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413A - 강화유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강화유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413A
KR20130095413A KR1020120016808A KR20120016808A KR20130095413A KR 20130095413 A KR20130095413 A KR 20130095413A KR 1020120016808 A KR1020120016808 A KR 1020120016808A KR 20120016808 A KR20120016808 A KR 20120016808A KR 20130095413 A KR20130095413 A KR 20130095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ed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slide plate
door
glas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진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진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진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2001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5413A/ko
Publication of KR2013009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C03C21/001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 C03C21/002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to perform ion-exchange between alkali 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에도 도어 등이 열변형되지 않고, 처리 용액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강화유리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는, 몸체; 유리 기판을 열처리하기 위한 처리 용액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진입구가 형성되는 배스챔버; 상기 배스챔버와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상기 배스챔버 상부에 배치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출입구가 형성되는 투입챔버; 유리 기판을 적재할 수 있는 카세트; 상기 투입챔버, 및 상기 배스챔버 간에 상기 카세트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부; 상기 진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드판; 및 상기 배스챔버의 상기 처리 용액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화유리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TEMPERED GLASS}
본 발명은 강화유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열처리 용액을 이용하여 유리기판을 강화하기 위한 강화유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모니터, 건축용 및 각종 산업용 유리 등에 사용되는 강화유리는 박판 형태로서 스크래치의 발생이 적고 투광성이 뛰어난 특성을 지니는 것이 유리하다. 그런데, 경도 및 강도가 우수한 강화유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유리의 강화 공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유리의 강화는 크게 물리적 강화와 화학적 강화로 나뉘는데, 물리적 강화는 유리를 약 550℃ 내지 700℃ 사이의 온도로 가열한 후 급랭하여 내부 강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이는 강화 유리문, 자동차용 유리 등의 제조에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물리적 강화는 유리 표면층과 중심층 사이의 온도차를 충분히 낼 수 없는 얇은 박판유리에는 적용이 불가능하고, 열팽창 계수가 작은 유리의 경우에는 강화가 어려우며, 복잡한 형상을 갖는 유리의 경우에는 각 부분이 균일한 온도차를 가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비교적 고온에서 작업이 수행되므로 유리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화학적 강화는 박판유리를 약 450℃의 질산칼륨 용액에 3시간 이상 침지하여 유리에 있는 나트륨 이온과 질산칼륨용액의 칼륨 이온을 서로 치환시켜 유리를 강화하는 것으로, 주로 얇은 박판유리를 강화하는데 이용된다. 화학적 강화는 이온교환을 통해 유리를 강화하는 것으로 박판유리와 복잡한 형상의 유리 모두에 적용할 수 있고, 가공 중 변형의 우려가 없다. 또한, 정밀도가 높고, 강도면에서 물리적 강화보다 우수하며, 강화 후 절단 가공 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화학적 강화 방법은 일반적으로 강화시키고자 하는 유리를 약 300 내지 450℃ 사이의 온도에서 가열시키고, 약 380℃ 이상의 온도로 용융된 질산칼륨염에 가열된 유리를 일정시간 침지하여 유리의 표면에 압축응력층을 형성함으로써 유리를 강화시킬 수 있다.
종래의 강화유리 제조 장치에 따르면, 장치가 고온의 처리 용액에 노출되는 경우에 열변형이 발생하여 방치의 파손이 발생하고, 장치의 작동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리기판의 열처리 시 처리 용액이 외부 대기로 개방되어 열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온에도 도어 등의 장치가 열변형되지 않는 강화유리 제조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처리 용액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강화유리 제조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는, 몸체; 유리 기판을 열처리하기 위한 처리 용액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진입구가 형성되는 배스챔버; 상기 배스챔버와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상기 배스챔버 상부에 배치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출입구가 형성되는 투입챔버; 유리 기판을 적재할 수 있는 카세트; 상기 투입챔버, 및 상기 배스챔버 간에 상기 카세트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부; 상기 진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드판; 및 상기 배스챔버의 상기 처리 용액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입구의 하부로부터 출입구의 전면, 및 출입구 내측의 배스챔버 상부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판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진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판은, 상기 슬라이드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도어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부는,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 상기 투입챔버 내측에 배치되는 샤프트; 및 일측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개 스프라켓에 맞물리는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한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부는, 봉형상을 가지고, 상기 몸체 일측에 결합되는 가이드샤프트; 상기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도록 끼움 결합되되고, 상기 체인의 타측에 연결되는 이동체; 및 상기 샤프트가 끼움 결합되는 안내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안내봉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세트는, 상기 유리 기판을 적재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상부에 한 쌍의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카세트는 상기 슬라이드판에 적재되어 이송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샤프트에 의해 후킹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판에는, 상기 슬라이드판의 이동 시 상기 안내봉에 걸리지 않도록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측으로 긴 판형상을 가지는 열변형방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변형방지판에는 슬릿 형상의 결합홈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끼리 끼움 결합되어 상기 열변형방지판이 격자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열변형방지판은 상기 슬라이드판, 및 상기 도어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변형방지판은 상기 슬라이드판, 및 도어의 내면 일측에 용접 결합되고, 내면 타측에 상기 열변형방지판과 통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용접공을 통하여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는, 도어 등에 열변형 방지 구조를 적용하여 고온에도 도어 등의 장치가 열변형되지 않고, 고온의 처리 용액이 대기 중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슬라이드판의 평면 투영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열변형방지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열변형방지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슬라이드판의 열변형방지판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슬라이드판의 용접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카세트의 측면도,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카세트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측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는, 배스챔버(100), 투입챔버(200), 슬라이드판(300), 및 카세트(600)를 포함하고, 도 1 내지 3은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하여 투영도로 도시되었다.
몸체 내부 하측에는 배스챔버(Bath Chamber)(100)가 배치되는데, 배스챔버(100)는 처리 용액을 담을 수 있도록 5면이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진입구(110)가 형성된다. 배스챔버(100)에는 배스챔버(100) 내부에 수용되는 처리 용액을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부가 구비된다.
투입챔버(200)는 배스챔버(100)와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배스챔버(10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출입구(210)가 형성된다. 출입구(210)에는 도어(500)가 구비되는데, 도어(500) 상부가 몸체와 힌지 연결된다. 투입챔버(200) 상부에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도어구동부(510)가 결합되고, 도어구동부(510)는 도어(500)의 상부와 링크 연결되어 도어(500)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구(210)는 도어구동부(510)에 의해 동작하는 도어(50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가이드부(700)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출입구(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출입구(210)의 전면으로 연장되고, 일부는 출입구(210)의 내측의 배스챔버(100) 상부까지 연장된다. 슬라이드판(300)은 하측에 복수의 베어링(31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베어링(310)이 접촉하는 가이드부(700) 상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700)가 투입챔버(200) 내부로부터 외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판(300)은 출입구(210)를 통하여 투입챔버(200) 내부와 외부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베어링(310)은 고온에 노출되므로 고온에도 파손되지 않고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고온 고하중 용 베어링(310)일 수 있다.
몸체 상부에는 승강부(400)가 배치되는데, 승강부(400)는 모터(410), 기어부(411), 스프라켓(420), 및 체인(430)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440)는 봉형상을 가지고 몸체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된다. 이동체(441)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가이드샤프트(440)를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샤프트(440)에 끼움 결합된다.
몸체 상부에는 복수의 스프라켓(42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한 쌍의 체인(430)이 스프라켓(420)에 맞물린다. 체인(430)의 일단은 각각 이동체(441)에 결합되고, 타단은 투입챔버(200) 내부의 샤프트(450)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체인(430)은 스프라켓(420)에 의해 방향 변환되어 이동체(441)와 샤프트(450)를 연결한다.
모터(410)는 스프라켓(420)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에 체인 연결되는데, 모터에는 감속을 위한 기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410)가 구동함에 따라 스프라켓(42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이동체(441)와 샤프트(45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투입챔버(200) 내측에 한 쌍의 안내봉이 수직으로 배치되는데, 샤프트(450)의 양단이 각각 안내봉에 까움 결합되어 안내봉을 따라 상하로 수직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450)가 상하로 이동할 때, 안내봉에 의해 전후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슬라이드판의 평면 투영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열변형방지판의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열변형방지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슬라이드판(300)은 상부판, 하부판, 및 측부판이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판형상을 가지고, 일측에 한 쌍의 슬릿(320)이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슬릿(320)은 슬라이드판(300)이 투입챔버(20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슬라이드판(300)이 안내봉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열변형방지판(330)은 스트립 판 형상으로서, 소정 깊이로 가늘고 긴 복수의 결합홈(331)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열변형방지판(330)은 결합홈(331)에 의해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는데,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결합홈(331)끼리 서로 격자상으로 끼워 맞춰져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슬라이드판의 열변형방지판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슬라이드판의 용접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끼움 결합되는 열변형방지판(330)은 슬라이드판(30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끼움 결합된 열변형방지판(330)의 일측은 슬라이드판(300)의 일측 내부에 용접 결합되고, 타측은 슬라이드판(300)의 타면에 관통 형성되는 용접공(340)에 의해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째, 끼움 결합되는 열변형방지판(330)은 상부판과 하부판이 분리된 상태에서, 하부판의 내면에 용접 결합한다. 둘째, 상부판에 복수의 용접공(340)를 형성하는데, 열변형방지판(330)의 용접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를 관통하여 형성한다. 셋째, 상부판을 열변형방지판(330) 상부에 얹어 용접 위치에 배치시킨다. 넷째, 용접공(340)을 통하여 상부판과 열변형방지판(330)을 용접시킨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열변형방지판(330)이 슬라이드판(3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열변형방지판(330)에 의해 슬라이드판(300)이 높은 온도에 노출되는 경우에 열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변형 방지 구조, 즉 열변형방지판이 결합되는 구조는 도어(500) 등의 고온에 노출되는 부분에 적용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카세트의 측면도,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카세트의 정면도이다.
카세트(600)는 복수의 유리기판(10)을 기립하여 세울 수 있는 틀로서, 이웃하는 복수의 유리기판(10)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카세트(600)에 끼워져 정렬될 수 있다. 카세트(600)는 프레임(610)을 포함하고, 프레임(610)의 내측에는 지지부(미도시)가 돌출되어 카세트(600)에 끼워지는 유리기판(10)을 지지하여 이웃하는 유리기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카세트(600)의 상부에는 한 쌍의 후크(Hook)(620)가 구비되어 샤프트(450)에 걸려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의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도어구동부(510)의 구동에 따라 도어(500)가 개방되고, 출입구(210) 또한 개방된다. 슬라이드판(300)은 가이드부(700)를 통하여 몸체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카세트(600)는 슬라이드판(300) 상부에 적재된다. 카세트(600)는 슬라이드판(300)의 이동에 의해 출입구(210)를 통하여 투입챔버(200) 내부로 이송되는데, 후크(620)가 샤프트(450)에 도달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카세트(600)의 정지 후에 모터(410)가 구동하고, 스프라켓(420)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체(441)는 가이드샤프트(44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고, 샤프트(450)는 상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후크(620)는 샤프트(450)에 걸리고, 샤프트(450)가 상부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카세트(600) 또한 상부로 이동한다. 카세트(60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드판(300)으로부터 이탈하고, 소정 위치에서 모터(410)가 정지하여 카세트(600)가 정지한다.
슬라이드판(300)은 몸체 외부로 가이드부(700)를 따라 이동하고, 도어구동부(510)의 구동에 의해 도어(500)가 출입구(210)를 폐쇄하는데, 슬라이드판(300)이 몸체 외부로 이동하였으므로 배스챔버(100)의 진입구(110)는 개방된 상태이다.
모터(410)의 구동에 의해 이동체(441)는 가이드샤프트(44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고, 이동체(441)와 체인(430)에 의해 연결되는 샤프트(450)는 하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샤프트(450)에 걸린 카세트(600)는 하부로 이동하고, 배스챔버(100) 내부의 처리 용액(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질산칼륨 용액)에 침지되어 유리기판이 열처리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질산칼륨 용액은 유리기판 투입 시부터 2시간 동안 390℃ 비례 가열, 2시간 내지 2시간 30분 450℃ 가열, 2시간 30분 내지 6시간 30분 450℃ 유지, 및 6시간 30분 내지 7시간 상온 냉각 후 유리기판을 인출할 수 있다.
종래의 강화유리 제조 장치에 따르면, 장치가 고온의 처리 용액에 노출되는 경우에 열변형이 발생하여 방치의 파손이 발생하고, 장치의 작동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리기판의 열처리 시 처리 용액이 외부 대기로 개방되어 열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제조 장치는, 슬라이드판(300), 및 도어(500) 등에 열변형 방지 구조를 적용하여 고온에도 슬라이드판(300) 등이 열변형되지 않고, 고온의 처리 용액이 대기 중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거나,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배스챔버 110: 진입구
200: 투입챔버 210: 출입구
300: 슬라이드판 310: 베어링
320: 슬릿 330: 열변형방지판
331: 결합홈 340: 용접공
400: 승강부 410: 모터
420: 스프라켓 430: 체인
440: 가이드샤프트 441: 이동체
450: 샤프트 500: 도어
510: 도어구동부 600: 카세트
610: 프레임 620: 후크
700: 가이드부

Claims (10)

  1. 몸체;
    유리 기판을 열처리하기 위한 처리 용액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진입구가 형성되는 배스챔버;
    상기 배스챔버와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상기 배스챔버 상부에 배치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출입구가 형성되는 투입챔버;
    유리 기판을 적재할 수 있는 카세트;
    상기 투입챔버, 및 상기 배스챔버 간에 상기 카세트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부;
    상기 진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드판; 및
    상기 배스챔버의 상기 처리 용액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
    를 포함하는 강화유리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출입구의 하부로부터 출입구의 전면, 및 출입구 내측의 배스챔버 상부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판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진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판은,
    상기 슬라이드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베어링
    을 더 포함하는 강화유리 제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도어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강화유리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
    상기 투입챔버 내측에 배치되는 샤프트; 및
    일측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개 스프라켓에 맞물리는 체인
    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한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봉형상을 가지고, 상기 몸체 일측에 결합되는 가이드샤프트;
    상기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도록 끼움 결합되되고, 상기 체인의 타측에 연결되는 이동체; 및
    상기 샤프트가 끼움 결합되는 안내봉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안내봉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상기 유리 기판을 적재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상부에 한 쌍의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카세트는 상기 슬라이드판에 적재되어 이송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샤프트에 의해 후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제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판에는, 상기 슬라이드판의 이동 시 상기 안내봉에 걸리지 않도록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제조 장치.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으로 긴 판형상을 가지는 열변형방지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변형방지판에는 슬릿 형상의 결합홈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끼리 끼움 결합되어 상기 열변형방지판이 격자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열변형방지판은 상기 슬라이드판, 및 상기 도어의 내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변형방지판은 상기 슬라이드판, 및 도어의 내면 일측에 용접 결합되고, 내면 타측에 상기 열변형방지판과 통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용접공을 통하여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제조 장치.
KR1020120016808A 2012-02-20 2012-02-20 강화유리 제조 장치 KR20130095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808A KR20130095413A (ko) 2012-02-20 2012-02-20 강화유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808A KR20130095413A (ko) 2012-02-20 2012-02-20 강화유리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413A true KR20130095413A (ko) 2013-08-28

Family

ID=4921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808A KR20130095413A (ko) 2012-02-20 2012-02-20 강화유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54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380B1 (ko) * 2019-03-06 2019-06-12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용 개폐도어
KR101995323B1 (ko) * 2019-03-12 2019-07-04 주식회사월드텍 원형 배치구조를 가지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US20220002193A1 (en) * 2020-07-06 2022-01-06 Samsung Display Co., Ltd. Strengthened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Strengthened Glass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445395B1 (ko) * 2021-12-09 2022-09-20 곽남석 글래스 강화로의 바스켓 투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380B1 (ko) * 2019-03-06 2019-06-12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용 개폐도어
KR101995323B1 (ko) * 2019-03-12 2019-07-04 주식회사월드텍 원형 배치구조를 가지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US20220002193A1 (en) * 2020-07-06 2022-01-06 Samsung Display Co., Ltd. Strengthened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Strengthened Glass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445395B1 (ko) * 2021-12-09 2022-09-20 곽남석 글래스 강화로의 바스켓 투입장치
WO2023106727A3 (ko) * 2021-12-09 2023-10-05 곽남석 글래스 강화로의 바스켓 투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26051A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tempered glass using chemical strengthen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142093B2 (ja) 強化ガラス製造装置の板ガラス積載用治具
KR101120262B1 (ko) 강화유리 제작을 위한 강화로 장치
KR100914628B1 (ko) 강화유리 제조 장치
KR102517955B1 (ko) 유리 물품을 이온 교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5413A (ko) 강화유리 제조 장치
KR101542224B1 (ko) 강화유리 제조장치의 노 개폐장치
KR101093947B1 (ko) 트롤리 컨베이어를 이용한 박판글라스 강화 열처리장치
KR101151949B1 (ko) 유리강화 열처리장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이송대차의 하부 개폐문 구조
KR101994791B1 (ko) 지그 승하강시 열손실 감소를 유도하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용 이송케이싱
KR101542223B1 (ko) 강화유리 제조장치의 지그 승하강장치
KR101988371B1 (ko) 지그 승하강시 열손실 감소를 유도하는 원형 배치타입의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KR101477261B1 (ko) 상부 이동형 강화유리 제조 장치
KR101995323B1 (ko) 원형 배치구조를 가지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KR102398105B1 (ko) 글래스 강화로 회전장치
KR101988367B1 (ko) 지그 승하강시 열손실 감소를 유도하는 승하강개폐도어부를 가지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KR101988380B1 (ko)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용 개폐도어
KR101995324B1 (ko) 공기공급부를 가지는 원형 배치타입의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KR101995321B1 (ko) 원형 배치구조를 가지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KR102630337B1 (ko) 서브 도어를 포함하여 열처리 챔버로의 흄 가스 유입을 차단하는 화학 강화로 및 이를 이용한 초박형 글라스의 강화 방법
KR20110088292A (ko) 강화유리 제조장치
KR101976070B1 (ko) 열효율의 증대가 가능한 강화 유리 제조장치용 이송케이싱
KR20150082142A (ko) 강화유리 제조장치에서 판유리 예열방법
KR102619490B1 (ko) 슬라이딩 도어로 인한 챔버 내부의 온도 변화가 개선된 글라스 화학 강화로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의 강화 방법
KR102625134B1 (ko) 복수의 열처리 챔버를 포함하여 공정 효율이 향상된 글라스 화학 강화 설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박형 글라스의 강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