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030A -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030A
KR20130097030A KR1020120018723A KR20120018723A KR20130097030A KR 20130097030 A KR20130097030 A KR 20130097030A KR 1020120018723 A KR1020120018723 A KR 1020120018723A KR 20120018723 A KR20120018723 A KR 20120018723A KR 20130097030 A KR20130097030 A KR 20130097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ill
semi
disposed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수
Original Assignee
박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수 filed Critical 박용수
Priority to KR102012001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7030A/ko
Publication of KR20130097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to wash large items like pots, trays, baking trays, cooking gr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는, 하측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이 배치된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유닛(400); 상기 구동 유닛(400)의 한쪽에 배치되고 브러시 유닛(500)이 설치되어 회전되는 샤프트(430); 상기 샤프트(430)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브러시 고정 유닛(436);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또는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유닛(400)을 둘러싸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 유닛(400)에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박스 패널(200); 및 상기 박스 패널(200)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 고정 유닛(436)의 한쪽에 배치되며,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500)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플루트 유닛(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Semi automatic Grill pan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를 구워서 조리할 때에 석쇠 불판에 육류 찌꺼기가 눌러 붙거나 숯 형태로 오염되면 이렇게 오염된 석쇠 불판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쇠와 불판은 각각 불리기도 하였지만, 근래에는 석쇠와 불판을 사용하는 사용처와 제조자가 동일품목으로 취급하면서 석쇠 불판이 하나 물품으로서 취급된다.
석쇠 불판은 와이어가 그물망처럼 짜인 형태로 제공되거나 금속판으로 성형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석쇠 불판은 유행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이를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알려진 형태의 석쇠 불판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쇠와 불판은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 증진을 위하여 손잡이 형태도 평면적인 형태에서 입체적인 형태로 변화되었다.
한편, 석쇠 불판이 사용되면 석쇠 불판에 육류 또는 음식 찌꺼기가 붙어 있거나 숯 형태로 붙어 있게 되며, 이러한 음식 찌꺼기와 오물 등은 세척과정에서 제거된다.
석쇠 불판을 세척하는 작업은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노동력을 절감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석쇠 불판의 자동 세척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석쇠 불판 자동세척장치는 브러시를 회전 운동시키고, 체인이나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석쇠 불판을 이동 및 통과시키며, 브러시에 의해 석쇠 불판을 세척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는 후술되는 특허문헌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석쇠 불판 자동 세척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석쇠 불판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우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는데 반하여 석쇠 불판 자동 세척장치는 대부분이 규격화된 특정한 크기와 모양의 석쇠 불판을 세척하도록 제공된다.
즉, 석쇠 불판의 크기와 모양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세척을 할 수 없고 예컨대 손잡이가 돌출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자동세척이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와이어가 짜인 형태로 제공되는 석쇠 불판은 사용회수가 거듭될수록 중앙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변형된다. 즉 신제품의 석쇠 불판은 평탄한 형태이었지만,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변형됨으로써 석쇠 불판 자동세척장치에 배치된 브러시가 석쇠 불판의 전체에 골고루 접하지 못하여 세척이 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한다. 세척되지 않은 부분은 위생적으로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석쇠 불판의 중앙부분에 육류를 올려놓고 굽지만, 사용자마다 성향이 제각각이어서 중앙부분이 아닌 가장자리에 육류를 올려놓고 굽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석쇠 불판 자동 세척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석쇠 불판의 중앙부분에 세척을 집중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석쇠 불판의 가장자리의 세척이 불완전하여 세척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종래의 석쇠 불판 자동세척장치는 컨베이어와 같은 석쇠 불판의 진출입장치가 구비됨으로써 부피가 매우 크므로 점유공간을 과다하게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종래의 석쇠 불판 자동세척장치는 세척 속도를 제조사에서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세척할 수 없어 경우에 따라서는 간소하게 세척하여도 무방한 세척까지도 정해진 시간동안 세척이 수행됨으로써 세척시간과 노동에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01-0074265호(2001.08.04)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09-0119625호(2009.11.19)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0-0119832호(2010.11.11)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0342352호(2002.06.17)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제20-1994-0007038호(1994.10.13)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제20-1996-0008441호(1996.1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197918호(2000.07.1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240483호(2001.07.1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256096호(2001.11.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270585호(2002.03.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279998호(2002.06.1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316671호(2003.06.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326677호(2003.09.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330275호(2003.10.0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341818호(2004.02.03)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석쇠 불판의 크기와 모양에 상관없이 석쇠 불판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주방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석쇠 불판의 세척을 반자동으로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상태를 육안으로 살피면서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시간과 노동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는, 하측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이 배치된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유닛(400); 상기 구동 유닛(400)의 한쪽에 배치되고 브러시 유닛(500)이 설치되어 회전되는 샤프트(430); 상기 샤프트(430)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브러시 고정 유닛(436);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또는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유닛(400)을 둘러싸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 유닛(400)에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박스 패널(200); 및 상기 박스 패널(200)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 고정 유닛(436)의 한쪽에 배치되며,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500)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플루트 유닛(3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는, 상기 박스 패널(200)에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 유닛(500)의 상측에 세척수를 제공하도록 배치된 노즐(5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루트 유닛(300)에서 집수된 세척수를 회수하도록 된 회수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의 상기 회수 유닛(600)은, 상기 세척수가 담기는 탱크(610); 상기 탱크(610)의 한쪽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620); 상기 탱크(610)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636); 상기 탱크(610)의 내부에서 상측이 개방된 제1 댐(630); 및 상기 탱크(6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댐(630)과 이격되고 하측이 개방된 제2 댐(632);을 포함하여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동안에 상기 세척수에 포함된 찌꺼기 또는 부유물이 상기 제1, 제2 댐(630, 632)의 사이사이에 침전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의 상기 회수 유닛(600)은, 상기 세척수가 담기는 탱크(610); 상기 탱크(610)의 한쪽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620); 상기 탱크(610)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636); 상기 탱크(610)의 내부에서 상측이 개방되게 복수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댐(630); 및 상기 제1 댐(630)의 상단에서 상기 제1 댐(630)과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플랜지(634);를 포함하여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634)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어 상기 세척수에 포함된 찌꺼기 또는 부유물이 상기 제1 댐(630)의 사이사이에 침전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의 상기 회수 유닛(600)은, 복수로 배치되고 어느 하나의 회수 유닛(600)의 배출구(636)가 다른 하나의 회수 유닛(600)의 유입구(620)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는, 상기 구동 유닛(400)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 유닛(400)의 양측에 상기 샤프트(430)와 상기 플루트 유닛(300)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의 상기 플루트 유닛(300)은, 상기 브러시 고정 유닛(436)의 단면을 측면으로 하는 측면도에서 볼 때에 V자 형상으로 제공되어 단부(321)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세척수를 회수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는 브러시가 석쇠 불판에 닿는 부분을 육안으로 살피면서 반자동으로 석쇠 불판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석쇠 불판의 크기와 모양에 상관없이 석쇠 불판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석쇠 불판 세척장치는 반자동으로 구동됨으로써 종래의 석쇠 불판 자동세척장치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점유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이로써 주방의 공간 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석쇠 불판 세척장치는 세척상태를 육안으로 살피면서 세척함으로써 오염의 경중에 따라 세척시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나아가 더욱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알려진 형태의 석쇠 불판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에서 구동유닛과 브러시 유닛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에서 세척수의 회수와 회수 탱크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첨부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에서 구동유닛과 브러시 유닛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10)는 프레임(100)에 베이스 프레임(110)이 마련되고, 그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동 유닛(400)과 브러시 유닛(500)이 설치되는 것이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측에는 공간이 마려될 수 있으며, 그 하측 공간에는 세척수를 회수하도록 하는 회수 유닛(600)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유닛(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 유닛(400)은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에 모터(410)가 설치되고, 모터(410)의 구동축에는 제1 풀리(412)가 구비되며, 벨트와 같은 전동 유닛(420)에 의해 제2 풀리(432)에 전동된다.
제2 풀리(432)는 샤프트(430)에 설치되며, 샤프트(430)는 샤프트 하우징(434)에 의해 지지된다. 샤프트 하우징(434)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프레임(100)의 한쪽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샤프트(430)의 한쪽에는 브러시 고정 유닛(436)이 배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샤프트(430)의 한 쪽에 브러시 유닛(500)이 설치되고 브러시 고정 유닛(436)에 의해 브러시 유닛(500)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브러시 고정 유닛(436)은 너트, 핀, 와셔 등의 기계요소일 수 있다.
브러시 유닛(500)은 소모품으로써 시중에서 판매되는 공산품을 이용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모터(410)의 구동에 의해 브러시 유닛(500)이 회전운동 되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 또는 프레임(100)에는 박스 패널(200)이 구비된다. 박스 패널(200)은 구동 유닛(400)을 둘러싸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써 구동 유닛(400)에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박스 패널(200)의 상측에는 업 패널(210)이 구비될 수 있고, 그 업 패널(210)에는 노즐(510)이 구비될 수 있다. 노즐(510)의 한쪽에는 급수가 배관되고, 급수는 세척수로 이용된다. 세척수는 상술한 브러시 유닛(500)의 상측에서 분사된다.
또한, 업 패널(210)은 석쇠 불판(700)을 얹어 놓을 수 있는 선반으로써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박스 패널(200)과 고정 유닛(436)의 한쪽에 플루트 유닛(300)이 설치된다. 플루트 유닛(300)은 전방이 개방되게 제공되고, 특히 브러시 유닛(500)의 일부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a 참조)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측에 회수 유닛(60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회수 유닛(600)은 플루트 유닛(300)에서 집수된 세척수를 회수하도록 된 것이다.
플루트 유닛(300)의 한쪽에는 버킷 유닛(320)이 형성되어 세척수의 집수를 유용하게 한다. 집수된 세척수는 관체(612)에 의해 회수 유닛(60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회수 탱크의 예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에서 세척수의 회수와 회수 탱크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수 유닛(600)은, 탱크(610)의 한쪽에 유입구(620)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배출구(636)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1 댐(630) 또는 제2 댐(632)이 형성된다.
유입구(620)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이고, 탱크(610)는 세척수가 담기는 것이며, 배출구(636)은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제1 댐(630)은 상측이 개방되게 배치되고, 제2 댐(632)는 하측이 개방되게 배치되며, 제1 댐(630)과 제2 댐(63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제2 댐(630)(632)는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로써 세척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동안에 세척수에 포함된 찌꺼기 또는 부유물이 제1, 제2 댐(630, 632)의 사이사이에 침전되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세척수는 정화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수 유닛(600)은, 탱크(610)의 한쪽에 유입구(620)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배출구(636)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1 댐(630)이 형성되고, 제1 댐(630)의 상측 단부에는 제1 댐(630)과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플랜지(634)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1 댐(630)은 복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세척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634)에 의해 와류가 발생될 수 있고, 그러한 와류는 세척수의 흐름을 지연시켜 세척수에 포함된 찌꺼기 또는 부유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침전되도록 할 수 있다. 찌꺼기 또는 부유물은 제1 댐(630)의 사이사이에 침전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회수 유닛(600)은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회수 유닛(600)의 배출구(636)가 다른 하나의 회수 유닛(600)의 유입구(620)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세척수의 배출 유량이 과다할 경우에는 회수 유닛(600)을 복수로 연달아 배치함으로써 세척수에 포함된 찌꺼기 또는 부유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나아가 좀 더 깨끗하게 정화된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환경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양쪽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쇠 불판 세척장치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유닛(400)을 기준으로 구동 유닛(400)의 양측에 샤프트(430)와 플루트 유닛(3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양쪽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석쇠 불판(700)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석쇠 불판(700)의 세척을 업무로 하는 세척업자 또는 세척 량이 많은 대규모 업소에서는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석쇠 불판 세척장치(10)의 실시예는 2인 1조로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것이지만, 도 2에 나타난 석쇠 불판 세척장치에 비교하여 도 7에 나타낸 석괴 불판 세척장치(10)는 한 사람이 더 설 수 있는 공간만큼 더 커지는 것으로 점유공간이 과대하게 증대되지 않는 것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세척수를 회수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루트 유닛(300)은 브러시 고정 유닛(436)의 단면을 측면으로 하는 측면도에서 볼 때에 V자 형상으로 버킷 유닛(320)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단부(321)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브러시 유닛(500)에서 세척수가 비산되더라도 확장된 형태의 플루트 유닛(300)에 의해 세척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전방으로 플루트 유닛(3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크기는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30cm 내지 60cm의 범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쇠 불판 세척장치는 브러시 유닛(500)은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구동 유닛(400)의 구동에 의해 브러시 유닛(500)이 회전될 때에 석쇠 불판(700)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러시 유닛(500)에 접촉시킴으로서 세척이 진행된다.
특히, 석쇠 불판(700)은 작업자가 직접 들고 육안으로 세척이 진행되는 상황을 살피는 것으로써 세척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이로써 오염의 경중에 따라 세척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오염 정도가 경미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 세척시간을 임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세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아울러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오염 위치가 불특정위치이거나 오염정도가 경중할 때에도 육안으로 살피면서 세척이 실시되는 것으로써 오염부위를 집중하여 세척시간을 탄력적으로 늘려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쇠 불판 세척장치는 세척상태를 육안으로 살피면서 세척함으로써 오염의 경중에 따라 세척시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나아가 더욱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석쇠 불판(700)을 브러시 유닛(500)에 접촉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석쇠 불판의 크기와 모양에 상관없이 세척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소화함으로써 전체적인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종래에 석쇠 불판 자동 세척장치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주방의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는 석쇠 불판을 세척하도록 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100: 프레임 110: 베이스 프레임
200: 박스 패널 210: 업 패널
300: 플루트 유닛 310: 사이드 패널
320: 버킷 유닛
400: 구동 유닛 410: 모터
412: 제1 풀리 420: 전동 유닛
430: 샤프트 432: 제2 풀리
434: 샤프트 하우징 436: 브러시 고정 유닛
500: 브러시 유닛 510: 노즐
600: 회수 유닛 610: 탱크
620: 유입구 630: 제1 댐
632: 제2 댐 634: 플랜지
636: 드레인
700: 석쇠 불판

Claims (8)

  1. 하측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이 배치된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유닛(400);
    상기 구동 유닛(400)의 한쪽에 배치되고 브러시 유닛(500)이 설치되어 회전되는 샤프트(430);
    상기 샤프트(430)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브러시 고정 유닛(436);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또는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유닛(400)을 둘러싸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 유닛(400)에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박스 패널(200); 및
    상기 박스 패널(200)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 고정 유닛(436)의 한쪽에 배치되며,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500)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플루트 유닛(300);
    을 포함하는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패널(200)에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 유닛(500)의 상측에 세척수를 제공하도록 배치된 노즐(510);
    을 더 포함하는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루트 유닛(300)에서 집수된 세척수를 회수하도록 된 회수 유닛(600);
    을 더 포함하는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닛(600)은,
    상기 세척수가 담기는 탱크(610);
    상기 탱크(610)의 한쪽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620);
    상기 탱크(610)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636);
    상기 탱크(610)의 내부에서 상측이 개방된 제1 댐(630); 및
    상기 탱크(6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댐(630)과 이격되고 하측이 개방된 제2 댐(632);을 포함하여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동안에 상기 세척수에 포함된 찌꺼기 또는 부유물이 상기 제1, 제2 댐(630, 632)의 사이사이에 침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닛(600)은,
    상기 세척수가 담기는 탱크(610);
    상기 탱크(610)의 한쪽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620);
    상기 탱크(610)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636);
    상기 탱크(610)의 내부에서 상측이 개방되게 복수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댐(630); 및
    상기 제1 댐(630)의 상단에서 상기 제1 댐(630)과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플랜지(634);를 포함하여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634)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어 상기 세척수에 포함된 찌꺼기 또는 부유물이 상기 제1 댐(630)의 사이사이에 침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6. 제 3항 내지 제5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닛(600)은, 복수로 배치되고 어느 하나의 회수 유닛(600)의 배출구(636)가 다른 하나의 회수 유닛(600)의 유입구(6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400)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 유닛(400)의 양측에 상기 샤프트(430)와 상기 플루트 유닛(30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트 유닛(300)은,
    상기 브러시 고정 유닛(436)의 단면을 측면으로 하는 측면도에서 볼 때에 V자 형상으로 제공되어 단부(321)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세척수를 회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KR1020120018723A 2012-02-23 2012-02-23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KR20130097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23A KR20130097030A (ko) 2012-02-23 2012-02-23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23A KR20130097030A (ko) 2012-02-23 2012-02-23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030A true KR20130097030A (ko) 2013-09-02

Family

ID=4944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723A KR20130097030A (ko) 2012-02-23 2012-02-23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70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15303A1 (en) * 2015-03-23 2019-01-17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product having impregnation member embossed and engraved by melting surface
KR102289757B1 (ko) 2020-04-20 2021-08-18 주식회사 문일티앤에스 석쇠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15303A1 (en) * 2015-03-23 2019-01-17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product having impregnation member embossed and engraved by melting surface
KR102289757B1 (ko) 2020-04-20 2021-08-18 주식회사 문일티앤에스 석쇠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27743B (zh) 水槽式清洗机的箱体结构
CN203447253U (zh) 餐具残渣自动输出装置
KR20130097030A (ko) 반자동 석쇠 불판 세척 장치
CN203028068U (zh) 果蔬清洗机
CN219030823U (zh) 一种加工蔬菜用上料机
JP5480570B2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CN206659059U (zh) 一种旋转式土豆去皮机
CN210100128U (zh) 一种可收集碎料的食品加工用切块装置
CN113575663B (zh) 一种家庭用小型鱼类去鳞装置
CN213645039U (zh) 一种全自动铣刀清洗装置
CN108262305A (zh) 一种台式超声波清洗机
CN104549994A (zh) 食品筛选、清洗机
CN208050493U (zh) 台式超声波清洗机
CN204338213U (zh) 全自动谷物剥皮清洗装置
CN209421873U (zh) 一种生活餐具清洗装置
CN217851250U (zh) 一种蔬菜沥水排渣机
CN205018903U (zh) 一种家用洗米装置
CN214712459U (zh) 一种防堵式洗碗机
CN216662990U (zh) 一种打磨切削液磁力去污物装置
CN107931233A (zh) 一种鬃毛清洗加工设备
CN213468870U (zh) 一种原料米混合装置
KR20090002941A (ko) 친환경 자동 세척 구이판
CN219309471U (zh) 一种pcb板清理干燥装置
CN216688329U (zh) 一种机械加工废金属屑的循环清洗机
CN218191349U (zh) 用于刀具和夹具的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