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185A - 하이브리드 미세유체를 이용한 친환경 무약품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미세유체를 이용한 친환경 무약품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185A
KR20130101185A KR1020120022124A KR20120022124A KR20130101185A KR 20130101185 A KR20130101185 A KR 20130101185A KR 1020120022124 A KR1020120022124 A KR 1020120022124A KR 20120022124 A KR20120022124 A KR 20120022124A KR 20130101185 A KR20130101185 A KR 20130101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generated
nano bubble
sterilization
micro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광
Original Assignee
이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광 filed Critical 이상광
Priority to KR102012002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1185A/ko
Publication of KR20130101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미세유체(Hybrid Micro Nano Bubble) 발생기술
유체역학의 이론을 도입한 자체 기술로서, 유체 진입 시는 Otopeni효과
를, 단면 통과 시는 오리피스원리를, 기포 발생 시는 Vortex현상을, 발생
기 전체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20~50㎛ 일정한
크기의 기포 사이즈와 리터당 15% 이상의 고밀도 유체를 발생 시킬 수
있도록 하여, 미세유체가 가지는 살균효과, 세정효과, 온열효과, 보습효과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고품질의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술.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미세유체를 이용한 친환경 무약품 살균장치{Hybrid Micro Nano Bubble}
채소 및 과일 살균 및 세척분야, 식품용기 살균 및 세정 분
야, 식품/제약장치의 CIP(Cleaning In Place)분야, 자동차
부품 및 가공부품 세정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유해 물
질을 배출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제품을 살균 및 세정 분
야에 사용한다.
기존에는 주로 염소계 살균, 오존 살균, 자외선 살균 등의 방법을 사용
하였으나, 염소계 독성 유발, 발암성 물질 생성, 독성 유해물질 발생,
배관내의 Scale 생성 등의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살균법들이 가지고 있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우리가 먹는
먹거리의 위생안전, 취급자의 환경안전, 오.폐수 방류 등으로 인한 2차
환경 오염방지, 유지보수의 편리성, 강력한 살균력 등을 실현하고자 본
고안을 하게 되었으며, 또한 FTA 등으로 수입 농수산물의 시장 잠식으
로 시름이 농수산 분야에 경쟁력을 갖추고자 한다. 또한 더 나아가 세
계 시장에서 고유한 기술로 인정받기를 기대 한다.
유체역학의 이론을 도입한 자체 기술로서, 유체 진입 시는 Otopeni효과
를, 단면 통과 시는 오리피스원리를, 기포 발생 시는 Vortex현상을, 발생
기 전체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20~50㎛ 일정한
크기의 기포 사이즈와 리터당 15% 이상의 고밀도 유체를 발생 시킬 수
있도록 하여, 미세유체가 가지는 살균효과, 세정효과, 온열효과, 보습효과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고품질의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술.
최근의 식품소비는 개인의 기호성 위주의 소비에서 ‘wellbeing’과 같은
건강지향성 및 편익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신선한 식
품에 대한 소비 경향이 급신장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신선 과
일 및 채소류가 지니고 있는 특성은 현대인의 건강과 관련하여 항암,
항산화, 면역증강 및 각종 성인병 예방에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의 공급
원이라는 점이 소비자층을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 또한 과일 및 채소의
소비에 있어 변화되고 있는 또 다른 성향은 가격이나 양보다는 품질
위주로 변화하고 있으며 간편성과 합리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특성을 반영하여 새로운 반가공 제품
류인 신선편의 식품화된 과일 및 채소류(minimally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는 소비자들 요구 및 과일
및 채소류의 고부가가치성을 부여하는 미래형 식품산업이다.
특히 대부분의 채소류는 그대로 섭취하므로 미생물을 비롯한 각종 오
염원에 의한 표면 오염의 효율적 제거가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종
래의 염소계 약품살균이나 전해방전 살균 방식의 문제점을 현저히 개
선 하기위해 독자적이고 새로운 방식의 하이브리드 미세유체를 이용한
친환경 무약품 살균기를 개발하여 우리가 먹는 먹거리의 위생안전, 취
급자의 환경안전, 오.폐수 방류 등으로 인한 2차 환경 오염방지, 유지
보수의 편리성, 강력한 살균력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F
TA 등으로 수입 농수산물의 시장 잠식으로 시름이 농수산 분야에 경
쟁력을 가추는 일환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세계 시장에
서 고유한 기술로 인정받을 것으로 기대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이브리드 미세유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이브리드 미세유체 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산소(O2), 질소(N2), 공기(Air) 등 기체를 생성하여 이를 펌프 전단에
주입하고, Pump를 통해 미세유체 발생기로 보내지며, 보내진 유체는
미세유체 발생기를 통과 하면서 고농도의 산소수, 질소수를 생성한다.
이 고농도의 산소수, 질소수에 자외선(UV)를 조사하여 고농도의 살균
수(Free Radical Water)를 만든다. 활성화된 인자들(H-, O-, OH-,
HNO, 2HNO₂, HNO₃ 등)이 각종 오염물질과 반응하여 산화(살균,
세정)하고 다시 물과 공기로 환원 되는 장치이다.
① 유체 진입 플랜지 ② 버블 발생기 몸체
③ 네오디움 자석 ④ 자석커버
⑤ 공기 주입구 ⑥ 유체 배출 플랜지
⑦ 버블 디바이스 ⑧ 버블 분배기
⑨ 유체 가속기 ⑩ 오링

Claims (1)

  1. 수중에서 자외선 램프(UV Lamp)를 하이브리드 미세유체(Hybrid Micro
    Nano Bubble)에 조사하여, UV와 미세유체가 광분해 반응을 일으켜 물
    을 활성화 시키고, 이 물로 살균을 극대화하는 기술로서, 이때 UV는 특
    정한 파장대역과 정확한 조사량이 필요하며, 이는 자유 라디컬(Free Rad
    -icals) 발생의 핵심인자이다.
KR1020120022124A 2012-03-05 2012-03-05 하이브리드 미세유체를 이용한 친환경 무약품 살균장치 KR20130101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124A KR20130101185A (ko) 2012-03-05 2012-03-05 하이브리드 미세유체를 이용한 친환경 무약품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124A KR20130101185A (ko) 2012-03-05 2012-03-05 하이브리드 미세유체를 이용한 친환경 무약품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185A true KR20130101185A (ko) 2013-09-13

Family

ID=4945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124A KR20130101185A (ko) 2012-03-05 2012-03-05 하이브리드 미세유체를 이용한 친환경 무약품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11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8963B2 (en) 2016-09-28 2024-03-05 Quartus Paulus Botha Nano-bubble generator and method of generating nano-bubbles using interfering magnetic flux fiel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8963B2 (en) 2016-09-28 2024-03-05 Quartus Paulus Botha Nano-bubble generator and method of generating nano-bubbles using interfering magnetic flux fiel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adhan et al. Removal of p-nitrophenol using hydrodynamic cavitation and Fenton chemistry at pilot scale operation
Sun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thermal and disinfection performances of a novel hydrodynamic cavitation reactor
CN100586352C (zh) 食品净化装置
RU2693136C2 (ru) Генератор нанопузырьков,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жидких растворов, содержащих нанопузырьки,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US10377644B2 (en) Device and use thereof for the UV treatment of fluids
WO2007050708A3 (en) Ozone disinfection apparatus
ATE476102T1 (de) Gerät zur abgabe von nahrungsmitteln
Wang et al. Degradation of reactive brilliant red K-2BP in water using a combination of swirling jet-induced cavitation and Fenton process
KR20130101185A (ko) 하이브리드 미세유체를 이용한 친환경 무약품 살균장치
JP2014033955A (ja) 二酸化塩素ガス滅菌装置/純粋二酸化塩素溶液生成装置
EP2313190B1 (en) Fluid treatment system
CN206444464U (zh) 一种二氧化氯微纳米气泡发生装置
MX2014009215A (es) Aparato de aereacion multi-etapa.
TWM517533U (zh) 食材清洗裝置
JP6047518B2 (ja) 水質改善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9072707A (ja) 超微細気泡ノズルを用いた急速気体充填装置により生成する超微細気泡含有液体
CN203302298U (zh) 高浓度臭氧水喷淋装置
JP2015535733A5 (ko)
WO2006085135A3 (en) Dosing liquids with pressurized ozone
KR20090105892A (ko) 강제적인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발생시키는 독성제거기를 이용하여 물, 유동성 식품, 곡물 또는 음료에 함유된 유해인자들을 제거시키거나 물질에 함유된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정화시키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독성제거기 시스템
NL1040874B1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desinfectie van water en natte oppervlakken.
EP1810654A4 (en) PROCESS FOR TREATING A LIQUID MEDIUM AND CORRESPONDING DEVICE
WO2022147813A1 (zh) 通用一体化臭氧水发生装置
CN202988858U (zh) 一种水体净化增氧机
US20230276793A1 (en) Method to develop engineered nanobubbles for san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