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447A -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 - Google Patents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447A
KR20130100447A KR1020120021647A KR20120021647A KR20130100447A KR 20130100447 A KR20130100447 A KR 20130100447A KR 1020120021647 A KR1020120021647 A KR 1020120021647A KR 20120021647 A KR20120021647 A KR 20120021647A KR 20130100447 A KR20130100447 A KR 20130100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weight
herbal
medicinal herb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수옥
Original Assignee
어수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수옥 filed Critical 어수옥
Priority to KR1020120021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0447A/ko
Publication of KR2013010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4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미백과 프라그 제거 및 치주질환을 억제하기 위한 통상적인 치약에 천궁, 당귀, 백지, 박하, 사철쑥, 감초, 솔잎으로 부터 추출한 한약재추출물을 첨가하여 치약의 자극을 최소화함은 물론이고, 한약재의 효능 및 사용감을 개선하며 구강내의 항균 및 염증 예방을 위한 살균력을 향상시켜 치아 및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치 및 치주염을 예방하며 치료하는 기능을 가지는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겉표면을 세정하기위한 연마제인 침강탄산칼슘과 인산수소칼슘;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염증을 방지하기위한 약효제인 아미노카프론산과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응고를 막기위한 습윤제인 솔비톨과 글리세린과 자일리톨; 분말과 액체성분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제인 PEG(폴리에틸렌글리클)와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산탄검; 약효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기 위한 기포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사용감을 좋게하기 위한 첨가제인 안식향산나트륨과 녹차추출물과 삭카린나트륨과 멘톨과 페퍼민트유와 청색1호; 정제수로 구성된 치약에 있어서, 상기 치약에 천공, 당귀, 백지, 박하, 쑥, 감초, 솔잎을 포함하는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Toothpaste Containing medicinal herbs}
본 발명은 치아 미백과 프라그 제거 및 치주질환을 억제하기 위한 통상적인 치약에 천궁, 당귀, 백지, 박하, 사철쑥, 감초, 솔잎으로 부터 추출한 한약재추출물을 첨가하여 치약의 자극을 최소화함은 물론이고, 한약재의 효능 및 사용감을 개선하며 구강내의 항균 및 염증 예방을 위한 살균력을 향상시켜 치아 및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치 및 치주염을 예방하며 치료하는 기능을 가지는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에 관한 것이다.
치약이 존재하기 이전시대에는 식물의 줄기나 잎 등으로 치아를 문질러서 양치를 하였으나 프라그의 제거 및 세정효과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분말가루형태의 치분(齒粉:가루로 된 치약)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치분의 경우 세정효과를 위한 연마제가 주성분으로, 프라그 제거 및 세정효과는 증가하였지만 연마력이 지나치게 높아서 치약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치아를 마모시키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현재의 반고형 치약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현재의 치약은 연마제와 함께 반고형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습윤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연마제의 함량을 조절하여 연마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밖에 현대 치약은 프라그제거와 치아 세정이라는 기본기능이외에도 충치, 치은염, 구취, 미백 등과 같은 다양한 구강질환의 치료와 예방을 위하여 여러가지 약효제 및 한약재를 사용함으로써 구강위생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동서양을 막론하고 효능이 확인된 식물의 추출물을 정유 및 분말 형태로 치약에 적용하여 구강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치약은 치주질환 및 각종 구강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동백나무과 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거나 각종 식물잎이나 꽃잎등의 추출물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각종 구강질환의 치료 및 예방의 효과는 있지만 치약을 장기간 사용 시 치약의 색상이 변질되거나 향이 변화되면서 치약에 함유된 약효제의 효과가 감소되고 사용 시 불쾌감을 유발하는 등 치약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라그제거나 치은염의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향미제로서 차나무로부터 추출 정제한 차나무 오일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차나무 오일의 사용량이 적당한 향미를 구현하는 함량수준에서 그 사용량이 제한될 수 밖에 없으므로 치약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약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치약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고, 자극이 적으면서도 효능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치아 겉표면을 세정하기위한 연마제인 침강탄산칼슘과 인산수소칼슘;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염증을 방지하기위한 약효제인 아미노카프론산과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응고를 막기위한 습윤제인 솔비톨과 글리세린과 자일리톨; 분말과 액체성분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제인 PEG(폴리에틸렌글리클)와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산탄검; 약효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기 위한 기포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사용감을 좋게하기 위한 첨가제인 안식향산나트륨과 녹차추출물과 삭카린나트륨과 멘톨과 페퍼민트유와 식용색소인 청색1호; 정제수로 제조된 치약에 있어서, 상기 치약에 천공, 당귀, 백지, 박하, 사철쑥, 감초, 솔잎을 포함하는 한방추출액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적인 치약에 천궁, 당귀, 백지, 박하, 쑥, 감초, 솔잎과 같은 한약재가 포함된 한방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각각의 한약재 성분의 향균 활성에 의하여 구강 염증을 예방 및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장기 보관 시에도 한약재의 안정성 및 치약의 색상과 향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력을 높여 치아 및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사용감이 우수하여 남여노소 누구든지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치아 미백과 프라그 제거 및 치주질환을 억제하기 위한 치약에 관한 것으로, 치아 겉표면을 세정하기위한 연마제인 침강탄산칼슘과 인산수소칼슘과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염증을 방지하기위한 약효제인 아미노카프론산과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과 응고를 막기위한 습윤제인 솔비톨과 글리세린과 자일리톨과 분말과 액체성분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제인 PEG(폴리에틸렌글리클)와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산탄검과 약효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기 위한 기포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과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사용감을 좋게하기 위한 첨가제인 안식향산나트륨과 녹차추출물과 삭카린나트륨과 멘톨과 페퍼민트유와 식용색소인 청색1호와 정제수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마제는 치아의 겉표면을 세정하는 작용을 하는 성분으로써 침강탄산칼슘과 인산수소칼슘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약효제는 구강 내 세균을 살균하며 프라그의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프라그를 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성분으로 아미노카프론산과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또한 습윤제는 치약의 반고형 형태를 만들기 위한 필수성분으로 치약이 공기 중에 노출될 때 건조 및 고체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치약의 표면에 윤기를 주는 작용을 하는 성분으로 솔비톨과 글리세린과 자일리톨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체인 분말 성분과 액체 성분이 분리되지 않게 해주는 역할을 하므로 반고형의 치약에서는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결합제는 PEG와 CMC와 산탄검으로 구성된다.
이 밖에 약효 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하고 계면장력을 감소시킴으로서 구강내 이물질을 쉽게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하는 기포제는 음이온성계면활성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으로 구성되며, 치약의 사용감을 좋게하기 위한 첨가제는 안식향산나트륨과 녹차추출물과 삭카린나트륨과 멘톨과 페퍼민트유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성분에 정제수가 함유된 일반적인 치약에 천공, 당귀, 백지, 박하, 사철쑥, 감초, 솔잎과 같은 한약재를 포함하는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한약재가 가지고 있는 효능 및 성분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천궁은 미나리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천궁 및 일천궁의 뿌리줄기로서 활혈거어약류에서 대표적인 약으로서 기와 혈의 원활한 순환을 도우며 몸 안으로 침입한 풍의 기운을 없애는 동시에 지통의 효과가 있으며 세정기능 및 향균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치약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치아의 겉표면에 생성되는 프라그의 예방과 생성된 프라그의 제거에 효과적이며 치통을 완화하는 효과도 있다.
두 번째로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 당귀의 뿌리로서 보혈제의 대표적인 생약으로 혈을 보하고 흐름을 좋게하므로 빈혈이나 어혈로 인한 형행 장애에서 오는 동통증에 활용되고 있으며, 치약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풍으로 인한 치아의 통증을 치료하거나 구취를 없애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세 번째로 백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인 구릿대의 뿌리로서 진통제의 대표적인 생약으로 각종 통증을 완화하는데 유효하며, 치약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각종 치아질환으로 인한 치아의 통증을 완화하는데 유용하다.
네 번째로 박하는 꿀풀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박하의 지상부전초로서 향기가 매우 좋고 강하며, 치약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구내의 악취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살균 및 방부의 효과도 있다.
다섯 번째로 쑥은 국화과에 속한 사철쑥의 전초를 건조한 것으로 인진이라고도 하며 습열을 제거하고 황달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며 치약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구강병 원인균에 대한 우수한 향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섯 번째로 감초는 콩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감초의 뿌리로서 모든 중독의 해독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한방뿐만 아니라 신약, 민간약으로도 아주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이 밖에 치약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감초에 포함되어 있는 리코리시딘과 리코리소플라반이라는 두가지 향균물질이 충치와 잇몸질환을 일으키는 주된 구강 박테리아를 죽이는 역활을 하므로 충치 및 잇몸질환을 치료하고 나아가 구강감염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솔잎은 소나무의 잎에서 추출된 성분으로서 산소와 미네랄이 풍부하며 치약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솔잎에 함유되어 있는 피톤치드 성분이 향균작용을 하고 테르펜 성분이 산화작용을 억제하여 잇몸이 시리고 아플때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충치 및 치주질환으로 인한 입냄새의 제거에도 효과적이다.
여기서, 하기 실시예1은 일반적인 치약구성물과 본 발명에 따라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한약재들의 함량비를 중심으로 치약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1. 용제가 혼합된 습윤제에 결합제를 미리 분산하여 준비하고, 기타 성분들(약효제, 첨가제, 한방추출물)을 분산 혼합한 다음, 연마제를 투입하여 약 30 분간 교반하였다.
2. 이어서, 기포제를 투입한 후 진공 상태에서 20 분간 교반시켜 최종 제품을 수득하였다.
이때 상기 습윤제는 솔비톨 30g, 글리세린 5g, 자일리톨 10g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제는 PEG 0.5g, CMC 1g, 산탄검 0.3g으로 구성된다.
또한 기타 성분중 약효제는 아미노카프론산 0.1g,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0.08g, 안식향산나트륨 0.01g으로 구성되고, 첨가제는 녹차추출물 11g, 삭카린나트륨 1g, 멘톨 7g, 페퍼민트유 8g, 청색1호(식용색소) 1.07g, 정제수 10g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연마제는 침강탄산칼슘 15g, 인산수소칼슘 0.08g으로 구성되며 기포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0.01g으로 구성된다.
이 밖에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한방추출물이 첨가되는데, 상기 한방추출물에 포함되는 한약재는 천궁 0.075g, 당귀 0.075g, 백지 0.06g, 박하 0.03g, 사철쑥 0.03g, 감초 0.015g, 솔잎 0.015g으로 구성되며, 한약재 100중량%에 대한 각각 구성성분의 함유량은 천궁 25중량%, 당귀 25중량%, 백지 20중량%, 박하 10중량%, 사철쑥 10중량%, 감초 5중량%, 솔잎5중량%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여러가지의 효능을 가진 각각의 한약재로 구성된 한방추출물을 치약에 첨가함으로써 각각의 한약재가 서로 상승작용을 하여 치약의 자극을 최소화함은 물론이고, 한약재의 효능 및 사용감을 개선하며, 구강내의 항균 및 염증 예방을 위한 살균력을 향상시켜 치아 및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치 및 치주염을 예방하며 치료하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치아 겉표면을 세정하기위한 연마제인 침강탄산칼슘과 인산수소칼슘;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염증을 방지하기위한 약효제인 아미노카프론산과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응고를 막기위한 습윤제인 솔비톨과 글리세린과 자일리톨; 분말과 액체성분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제인 PEG(폴리에틸렌글리클)와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산탄검; 약효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기 위한 기포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사용감을 좋게하기 위한 첨가제인 안식향산나트륨과 녹차추출물과 삭카린나트륨과 멘톨과 페퍼민트유와 청색1호; 정제수로 구성된 치약에 있어서, 상기 치약에 천공, 당귀, 백지, 박하, 쑥, 감초, 솔잎을 포함하는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에 참가되는 한방추출물 100중량%에 대하여 천궁 25중량%, 당귀 25중량%, 백지 20중량%, 박하 10중량%, 쑥 10중량%, 감초 5중량%, 솔잎 5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


KR1020120021647A 2012-03-02 2012-03-02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 KR20130100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647A KR20130100447A (ko) 2012-03-02 2012-03-02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647A KR20130100447A (ko) 2012-03-02 2012-03-02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447A true KR20130100447A (ko) 2013-09-11

Family

ID=4945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647A KR20130100447A (ko) 2012-03-02 2012-03-02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04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9917A (zh) * 2014-08-08 2016-09-07 陈薇 一种消炎去肿杀菌成人牙膏
CN111228163A (zh) * 2019-09-17 2020-06-05 曲沃李时珍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抗口臭牙膏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9917A (zh) * 2014-08-08 2016-09-07 陈薇 一种消炎去肿杀菌成人牙膏
CN111228163A (zh) * 2019-09-17 2020-06-05 曲沃李时珍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抗口臭牙膏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545B1 (ko) 한방추출물과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치약
US6811769B2 (en) Oral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the oral composition and oral hygiene method in japanese and chinese herbal remedy
Pujar et al. Herbal usage in endodontics-A review
KR101194016B1 (ko) 구강 통증 개선과 구강항균 및 신경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항균 치약 조성물
RO118255B1 (ro) Compozitie pentru tratarea halitozei
CN102512345B (zh) 一种天然抗菌漱口液及其制备方法
KR20130059780A (ko) 천년초 분말과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04799A (ko) 천연 한방치약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264342B (zh) 洁齿剂组合物
Subbiah et al. Herbals and green synthesized nanoparticles in dentistry
KR101216427B1 (ko)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7387A (ko) 잇몸질환예방 및 완화를 위한 구강 조성물
KR20130100447A (ko) 한방추출물이 첨가된 한방치약
Ananthathavam et al. Treating periodontitis with the use of essential oil and herbs
CN103599182A (zh) 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口腔清洁护理用品及其制备方法
WO2017068546A1 (en) Composition for oral hygiene
KR100760970B1 (ko)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KR20130022234A (ko) 치주질환치료용 조성물, 치주질환치료용 조성물이 도포된 솜 및 거즈, 치주질환치료용 조성물이 도포된 솜 및 거즈의 사용방법
Marya et al. Use of Natural Oral Care Products in Orthodontics
KR101910716B1 (ko) 녹차 함유 구강세척제
CN104606105A (zh) 植物纳米乳牙膏
KR102638091B1 (ko) 미백기능을 갖는 치약조성물
KR102182965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JP2004182649A (ja) 口腔用組成物
CN107233265A (zh) 健齿抑菌凝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