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005A - Apparatus for video recoding of black box using car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video recoding of black box using car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005A
KR20130098005A KR1020120019766A KR20120019766A KR20130098005A KR 20130098005 A KR20130098005 A KR 20130098005A KR 1020120019766 A KR1020120019766 A KR 1020120019766A KR 20120019766 A KR20120019766 A KR 20120019766A KR 20130098005 A KR20130098005 A KR 20130098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emory
driving
vehicl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동준
서장원
Original Assignee
(주) 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인 filed Critical (주) 세인
Priority to KR1020120019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8005A/en
Publication of KR20130098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0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recording means, e.g. black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n image recording device of a black box for a vehicle is provided to record images for a long time in parking by selectively using a dat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driving mode and a parking mode and varying an image recording method. CONSTITUTION: An image recording device of a black box for a vehicle comprises a driving signal generating unit (101), a control unit (104), an image processing unit (106), a memory selection unit (107), and a first and a second SD memory slot (108,110). The driving signal generating unit generates a driving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or no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driving mode and a parking mode based on a driving signal generated in the driving signal generation unit.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and a memory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de.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cesses images obtained by a camera (105) according to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control unit by separating the images with image qualities. The memory selection unit selects a storage path of the images output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memory selection signal generated in the control unit. The first and the second SD memory slot selectively stores the images, which are outputted through the storage path of the images selected by the memory selection unit, in either a first SD memory card (109) or a second SD memory card (111). [Reference numerals] (101a) GPS receiver; (101b) G sensor; (103) Power supply unit; (104) Control unit; (105) Camera; (106) Image processing unit; (107) Memory selection unit; (108) First SD memory slot; (109) First SD memory card; (110) Second SD memory slot; (111) Second SD memory card; (AA) 30 frame; (BB) 5 frame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video recoding of black box using car and method thereof}Apparatus for video recoding of black box using car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 모드와 주차 모드에 따라 데이터저장장치(SD 메모리 카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영상 기록 방식을 다르게 하여 주차시에 장시간 영상 기록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a black box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selectively use a data storage device (SD memory card) according to a driving mode and a parking mode, and to parking a vehicle using a different image recording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recording apparatus of a vehicle black box and a method for allowing a long time video recording.

자동차의 수가 증가하면서 필연적으로 자동차에 의한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다양한 교통사고 요인을 제공하는 복잡한 도심 내에서의 교통사고율은 늘어가는 추세이다.As the number of automobiles increases, traffic accidents caused by automobiles inevitably increase. Moreover, the rate of traffic accidents in complex urban areas that provide various traffic accident factors is increasing.

교통사고의 경우 순간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통사고의 원인 및 가해자와 피해자를 규명하기가 쉽지 않으며, 대부분 현장 상황 및 현장 목격자들의 증언에 따라 교통사고를 처리하게 됨에 따라 정확한 교통사고를 판단하기 쉽지 않았다.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cause of traffic accidents and the perpetrators and victims because the traffic accidents occur in a momentary situation,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traffic accidents as most cases are handled according to the on-site situation and testimony of the witnesses. Did.

특히, 인적이 드문 외곽지역의 도로 또는 고속도로와 같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의 교통사고의 경우 잘못된 교통사고 처리로 인하여 피해자가 뒤바뀌는 등 그 피해가 많았다.In particular, traffic accidents on automobile-only roads, such as roads or highways, which are scarcely located, have been frequently damaged by victims being reversed due to wrong traffic accidents.

근래에는 교통사고의 원인 규명 등을 위해 자동차 내에 설치하여 차량 외부 영상을 기록하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일명, "블랙박스"라고 부름)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의 운행기록을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의 법제정 추진에 따라 그 기술이 활발히 개발 논의되고 있다.Recently, a vehicle video recording device (also called a "black box") has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for recording a vehicle's exterior image to identify the cause of a traffic accident. The technology is actively being developed and discussed in accordance with the box's legislation.

그 중 기존에 제안된 차량용 블랙박스에 대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36014호(2009.12.31. 등록)(발명의 명칭: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이하, "종래기술 1"이라 약칭함)에 개시되어 있다.Among them, the technology for a vehicle black box that has been prop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36014 (registered on Dec. 31, 2009) (Invention name: camera integrated vehicle video recording device) (hereinafter, "Prior Art 1 Is abbreviated as "."

개시된 종래기술 1은 등록공보의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내장 마이크, 인코더, 차량운행정보감지수단, 브레이크등 퓨즈 라인, 비상등 퓨즈 라인, 센서인터페이스 수단, 외부 메모리 수단, 인터페이스 수단, 영상출력모듈, 내부메모리 수단, 디코더, 스피커, 시간정보 제공부, 표시수단, 통신모듈, 제어수단을 구비한다.The disclosed prior art 1 is a front camera, a rear camera, a built-in microphone, an encoder, a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ensing means, a brake light fuse line, an emergency light fuse line, a sensor interface means, an external memory means, as shown in FIG. And an interface means, an image output module, an internal memory means, a decoder, a speaker, a time information providing unit, a display means,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means.

이렇게 구성된 종래기술 1은 본체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차량의 전방영상과 내부영상 및 그 측면/후방영상을 수집 기록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 메모리 타입을 채용하여 착탈식 외부 메모리에 직접 영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돌발상황에서도 메모리에 기록된 영상의 보존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외부 메모리를 탈착하여 개인용 컴퓨터에서 해당 영상을 확인함은 물론 필요한 영상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The conventional technology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mply installs the main body to collect and record the front image and the inner image of the vehicle, and the side / rear image thereof, and employs an external memory type to record the image directly to the removable external memory. Thus, it is easy to preserve the image recorded in the memory even in a sudden situation,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external memory to check the image on the personal computer as well as to easily store the necessary image.

특히, 종래기술 1은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모드에 따라 주행모드, 수동모드, 정차모드, 예약모드와 같은 4가지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영상의 녹화모드를 결정하는 된다. 여기서 주행모드는 주행시 녹화를 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수동모드는 주행중이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녹화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녹화를 하지 않게 되며 사용자가 녹화를 선택한 경우에만 녹화를 수행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예약모드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동안만 녹화를 수행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정차모드는 차량의 정차 시 차량에 소정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녹화를 수행하는 경우를 의미한다.In particular, the prior art 1 determines the recording mode of the image in any one of four modes, such as driving mode, manual mode, stop mode, reservation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Here, the driving mode means recording when driving, and manual mode means that recording is not performed when the user does not select recording even when driving, and recording is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selects recording. The mode refers to a case in which recording is performed only for a time set by the user, and the stop mode refers to a case in which recording is performed only when a predetermined shock occurs in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또한, 기존에 제안된 차량용 블랙박스에 대한 다른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104300호(2009.10.06. 공개)(발명의 명칭: 이중 저장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블랙박스)(이하, "종래기술 2"라 약칭함)에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ology for a vehicle black box proposed in the prior art is publish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9-0104300 (2009.10.06. Published) (name of the invention: a vehicle black box having a dual storage structure) (hereinafter , Abbreviated as "Prior Art 2".

개시된 종래기술 2는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모든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며 차량용 블랙박스 내에 고정 설치된 제1저장장치, 차량용 블랙박스와 착탈되도록 설치되는 제2저장장치, 차량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부, 충격 감지부가 충격을 감지한 경우 제1저장장치의 영상 데이터 중 사고 발생 전후의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disclosed prior art 2 stores all image data transmitted from a camera mounted on a vehicle and detects a shock applied to the vehicle, a first storage device fixedly installed in the vehicle black box, a second storage device installed to be detached from the vehicle black box, and the vehicle. When the shock detection unit, the shock detection unit detects the impact of the first storage device and the control unit for storing the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accident occurs in the second storage device.

이렇게 구성되는 종래기술 2는 2중으로 사고관련 영상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므로, 안정성을 보장하고, 사고 발생시 증거 자료로 제출하기에 용이하며, 암호화되어 저장되므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prior art 2 is configured to store the accident-related image data securely in two,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he stability, easy to submit as evidenc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nd is encrypted and stored to ensure the privacy of the individual.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36014호(2009.12.31. 등록)(발명의 명칭: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1. Patent Registration No. 10-0936014 (Registered on Dec. 31, 2009) of Korea Patent Office (Invention: Camera integrated vehicle video recording device)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104300호(2009.10.06. 공개)(발명의 명칭: 이중 저장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블랙박스)2. Korean Patent Office Publication No. 10-2009-0104300 (2009.10.06. Published) (name of the invention: a vehicle black box having a dual storage structur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주차시 감시 기능을 위한 블랙박스로는 동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 1은 정차시에도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녹화 모드에 따라 정차시 영상 녹화가 가능하나, 차량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에만 동작하여 녹화를 하게 되므로, 주차 감시에 대한 기능은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does not operate as a black box for the monitoring function when parking. Particularly,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1, video recording is possibl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according to a recording mode that allows recording even when the vehicle is stopped. However, since the operation is performed only when a shock occurs in the vehicle, the function of parking surveillance cannot be performed. There was this.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에 적용되는 SD 메모리 카드의 용량은 통상 32GB를 사용하게 되는 데, 종래기술들은 HD 급(30프레임)으로 동영상을 녹화할 경우 녹화 시간이 짧아 많은 시간을 녹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특히 종래기술 1은 SD 메모리 카드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원래의 데이터에 덮어쓰기를 진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녹화하게 되므로, 항상 일정량의 영상 데이터만 녹화가 가능하여 중요한 영상 데이터가 덮어쓰기에 의해 소실되는 경우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apacity of the SD memory card that is applied to the car black box is usually 32GB, the prior art when recording a video in HD class (30 frames) is short recording time it is impossible to record a lot of time, In particular, in the prior art 1, when the capacity of the SD memory card is exceeded, the original data is overwritten to record the image data, so that only a certain amount of the image data can be recorded so that important image data is lost by overwriting.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또한, 종래기술 2는 이중 저장 구조를 통해 사고관련 영상 데이터를 좀 더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 또한 주차시 감시는 불가능한 구조이며, 제1 저장장치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와 제2 저장장치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가 동일하므로, 메모리장치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ior art 2 has the advantage that the accident-related image data can be stored more safely through the dual storage structure, but also this structure is impossible to monitor when parking, the image data and the second storage device recorded in the first storage device Since the image data recorded in the same is the same, the efficiency of the memory device is inferio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메모리 장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various problems occurring in the related arts an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memory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행 모드와 주차 모드에 따라 데이터저장장치(SD 메모리카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영상 기록 방식을 다르게 하여 주차시에 장시간 영상 기록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ively use a data storage device (SD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and the parking mode, the image recording method of the vehicle black box to enable a long time image recording during park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ord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주차시에 장시간 영상 기록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차시 감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a vehicle black box to enable a long time image recording during parking, to perform a sufficient monitoring function during park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주행 모드와 주차 모드에 따라 데이터 저장장치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데이터 저장장치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recording device and a method of the vehicle black box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data storage device by selectively utilizing the dat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and parking mode There is.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는,The "image recording apparatus of the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주행신호를 발생하는 주행신호 발생수단과;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상기 주행신호 발생수단에서 발생하는 주행신호를 기반으로 주행모드와 주차모드를 판단하고, 판단한 주행모드 또는 주차모드에 따라 영상처리 제어신호 및 메모리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driving mode and a parking mode based on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and generating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and a memory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riving mode or parking mode;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영상처리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화질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An image processing unit for separating and processing an image acquired by a camera according to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with an image quality;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메모리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저장 경로를 선택하는 메모리 선택부와;A memory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 a storage path of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according to a memory sel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상기 메모리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영상의 저장 경로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제1 및 제2 SD 메모리 카드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제1 및 제2 SD 메모리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first and second SD memory slots for selectively storing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storage path of the image selected by the memory selector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D memory cards.

상기에서 주행신호 발생수단은,The 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in the above,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가감속 정보를 주행신호로 발생하는 GPS 수신기 또는 지자기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중력을 이용해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 감지신호를 주행신호로 발생하는 G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ncludes a GPS receiver or geomagnetic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that receive signals from GPS satellites and generat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as driving signals, and detects the movement of an object using gravity, and drives the motion detection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G-sensor generated by the signal.

상기에서 제어부는,In this case,

입력되는 주행신호에 포함된 가감속 정보 또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주행모드와 주차모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iving mode and the parking mod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or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ncluded in the input driving signal.

상기에서 영상 처리부는,In the above,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영상처리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30프레임 단위로 추출하거나, 5프레임 단위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an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may be extracted in units of 30 frames or in units of 5 frames.

상기에서 메모리 선택부는,In the above, the memory selection unit,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메모리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저장 경로를 제1 SD메모리 카드로 선택하거나, 제2 SD메모리 카드로 선택하고, 선택한 SD 메모리 카드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제1 SD메모리 슬롯에 전달하거나 제2 SD메모리 슬롯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orage path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is selected as the first SD memory card or the second SD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memory sel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and is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according to the selected SD memory card. The image is transferred to the first SD memory slot or to the second SD memory slot.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방법"은,The "image recording method of a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GPS수신기 또는 G센서에서 발생하는 차량주행신호를 기반으로 차량 주행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a) determining a vehicle driving mode based on a vehicl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a GPS receiver or a G sensor;

(b) 판단 결과 주행 모드일 경우, 감시 영상을 저장할 저장장치로 제1 SD메모리 카드를 선택하고,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감시 영상을 고화질 급(30프레임 단위)으로 추출하여 선택한 제1 SD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와;(b) In the driving mode, when the driving mode is selected, the first SD memory card is selected a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surveillance video, and the surveillance video obtained from the camera is extracted at a high definition level (30 frame units) to the selected first SD memory card. Storing;

(c) 상기 (a) 단계의 판단결과 주차 모드일 경우, 감시 영상을 저장할 저장장치로 제2 SD메모리 카드를 선택하고,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감시 영상을 저화질(5프레임 단위)로 추출하여 선택한 제2 SD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 In the parking mode, the second SD memory card is selected as a storage device to store the surveillance video, and the surveillance video obtained from the camera is extracted in low quality (5 frames). And storing in the SD memory card.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 모드와 주차 모드에 따라 데이터저장장치(SD 메모리카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영상 기록 방식을 다르게 하여 주차시에 장시간 영상 기록이 가능하므로, 차량용 블랙박스를 주차 감시 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data storage device (SD memory card) is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and the parking mode, and the image recording method is different,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video for a long time during parking, so that the vehicle black box can be used as the parking monitoring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시에 장시간 영상 기록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차시 감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a long time image recording during park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ully perform the monitoring function when park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 모드와 주차 모드에 따라 데이터 저장장치를 선택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데이터 저장장치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vely utilizing the dat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and the parking mode, there is an advantage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data storag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방법을 보인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recording apparatus of a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an image recording method of a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구성도로서, 주행신호 발생수단(101), 전원 공급부(103), 제어부(104), 카메라(105), 영상 처리부(106), 메모리 선택부(107), 제1 SD메모리 슬롯(108), 제1 SD메모리 카드(109), 제2 SD메모리 슬롯(110) 및 제2 SD메모리 카드(111)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of a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101, a power supply 103, a controller 104, a camera 105, an image processor 106, and memory selection. A unit 107, a first SD memory slot 108, a first SD memory card 109, a second SD memory slot 110 and a second SD memory card 111.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는,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 일반적인 차량에 탑재된 블랙박스에 구비된 구성, 예컨대, 스피커, 표시부, 키입력부, 데이터 입출력부, 통신모듈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을 한다.Although the video recording apparatus of the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in FIG. 1,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a structure provided in a black box mounted in a general vehicle, for example, a speaker, a display unit, a key input unit, and a data It is assumed to include components such as an input / output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주행신호 발생수단(101)은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주행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가감속 정보를 주행신호로 발생하는 GPS 수신기(101a) 또는 지자기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중력을 이용해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 감지신호를 주행신호로 발생하는 G센서(Gravity sensor)(101b)를 구비한다. 여기서 주행신호 발생수단(101)은 편의상 도 1에 2개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 하였으나, 실제로 장치를 구현할 경우 GPS 수신기(101a)와 G센서(101b)는 둘 중에 하나만 구현하여도 주행신호의 발생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두 개를 모두 구현하여 주행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The 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101 serves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and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GPS satellites to generate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s the driving signal. It includes a receiver (101a) or a geomagnetic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nd includes a G sensor (Gravity sensor) (101b)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using gravity, and generates a motion detection signal as a driving signal. Here, the 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101 is shown as including both configurations in FIG. 1 for convenience, but when the device is actually implemented, the GPS receiver 101a and the G sensor 101b may implement the driving signal even if only one of them is implemented.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driving signal by implementing both as needed.

전원 공급부(103)는 블랙박스에 구비된 구성중 전원을 필요로 하는 구성에 필요한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충방전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차량의 DC(12V)전압을 공급받아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103 serves to supply driving power required for a configuration that requires power among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black box, and is configured in a form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to receive a DC (12V) voltage of the vehicle. It includes a battery that supplies.

제어부(104)는 상기 주행신호 발생수단(101)에서 발생하는 주행신호를 기반으로 주행모드와 주차모드를 판단하고, 판단한 주행모드 또는 주차모드에 따라 영상처리 제어신호 및 메모리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어부(104)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컴, 컨트롤러, 중앙처리장치와 같은 제어 장치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어부(104)는 입력되는 주행신호에 포함된 가감속 정보 또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주행모드와 주차모드를 판단하게 된다.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a driving mode and a parking mode based on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101 and generates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and a memory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riving mode or parking mode. Do it. The control unit 104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control device such as a microprocessor, a microcomputer, a controller, a central processing unit. More preferably,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the driving mode and the parking mode based o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or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ncluded in the input driving signal.

카메라(105)는 통상의 블랙박스에 장착된 카메라로서, 차량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차량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 차량 측면의 영상을 촬영하는 측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mera 105 is a camera mounted on a normal black box, and serves to capture an image of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camera 105 is a front camera that captures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 rear camera that captures an image of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 side of the vehic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ide camera for taking an image.

영상 처리부(106)는 상기 제어부(104)에서 발생하는 영상처리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105)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화질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104)에서 발생하는 영상처리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105)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30프레임 단위의 고화질급(HD급)으로 추출하거나, 5프레임 단위의 저화질로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106)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30프레임 단위 영상으로 만들거나 5프레임 단위의 영상으로 만드는 영상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e processor 106 divides and processes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105 into image quality according to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04. The image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04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ontrol signal, the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105 is extracted at a high quality level (HD level) in units of 30 frames, or at low quality in units of 5 frames. 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ing unit 106 preferably includes an image converter which makes an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into a 30-frame unit image or a 5-frame unit image.

메모리 선택부(107)는 상기 제어부(104)에서 발생하는 메모리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106)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저장 경로를 선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스위치, 멀티플렉서 등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mory selector 107 selects a storage path of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106 according to a memory sel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04. The memory selector 107 is implemented by a general switch, a multiplexer, or the like. desirable.

제1 SD 메모리 슬롯(108)은 상기 메모리 선택부(107)에 의해 선택된 30프레임 단위의 고화질급 영상을 제1 SD 메모리 카드(109)에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제2 SD 메모리 슬롯(110)은 상기 메모리 선택부(107)에 의해 선택된 5프레임 단위의 저화질 영상을 제2 SD 메모리 카드(111)에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first SD memory slot 108 serves to store a high quality image of a 30-frame unit selected by the memory selector 107 in the first SD memory card 109, and the second SD memory slot 110. ) Stores the low quality image of the 5 frame units selected by the memory selector 107 in the second SD memory card 111.

여기서 제1 및 제2 SD 메모리 슬롯(108)(110)은 각각 제1 및 제2 SD 메모리 카드(109)(111)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제1 및 제2 SD 메모리 카드(109)(111)를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SD memory slots 108 and 110 are data interface means of the first and second SD memory cards 109 and 111, respectively, and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SD memory cards 109 and 111, respectively. It includes a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or detach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는, 전원 공급부(103)에 의해 구동용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04)는 내부 메모리로부터 영상기록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인출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영상기록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In the video recording apparatus of the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driving power is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103, the control unit 104 draws a control program for recording an image from the internal memory, and controls the control. The video recording oper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ogram.

영상기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현재 차량의 모드가 주행모드인지 주차모드인지를 먼저 판단해야하는 데, 이러한 모드 판단은 주행신호 발생수단(101)에서 출력되는 주행신호에 기반한다.In order to control the image recording operation, it is first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vehicle mode is the driving mode or the parking mode, and this mode determination is based on the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101.

예컨대, 주행신호 발생수단(101)의 GPS 수신기(101a)는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가감속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주행신호로 제어부(104)에 전달한다. 또한, G센서(101b)는 지자기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중력을 이용해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 감지신호를 주행신호로 상기 제어부(104)에 전달한다.For example, the GPS receiver 101a of the 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101 receives a signal from the GPS satellites, extrac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04 as a driving signal. In addition, the G sensor 101b includes a geomagnetic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detects the movement of the object using gravity, and transmits a motion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04 as a driving signal.

제어부(104)는 GPS수신기(101a)에서 발생하는 주행신호에 포함된 가감속 정보 및/또는 G센서(101b)에서 발생하는 주행신호에 포함된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이 주행모드인지 아니면 주차모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가감속 정보가 존재하거나 움직임 감지신호가 존재할 경우에는 차량이 주행모드라고 판단을 하고, 이와는 달리 가감속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움직임 감지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내부 카운터를 통해 시간의 경과를 체크하면서 일정 시간 연속적으로 가감속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움직임 감지신호가 없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 확인결과 일정시간 연속적으로 가감속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움직임 감지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주차모드로 판단을 하게 된다.The controller 104 analyzes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GPS receiver 101a and / or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ncluded in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G sensor 101b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in the driving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rking mode. For example, when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is present or a motion detection signal is present,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a driving mode. In contrast, when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or when there is no motion detection signal, the passage of time is checked through an internal counter. It is checked whether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or there is no motion detection signal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As a result of this check, if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continuously or there is no motion detection signal, the parking mode is determined.

또한, 상기 가감속 정보와 움직임 감지신호를 조합하여, 주행모드 또는 주차모드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가감속 정보와 움직임 감지신호가 모두 존재할 경우 주행 모드로 판단을 하고, 가감속 정보와 움직임 감지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차모드로 판단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mode or the parking mode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motion detection signal. For example, when both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motion detection signal exist, it is determined as the driving mode. Whe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motion detection signal do not exist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arking mode is determined.

제어부(104)는 차량의 모드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영상처리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영상 처리부(106)에 전달하고, 메모리 선택신호를 발생하여 메모리 선택부(107)에 전달한다. 여기서 영상처리 제어신호는 주행모드일 경우 30프레임 단위의 고화질 영상을 추출하라는 영상처리 제어신호이거나, 주차모드일 경우 5프레임 단위의 저화질 영상을 추출하라는 영상처리 제어신호가 된다.The control unit 104 generates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06 according to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mode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 memory selection signal to the memory selection unit 107.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may be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for extracting a high quality image of 30 frames in the driving mode or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for extracting a low quality image of 5 frames in the parking mode.

영상 처리부(106)는 내부의 영상 변환기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영상처리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105)로부터 획득한 감시 영상을 처리하게 되는 데, 이때 영상처리 제어신호가 주행모드에 대한 제어신호일 경우에는 획득한 감시 영상을 30프레임 단위의 고화질급 영상으로 추출하여 메모리 선택부(107)에 전달하게 되고, 이와는 달리 영상처리 제어신호가 주차모드에 대한 제어신호일 경우에는 획득한 감시 영상을 5프레임 단위의 저화질 영상으로 추출하여 메모리 선택부(107)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에서 주행모드에 대한 영상처리 제어신호와 주차모드에 대한 영상처리 제어신호는 하이신호(5V)와 로우신호(0V)로 구분하거나, 디지털 신호인 11과 00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The image processor 106 processes the surveillanc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105 according to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applied by using an internal image converter. In this case, when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is a control signal for a driving mode, The captured surveillance image is extracted as a high quality image of 30 frames and transferred to the memory selector 107. In contrast, when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is a control signal for the parking mode, the acquired surveillance image is transmitted in 5 frame units. The low quality image is extracted and transferred to the memory selector 107.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for the driving mode and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for the parking mode may be divided into a high signal 5V and a low signal 0V or a digital signal 11 and 00.

메모리 선택부(107)는 제어부(104)로부터 전달되는 메모리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106)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저장 경로를 선택하게 된다. 예컨대, 메모리 선택신호가 주행모드에 대한 메모리 선택신호일 경우에 메모리 선택부(107)는 영상 저장경로로 제1SD메모리 슬롯(109)을 선택하게 되고, 메모리 선택신호가 주차모드에 대한 메모리 선택신호일 경우에 메모리 선택부(107)는 영상 저장경로로 제2SD메모리 슬롯(110)을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 선택신호는 주행모드에 대한 메모리 선택신호일 경우 하이신호(5V), 주차모드일 경우 로우신호(0V)로 구분할 수 있다.The memory selector 107 selects a storage path of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106 according to a memory sel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04. For example, when the memory selection signal is the memory selection signal for the driving mode, the memory selecting unit 107 selects the first SD memory slot 109 as the image storage path, and when the memory selection signal is the memory selection signal for the parking mode. The memory selector 107 selects the second SD memory slot 110 as an image storage path. The memory selection signal may be classified into a high signal (5V) when the memory selection signal for the driving mode, and a low signal (0V) when the parking mode.

주행모드일 경우 제1SD메모리 슬롯(108)으로 영상 저장경로가 형성되며, 메모리 선택부(107)에서 영상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30프레임 단위의 영상을 제1 SD 메모리 슬롯(108)에 전달하게 되고, 제1 SD메모리 슬롯(108)은 인가되는 영상을 제1SD메모리 카드(109)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제1SD메모리 카드(109)는 통상의 차량용 블랙박스에 구비되는 32GB 용량의 메모리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riving mode, an image storing path is formed in the first SD memory slot 108, and the image selecting unit 107 transmits a 30-frame unit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06 to the first SD memory slot 108. The first SD memory slot 108 stores the applied image in the first SD memory card 109. In this case, the first SD memory card 109 may be embodied as a 32GB memory provided in a typical vehicle black box.

이와는 달리 주차모드일 경우 제2SD메모리 슬롯(110)으로 영상 저장경로가 형성되며, 메모리 선택부(107)에서 영상 처리부(106)에서 출력되는 5프레임 단위의 영상을 제2 SD 메모리 슬롯(110)에 전달하게 되고, 제2 SD메모리 슬롯(110)은 인가되는 영상을 제2SD메모리 카드(111)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제2SD메모리 카드(111)는 통상의 차량용 블랙박스에 구비되는 32GB 용량의 메모리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contrary, in the parking mode, an image storage path is formed in the second SD memory slot 110, and the image of the 5-frame unit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106 by the memory selector 107 is stored in the second SD memory slot 110. The second SD memory slot 110 stores the applied image in the second SD memory card 111. In this case, the second SD memory card 111 may be embodied as a 32GB memory provided in a normal vehicle black box.

이렇게 주차모드일 경우, 영상을 5프레임 단위의 영상으로 만들어 SD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게 되면, 저장 영상의 데이터 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32GB 용량의 SD메모리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장시간 영상의 녹화가 가능하므로, 주차시 감시 장치로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parking mode, if the video is saved in the SD memory card in 5 frame units, the amount of data stored in the video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llowing long time recording even when using an SD memory card with a capacity of 32GB. Therefore, it can be fully utilized as a monitoring device when parkin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내며, 이러한 영상기록방법은 도 1의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의 구성 중 제어부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2 is a flowchart showing an image recording method of a vehicle black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S represents a step, and the image recording method is software-controlled by the controller of the image recording apparatus of the vehicle black box of FIG. 1. It shows a control process consisting of.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GPS수신기 또는 G센서에서 발생하는 차량주행신호를 기반으로 차량 주행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S101, S103, S113)와; (b) 판단 결과 주행 모드일 경우, 감시 영상을 저장할 저장장치로 제1 SD메모리 카드를 선택하고,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감시 영상을 고화질 급(30프레임 단위)으로 추출하여 선택한 제1 SD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S105 ~ S111)와; (c) 상기 (a) 단계의 판단결과 주차 모드일 경우, 감시 영상을 저장할 저장장치로 제2 SD메모리 카드를 선택하고,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감시 영상을 저화질(5프레임 단위)로 추출하여 선택한 제2 SD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S115 ~ S121)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rein, (a) determining a vehicle driving mode based on a vehicl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a GPS receiver or a G sensor (S101, S103, S113); (b) In the driving mode, when the driving mode is selected, the first SD memory card is selected a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surveillance video, and the surveillance video obtained from the camera is extracted at a high definition level (30 frame units) to the selected first SD memory card. Storing steps S105 to S111; (c) In the parking mode, the second SD memory card is selected as a storage device to store the surveillance video, and the surveillance video obtained from the camera is extracted in low quality (5 frames). 2 is stored in the SD memory card (S115 to S121).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방법은, 전원 공급부(103)에 의해 구동용 전원이 공급되면, 단계 S101에서 제어부(104)는 현재 차량의 모드가 주행모드인지 주차모드인지를 먼저 판단해야하는 데, 이러한 모드 판단은 주행신호 발생수단(101)에서 출력되는 주행신호에 기반한다.In the video recording method of the vehicle black box, in which 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103, the control unit 104 must first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vehicle mode is the driving mode or the parking mode in step S101. The determination of the mode is based on the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101.

예컨대, 주행신호 발생수단(101)의 GPS 수신기(101a)는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가감속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주행신호로 제어부(104)에 전달한다. 또한, G센서(101b)는 지자기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중력을 이용해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 감지신호를 주행신호로 상기 제어부(104)에 전달한다.For example, the GPS receiver 101a of the 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101 receives a signal from the GPS satellites, extrac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04 as a driving signal. In addition, the G sensor 101b includes a geomagnetic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detects the movement of the object using gravity, and transmits a motion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04 as a driving signal.

단계 S103 및 단계 S113에서 제어부(104)는 GPS수신기(101a)에서 발생하는 주행신호에 포함된 가감속 정보 및/또는 G센서(101b)에서 발생하는 주행신호에 포함된 움직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이 주행모드인지 아니면 주차모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가감속 정보가 존재하거나 움직임 감지신호가 존재할 경우에는 차량이 주행모드라고 판단을 하고, 이와는 달리 가감속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움직임 감지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내부 카운터를 통해 시간의 경과를 체크하면서 일정 시간 연속적으로 가감속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움직임 감지신호가 없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 확인결과 일정시간 연속적으로 가감속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움직임 감지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주차모드로 판단을 하게 된다.In step S103 and step S113, the controller 104 analyzes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GPS receiver 101a and / or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ncluded in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G sensor 101b.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is in driving mode or parking mode. For example, when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is present or a motion detection signal is present,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a driving mode. In contrast, when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or when there is no motion detection signal, the passage of time is checked through an internal counter. It is checked whether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or there is no motion detection signal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As a result of this check, if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continuously or there is no motion detection signal, the parking mode is determined.

또한, 상기 가감속 정보와 움직임 감지신호를 조합하여, 주행모드 또는 주차모드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가감속 정보와 움직임 감지신호가 모두 존재할 경우 주행 모드로 판단을 하고, 가감속 정보와 움직임 감지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차모드로 판단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mode or the parking mode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motion detection signal. For example, when both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motion detection signal exist, it is determined as the driving mode. Whe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motion detection signal do not exist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arking mode is determined.

단계 S103에서 차량의 모드를 판단한 결과 주행모드라고 판단이 되면 단계 S105로 이동하여 제1SD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이후 단계 S107에서 카메라로부터 감시 영상을 획득하고, 단계 S109에서는 상기 획득한 감시 영상을 고화질급(HD급)인 30프레임 단위로 추출하여 단계 S111에서 제1SD메모리 카드에 영상을 녹화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 녹화 방식은 일반적인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영상을 녹화하는 방식과 동일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mode is the driving mode in step S103, the control unit moves to step S105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first SD memory card. Then, in step S107, a surveillance image is acquired from the camera. The obtained surveillance image is extracted in units of 30 frames of high definition (HD class), and the image is recorded on the first SD memory card in step S111. The video recording method is the same as the video recording method in a general vehicle black box.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모드시에는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시 영상을 제1SD메모리카드에 녹화하다가, 차량의 모드가 주차모드라고 판단이 되면 영상 저장 경로를 부가적으로 구비한 제2 SD메모리카드로 설정하고, 일반적인 영상 추출 방식과는 상이한 방식의 영상 추출 방식으로 감시 영상을 만들어 제2SD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게 되며, 이로써 주차시에 동일한 메모리 용량에 장시간 영상의 녹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블랙박스가 주차시 감시 장치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the surveillance video to the first SD memory car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ventional driving mode of the vehicl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mode is the parking mode, the second SD memory card additionally includes an image storage path. Set up and save the surveillance video in the second SD memory card by the video extrac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general video extraction method, so that the black box can park the video for a long time in the same memory capacity when parking. It can be used as a city monitoring device.

예컨대, 단계 S113에서 차량의 모드를 판단한 결과 주차모드라고 판단이 되면 단계 S115로 이동하여 제2SD메모리 카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이후 단계 S117에서 카메라로부터 감시 영상을 획득하고, 단계 S119에서는 상기 획득한 감시 영상을 5프레임 단위 저화질 영상으로 추출하여 단계 S121에서 제2SD메모리 카드에 영상을 녹화하게 된다.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mode is the parking mode in step S113,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o step S115 to select the second SD memory card is generated, and in step S117, a surveillance image is acquired from the camera, and in step S119. In step S121, the obtained surveillance image is extracted as a low quality image in units of 5 frames, and the image is recorded on the second SD memory card.

이렇게 주차모드일 경우, 영상을 5프레임 단위의 영상으로 만들어 SD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게 되면, 저장 영상의 데이터 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32GB 용량의 SD메모리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장시간 영상의 녹화가 가능하므로, 주차시 감시 장치로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parking mode, if the video is saved in the SD memory card in 5 frame units, the amount of data stored in the video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llowing long time recording even when using an SD memory card with a capacity of 32GB. Therefore, it can be fully utilized as a monitoring device when parking.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1… 주행신호 발생수단
104… 제어부
106… 영상 처리부
107… 메모리 선택부
108… 제1 SD메모리 슬롯
109… 제1 SD메모리 카드
110… 제2 SD메모리 슬롯
111… 제2 SD메모리 카드
101 ... Running signal generating means
104 ... The control unit
106 ... The image processor
107 ... Memory selector
108 ... 1st SD memory slot
109 ... 1st SD memory card
110 ... 2nd SD memory slot
111... 2nd SD memory card

Claims (6)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주행신호를 발생하는 주행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주행신호 발생수단에서 발생하는 주행신호를 기반으로 주행모드와 주차모드를 판단하고, 판단한 주행모드 또는 주차모드에 따라 영상처리 제어신호 및 메모리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영상처리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화질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메모리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저장 경로를 선택하는 메모리 선택부와;
상기 메모리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영상의 저장 경로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제1 및 제2 SD 메모리 카드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제1 및 제2 SD 메모리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driving mode and a parking mode based on th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and generating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and a memory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riving mode or parking mode;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separating and processing an image acquired by a camera according to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with an image quality;
A memory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 a storage path of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according to a memory sel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And a first and second SD memory slots for selectively storing an image output through the storage path of the image selected by the memory selection unit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D memory cards. Video record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신호 발생수단은,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가감속 정보를 주행신호로 발생하는 GPS 수신기 또는 지자기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중력을 이용해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 감지신호를 주행신호로 발생하는 G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signal generating means,
It includes a GPS receiver or geomagnetic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that receive signals from GPS satellites and generat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as driving signals, and detects the movement of an object using gravity, and drives the motion detection signal.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for a black box for a vehicle, comprising a G sensor generated as a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주행신호에 포함된 가감속 정보 또는 움직임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주행모드와 주차모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a driving mode and a parking mode on the basis of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or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ncluded in the input driving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영상처리 제어신호에 따라 주행모드시에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30프레임 단위로 추출하고, 주차모드시에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5프레임 단위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in the driving mode, the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is extracted in units of 30 frames, in the parking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is extracted in units of 5 frames Video recording device of a car black box.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선택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메모리 선택신호에 따라 주행모드시에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저장 경로를 제1 SD메모리 카드로 선택하고, 주차모드시에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저장 경로를 제2 SD메모리 카드로 선택하며, 선택한 SD 메모리 카드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제1 SD메모리 슬롯에 전달하거나 제2 SD메모리 슬롯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selector,
In the driving mode, the storage path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is selected as the first SD memory card in the driving mode, and the storage path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is selected in the parking mode. 2. Selected as an SD memory card, the image recording apparatus of the black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lected SD memory card, wherein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is transferred to a first SD memory slot or a second SD memory slot.
(a) GPS수신기 또는 G센서에서 발생하는 차량주행신호를 기반으로 차량 주행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b) 판단 결과 주행 모드일 경우, 감시 영상을 저장할 저장장치로 제1 SD메모리 카드를 선택하고,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감시 영상을 고화질급(30프레임 단위)으로 추출하여 선택한 제1 SD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a) 단계의 판단결과 주차 모드일 경우, 감시 영상을 저장할 저장장치로 제2 SD메모리 카드를 선택하고,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감시 영상을 저화질(5프레임 단위)로 추출하여 선택한 제2 SD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방법.
(a) determining a vehicle driving mode based on a vehicle driving signal generated by a GPS receiver or a G sensor;
(b) In the driving mode, when the driving mode is selected, the first SD memory card is selected as a storage device to store the surveillance video, and the surveillance video obtained from the camera is extracted in high definition (30 frame units) to the selected first SD memory card. Storing;
(c) In the parking mode, the second SD memory card is selected as a storage device to store the surveillance video, and the surveillance video obtained from the camera is extracted in low quality (5 frames). The video recording method of the vehicle black box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in the SD memory card.
KR1020120019766A 2012-02-27 2012-02-27 Apparatus for video recoding of black box using car and method thereof KR201300980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766A KR20130098005A (en) 2012-02-27 2012-02-27 Apparatus for video recoding of black box using ca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766A KR20130098005A (en) 2012-02-27 2012-02-27 Apparatus for video recoding of black box using car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005A true KR20130098005A (en) 2013-09-04

Family

ID=4945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766A KR20130098005A (en) 2012-02-27 2012-02-27 Apparatus for video recoding of black box using car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8005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127A (en) * 2014-03-31 2015-10-12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ar black box
KR20160094926A (en) * 2016-08-02 2016-08-10 (주)위니테크놀러지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ular black box
WO2017155165A1 (en) * 2016-03-09 2017-09-14 (주)큐알온텍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ack box for vehicle
KR20170143181A (en) * 2016-06-21 2017-12-29 오토아이티(주) File management system mounted in the car recorder and method for reproducing files by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127A (en) * 2014-03-31 2015-10-12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ar black box
WO2017155165A1 (en) * 2016-03-09 2017-09-14 (주)큐알온텍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ack box for vehicle
KR20170143181A (en) * 2016-06-21 2017-12-29 오토아이티(주) File management system mounted in the car recorder and method for reproducing files by the same
KR20160094926A (en) * 2016-08-02 2016-08-10 (주)위니테크놀러지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ular black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014B1 (en) Single unit video camera recoder
JP4531077B2 (en) Vehicle running state display device
US20100129064A1 (en) Drive recorder
JP4859756B2 (en) Image recording condition setting method in drive recorder
JP2006235732A (en) Drive recorder
US20080088482A1 (en) Vehicle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JP5220788B2 (en) Vehicle running status display method
JP2012169754A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for moving body
WO2020136943A1 (en) Vehicle recording control device, vehicle recording device, vehicle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580567B1 (en) Apparatus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KR20130098005A (en) Apparatus for video recoding of black box using car and method thereof
KR102117575B1 (en) Image-processing Apparatus for Car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Supply Using The Same
JP6962712B2 (en) In-vehicle image recording device
JP2009021993A (en) Image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JP5238595B2 (en) In-car video recording device
JP5602267B2 (en) Vehicle running status display method
KR200279994Y1 (en) A black box for cars
JP2023107812A (en) Recording/reproducing control device recording/reproducing control method
KR201400698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recording for vehicles
KR20130099332A (en) A vehicular black box using gps data and specific map data, and a recording method for a vehicular black box
JP6046430B2 (en) Drive recorder
JP5914135B2 (en) Drive recorder
KR20120004144A (en) Black box for vehicle and method for recording traffic accident of the same
KR101412616B1 (en) Apparatus of Notifying Event in the Vehicles and thereof Operating Method
JP2020004223A (en) On-vehicle video recor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