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845Y1 - Wireless audio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ireless audio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7845Y1 KR200397845Y1 KR20-2005-0022004U KR20050022004U KR200397845Y1 KR 200397845 Y1 KR200397845 Y1 KR 200397845Y1 KR 20050022004 U KR20050022004 U KR 20050022004U KR 200397845 Y1 KR200397845 Y1 KR 2003978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signal
- signal
- button
- bluetooth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중의 블루투스 신호를 수집하는 안테나, 안테나로부터 수집된 블루투스 신호를 디지털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로부터의 디지털 음향 신호를 소정 스피커를 통해 가청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 신호 변환부, 외부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전원 온/오프 버튼 및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음향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부, 버튼부의 입력에 기초하여 요청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부, 각 부로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USB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USB 전원 입력부를 포함하는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n antenna for collecting the public Bluetooth signal, a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for converting the Bluetooth signal collected from the antenna into a digital sound signal, an analog for outputting the digital sound signal from the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s audible sound through a predetermined speaker Audio signal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audio interface that outputs the analog sound signal to the speaker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speaker, power on / off button and adjusts the volume of the analog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interface A button unit having a volume control button to contro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unit to perform the requested opera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button unit, an LE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a battery for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to each unit, USB port Ship with power input through Provided is a wireless sound signal relay device including a USB power input for charging a battery.
Description
본 고안은, 블루투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휴대폰 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중계하며,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laying the Bluetooth signal from a mobile phone or a portable multimedia playback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 Bluetooth signal, and converting the Bluetooth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for the user to listen to.
근래 무선 통신 기능이 발달하고, 이를 운용하는 장치의 크기도 작아져,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무선 헤드폰 또는 무선 스피커와 같은 기기들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헤드폰 또는 무선 스피커는 적외선과 같은 직진성을 띠는 전파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적외선 발신 장치와 무선 헤드폰 사이에 차폐물이 존재할 경우 신호 전달 능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지는 못하였다.In recent years,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the size of a device that operates them has become smaller, and devices such as wireless headphones or wireless speakers are commercially available for user convenience. However, such a wireless headphone or a wireless speaker often uses a radio wave having a straight line such as infrared rays, so that the shielding ability between the infrared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headphone is rapidly degraded, and thus it has not been widely used. .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2GHz 내지 2.4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피코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소위 '블루투스' 기술이 개발되어, 차폐에 강하고, 송수신 데이터 량도 고속 대용량인 소규모 통신 기술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in recent years, a so-called 'Bluetooth'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construct a pico network using radio frequencies in the 2 GHz to 2.4 GHz band, and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through the network. It is widely used in high speed large capacity small scale communication technology.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또는 핸드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블루투스 신호를 중계하여 가청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be used in the digital multimedia playback device or a mobile phone using Bluetooth as described above to convert the Bluetooth signal to an audible signal and output it through a speak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중의 블루투스 신호를 수집하는 안테나, 안테나로부터 수집된 블루투스 신호를 디지털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로부터의 디지털 음향 신호를 소정 스피커를 통해 가청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 신호 변환부, 외부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전원 온/오프 버튼 및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음향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부, 버튼부의 입력에 기초하여 요청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부, 각 부로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USB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USB 전원 입력부를 포함하는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ntenna for collecting the Bluetooth signal of the air, the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for converting the Bluetooth signal collected from the antenna into a digital sound signal, the digital sound signal from the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through a predetermined speaker A sound signal converter that converts and outputs an analog sound signal for output as an audible sound, an audio interface for outputting an analog sound signal to a speaker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 external speaker, a power on / off button, and an audio interface A button unit having a volume control button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nalog sound signa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unit to perform the requested opera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button unit, an LE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e, the operating power to each unit Battery, USB port to supply It provides a wireless sound signal relay device including a USB power input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with the power input through the.
또한, 상기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4극 스테레오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dio interface includes connection means capable of connecting a four-pole stereo cable.
또한, 상기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파일을 디지털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음향 신호를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송출하는,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와 연동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버튼을 더 구비하고,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리모콘 버튼을 입력함에 따라, 제어부에서 입력된 리모콘 버튼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로 전송하고,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에서는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The wireless sound signal relay device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digital multimedia file into a digital sound signal and to transmit the digital sound signal using a Bluetooth signal. In addition, as a user inputs a remote control button to control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button in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to the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the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antenna Send through.
또한, 상기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는, 외부 음향을 입력받아 음향을 전기적인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한 후 음향 신호 변환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를 접속할 수 있는 마이크부, 및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를 휴대폰의 핸즈프리 장치로 이용하기 위한 핸즈프리 모드 선택 버튼을 더 구비하고, 핸즈프리 모드 선택 버튼에 의해 핸즈프리 모드가 선택되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을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휴대폰으로부터 송신되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스피커로 출력한다.The wireless acoustic signal relay device may include a microphone unit capable of connecting external microphones to receive an external sound, converting the sound into an electrical analog acoustic signal, and then transmitting a microphone to the acoustic signal converting unit, and a wireless acoustic signal repeater hands free of the cellular phone.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hands-free mode selection button for use as a device, and when hands-free mode is selected by the hands-free mode selection button, the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and the Bluetooth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is received to the audio interface. Output to the connected speak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301),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310), 음향 신호 변환부(315), 마이크(341), 오디오 인터페이스(342), 버튼부(330), 제어부(320), 배터리(351), USB 전원 입력부(3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antenna 301,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310, sound signal conversion unit 315, microphone 341, audio interface 342, button unit 330, the control unit ( 320, a battery 351, and a USB power input unit 352.
안테나(301)는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310)로부터 전송되는 블루투스 신호를 공중으로 송출하거나, 본 고안의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300)와 연동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 또는 휴대폰(200)에 의해 공중으로 송출된 블루투스 신호를 수집하여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310)로 전송한다.The antenna 301 transmits a Bluetooth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10 to the air, or by the multimedia player 100 or the cellular phone 200 interoperating with the wireless sound signal relay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 the Bluetooth signal transmitted to the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310.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310)은, 안테나(301)로부터 수집되어 전송되는 블루투스 신호를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300)의 내부에서 이용하기 위한 소정 주파수 또는 형식을 갖는 디지털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음향 신호 변환부(315)로 전송하거나, 후술할 제어부(3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301)로 전송함으로써 공중으로 송출하도록 한다.The Bluetooth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10 converts a Bluetooth signal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301 into a digital sound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or format for use inside the wireless sound signal relay 300 and then converts the sound into a digital signal.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315 or the controller 32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verted into a Bluetooth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antenna 301 to be transmitted to the air.
음향 신호 변환부(315)는,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310)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음향 신호를 가청 음향으로 변환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음향 데이터를 특정 코덱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식의 신호로 변환한다. 따라서, 음향 신호 변환부(315)는 소정 형식의 디지털 음향 신호를 아날로그 형식의 음향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오디오 코덱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내장한다.The sound signal converter 315 extracts sound data for converting the digital sound signal provided from the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310 into an audible sound. The extracted sound data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using a specific codec. Accordingly, the sound signal converter 315 has an audio codec and a digital / analog converter for converting a digital sound signal of a predetermined format into an acoustic signal of an analog format.
오디오 인터페이스(342)는 상기 음향 신호 변환부(315)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4극 스테레오 케이블(400)을 접속할 수 있는 연결잭을 통하여 소정의 스피커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이러한 오디오 인터페이스(342)의 연결잭은 본 고안에서 그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라도 무방하다. 다만,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된 헤드폰 또는 스피커에 쓰이는 스테레오 입출력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udio interface 342 outputs the analog sound signal converted by the sound signal converter 315 to a predetermined speaker or headphone through a connection jack for connecting the 4-pole stereo cable 400. Here, the connection jack of the audio interface 342 is not limited in its form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ny type of interface. In general,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connection means capable of connecting a stereo input / output plug for a headphone or a speaker that is widely used.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디오 인터페이스(342)를 별도의 연결잭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장치들에서와 같이 회로 기판에 납땜으로 고정된 스피커 또는 헤드폰을 사용하던 것에 비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스피커 또는 헤드폰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용하던 스피커 또는 헤드폰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손쉽게 새로운 스피커 또는 헤드폰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audio interface 342 as a separate connection jack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preferred speaker or headphone as compared to the use of the speaker or the headphone fixed by soldering to the circuit board as in conventional devices To be freely available. Therefor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used speaker or headphone,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new speaker or headphone, thereby maximizing user convenience.
버튼부(330)는 전원 온/오프 버튼(331) 및 볼륨 조절 버튼(332)을 구비한다. 전원 온/오프 버튼(331)은 본 고안의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300)의 전체 전원을 제어하는 버튼이며, 볼륨 조절 버튼(332)은, 상기 오디오 인터페이스(342)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향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이다.The button unit 330 includes a power on / off button 331 and a volume control button 332. The power on / off button 331 is a button for controlling the overall power of the wireless acoustic signal relay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control button 332 is, of the analog sound signal output to the audio interface 342 This button is to adjust the volume.
또한, 버튼부(330)에는 핸즈프리 모드 전환 버튼(333) 및 리모콘 버튼(33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300)를 휴대폰(200)과 연동하여 사용하는 중에 휴대폰(200)으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상기 핸즈프리 모드 전환 버튼(333)을 입력함으로써, 구비된 마이크(341, 또는 마이크를 접속할 수 있는 마이크 접속 수단)와 오디오 인터페이스(342)에 접속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버튼을 포함하는 리모콘 버튼(334)을 이용하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utton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hands-free mode switch button 333 and a remote controller button 334. When a user makes a call to the mobile phone 200 while the user uses the wireless sound signal relay 300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phone 200, the microphone 341 may be provided by inputting the hands-free mode switch button 333. Or a microphone connected means capable of connect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connected to the audio interface 342.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button 334 including the fast forward or rewind button can be used to control the multimedia data being played.
제어부(320)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버튼부(330)의 입력에 기초하여, 요청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즉, 상기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310)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음향 신호를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 인터페이스(342)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신호 변환부(315)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버튼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 형식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310)로 전송함으로써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300) 자체 또는 상기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와 연동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제어하도록 한다.The controller 320 controls each unit to perform the requested opera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button unit 330 by the user. That is, the digital sound signal provided from the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310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ound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ound signal conversion unit 315 output through the audio interface 342, and the button unit 330 By convert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signal of the predetermined format to the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310 to control the wireless sound signal relay device 300 itself or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100 in conjunction with the wireless sound signal relay device Do it.
LED 표시부(361)는,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300)의 현재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 온/오프 상태, 핸즈프리 모드 및 음향 신호 중계 모드, 배터리 충방전 상태, 배터리의 전압 등을 나타내도록 한다. 본 고안의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300)는 그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해 하나의 LED를 설치하고, 이 LED의 점멸 상태 또는 LED의 발광 색상으로 본 고안의 장치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LED 표시부(361)는 본 고안에서와 같은 소수의 LED만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정보를 다채롭게 표현할 수 있는 LCD와 같은 표시 수단일 수도 있다.The LED display unit 361 is for display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acoustic signal relay device 300. The LED display unit 361 includes a power on / off state, a hands free mode and an audio signal relay mode, a battery charge / discharge state, a battery voltage, and the like. To indicate. The wireless acoustic signal relay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ingle LED in order to downsize the size,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state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lashing state of the LED or the emission color of the LED. However, the LED display unit 361 is not limited to the display means consisting of only a few LED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 display means such as an LCD that can expres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배터리(351)는 소정의 전압으로 충전된 후,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300)의 각 부로의 필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USB 전원 입력부(352)에 구비된 USB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배터리(351)가 충전될 수 있다. USB 전원 입력부(352) 또는 배터리(351)에는 소정의 전압 제어 회로를 추가하여 과충전에 의한 배터리(351) 및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300) 내부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After the battery 351 is charged to a predetermined voltage, the battery 351 supplies necessary power to each part of the wireless acoustic signal relay 300. In addition, the battery 351 may be charged by power input through a USB port provided in the USB power input unit 352. A predetermined voltage control circuit is added to the USB power input unit 352 or the battery 351 to prevent damage to the internal circuit of the battery 351 and the wireless sound signal relay 300 due to overcharging.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의 동작 과정을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An operation process of the wireless acoustic signal relay device includ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먼저, 디지털 멀티미디어 파일을 가청 음향 신호로 재생이 가능하고, 상기 가청 음향 신호를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 또는 휴대폰(20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멀티미디어 파일이 재생되어 블루투스 신호로서 송출된다. 이 블루투스 신호는, 전원 온/오프 버튼(331)에 의해 음향 신호 중계 모드로 구동중인,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300)의 안테나(301)에 수집되어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310)로 전송된다.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310)은 전송된 신호를 소정 형식 및 주파수를 갖는 디지털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음향 신호 변환부(315)로 전송한다. 음향 신호 변환부(315)는 전송된 디지털 음향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음향 데이터, 영상 데이터 또는 장치 제어 데이터를 포함)를 판단하고, 상기 디지털 음향 신호를 적절히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하고 오디오 인터페이스(342)로 전송한다. 오디오 인터페이스(342)는 전송되는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접속되어 있는 스테레오 케이블(400)을 통해 스피커 또는 헤드폰으로 출력하게 된다.First, in at least one of the multimedia player 100 or the mobile phone 200 capable of playing a digital multimedia file as an audible soun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audible sound signal using a Bluetooth signal, By operation, the multimedia file is reproduced and transmitted as a Bluetooth signal. The Bluetooth signal is collected in the antenna 301 of the wireless sound signal re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riven in the sound signal relay mode by the power on / off button 331, to the Bluetooth transmit / receive module 310. Is sent. The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310 converts the transmitted signal into a digital sound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ormat and frequency and transmits the converted signal to the sound signal converter 315. The sound signal converter 315 determines the type of data included in the transmitted digital sound signal (including sound data, image data, or device control data), and decodes the digital sound signal into an analog sound signal. To the audio interface 342. The audio interface 342 outputs the transmitted analog sound signal to the speaker or the headphone through the connected stereo cable 400.
이때, 리모콘 버튼(334)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상기 입력을 판단한 제어부(320)가, 소정의 제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서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310)로 전송한다.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310)은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안테나(301)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 또는 휴대폰(20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의도대로 상기 장치의 재생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remote control button 334 is input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320 having determined the input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s a digital signal to the Bluet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310. The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310 transmits an input control signal to the multimedia player 100 or the mobile phone 200 through an antenna 301 so that playback of the device can be controlled as the user intends.
또한,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300)가 휴대폰(200)과 연동하여 사용되고 있는 경우, 휴대폰(200)에 전화가 수신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전화를 발신하고자 할 때에, 핸즈프리 모드 전환 버튼(333)을 입력함으로써,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300)가 핸즈프리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즉, 핸즈프리 모드 전환 버튼(333)이 입력되면, 재생 및 출력되고 있던 멀티미디어의 음량을 줄이거나 재생을 중지한 상태에서, 휴대폰(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음향 신호를 오디오 인터페이스(342)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341)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는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 휴대폰(20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sound signal relay device 300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phone 200, when a call is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200 or when a user wants to make a call, the hands-free mode switch button 333 is pressed. By input, the wireless acoustic signal relay device 300 can be used as a hands-free device. That is, when the hands-free mode switching button 333 is input, the sound signal provided from the mobile phone 200 is output through the audio interface 342 while reducing the volume of the multimedia that is being played and output or stopping the playback. The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341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200 through the Bluetooth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10.
또한, 오디오 인터페이스(342)를 통해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향 신호는 볼륨 조절 버튼(332)에 의해 음량이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든 동작의 상태는 구비된 LED 표시부(361)의 점멸상태, 또는 발광 색상 등에 의해 가시적으로 표현된다.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analog sound signal output through the audio interface 342 may be adjusted by the volume control button 332. In addition, the state of all the above operation is visually represented by the flashing state of the LED display 361 provided, or the emission color.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파일의 디코딩이 가능하고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를 블루투스 신호로 송신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또는 휴대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사용자의 스피커를 통해 가청 신호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유선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핸즈프리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최근 각광받고 있는 MP3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대해서도 음향 중계 장치 및 핸즈프리 장치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스테레오 케이블을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음향 출력 수단이 되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이 고정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스피커 또는 헤드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ecode the digital multimedia file, and wirelessly receive sound data transmitted from a mobile phone or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such as an MP3 player capable of transmitting the decoded data as a Bluetooth signal to the user. Since the audible signal can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a wire. In addition, by adding a hands-free function, it can be applied to a mobile phone including an MP3 player which is in the spotlight as a sound relay device and a hands-free device. In addition, by providing an audio interface so that the stereo cable can be freely connected, the user's freedom of selection with respect to the speaker or the headphone can b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earphone or the headphone, which is a sound output means, is generally connec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acoustic signal re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ireless acoustic signal re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고안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code for the main part of the draft)
100 :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200 : 휴대폰100: multimedia playback device 200: mobile phone
300 :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 301 : 안테나300: wireless acoustic signal relay device 301: antenna
310 :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 315 : 음향 신호 변환부310: Bluetooth transceiver module 315: sound signal conversion unit
320 : 제어부 330 : 버튼부320: control unit 330: button unit
331 : 전원 온/오프 버튼 332 : 볼륨 조절 버튼331: power on / off button 332: volume control button
333 : 핸즈프리 모드 버튼 334 : 리모콘 버튼333: Hands free mode button 334: Remote control button
341 : 마이크부 342 : 오디오 인터페이스341: microphone 342: audio interface
351 : 배터리 352 : USB 전원 입력부351: battery 352: USB power input unit
361 : LED 표시부 400 : 스테레오 케이블361: LED display 400: stereo cabl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2004U KR200397845Y1 (en) | 2005-07-28 | 2005-07-28 | Wireless audio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2004U KR200397845Y1 (en) | 2005-07-28 | 2005-07-28 | Wireless audio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7845Y1 true KR200397845Y1 (en) | 2005-10-07 |
Family
ID=4369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200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97845Y1 (en) | 2005-07-28 | 2005-07-28 | Wireless audio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7845Y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8332B1 (en) | 2005-12-15 | 2007-10-29 | 주식회사 오성전자 | Remote control unit |
KR100839988B1 (en) * | 2006-12-05 | 2008-06-20 | 크레신 주식회사 | Wired / Wireless Electroacoustic Converter |
US8095309B2 (en) * | 2007-06-05 | 2012-01-10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GPS assisted vehicular longitudinal velocity determination |
CN104202693A (en) * | 2014-09-17 | 2014-12-10 | 江苏美琪威电子科技有限公司 | Novel mobile audio system |
CN112365873A (en) * | 2020-11-10 | 2021-02-12 | 北京百瑞互联技术有限公司 | Bluetooth audio relay sound mix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
CN114866115A (en) * | 2022-04-25 | 2022-08-05 | 哲库科技(上海)有限公司 | Bluetooth conversion device, charging case and audio playback system |
-
2005
- 2005-07-28 KR KR20-2005-0022004U patent/KR200397845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8332B1 (en) | 2005-12-15 | 2007-10-29 | 주식회사 오성전자 | Remote control unit |
KR100839988B1 (en) * | 2006-12-05 | 2008-06-20 | 크레신 주식회사 | Wired / Wireless Electroacoustic Converter |
US8095309B2 (en) * | 2007-06-05 | 2012-01-10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GPS assisted vehicular longitudinal velocity determination |
CN104202693A (en) * | 2014-09-17 | 2014-12-10 | 江苏美琪威电子科技有限公司 | Novel mobile audio system |
CN104202693B (en) * | 2014-09-17 | 2018-03-09 | 江苏美琪威电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Novel movable sound equipment |
CN112365873A (en) * | 2020-11-10 | 2021-02-12 | 北京百瑞互联技术有限公司 | Bluetooth audio relay sound mix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
CN114866115A (en) * | 2022-04-25 | 2022-08-05 | 哲库科技(上海)有限公司 | Bluetooth conversion device, charging case and audio playback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73137B2 (en) | Audio headset | |
US8068882B2 (en) | Portable media player emulator for facilitating wireless use of an accessory | |
US20120300962A1 (en) | Solar Powered Wireless Bluetooth Stereo Speaker With connectivity To MP3 Player | |
US8369548B2 (en) | Wireless headse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balanced stereo and method thereof | |
US20080226112A1 (en) | Structure of cordless earphones | |
US20070070183A1 (en) |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KR20040045841A (en) | Modular headset for cellphone or MP3 player | |
US20110110514A1 (en) | Multi-button remote control headset with improved signaling | |
WO2007076325A2 (en) | Full-duplex radio speake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 |
CA3064875A1 (en) | System and method of use of connecting wireless speakers | |
CN210536921U (en) | Multifunctional TWS Bluetooth earphone sound box | |
KR200397845Y1 (en) | Wireless audio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 |
CN210724784U (en) | Supra-aural intercom | |
KR100727292B1 (en) | Wireless headset that can use an external speaker as a speakerphone | |
CN203840507U (en) | Bluetooth stereo | |
US20080051155A1 (en) | Attachable speaker apparatus and audio reproducing system having the same | |
CN103856865A (en) | Electronic device integrating earphone and loudspeaker | |
KR101121927B1 (en) | Stereo bluetooth headset | |
JP3144831U (en) | Wireless audio system with stereo output | |
US20060258411A1 (en) | Multifunction audio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earphone | |
CN101022279A (en) | Frequency modulation/amplitude modulation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frequency modulation transmission | |
JP2010050674A (en) | Communications apparatus | |
JP3132766U (en) | Cordless earphone | |
KR100680317B1 (en) | Wireless Speakerphone System Using External Speak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Adapter | |
CN205670771U (en) | A kind of wall embedded Bluetooth phon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728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509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92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9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327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0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