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708A - Case for portable device with sounding and vibra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Case for portable device with sounding and vibra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708A
KR20130098708A KR1020120020439A KR20120020439A KR20130098708A KR 20130098708 A KR20130098708 A KR 20130098708A KR 1020120020439 A KR1020120020439 A KR 1020120020439A KR 20120020439 A KR20120020439 A KR 20120020439A KR 20130098708 A KR20130098708 A KR 20130098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rtable terminal
coupling
groov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to KR1020120020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8708A/en
Publication of KR20130098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7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case for a mobile terminal having external output function is provided to output acoustic sound externally or to generate vib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under the state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mbined with the cover. CONSTITUTION: A third case covers a mounting groove. One side of the third case is in contact with a mobile terminal. An output part (40)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The output part outputs acoustic sound or generates vibration. A control part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The control part operates the output part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Case for portable device with sounding and vibrating function }Case for portable device with external output function {Case for portable device with sounding and vibrating function}

본 발명은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로써, 휴대단말기가 결합되어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to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for outputting sound or generating vibration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휴대용 통신수단으로 이용되지만 최근에는 통신수단 이외에도 DMB방송, 내비게이션, 웹브라우징, MP3플레이어,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In general,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as a portable communication means, but recently has performed various functions such as DMB broadcasting, navigation, web browsing, MP3 player, games, etc.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means.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개폐방식에 따라 크게 폴더형(Folder Type) 휴대단말기와 슬라이드형(Slide Type) 휴대단말기로 분류된다.Such portable terminal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a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and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그러나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발달되어 이러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액정화면의 크기가 커지는 추세이고, 휴대단말기를 별도로 개폐하지 않고 액정화면을 터치하여 휴대단말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였다.However, recently,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have been developed, and the size of the LCD screen is increasing in order to use these functions efficiently, and the smart phone that can operate the mobile terminal by touching the LCD screen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ely The use of increased significantly.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는 고급 휴대단말기로써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최신 휴대단말기의 기능 중에는 휴대단말기에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되어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하다.Such smart phones are sold at high prices as high-end mobile terminals that implement various functions. Among the functions of the latest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the mobile phones are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and can wirelessly connect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한편,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그 외의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케이스나 보호커버를 결합시켜 사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not only smart phones but other mobile terminal users are using a protective case or a protective cover in combination to protect the mobile terminal.

공개특허 제10-2005-0053427호에는 음성출력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53427 discloses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voice output function.

도 1은 종래의 음성출력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conventional audio output function.

종래의 음성출력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몸체케이스(100)와 덮개케이스(200)로 이루어진다.The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conventional voice output function is composed of a body case 100 and a cover case 200 to prevent da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몸체케이스(100)에는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키패드 입력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케이스(100)의 후면 내측에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키패드에 해당하는 음성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본체(5)가 위치한다.The body case 100 is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keypad input operation of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outputs th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pad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on the inside of the rear of the body case 100 The main body 5 is located.

그리고 상기 몸체케이스(100)에는 스피커(7)가 장착된다.And the body case 100 is equipped with a speaker (7).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키패드를 누르면 상기 감지부가 이를 감지하여 특정 키패드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전기적 신호는 상기 본체(5)에 전달되어 기설정된 음향이 상기 스피커(7)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keypad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sensing unit detects this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eypad, and the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5 so that a predetermined sou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7. Emitted to the outsid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성출력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보호기능과 함께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패드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여 키패드의 입력 편의성만이 고려되어 있을 뿐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의 작동에 따른 음향이나 기타 효과를 발생시키지는 못한다.However, such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voice output function outputs a voice corresponding to a keypad input by a user together with a protec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only the convenience of input of the keypad is considered, and the operation of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nsidered. It does not produce sound or other effects.

그리고 상기 몸체케이스(100)에는 상기 스피커(7)가 장착되는 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피커(7)를 상기 몸체케이스(100)에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pace in which the speaker 7 is mounted is not provided separately in the body case 100,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speaker 7 in the body case 10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의 작동에 따라 케이스의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거나 진동을 발생시켜 더욱 실감나게 휴대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으면서 이러한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의 장착이 용이한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coupled to the output of the sound or vibration to the outside of the cas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more realistically while using such a mobile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that is easy to mount the device for generating the effe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휴대단말기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장착홈이 형성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홈을 덮고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와 접하는 제3케이스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음향을 출력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출력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케이스, 제2케이스 및 제3케이스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출력부, 제어부 및 전원부가 배치되는 장착공간을 형성한다.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case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ope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disposed; A second case coupled to the first case and surrounding an edge of the mobile terminal; A third case coupled to an inner side of the second case to cover the mounting groove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case conta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 output unit mounted to the mounting groove to output sound or generate vibration; A control unit mounted to the mounting groove to operate the output unit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wer supply unit mounted to the mounting groove to supply power to the out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The first case, the second case and the third case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output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power unit are arranged.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 배치되는 결합편이 상기 제1케이스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케이스에는 상기 장착홈이 형성된 내측면에 다수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과, 상기 장착공간이 형성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3케이스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다.In the second case, a coupling piece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ase, and the first case has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n which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And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ly in which the mounting space is formed, and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 the third case.

상기 결합편은, 상기 제1케이스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절곡된 수평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수평부에 형성된 제1결합홈과; 상기 수직부에 형성된 제2결합홈;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 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수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케이스와 제3케이스를 결합시키며, 상기 제1케이스와 제3케이스는 상기 장착공간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The coupling piece includes a vertical port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ase is dispose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and bent from the vertical portion; The coupling groove, the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A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 The coupling protrusion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Th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third case to couple the second case and the third case, wherein the first case and the third case are the It is fixedly coupled by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mounting space.

상기 제1케이스, 제2케이스 및 제3케이스는 서로 다른 색깔 또는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first case, the second case and the third case is made of different colors or materials.

상기 출력부는, 휴대단말기의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의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휴대단말기의 진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 로 이루어진다.The output unit includes: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A vibration motor for generating vibration in the first case according to the vibration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

상기 제1케이스에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하는 2개의 음량조절버튼이 장착되되, 2개의 상기 음량조절버튼은 동시 동작에 의해 상기 스피커 및 진동모터의 작동을 전환시킨다.The first case is equipped with two volume control button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adjust the volume output from the speaker, the two volume control buttons to switch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and the vibration motor by the simultaneous operation.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되어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블루투스의 신호를 받는 블루투스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블루투스 수신 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휴대단말기의 음향 또는 진동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And a Bluetooth receiving module arranged in the mounting space and receiving a Bluetooth signal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receive a sound or vibration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Deliver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른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제1케이스, 제2케이스 및 제3케이스가 결합되어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장착공간에 출력부가 장착되어 휴대단말기의 신호에 따라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출력부의 장착이 쉽고 케이스의 조립이 용이하며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더욱 실감나고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The first case, the second case, and the third case are combined to form a mounting space, and the output unit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to generate sound or vibration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output unit can be easily mounted and the case can be easily assembled. 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used more realistically and effectively.

또한, 제2케이스에는 결합홈과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제1케이스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결합홈에 삽입되며, 제3케이스에는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제1케이스, 제2케이스 및 제3케이스의 결합이 용이하다.In addition, the coupling groove and the fix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second case,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irst cas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third case is formed by the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It is easy to combine the second case and the third case.

또한, 제1케이스, 제2케이스 및 제3케이스는 서로 다른 색깔 또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부품 특성에 맞는 재질을 선택하여 케이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휴대단말기의 보호기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깔로 제작하여 휴대단말기의 개성있는 표현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case, the second case and the third case is made of different colors or materials, by selecting a material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ase and to enhance the protection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variety of colors By making it possible to express personality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출력부는 제1케이스의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휴대단말기의 진동신호에 따라 제1케이스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로 이루어짐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에 적합한 음향 및 진동을 발생시켜 휴대단말기를 케이스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실감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is composed of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and a vibration motor for generating a vibration in the first case according to the vibration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thereby generating sound and vibration suitable for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It can be used realist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to the case.

또한, 별도의 조작버튼 없이 2개의 음량조절버튼을 동시에 눌러 스피커 및 진동모터의 작동을 편리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witch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and the vibration motor by pressing the two volume control buttons at the same time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utton.

또한, 블루투스 수신 모듈에 의해 휴대단말기와 케이스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휴대단말기의 음향 및 진동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케이스에서 음향을 출력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wirelessly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ase by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sound and vibration signals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o output sound or generate vibration from the case.

도 1은 종래의 음성출력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일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타방향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 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 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내부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conventional audio output function,
2 is a one-way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타방향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 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B-B 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내부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one-way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7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0), 제2케이스(20), 제3케이스(30), 출력부(40), 제어부(50), 전원부(60) 및 블루투스 수신 모듈(70)로 이루어진다.As illustrated in FIGS. 2 to 7,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ase 10, a second case 20, a third case 30, and an output. The unit 40, the control unit 50, the power supply unit 60 and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상기 제1케이스(10)는 상기 제2케이스(20) 및 제3케이스(30)와 결합되어 상기 출력부(40), 제어부(50), 전원부(60) 및 블루투스 수신 모듈(70)이 배치되는 장착공간(2)을 형성한다.The first case 10 is combined with the second case 20 and the third case 30 so that the output unit 40, the control unit 50, the power supply unit 60, and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are disposed. The mounting space 2 is formed.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휴대단말기(1)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장착홈(11)이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first case 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11 ope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 is disposed.

상기 장착홈(11)에는 상기 출력부(40), 제어부(50), 전원부(60) 및 블루투스 수신 모듈(70)이 장착되어 상기 장착공간(2)에 배치된다.The output groove 40, the control unit 50, the power supply unit 60, and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are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11 and are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2.

그리고 상기 장착홈(11)이 형성된 상기 제1케이스(1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0 in which the mounting groove 11 is formed.

상기 결합돌기는 제1결합돌기(12)와 제2결합돌기(13)로 이루어진다.The coupling protrusion is composed of a first coupling protrusion 12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13.

상기 제1결합돌기(12)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내측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케이스(20)에 형성된 제1결합홈(24)에 삽입된다.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 protrudes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10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4 formed in the second case 20.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돌기(12)는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24)에 삽입되어 상기 제1케이스(10)에 결합되는 상기 제2케이스(2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As shown in FIGS. 4 and 5,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12 are formed, and the second case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4 and coupled to the first case 10. The 20 is fixed to prevent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와 같이 상기 제1결합돌기(12)가 상기 제1결합홈(24)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케이스(10)에 결합되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결합위치를 잡아주어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를 결합시키기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4 to hold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second case 20 coupled to the first case 10 so as to hold the first case ( 10) and the second case 20 is easy to combine.

상기 제2결합돌기(13)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내측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케이스(20)에 형성된 제2결합홈(25)에 삽입된다.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3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ase 10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25 formed in the second case 20.

상기 제2결합돌기(13)는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25)에 삽입되어 상기 제2케이스(20)가 상기 제1케이스(10)로부터 상방향으로 이탈하여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A plurality of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3 are formed, and the second case 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25 so that the second case 20 is separated upward from the first case 10 and the first case is provided. 10 and the second case 2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이러한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송출부(14)를 통해 상기 제1케이스(10)의 외부로 음향이 출력된다.The first case 10 is provided with a transmitter 14 as shown in FIG. 3, and the sound is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10 through the transmitter 14.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음향출력단자(43)가 형성되고, 음량조절버튼(51), 블루투스 스위치(71) 및 발광부(72)가 장착된다.A sound output terminal 43 is formed in the first case 10, and a volume control button 51, a Bluetooth switch 71, and a light emitting unit 72 are mounted.

상기 음향출력단자(43), 음량조절버튼(51), 블루투스 스위치(71) 및 발광부(7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ound output terminal 43, the volume control button 51, the Bluetooth switch 71 and the light emitting unit 72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2케이스(20)는 상기 제1케이스(10)에 결합되어 휴대단말기(1)의 테두리를 감싼다.The second case 20 is coupled to the first case 10 to surround the edge of the mobile terminal (1).

그리고 상기 제2케이스(20)에는 상기 장착공간(2)에 삽입 배치되는 결합편(21)이 상기 제1케이스(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In the second case 20, a coupling piece 21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2 protrudes toward the first case 10.

상기 결합편(21)에는 상기 결합돌기(12,13)가 삽입되는 결합홈(24,25)과 상기 장착공간(2)이 형성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6)가 형성된다.The coupling piece 21 is provided with fixing grooves 26 protruding inwardly in which the coupling grooves 24 and 25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s 12 and 13 are inserted and the mounting space 2 are 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편(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22)와 수평부(23)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coupling piece 21 is composed of a vertical portion 22 and a horizontal portion 23 as shown in FIG.

상기 수직부(22)는 상기 제1케이스(10)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vertical portion 22 protrud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ase 10 is disposed.

상기 수평부(23)는 상기 수직부(22)에서 연장 형성되어 절곡된다.The horizontal portion 23 extends from the vertical portion 22 and is bent.

그리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수평부(23)에 형성된 제1결합홈(24)과 상기 수직부(22)에 형성된 제2결합홈(25)으로 이루어진다.The coupling groove includes a first coupling groove 24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23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25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 22.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홈(24)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12)가 삽입되고, 상기 제2결합홈(25)에는 상기 제2결합돌기(13)가 삽입되어 상기 제2케이스(20)가 상기 제1케이스(10)에 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4,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25 so that the second case ( 20 is coupled to the first case 10.

또한, 상기 수직부(22)에는 고정돌기(26)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26 protrudes from the vertical portion 22.

상기 고정돌기(26)는 상기 제3케이스(30)에 형성된 고정홈(31)에 삽입되어 상기 제2케이스(20)와 제3케이스(30)를 결합시킨다.The fixing protrusion 26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1 formed in the third case 30 to couple the second case 20 and the third case 30.

상기 제3케이스(30)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홈(11)을 덮고 상기 장착공간(2)을 형성하며,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1)와 접한다.The third case 3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case 20 to cover the mounting groove 11 and form the mounting space 2, one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obile terminal 1.

상기 제3케이스(3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26)가 삽입되는 고정홈(31)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a fixing groove 31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26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third case 30.

상기 고정홈(31)은 상기 제3케이스(30)의 측면에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26)가 삽입되어 상기 제2케이스(20)와 제3케이스(30)를 결합시킨다.The fixing groove 3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third case 30, and the fixing protrusion 26 is inserted as described above to couple the second case 20 and the third case 30. .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3케이스(30)는 상기 장착공간(2)을 관통하는 체결부재(3)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As shown in FIG. 6, the first case 10 and the third case 30 are fixedly coupled by the fastening member 3 penetrating the mounting space 2.

상기 체결부재(3)는 볼트로 이루어져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3케이스(30)를 고정 결합시키면서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3케이스(30) 및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3케이스(30) 사이에 결합된 상기 제2케이스(20)를 더욱 공고히 결합시키길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3 is formed of a bolt while fixing the first case 10 and the third case 30 to the first case 10, the third case 30, and the first case 10. And the second case 20 coupled between the third case 30 can be more firmly coupled.

이러한 상기 체결부재(3)는 본 실시예와 같이 볼트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제1케이스(10), 제2케이스(20) 및 제3케이스(30)를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3 is not limited to the bol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fixed by combining the first case 10, the second case 20 and the third case 30 in various ways. .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케이스(20)에는 상기 결합홈과 고정돌기(26)가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상기 결합돌기(12,13)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24,25)에 삽입되며, 상기 제3케이스(30)에는 상기 고정돌기(26)가 삽입되는 상기 고정홈(3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케이스(10), 제2케이스(20) 및 제3케이스(30)의 결합이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case and the fixing protrusion 26 are formed in the second case 20,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2 and 13 are formed in the first case 10, so that the coupling groove 24, 25 is inserted into the third case 30, and the fixing groove 31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26 is inserted is formed to form the first case 10, the second case 20, and the third case 30. The case 30 is easily coupled.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1케이스(10), 제2케이스(20) 및 제3케이스(30)는 서로 다른 색깔 또는 재질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se 10, the second case 20, and the third case 30 are made of different colors or materials.

상기 제1케이스(10), 제2케이스(20) 및 제3케이스(30)의 색깔 또는 재질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제1케이스(10), 제2케이스(20) 및 제3케이스(30)의 색깔을 다르게 하여 다양한 색감의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Although the color or material of the first case 10, the second case 20, and the third case 30 may be the same, the first case 10, the second case 20, and the third case may be the same. By varying the color of (30), various color designs can be produced.

또한, 제1케이스(10), 제2케이스(20) 및 제3케이스(30)는 각각 그 위치 및 역할에 따라 그 재질을 달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ase 10, the second case 20, and the third case 30 may have different materials depending on their positions and roles.

구체적으로 상기 제1케이스(10)는 휴대단말기(1)와 직접 닿지 않고 내부에 상기 출력부(40), 제어부(50) 및 전원부(60) 등이 장착되며 각종 기능버튼 등이 장착되기 때문에 성형이 쉽고 내부 전자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first case 10 is formed because the output unit 40, the control unit 50, the power supply unit 60, etc. are mounted therein without being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mobile terminal 1, and various functional buttons are mounted.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material which is easy and protects the internal electronic components.

그리고 상기 제2케이스(20)는 휴대단말기(1)의 테두리를 감싸 휴대단말기(1)를 케이스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적절한 강도와 탄성을 가져야 하며, 상기 제3케이스(30)는 휴대단말기(1)와 면접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1)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ase 20 should have appropriate strength and elasticity because it should surround the edge of the mobile terminal 1 to fix the mobile terminal 1 to the case, and the third case 30 has the portable terminal 1. ), So as not to damage th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

이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10), 제2케이스(20) 및 제3케이스(30)는 서로 다른 색깔 또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부품 특성에 맞는 재질을 선택하여 케이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휴대단말기(1)의 보호기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깔로 제작하여 휴대단말기(1)의 개성있는 표현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se 10, the second case 20, and the third case 30 are made of different colors or materials,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ase by selecting a material suitable for each component characteristic and the portable terminal. The protection function of (1) can be strengthened, and it is possible to express personality of the mobile terminal (1) by producing various colors.

상기 출력부(40)는 상기 장착홈(11)에 장착되어 음향을 출력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킨다.The output unit 40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11 to output sound or generate vibration.

이러한 상기 출력부(40)는 스피커(41)와 진동모터(42)로 이루어진다.The output unit 40 is composed of a speaker 41 and the vibration motor 42.

상기 스피커(41)는 휴대단말기(1)의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10)의 외부로 음향을 출력한다.The speaker 41 outputs soun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10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1.

상기 진동모터(42)는 휴대단말기(1)의 진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10)에 진동을 발생시킨다.The vibration motor 42 generates vibration in the first case 10 in accordance with the vibration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1).

후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는 상기 블루투스 수신 모듈(70)과 무선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로 음향 및 진동신호를 보내고, 상기 스피커(41) 및 진동모터(42)는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음향 및 진동신호를 받아 상기 송출부(14)를 통해 상기 제1케이스(10)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킨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obile terminal 1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to send sound and vibration signals to the controller 50, and the speaker 41 and the vibration motor 42 are the controller ( Receives a sound and a vibration signal from the 50 to output the soun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10 through the transmitting unit 14 or generates a vibration.

이와 같이 상기 출력부(40)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41)와 휴대단말기(1)의 진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1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42)로 이루어짐으로써, 휴대단말기(1)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의 작동과 함께 적절한 음향 및 진동을 발생시켜 휴대단말기(1)를 케이스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실감나게 사용할 수 있다.As such, the output unit 40 generates vibrations in the first case 10 according to vibration signals of the speaker 41 and the mobile terminal 1 that output soun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10. By vibrating motor 42, the appropriate sound and vibration can be generated along with the operation of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 can be realistically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 is coupled to the case.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상기 이어폰이 결합되는 음향출력단자(43)가 장착된다.The first case 10 is equipped with a sound output terminal 43 to which the earphone is coupled.

상기 음향출력단자(43)에 이어폰을 결합하면 상기 제1케이스(10)의 외부로 음향이 출력되지 않고 이어폰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게 된다.When the earphone is coupled to the sound output terminal 43, the sound is not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10, but the sound is output through the earphone.

그리고 상기 음향출력단자(43)에는 충전단자가 결합된다.And the charging terminal is coupled to the sound output terminal 43.

상기 충전단자는 외부전원과 상기 전원부(60)를 연결하여 상기 전원부(60)를 충전시킬 수 있다.The charging terminal may connect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power supply unit 60 to charge the power supply unit 60.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장착홈(11)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1)의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40)를 작동시킨다.The control unit 50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11 to operate the output unit 40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1).

상기 제어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40), 전원부(60) 및 블루투스 수신 모듈(70)과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60)로부터 상기 출력부(40) 및 블루투스 수신 모듈(70)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블루투스 수신 모듈(70)을 통해 휴대단말기(1)의 음향 또는 진동신호를 받아 상기 스피커(41) 및 진동모터(42)를 작동시킨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controller 50 is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40, the power supply unit 60, and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and receives the output unit 40 and the Bluetooth reception unit from the power supply unit 60. The module 70 is supplied with power and receives the sound or vibration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1 through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to operate the speaker 41 and the vibration motor 42.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1케이스(10)에 장착된 2개의 음량조절버튼(5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피커(41)의 음량을 조절한다.The controller 50 adjusts the volume of the speaker 4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wo volume control buttons 51 mounted on the first case 10.

구체적으로 2개의 상기 음량조절버튼(51)은 상기 스피커(41)에서 출력되는 음량을 증가시키는 증량버튼과 음량을 감소시키는 감량버튼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상기 음량조절버튼(51)을 동시에 누르면 상기 스피커(41) 및 진동모터(42)의 작동이 전환된다.Specifically, the two volume control buttons 51 are composed of an increase button for increasing the volume output from the speaker 41 and a decrease button for decreasing the volume, and simultaneously pressing the two volume control buttons 51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41 and the vibration motor 42 is switched.

즉, 스피커(41)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2개의 상기 음량조절버튼(51)을 동시에 누르면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상기 스피커(41)의 작동이 멈추고 상기 진동모터(42)가 작동하게 되며, 그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That is, pressing two volume control buttons 51 at the same time while the speaker 41 is operated,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41 is stopped by the controller 50 and the vibration motor 42 is operated. The same applies to the reverse case.

또한, 2개의 상기 음량조절버튼(51)을 누를 때마다 스피커(41) 작동 모드, 진동모터(42) 작동 모드, 스피커 및 진동모터(42) 동시 작동 모드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time the two volume control buttons 51 are pressed, the speaker 41 operation mode, the vibration motor 42 operation mode, and the speaker and vibration motor 42 simultaneous operation modes may be changed sequentially.

이와 같이 별도의 조작버튼 없이 2개의 상기 음량조절버튼(51)을 동시에 눌러 상기 스피커(41) 및 진동모터(42)의 작동을 편리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Thus, by pressing the two volume control buttons 51 at the same time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utt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witch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41 and the vibration motor 42.

상기 전원부(60)는 상기 장착홈(11)에 장착되어 상기 출력부(40) 및 제어부(50)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60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11 to supply power to the output unit 40 and the control unit 5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60)는 상기 제어부(5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50)에서 상기 출력부(40), 블루투스 수신 모듈(70)에 전원을 전달하여 작동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unit 60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unit 50, and operates the power supply unit 60 by transmitting power to the output unit 40 and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from the control unit 50.

또한, 상기 전원부(60)는 상기 음향출력단자(43)에 결합되는 충전단자에 의해 충전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60 is charged by a charging terminal coupled to the sound output terminal 43.

상기 블루투스 수신 모듈(70)은 상기 장착공간(2)에 배치되어 휴대단말기(1)에 장착된 블루투스 무선 신호를 받는다.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is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2 to receive a Bluetooth wireless signal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1).

상기 블루투스 수신 모듈(70)은 상기 제어부(50)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휴대단말기(1)의 음향 또는 진동신호를 상기 제어부(50)로 전달한다.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60 and to transmit a sound or vibration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1 to the control unit 50.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상기 블루투스 수신 모듈(70)을 작동시키는 블루투스 스위치(71)가 장착되고, 상기 블루투스 스위치(71)에 의한 상기 블루투스 수신 모듈(70)의 작동에 따라 점멸되는 발광부(72)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first case 10 is equipped with a Bluetooth switch 71 for operating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the light emitting flashing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by the Bluetooth switch 71 The unit 72 is mounted.

이에 따라 상기 스피커(41) 및 진동모터(42)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는 상기 블루투스 스위치(71)로 상기 블루투스 수신 모듈(70)의 전원을 꺼 상기 전원부(60)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peaker 41 and the vibration motor 42 are not operated, the Bluetooth switch 71 may be turned off to save energy of the power supply unit 60 b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그리고 상기 발광부(72)를 통해 상기 블루투스 수신 모듈(70)의 작동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And it is possible to easily know the operating state of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72.

이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 수신 모듈(70)에 의해 휴대단말기(1)와 케이스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휴대단말기(1)의 음향 및 진동신호를 상기 제어부(50)로 전달하여 케이스에서 음향을 출력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wirelessly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he case by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70,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ransmits the sound and vibration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1 to the control unit 50 to the sound in the case Output or generate vib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10), 제2케이스(20) 및 제3케이스(30)가 결합되어 상기 장착공간(2)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간(2)에 상기 출력부(40)가 장착되어 휴대단말기(1)의 신호에 따라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출력부(40)의 장착이 쉽고 케이스의 조립이 용이하며 휴대단말기(1)의 다양한 기능을 더욱 실감나고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se 10, the second case 20, and the third case 30 are combined to form the mounting space 2, and the output unit 40 in the mounting space 2. Is mounted to generate sound or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1, so that the output unit 40 can be easily mounted, the assembly of the case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1 can be used more realistically and effectively. Can be.

본 발명인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휴대단말기, 2 : 장착공간, 3 : 체결부,
10 : 제1케이스, 11 : 장착홈, 12 : 제1결합돌기, 13 : 제2결합돌기, 14 : 송출부,
20 : 제2케이스, 21 : 결합편, 22 : 수직부, 23 : 수평부, 24 : 제1결합홈, 25 : 제2결합홈, 26 : 고정돌기,
30 : 제3케이스, 31 : 고정홈,
40 : 출력부, 41 : 스피커, 42 : 진동모터, 43 : 음향출력단자,
50 : 제어부, 51 : 음량조절버튼,
60 : 전원부,
70 : 블루투스 수신 모듈, 71 : 블루투스 스위치, 72 : 발광부,
1: portable terminal, 2: mounting space, 3: fastening part,
10: first case, 11: mounting groove, 12: first coupling protrusion, 13: second coupling protrusion, 14: discharge part,
20: second case, 21: coupling piece, 22: vertical portion, 23: horizontal portion, 24: first coupling groove, 25: second coupling groove, 26: fixing protrusion,
30: third case, 31: fixing groove,
40: output unit, 41: speaker, 42: vibration motor, 43: sound output terminal,
50: control unit, 51: volume control button,
60: power supply unit,
70: Bluetooth receiving module, 71: Bluetooth switch, 72: light emitting unit,

Claims (7)

휴대단말기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장착홈이 형성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홈을 덮고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와 접하는 제3케이스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음향을 출력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출력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케이스, 제2케이스 및 제3케이스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출력부, 제어부 및 전원부가 배치되는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A first case having a mounting groove ope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disposed;
A second case coupled to the first case and surrounding an edge of the mobile terminal;
A third case coupled to an inner side of the second case to cover the mounting groove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case conta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 output unit mounted to the mounting groove to output sound or generate vibration;
A control unit mounted to the mounting groove to operate the output unit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wer supply unit mounted to the mounting groove to supply power to the out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 ≪ / RTI >
The first case, the second case and the third case is coupled to each other,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output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is dispo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 배치되는 결합편이 상기 제1케이스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케이스에는 상기 장착홈이 형성된 내측면에 다수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과, 상기 장착공간이 형성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3케이스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cond case, a coupling piece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case.
The first case has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protruding on the inner surface where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The coupling piec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ly in which the mounting space is formed.
The third case is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jection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상기 제1케이스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절곡된 수평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수평부에 형성된 제1결합홈과;
상기 수직부에 형성된 제2결합홈;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 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수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케이스와 제3케이스를 결합시키며,
상기 제1케이스와 제3케이스는 상기 장착공간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upling piece,
A vertical port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ase is dispose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and bent from the vertical portion; Lt; / RTI >
The coupling groove
A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A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 Lt; / RTI >
The engaging projection
A first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Lt; / RTI >
Th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third case to couple the second case and the third case,
The first case and the third case is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s fixedly coupled by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mounting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 제2케이스 및 제3케이스는 서로 다른 색깔 또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ase, the second case and the third case is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different colors or material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휴대단말기의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의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휴대단말기의 진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output unit includes: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 vibration motor for generating vibration in the first case according to the vibration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에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하는 2개의 음량조절버튼이 장착되되,
2개의 상기 음량조절버튼은 동시 동작에 의해 상기 스피커 및 진동모터의 작동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case is equipped with two volume control button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volume output from the speaker,
Two volume control buttons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and the vibration motor by a simultaneous opera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되어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블루투스의 신호를 받는 블루투스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블루투스 수신 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휴대단말기의 음향 또는 진동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t is made in the mounting space further comprises a Bluetooth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Bluetooth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The Bluetooth receiv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outpu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sound or vibration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control unit.


KR1020120020439A 2012-02-28 2012-02-28 Case for portable device with sounding and vibrating function KR201300987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439A KR20130098708A (en) 2012-02-28 2012-02-28 Case for portable device with sounding and vibrat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439A KR20130098708A (en) 2012-02-28 2012-02-28 Case for portable device with sounding and vibrat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708A true KR20130098708A (en) 2013-09-05

Family

ID=4945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439A KR20130098708A (en) 2012-02-28 2012-02-28 Case for portable device with sounding and vibrat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870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123A1 (en) * 2013-12-31 2015-07-09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ortable piezoelectric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CN105376364A (en) * 2015-11-18 2016-03-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Mobile phone protection shell
US20170359642A1 (en) * 2016-06-08 2017-12-14 Diasonic Technology Co., Ltd. Case for mobile termina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123A1 (en) * 2013-12-31 2015-07-09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ortable piezoelectric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9699568B2 (en) 2013-12-31 2017-07-04 Innochips Technologies Co., Ltd. Portable piezoelectric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05376364A (en) * 2015-11-18 2016-03-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Mobile phone protection shell
CN105376364B (en) * 2015-11-18 2018-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Mobile phone protecting case
US20170359642A1 (en) * 2016-06-08 2017-12-14 Diasonic Technology Co., Ltd. Case for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921B1 (en) Wrist watch type mobile terminal
KR101960680B1 (en) Earphone charging case
US20180184191A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US20080226112A1 (en) Structure of cordless earphones
US20130114823A1 (en) Headset With Proximity Determination
US20140194166A1 (en) Telephone glove
KR20080084498A (en) Portable terminal
KR20130076250A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resonance structure for speaker
CN103235529A (en) Control circuit system applied in sex toy
CN210536921U (en) Multifunctional TWS Bluetooth earphone sound box
KR20130076450A (en) Mobile terminal
EP3553882A1 (en) Conductive cover component of terminal and terminal
KR20130098708A (en) Case for portable device with sounding and vibrating function
KR20120110669A (en) Case for portable device with vibrating and sounding function
KR20120110664A (en) Case for portable device with vibrating and sounding function
CN212785773U (en) Bluetooth headset of metal casing antenna
KR200397845Y1 (en) Wireless audio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JP2007143086A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049241A1 (en) Remote controller device having a multi-function module that facilitates location of a wireless user-operated module
KR101257924B1 (en) portable type bluetooth repeater
CN211128128U (en) Earphone set
KR100663490B1 (en) Spearker for mobile phone using antenna mounting space
JP3132766U (en) Cordless earphone
KR20150007588A (en)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with sound film
CN203261319U (en) Vehicle-mounted frequency modulation (FM)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