은 상기 시계의 시계바늘을 이룰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3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편광수단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부재와; 여기서, 상기 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은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서 설치되며, 어느 하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다른 하나는 고정설치되며;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 중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모두 또는 일부를 구동하여,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을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도록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여기서,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의 상대적 회전은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정지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을 하는 경우와, 이들 모두가 회전을 이루는데 그 회전속도가 다른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수단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이 정지하는 것은 이들이 상기 케이스에서 고정 설치되어 정지된 경우와, 이들이 상기 케이스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구에 의하여 구동되지 않아 정지된 경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구에 따라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루면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3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3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는 인디케이터, 광고, 간판, 건물의 실외장식, 인테리어 또는 장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4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원편광수단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부재와; 여기서, 상기 원편광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에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복굴절매질이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복굴절매질이 회전을 이루면 상기 원편광수단을 통하여 상기 복굴절매질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어둡게 보이는 가운데 상기 복굴절매질의 회전에 따른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4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복굴절매질은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이들은 상기 구동기구에 의하여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룰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4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5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어느 하나 또는 어느 두 개 또는 모두가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다른 것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 중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모두 또는 일부를 상기 지시수단과 연동하여 구동하여,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을 상기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5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2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져있을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5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지시되는 값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5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상기 제1편광수단이 노출되는 공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6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편광수단과; 상기 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부재와; 여기서,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은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다른 것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 중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모두 또는 일부를 상기 지시수단과 연동하여 구동하여,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을 상기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6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6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지시되는 값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6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상기 편광수단이 노출되는 공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7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여기서, 상기 지시수단은 편광수단을 가지며, 상기 지시수단의 편광수단은 제1편광수단을 이루고;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상기 지시수단을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지시수단이 구동되면 그 구동에 따라 지시수단의 제1편광수단에서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7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2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7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지시되는 값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7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상기 제1편광수단이 노출되는 공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8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여기서, 상기 지시수단은 편광수단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부재와; 상기 지시수단을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지시수단이 구동되면 그 구동에 따라 지시수단의 편광수단에서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8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8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지시되는 값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8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상기 지시수단이 노출되는 공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9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여기서, 상기 지시수단은 편광수단과 상기 편광수단의 배면에 부착된 복굴절매질을 가지며, 상기 지시수단의 편광수단은 제1편광수단을 이루고;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지시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상기 지시수단을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지시수단이 구동되면 그 구동에 따라 지시수단의 제1편광수단에서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9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2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질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9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지시되는 값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9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상기 제1편광수단이 노출되는 공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10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1편광수단과; 상기 케이스에서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여기서, 상기 지시수단은 복굴절매질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지시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상기 지시수단을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지시수단이 구동되면 그 구동에 따라 상기 케이스에 노출된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10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지시수단은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이들은 상기 구동기구에 의하여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룰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10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10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10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모두 선편광수단이거나 또는 모두 선편광수단과 위상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편광수단이고. 만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선편광수단인 경우 편광방향이 상호간에 80°에서 100°사이의 차이를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90°의 차이를 가지며, 만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원편광수단인 경우 둘 중에 하나는 좌원편광수단이고 나머지 하나는 우원편광수단으로서 이들 두개 원편광수단에 포함된 두개의 위상차판에 의한 위상차의 합이 반파장의 10%의 값을 뺀 값과 반파장에 반파장의 10%의 값을 더한 값의 사이의 값을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반파장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특허출원의 제11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편광수단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모두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을 모두 등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등속으로 회전을 이루면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12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편광수단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모두 상기 케이스 내에서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일체로 결합된 제1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과 제2편광수단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일체로 회전을 이루면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13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편광수단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부재와; 여기서, 상기 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은 모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을 등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등속으로 회전을 이루면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14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편광수단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부재와; 여기서, 상기 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은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일체로 결합된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일체로 회전을 이루면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특허출원의 제15발명은 복굴절성이 없는 투명 매질에 복굴절성을 가지는 매질이 부착되거나 또는 복굴절성이 없는 투명 매질의 사이에 복굴절성을 가지는 매질이 삽입되어 복굴절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굴절매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외부에 노출된 편광수단을 통하여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색상변화장치는, 한편으로, 색상의 변화가 이루지는 가운에 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어둡게 보여 색상의 변화가 강하게 연출되는 등의 새로운 미감을 창출할 수 있고 주목도 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디스플레이 되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지시수단의 움직임을 색상의 변화를 따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인디케이터는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를 연출하면서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어두워 색상의 변화가 강하게 연출되는 등의 새로운 미감을 창출하며 주목도 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 또는 인디케이터에 따를 경우 편광수단이나 복굴절매질에서 편광방향이 다른 또는 복굴절특성이 다른 구역을 형성하여 이들 구역에 따라 또는 이들 구역이 상호간에 겹쳐지는 사태(事態)에 따라 색상의 변화와 모양이나 형태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 또는 인디케이터에서 복굴절매질은 그 복굴절 특성이 일부에서 또는 전체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 특성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그 변화도 다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이 일체로서 회전하거나 또는 이들이 등속운동을 하여 색상이 변화하여 보이는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한다.
도 1a는 선편광수단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의 일예를 보이는 도면;
도 1b는 원편광수단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의 일예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에서 제1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과 제2편광수단이 모두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이 모두 구동기구와 연결되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일예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과 반사부재를 이용한 색상변화장치의 일예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에서 제1편광수단이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져 광고간판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에서 제1편광수단 또는 복굴절매질 또는 제2편광수단이 각각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르거나 복굴절특성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져 이들 제1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과 제2편광수단이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루면서 이들 구역에 따라 또는 이들 구역이 상호간에 겹쳐지는 사태에 따라 색상의 변화와 더불어 모양이나 형태의 변화를 연출하는 경우를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에서 제1편광수단 또는 복굴절매질 또는 제2편광수단이 각각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르거나 복굴절특성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고 개개의 구역은 모양이나 그림을 형성하여, 이들 제1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과 제2편광수단이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루면서 이들 구역이 모양이나 그림이 움직이면서 상호간에 겹쳐지는 사태에 따라 색상의 변화를 연출하는 경우를 보이는 도면;
도 7a, 7b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예로서 시계에 적용된 경우를 보이는 도면;
도 9a, 9b, 10a 및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예로서 스피커 볼륨과 같은 입력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보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에서 복굴절매질이 지시수단으로서 회전을 이루며 색상의 변화를 연출하고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어둡게 보이는 경우를 보이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예에서 복굴절매질을 가지는 시계바늘들이 상호간에 겹치지 않거나 겹치면서 색상의 변화가 연출되는 경우를 보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에서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을 가지는 복굴절매질이 다수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이들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굴절매질들이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루면서 이들 구역에 따라 또는 이들 구역이 상호간에 겹쳐지는 사태에 따라 색상 또는 모양이나 형태의 변화를 연출하면서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어둡게 보이는 경우를 보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원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과 반사부재가 배치된 경우 복굴절매질의 회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연출되면서 그 주변부는 어둡게 보이는 경우를 보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이 등속으로 회전하여 색상이 변화하여 보이는 등속회전기구의 일예를 보이는 도면; 그리고,
도 16은 복굴절성이 없는 투명한 매질에 복굴절성이 있는 매질을 부착하거나 복굴절성이 없는 투명한 매질의 사이에 복굴절성이 있는 매질을 부착하여 복굴절매질을 만든 경우를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1000a)(1000b)의 일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우선, 도 1a를 참고로, 상기 색상변화장치(1000a)는 케이스(4)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4)에는 제1편광수단(10)이 설치되고, 상기 제1편광수단(10)의 후방에는 복굴절매질(20)이 배치되고, 상기 복굴절매질(20)의 후방에는 제2편광수단(30)이 배치된다.
본건 명세서 전체를 통틀어 개시된 발명들에서 적용되는 편광수단은 선편광수단이나 원편광수단 모두를 포함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건 명세서 전체를 통틀어 개시되는 발명들에서 가장 핵심적인 구성을 이루는 배치는 제1편광수단(10) - 복굴절매질(20) - 제2편광수단(30)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편광수단(10) - 복굴절매질(20) - 반사부재(80)로 이루어지는 경우로 대별될 수 있는데, 이들 경우에서 제1편광수단(10) - 복굴절매질(20) - 제2편광수단(3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편광수단(10)과 제2편광수단(30)은 모두 선편광수단이거나 또는 모두 원편광수단이다.
원편광수단은 선편광수단(10L)(30L)과 위상차판(10P)(30P)이 결합되어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원편광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1편광수단(10)은 선편광수단(10L)의 배면에 위상차판(10P)이 결합된 것이며, 원편광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편광수단(30)은 선편광수단(30L)의 앞면에 위상차판(30P)이 결합된 것이다.
또한 편광수단(10) - 복굴절매질(20) - 반사부재(80)의 배치를 이루는 경우, 편광수단(10)은 선편광수단 또는 원편광수단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편광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수단(10)은 선편광수단(10L)의 배면에 위상차판(10P)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경우는 복굴절매질(20)을 제외한 부분은 어두워지는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도 14 및 관련된 기술 참조)
그런데, 상기 색상변화장치(1000a)는 선편광수단이 적용된 경우를 보인다. 즉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제2편광수단(30)은 모두 선편광수단이다. 상기 제1 및 제2편광수단(10)(30)은, 예를 들어, 편광필름이나 편광필터, 편광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굴절매질(20)은 빛을 복굴절시키는 것으로서, 복굴절성을 가지는 것으로 OPP 필름, PET 필름 등 연신된 플라스틱 필름이나 셀로판필름, 플라스틱 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복굴절을 위하여 특별히 제조된 복굴절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복굴절매질로서 복굴절판, 복굴절렌즈 등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굴절매질(20)은 도 16의 (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복굴절성이 없거나 극히 적은 유리판이나 아크릴판 등의 투명매질(20G)에 복굴절필름 등과 같이 복굴절성을 가지는 매질(20F)을 붙인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도 16의 (c)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복굴절성을 가지는 매질(20F)은 투명매질(20G)의 전면(全面)에 부착되지 않고 일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는, 도 16의 (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굴절매질(20)은 복굴절성이 없거나 극히 적은 유리판이나 아크릴판 등의 투명매질(20G1)(20G2)의 사이에 복굴절필름 등과 같이 복굴절성을 가지는 매질(20F)이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도 16의 (d)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복굴절성을 가지는 매질(20F)은 반드시 상기 투명매질(20G1)(20G2)의 전면(全面)에 대하여 삽입될 필요는 없으며, 일부를 차지하도록 삽입 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4)의 전면에는 공동부(44)가 형성되어 상기 공동부(44)를 통하여 상기 제1편광수단(10)이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4)의 전면의 공동부(44)에는 유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창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이들 제1편광수단(10), 복굴절매질(20) 및 제2편광수단(30)은 어느 하나 또는 어느 두 개 또는 모두가 상기 케이스(4)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만일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다른 것은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 중에서 동력전달을 받지 않아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색상변화장치(1000a)에서, 케이스(4)의 전면의 공동부(44)를 통하여 노출되어 외부에서 보이는 제1편광수단(10)의 후방에 설치된 복굴절매질(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머지 즉 제1편광수단(10) 및 제2편광수단(30)은 고정설치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 중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모두 또는 일부를 구동하여,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을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도록 구동시키는 구동기구(50)가 제공된다.
상기 색상변화장치(1000a)의 경우, 복굴절매질(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있고 이를 구동하는 구동기구(50)가 제공되는데, 상기 구동기구(50)는 모터(55)와 상기 모터(55)와 상기 복굴절매질(20)을 연결하는 벨트(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55)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복굴절매질(20)이 회전을 이루고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제2편광수단(30)은 정지하고 있어, 이들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편광수단(30)의 후방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출발한 빛은 제2편광수단(30)을 통과하여 편광되게 되며, 다시 상기 복굴절매질(20)을 통과하면서 파장별로 각기 편광방향이 다르게 되고, 이렇게 파장별로 편광방향이 다른 빛이 상기 제1편광수단(10)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상기 제1편광수단으로 진입하는 파장별로 편광방향이 다른 빛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10)의 편광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파장의 것은 상기 제1편광수단(10)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외의 파장의 것들의 경우 편광방향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 통과를 이루게 되어, 상기 제1편광수단(30)에는 통과된 파장에 따른 색들이 혼합된 색상이 나타나 이러한 색상이 상기 공동부(44)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게 된다.
또한, 빛이 외부에서 안쪽으로 유입되었다가 다시 나가는 경우에도 위와 같은 과정을 반대로 거쳐 안쪽으로 인입된 후 내부에서 반사 또는 반사와 산란 과정을 통하여 다시 바깥으로 나갈 때 위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나가게 되며 결국 상기 제1편광수단(30)에는 통과된 파장에 따른 색들이 혼합된 색상이 나타나 이러한 색상이 상기 공동부(44)를 통하여 보이게 되는 것은 동일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은 구동기구(50)에 의하여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게 되며, 그러면, 이들 제1편광수단(10), 복굴절매질(20) 및 제2편광수단(30)의 관계에서 이들 제1편광수단(10)의 편광방향이나 복굴절매질(20)의 방향 또는 제2편광수단(30)의 편광방향의 변화가 일어나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보이는 빛의 색상이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이러한 색상의 변화가 케이스(4)전면의 공동부(44)를 통하여 노출된 상기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보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동기구(50)에 의하여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는 다음의 7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첫째, 제1편광수단(10)의 편광방향과 상기 복굴절매질(20)이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루고 상기 제2편광수단(30)은 정지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상기 제1편광수단(10)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20) 중의 하나가 정지되고 다른 하나가 회전하는 경우 그리고 양자가 회전되는데 그 회전속도가 다른 경우를 포함한다.
둘째, 상기 제1편광수단(10)은 정지되고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는 경우이다. 이 경우도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 중의 하나가 정지되고 다른 하나가 회전하는 경우 그리고 양자가 회전하는데 그 회전속도가 다른 경우를 포함한다.
셋째, 상기 복굴절매질(20)이 정지를 이루고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는 경우이다. 이 경우도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 중의 하나가 정지되고 다른 하나가 회전하는 경우 그리고 양자가 회전하는데 그 회전속도가 다른 경우를 포함한다.
넷째,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이 모두 회전을 이루고 이들 간의 회전속력이 차이를 가지는 경우이다.
다섯째,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복굴절매질(20)이 같이 회전을 이루고 상기 제2편광수단(30)은 정지된 경우이다.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복굴절매질(20)이 같이 회전을 이루는 경우로는, 이들이 결합되어 일체로서 회전하는 경우와 이들이 등속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들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경우는, 편광필름(10)의 배면에 복굴절필름(20)이 부착된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제1편광수단(10)이 정지되고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이 같이 회전을 이루는 경우이다.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이 같이 회전을 이루는 경우로는, 이들이 결합되어 일체로서 회전하는 경우와 이들이 등속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들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경우는, 복굴절필름(20)의 배면에 편광필름(30)이 부착된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일곱째, 복굴절매질(20)은 정지하여 있고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이 같이 회전을 이루는 경우이다.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이 같이 회전을 이루는 경우로는, 이들이 연결되어 일체로서 회전하는 경우와, 이들이 등속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편광수단(10)과 제2편광수단(30)이 상호간에 연결되어 일체로서 회전될 수 있고 또는 각각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등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7가지 경우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10)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20) 또는 상기 제2편광수단(30)이 정지하는 것은 이들이 상기 케이스(4)에서 고정 설치되어 정지된 경우와, 이들이 상기 케이스(4)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구(50)와 연결되었지만 상기 구동기구(50)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정지된 경우를 포함한다.
구동기구(50)가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을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관련되어, 도 2는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이 모두 케이스(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이 모두 구동기구(50)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보인다.
이 경우, 케이스(4)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편광수단(10), 복굴절매질(20) 및 제2편광수단(30)은 그 외주가 기어로 구성되며, 각각에 연결기어(11)(21)(31)가 맞물리고, 이에 대하여 축(58)에 설치된 동력전달기어(51)(52)(53)가 각각 맞물리고 있으며, 상기 축(58)은 모터(55)와 벨트(54)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이들 제1편광수단(10)과 연결기어(11)와 동력전달기어(51)가 이루는 기어 비와, 복굴절매질(20)과 연결기어(21)와 동력전달기어(52)가 이루는 기어 비와, 제2편광수단(30)과 연결기어(31)와 동력전달기어(53)가 이루는 기어 비는 모두 다르며, 이에 따라 이들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은 모두 서로 다른 속도로 상대적 회전을 이룬다.
도 2의 예 이외의 다른 예로 이들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 각각을 개별적인 모터로 구동하면서 개개의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예들 이외에 동력전달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식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이 지식을 가진 자의 통상의 창작능력을 발휘하여 이들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을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2편광수단(30)의 후방에는 광원(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광원은 면광원을 이루어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한 빛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은 엘이디(LED) 또는 냉음극형광등(CCFL)이 제공되고 그 전면에 도광판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제2편광수단(30)의 후방에 광원이 설치되면, 광원의 빛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색상의 변화가 보이게 되어 색상의 변화를 뚜렷하게 인식할 수 있고 어두운 곳이나 야간 등에서도 색상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편광수단(30)이 뒤쪽에 광원을 설치하는 경우, 광원에서 나온 빛은 상기 제2편광수단(30)을 통과하여 편광 되고, 이 편광 된 빛은 상기 복굴절매질(20)을 통과하면서 파장별로 각기 그 편광방향이 다르게 되며, 이렇게 파장별로 편광방향이 달라진 빛이 상기 제1편광수단(10)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상기 제1편광수단으로 진입하는 파장별로 편광방향이 다른 빛들 중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10)의 편광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파장의 것은 상기 제1편광수단(30)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외의 파장의 것들의 경우 그 편광방향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 통과를 이루게 되어, 상기 제1편광수단(30)을 통과한 빛들은, 그 통과된 파장에 따른 색들이 혼합된 색상이 나타나 이러한 색상이 상기 공동부(44)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외부로 보이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은 구동기구(50)에 의하여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게 되며, 그러면, 이들 제1편광수단(10), 복굴절매질(20) 및 제2편광수단(30)의 관계에서 이들 제1편광수단(10)의 편광방향이나 복굴절매질(20)의 방향 또는 제2편광수단(30)의 편광방향의 변화가 일어나 제1편광수단을 통과하는 빛들에 의한 색상이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이러한 색상의 변화가 케이스(4)전면의 공동부(44)를 통하여 노출된 상기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보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편광수단(30)의 후방에는 거울이나 알루미늄 판 등과 같은 반사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반사된 빛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색상의 변화가 보이게 된다.
즉 상기 제2편광수단(30)의 뒤쪽에 거울이나 알루미늄 판 등과 같은 반사부재가 설치되는 경우, 외부에서 인입되어 반사부재에서 반사되어 다시 제1편광판을 통과하여 나타나는 빛의 색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로 색상을 띄게 되고,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이 구동기구(50)에 의하여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면, 이들 제1편광수단(10), 복굴절매질(20) 및 제2편광수단(30)의 관계에서 이들 제1편광수단(10)의 편광방향이나 복굴절매질(20)의 방향 또는 제2편광수단(30)의 편광방향의 변화가 일어나 제1편광수단을 통과하는 빛들에 의한 색상이 변화를 일으키게 되어 이러한 색상의 변화가 케이스(4)전면의 공동부(44)를 통하여 노출된 상기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보이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편광수단은 선편광수단이나 원편광수단 모두를 포함하는데, 도 1b는 원편광수단이 적용된 색상변화장치(1000b)를 보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편광수단(10)과 제2편광수단(30)이 원편광수단이 적용된 경우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도 1a를 참고로 설명한 색상변화장치(1000a)와 동일하다.
즉 상기 색상변화장치(1000b)에서 제1편광수단(10)과 제2편광수단(30)은 모두 원편광수단으로서, 상기 제1편광수단(10)은 선편광수단(10L)의 배면에 위상차판(10P)이 결합되어 원편광수단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2편광수단(30)은 선편광수단(30L)의 앞면에 위상차판(30P)이 결합되어 원편광수단을 이루고 있으며 이외 구성은 도 1a를 참고로 설명된 색상변화장치(1000a)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색상변화장치(1000a)와 동일한 작동원리에 따라 상기 색상변화장치(1000b)도 작동을 이루어 구동기구(50)의 구동에 따라 케이스(4)의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색상의 변화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의 다른 예(2000)를 보인다.
상기 색상변화장치(2000)는 케이스(4)의 내부에 편광수단(10)이 설치되고 그 후방에 복굴절매질(20)이 배치되며 상기 복굴절매질(20)의 후방에는 거울이나 알루미늄 판 등과 같은 반사부재(8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이들 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은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상기 케이스(4)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어느 하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다른 하나는 고정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편광수단(10)은 고정설치되고 상기 복굴절매질(20)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다.
또한 구동기구(50)가 제공되는데, 상기 구동기구(50)는 상기 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 중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모두 또는 일부를 구동하여 상기 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을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을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경우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고 다른 하나는 정지한 경우 또는 이들 모두가 회전하는데 그 회전속도가 다른 경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이 정지하는 것은 이들이 케이스(4)에서 고정설치되어 정지되는 경우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었지만 구동기구(50)에 의하여 구동되지 않아 정지된 경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색상변화장치(2000)에 따를 경우, 편광수단(10)은 고정설치되고 복굴절매질(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복굴절매질(20)이 모터(55)와 벨트(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기구(50)에 의하여 회전을 이룬다.
또한, 상기 케이스(4)의 전면에는 공동부(44)가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제1편광수단(10)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편광수단(10)을 통과하여 편광된 빛은 상기 복굴절매질(20)을 통과하면서 파장별로 각기 편광방향이 다르게 되며, 이렇게 파장별로 편광방향이 다른 빛이 반사부재(80)에 의하여 반사되어 다시 상기 복굴절매질(20)을 통과하면서 파장별로 편광방향이 다시 변화하게 되고 이후 다시 상기 편광수단(10)을 통과하면서 상기 편광수단(10)의 편광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파장의 것은 통과하지 못하고, 이외의 파장의 것들의 경우 편광방향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 통과를 이루게 되어, 상기 편광수단(10)에는 통과된 파장에 따른 색들이 혼합된 색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편광수단(10) 또는 복굴절매질(20)은 상호간에 상대적인 회전을 이루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편광수단(10)의 편광방향의 변화 또는 복굴절매질(20)의 복굴절 방향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인입되었다가 반사되어 나오는 빛은 색상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색상의 변화가 케이스(40)의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는 편광수단(10)을 통하여 보이게 된다.
한편, 상기 편광수단(10)은 선편광수단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선편광수단의 배면에 위상차판이 결합된 원편광수단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만일 편광수단(10)이 원편광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복굴절매질(2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이 어둡게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도 14를 참고로 후술된다.
본건 명세서 전체를 통틀어 개시된 발명들에서 적용되는 편광수단(10)(30)은 각각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복굴절매질(20)도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a와 도 1b의 색상변화장치(1000a)(1000b)에서, 만일 제1편광수단(10)이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편광수단(10)의 각 구역 별로 서로 다른 색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구동기구(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편광수단(10)의 구역 별로 각각 색상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경우 하나의 구역 또는 다수개의 구역들이 집합적으로 특정의 모양(동물이나 곤충 또는 캐릭터 등의)이나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이러한 모양이나 형태에서 색상의 변화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복굴절매질(20)이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복굴절매질(20)의 각 구역 별로 서로 다른 색상이 나타나는 것이 보일 수 있고, 구동기구(50)의 구동에 따라 복굴절매질(2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각 구역들도 회전하면서 구역별로 색상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보이게 된다. 한편 이러한 경우 하나의 구역 또는 다수개의 구역들이 집합적으로 특정의 모양(동물이나 곤충 또는 캐릭터 등의)이나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이러한 모양이나 형태에서 색상의 변화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제2편광수단(30)이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이 모두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르거나 또는 복굴절특성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을 이루거나, 또는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이 모두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다르거나 또는 편광방향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을 이루거나, 또는 제1편광수단(10)과 제2편광수단(30)이 모두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을 이루거나, 또는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이 모두 각각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르거나 복굴절특성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을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이들의 경우, 이들 구역들이 회전에 따라 상호간에 겹쳐지면서 겹쳐진 사태에 따라 모양이나 형태를 형성하고 이러한 모양 또는 형태가 구동기구(50)의 구동에 따라 색상의 변화와 함께 변화를 이룬다.
도 3의 색상변화장치(2000)도 편광수단(10)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복굴절매질(20)도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들 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이 모두 구역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복굴절특성은 광선이 복굴절매질에 입사되어 복굴절되는 각 굴절광의 굴절각(매질에서의 빛의 속도), 굴절방향 또는 복굴절매질 속에서 복굴절되어 진행되는 거리 등과 같이 복굴절이 다르게 이루어지게 하는 특성을 말하며, 복굴절매질 자체를 다른 것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셀로판과 OPP와 같이 재질이 다른 경우) 복굴절 특성을 달리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복굴절매질이라도 그 두께를 달리하거나, 복굴절필름 등의 복굴절매질이 겹치는 겹수를 1장으로 하거나 2장으로 하거나 3장으로 하거나 하는 등으로 겹수를 달리하거나, 그 배치방향을 달리하여(예를 들어 가로방향으로 놓는 경우와 대각선방향으로 놓는 경우) 복굴절 특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a의 색상변화장치(1000a)에 대하여, 제1편광수단(10)이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101에서 107까지)으로 이루어져 광고판(1000')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보인다.
이 경우 구역 101에서 106은 모두 이격되고 이들 모두는 바탕을 이루는 구역 107에 인접한 것으로서, 101에서 106의 구역은 모두 구역 107과 편광방향이 다르다. 이에 따라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르다. 하지만 이들 101에서 106까지의 구역들은 편광방향이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편광수단(10)의 구역들 101에서 106에는 각각 글자(드림프로젝터)가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개개의 편광방향이 다른 구역별로 다른 색상이 나타나고, 구동기구(50)의 구동에 따라 복굴절매질(20)이 회전을 이루면, 편광방향이 다른 구역별로 각각 색상의 변화가 보이게 되는데, 만일, 이들 구역 101에서 107까지의 편광방향이 모두 서로 다르다면 이들 구역 101에서 107 모두가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내고 서로 다른 색상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구역 101에서 107에서 동일한 색상이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이들 구역에서 색상의 변화가 서로 다르게 연출될 수 있는 것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경우,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10)의 다수개의 구역에 대하여 글씨들의 색상이 변화를 이루게 되어 광고판으로서 활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편광수단(30)의 후방에는 면광원 등의 광원이나, 거울이나 알루미늄 판 등과 같은 반사부재가 놓일 수 있다.
도 5는, 도 1a의 색상변화장치(1000)에 대하여, 제1 및 제2편광수단(10)(30) 및 복굴절매질(20)이 모두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르거나 또는 복굴절특성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을 이룬 색상변화장치(1000")를 보인다.
제1편광수단(10)은 5개의 구역(101)(102)(104)(106)(108)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복굴절매질은 4개의 구역(201)(202)(203)(204)으로 이루어지고, 제2편광수단(30)은 두 개의 구역(301)(302)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구동기구(50)가 구동되지 않았을 때, 이들 구역들이 겹쳐지면서 겹쳐진 사태에 따라 모양이나 형태를 이루고, 구동기구(50)가 구동하면, 이들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이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루면서, 이들 구역에 따라 또는 이들 구역이 상호간에 겹쳐지는 사태에 따라 색상의 변화와 더불어 모양이나 형태의 변화를 연출하게 된다.
도 6은, 도 1a의 색상변화장치(1000a)에 대하여, 제1 및 제2편광수단(10)(30) 및 복굴절매질(20)이 모두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 또는 복굴절특성이 다른 구역을 이룬 경우인데, 이 경우, 개개의 구역은 모양이나 그림을 형성하고 있다.
도 6의 (a)를 참고로, 제1편광수단(10)은 두 개의 구역(10a)(10b)으로 이루어지며 구역(10b)이 산의 모양을 이루고 이에 따라 구역(10a)은 배경이 되고 있다. 복굴절매질(20)은 달을 표현하는 원형의 구역(20a)과 바탕을 이루는 구역(20b)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제2편광수단(30)은 두 개의 구역(30a)(30b)으로 이루어지며, 구역(30b)이 냇가의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역들이 중첩되어, 도 6의 (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산(10b)이 보이고 산(10b)의 좌측위에 달(20a)이 떠있고 우측하단으로는 내(30b)가 흐르는 풍경이 보이게 된다. 이들 구역(10b)(20a)(30b)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게 된다.
이 상황에서 구동기구(50)를 모터(55)의 회전각을 조정하여 정역회전을 이루어 복굴절매질(20)의 회전방향과 범위를 조정하면, 달(20a)이 지고 뜨고 지면서 각 구역별로 다르게 색상이 변화되는 모습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편광수단(30)의 후방에는 면광원과 같은 광원이나 거울이나 알루미늄 판과 같은 반사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로 설명된 것과 같이 광고간판으로 활용될 수 있고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설명된 것과 같이, 장식용 또는 인테리어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건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회전하는 부재들 (예를 들어 도 6의 경우 복굴절판인 복굴절매질(20))이 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예시적인 경우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한편, 본건 명세서 전체를 통틀어 개시된 발명들에서, 복굴절매질(20)은 플라스틱판 등으로 만들어지면서 그 몰딩 등의 과정에 따라 응력분포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복굴절매질(20) 전체에서 균일한 복굴절 특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이와 같이 불균일한 복굴절특성에 따라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보이는 색상이 복굴절매질의 복굴절특성의 불균일성을 따라 부분별로 다르고 이러한 다름이 모양을 형성하거나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구동기구(50)의 구동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변화와 모양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불균일한 복굴절특성은 복굴절매질 전체에 걸쳐 있을 수 있고 다른 경우 일부에서만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제공한다. 인디케이터(indicator)란 지시수단을 통하여 값을 지시하여 알리는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계기판이나 시계 등이 예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인디케이터에서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므로 새로운 미감과 함께 지시값의 변화에 대한 인식과 주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a와 도 7b 그리고 도 8은 출력되는 값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의 예로서 시계(3000a)(3000b)(3000')를 각각 보이고 있는데, 이 경우, 시계바늘이 바로 시간을 지시하여 알리는 지시수단이 된다.
우선 도 7a를 참고로, 시계(3000a)는 케이스(4)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4)에는 복굴절매질(20)이 판의 형태로서 설치되는데, 상기 복굴절매질(20)은 시계의 시계바늘이 돌아가는 배경판이 되고 있으며, 그 앞면에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이 표시되어 표시부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복굴절매질(20)은 케이스(4)의 공동부(44)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보인다.
상기 표시부인 복굴절매질(20)에는 지시수단으로서 시계바늘(5)(5')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시계바늘(5)(5')에 제1편광수단(10a1)(10a2)이 각각 설치된다. 예를 들어 시계바늘(5)(5')은 공동부(S1)(S2)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공동부(S1)(S2)에 편광필름형태의 제1편광수단(10a1)(10a2)이 부착되고 있다.(한편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시계바늘(5)(5') 자체를 복굴절판 또는 복굴절성이 있는 소재 등을 성형하여 만들 거나 또는 투명부재 위 전부 또는 일부에 복굴절매질을 부착하거나 삽입하여 제작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하겠다.)
또한 상기 표시부인 복굴절매질(20)의 후방에는 제2편광수단(30)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지시수단을 구동하는 구동기구(50)가 제공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구동기구(50)는 상기 시계바늘(5)(5')을 구동시키는 통상적인 시계의 시계바늘구동장치(59)이다.
이에 따라, 상기 시계바늘구동장치(59)에 의하여 시계바늘(5)(5')이 움직이면 시계바늘(5)(5')에 설치된 편광수단(10a1)(10a2)에서 색상이 변화하여 나타난다. 즉 지시수단(5)(5')이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시계(3000a)의 경우에도 상기 제2편광수단(30)의 후방에 광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반사부재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시계(3000a)의 경우에도 이들 제1편광수단(10a1)(10a2), 복굴절매질(20) 및 제2편광수단(30)은 각각 또는 어느 두 개가 또는 모두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르거나 또는 복굴절특성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b는 도 7a의 시계(3000a)와 비교하여 상기 복굴절매질(20)의 후방에 거울이나 알루미늄 판과 같은 반사부재가 설치된 시계(3000b)를 보인다.
이 경우도, 시계바늘(5)(5')의 움직임에 따라 제1편광수단(10a1)(10a2)을 통하여 색상의 변화가 연출된다. 이것은 도 3을 참고로 색상변화장치(2000)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원리에 기반한다.
도 8의 시계(3000')는 케이스(4)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4)에는 판형태의 편광수단(30)이 설치되는데, 상기 편광수단(30)은 시계의 시계바늘이 돌아가는 배경판이 되고 있으며, 앞면에 시간 등이 표시되어 표시부를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편광판(30)은 케이스(4)의 공동부(44)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보인다.
상기 편광수단(30)에는 지시수단으로서 시계바늘(5)(5')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시계바늘(5)(5')은 외부로 노출되는 편광수단(10a1)(10a2)과 상기 편광수단(10a1)(10a2)의 배면에 부착된 복굴절매질(20a1)(20a2)을 가진다. 상기 시계바늘(5)(5')의 편광수단(10a1)(10a2)은 제1편광수단을 이루고 상기 판 형태의 편광수단(30)은 제2편광수단을 이룬다.
예를 들어 시계바늘(5)(5')은 공동부(S1)(S2)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공동부(S1)(S2)에 복굴절필름형태의 복굴절매질(20a1)(20a2)이 부착되고 그 전면에 편광필름형태의 제1편광수단(10a1)(10a2)이 부착되고 있다.
상기 시계바늘(5)(5')을 구동시키는 통상적인 시계의 시계바늘구동장치(59)가 구동기구(50)로서 지시수단인 시계바늘(5)(5')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시계바늘구동장치(59)에 의하여 시계바늘(5)(5')이 움직이면 시계바늘(5)(5')에 설치된 제1편광수단(10a1)(10a2)에서 색상이 변화하여 나타난다. 즉 지시수단(5)(5')이 회전함에 따라 시간을 지시하면서 색상의 변화가 연출되는 것이다.
또한 본건 시계(3000')의 경우에도, 이들 제1편광수단(10a1)(10a2), 복굴절매질(20a1)(20a2) 및 제2편광수단(30)은 각각 또는 어느 두 개가 또는 모두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르거나 또는 복굴절특성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편광수단(30)의 후방에는 광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제2편광수단(30)의 후방에는 반사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도 9a와 도 9b 및 도 10a와 도 10b는 입력되는 값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의 예(4000a)(4000b)(4000'a)(4000'b)를 각각 보인다.
이와 같이 입력되는 값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가 적용되는 예는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오디오 시스템에서 스피커의 볼륨을 조정(다이얼을 돌림에 따라 스피커의 볼륨크기가 지시되는 경우)하거나 차량에서 에어컨의 냉방의 정도를 조절하는 경우(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레버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하여 냉방의 정도를 조정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다이얼의 돌림에 따라 볼륨크기가 지시되면서 색상이 변화되고, 또한 레버를 횡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냉방의 정도가 지시되면서 색상이 변화한다.
도 9a를 참고로, 상기 인디케이터(4000a)는 케이스(4)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4)의 앞면은 지시수단이 지시할 값을 나타내는 숫자 또는 문자 내지는 기호 등이 표시되어 표시부(60)를 이루고 있고 상기 표시부(60)에는 다이얼(558)의 주위를 둘러 공동부(44)가 형성되고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4)의 앞면에 지시수단이 지시할 값을 나타내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의 표시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스(4)에는 제1편광수단(10)이 배치되고, 상기 제1편광수단(10)의 후방에는 복굴절매질(20)이 배치되고, 상기 복굴절매질(30)의 후방에는 제2편광수단(30)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이들 제1편광수단(10), 복굴절매질(20) 및 제2편광수단(30)은 어느 하나 또는 어느 두 개 또는 모두가 상기 케이스(4)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만일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다른 것은 고정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복굴절매질(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편광수단(10) 및 제2편광수단(30)은 고정설치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4000a)는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85)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4000a)는 상기 지시수단(85)과 연동되고,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 중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 모두 또는 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을 상기 지시수단(85)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기구(50)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지시를 이루는 홈(85)이 형성된 다이얼(558)이 제공되고 이러한 다이얼(558)이 연결축(5581)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굴절매질(20)과 연결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다이얼(558)은 입력값을 받아들이는 입력감지장치(9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감지장치(90)는 스피커의 볼륨 크기를 조절하는 가변저항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다이얼(558)의 홈(85)이 지시수단을 이루게 되고, 다이얼(558)과 연결축(5581)이 구동기구(50)를 이루게 된다고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다이얼(558)이 회전되면 이와 연동되어 지시수단(85)이 움직이고 이러한 지시수단(85)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복굴절매질(20)이 상기 고정설치되어 정지된 제1편광수단(10) 및 제2편광수단(30)에 대하여 회전을 이루게 되어 이들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을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게 된다.
그 결과, 지시수단(85)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케이스(4)의 앞면의 공동부(44)를 통하여 노출된 상기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나타나게 된다.
도 9b는 도 9a의 인디케이터(4000a)와 비교하여 상기 복굴절매질(20)의 후방에 거울이나 알루미늄 판과 같은 반사부재가 설치된 것(4000b)를 보인다.
이 경우도, 다이얼(558)의 움직임에 따라 지시수단(85)이 움직이며 케이스(4)의 앞면의 공동부(44)에 노출된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색상의 변화가 연출된다. 이것은 도 3을 참고로 색상변화장치(2000)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원리에 기반한다.
전술한 인디케이터(4000a)에서 제1편광수단(10)과 상기 복굴절매질(20)과 상기 제2편광수단(30)을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는 것은 7가지 경우를 포함하며, 이것은, 색상변화장치(1000a)에서 설명된 경우와 같다.
도 10a와 도 10b는 입력된 값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의 다른 예(4000'a)(4000'b)를 보인다.
우선 도 10a를 참고로, 상기 인디케이터(4000'a)는 케이스(4)를 가지는데, 상기 케이스(4)의 앞면은 지시수단이 지시할 값을 나타내는 숫자 또는 문자 내지는 기호 등이 표시되어 표시부(60)를 이루고 있고 상기 표시부(60)에는 다이얼(558)의 주위의 일부를 둘러 공동부(44)가 형성되고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4)의 앞면에 지시수단이 지시할 값을 나타내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의 표시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스(4)에는 지시수단(8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지시수단(85)은 편광수단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지시수단(85)은 공동부(미도시)를 가져 상기 공동부에 편광수단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수단(85)은 편광수단(10)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편광판(10)을 가공하여 지시수단(85)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지시수단(85)이 가지는 편광수단(10)이 제1편광수단을 이룬다.
상기 제1편광수단(10)의 후방에는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이 순차적으로 고정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이얼(558)이 제공되는데, 상기 다이얼(558)은 제1편광수단(10)을 가지는 지시수단(85)과 연결축(5581)을 통하여 연결되고 또한 입력감지장치(9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다이얼(558)이 회전되면 이와 연동되어 제1편광수단(10)을 가지는 지시수단(85)이 움직여 지시를 이루면서 색상의 변화가 케이스(4)의 앞면의 공동부(44)를 통하여 노출된 상기 지시수단인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나타나게 된다.
도 10b는 도 10a의 인디케이터(4000'a)와 비교하여 상기 복굴절매질(20)의 후방에 거울이나 알루미늄 판과 같은 반사부재가 설치된 것(4000'b)를 보인다.
이 경우도, 다이얼(558)의 움직임에 따라 지시수단(85)이 움직이며 케이스(4)의 앞면의 공동부(44)에 노출된 제1편광수단(10)을 통하여 색상의 변화가 연출된다. 이것은 도 3을 참고로 색상변화장치(2000)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원리에 기반한다.
한편 도 9a에서 도 10b의 인디케이터(4000a)(4000b)(4000'a)(4000'b)에서 상기 제2편광수단(30)의 후방에는 광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반사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9a와 도 10a의 인디케이터(4000a)(4000'a)에서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은 각각 또는 어느 두 개가 또는 모두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르거나 또는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20)은 그 복굴절특성이 전체 또는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9b와 도 10b의 인디케이터(4000b)(4000'b)에서 편광수단(10)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20)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20)은 그 복굴절특성이 전체 또는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어두운 색상변화장치 또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색상의 변화가 눈에 잘 띄어 주목도가 높아지고 또한 새로운 미감이 창출된다고 할 것이다.
도 11은 인디케이터로서 시계(5000)에 적용된 경우를 보인다.
상기 시계(5000)는 케이스(4)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4)에는 판형태의 편광수단(30)이 설치되는데, 상기 편광수단(30)은 시계의 시계바늘이 돌아가는 배경판이 되고 있으며, 그 앞면에 시간 등이 표시되어 표시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케이스(4)의 공동부(44)에는 편광판의 형태의 편광수단(10)이 설치되어 일종의 창을 이루고 있다. 상기 창을 이루는 편광수단(10)은 제1편광수단을 이루며, 상기 시계바늘이 돌아가는 배경판이 되는 편광수단(30)은 제2편광수단을 이룬다.
한편, 상기 배경판인 제2편광수단(30)을 대신하여 창을 이루는 제1편광수단(10)에 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제2편광수단(30) 사이에는 지시수단으로서 시계바늘(5)(5')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시계바늘(5)(5')은 복굴절매질(20a1)(20a2)을 가진다. 예를 들어 시계바늘(5)(5')은 공동부(S1)(S2)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공동부(S1)(S2)에 복굴절필름형태의 복굴절매질(20a1)(20a2)이 부착된다.
상기 시계바늘(5)(5')을 구동시키는 통상적인 시계의 시계바늘구동장치(59)가 구동기구(50)로서 지시수단인 시계바늘(5)(5')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시계바늘구동장치(59)에 의하여 시계바늘(5)(5')이 움직이면, 시계바늘(5)(5')의 복굴절매질(20a1)(20a2)이 회전을 이루고, 창을 이루는 제1편광수단(10)에서 복굴절매질(20a1)(20a2)에서의 색상이 변화하여 나타난다. 즉 지시수단(5)(5')이 회전함에 따라 시간을 지시하면서 색상의 변화가 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도 1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시간에 따라 시계바늘(5)(5')이 겹치거나 겹치지 않음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이 변화한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서와 같이 12시의 경우 작은 시계바늘(5)이 큰 시계바늘(5')에 겹쳐짐에 따라 작은 시계바늘(5)에서는 겹쳐진 복굴절매질 영역(20a3)이 형성되고 겹쳐진 복굴절매질영역(20a3)의 경우 그 겹쳐짐으로 인하여 복굴절특성이 달라지고 그에 따른 색상이 보이게 될 것이다. 한편 큰 시계바늘(5')에서 작은 시계바늘(5)이 겹치지 않은 부분에서는 본래의 복굴절매질(20a1)의 특성에 따른 색상이 보이게 된다.
도 12의 (b)와 같이 시간이 1시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일부 영역에서 겹쳐진 복굴절영역(20a3)이 형성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영역(20a1)(20a2)(20a3)에서 각각 다른 복굴절특성에 따른 색이 보이게 될 것이다.
도 12의 (c)와 같이 시간이 3시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시계바늘(5)(5')이 겹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본래 각각의 시계바늘(5)(5')의 복굴절매질(20a1)(20a2)의 복굴절특성에 따른 색이 각각에서 보이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인디케이터에서 복굴절매질(20)을 상호간에 순차적으로 다수개 배치하고 이들을 구동기구(50)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이들이 겹쳐지거나 또는 겹쳐지지 않음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영역이 변화하여 더욱 다채로운 색상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일 이들 다수개의 복굴절매질의 각각이 복굴절특성이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진다면 더욱 더 다채로운 효과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1편광수단(10)과 제2편광수단(30)은 모두 선편광수단이거나 또는 모두 원편광수단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만일 이들 제1편광수단(10)과 제2편광수단(30)은 모두 선편광수단일 경우, 이들의 편광방향은 상호간에 80°에서 100°사이의 차이를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90°의 차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만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원편광수단인 경우 둘 중에 하나는 좌원편광수단이고 나머지 하나는 우원편광수단으로서 이들 두개 원편광수단에 포함된 두개의 위상차판에 의한 위상차의 합이 반파장의 10%의 값을 뺀 값과 반파장에 반파장의 10%의 값을 더한 값의 사이의 값을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반파장의 값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경우, 두 개의 복굴절매질(20a1)(20a2)을 가지는 두 개의 시계바늘(5)(5')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빛의 통과량은 적게 되거나 또는 없게 된다. 즉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시계바늘(5)(5')에 대하여 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어둡거나 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계바늘(5)(5')의 움직임에 따라 이들이 겹쳐지거나 겹쳐지지 않으면서 복굴절특성의 영역들이 변화를 하면서 그 특성들에 따라 다채로운 색의 변화가 보이지만,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시계바늘(5)(5')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은 어둡거나 검게 되어 색상의 변화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며 새로운 미감이 창출된다.
한편 이와 같은 경우, 제2편광수단(30)의 후방에는 광원이나 거울이나 알루미늄 판과 같은 반사부재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인데, 특별히, 광원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주변부는 어둡거나 검은 가운데 시계바늘(5)(5')의 복굴절 매질(20a1)(20a2)부분만이 색상을 갖고 빛이 남으로 하여 독특한 미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주변은 어두운 가운데 색상의 변화를 이루는 색상변화장치의 예(6000)를 보인다.
상기 색상변화장치(600)에 따를 경우, 케이스(4)의 공동부(44)에 일종의 창으로서 제1편광수단(10)이 설치되고, 그 후방에서 구동기구(50)에 의하여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루는 복굴절매질(20a)(20b)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다시 그 후방에서 제2편광수단(30)이 설치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굴절매질(20a)(20b)은 각각 모터(55)(55')와 벨트(54)(54')로 연결되어 상대적 회전을 이루고 있다. 이들 모터(55)(55')와 벨트(54)(54')는 구동기구(50)를 이룬다.
상기 복굴절매질(20a)은 복굴절특성이 다른 두 개의 구역(20a1)(20a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굴절매질(20b)은 복굴절특성이 다른 두 개의 구역(20b1)(20b2)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구동기구(50)의 구동에 따라 복굴절매질(20b)가 회전을 이루면 이들 복굴절매질(20a)(20b)의 구역들(20a1)(20a2)(20b1)(20b2)이 상호간에 겹쳐지는 사태에 따라 복굴절특성이 다른 영역들이 이루어지고 회전에 따라 이들 영역이 겹치는 모양도 변화하며 그 영역들과 겹치는 부분들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 만들어지고 변화된다.
한편 이와 같은 경우, 만일 이들 제1편광수단(10)과 제2편광수단(30)이 모두 선편광수단일 경우, 이들의 편광방향은 상호간에 80°에서 100°사이의 차이를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90°의 차이를 가지도록 하거나, 또는, 만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원편광수단인 경우 둘 중에 하나는 좌원편광수단이고 나머지 하나는 우원편광수단으로서 이들 두개 원편광수단에 포함된 두개의 위상차판에 의한 위상차의 합이 반파장의 10%의 값을 뺀 값과 반파장에 반파장의 10%의 값을 더한 값의 사이의 값을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반파장의 값을 가지도록 하는 경우, 상기 복굴절매질(20a)(20b)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은 어둡거나 또는 검게 된다.
따라서 복굴절매질(20a)(20b)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이들의 구역들이 겹쳐지거나 겹쳐지지 않으면서 복굴절특성의 영역들이 변화를 하면서 그 특성들에 따라 다채로운 색의 변화가 보이지만 그 나머지 부분들은 어둡거나 검게 되어 색상의 변화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며 새로운 미감이 창출된다.
한편 이와 같은 경우, 제2편광수단(30)의 후방에는 광원이나 거울이나 알루미늄 판과 같은 반사부재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인데, 특별히, 광원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나머지 부분들은 어둡거나 검은 가운데 복굴절매질(20a)(20b) 부분만이 색상을 갖고 빛이 남으로 하여 독특한 미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원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과 반사부재가 배치된 경우 복굴절매질의 회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연출되면서 색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어둡게 보이는 색상변화장치(7000)를 보인다.
케이스(4)의 앞면의 공동부(44)에 창으로서 편광수단(10)이 설치되고 그 후방에 구동기구에 의하여 회전하는 복굴절매질(20)이 설치되고 상기 복굴절매질(20)의 후방에 거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반사부재(80)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편광수단(10)은 원편광수단(좌원편광 또는 우원편광수단)으로서 선편광수단(10L)의 배면에 1/4 파장판인 위상차판(10P)이 결합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원편광수단인 제1편광수단(10)을 통과한 빛은 상기 복굴절매질(20)의 주변부에서는 바로 반사부재(80)에 입사된 후 반사가 되는데, 이렇게 반사가 될 때는 원편광의 좌.우가 바뀌게 되어 (다시 말하여 좌원편광은 우원편광이 되고 우원편광은 좌원편광이 된다.), 반파장 차이가 생기게 되며, 결국 반사되어 다시 위상차판을 통과한 빛은 원래의 선편광수단의 편광방향과 수직한 선편광이 되어 광선의 통과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복굴절매질(20)의 부분에서는 색상의 변화가 일어나는 가운데 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어둡거나 검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모든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보는 사람의 눈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의 눈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편광수단(10), 복굴절매질(20) 및 제2편광수단(30)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게 되는 빛의 경로가 다른 경우에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기구(50)를 구동하지 않아도 보는 사람이 위치를 변경하는 등에 따라 색상변화가 보일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도 1a, 도 1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색상변화장치(1000a)(1000b)에 대하여 이들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 및 제2편광수단(30)을 등속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보는 사람의 눈의 위치가 변하지 않아도, 상대적으로는, 상기 제1편광수단(10), 복굴절매질(20) 및 제2편광수단(30)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게 되는 빛의 경로가 달라지는 것으로서, 정중앙에서 보지 않는 한 보는 사람의 눈의 위치가 변하지 않아도 색상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제1편광수단(10), 복굴절매질(20) 및 제2편광수단(30)을 상호간에 부착하여 일체로 회전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도 15에서와 같이 각각이 이격되었지만 등속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15는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이 모두 케이스(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이 모두 구동기구(50)에 의하여 구동되어 등속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보인다.
이 경우, 케이스(4)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편광수단(10), 복굴절매질(20) 및 제2편광수단(30)은 그 외주가 기어로 구성되며, 각각에 연결기어(11)(21)(31)가 맞물리고 있다.
각각의 연결기어(11)(21)(31)는 공통의 축(48)에 장착되고, 상기 축(48)은 모터(55)와 벨트(54)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이들 제1편광수단(10)과 연결기어(11)가 이루는 기어 비와, 복굴절매질(20)과 연결기어(21)가 이루는 기어 비와, 제2편광수단(30)과 연결기어(31)가 이루는 기어 비는 모두 동일하며, 이에 따라 이들 제1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과 제2편광수단(30)은 모두 등속으로 회전을 이룬다,
또한 도 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과 반사부재(80)로 이루어진 색상변화장치(2000)와 같은 경우도 이들 편광수단(10)과 복굴절매질(20)을 등속으로 회전시켜 보는 사람의 눈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더라도 그 회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여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외부에 노출된 편광수단을 통하여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색상변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색상변화장치는, 한편으로, 주변부가 어두운 가운데 색상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어 새로운 미감을 창출할 수 있고 주목도 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디스플레이 되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지시수단의 움직임을 색상의 변화를 따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인디케이터는 주변부가 어두운 가운데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어 새로운 미감을 창출하며 주목도 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 또는 인디케이터에 따를 경우 편광수단이나 복굴절매질에서 편광방향이 다른 또는 복굴절특성이 다른 구역을 형성하여 이들 구역에 따라 또는 이들 구역이 상호간에 겹쳐지는 사태에 따라 색상의 변화와 모양이나 형태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 또는 인디케이터에서 복굴절매질은 그 복굴절 특성이 일부에서 또는 전체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 특성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그 변화도 다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의 회전속도를 등속으로 하거나 일체로 회전시켜, 색상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장치는 인디케이터, 광고, 간판, 건물의 실외장식, 인테리어 또는 장식용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4: 케이스
10: 제1편광수단
20: 복굴절매질
30: 제2편광수단
50: 구동기구

Claims (45)

  1.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편광수단과;
    (c)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d)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어느 하나 또는 어느 두 개 또는 모두가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다른 것은 고정 설치되고;
    (e)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 중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모두 또는 일부를 구동하여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f)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면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상기 구동기구에 의하여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이루는 회전은
    (a)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상대적 회전을 이루고 상기 제2편광수단은 정지된 경우;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의 상대적 회전은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정지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을 하는 경우와, 이들 모두가 회전을 이루는데 그 회전속도가 다른 경우를 포함하며,
    (b)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상대적 회전을 이루고 상기 제1편광수단은 정지된 경우; 여기서,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의 상대적 회전은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정지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을 하는 경우와, 이들 모두가 회전을 이루는데 그 회전속도가 다른 경우를 포함하며,
    (c)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상대적 회전을 이루고 상기 복굴절매질은 정지된 경우;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의 상대적 회전은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정지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을 하는 경우와, 이들 모두가 회전을 이루는데 그 회전속도가 다른 경우를 포함하며,
    (d)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모두 회전을 이루고, 이들의 회전속력은 상호간에 모두 다른 경우;
    (e)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같이 회전을 이루고 상기 제2편광수단은 정지된 경우;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같이 회전을 이루는 경우는 이들이 등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와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경우를 포함하며,
    (f)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같이 회전을 이루고 상기 제1편광수단은 정지된 경우; 여기서,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같이 회전을 이루는 경우는 이들이 등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와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경우를 포함하며,
    (g)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같이 회전을 이루고 상기 복굴절매질은 정지된 경우;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같이 회전을 이루는 경우는 이들이 등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와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경우를 포함하며,를 포함하고, 여기서,
    (h) 상기 제1편광수단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 또는 상기 제2편광수단이 정지하는 것은 이들이 상기 케이스에서 고정 설치되어 정지된 경우와, 이들이 상기 케이스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구에 의하여 구동되지 않아 정지된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2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져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4. 제1항부터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는 인디케이터, 광고, 간판, 건물의 실외장식, 인테리어 또는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5.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편광수단과;
    (c)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d)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에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모두 선편광수단이거나 또는 모두 선편광수단과 위상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편광수단이고. 만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선편광수단인 경우 편광방향이 상호간에 80°에서 100°사이의 차이를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90°의 차이를 가지며, 만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원편광수단인 경우 둘 중에 하나는 좌원편광수단이고 나머지 하나는 우원편광수단으로서 이들 두개 원편광수단에 포함된 두개의 위상차판에 의한 위상차의 합이 반파장의 10%의 값을 뺀 값과 반파장에 반파장의 10%의 값을 더한 값의 사이의 값을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반파장의 값을 가지며,
    (e) 상기 복굴절매질이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f)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복굴절매질이 회전을 이루면 상기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상기 복굴절매질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어둡게 보이는 가운데 상기 복굴절매질의 회전에 따른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매질은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이들은 상기 구동기구에 의하여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매질은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변화장치는 특정 값을 지시하여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로서 상기 복굴절매질은 특정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환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변화장치는 시계이며, 상기 복수개의 복굴절매질은 상기 시계의 시계바늘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환장치.
  10.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편광수단과;
    (c)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d)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부재와; 여기서, 상기 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은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서 설치되며, 어느 하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다른 하나는 고정설치되며;
    (e)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 중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모두 또는 일부를 구동하여,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을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도록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여기서,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의 상대적 회전은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정지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을 하는 경우와, 이들 모두가 회전을 이루는데 그 회전속도가 다른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수단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이 정지하는 것은 이들이 상기 케이스에서 고정 설치되어 정지된 경우와, 이들이 상기 케이스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구에 의하여 구동되지 않아 정지된 경우를 포함하며;
    (f) 상기 구동기구에 따라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루면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는 인디케이터, 광고, 간판, 건물의 실외장식, 인테리어 또는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13.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원편광수단과;
    (c)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d)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부재와; 여기서, 상기 원편광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에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e) 상기 복굴절매질이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f)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복굴절매질이 회전을 이루면 상기 원편광수단을 통하여 상기 복굴절매질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어둡게 보이는 가운데 상기 복굴절매질의 회전에 따른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매질은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이들은 상기 구동기구에 의하여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16.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c)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편광수단과;
    (d) 상기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e)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어느 하나 또는 어느 두 개 또는 모두가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다른 것은 고정 설치되고;
    (f)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 중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모두 또는 일부를 상기 지시수단과 연동하여 구동하여,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을 상기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g) 상기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2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져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지시되는 값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상기 제1편광수단이 노출되는 공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20.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c)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편광수단과;
    (d) 상기 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e)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부재와; 여기서,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은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다른 것은 고정 설치되고;
    (f)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 중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모두 또는 일부를 상기 지시수단과 연동하여 구동하여,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을 상기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g) 상기 지시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지시되는 값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상기 편광수단이 노출되는 공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24.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여기서, 상기 지시수단은 편광수단을 가지며, 상기 지시수단의 편광수단은 제1편광수단을 이루고;
    (c)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d)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e) 상기 지시수단을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f)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지시수단이 구동되면 그 구동에 따라 지시수단의 제1편광수단에서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2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져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지시되는 값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27.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상기 제1편광수단이 노출되는 공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28.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여기서, 상기 지시수단은 편광수단을 가지며,
    (c)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d)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부재와;
    (e) 상기 지시수단을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f)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지시수단이 구동되면 그 구동에 따라 지시수단의 편광수단에서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지시되는 값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상기 지시수단이 노출되는 공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32.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여기서, 상기 지시수단은 편광수단과 상기 편광수단의 배면에 부착된 복굴절매질을 가지며, 상기 지시수단의 편광수단은 제1편광수단을 이루고;
    (c)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지시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e) 상기 지시수단을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f)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지시수단이 구동되면 그 구동에 따라 지시수단의 제1편광수단에서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제2편광수단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편광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져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지시되는 값이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35.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에는 상기 제1편광수단이 노출되는 공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36.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1편광수단과;
    (c) 상기 케이스에서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값을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여기서, 상기 지시수단은 복굴절매질을 가지며;
    (d)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지시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e) 상기 지시수단을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f)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지시수단이 구동되면 그 구동에 따라 상기 케이스에 노출된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색상의 변화가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은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이들은 상기 구동기구에 의하여 상호간에 상대적 회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호간에 인접한 것은 복굴절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나 일부분에 걸쳐 균일하지 않은 복굴절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40. 제36항부터 제3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모두 선편광수단이거나 또는 모두 선편광수단과 위상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편광수단이고. 만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선편광수단인 경우 편광방향이 상호간에 80°에서 100°사이의 차이를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90°의 차이를 가지며, 만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원편광수단인 경우 둘 중에 하나는 좌원편광수단이고 나머지 하나는 우원편광수단으로서 이들 두개 원편광수단에 포함된 두개의 위상차판에 의한 위상차의 합이 반파장의 10%의 값을 뺀 값과 반파장에 반파장의 10%의 값을 더한 값의 사이의 값을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반파장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인디케이터.
  41.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편광수단과;
    (c)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d)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모두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e)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을 모두 등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f)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등속으로 회전을 이루면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42.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편광수단과;
    (c)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d)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은 모두 상기 케이스 내에서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e) 상기 일체로 결합된 제1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과 제2편광수단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f)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제2편광수단이 일체로 회전을 이루면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제1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43.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편광수단과;
    (c)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d)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부재와; 여기서, 상기 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은 모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e)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을 등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f)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등속으로 회전을 이루면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44. (a)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편광수단과;
    (c)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편광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굴절매질과;
    (d)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복굴절매질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부재와; 여기서, 상기 편광수단과 복굴절매질은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e) 상기 일체로 결합된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f)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상기 편광수단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일체로 회전을 이루면 색상의 변화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편광수단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45. 복굴절성이 없는 투명 매질에 복굴절성을 가지는 매질이 부착되거나 또는 복굴절성이 없는 투명 매질의 사이에 복굴절성을 가지는 매질이 삽입되어 복굴절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굴절매질.
KR1020120022402A 2012-03-05 2012-03-05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KR20130101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402A KR20130101334A (ko) 2012-03-05 2012-03-05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402A KR20130101334A (ko) 2012-03-05 2012-03-05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34A true KR20130101334A (ko) 2013-09-13

Family

ID=4945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402A KR20130101334A (ko) 2012-03-05 2012-03-05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13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448A1 (ko) * 2014-11-11 2016-05-19 최욱 높은 채도 또는 짙은 농도의 색을 창출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 창출 장치
US20200348529A1 (en) * 2020-06-03 2020-11-05 Catrinel Sabaciag Layered optical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448A1 (ko) * 2014-11-11 2016-05-19 최욱 높은 채도 또는 짙은 농도의 색을 창출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 창출 장치
US20200348529A1 (en) * 2020-06-03 2020-11-05 Catrinel Sabaciag Layered optic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6873B1 (en) Visual display device with continuous animation
US9494821B2 (en) Display device having polarized light source
US20140267960A1 (en) Modified Viewable Display Apparatus
US20170363797A1 (en) Transparent display with improved contrast and transmission
KR20130002961A (ko)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KR20130101334A (ko) 편광을 이용한 색상변화장치
JP6274568B2 (ja) 表示装置
CN106462004A (zh) 具有非对称转向膜的时间多路复用背光源
CN107144972A (zh) 一种低串扰、视角可控的裸眼3d显示系统和方法
US8582063B2 (en) Optical toy
GB2242052A (en) A display arrangement
US20170228209A1 (en)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including same
JP2012102496A (ja) 偏光板と位相差板による可動式建築構造物。
JP4714449B2 (ja) 表示装置
JP2010181828A (ja) 装飾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40134939A (ko) 높은 채도 또는 짙은 농도의 색을 창출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 창출 장치
JP2000347604A (ja) 液晶パネルを利用した可変キャラクター表示装置
US5442468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lor effects
JP2021076802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Sakamoto et al. P‐4.9: See‐through Multi‐viewing Glass Window Image Display Using Polarized Light Control Technology for Parallax and One‐way Observations
KR20140135135A (ko) 높은 채도 또는 짙은 농도의 색을 창출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 창출 장치
KR20160047820A (ko) 높은 채도 또는 짙은 농도의 색을 창출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 창출 장치
US6032392A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 illusion of thickness from a flat image
KR101458262B1 (ko) 편광조명시스템
CN108469684B (zh) 一种透明显示器及一种显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