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964A -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964A
KR20130096964A KR1020120018599A KR20120018599A KR20130096964A KR 20130096964 A KR20130096964 A KR 20130096964A KR 1020120018599 A KR1020120018599 A KR 1020120018599A KR 20120018599 A KR20120018599 A KR 20120018599A KR 20130096964 A KR20130096964 A KR 20130096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vaporator
capillary tube
distribution device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0246B1 (ko
Inventor
배정욱
이성섭
김동석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246B1/ko
Priority to US13/749,484 priority patent/US20130186129A1/en
Publication of KR20130096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85Dispositions with two or more expansion means arranged in parallel on a refrigerant line leading to the sam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7Flow-diver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1Evaporator distribut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1증발기, 제2증발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상기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로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에서 분배된 냉매를 상기 제1증발기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의 제1냉매유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에서 분배된 냉매를 상기 제2증발기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냉매유로; 및 상기 제1냉매유로 및 제2냉매유로 상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캐필러리 튜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A refrigerator and the method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내부 온도가 실내 온도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음식물이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장시간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각 시스템을 갖춘다. 상기 냉각 시스템에서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응축기에서 응축되고, 응축된 냉매는 팽창장치를 통과하여 증발기로 공급된다.
이러한 통상의 냉장고는,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어, 고내의 온도 또는 외기 온도 등의 구동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냉각 부하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냉각 부하에 따라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1증발기, 제2증발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상기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로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에서 분배된 냉매를 상기 제1증발기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의 제1냉매유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에서 분배된 냉매를 상기 제2증발기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냉매유로; 및 상기 제1냉매유로 및 제2냉매유로 상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캐필러리 튜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제1증발기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의 제1냉매유로와 제2증발기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냉매유로를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냉매유로들에는 각각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캐필러리 튜브가 구비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로 냉매가 공급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를 제어하는 (a)단계; 냉각 부하를 감지하는 (b)단계; 및 상기 (b)단계에서 감지된 부하량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냉매유로가 선택적으로 단속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를 제어하는 (c)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은 복수개의 증발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냉각 부하 변화에 대해서 보다 세밀하게 대응하고, 그에 따라 향상된 에너지 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와,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와,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1증발기(5), 제2증발기(8)와, 응축기(2)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제1증발기(5) 및 제2증발기(8) 중 적어도 하나로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5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에서 분배된 냉매를 제1증발기(5)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의 제1냉매유로(15, 16)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에서 분배된 냉매를 제2증발기(8)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냉매유로(6, 7)와, 상기 제1냉매유로 및 제2냉매유로 상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캐필러리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는, 응축기(2)에서 응축된 냉매를 제1냉매유로(15, 16) 및 제2냉매유로(22, 23) 중 적어도 하나로 이송될 수 있도록 분배하는 제1분배장치(51)와, 제1분배장치(51)에 의해 분배된 냉매를 복수의 제1냉매유로(15, 16) 중 적어도 하나로 분배하는 제2분배장치(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배장치(51)는 응축기(2)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제1분배유로(14) 및/또는 제2분배유로(17)로 분배할 수 있다. 제1분배장치(51)는 3방밸브(3-way valve)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3방밸브란 출입구가 3개인 밸브를 의미한다. 제1분배장치(51)는 적절한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분배장치(51) 제어를 통해 제1분배유로(14) 및 제2분배유로(17) 중 어느 것으로 냉매가 분배되는지는 냉각 부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냉각 부하란 냉장고의 작동환경에 따라 요구되는 냉각능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냉각 부하에 따라서는 제1증발기(5) 또는 제2증발기(8) 중 어느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증발기(5) 및 제2증발기(8) 모두로 냉매가 공급되어야 할 필요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5)에 의해 제어를 받는 제1분배장치(51)는, 제1분배유로(14) 만을 단독으로 개방시키는 제1분배유로 단독 개방모드(이하, '제1모드'라고 함.), 제2분배유로(17)만을 단독으로 개방시키는 제2분배유로 단독 개방모드(이하, '제2모드'라고 함.) 및 제1분배유로(14)와 제2분배유로(17)를 동시에 개방하는 제1,2분배유로 동시 개방모드(이하, '제3모드'라고 함.) 중의 어느 하나로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분배장치(51)는 제1모드, 제2모드 및 제3모드로 제공되는 3가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특히, 제1증발기(5)와 제2증발기(8)의 용량이 다른 경우 실익이 있다.
제1증발기(5)의 용량은 제2증발기(8)의 용량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제2분배장치(52)에 의해 제1증발기(5)로 공급되는 냉매량을 조절함으로써, 부하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최적화하고, 다양한 패턴의 냉각 구동이 가능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제1증발기(5)와 제2증발기(8)의 용량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반드시 구분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 제1분배장치(51)는 제1분배유로(14) 또는 제2분배유로(17)만이 개방되는 단독 개방모드와, 제1,2분배유로 동시 개방모드로 제공되는 2가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만 제어되어도 족하다.
제2분배장치(52)는 제1분배장치(51)에 의해 분배된 냉매를 다시 복수의 제1냉매유로들(15, 16)로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것이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냉매유로, 즉 제1냉매유로(15)와 제1냉매유로(16)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분배장치(52)는 응축기(2)에서 응축된 냉매를 제1냉매유로(15) 및/또는 제1냉매유로(16)로 분배하는 장치로서 3방밸브(3-wa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2분배장치(52)는 적절한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냉매유로들(15, 16) 상에는 각각 1캐필러리 튜브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냉매유로(15) 상에는 제1캐필러리 튜브(3)가 구비되고, 제1냉매유로(16) 상에는 제2캐필러리 튜브(4)가 구비되었다.
이하, 이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제1냉매유로(15)와 제1냉매유로(16)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제1냉매유로(15)는 제1캐필러리 튜브(3)를 통과하며 팽창된 냉매를 제1증발기(5)로 공급하는 유로이므로 제1팽창냉매공급유로(15)라고 하고, 마찬가지로, 제1냉매유로(16)는 제2팽창냉매공급유로(16)라고 칭함으로써 명칭을 구분한다.
제1팽창냉매공급유로(15) 및 제2팽창냉매공급유로(16)는 각각 제1증발기 입구측 냉매유로(25)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1증발기(5)에 대응하여 복수의 캐필러리 튜브(3, 4)가 구비되고, 제2분배장치(52)에 의해 각각의 캐필러리 튜브로의 냉매 유입이 조절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증발기(5)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이 조절된다.
보다 상세하게, 냉장고의 운전 조건, 특히 냉각 부하에 따라 제2분배장치(52)의 작동모드가 제어될 수 있고, 각각의 작동모드에 대응하여 제1팽창냉매공급유로(15) 및/또는 제2팽창냉매공급유로(16)를 따라 제1증발기(5)로 공급되는 냉매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제1증발기(5)를 통과하며 증발된 냉매는 제1증발기 냉매 토출유로(20) 및 증발기-압축기 연결 냉매유로(28)를따라 압축기(1)로 공급되고, 다시 압축기(1)에 의해 압축된 후 압축기-응축기 연결 냉매유로(12)를 따라 응축기(2)로 공급된다.
제1증발기 냉매 토출유로(20) 상에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2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2증발기(8)로 냉매를 공급하는 제2냉매유로는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제2냉매유로를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는 제3분배장치(5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분배장치(53)는 제1분배장치(51)에 의해 분배된 냉매가 복수의 제2냉매유로(22, 23) 중 적어도 하나로 이송될 수 있도록 분배한다. 제3분배장치(53) 역시 전술한 제1분배장치(51)와 마찬가지로 냉각 부하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제2증발기(8)를 통과하며 증발된 냉매는 제2증발기 냉매 토출유로(27) 및 증발기-압축기 연결 냉매유로(28)를 따라 압축기(1)로 공급되고, 다시 압축기(1)에 의해 압축된 후 압축기-응축기 연결 냉매유로(12)를 따라 응축기(2)로 공급된다.
제2냉매유로들(22, 23) 상에는 각각 캐필러리 튜브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냉매유로(22) 상에는 제3캐필러리 튜브(6)가 구비되고, 제2냉매유로(23) 상에는 제4캐필러리 튜브(7)가 구비되었다.
이하, 이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제2냉매유로(22)와 제2냉매유로(23)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제2냉매유로(22)는 제3캐필러리 튜브(6)를 통과하며 팽창된 냉매를 제2증발기(8)로 공급하는 유로로써, 제3팽창냉매공급유로(22)라고 하고, 마찬가지로, 제2냉매유로(23)는 제4팽창냉매공급유로(23)라고 칭함으로써 명칭을 구분하기로 한다.
제1분배장치(51), 제2분배장치(52) 및 제3분배장치(53)의 모드를 제어하는 다양한 조합이 있을 수 있으며, 제1분배장치(51)의 모드 제어와 함께 이들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제1분배장치 제2분배장치 제3분배장치
제1모드
제1모드
제2모드
제3모드
제2모드 제1모드
제2모드
제3모드
제3모드 제1모드 제1모드
제2모드
제3모드
제2모드 제1모드
제2모드
제3모드
제3모드 제1모드
제2모드
제3모드
표 1에서의 각 명칭들은 다음과 같다.
제1분배장치(51)의 제1모드는 제1분배유로(14) 단독 개방모드이고, 제2모드는 제2분배유로(17) 단독 개방모드이고, 제3모드는 제1분배유로(14) 및 제2분배유로(17) 동시 개방모드이다.
제2분배장치(52)의 제1모드는 제1팽창냉매공급유로(15) 단독 개방모드이고, 제2모드는 제2팽창냉매공급유로(16) 단독 개방모드이고, 제3모드는 제1팽창냉매공급유로(15) 및 제2팽창냉매공급유로(16) 동시 개방모드이다.
제3분배장치(53)의 제1모드는 제3팽창냉매공급유로(22) 단독 개방모드이고, 제2모드는 제4팽창냉매공급유로(23) 단독 개방모드이고, 제3모드는 제3팽창냉매공급유로(22) 및 제4팽창냉매공급유로(23) 동시 개방모드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표 1에 기재된 모드 조합들 모두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1분배장치(51), 제2분배장치(52) 및 제3분배장치(53)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분배장치(51)는 단독 개방모드(제1모드 또는 제2모드)와 동시 개방모드(제3모드)로 제공되는 두 가지 모드 중에서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분배장치(52)는 단독 개방모드(제1모드 또는 제2모드)와 동시 개방모드(제3모드) 중에서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분배장치(53)는 단독 개방모드(제1모드 또는 제2모드)와 동시 개방모드(제3모드) 중에서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제어 방식은 제1캐필러리 튜브(3)와 제2캐필러리 튜브(4)가 동일한 내경을 갖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실시예에 따라 제2분배장치(52)는 제3모드는 제외하고, 제1모드 또는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분배장치(53)는 제3모드는 제외하고, 제1모드 또는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제어 방식은 제1캐필러리 튜브(3)와 제2캐필러리 튜브(4)가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경우, 또는 제3캐필러리 튜브(6)와 제4캐필러리 튜브(7)가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각 부하에 따라 응축기(2)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복수의 제1냉매유로(15, 16) 및 적어도 하나의 제2냉매유로(22)로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제4분배장치(54)를 포함한다.
제4분배장치(54)는 제1냉매유로(15, 16) 또는 제2냉매유로(22)와 연결된 3개 이상의 냉매 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일례로 4방밸브(4-way valve)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4방밸브는 출입구가 4개인 밸브를 의미한다.
제4분배장치(54)는 제1팽창냉매공급유로(15), 제2팽창냉매공급유로(16) 및 제3팽창냉매공급유로(22)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4분배장치(54)의 출구들이 동시에 2개 이상이 개방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제1팽창냉매공급유로(15), 제2팽창냉매공급유로(16) 및 제3팽창냉매공급유로(22)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모드 조합들이 가능하다. 특히, 이 경우는 제1캐필러리 튜브(3)와 제2캐필러리 튜브(4)의 내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 실익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캐필러리 튜브(3)와 제2캐필러리 튜브(4)의 내경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제1팽창냉매공급유로(15) 단독 개방모드와 제2팽창냉매공급유로(16) 단독 개방모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증발기(5)와 제2증발기(8)의 용량이 서로 다를 수 있고, 특히, 제1증발기(5)의 용량이 더 큰 경우, 제2분배장치(52)에 의해 제1증발기(5)로 공급되는 냉매량을 조절함으로써, 부하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최적화하고, 다양한 패턴의 냉각 구동이 가능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분배장치들(51 내지 54)은 냉각 부하에 따라 모드가 제어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냉각 부하를 감지하는 방법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분배장치'는 전술한 분배장치들(51 내지 54) 중의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명세서 전체에 걸쳐 설명되는 여러 실시예들에서 냉장고는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32) 및/또는 냉장고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온도센서(32)는 냉각 대상이 저장되는 저장실(미도시)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이고, 제2온도센서(33)는 냉장고의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5)는 제1온도센서(32)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의 온도를 바탕으로 냉각 부하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 부하는 제1온도센서(32)를 통해 감지된 온도값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르게는, 제어부(35)는 제1온도센서(32)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의 온도를 기 설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기준온도와 비교함으로써 냉각 부하를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저장실 내의 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제1설정온도에 이르면 분배장치를 다른 모드로 제어하고, 추후 다시 저장실 내의 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제2설정온도에 이르면 분배장치를 또 다른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냉장고는 사용자로부터 저장실의 온도 조절을 위한 조작을 입력 받는 온도설정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설정온도들은 온도설정부(31)를 통해 입력된 값들을 바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어부(35)는 제2온도센서(33)를 통해 감지된 외기 온도를 바탕으로 냉각 부하를 추정하고, 그에 따라 분배장치의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배장치는 외기의 온도가 높은 순으로 차례로, 제1증발기(5) 및/또는 제2증발기(8)로 공급되는 냉매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제어부(35)는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미도시)의 개방 빈도를 바탕으로 냉각 부하를 추정하고, 그에 따라 분배장치의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에 도어가 개방된 횟수가 많을수록 냉각 부하가 큰 것으로 추정하고, 그에 따라 더 많은 양의 냉매가 증발기(5)로 공급될 수 있도록 분배장치의 모드 제어가 가능하다. 냉장고는 도어의 여닫음을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실이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분되는 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동시에 운전시키거나, 냉동실만을 운전시키는 모드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에서 냉동실과 냉장실의 동시 운전은 냉동실 단독 운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부하 조건을 충족하도록 모드가 설정 또는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1증발기, 제2증발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상기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로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에서 분배된 냉매를 상기 제1증발기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의 제1냉매유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에서 분배된 냉매를 상기 제2증발기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냉매유로; 및
    상기 제1냉매유로 및 제2냉매유로 상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캐필러리 튜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상기 제1냉매유로 및 제2냉매유로 중 적어도 하나로 이송될 수 있도록 분배하는 제1분배장치; 및
    상기 제1분배장치에 의해 분배된 냉매가 상기 복수의 제1냉매유로 중 적어도 하나로 이송될 수 있도록 분배하는 제2분배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배장치는,
    냉각 부하에 따라, 상기 제1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이 가변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냉매유로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필러리 튜브는,
    상기 복수의 제1냉매유로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캐필러리 튜브; 및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캐필러리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캐필리러 튜브와 제2캐필러리 튜브의 내경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필러리 튜브는,
    상기 복수의 제1냉매유로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캐필러리 튜브; 및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캐필러리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캐필리러 튜브와 제2캐필러리 튜브의 내경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 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매유로는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제1분배장치에 의해 분배된 냉매가 상기 복수의 제2냉매유로 중 적어도 하나로 이송될 수 있도록 분배하는 제3분배장치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분배장치는,
    냉각 부하에 따라, 상기 제3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이 가변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2냉매유로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필러리 튜브는,
    상기 복수의 제2냉매유로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3캐필러리 튜브; 및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4캐필러리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3캐필리러 튜브와 제4캐필러리 튜브의 내경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필러리 튜브는,
    상기 복수의 제2냉매유로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3캐필러리 튜브; 및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4캐필러리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3캐필리러 튜브와 제4캐필러리 튜브의 내경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배장치, 제2분배장치 및 제3분배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3방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는,
    냉각 부하에 따라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상기 복수의 제1냉매유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냉매유로로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분배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상기 복수의 제1냉매유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냉매유로로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분배장치는,
    상기 제1냉매유로 또는 제2냉매유로와 연결된 3개 이상의 냉매 출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상기 복수의 제1냉매유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냉매유로로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분배장치는,
    4방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2 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는 제2증발기보다 용량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증발기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의 제1냉매유로와 제2증발기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냉매유로를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냉매유로들에는 각각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캐필러리 튜브가 구비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로 냉매가 공급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를 제어하는 (a)단계;
    냉각 부하를 감지하는 (b)단계; 및
    상기 (b)단계에서 감지된 부하량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냉매유로가 선택적으로 단속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장치를 제어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상기 제1냉매유로 및 제2냉매유로 중 적어도 하나로 이송될 수 있도록 분배하는 제1분배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분배장치에 의해 분배된 냉매가 상기 복수의 제1냉매유로 중 적어도 하나로 이송될 수 있도록 분배하는 제2분배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감지된 부하량에 따라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상기 복수의 제1냉매유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냉매유로로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분배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의 부하량은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바탕으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의 냉각 부하는,
    외기 온도를 바탕으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120018599A 2012-01-25 2012-02-23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KR101940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599A KR101940246B1 (ko) 2012-02-23 2012-02-23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US13/749,484 US20130186129A1 (en) 2012-01-25 2013-01-24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599A KR101940246B1 (ko) 2012-02-23 2012-02-23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964A true KR20130096964A (ko) 2013-09-02
KR101940246B1 KR101940246B1 (ko) 2019-04-11

Family

ID=4944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599A KR101940246B1 (ko) 2012-01-25 2012-02-23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2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1220B2 (en) 2013-09-05 2017-12-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US9933188B2 (en) 2013-08-06 2018-04-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937A (ja) * 1993-12-07 1995-06-23 Sharp Corp 自動販売機
JP2001263902A (ja) 2000-03-21 2001-09-26 Toshiba Corp 冷蔵庫
US20050198978A1 (en) * 2004-03-15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ing machine
JP2007292458A (ja) * 2007-08-08 2007-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の制御装置
KR20100045197A (ko) * 2008-10-23 2010-05-03 김영길 김치냉장고의 모세관 가변식 냉동/냉장 시스템
KR20100104243A (ko) * 2009-03-17 2010-09-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복합형 김치냉장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937A (ja) * 1993-12-07 1995-06-23 Sharp Corp 自動販売機
JP2001263902A (ja) 2000-03-21 2001-09-26 Toshiba Corp 冷蔵庫
US20050198978A1 (en) * 2004-03-15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ing machine
JP2007292458A (ja) * 2007-08-08 2007-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の制御装置
KR20100045197A (ko) * 2008-10-23 2010-05-03 김영길 김치냉장고의 모세관 가변식 냉동/냉장 시스템
KR20100104243A (ko) * 2009-03-17 2010-09-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복합형 김치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3188B2 (en) 2013-08-06 2018-04-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41220B2 (en) 2013-09-05 2017-12-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246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86129A1 (en) Refrigerator
KR100661663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0472155C (zh) 电冰箱及其控制方法
US10082330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US9933188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023981A1 (en) Refrigera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140711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WO2008111162A1 (ja) 冷却貯蔵庫及びその運転方法
KR20160011001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712483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WO2020015407A1 (zh) 一种具有深冷功能的双系统风冷冰箱及其制冷控制方法
US9857103B2 (en) Refrigerator having a condensation loop between a receiver and an evaporator
KR102144486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370565B1 (ko) 냉장고
KR102033934B1 (ko) 냉장고
KR100726456B1 (ko) 냉장고
EP3499157B1 (en) Refrigerator
KR101940246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AU2014411607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flow rate of refrigerant
KR102153056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237596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6963A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KR102144467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4001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74375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4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6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0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