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697A -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697A
KR20130099697A KR1020120021397A KR20120021397A KR20130099697A KR 20130099697 A KR20130099697 A KR 20130099697A KR 1020120021397 A KR1020120021397 A KR 1020120021397A KR 20120021397 A KR20120021397 A KR 20120021397A KR 20130099697 A KR20130099697 A KR 20130099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touch screen
selection
item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3560B1 (ko
Inventor
최재영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21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560B1/ko
Priority to US13/546,335 priority patent/US9112966B2/en
Priority to EP12184068.0A priority patent/EP2635008A1/en
Publication of KR20130099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원본 리스트로 표시되고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및 사용자로부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원본 리스트에 대하여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스크롤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 각각이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여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제1 아이템을 원본 리스트와는 구별되는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다수의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자기기의 종류는 다양해지고 있다. 종류의 다양화는 고정형 전자기기는 물론 모바일 전자기기인 휴대용 단말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cellular phone), 엠피쓰리 플레이어(MP3 player),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내비게이션(navigation), 휴대용 게임기, 전자 사전(electronic dictionary), 전자책 단말기(E-book reader),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수신기가 이미 대중화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가 새로운 휴대용 단말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휴대용 단말은 또한 그 기능이 다양화, 고도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복합화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보이는 대표적인 휴대용 단말이 스마트 폰과 태블릿 컴퓨터이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컴퓨터는 현재 통화 기능, 데이터 저장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문서 작성 기능, 게임 기능, 방송 수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카메라 기능 등을 전부 갖추고 있는 통합 전자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은 이러한 기능의 복합화, 고도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디자인의 변형은 물론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도 시도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중심적으로 발전하고 있어서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편의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직관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이용하여 한두 번의 입력 행위만으로도 휴대용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실행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은 이동성이나 사용자의 휴대성을 고려한 전자 기기이다. 휴대용 단말의 무게는 전자 부품의 경량화, 박형화로 상대적으로 가벼워졌지만, 사용자의 휴대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하여, 휴대용 단말은 디스플레이나 키패드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 제약이 따른다. 특히,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의 입출력 장치로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화면 크기는 휴대용 단말의 크기 이상이 될 수 없는 본질적인 한계를 갖는다.
휴대용 단말은 기능의 고도화 및 저장 용량의 증가로 인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가 있다. 저장된 데이터들은 통상적으로 수직 방향이나 수평 방향 또는 매트릭스 형태의 리스트로 배열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의 크기 한계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에 한꺼번에 표시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데이터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선별하거나 또는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데이터는 트리 형태로 계층화하여 분류할 수 있다. 계층화된 데이터는 그룹 또는 소그룹 단위로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어서, 개별 데이터 리스트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그룹 또는 소그룹 단위로 분류하는 기존의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리스트로 표시된 아이템들을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일일이 해당 아이템이 속하는 그룹 또는 소그룹을 표시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디스플레이에 데이트들의 리스트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리스트에서 선별 또는 분류하고자 하는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한다. 그러면, 선택된 아이템이 속할 수 있는 후보 그룹 또는 후보 소그룹의 리스트가 다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후보 리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분류가 이루어진다. 또는, 선택된 아이템이 기존의 리스트와는 다른 리스트로 이동되어 표시됨으로써,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매번 분류하고자 하는 아이템을 리스트에서 선택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전자의 경우에는 해당 아이템이 속하는 분류도 또한 선택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은 더 커진다. 뿐만 아니라, 분류해야 할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부 검토하고 또한 조건에 맞는 것으로 판단되는 아이템을 하나하나 선택해야 하므로, 데이터의 분류 또는 선별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하나의 과제는 사용자의 행위를 최소화하거나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이 없이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류하고 또한 분류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원본 리스트로 표시되고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원본 리스트에 대하여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스크롤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 각각이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제1 아이템을 상기 원본 리스트와는 구별되는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제어 방법은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원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 각각이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제1 아이템을 상기 원본 리스트와는 구별되는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따라서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실시간으로 선별이 이루어지며 또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는 도중에 자동적으로 선택 리스트로 이동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별하고자 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행위를 터치 스크린에 직접 수행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본 리스트와 선택 리스트가 모두 스크롤 가능하게 표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도 2의 단계 101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원본 리스트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단계 103에서의 판별 결과가 표시되어 있는 터치 스크린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4a의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위쪽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된 후의 터치 스크린의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d는 이동 영역이 원본 리스트가 스크롤되는 방향과 관련되어 결정되는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e는 하나의 선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선택 리스트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 화면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f는 도 4e에서 원본 리스트가 위쪽 방향으로 스크롤될 경우에 나타나는 터치 스크린의 화면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g는 도 4e에서 선별 데이터인 아이템 E가 추가로 선택 리스트로 이동되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이후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h는 도 4g에서 선별 데이터인 아이템 H도 추가로 선택 리스트로 이동되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이후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i는 도 4h에서 선별 데이터인 아이템 N이 추가로 선택 리스트로 이동하는 도중에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j는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들도 스크롤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의 일례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k는 도 4h에서 선별 데이터인 아이템 N이 추가로 선택 리스트로 이동하는 도중에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모습의 다른 예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l은 선택 리스트에 많은 선별 데이터가 포함됨에 따라서 아이템의 크기를 줄여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의 일례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m은 선택 리스트에 많은 선별 데이터가 포함됨에 따라서 아이템의 크기를 줄여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의 다른 예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n은 선택 리스트가 반투명하게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4h의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아래쪽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된 후의 터치 스크린의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아래쪽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된 후에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이 원본 리스트로 이동한 후의 터치 스크린의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1)은 메모리(memory, 10),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20), 및 제어부(controller, 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1)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 요소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1)의 동작을 위하여 필수적인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추가로 휴대용 단말(1)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때, 추가되는 구성 요소들은 휴대용 단말(1)의 종류나 기능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휴대용 단말(1)은, 예를 들어, 휴대폰, 엠피쓰리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내비게이션, 휴대용 게임기, 전자 사전,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일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0)는 휴대용 단말(1)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10)에는 휴대용 단말(1)의 동작에 필요한 운영 체제 프로그램, 내장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은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메모리(10)에는 메일,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문서, 음악, 전화번호, 전화통화기록,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등이 각각 별개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각각에는 동일 종류의 대용량 데이터(예컨대, 수십 개의 동영상 파일이나 수백 개의 음악 파일, 전화번호, 이미지 파일 등)가 저장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0)은 사용자와 휴대용 단말(1)의 인터액션(interaction)을 위한 입출력 수단의 하나이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20)을 직접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통해 터치함으로써 명령이나 정보를 휴대용 단말(1)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1)은 터치 스크린(20)을 통해 정보나 데이터 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0)은 입력 수단인 터치 패드와 출력 수단인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구조를 갖거나 또는 양자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입력 수단으로 터치 스크린(20) 외에 카메라 및/또는 센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1)에 구비된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와 근접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함으로써, 휴대용 단말(1)으로의 입력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1)에 구비된 중력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1)의 움직임을 인식함으로써, 휴대용 단말(1)으로의 입력이 감지될 수도 있다. 이하,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입력 수단으로 터치 스크린(20)을 사용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다른 종류의 입력 수단(카메라 및/또는 다양한 센서)이 터치 스크린(20)과 함께 또는 별도로 사용되는 것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터치 스크린(20)에는 메모리(10), 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0)의 데이터베이스 각각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이 원본 리스트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20)에는 원본 리스트와 함께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가 선택 리스트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리스트'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터치 스크린(20)에 다수의 데이터들이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나열된 데이터 집합을 가리킨다. 그리고 리스트를 구성하는 데이터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는 '아이템(item)' 또는 '항목'이라고 칭한다. 따라서 리스트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거나 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아이템들의 집합이다.
제어부(30)는 휴대용 단말(1)의 동작에 필요한 전반적인 관리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데이터 통신이나 통화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1)이 서버나 다른 휴대용 단말과의 통신을 하기 위한 제어 및 신호 처리는 물론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재생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1) 내에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및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메모리(10)에 데이터를 입력, 수정, 삭제하거나 또는 메모리(10)에 질의하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불러올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또한 터치 스크린(20)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고, 터치 스크린(20)을 통해 소정의 데이터나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메모리(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리스트(이하, '원본 리스트'라 한다)로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전화번호부 메뉴, 메일 메뉴, 음악 재생 메뉴, 동영상 재생 메뉴, 이미지 보기 메뉴 등이 선택되면, 제어부(30)는 메모리(1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 수신 메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등을 원본 리스트의 형태로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터치 스크린(20)을 통해 수신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메라, 근접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수신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스크린(20)에 표시된 원본 리스트에 대하여 소정의 입력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원본 리스트에 대한 입력'은 원본 리스트를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여 입력하는 경우는 물론 간접적인 수단(예컨대, 스크롤 바 또는 방향 키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본 리스트에 대하여 카메라와 근접 센서가 인식할 수 있도록 소정의 모션을 수행하거나 및/또는 중력 센서와 가속도 센서가 인식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1)을 움직임을 가하는 것도 '원본 리스트에 대한 입력'으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처리'는 '입력'의 유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0)에 표시된 원본 리스트(후술하는 선택 리스트도 포함될 수 있다) 중에서 하나의 아이템(동영상 파일)을 클릭하면, 제어부(3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그대로 실행(동영상의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0)에 표시된 원본 리스트에 대하여 방향성을 갖는 터치(예컨대, 일방향으로의 터치앤드래그(touch & drag)나 일방향으로의 플릭(flick)'를 하면, 제어부(30)는 터치 스크린(20)에 표시되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터치 방향으로 스크롤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터치 스크린(20)에 표시되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 각각이 미리 설정된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선별 조건은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판단 결과, 즉 아이템들 각각이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아이템들 각각에 표시(예컨대, 해당 아이템이 다른 아이템과 구별되도록 하이라이트하거나 또는 아이템의 옆에 마크 등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또한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 중에서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아이템은 원본 리스트와는 구별되는 별도의 리스트인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서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스크린(20)에는 원본 리스트와 선택 리스트가 서로 구별되지만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리스트는 원본 리스트의 상측(터치 스크린(20)의 상단 부분) 또는 하측(터치 스크린(20)의 하단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이 때, 원본 리스트의 크기는 선택 리스트의 크기만큼 축소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선택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있는 경우에 선택 리스트를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하거나 또는 선택 리스트에 아이템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도 선택 리스트(보다 구체적으로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빈 영역)를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30)는 선택 리스트가 항상 터치 스크린(20)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을 충족할 경우에만 터치 스크린(20)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원본 리스트가 스크롤되고 있으면 선택 리스트를 활성화하여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하지만 원본 리스트가 스크롤되지 않고 있으면 선택 리스트를 비활성화하여 터치 스크린(20)에는 선택 리스트는 표시하지 않고 원본 리스트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원본 리스트와 선택 리스트를 함께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하다가, 사용자가 원본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을 자세히 검토할 경우 등과 같이 필요한 경우에는 원본 리스트를 터치 스크린(20)에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포함되는 아이템의 개수에 따라서 선택 리스트의 크기를 가변시키면서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선택 리스트의 크기는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선택 리스트의 최대 크기는 제한이 있을 수가 있는데, 이것은 원본 리스트의 크기가 선택 리스트의 크기에 대응하여 계속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 수준의 크기 이상이 되도록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개수에 비례하여 선택 리스트의 크기가 증가하다가 소정의 개수를 초과하면 선택 리스트의 크기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개수가 많아서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을 갖는 크기로 화면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 제어부(30)는 단위 아이템의 크기를 축소시켜서 모든 아이템을 선택 리스트에 포함시켜서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하거나 및/또는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일정 수준 이상이 되도록 유지하면서 원본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스크롤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또한 스크롤되어 원본 리스트의 경계를 벗어나는 아이템들이 선택 리스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처럼 터치 스크린(20)에 원본 리스트와 선택 리스트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스크롤되어 선택 리스트 쪽으로 이동하여 터치 스크린(20)의 원본 리스트에서 사라질 아이템들이 선택 리스트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처럼, 선택 리스트를 원본 리스트 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원본 리스트에 포함되어 터치 스크린(20)에 표시되는 아이템들 중에서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아이템을 모두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는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아이템이 임의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만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서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일 방향으로 스크롤되다가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아이템(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아이템으로서 첫 번째 아이템은 물론 뒤따르는 아이템도 포함된다)이 소정의 위치(이하, '이동 영역'이라 한다)에 도달하는 경우에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이동 영역은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위치하는 영역 중에서 아이템들이 스크롤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아이템이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20)의 일 영역일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에, 선택 리스트의 크기가 가변되고 이에 따라서 원본 리스트의 크기가 가변됨에 따라서, '이동 영역'도 그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또한 사용자의 직접적인 지시에 따르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될 경우에는 선택 리스트에 있는 아이템을 다시 원본 리스트로 이동시켜서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제1 방향으로의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에 따라서 제어부(30)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제1 방향으로 스크롤시키고 또한 제1 아이템이 이동 영역에 도달하면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켰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이후에 사용자로부터의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30)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제2 방향으로 스크롤시킬 수 있다. 이 때, 원본 리스트에서 제1 아이템이 위치해 있던 원본 리스트의 영역이 이동 영역에 도달하면(즉, 제2 방향으로 제1 아이템의 앞에 있던 아이템이 이동 영역을 지나가면), 제어부(30)는 제1 아이템을 원본 리스트의 원래 위치로 복원시켜서 터치 스크린(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설정(예컨대, 제1 아이템을 선택 리스트에 고정시키는 고정 신호를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경우)에 따라서, 비록 원본 리스트가 제2 방향으로 스크롤되더라도 제어부(30)는 제1 아이템을 선택 리스트로부터 원본 리스트로 복원시키지 않고 선택 리스트에 그대로 남겨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에 대하여 설정된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지가 판단되며, 또한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아이템들은 별도의 선택 리스트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이 때,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은 입력 방향에 대응하여 일 방향으로 스크롤될 수 있으며,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아이템이 소정의 이동 영역에 도달할 경우에만 선택 리스트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선택 리스트로 이동되는 아이템이 증가하는 경우에, 선택 리스트의 크기는 증가하다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면 선택 리스트의 크기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들각각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및/또는 원본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선택 리스트 내에서 스크롤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를 선별할 때 원본 리스트가 스크롤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되면, 선택 리스트에 있는 아이템은 원본 리스트 내의 원래 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은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원본 리스트를 표시한다(101). 원본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은 휴대용 단말의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DB) 각각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로서, 받은 메일 DB, 보낸 메일 DB, 사진 파일 DB, 동영상 파일 DB, 문서 파일 DB, 음악 파일 DB, 전화번호부 DB, 송신 전화 기록 DB, 수신 전화 기록 DB, 받은 메시지 DB, 보낸 메시지 DB, 또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DB 등에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그리고 본 단계에서 휴대용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원본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입력 또는 명령의 종류에도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해당 데이터 또는 파일이 저장된 폴더에 접속할 경우에 원본 리스트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원본 리스트가 표시되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나 메뉴를 실행하는 경우, 예컨대 전화번호부 메뉴, 메일 송수신함 메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보기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메뉴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 원본 리스트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단계(101)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원본 리스트의 일례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처음에는 터치 스크린에 원본 리스트의 일부가 표시되며, 원본 리스트는 터치 스크린에서 가능한 넓은 면적을 차지하여 크게 보이도록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a에는 원본 리스트의 일부로서 총 9개의 소정 크기의 아이템(아이템 A 내지 아이템 I)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의 개수나 이를 구성하는 각 아이템의 크기는 아이템의 내용, 사용자의 식별 용이성, 및/또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a에서 원본 리스트에 표시되어 있는 상하 방향의 화살표는 원본 리스트가 위쪽 방향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스크롤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다만, 터치 스크린에 원본 리스트의 시작 부분 또는 마지막 부분이 표시된 경우에, 어느 일 방향으로 스클롤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원본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총 개수는 9개 보다 많을 수 있으며, 도 4a에는 터치 스크린의 크기, 사용자의 식별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9개의 아이템만이 한 번에 표시되는 것을 보여 준다. 그리고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의 원본 리스트를 일방향으로 터치앤드래그하거나 또는 플릭하여 현재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아이템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직간접적인 터치 입력이 아니라 카메라나 센서 등을 이용한 입력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에 한 번에 표시되는 아이템의 개수나 각 아이템의 크기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원본 리스트의 데이터들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 조건을 설정한다(102). 선별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은 휴대용 단말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사용자와의 인터액션을 하면서 수행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과정은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선별 조건을 입력하는 창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임의로 선별 조건을 입력하거나 또는 제시된 선별 조건 후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선별 조건의 설정 과정(102)이 원본 리스트의 표시 과정(101) 이후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원본 리스트의 표시 과정(101)이 수행되기 이전에 선별 조건의 설정 과정(102)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원본 리스트의 표시 과정(101)과는 별개로 선별 조건의 설정 과정(102)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선별 조건은 원본 리스트로 표시되는 데이터의 속성과 관련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의 제어부(130, 도 1 참조)가 각 데이터의 세부 정보나 각 파일의 메타데이터 등을 통해서 파악이 가능한 정보일 수 있다. 이것은 휴대용 단말의 제어부가 사용자의 관여 없이 선별될 데이터(아이템)을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선별 조건은 분류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은 메일은 보낸 사람의 이름이나 그룹, 받은 날짜 등이 선별 조건이 될 수 있으며, 전화 번호부는 속한 그룹, 최근 통화 이력 등이 선별 조건이 될 수 있고,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은 해당 음악이나 동영상의 장르나 파일의 속성, 파일의 종류 등이 선별 조건이 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속하는 카테고리(게임, 건강 및 운동, 교육, 금융, 교통, 날씨 등) 등이 선별 조건이 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 각각이 설정된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103). 터치 스크린에 최초로 표시되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은 이미 선별 조건에 부합되는지가 판별되어 있거나 또는 표시됨과 동시에 판별될 수 있다. 그리고 원본 리스트가 스크롤됨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에 새로 표시되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은 표시됨과 동시에 판별되거나 또는 그 이전에 미리 선별 조건에 부합되는지가 판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판별 과정(103)은 아이템 각각의 정보(각 아이템의 세부 항목 데이터나 메타데이터 등)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의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단지 적용될 선별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단계 102 참조).
그리고 판별 결과는 터치 스크린의 원본 리스트에 표시될 수도 있다. 선별된 아이템과 선별되지 않은 아이템을 구분이 가능하도록 표시한다면, 판별 결과를 표시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선별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하거나 또는 선별된 아이템과 선별되지 않은 아이템의 색깔을 다르게 함으로써 판별 결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선별된 아이템에 선별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마크나 문자를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b는 이러한 판별 결과가 표시되어 있는 터치 스크린의 화면의 일례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다른 아이템과는 달리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아이템들 각각에 "선별 데이터"라는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원본 스크린에 대하여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예컨대, 일방향으로의 터치앤드래그 입력이나 플릭 입력)이 감지되면,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터치 입력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104).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은 터치 스크린 화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휴대용 단말은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위쪽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그 결과, 원본 리스트는 전체적으로 위쪽으로 이동을 하여 위쪽에 위치하는 일부 아이템은 터치 스크린에서 사라지고 아래쪽에는 사라진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아이템이 터치 스크린에 새롭게 나타난다.
도 4c는 도 4a의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위쪽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된 후의 터치 스크린의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원본 리스트가 위쪽 방향으로 스크롤됨에 따라서, 상단에 위치한 일부 아이템(아이템 A, B)이 터치 스크린에서 사라짐과 동시에 하단에는 새로운 아이템(아이템 J, K)이 터치 스크린에 새롭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사라지는 아이템을 어떻게 표시하고 관리할지 또한 터치 스크린에 새롭게 표시되는 아이템을 어떻게 저장하다가 표시할지 등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인 이동 영역에 있는 아이템이 단계 102에서 설정된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아이템, 즉 선별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105). 그리고 이동 영역에 있는 아이템이 선별 데이터인 경우에, 해당 선별 데이터는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한다(106). 여기서, 이동 영역이란 원본 리스트에 있는 아이템들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원본 리스트에 있는 선별 데이터가 터치 스크린의 선택 리스트로 실제로 이동하게 되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이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아이템인 선별 데이터라도 전부 선택 리스트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 스크린에서 처음부터 이동 영역에 위치하거나 또는 일 방향으로 스크롤되다가 이동 영역에 도달(위치)한 선별 데이터만 선택 리스트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이동 영역에 도달한 아이템이 선별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선택 리스트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동 영역은 터치 스크린에서 임의의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영역은 그 위치 및/또는 크기가 터치 스크린에서의 특정 위치나 또는 단위 아이템의 크기로 동일한 크기로 고정될 필요가 없으며, 그 위치 및/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영역은 원본 리스트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있는 아이템이 있는 터치 스크린(보다 구체적으로, 원본 리스트가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 리스트의 생성이나 크기 변경 등으로 인하여 원본 리스트의 크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원본 리스트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있는 아이템이 있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 즉 이동 영역도 터치 스크린에서 그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이동 영역은 또한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는 방향과 연관되어 결정될 수도 있다. 도 4d는 이동 영역이 원본 리스트가 스크롤되는 방향과 관련되어 결정되는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원본 리스트가 사용자에 의하여 상측 방향으로 스크롤된다고 할 경우에, 이동 영역은 스크롤 방향으로 제일 앞에 위치한 아이템이 있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 즉, 원본 리스트의 제일 상단에 위치한 아이템이 있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는 선택 리스트가 아직 터치 스크린에 생성되지 않은 경우(예컨대, 도 4b와 같은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에 의하면, 선별 데이터가 스크롤에 의하여 원본 리스트에서 사라지는 순간에 선택 리스트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효과는 데이터의 선별 과정이 마치 사용자 자신의 입력 행위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과 같은 감성적인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동 영역은 또한 터치 스크린에서 원본 리스트가 표시되는 전체 영역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각 아이템들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순간이나 그 직전에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지가 판단되며(105), 또한 터치 스크린의 원본 리스트에 표시되는 아이템들 중에서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선별 데이터는 모두 선택 리스트로 이동되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도 있다(106). 또는, 이동 영역은 터치 스크린에서 원본 리스트의 일 영역이다가 특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만 원본 리스트의 전체 영역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다가 원본 리스트의 마지막 아이템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경우에만 원본 리스트의 전체 영역이 이동 영역이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104 내지 단계 106에서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며 또한 이에 따라서 이동 영역에 도달한 원본 리스트의 선별 데이터가 선택 리스트로 이동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과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만일, 이동 영역에 하나의 선별 데이터도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터치 스크린에는 선택 리스트가 표시되지 않고 전체가 원본 리스트로 표시될 수도 있다(도 4a 등 참조). 그리고 단계 105를 충족하는 최초의 선별 데이터가 생기면, 터치 스크린에는 하나의 아이템(선별 데이터)을 포함하는 선택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도 4e는 하나의 선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선택 리스트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 화면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e에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최초의 이동 영역은 아이템(A) 즉, 선별 데이터(A)가 위치해 있는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이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4e는 선별 데이터(A)가 선택 리스트로 이동되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이후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일 수 있다. 원래의 이동 영역이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으로 표시됨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에서 이동 영역도 원본 리스트의 다른 영역(예컨대, 스크롤되는 방향으로 제일 앞에 있는 아이템이 있는 원본 리스트의 영역으로서, 도 4e의 경우에 원본 리스트의 최상단에 있는 아이템이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선택 리스트가 원본 리스트의 상측에 원본 리스트와 구별이 되도록 표시되어 있다. 선택 리스트와 원본 리스트를 구별하는 방법(예컨대, 배경 색깔을 다르게 하거나 및/또는 경계선을 표시하는 방법 등)은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리고 도 4e에서는 선택 리스트가 원본 리스트의 상측에 표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원본 리스트의 하측이나 다른 부분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e와 같이 선택 리스트가 원본 리스트의 상측에 표시되고 또한 데이터 선별을 위한 원본 리스트의 스크롤 방향이 상측 방향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다른 경우(다른 선택 리스트의 위치 및/또는 스크롤 방향)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리고 도 4e의 원본 리스트에 대하여 위쪽 방향으로의 터치앤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면,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은 위쪽 방향으로 스크롤된다. 도 4f는 도 4e의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위쪽 방향으로 스크롤되는 과정의 일 순간을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f를 참조하면, 아이템 D의 일부는 반투명하게 처리된 선택 리스트(아이템 A)의 하부에 위치하고 아이템 D의 나머지 부분은 아직 원본 리스트에 있는 것처럼 디스플레이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위쪽 방향으로의 방향성 입력에 대하여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은 위쪽으로 스크롤된 결과, 선별 데이터가 아닌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 B, 아이템 C는 원본 리스트에서 사라졌으며, 역시 선별 데이터가 아닌 아이템 D는 원본 리스트에서 위쪽 경계(원본 리스트와 선택 리스트의 경계)를 통하여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도 4f에서 선택 리스트는 반투명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적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불투명하거나 또는 완전 투명할 수도 있다.
이동 영역에 위치하는 선별 데이터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개수도 증가하며, 그에 따라서 선택 리스트가 차지하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도 증가할 수 있다. 도 4g는 도 4e에서 선별 데이터(E)가 추가로 선택 리스트로 이동되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이후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고, 도 4h는 도 4g에서 선별 데이터(H)도 추가로 선택 리스트로 이동되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이후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g를 참조하면, 도 4e와 대비하여 선택 리스트의 크기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4f는 도 4e에서 도 4g로 변하는 중간의 일 순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4h를 참조하면, 도 4g와 대비하여 선택 리스트의 크기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4g와 도 4h 사이에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이 상측으로 스크롤되어 원본 리스트의 일부 아이템(아이템 F 및 아이템 G)이 상측으로 사라지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g 및 도 4h에서도 원래의 이동 영역이 크기가 증가한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으로 표시됨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에서 이동 영역도 원본 리스트의 다른 영역으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선택 리스트의 크기 증가는 일정한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선택 리스트의 최대 크기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h에 도시된 것과 같은 크기가 선택 리스트가 터치 스크린에서 차지할 수 있는 최대 영역일 수 있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이 경우에, 단계 105의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 즉 선별 데이터가 추가되는 경우(4개 이상인 경우)에, 선택 리스트에 모든 선별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도록 선택 리스트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리스트의 각 아이템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도록 선택 리스트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선별 데이터는 최근에 이동 영역에 도달한 아이템이며, 이전에 선택 리스트로 이동된 아이템은 터치 스크린의 화면에서는 숨겨질 수 있다.
도 4h에서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위쪽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선별 데이터인 아이템 N이 선택 리스트로 이동되어 표시된 도 4j로 변하는 과정은 여러 가지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i는 도 4h의 상태(선택 리스트가 최대 크기인 상태)에서 선택 리스트에 선별 데이터가 추가되는 과정에서의 디스플레이 표시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것이고, 도 4j는 도 4h의 상태에서 선택 리스트에 선별 데이터가 추가된 이후의 디스플레이 표시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것이다.
도 4i를 참조하면, 도 4h에서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위쪽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아이템 N이 이동 영역에 도달하면, 선별 데이터인 아이템 N은 선택 리스트, 보다 구체적으로 아이템 H가 위치한 방향(예컨대,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는 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며, 그에 따라서 선택 리스트에서 제일 앞쪽에 위치한 아이템 A는 선택 리스트의 위쪽으로 사라지도록 표시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표시 방법에 의하면, 선별 데이터의 이동 과정이 마치 원본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사용자의 입력 행위)과 연계되는 듯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j는 도 4i에서 아이템 N이 선택 리스트로 완전히 이동한 이후에,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들도 스크롤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의 일례를 보여 주는 것인데, 도 4j에서 양쪽 방향의 화살표는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터치앤드래그와 같은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에 의하여 스크롤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는 달리, 선택 리스트의 각 아이템의 크기를 축소하여 모든 선별 데이터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k는 도 4h의 상태(선택 리스트가 최대 크기인 상태)에서 선택 리스트에 선별 데이터가 추가되는 과정에서의 디스플레이 표시 모습의 다른 예를 보여 주는 것이고, 도 l과 도 4m은 도 4h의 상태에서 선택 리스트에 선별 데이터가 추가된 이후의 디스플레이 표시 모습의 다른 예를 보여 주는 것으로서, 도 4l은 도 4h와 대비하여 선별 데이터가 하나 증가한 경우이고 도 4m은 도 4h와 대비하여 선별 데이터가 세 개 증가한 경우이다.
도 4k를 참조하면, 도 4h에서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위쪽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선별 데이터인 아이템 N이 이동 영역에 도달하면, 아이템 N은 선택 리스트의 영역으로 올라가게 되고 그에 따라서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각 아이템의 크기는 점점 줄어든다. 그리고 아이템 N이 선택 리스트의 영역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도 4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리스트에는 총 4개의 아이템이 표시될 수 있도록 각 아이템의 크기가 3/4만큼 축소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그리고 원본 리스트가 계속 스크롤되어 선별 데이터가 2개가 더 선택 리스트로 이동하면, 도 4m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h와 대비하여 선별 데이터가 세 개 증가함에 따라서 선택 리스트에는 총 6개의 아이템이 표시될 수 있도록 각 아이템의 크기가 1/2만큼 축소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선별 데이터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를 넘어설 경우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전술한 두 가지 방법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선별 데이터의 개수가 기준치를 조금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 4l이나 도 4m과 같이,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 크기를 축소하면서 선별 데이터를 모두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선별 데이터의 개수가 기준치를 상대적으로 많이 초과하면, 도 4j와 같이,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될 수 있도록 일부만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전자의 디스플레이 방법과 후자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구분하는 기준은 선별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가독성을 고려하여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선별 데이터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단위 아이템의 크기를 감소시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되, 선별 데이터를 사용자가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정도의 크기까지만 감소시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선별 데이터의 개수가 더 증가하면,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들도 스크롤이 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106의 결과로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에 원본 리스트와 구분되도록 선택 리스트가 생성된 이후, 즉 선택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의 선별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에, 선택 리스트는 원본 리스트와 함께 항상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선택 리스트는 특정 순간에만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본 리스트가 스크롤되고 있으면 선택 리스트를 활성화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지만 원본 리스트가 스크롤되지 않고 있으면 선택 리스트를 비활성화하여 터치 스크린에는 선택 리스트는 표시하지 않고 원본 리스트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원본 리스트와 선택 리스트를 함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다가, 사용자가 원본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을 자세히 검토하는 경우 등과 같이 필요한 경우에는 원본 리스트만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선택 리스트는 원본 리스트와 구분되도록 터치 스크린에 불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선택 리스트를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표시하여 원본 리스트의 일부가 선택 리스트의 위치에서도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n은 선택 리스트가 반투명하게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n을 참조하면, 원본 리스트, 보다 정확하게는 스크롤되어 터치 스크린의 원본 리스트 영역을 벗어난 원본 리스트의 일부 아이템이 선택 리스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처럼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다. 이에 의하면, 스크롤되어 터치 스크린의 원본 리스트 영역을 벗어난 아이템이 선택 리스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처럼 보이게 함으로써, 원본 리스트가 스크롤되고 있다는 효과를 터치 스크린을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105에서 이동 영역에 있는 아이템이 선별 데이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104가 반복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데이터 선별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계속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또한 원본 리스트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에서 아직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지 않은 아이템이 남아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터치 입력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104). 그리고 스크롤의 결과로 이동 영역에 위치하게 된 아이템이 선별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105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반면, 후자의 경우는 원본 리스트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에서 아직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지 않은 아이템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이다.
단계 106을 수행한 이후, 즉 이동 영역에 있는 아이템이 선별 데이터인 경우에 해당 선별 데이터를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킨 다음에는, 사용자로부터 계속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또한 원본 리스트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에서 아직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지 않은 아이템이 남아 있는지를 판단한다(107). 판단 결과, 원본 리스트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에서 아직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지 않은 아이템이 남아 있고 또한 사용자로부터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입력 방향으로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스크롤시키는 단계 104 이후의 과정이 수행된다. 반면, 원본 리스트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에서 아직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지 않은 아이템이 남아 있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데이터 분류 과정은 종료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동작 제어 방법은 도 2의 단계 106 이후에 수행되는 절차일 수 있다. 도 2의 단계 106 이후는 선택 리스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별 데이터가 포함되어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원본 스크린에 대하여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터치 및 드래그)이 감지되면,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터치 입력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111). 다만, 본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드래그 방향은 도 3의 단계 104에서 드래그 방향과 반대 방향이며, 그 결과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는 방향도 단계 104에서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다. 본 단계는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스크롤시키면서 데이터를 분류하는 도중에 또는 분류한 이후에 반대 방향으로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스크롤시키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도 4g와 같은 터치 스크린 화면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휴대용 단말은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아래쪽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그 결과, 원본 리스트는 전체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을 하여 아래쪽에 위치하는 일부 아이템은 터치 스크린에서 사라지고 위쪽에는 사라진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아이템이 터치 스크린의 원본 리스트에 새롭게 나타난다. 이 때, 새롭게 나타나는 아이템들은 그 이전에 위쪽 방향으로의 스크롤에 의하여 터치 스크린의 원본 리스트에서 사라졌던 아이템일 수 있다.
도 5a는 도 4h의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아래쪽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된 후의 터치 스크린의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원본 리스트가 아래쪽 방향으로 스크롤됨에 따라서, 하단에 위치한 일부 아이템(아이템 P)이 터치 스크린에서 사라짐과 동시에 상단에는 새로운 아이템(아이템 J)이 터치 스크린에 새롭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사라지는 아이템을 어떻게 표시하고 관리할지 또한 터치 스크린에 새롭게 표시되는 아이템을 어떻게 저장하다가 표시할지 등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의 이동 영역에 다음에 표시될 아이템이 선택 리스트로 이동한 아이템, 즉 선별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112). 그리고 이동 영역에 표시될 예정인 아이템이 선별 데이터인 경우에, 해당 선별 데이터는 선택 리스트에서 원본 리스트로 이동시켜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한다(113).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영역은 원본 리스트에 있는 선별 데이터가 터치 스크린의 선택 리스트로 실제로 이동하게 되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이며,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선택 리스트에 표시되어 있는 선별 데이터가 원본 리스트에서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이기도 하다.
도 5b는 도 5a의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아래쪽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된 후에 선택 리스트의 아이템이 원본 리스트로 이동한 후의 터치 스크린의 모습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원본 리스트가 아래쪽 방향으로 스크롤됨에 따라서, 선택 리스트에 위치해 있던 하나의 선별 데이터(아이템 H)가 선택 리스트에서 사라짐과 동시에 원본 리스트에 포함되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112에서 이동 영역에 다음에 표시될 아이템이 선별 데이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111이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계속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또한 스크롤되는 방향으로 터치 스크린의 원본 리스트에 표시될 아이템이 남아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터치 입력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111). 그리고 스크롤의 결과로 이동 영역에 다음에 위치하게 될 아이템이 선택 리스트에 표시되어 있는 선별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112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로부터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계속되더라도 절차가 종료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스크롤되어 터치 스크린의 원본 리스트에 표시될 아이템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만 특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 : 휴대용 단말
10 : 메모리
20 : 터치 스크린
30 : 제어부

Claims (23)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원본 리스트로 표시되고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원본 리스트에 대하여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스크롤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 각각이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제1 아이템을 상기 원본 리스트와는 구별되는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템이 제1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상기 원본 리스트의 일 영역인 이동 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영역은 상기 선택 리스트의 위치와 크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함에 따라서 상기 원본 리스트의 영역 내에서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제2 아이템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상기 이동 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 리스트에 대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들도 스크롤될 수 있게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첫 번째 아이템이 위치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영역은 상기 원본 리스트가 스크롤되는 방향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스크롤시키되 상기 이동 영역에서 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원본 리스트의 원래 위치로 복원시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스크롤 이전에 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선택 리스트에 고정시키는 고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원본 리스트로 복원시키지 않고 그대로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시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조건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리스트를 상기 원본 리스트 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고 있으면 상기 선택 리스트를 활성화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지만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지 않고 있으면 상기 선택 리스트를 비활성화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4. (a)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원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 각각이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제1 아이템을 상기 원본 리스트와는 구별되는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원본 리스트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의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아이템이 상기 원본 리스트의 일 영역인 이동 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영역은 상기 선택 리스트의 위치와 크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함에 따라서 상기 원본 리스트의 영역 내에서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e) 상기 선별 조건에 부합하는 제2 아이템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상기 이동 영역에 도달하면 상기 선택 리스트로 이동시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 리스트에 대한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들도 스크롤될 수 있게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의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f)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원본 리스트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방향성을 갖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스크롤하되, 상기 이동 영역에서 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원본 리스트의 원래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g) 상기 (b)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상기 선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선택 리스트를 상기 원본 리스트 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고 있으면 상기 선택 리스트를 활성화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지만 상기 원본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스크롤되지 않고 있으면 상기 선택 리스트를 비활성화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0120021397A 2012-02-29 2012-02-29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KR101363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97A KR101363560B1 (ko) 2012-02-29 2012-02-29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US13/546,335 US9112966B2 (en) 2012-02-29 2012-07-11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device
EP12184068.0A EP2635008A1 (en) 2012-02-29 2012-09-12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97A KR101363560B1 (ko) 2012-02-29 2012-02-29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697A true KR20130099697A (ko) 2013-09-06
KR101363560B1 KR101363560B1 (ko) 2014-02-18

Family

ID=4693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397A KR101363560B1 (ko) 2012-02-29 2012-02-29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12966B2 (ko)
EP (1) EP2635008A1 (ko)
KR (1) KR101363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162B1 (ko) * 2011-08-30 2014-01-14 주식회사 팬택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
EP2632119A1 (en) * 2012-02-27 2013-08-28 Doro AB Two-mode access linear UI
KR101952177B1 (ko) * 2012-07-30 201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58212A (ko) * 2012-11-06 2014-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JP5668180B1 (ja) * 2013-05-20 2015-02-12 楽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2040611B1 (ko) * 2013-05-31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D741875S1 (en) 2013-06-10 2015-10-2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0658S1 (en) 2013-09-10 2016-03-01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818325B2 (en) * 2013-11-01 2017-11-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ata processor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thereby
USD763299S1 (en) 2013-11-26 2016-08-09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411422B1 (en) 2013-12-13 2016-08-09 Audible, Inc. User interaction with content markers
JP6331466B2 (ja) * 2014-02-27 2018-05-30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025461B2 (en) * 2014-04-08 2018-07-17 Oath Inc. Gesture input for item selection
USD754712S1 (en) * 2014-06-04 2016-04-26 Salesforce.Com,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785331B2 (en) * 2014-06-27 2017-10-10 Symbol Technologies, Llc One touch scroll and select for a touch screen device
KR101728358B1 (ko) 2014-08-25 2017-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5288B1 (ko) * 2015-05-11 2016-12-09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 표시 제어 방법 및 컨텐츠 표시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KR101739388B1 (ko) * 2015-10-07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417231B2 (en) 2016-06-28 2019-09-17 Walmart Apollo, Llc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locating a receipt for a product
JP6617724B2 (ja) * 2017-01-26 2019-12-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30064B2 (en) * 2018-01-29 2019-10-01 Amazon Technologies, Inc. Techniques for utilizing translucent user interface elements
JP6562115B2 (ja) * 2018-04-27 2019-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131110B2 (ja) * 2018-06-18 2022-09-0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172276B2 (ja) * 2018-08-20 2022-11-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077182B2 (ja) * 2018-08-27 2022-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72987B2 (ja) * 2019-12-27 2023-11-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2732B2 (ja) * 2005-03-31 2009-08-12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1192988B1 (ko) 2006-03-23 2012-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7986418B2 (en) * 2007-05-25 2011-07-26 Kabushiki Kaisha Toshiba Driver apparatus, process control method, process control program
KR101320919B1 (ko) 2008-01-29 2013-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 화면을 통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KR101470543B1 (ko) 2008-02-15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20818A (ko) * 2008-08-13 2010-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35474A (ko) 2008-09-26 2010-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KR101791540B1 (ko) 2009-06-08 201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20110037298A (ko) * 2009-10-06 2011-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23783B1 (ko) * 2009-10-08 201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데이터 추출 방법
KR101660723B1 (ko) 2009-11-30 201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560B1 (ko) 2014-02-18
US9112966B2 (en) 2015-08-18
US20130222435A1 (en) 2013-08-29
EP2635008A1 (en)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560B1 (ko)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580796B1 (ko)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US11023097B2 (en) Mobile terminal and message-based conversation operation method for grouping messages
US20190121504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US93046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display screen of a user interface
CN105144071A (zh) 用于管理同时打开的软件应用程序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KR20100051105A (ko) 아이템 리스트와의 상호작용 방법
TW201923547A (zh) 處理方法、裝置、設備和機器可讀媒體
CN102640101A (zh) 用于提供用户接口的方法及装置
WO2018112925A1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6325842B (zh) 访问智能终端同类应用的方法、装置及智能终端
US20180181295A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terminal equipment
US9753630B1 (en) Card stack navigation
KR20140036576A (ko) 카테고리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N115268730A (zh) 用于与对应于应用程序的用户界面对象进行交互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23045927A1 (zh) 对象移动方法和电子设备
US9959010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terminal equipment
US11132104B1 (en) Managing user interface items in a visual user interface (VUI)
CN113268182A (zh) 应用图标的管理方法和电子设备
CN111399724A (zh) 系统设置项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70083212A1 (en) Application program preview interfa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7102797A (zh) 一种对选定的对象内容执行搜索操作的方法及终端
CN108885527B (zh) 在压力触控屏上操作多个对象的方法及装置
WO2024017097A1 (zh) 一种界面显示方法与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