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274A - 기능도를 기능도 섹션들로 구조화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도를 기능도 섹션들로 구조화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274A
KR20130098274A KR1020137000776A KR20137000776A KR20130098274A KR 20130098274 A KR20130098274 A KR 20130098274A KR 1020137000776 A KR1020137000776 A KR 1020137000776A KR 20137000776 A KR20137000776 A KR 20137000776A KR 20130098274 A KR20130098274 A KR 20130098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functional diagram
diagram
modules
s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956B1 (ko
Inventor
안드레 투르나우스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3009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30Circuit desig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6Programming the control seque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258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 function bloc editor, labvi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도(1)를 기능도 섹션들(2)로 구조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에서 기능도(1)는 기능 모듈들(3)을 포함하고, 개별 기능 모듈들(3)은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 결선(4)을 통해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기능 모듈(3)과 연결되며, 각각의 기능도 섹션(2)은 기능도(1)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도표화하기 위한 사전 정의된 영역을 형성하며, 기능도(1)의 상이한 기능도 섹션들(2)의 2개의 기능 모듈(3) 사이의 기능 모듈 결선(4)은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이다. 기능도 섹션들(2)로의 기능도(1)의 최적화된 구조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능도(1)가 기능도 섹션(2)의 사전 정의된 영역을 초과할 경우, 개별 기능도 섹션들(2)에 개별 기능 모듈들(3)을 할당할 시 형성되는 기능 모듈 외부 결선들(5)의 제1 결정이 각각의 기능도 버전마다 이루어지고, 개별 기능 모듈들(3)은 가능한 적은 개수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을 포함하는 기능도 버전에 따라 기능도 섹션들(2)에 할당된다.

Description

기능도를 기능도 섹션들로 구조화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STRUCTURING A FUNCTION PLAN INTO FUNCTION PLAN SECTIONS}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전압 개폐 장치들(예: 엔진 스타터, 엔진 관리 시스템 또는 안전 시스템)은 점차 다수의 장치 매개변수 및 장치 기능에 의해 특징화되고 있다. 복잡한 개폐 장치들이 점차 응용 논리(예: 안전 프로그램)를 처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해당 분야의 요건에 유연하게 적응될 수 있다.
상기 복잡한 전자 개폐 장치들의 매개변수화는 대개 장치에 논리와 매개변수들을 제공하는 엔지니어링 시스템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오늘날의 엔지니어링 시스템은 설계자로 하여금 대응하는 장치들을 용이하게 매개변수화할 수 있게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도 포함한다.
엔지니어링 시스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관점은, 설계자가 기능 목록 내에서 장치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하여 기능도에 배선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이다. 설계자는 상기 기능도에 기능 모듈들을 서로 배선할 수 있고, 이처럼 특정한 응용 사례에 완벽하게 맞추어진 기능 논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엔지니어링 시스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단순화된 도해는 도 1에서 확인된다.
개폐 장치들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기능도에서 배선될 기능 모듈들의 개수도 증가한다. 따라서 도면들은 더욱 확대되고 여러 페이지에 걸쳐서 연장된다. 기능 모듈들 간의 결선(기능 모듈 결선)의 개수도 증가한다.
엔지니어링 시스템의 핵심 기능성은 상기 유형의 배선도들의 문서화이다. 여기서 문제는, 복잡하면서도 광범위한 배선도들(기능도들)의 양호한 판독성 및 해석 가능성이 유지되도록 상기 배선도들(기능도들)을 출력(인쇄)하는 것이다. 생성된 문서는 이러한 경우에만 기록 보관 목적으로만 이용되지 않고, 배선의 최적화 시 또는 트러블 슈팅 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기능도의 판독성은 문서의 작성 시 가이드로서 이용되는데, 그 이유는 기능도는 n개의 동일 부분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부분은 하나의 기능도 섹션(예: 하나의 인쇄면)에 할당되기 때문이다. 인쇄 출력의 경우에 예컨대 일반적인 옵션을 통해 용지 규격 및 용지 형식이 설정될 수 있다. 엔지니어링 시스템에서는 평면도에 페이지 경계선들이 표시되었으며, 그럼으로써 설계자는 도면의 작성 시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그에 상응하게 기능 요소들을 배치할 수 있었다. 도 2에서는 예컨대 배선도가 6장의 인쇄면으로 분할된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기능도 섹션들로 기능도의 최적화된 구조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또 다른 과제는, 바람직하게는, 개별 기능도 섹션들이 우수한 판독성 및 해석 가능성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복잡하면서도 광범위한 기능도(배선도)를 개별 기능도 섹션들로 구조화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방법, 다시 말하면 기능도를 기능도 섹션들로 구조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능도는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고 개별 기능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 결선을 통해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기능 모듈과 연결되며, 각각의 기능도 섹션은 기능도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도표화하기 위한 사전 정의된 면적을 형성하고, 기능도의 상이한 기능도 섹션들의 2개의 기능 모듈 사이의 기능 모듈 결선은 기능 모듈 외부 결선이고, 기능도가 기능도 섹션의 사전 정의된 면적을 초과하면 개별 기능도 섹션들에 개별 기능 모듈들을 할당할 시 형성되는 기능 모듈 외부 결선들의 제1 결정이 각각의 기능도 버전마다 이루어지며, 개별 기능 모듈들은 가능한 한 적은 개수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을 포함하는 기능도 버전에 따라 기능도 섹션들에 할당되는 방법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제15항에 따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청구항 제16항에 따른 엔지니어링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 제2항 내지 제14항에서 명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는 기능도가 지능적인 방식으로 분석되고, 궁극적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 기능도 또는 기능 모듈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기능도 섹션들로 구조화됨으로써 기능도의 콤팩트하고 체계적이며 명료한 구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서 기능도는 기능 모듈들을 포함한다. 이런 경우 개별 기능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 결선을 통해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기능 모듈과 연결된다. 그러나 모든 기능 모듈이 상호 간에 연결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기능 모듈이 또 다른 기능 모듈로 연결되는 복수의 기능 모듈 결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기능도 섹션은 기능 모듈들 및 이들 기능 모듈의 배선을 도표화하기 위한 사전 정의된 영역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기능도 섹션은 기능도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도표화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능도 섹션은 기능 모듈들 및 이들 기능 모듈의 결선들을 도표화/구조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영역을 한정한다. 기능 모듈이 또 다른 기능도 섹션의 기능 모듈과 연결되는 경우에 한해서, 기능 모듈 외부 결선이 제공된다. 그에 따라 기능도 섹션들 사이에는 두 기능 모듈의 결선, 다시 말하면 기능 모듈 외부 결선이 존재한다. 기능 모듈이 기능도 섹션 내부에서 기능 모듈과 연결되면, 기능 모듈 결선이 존재한다.
이제 기능도가 기능도 섹션의 사전 정의된 영역을 초과하는 경우에 한해, 기능도는 2개 이상의 기능도 섹션으로 분할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기능도의 기능 모듈들 및 이들 기능 모듈 상호 간의 결선들의 개수 또는 시각화 수요가 기능도 섹션의 가용 영역을 초과하므로, 기능도는 복수의 기능도 섹션으로 분할되어야 한다.
기능도 섹션들을 통해서 기능도의 가능한 한 명료한 구조화를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존재하는 기능도 섹션들에 기능 모듈들을 분배하는 모든 가능한 시나리오가 고려되고 기능 모듈들의 존재하는 기능 모듈 외부 결선들의 관점에서 분석된다. 기능도가 개별 기능도 섹션들로 가능한 한 명료하게 구조화될 수 있도록, 기능 모듈 외부 결선의 개수는 가능한 적게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유형의 분석을 통해서는, 필요한 기능도 섹션들로 기능 모듈들의 최적의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개별 시나리오들(기능도 버전들)의 분석 시 바람직하게는 생성 가능한 모든 버전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지능적인 필터링(예: 2개의 기능 모듈 상호 간의 기능 모듈 결선의 개수)을 통해 미리 부적합한 버전들이 필터링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능도 섹션들에 대한 개별 기능 모듈들의 궁극적인 할당은 가능한 한 적은 개수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을 포함하는 기능도 버전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이처럼 기능 모듈들 상호 간의 배선 정보의 매우 명료하면서도 콤팩트한 도표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공간 부족으로 야기되는, 2개의 기능도 섹션 사이에서 필요한 기능 모듈 외부 결선들이 최소로 축소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기능도 섹션들로의 개별 기능 모듈들의 할당이 최소 개수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을 포함하는 기능도 버전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처럼 기능도의 구조화는 필요한 기능 모듈 외부 결선들의 감소의 관점에서 최대치로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능도 섹션의 개수의 제2 결정이 각각의 기능도 버전마다 이루어지며, 할당을 위해 최소 개수의 기능도 섹션을 포함하는 기능도 버전들만이 고려된다.
그에 따라 기능도 버전들의 분석 시 바람직하게는 우선 각각의 기능도 버전마다 필요한 기능도 섹션의 개수가 결정된다. 그에 이어서 최소 개수의 기능도 섹션을 포함하는 기능도 버전들만이 그들에 포함된 기능 모듈 외부 결선의 각각의 개수가 얼마나 되는지와 관련하여 분석된다. 궁극적으로 최소 개수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을 포함하는 기능도 버전이 선택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기능도 버전에 따라 개별 기능 모듈들의 할당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유형의 분석을 통해서는 필요한 기능도 섹션과 필요한 기능 모듈 외부 결선의 개수가 최소치로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도는 기능도 섹션들로 매우 콤팩트하게 분할/구조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능도 섹션의 영역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기능도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기능도의 인쇄 출력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면적을 나타낸다. 기능도가 기능도 섹션의 크기를 초과할 경우, 기능도는 기능도의 인쇄 출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기능도 섹션으로 분할되어야 한다. 이런 경우, 바람직하게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서 기능도 섹션의 가용 영역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음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페이지(기능도 섹션)에 기능도를 도표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공간이 한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기의 선택은, 용지 인쇄 출력과 관련될 경우 예컨대 DIN A4 인쇄와 DIN A3 인쇄 간의 선택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기능도 섹션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개별 기능도 섹션들이 상이한 크기를 가짐으로써, 예컨대 기능도의 일부분은 DIN A4에 도표화되고 다른 일부분은 DIN A3에 도표화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능도 섹션의 공간 배향이 상기 기능도 섹션에 의해 도표화될 기능도 부분과 관련하여 자동으로 적응된다. 공간 배향이라는 개념은 특히 세로 형식과 가로 형식 간의 선택을 의미한다. 도표화될 기능 모듈들뿐 아니라 이들 기능 모듈 상호 간의 결선을 토대로 예컨대 기능도의 일부분 및 더불어 기능도 섹션을 가로 형식 또는 세로 형식으로 배향하는 점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능 모듈들은 서로 상이한 타입 클래스를 가지고, 동일한 타입 클래스의 기능 모듈들의 제3 결정이 이루어지며, 할당을 위해 각각의 기능도 섹션 이내에 동일한 타입 클래스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기능도 버전이 바람직하게 고려된다.
기능 모듈은 예컨대 하기의 타입 클래스들로 세분화될 수 있다.
- 모니터링 모듈,
- 제어 모듈,
- 작동 모듈,
- 감시 모듈,
- 조절 모듈 또는 처리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
기능 모듈이 어느 타입 클래스에 속하는가는 바람직하게는 메타 데이터, 다시 말하면 엔지니어링 시스템의 기능 목록에 저장된다. 이때, 가능한 타입 클래스의 개수는 바람직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그 결과로 기능도 섹션들에 기능 모듈들을 할당할 시, 각각의 기능도 섹션들 내에서 동일한 타입 클래스의 기능 모듈들의 더욱 나은 분포를 갖는 기능도 버전들이 바람직하게 고려되고, 궁극적으로 선택된다. 이런 경우 동일한 타입 클래스의 기능 모듈들은 가능한 한 함께 동일한 기능도 섹션에 할당되어야 한다. 이처럼 명료하면서도 체계화된 기능도가 생성되는 방식으로 개별 기능도 섹션들로의 기능도의 구조화가 개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기능도 섹션에 동일한 타입 클래스의 기능 모듈들만이 할당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능 모듈들은 최종 사용자에 의해 바람직하게 정의될 수 있는 타입 클래스에 할당될 수 있다.
이처럼 최종 사용자는 예컨대 타입 클래스를 정의할 수 있고, 상기 타입 클래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구조화를 달성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가 예컨대 복수의 기능 모듈을 상기 타입 클래스에 할당한다면, 상기 타입 클래스의 기능 모듈들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기능도 섹션에 할당되며, 그럼으로써 기능도를 기능도 섹션들로 구조화할 시 기능도 섹션 상에 기능 모듈들의 바람직한 구조화/도표화가 달성된다.
또한, 개별 타입 클래스들이 상호 통합되어 타입 클래스 그룹을 형성할 수 있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상기 타입 클래스 그룹들 역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기능도 섹션에 할당되어야 하며, 그럼으로써 기능도 이내에서 목표하는 구조화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능도 섹션이 도표화된다.
궁극적으로 기능도는 복수의 기능도 섹션에 할당된다. 상기 유형의 기능도 섹션은 궁극적으로 기능 모듈들뿐 아니라, 이들 기능 모듈의 기능 모듈 결선들과 기능 모듈 외부 결선들을 포함한다. 이제 상기 기능도 섹션이 도표화됨에 따라, 기능도는 개별 기능도 섹션들을 토대로 도표로 시각화된다. 기능도 섹션의 도표화는 예컨대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기능도 섹션은 인쇄 출력된 페이지의 인쇄 영역에 상응한다. 그에 따라 기능도 섹션은 인쇄 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용지 형식상에 시각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능도가 모니터상에 도표로써 시각화되도록, 기능도 섹션이 대응하는 파일 형식(예: PDF 파일 형식)으로 변환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PDF 페이지가 기능도 섹션에 상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입력 수단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기능도 섹션을 통해 도표화될 기능도의 스케일링(scaling)이 조정될 수 있다.
입력 수단을 통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기능도 섹션 이내에서 기능도의 크기 및/또는 배향이 조정될 수 있다. 기능도의 스케일링이 예컨대 축소되면, 하나의 기능도 섹션 상에 더 많은 개수의 기능 모듈이 표현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스케일링이 확대되면, 기능 모듈들은 더 크게 치수화되고 궁극적으로는 기능도 섹션 상에서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그 결과로 표현될 수 있는 기능 모듈이 수가 더 감소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능도 섹션을 통해 도표화될 기능도의 스케일링은, 기능도에 의해 렌더링될 정보(예: 폰트 크기)가 개별 기능도 섹션들을 통한 기능도의 도표화 시 보조 수단 없이도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보조 수단 없이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는 크기는, 최종 사용자가 어떠한 보조 수단(예: 확대경)을 이용하지 않고 장치의 텍스트 또는 명칭을 읽을 수 있는 유형의 도표화 크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능도 섹션에 의해 도표화될 기능 모듈의 스케일링이 조정될 수 있다.
기능 모듈의 스케일링의 변경에 의해 기능도 섹션과 관련한 기능 모듈의 크기도 변경된다. 따라서 예컨대 용지나 모니터상에서의 기능 모듈의 렌더링/도표화과 관련하여 크기가 변경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능 모듈들의 스케일링에 대해 하한 및/또는 상한이 적용되며, 스케일링은 상기 범위 이내에서 기능도를 위해 가능한 한 적은 수의 기능도 섹션이 요구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하한 및/또는 상한은 바람직하게 최종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기능도 섹션은 궁극적으로 인쇄 장치를 통한 출력 시 인쇄 영역을 반영한다. 그에 따라 인쇄 영역 이내에서 기능 모듈들의 스케일링에 대해 하한 및/또는 상한이 적용됨으로써, 배선도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지 않게 도표화된다. 상기 한계 값들은 시스템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한/상한에 의해 예컨대 인쇄 출력의 스케일링이 동적으로 적응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인쇄 영역 또는 요구되는 기능도 섹션들(페이지들)이 최적의 조건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할당에 의해 결정된 기능도 버전들이 출력 신호에 의해 출력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출력 신호에 따라서, 할당에 의해 선택된 기능도 버전이 도표화될 수 있게 된다.
처리 유닛은 예컨대 출력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유형의 출력 신호는 예컨대, 상기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페이지(기능도 섹션) 상에 기능도를 도표로 나타낼 수 있는 인쇄 장치에 송출되는 신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처리 유닛은 신호의 결정, 할당 및 송출을 실행하며, 출력 장치는 출력 신호를 통해서, 할당에 의해 선택된 기능도 버전을 도표화한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과 본 발명의 구현예들이 도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기술 및 설명된다.
도 1은 엔지니어링 시스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기능도를 6개의 기능도 섹션으로 분할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기능도 섹션들로 구조화된 기능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기능 모듈들이 기능도 섹션에 할당된 제1 기능도 버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기능 모듈들이 기능도 섹션에 할당된 제2 기능도 버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상이한 타입 클래스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기능도 섹션의 개략적인 도표화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는 엔지니어링 시스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단순화된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런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설계자에게 제공된다. 기능 목록(7)을 통해 기능 모듈들(3)이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능 목록(7)은, 설계자에게 각각의 장치(예: 개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만 제공한다. 그에 따라 상이한 기능 모듈들(3)은 설계자에 의해 선택되어 서로 배선될 수 있다. 설계자는 장치의 매개변수화를 위해 기능 목록(7)에서 기능 모듈들(3)을 선택하여 이 기능 모듈들(3)의 대응하는 입력단들/출력단들을 기능 모듈 결선들(4)과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도표화되는 배선[기능 모듈들(3)과 그 결선들(4)]은 산업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장치의 논리 또는 매개변수화를 도표화한다. 기능 모듈 결선들(4)과 복수의 기능 모듈(3)의 상호 간의 배선은 궁극적으로 기능도(1)를 형성한다. 도표화할 장치(들)에 따라 복수의 기능 모듈(3) 상호 간의 특히 복잡한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광범위한 기능도(1)가 생성된다.
기능 목록(7)은 예컨대 다음의 기능들/기능 타입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고(주기적, 비주기적), 표준 기능, 논리 모듈, 상태, 결함. 상기 기능들은 통상 정렬된 구조 트리(B1, B2, Bn)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기능 타입에 따라 하위 그룹들도 가능하다. 논리 모듈들(B8)의 기능 타입은 예컨대 진리표 3E/1A, 진리표 2E/1A, 진리표 5E/2A, 계수기, 타이머, 신호 정합(signal matching), 제로 전압 보호 소자, 점멸, 명멸, 한계값 지시기, 계산기와 같은 하위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하위 그룹들도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기능 모듈들(3)(A1, A2, A3, A4, A5, A6)은 입력단들 및/또는 출력단들을 포함한다. "BB-LED"를 나타내는 기능 모듈(3)(A6)의 경우, 예컨대 입력단들(M1 - Mn)을 통해 LED들이 구동됨으로써, M1 내지 M4는 녹색 LED 1 내지 4를 나타내고, M5 내지 M7은 황색 LED 1 내지 3을 나타낸다. 이런 경우 "보호/제어"를 나타내는 기능 모듈(3)(A1)은 입력단들(Y1 - Yn)(예: 제어 명령어 On/Off, 보조 제어 소자 RM On / RM 폐쇄 / RM 개방 / DM 폐쇄 / DM 개방, 제어 기능) 및 출력단들(X1 - Xn)(예: 1QE1, 2QE2, 3QE3, 4QE4, 5QE5, QLE-On, QLA-Off, QLS-결함, On, Off, 슬라이드 개방/폐쇄)을 포함한다. 기능 모듈(3)(A2)은 "강화된 보호"를 나타내며, 상기 기능 모듈의 입력단들(L1 - Ln)(과부하 방지, 비대칭 방지, ...)은 각각의 보호 매개변수 값들(Z1 - Zn)(예: 냉각 시간, 일시 정지 시간, 임계값, 반응, 지연)에 할당된다. 이때, 출력단들(V1 - Vn)은 예컨대 상이한 보호 상태들(과부하, 비대칭, 정체 등)을 도표화한다. 기능 모듈(A3)은 "GG 출력단들"을 나타내고 입력단들(U1, U2, U3)을 포함하며, A4는 "주기적 보고 0"를 나타내고 입력단들(W1 - Wn)을 포함하며, A5는 "주기적 보고 2/9"를 나타내고 입력단들(T1 - Tn)을 포함한다.
도 2에는 기능도(1)가 6개의 기능도 섹션(2)(인쇄 페이지)으로 분할된 상태가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기능 모듈 결선들을 포함하여 도표화된 기능 모듈들(3)이 엔지니어링 시스템 내에서의 배치에 따라 대응하는 기능도 섹션(2)에 할당되어, 궁극적으로 대응하는 페이지에 인쇄 출력되는 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기능도 섹션(2)은 인쇄된 페이지의 인쇄 영역을 반영한다. 상기 페이지는 예컨대 종래의 인쇄 장치에 의해 예컨대 DIN A4 페이지 상에 인쇄 출력될 수 있다. 기능 모듈들(3)은 상이한 기능도 섹션들(2) 및 더불어 인쇄 페이지들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유형의 기능도를 인쇄 출력할 시 궁극적으로 6개의 인쇄 페이지가 생성되며, 이들 인쇄 페이지 상에 기능도(1)가 도표화된다. 최종 사용자가 예컨대 하단 중앙에 도표화된 페이지를 검토할 경우, 기능도 섹션(2)으로부터 돌출된 기능 모듈 결선을 포함하는 기능 모듈(3)만이 도표화된다. 따라서, 만일 최종 사용자가 상기 페이지에 도표화된 기능 모듈(3)이 어느 기능 모듈(3)과 연결되는지를 알고자 한다면, 최종 사용자는 하단 좌측 페이지 및 상단 좌측 페이지를 참조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표화된 기능도(1)의 분석은 매우 불명료하므로 자원 집약적이다.
종래의 엔지니어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능도(1)를 출력하는 방식의 단점은, 대형 기능도들(1)의 경우 대부분 크게 축소됨에 따라 판독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최종 사용자가 더욱 명료한 도해를 얻고자 한다면, 최종 사용자는 개개의 기능 모듈(3)을 선택하여 출력 시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듈들(3)만 인쇄될 수 있음을 명시해야만 한다. 이런 유형의 출력의 단점은, 완전한 기능도 인쇄가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기능도(1)의 완전한 문서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도 3에는 기능도 섹션들(2)로 구조화된 기능도(1)가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 2에 의해 시각화된 것과 동일한 기능도(1)가 렌더링된다. 상기 기능도(1)는 그의 기능도 섹션들(2)과 관련하여, 개별 기능 모듈들(3)과 이들의 기능 모듈 결선들(4, 5)을 렌더링하기 위해 단 3개의 기능도 섹션(2)(페이지)만이 요구되는 방식으로 구조화된다. 이 경우 기능도 섹션들(2)은 기능 모듈 결선들(4)과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는 기능 모듈들(3)을 포함한다. 기능 모듈(3)이 또 다른 기능도 섹션(2)의 기능 모듈(3)과 연결되는 경우, 그 결선은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이다. 기능도(1)의 가능한 한 명료한 구조화를 달성하기 위해, 기능도는 인쇄를 위해 지금까지처럼 동일 크기의 부분들로 재단되는 것이 아니라, 지능적인 방식으로 동적으로(다시 말해 상이한 크기로 상이하게 배향된 기능도 섹션들로) 구조화된다. 기능도(1) 또는 이 기능도의 기능 모듈들(3)은, 가능한 한 적은 개수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이 요구되는 방식으로 기능도 섹션들(2)에 할당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기능도 섹션들(2)(인쇄 페이지들)의 개수는 종래의 방법(도 2)과 비교하여 절반이 되었으나 기능도(1)의 정보는 소실되지 않았다. 기능도(1)의 상기 유형의 구조화의 장점은, 전체 배선 정보가 가능한 한 적은 수의 페이지 상에 콤팩트하게 구조화되면서도 개별 기능도 섹션들(2)(인쇄 페이지들)에 의한 기능도의 분석이 단순화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페이지마다 기능도 섹션들(2)과 그에 따른 인쇄 영역들의 정의가 이루어진다는 점에 있다. 기능 모듈 외부 결선들(5)이 축소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최종 사용자는 기능 모듈(3)의 기능 모듈 결선(4)을 따라 이동할 때 복수의 기능도 섹션(2)(인쇄 페이지) 간에 계속해서 페이지를 넘기지 않아도 된다. 그럼으로써 기능도(1)의 판독성은 대폭 향상된다.
또한, 도 3에서는 개별 기능 모듈 결선들(4)이 강조되어 있다. 기능 모듈 결선은 2개의 기능 모듈(3) 상호 간의 결선이다.
바람직하게는 기능도(1)를 개별 기능도 섹션들(2)로 구조화할 경우 아래와 같은 규칙들이 고려된다.
- 개별 기능도 섹션들(2)(인쇄 영역들)은 서로 다른 크기일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기능도 섹션(2)(인쇄 영역)으로 도표화된 기능 모듈들(3)은 동일한 치수를 가지며, 그럼으로써 예컨대 용지상에 출력할 경우 DIN A3 상의 기능 모듈(3)은 DIN A4 상의 기능도(1)의 기능 모듈(3)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 기능도 섹션(2)(인쇄 영역)은 가로 형식 또는 세로 형식으로서 배향될 수 있다.
- 하나의 기능도 섹션(2)(인쇄 영역)은 정확히 하나의 페이지에 할당된다.
- 인쇄 시 각각의 기능도 섹션(2)은 페이지 상의 공간에 용지를 채우는 방식으로 자동으로 스케일링된다.
- 기능도 섹션들(2) 이내에서의 기능도(1)의 스케일링에 대해 하한 및 상한이 적용됨으로써, 배선도[기능 모듈들(3)과 이들의 결선들(4, 5)]는 너무 커지거나 너무 작아지지 않게 된다. 상기 한계 값들은 시스템에 의해 사전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페이지 상에 개별 기능도 섹션들(2)(인쇄 영역들)과 이들 상호 간의 결선들[기능 모듈 외부 결선들(5)]을 도표화하는 기능도(1)의 개요도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개별 인쇄 페이지들을 기능도(1)에 용이하게 할당할 수 있다.
기능도(1)의 구조화를 개선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개별 인쇄 영역들[기능도 섹션들(2)]이 가능한 한 적은 개수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을 포함한다. 페이지 경계선을 넘어감으로써 중단되는 기능 모듈들(3) 간의 각각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은 기능도(1) 인쇄물의 판독성을 악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가능한 한 관련된 부분 네트워크의 개별 기능 모듈들(3) 간의 기능 모듈 결선들(4)만을 보유하고 다른 부분 네트워크들로의 가능한 한 적은 수의 기능 모듈 결선(4)을 포함할 수 있는 "배선 아일랜드(island)" 또는 부분 네트워크들이 검색됨으로써, 기능도(1)가 가능한 한 적은 수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을 사용하여 도표화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
기능도(1)의 구조화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능 모듈(3)에서 시작하여 각각 n개의 기능 모듈(3)이 통합되어 가상 그룹을 형성한다. 매 단계에서 그룹은 주변에 있는 하나의 추가 기능 모듈(3)만큼 확장된다. 새 기능 모듈(3)을 매번 추가할 때마다 임시의 기능 모듈 그룹이 기능 모듈 외부 결선들(5)의 개수와 관련하여 분석된다. 이를 위해 기능도(1)의 모든 결선들[기능 모듈 결선들(4)]이 검사 및 분석되지는 않는다.
- 그룹 내에 존재하지 않는 기능 모듈들(3) 간의 결선들은 관련되지 않는다.
- 그룹 내에 존재하는 기능 모듈들(3) 간의 결선들은 "내부 결선들"이며 마찬가지로 고려되지 않는다.
- 다른 모든 결선들은 기능 모듈 외부 결선들(5)(부분 네트워크 또는 그룹에서 인출되는 결선들)이다. 상기 기능 모듈 외부 결선들(5)의 개수는 미리 공지된다.
이제 임시 그룹(기능 모듈 그룹)은 전술한 방법에 따라, 부분 네트워크가 기능도 섹션(2) 또는 기능도(1)의 최대 스케일링을 벗어나 위치할 정도(다시 말하면 인쇄 시 과도하게 축소되어야 할 수도 있을 정도)의 크기가 될 때까지 확장된다. 최소 개수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을 포함하는 기능 모듈 그룹은 기능도 섹션(2)(인쇄 영역)을 형성한다. 동일한 개수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 모듈 그룹이 존재한다면, 더욱 나은 스케일링 핵터(예: 최대 스케일링 팩터와 최소 스케일링 팩터의 평균)를 보유하는 그룹이 선택된다.
상기 방법은 기능도(1)의 모든 기능 모듈(3)이 조사될 때까지 반복된다. 기능도 섹션들(2)로 기능 모듈들(3)을 할당할 때 추가로, 가능한 한 적은 수의 기능도 섹션(2)(인쇄 영역)이 생성되게 하는 데 유념한다. 그럼으로써 페이지 수의 최소화가 달성된다. 다시 말해, 예컨대 인쇄 영역에 포함되지 않으면 그 고유의 기능도 섹션들이 형성되어야 할 수도 있는, 결과적으로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기능 모듈들이 포함될 경우 인쇄 영역은 약간 확장된다.
도 4 및 도 5에는 기능도 섹션(2)에 기능 모듈들(3)이 서로 상이하게 할당된 2개의 기능도 버전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 4의 기능도 섹션(2)이 도 5의 기능도 섹션(2)에 비해 더 많은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의 기능도 섹션(2) 내에 3개의 추가 기능 모듈(3)이 내포됨으로써 기능 모듈 외부 결선들(5)은 3개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으로 축소되었다. 그에 반해 도 4에 따르는 기능도 버전은 12개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경우 도 5에 따르는 기능도 버전이 선호될 수도 있다.
또한, 기능도(1)의 구조화 시 기능적인 관점들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기능도(1) 내에 배선된 모든 기능 모듈(3)이 우선 분석되고, 소정의 기능 타입 클래스들에 할당된다. 예컨대 타입 클래스들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 감시 모듈,
- 제어 모듈,
- 작동 모듈,
- 관측 모듈,
- 조절 모듈 또는 처리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
기능 모듈이 어떤 타입 클래스에 속하는지는 예컨대 메타 데이터, 다시 말하면 엔지니어링 시스템의 기능 목록에 저장된다. 이런 경우 가능한 타입 클래스의 개수는 바람직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이제 개별 기능도 섹션들(2)에 기능 모듈들(3)을 할당할 때 동일한 타입 클래스의 기능 모듈들(3)이 바람직하게 통합된다. 이런 경우 바람직하게는 아래와 같은 조건들이 충족된다.
- 하나의 타입 클래스의 기능 모듈들(3)은 복수의 기능도 섹션(2)에 할당되지 않는다.
- 하나의 기능도 섹션(2) 내에는 하나의 타입 클래스의 기능 모듈들(3)만이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최종 사용자가 기능 모듈들(3)을 하나의 타입 클래스로 수동 지정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종 사용자는, 기능 모듈들이 바람직하게 기능도 섹션(2) 상에, 그리고 더불어 하나의 인쇄 페이지 상에 도표화되는 방식으로, 상기 기능 모듈들(3)을 특징화할 수 있다.
도 6에는 상이한 타입 클래스들(6)의 기능 모듈들(3)을 포함하는 기능도 섹션(2)의 개략적인 도표화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궁극적으로 인쇄 출력된 페이지를 반영하는 기능도 섹션(2)이 제1 타입 클래스(6)의 기능 모듈(3) 7개와, 제2 타입 클래스(6)의 기능 모듈(3) 4개와, 어느 타입 클래스(6)에도 할당되지 않은 기능 모듈(3) 1개를 포함한다. 기능 모듈들(3)이 공통 타입 클래스(6)에 할당됨으로써 상기 기능 모듈들은 바람직하게 하나의 기능도 섹션(2) 내에서 구조화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최종 사용자의 측에서 타입 클래스들(6)이 하나의 타입 클래스 그룹에 할당되게 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타입 클래스 그룹의 기능 모듈들(3)이 바람직하게 하나의 기능도 섹션(2) 내에 도표화될 수 있다.

Claims (16)

  1. 기능도 섹션들(2)로 기능도(1)를 구조화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기능도(1)는 기능 모듈들(3)을 포함하고 개별 기능 모듈(3)은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 결선(4)을 통해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기능 모듈(3)과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기능도 섹션(2)은 상기 기능도(1)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도표화하기 위한 사전 정의된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기능도(1)의 상이한 기능도 섹션들(2)의 2개의 기능 모듈(3) 사이의 기능 모듈 결선(4)은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인, 기능도 구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도(1)가 기능도 섹션(2)의 사전 정의된 면적을 초과할 경우, 개별 기능도 섹션들(2)에 개별 기능 모듈들(3)을 할당할 시 발생하는 기능 모듈 외부 결선들(5)의 제1 결정이 각각의 기능도 버전마다 이루어지고, 상기 개별 기능 모듈들(3)은 가능한 한 적은 개수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을 포함하는 기능도 버전에 따라 상기 기능도 섹션들(2)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개별 기능 모듈들(3)의 기능도 섹션들(2)로의 할당은 최소 개수의 기능 모듈 외부 결선(5)을 포함하는 기능도 버전으로써 이루어지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능도 버전마다 기능도 섹션들(2)의 개수의 제2 결정이 이루어지고, 할당을 위해 최소 개수의 기능도 섹션(2)을 포함하는 기능도 버전들만이 고려되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도 섹션(2)의 영역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 모듈들(3)은 서로 상이한 타입 클래스들(6)을 포함하고, 동일한 타입 클래스(6)의 기능 모듈들(3)의 제3 결정이 이루어지며, 할당을 위해 각각의 기능도 섹션(2) 내부의 동일한 타입 클래스의 기능 모듈들(3)을 포함하는 기능도 버전이 바람직하게 고려되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하나의 기능도 섹션(2)에 동일한 타입 클래스의 기능 모듈들(3)만이 할당되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종 사용자에 의해 기능 모듈들(3)이 바람직하게 정의될 수 있는 타입 클래스(6)에 할당될 수 있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도 섹션(2)이 도표화되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 수단을 통해서, 상기 기능도 섹션(2)에 의해 도표화될 기능도(1)의 스케일링이 조정될 수 있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도(1)에 의해 렌더링될 정보가 개별 기능도 섹션들(2)을 통한 기능도(1)의 도표화 시 보조 수단 없이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방식으로, 상기 기능도 섹션(2)에 의해 도표화될 기능도(1)의 스케일링이 이루어지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도 섹션(2)에 의해 도표화될 기능 모듈의 스케일링이 조정될 수 있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들(3)의 스케일링에 대해 하한 및/또는 상한이 적용되며, 상기 범위 이내에서 상기 기능도(1)에 대해 가능한 한 적은 수의 기능도 섹션(2)이 요구되는 방식으로 스케일링이 선택되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할당에 의해 결정된 기능도 버전이 출력 신호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상기 출력 신호를 토대로 할당에 의해 선택된 기능도 버전이 도표화될 수 있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처리 유닛이 신호의 결정, 할당 및 송출을 실행하며, 출력 장치가 출력 신호를 토대로 할당에 의해 선택된 기능도 버전을 도표화하는, 기능도 구조화 방법.
  15.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조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조화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엔지니어링 시스템.
KR1020137000776A 2010-07-14 2011-05-24 기능도를 기능도 섹션들로 구조화하기 위한 방법 KR101805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69526.0 2010-07-14
EP10169526.0A EP2407839B1 (de) 2010-07-14 2010-07-14 Verfahren zum Strukturieren eines Funktionsplans in Funktionsplanbereiche
PCT/EP2011/058451 WO2012007215A1 (de) 2010-07-14 2011-05-24 Verfahren zum strukturieren eines funktionsplans in funktionsplanbereich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274A true KR20130098274A (ko) 2013-09-04
KR101805956B1 KR101805956B1 (ko) 2017-12-06

Family

ID=4321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776A KR101805956B1 (ko) 2010-07-14 2011-05-24 기능도를 기능도 섹션들로 구조화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82594B2 (ko)
EP (1) EP2407839B1 (ko)
KR (1) KR101805956B1 (ko)
CN (1) CN103003762B (ko)
BR (1) BR112013000790B1 (ko)
WO (1) WO20120072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7120A (en) * 1986-10-30 1993-03-23 Synthesi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parametric designs
WO2000070417A1 (en) * 1999-05-17 2000-11-23 The Foxboro Company Process control configuration system with parameterized objects
US6931288B1 (en) * 2001-04-16 2005-08-16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and system for creating function block diagrams
EP1899773B1 (de) * 2005-07-01 2018-06-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bearbeitungsreihenfolge von bausteinen eines funktionsplans sowie elektronische datenverarbeitungs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20100017743A1 (en) * 2008-06-19 2010-01-21 Emerson Network Power - Embedded Computing,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17724A1 (en) 2013-05-09
US8782594B2 (en) 2014-07-15
BR112013000790B1 (pt) 2020-12-08
WO2012007215A1 (de) 2012-01-19
BR112013000790A2 (pt) 2016-05-03
CN103003762B (zh) 2015-05-20
EP2407839B1 (de) 2013-04-17
KR101805956B1 (ko) 2017-12-06
EP2407839A1 (de) 2012-01-18
CN103003762A (zh)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17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technical equipment of an industrial plant
US8674992B2 (en) Spotlight graphs
US20080109780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ptimal placement and validation of i/o blocks within an asic
DE102018124358A1 (de) Systeme und verfahren zur grafischen konfigurationsdesignprüfung in einer prozessanlage
CN107590592B (zh) 作业依赖关系表示方法、作业展示和调度控制方法及装置
JP5041817B2 (ja) 空間/表データ表示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186965B1 (ko) 원자력발전소의 절차서 전산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098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distributed dashboards
CN116301735B (zh) 将软件要素组织为软件数据链路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392260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20130098274A (ko) 기능도를 기능도 섹션들로 구조화하기 위한 방법
JP2006294011A (ja) 制御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
US20130338801A1 (en) Method and configuration environment for support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face between simulation hardware and an external device
US772125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project planning for an operating device of an automation component
EP2808765A1 (en) Screen definition device for operating panel
US9769036B1 (en) Port assignment of network devices reference and management
US20160085227A1 (en) Device for managing and configuring field devices in an automation installation
JP202114059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30009478A1 (en) Logic drawing entry apparatus
KR20130077831A (ko) 스위치기어를 파라미터화하기 위한 엔지니어링 시스템에 대한 매크로 관리 시스템
EP1703427A1 (en) System for acquiring profile information from three-dimensional profile data, its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program
US20150341208A1 (en) Device for managing and configuring field devices in an automation installation
JP2009169225A (ja) トレンドグラフ表示方法
CN117370442A (zh) 数据可视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525197A (zh) 一种结构化hmi界面设计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