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855A -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855A
KR20130097855A KR1020120019472A KR20120019472A KR20130097855A KR 20130097855 A KR20130097855 A KR 20130097855A KR 1020120019472 A KR1020120019472 A KR 1020120019472A KR 20120019472 A KR20120019472 A KR 20120019472A KR 20130097855 A KR20130097855 A KR 20130097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augmented
audio data
image
audi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호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1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7855A/ko
Priority to US13/563,059 priority patent/US20130222694A1/en
Publication of KR2013009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8Electronic adaptation dependent on speaker or headphon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서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로 제공하는 오디오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의 오디오를 증강시키는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audio service}
본 발명은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를 증강시키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인 텔레비전(Television)은 콘텐츠(Contents)에 대한 수동적 시청만 제공하는 아이피(Internet Protocol) 텔레비전 및 커넥티드(Connected) 텔레비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스마트(Smart) 텔레비전으로 진화하고 있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며 인터넷 브라우징 기능을 수용하여 방송과 통신을 융합시키고 있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시청자의 다양한 소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오티티(OTT : On The Top) 서비스를 적극 수용하고 앱 스토어 및 미디어 마켓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 및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 텔레비전의 경우 특성상 고화질의 영상 콘텐츠의 소비가 주를 이루며, 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오디오 서비스에 대한 주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오디오 서비스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지속되고 있으며, 그 중에 한 가지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5-0069344호(홈시어터 겸용 스피커 시스템을 갖는 티브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특허는 텔레비전에 메인 스피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스피커가 설치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텔레비전의 스피커를 제어하여 2.1채널과 5.1채널의 스피커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 특허는 별도의 스피커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하지 않고 텔레비전의 오디오를 증강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5-0069344호(홈시어터 겸용 스피커 시스템을 갖는 티브이)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하지 않고 시청자가 소유하고 있는 오디오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디오를 증강시키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서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로 제공하는 오디오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의 오디오를 증강시키는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검색되는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송신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로 각각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증강 오디오 서비스 송신 방법은 상기 각각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동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영상의 오디오를 보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오디오 출력 시스템은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와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오디오를 증강시킨다.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영상과 동기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오디오 출력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장치가 각각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가 상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와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오디오를 증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증강 오디오 출력 방법은 상기 증강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영상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강 오디오 출력 방법은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영상의 오디오를 증강시키는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장치의 정보를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동되는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부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방법은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의 오디오를 증강시키는 증강 오디오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장치의 정보를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동되는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증강 오디오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강 오디오 서비스 방법은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증강 오디오의 제공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부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하지 않고 시청자가 소유하고 오디오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고품질의 오디오 서비스로 인한 시청 만족도 및 시청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제공 절차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은 서버(100), 상기 서버(1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상기 서버(100)로부터 증강 오디오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 장치(300-1,,,300-n, n은 2이상의 자연수)가 네트워크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망 또는 무선망일 수 있다.
서버(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유니캐스트(Unicast) 혹은 멀티캐스트(Multicast)를 기반으로 하는 서버-클라이언트(Server-Client)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서비스 이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서버(100)와 필요한 정보를 상호 교환 및 전달할 수 있다. 서버(100)는 영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영상 데이터 서버(110)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오디오를 증강시키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관리하는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서버(110)는 고품질의 브이오디(VOD : Video On Demand)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서버(1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고품질의 멀티채널 오디오 서비스, 멀티 오디오 서비스 및 멀티 레이어드 오디오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공중파 프로그램 및 영화방송 등의 유, 무선망 서비스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때에 원하는 내용의 영상을 영상 데이터 서버(11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210) 및 영상의 증강 오디오를 제공받기 위한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정보를 검색하여,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정보를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에 제공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는 텔레비전 등을 포함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셋톱박스(Settop box,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오디오를 증강시키기 위해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출력장치(300-1)는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로부터 송신되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오디오 수신부(310),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영상과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32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은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로부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증강 오디오를 실시간으로 출력하거나 사전에 다운로드받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로는 모바일 단말기 또는 골도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클라이언트는 소지하고 있는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의 조합을 통해 고품질의 증강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 성능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대등하게 향상되고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는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를 기반으로 고품질의 증강 오디오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이 골도 장치로 구비될 경우, 여러 명의 클라이언트는 개별적인 증강 오디오 서비스의 청취가 가능하여, 다국어 기반의 멀티오디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들은 각각 골도 장치를 부착하고 공통된 영상을 시청하면서 원하는 언어의 증강 오디오를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120)부터 각각 제공받아 청취할 수 있다.
골도 장치의 특성상 클라이언트들은 주변에 위치한 다른 클라이언트가 청취중인 오디오의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워 질 수 있으며, 주변에서 일어나는 소리를 동시에 들을 수 있다.
골도 장치는 소리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뼈를 통해 청각신경을 자극하도록 구비되며, 골도 진동자, 오디오 처리 모듈 및 무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서비스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서비스 방법은 사용 환경 및 클라이언트에 의해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방법(이하, 서비스 방법)은 영상 데이터 출력단계(S100), 클라이언트 인증단계(S200), 오디오 데이터 확인단계(S300), 정보 송신단계(S400), 정보 저장단계(S500) 및 오디오 데이터 출력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데이터 서버(110)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상을 출력한다(S100).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원하는 영상을 영상 데이터 서버(110)에 요청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데이터 서버(110)로부터 송신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신원을 확인한다(S200).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는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신원을 인증할 수 있다. 따라서 증강 오디오 서비스 방법은 증강 오디오 서비스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료 서비스로의 전환도 가능해 질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인증단계(S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인증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화 인증 및 사전 제공된 정보에 따른 패스워드(Password)를 활용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는 시청하고 있는 영상의 오디오를 증강시키기 위한 증강 오디오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에 접속하여 증강 오디오 데이터의 유무를 확인한 뒤 증강 오디오 서비스 제공을 선택할 수 있다.
증강 오디오 서비스가 가능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주변에 위치된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정보를 검색하여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정보를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에 송신할 수 있다(S400). 이때 클라이언트는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정보를 수동적으로 확인하여 오디오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오디오 서비스 서버(120)는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500).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증강 오디오 서비스를 다시 이용할 경우 클라이언트는 정보 송신단계(S400)를 거치지 않더라도 저장된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정보를 활용하여 증강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은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로부터 송신되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영상과 동기화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S600). 이때 오디오 출력 장치들(300-1,,,300-n)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로부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사전에 다운로드받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제공 절차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제공 절차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제공 절차는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300-1,,,300-n)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영상을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다(S101). 클라이언트가 시청하고 있는 영상의 보강 오디오 서비스를 원할 경우, 클라이언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증강 오디오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S102).
증강 오디오 서비스가 가능할 경우, 클라이언트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S103). 클라이언트가 증강 오디오 서비스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주변에 위치된 증강 오디오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을 검색할 수 있다(S104).
이때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정보 수신부(330)는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20)에 제공한다(S105).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정보를 수신하여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로 전송한다(S106).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정보를 등록한다(S107). 등록이 완료되면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보강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의 오디오 수신부(310)로 전송한다(S108).
이때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은 오디오 데이터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영상과 동기화 시킨다(S109). 이후 동기화가 완료되면 오디오 출력장치들(300-1,,,300-n)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의 증강 오디오를 출력하여 영상의 오디오를 보강시킬 수 있다(S1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증강 오디오를 얻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소지하고 있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1,,,300-n)를 기반으로 증강 오디오 서비스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증강 오디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클라이언트가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장치(300-1,,,300-n)의 위치를 조절하여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멀티 오디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17)

  1.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서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로 제공하는 오디오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의 오디오를 증강시키는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검색되는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
  3.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로 각각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 송신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동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 송신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영상의 오디오를 보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 송신 방법.
  6.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와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오디오를 증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출력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영상과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출력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출력 시스템.
  9.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장치가 각각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장치가 상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와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오디오를 증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출력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영상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출력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출력 방법.
  12.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영상의 오디오를 증강시키는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장치의 정보를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동되는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부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
  14.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의 오디오를 증강시키는 증강 오디오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장치의 정보를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동되는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부터 상기 증강 오디오의 제공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장치는,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서버로부터 증강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오디오 서비스 방법.
KR1020120019472A 2012-02-27 2012-02-27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7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472A KR20130097855A (ko) 2012-02-27 2012-02-27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3/563,059 US20130222694A1 (en) 2012-02-27 2012-07-3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audio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472A KR20130097855A (ko) 2012-02-27 2012-02-27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855A true KR20130097855A (ko) 2013-09-04

Family

ID=4900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472A KR20130097855A (ko) 2012-02-27 2012-02-27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22694A1 (ko)
KR (1) KR20130097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771A1 (ko) * 2020-03-20 2021-09-23 주식회사 코클리어닷에이아이 오디오 인식을 수행하는 증강현실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7935A (en) * 1996-03-01 1998-05-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udio listening device for the hearing impaired
US6067126A (en) * 1998-01-05 2000-05-2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 video recording with audio selections
EP1794999A4 (en) * 2004-09-09 2011-12-14 Interoperability Technologies Group Llc METHOD AND SYSTEM FOR INTEROPERABILITY OF COMMUNICATION SYSTEMS
US20060222186A1 (en) * 2005-04-05 2006-10-05 Paige Robert F Multi-channel audio switch
JP4528852B2 (ja) * 2008-09-19 2010-08-2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音声調整方法
JP5515389B2 (ja) * 2009-04-22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処理装置及びオーディオ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771A1 (ko) * 2020-03-20 2021-09-23 주식회사 코클리어닷에이아이 오디오 인식을 수행하는 증강현실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22694A1 (en)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075B1 (ko) 통합된 크로스 미디어 서비스
JP4971424B2 (ja) ヘッドエンド機器によるローミングユーザへのサブスクリプションサービスの配信
US8370878B2 (en) Mobile interface for accessing interactive television applications associated with displayed content
US84024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et-top box based on device events
US20210368215A1 (en) Managing a multi-view event comprising several streams, stream buffers, and rendering onto a single canvas
KR20120053531A (ko) 콘텐트 분배 방법 및 시스템
WO2018103644A1 (zh) 直播分享方法及装置、家庭媒体设备和存储介质
US202102887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lient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2630037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US20170180778A1 (en) Broadcast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broadcast transmission apparatus operating method, and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operating method
KR100770831B1 (ko) 부분 방송가이드정보 구성 장치 및 방법
US110708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reception of media programs on a secondary receiver based upon reception of the media program by a primary receiver
US20130091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broadcast content and metadata for augmented broadcasting,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augmenting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ing augmented broadcast content
KR20130097855A (ko) 증강 오디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10061070A1 (en) Participant terminal device, wired and wireless coupled server for supporting broadcasting particip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participational broadcasting service
KR101041989B1 (ko) Iptv에서의 채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9199A (ko) 통신망을 이용한 방송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956806B1 (ko) 셋톱박스를 이용한 공유기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US113435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US11825131B2 (en) Using ATSC 3.0 to augment in-stadium video feeds
KR102255635B1 (ko) 개인화된 멀티플 스트림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1268213B1 (ko) Ip 네트워크를 통해 epg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송수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50304740A1 (en) Broadcaster apparatus, content operator apparatus, and receiving terminal for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 and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 method
WO2014183539A1 (zh) 会话建立的方法、装置及会话内容的递送方法和装置
EP2738749A1 (en) A system for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to a multimedia rendering device and related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