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541A - 가발 - Google Patents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541A
KR20130095541A KR1020120017063A KR20120017063A KR20130095541A KR 20130095541 A KR20130095541 A KR 20130095541A KR 1020120017063 A KR1020120017063 A KR 1020120017063A KR 20120017063 A KR20120017063 A KR 20120017063A KR 20130095541 A KR20130095541 A KR 20130095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opening
hair
cov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헌식
박정효
Original Assignee
박정효
피티. 동안 크레아시 인도네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효, 피티. 동안 크레아시 인도네시아 filed Critical 박정효
Priority to KR1020120017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5541A/ko
Publication of KR2013009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8Bases for wigs made of a fram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91Sweat absorbing means or deodo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주위에 식모된 가발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식모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가발본체에 탈착시키는 탈착부재를 포함하여, 가발 착용시 볼륨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 수 있고, 사용자의 두상에서 보완하고 싶은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고, 모발이 더욱 풍성해보여서 착용자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가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발{A WIG}
본 발명은 가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주위에 식모된 가발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식모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가발본체에 탈착시키는 탈착부재를 포함하는 가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발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119371호에 제시된 것과 같은 기술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발에는 전체가발, 부분가발 또는 대머리용가발이 있으며, 보통 사용자의 머리형태로 된 외부로 볼록한 곡면을 갖는 가발 캡과 이 가발 캡에 부착된 다수의 모발로 구성된다. 가발 캡은 보통 나일론사와 폴리에스테르사 등에 의해 형성되거나, 폴리우레탄과 폴리에스테르사 등에 의해 형성된 망(網) 또는 망상체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인공피부로 만들어져 있다. 가발의 모발은 천연모발, 인공모발 또는 이들을 합성한 모발을 사용한다.
망 또는 망상체로 만들어진 가발 캡에는 천연모발 및/또는 인공모발로 만들어진 복수개의 모발이 묶어져 가발을 형성하고, 모발은 가발 캡의 표면으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한 쌍의 모발부분을 형성하도록 가발 캡에 고정 장착된다. 연질 인공피부로 만들어진 가발 캡도 망 또는 망상체로 만들어진 가발 캡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망으로 만들어진 가발 캡에 모발을 장착 또는 부착하는 경우에는, 모발의 부착방향 또는 배향을 여러 가지로 적절히 선택하고 있으며, 매듭이 풀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각종의 모발매듭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가발은 전체적으로 플랙서블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두상에 밀착되게 되거나, 약간 볼륨감이 있더라도 지지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약간의 외력에도 볼륨감이 없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가발을 착용한 후에도 착용자의 머리 모양이 착용자 원래의 머리 모양대로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발 착용시 볼륨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 수 있어서 착용자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가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발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주위에 식모된 가발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식모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가발본체에 탈착시키는 탈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발본체에는 상기 개구부를 덮는 망이 설치되고, 상기 가발본체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는 보형물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주위에 식모된 가발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식모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가발본체에 탈착시키는 탈착부재를 포함하여, 가발 착용시 볼륨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 수 있고, 사용자의 두상에서 보완하고 싶은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고, 모발이 더욱 풍성해보여서 착용자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가발본체에는 상기 개구부를 덮는 망이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망과 커버부 사이에 보형물 또는 땀흡수부재 등을 배치시킬 수 있고 보형물 또는 땀흡수부재가 이탈되지 않아서 볼륨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가발본체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는 보형물이 배치되어 볼륨감을 효과적으로 줄 수 있다.
상기 커버부에는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이 설치되어 보형물 없이도 볼륨감을 효과적으로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발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발의 커버부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발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발의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서 내부를 보이는 분리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발은, 개구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20) 주위에 식모된 가발본체(100)와, 상기 개구부(120)를 덮으며 식모된 커버부(300)와, 상기 커버부(300)를 상기 가발본체(100)에 탈착시키는 탈착부재(400)를 포함한다.
가발본체(100)는 사람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구면형상과 같이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랙서블하게 형성되고, 두정부 쪽에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가발본체(100)는 개구부(120) 주위에 인조모가 식모된다.
개구부(120)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개구부(120)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가발본체(100)에는 개구부(120)를 덮는 망(190)이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망(190)과 이하 서술되는 커버부(300) 사이에 보형물(500) 또는 땀흡수부재 등과 같은 타 부재를 배치시킬 수 있고 보형물(500) 또는 땀흡수부재가 이탈되지 않아서 볼륨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커버부(300)는 상기 개구부(120)를 덮으며 인조모가 식모된다.
커버부(300)는 일측이 가발본체(10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부(300)는 이마에 근접한 부분이 가발본체(100)에 연결된다.
커버부(300)는 모근부분에 망(360)이 설치된다.
커버부(300)의 망(360)에는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33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커버부(300)에는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330)가 설치되어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330)가 커버부(300)의 모양을 잡아주게 되어 가발본체(100)에 커버부(300)를 부착하였을 때 커버부(300)의 가장자리가 들뜨지 않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330)는 커버부(300)의 양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330)는 망(360)에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삽입구멍(361)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삽입구멍(361)은 망(360)을 두겹으로 하고 양측에 재봉질을 하여 형성된다.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330)는 여러개가 구비되고, 여러개의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330)는 격자형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330)가 격자형상으로 배치되어 굴곡진 볼륨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330)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330)는 동선(331)과 합성수지재의 선(332)을 포함한다.
동선(331)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구리와 같은 금속소재의 심선 외부를 합성수지로 코팅한 선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동선(331)으로 인해 볼륨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의 선(332)은 PVC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선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330)는 합성수지재의 선(332)을 포함하여, 봉재시 동선(331)이 파손되어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부(300)의 형상이 자연스러운 굴곡진 형상이 될 수 있다.
나아가, 망(360)의 외측 둘레에는 재봉을 통해 틀(340)이 형성되어, 굴곡지더라도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330)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또한, 틀(340)로 인해 망(360)의 실이 풀리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틀(120)로 인해 커버부(300)의 형상이 자연스러운 원호형상이 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두상과 더욱 유사하게 되어 커버부(300)가 자연스러운 모양이 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300)와 가발본체(100)가 연결되는 부분인 이마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 천(15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가발은 이와 같은 커버부(300)로 인해, 가발 착용시 두정부 쪽에 볼륨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 수 있고 모발이 더욱 풍성해보여서 착용자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천(150)은 피부에 닿았을 때 매끄러운 느낌이 나는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사용시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통풍이 잘 되고 땀 흡수가 잘 되는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 편의성도 향상된다.
또한, 천(150)은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보조가발(200)을 추가로 부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머리를 풍성하게 보일 수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시 외관이 더욱 미려해질 수 있다.
탈착부재(400)는 커버부(300)를 상기 가발본체(100)에 탈착시킨다.
탈착부재(400)는 플라스틱소재의 스냅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탈착부재(400)의 돌출부(420)는 커버부(300)에 설치되고, 돌출부(420)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홈부(410)는 가발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탈착부재(400)는 여러개가 구비되어 커버부(30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탈착부재(400)는 커버부(300)의 양측 및 전방에 각각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탈착부재(400)가 구비되어 가장자리가 들뜨지 않고 커버부(300)가 가발본체(100)에 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탈착부재(400)에는 밸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다양한 탈착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가발본체(100)와 커버부(300) 사이의 공간에는 보형물(500)이 배치되어 볼륨감을 효과적으로 줄 수 있다. 보형물(500)은 가벼우면서도 쿠션감이 있는 스펀지 소재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발은 커버부(300)가 탈착가능하게 되어 상황에 따라 다양한 커버부(300)를 적용하거나, 커버부(300) 아래에 타부재를 배치시켜서 볼륨감을 효과적으로 줄 수 있고, 커버부(300)를 이탈시켜서 타부재를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나아가, 가발본체(100)의 후두부(110) 하부 양측에는 밴드부(17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밴드부(170)와 가발본체(100)를 결합하는 제1체결부재(180)가 구비된다.
체결부재(180)는 벨크로 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부(170)로 인해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가발본체(100)의 둘레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가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밴드부(170)는 신축가능한 소재(약간의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발본체(100)의 후두부(110) 하부 중앙부에는 즉, 양측의 밴드부(170) 사이에는 제2체결부재(181)가 구비된다.
제2체결부재(181)는 제1체결부재(190)와 같이 벨크로 테이프로 구비되어 제1체결부재(18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181)를 통해 보조가발(200)을 가발본체(100)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체결부재(181)로 인해 가발의 머리길이를 더 길게 하거나 가발의 머리숱을 더욱 풍성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제2체결부재(181)는 가발본체(100)의 앞쪽에 형성되어, 앞머리가 풍성해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가발본체 110 : 후두부
120 : 개구부 300 : 커버부

Claims (3)

  1.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주위에 식모된 가발본체;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식모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를 상기 가발본체에 탈착시키는 탈착부재를 포함하는 가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발본체에는 상기 개구부를 덮는 망이 설치되고,
    상기 가발본체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는 보형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KR1020120017063A 2012-02-20 2012-02-20 가발 KR20130095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063A KR20130095541A (ko) 2012-02-20 2012-02-20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063A KR20130095541A (ko) 2012-02-20 2012-02-20 가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541A true KR20130095541A (ko) 2013-08-28

Family

ID=4921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063A KR20130095541A (ko) 2012-02-20 2012-02-20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55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3544A (zh) * 2014-09-26 2014-12-24 洛阳市航远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记忆发丝假发
KR200487950Y1 (ko) * 2017-06-09 2018-11-27 길진수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KR102066238B1 (ko) * 2018-09-03 2020-01-14 (주)하이모 가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3544A (zh) * 2014-09-26 2014-12-24 洛阳市航远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记忆发丝假发
KR200487950Y1 (ko) * 2017-06-09 2018-11-27 길진수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KR102066238B1 (ko) * 2018-09-03 2020-01-14 (주)하이모 가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5542A (ko) 가발
CA2735848C (en) Weft-bearing babushka with hidden connection
KR100301362B1 (ko) 길이조절수단이부착된가발
US9179721B2 (en) Press and go wig and lace wig snap cap and kit
US20070113319A1 (en) Hat wig
US20060191057A1 (en) Hat/beret with opening for wearer's hair or synthetic hair
US20110173739A1 (en) Invisible zipper ponytail cap
US20160113342A1 (en) Half head wig
JPH0768642B2 (ja) かつら
KR20130095541A (ko) 가발
KR101166331B1 (ko) 가발을 구비한 헤어밴드
US10327493B2 (en) Wig head wrap
JP5016328B2 (ja) 自毛活用型かつら
KR100753436B1 (ko) 긴머리 가발
KR20160017825A (ko) 롤링 포니테일 가발
JP5715781B2 (ja) かつら及び補助装飾具
JP3136084U (ja) 顔面遮光布
JP3164891U (ja) 着脱式ウィッグ
KR100744620B1 (ko) 브래지어
JP3244257U (ja) ウィッグ付き被り物
KR100653224B1 (ko) 프리 사이즈 모자
KR101489207B1 (ko) 두상의 골격형태를 바꾸도록 기능하는 가발 어셈블리 및 그 이용방법
KR100837382B1 (ko) 햇빛가리개
KR20140004535U (ko) 탈부착 가발이 구비된 환자용 머리띠
JP5828022B1 (ja) 略h形状の伸縮性領域を備えたカツラベ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