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971A - 문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문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971A
KR20130096971A KR1020120018607A KR20120018607A KR20130096971A KR 20130096971 A KR20130096971 A KR 20130096971A KR 1020120018607 A KR1020120018607 A KR 1020120018607A KR 20120018607 A KR20120018607 A KR 20120018607A KR 20130096971 A KR20130096971 A KR 20130096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upper plate
base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786B1 (ko
Inventor
전승보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8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78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54Portable devices, e.g. wedges; wedges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05C17/5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comprising a snap, catch,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열린 문이 닫히지 않도록 문을 고정시키기 위한 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 고정 장치는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판, 베이스판의 상부 일측 끝단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체, 및 탄성체가 배치된 영역에서 베이스판과 연결 고정되고, 베이스판과 고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이 탄성체에 의하여 상하 탄성 동작하는 상판을 포함한다. 특히, 상판은 탄성 동작을 통하여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경로를 제공하고, 문이 전부 열렸을 때 문과 맞닿는 영역에 배치되어 문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문 고정 장치는 상판의 상하 동작을 통하여 문을 소음 없이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

Description

문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DOOR}
본 발명은 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닫이 문을 열은 상태에서 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문을 닫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고정된 문을 닫을 수 있는 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닫이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열린 문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문 고정 장치가 시중에 제조 판매되고 있다.
특히, 문 고정 장치에는 크게 말발굽 형상을 닮은 원터치 문 고정 장치와 자석식 문 고정 자치가 있다. 원터치 문 고정 장치는 한 번의 터치로 문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석식 문 고정 장치는 문의 상하부 또는 손잡이 부분에 자석을 구비하여 벽과의 접촉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원터치 문 고정 장치는 한 번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문을 닫는 과정에서 소리가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사무실과 같은 정숙함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또한, 자석식 문 고정 장치는 원터치 문 고정 장치에 비하여 문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문을 열고 닫을 때 사람의 힘이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되는 불편한 점이 있다.
그러므로 문을 열어 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문을 닫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고정된 문을 작은 힘으로도 닫을 수 있는 문 고정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문을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된 문을 작은 힘으로도 닫을 수 있는 문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여닫이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열린 문이 닫히지 않도록 문을 고정시키기 위한 문 고정 장치로서,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일측 끝단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가 배치된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고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이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하 탄성 동작하며, 상기 탄성 동작을 통하여 상기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문이 전부 열렸을 때 상기 문과 맞닿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문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문이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문의 바닥면과 상기 상판의 상부면이 접하며, 상기 상판의 상부면 표면은 상기 문의 바닥면이 미끄러질 수 있도록 테플론(Teflon)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은 상기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위로 기울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문의 바닥면이 상기 상판의 상부면을 접하면서 열릴 때, 상기 상판이 아래 방향으로 탄성 동작하여 상기 문이 열리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구비된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판과 고정된 영역의 반대편 영역의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형성되고, 상기 상판보다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문과 맞닿을 때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문이 열리는 방향의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 고정된 영역의 너비보다 상기 고정부가 구비된 영역의 너비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고정부와 인접한 영역에 상기 상판에 부착된 판 형상의 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발 버튼을 밟는 경우, 상기 상판은 상기 발 버튼과 함께 점점 아래 방향으로 탄성 동작하여 상기 문이 열고 닫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 고정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여닫이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문 고정 장치가 탄성체(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하여 상하로 탄성 동작하는 방식으로 문의 열고 닫히는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문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둘째, 문을 완전히 열고 난 이후에, 문 고정 장치에 구비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에 문이 맞닿음으로써, 문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할 수 있다.
셋째, 고정된 문을 닫기 위하여, 문 고정 장치에 구비된 발 버튼을 가벼운 힘을 사용하여 밟아서 문을 닫을 수 있다.
넷째, 열린 문을 고정하기 위하여 자성이나 물리적인 결합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식의 고정방식이 아니라 문의 열고 닫히는 경로를 제공하고 문이 열고 난 다음 닫히는 경로만 차단하는 방식으로 문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힘이 들지 않고 소음 없이 문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문 고정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 고정 장치에 의하여 문이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 고정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문 고정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 장치(1)는 여닫이문이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열린 문이 닫히지 않도록 문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 장치(1)는 상대적으로 문을 열고 닫는 과정을 용이하고 소음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 장치(1)는 베이스판(10), 탄성체(20), 상판(30), 발 버튼(40) 및 결합수단(50)을 포함한다.
베이스판(10)은 판 형상으로 바닥에 고정된다. 베이스판(10)은 고정수단(15)에 의하여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수단(15)은 접착제, 못, 핫멜트(hot melt)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수단(15)은 바닥의 재질에 따라 접착력 및/또는 접촉도가 다르기 때문에, 바닥의 재질에 따라 고정되는 방식 및 재료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판(10)은 문 고정 장치(1) 전체의 베이스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무거운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베이스판(1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20)는 베이스판(10)의 상부에 부착된다. 탄성체(20)는 베이스판(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20)는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기준으로, 문이 문 고정 장치(1)에 최초 도달하는 영역에 인접한 베이스판(10)에 설치된다.
한편, 탄성체(20)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탄성체(2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판(30)은 베이스판(10)과 일측이 연결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판(30)은 탄성체(20)이 위치한 영역에서 베이스판(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판(30)과 베이스판(10)은 결합수단(5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수단(50)은 일반적인 결합 수단인 볼트와 너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50)을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0)를 관통하면서 상판(30)과 베이스판(10)을 연결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판(30)은 일측이 베이스판(10)과 결합되고, 베이스판(10)과 결합되지 않은 영역은 탄성체(20)에 의하여 상하로 탄성 동작을 한다. 상판(30)의 상하 탄성 동작에 의하여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경로를 제공한다. 한편, 문의 바닥면과 상판(30)의 상부면이 쉽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판(30)의 상부면은 테플론(Teflon) 코팅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상판(30)의 상부면은 문의 바닥면이 미끄러질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 테플론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판(30)은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판(30)은 베이스판(10)과 결합된 영역에서 결합되지 않은 영역 방향으로 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이 열리고 닫힐 때, 문의 바닥면이 상판(30)의 상부면에 접하면서 열리게 되며, 이 때 상판(30)이 문의 바닥면과 접하면서 아래 방향으로 점점 기울어지게 되어 문이 열리는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여닫이문을 여는 경우, 상판(30)의 상하 탄성 동작 및 상부면의 코팅에 의하여 문을 쉽게 열 수 있으며, 추가적인 힘을 가할 필요가 없으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판(30)은 문이 전부 열렸을 때 문과 맞닿는 영역에 배치되어 문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35)는 베이스판(10)과 연결 고정된 영역의 반대 영역에 대응하는 상판(3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형성된다. 즉, 고정부(35)는 문이 문 고정 장치(1)를 거의 다 통과한 영역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고정부(35)는 문이 문 고정 장치(1)를 완전 통과한 이후에 상판(30)에 접하는 면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35)는 고무,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문이 완전히 열린 경우, 즉 문이 문 고정 장치(1)를 통과한 이후에 문 고정 장치(1)에 접하는 경우에 고정부(35)가 문이 상판(3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문이 상판(30)에 접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발 버튼(40)은 사용자가 발로 밟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판 형상이나 프레임(frame)만 존재하는 골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 버튼(40)은 상판(30)의 고정부(35)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 버튼(40)은 상판(30)의 상하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판(30)이 베이스판(10)과 연결 고정된 영역이 아니라 반대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 버튼(40)을 밟는 경우에 상판(30)은 발 버튼(40)과 함께 점점 아래 방향으로 탄성 동작하여 문이 열고 닫히는 경로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열려서 고정된 문을 닫으려고 하는 경우에, 발 버튼(40)을 밟고 문을 닫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문이 문 고정 장치(1) 상을 완전히 통과할 때까지 발 버튼(40)을 밟고 있을 수 있고, 문이 상판(30) 상에 있을 때 발 버튼(40)에서 발을 때고 문이 상판(30)의 상부면과 접한 상태에서 닫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문 고정 장치(1)는 사용자가 문을 열고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문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힘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문 고정 장치(1)는 사용자가 발 버튼을 이용하여 소음 없이 쉽게 문을 닫을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 고정 장치는 발 버튼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상판(60)이 베이스판(10)과 연결되는 영역의 너비에 비하여 연결되지 않은 영역의 너비가 더 크도록 'T'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판(60)은 문이 열리는 방향의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판(10)과 연결 고정된 영역의 너비보다 고정부(65)가 구비된 영역의 너비가 더 크게 형성된다.
고정부(65)는 상판(60)의 너비가 넓은 영역을 둘러싸면서 형성된다. 이 때, 고정부(65)는 상판(60)의 위 영역을 전부 둘러싸도록 형성될 필요는 없고, 문이 열린 후에 접하는 상판(60)의 측면을 커버할 만큼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 넓은 영역의 상판(60)을 밟은 후에, 문이 열려서 고정된 문을 닫을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 고정 장치에 의하여 문이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 고정 장치(1)를 통하여 문(2)이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힘을 들이지 않고 문(2)이 문 고정 장치(1)의 상판(30)과 접하면서, 문 고정 장치(1)를 통과한다.
이 때 문 고정 장치(1)의 베이스판(10)은 문(2)의 두께에 대응되는 만큼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다. 만일, 문(2)에 손잡이가 있는 경우에는, 문 고정 장치(1)의 베이스판(10)은 문(2)의 두께와 문(2)에 구비된 손잡이의 크기를 합한 거리만큼 문(2)이 닫히는 방향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문(2)이 문 고정 장치(1)를 완전 통과한 후에 문 고정 장치(1)에 의하여 닫힐 수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문 고정 장치(1)는 문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위치한다. 예를 들어, 문 고정 장치(1)는 발 버튼(40)이 문이 이동하는 경로 외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발 버튼(40)이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경로에 위치할 경우에는 발 버튼(40)을 밟아서 문을 닫기에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 고정 장치(1)의 발 버튼(40)을 밟아서 문을 소음 없이 쉽게 닫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 고정 장치(1)는 탄성 동작을 수행하는 상판(30)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35)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음 없이 용이하게 문을 열어 고정시키거나 닫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문 고정 장치 10 : 베이스판
20 : 탄성체 30, 60 : 상판
35, 65 : 고정부 40 : 발 버튼

Claims (6)

  1. 여닫이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열린 문이 닫히지 않도록 문을 고정시키기 위한 문 고정 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가 배치된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고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이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하 탄성 동작하며, 상기 탄성 동작을 통하여 상기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문이 전부 열렸을 때 상기 문과 맞닿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문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한 상판을 포함하는 문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문이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문의 바닥면과 상기 상판의 상부면이 접하며,
    상기 상판의 상부면 표면은 상기 문의 바닥면이 미끄러질 수 있도록 테플론(Teflon)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위로 기울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문의 바닥면이 상기 상판의 상부면을 접하면서 열릴 때, 상기 상판이 아래 방향으로 탄성 동작하여 상기 문이 열리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구비된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판과 고정된 영역의 반대편 영역의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형성되고, 상기 상판보다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문과 맞닿을 때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문이 열리는 방향의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 고정된 영역의 너비보다 상기 고정부가 구비된 영역의 너비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고정부와 인접한 영역에 상기 상판에 부착된 판 형상의 발 버튼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발 버튼을 밟는 경우, 상기 상판은 상기 발 버튼과 함께 점점 아래 방향으로 탄성 동작하여 상기 문이 열고 닫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고정 장치.
KR1020120018607A 2012-02-23 2012-02-23 문 고정 장치 KR101368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607A KR101368786B1 (ko) 2012-02-23 2012-02-23 문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607A KR101368786B1 (ko) 2012-02-23 2012-02-23 문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971A true KR20130096971A (ko) 2013-09-02
KR101368786B1 KR101368786B1 (ko) 2014-03-03

Family

ID=4944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607A KR101368786B1 (ko) 2012-02-23 2012-02-23 문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1316A (zh) * 2014-11-29 2015-04-01 重庆欧帆门业有限公司 门体定位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1719A (en) * 1993-02-22 1994-07-26 Hum Tom P Door stop
JPH11125052A (ja) * 1997-10-21 1999-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ドアストッパー
US8118336B2 (en) * 2008-06-08 2012-02-21 Fritz Daniel W Door stop
KR20090003305U (ko) * 2009-03-20 2009-04-08 최리나 문 닫힘 방지용 스토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1316A (zh) * 2014-11-29 2015-04-01 重庆欧帆门业有限公司 门体定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786B1 (ko) 201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6789B2 (en) Access door with integrated switch actuator
RU2540766C1 (ru) Устройство с дверной ручкой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TWI643539B (zh) 具有免工具開啟裝置的主機殼
JP2014500076A5 (ko)
US905567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oldable cover
US20190090696A1 (en) Plumbing fixture cover
KR101368786B1 (ko) 문 고정 장치
TW201337919A (zh) 硬碟固定裝置
FR2825354B1 (fr) Dispositif pour exercer une poussee sur une porte ou toute autre surface plane verticale
US20150211268A1 (en) Spring Operated Doorstop with Foot Release
TW201741537A (zh) 傢俱鉸鏈及其阻尼裝置
TW201328469A (zh) 具有存物功能之筆記型電腦
KR100456819B1 (ko) 천정점검구
TWI507845B (zh) 電子裝置的扣門結構
CN205445252U (zh) 家具阻尼器
TW201513775A (zh) 承載裝置與其自鎖結構
US10360878B2 (en) Topboard support device for grand piano
JP2006328796A (ja) 取っ手
JP2015125848A (ja) 操作具カバー
KR101183470B1 (ko) 복귀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스토퍼
US20100039754A1 (en) Sliding structure for use in electronic device
JP7154964B2 (ja) 緩衝具
KR20150003577U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경첩
CN107093239B (zh) 一种指纹读头盖装置及使用其的指纹锁
KR101033185B1 (ko) 슬라이딩 덮개가 구비된 교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