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742A - 비디오 콘텐츠의 출력 - Google Patents

비디오 콘텐츠의 출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742A
KR20130096742A KR1020137010702A KR20137010702A KR20130096742A KR 20130096742 A KR20130096742 A KR 20130096742A KR 1020137010702 A KR1020137010702 A KR 1020137010702A KR 20137010702 A KR20137010702 A KR 20137010702A KR 20130096742 A KR20130096742 A KR 20130096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y
identifier
zoom level
video cont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4955B1 (ko
Inventor
트라이패틴더 차우드리
Original Assignee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3009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데 유효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기술이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일부 예시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는 제1 식별자 및 제1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데에 유효할 수 있다. 장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할당된 제1 줌 레벨을 포함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줌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은 제1 식별자 또는 제1 카테고리에 기초할 수 있다. 장치는 줌 선택을 메모리 내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제2 식별자 및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장치는 메모리를 분석하여 제1 줌 레벨 및 제1 식별자 또는 제1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줌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장치는 제2 비디오 콘텐츠를 제2 줌 레벨에서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콘텐츠의 출력{OUTPUT OF VIDEO CONTENT}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다면, 본 섹션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출원에서 청구항에 대한 선행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포함함으로써 선행기술로 인정되는 것이 아니다.
비디오 정보, 전자 책, 인터넷 간행물,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출력물,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는 데에 유효한 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비디오 콘텐츠(video content)는 상이한 콘텐츠 출력 장치들에 의해서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는 컴퓨터, 모바일 전화, 스마트 폰, 슈퍼 폰(super phone), 증강 현실 장치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콘텐츠 출력 장치들은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변동(wave)을 만들어 낸다.
일 예시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이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방법은 콘텐츠 출력 장치에서 제1 식별자(identifier) 및 제1 카테고리(category)를 포함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콘텐츠 출력 장치에서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줌 선택(zoom selection)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줌 선택은 제1 비디오 콘텐츠에 할당된 제1 줌 레벨(zoom leve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줌 레벨은 제1 식별자 또는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할 수 있다. 방법은 메모리 내에 줌 선택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콘텐츠 출력 장치에서 제2 식별자 및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콘텐츠 출력 장치에 의하여 메모리를 분석하여, 제1 줌 레벨에 기초하고 제1 식별자 또는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줌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제2 줌 레벨에서 제2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데에 유효한 콘텐츠 출력 장치가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일부 예시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와 통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식별자 및 제1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데에 유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줌 선택을 수신하는 데에 유효할 수 있다. 줌 선택은 제1 비디오 콘텐츠에 할당된 제1 줌 레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줌 레벨은 제1 식별자 또는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줌 선택을 메모리 내에 저장하는 데 유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식별자 및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하는 데에 유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를 분석하여, 제1 줌 레벨에 기초하고 제1 식별자 또는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줌 레벨을 결정하는 데에 유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제2 비디오 콘텐츠를 제2 줌 레벨에서 출력하는 데에 유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면, 컴퓨터가 비디오 콘텐츠를 콘텐츠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가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일부 예시에서, 방법은 콘텐츠 출력 장치에서 제1 식별자 및 제1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콘텐츠 출력 장치에서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줌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줌 선택은 제1 비디오 콘텐츠에 할당된 제1 줌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줌 레벨은 제1 식별자 또는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할 수 있다. 방법은 줌 선택을 메모리 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콘텐츠 출력 장치에서 제2 식별자 및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콘텐츠 출력 장치에 의하여 메모리를 분석하여, 제1 줌 레벨에 기초하고 제1 식별자 또는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줌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제2 줌 레벨에서 제2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요약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어떤 방식으로든 제한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태양, 실시예 및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의 태양, 실시예 및 특징들이 도면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분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일부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2는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하며;
도 4는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모두 여기에서 설명된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여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유사한 부호는, 문맥에서 다른 지시가 없다면,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항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제한하는 것으로 의미되지 않는다. 여기에 제시된 대상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다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태양들이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배열, 대체, 조합, 분리, 및 설계될 수 있음과, 이 모두가 여기에서 명확히 고려됨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는, 그 중에서도,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방법, 기기, 시스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련된다.
간단히 말하자면,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데에 유효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기술이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일부 예시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는 제1 식별자 및 제1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데에 유효할 수 있다. 장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할당된 제1 줌 레벨을 포함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줌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줌 선택은 제1 식별자 또는 제1 카테고리에 기초할 수 있다. 장치는 줌 선택을 메모리 내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제2 식별자 및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장치는 메모리를 분석하여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줌 레벨을 제1 줌 레벨 및 제1 식별자나 제1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장치는 제2 비디오 콘텐츠를 제2 줌 레벨에서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여기에서 설명된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된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일부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시스템(100)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122)를 통하여 통신하는 비디오 콘텐츠 프로세서(128) 및/또는 콘텐츠 출력 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110)는 스마트 폰 또는 슈퍼 폰과 같은 모바일 전화(104), 컴퓨터(106), 태블릿 컴퓨터(108) 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프로세서가 있는 임의의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콘텐츠 출력 장치(110)는 안테나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nterface)(112), 디스플레이(116), 메모리(118)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두 프로세서(114)와 통신한다. 일 예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46)는 사용자가 예컨대, 핀치 (pinch) 및/또는 릴리즈(release) 동작에 의하여 비디오 콘텐츠의 줌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touch screen interface)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는 예컨대 기지국(cell tower)(120), 위성(138) 또는 케이블(136)을 통한 네트워크(122)로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8)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줌 레벨 알고리즘(134), 비디오 콘텐츠(130) 및 연관된 카테고리(132) 및/또는 줌 테이블(148)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비디오 콘텐츠 프로세서(128)는 메모리(124)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124)는 비디오 콘텐츠(130) 및/또는 연관된 카테고리(132)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 프로세서(128)는 비디오 콘텐츠(130)를 콘텐츠 출력 장치(110)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130)를 메모리(124)에 저장한 콘텐츠 저작자에 의하여 비디오 콘텐츠(130)가 카테고리에 할당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비디오 콘텐츠 프로세서(128)는 비디오 콘텐츠(130)를 웹 페이지(web page)의 형태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웹 서버일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카테고리(132)는 콘텐츠 저작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페이지 상의 콘텐츠의 양에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비디오 콘텐츠 프로세서(128)는 모바일 전화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장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app)" 스토어를 호스트(host)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콘텐츠(130)는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의 출력일 수 있으며 카테고리(132)는 일 생산성(work productivity), 게임,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비디오 콘텐츠(130)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프로세서(114)는 어플리케이션 런쳐(launcher)로 역할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110)는 제1 비디오 콘텐츠(130)에 대한 사용자(102)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출력 장치(110)는 요청(140)을 네트워크(122)를 통하여 비디오 콘텐츠 프로세서(128)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 프로세서(128)는 요청(140)에 기초하여 쿼리(query)(160)를 메모리(124)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쿼리(160)에 응답하여, 메모리(124)는 비디오 콘텐츠(130) 및 연관된 카테고리(132)를 비디오 콘텐츠 프로세서(128)에 송신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 프로세서(128)는 비디오 콘텐츠(130) 및 카테고리(132)를 콘텐츠 출력 장치(11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비디오 콘텐츠(130)는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의 출력 또는 웹 페이지일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줌 선택(126)을 사용자(102)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줌 선택(126)은 제1 비디오 콘텐츠(130)에 대하여 희망하는(desired) 줌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줌 선택(126)은, 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46) 상에서 핀치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줌 선택(126)은 줌 레벨을 특정 카테고리와 연관된 비디오 콘텐츠에 할당할 수 있다. 줌 레벨 알고리즘(134)은 제1 비디오 콘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를 가지는, 콘텐츠 출력 장치(110)에 의해 후속적으로 수신된 제2 비디오 콘텐츠에 제1 비디오 콘텐츠와 동일한 줌 레벨이 할당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줌 선택(126)은 줌 레벨을 제1 비디오 콘텐츠와 연관된 식별자에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식별자는 "XYZ 앱"일 수 있다. 줌 레벨 알고리즘(134)은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는, 콘텐츠 출력 장치(110)에 의해 후속적으로 수신된 제2 비디오 콘텐츠에 제1 비디오 콘텐츠와 동일한 줌 레벨이 할당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출력 장치(110)의 프로세서(114)는 디스플레이(116)를 제어하여 비디오 콘텐츠(130)를 줌 레벨 알고리즘(134)에 의해 할당된 줌 레벨에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줌 레벨 알고리즘(134)은 특정 카테고리 또는 특정 비디오 콘텐츠 자체와 무관하게 출력 장치(110) 상에 출력될 특정 비디오 콘텐츠에 대하여 줌 레벨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는 콘텐츠 출력 장치(110)가 줌 선택(126)을 수신하기 전에 또는 수신된 줌 선택(126)에서의 카테고리 및 식별자가 출력될 특정 비디오 콘텐츠의 카테고리 또는 식별자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디스플레이(116)의 크기에 따라, 줌 레벨 알고리즘(134)에 의해 할당되는 줌 레벨은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출력 장치(110)가 22인치 모니터인 경우 줌 레벨은 콘텐츠 출력 장치(110)가 4.5인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모바일 전화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줌 레벨 알고리즘(134)은 특정 카테고리와 연관된 비디오 콘텐츠에 대하여 줌 레벨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02)로부터 수신된 줌 선택(126)은 특정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희망하는 줌 레벨의 표시(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줌 레벨 알고리즘(134)은 제1 비디오 콘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2의 수신된 비디오 콘텐츠(130)에 대하여 동일한 줌 레벨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줌 레벨 알고리즘(134)은 식별자에 의하여 식별된 특정한 제1 비디오 콘텐츠(130)에 대하여 줌 레벨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줌 선택(126)은 식별자에 기초하여 특정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희망하는 줌 레벨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줌 레벨 알고리즘(134)은 제1 비디오 콘텐츠와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는 제2의 수신된 비디오 콘텐츠(130)에 대하여 동일한 줌 레벨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114)는 디스플레이(116)를 제어하여 비디오 콘텐츠(130)를 콘텐츠 출력 장치(110)에 기초하는 디폴트 장치 줌 레벨(default device zoom level)에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처음으로 사용자가 장치(110)를 이용하거나 처음으로 특정 콘텐츠가 장치(110)에 의해서 출력되는 경우 시스템 줌 레벨이 이용될 수 있다. 줌 선택(126)에 기초하여, 사용자(102)는 디폴트 시스템 줌 레벨을 무시(override)할 수 있다.
카테고리 또는 비디오 콘텐츠 식별자에 관한 줌 선택(126)이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하여 출력 장치(110)에 의해 수신된 이후에, 프로세서(114)는 줌 선택(126)을 줌 테이블(148)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비디오 콘텐츠 출력 장치, 카테고리 및 비디오 콘텐츠 식별자에 대하여 할당된 줌 레벨들은 줌 테이블(148)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14)가 후속의 요청(140)을 수신하여 제2 비디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에서, 프로세서(114)는 테이블(148)을 분석하여 줌 레벨 알고리즘(134)에 기초하여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줌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사용자(102)는 카테고리 JFK에 할당된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하여 10%의 줌 레벨을 할당할 수 있다. 사용자(102)가 제2 비디오 콘텐츠(130)를 출력하기 위한 후속의 요청을 하는 예시에서, 프로세서(114)는 제2 비디오 콘텐츠와 연관된 카테고리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비디오 콘텐츠와 연관된 카테고리가 줌 테이블(148)에 저장된 경우, 프로세서(114)는 디스플레이(116)를 제어하여 제2 비디오 콘텐츠를 저장된 줌 레벨에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예시에서, 카테고리(132)가 전자 책에 관련되는 경우, 사용자(102)가 줌 선택(126)에서 카테고리 전자 책에 대한 줌 레벨을 할당하면, 프로세서(114)는 디스플레이(116)를 제어하여 후속적으로 요청된 전자 책을 동일한 줌 레벨에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4)가 특정 비디오 콘텐츠(130)의 출력을 위한 요청(140)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예시에서, 프로세서(114)는 비디오 콘텐츠(130) 및 연관된 카테고리(132)를 비디오 콘텐츠 프로세서(128)로부터 요청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줌 테이블(148)을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줌 테이블(148)이 특정 비디오 콘텐츠의 식별자에 대하여 할당된 제1 줌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14)는 디스플레이(116)를 제어하여 특정 비디오 콘텐츠를 제1 줌 레벨에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줌 테이블(148)이 특정 비디오 콘텐츠의 식별자에 대하여 할당된 줌 레벨을 가지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14)는 줌 테이블(148)을 분석하여 제2 줌 레벨이 특정 비디오 콘텐츠와 연관된 카테고리에 대하여 할당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줌 테이블(148)이 특정 비디오 콘텐츠와 연관된 카테고리에 대하여 할당된 제2 줌 레벨을 가지는 경우, 프로세서(114)는 디스플레이(116)를 제어하여 특정 비디오 콘텐츠를 제2 줌 레벨에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줌 테이블(148)이 특정 데이터와 연관된 카테고리에 대하여 할당된 줌 레벨을 가지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14)는 디스플레이(116)를 제어하여 특정 비디오 콘텐츠를 장치 줌 레벨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132)는 콘텐츠 저작자에 의하여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카테고리(132)는 비디오 콘텐츠(130)가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인 예시에서 게임 또는 일 생산성으로서 할당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130)가 웹 페이지인 예시에서, 카테고리(132)는 "콘텐츠 페이지" 또는 "서브 사이트(sub-site)"로서, 또는 콘텐츠 저작자에 의하여 희망된 임의의 다른 분류를 이용하여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저작자는 특정 비디오 콘텐츠에 기초하여 카테고리를 어떻게 할당하는지에 관한 가이드라인(guideline)을 제공받을 수 있다. 웹 페이지 예시에서, "홈 페이지" 카테고리는 특정 URL(Uniform Resources Locator)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일 수 있고 "서브 사이트" 카테고리는 콘텐츠 저작자에 의해 결정된 대로 제한된 콘텐츠가 있는 웹 페이지 일 수 있고 다른 웹 페이지들로의 링크들을 포함한다. "콘텐츠" 페이지 카테고리는 역시 콘텐츠 저작자에 의해 정의된 읽기 위한 중요한 콘텐츠를 가질 수 있다. 콘텐츠 저작자는 각각의 페이지 상의 메타 태그(meta-tag)에서와 같이 웹 사이트의 각각의 페이지와 연관시키도록 카테고리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102)는 그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줌 레벨을 정의할 수 있다.
줌 레벨 알고리즘(134)은 콘텐츠 출력 장치(110)의 운영 체제의 일부로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줌 레벨 알고리즘(134)은 운영 체제에 대한 커널 수준 호출(kernel level call)을 제공할 수 있다. 줌 레벨 알고리즘(134)은 사용자 라이브러리(library)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 라이브러리 호출에서 출력 장치(110)의 운영 체제의 위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잠재적인 이점들 중에서,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비디오 콘텐츠를 감상하는 경험을 제공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줌 인(zoom in) 및 줌 아웃(zoom out)을 반복적으로 하는 대신에, 사용자는 사용자가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대하여 희망하는 줌 레벨을 정의할 수 있다. 상이한 카테고리가 상이한 레벨의 텍스트 또는 그래픽 정보를 가질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보다 잘 작동하고 보다 맞춤화된 줌 레벨을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콘텐츠 저작자에 의해 정의된 줌 레벨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각각의 카테고리 내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은 유사한 레벨의 그래픽 및/또는 텍스트를 가질 수 있으며 동일한 줌 레벨에서 출력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시스템이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는 예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은 줌 선택이 사용자의 손가락의 핀치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비디오 콘텐츠를 감상하는 능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거나,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거나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세션(application session)을 시작할 때마다 반드시 줌 레벨을 조정할 필요는 없다.
도 2는 여기에서 설명된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된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에서의 프로세스는 예컨대, 위에서 논의된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세스는 블록(S2, S4, S6, S8, S10 및/또는 S12)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예시된 하나 이상의 동작들, 작용들 또는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별개의 블록들로 예시되었지만, 요구되는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블록들로 분할될 수 있거나 더 적은 블록들로 조합될 수 있거나 제거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S2)에서 시작할 수 있다.
블록(S2)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비디오 콘텐츠는 제1 식별자 및 제1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S2)에서 블록(S4)으로 계속될 수 있다.
블록(S4)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줌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줌 선택은 제1 비디오 콘텐츠에 할당된 제1 줌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줌 레벨은 제1 식별자 또는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S4)에서 블록(S6)으로 계속될 수 있다.
블록(S6)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는 줌 선택을 메모리 내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S6)에서 블록(S8)으로 계속될 수 있다.
블록(S8)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는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비디오 콘텐츠는 제2 식별자 및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S8)에서 블록(S10)으로 계속될 수 있다.
블록(S10)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는 메모리를 분석하여, 제1 줌 레벨에 기초하고 제1 식별자 또는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줌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S10)에서 블록(S12)으로 계속될 수 있다. 블록(S12)에서, 콘텐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제2 비디오 콘텐츠를 제2 줌 레벨에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여기에서 설명된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300)을 예시한다. 프로그램 제품(300)은 신호 포함 매체(30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포함 매체(302)는 예컨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면, 도 1-2에 대하여 상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30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시스템(100)을 참조하면, 콘텐츠 출력 장치(110)는 매체(302)에 의해 시스템(100)으로 전달되는 명령어(304)에 응답하여, 도 3에서 도시된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을 착수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포함 매체(302)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 디지털 테이프,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306)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포함 매체(302)는 메모리, 읽기/쓰기(R/W) CD, R/W DVD 등과 같은 기록 가능 매체(308)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포함 매체(302)는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통신 매체(예컨대, 광섬유 케이블, 도파관(waveguide), 유선 통신 링크, 무선 통신 링크 등)와 같은 통신 매체(31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프로그램 제품(300)은, 신호 포함 매체(302)가 무선 통신 매체(310)(예컨대, IEEE 802.11 표준에 따르는 무선 통신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RF 신호 포함 매체(302)에 의하여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모듈에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여기에서 설명된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4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매우 기초적인 구성(402)에서, 컴퓨팅 장치(400)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4) 및 시스템 메모리(406)를 포함한다. 메모리 버스(408)가 프로세서(404) 및 시스템 메모리(406)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구성에 따라, 프로세서(40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μP), 마이크로 컨트롤러(μ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404)는 레벨 1 캐시(410) 및 레벨 2 캐시(41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레벨(level)의 캐시(cache), 프로세서 코어(414), 및 레지스터(41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세서 코어(414)는 산술 논리 연산장치(arithmetic logic unit; ALU), 부동 소수점 장치(floating point unit; FPU), 디지털 신호 처리 코어(DSP Core),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메모리 컨트롤러(418)는 또한 프로세서(404)와 함께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구현예에서 메모리 컨트롤러(418)는 프로세서(404)의 내적인 일부일 수 있다.
요구되는 구성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406)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시스템 메모리(406)는 운영 체제(420),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422), 및 프로그램 데이터(424)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422)은 도 1 내지 도 3에 관하여 앞서 기술한 것을 포함하여 여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열되는 비디오 콘텐츠의 출력 알고리즘(426)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데이터(424)는, 여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비디오 콘텐츠의 출력 알고리즘에 대하여 유용할 수 있는 비디오 콘텐츠의 출력 데이터(42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422)은 다수의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도록 운영 체제(420) 상에서 프로그램 데이터(424)로 동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된 기초적인 구성(402)은 내부 파선 내의 그 구성요소들에 의해 도 4에서 도시된다.
컴퓨팅 장치(400)는 기초적인 구성(402) 및 임의의 요구되는 장치 및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추가적인 특징 또는 기능, 및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430)는 저장 인터페이스 버스(434)를 통한 기초적인 구성(402)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장치(432)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432)는 이동식 저장 장치(436), 고정식 저장 장치(438),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이동식 저장 장치 및 고정식 저장 장치의 예를 몇 가지 들자면, 플렉서블 디스크 드라이브(flexible disk drive)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장치, 컴팩트 디스크(CD) 드라이브 또는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드라이브와 같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 고체 상태 드라이브(SSD), 및 테이프 드라이브 등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program module),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에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의 이동식 및 고정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406), 이동식 저장 장치(436) 및 고정식 저장 장치(438)는 모두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이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또는 기타 광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컴퓨팅 장치(400)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그러한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팅 장치(400)의 일부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400)는 또한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430)를 통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장치(예컨대, 출력 장치(442), 주변 인터페이스(444), 및 통신 장치(446))로부터 기초적인 구성(402)으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버스(4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출력 장치(442)는 그래픽 처리 유닛(448) 및 오디오 처리 유닛(450)을 포함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A/V 포트(45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와 같은 다양한 외부 장치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주변 인터페이스(444)는 직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454)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456)를 포함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I/O 포트(458)를 통하여 입력 장치(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등) 또는 기타 주변 장치(예컨대, 프린터, 스캐너 등)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장치(446)는 네트워크 컨트롤러(460)를 포함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통신 포트(464)를 통하여 네트워크 통신 링크 상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462)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링크는 통신 매체의 하나의 예일 수 있다. 통신 매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 또는 기타 수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에서의 기타 데이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된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연결(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 라디오 주파수(RF), 마이크로웨이브, 적외선(IR) 및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400)는 휴대 전화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personal data assistant; PDA), 개인 미디어 재생 장치, 무선 웹워치 장치(wireless web-watch device), 개인 헤드셋 장치, 특정 용도 장치, 또는 상기 기능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융합 장치와 같은 소형 폼팩터 휴대용(모바일) 전자 장치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400)는 또한 랩탑 컴퓨터와 랩탑이 아닌 컴퓨터 구성 둘 다를 포함하는 개인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태양의 예시로서 의도된 본 출원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당업자에게 명백할 바와 같이, 많은 수정과 변형들이 그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 열거된 것들에 더하여, 본 개시의 범위 안에서 기능적으로 균등한 방법과 장치가 위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수정과 변형들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러한 청구항에 부여된 균등물의 전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본 개시가 물론 다양할 수 있는 특정 방법, 시약, 합성 구성 또는 생물학적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목적이고,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임의의 복수 및/또는 단수의 용어의 사용에 대하여, 당업자는 맥락 및/또는 응용에 적절하도록, 복수를 단수로 및/또는 단수를 복수로 해석할 수 있다. 다양한 단수/복수의 치환은 명확성을 위해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일반적으로 본 개시에 사용되며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들이 일반적으로 "개방적(open)" 용어(예를 들어, 용어 "포함하는"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으로, 용어 "갖는"는 "적어도 갖는"으로, 용어 "포함하다"는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등으로 해석되어야 함)로 의도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도입된 청구항의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의도된 경우, 그러한 의도가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될 것이며, 그러한 기재사항이 없는 경우, 그러한 의도가 없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첨부 청구범위는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 등의 도입 구절의 사용을 포함하여 청구항 기재사항을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절의 사용이, 부정관사 "하나"("a" 또는 "an")에 의한 청구항 기재사항의 도입이, 그러한 하나의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실시예로, 그러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특정 청구항을 제한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동일한 청구항이 도입 구절인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 및 "하나"("a" 또는 "an")과 같은 부정관사(예를 들어, "하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해석되어야 함)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는 청구항 기재사항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 정관사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명시적으로 기재되는 경우에도, 당업자라면 그러한 기재가 일반적으로 적어도 기재된 수(예를 들어, 다른 수식어가 없는 "두개의 기재사항"을 단순히 기재한 것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기재사항 또는 두 개 이상의 기재사항을 의미함)를 의미하도록 해석되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A, B 및 C 등 중의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칙이 사용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해석은 당업자가 그 규칙을 이해할 것이라는 전제가 의도된 것이다(예를 들어, "A, B 및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을 갖거나, B만을 갖거나, C만을 갖거나, A 및 B를 함께 갖거나, A 및 C를 함께 갖거나, B 및 C를 함께 갖거나, A, B, 및 C를 함께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A, B 또는 C 등 중의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칙이 사용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해석은 당업자가 그 규칙을 이해할 것이라는 전제가 의도된 것이다(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을 갖거나, B만을 갖거나, C만을 갖거나, A 및 B를 함께 갖거나, A 및 C를 함께 갖거나, B 및 C를 함께 갖거나, A, B, 및 C를 함께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또한 당업자라면, 실질적으로 어떠한 이접 접속어(disjunctive word) 및/또는 두 개 이상의 대안적인 용어들을 나타내는 구절은, 그것이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또는 도면에 있는지와 상관없이, 그 용어들 중의 하나, 그 용어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용어들 두 개 모두를 포함하는 가능성을 고려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A 또는 B"라는 구절은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마쿠쉬 그룹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특징 또는 양상이 기술될 때는,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또한 마쿠쉬 그룹의 임의의 개별 구성원 또는 구성원의 서브그룹을 이용하여 기술됨을 이해할 것이다.
서면의 기재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어떠한 그리고 모든 목적을 위해서, 본 개시에 기재된 모든 범위는 모든 어떠한 가능한 하위범위 및 그 하위범위의 조합을 또한 포괄함이 이해 되어야 한다. 임의의 나열된 범위는, 그 동일한 범위가 적어도 동일한 이분 범위, 삼분 범위, 사분 범위, 오분 범위, 십분 범위 등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그러한 동일 범위를 충분히 기술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제한되지 않은 예로서, 본 개시에 기재된 각 범위는, 하위 삼분, 중간 삼분, 상위 삼분 등으로 용이하게 분할될 수 있다. 또한, "까지(up to)", "적어도(at least)" "더 큰(greater than)", "더 적은(less than)" 등과 같은 모든 언어는 인용된 수를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하위 범위로 분할될 수 있는 범위들을 나타냄이 이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범위는 각 개별 구성요소를 포함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1 내지 3 셀(cell)을 가지는 그룹은 1, 2 또는 3 셀을 가지는 그룹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1 내지 5 셀을 가지는 그룹은 1, 2, 3, 4 또는 5 셀을 가지는 그룹을 나타내는 등이다.
다양한 양상 및 실시예들이 본 개시에서 기술되었지만, 다른 양상 및 실시예들이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본 개시에 기재된 다양한 양상 및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고,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며,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이하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낸다.

Claims (20)

  1. 비디오 콘텐츠(video content)를 콘텐츠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display) 상에 출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서, 제1 식별자(identifier) 및 제1 카테고리(category)를 포함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서, 상기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줌 선택(zoom selection)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줌 선택은 상기 제1 비디오 콘텐츠에 할당된 제1 줌 레벨(zoom level)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줌 레벨은 상기 제1 식별자 또는 상기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함 -;
    상기 줌 선택을 메모리 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서, 제2 식별자 및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줌 레벨에 기초하고 상기 제1 식별자 또는 상기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줌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비디오 콘텐츠를 상기 제2 줌 레벨에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테고리가 상기 제2 카테고리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제1 줌 레벨과 동일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가 상기 제2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제1 줌 레벨과 동일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 콘텐츠 및 상기 제2 비디오 콘텐츠는 제1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제1 출력 및 제2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제2 출력이고,
    상기 제1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1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식별자 및 상기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상기 제2 줌 레벨에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가 상기 제2 식별자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1 카테고리가 상기 제2 카테고리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제1 줌 레벨과 동일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가 상기 제2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제1 줌 레벨과 동일하고,
    상기 제1 식별자가 상기 제2 식별자와 동일하지 않고 상기 제1 카테고리가 상기 제2 카테고리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제1 줌 레벨과 동일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가 상기 제2 식별자와 동일하지 않고 상기 제1 카테고리가 상기 제2 카테고리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기초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 콘텐츠는 제1 웹 페이지(web page)이고;
    상기 제2 비디오 콘텐츠는 제2 웹 페이지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테고리는 상기 제1 웹 페이지 상의 콘텐츠의 양에 관련되고,
    상기 제2 카테고리는 상기 제2 웹 페이지 상의 콘텐츠의 양에 관련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기초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줌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의 터치 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touch screen user interface) 상의 핀치 동작(pinching motion)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데에 유효한 콘텐츠 출력 장치로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통신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식별자 및 제1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것;
    상기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줌 선택을 수신하는 것 - 상기 줌 선택은 상기 제1 비디오 콘텐츠에 할당된 제1 줌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줌 레벨은 상기 제1 식별자 또는 상기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함 -;
    상기 줌 선택을 메모리 내에 저장하는 것;
    제2 식별자 및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하는 것;
    상기 메모리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줌 레벨에 기초하고 상기 제1 식별자 또는 상기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줌 레벨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비디오 콘텐츠를 상기 제2 줌 레벨에서 출력하는 것에 유효한, 콘텐츠 출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테고리가 상기 제2 카테고리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제1 줌 레벨과 동일한, 콘텐츠 출력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가 상기 제2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제1 줌 레벨과 동일한, 콘텐츠 출력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 콘텐츠 및 상기 제2 비디오 콘텐츠는 제1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제1 출력 및 제2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제2 출력이고, 상기 제1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1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식별자 및 상기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비디오 콘텐츠를 상기 제2 줌 레벨에서 출력하는 데에 유효하며;
    상기 제1 식별자가 상기 제2 식별자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1 카테고리가 상기 제2 카테고리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제1 줌 레벨과 동일한, 콘텐츠 출력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가 상기 제2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제1 줌 레벨과 동일하며;
    상기 제1 식별자가 상기 제2 식별자와 동일하지 않고 상기 제1 카테고리가 상기 제2 카테고리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제1 줌 레벨과 동일한, 콘텐츠 출력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가 상기 제2 식별자와 동일하지 않고 상기 제1 카테고리가 상기 제2 카테고리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기초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 콘텐츠는 제1 웹 페이지이며;
    상기 제2 비디오 콘텐츠는 제2 웹 페이지이고;
    상기 제1 카테고리는 상기 제1 웹 페이지 상의 콘텐츠의 양에 관련되며;
    상기 제2 카테고리는 상기 제2 웹 페이지 상의 콘텐츠의 양에 관련되는, 콘텐츠 출력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터치 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줌 선택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핀치 동작의 검출을 포함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19.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가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서, 제1 식별자 및 제1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서, 상기 제1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줌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줌 선택은 상기 제1 비디오 콘텐츠에 할당된 제1 줌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줌 레벨은 상기 제1 식별자 또는 상기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함 -;
    상기 줌 선택을 메모리 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서, 제2 식별자 및 제2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줌 레벨에 기초하고 상기 제1 식별자 또는 상기 제1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2 줌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비디오 콘텐츠를 상기 제2 줌 레벨에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 콘텐츠 및 상기 제2 비디오 콘텐츠는 제1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 및 제2 모바일 장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출력이고;
    상기 제1 식별자가 상기 제2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제1 줌 레벨과 동일하고;
    상기 제1 식별자가 상기 제2 식별자와 동일하지 않고 상기 제1 카테고리가 상기 제2 카테고리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제1 줌 레벨과 동일하며;
    상기 제1 식별자가 상기 제2 식별자와 동일하지 않고 상기 제1 카테고리가 상기 제2 카테고리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줌 레벨은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기초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137010702A 2011-03-08 2011-03-08 비디오 콘텐츠의 출력 KR101564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1/027540 WO2012121709A1 (en) 2011-03-08 2011-03-08 Output of video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742A true KR20130096742A (ko) 2013-08-30
KR101564955B1 KR101564955B1 (ko) 2015-11-02

Family

ID=4679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702A KR101564955B1 (ko) 2011-03-08 2011-03-08 비디오 콘텐츠의 출력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07578B2 (ko)
JP (1) JP2014513455A (ko)
KR (1) KR101564955B1 (ko)
CN (1) CN103201705B (ko)
WO (1) WO2012121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3455A (ja) 2011-03-08 2014-05-29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ビデオコンテンツの出力
US20130009997A1 (en) * 2011-07-05 2013-01-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nch-to-zoom video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US20150253974A1 (en) 2014-03-07 2015-09-10 Sony Corporation Control of large screen display using wireless portable computer interfacing with display controller
US20160035063A1 (en) * 2014-07-30 2016-02-04 Lenovo (Singapore) Pte. Ltd. Scaling data automatically
US20160098180A1 (en) * 2014-10-01 2016-04-07 Sony Corporation Presentation of enlarged content on companion display device
JP2017058855A (ja) * 2015-09-15 2017-03-2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
US11335074B2 (en) * 2016-12-19 2022-05-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rrangement determination for 3D fabricated part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4873A (en) 1995-06-01 1998-05-19 Adob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ing a selected block of text to a preferred absolute text height and scaling the remainder of the text proportionately
US6211856B1 (en) 1998-04-17 2001-04-03 Sung M. Choi Graphical user interface touch screen with an auto zoom feature
US6507349B1 (en) * 2000-01-06 2003-01-14 Becomm Corporation Direct manipulation of displayed content
AU2003226194A1 (en) 2002-04-05 2003-10-27 Thomson Licensing S.A. Browser with setting saving feature
JP4452430B2 (ja) * 2002-05-13 2010-04-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8418075B2 (en) * 2004-11-16 2013-04-09 Open Text Inc. Spatially driven content presentation in a cellular environment
US8812978B2 (en) * 2005-12-22 2014-08-19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zoom to view documents on small displays
CN102169415A (zh) 2005-12-30 2011-08-31 苹果公司 具有多重触摸输入的便携式电子设备
US8564544B2 (en)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9495471B2 (en) 2008-12-04 2016-1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ize view elements sizes to maximize most data viewed in a multiple view elements GUI
US8159465B2 (en) 2008-12-19 2012-04-1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Zooming techniques for touch screens
US8823749B2 (en) 2009-06-10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methods providing continuous zoom functionality
US9454304B2 (en) * 2010-02-25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dual tap gesture
US20120011568A1 (en) * 2010-07-12 2012-01-12 Cme Advantag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networked, in-context, high resolution image viewing
US20120050332A1 (en) * 2010-08-25 2012-03-01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content navigation
JP2014513455A (ja) 2011-03-08 2014-05-29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ビデオコンテンツの出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01705A (zh) 2013-07-10
JP2014513455A (ja) 2014-05-29
WO2012121709A1 (en) 2012-09-13
KR101564955B1 (ko) 2015-11-02
CN103201705B (zh) 2016-08-17
US9607578B2 (en) 2017-03-28
US20120229518A1 (en)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955B1 (ko) 비디오 콘텐츠의 출력
WO2017076073A1 (zh) 搜索推荐方法和装置
US11477094B2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cessing highlighted comment in content
US201503706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navigation among applications
EP3008630A1 (en) Method and systems for pre-rendering and pre-fetching content
JP5813102B2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内での互換性のないコンテンツのレンダリング
KR101912177B1 (ko) 음성 인식 동적 사전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968535B2 (ja) オンライン投稿の信頼性の判定
US20150046850A1 (en) Multi-display system
US20110307792A1 (en) Accessing elements in an operating system
CN106649575B (zh) 一种兴趣标签更新内容的访问方法和设备
US9081864B2 (en) Late resource localization binding for web services
US9742617B2 (en) Virtual machine migration in a cloud fabric
US20150339310A1 (en) System for recommending related-content analysis in an authoring environment
US20150058721A1 (en) Scroll-based serialized book reader
US20140221093A1 (en) Fragment-based mobile device application streaming utilizing crowd-sourcing
US20150058869A1 (en) Reverse launch protocol
US20150295992A1 (en) Control redistribution among multiple devices
US9590933B2 (en) Generation of a communication request based on visual selection
US20160019306A1 (en) Link preview management
US9773293B2 (en) Composition data dispatcher
US20150234550A1 (en) Display of data items
Godwin-Jones New developments in web browsing and authoring
US9761030B2 (en) Scene image generator
US20170103141A1 (en) Distilling popular information of a web p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