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956A -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 Google Patents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956A
KR20130097956A KR1020120019660A KR20120019660A KR20130097956A KR 20130097956 A KR20130097956 A KR 20130097956A KR 1020120019660 A KR1020120019660 A KR 1020120019660A KR 20120019660 A KR20120019660 A KR 20120019660A KR 20130097956 A KR20130097956 A KR 20130097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uri
filter
cone
nozz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0169B1 (ko
Inventor
이충중
Original Assignee
이충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중 filed Critical 이충중
Priority to KR1020120019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169B1/ko
Priority to PCT/KR2012/002066 priority patent/WO2013022163A1/ko
Priority to CN2012101081204A priority patent/CN102921257A/zh
Publication of KR20130097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81Venturi's or systems showing a venturi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0Venturi sc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분진 및 오염 물질을 필터에 의해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벤츄리 노즐은,
상부 끝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점 커지는 유선형의 형태이고, 하부 끝단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벤츄리 콘; 벤츄리 콘의 하단의 외부 테두리에 끼워서 삽입 결합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어 있는 원형관과, 원형관의 둘레 방향에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방사형 날개부를 형성하는 분산 날개부; 및 일측에 곡면을 형성하고, 타측에 벤츄리 콘의 개방된 하부 끝단면을 통해 벤츄리 콘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Venturi Nozzle and A Filter Structure with Venturi Nozzle in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장치용 벤츄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벤츄리 노즐의 구조를 개선하여 필터 표면에 축적된 분진을 털어내는 탈진 능력을 향상시키고 흡입 저항을 최소화하여 흡입 유량을 증대하는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먼지나 분진 등이 다량 발생하는 각종 산업 공정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한 먼지, 오염 물질을 필터에 의해 집진하여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집진기의 필터는 공장이나 작업 현장 등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필터의 여과포 또는 표면에 분진이 쌓여 누적되고 이로 인해 필터의 통과 유속이 느려지고 압력 손실이 증가하며 공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필터의 집진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집진기는 집진기의 성능 유지를 위하여 필터에 축적된 분진을 제거해야 한다. 축적된 분진을 제거하는 방법은 압축 공기를 펄스 장치를 통하여 짧은 시간에 다량의 압축 공기를 일정 간격의 시간이나 필터가 압력을 받으면 털어지게 하는 일정 조건을 가지고 분사하여 필터에 부착된 분진의 반대 방향으로 필터 내부에서 압력(제트 에어)을 가하여 분진을 이탈시킨다.
집진기는 필터의 분진 포집 기능을 연속 수행할 때, 효율적인 탈진과 많은 양의 압축 공기를 필터 표면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노즐과 필터의 입구 사이에 벤츄리 노즐을 설치하게 된다.
벤츄리 노즐은 노즐에서 분사된 공기의 압력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유속을 증대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이러한 벤츄리 노즐은 베르누이 법칙에 의하여 낮아진 압력으로 주변 공기를 흡입하는 유량 증대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벤츄리 노즐이 장착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와 벤츄리 노즐이 장착되지 않은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에서 플로우 튜브(Flow Tube)의 제트 기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는 탈진 공정시 벤츄리 노즐이 장착되지 않은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에서 플로우 튜브(Flow Tube)의 제트 기류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b)는 탈진 공정시 벤츄리 노즐이 필터의 상부 내측으로 장착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에서 플로우 튜브(Flow Tube)의 제트 기류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츄리 노즐(10)이 장착되거나 장착되지 않은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에서 플로우 튜브(20)의 제트 기류가 필터(30)의 내부 하단까지 내려가서 필터(30)의 하부로부터 탈진하여 상부 방향으로 전달한다.
도 1의 (a)와 (b)와 같이, 플로우 튜브(20)의 제트 기류가 필터(30)의 내부 하단까지 내려간 후, 탈진이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크며 필터(30)의 상부 부위에서 부분적으로 탈진이 이루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의 (b)의 종래 기술에 따른 벤츄리 노즐(10)은 필터(30)의 여과 범위와 벤츄리 노즐(10)의 토출구까지의 거리(40)가 중복되어 탈진이 이루어지지 않는 사용 불가능한 범위가 발생하며, 실질 여과 면적의 축소로 인해 필터(30)의 탈진이 되지 않아 필터(30)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벤츄리 노즐(10)은 필터 상부캡(50)과 벤츄리 노즐(10)의 사이의 공간(60)이 협소하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흡입 저항을 크게 만들고 필터 상부캡(50)과 벤츄리 노즐(10)의 하부 토출부와의 거리가 멀어 흡입 저항을 크게 만들어 흡입 압력에 의한 공기의 흡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벤츄리 노즐의 구조를 개선하여 필터 표면에 축적된 분진을 털어내는 탈진 능력을 향상시키고, 흡입 면적을 넓혀 흡입 저항을 최소화하는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분진 및 오염 물질을 필터에 의해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벤츄리 노즐은,
상부 끝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점 커지는 유선형의 형태이고, 하부 끝단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벤츄리 콘; 상기 벤츄리 콘의 하단의 외부 테두리에 끼워서 삽입 결합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어 있는 원형관과, 상기 원형관의 둘레 방향에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방사형 날개부를 형성하는 분산 날개부; 및 일측에 곡면을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벤츄리 콘의 개방된 하부 끝단면을 통해 상기 벤츄리 콘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분진 및 오염 물질을 필터에 의해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벤츄리 노즐을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는,
상기 필터의 상부에 장착되는 필터캡과, 상기 필터캡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기 벤츄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벤츄리 노즐은 상부 끝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점 커지는 유선형의 형태이고, 하부 끝단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벤츄리 콘과, 상기 벤츄리 콘의 하단의 외부 테두리에 끼워서 삽입 결합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어 있는 원형관과, 상기 원형관의 둘레 방향에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방사형 날개부를 형성하는 분산 날개부와, 일측에 곡면을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벤츄리 콘의 개방된 하부 끝단면을 통해 상기 벤츄리 콘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분산 날개부의 방사형 날개부를 상기 필터캡에 장착하면, 상기 벤츄리 콘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분진 및 오염 물질을 필터에 의해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벤츄리 노즐은,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관통되고 측면이 막힌 형상이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벤츄리관과, 상기 벤츄리관의 하단의 외부 테두리에 끼워서 삽입 결합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어 있는 원형관 및 상기 원형관의 둘레 방향에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방사형 날개부를 형성하는 분산 날개부를 포함하는 상부 벤츄리; 상부 끝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점 커지는 유선형의 형태이고, 하부 끝단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벤츄리 콘과, 일측에 곡면을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벤츄리 콘의 개방된 하부 끝단면을 통해 상기 벤츄리 콘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부 벤츄리; 및 상부에 상기 상부 벤츄리를, 하부에 상기 하부 벤츄리를 연결바로 연결하여 상기 상부 벤츄리와 하부 벤츄리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분진 및 오염 물질을 필터에 의해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벤츄리 노즐을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는,
상기 필터의 상부에 장착되는 필터캡과, 상기 필터캡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기 벤츄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벤츄리 노즐은,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관통되고 측면이 막힌 형상이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벤츄리관과, 상기 벤츄리관의 하단의 외부 테두리에 끼워서 삽입 결합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어 있는 원형관 및 상기 원형관의 둘레 방향에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방사형 날개부를 형성하는 분산 날개부를 포함하는 상부 벤츄리;
상부 끝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점 커지는 유선형의 형태이고, 하부 끝단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벤츄리 콘과, 일측에 곡면을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벤츄리 콘의 개방된 하부 끝단면을 통해 상기 벤츄리 콘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부 벤츄리; 및
상부에 상기 상부 벤츄리를, 하부에 상기 하부 벤츄리를 연결바로 연결하여 상기 상부 벤츄리와 하부 벤츄리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 날개부의 방사형 날개부를 상기 필터캡의 상부면에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장착하면, 상기 벤츄리관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 벤츄리가 상기 필터의 내부로 삽입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필터캡의 상부에 장착되는 벤츄리 노즐의 구조를 개선하여 흡입 면적이 넓어지고, 흡입 저항을 최소화하여 흡입 압력을 최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총알의 탄두 형태의 벤츄리 노즐을 구성하여 코안다 효과를 통해 흡입 공기의 유량과 유속을 증대할 수 있어 탈진과 흡입 공정의 효율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벤츄리 노즐이 필터캡의 상부에 돌출된 형태로 결합되므로 흡입되는 영역과 하부 토출부의 거리가 단축되어 공기 유입이 용이하고 이로 인한 흡입 유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벤츄리 노즐이 장착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와 벤츄리 노즐이 장착되지 않은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에서 플로우 튜브(Flow Tube)의 제트 기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필터캡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에서 플로우 튜브(Flow Tube)의 제트 기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필터캡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에서 플로우 튜브(Flow Tube)의 제트 기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필터캡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에서 플로우 튜브(Flow Tube)의 제트 기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는 벤츄리 노즐(100), 필터캡(200) 및 필터(300)의 상부에 장착되는 필터캡(200)를 포함하고, 벤츄리 노즐(100)을 필터캡(20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하여 장착한다.
벤츄리 노즐(100)은 알루미늄, 비철 금속, 스텐레스스틸, 아연도 강판, 플라스틱(강화 플라스틱을 포함)으로 이루어져 있고 압축 공기를 주기적으로 발사할 때, 발사 과정에서의 주위의 공기를 흡입하여 탈진 효율을 높여준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100)은 벤츄리 콘(110), 분산 날개부(120) 및 하부 하우징(130)을 포함한다.
벤츄리 콘(110)은 확대 경사부(112), 분산 날개부 장착부(114), 하부 하우징 삽입홈(116) 및 암나사(118)를 포함한다.
확대 경사부(112)는 총알, 포탄의 탄두 형태와 같이, 뽀족한 상부 끝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즉,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그 지름이 점점 커지는 유선형의 형태이다.
외부의 블로우 튜브(Blow Tube)로부터 유입된 압축 공기는 확대 경사부(112)의 표면상에 흐르게 된다. 확대 경사부(112)의 표면상에 흐르는 공기는 벤츄리 콘(110)의 주위에 공기를 고속으로 흡입하게 된다. 이러한 코안다 효과는 유체가 만곡면을 흐를 때 표면상에 근접하여 달라붙어(Clinging to) 또는 바짝 붙어(Hugging) 흡착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블로우 튜브로부터 발사된 공기의 흐름은 확대 경사부(112)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1차 공기 흐름과 코안다 효과로 인해 확대 경사부(112)의 주위에 있는 공기를 유입하여 2차 공기 흐름이 형성된다. 확대 경사부(112)는 1차 공기 흐름보다 수십배 이상의 외부 공기인 2차 공기 흐름을 고속으로 유입하게 된다.
2차 공기 흐름은 벤츄리 노즐(100)의 주위에 실내 공간, 영역 또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흡입되고 변위에 의하여 필터(300) 내부로 흡입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벤츄리 노즐(100)은 외부의 블로우 튜브(Flow Tube)(20)로부터 발사된 제트 기류가 벤츄리 콘(11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외부 곡면을 따라 유입되는 제1 공기와, 제1 공기의 흐름으로 발생된 코안다 효과에 따라 벤츄리 콘(110)의 주위에 유도된 제2 공기인 강력한 공기 흐름을 필터(300)로 흡입하게 되므로 공기 증폭기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벤츄리 노즐(100)은 벤츄리 콘(110)의 외부 곡면을 따라 유입되는 제1 공기의 흐름과 코안다 효과에 의해 수십배 이상의 주변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2차 공기의 흐름을 통해 유입 공기의 흐름을 증폭시켜 더욱 강력한 탈진 성능을 갖는다.
확대 경사부(112)는 블로우 튜브에서 발사된 제트 기류를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총알, 포탄의 탄두 형태로 상부 끝단이 뽀족하게 형성되고, 코안다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곡면이 완만해야 한다.
분산 날개부 장착부(114)는 확대 경사부(112)의 하부 끝단 부분을 원형 테두리를 따라 일정 깊이로 파서 단턱를 형성하고, 이러한 단턱에 분산 날개부(120)가 끼워져서 장착된다.
하부 하우징 삽입홈(116)은 분산 날개부 장착부(114)의 일측 끝단면이 개방되어 벤츄리 콘(110)의 내측으로 하부 하우징(130)이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일정 깊이의 홈이 파져 있다.
암나사(118)는 하부 하우징 삽입홈(116)이 위치하고, 개방된 분산 날개부 장착부(114)로부터 벤츄리 콘(1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하부 하우징(130)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분산 날개부(120)는 벤츄리 콘(110)의 분산 날개부 장착부(114)의 원형 테두리에 끼워서 결합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고 분산 날개부 장착부(114)의 외경보다 크도록 내경이 구성되는 원형관(122)과, 원형관(12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방사형 날개부(124)를 포함한다.
원형관(122)의 내경은 흡입 공정시 저항을 줄이기 위해 방사형 날개부(124)의 끝단 간을 이어서 형성되는 원의 지름에 비해 3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형 날개부(124)의 개수는 15-30개 정도로 하고, 두께를 10-30mm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원형관(122)의 내경과 방사형 날개부(124)의 개수는 탈진하고자 하는 필터(300), 오염 물질의 종류에 따라 원형관(122)의 내경 크기와 방사형 날개부(124)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방사형 날개부(124)는 원형관(122)의 둘레 방향에 따라 일정한 등간격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방사형 날개부(124)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미세한 홈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곡선 형태 또는 방사형 날개부(124)의 이격 간격을 랜덤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분산 날개부(120)는 벤츄리 콘(110)에서 코안다 효과로 증폭된 기류를 필터(300)의 내부로 균일하게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하부 하우징(130)은 일측에 반원형 곡면을 가지는 반구형 헤드(132)와, 타측에 반구형 헤드(132)로부터 돌출되어 중앙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고 외부 테두리에 벤츄리 콘(110)의 암나사(118)에 나사 결합하는 숫나사(134)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 하우징(130)은 분산 날개부(120)를 통과한 제트 기류를 필터(300)의 내부 중심으로 쏠리지 않도록 반원형 곡면을 따라 필터(300)의 상부에서부터 탈진하여 하부 방향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벤츄리 콘(110)의 분산 날개부 장착부(114)에 분산 날개부(120)의 원형관(122)을 끼워서 삽입 결합하면, 분산 날개부(120)의 하부면과 벤츄리 콘(110)의 하부 끝단면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벤츄리 노즐(100)은 벤츄리 콘(110)의 하부 하우징 삽입홈(116)에 하부 하우징(130)의 숫나사(134)를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여 완성한다.
벤츄리 노즐(100)은 방사형 날개부(124)를 필터(300)의 상부에 장착된 필터캡(200)에 방사형 날개부(124)를 필터캡(200)의 상부면에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장착하면, 벤츄리 콘(110)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100)은 벤츄리 콘(110), 분산 날개부(120) 및 하부 하우징(130)으로 구성하고 흡입 저항을 최소화하고 제작 공정을 단순화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블로우 튜브로부터 압축 공기의 분사가 시작되면, 블로우 튜브와 벤츄리 콘(110)의 확대 경사부(112)의 사이의 공간에서 코안다 효과로 인하여 블로우 튜브로부터 발사된 공기가 확대 경사부(112)의 표면을 따라 흐르고 이에 따라 벤츄리 노즐(100)의 주위의 공기가 함께 유량과 유속이 증가되면서 고속으로 벤츄리 노즐(100)로 흡입된다.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로 흡입되는 공기는 하부 하우징(130)의 반원형 곡면의 반구형 헤드(132)를 따라 필터(300)의 내부 중심 방향으로 쏠리지 않고 측류를 형성하여 필터(300)의 상부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전달하여 탈진된다.
벤츄리 노즐(100)은 필터(300)의 필터캡(200)의 상부에 돌출된 형태로 결합하여 벤츄리 노즐(100)로 인하여 탈진이 이루어지지 않는 사용 불가능한 범위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필터(300)의 탈진이 되지 않아 필터(300)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없어진다.
벤츄리 노즐(100)은 필터(300) 내부에서 오염 물질을 여과한 깨끗한 공기를 흡입하여 집진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과 탈진 공정시 압축 공기를 발사하는 토출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벤츄리 노즐(100)은 흡입과 토출을 수행하므로 흡입시 공기 저항을 고려하여 제작한다.
벤츄리 노즐(100)은 필터(300)와 오염 물질의 종류에 따라 방사형 날개부(124)의 개수와 벤츄리 콘(110)과 하부 하우징(130)의 크기 비율, 곡면 형태를 조절하여 흡입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한다.
벤츄리 노즐(100)은 확대 경사부(112)의 곡면을 따라 유입되는 1차 공기 흐름과 확대 경사부(112)의 주위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2차 공기 흐름이 혼합되어 급속 확산 형태로 증가된 유속을 유지하면서 필터(300)측으로 토출된다.
벤츄리 노즐(100)은 벤츄리 콘(110)의 확대 경사부(112)에서 코안다 효과로 증폭된 기류를 분산 날개부(120)를 거쳐 필터(30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되므로 흡입시 흡입 저항이 줄어들어 흡입 압력을 최대화하고 필터캡(200)의 상부에 돌출된 형태로 결합하므로 공기 유입이 용이하며 이로 인한 흡입 유량이 증대된다.
본 발명의 벤츄리 노즐(100)을 필터캡(200)에 장착하면, 필터(300)의 상부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탈진되므로 하부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탈진이 이루어지는 기존 방법보다 에너지 손실이 매우 적으며 탈진 성능이 매우 높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필터캡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에서 플로우 튜브(Flow Tube)의 제트 기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경우,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는 벤츄리 노즐(400) 및 필터(300)의 상부에 장착되는 필터캡(200)를 포함하고, 벤츄리 노즐(400)을 필터캡(20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하여 장착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400)은 상부 벤츄리(410)와 하부 벤츄리(430)를 연결 프레임(420)으로 연결하여 이단 벤츄리 노즐을 형성한다.
상부 벤츄리(410)는 벤츄리관(412), 결합부(414) 및 분산 날개부(120)를 포함한다.
하부 벤츄리(430)는 벤츄리 콘(110) 및 하부 하우징(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분산 날개부(120), 벤츄리 콘(110) 및 하부 하우징(13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 프레임(420)은 상부에 상부 벤츄리(410)를, 하부에 하부 벤츄리(430)를 막대 형상의 연결바로 연결하여 상부 벤츄리(410)와 하부 벤츄리(430)를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벤츄리관(412)은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관통되고 원형 테두리의 측면이 막힌 형상이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구조이다.
벤츄리관(412)의 하단 끝단 부분을 원형 테두리를 따라 일정 깊이로 파서 단턱을 이루는 결합부(414)를 형성하고, 이러한 결합부(414)에 분산 날개부(120)를 끼워져서 장착된다.
결합부(414)는 분산 날개부(120)가 장착된 후, 분산 날개부(120)가 하부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부 끝단을 분산 날개부(120)의 외경보다 넓도록 외부 방향으로 벌어지게 구성한다.
벤츄리관(412)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 테두리는 공기 흡입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라우팅 처리하여 짧게 형성한다.
상부 벤츄리(410)는 알루미늄 또는 아연도 강판이나 스텐레스 스틸로 프레스 작업이나 롤링 작업으로 제작하거나 알루미늄 사출 금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부 벤츄리(410)는 두께 0.8-1.2mm, 높이 80mm가 적당하고 필터백 규격 160 파이 기준으로 입구 90mm, 목 45mm, 높이 80mm가 바람직하다.
분산 날개부(120)는 상부 벤츄리(410)의 결합부(414)의 원형 테두리에 끼워서 결합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고 결합부(414)의 외경보다 크도록 내경이 구성되는 원형관(122)과, 원형관(122)으로부터 둘레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방사형 날개부(124)를 포함한다. 분산 날개부(12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1 실시예의 분산 날개부(120)는 벤츄리 콘(110)에 장착되는데 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산 날개부(120)는 상부 벤츄리(410)에 장착된다.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는 필터캡(200)의 상부에 형성된 단턱에 장착된다.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는 필터캡(200)의 상부면에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필터캡(200)에 장착한다. 따라서,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를 필터캡(200)의 단턱에 장착하면, 벤츄리관(412)이 외부로 돌출된 형태가 되는 것이다.
분산 날개부(120)는 알루미늄, 비철 금속, 스텐레스스틸, 아연도 강판, 플라스틱(강화 플라스틱을 포함)의 프로파일(방열판 형태)을 압출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부 벤츄리(410)는 벤츄리관(412)을 알루미늄 사출로 제작하고, 분산 날개부(120)를 압출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한 후, 벤츄리관(412)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414)에 분산 날개부(120)의 원형관(122)을 장착하여 완성된다.
본 발명의 상부 벤츄리(410)는 압축 공기의 흡입시 흡입 저항을 고려하여 벤츄리관(412)과 분산 날개부(120)의 이단으로 구성한다.
외부의 블로우 튜브(Blow Tube)로부터 압축 공기가 상부 벤츄리(410)로 분사되면, 블로우 튜브와 상부 벤츄리(410)와의 사이의 구간에서 유속에 의한 흡입 효과로 분사 유동의 주변 공기가 상부 벤츄리(410)의 벤츄리관(412)의 내측 공간과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로 흡입되어 유량이 증가된다.
상부 벤츄리(410)는 입구에서 목 부분으로 유동이 진행되면서 유효 면적이 좁아지면서 유속이 증가되고, 유동의 흐름 형태가 확산형에서 직선형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상부 벤츄리(410)에 의한 유속 증가는 베르누이 법칙에 의하여 낮아진 압력으로 주변 공기를 흡입하는 유량 증대의 효과가 있다.
외부의 블로우 튜브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벤츄리관(412)의 내측 공간과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로 흡입된다.
상부 벤츄리(410)는 블로우 튜브와 벤츄리관(412)의 사이의 구간과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의 공간에서 먼지를 여과한 깨끗한 공기를 흡입하여 집진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과 탈진시 압축 공기를 발사하는 토출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상부 벤츄리(410)는 흡입과 토출을 수행하므로 흡입시 공기 저항을 고려하여 제작해야 한다.
상부 벤츄리(410)는 필터캡(200)의 상부에 돌출된 형태로 결합하고, 벤츄리관(412)의 입구와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의 공기 유입 공간을 이중 공간으로 형성하여 흡입 저항과 공기 저항을 낮추고 흡입 압력을 최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분산 날개부(120)는 필터(300)와 오염 물질의 종류에 따라 방사형 날개부(124)의 개수와 원형관(122)의 길이를 조절하여 흡입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상부 벤츄리(410)는 벤츄리관(412)의 내측 공간과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를 통해 외부 공기의 흡입량이 크게 늘어난다.
상부 벤츄리(410)는 벤츄리관(412)의 입구에서 점차적으로 축소되어 유속을 빠르게 하고, 하부에서 급속 확산 형태로 증가된 유속을 유지하면서 토출된다.
상부 벤츄리(410)는 벤츄리관(412)의 내측 공간과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로 인하여 흡입 면적이 넓어지고, 흡입시 흡입 저항이 줄여들어 흡입 압력을 최대화하며, 필터캡(200)의 상부에 돌출된 형태로 결합되므로 흡입되는 영역과 하부 토출부의 거리가 단축되어 공기 유입이 용이하고 이로 인한 흡입 유량이 증대된다.
하부 벤츄리(43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벤츄리 노즐(100)에서 분산 날개부(120)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 프레임(420)은 제1 프레임(440), 제2 프레임(450)과 연결 원형관(460)을 이용하여 상부 벤츄리(410)와 하부 벤츄리(430)를 연결하게 된다.
연결 원형관(460)은 벤츄리 콘(110)의 분산 날개부 장착부(114)의 외부 테두리에 끼워서 삽입 결합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어 있고 벤츄리 콘(110)의 분산 날개부 장착부(114)의 외경보다 크도록 내경이 구성된다.
연결 원형관(460)은 연결 원형관(460)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돌출부(462)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440)은 상부 벤츄리(410)의 하단부와 하부 벤츄리(430)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길이 방향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연결바(442)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연결바(442)는 상부 끝단 부위에 형성되고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세로 방향의 홈이 형성된 제1 세로삽입홈(444)과, 하부 끝단 부위에 형성되고 연결 원형관(460)의 돌출부(462)가 삽입하여 결합되는 가로 방향의 홈이 형성된 제1 가로삽입홈(446)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450)은 벤츄리 콘(110)과 멀어지는 방향, 제1 프레임(440)의 외측에서 한 쌍으로 겹쳐져서 상부 벤츄리(410)의 하단과 하부 벤츄리(430)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길이 방향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연결바(452)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연결바(452)는 상부 끝단 부위에 형성되고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세로 방향의 홈이 형성된 제2 세로삽입홈(454)과, 하부 끝단 부위에 형성되고 연결 원형관(460)의 돌출부(462)가 삽입하여 결합되는 가로 방향의 홈이 형성된 제2 가로삽입홈(45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프레임(440)과 제2 프레임(450)은 각각 3개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1 프레임(440)의 제1 연결바(442)와 제2 프레임(450)의 제2 연결바(452)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벤츄리 콘(110)의 유선형의 형태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를 곡선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450)의 상부 끝단 부위는 제1 프레임(440)의 상부 끝단부보다 길게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벤츄리관(412)의 외부면의 형태에 따라 절곡되어 벤츄리 콘(110)의 확대 경사부(112)에 밀착된다.
제1 세로삽입홈(444)과 제2 세로삽입홈(454), 제1 가로삽입홈(446)과 제2 가로삽입홈(456)은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와 연결 원형관(460)의 돌출부(462)가 삽입되는 경우 방사형 날개부(124)와 돌출부(462)가 관통되도록 제1 연결바(442)와 제2 연결바(452)의 동일한 위치에 홈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400)은 상부 벤츄리(410)의 결합부(414)에 분산 날개부(120)를 끼워서 삽입 결합하여 상부 벤츄리(410)를 완성하고, 벤츄리 콘(110)의 하부 하우징 삽입홈(116)에 하부 하우징(130)의 숫나사(134)를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여 하부 벤츄리(430)를 완성한다.
벤츄리 노즐(400)은 하부 벤츄리(430)의 분산 날개부 장착부(114)에 연결 원형관(460)을 끼워서 결합 고정하고 제1 프레임(440)의 제1 가로삽입홈(446)과 제2 프레임(450)의 제2 가로삽입홈(456)에 연결 원형관(460)의 돌출부(462)를 관통하여 연결하며 제1 프레임(440)의 제1 세로삽입홈(444)과 제2 프레임(450)의 제2 세로삽입홈(454)에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를 관통하여 연결한다.
이어서, 벤츄리 노즐(400)은 제2 프레임(450)의 상부 끝단 부위와 벤츄리관(412)을 동시에 관통하여 벤츄리관(412)의 내측까지 연장된 제1 리벳을 제1 고정구로 압착하여 고정하고, 연결 원형관(460)의 돌출부(462)에 형성된 제3 삽입홈(464)에 제2 리벳을 삽입하여 관통한 후, 돌출된 제2 리벳을 제2 고정구로 압착하여 고정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벤츄리 노즐(400)은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를 필터(300)의 상부에 장착된 필터캡(200)에 방사형 날개부(124)가 필터캡(200)의 상부면에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장착하면, 상부 벤츄리(410)의 벤츄리관(412)이 필터캡(200)의 외부로 돌출되고 하부 벤츄리(430)가 필터(300)의 내부로 삽입된 형태가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벤츄리 노즐(400)은 상부 벤츄리(410)의 벤츄리관(412)과 분산 날개부(120)로부터 흡입 저항을 최소화하고 흡입 압력을 최대화하여 유입된 공기가 하부 벤츄리(430)의 벤츄리 콘(110)에 닿으면 벤츄리 콘(110)의 주위에 있는 공기와 상부 벤츄리(410)의 외부 공기까지 코안다 효과를 통해 고속으로 흡입한다.
흡입된 공기는 필터(300)의 내부 중심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부 벤츄리(430)의 하부 하우징(130)에 형성된 반원형 곡면을 따라 필터(300)의 상부에서부터 탈진하여 하부 방향으로 전달한다.
벤츄리 노즐(400)은 상부 벤츄리(410)에서 증가된 유속을 하부 벤츄리(430)의 구조로 발생되는 코안다 효과를 통해 급속 확산 형태의 증가된 유속을 유지하면서 흡입 유량을 증대하고 더욱 강력한 탈진과 흡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벤츄리 노즐(400)은 필터캡(200)에 장착된 상부 벤츄리(410)의 벤츄리관(412)과 분산 날개부(120)의 방사형 날개부(124)를 이용하여 공기의 흡입 유량을 증대하고 유속을 빠르게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츄리 노즐(400)은 빠르게 유입된 흡입 유량을 확대 경사부(112)의 표면을 따라 유입되는 1차 공기과 1차 공기의 흐름으로 발생된 코안다 효과에 따라 확대 경사부(112)의 주위에 유도된 2차 공기의 흐름을 하부 하우징(130)의 곡면에 따라 필터(300)의 상부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탈진하게 된다.
즉, 하부 벤츄리(430)는 상부 벤츄리(410)로부터 유입되는 1차 공기의 흐름과 코안다 효과에 의해 수십배 이상의 주변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2차 공기의 흐름을 통해 유입 공기의 흐름을 증폭시켜 더욱 강력한 탈진 성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에 따른 벤츄리 노즐(100, 400)은 원통형 일반필터백, 카트리지 필터, 주름형 필터백 등 모든 펄스젯 집진필터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400: 벤츄리 노즐
110: 벤츄리 콘
112: 확대 경사부
114: 분산 날개부 장착부
116: 하부 하우징 삽입홈
118: 암나사
120: 분산 날개부
122: 원형관
124: 방사형 날개부
130: 하부 하우징
132: 반구형 헤드
134: 숫나사
200: 필터캡
300: 필터
410: 상부 벤츄리
412: 벤츄리관
414: 결합부
420: 연결 프레임
430: 하부 벤츄리
440: 제1 프레임
450: 제2 프레임
460: 연결 원형관

Claims (14)

  1. 분진 및 오염 물질을 필터에 의해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벤츄리 노즐에 있어서,
    상부 끝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점 커지는 유선형의 형태이고, 하부 끝단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벤츄리 콘;
    상기 벤츄리 콘의 하단의 외부 테두리에 끼워서 삽입 결합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어 있는 원형관과, 상기 원형관의 둘레 방향에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방사형 날개부를 형성하는 분산 날개부; 및
    일측에 곡면을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벤츄리 콘의 개방된 하부 끝단면을 통해 상기 벤츄리 콘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
    을 포함하는 벤츄리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 콘의 하부 끝단 부분의 외부 테두리에 상기 분산 날개부의 원형관을 끼워서 결합한 후, 상기 방사형 날개부를 상기 필터의 상부에 장착된 필터캡에 상기 방사형 날개부가 상기 필터캡의 상부면에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장착하면, 상기 벤츄리 콘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되는 벤츄리 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 콘의 하부 끝단 부분을 원형 테두리를 따라 일정 깊이로 파서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에 상기 분산 날개부의 원형관을 끼워서 결합하면, 상기 분산 날개부의 하부면과 상기 벤츄리 콘의 하부 끝단면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벤츄리 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오염 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방사형 날개부의 개수와 상기 벤츄리 콘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크기 비율, 곡면 형태를 다르게 하는 벤츄리 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블로우 튜브(Flow Tube)로부터 발사된 제트 기류가 상기 벤츄리 콘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외부 곡면을 따라 유입되는 제1 공기와, 상기 제1 공기의 흐름으로 발생된 코안다 효과에 따라 상기 벤츄리 콘의 주위에 유도된 제2 공기를 상기 필터로 흡입하는 벤츄리 노즐.
  6. 분진 및 오염 물질을 필터에 의해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벤츄리 노즐을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상부에 장착되는 필터캡과, 상기 필터캡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기 벤츄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벤츄리 노즐은 상부 끝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점 커지는 유선형의 형태이고, 하부 끝단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벤츄리 콘과, 상기 벤츄리 콘의 하단의 외부 테두리에 끼워서 삽입 결합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어 있는 원형관과, 상기 원형관의 둘레 방향에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방사형 날개부를 형성하는 분산 날개부와, 일측에 곡면을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벤츄리 콘의 개방된 하부 끝단면을 통해 상기 벤츄리 콘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분산 날개부의 방사형 날개부를 상기 필터캡에 장착하면, 상기 벤츄리 콘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되는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날개부가 상기 필터캡의 상부면에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필터캡에 장착하는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8. 제6항에 있어서,
    외부의 블로우 튜브(Flow Tube)로부터 발사된 제트 기류가 상기 벤츄리 콘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외부 곡면을 따라 유입되는 제1 공기와, 상기 제1 공기의 흐름으로 발생된 코안다 효과에 따라 상기 벤츄리 콘의 주위에 유도된 제2 공기를 상기 필터 내부로 흡입하면, 상기 하부 하우징의 곡면을 따라 상기 필터의 상부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탈진하는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9. 분진 및 오염 물질을 필터에 의해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벤츄리 노즐에 있어서,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관통되고 측면이 막힌 형상이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벤츄리관과, 상기 벤츄리관의 하단의 외부 테두리에 끼워서 삽입 결합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어 있는 원형관 및 상기 원형관의 둘레 방향에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방사형 날개부를 형성하는 분산 날개부를 포함하는 상부 벤츄리;
    상부 끝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점 커지는 유선형의 형태이고, 하부 끝단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벤츄리 콘과, 일측에 곡면을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벤츄리 콘의 개방된 하부 끝단면을 통해 상기 벤츄리 콘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부 벤츄리; 및
    상부에 상기 상부 벤츄리를, 하부에 상기 하부 벤츄리를 연결바로 연결하여 상기 상부 벤츄리와 하부 벤츄리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
    을 포함하는 벤츄리 노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관의 하부 끝단 부분의 외부 테두리에 상기 분산 날개부의 원형관을 끼워서 결합한 후, 상기 필터의 상부에 장착된 필터캡에서 상기 방사형 날개부를 상기 필터캡의 상부면에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장착하면, 상기 벤츄리관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 벤츄리가 상기 필터의 내부로 삽입되는 벤츄리 노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벤츄리 콘의 하단의 외부 테두리에 끼워서 삽입 결합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어 있고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한 연결 원형관; 및
    일측을 상기 연결 원형관의 돌출부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타측을 상기 분산 날개부의 방사형 날개부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는 벤츄리 노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오염 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방사형 날개부의 개수와 상기 벤츄리 콘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크기 비율, 곡면 형태를 다르게 하는 벤츄리 노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관의 하부 끝단 부분을 원형 테두리를 따라 일정 깊이로 파서 형성된 단턱에 상기 분산 날개부의 원형관을 끼워서 결합하고,
    상기 벤츄리 콘의 하부 끝단 부분을 원형 테두리를 따라 일정 깊이로 파서 형성된 단턱에 상기 연결 원형관을 끼워서 결합하는 벤츄리 노즐.
  14. 분진 및 오염 물질을 필터에 의해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벤츄리 노즐을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상부에 장착되는 필터캡과, 상기 필터캡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기 벤츄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벤츄리 노즐은,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관통되고 측면이 막힌 형상이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벤츄리관과, 상기 벤츄리관의 하단의 외부 테두리에 끼워서 삽입 결합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어 있는 원형관 및 상기 원형관의 둘레 방향에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방사형 날개부를 형성하는 분산 날개부를 포함하는 상부 벤츄리;
    상부 끝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점 커지는 유선형의 형태이고, 하부 끝단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벤츄리 콘과, 일측에 곡면을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벤츄리 콘의 개방된 하부 끝단면을 통해 상기 벤츄리 콘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부 벤츄리; 및
    상부에 상기 상부 벤츄리를, 하부에 상기 하부 벤츄리를 연결바로 연결하여 상기 상부 벤츄리와 하부 벤츄리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 날개부의 방사형 날개부를 상기 필터캡의 상부면에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장착하면, 상기 벤츄리관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 벤츄리가 상기 필터의 내부로 삽입되는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KR1020120019660A 2011-08-10 2012-02-27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KR101360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660A KR101360169B1 (ko) 2012-02-27 2012-02-27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PCT/KR2012/002066 WO2013022163A1 (ko) 2011-08-10 2012-03-22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CN2012101081204A CN102921257A (zh) 2011-08-10 2012-04-13 文丘里喷嘴和搭载了该喷嘴的集尘装置用过滤器构造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660A KR101360169B1 (ko) 2012-02-27 2012-02-27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956A true KR20130097956A (ko) 2013-09-04
KR101360169B1 KR101360169B1 (ko) 2014-02-11

Family

ID=4945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660A KR101360169B1 (ko) 2011-08-10 2012-02-27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1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4335A1 (de) * 2018-02-13 2019-08-14 Camfil APC GmbH Filterpatrone mit aus filterelement hervorstehender strömungsleitvorrichtung, filteranlage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filterpatrone
WO2019158529A1 (en) * 2018-02-13 2019-08-22 Camfil Apc Gmbh Divided flow guiding device, centering device, filter unit, method for assembling a filter unit and method for clean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32A (ja) * 1983-06-20 1985-01-09 Mitsubishi Heavy Ind Ltd 流体移動及び集塵装置
KR100766806B1 (ko) 2006-04-04 2007-10-12 김수원 자동차용 배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4335A1 (de) * 2018-02-13 2019-08-14 Camfil APC GmbH Filterpatrone mit aus filterelement hervorstehender strömungsleitvorrichtung, filteranlage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filterpatrone
WO2019158529A1 (en) * 2018-02-13 2019-08-22 Camfil Apc Gmbh Divided flow guiding device, centering device, filter unit, method for assembling a filter unit and method for cleaning
US11433344B2 (en) 2018-02-13 2022-09-06 Camfil Apc Gmbh Divided flow guiding device, kit comprising base body and end piece of a flow guiding device, filter unit and method for cleaning
EP4091698A1 (en) * 2018-02-13 2022-11-23 Camfil APC GmbH Filter cartridge
US11554340B2 (en) 2018-02-13 2023-01-17 Camfil Apc Gmbh Filter cartridge comprising a flow guiding device protruding from a filter element, filter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filter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169B1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9258B (zh)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718708B1 (ko) 백필터용 인젝터
KR101220434B1 (ko) 가이드 밴이 구비된 집진기
US20180065071A1 (en) Bag filter filtration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dust accumulation
CN103611370B (zh) 用于燃机的进气装置
KR101360169B1 (ko)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KR101643574B1 (ko) 백필터 탈진용 분사노즐
KR101446229B1 (ko) 탄두형 충격기류 분산 장치와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KR101228884B1 (ko) 벤츄리 노즐과 이를 탑재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KR101737269B1 (ko) 구조를 개선한 블로우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기
TWM510786U (zh) 高效油霧回收機
KR102638412B1 (ko) 진공청소기를 위한 분리 시스템 및 분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CN102921257A (zh) 文丘里喷嘴和搭载了该喷嘴的集尘装置用过滤器构造体
KR100840149B1 (ko) 백필터 집진기용 압축공기 분사장치
KR20120083258A (ko) 공기증폭기를 이용한 압축공기 분사장치
KR101972652B1 (ko) 집진기 필터용 하부캡 및 이를 구비한 카트리지 필터
KR101476696B1 (ko) 탄두형 충격기류 분산 장치
KR200472211Y1 (ko) 대용량 압축공기 분사장치
KR200398441Y1 (ko) 용접흄 집진기의 탈진장치
KR101140630B1 (ko) 충격기류 탈진방식 여과집진기의 노즐 삽입형 탈진공기 분사관 및 이를 이용한 탈진장치
KR100990492B1 (ko) 백필터용 인젝터
CN219423987U (zh) 一种除尘装置
CN214972827U (zh) 一种高效粉尘处理装置
CN205672685U (zh) 高效去水分离器总成
CN109097129A (zh) 一种撬装式天然气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