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034A -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034A
KR20130100034A KR1020120019966A KR20120019966A KR20130100034A KR 20130100034 A KR20130100034 A KR 20130100034A KR 1020120019966 A KR1020120019966 A KR 1020120019966A KR 20120019966 A KR20120019966 A KR 20120019966A KR 20130100034 A KR20130100034 A KR 20130100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window
input
string
homepage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판정
배진현
이석문
원종호
Original Assignee
(주)넷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넷피아 filed Critical (주)넷피아
Priority to KR102012001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0034A/ko
Publication of KR2013010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웹 서비스 이용 중 개개의 사이트 내에 위치한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함으로써 특정 사이트로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거나 관련 검색 결과를 얻도록 하는 기능을 사이트에 최적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크게 등록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키워드 관리 시스템, 검색 시스템, 광고 시스템, 로그 시스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일반 사이트들도 홈페이지 입력창을 통하여 손쉽게 키워드를 이용한 사이트 바로 접속 또는 검색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홈페이지 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된 문자열에 대하여 홈페이지 입력창 기능을 제공한 사이트에 최적화된 검색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이트에 설치된 홈페이지 입력창에서의 검색 또는 바로 접속 기능을 통하여 광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Homepage Input Bar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데이터를 검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웹 서비스 이용 중 개개의 사이트 내에 위치한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함으로써 특정 사이트로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거나 관련 검색 결과를 얻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사이트 접속 또는 검색 방법은, 사이트로의 바로 접속을 위해서는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인터넷주소를 입력하고, 검색을 위해서는 브라우저의 검색창 또는 검색 사이트에 접속하여 검색어 입력창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사용해야만 했다. 그리고 사이트로의 바로 접속을 위해 브라우저의 주소창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기업명이나 브랜드명 등 키워드 형태의 입력을 통하여 바로 접속되도록 하는 특허등록 제317059호 등에 의해 알려진 방법의 서비스가 있지만, 주소창에 영문도메인이 아닌 키워드형태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사이트가 아닌 검색사이트로 연결되도록 하여 주소가 아닌 검색어로 기능 하도록 변경 처리하는 브라우저 기능 및 프로그램 등이 널리 유포되어 있어 키워드를 이용한 사이트 바로 접속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심지어 영문 도메인의 입력까지도 검색사이트로 연결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주소창에서의 키워드를 이용한 바로 접속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러그인 프로그램이나 주소창 기능을 하는 전용 툴바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경우 다른 프로그램과 충돌을 일으키거나 컴퓨터의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www 등으로 시작하는 영문 도메인이 아닌, 기업명 또는 브랜드명 등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검색 사이트에서 키워드로 검색 후 해당 사이트를 리스트에서 선택하는 방법으로 접속해야만 하며, 이는 이용에도 번거로움이 있고, 시간 및 네트워크 사용량의 증가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검색 사이트를 통한 사이트 접속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 업체명이 상단에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검색 사이트에 적지 않은 비용을 대가로 지급해야만 하며, 이러한 비용부담을 줄이고 자사 사이트로의 방문을 늘리고자 많은 기업의 홈페이지들이 해당 페이지를 시작페이지로 설정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포탈이 아닌 대부분의 사이트는 시작페이지 설정을 통해 해당 페이지의 접속량을 증가시키기만 할 뿐 그 이상의 기능을 하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검색업체가 아니고서야 일반 기업들은 검색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판매되는 상용 검색 엔진이 있지만, 구매하여 활용하기에는 용도 및 효과에 비하여 비용 부담이 큰 관계로 실제 포탈이나 일정 규모 이상이 아닌 대다수의 사이트는 검색 기능을 아예 가지고 있지 않고, 단순히 제품 안내 등의 페이지만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검색 또는 포탈 사이트 등에서는 검색 광고 등을 통한 수익 증대를 위하여 인터넷 이용자가 한 번 방문한 이후에는 계속 해당 검색 또는 포탈 사이트 내에서 머물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터넷 콘텐츠들이 독립성을 잃고 검색 또는 포탈 사이트에 귀속되면서 경쟁력이 약화되는 일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일반 사이트에 설치된 홈페이지 입력창을 통하여 인터넷 이용자들이 원하는 사이트에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 주고,
둘째, 홈페이지 입력창을 통하여 사이트의 하위 콘텐츠에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셋째, 홈페이지 입력창에 검색 키워드를 특수문자와 함께 입력함으로써 다양한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일반 사이트에 홈페이지 입력창을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키워드를 이용한 사이트 또는 콘텐츠 바로 접속 및 검색 기능이 가능하도록 한다.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은 크게 등록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키워드 관리 시스템, 검색 시스템, 광고 시스템, 로그 시스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록 시스템은 홈페이지 입력창을 설치, 이용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대한 기본 정보와 함께 신청을 접수받으면, 신청한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에 대하여 고유 코드를 부여하고 사이트에 홈페이지 입력창을 적용시키기 위한 소스 코드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문자열에 대하여 해당 사이트에 바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바로 접속 DB, 특별히 검색 결과 제공이 필요한 키워드들에 대한 검색키워드 DB,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들에 대한 정보가 담긴 홈페이지 입력창 정보 DB 등을 포함하고 있다.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은 홈페이지 입력창을 통하여 전달된 문자열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이용하여, 홈페이지 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열 또는 함께 입력된 특수 기호에 따라 사이트나 콘텐츠로의 바로 접속 또는 관련 검색 결과 제공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키워드 관리 시스템은 바로 접속 또는 검색용 키워드들을 등록, 수정하는 기능을, 검색 시스템은 홈페이지 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열에 대한 관련 정보 검색을 수행하는 기능, 광고 시스템은 검색 결과를 제공할 때 클라이언트에 광고를 함께 노출시키는 등의 광고 진행 및 광고 운영에 따른 수익 관리 등을 담당하는 기능, 로그 시스템은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에서 이루어진 각종 처리 내용에 대하여 기록하여 시스템 및 서비스의 개선이나 광고 집행 등에 활용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은 사이트의 홈페이지 입력창을 통하여 문자열이 입력되어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으로 전달되면,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에서 이를 수신하여 입력 문자열이 도메인네임 형태를 판단하여 도메인네임 형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된 문자열의 도메인네임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한다. 만약 도메인네임 형태가 아니라면 홈페이지 입력창에서 바로 접속을 목적으로 입력되었는지 검색을 목적으로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며, 검색 목적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제공을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고, 바로 접속을 목적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문자열이 검색용 키워드인지 판단 후 바로 접속 DB 검색을 통하여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사이트 또는 콘텐츠로 바로 접속 연결을 위한 쿼리식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쿼리식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처리 결과를 로그로 기록하는 방법으로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제공을 위한 쿼리식은 문자열이 입력된 홈페이지 입력창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 및 문자열, 클라이언트의 인터넷 이용 형태 정보 등을 이용하여 해당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에 최적화된 결과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입력창에 문자열과 함께 입력한 특수 문자에 따라 다양한 검색 결과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문자열이 입력된 홈페이지 입력창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확인은 문자열과 함께 전달된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에 대한 고유 코드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일반 사이트들도 홈페이지 입력창을 통하여 손쉽게 키워드를 이용한 사이트 또는 콘텐츠로의 바로 접속 및 다양한 검색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인터넷 이용자들이 손쉽게 콘텐츠로 바로 접속 가능하게 됨으로써 콘텐츠의 독립성과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되고, 인터넷 이용자들은 원하는 사이트나 콘텐츠로의 바로 접속뿐 아니라 다양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어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페이지 입력창 신청, 등록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홈페이지 입력창 입력 문자열에 대한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홈페이지 입력창 입력 문자열에 대한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웹사이트에 홈페이지 입력창을 제공하여, 키워드를 이용한 사이트 또는 콘텐츠로의 바로 접속 및 다양한 검색 기능을 부여하며,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홈페이지 입력창을 제공하는 여러 사이트 중 하나에 접속하여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에 표시된 홈페이지 입력창에 접속하고자 하는 업체의 명칭이나 브랜드 등의 키워드, 콘텐츠명 또는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 등을 입력하게 되면,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에서 처리 후 해당하는 웹 서버(400)의 페이지로 바로 접속되도록 하거나 관련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 주게 된다.
각 요소들을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인 클라이언트(100)는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 시스템으로, 데스크톱, 노트북 등의 PC 외에 스마트폰을 포함한 핸드폰 및 태블릿 장치 같은 휴대용 인터넷 단말 등 인터넷 웹 접속을 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이 해당된다. 핸드폰이나 휴대용 인터넷 단말 등과 같이 기존 PC에 비하여 화면이 작은 경우에는 브라우저 상단의 주소창이나 검색창 부분이 화면 활용의 유용성을 위해 숨겨지는 경우가 많아, 다른 사이트 등으로 이동 또는 검색을 하고자 하는 경우 불편함이 있는 반면, 사이트 내에 위치한 홈페이지 입력창을 이용하게 되면 보고 있던 화면에서 바로 입력하여 다른 사이트로의 이동 또는 관련 정보의 검색이 가능하므로 홈페이지 입력창의 유용성이 더 높다 할 수 있다. 또한 특수문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검색을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이용의 편의성도 높아지게 된다.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은 홈페이지 입력창을 제공하는 사이트로서, 사이트의 디자인이나 컨셉 등에 맞는 홈페이지 입력창을 사이트에 적용할 수 있으며, 사이트에서 홈페이지 입력창을 제공함으로써 방문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유용한 사이트가 될 수 있다.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100)이 사이트에 접속하여 홈페이지 입력창에 문자열을 입력하게 되면, 해당 문자열 및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의 정보 등 관련 정보들을 포함한 쿼리식을 만들어 사용자 단말(100)로 회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쿼리식에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의 정보 등을 포함시키는 것은, 해당 시스템에 최적화된 형태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홈페이지 입력창 기능을 통하여 수익 등이 발생하는 경우 그 경로를 확인하여 공유하는 등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은, 단순히 업체 및 제품 정보 등만을 제공하던 사이트가 다른 사이트나 정보로 갈 수 있는 허브 기능을 할 수 있게 해 주고, 해당 사이트에 최적화된 검색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사이트의 방문자들이 해당 사이트를 시작페이지로 설정하는 등의 조치를 하는데도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주로 기존의 검색 사이트를 통해서만 접속이 가능하던 것을 업체의 명칭이나 브랜드 명 등을 통하여 바로 접속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업들의 온라인 방문객 유입을 위해 지출하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기업체들 간에 서로 돕는 협력 구조를 만들게 한다.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의 사이트는 하나의 형태로 운영될 수도 있고, 모바일 환경에서의 이용자들 편의를 위해 모바일용으로 최적화된 형태의 사이트를 함께 운영하면서, 접속 환경에 따라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은 홈페이지 입력창을 이용 사이트(200)에 제공하고,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에 대한 처리 등을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크게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을 신청받고 고유 코드를 부여하는 등록 시스템(310),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사이트 및 키워드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20), 입력 문자열을 판단하고 처리하는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330)으로 구성되며 각종 키워드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키워드 관리 시스템(340), 홈페이지 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열에 대한 관련 정보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 시스템(350), 광고 및 광고 운영에 따른 수익 관리 등을 담당하는 광고 시스템(360), 각종 처리 기록 등을 담당하는 로그 시스템(37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내의 각 기능부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되거나 각각의 기능을 하나 별개의 시스템들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구현 방법이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등록 시스템(310)은 홈페이지 입력창을 설치, 이용하고자 하는 시스템(200)에 대한 기본 정보와 함께 신청을 접수받으면, 신청한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에 대하여 고유 코드를 부여하고 사이트에 홈페이지 입력창을 적용시키기 위한 소스 코드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등록 시스템(310)은 다양한 디자인의 홈페이지 입력창을 구비하고 있으면서,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의 디자인이나 분위기 등에 따라 그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이트 내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자인 없이 기능에 대한 통신만 가능하도록 API 형태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이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의 등록 시스템(310)에 이용 신청을 할 때는 홈페이지 입력창 디자인 선택 외에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에 대한 기본 정보, 즉 사이트 명, 인터넷 주소, 간단한 설명, 내용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 관리자 정보, 검색 기능 적용 방법 및 디자인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등록 시스템은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의 구분 및 관리를 위한 고유 코드를 부여하고, 고유 코드를 포함한 홈페이지 입력창 설치용 소스 코드를 생성하여 제공하게 된다.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 운영자는 등록 시스템(310)이 제공한 소스 코드를 이용하여 홈페이지 입력창을 손쉽게 사이트에 적용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입력창의 적용은 일반적인 웹페이지뿐 아니라, 사용되지 않고 있는 파킹 도메인에 대해 적용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코드의 추가/수정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블로그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홈페이지 입력창은 키워드를 이용한 바로 접속 기능과 검색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거나, 바로 접속 또는 검색 기능의 어느 하나만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320) 안에는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에 대하여 해당 사이트에 바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바로 접속 DB, 특별히 검색 결과 제공이 필요한 키워드들에 대한 검색키워드 DB, 등록 시스템(310)을 통하여 입력받은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에 대한 정보가 담긴 홈페이지 입력창 정보 DB 등을 포함하고 있다. 바로 접속 DB는 문자열에 대응하여 연결되어야 하는 해당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의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URL 등의 정보에는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 등의 정보뿐 아니라 인터넷상의 콘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어떤 형태의 정보도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로 접속 DB에는 사이트명 외에 하부콘텐츠에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콘텐츠로의 바로 접속을 위해서는 기존의 일반 인터넷주소에서 이용되는 것과 같이 특수문자 '/'를 이용하여 '사이트명/콘텐츠' 형태로 입력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 외에 '#', '>' 등의 특수문자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콘텐츠명에 대해서는 사이트명과 콘텐츠명의 표기 전체를 하나의 명칭으로 인식하여 처리하거나, 사이트명에 콘텐츠명을 종속된 형태로 구성하여 단계적으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검색 또는 포탈 사이트에 대해서는 콘텐츠명에 따라 특정 콘텐츠 페이지를 지정하여 저장하는 대신 해당 콘텐츠명에 대한 검색 결과가 제공될 수 있도록 쿼리식을 대응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검색 키워드 DB는 꽃배달, 자동차, 대출 등 특별히 검색 결과가 제공되는 것이 인터넷 이용자의 만족도를 더 높여줄 수 있는 특정한 단어들에 대한 DB로서, 일반 명사나 상업용 키워드, 이슈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검색키워드 DB는 별개의 DB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로 접속 DB와 연계하여, 바로 접속 DB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검색키워드인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이때는 검색어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바로 접속 DB에 포함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페이지 입력창 정보 DB에는 각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들에 대한 사이트 정보, 관리자 정보, 고유 코드 등의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330)은 홈페이지 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되고 전달된 문자열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320)의 내용을 이용하여, 입력 문자열에 따라 사이트 바로 접속 또는 관련 검색 결과 제공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330)은 홈페이지 입력창에 도메인네임이 입력된 경우를 대비하여, 문자열이 입력되면 우선 입력 문자열이 도메인네임 형태인지를 판단하여, 도메인네임 형태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입력된 문자열의 도메인네임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응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메인네임 형태 판단은, 입력 문자열에 점('.')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하여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하며, 그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메인네임 판단 기능은 시스템 및 서비스 운영 정책에 따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330)은 입력된 문자열에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열에 포함된 특수문자의 종류에 따라 콘텐츠 바로 접속 또는 특정 검색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문자열에 콘텐츠 바로 접속용으로 정해진 특수문자가 포함된 경우,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330)은 해당 문자열을 바로 접속 DB로부터 찾아 해당 콘텐츠로 바로 접속을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특수문자 전후의 단어에 따라 사이트명과 하부콘텐츠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로 접속용 특수문자는 기존의 일반 인터넷주소에서 이용되는 것과 같이 특수문자 '/'를 이용하여 '사이트명/콘텐츠' 형태로 입력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 외에 '#', '>' 등의 특수문자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입력 문자열에 검색용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330)은 특수문자에 따라 지정된 검색식을 생성하여 입력된 문자열에 대한 다양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단말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검색용 특수문자로는 '?', '??', '???'와 같이 직관적으로 검색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 좋으며, 그 외에도 서비스에 따라 지정하여 다양한 특수문자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수문자별 검색 시스템은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 또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에서 일방적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입력창을 이용하는 인터넷 이용자가 개인별로 선호하는 검색 시스템을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 문자열이 특수문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330)은 데이터베이스(320)의 바로 접속 DB로부터 문자열에 대응하여 연결되어야 하는 해당 사이트의 URL 등의 정보를 찾아 사용자 단말(100)로 응답하고, 입력 문자열이 검색키워드 DB에 포함되어 있거나 바로 접속 DB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 문자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에 응답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때 검색 결과를 생성할 때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의 검색 시스템(350) 또는 별도의 검색 서버(500)로부터 검색 결과를 얻고,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이 등록 시스템(310)을 통하여 설정한 방법과 디자인에 따라 결과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의 구분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 문자열과 함께 전달받은 고유 코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홈페이지 입력창은 문자열 입력시 바로 접속 또는 검색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선택된 기능에 따라 바로 접속 또는 검색 기능으로 해당 문자열을 처리하게 된다.
키워드 관리 시스템(340)은 계속적으로 변동되는 바로 접속, 검색키워드들에 대한 추가, 삭제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키워드들에 대한 관리는 서비스 관리자에 의해 될 수도 있고 인터넷 사용자들이 직접 등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상에서의 처리 통계 등을 바탕으로 자동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검색 시스템(350)은 입력 문자열에 대해 관련 정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 자체에 엔진을 구비하고 있으면서 기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외부의 검색 서버(500)를 통하여 검색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광고 시스템(360)은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330)이 검색키워드 등에 대해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처리 과정에서 광고를 포함시켜 노출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광고 등록 및 연결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시스템(360)에는 광고의 노출 조건, 광고 단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로는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배너 광고와, 검색 문자열과 관련된 광고를 노출시키는 키워드 검색 광고의 이용이 가능하며, 접속자의 이용 형태, 방문 페이지 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리타게팅 광고 적용도 가능하다.
로그 시스템(370)은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에서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에 대해 어떤 처리가 있었는지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게 된다. 로그 시스템(37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바로 접속 및 검색 등에 대한 처리 방법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광고 운영 등을 통하여 수익이 발생한 경우 그에 대한 수익 분배를 위한 근거 데이터로 삼을 수 있다.
웹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이 바로 접속 기능 등을 통하여 접속하게 되는 웹 사이트의 서버이며, 검색 시스템(500)은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검색키워드에 해당하거나, 바로 접속 DB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관련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검색 시스템은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주체에 의해 직접 운영될 수 있고, 검색 전문 업체와의 제휴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분야별 주요 업체들이 함께 해당 분야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 관련 분야는 A업체, 컴퓨터 관련 분야는 B업체, 꽃배달 분야는 C업체로 연결되도록 하거나, 하나의 통일된 포맷 안에서 해당 업체의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여러 업체에 의해 함께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홈페이지 입력창에 의한 검색서비스는 홈페이지 입력창을 제공하는 여러 사이트가 유입경로가 되는 서비스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검색서비스와는 차이가 있으며, 검색 서비스의 운영 등을 통해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서는 유입 경로가 되어 준 여러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업체들과 공유하는 방법으로 운영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페이지 입력창 신청, 등록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을 희망하는 경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의 등록 시스템(310)에 접속하여(S201) 이용을 신청하게 되며, 이때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에 대한 기본 정보, 즉 사이트 명, 인터넷 주소, 간단한 설명, 내용에 따른 카테고리 분류, 관리자 정보, 검색 기능 적용 방법 및 디자인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등록 시스템(310)이 구비하고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홈페이지 입력창 중에서,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의 디자인이나 분위기 등에 따라 그에 적합한 것을 선택(S203)하게 되며, 이때 디자인 없이 기능에 대한 통신만 가능하도록 API 형태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한 정보의 입력과 선택을 마치면, 등록 시스템(310)은 신청한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에 대하여 고유 코드를 부여하고 사이트에 홈페이지 입력창을 적용시키기 위한 소스 코드를 제공한다(S205).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 운영자는 등록 시스템(310)이 제공한 소스 코드를 이용하여 홈페이지 입력창을 손쉽게 사이트에 적용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입력창의 적용은 일반적인 웹페이지뿐 아니라, 사용되지 않고 있는 파킹 도메인에 대해 적용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코드의 추가/수정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블로그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홈페이지 입력창은 키워드를 이용한 바로 접속 기능과 검색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거나, 바로 접속 또는 검색 기능의 어느 하나만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홈페이지 입력창 입력 문자열에 대한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1 실시예에 의한 홈페이지 입력창 입력 문자열에 대한 처리는 특수문자 포함 여부 및 검색용 키워드 확인에 따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은 홈페이지 입력창 서비스에 대한 제휴 또는 계약 등에 따라 사이트를 통하여 홈페이지 입력창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넷 서핑 중 홈페이지 입력창을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보를 이용하거나 확인한 후 다른 사이트로의 이동 또는 정보의 검색을 위하여 홈페이지 입력창에 문자열을 입력하게 된다.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은 홈페이지 입력창에 문자열이 입력되면 이를 수신(S301)하여 수신한 문자열 및 관련 정보를 포함한 쿼리식을 생성하고 홈페이지 입력창에 문자열을 입력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303). 이때 쿼리식의 생성은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의 사이트에 위치한 홈페이지 입력창 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의 고유코드 등의 정보도 함께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는 쿼리식은 사용자 단말(100)이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으로 접속하여 해당 문자열 등의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으로부터 쿼리식을 회송 받으면, 쿼리식에 따라 자동으로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에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은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하였던 문자열 등의 정보를 수신(S305) 후 해당 문자열이 도메인네임인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게 된다(S307). 이는 홈페이지 입력창이 도메인네임의 입력에 대해서도 해당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도록 일종의 주소창 기능을 온전히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도메인네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해당 도메인네임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쿼리식을 생성하여(S309)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게 된다(S321). 여기서 문자열의 도메인네임 여부 판단은, 간단하게는 문자열에 점('.')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만을 확인하여 점('.')이 포함된 경우 도메인네임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으며, 점('.')이 있고 점('.') 뒤의 문자열이 공인 최상위도메인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경우 도메인네임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메인네임서버로 문자열을 질의하여 대응하는 IP주소가 응답 되어 오는지 여부를 통하여 판단할 수도 있으며 그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서비스 정책에 따라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도메인네임에 대한 바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 (S307) 단계는 생략할 수도 있다. 도메인네임 여부 판단과 더불어, 입력 문자열이 홈페이지 입력창에서 입력시 바로 접속 또는 검색 목적으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홈페이지 입력창에 문자열을 입력할 때, 바로 접속과 검색 중 어떤 목적으로 입력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는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의 홈페이지 입력창 모듈에서 만들어져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되는 쿼리식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330)이 입력 문자열에 대하여 어떤 목적으로 입력된 것인지를 확인하고 검색 목적으로 입력된 경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제공을 위한 처리를 하게 된다.
입력 문자열이 도메인네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도메인네임 여부 판단 단계를 생략한 경우에는 입력 문자열에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311). 특수문자에는 바로 접속용 특수문자와 검색용 특수문자가 있을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특수문자가 이용될 수 있다. 만약 문자열에 콘텐츠 바로 접속용으로 정해진 특수문자가 포함된 경우,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330)은 해당 문자열을 바로 접속 DB로부터 찾아(S315) 해당 콘텐츠로 바로 접속을 위한 쿼리식을 생성(S317)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특수문자 전후의 단어에 따라 사이트명과 하부콘텐츠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로 접속용 특수문자는 기존의 일반 인터넷주소에서 이용되는 것과 같이 특수문자 '/'를 이용하여 '사이트명/콘텐츠' 형태로 입력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 외에 '#', '>' 등의 특수문자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넷피아/자국어인터넷주소', '야후/컴퓨터', '조선일보/인물정보', '서울시#개포동', '특허청>민원'과 같은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반면 입력 문자열에 검색용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330)은 특수문자에 따라 지정된 검색식을 생성하여 입력된 문자열에 대한 다양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단말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S319). 이때 검색용 특수문자로는 '?', '??', '???'와 같이 직관적으로 검색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 좋으며, 그 외에도 서비스에 따라 지정하여 다양한 특수문자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자동차?'라고 입력하는 경우 구글에서 자동차에 대한 검색 결과를 찾도록 하고, '자동차??'라고 입력하는 경우에는 야후에서, '자동차???'라고 입력하는 경우에는 다음에서 검색 결과를 찾도록 하는 것이며, 특수문자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특수문자별 검색 시스템은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 또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에서 일방적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 입력창을 이용하는 인터넷 이용자가 개인별로 선호하는 검색 시스템을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 문자열이 특수문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330)은 입력 문자열을 데이터베이스(320)의 검색키워드 DB와 비교하여 검색용으로 구분된 키워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313). 입력 문자열이 검색용 키워드가 아닌 경우 바로 접속 DB로부터 대응되는 정보를 찾게 된다(S315). 바로 접속 DB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의 일부로 구현될 수도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바로 접속 DB에 입력 문자열이 존재하는 경우 바로 접속 DB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사이트로 접속시키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S317)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321). 만약 바로 접속 DB에 입력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값이 없다는 결과를 용자 단말(100)로 응답하거나,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S319)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321). 이때 검색 결과는 홈페이지 입력창 서비스 제공 주체에 의해 직접 운영될 수도 있고, 검색 전문 업체와의 제휴 또는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에서 선택한 곳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표시는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이 등록 시스템(310)을 통하여 설정한 내용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색 결과 페이지에는 광고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배너 광고와 검색 문자열과 관련된 광고를 노출시키는 키워드 검색 광고의 이용이 가능하고, 접속자의 이용 형태, 방문 페이지 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리타게팅 광고 적용도 가능하다. 그리고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에서의 모든 처리에 대한 결과 및 데이터는 로그로 기록(S323)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그에 기록된 내용은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에 대한 수익 배분 또는 키워드 분류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간단한 구성을 위해서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받은 쿼리식에 따라 해당 사이트에 접속(S325)하게 되며, 그 사이트는 바로 접속 사이트나 검색 결과 표시 사이트가 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홈페이지 입력창 입력 문자열에 대한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2 실시예에 의한 홈페이지 입력창 입력 문자열에 대한 처리 방법은 제1 실시예의 방법과 비교하여, 입력 문자열에 대한 처리 과정에서 차이가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르게 검색키워드 DB를 별개의 DB로 구성하지 않고 바로 접속 DB와 연계하여, 바로 접속 DB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검색키워드인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이때는 검색어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바로 접속 DB에 포함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방법에서는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330)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 문자열 데이터를 수신하면(S405),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신 문자열이 도메인네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411), 입력 문자열에 특수문자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한다(S413). 입력 문자열에 검색용 특수문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검색키워드 DB를 거치지 않고 바로, 바로 접속 DB를 통하여 입력 문자열을 확인하게 된다(S413). 입력 문자열에 바로 접속용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바로 접속 DB를 통하여 입력 문자열에 대하여 확인을 하게 되며(S413) 특수문자가 포함된 경우에는, 특수문자를 포함한 입력 문자열 전체를 하나의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거나, 특수문자 전후의 단어에 따라 사이트명과 하부콘텐츠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로 접속용 특수문자는 기존의 일반 인터넷주소에서 이용되는 것과 같이 특수문자 '/'를 이용하여 '사이트명/콘텐츠' 형태로 입력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 외에 '#', '>' 등의 특수문자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넷피아/자국어인터넷주소', '야후/컴퓨터', '조선일보/인물정보', '서울시#개포동', '특허청>민원'과 같은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바로 접속 DB에 입력 문자열이 존재하는 경우 바로 접속 DB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사이트로 접속시키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S415)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419). 만약 입력 문자열이 바로 접속 DB에 입력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값이 없다는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응답하거나,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S417)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419). 또한 입력 문자열이 검색용 특수문자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특수문자에 따라 지정된 검색식을 만들어 다양한 검색 결과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검색 결과에는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200)에 대한 정보 및 배너광고, 키워드광고, 리타게팅 광고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요소 시스템들과 세부 서버들은 각각이 상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기능 요소들이며, 구현 방법에 따라 하나의 시스템 안에서 독립 또는 결합 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별개의 독립된 시스템들로 구현된 후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상호 통신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형태는 특정한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통상의 기술자가 행하는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
300 :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310 : 등록 시스템
320 : 데이터베이스 330 :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
340 : 키워드 관리 시스템 350 : 검색 시스템
360 : 광고 시스템 370 : 로그 시스템
400 : 웹 서버 500 : 검색 서버

Claims (33)

  1. 사이트 내에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는 홈페이지 입력창을 구비하여 운영하며, 홈페이지 입력창에 문자열이 입력되는 경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으로 사용자 단말을 접속시키는 상기 입력 문자열을 포함한 쿼리식을 만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 회송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과
    문자열에 대응하여 인터넷주소가 저장되어 있는 바로 접속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쿼리식에 따라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상기 바로 접속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사이트로 접속시키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고,
    상기 바로 접속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입력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입력 문자열에 검색용 특수문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2. 사이트 내에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는 홈페이지 입력창을 구비하여 운영하며, 홈페이지 입력창에 문자열이 입력되는 경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으로 사용자 단말을 접속시키는 상기 입력 문자열을 포함한 쿼리식을 만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 회송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과
    상기 쿼리식에 따라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입력 문자열에 검색용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은,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대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에 최적화된 형태로 구성하고 그에 대한 쿼리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은,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대하여 배너 광고, 키워드 검색 광고, 리타게팅 광고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에 최적화된 형태로 구성하고 그에 대한 쿼리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은,
    검색을 목적으로 하는 단어들에 대하여 저장한 검색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상기 검색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은,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도메인네임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도메인네임에 따라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은,
    바로 접속 기능과 검색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바로 접속 기능이 선택된 경우 바로 접속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바로 접속을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고,
    검색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검색 쿼리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은,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은,
    상기 입력 문자열에 포함된 검색용 특수문자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검색 서버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10. 홈페이지 입력창의 설치를 희망하는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사이트별로 고유 코드를 생성하여 부여하는 등록 시스템과
    문자열에 대응하여 인터넷주소가 저장되어 있는 바로 접속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홈페이지 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된 문자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바로 접속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사이트로 접속시키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고,
    상기 바로 접속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입력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입력 문자열에 검색용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11. 홈페이지 입력창의 설치를 희망하는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사이트별로 고유 코드를 생성하여 부여하는 등록 시스템과
    홈페이지 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된 문자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 문자열에 검색용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대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에 최적화된 형태로 구성하고 그에 대한 쿼리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13. 제10항 또는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대하여 배너 광고, 키워드 검색 광고, 리타게팅 광고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에 최적화된 형태로 구성하고 그에 대한 쿼리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14. 제10항 또는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은,
    검색을 목적으로 하는 단어들에 대하여 저장한 검색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상기 검색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15. 제10항 또는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은,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도메인네임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도메인네임에 따라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16. 제10항 또는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은,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17. 제10항 또는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은,
    상기 입력 문자열에 포함된 검색용 특수문자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검색 서버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18. 사이트 내에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는 홈페이지 입력창을 구비하여 운영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이,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에 대하여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으로 사용자 단말을 접속시키는 상기 입력 문자열을 포함한 쿼리식을 만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 회송하는 단계;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이 상기 쿼리식에 따라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이 상기 입력 문자열에 특수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이 상기 입력 문자열이 바로 접속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바로 접속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입력 문자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사이트로 접속시키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바로 접속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입력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입력 문자열에 검색용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쿼리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회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19. 사이트 내에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는 홈페이지 입력창을 구비하여 운영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이,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에 대하여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으로 사용자 단말을 접속시키는 상기 입력 문자열을 포함한 쿼리식을 만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 회송하는 단계;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이 상기 쿼리식에 따라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이 상기 입력 문자열에 검색용 특수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쿼리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회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대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에 최적화된 형태로 구성하고 그에 대한 쿼리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21. 제18항 또는 제1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대하여 배너 광고, 키워드 검색 광고, 리타게팅 광고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에 최적화된 형태로 구성하고 그에 대한 쿼리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22. 제18항 또는 제1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색을 목적으로 하는 단어들에 대하여 저장한 검색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23. 제18항 또는 제1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도메인네임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도메인네임에 따라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24. 제18항 또는 제1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25. 제18항 또는 제1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문자열에 포함된 검색용 특수문자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검색 서버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26.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한 입력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이 상기 입력 문자열에 특수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이 상기 입력 문자열이 바로 접속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바로 접속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입력 문자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사이트로 접속시키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바로 접속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입력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입력 문자열에 검색용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쿼리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회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27. 입력 문자열 처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한 입력 문자열을 포함한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이 상기 입력 문자열에 검색용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쿼리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회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28. 제27항 또는 제2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대하여 상기 문자열이 입력된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에 최적화된 형태로 구성하고 그에 대한 쿼리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29. 제27항 또는 제2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대하여 배너 광고, 키워드 검색 광고, 리타게팅 광고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에 최적화된 형태로 구성하고 그에 대한 쿼리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30. 제27항 또는 제2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색을 목적으로 하는 단어들에 대하여 저장한 검색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31. 제27항 또는 제2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도메인네임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도메인네임에 따라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32. 제27항 또는 제2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하여 상기 홈페이지 입력창 이용 시스템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33. 제27항 또는 제2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문자열에 포함된 검색용 특수문자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검색 서버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쿼리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서비스 방법.
KR1020120019966A 2012-02-27 2012-02-27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30100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966A KR20130100034A (ko) 2012-02-27 2012-02-27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966A KR20130100034A (ko) 2012-02-27 2012-02-27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034A true KR20130100034A (ko) 2013-09-09

Family

ID=4945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966A KR20130100034A (ko) 2012-02-27 2012-02-27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00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718A (ko) * 2016-03-18 2017-09-27 주식회사 콤피아 검색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13187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콤피아 콘텐츠네임 공유 및 직접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718A (ko) * 2016-03-18 2017-09-27 주식회사 콤피아 검색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13187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콤피아 콘텐츠네임 공유 및 직접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019B1 (ko) 지역 정보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734257B2 (en) Exported overlays
KR20030032676A (ko) 웹브라우저 및/또는 윈도우 탐색기의 일정부분에 광고창을표시하는 광고방법 및 시스템
KR101808161B1 (ko) 모바일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70053B1 (ko) Url을 이용하여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KR100906808B1 (ko) 검색엔진에 연동한 쿠폰 제공 방법 및 검색 서버
KR101877354B1 (ko)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의 광고 제공 방법
CN100553250C (zh) 标记网页的方法和设备
KR20160069402A (ko) 이용자 반응형 웹페이지 제공 방법
KR20130100034A (ko)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677759B1 (ko) Url을 이용하여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KR20140019049A (ko) 콘텐츠와 함께 입력창을 제공하는 입력창 기능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7712A (ko) 콘텐츠와 함께 입력창을 제공하는 입력창 기능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98815B1 (ko) Url을 이용하여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KR20210131021A (ko) 핫키 등록을 이용한 광고 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63337B1 (ko) 웹브라우저 클릭시 현재 사이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인터넷 광고방법
KR20130089885A (ko) 홈페이지 입력창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60132174A (ko) 웹기반 정보추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0909561B1 (ko) 지역 정보 검색 결과 제공 시스템
KR101680888B1 (ko) 키워드 기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비스 서버
KR102340737B1 (ko) 핫키 등록을 이용한 광고 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27494A (ko) 지역 정보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16000A (ko) 이메일과 함께 입력창을 제공하는 입력창 기능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9821B1 (ko) 고유 방문자에 기초한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27924A (ko) 콘텐츠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