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914A -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914A
KR20130098914A KR1020130019191A KR20130019191A KR20130098914A KR 20130098914 A KR20130098914 A KR 20130098914A KR 1020130019191 A KR1020130019191 A KR 1020130019191A KR 20130019191 A KR20130019191 A KR 20130019191A KR 20130098914 A KR20130098914 A KR 20130098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film
liquid crystal
film
formula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1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9135B1 (en
Inventor
노부유키 하타나카
하루키 오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8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914A/en
Priority to KR102020007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1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1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60Pleochroic dyes
    • C09K19/601Azoic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polarizing film, a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ffectively execute a thin film process and to offer an excellent neutral color property. CONSTITUTION: A polarizing film comprises a polymer, one-kind dichroic dye, and two-kind dichroic dye. The polymer is comprised of a polymeric liquid-crystalline compound. The one-kind dichroic dye forms the absorption range of 380-550nm when the optical absorption is measured by dispersing the one-kind dichroic dye among the polymers. The two-kind dichroic dye forms the absorption range of 550-700nm. The two-kind dichroic dye includes a dichroic dye which forms the absorption range of 600-700nm.

Description

편광막, 원편광판 및 이들의 제조 방법{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막, 원편광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a circular polarizing plate, a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the like.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편광자는 높은 투과율과 편광도를 겸비하고 있으므로, 요오드 등의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연신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요오드 염색 PVA)로 이루어지는 필름(편광막)이 범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요오드 염색 PVA로 이루어지는 편광막이 기재되어 있다. Since the polarizer us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high transmittance and polarization degree, a film (polarizing film) made of polyvinyl alcohol (iodine dye PVA), which has been dyed with a dichroic dye such as iodine and stretched, is generally used. hav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escribes a polarizing film made of iodine dye PVA.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7-14217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142170

그러나, 요오드 염색 PVA로 이루어지는 편광막은 황색 기운을 띠기 쉬워, 소위 뉴트럴(neutral)한 색상성이 뒤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요오드 염색 PVA로 이루어지는 편광막은 박막화가 곤란하여, 보다 박형화가 요구되는 최근의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막화가 용이하고, 뉴트럴한 색상성이 우수한 편광막, 상기 편광막을 포함하는 편광자 및 그 제조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However, a polarizing film made of iodine-dyed PVA tends to have a yellow color, and has a problem that the so-called neutral color is inferior. In addition, since a polarizing film made of iodine-dyed PVA is difficult to thin, there has been a limitation in applying it to a recent display device that requires a thinner thickness. Then,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s providing the polarizing film which is easy to thin-film and excellent in neutral color property, the polarizer containing the said polarizing film, its manufacturing method, etc.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inventions.

[1]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 형성되는 중합체와, 상기 중합체 중에 분산시켜 광흡수를 측정한 경우에, 파장 380∼55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적어도 1종의 이색성 색소(1)와, 파장 550∼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적어도 2종의 이색성 색소(2)를 포함하는 편광막. [1] a polymer formed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t least one dichroic dye (1)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in a range of 380 to 550 nm in the case where light absorption is measured by dispersing in the polymer; The polarizing film containing at least 2 types of dichroic dyes (2) which have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wavelength 550-700 nm.

[2] 상기 이색성 색소(1)가,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 형성되는 중합체 중에 분산시켜 광흡수를 측정한 경우에, 파장 400∼55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1]에 기재한 편광막. [2] The polarization according to [1], in which the dichroic dye (1) is dispersed in a polymer formed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the light absorption is measured,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in a wavelength of 400 to 550 nm. membrane.

[3] 상기 중합체 중에 분산시켜 광흡수를 측정한 경우에, 파장 550∼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적어도 2종의 이색성 색소(2)가, [3] In the case where the light absorption is measured by dispersing in the polymer, at least two dichroic dyes (2)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wavelength range of 550 to 700 nm,

상기 중합체 중에 분산시켜 광흡수를 측정한 경우에, In the case where the light absorption is measured by dispersing in the polymer,

파장 550∼6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이색성 색소(2-1)와, Dichroic dye (2-1) which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550-600 nm of wavelengths,

파장 600∼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이색성 색소(2-2)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한 편광막. The polarizing film as described in [1] or [2] containing the dichroic dye (2-2) which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600-700 nm of wavelengths.

[4]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화합물인 [1]∼[3]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막. [4]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a compound showing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5]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브래그 피크가 얻어지는 [1]∼[4]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막. [5]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in which a Bragg peak is obtained in X-ray diffraction measurement.

[6]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색 좌표 a* 값 및 b* 값이 이하의 식 (1F) 및 식 (2F)의 관계를 만족하는 [1]∼[5]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막. [6] The color coordinates a * and b * values in the L * a * b * colorimetric system described in any of [1] to [5],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lowing formulas (1F) and (2F) is satisfied: One polarizing film.

-3≤색도 a*≤3 (1F)-3≤ chromaticity a * ≤3 (1F)

-3≤색도 b*≤3 (2F)-3≤ chroma b * ≤3 (2F)

[7] 이색성 색소(1) 및 이색성 색소(2)가 아조 화합물인 [1]∼[6]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막. [7]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dichroic dye (1) and the dichroic dye (2) are azo compounds.

[8] 이색성 색소(2)가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1]∼[7]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막. [8]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wherein the dichroic dye (2) is made of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식 (2)에서, n은 1 또는 2이다. [In formula (2), n is 1 or 2.

Ar1 및 A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식 (AR-1)∼식 (AR-4) 중 어느 것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Ar 1 and Ar 3 are each independently a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formulas (AR-1) to (AR-4).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Ar2는 식 (AR2-1), 식 (AR2-2) 또는 식 (AR2-3)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Ar 2 is a group represented by formula (AR2-1), formula (AR2-2) or formula (AR2-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식 (A-1)∼식 (A-9) 중 어느 것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는 결합수(結合手)를 나타낸다. A 1 and A 2 are each independently a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formulas (A-1) to (A-9), and * represents a bonding number.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mc는 0∼10의 정수이며, 동일한 기 중에 mc가 2개 있는 경우, 이 2개의 mc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다.)](mc is an integer of 0-10, and when two mcs are in the same group, these two mcs are the same or different.)

[9] 이색성 색소(1)가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1]∼[8]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막. [9]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wherein the dichroic dye (1) is made of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식 (1)에서, Y는 식 (Y1) 또는 식 (Y2)로 표시되는 기이다. [In Formula (1), Y is group represented by Formula (Y1) or Formula (Y2).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식에서, L은 산소 원자 또는 -NR-이며, R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Wherein L is an oxygen atom or -NR- and R i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R1은 식 (R1-1)∼식 (R1-3) 중 어느 것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R 1 is a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formulas (R 1 -1) to (R 1 -3).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식에서, ma는 0∼10의 정수이며, 동일한 기 중에 ma가 2개 있는 경우, 이 2개의 ma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다. *는 결합수를 나타낸다.) (In formula, ma is an integer of 0-10, and when there are two ma in the same group, these two ma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 Represents a bond number.)

R2는 식 (R2-1)∼식 (R2-6) 중 어느 것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R 2 is a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formulas (R 2 -1) to (R 2 -6).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식에서, mb는 0∼10의 정수이다.)](Wherein mb is an integer of 0 to 10).]

[10] 투명 기재 상에, [1]∼[9]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막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편광자. [10] A polarizer formed by forming a polarizing film as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9] on a transparent substrate.

[11] [10]에 기재한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11]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er according to [10],

투명 기재 상에 배향막을 구비한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Preparing a laminate having an alignment film on a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적층체의 상기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 형성되는 중합체 중에 분산시켜 광흡수를 측정한 경우에, 파장 380∼55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이색성 색소(1) 1종과, 파장 550∼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이색성 색소(2) 2종과, 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과, Dichroic dye which has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wavelength 380-550 nm when disperse | distributing in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the polymer formed from the said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on the said oriented film of the said laminated body, and measuring light absorption. (1) 1 type, the process of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containing 2 types of dichroic dyes (2) which have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550-700 nm, and a solvent,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키는 공정을 갖는 제조 방법. The manufacturing method which has a process of superposing | polymerizing the said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e said composition.

[12] 투명 기재가 플라스틱 기재이며, 또한 상기 배향막이 광배향막인 [11]에 기재한 제조 방법. [12]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11], wherei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a plastic substrate and the alignment film is a photoalignment film.

[13] [1]∼[9]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막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13]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ing film as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9].

[14] [1]∼[9]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막과 λ/4층을 가지며, 이하의 (A1) 및 (A2)의 요건을 만족하는 원편광판. [14] A circular polarizing plate having the polarizing film as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9] and a λ / 4 layer, which satisfies the following requirements (A1) and (A2).

(A1) 상기 편광막의 흡수축과 상기 λ/4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45°일 것; (A1) the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low axis of the λ / 4 layer is approximately 45 °;

(A2) 파장 550 nm의 광에서 측정한 상기 λ/4층의 정면 리타데이션의 값이 100∼150 nm의 범위일 것(A2) The value of the front retardation of the [lambda] / 4 layer measured in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50 nm is in the range of 100 to 150 nm.

[15] [14]에 기재한 원편광판과 유기 EL 소자를 구비한 유기 EL 표시 장치. [15]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described in [14] and an organic EL element.

본 발명에 따르면, 박막화가 용이하고, 뉴트럴한 색상성이 우수한 편광막, 상기 편광막을 포함하는 편광자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ing film which is easy to thin and excellent in neutral color and a polarizer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도 1은 본 발명의 편광막을 포함하는 편광자(본 편광자)의 연속적 제조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2는 광배향막의 배향 방향 D2와 필름의 반송 방향 D1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편광막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본 편광자의 층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본 편광자의 층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편광막을 이용한 EL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편광막을 포함하는 본 편광자의 실시양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편광막을 포함하는 원편광판(본 원편광판)의 연속적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6의 EL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본 원편광판의 층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편광막을 이용한 EL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편광막을 이용한 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this polarizer) containing the polarizing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of the orientation direction D2 of a photo-alignment film, and the conveyance direction D1 of a film.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polarizing film of this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layer order of the present polarizer us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FIG. 3.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layer order of this polarizer used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 EL display device using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embodiment of this polarizer containing the polarizing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ircularly-polarizing plate (this circularly polarizing plate) containing the polarizing film of this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layer order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used in the EL display device of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 EL display device using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편광막(이하, 경우에 따라 「본 편광막」이라고 함)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 형성되는 중합체와, 특정한 3종 이상의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편광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상기 3종 이상의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이하, 경우에 따라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이라고 함)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관해서 설명한다. The polarizing film (henceforth called "this polarizing film" of this invention) of this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polymer formed from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and specific 3 or more types of dichroic dyes. It is preferable that this polarizing film is formed from the composition (The "polarizing film formation composition" is what follows) containing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and the said 3 or more types of dichroic dye. First,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demonstrated.

1.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1.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본 발명의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한 것과 같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특정한 3종 이상의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고, 용제를 더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본 편광막은 박막화가 용이하다. 우선은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구성 성분의 각각에 관해서 설명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of this invention contains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and specific 3 or more types of dichroic dyes as mentioned above, and also contains a solvent further. The present polarizing film formed from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film is easily thinned. First, each of the structura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demonstrated.

1-1. 이색성 색소1-1. Dichroic pigment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이색성 색소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 형성된 중합체에 분산시켜 광흡수를 측정한 경우에, 파장 380∼55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적어도 1종의 이색성 색소(1)와, 같은 측정에 있어서 파장 550∼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적어도 2종의 이색성 색소(2)를 포함한다. When the dichroic dy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disperse | distributed to the polymer formed from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and light absorption is measured, at least 1 type of dichroic dye which has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wavelength 380-550 nm. In the same measurement as (1), at least 2 dichroic dyes (2) which have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wavelength 550-700 nm are included.

1-1-1. 이색성 색소(1)1-1-1. Dichroic Dye (1)

이색성 색소(1)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 형성된 중합체에 분산시켜 광흡수를 측정한 경우에 파장 380∼55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다. 한편, 이 측정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의 이색성 색소를, 흡수 극대를 측정하고자 하는 이색성 색소로 대체한 극대 흡수 측정용의 조성물을 조제하고, 후술하는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로 본 편광막을 형성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흡수 극대 측정용 막을 형성하여, 이 흡수 극대 측정용 막의 광흡수를 측정하면 된다. 상기 흡수 극대 측정의 구체적인 방법은 본원 실시예에 기재하는 방법과 같다. The dichroic dye (1)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380 to 550 nm when the light absorption is measured by dispersing it in a polymer formed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On the other hand, this measurement prepares the composition for maximum absorption measurement which replaced the dichroic dye of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n this invention with the dichroic dye which wants to measure an absorption maximum, and uses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mentioned lat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form the absorption maximum measurement film | membrane by the method similar to the method of forming this polarizing film with a composition, and to measure the light absorption of this absorption maximum measurement film | membrane. The specific method of the said absorption maximum measurement is the same as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 of this application.

이색성 색소(1)로서는 예컨대 아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경우에 따라 「화합물(1)」이라고 함)을 들 수 있다. As a dichroic dye (1), an azo compound is mentioned, for example. Preferably, the compound (henceforth called "compound (1)") represented by said formula (1) is mentioned.

화합물(1)의 아조벤젠 부위의 기하 이성은 트랜스가 바람직하다. The geometric isomer of the azobenzene moiety of the compound (1) is preferably trans.

식 (1)에 있어서의 Y는 상기한 식 (Y1) 또는 식 (Y2)로 표시되는 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식 (Y1)로 표시되는 기이다. 식 (Y1) 및 식 (Y2)에 있어서, 양끝의 직선은 결합수를 나타내며, 좌측의 결합수는 아조기를 갖는 페닐렌기와 결합하고 있고, 우측의 결합수는 R2를 갖는 페닐렌기와 결합하고 있다. L은 산소 원자 또는 -NR-이며, R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상기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및 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L은 산소 원자 또는 -NH-이면 바람직하고, 산소 원자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Y in Formula (1) is group represented by said Formula (Y1) or Formula (Y2), Preferably it is group represented by Formula (Y1). In formulas (Y1) and (Y2), the straight lines at both ends represent a bond number, the bond number on the left is bonded to the phenylene group having an azo group, and the bond number on the right is bonded to the phenylene group having R 2 . have. L is an oxygen atom or -NR-, and R i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As said alkyl group,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n-propyl group, isopropyl group, n-butyl group, isobutyl group, t-butyl group, etc. are mentioned. Especially, if L is an oxygen atom or -NH-, it is preferable, and if it is an oxygen atom, it is more preferable.

R1은 상기한 식 (R1-1), 식 (R1-2) 또는 식 (R1-3)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식 (R1-2) 및 식 (R1-3)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식 (R1-2)로 표시되는 기에 있어서의 2개의 ma는 각각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지만, 동일하면 바람직하다. ma는 0∼5의 정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R 1 is a group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R 1 -1), formula (R 1-2 ) or formula (R 1-3 ), preferably formula (R 1-2 ) and formula (R 1- ) Is represented by 3). Two ma in the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R 1-2 )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respectively, but are preferably the same. ma is more preferable if it is an integer of 0-5.

R2는 식 (R2-1), 식 (R2-2), 식 (R2-3), 식 (R2-4), 식 (R2-5) 또는 식 (R2-6)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식 (R2-2), 식 (R2-5) 또는 식 (R2-6)으로 표시되는 기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식 (R2-6)으로 표시되는 기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R2가 식 (R2-1), 식 (R2-2), 식 (R2-3), 식 (R2-5) 또는 식 (R2-6)으로 표시되는 기인 경우, 상기 기에 포함되는 mb는 0∼10의 정수이면 바람직하고, 0∼5의 정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R 2 is a formula (R 2 -1), formula (R 2 -2), formula (R 2 -3), formula (R 2 -4), formula (R 2 -5) or a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R 2 -6) a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R 2 -2), formula (R 2 -5) or a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is a group represented by (R 2 -6), and more preferably, is a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R 2 -6) More preferred. When R 2 is a group represented by formula (R 2 -1), formula (R 2 -2), formula (R 2 -3), formula (R 2 -5) or formula (R 2 -6), Mb contained is preferable in it being an integer of 0-10, and more preferable in it being an integer of 0-5.

바람직한 화합물(1)로서는 이하의 식 (1-1)∼식 (1-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As a preferable compound (1), the compound etc. which are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1-1)-formula (1-8) are mentioned.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그 중에서도 식 (1-1), 식 (1-2), 식 (1-3), 식 (1-5), 식 (1-7) 및 식 (1-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식 (1-1), 식 (1-2), 식 (1-3) 및 식 (1-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Especially,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1), Formula (1-2), Formula (1-3), Formula (1-5), Formula (1-7), and Formula (1-8) is preferable, ,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formulas (1-1), (1-2), (1-3) and (1-7) are particularly preferable.

이색성 색소(1)는 상기 측정에 의해 광흡수를 구했을 때, 파장 380∼55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것으로, 파장 400∼55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가지면 바람직하고, 파장 400∼52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가지면 보다 바람직하고, 파장 430∼52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가지면 더욱 바람직하고, 파장 440∼51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가지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것이라면, 이색성 색소(1)로서 복수 종의 화합물(1)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dichroic dye (1)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wavelength 380 to 550 nm when light absorption is obtained by the above measurement, and preferably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wavelength 400 to 550 nm, and preferably has a wavelength of 400 to 520. It is more preferable to have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nm, it is more preferable to have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wavelength 430-520 nm,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have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wavelength 440-510 nm. As long as it has absorption maximum in the said range, multiple types of compound (1) can also be used as a dichroic dye (1).

여기서, 화합물(1)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화합물(1)은 예컨대 식 (1X)으로 표시되는 화합물[화합물(1X)]과, 식 (1Y)으로 표시되는 화합물[화합물(1Y)]로 하기의 도식으로 나타내는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Her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und (1) is demonstrated. Compound (1)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a reaction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cheme with a compound [compound (1X)] represented by formula (1X) and a compound [compound (1Y)] represented by formula (1Y).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상기 도식에 있어서, R1, R2 및 Y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이며, Re1 및 Re2는 서로 반응하여 Y로 표시되는 기가 되는 기이다. Re1 및 Re2의 조합으로서는 예컨대 카르복시기 및 수산기의 조합, 카르복시기 및 아미노기(이러한 아미노기는 R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음)의 조합, 카르보닐할라이드기 및 수산기의 조합, 카르보닐할라이드기 및 아미노기(이러한 아미노기는 R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음)의 조합, 카르보닐옥시알킬기 및 수산기의 조합, 카르보닐옥시알킬기 및 아미노기(이러한 아미노기는 R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음)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R1을 갖는 화합물(1X) 및 R2를 갖는 화합물(1Y)로 설명하지만, R1을 적당한 보호기로 보호한 화합물이나 R2를 적당한 보호기로 보호한 화합물이 서로 반응하고, 그 후, 적당한 탈보호 반응을 행함으로써 화합물(1)을 제조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scheme, R 1 , R 2, and Y have the same meanings as above, and Re 1 and Re 2 react with each other to be a group represented by Y. Examples of the combination of Re 1 and Re 2 include a combination of a carboxyl group and a hydroxyl group, a combination of a carboxyl group and an amino group (the amino group may be substituted with R), a combination of a carbonyl halide group and a hydroxyl group, a carbonyl halide group and an amino group (such an amino group And a combination of a carbonyloxyalkyl group and a hydroxyl group, a combination of a carbonyloxyalkyl group and an amino group (the amino group may be substituted with R), and the like. In addition, although the compound (1X) which has R <1> and the compound (1Y) which have R <2> are demonstrated here, the compound which protected R <1> with the suitable protecting group and the compound which protected R <2> with the appropriate protecting group react with each other, Then, compound (1) can also be manufactured by performing a suitable deprotection reaction.

화합물(1X) 및 화합물(1Y)을 반응시킬 때의 반응 조건은 이용하는 화합물(1X) 및 화합물(1Y)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최적의 공지된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Reaction conditions at the time of reacting compound (1X) and compound (1Y) can select an optimal well-known condition suitably according to the kind of compound (1X) and compound (1Y) to be used.

예컨대, Re1이 카르복시기이며, Re2가 수산기이고, Y가 -C(=O)-O-인 경우의 반응 조건으로서는 예컨대 용매 중에 에스테르화 축합제의 존재 하에서 축합하는 조건을 들 수 있다. 용매로서는 클로로포름 등의 화합물(1X) 및 화합물(1Y) 모두에 가용(可溶)인 용매를 들 수 있다. 에스테르화 축합제로서는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IPC)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는, 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등의 염기를 더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화합물(1X) 및 화합물(1Y)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되는데, 예컨대 -15∼70℃의 범위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40℃의 범위이다. 반응 시간은 예컨대 15분∼48시간의 범위를 들 수 있다. For example, a Re 1 is carboxyl group, and Re 2 is a hydroxyl group, Y is the number of the example, as the solvent -C (= O) -O- reaction conditions in the case of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condensation in the presence of an esterifying condensation agent. As a solvent, the solvent soluble in both compound (1X) and compound (1Y), such as chloroform, is mentioned. Diisopropyl carbodiimide (IPC) etc. are mentioned as esterification condensing agent. Here, it is preferable to use together bases, such as dimethylaminopyridine (DMAP) further. Although reaction temperatur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kind of compound (1X) and compound (1Y), For example, the range of -15-70 degreeC is mentioned,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0-40 degreeC. The reaction time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5 minutes to 48 hours.

반응 시간은 반응 도중의 반응 혼합물을 적절하게 샘플링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공지된 분석 수단에 의해 화합물(1X) 및 화합물(1Y)의 소실 정도나 화합물(1)의 생성 정도를 확인하여 정할 수도 있다.The reaction time is appropriately sampled the reaction mixture during the reaction, and the degree of disappearance of the compound (1X) and the compound (1Y) or the degree of formation of the compound (1) by known analytical means such as liquid chromatography or gas chromatography. You can also check and decide.

반응 후의 반응 혼합물로부터 재결정, 재침전, 추출 및 각종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혹은 이들 조작을 조합함으로써 화합물(1)을 추출할 수 있다. Compound (1) can be extracted from the reaction mixture after the reaction by a known method such as recrystallization, reprecipitation, extraction and various chromatography, or by combining these operations.

1-1-2. 이색성 색소(2)1-1-2. Dichroic dye (2)

이색성 색소(2)는 상기 측정을 실시했을 때 파장 550∼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다. 흡수 극대의 측정 방법은 이색성 색소(1)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The dichroic dye 2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550-700 nm in wavelength when the said measurement is performed. The measuring method of absorption maximum is the same as that of the dichroic dye (1).

이색성 색소(2)는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 중에 2종 이상이 포함되는 것인데, 그 중에서도 파장 550∼6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이색성 색소(2-1)와, 파장 600∼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이색성 색소(2-2)를 포함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색성 색소(2-1)는 파장 570∼6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가지면 보다 바람직하고, 이색성 색소(2-2)는 파장 600∼68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가지면 더욱 바람직하다. The dichroic dye (2) includes two or more kinds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film, and among them, the dichroic dye (2-1)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550 to 600 nm, and a wavelength of 600 to 700 nm. It is more preferable to include the dichroic dye (2-2) which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Here, the dichroic dye (2-1) is more preferable if it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570-600 nm, and dichroic dye (2-2) is more preferable if it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600-680 nm. Do.

이색성 색소(2)로서는 예컨대 아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색성 색소(2)는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경우에 따라 「화합물(2)」이라고 함)이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dichroic dyes (2) include azo compounds. It is preferable that the dichroic dye (2)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ound (2)" in some cases).

화합물(2)의 아조벤젠 부위의 기하 이성은 트랜스가 바람직하다. The geometric isomer of the azobenzene moiety of the compound (2) is preferably trans.

화합물(2)의 각 기의 조합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2)이 상기 측정에서 파장 550∼6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도록 Ar1, Ar2 및 Ar3을 조합함으로써 이색성 색소(2-1)로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2)이 정해진다. 구체적인 이색성 색소(2-1)로서는 표 1에 각 기의 조합으로 나타내는 화합물(2)을 들 수 있다. 표 1에 각 기의 조합을 나타내는 화합물(2-1)은 식 (2)에 있어서의 n이 1인 경우를 나타낸다. 한편, 표 1에 있어서, 예컨대 식 (AR-1)로 표시되는 기 등은 「(AR-1)」 등으로 표기한다. In the combination of each group of the compound (2), the dichroic dye (2- by combining Ar 1 , Ar 2 and Ar 3 such that the compound (2)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550 to 600 nm in the measurement. The compound (2) which can be used as 1) is determined. As a specific dichroic dye (2-1), the compound (2) shown by the combination of each group in Table 1 is mentioned. The compound (2-1) which shows the combination of each group in Table 1 shows the case where n in Formula (2) is 1. In Table 1, for example, groups represented by the formula (AR-1) and the like are represented by "(AR-1)" or the like.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이어서, 화합물(2)의 각 기의 조합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2)이 상기 측정에서 파장 600∼700 nm의 범위에 흡수를 갖도록 Ar1, Ar2 및 Ar3을 조합함으로써 이색성 색소(2-2)로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2)이 정해진다. 구체적인 이색성 색소(2-2)로서는 표 2에 각 기의 조합으로 나타내는 화합물(2)을 들 수 있다. 표 2에 각 기의 조합을 나타내는 화합물(2-2)은 식 (2)에 있어서의 n이 1인 경우를 나타낸다. 한편, 표 2에서의 기의 표기는 표 1의 경우와 동일하다. Subsequently, in the combination of each group of the compound (2), the dichroic dye (2) by combining Ar 1 , Ar 2 and Ar 3 such that the compound (2) has absorption in the range of 600 to 700 nm in the measurement. Compound (2) which can be used as -2) is determined. As a specific dichroic dye (2-2), the compound (2) shown by the combination of each group in Table 2 is mentioned. The compound (2-2) which shows the combination of each group in Table 2 shows the case where n in Formula (2) is 1. In addition, notation of group in Table 2 is the same as that of Table 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여기서, 화합물(2)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식 (2-11)∼식 (2-39)으로 각각 나타내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Here, when compound (2) is shown concretely, the compound etc. which are respectively represented by Formula (2-11)-Formula (2-39) are mentioned.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7

여기에 예로 든 화합물(2)의 구체예 중에서, 이색성 색소(2-1)로서는 식 (2-12), 식 (2-13), 식 (2-18), 식 (2-20), 식 (2-21), 식 (2-22), 식 (2-23), 식 (2-24), 식 (2-26), 식 (2-27), 식 (2-28), 식 (2-29) 및 식 (2-30)으로 각각 표시되는 것이 해당하고, 이색성 색소(2-2)로서는 식 (2-31), 식 (2-32), 식 (2-33), 식 (2-34), 식 (2-35) 및 식 (2-36)으로 각각 표시되는 것이 해당한다. 한편, 식 (2-11), 식 (2-15) 및 식 (2-16)으로 각각 표시되는 것은 파장 550∼700 nm에 흡수를 나타내는 색소는 아니지만, 보충적으로 식 (1)의 색소와 병용할 수 있다. 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compound (2) mentioned here, as a dichroic dye (2-1), it is Formula (2-12), Formula (2-13), Formula (2-18), Formula (2-20), Expression (2-21), Expression (2-22), Expression (2-23), Expression (2-24), Expression (2-26), Expression (2-27), Expression (2-28), Expression What is represented by (2-29) and Formula (2-30), respectively, corresponds to a dichroic dye (2-2), Formula (2-31), Formula (2-32), Formula (2-33), The thing represented by Formula (2-34), Formula (2-35), and Formula (2-36) respectively corresponds. In addition, what is respectively represented by Formula (2-11), Formula (2-15), and Formula (2-16) is not a pigment | dye which shows absorption in wavelength 550-700 nm, but complementarily uses it together with the pigment | dye of Formula (1). can do.

화합물(2)의 구체예 중에서도,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이색성 색소(2)로서는 식 (2-15), 식 (2-16), 식 (2-18), 식 (2-20), 식 (2-21), 식 (2-22), 식 (2-23), 식 (2-27), 식 (2-29), 식 (2-31), 식 (2-32), 식 (2-33), 식 (2-34) 및 식 (2-35)으로 각각 표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중, 이색성 색소(2)를 화합물(2)의 구체예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나타내면, 혼합 비율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표 3에 나타내는 것과 같다. 이 표 3에 있어서, 예컨대 식 (2-11)로 표시되는 화합물(2)은 「(2-11)」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Among the specific examples of the compound (2), examples of the dichroic dye (2)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film include Formula (2-15), Formula (2-16), Formula (2-18), and Formula (2-20). ), Formula (2-21), formula (2-22), formula (2-23), formula (2-27), formula (2-29), formula (2-31), formula (2-32) More preferably, it is represented by Formula (2-33), Formula (2-34), and Formula (2-35), respectively. Among these, when dichroic dye (2) is represented by 2 or more types of combinations chosen from the specific example of a compound (2), although it changes with a mixing ratio, it is as showing in Table 3, for example. In this Table 3, the compound (2) represented, for example by Formula (2-11) shall be represented by "(2-11)".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8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1)의 함유량은 후술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량으로 나타내며, 5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부 이상 5 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Content of the dichroic dye (1)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represented by content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mentioned later, 50 mass parts or less are preferable, and 0.1 mass part or more and 10 mass parts or less are more preferable. Preferably, 0.1 mass part or more and 5 mass parts or less are more preferable.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2)의 함유량은 후술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량으로 나타내며, 1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질량부 이상 5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부 이상 3 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Content of the dichroic dye (2)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represented by content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mentioned later, 10 mass parts or less are preferable, and 0.1 mass part or more and 5 mass parts or less are more. Preferably, 0.1 mass part or more and 3 mass parts or less are more preferable.

또한,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1) 및 이색성 색소(2)의 합계 함유량은 후술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량으로 나타내며, 3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Moreover, the total content of the dichroic dye (1) and the dichroic dye (2)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represented by content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s mentioned later, 30 mass parts or less are preferable, 0.1 mass part or more and 20 mass parts or less are more preferable, and 1 mass part or more and 15 mass parts or less are further more preferable.

이색성 색소 각각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라면,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가 용제에 대하여 충분한 용해성을 보이기 때문에, 상기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 편광막을 제조했을 때, 결함의 발생이 없는 본 편광막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은 이색성 색소(1) 1종 이상과 이색성 색소(2)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는데, 상기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은 이색성 색소(1)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이색성 색소(2) 3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색성 색소(1)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 이색성 색소(1)의 함유량은 2종 이상의 이색성 색소(1)의 합계량으로 하고, 이색성 색소(2) 3종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 이색성 색소(2)의 함유량은 3종 이상의 이색성 색소(2)의 합계량으로 한다. When content of each dichroic dye exists in the said range, since the dichroic dye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shows sufficient solubility with respect to a solvent, when this polarizing film was manufactured using the said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t is a defect. The present polarizing film without generation of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should contain 1 or more types of dichroic dyes (1) and 2 or more types of dichroic dyes (2), the said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a dichroic dye (1). (2) Even if it contains 2 or more types, you may contain 3 or more types of dichroic dyes (2). When it contains 2 or more types of dichroic dyes (1), content of the dichroic dye (1) is made into the total amount of 2 or more types of dichroic dyes (1), and contains 3 or more types of dichroic dyes (2). , Content of dichroic dye (2) is taken as the total amount of 3 or more types of dichroic dyes (2).

이색성 색소(2)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소58-38756호 공보, 동 소63-301850호 공보, 동 소58-104984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된다. The dichroic dye (2) is produced by the known method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8-3875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3-301850,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8-104984, and the like.

이어서,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 이외의 구성 성분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structural components other than the dichroic dye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are demonstrated.

1-2. 중합성 액정 화합물1-2.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배향한 채로 중합할 수 있는 액정 화합물이며, 분자 내에 중합성기를 갖는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킨 상태에서 중합함으로써 본 편광막을 형성한다. 중합성기는 라디칼 중합성기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기란, 라디칼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를 의미한다.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is a liquid crystal compound which can superpose | polymerize with orientation, and has a polymeric group in a molecule | numerator.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containing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forms this polarizing film by superposing | polymerizing in the state which orientated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if it is a radically polymerizable group. A radically polymerizable group means group which participates in a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본 발명의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네마틱상의 액정상(이하, 경우에 따라 「네마틱 액정상」이라고 함)을 나타내는 것이라도, 스멕틱상의 액정상(이하, 경우에 따라 「스멕틱 액정상」이라고 함)을 나타내는 것이라도, 네마틱 액정상 및 스멕틱 액정상 양쪽을 나타내는 것이라도 좋지만, 적어도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스멕틱 액정 화합물이면 바람직하다. 중합성 스멕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은 이색성 색소(1) 및 이색성 색소(2)의 상호 작용에 의해, 뉴트럴한 색상성이 매우 양호하며 보다 편광 성능이 우수한 본 편광막을 얻을 수 있다. Although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of this invention shows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henceforth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henceforth, Although it may show the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in some cases, and may show both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and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it is preferable if it is a polymeric smectic liquid crystal compound which shows at least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film containing a polymerizable smectic liquid crystal compound is a polarizing film having a very good neutral colorability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ichroic dye (1) and the dichroic dye (2) and having excellent polarization performance. You can get it.

중합성 스멕틱 액정 화합물이 나타내는 스멕틱 액정상으로서는 고차 스멕틱 액정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고차 스멕틱 액정상이란, 스멕틱 B상, 스멕틱 D상, 스멕틱 E상, 스멕틱 F상, 스멕틱 G상, 스멕틱 H상, 스멕틱 I상, 스멕틱 J상, 스멕틱 K상 및 스멕틱 L상이며, 그 중에서도 스멕틱 B상, 스멕틱 F상 및 스멕틱 I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As the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represented by the polymerizable smectic liquid crystal compound, a higher order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is more preferable. The higher order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here is smectic b phase, smectic d phase, smectic e phase, smectic f phase, smectic g phase, smectic h phase, smectic i phase, smectic j phase, smect Mechtic K phase and Smectic L phase, Among them, Smectic B phase, Smectic F phase and Smectic I phase are more preferable.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나타내는 스멕틱 액정상이 이들 고차 스멕틱 액정상이면, 배향 질서도가 보다 높은 본 편광막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배향 질서도가 높은 고차 스멕틱 액정상으로 제작한 본 편광막은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헥사틱상이나 크리스탈상과 같은 고차 구조 유래의 브래그 피크가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브래그 피크란, 분자 배향의 면 주기 구조에 유래하는 피크이며, 본 발명의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따르면, 주기 간격이 3.0∼5.0Å인 본 편광막을 얻을 수 있다. If the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represented by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these higher order smectic liquid crystal phases, this polarizing film with a higher degree of orientation order can be manufactured. In addition, this polarizing film produced by the high order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with a high degree of orientation order obtains Bragg peak derived from higher order structures, such as a hexatic phase and a crystal phase, in X-ray diffraction measurement. The said Bragg peak is a peak derived from the surface periodic structure of molecular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of this invention, this polarizing film whose period interval is 3.0-5.0 microseconds can be obtained.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네마틱 액정상이나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지 여부는 예컨대 하기와 같이 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적당한 기재를 준비하고, 상기 기재에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한 후,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되지 않는 조건으로 가열 처리 또는 감압 처리를 함으로써 도포막에 함유되는 용제를 제거한다. 이어서, 기재 상에 형성된 도포막을 등방상 온도까지 가열하고, 서서히 냉각함으로써 발현되는 액정상을 편광 현미경에 의한 텍스쳐 관찰, X선 회절 측정 또는 시차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검사한다. 이 검사에 있어서, 예컨대 냉각함으로써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내고, 더 냉각함으로써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네마틱 액정상 및 스멕틱 액정상에 있어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이색성 색소가 상 분리되지 않은 것은 예컨대 각종 현미경에 의한 표면 관찰이나 헤이즈미터에 의한 산란도 측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Whether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shows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or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can be confirmed as follows, for example. After preparing a suitable base material,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to the said base material, and forming a coating film, the solvent contained in a coating film is removed by heat-processing or depressurizing on condition that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does not superpose | polymerize. Next, the liquid crystal phase expressed by heating the coating film formed on the base material to isotropic temperature and gradually cooling is examined by texture observation by a polarizing microscope, X-ray diffraction measurement, or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In this test | inspection,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which shows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by cooling, for example, and shows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by further cooling is especially preferable. In the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and the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the fact that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the dichroic dye are not phase separated can be confirmed by, for example, surface observation by various microscopes and scattering measurement by haze meter.

이하,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이용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 바람직한 것의 구체예를 든다. Hereinafter, the specific example of a thing preferable as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used for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given.

바람직한 중합성 액정 조성물로서는 예컨대 식 (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경우에 따라 「화합물(4)」이라고 함)을 들 수 있다. As a preferabl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sition, the compound (henceforth called "compound (4)") is represented, for example by Formula (4).

U1-V1-W1-X1-Y1-X2-Y2-X3-W2-V2-U2 (4)UOne-VOne-WOne-XOne-YOne-X2-Y2-X3-W2-V2-U2 (4)

[식 (4)에서, X1, X2 및 X3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1,4-페닐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시클로헥산-1,4-디일기를 나타낸다.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하나는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1,4-페닐렌기이다.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시클로헥산-1,4-디일기를 구성하는 -CH2-는 -O-, -S- 또는 -NR-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다. R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In formula (4), X <1> , X <2> and X <3> represent the cyclohexane- 1, 4- diyl group which may have a 1 , 4- phenylene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a substituent. Provided that at least one of X 1 , X 2 and X 3 is a 1,4-phenylene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CH 2 -constituting a cyclohexane-1,4-di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may be substituted with -O-, -S-, or -NR-. R is a C1-C6 alkyl group or a phenyl group.

Y1 및 Y2는 서로 독립적으로 -CH2CH2-, -CH2O-, -COO-, -OCOO-, 단결합, -N=N-, -CRa=CRb-, -C≡C- 또는 -CRa=N-을 나타낸다. Ra 및 Rb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Y 1 and Y 2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are -CH 2 CH 2- , -CH 2 O-, -COO-, -OCOO-, single bond, -N = N-, -CR a = CR b- , -C≡ C- or -CR a = N-. R a and R b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U1은 수소 원자 또는 중합성기를 나타낸다. U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polymerizable group.

U2는 중합성기를 나타낸다. U 2 represents a polymerizable group.

W1 및 W2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O-, -S-, -COO- 또는 -OCOO-을 나타낸다. W 1 and W 2 independently represent a single bond, -O-, -S-, -COO- or -OCOO-.

V1 및 V2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탄소수 1∼20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칸디일기를 구성하는 -CH2-는 -O-, -S- 또는 -NH-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다.]V 1 and V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alkanedi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d -CH 2 -constituting the alkanediyl group is substituted with -O-, -S- or -NH-. It may be done.]

화합물(4)에 있어서, X1, X2 및 X3 중, 적어도 2개가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1,4-페닐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compound (4),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2 of X <1> , X <2> and X <3> may be a 1 , 4- phenylene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1,4-페닐렌기는 무치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시클로헥산-1,4-디일기는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트랜스-시클로헥산-1,4-디일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트랜스-시클로헥산-1,4-디일기는 무치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1, 4-phenylene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is unsubstituted. The cyclohexane-1,4-di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is preferably a trans-cyclohexane-1,4-di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d the trans-cyclohexane-1,4-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It is more preferable that a diyl group is unsubstituted.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1,4-페닐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시클로헥산-1,4-디일기가 임의로 갖는 치환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및 부틸기 등의 탄소수 1∼4의 알킬기;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As a substituent which the 1, 4- phenylene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or the cyclohexane-1, 4- di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optionally has a C1-C4 alkyl group, such as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nd a butyl group; Cyano; Halogen atom etc. are mentioned.

화합물(4)의 Y1은 -CH2CH2-, -COO- 또는 단결합이면 바람직하고, Y2는 -CH2CH2- 또는 -CH2O-이면 바람직하다. Y 1 of compound (4) is preferably -CH 2 CH 2- , -COO- or a single bond, and Y 2 is preferably -CH 2 CH 2 -or -CH 2 O-.

U2는 중합성기이다. U1은 수소 원자 또는 중합성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중합성기이다. U1 및 U2는 함께 중합성기이면 바람직하고, 함께 광중합성기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광중합성기란, 후술하는 광중합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서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광중합성기를 갖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보다 저온 조건 하에서 중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U 2 is a polymerizable group. U 1 is a hydrogen atom or a polymerizable group, preferably a polymerizable group. If U 1 and U 2 is a polymerizable group together is preferred, and more preferred is a photopolymerization group together. A photopolymerizable group means the group which can participate in a polymerization reaction by active radical, acid, etc.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d from the photoinitiator mentioned later.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having a photopolymerizable group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polymerize under lower temperature conditions.

화합물(4)에 있어서, U1 및 U2의 중합성기는 서로 다르더라도 좋지만, 동일한 종류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기로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In compound (4), although the polymerizable groups of U <1> and U <2> may mutually differ,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the same kind of group. Examples of the polymerizable group include vinyl group, vinyloxy group, 1-chlorovinyl group, isopropenyl group, 4-vinylphenyl group, acryloyloxy group, methacryloyloxy group, oxiranyl group and oxetanyl group. Especially, acryloyloxy group, methacryloyloxy group, vinyloxy group, oxiranyl group, and oxetanyl group are preferable, and acryloyloxy group is more preferable.

V1 및 V2가 나타내는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탄소수 1∼20의 알칸디일기에 있어서의 탄소수 1∼20의 알칸디일기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판-1,3-디일기, 부탄-1,3-디일기, 부탄-1,4-디일기, 펜탄-1,5-디일기, 헥산-1,6-디일기, 헵탄-1,7-디일기, 옥탄-1,8-디일기, 데칸-1,10-디일기, 테트라데칸-1,14-디일기 및 아이코산-1,20-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V1 및 V2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2의 알칸디일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2의 알칸디일기이다. As a C1-C20 alkanediyl group in the C1-C20 alkanedi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represented by V <1> and V <2>, it is a methylene group, an ethylene group, a propane-1, 3- diyl group, butane-1 , 3-diyl group, butane-1,4-diyl group, pentane-1,5-diyl group, hexane-1,6-diyl group, heptane-1,7-diyl group, octane-1,8-diyl group , Decane-1,10-diyl group, tetradecane-1,14-diyl group and icosane-1,20-diyl group. V 1 and V 2 are preferably alkanediyl groups having 2 to 12 carbon atoms, and more preferably alkanediyl groups having 6 to 12 carbon atoms.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탄소수 1∼20의 알칸디일기가 임의로 갖는 치환기로서는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 알칸디일기는 무치환인 것이 바람직하고, 무치환 또한 직쇄상의 알칸디일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substituent optionally having an optionally substituted alkanedi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clude a cyano group and a halogen atom. The alkanediyl group is preferably unsubstituted and unsubstituted or linear alkanediyl group. It is more preferable.

W1 및 W2는 서로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단결합 또는 -O-이다. W 1 and W 2 a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preferably a single bond or -O-.

화합물(4)로서는 식 (4-1)∼식 (4-4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4)의 구체예가 시클로헥산-1,4-디일기를 갖는 경우, 이러한 시클로헥산-1,4-디일기는 트랜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As compound (4), the compound etc. which are represented by Formula (4-1)-formula (4-43) are mentioned. When the specific example of such compound (4) has cyclohexane-1, 4-diyl group, it is preferable that such cyclohexane-1, 4-diyl group is a trans body.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2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는 경우, 적어도 1종이 화합물(4)이면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2종 혼합하는 경우의 혼합비는 통상 1:99∼50:50이며, 바람직하게는 5:95∼50: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0∼50:50이다.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for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Moreover, when mixing 2 or more types,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1 type is compound (4). The mixing ratio in the case of mixing two types of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is 1: 99-50: 50 normally, Preferably it is 5: 95-50: 50, More preferably, it is 10: 90-50: 50.

예시한 화합물(4) 중에서도 식 (4-5), 식 (4-6), 식 (4-7), 식 (4-8), 식 (4-9), 식 (4-10), 식 (4-11), 식 (4-12), 식 (4-13), 식 (4-14), 식 (4-15), 식 (4-22), 식 (4-24), 식 (4-25), 식 (4-26), 식 (4-27), 식 (4-28) 및 식 (4-2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은 그 밖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상 전이 온도를 밑도는 온도 조건 하에서, 즉 고차의 스멕틱상의 액정 상태를 충분히 유지한 채로 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화합물은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의 온도 조건 하에서 고차의 스멕틱상의 액정 상태를 충분히 유지한 채로 중합할 수 있다. Among the exemplified compounds (4), formula (4-5), formula (4-6), formula (4-7), formula (4-8), formula (4-9), formula (4-10), formula (4-11), formula (4-12), formula (4-13), formula (4-14), formula (4-15), formula (4-22), formula (4-24), formula (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4-25), formula (4-26), formula (4-27), formula (4-28) and formula (4-29) are preferable. These compounds can be polymerized under the temperature conditions below the crystal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easily by interaction with other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i.e., while sufficiently maintaining a high-order smectic liquid crystal state. Specifically, these compounds can be polymerized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of 70 ° C. or lower, preferably 60 ° C. or lower while sufficiently maintaining a high degree of smectic liquid crystal state.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 비율은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에 대하여 50∼99.9 질량%가 바람직하고, 80∼99.9 질량%가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내라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형분이란,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서 용제 등의 휘발성 성분을 제외한 성분의 합계량을 말한다. 50-99.9 mass% is preferable with respect to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and, as for the content rate of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80-99.9 mass% is more preferable. When the content ratio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in the above range, the orientation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ends to be increased, which is preferable. Here, solid content means the total amount of components except volatile components, such as a solvent,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예컨대 Lub et al. Recl. Trav. Chim. Pays-Bas, 115, 321-328(1996) 또는 일본 특허 제4719156호 등에 기재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된다.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Lub et al. Recl. Trav. Chim. It is manufactured by the well-known method described in Pays-Bas, 115, 321-328 (1996) or Japanese Patent No. 4719156 etc.

1-3. 용제1-3. solvent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은 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로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완전히 용해할 수 있는 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에 불활성인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contains a solvent. As a solvent, the solvent which can melt | dissolve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dichroic dye completely is preferabl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solvent inactive for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용제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용제; 초산에틸, 초산부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 젖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2-헵타논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용제; 펜탄, 헥산 및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제;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 용제; 클로로포름 및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 함유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이용하더라도 좋고, 복수를 조합시켜 이용하더라도 좋다. As a solvent, Alcohol solvents, such as methanol, ethanol, ethylene glycol, isopropyl alcohol,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methyl ether, ethylene glycol butyl ether, and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ster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butyl acetate, 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γ-butyrolactone or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and ethyl lactate; Ketone solvent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cyclopentanone, cyclohexanone, 2-heptan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Aliph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pentane, hexane and heptane; Arom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toluene and xylene; Nitrile solvents such as acetonitrile; Ether solvents such as tetrahydrofuran and dimethoxyethane; Chlorine-containing solvents, such as chloroform and chlorobenzene, etc. are mentioned. 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a plurality thereof.

용제의 함유량은 상기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50∼98 질량%가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고형분은 2∼50 질량%가 바람직하다. 고형분이 2 질량% 이상이면,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인 박형의 본 편광막을 얻기 쉬운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형분이 50 질량% 이하라면,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지므로, 편광막의 두께가 대략 균일하게 됨으로써 상기 편광막에 얼룩이 생기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고형분은 편광막의 두께를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As for content of a solvent, 50-98 mass% is preferable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of the said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n other words, 2-50 mass% of solid content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preferable. If solid content is 2 mass% or more, it exists in the tendency to obtain the thin this polarizing film which is one of the objectives of this invention, and it is preferable. Moreover, since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becomes it low that the said solid content is 50 mass% or less, since the thickness of a polarizing film becomes substantially uniform, it exists in the tendency for a stain to hardly arise in the said polarizing film, and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such solid content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a polarizing film.

1-4. 그 밖의 첨가제1-4. Other additives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은 이색성 색소,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용제 이외의 첨가제를 임의로 포함한다.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n this invention arbitrarily contains additives other than a dichroic dye,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and a solvent.

1-4-1. 중합 반응 조제1-4-1. Polymerization reaction aid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은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중합개시제로서는 저온 조건 하에서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광중합개시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빛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 또는 산을 발생하는 화합물이 광중합개시제로서 이용된다. 상기 광중합개시제 중에서도 빛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을 발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contains a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 compound capable of initiat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photoinitiator is preferable at the point which can start a polymerization reaction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Specifically, a compound which generates an active radical or an acid by the action of light is used as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t is more preferable to generate active radicals by the action of light among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중합개시제로서는 예컨대 벤조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알킬페논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요오도늄염 및 술포늄염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in compounds, benzophenone compounds, alkylphenone compounds, acylphosphine oxide compounds, triazine compounds, iodonium salts and sulfonium salts.

벤조인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및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As a benzoin compound,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oin isobutyl ether,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벤조페논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벤조페논, o-벤조일안식향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및 2,4,6-트리메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benzophenone compounds include benzophenone, methyl o-benzoylbenzoate, 4-phenylbenzophenone, 4-benzoyl-4'-methyldiphenylsulfide, 3,3 ', 4,4'-tetra (tert-butylperoxycar Carbonyl) benzophenone, 2, 4, 6-trimethyl benzophenone, etc. are mentioned.

알킬페논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메틸-2-모르폴리노-1-(4-메틸티오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2-디페닐-2,2-디메톡시에탄-1-온, 2-히드록시-2-메틸-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1-온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alkylphenone compound include diethoxyacetophenone, 2-methyl-2-morpholino-1- (4-methylthiophenyl) propan-1-one, and 2-benzyl-2-dimethylamino-1- (4-morph Polynophenyl) butan-1-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1,2-diphenyl-2,2-dimethoxyethan-1-one, 2-hydride Hydroxy-2-methyl-1- [4- (2-hydroxyethoxy) phenyl] propan-1-one,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and 2-hydroxy-2-methyl-1- [4- And oligomers of (1-methylvinyl) phenyl] propan-1-one.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로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및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acylphosphine oxide compound include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e oxide, and the like.

트리아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및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triazine compound include 2,4-bis (trichloromethyl) -6- (4-methoxyphenyl) -1,3,5-triazine and 2,4-bis (trichloromethyl) -6- (4 -Methoxynaphthyl) -1,3,5-triazine, 2,4-bis (trichloromethyl) -6- (4-methoxystyryl) -1,3,5-triazine, 2,4 -Bis (trichloromethyl) -6- [2- (5-methylfuran-2-yl) ethenyl] -1,3,5-triazine, 2,4-bis (trichloromethyl) -6- [ 2- (furan-2-yl) ethenyl] -1,3,5-triazine, 2,4-bis (trichloromethyl) -6- [2- (4-diethylamino-2-methylphenyl) Tenyl] -1,3,5-triazine and 2,4-bis (trichloromethyl) -6- [2- (3,4-dimethoxyphenyl) ethenyl] -1,3,5-triazine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중합개시제는 시판되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시판되는 중합개시제로서는 "이르가큐어(Irgacure) 907", "이르가큐어 184", "이르가큐어 651", "이르가큐어 819", "이르가큐어 250", "이르가큐어 369"(치바재팬(주)); "세이쿠올 BZ", "세이쿠올 Z", "세이쿠올 BEE"(세이코가가쿠(주)); "카야큐어(kayacure) BP100"(닛폰가야쿠(주)); "카야큐어 UVI-6992"(다우사 제조); "아데카옵토마 SP-152", "아데카옵토마 SP-170"((주)ADEKA); "TAZ-A", "TAZ-PP"(니혼시이베르헤그나사); 및 "TAZ-104"(산와케미컬사) 등을 들 수 있다. A polymerization initiator can also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thing. Commercially available polymerization initiators include "Irgacure 907", "Irgacure 184", "Irgacure 651", "Irgacure 819", "Irgacure 250", "Irgacure 369" ( Chiba Japan Co., Ltd .; "Seiquiol BZ", "Seiquiol Z", "Seiquiol BEE" (Seiko Chemical Co., Ltd.); "Kayacure BP100" (Nippon Kayaku Co., Ltd.); "Kayakure UVI-6992" (manufactured by Dausa); "ADEKA OPTOMA SP-152", "ADEKA OPTOMA SP-170" (ADEKA Co., Ltd.); "TAZ-A", "TAZ-PP" (Nihon Siberhegsa); And "TAZ-104" (Sanwa Chemical Co., Ltd.).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이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 및 그 양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통상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한 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은 0.1∼30 질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10 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8 질량부이다. 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라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흐트러트리는 일없이 중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Whe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contains a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content can be suita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kind and quantity of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Usually, 100 mass of the total of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with respect to a part is 0.1-30 mass parts, Preferably it is 0.5-10 mass parts, More preferably, it is 0.5-8 mass parts. If content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exists in the said range, since it can superpose | polymerize without disturbing the orientation of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it is preferable.

1-4-2. 광증감제1-4-2. Photosensitizer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이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경우,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은 광증감제를 함유하더라도 좋다. 광증감제로서는 예컨대 크산톤 및 티오크산톤 등의 크산톤 화합물(예컨대, 2,4-디에틸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 안트라센 및 알콕시기 함유 안트라센(예컨대, 디부톡시안트라센 등) 등의 안트라센 화합물; 페노티아진 및 루브렌 등을 들 수 있다. Whe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contains a photoinitiator,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may contain a photosensitizer. As a photosensitizer, For example, xanthone compounds, such as xanthone and thioxanthone (for example, 2, 4- diethyl thioxanthone, 2-isopropyl thioxanthone, etc.); Anthracene compounds such as anthracene and an alkoxy group-containing anthracene (eg, dibutoxyanthracene, etc.); Phenothiazine, rubrene, and the like.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이 광중합개시제 및 광증감제를 함유하는 경우,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이 보다 촉진된다. 이러한 광증감제의 함유량은 병용하는 광중합개시제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 및 그 양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통상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30 질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10 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8 질량부이다. Whe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contains a photoinitiator and a photosensitizer,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accelerated | stimulated more. Although content of such a photosensitizer can be suita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kind and quantity of the photoinitiator and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used together, it is 0.1-30 mass parts normally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content of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Preferably Is 0.5-10 mass parts, More preferably, it is 0.5-8 mass parts.

1-4-3. 중합금지제1-4-3. Polymerization inhibitor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안정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해서 중합금지제를 함유하고 있더라도 좋다. 중합금지제에 의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의 진행 정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film may contain a polymerization inhibitor in order to stably advanc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he degree of progress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controlled by the polymerization inhibitor.

중합금지제로서는 예컨대 히드로퀴논, 알콕시기 함유 히드로퀴논, 알콕시기 함유 카테콜(예컨대, 부틸카테콜 등), 피로갈롤,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시 라디칼 등의 라디칼 보충제; 티오페놀류; β-나프틸아민류 및 β-나프톨류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inhibitor include radicals such as hydroquinone, alkoxy group-containing hydroquinone, alkoxy group-containing catechol (eg, butylcatechol, etc.), pyrogallol, and 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radicals. Supplements; Thiophenols; (beta) -naphthylamine, (beta) -naphthol, etc. are mentioned.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중합금지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이용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와 그 양 및 광증감제의 함유량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되는데, 통상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30 질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10 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8 질량부이다. When the polymerization inhibitor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film, the content thereof is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type and amount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o be used, the content of the photosensitizer, and the like. It is 0.1-30 mass parts, Preferably it is 0.5-10 mass parts, More preferably, it is 0.5-8 mass parts.

중합금지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라면,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흐트러트리는 일없이 중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If content of a polymerization inhibitor is in the said range, since it can superpose | polymerize without disturbing the orientation of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t is preferable.

1-4-4. 레벨링제1-4-4. Leveling agent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은 레벨링제를 함유하면 바람직하다. 레벨링제란,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의 유동성을 조정하여,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얻어지는 도포막을 보다 평탄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레벨링제로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 및 불소 원자 함유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 등을 들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contains a leveling agent. A leveling agent has a function which adjusts the fluidity | liquidity of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and makes the coating film obtained by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more flat, surfactant, etc. are mentioned. As a preferable leveling agent, the leveling agent which has a polyacrylate compound as a main component, the leveling agent which has a fluorine atom containing compound as a main component, etc. are mentioned.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로서는 "BYK-350", "BYK-352", "BYK-353", "BYK-354", "BYK-355", "BYK-358N", "BYK-361N", "BYK-380", "BYK-381" 및 "BYK-392"[BYK Chemie사] 등을 들 수 있다. Leveling agents mainly composed of polyacrylate compounds include "BYK-350", "BYK-352", "BYK-353", "BYK-354", "BYK-355", "BYK-358N", and "BYK-358". 361N "," BYK-380 "," BYK-381 ", and" BYK-392 "[BYK Chemie Corporation].

불소 원자 함유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로서는 "메가파크 R-08", 동 "R-30", 동 "R-90", 동 "F-410", 동 "F-411", 동 "F-443", 동 "F-445", 동 "F-470", 동 "F-471", 동 "F-477", 동 "F-479", 동 "F-482" 및 동 "F-483"[DIC(주)]; "서플론 S-381", 동 "S-382", 동 "S-383", 동 "S-393", 동 "SC-101", 동 "SC-105", "KH-40" 및 "SA-100"[AGC세이미케미컬(주)]; "E1830", "E5844"[(주)다이킨파인케미컬겐큐쇼]; "에프톱 EF301", 동 "EF303", 동 "EF351" 및 동 "EF352"[미스비시마테리알덴시가세이(주)] 등을 들 수 있다. Leveling agents mainly composed of fluorine atom-containing compounds include "mega park R-08", copper "R-30", copper "R-90", copper "F-410", copper "F-411", copper "F -443 ", East" F-445 ", East" F-470 ", East" F-471 ", East" F-477 ", East" F-479 ", East" F-482 "and East" F- 483 "[DIC Corporation]; "Suplon S-381", "S-382", "S-383", "S-393", "SC-101", "SC-105", "KH-40" and " SA-100 "[AGC Chemicals Co., Ltd.]; "E1830", "E5844" [Daikin Fine Chemical Gensho Co., Ltd.]; "E-top EF301", the "EF303", the "EF351", and the "EF352" [Misubishimaterialden Shigasei Co., Ltd.] etc. are mentioned.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레벨링제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함유량은 통상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0.3 질량부 이상 5 질량부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3 질량부 이하이다. 레벨링제의 함유량이 상기 한 범위 내이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수평 배향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얻어지는 편광막이 보다 평활하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대한 레벨링제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를 넘으면, 얻어지는 본 편광막에 얼룩이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은 레벨링제를 2 종류 이상 함유하고 있더라도 좋다. When a leveling agent i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the content is 0.3 mass part or more and 5 mass part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content of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Preferably they are 0.5 mass part or more and 3 mass parts or less. . When content of a leveling agent is in the said range, since it is easy to horizontally align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and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tends to become smoother, it is preferable. When content of the leveling agent with respect to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exceeds the said range, there exists a tendency for a stain to be easy to arise in the present polarizing film obtained. In addition, the said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may contain two or more types of leveling agents.

2. 본 편광막의 형성 방법2. Formation method of this polarizing film

이어서,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로 본 편광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에, 바람직하게는 투명 기재에 도포함으로써 본 편광막을 형성한다. Next, the method of forming this polarizing film with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demonstrated. In such a method, this polarizing film is formed by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to a base material, Preferably it is a transparent base material.

2-1. 투명 기재2-1. Transparent substrate

투명 기재란 빛, 특히 가시광을 투과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성을 갖는 기재이다. 상기 투명성이란, 파장 380∼780 nm에 걸친 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80% 이상이 되는 특성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기재로서는 유리 기재 및 플라스틱 기재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기재이다. 플라스틱 기재를 구성하는 플라스틱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노르보르넨계 폴리머 등의 폴리올레핀;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레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술피드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등의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장에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거나 투명성이 우수하거나 하다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이다. 이러한 투명 기재를 이용하여 본 편광막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를 운반하거나 보관하거나 할 때에 찢어짐 등의 파손을 일으키는 일없이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투명 기재에 지지 기재 등을 접착시켜 놓더라도 좋다. 또한, 후술하지만, 본 편광막으로 원편광판을 제조할 때에, 플라스틱 기재에 위상차성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경우에는 플라스틱 기재에 연신 처리 등에 의해 위상차성을 부여하면 된다. A transparent base material is a base material which is transparent enough to permeate | transmit light, especially visible light. The said transparency mean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transmittance | permeability with respect to the light ray over wavelength 380-780 nm becomes 80% or more. Specifically, as a transparent base material, a glass base material, a plastic base material, etc. are mentioned, Preferably it is a plastic base material. As a plastic which comprises a plastic base material, For example, Polyolefin, such as polyethylene, a polypropylene, norbornene-type polymer; Cyclic olefin resins; Polyvinyl alcohol;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thacrylic acid ester; Polyacrylic acid ester; Cellulose esters such as triacetyl cellulose, diacetyl cellulose and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carbonate; Polysulfones; Polyether sulfone; Polyether ketones; Plastics, such as a polyphenylene sulfide and a polyphenylene oxide, are mentioned. Among them, particularly preferred are cellulose esters, cyclic olefin resins, polyethylene terephthalates or polymethacrylic acid esters from the viewpoint of being easily available on the market or excellent in transparency. In manufacturing the present polarizing film using such a transparent substrate, a supporting substrate or the like can be adhered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at the transparent substrate can be easily handled without causing damage such as tearing when carrying or stor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You may put it. In addition, although mentioned later, when manufacturing a circularly-polarizing plate with this polarizing film, retardation may be provided to a plastic base material. In this cas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rovide phase difference to a plastic base material by extending | stretching process, etc.

플라스틱 기재에 위상차성을 부여하는 경우, 그 위상차 값을 컨트롤하기 쉽다고 하는 점에서,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또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기재가 바람직하다. When providing retardation property to a plastic base material, since it is easy to control the retardation value, the plastic base material which consists of cellulose ester or cyclic olefin resin is preferable.

셀룰로오스에스테르는 셀룰로오스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적어도 일부가 초산에스테르화된 것이다. 이러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은 시장에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시판되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후지태크필름"(후지샤신필름(주)); "KC8UX2M", "KC8UY" 및 "KC4UY"(코니카미놀타옵트(주)) 등이 있다. 이러한 시판되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은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 위상차성을 부여하고 나서 투명 기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준비한 투명 기재의 표면에 방현 처리, 하드 코트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또는 반사 방지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투명 기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In the cellulose ester, at least a part of the hydroxyl groups contained in the cellulose is esterified with acetate. The cellulose ester film which consists of such cellulose esters can be obtained easily in a market. As a commercial triacetyl cellulose film, it is "Fuji tag film" (Fuji Shashin Film Co., Ltd.), for example; "KC8UX2M", "KC8UY", "KC4UY" (Konica Minolta Opt Co., Ltd.), etc. are mentioned. Such a commercially available triacetyl cellulose film can be used as a transparent base material after providing retardation as it is or as needed. Moreover, it can use as a transparent base material after surface-treating, such as an anti-glare process, a hard-coat process, an antistatic process, or an antireflective process, on the surface of the prepared transparent base material.

플라스틱 기재에 위상차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플라스틱 기재를 연신하는 등의 방법에 의한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기재는 어느 것이나 연신 처리가 가능하지만, 위상차성을 제어하기 쉽다고 하는 점에서 환상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기재가 보다 바람직하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란 예컨대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등의 환상 올레핀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부분적으로 개환부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개환부를 포함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수소 첨가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투명성을 현저히 손상시키지 않다는 점이나 현저히 흡습성을 증대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예컨대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이나 비닐화 방향족 화합물(스티렌 등) 등과의 공중합체라도 좋다. 또한,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그 분자 내에 극성기가 도입되어 있더라도 좋다. In order to provide retardation to a plastic base material, it extends by the method of extending | stretching a plastic base material as mentioned above. Although all the plastic substrates which consist of thermoplastic resins can be extended | stretched, the plastic substrate which consists of cyclic olefin resin is more preferable at the point that it is easy to control retardation. A cyclic olefin resin is comprised from the polymer or copolymer of cyclic olefins, such as a norbornene and a polycyclic norbornene monomer, for example, The said cyclic olefin resin may contain a ring-opening part partially. Moreover, you may hydrogenate cyclic olefin resin containing a ring-opening part. The cyclic olefin resin may be a copolymer of, for example, a cyclic olefin, a linear olefin, a vinylated aromatic compound (styrene or the like), etc., in that it does not significantly impair transparency or does not significantly increase hygroscopicity. In addition, the cyclic olefin resin may have a polar group introduced into the molecule.

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이나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공중합체인 경우, 상기 쇄상 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이나 프로필렌 등이며, 또한 비닐화 방향족 화합물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알킬 치환 스티렌 등이다. 이러한 공중합체에 있어서, 환상 올레핀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 비율은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전체 구조 단위에 대하여 50 몰% 이하, 예컨대 15∼50 몰% 정도의 범위이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과 비닐화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3원 공중합체인 경우, 예컨대 쇄상 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 비율은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전체 구조 단위에 대하여 5∼80 몰% 정도이며, 비닐화 방향족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 비율은 5∼80 몰% 정도이다. 이러한 3원 공중합체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제조할 때에, 고가의 환상 올레핀의 사용량을 비교적 적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cyclic olefin resin is a copolymer of a cyclic olefin with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chain olefin or a vinyl group, the chain olefins are ethylene, propylene and the like, and the vinylated aromatic compounds are styrene, α-methyl styrene, alkyl substituted styrene and the like. In such a copolymer, the content rate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cyclic olefin is 50 mol% or less, for example, about 15-50 mol% with respect to the total structural units of cyclic olefin resin. When the cyclic olefin resin is a ternary copolymer obtained from a cyclic olefin, a chain olefin, and a vinylated aromatic compound, the content ratio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chain olefin is, for example, about 5 to 80 mol% with respect to the total structural units of the cyclic olefin resin. The content rate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vinylated aromatic compound is about 5-80 mol%. The cyclic olefin resin of such a terpolymer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age-amount of expensive cyclic olefin can be comparatively small when manufacturing the said cyclic olefin resin.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시장에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시판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Topas"[Ticona사(독일)]; "아톤"[JSR(주)]; "제오노어(ZEONOR)" 및 "제오넥스(ZEONEX)"[닛폰제온(주)]; "아펠"[미쓰이가가쿠(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예컨대 용제 캐스트법이나 용융 압출법 등의 공지된 제막 수단에 의해 제막하여 필름(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미 필름의 형태로 시판되고 있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판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에스시나" 및 "SCA40"[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제오노어필름"[오프테스(주)];" 아톤필름"[JSR(주)] 등을 들 수 있다. Cyclic olefin resin is easily available on the market. Commercially available cyclic olefin resins include "Topas" [Ticona (Germany)]; "Aton" [JSR Corporation]; "ZEONOR" and "ZEONEX" (Nippon Xeon Co., Ltd.); "Apel" (made by Mitsui Chemicals, Inc.), etc. are mentioned. Such cyclic olefin resin can be formed into a film (cyclic olefin resin film) by well-known film forming means, such as a solvent casting method and a melt-extrusion method, for example. Moreover, the cyclic olefin resin film already marketed in the form of a film can also be used. As such a commercially available cyclic olefin resin film, "Esshina" and "SCA40" [Sekisuga Chemical Co., Ltd.]; "Zeonor Film" [Optes Corporation]; "Aton Film" [JSR Corporation] etc. are mentioned.

이어서, 플라스틱 기재에 위상차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플라스틱 기재는 공지된 연신 방법에 의해 위상차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플라스틱 기재가 롤에 권취되어 있는 롤(권취체)을 준비하여, 이러한 권취체로부터 플라스틱 기재를 연속적으로 풀어내고, 풀어내어진 플라스틱 기재를 가열로로 반송한다. 가열로의 설정 온도는 플라스틱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 근방(℃)∼[글라스 전이 온도+1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 근방(℃)∼[글라스 전이 온도+50](℃)의 범위로 한다. 상기 가열로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기재의 진행 방향으로 또는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할 때에, 반송 방향이나 장력을 조정하여 임의의 각도로 경사를 붙여 일축 또는 이축의 열연신 처리를 한다. 연신 배율은 통상 1.1∼6배 정도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1∼3.5배 정도의 범위이다. 또한,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으로서는 연속적으로 배향축을 원하는 각도로 경사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연신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신 방법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소50-83482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평2-113920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Next, the method of providing retardation property to a plastic base material is demonstrated. The plastic substrate can impart retardation by a known stretching method. For example, the roll (winding body) in which the plastic base material is wound up by the roll is prepared, the plastic base material is continuously unwound from such a winding body, and the unwrapped plastic base material is returned to a heating furnace. The setting temperature of a heating furnace is the range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vicinity (degreeC)-[glass transition temperature +100] (degreeC) of a plastic base material, Preferably it is nea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egreeC)-[glass transition temperature +50] (degreeC). We assume range of). In the said heating furnace, when extending | stretching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a plastic base material or a direction orthogonal to a advancing direction, a conveyance direction and a tension are adjusted, and it inclines at arbitrary angles, and carries out the uniaxial or biaxial thermal stretching process. The draw ratio is usually in the range of about 1.1 to 6 times,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1 to 3.5 times. Moreover, as a method of extending | stretching in an oblique direction, if it can continuously incline an orientation axis | shaft to a desired angle, it will not specifically limit, A well-known extending | stretching method can be employ | adopted. Examples of such stretching methods include method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0-83482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113920.

투명 기재의 두께는 실용적인 취급이 가능한 정도의 중량이라는 점 및 충분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얇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가 저하하여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유리 기재의 적당한 두께는 예컨대 100∼3000 ㎛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100∼1000 ㎛ 정도이다. 플라스틱 기재의 적당한 두께는 예컨대 5∼300 ㎛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20∼200 ㎛ 정도이다. 본 편광막을 후술하는 원편광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특히 모바일기기 용도의 원편광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투명 기재의 두께는 20∼100 ㎛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연신함으로써 필름에 위상차성을 부여하는 경우, 연신 후의 두께는 연신 전의 두께나 연신 배율에 의해서 결정된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a transparent base material is the weight of the grade which can be handled practically, and the point which can ensure sufficient transparency, a thinner one is preferable, but when it is too thin, there exists a tendency for the strength to fall and inferior to workability. The suitable thickness of a glass base material is about 100-3000 micrometers, for example, Preferably it is about 100-1000 micrometers. The suitable thickness of a plastic base material is about 5-300 micrometers, for example, Preferably it is about 20-200 micrometers. When using this polarizing film as a circularly-polarizing plate mentioned later, about 20-100 micrometers is preferable for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especially when using as a circularly-polarizing plate for mobile device uses. In addition, when providing retardation to a film by extending | stretching, the thickness after extending | stretching is determined by the thickness before extending | stretching, and a draw ratio.

2-2. 배향막2-2. Alignment film

본 편광막의 제조에 이용하는 기재에는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은 배향막 상에 도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배향막은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등에 의해 용해되지 않을 정도의 용제 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제의 제거나 액정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향막은 배향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rientation film is formed in the base material used for manufacture of this polarizing film. In that case,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apply | coated on an oriented film.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orientation film has solvent tolerance of the grade which does not melt | dissolve by application | coating of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etc.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have heat resistance in the heat processing for removal of a solvent and orientation of a liquid crystal. Such an alignment film can be formed by an oriented polymer.

상기 배향성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분자 내에 아미드 결합을 갖는 폴리아미드나 젤라틴류, 분자 내에 이미드 결합을 갖는 폴리이미드 및 그 가수분해물인 폴리아믹산, 폴리비닐알코올, 알킬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옥사졸,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류 등의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이 바람직하다. 배향막을 형성하는 이들 배향성 폴리머는 단독으로 이용하더라도 좋고,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하더라도 좋다. Examples of the oriented polymer include polyamides and gelatin having amide bonds in the molecule, polyimides having imide bonds in the molecule, and polyamic acid, polyvinyl alcohol, alkyl modified polyvinyl alcohol, polyacrylamide, and polyoxa which are hydrolyzates thereof. And polymers such as sol, polyethyleneimine, polystyrene, polyvinylpyrrolidone, polyacrylic acid or polyacrylic acid esters. Among these, polyvinyl alcohol is preferable. These alignment polymers which form the alignment film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상기 배향성 폴리머는 용제에 용해한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배향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용액)로서 기재 상에 도포함으로써 그 기재 위에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제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용제; 초산에틸, 초산부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 젖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메틸아밀케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용제; 펜탄, 헥산 및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 용매; 클로로포름 및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 치환 탄화수소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제는 단독으로 이용하더라도 좋고, 복수 종을 조합시켜 이용하더라도 좋다. The orientation polymer can be formed on the substrate by applying the orientation polymer on the substrate as an orientation polymer composition (a solution containing the orientation polymer) dissolved in a solvent. As said solvent, Water; Alcohol solvents such as methanol, ethanol, ethylene glycol, isopropyl alcohol, propylene glycol, methyl cellosolve, butyl cellosolve and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ster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butyl acetate, 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γ-butyrolactone,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and ethyl lactate; Ketone solvent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cyclopentanone, cyclohexanone, methyl amyl ket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Aliph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pentane, hexane and heptane; Nitrile solvents, such as arom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toluene and xylene, and acetonitrile; Ether solvents such as tetrahydrofuran and dimethoxyethane; Chlorine-substituted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chloroform and chlorobenzene, etc. are mentioned. These organic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또한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한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로서 시판되는 배향막 재료를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좋다. 시판되는 배향막 재료로서는 산에바(등록상표, 닛산가가쿠고교(주) 제조) 또는 옵토마(등록상표, JSR(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Moreover, you may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alignment film material as an orientation polymer composition for forming an alignment film.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alignment film materials include San Eva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Optoma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and the like.

기재에 배향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기재 위에 상기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이나 시판되는 배향막 재료를 도포하여 어닐링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배향막의 두께는 통상 10 nm∼10000 nm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0 nm∼1000 nm의 범위이다. As a method of forming an oriented film in a base material, the method of apply | coating and annealing the said oriented polymer composition or a commercially available oriented film material on a base material,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alignment film thus obtained is usually in the range of 10 nm to 10000 nm,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nm to 1000 nm.

상기 배향막에 대하여 배향 규제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러빙을 행하는 것(러빙법)이 바람직하다. 배향 규제력을 부여함으로써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o perform rubbing as needed (rubbing method) in order to provide orientation control force with respect to the said oriented film. By providing an orientation regulation force,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oriented in a desired direction.

러빙법에 의해 배향 규제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러빙천이 감아붙여져, 회전하고 있는 러빙 롤을 준비하고, 기재 위에 배향막 형성용의 도포막이 형성된 적층체를 스테이지에 얹어, 회전하고 있는 러빙 롤을 향해 반송함으로써, 상기 배향막 형성용 도포막과 회전하고 있는 러빙 롤을 접촉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As a method of imparting the orientation regulating force by the rubbing method, for example, a rubbing cloth is rolled up, a rotating rubbing roll is prepared, a laminate formed with a coating film for forming an alignment film on a substrate is placed on a stage, and toward the rotating rubbing roll. By conveying, the method of making the said coating film for oriented film formation and the rotating rubbing roll contact is mentioned.

또한, 소위 광배향막도 이용할 수 있다. 광배향막이란, 광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와 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하, 경우에 따라 「광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이라고 함)을 기재에 도포하여 편광(바람직하게는, 편광 UV)을 조사함으로써 배향 규제력을 부여한 배향막을 말한다. 광반응성기란, 빛을 조사함(광 조사)으로써 액정 배향능을 발생시키는 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빛을 조사함으로써 생기는 분자의 배향 유기 또는 이성화 반응, 이량화 반응, 광가교 반응 혹은 광분해 반응과 같은, 액정 배향능의 기원이 되는 광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상기 광반응성기 중에서도 이량화 반응 또는 광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배향성이 우수하고, 편광막 형성시의 스멕틱 액정 상태를 유지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광반응성기로서는, 불포화 결합, 특히 이중 결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탄소 이중 결합(C=C 결합), 탄소-질소 이중 결합(C=N 결합), 질소-질소 이중 결합(N=N 결합) 및 탄소-산소 이중 결합(C=O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so-called photoalignment film can also be used. A photo-alignment film is a compos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osition for forming a photo-alignment layer") containing a polymer or monomer having a photoreactive group and a solvent, applied to a substrate to irradiate polarized light (preferably polarized UV). By this, the alignment film which provided the orientation regulation force is said. A photoreactive group means group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liquid crystal aligning ability by irradiating light (light irradiation). Specifically, a photoreaction that causes the origin of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ability, such as the alignment organic or isomerization reaction, dimerization reaction, photocrosslinking reaction or photolysis reaction of molecules generated by irradiation with light, is caused. It is preferable at the point which raises a dimerization reaction or a photocrosslinking reaction among the said photoreactive group, is excellent in orientation, and maintains the smectic liquid crystal state at the time of polarizing film formation. As a photoreactive group which can cause the above reac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n unsaturated bond, especially a double bond, and a carbon-carbon double bond (C = C bond), a carbon-nitrogen double bond (C = N bond), nitrogen Particular preference is given to groups hav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trogen double bonds (N = N bonds) and carbon-oxygen double bonds (C = O bonds).

C=C 결합을 갖는 광반응성기로서는 예컨대 비닐기, 폴리엔기, 스틸벤기, 스틸바졸기, 스틸바졸륨기, 칼콘기 및 신나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C=N 결합을 갖는 광반응성기로서는 방향족 시프 염기 및 방향족 히드라존 등의 구조를 갖는 기를 들 수 있다. N=N 결합을 갖는 광반응성기로서는 아조벤젠기, 아조나프탈렌기, 방향족 복소환 아조기, 비스아조기 및 포르마잔기 등이나, 아족시벤젠을 기본 구조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C=O 결합을 갖는 광반응성기로서는 벤조페논기, 쿠마린기, 안트라퀴논기 및 말레이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는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알릴옥시기, 시아노기, 알콕시카르보닐기, 히드록실기, 술폰산기 및 할로겐화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Examples of the photoreactive group having a C = C bond include vinyl group, polyene group, stilbene group, stilazole group, stilbazolium group, chalcone group and cinnamoyl group. Examples of the photoreactive group having a C═N bond include groups having structures such as aromatic sieve bases and aromatic hydrazones. As a photoreactive group which has N = N bond, an azobenzene group, an azonaphthalene group, an aromatic heterocyclic azo group, a bis azo group, a formazan group, etc., and the thing which has azoxybenzene as a basic structure are mentioned. As a photoreactive group which has a C = O bond, a benzophenone group, a coumarin group, an anthraquinone group, a maleimide group, etc. are mentioned. These groups may have substituents, such as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n aryl group, an allyloxy group, a cyano group, an alkoxycarbonyl group, a hydroxyl group, a sulfonic acid group, and a halogenated alkyl group.

그 중에서도 광이량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광반응성기가 바람직하며, 신나모일기 및 칼콘기가 광 배향에 필요한 편광 조사량이 비교적 적고, 또한 열안정성이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광배향막을 얻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더 말하자면, 광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로서는 상기 폴리머 측쇄의 말단부가 계피산 구조로 되는 신나모일기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Among them, a photoreactive group capable of causing a photodimerization reaction is preferable, and a cinnamoyl group and a chalcone group are preferable because they have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polarization irradiation required for optical alignment, and are easy to obtain an optical alignment film having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stability over time. Do. In other words, as the polymer having a photoreactive group, one having a cinnamoyl group in which the terminal portion of the polymer side chain has a cinnamic acid structure is particularly preferable.

광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의 용제로서는 광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및 모노머를 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용제로서는 예컨대 상술한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에 이용한 용제를 들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o melt | dissolve the polymer and monomer which have a photoreactive group as a solvent of the composition for photo-alignment layer formation, The solvent used for the above-mentioned orientation polymer composition is mentioned as said solvent, for example.

광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광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농도는 그 광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종류나 제조하고자 하는 광배향막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고형분 농도로 나타내어, 적어도 0.2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10 질량%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광배향막의 특성이 현저히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재료, 광증감제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다.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or monomer having a photoreactive group with respect to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hotoalignment layer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olymer or monomer having the photoreactive group or the thickness of the photoalignment film to be prepared.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0.2 mass%, and the range of 0.3-10 mass% is especially preferable. 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lignment layer may contain a polymer material such as polyvinyl alcohol or polyimide and a photosensitizer in a range in which the properties of the photo-alignment film are not significantly impaired.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 또는 광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스핀코팅법, 익스트루젼법, 그라비아코팅법, 다이코팅법, 바코팅법 및 애플리케이터법 등의 도포법이나, 플렉소법 등의 인쇄법 등의 공지된 방법이 채용된다. 한편, 본 편광막 제조를 후술하는 RolltoRoll 형식의 연속적 제조 방법에 의해 실시하는 경우, 그 도포 방법은 통상 그라비아코팅법, 다이코팅법 또는 플렉소법 등의 인쇄법이 채용된다. As a method of apply | coating an orientation polymer composition or the composition for photo-alignment layer formation on a base material, coating methods, such as a spin coating method, an extrusion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 bar coating method, and an applicator method, a flexographic method, etc. Known methods such as the printing method are employed. 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this polarizing film manufacture by the RolltoRoll type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mentioned later, the coating method is the printing method, such as the gravure coating method, the die coating method, or the flexographic method, normally.

한편, 러빙 또는 편광 조사를 할 때에 마스킹을 행하면, 배향 방향이 다른 복수 영역(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masking at the time of rubbing or polarized light irradiation, you may form the several area | region (pattern) from which an orientation direction differs.

2-3. 본 편광막의 제조 방법2-3.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polarizing film

상기 기재 또는 기재에 형성된 배향막 상에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얻는다.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배향성 폴리머 또는 광반응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들 수 있다. The coating film is obtained by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on the said base material or the orientation film formed in the base material. As a method of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the method similar to what was illustrated as a method of apply | coating an orientation polymer or a composition for photoreaction layer formation to a base material is mentioned, for example.

이어서, 상기 도포막 중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되지 않는 조건으로 용제를 건조 제거함으로써 건조 피막이 형성된다. 건조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자연 건조법, 통풍 건조법, 가열 건조 및 감압 건조법 등을 들 수 있다. Next, a dry film is formed by drying and removing a solvent on the conditions which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e said coating film does not superpose | polymerize. As a drying method, natural drying method, ventilation drying method, heat drying, reduced pressure drying method,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이어서,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일단 상기 건조 피막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조성물의 액정 상태를 네마틱 액정상으로 한 후, 그 네마틱 액정상을 스멕틱 액정상으로 전이시킨다. Next, as a preferable aspect, once the liquid crystal state of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ntained in the said dry film is made into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the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is transferred to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이와 같이 네마틱 액정상을 경유하여 스멕틱 액정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건조 피막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까지 냉각한다고 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Thus, in order to form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via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a dry film, for example is heated above the temperature which shows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and then the said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is smectic The method of cooling to the temperature which shows a liquid crystal phase is employ | adopted.

상기 건조 피막 중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스멕틱 액정상으로 하거나,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네마틱 액정상을 경유하여 스멕틱 액정상으로 하거나 하는 경우, 이용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상 전이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액정 상태를 제어하는 조건(가열 조건)을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상 전이 온도의 측정 조건은 본원의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By measuring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to be used when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 the dry film is made into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or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made into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via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The conditions (heating conditions) for controlling the liquid crystal state can be obtained. Measurement conditions of such phase transition temperatures are described in the Examples herein.

이어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광중합개시제를 함유시켜, 건조 피막 중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액정 상태를 스멕틱 액정상으로 한 후, 상기 스멕틱 액정상의 액정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광중합시키는 방법에 관해서 상술한다. Next, the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process of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is demonstrated. Here, after containing a photoinitiator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and making the liquid crystal state of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in a dry film into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the said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is maintained, maintaining the liquid crystal state of the said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The method of photopolymerizing is explained in full detail.

광중합에 있어서, 건조 피막에 조사하는 빛으로서는, 그 건조 피막에 포함되는 광중합개시제의 종류 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특히,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갖는 중합성기의 종류) 및 그 양에 따라서 적절하게 가시광, 자외광 및 레이저광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빛이나 활성 전자선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이들 중, 중합 반응의 진행을 컨트롤하기 쉽다는 점이나 광중합에 관한 장치로서 당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자외광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외광에 의해서 광중합할 수 있도록,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나 광중합개시제의 종류를 선택해 두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시킬 때에는, 자외광 조사와 함께 적당한 냉각 수단에 의해 건조 피막을 냉각함으로써 중합 온도를 컨트롤할 수도 있다. 이러한 냉각 수단의 채용에 의해, 보다 저온에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을 실시할 수 있으면, 상술한 기재에 비교적 내열성이 낮은 것을 이용했다고 해도, 적절하게 본 편광막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한편, 광중합시, 마스킹이나 현상을 하는 등에 의해서 패터닝된 본 편광막을 얻을 수도 있다. In photopolymerization, as light irradiated to a dry film, it is suitable according to the kind of photoinitiator contained in the dry film, or the kind of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especially the kind of polymeric group which the said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has), and its quantity. It can be performed by the ligh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sible light, ultraviolet light and laser light or an active electron beam. Among these, ultraviolet light is preferred in that it is easy to control the progress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nd that a device widely used in the art can be used as an apparatus for photopolymeriza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lect the kind of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and photoinitiator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so that photo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by ultraviolet light. In addition, when superposing | polymerizing,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temperature can also be controlled by cooling a dry film with suitable cooling means with ultraviolet light irradiation. By employing such cooling means, i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polymerized at a lower tempera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ent polarizing film can be appropriately formed even if a relatively low heat resistance is used for the substrate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polarizing film patterned by masking, image development, etc. at the time of photopolymerization can also be obtained.

이상과 같은 광중합을 행함으로써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네마틱 액정상, 스멕틱 액정상, 바람직하게는 이미 예시한 것과 같은 고차의 스멕틱 액정상을 유지한 채로 중합하여 본 편광막이 형성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스멕틱 액정상을 유지한 채로 중합하여 얻어지는 본 편광막은, 종래의 호스트게스트형 편광막, 즉 네마틱 액정상의 액정 상태를 유지한 채로 중합성 액정 화합물 등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편광막과 비교하여 편광 성능이 높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오트로픽성 이색성 색소만을 도포한 것과 비교하여 강도가 우수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By performing photopolymeriz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polymerized while maintaining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preferably a higher order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as already exemplified, thereby forming the polarizing film.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superposing | polymerizing with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holding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is a conventional host guest polarizing film, ie,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superposing | polymerizing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etc., maintaining the liquid crystal state of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Compared with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is high.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ength is excellent as compared with the application of only the lyotropic dichroic dye.

이렇게 하여 형성된 본 편광막의 두께는 0.5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 ㎛ 이상 5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편광막 형성용 도포막의 두께는 얻어지는 본 편광막의 두께를 고려하여 정해진다. 한편, 본 편광막의 두께는 간섭 막후계나 레이저 현미경 혹은 촉침식 막후계의 측정으로 구해지는 것이다. The range of 0.5 micrometer or more and 10 micrometers or less is preferable, and, as for the thickness of this polarizing film formed in this way, 1 micrometer or more and 5 micrometers or less are more preferable.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for this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is polarizing film obtained.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is polarizing film is calculated | required by the measurement of an interference film thickness meter, a laser microscope, or a stylus film thickness meter.

또한, 이렇게 하여 형성된 본 편광막은 상술한 것과 같이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브래그 피크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브래그 피크가 얻어지는 본 편광막으로서는 예컨대 헥사틱상 또는 크리스탈상에 유래하는 회절 피크를 나타내는 본 편광막을 들 수 있다. Moreover, this polarizing film formed in this way is especially preferable if Bragg peak is obtained in X-ray diffraction measurement as mentioned above. As this polarizing film from which such Bragg peak is obtained, the present polarizing film which shows the diffraction peak derived from a hexatic phase or a crystal phase is mentioned, for example.

또한, 이렇게 하여 제조되는 본 편광막은 뉴트럴한 색상성이 우수한 것이다. 여기서, 뉴트럴한 색상성이 우수한 편광막이란, L*a*b*(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색 좌표 a* 값 및 b* 값이 이하의 식 (1F) 및 식 (2F)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다. 한편, 이들 색 좌표 a* 값 및 b* 값은 예컨대 본원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측정 방법으로 구해지는 것이다. In addition, this polarizing film manufactured in this way is excellent in neutral color property. Here, the polarizing film which is excellent in neutral color property means that the color coordinate a * value and b * value in a L * a * b * (Lab) colorimetric system satisfy | fill the relationship of following formula (1F) and formula (2F). It is. In addition, these color coordinate a * value and b * value are calculated | required by the measuring method demonstrated in the Example of this application, for example.

-3≤색도 a*≤3 (1F)-3≤ chromaticity a * ≤3 (1F)

-3≤색도 b*≤3 (2F)-3≤ chroma b * ≤3 (2F)

여기서 말하는 색 좌표 a* 값 및 b* 값의 각각을 「색도 a*」 및 「색도 b*」라고도 한다. 상기 a* 및 b*는 함께 0(제로)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뉴트럴한 색상을 나타내는 편광막이라고 판정된다. 이러한 편광막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서는 착색이 없는 양호한 백 표시를 얻을 수 있다. Each of the color coordinate a * value and b * value here is also called "chromaticity a *" and "chromaticity b *". It is determined that a * and b * are polarizing films exhibiting a neutral color as they are closer to 0 (zero) together. In th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uch a polarizing film, good white display without coloration can be obtained.

또한, 편광막의 색상에 있어서, 흡수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2장의 편광막을 겹쳐, 그 때의 색상을 상기와 같은 식으로 구하여, 「직교 a*」 및 「직교 b*」를 산출한 경우, 이러한 직교 a* 및 직교 b*의 각각이 이하의 식 (1F') 및 식 (2F')의 관계를 만족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직교 a* 및 직교 b*는 편광막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흑 표시의 색상이 뉴트럴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상기 직교 a* 및 직교 b*는 함께 0(제로)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착색이 없는 양호한 흑 표시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lor of a polarizing film, when two polarizing films are overlapped so that an absorption axis may mutually orthogonally cross, the color at that time is calculated | required in the same way as mentioned above, and when "orthogonal a *" and "orthogonal b *" are calculated, such orthogonality is obtained. It is more preferable that each of a * and orthogonal b *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the following formula (1F ') and formula (2F'). These orthogonal a * and orthogonal b * are indicators which show whether the color of a black display is neutral in a display apparatus provided with a polarizing film. As the orthogonal a * and the orthogonal b * are closer together to 0 (zero), the better black display without coloration can be obtained.

-3≤직교 a*≤3 (1F')-3≤orthogonal a * ≤3 (1F ')

-3≤직교 b*≤3 (2F')-3≤orthogonal b * ≤3 (2F ')

3. 본 편광막의 연속적 제조 방법3.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polarizing film

이상, 본 편광막의 제조 방법의 개요를 설명했지만, 상업적으로 본 편광막을 제조할 때에는 연속적으로 본 편광막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속적 제조 방법은 RolltoRoll 형식에 의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 「본 제조 방법」이라고 한다. 한편, 본 제조 방법에서는, 기재가 투명 기재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기재가 투명 기재인 경우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것이 투명 기재와 본 편광막을 갖는 편광자(이하, 경우에 따라 「본 편광자」라고 함)로 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outline | summary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polarizing film was demonstrated, when manufacturing this polarizing film commercially, the method which can manufacture this polarizing film continuously is calculated | required. This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is based on the RolltoRoll type, and is called "this manufacturing method" in some cases. In addition, in this manufacturing method,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a case where a base material is a transparent base material. When a base material is a transparent base material, what is finally obtained becomes a polarizer (henceforth "this polarizer" in some cases) which has a transparent base material and this polarizing film.

본 제조 방법은 예컨대, The present production method is, for example,

투명 기재가 제1 권심에 권취되어 있는 제1 롤을 준비하는 공정과,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1st roll by which a transparent base material is wound by the 1st core,

상기 제1 롤로부터 상기 투명 기재를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공정과, Continuously send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from the first roll;

상기 투명 기재 상에 배향막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공정과, Continuously forming an alignment film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배향층 상에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공정과,Continuously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film on the alignment layer;

도포된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을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되지 않는 조건으로 건조함으로써, 상기 배향막 상에 건조 피막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공정과, The process of continuously forming a dry film on the said oriented film by drying the apply | coated polarizing film formation composition on condition that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does not superpose | polymerize,

상기 건조 피막 중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네마틱 액정상, 바람직하게는 스멕틱 액정상으로 한 후, 상기 스멕틱 액정상을 유지한 채로,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편광막을 연속적으로 얻어 편광자로 하는 공정과, After making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e said dry film into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Preferably,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a polarizing film is continuously made by superposing | polymerizing the said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maintaining the said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The step of obtaining a polarizer,

연속적으로 얻어진 편광자를 제2 권심에 권취하여, 제2 롤을 얻는 공정을 갖는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특히 배향막으로서 광배향막을 이용한 경우에 관해서 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It has the process of winding up the polarizer continuously obtained by the 2nd core, and obtaining a 2nd roll. Here, with reference to FIG. 1, especially this manufacturing method is demonstrated about the case where a photo-alignment film is used as an orientation film.

투명 기재가 제1 권심(210A)에 권취되어 있는 제1 롤(210)은 예컨대 시장에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이러한 롤의 형태로 시장에서 입수할 수 있는 투명 기재로서는, 이미 예시한 투명 기재 중에서도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편광막을 원편광판으로서 이용함에 있어서, 미리 위상차성이 부여된 투명 기재도 시장에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으며, 예컨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또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The 1st roll 210 by which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is wound up by 210 A of 1st cores can be obtained easily in the market, for example. As a transparent base material available on the market in the form of such a roll, the film etc. which consist of a cellulose ester, cyclic olefin res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a polycarbonate, or polymethacrylic acid ester are mentioned among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s already illustrated above. Moreover, in using this polarizing film as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to which retardation was previously provided can also be obtained easily in a market, For example, the retardation film which consists of cellulose ester or cyclic olefin resin, etc. are mentioned.

이어서, 상기 제1 롤(210)로부터 투명 기재를 풀어낸다. 투명 기재를 풀어내는 방법은 상기 제1 롤(210)의 권심(210A)에 적당한 회전 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제1 롤(210)을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제1 롤(210)로부터 투명 기재를 반송하는 방향에 적당한 보조 롤(300)을 설치하여, 상기 보조 롤(300)의 회전 수단으로 투명 기재를 풀어내는 형식이라도 좋다. 또한, 제1 권심(210A) 및 보조 롤(300) 모두 회전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투명 기재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면서 투명 기재를 풀어내는 형식이라도 좋다. Subsequently,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released from the first roll 210. The method of releasing a transparent base material is performed by providing a suitable rotating means in the core 210A of the said 1st roll 210, and rotating the 1st roll 210 by the said rotating means. In addition, the auxiliary roll 300 suitable for the direction which conveys a transparent base material from the 1st roll 210 may be provided, and the form which removes a transparent base material by the rotation means of the said auxiliary roll 300 may be sufficient. In addition, both the 1st winding core 210A and the auxiliary roll 300 provide a rotation means, and the form which unwinds a transparent base material, giving a suitable tension to a transparent base material may be sufficient.

상기 제1 롤(210)로부터 풀어내어진 투명 기재는 도포 장치(211A)를 통과할 때에 그 표면 상에 상기 도포 장치(211A)에 의해 광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이 도포된다.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광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해서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도포 장치(211A)에 의해 그라비아코팅법, 다이코팅법, 플렉소법 등의 인쇄법이 실시된다. When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unwound from the said 1st roll 210 passes through the coating device 211A, the composition for photo-alignment layer formation is apply | coated by the said coating device 211A on the surfac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tinuously apply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photo-alignment layer, a printing method such as a gravure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 flexographic method, etc. is performed by the coating device 211A.

도포 장치(211A)를 거친 투명 기재는 건조로(212A)로 반송되고, 상기 건조로(212A)에 의해 가열되어, 투명 기재 상에 제1 건조 피막을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건조로(212A)로서는 예컨대 열풍식 건조로 등이 이용된다. 건조로(212A)의 설정 온도는 도포 장치(211A)에 의해 도포된 상기 광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정해진다. 또한 건조로(212A)는 복수의 존으로 구분하여, 구분된 복수의 존마다 설정 온도가 다른 형식이라도 좋고, 복수 개의 건조로를 직렬로 배치하여, 건조로마다 설정 온도가 다른 형식의 건조로라도 좋다.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which passed through the coating device 211A is conveyed to the drying furnace 212A, it is heated by the said drying furnace 212A, and forms a 1st dry film continuously on a transparent base material. As the drying furnace 212A, for example, a hot air drying furnace is used. The setting temperature of the drying furnace 212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kind of solvent contained in the said composition for optical orientation layer formation apply | coated by the coating device 211A, etc. The drying furnace 212A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may be a type having a different set temperature for each of the divided zones, or a plurality of drying furnaces may be arranged in series, and may be a drying furnace having a different set temperature for each drying furnace.

가열로(212A)를 통과함으로써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건조 피막은 이어서 편광 UV 조사 장치(213A)에 의해 제1 건조 피막측의 표면 또는 투명 기재측의 표면에 편광 UV가 조사되어, 상기 제1 건조 피막은 (광)배향막을 형성한다. 그 때, 투명 기재의 반송 방향 D1과 형성되는 광배향막의 배향 방향 D2가 이루는 각도가 교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편광 UV 조사 후에 형성된 광배향막의 배향 방향 D2와 투명 기재의 반송 방향 D1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즉, 도 2는 편광 UV 조사 장치(213A) 통과 후의 제1 적층체의 표면을, 투명 기재의 반송 방향 D1과 광배향막의 배향 방향 D2를 보았을 때, 이들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45°를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The first dry film continuously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heating furnace 212A is then irradiated with polarized UV on the surface of the first dry film side or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side by the polarizing UV irradiation device 213A, and the first drying is performed. The film forms a (photo) alignment film. In that case, you may make it the angle which the conveyance direction D1 of a transparent base material and the orientation direction D2 of the photo-alignment film formed form to cross | intersec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of the orientation direction D2 of the photo-alignment film formed after polarizing UV irradiation, and the conveyance direction D1 of a transparent base material. That is, FIG. 2 shows that when the surface of the 1st laminated body after passing through the polarization UV irradiation apparatus 213A is seen by the conveyance direction D1 of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and the orientation direction D2 of the optical alignment film, the angle which they make shows approximately 45 degrees. have.

이렇게 하여 연속적으로 광배향막이 형성된 투명 기재(제1 적층체)는 이어서 도포 장치(211B)를 통과함으로써 광배향막 상에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이 도포된 후, 건조로(212B)를 통과한다. 건조로(212B)를 통과함으로써,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네마틱 액정상, 바람직하게는 스멕틱 액정상을 형성하여, 제2 건조 피막이 형성된다. In this way,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first laminated body) in which the photo-alignment film was continuously formed is then passed through the coating apparatus 211B, and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is apply | coated on the photo-alignment film, and then passes through the drying furnace 212B. By passing through the drying furnace 212B,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forms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Preferably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and a 2nd dry film is formed.

상기 건조로(212B)를 거친 투명 기재는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던 용제가 충분히 제거되어, 제2 건조 피막 중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네마틱 액정상, 바람직하게는 스멕틱 액정상의 액정 상태를 유지한 채로 광 조사 장치(213B)로 반송된다. 광 조사 장치(213B)에 의한 광 조사에 의해,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상기 액정 상태를 유지한 채로 광중합하고, 본 편광막이 배향막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본 편광자가 얻어진다. In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which passed through the said drying furnace 212B,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was fully removed, and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in a 2nd dry film is a nematic liquid crystal phase, Preferably the smectic liquid crystal state It is conveyed to the light irradiation apparatus 213B with maintaining. By the light irradiation by the light irradiation apparatus 213B, the said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photopolymerizes, maintaining the said liquid crystal state, this polarizing film is formed continuously on an alignment film, and this polarizer is obtained.

이렇게 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된 본 편광막은 투명 기재 및 배향막을 포함한 적층체의 형태로 제2 권심(220A)에 권취되어, 제2 롤(220)의 형태가 얻어진다. 형성된 본 편광막을 권취하여 제2 롤을 얻을 때, 적당한 스페이서를 이용한 공(共)권취를 행하더라도 좋다. In this way, this polarizing film continuously formed is wound up by 220 A of 2nd cores in the form of the laminated body containing a transparent base material and an orientation film, and the form of the 2nd roll 220 is obtained. When winding up this formed polarizing film and obtaining a 2nd roll, you may perform the air winding using a suitable spacer.

이와 같이, 투명 기재가 제1 롤/도포 장치(211A)/건조로(212A)/편광 UV 조사 장치(213A)/도포 장치(211B)/건조로(212B)/광 조사 장치(213B)의 순으로 통과함으로써, 투명 기재 상의 광배향막 상에 본 편광막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본 편광자가 제조된다. Thus,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is in order of 1st roll / coating apparatus 211A / drying furnace 212A / polarization UV irradiation apparatus 213A / coating apparatus 211B / drying furnace 212B / light irradiation apparatus 213B. By passing through, the present polarizing film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optical alignment film on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and the present polarizer is produced.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본 제조 방법에서는, 투명 기재로부터 본 편광막까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냈지만, 예컨대 투명 기재를 제1 롤/도포 장치(211A)/건조로(212A)/편광 UV 조사 장치(213A)의 순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적층체를 권심에 권취하여, 제1 적층체를 롤의 형태로 제조하고, 상기 롤로부터 제1 적층체를 풀어내어, 풀어내어진 제1 적층체를 도포 장치(211B)/건조로(212B)/광 조사 장치(213B)의 순으로 통과시켜 본 편광자를 제조하더라도 좋다. In addition, alth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shown to FIG. 1 showe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continuously from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to this polarizing film,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was made into the 1st roll / coating apparatus 211A / drying furnace 212A / polarization, for example. The first laminated body formed continuously by winding in order of UV irradiation apparatus 213A is wound up to the core, the 1st laminated body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roll, the 1st laminated body is unwound from the said roll, The present polarizer may be manufactured by passing the first laminate in the order of the coating device 211B / drying furnace 212B / light irradiation apparatus 213B.

본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본 편광자는 그 형상이 필름형 또한 기다란 형상의 것이다. 이 본 편광막은 후술하는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액정 표시 장치의 스케일 등에 맞춰 원하는 치수가 되도록 재단되어 이용된다. The present polarizer obtained by the present production method is a film or elongate in shape. When this polarizing film is used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ntioned later, it is cut and used so that it may become a desired dimension according to the scale etc.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상, 투명 기재/광배향막/본 편광막의 적층체의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본 편광자의 구성 및 제조 방법을 설명하여 왔지만, 본 편광자로부터 광배향막이나 투명 기재를 박리함으로써 본 편광막을 단층으로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본 편광자에 투명 기재/광배향막/본 편광막 이외의 층 또는 막을 적층한 형태로 하여도 좋다. 이들 층 및 막으로서는, 이미 서술한 것과 같이, 본 편광막은 위상차 필름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고, 반사 방지층 또는 휘도 향상 필름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polarizer have been demonstrated centering on the case of the laminated body of a transparent base material / an optical orientation film / this polarizing film, this polarizing film can also be obtained in a single layer by peeling an optical alignment film or a transparent base material from this polarizer. have. Moreover, you may make it the form which laminated | stacked layers or films other than a transparent base material / optical orientation film / this polarizing film on this polarizer. As these layers and fil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polarizing film may further include a retardation film, or may further include an antireflection layer or a brightness enhancing film.

또한, 투명 기재 자체를 위상차 필름으로 함으로써 위상차 필름/광배향막/본 편광막의 형태의 원편광판 혹은 타원편광판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위상차 필름으로서 1축 연신한 1/4 파장판을 이용한 경우, 편광 UV의 조사 방향을 투명 기재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대략 45°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RolltoRoll로 원편광판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원편광판을 제조할 때에 이용되는 1/4 파장판은 가시광에 대한 면내 위상차 값이, 파장이 짧아짐에 따라서 작아지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t can also be set as the circularly-polarizing plate or elliptical polarizing plate of the form of retardation film / optical orientation film / this polarizing film by making transparent base material itself into retardation film. For example, when the uniaxially stretched quarter wave plate is used as the retardation film,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by RolltoRoll by setting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polarized UV so that it may be set to approximately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a transparent base material. Thus, it is preferable that the quarter wave plate used when manufacturing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has the characteristic that an in-plane phase difference value with respect to visible light becomes small as a wavelength becomes short.

또한, 위상차 필름으로서 1/2 파장판을 이용하여, 그 지상축과 편광막의 흡수축의 각도를 어긋나게 하여 설정한 직선편광판 롤을 제작하고, 상기 편광막을 형성한 면과 반대측에 1/4 파장판을 더 형성함으로써 광대역의 원편광판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Moreover, using a 1/2 wavelength plate as a retardation film, the linear polarizing plate roll which shifted and set the angle of the slow axis and the absorption axis of 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and produced a 1/4 wavelength plat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in which the said polarizing film was formed. By further forming,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broadband circular polarizing plate.

4. 본 편광막의 용도4. Use of this polarizing film

본 편광막은 여러 가지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란 표시 소자를 갖는 장치이며, 발광원으로서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로서는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 장치,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 장치, 전자 방출 표시 장치(예컨대 전장 방출 표시 장치(FED), 표면 전계 방출 표시 장치(SED)), 전자 페이퍼(전자 잉크나 전기 영동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투사형 표시 장치(예컨대 그레이팅 라이트 밸브(GLV) 표시 장치,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MD)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압전 세라믹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직시형 액정 표시 장치 및 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어느 것이나 포함한다. 이들 표시 장치는 2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라도 좋고, 3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입체 표시 장치라도 좋다. This polarizing film can be used for various display devices. The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display element,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or a light emitting device as a light emitting source. As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 device, an in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 device, an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for example, an electric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 surfac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SED),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using electronic ink or electrophoretic element, plasma display device, projection display device (e.g., display device having a grating light valve (GLV) display device,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and piezoelectric And a ceramic display, etc.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ny of a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direct view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roj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like. The display apparatus which displays a two-dimensional image may be sufficient, and the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which displays a three-dimensional image may be sufficient.

본 편광막은 특히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 장치 또는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 장치의 표시 장치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Especially this polarizing film can be used effectively for the display apparatus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 display apparatus or an inorganic electroluminescent (EL) display apparatus.

도 3은 본 편광막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이하, 경우에 따라 「본 액정 표시 장치」라고 함)(1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액정층(17)은 2장의 기판(14a) 및 기판(14b)에 의해 끼워져 있다.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enceforth "thi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 using this polarizing film. The liquid crystal layer 17 is sandwiched by two substrates 14a and 14b.

도 6 및 도 10은 본 편광막을 이용한 EL 표시 장치(이하, 경우에 따라 「본 EL 표시 장치」라고 함)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6 and 10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 EL display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ain EL display device") using the present polarizing film.

도 11은 본 편광막을 이용한 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is polarizing film.

우선은 도 3에 도시하는 본 액정 표시 장치(10)에 관해서 설명한다. First, the pres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기판(14a)의 액정층(17)측에는 컬러 필터(15)가 배치되어 있다. 컬러 필터(15)가 액정층(17)을 사이에 두고서 화소 전극(22)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블랙 매트릭스(20)가 화소 전극 사이의 경계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투명 전극(16)이 컬러 필터(15) 및 블랙 매트릭스(20)를 덮도록 액정층(17)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컬러 필터(15)와 투명 전극(16) 사이에 오버코트층(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The color filter 15 is arranged on the liquid crystal layer 17 side of the substrate 14a. The color filter 15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pixel electrode 22 with the liquid crystal layer 17 therebetween, and the black matrix 20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boundary between the pixel electrodes. The transparent electrode 16 is disposed on the liquid crystal layer 17 side so as to cover the color filter 15 and the black matrix 20. In addition, you may have the overcoat layer (not shown) between the color filter 15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16. FIG.

기판(14b)의 액정층(17)측에는 박막 트랜지스터(21)와 화소 전극(22)이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화소 전극(22)은 액정층(17)을 사이에 두고서 컬러 필터(15)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21)와 화소 전극(22) 사이에는 접속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층간 절연막(18)이 배치되어 있다. The thin film transistor 21 and the pixel electrode 22 are regularly arranged on the liquid crystal layer 17 side of the substrate 14b. The pixel electrode 22 is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lor filter 15 with the liquid crystal layer 17 therebetween.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18 having a connection hole (not shown) is disposed between the thin film transistor 21 and the pixel electrode 22.

기판(14a) 및 기판(14b)으로서는 유리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이 이용된다. 이러한 유리 기판이나 플라스틱 기판은 본 편광막 제조에 이용하는 투명 기재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재질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편광막의 투명 기판(1)이 기판(14a) 및 기판(14b)을 겸하고 있더라도 좋다. 기판 상에 형성되는 컬러 필터(15)나 박막 트랜지스터(21)를 제조할 때 고온으로 가열하는 공정이 필요한 경우는, 유리 기판이나 석영 기판이 바람직하다. As the board | substrate 14a and the board | substrate 14b, a glass substrate and a plastic substrate are used. Such a glass substrate and a plastic substrate can employ | adopt the thing of the same material as what was illustrated as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used for this polarizing film manufacture. In additi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 of this polarizing film may serve as the board | substrate 14a and the board | substrate 14b. When manufacturing the color filter 15 and thin film transistor 21 formed on a board | substrate, when the process of heating at high temperature is necessary, a glass substrate or a quartz substrate is preferable.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14b)의 재질에 따라서 최적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21)로서는 석영 기판 상에 형성하는 고온 폴리실리콘 트랜지스터, 유리 기판 상에 형성하는 저온 폴리실리콘 트랜지스터,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형성하는 아모퍼스 실리콘 트랜지스터를 들 수 있다. 본 액정 표시 장치를 보다 소형화하기 위해서 드라이버 IC가 기판(14b) 상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As the thin film transistor, an optimal one can be adopt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14b. Examples of the thin film transistor 21 include a high temperature polysilicon transistor formed on a quartz substrate, a low temperature polysilicon transistor formed on a glass substrate, and an amorphous silicon transistor formed on a glass substrate or a plastic substrate.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driver IC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4b.

투명 전극(16)과 화소 전극(22) 사이에는 액정층(17)이 배치되어 있다. 액정층(17)에는 기판(14a) 및 기판(14b)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스페이서(23)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기둥형의 스페이서로 도시하지만, 상기 스페이서는 기둥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판(14a) 및 기판(14b)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 그 형상은 임의이다. The liquid crystal layer 17 is dis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electrode 16 and the pixel electrode 22. In the liquid crystal layer 17, spacers 23 are disposed in order to keep the distance between the substrate 14a and the substrate 14b constant. In addition, although shown as a columnar spacer in FIG. 3, the said spacer is not limited to a columnar shape, The shape is arbitrary as long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oard | substrate 14a and the board | substrate 14b can be kept constant.

각 부재는 기판(14a), 컬러 필터(15) 및 블랙 매트릭스(20), 투명 전극(16), 액정층(17), 화소 전극(22), 층간 절연막(18) 및 박막 트랜지스터(21), 및 기판(14b)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Each member includes a substrate 14a, a color filter 15 and a black matrix 20, a transparent electrode 16, a liquid crystal layer 17, a pixel electrode 22,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18 and a thin film transistor 21, And the substrate 14b in this order.

이러한 액정층(17)을 사이에 두고 있는 기판(14a) 및 기판(14b) 중, 기판(14b)의 외측에는 편광자(12a 및 12b)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본 편광자가 이용된다. Of the board | substrate 14a and 14b which sandwich this liquid crystal layer 17, the polarizer 12a and 12b is provided in the outer side of the board | substrate 14b, and the polarizer which this saw is used for at least one of them. .

또한, 위상차층(예컨대, 1/4 파장판이나 광학 보상 필름)(13a 및 13b)이 적층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편광자(12a 및 12b) 중, 본 편광막을 편광자(12b)에 배치함으로써, 입사광을 직선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본 액정 표시 장치(10)에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위상차 필름(13a 및 13b)은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나 액정층(17)에 포함되는 액정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배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고, 투명 기판이 위상차 필름이며, 본 편광막을 포함하는 원편광판을 이용한 경우는 그 위상차 필름을 위상차층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도 3의 위상차층(13a 및/또는 13b)을 생략할 수도 있다. 본 편광자의 광출사측(외측)에 편광 필름을 더 설치하더라도 좋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retardation layers (for example, quarter wave plate and optical compensation film) 13a and 13b are laminated | stacked. By arranging this polarizing film in the polarizer 12b among the polarizers 12a and 12b, the function of converting incident light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can be impart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 On the other hand, the retardation films 13a and 13b may not be disposed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kind of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ncluded in the liquid crystal layer 17,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a retardation film, and the original containing the polarizing film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used, since the retardation film can be used as a retardation layer, the retardation layer 13a and / or 13b of FIG. 3 can also be abbreviate | omitted. You may provide a polarizing film further on the light output side (outer side) of this polarizer.

또한, 본 편광자의 외측에(본 편광막에 편광 필름을 더 설치한 경우는 그 외측에), 외광의 반사를 막기 위한 반사 방지막이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Moreover, the antireflection film for preventing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may be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present polarizer (outside when a polarizing film is further provided in this polarizing film).

상술한 대로, 도 3의 본 액정 표시 장치(10)의 편광자(12a 또는 12b)에 본 편광자를 이용할 수 있다. 본 편광자를 편광자(12a 및/또는 12b)에 설치함으로써 본 액정 표시 장치(10)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polarizer can be used for the polarizer 12a or 12b of the pres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 of FIG. 3. By providing the present polarizer in the polarizers 12a and / or 12b,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hinning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 can be achieved.

본 편광자를 편광자(12a 또는 12b)에 이용하는 경우, 그 적층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을 도 3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A 및 B 부분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When using this polarizer for the polarizer 12a or 12b, the lamination ord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nlarged views of portions A and B surrounded by the dotted lines in FIG. 3.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 모식 단면도이다. 도 4의 (A1)은 본 편광자(100)를 편광자(12a)로서 이용하는 경우, 위상차층(13a)측으로부터 본 편광막(3), 광배향막(2) 및 투명 기재(1)가 상기 순서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4의 (A2)는 위상차층(13a)측으로부터 투명 기재(1), 광배향막(2) 및 본 편광막(3)이 상기 순서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4 is an enlarged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In FIG. 4A, when the present polarizer 100 is used as the polarizer 12a, the polarizing film 3, the optical alignment film 2,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1 viewed from the retardation layer 13a side are in this order. It is installed so that it is arrange | positioned. 4 (A2) shows that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1, the optical alignment film 2, and the present polarizing film 3 are arranged so as to be arranged in the above order from the retardation layer 13a side.

도 5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5의 (B1)은 본 편광자(100)를 편광자(12b)로서 이용하는 경우, 위상차 필름(13b)측으로부터 투명 기재(1), 광배향막(2) 및 본 편광막(3)이 이 순서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도 5의 (B2)는 본 편광자(100)를 편광자(12b)로서 이용하는 경우, 위상차 필름(13b)측으로부터 본 편광막(3), 광배향막(2) 및 투명 기재(1)가 이 순서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5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a portion B of FIG. 3. When (B1) of FIG. 5 uses this polarizer 100 as a polarizer 12b,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1, the photo-alignment film 2, and this polarizing film 3 are in this order from the retardation film 13b side. Installed to be deployed. In FIG. 5B, when the present polarizer 100 is used as the polarizer 12b, the polarizing film 3, the optical alignment film 2,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1 viewed from the retardation film 13b side are in this order. Installed to be deployed.

편광자(12b)의 외측에는 발광원인 백라이트 유닛(19)이 배치되어 있다. 백라이트 유닛(19)은 광원, 도광체, 반사판, 확산 시트 및 시야각 조정 시트를 포함한다. 광원으로서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냉음극관, 열음극관, 발광 다이오드(LED),레이저 광원 및 수은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원의 특성에 맞춰 본 편광막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The backlight unit 19 which is a light emitting source is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polarizer 12b. The backlight unit 19 includes a light source, a light guide, a reflector, a diffusion sheet, and a viewing angle adjustment sheet. As a light source, an electroluminescence, a cold cathode tube, a hot cathode tu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aser light source, a mercury lamp, etc. are mentioned. Moreover, the kind of polarizing film see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such a light source can be selected.

본 액정 표시 장치(10)가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백라이트 유닛(19) 중의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백색광은 도광체에 입사하여, 반사판에 의해서 진로가 바뀌어 확산 시트에서 확산되고 있다. 확산광은 시야각 조정 시트에 의해서 원하는 지향성을 갖도록 조정된 후에 백라이트 유닛(19)으로부터 편광자(12b)에 입사한다. In the case wher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 is a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t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in the backlight unit 19 enters the light guide, and the path is changed by the reflecting plate and diffused in the diffusion sheet. The diffused light is incident on the polarizer 12b from the backlight unit 19 after being adjusted to have the desired directivity by the viewing angle adjusting sheet.

무편광인 입사광 중, 어떤 한쪽의 직선 편광만이 액정 패널의 편광자(12b)를 투과한다. 상기 직선 편광은 위상차층(13b)에 의해서 원편광 혹은 타원편광으로 변환되고, 기판(14b), 화소 전극(22) 등을 순차 투과하여 액정층(17)에 이른다. Of the non-polarized incident light, only one linearly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polarizer 12b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s converted into circularly or elliptically polarized light by the phase difference layer 13b,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substrate 14b, the pixel electrode 22, and the like to reach the liquid crystal layer 17. FIG.

여기서 화소 전극(22)과 대향하는 투명 전극(16) 사이의 전위차의 유무에 의해, 액정층(17)에 포함되는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가 변화되어, 본 액정 표시 장치(10)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휘도가 제어된다. 액정층(17)이 편광을 변환하여 투과시키는 배향 상태인 경우, 그 편광은 액정층(17), 투명 전극(16)을 투과하고, 어떤 특정 파장 범위의 빛이 컬러 필터(15)를 투과하여 편광자(12a)에 이르고, 액정 표시 장치는 컬러 필터로 결정되는 색을 가장 밝게 표시한다. Here,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pixel electrode 22 and the opposing transparent electrode 16, the alignment state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ncluded in the liquid crystal layer 17 is changed,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es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 is changed. The luminance of is controlled. When the liquid crystal layer 17 is in an alignment state in which the polarized light is converted and transmitted, the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17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16, and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range passes through the color filter 15. The polarizer 12a is reached,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isplays the color determined by the color filter brightest.

반대로, 액정층(17)이 편광을 그대로 투과시키는 배향 상태인 경우, 액정층(17), 투명 전극(16) 및 컬러 필터(15)를 투과한 빛은 편광자(12a)에 흡수된다. 이로써, 상기 화소는 흑을 표시한다. 이들 2개 상태의 중간의 배향 상태에서는 본 액정 표시 장치(10)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휘도도 상기 양자의 중간으로 되기 때문에, 이 화소는 중간색을 표시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liquid crystal layer 17 is in an alignment state that transmits polarized light as it is,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17, the transparent electrode 16, and the color filter 15 is absorbed by the polarizer 12a. Thus, the pixel displays black. In the intermediate alignment state between these two states, since the luminance of light emitted from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 also becomes the middle of the above, this pixel displays the intermediate color.

본 액정 표시 장치(10)가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본 편광자의 본 편광막측에 1/4 파장판을 더 적층시킨 것(원편광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화소 전극(22)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투과부와 빛을 반사하는 재료로 형성된 반사부를 가지며, 투과부에서는 전술한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식으로 하여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반사부에서는, 외광이 액정 표시 장치에 입사하여, 본 편광막에 더 구비된 1/4 파장판의 작용에 의해 본 편광막을 투과한 원편광이 액정층(17)을 통과하고, 화소 전극(22)에 의해서 반사되어 표시에 이용된다. When thi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 is a semi-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is preferable to use what laminated | stacked the 1/4 wavelength plate further (circular polarizing plate) on this polarizing film side of this polarizer. At this time, the pixel electrode 22 has a transmissive portion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reflecting portion formed of a material that reflects light, and the transmissive portion displays an image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n the other hand, in the reflecting portion, external light enter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rcularly polarized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polarizing film by the action of the quarter wave plate further provided in the polarizing film passes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17, and the pixel electrode ( Is reflected by 22) and used for display.

이어서, 본 편광막을 이용한 본 EL 표시 장치(30)에 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EL 표시 장치에 본 편광막을 이용하는 경우, 본 편광막을 원편광판(이하, 경우에 따라 「본 원편광판」이라고 함)으로 하고 나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원편광판에는 2개의 실시형태가 있다. 그래서, 본 EL 표시 장치(30)의 구성 등을 설명하기 전에, 본 원편광판의 2개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present EL display device 30 using the present polarizing fil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When using this polarizing film for this EL display device, it is preferable to use it after making this polarizing film into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henceforth "this circularly polarizing plate"). This circular polarizing plate has two embodiments. Therefore, two embodiments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before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the like of the EL display device 30.

도 7의 (A)는 본 원편광판(110)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상기 제1 실시형태는, 본 편광자(100) 중의 본 편광막(3) 상에 위상차층(위상차 필름)(4)을 더 형성한 본 원편광판(110)이다. 도 7의 (B)는 본 원편광판(110)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제2 실시형태는, 본 편광자를 제조할 때에 이용하는 투명 기재(1)에 미리 위상차성이 부여되어 있는 투명 기재(1)(위상차 필름(4))를 이용함으로써, 투명 기재(1) 자체가 위상차층(4)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으로 한 본 원편광판(110)이다. FIG. 7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The said 1st Embodiment is this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which further provided the retardation layer (phase difference film) 4 on this polarizing film 3 in this polarizer 100. FIG. 7B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This 2nd Embodiment uses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1 (retardation film 4) in which phase difference property was previously provided to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1 used when manufacturing this polarizer, and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1 itself is This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has a function as the phase difference layer 4.

본 편광막을 포함하는 본 원편광판으로서는, 상술한 본 원편광판의 제2 실시형태이면 구성이 간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이 경우는 투명 기재로서 1/4 파장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투명 기재로서 1/4 파장판을 이용하고 이하의 (A1) 및 (A2)의 요건을 만족하면 바람직하다. As this circular polarizing plate containing this polarizing film,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if it is 2nd Embodiment of this circular polarizing plate mentioned above, it is preferabl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se a 1/4 wavelength plate as a transparent base material, Furthermore, a transparent base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a quarter wave plate as the following and satisfy the following requirements (A1) and (A2).

(A1) 상기 편광막의 흡수축과 상기 1/4 파장판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45°일 것; (A1) the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low axis of the quarter wave plate is approximately 45 °;

(A2) 파장 550 nm의 광에서 측정한 상기 1/4 파장판의 정면 리타데이션의 값이 100∼150 nm의 범위일 것(A2) The value of the front retardation of the quarter wave plate measured in light of wavelength 550 nm is in the range of 100 to 150 nm.

여기서, 본 원편광판(110)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해 둔다. 원편광판(110)의 제2 실시형태는 이미 설명한 대로, 본 편광막(100)을 제조하는 본 제조 방법에 있어서, 투명 기재(1)로서 미리 위상차성이 부여된 투명 기재(1), 즉 위상차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원편광판(110)의 제1 실시형태는, 본 제조 방법 B에 의해 제조된 본 편광막(3) 상에 위상차 필름을 접합함으로써 위상차층(4)을 형성하면 된다. 한편, 본 제조 방법 B에 의해 제2 롤(220)의 형태로 본 편광막(100)을 제조한 경우에는, 상기 제2 롤(220)로부터 본 편광막(100)을 풀어내어, 소정의 치수로 재단하고 나서, 재단된 본 편광막(100)에 위상차 필름을 접합하는 형태라도 좋지만, 위상차 필름이 권심에 권취되어 있는 제3 롤을 준비함으로써, 형상이 필름형 또한 기다란 형상인 본 원편광판(110)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Her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is demonstrat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in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esent polarizing film 100,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1, that is, the phase difference, which is previously given a phase difference as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1, is used. It can manufacture by using a film.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the phase difference layer 4 may be formed by bonding a phase difference film on the present polarizing film 3 manufactured by the present production method B. FIG.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ent polarizing film 10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the second roll 220 by the present production method B, the polarizing film 100 viewed from the second roll 220 is released, and a predetermined dimension is obtained. Although the shape which bonds retardation film to the cut this polarizing film 100 after cutting with may be sufficient, this circular polarizing plate whose shape is a film-shaped and elongate shape is prepared by preparing the 3rd roll by which the retardation film is wound by the core ( 110) may also be produced continuously.

본 원편광판(110)의 제1 실시형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A method of continuously manufactur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In this manufacturing method,

상기 제2 롤(220)로부터 연속적으로 본 편광자(100)를 풀어내는 동시에, 위상차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제3 롤(230)로부터 연속적으로 상기 위상차 필름을 풀어내는 공정과, Unwinding the polarizer 100 seen continuously from the second roll 220 and simultaneously unwinding the retardation film from the third roll 230 on which the retardation film is wound;

상기 제2 롤(220)로부터 풀어내어진 본 편광자(100)에 형성된 편광막과 상기 제3 롤로부터 풀어내어진 상기 위상차 필름을 연속적으로 접합하여 본 원편광판(110)을 형성하는 공정과, Forming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10 by successively bonding a polarizing film formed on the present polarizer 100 released from the second roll 220 and the retardation film released from the third roll;

형성된 본 원편광판(110)을 제4 권심(240A)에 권취하여, 제4 롤(240)을 얻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The formed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is wound on a fourth core 240A to obtain a fourth roll 240.

이상, 본 원편광판(110)의 제1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을 설명했지만, 편광자(100) 중의 본 편광막(3)과 위상차 필름을 접합할 때에는, 적당한 점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층을 통해 본 편광막(3)과 위상차 필름을 접합하더라도 좋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1st Embodiment of this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was demonstrated, when bonding this polarizing film 3 and retardation film in the polarizer 100, it forms with the said adhesive using a suitable adhesive. The polarizing film 3 and the retardation film may be bonded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이어서, 본 원편광판(110)을 구비한 본 EL 표시 장치를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E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gain.

본 EL 표시 장치(30)는, 화소 전극(35)이 형성된 기판(33) 상에, 발광원인 유기 기능층(36) 및 캐소드 전극(37)이 적층된 것이다. 기판(33)을 사이에 두고서 유기 기능층(36)과 반대측에 원편광판(31)이 배치되고, 이러한 원편광판(31)으로서 본 원편광판(110)이 이용된다. 화소 전극(35)에 플러스의 전압, 캐소드 전극(37)에 마이너스의 전압을 가하여, 화소 전극(35) 및 캐소드 전극(37) 사이에 직류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유기 기능층(36)이 발광한다. 발광원인 유기 기능층(36)은 전자 수송층, 발광층 및 정공 수송층 등으로 이루어진다. 유기 기능층(36)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화소 전극(35), 층간 절연막(34), 기판(33), 원편광판(31)(본 원편광판(110))을 통과한다. 유기 기능층(36)을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무기 기능층을 갖는 무기 EL 표시 장치에도 적용하더라도 좋다. In the EL display device 30, an organic functional layer 36 and a cathode electrode 37 serving as light emitting sources are stacked on a substrate 33 on which a pixel electrode 35 is formed.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31 is arrang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36 with the substrate 33 therebetween, and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10 is used as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31.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36 emits light by applying a positive voltage to the pixel electrode 35 and a negative voltage to the cathode electrode 37, and applying a direct current between the pixel electrode 35 and the cathode electrode 37.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36 as a light emitting source is composed of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 hole transporting layer, and the lik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36 passes through the pixel electrode 35,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34, the substrate 33, and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31 (this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Although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which has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36 is demonstrated, you may apply also to the in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which has an inorganic functional layer.

본 EL 표시 장치(3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판(33)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40)를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34)을 성막하고, 이어서 화소 전극(35)을 스퍼터법으로 성막하여 패터닝한다. 그 후, 유기 기능층(36)을 적층한다. In order to manufacture the EL display device 30, the thin film transistor 40 is first formed on a substrate 33 in a desired shape.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34 is formed, and then the pixel electrode 35 is formed by the sputtering method and patterned. Thereafter,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36 is laminated.

이어서, 기판(33)의 박막 트랜지스터(40)가 설치되어 있는 면의 반대의 면에 원편광판(31)(본 원편광판(110))을 설치한다. Subsequently,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31 (this circularly polarizing plate 110) is provid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thin film transistor 40 of the substrate 33 is provided.

본 원편광판(110)을 원편광판(31)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그 적층 순서를 도 6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C 부분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원편광판(110)을 원편광판(31)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상기 본 원편광판(110)에 있는 위상차층(4)이 기판(33)측에 배치된다. 도 9의 (C1)은 본 원편광판(110)의 제1 실시형태를 원편광판(31)으로서 이용한 확대도이며, 도 9의 (C2)는 본 원편광판(110)의 제2 실시형태를 원편광판(31)으로서 이용한 확대도이다. When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is used as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31, the stacking proced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C surrounded by the dotted line in FIG. When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is used as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31, the retardation layer 4 in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33 side. FIG. 9C is an enlarged view us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as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31, and FIG. 9 (C2) i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It is an enlarged view used as the polarizing plate 31.

이어서, 본 EL 표시 장치(30)의 본 편광막(31)(원편광판(110)) 이외의 부재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members other than the present polarizing film 31 (circular polarizing plate 110) of the present EL display device 30 will be described.

기판(33)으로서는, 사파이어 유리 기판, 석영 유리 기판, 소다 유리 기판 및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 기판; 구리 등의 금속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기판(33) 상에 열전도성 막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열전도성 막으로서는 다이아몬드 박막(DLC 등) 등을 들 수 있다. 화소 전극(35)을 반사형으로 하는 경우는, 기판(33)과는 반대 방향으로 빛이 출사된다. 따라서, 투명 재료뿐만 아니라, 스테인리스 등의 비투과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기판은 단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복수의 기판을 접착제로 접합시켜 적층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이들 기판은 판형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름이라도 좋다. As the board | substrate 33, Ceramic substrates, such as a sapphire glass substrate, a quartz glass substrate, a soda glass substrate, and alumina; Metal substrates such as copper; Plastic substrates; Although not shown, a thermally conductive film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33. A diamond thin film (DLC etc.) etc. are mentioned as a thermally conductive film. When the pixel electrode 35 is a reflective type, light is emit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bstrate 33. Therefore, not only a transparent material but also a non-transmissive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can be used. The substrate may be formed singly or may be formed as a laminated substrate by joining a plurality of substrates with an adhesive. In addition, these board | substrates are not limited to a plate-shaped thing, A film may be sufficient.

박막 트랜지스터(40)로서는 예컨대 다결정 실리콘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하면 좋다. 박막 트랜지스터(40)는 화소 전극(35)의 단부에 설치되고, 그 크기는 10∼30 ㎛ 정도이다. 한편, 화소 전극(35)의 크기는 20 ㎛×20 ㎛∼300 ㎛×300 ㎛ 정도이다. As the thin film transistor 40, for example, a poly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 or the like may be used. The thin film transistor 4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ixel electrode 35, and its size is about 10 to 30 μm. 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pixel electrode 35 is about 20 µm × 20 µm to 300 µm × 300 µm.

기판(33)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40)의 배선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배선 전극은 저항이 낮고, 화소 전극(35)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저항치를 낮게 억제하는 기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그 배선 전극은 Al, Al 및 전이 금속(단 Ti를 제외함), Ti 또는 질화티탄(TiN)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사용된다. Wiring electrodes of the thin film transistor 40 are provided on the substrate 33. The wiring electrode has a low resistance and has a function of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the pixel electrode 35 to suppress the resistance value. Generally, the wiring electrode has Al, Al and transition metals (except Ti), Ti, or nitride. Any one or two or more kinds of titanium (TiN) are used.

박막 트랜지스터(40)와 화소 전극(35)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34)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34)은 SiO2 등의 산화규소, 질화규소 등의 무기계 재료를 스퍼터나 진공 증착으로 성막한 것, SOG(스핀 온 글래스)로 형성한 산화규소층, 포토레지스트, 폴리이미드 및 아크릴 수지 등의 수지계 재료의 도막 등, 절연성을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4 is formed between the thin film transistor 40 and the pixel electrode 35.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34 is formed by sputtering or vacuum vapor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s such as silicon oxide and silicon nitride such as SiO 2 , silicon oxide layer formed of SOG (spin on glass), photoresist, polyimide, acrylic resin, and the like. Any may be used as long as it has insulation such as a coating film of a resin-based material.

층간 절연막(34) 상에 리브(41)를 형성한다. 리브(41)는 화소 전극(35)의 주변부(인접 화소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리브(41)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리브(4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3.5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2.5 ㎛ 이하이다. The ribs 41 are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34. The rib 41 is disposed at the periphery (between adjacent pixels) of the pixel electrode 35.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ribs 41 include acrylic resins and polyimide resins. The thickness of the ribs 41 is preferably 1.0 µm or more and 3.5 µ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5 µm or more and 2.5 µm or less.

이어서, 투명 전극인 화소 전극(35)과 발광원인 유기 기능층(36)과 캐소드 전극(37)으로 이루어지는 EL 소자에 관해서 설명한다. 유기 기능층(36)은 각각 적어도 1층의 홀 수송층 및 발광층을 가지며, 예컨대, 전자 주입 수송층, 발광층,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주입층을 순차 갖는다. Next, an EL element including the pixel electrode 35 serving as a transparent electrode,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36 serving as a light emitting source, and the cathode electrode 37 will be described.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36 has at least one hole transport layer and a light emitting layer, respectively, and has, for example, an electron injection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d a hole injection layer in sequence.

화소 전극(35)으로서는 예컨대 ITO(주석 도핑 산화인듐), IZO(아연 도핑 산화인듐), IGZO, ZnO, SnO2 및 In2O3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ITO나 IZO가 바람직하다. 화소 전극(35)의 두께는 홀 주입을 충분히 행할 수 있는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지면 되며, 10∼500 n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pixel electrode 35 include ITO (tin doped indium oxide), IZO (zinc doped indium oxide), IGZO, ZnO, SnO 2, and In 2 O 3 , but ITO and IZO are particularly preferable. The thickness of the pixel electrode 35 should just have a thickness more than a fixed enough to perform hole injection, and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about 10-500 nm.

화소 전극(35)은 증착법(바람직하게는 스퍼터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스퍼터 가스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Ar,He, Ne, Kr 및 Xe 등의 불활성 가스 혹은 이들의 혼합 가스를 이용하면 된다. The pixel electrode 35 can be formed by vapor deposition (preferably sputtering). The sputtering ga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 inert gas such as Ar, He, Ne, Kr, and Xe or a mixed gas thereof may be used.

캐소드 전극(37)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K, Li, Na, Mg, La, Ce, Ca, Sr, Ba, Al, Ag, In, Sn, Zn 및 Zr 등의 금속 원소가 이용되면 되는데, 전극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예시한 금속 원소에서 선택되는 2 성분 또는 3 성분의 합금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금계로서는 예컨대 Ag·Mg(Ag: 1∼20 at%), Al·Li(Li: 0.3∼14 at%), In·Mg(Mg: 50∼80 at%) 및 Al·Ca(Ca: 5∼20 at%) 등이 바람직하다. As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cathode electrode 37, metal elements such as K, Li, Na, Mg, La, Ce, Ca, Sr, Ba, Al, Ag, In, Sn, Zn and Zr may be used. In order to improve the operational stability, it is preferable to use a two- or three-component alloy system selected from the illustrated metal elements. Examples of the alloy system include Ag.Mg (Ag: 1 to 20 at%), Al.Li (Li: 0.3 to 14 at%), In.Mg (Mg: 50 to 80 at%), and Al.Ca (Ca: 5 -20 at%), etc. are preferable.

캐소드 전극(37)은 증착법 및 스퍼터법 등에 의해 형성된다. 캐소드 전극(37)의 두께는 0.1 nm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thode electrode 37 is formed by a vapor deposition method, a sputtering method, or the like. The thickness of the cathode electrode 37 is preferably 0.1 nm or more, preferably 1 to 500 nm.

정공 주입층은 화소 전극(35)으로부터의 정공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며, 정공 수송층은 정공을 수송하는 기능 및 전자를 방해하는 기능을 지니며, 전하 주입층이나 전하 수송층이라고도 불린다. The hole injection layer has a function of facilitating the injection of holes from the pixel electrode 35. The hole transport layer has a function of transporting holes and a function of interrupting electrons, and is also called a charge injection layer or a charge transport layer.

발광층의 두께,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을 합한 두께 및 전자 주입 수송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형성 방법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5∼100 n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주입층이나 정공 수송층에는 각종 유기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정공 주입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 수송층의 형성에는 균질한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진공증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light emitting layer, the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ng layer and the hole transporting layer combined, and the thickness of the electron injecting transporting layer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Various organic compounds can be used for the hole injection layer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vacuum evaporation method can be used in that a homogeneous thin film can be formed for formation of a hole injection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transport layer.

발광원인 유기 기능층(36)으로서는 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형광)을 이용하는 것, 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인광)을 이용하는 것, 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형광)을 이용하는 것과 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인광)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유기물에 의해서 형성된 것, 유기물에 의해서 형성된 것과 무기물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 고분자의 재료, 저분자의 재료, 고분자의 재료와 저분자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EL 소자용으로서 공지된 여러 가지 것을 이용한 유기 기능층(36)을 본 EL 표시 장치(30)에 이용할 수 있다.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36 as a light emitting source uses light emission from the singlet excitons (fluorescence), light emission from the triplet excitons (phosphorescence), light emission from the singlet excitons (fluorescence) and triplet excitons. Comprising using luminescence (phosphorescence) from, including those formed by organics, those formed by organics and those formed by inorganics, including polymer materials, low molecular materials, high molecular materials and low molecular materials Etc. can be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36 using various known materials for the EL element can be used for the present EL display device 30.

캐소드 전극(37)과 밀봉 뚜껑(39)과의 공간에는 건조제(38)를 배치한다. 이것은 유기 기능층(36)은 습도에 약하기 때문이다. 건조제(38)에 의해 수분을 흡수하여 유기 기능층(36)의 열화를 방지한다. A desiccant 38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37 and the sealing lid 39. This is because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36 is weak in humidity. Moisture is absorbed by the desiccant 38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36.

도 10은 본 EL 표시 장치(30)의 다른 양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본 EL 표시 장치(30)는 박막 밀봉막(42)을 이용한 밀봉 구조를 지니며, 어레이 기판의 반대면으로부터도 출사광을 얻을 수 있다.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EL display device 30. This EL display device 30 has a sealing structure using the thin film sealing film 42, and can emit light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array substrate.

박막 밀봉막(42)로서는 전해 콘덴서의 필름에 DLC(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를 증착한 DLC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LC막은 수분 침투성이 매우 나쁘다고 하는 특성이 있고, 방습 성능이 높다. 또한, DLC막 등을 캐소드 전극(37)의 표면에 직접 증착하여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수지 박막과 금속 박막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박막 밀봉막(42)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As the thin film sealing film 42, it is preferable to use a DLC film in which DLC (diamond-like carbon) is deposited on the film of the electrolytic capacitor. DLC membrane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water permeability is very bad, and high moisture-proof performance. A DLC film or the like may also be formed by directly depositing the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37. The thin film sealing film 42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resin thin film and a metal thin film in multiple layers.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편광막(본 편광막) 및 본 편광막을 구비한 신규의 표시 장치(본 액정 표시 장치 및 본 EL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As mentioned above, the novel polarizing film (this polarizing film)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the novel display apparatus (thi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is E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is polarizing film are provided.

마지막으로, 본 편광막을 이용한 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Finally, a 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is polarizing film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본 편광막을 이용한 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present polarizing film.

이 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편광자(142) 및/또는 편광자(143)로서 본 편광막은 이용된다. This polarizing film is used as the polarizer 142 and / or the polarizer 143 of this proj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발광원인 광원(예컨대, 고압 수은 램프)(111)로부터 출사된 광선 다발은 우선은 제1 렌즈 어레이(112), 제2 렌즈 어레이(113), 편광 변환 소자(114), 중첩 렌즈(115)를 통과함으로써 반(反)광선 다발 단면에서의 휘도의 균일화와 편광화가 이루어진다. The bundle of rays emitted from a light source (eg, a high-pressure mercury lamp) 111 that is a light emitting source first includes the first lens array 112, the second lens array 113, the polarization converting element 114, and the overlapping lens 115. By passing through, uniformity and polarization of the luminanc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anti-ray bundle is achieved.

구체적으로는 광원(111)으로부터 출사된 광선 다발은 미소한 렌즈(112a)가 매트릭스형으로 형성된 제1 렌즈 어레이(112)에 의해서 다수의 미소한 광선 다발로 분할된다. 제2 렌즈 어레이(113) 및 중첩 렌즈(115)는, 분할된 광선 다발의 각각이 조명 대상인 3개의 액정 패널(140R, 140G, 140B) 전체를 조사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이 때문에 각 액정 패널 입사측 표면은 전체가 거의 균일한 조도로 된다. Specifically, the light bundle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inute light bundles by the first lens array 112 in which the minute lenses 112a are formed in a matrix. The second lens array 113 and the overlapping lens 115 are provided so that each of the divided light beam bundles irradiates all three liquid crystal panels 140R, 140G, and 140B to be illuminated, and for this reason, each liquid crystal panel incident side The surface is roughly uniform throughout.

편광 변환 소자(114)는 편광 빔 스플리터 어레이에 의해 구성되어, 제2 렌즈 어레이(113)와 중첩 렌즈(115)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광원으로부터의 랜덤 편광을 미리 특정한 편광 방향을 갖는 편광으로 변환하여, 후술하는 입사측 편광자에서의 광량 손실을 저감하여, 화면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The polarization converting element 114 is constituted by a polarization beam splitter array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ens array 113 and the overlapping lens 115. As a result, the random polarization from the light source is converted into polarization having a specific polarization direction in advanc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light loss at the incident side polarizer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improving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상기한 것과 같이 휘도 균일화 및 편광화된 빛은 반사 미러(122)를 경유하여 RGB의 3원색으로 분리하기 위한 다이크로익 미러(121, 123, 132)에 의해 순차 레드 채널, 그린 채널, 블루 채널로 분리되어, 각각 액정 패널(140R, 140G, 140B)에 입사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luminance uniformized and polarized light are sequentially red, green, and blue channels by dichroic mirrors 121, 123, and 132 for separating the three primary colors of RGB via the reflection mirror 122. Are separated, and are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panels 140R, 140G, and 140B, respectively.

액정 패널(140R, 140G, 140B)에는 그 입사측에는 편광자(142)가 배치되고, 출사측에는 편광자(143)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편광자(142), 편광자(143)에 본 편광막을 이용할 수 있다. Polarizers 142 are disposed on the incident side of the liquid crystal panels 140R, 140G, 140B, and polarizers 143 are disposed on the exit side, respectively. The polarizer film can be used for the polarizer 142 and the polarizer 143.

RGB 각 광로에 배치되는 편광자(142) 및 편광자(143)는 각각의 흡수축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광로에 배치되는 각 액정 패널(140R, 140G, 140B)은 화상 신호에 의해 화소마다 제어된 편광 상태를 광량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The polarizer 142 and the polarizer 143 arrange | positioned at each optical path of RGB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each absorption axis may orthogonally cross. Each liquid crystal panel 140R, 140G, 140B disposed in each optical path has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polarization state controlled for each pixel by the image signal into the amount of light.

본 편광막(100)은 대응하는 채널에 알맞은 이색성 색소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블루 채널, 그린 채널 및 레드 채널 등의 광로에 있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막으로서 유용하다. The polarizing film 100 is useful as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durability even in optical paths such as a blue channel, a green channel, and a red channel by selecting a kind of dichroic dye suitable for a corresponding channel.

액정 패널(140R, 140G, 140B)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화소마다 다른 투과율로 입사광을 투과시킴으로써 작성된 광학상은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150)에 의해 합성되어, 투사 렌즈(170)에 의해서 스크린(180)에 확대 투사된다. Optical images created by transmitting incident light at different transmittances for each pixel according to the image data of the liquid crystal panels 140R, 140G, 140B are synthesized by the cross dichroic prism 150, and the screen 180 is projected by the projection lens 170. Is projected enlarged.

전자 페이퍼로서는 광학 이방성과 염료 분자 배향과 같은 분자에 의해 표시되는 것, 전기 영동, 입자 이동, 입자 회전, 상 변화와 같은 입자에 의해 표시되는 것, 필름의 일단이 이동함으로써 표시되는 것, 분자의 발색/상 변화에 의해 표시되는 것, 분자의 광흡수에 의해 표시되는 것, 전자와 홀이 결합하여 자발광에 의해 표시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캡슐형 전기 영동, 수평 이동형 전기 영동, 수직 이동형 전기 영동, 구형 트위스트 볼, 자기 트위스트 볼, 원주 트위스트 볼 방식, 대전 토너, 전자분 유체, 자기 영동형, 자기 감열식, 일렉트로웨팅, 광산란(투명/백탁 변화), 콜레스테릭 액정/광도전층, 콜레스테릭 액정, 쌍안정성 네마틱 액정, 강유전성 액정, 이색성 색소·액정 분산형, 가동 필름, 류코 염료에 의한 발소색, 포토크로믹, 일렉트로크로믹, 일렉트로데포지션, 플렉시블 유기 EL 등을 들 수 있다. 전자 페이퍼는 텍스트나 화상을 개인적으로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광고 표시(signage) 등에 이용되는 것이라도 좋다. 본 편광막에 따르면, 전자 페이퍼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Examples of electronic paper include those represented by molecules such as optical anisotropy and dye molecule orientation, those represented by particles such as electrophoresis, particle movement, particle rotation, and phase change, those represented by movement of one end of the film, molecular What is indicated by color development / phase change, what is represented by light absorption of a molecule, what is displayed by self-luminescence by combining an electron and a hole, etc. are mentioned. More specifically, microcapsule type electrophoresis, horizontal moving type electrophoresis, vertical moving type electrophoresis, spherical twist ball, magnetic twist ball, circumferential twist ball method, charging toner, electromagnetic fluid, magnetophoretic type, magnetic thermal type, electrophoresis Wetting, light scattering (transparency / cloudy change), cholesteric liquid crystal / photoconductive layer, cholesteric liquid crystal, bistable nematic liquid crystal,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chroic dye-liquid crystal dispersion type, movable film, color development by leuco dye, Photochromic, electrochromic, electrodeposition, flexible organic EL, etc. are mentioned. The electronic paper may be used not only for personal use of texts or images but also for advertisement signage. According to this polarizing film, the thickness of an electronic paper can be made thin.

입체 표시 장치로서는 예컨대 마이크로폴 방식과 같이 교대로 상이한 위상차 필름을 배열시키는 방법이 제안(일본 특허 공개 2002-185983호 공보)되어 있는데, 본 편광막을 이용하면, 인쇄, 잉크젯, 포토리소그래피 등에 의해 패터닝이 용이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을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위상차 필름이 불필요하게 된다.As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method of arranging different phase difference films alternately, such as a micropole method, has been propose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185983). With this polarizing film, patterning is performed by printing, inkjet, photolithography, or the like. Since it is eas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splay apparatus can be shortened and a retardation film becomes unnecessary.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예에서의 「%」 및 「부」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질량% 및 질량부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n the examples, &quot;% &quot; and &quot; part &quot; are parts by mass and parts by mass unless otherwise specified.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의 이색성 색소(1)를 이용했다. In the present Example, the following dichroic dye (1) was used.

화합물(1-1)(하기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Preparation of compound (1-1)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1-1))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3

화합물(1-1)은 하기 스킴에 의해서 합성했다. Compound (1-1) was synthesized by the following scheme.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4

식 (1B)으로 표시되는 화합물[화합물(1B)] 5.00 g, 4-히드록시안식향산에틸 4.63 g, 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0.23 g 및 클로로포름 25 g을 혼합하여, 차광·질소 분위기 하에, 5℃에서 10분간 교반했다. 얻어진 혼합액에,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IPC) 2.58 g을 5분 걸쳐 적하하고, 또한 4시간 교반했다. 얻어진 반응액에 메탄올 75 g을 가하고 정석(晶析)하여 결정을 여과하여 취했다. 결정을 또한 동량의 메탄올로 세정한 후, 진공 건조함으로써 화합물(1-1)을 6.78 g 얻었다. 수율은 화합물(1B) 기준으로 87%였다. 5.00 g of the compound [Compound (1B)] represented by the formula (1B), 4.63 g of 4-hydroxyethyl benzoate, 0.23 g of dimethylaminopyridine (DMAP), and 25 g of chloroform were mixed to each other at 5 ° C under a light-shielding / nitrogen atmosphere. It stirred for 10 minutes. 2.58 g of diisopropyl carbodiimide (IPC) was dripped at the obtained liquid mixture over 5 minutes, and also it stirred for 4 hours. 75 g of methanol was added to the obtained reaction solution, crystallized, and the crystals were collected by filtration. The crystals were further washed with the same amount of methanol and then vacuum dried to yield 6.78 g of compound (1-1). The yield was 87% based on compound (1B).

화합물(1-1)의 1H-NMR(CDCl3): δ(ppm) 1.41(t, 3H), 3.12(s, 6H), 4.40(m, 2H), 6.76(m, 2H), 7.33(m, 2H), 7.93(dd, 4H), 8.15(m, 2H), 8.30(m, 2H). 1 H-NMR (CDCl 3 ) of Compound (1-1): δ (ppm) 1.41 (t, 3H), 3.12 (s, 6H), 4.40 (m, 2H), 6.76 (m, 2H), 7.33 ( m, 2H), 7.93 (dd, 4H), 8.15 (m, 2H), 8.30 (m, 2H).

화합물(1-7)(하기 (1-7)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Preparation of compound (1-7)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1-7))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5

화합물(1-7)은 하기 스킴에 의해서 합성했다. Compound (1-7) was synthesized by the following scheme.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6

화합물(1B) 5.00 g, 4-부틸옥시페놀 4.63 g, DMAP 0.23 g 및 클로로포름 25 g을 혼합하여, 차광·질소 분위기 하에, 5℃에서 10분간 교반했다. 얻어진 혼합액에 IPC 2.58 g을 5분 걸쳐 적하하고, 4시간 더 교반했다. 얻어진 반응액에 메탄올 75 g을 가하고 정석하여 결정을 여과하여 취했다. 결정을 50 g의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용해시켜, 불용물을 셀라이트 여과했다. 여액을 회수하여 물로 정석했다. 얻어진 결정을 또한 50 g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하여 불용물을 여과로 제거한 후, 헵탄을 가하여 정석하고, 진공 건조함으로써 화합물(1-7)을 4.66 g 얻었다. 수율은 화합물(1B) 기준으로 60%였다. 5.00 g of compound (1B), 4.63 g of 4-butyloxyphenol, 0.23 g of DMAP, and 25 g of chloroform were mixed and stirred for 10 minutes at 5 ° C under a light-shielding / nitrogen atmosphere. IPC 2.58g was dripped at the obtained liquid mixture over 5 minutes, and it stirred further for 4 hours. 75 g of methanol was added to the obtained reaction solution, crystallized, and the crystals were collected by filtration. The crystals were dissolved in 50 g of dimethylacetamide, and the insolubles were filtered through Celite. The filtrate was recovered and crystallized with water. The obtained crystal was further dissolved in 50 g of tetrahydrofuran to remove the insolubles by filtration, followed by crystallization by adding heptane, followed by vacuum drying to obtain 4.66 g of compound (1-7). The yield was 60% based on compound (1B).

화합물(1-7)의 1H-NMR(CDCl3): δ(ppm) 0.99(t, 3H), 1.45(m, 2H), 1.78(m, 2H), 3.12(s, 6H), 3.98(t, 2H), 6.77(m, 2H), 6.93(m, 2H), 7.15(m, 2H), 7.92(dd, 4H), 8.29(dd, 2H). 1 H-NMR (CDCl 3 ) of Compound (1-7): δ (ppm) 0.99 (t, 3H), 1.45 (m, 2H), 1.78 (m, 2H), 3.12 (s, 6H), 3.98 ( t, 2H), 6.77 (m, 2H), 6.93 (m, 2H), 7.15 (m, 2H), 7.92 (dd, 4H), 8.29 (dd, 2H).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이용했다. In the present Example, the following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was used.

화합물(4-6)(하기 식 (4-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Compound (4-6)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6))

화합물(4-6)은 Lub et al. Recl. Trav. Chim. Pays-Bas, 115, 321-328(1996)에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했다. Compound (4-6) is described by Lub et al. Recl. Trav. Chim. It synthesize | combined by the method described by Pays-Bas, 115, 321-328 (1996).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7

〔상 전이 온도의 측정〕[Measurement of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화합물(4-6)의 상 전이 온도는 화합물(4-6)로 이루어지는 막의 상 전이 온도를 구함으로써 확인했다. 그 조작은 이하와 같다.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of compound (4-6) was confirmed by calculating | requiring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lm | membrane which consists of compound (4-6). The operation is as follows.

배향막을 형성한 유리 기판 상에 화합물(4-6)로 이루어지는 막을 형성하여, 가열하면서 편광 현미경(BX-51, 올림푸스사 제조)에 의한 텍스쳐 관찰에 의해서 상 전이 온도를 확인했다. 화합물(4-6)로 이루어지는 막은 120℃까지 온도를 올린 후, 온도를 내릴 때에 있어서, 112℃에서 네마틱상으로 상 전이하고, 110℃에서 스멕틱 A상으로 상 전이하고, 94℃에서 스멕틱 B상으로 상 전이했다. The film | membrane which consists of a compound (4-6) was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in which the oriented film was formed, and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was confirmed by the texture observation by a polarizing microscope (BX-51, Olympus company), heating. When the film made of compound (4-6) is heated to 120 ° C and t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the film is phase-shifted at 112 ° C to the nematic phase, at 110 ° C to the Smectic A phase, and at 94 ° C. Phase transition to B phase.

화합물(4-8)(하기 식 (4-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Compound (4-8)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8))

화합물(4-8)은 상술한 화합물(4-6)의 합성법을 참고로 하여 합성했다. Compound (4-8) was synthesized with reference to the synthesis method of compound (4-6) described above.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8

〔상 전이 온도의 측정〕[Measurement of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화합물(4-6)의 상 전이 온도 측정과 같은 식으로 하여, 화합물(4-8)의 상 전이 온도를 확인했다. 화합물(4-8)은 140℃까지 온도를 올린 후, 온도를 내릴 때에 있어서, 131℃에서 네마틱상으로 상 전이하고 80℃에서 스멕틱 A상으로 상 전이하고, 68℃에서 스멕틱 B상으로 상 전이했다.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mpound (4-8) was confirmed by the same method as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compound (4-6). Compound (4-8), after raising the temperature to 140 ° C,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phase transition to the nematic phase at 131 ° C, phase transition to the Smectic A phase at 80 ° C, to Smectic B phase at 68 ° C Phase transition.

화합물(4-22)(하기 식 (4-22)로 표시되는 화합물)Compound (4-22)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22))

화합물(4-22)은 일본 특허 제4719156호에 기재된 합성법을 참고로 합성했다. Compound (4-22) was synthesized with reference to the synthesis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4719156.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29

〔상 전이 온도의 측정〕[Measurement of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화합물(4-6)의 상 전이 온도 측정과 같은 식으로 하여, 화합물(4-22)의 상 전이 온도를 확인했다. 화합물(4-22)은 140℃까지 온도를 올린 후, 온도를 내릴 때에 있어서, 106℃에서 네마틱상으로 상 전이하고 103℃에서 스멕틱 A상으로 상 전이하고, 86℃에서 스멕틱 B상으로 상 전이했다.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mpound (4-22) was confirmed by the same method as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compound (4-6). Compound (4-22) raises the temperature to 140 ° C., and then,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phase transitions to a nematic phase at 106 ° C., phase transition to Smectic A phase at 103 ° C., and to Smectic B phase at 86 ° C. Phase transition.

화합물(4-25)(하기 식 (4-2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Compound (4-25)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25))

화합물(4-25)은 일본 특허 제4719156호에 기재된 합성법을 참고로 합성했다. Compound (4-25) was synthesized with reference to the synthesis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4719156.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0

〔상 전이 온도의 측정〕[Measurement of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화합물(4-6)의 상 전이 온도 측정과 같은 식으로 하여, 화합물(4-25)의 상 전이 온도를 확인했다. 화합물(4-25)은 140℃까지 온도를 올린 후, 온도를 내릴 때에 있어서, 119℃에서 네마틱상으로 상 전이하고 100℃에서 스멕틱 A상으로 상 전이하고, 77℃에서 스멕틱 B상으로 상 전이했다.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mpound (4-25) was confirmed by the same method as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compound (4-6). When compound (4-25) raises the temperature to 140 degreeC, and at the time of lowering temperature, it phase-transfers into a nematic phase at 119 degreeC, phase-transforms into a Smectic A phase at 100 degreeC, and a Smectic B phase at 77 degreeC. Phase transition.

실시예 1〔편광막 형성용 조성물(A)의 조제〕Example 1 [Preparation of Composition (A)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하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A)을 얻었다. 한편, 여기서 이용하는 이색성 색소의 「화합물(1-7)」이란, 상기 식 (1-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다른 이색성 색소로서 이용하는 화합물도 그 식 번호에 준한다. 이하도 마찬가지로 한다. 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mixed and stirred at 80 degreeC for 1 hour, and the composition (A)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was obtained. In addition, the "compound (1-7)" of the dichroic dye used here means the compound represented by said Formula (1-7), and the compound used as another dichroic dye also conforms to the formula number.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중합성 액정 화합물; 화합물(4-6) 75부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75 parts of compounds (4-6)

화합물(4-8) 25부25 parts of compound (4-8)

이색성 색소; 화합물(1-7) 3.0부Dichroic dyes; 3.0 parts of compound (1-7)

화합물(2-17) 2.5부2.5 parts of compounds (2-17)

화합물(2-29) 1.5부1.5 parts of compounds (2-29)

화합물(2-32) 2.0부2.0 parts of compounds (2-32)

중합개시제; 2-디메틸아미노-2-벤질-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이르가큐어 369;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6부Polymerization initiator; 6 parts of 2-dimethylamino-2-benzyl-1- (4-morpholinophenyl) butan-1-one (irgacure 369; Chiba Specialty Chemicals Co., Ltd.)

레벨링제;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BYK-361N; BYK-Chemie사 제조) 1.2부Leveling agents; 1.2 parts of polyacrylate compounds (BYK-361N; manufactured by BYK-Chemie)

용제; 톨루엔 250부solvent; Toluene 250 parts

1. X선 회절 측정 1. X-ray diffraction measurement

유리 기판 상에 폴리비닐알코올(폴리비닐알코올 1000 완전 비누화형, 와코쥰야쿠고교(주) 제조)의 2 질량% 수용액(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스핀코트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한 후, 두께 100 nm의 막을 형성했다. 이어서, 얻어진 막의 표면에 러빙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배향층을 형성했다. 러빙 처리는 반자동 러빙 장치(상품명: LQ-008형, 죠요고가쿠(주) 제조)를 이용하여, 천(상품명: YA-20-RW, 요시카와가코(주) 제조)에 의해서 압입량 0.15 mm, 회전수 500 rpm, 16.7 mm/s의 조건으로 행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배향막 상에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A)을 스핀코트법에 의해 도포하고, 120℃의 핫플레이트 상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한 후, 신속하게 실온까지 냉각하여, 상기 배향층 상에 건조 피막을 형성했다. 이어서,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우시오덴키(주) 제조)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노광량 2000 mJ/㎠(365 nm 기준)으로 건조 피막에 조사함으로써, 그 건조 피막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상기 중합성 액정 조성물의 액정 상태를 유지한 채로 중합시켜, 그 건조 피막으로 편광막을 형성했다. 이 때의 편광막의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OLS3000)에 의해 측정한 바, 1.7 ㎛였다. 상기 편광막에 대하여, X선 회절 장치 X'Pert PRO MPD(스펙트리스(주) 제조)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X선 회절 측정을 한 결과, 2θ=20.2° 부근에 피크 반치폭(FWHM)=약 0.17°의 샤프한 회절 피크(브래그 피크)가 얻어졌다. 또한, 러빙 수직 방향으로부터의 입사에서도 동등한 결과를 얻었다. 피크 위치로부터 구한 질서 주기(d)는 약 4.4Å이며, 고차 스멕틱상을 반영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했다. A 2 mass% aqueous solution (composition for forming an alignment layer) of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1000 fully saponified,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was coated on a glass substrate by spin coating, dried, and then A 100 nm film was formed. Next, the alignment layer was formed by performing a rubbing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obtained film. The rubbing treatment is carried out with a cloth (trade name: YA-20-RW, manufactured by Yoshikawa Kako Co., Ltd.) using a semi-automatic rubbing device (trade name: LQ-008 type, manufactured by Joyo Kogaku Co., Ltd.), 0.15 mm. And the rotation speed was 500 rpm and the conditions of 16.7 mm / s. The polarizing film-forming composition (A) was applied onto the alignment film thus prepared by spin coating, heated and dried for 1 minute on a 120 ° C hotplate, and then rapidly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dried on the alignment layer. A film was formed. Subsequently, the ultraviolet-ray is irradiated to a dry film by exposure amount 2000mJ / cm <2> (365 nm standard) using a UV irradiation apparatus (SPOT CURE SP-7; the product made by Ushio Denki Co., Ltd.), and the polymeric property contained in the dry film is carried out. The liquid crystal compound was polymerized while maintaining the liquid crystal state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a polarizing film was formed from the dry film. It was 1.7 micrometers whe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t this time was measured by the laser microscope (OLS3000 by Olympus Corporation). X-ray diffraction measurement was similarly performed on the polarizing film using an X-ray diffractometer X'Pert PRO MPD (manufactured by SPECTRESS Co., Ltd.). As a result, peak half width (FWHM) = approximately 0.17 ° around 2θ = 20.2 °. A sharp diffraction peak (Bragg peak) of was obtained. Moreover, the equivalent result was obtained also in incidence from the rubbing vertical direction. The order period (d) determined from the peak position was about 4.4 Hz, and it was confirmed that a structure reflecting the higher order smectic phase was formed.

2. 투명 필름 상에의 광배향막의 제작2. Preparation of Photoalignment Film on Transparent Film

투명 기재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KC8UX2M, 코니카미놀타(주) 제조)을 이용하여,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광배향 폴리머를 톨루엔에 5% 용해시킨 액을 바코트법에 의해 도포하고, 120℃에서 건조하여 건조 피막을 얻었다. 이 건조 피막 상에 편광 UV를 조사하여 광배향막을 얻었다. 편광 UV 처리는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우시오덴키(주) 제조)를 이용하여, 파장 365 nm에서 측정한 강도가 100 mJ인 조건으로 행했다. Using a triacetyl cellulose film (KC8UX2M,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Co., Ltd.) as a transparent substrate, a liquid obtained by dissolving a photo-alignment polym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in toluene by 5% was applied by a bar coat method, and 120 It dried at ° C and obtained a dry film. Polarized UV was irradiated on this dry film, and the photo-alignment film was obtained. The polarization UV treatment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intensity measured at a wavelength of 365 nm was 100 mJ using a UV irradiation device (SPOT CURE SP-7; manufactured by Ushio Denki Co., Ltd.).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1

3. 편광막의 제작3. Fabrication of Polarizing Film

상기한 것과 같이 하여 얻은 광배향막을 지닌 필름 상에,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A)을 바코트법(#5 17 mm/s)에 의해 도포하고, 120℃의 건조 오븐으로 1분간 가열 건조한 후, 실온까지 냉각했다. 이어서,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우시오덴키(주) 제조)를 이용하여, 노광량 2000 mJ/㎠(365 nm 기준)의 자외선을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층에 조사함으로써, 그 건조 피막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상기 중합성 액정 조성물의 액정 상태를 유지한 채로 중합시켜, 그 건조 피막으로 편광막을 형성했다. 이 때의 편광막의 막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OLS3000)에 의해 측정한 바, 1.6 ㎛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것은 편광막과 투명 기재를 포함하는 편광자이다. On the film with the photo-alignment film obtained as mentioned above, the composition (A)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was apply | coated by the bar coat method (# 5 17 mm / s), and it heat-dried for 1 minute in 120 degreeC drying oven, and It cooled to room temperature. Subsequently, using a UV irradiation apparatus (SPOT CURE SP-7; manufactured by Ushio Denki Co., Ltd.), ultraviolet rays having an exposure dose of 2000 mJ / cm 2 (365 nm standard) were irradiated to the layer formed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film, thereby drying the same.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e film was polymerized while maintaining the liquid crystal state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a polarizing film was formed from the dry film. It was 1.6 micrometers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t this time was measured with the laser microscope (OLS3000 by Olympus Corporation). What was obtained in this way is a polarizer containing a polarizing film and a transparent base material.

4. 편광도, 투과율, 색상의 측정4. Measurement of polarization degree, transmittance and color

편광자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하여 시감도 보정 편광도, 시감도 보정 투과율, 색도 a* 값, 색도 b* 값, 직교 a* 및 직교 b*를 측정했다. In order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a polarizer, the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the visibility correction transmittance | permeability, chromaticity a * value, chromaticity b * value, orthogonal a *, and orthogonal b * were measured as follows.

파장 380 nm∼780 nm 범위에서 투과축 방향의 투과율(T1) 및 흡수축 방향의 투과율(T2)을 분광광도계(시마즈세이사쿠쇼(주) 제조 UV-3150)에 편광자를 지닌 폴더를 셋트한 장치를 이용하여 더블빔법으로 측정했다. 그 폴더는 리퍼런스측은 광량을 50% 컷트하는 메쉬를 설치했다. 하기 식 (식 1) 및 (식 2)을 이용하여, 각 파장에 있어서의 단일체 투과율, 편광도를 산출하고, 또한 JIS Z 8701의 2도 시야(C 광원)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행하여, 시감도 보정 단일체 투과율(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Py)를 산출했다. 또한, 같은 식으로 측정한 단일체 투과율로부터 C 광원의 등색 함수를 이용하여, L*a*b*(CIE) 표색계에 있어서의 색도 a* 및 b*를 산출했다. 또한, 마찬가지로 측정한 직교 투과율로부터 C 광원의 등색 함수를 이용하여, L*a*b*(CIE) 표색계에 있어서의 직교 a* 및 직교 b*를 산출했다. 색도 a*, 색도 b*, 직교 a* 및 직교 b*는 값이 0에 가까울수록 뉴트럴한 색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In the wavelength range of 380 nm to 780 nm, a folder having a polarizer was set in the spectrophotometer (UV-3150 manufactured by Shimadzu Seisakusho Co., Ltd.) for transmission (T 1 ) in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nd transmission (T 2 )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It measured by the double beam method using one apparatus. In the folder, the reference side installed the mesh which cuts the amount of light by 50%. Using the following formulas (Formula 1) and (Formula 2), monolithic transmittance and polarization degree at each wavelength were calculated, and the visibility correction was performed by the 2-degree field of view (C light source) of JIS Z 8701, and the visibility correction monolith was obtained. The transmittance Ty and the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Py were calculated. In addition, the chromaticity a * and b * in the L * a * b * (CIE) colorimeter were computed from the monochromatic transmittance measured by the same formula using the orange color function of the C light source. In addition, orthogonal a * and orthogonal b * in the L * a * b * (CIE) colorimeter were calculated from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measured similarly using the C-light source function. Chromaticity a *, chromaticity b *, orthogonal a *, and orthogonal b * may be determined to be neutral colors as the value approaches 0. Thes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단일체 투과율(%)=(T1+T2)/2 (식 1)Monolithic transmittance (%) = (T1 + T2) / 2 (Equation 1)

편광도(%)=(T1-T2)/(T1+T2)×100 (식 2)Polarization degree (%) = (T1-T2) / (T1 + T2) × 100 (Equation 2)

실시예 2Example 2

1. 편광막의 제작1. Fabrication of Polarizing Film

바코터의 바의 와이어 폭 및 도공 속도를 바꾼 것(#7 15 mm/s)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편광막을 제작했다. 이 때의 편광막의 막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OLS3000)에 의해 측정한 바, 1.8 ㎛였다. 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changing the wire width and the coating speed of the bar coater bar (# 7 15 mm / s). It was 1.8 micrometers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t this time was measured by the laser microscope (OLS3000 by Olympus Corporation).

2. 편광도, 투과율, 색상의 측정2. Measurement of polarization degree, transmittance and color

제작한 편광막의 시감도 보정 단일체 투과율(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Py) 및 색도 a*, 색도 b*, 직교 a* 및 직교 b*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The measurement results of visibility correction monolithic transmittance (Ty) and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Py) and chromaticity a *, chromaticity b *, orthogonal a *, and orthogonal b * of the prepared polarizing film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Indicates.

실시예 3〔편광막 형성용 조성물(B)의 조제〕Example 3 [Preparation of Composition (B)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하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B)을 얻었다. 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mixed and stirred at 80 degreeC for 1 hour, and th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B) was obtained.

중합성 액정 화합물; 화합물(4-22) 75부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75 parts of compounds (4-22)

화합물(4-25) 25부25 parts of compound (4-25)

이색성 색소; 화합물(1-1) 3.0부Dichroic dyes; Compound (1-1) 3.0 parts

화합물(2-15) 2.5부2.5 parts of compounds (2-15)

화합물(2-20) 1.2부1.2 parts of compounds (2-20)

화합물(2-33) 2.5부2.5 parts of compounds (2-33)

중합개시제; 2-디메틸아미노-2-벤질-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이르가큐어 369;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6부Polymerization initiator; 6 parts of 2-dimethylamino-2-benzyl-1- (4-morpholinophenyl) butan-1-one (irgacure 369; Chiba Specialty Chemicals Co., Ltd.)

레벨링제;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BYK-361N; BYK-Chemie사 제조) 1.2부Leveling agents; 1.2 parts of polyacrylate compounds (BYK-361N; manufactured by BYK-Chemie)

용제; 톨루엔 250부solvent; Toluene 250 parts

1. 편광막의 제작1. Fabrication of Polarizing Film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A)을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B)로 바꾸고, 또한 바코터의 바의 와이어 폭 및 도공 속도를 바꾼 것(#5 25 mm/s)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편광막을 제작했다. 이 때의 편광막의 막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OLS3000)에 의해 측정한 바, 1.7 ㎛였다. The polarizing film-forming composition (A) was changed to the polarizing film-forming composition (B), and the same as in Example 1 except for changing the wire width and coating speed of the bar coater bar (# 5 25 mm / s).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It was 1.7 micrometers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t this time was measured with the laser microscope (OLS3000 by Olympus Corporation).

2. 편광도, 투과율, 색상의 측정2. Measurement of polarization degree, transmittance and color

제작한 편광막의 시감도 보정 단일체 투과율(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Py) 및 색도 a*, 색도 b*, 직교 a* 및 직교 b*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The measurement results of visibility correction monolithic transmittance (Ty) and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Py) and chromaticity a *, chromaticity b *, orthogonal a *, and orthogonal b * of the prepared polarizing film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Indicates.

실시예 4Example 4

1. 편광막의 제작1. Fabrication of Polarizing Film

바코터의 바의 와이어 폭 및 도공 속도를 바꾼 것(#7 20 mm/s)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식으로 하여 편광막을 제작했다. 이 때의 편광막의 막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OLS3000)에 의해 측정한 바, 2.0 ㎛였다. 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wire width and the coating speed of the bar coater's bar were changed (# 7 20 mm / s). It was 2.0 micrometers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t this time was measured with the laser microscope (OLS3000 by Olympus Corporation).

2. 편광도, 투과율, 색상의 측정2. Measurement of polarization degree, transmittance and color

제작한 편광막의 시감도 보정 단일체 투과율(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Py) 및 색도 a*, 색도 b*, 직교 a* 및 직교 b*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The measurement results of visibility correction monolithic transmittance (Ty) and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Py) and chromaticity a *, chromaticity b *, orthogonal a *, and orthogonal b * of the prepared polarizing film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Indicates.

실시예 5Example 5

1. 흑색 편광막의 제작1. Fabrication of Black Polarizing Film

바코터의 바의 와이어 폭 및 도공 속도를 바꾼 것(#5 50 mm/s)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식으로 하여 편광막을 제작했다. 이 때의 편광막의 막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OLS3000)에 의해 측정한 바, 2.2 ㎛였다. 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wire width and the coating speed of the bar coater's bar were changed (# 5 50 mm / s). It was 2.2 micrometers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t this time was measured with the laser microscope (OLS3000 by Olympus Corporation).

2. 편광도, 투과율, 색상의 측정2. Measurement of polarization degree, transmittance and color

제작한 편광막의 시감도 보정 단일체 투과율(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Py) 및 색도 a*, 색도 b*, 직교 a* 및 직교 b*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The measurement results of visibility correction monolithic transmittance (Ty) and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Py) and chromaticity a *, chromaticity b *, orthogonal a *, and orthogonal b * of the prepared polarizing film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Indicates.

실시예 6〔편광막 형성용 조성물(C)의 조제〕Example 6 [Preparation of Composition (C)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하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C)을 얻었다. The following component was mixed and stirred for 1 hour at 80 degreeC, and the composition (C)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was obtained.

중합성 액정 화합물; 화합물(4-6) 75부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75 parts of compounds (4-6)

화합물(4-8) 25부25 parts of compound (4-8)

이색성 색소; 화합물(1-1) 3.6부Dichroic dyes; 3.6 parts of compounds (1-1)

화합물(2-15) 3.0부3.0 parts of compounds (2-15)

화합물(2-18) 1.5부1.5 parts of compounds (2-18)

화합물(2-27) 2.0부2.0 parts of a compound (2-27)

화합물(2-32) 1.5부1.5 parts of compounds (2-32)

중합개시제; 2-디메틸아미노-2-벤질-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이르가큐어 369;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6부Polymerization initiator; 6 parts of 2-dimethylamino-2-benzyl-1- (4-morpholinophenyl) butan-1-one (irgacure 369; Chiba Specialty Chemicals Co., Ltd.)

레벨링제;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BYK-361N; BYK-Chemie사 제조) 1.2부Leveling agents; 1.2 parts of polyacrylate compounds (BYK-361N; manufactured by BYK-Chemie)

용제; 톨루엔 250부solvent; Toluene 250 parts

1. 편광막의 제작1. Fabrication of Polarizing Film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A)을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C)로 바꾸고, 또한 바코터의 바의 와이어 폭 및 도공 속도를 바꾼 것(#7 20 mm/s)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편광막을 제작했다. 이 때의 편광막의 막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OLS3000)에 의해 측정한 바, 2.0 ㎛였다. The polarizing film-forming composition (A) was changed to the polarizing film-forming composition (C), and the same as in Example 1 except for changing the wire width and coating speed of the bar coater bar (# 7 20 mm / s).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It was 2.0 micrometers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t this time was measured with the laser microscope (OLS3000 by Olympus Corporation).

2. 편광도, 투과율, 색상의 측정2. Measurement of polarization degree, transmittance and color

제작한 편광막의 시감도 보정 단일체 투과율(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Py) 및 색도 a*, 색도 b*, 직교 a* 및 직교 b*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The measurement results of visibility correction monolithic transmittance (Ty) and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Py) and chromaticity a *, chromaticity b *, orthogonal a *, and orthogonal b * of the prepared polarizing film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Indicates.

실시예 7Example 7

1. 흑색 편광막의 제작1. Fabrication of Black Polarizing Film

바코터의 바의 와이어 폭 및 도공 속도를 바꾼 것(#5 50 mm/s) 이외에는 실시예 6과 같은 식으로 하여 편광막을 제작했다. 이 때의 편광막의 막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OLS3000)에 의해 측정한 바, 2.2 ㎛였다. 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 except that the wire width and the coating speed of the bar coater's bar were changed (# 5 50 mm / s). It was 2.2 micrometers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t this time was measured with the laser microscope (OLS3000 by Olympus Corporation).

2. 편광도, 투과율, 색상의 측정2. Measurement of polarization degree, transmittance and color

제작한 편광막의 시감도 보정 단일체 투과율(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Py) 및 색도 a*, 색도 b*, 직교 a* 및 직교 b*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The measurement results of visibility correction monolithic transmittance (Ty) and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Py) and chromaticity a *, chromaticity b *, orthogonal a *, and orthogonal b * of the prepared polarizing film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Indicate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 요오드-PVA 편광판의 제작1. Fabrication of Iodine-PVA Polarizer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이며 두께 75 ㎛인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건식으로 약 5배로 일축 연신하고, 또한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60℃의 순수에 1분간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질량비가 0.1/5/100인 수용액에 28℃에서 60초간 침지했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질량비가 810.5/7.5/100인 수용액에 72℃에서 300초간 침지했다. 이어서 10℃의 순수로 5초간 세정한 후, 80℃에서 3분간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를 얻었다.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bout 2,4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9 mol% or more and a thickness of 75 µm was uniaxially stretched by about 5 times in a dry manner and immersed in pure water at 60 ° C. for 1 minute while maintaining a tension state, followed by iodine It was immersed at 28 degreeC for 60 second in the aqueous solution which / mass ratio of potassium iodide / water is 0.1 / 5/100. Then, it was immersed for 300 second in 72 degreeC in the aqueous solution of the potassium iodide / boric acid / water mass ratio 810.5 / 7.5 / 100. Subsequently, the resultant was washed with pure water at 10 ° C. for 5 seconds, and then dried at 80 ° C. for 3 minutes to obtain a polarizer in which iodine was adsorbed and oriented on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2. 편광도, 투과율, 색상의 측정2. Measurement of polarization degree, transmittance and color

제작한 편광자의 시감도 보정 단일체 투과율(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Py) 및 색도 a*, 색도 b*, 직교 a* 및 직교 b*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visibility correction monolith transmittance (Ty) and the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Py) and chromaticity a *, chromaticity b *, orthogonal a *, and orthogonal b * of the produced polarizer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Indicates.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2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실시예 1∼7의 편광막은 어느 것이나 종래의 요오드-PVA 편광자보다도 박형이었다. 또한, 실시예 1∼7의 편광막은 어느 것이나 뉴트럴한 색상성을 보였다. As can be seen from Table 4, all of the polarizing films of Examples 1 to 7 were thinner than conventional iodine-PVA polarizers. In addition, all the polarizing films of Examples 1-7 showed neutral color property.

실시예 8Example 8

1. 위상차 필름 상에의 광배향막의 제작1. Preparation of optical alignment film on retardation film

투명 기재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KC8UX2M, 코니카미놀타(주) 제조) 대신에 위상차 필름(일축 연신 필름 WRF-S(변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위상차 값 137.5 nm, 두께 50 ㎛, 데이진가세이(주) 제조)을 이용하여,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광배향 폴리머를 시클로펜타논에 5% 용해시킨 액을 바코트법에 의해 도포하고, 120℃에서 건조하여 건조 피막을 얻었다. 이 건조 피막 상에 편광 UV를 조사하여 광배향막을 얻었다. 편광 UV 처리는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우시오덴키(주) 제조)를 이용하여, 파장 365 nm에서 측정한 강도가 100 mJ인 조건으로 행했다. 또한, 이 때, 편광 UV의 조사 방향은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에 대하여 45°가 되도록 실시했다. Retardation film (uniaxially stretched film WRF-S (modified polycarbonate-based resin), retardation value 137.5 nm, thickness 50 µm, Teijin Chemical Co., Ltd.) ), The liquid obtained by dissolving the photo-alignment polym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3) in 5% cyclopentanone was applied by a bar coat method, dried at 120 ° C to obtain a dry film. Polarized UV was irradiated on this dry film, and the photo-alignment film was obtained. The polarization UV treatment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intensity measured at a wavelength of 365 nm was 100 mJ using a UV irradiation device (SPOT CURE SP-7; manufactured by Ushio Denki Co., Ltd.).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polarization UV was implemented so that it might become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low axis of a retardation film.

2. 원편광판의 제작2. Fabrication of Circular Polarizer

제작한 광배향막을 지닌 위상차 필름의 광배향막 상에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C)을 바코트법(#7 20 mm/s)에 의해 도포하고, 120℃의 건조 오븐으로 1분간 가열 건조한 후, 실온까지 냉각했다. 이어서,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우시오덴키(주) 제조)를 이용하여, 노광량 2000 mJ/㎠(365 nm 기준)의 자외선을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층에 조사함으로써, 그 건조 피막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상기 중합성 액정 조성물의 액정 상태를 유지한 채로 중합시켜, 그 건조 피막으로 편광막을 형성함으로써 원편광판을 제작했다. 이 때의 편광막의 막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OLS3000)에 의해 측정한 바, 2.0 ㎛였다. After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C) for polarizing film formation by the bar coat method (# 7 20 mm / s) on the photo-alignment film of the retardation film which has the produced photo-alignment film, heat-dried for 1 minute in 120 degreeC drying ov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Subsequently, using a UV irradiation apparatus (SPOT CURE SP-7; manufactured by Ushio Denki Co., Ltd.), ultraviolet rays having an exposure dose of 2000 mJ / cm 2 (365 nm standard) were irradiated to the layer formed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olarizing film, thereby drying the same.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by superposing | polymerizing the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a film, maintaining the liquid crystal state of the said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forming a polarizing film with the dry film. It was 2.0 micrometers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t this time was measured with the laser microscope (OLS3000 by Olympus Corporation).

3. 반사 방지 성능의 확인3. Confirmation of anti-reflection performance

얻어진 원편광판의 위상차 필름 측과 알루미늄 금속판을 점착제를 통하여 접합한 바, 알루미늄 금속판 단일체에서 관찰된 금속 광택이 소실되고, 균일한 흑색 표시가 얻어졌다. 이와 같이 본 편광막으로 제작한 원편광판은 양호한 반사 방지 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When the retardation film side and the aluminum metal plate of the obtained circular polarizing plate were bonded together through the adhesive, the metallic gloss observed by the aluminum metal plate single body disappeared, and the uniform black display was obtained. Thus, it turns out that the circularly-polarizing plate produced by this polarizing film has favorable antireflection characteristic.

본 편광막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및 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This polarizing film is very useful in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a proj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 투명 기재 2: 광배향막
3: 본 편광막 4: 위상차층
100: 본 편광자 210: 제1 롤
210A: 권심 220: 제2 롤
220A: 권심 230: 제3 롤
230A: 권심 240: 제4 롤
240A: 권심 211A, 211B: 도포 장치
212A, 212B: 건조로 213A: 편광 UV 조사 장치
213B: 광 조사 장치 300: 보조 롤
10: 액정 표시 장치 11: 표면 보호층
12a, 12b: 편광자 13a, 13b: 위상차층
14a, 14b: 기판 15: 컬러 필터
16: 투명 전극 17: 액정층
18: 층간 절연막 19: 백라이트 유닛
20: 블랙 매트릭스 21: 박막 트랜지스터
22: 화소 전극 23: 스페이서
30: EL 표시 장치 31: 원편광판
32: 위상차 필름 33: 기판
34: 층간 절연막 35: 화소 전극
36: 유기 기능층 37: 캐소드 전극
38: 건조제 39: 밀봉 뚜껑
40: 박막 트랜지스터 41: 리브
42: 박막 밀봉막 44: EL 표시 장치
111: 광원 112: 제1 렌즈 어레이
112a: 렌즈 113: 제2 렌즈 어레이
114: 편광 변환 소자 115: 중첩 렌즈
121, 123, 132: 다이크로익 미러 122: 반사 미러
140R, 140G, 140B: 액정 패널 142, 143: 편광자
150: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 170: 투사 렌즈
180: 스크린
1: transparent base material 2: photo-alignment film
3: present polarizing film 4: retardation layer
100: present polarizer 210: first roll
210A: 220: second roll
220A: Core 230: Third Roll
230A: Attention 240: Fourth Roll
240A: winding cores 211A, 211B: coating device
212A and 212B: drying furnace 213A: polarized UV irradiation device
213B: light irradiation apparatus 300: auxiliary roll
10: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1: surface protective layer
12a, 12b: polarizer 13a, 13b: retardation layer
14a, 14b: substrate 15: color filter
16: transparent electrode 17: liquid crystal layer
18: interlayer insulating film 19: backlight unit
20: black matrix 21: thin film transistor
22: pixel electrode 23: spacer
30: EL display device 31: circularly polarizing plate
32: retardation film 33: substrate
34: interlayer insulating film 35: pixel electrode
36: organic functional layer 37: cathode electrode
38: desiccant 39: sealing lid
40: thin film transistor 41: rib
42: thin film sealing film 44: EL display device
111: light source 112: first lens array
112a: lens 113: second lens array
114: polarization conversion element 115: superposition lens
121, 123, 132: dichroic mirror 122: reflective mirror
140R, 140G, 140B: Liquid Crystal Panels 142, 143: Polarizer
150: cross dichroic prism 170: projection lens
180: screen

Claims (15)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 형성되는 중합체와, 상기 중합체 중에 분산시켜 광흡수를 측정한 경우에, 파장 380∼55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적어도 1종의 이색성 색소(1)와, 파장 550∼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적어도 2종의 이색성 색소(2)를 포함하는 편광막. When the polymer formed from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the polymer are dispersed in the polymer and the light absorption is measured, at least one dichroic dye (1)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wavelength range of 380 to 550 nm, and the wavelength of 550 to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at least two dichroic dyes (2) having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700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색성 색소(1)가,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 형성되는 중합체 중에 분산시켜 광흡수를 측정한 경우에, 파장 400∼55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편광막. The polarizing film of Claim 1 which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400-550 nm when the said dichroic dye (1) is disperse | distributed in the polymer formed from a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and light absorption is measur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중에 분산시켜 광흡수를 측정한 경우에, 파장 550∼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적어도 2종의 이색성 색소(2)가,
상기 중합체 중에 분산시켜 광흡수를 측정한 경우에,
파장 550∼6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이색성 색소(2-1)와,
파장 600∼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이색성 색소(2-2)를 포함하는 편광막.
The at least 2 dichroic dye (2) of Claim 1 or 2 which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550-700 nm when disperse | distributing in the said polymer and measuring light absorption,
In the case where the light absorption is measured by dispersing in the polymer,
Dichroic dye (2-1) which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550-600 nm of wavelengths,
The polarizing film containing the dichroic dye (2-2) which has an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600-700 nm of wavelength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화합물인 편광막. The polarizing film of any one of Claims 1-3 whos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s a compound which shows a smectic liquid crystal phas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브래그 피크가 얻어지는 편광막. The polarizing film of any one of Claims 1-4 in which a Bragg peak is obtained in X-ray diffraction measurement.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색 좌표 a* 값 및 b* 값이 이하의 식 (1F) 및 식 (2F)의 관계를 만족하는 편광막.
-3≤색도 a*≤3 (1F)
-3≤색도 b*≤3 (2F)
The color coordinate a * value and b * value in an L * a * b * color system satisfy | fill the relationship of following formula (1F) and formula (2F) in any one of Claims 1-5. Polarizing film.
-3≤ chromaticity a * ≤3 (1F)
-3≤ chroma b * ≤3 (2F)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1) 및 이색성 색소(2)가 아조 화합물인 편광막. The polarizing film of any one of Claims 1-6 whose dichroic dye (1) and dichroic dye (2) are azo compound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2)가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편광막.
Figure pat00033

[식 (2)에서, n은 1 또는 2이다.
Ar1 및 A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식 (AR-1)∼식 (AR-4) 중 어느 것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Figure pat00034

Ar2는 식 (AR2-1), 식 (AR2-2) 또는 식 (AR2-3)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Figure pat00035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식 (A-1)∼식 (A-9) 중 어느 것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는 결합수(結合手)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36

(mc는 0∼10의 정수이며, 동일한 기 중에 mc가 2개 있는 경우, 이 2개의 mc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다.)]
The polarizing film of any one of Claims 1-7 in which the dichroic dye (2) consists of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Figure pat00033

[In formula (2), n is 1 or 2.
Ar 1 and Ar 3 are each independently a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formulas (AR-1) to (AR-4).
Figure pat00034

Ar 2 is a group represented by formula (AR2-1), formula (AR2-2) or formula (AR2-3).
Figure pat00035

A 1 and A 2 are each independently a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formulas (A-1) to (A-9), and * represents a bonding number.
Figure pat00036

(mc is an integer of 0-10, and when two mcs are in the same group, these two mcs are the same or different.)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1)가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편광막.
Figure pat00037

[식 (1)에서, Y는 식 (Y1) 또는 식 (Y2)로 표시되는 기이다.
Figure pat00038

(식에서, L은 산소 원자 또는 -NR-이며, R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R1은 식 (R1-1)∼식 (R1-3) 중 어느 것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Figure pat00039

(식에서, ma는 0∼10의 정수이며, 동일한 기 중에 ma가 2개 있는 경우, 이 2개의 ma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다. *는 결합수를 나타낸다.)
R2는 식 (R2-1)∼식 (R2-6) 중 어느 것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Figure pat00040

(식에서, mb는 0∼10의 정수이다.)]
The polarizing film of any one of Claims 1-8 in which a dichroic dye (1) consists of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Figure pat00037

[In Formula (1), Y is group represented by Formula (Y1) or Formula (Y2).
Figure pat00038

(Wherein L is an oxygen atom or -NR- and R i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R 1 is a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formulas (R 1 -1) to (R 1 -3).
Figure pat00039

(In formula, ma is an integer of 0-10, and when there are two ma in the same group, these two ma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 Represents a bond number.)
R 2 is a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formulas (R 2 -1) to (R 2 -6).
Figure pat00040

(Wherein mb is an integer of 0 to 10).]
투명 기재 상에,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편광막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편광자. The polarizer formed by forming the polarizing film of any one of Claims 1-9 on a transparent base material. 제10항에 기재한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투명 기재 상에 배향막을 구비한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의 상기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 형성되는 중합체 중에 분산시켜 광흡수를 측정한 경우에, 파장 380∼55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이색성 색소(1) 1종과, 파장 550∼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를 갖는 이색성 색소(2) 2종과, 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키는 공정
을 갖는 제조 방법.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of Claim 10,
Preparing a laminate having an alignment film on a transparent substrate;
Dichroic dye which has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wavelength 380-550 nm when disperse | distributing in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and the polymer formed from the said polymeric liquid crystal compound on the said oriented film of the said laminated body, and measuring light absorption. (1) 1 type, the process of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containing 2 types of dichroic dyes (2) which have absorption maximum in the range of 550-700 nm, and a solvent,
Polymerizing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Lt; / RTI &gt;
제11항에 있어서, 투명 기재가 플라스틱 기재이며, 또한 상기 배향막이 광배향막인 제조 방법. The manufacturing method of Claim 11 whose transparent base material is a plastics base material, and the said oriented film is a photo-alignment film.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편광막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polarizing film of any one of Claims 1-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편광막과 λ/4층을 가지며, 이하의 (A1) 및 (A2)의 요건을 만족하는 원편광판.
(A1) 상기 편광막의 흡수축과 상기 λ/4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45°일 것;
(A2) 파장 550 nm의 광에서 측정한 상기 λ/4층의 정면 리타데이션의 값이 100∼150 nm의 범위일 것.
The circularly-polarizing plate which has the polarizing film of any one of Claims 1-9, and (lambda) / 4 layer, and satisfy | fills the requirements of the following (A1) and (A2).
(A1) the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low axis of the λ / 4 layer is 45 °;
(A2) The value of the front retardation of the said (lambda) / 4 layer measured with the light of wavelength 550nm shall be 100-150 nm.
제14항에 기재한 원편광판과 유기 EL 소자를 구비한 유기 EL 표시 장치.Th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rovided with the circularly-polarizing plate of Claim 14,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1020130019191A 2012-02-28 2013-02-22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1291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976A KR102285105B1 (en) 2012-02-28 2020-06-16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41041 2012-02-28
JP2012041041 2012-02-28
JPJP-P-2012-046279 2012-03-02
JP2012046279 2012-03-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976A Division KR102285105B1 (en) 2012-02-28 2020-06-16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914A true KR20130098914A (en) 2013-09-05
KR102129135B1 KR102129135B1 (en) 2020-07-01

Family

ID=4924452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191A KR102129135B1 (en) 2012-02-28 2013-02-22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0200072976A KR102285105B1 (en) 2012-02-28 2020-06-16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0210096595A KR102450756B1 (en) 2012-02-28 2021-07-22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0220123258A KR20220133851A (en) 2012-02-28 2022-09-28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976A KR102285105B1 (en) 2012-02-28 2020-06-16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0210096595A KR102450756B1 (en) 2012-02-28 2021-07-22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0220123258A KR20220133851A (en) 2012-02-28 2022-09-28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55697B2 (en)
KR (4) KR102129135B1 (en)
CN (1) CN103336325B (en)
TW (1) TWI622814B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570A (en) * 2013-04-11 2015-12-2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Composition for forming optically anisotropic layer
KR20170037854A (en) * 2015-09-28 2017-04-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80060405A (en)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KR20180060406A (en)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US10215900B2 (en) 2014-06-27 2019-02-26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film laminate comprising a long polarizing having exposed portion where a polarizer is exposed
US10234611B2 (en) 2015-09-28 2019-03-19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90121839A (en) * 2017-04-07 2019-10-2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Anisotropic Light Absorption Membrane and Laminates
KR20200089373A (en) * 2019-01-16 2020-07-27 이문연 Polarized film for disply apparatus comprising quantumn dots and dips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200090861A (en) * 2017-12-28 2020-07-2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10754072B2 (en) 2014-06-27 2020-08-25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having non-polarization portions, a long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er
US10782462B2 (en) 2014-04-25 2020-09-22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11061176B2 (en) 2014-04-25 2021-07-13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11467328B2 (en) 2015-06-25 2022-10-11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having non-polarizing pa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7744B (en) * 2012-03-26 2017-04-11 Sumitomo Chemical Co Composition and polarizing film
US9250371B2 (en) * 2012-11-06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larizing film, anti-reflective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732687B1 (en) 2013-12-27 2017-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Composition for forming dye type polarizer and dye type polarizer
KR20150093591A (en) * 2014-02-07 2015-08-1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ocess for producing long polarizing film
KR102147672B1 (en) * 2014-05-26 2020-08-2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Composition
JP6728581B2 (en) * 2014-06-25 2020-07-22 住友化学株式会社 Light-absorption anisotropic film, three-dimensional light-absorption anisotropic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609260B2 (en) * 2014-09-03 2019-11-20 日本化薬株式会社 Polarizing element, polarizing plate having the polarizing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element or the polarizing plate
JP6609259B2 (en) * 2014-09-03 2019-11-20 日本化薬株式会社 Polarizing element, polarizing plate having the polarizing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element or the polarizing plate
JP6680211B2 (en) 2014-10-17 2020-04-15 住友化学株式会社 Compounds and compositions
JP6586276B2 (en) * 2015-02-20 2019-10-02 住友化学株式会社 Compound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6444763B2 (en) * 2015-02-20 2018-12-26 住友化学株式会社 Compound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6483486B2 (en) * 2015-03-16 2019-03-13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circularly polarizing plate
CN107614625B (en) * 2015-05-20 2019-11-12 日本化药株式会社 Azo-compound and dye type polarizing film and polarization plates containing azo-compound
KR20160146540A (en) * 2015-06-12 2016-12-2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JP2017068111A (en) * 2015-09-30 2017-04-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N106978196B (en) * 2015-10-29 2022-02-15 住友化学株式会社 Composition and polarizing film
JP6622902B2 (en) * 2016-03-08 2019-12-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oloring composition, light-absorbing anisotropic film,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687721B2 (en) * 2016-03-08 2020-04-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oloring composition, dichroic dye compound, light-absorption anisotropic film,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771304B2 (en) * 2016-04-26 2020-10-21 住友化学株式会社 The composition and the optical film containing the composition
JP6718735B2 (en) * 2016-04-26 2020-07-08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film
CN113980319B (en) * 2017-04-07 2023-04-28 富士胶片株式会社 Anisotropic light absorbing film and laminate
CN110476094B (en) * 2017-04-07 2021-09-24 富士胶片株式会社 Polarizing element,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9053169A (en) 2017-09-14 2019-04-04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r and optical laminate including the polarizer
CN111566543A (en) * 2017-11-08 2020-08-21 亚利桑那大学董事会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circularly polarized light
CN111417879B (en) * 2017-11-30 2022-05-03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ly anisotropic film
JP2019133151A (en) * 2018-02-01 2019-08-08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film-forming composition
JP7441005B2 (en) 2018-02-05 2024-02-29 住友化学株式会社 Composition for forming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902752B (en) * 2018-03-30 2022-06-21 富士胶片株式会社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7339014B2 (en) * 2018-04-13 2023-09-05 住友化学株式会社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sition
KR20210015841A (en) * 2018-06-07 2021-02-1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plate with polarizing film and retardation layer
CN112334797B (en) 2018-06-27 2022-12-20 富士胶片株式会社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7281953B2 (en) * 2018-07-25 2023-05-26 住友化学株式会社 laminate
JP7185460B2 (en) * 2018-09-21 2022-12-07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contain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JP2020126226A (en) * 2019-02-04 2020-08-20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CN113396179A (en) 2019-02-08 2021-09-14 东洋纺株式会社 Polyester film and use thereof
KR20210126046A (en) 2019-02-08 2021-10-19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oldable display and mobile terminal device
KR20220016133A (en) 2019-05-28 2022-02-0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olyester film and its uses
JP7435448B2 (en) 2019-05-28 2024-02-21 東洋紡株式会社 Laminated film and its uses
EP3978554A4 (en) 2019-05-28 2023-06-21 Toyobo Co., Ltd. Polyester film, laminated film, and use thereof
EP3978966A4 (en) 2019-05-30 2023-07-12 Toyobo Co., Ltd. Polarization plate for folding display
EP3978967A4 (en) 2019-05-30 2023-07-12 Toyobo Co., Ltd. Foldable display
JP7271721B2 (en) * 2019-12-17 2023-05-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JP7377833B2 (en) * 2020-06-02 2023-11-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Optical elements and display devices
KR20230048011A (en) 2020-08-03 2023-04-10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Compound, composition for anisotropic dye film containing the compound, anisotropic dye film, and optical element
WO2022104538A1 (en) * 2020-11-17 2022-05-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675A (en) * 1982-06-30 1984-01-11 Mitsubishi Chem Ind Ltd Liquid crystal composition
JPH07142170A (en) 1993-11-17 1995-06-02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 element and organic el panel
JPH11101964A (en) * 1997-08-01 1999-04-13 Sony Corp Polarization element and display device
JP2005189393A (en) * 2003-12-25 2005-07-14 Nitto Denko Corp Elliptical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7510946A (en) * 2003-11-06 2007-04-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Dichroic Guest-Host Polarizers Containing Oriented Polymeric Films
KR20090004771A (en) * 2007-07-05 2009-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Composition comprising curable dichroic dye for forming optical component and an optical component prepared using the same
JP2011028234A (en) * 2009-06-26 2011-02-10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plate and laminated optical member using the same
JP2011215336A (en) * 2010-03-31 2011-10-27 Fujifilm Corp Polarizing film,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1157614A1 (en) * 2010-06-14 2011-12-22 Basf Se Black dichroic dy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4858A (en) * 1981-11-16 1983-05-21 Mitsubishi Chem Ind Ltd Azo-based multicolor dyestuff and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display containing the same
JPS58187456A (en) * 1982-04-27 1983-11-01 Nippon Kayaku Co Ltd Azo dye
JPS594674A (en) * 1982-06-30 1984-01-11 Mitsubishi Chem Ind Ltd Liquid crystal composition
US6531230B1 (en) * 1998-01-13 2003-03-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lor shifting film
US6582776B2 (en) * 2000-11-24 2003-06-24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alignment layer
EP1593713A1 (en) * 2004-05-04 2005-11-09 Rolic AG Polymerizable dichromophoric dichroic azo dyes
KR100789512B1 (en) * 2005-06-01 2007-12-28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1899751B1 (en) 2005-06-27 2015-09-30 Sumitomo Chemical Co., Ltd. Dichroic guest-host polarizer
WO2007052838A1 (en) * 2005-11-07 2007-05-10 Fujifilm Corporation Polymer film,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film, optical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999633B2 (en) * 2007-10-15 2012-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927070B2 (en) * 2008-09-30 2015-01-06 Fujifilm Corporation Dichroic dye composition, light absorption anisotropic film, and polarizing element
JP5437744B2 (en) * 2009-08-28 2014-03-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Dichroic dye composition, polarizing film, liquid crystal cell, and display device
JP2011048311A (en) * 2009-08-28 2011-03-10 Fujifilm Corp Dichroic dye, light-absorbing anisotropic film, polariz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JP5442518B2 (en) * 2010-03-31 2014-03-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Light-absorbing anisotropic film, polariz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073987B1 (en) * 2012-02-28 2020-02-0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Compound and dichroic dye, and polarizing film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675A (en) * 1982-06-30 1984-01-11 Mitsubishi Chem Ind Ltd Liquid crystal composition
JPH07142170A (en) 1993-11-17 1995-06-02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 element and organic el panel
JPH11101964A (en) * 1997-08-01 1999-04-13 Sony Corp Polarization element and display device
JP2007510946A (en) * 2003-11-06 2007-04-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Dichroic Guest-Host Polarizers Containing Oriented Polymeric Films
JP2005189393A (en) * 2003-12-25 2005-07-14 Nitto Denko Corp Elliptical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090004771A (en) * 2007-07-05 2009-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Composition comprising curable dichroic dye for forming optical component and an optical component prepared using the same
JP2011028234A (en) * 2009-06-26 2011-02-10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plate and laminated optical member using the same
JP2011215336A (en) * 2010-03-31 2011-10-27 Fujifilm Corp Polarizing film,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1157614A1 (en) * 2010-06-14 2011-12-22 Basf Se Black dichroic dye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570A (en) * 2013-04-11 2015-12-2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Composition for forming optically anisotropic layer
US11061176B2 (en) 2014-04-25 2021-07-13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10782462B2 (en) 2014-04-25 2020-09-22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10215900B2 (en) 2014-06-27 2019-02-26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film laminate comprising a long polarizing having exposed portion where a polarizer is exposed
US10754072B2 (en) 2014-06-27 2020-08-25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having non-polarization portions, a long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er
US11385391B2 (en) 2014-06-27 2022-07-12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having non-polarization portions, a long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er
US11467328B2 (en) 2015-06-25 2022-10-11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having non-polarizing part
KR20170037854A (en) * 2015-09-28 2017-04-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TWI700522B (en) * 2015-09-28 2020-08-0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90109366A (en) * 2015-09-28 2019-09-2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10234611B2 (en) 2015-09-28 2019-03-19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80060405A (en)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KR20180060406A (en)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KR20190121839A (en) * 2017-04-07 2019-10-2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Anisotropic Light Absorption Membrane and Laminates
KR20220020998A (en) * 2017-04-07 2022-02-2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Anisotropic light absorbing film and laminated body
KR20200090861A (en) * 2017-12-28 2020-07-2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00089373A (en) * 2019-01-16 2020-07-27 이문연 Polarized film for disply apparatus comprising quantumn dots and dips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36325B (en) 2017-04-12
KR20200076658A (en) 2020-06-29
TWI622814B (en) 2018-05-01
JP2013210624A (en) 2013-10-10
TW201344255A (en) 2013-11-01
JP6155697B2 (en) 2017-07-05
CN103336325A (en) 2013-10-02
KR102129135B1 (en) 2020-07-01
KR102450756B1 (en) 2022-10-04
KR20210095109A (en) 2021-07-30
KR102285105B1 (en) 2021-08-02
KR20220133851A (en)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756B1 (en)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129835B1 (en) Compound and dichroic dye, and polarizing film
KR102059755B1 (en) Polarizing device,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6983213B2 (en) Polarizing film forming composition and polarizing film
KR101996086B1 (en)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081458B1 (en) Compositon and polarizing film
KR102059695B1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