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707A - 캐리어 결합을 가지는 핸드오버 - Google Patents

캐리어 결합을 가지는 핸드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707A
KR20130094707A KR1020127029577A KR20127029577A KR20130094707A KR 20130094707 A KR20130094707 A KR 20130094707A KR 1020127029577 A KR1020127029577 A KR 1020127029577A KR 20127029577 A KR20127029577 A KR 20127029577A KR 20130094707 A KR20130094707 A KR 20130094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user device
carrier
handover
radio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3289B1 (ko
Inventor
게르트-잔 반 리에샤우트
데르 벨데 힘케 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1007869.9A external-priority patent/GB2479601B/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94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캐리어 결합을 가지는 핸드오버가 제공된다. 셀 및 캐리어 주파수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장치 및 소스 무선 접속 노드 사이에 통신을 위해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주 컴포넌트 캐리어(primary component carrier) 및 적어도 하나의 부 컴포넌트 캐리어(secondary component carrier)를 포함하는, 복수의 캐리어 주파수들 및 복수의 셀들을 가지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을 위해, 소스 무선 접속 노드로부터 타겟 무선 접속 노드로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은, 상기 소스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을 위한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도록 제1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을 위해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도록 제2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리어 결합을 가지는 핸드오버{HANDOVER WITH CARRIER AGGREG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 결합을 채택한 무선 네트워크의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핸드셋과 같은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가 기지국들의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링크들 또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다른 무선 접속 포인트들을 통해 통신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다수의 세대의 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급격한 발전을 겪어 왔다. 아날로그 변조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초기 배치는 전형적으로 GERA(GSM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Radio Access)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2세대(2G) 디지털 시스템에 의해 대체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은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와 같은 3세대(3G) 디지털 시스템에 의해 교체되거나 또는 증강되었다. 3세대 표준들은 2세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큰 데이터의 처리량을 제공한다. 이러한 추세는 E-UTRA(Evolved UTRA)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제안들과 함께 지속되었다. LTE 시스템의 3GPP는 앞선 표준들에 비해 큰 용량 및 추가 피처들을 잠재적으로 제공한다. IEEE 802.16에 대한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와이맥스(WiMax) 시스템 또한 이전 표준들보다 향상된 것을 제공한다.
LTE 및 WiMax와 같은 현대 무선 네트워크들은 전형적으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과 같은 변조 포맷을 채택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에 적용되며, 기지국(3GPP 용어에서 eNB(E-UTRA Network Node B))과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 사이의 링크들에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사용자 단말을 기지국에 연결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는 하나의 캐리어로부터 할당된다. 그 개선책으로서, 보다 더 많은 용량 및 무선 리소스의 보다 더 유연한 할당을 제공하기 위해 2 이상의 캐리어들을 결합하는 것이 제안된다. 또한 캐리어 결합은 TE 또는 WiMax 이외의 무선 시스템들에 의해 채택될 수도 있다.
방법 및 장치는 캐리어 결합을 채택한 무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지원하도록 요구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셀 및 캐리어 주파수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장치 및 소스 무선 접속 노드 사이에 통신을 위해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주 컴포넌트 캐리어(primary component carrier) 및 적어도 하나의 부 컴포넌트 캐리어(secondary component carrier)를 포함하는, 복수의 캐리어 주파수들 및 복수의 셀들을 가지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을 위해, 소스 무선 접속 노드로부터 타겟 무선 접속 노드로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소스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을 위한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도록 제1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을 위해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도록 제2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타겟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두 번째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의 이득은 즉, 타겟 무선 접속 노드가 후보 주파수들 및/또는 셀들에서 리소스 이용 가능성과 관련된 정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을 위해 상기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을 위한 셀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스 무선 노드에서 주 컴포넌트 캐리어 구성을 위해 셀을 선택하는 것의 이득은 보안 키 유도에 관해 주 컴포넌트 캐리어의 역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소스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을 위한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을 위한 셀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셀의 부가 선택에서 고려되는 것을 이득으로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선택된 셀과 관련된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로 상기 소스 무선 접속 노드로부터 측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선택된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캐리어 주파수와 관련된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로 상기 소스 무선 접속 노드로부터 측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정보는 정보의 아이템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며, 각 아이템은 셀 및 캐리어 주파수의 조합과 관련되며, 그리고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정보의 각 아이템에 대해 신호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순서대로 상기 리스트의 상기 아이템들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상기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을 위한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을 위한 셀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캐리어 주파수의 셀들 또는 셀과 관련된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로 상기 소스 무선 접속 노드로부터 측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라 복수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가지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을 위한 사용자 장치로부터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지시자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시자는 측정 보고가 상기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의해 요구되는 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캐리어 주파수와 관련된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트리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및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를 전달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 외에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적어도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측정 보고가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 이외의 캐리어 주파수에 적어도 관련되도록 요구되는 것을 지시한다.
이는 사용자 장치가 상기 지시자의 수신에 대응하는 캐리어 결합에 적합한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캐리어 주파수들의 측정들을 포함한다. 이는 추가 측정들이 취해지도록 요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베스트 셀이 식별되지 않는 다고 판단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를 제외한다.
이는 그들이 베스트 셀의 지시와 관련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측정 보고가 핸드오버 프로세스의 일부 측면에 의해 요구되지 않는 측정들을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외는 신호들이 적어도 이웃하는 셀에서 측정되는지 여부에 기초한다. 이는 베스트 셀을 결정하기 위해 서빙 셀에 대한 이웃하는 셀의 신호들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측정 보고는 신호들이 오직 서빙 셀로부터 측정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제외한다. 신호들이 서빙 셀로부터 측정되는 캐리어 주파수들은 베스트 셀을 결정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든 캐리어 주파수들의 측정들을 포함한다. 이는, 단순한 지시자가, 요구되는 캐리어 주파수들을 나열하는(listing) 시그널링 리소스들을 사용할 필요 없이, 사용자 장치가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든 캐리어 주파수들이 측정 보고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측정 보고에 포함되는 각 캐리어 주파수를 위해 선택된 셀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보고에 각 선택된 셀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각 선택된 셀은 각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베스트 셀이다. 이는 베스트 셀이, 핸드오버의 지원에 있어 유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에 대해 지시되어 질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결정된 측정 양의 측정에 기초하여 각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선택된 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측정 양은, 하나 이상의 측정 양이 각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구성되면, 수신된 신호 파워이다. 이는 어떤 측정 양(즉, 전형적으로 신호 양 또는 신호 강도의 측정)이 베스트 셀이 될 수 있는, 선택된 셀을 선택하도록 사용되어야 하는지 명확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결정된 측정 양의 측정들에 기초하는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복수의 선택된 셀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선택된 셀들은 상기 결정된 측정 양의 측정들로부터 유도되는 순서로 상기 측정 보고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순서는 선택된 셀들의 상대적인 가치를 네트워크에 나타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베스트 셀은 리스트 상에 첫 번째 나타낼 수 있다. 이 정보는 예를 들면 핸드오버 준비를 위해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측정 보고의 측정들을 포함하도록 요구되는 캐리어 주파수들의 지시를 포함한다. 이는 네트워크가 이의 요구 사항에 따라 측정 보고의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셀들의 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선택된 셀들과 관련된 상기 측정 보고에서 측정들을 포함하도록 요구되며, 각 캐리어 주파수를 위한 상기 선택된 셀들의 수는 상기 셀들의 수 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는 상기 사용자 장치 및 상기 무선 접속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측정 보고가 제2 양이 아닌 제1 양의 측정을 포함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치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 장치가 다중 양들을 이용할 수 있다면, 측정 보고에 요구되는 양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측정 보고가 제1 양의 측정들을 포함하는지 또는 제2 양의 측정들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의 존재하는 구성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측정 보고에 포함시기키 위한 양을 지시하기 위한 시그널링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이득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의해 요구되는 측정 양을 지시하며, 상기 무선 접속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와 관련된 제2 양의 측정이 아닌 제1 양의 측정을 포함한다. 네트워크가 다중 양들이 이용될 수 있다면, 측정 보고에 네트워크에 의해 요구되는 양만을 포함되어야 하는 것을 사용자 장치에게 지시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양은 수신된 신호 파워와 관련되며, 상기 제2 양은 수신된 신호 양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양은 수신된 신호 양과 관련되며, 상기 제2 양은 수신된 신호 파워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임계치의 지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측정 결과에 따른 상기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라, 복수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가지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을 위한 사용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처리되도록 한다: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시자는 측정 보고가 상기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의해 요구되는 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캐리어 주파수에 관련된 측정 결과에 따라 트리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및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를 전달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로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처리되도록 한다.
상기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 외에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적어도 관련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셀 및 캐리어 주파수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될 수 있고, 통신을 위해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주 컴포넌트 캐리어(primary component carrier) 및 적어도 하나의 부 컴포넌트 캐리어(secondary component carrier)를 포함하는, 복수의 캐리어 주파수들 및 복수의 셀들을 가지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을 위해,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측정 식별자에 링크되는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전에 사용자 장치를 구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측정은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의 이웃하는 주파수에서 제2 캐리어 주파수의 양을 가지는 상기 부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상기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제1 캐리어 주파수에서 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하는 단계; 및
핸드오버에 따라, 그리고 핸드오버 후 주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상기 제2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1 측정 식별자와 링크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치를 재구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측정은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에서 양을 가지는 상기 부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상기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상기 제2 캐리어 주파수에서 양을 포함하는,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재구성이 시그널링 요구사항을 최소로 하여,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접속 네트워크로부터 통신에 따라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 이외의 캐리어 주파수에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장치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라, 셀 및 캐리어 주파수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될 수 있고, 통신을 위해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주 컴포넌트 캐리어(primary component carrier) 및 적어도 하나의 부 컴포넌트 캐리어(secondary component carrier)를 포함하는, 복수의 캐리어 주파수들 및 복수의 셀들을 가지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을 위한 사용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측정 식별자에 링크되는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전에 사용자 장치를 구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측정은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의 이웃하는 주파수에서 제2 캐리어 주파수의 양을 가지는 상기 부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상기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제1 캐리어 주파수에서 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하는 단계; 및
핸드오버에 따라, 그리고 핸드오버 후 주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상기 제2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1 측정 식별자와 링크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치를 재구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측정은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에서 양을 가지는 상기 부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상기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상기 제2 캐리어 주파수에서 양을 포함하는,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 및 이득들은 예시적인 방법에 의해서만 제공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타겟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두 번째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의 이득은 즉, 타겟 무선 접속 노드가 후보 주파수들 및/또는 셀들에서 리소스 이용 가능성과 관련된 정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컴포넌트 캐리어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핸드오버 동안 시그널링 단계들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측정 객체의 연결 및 측정 식별자에 대한 구성의 보고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측정 구성의 예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자체적인 업데이트 후 측정 구성의 예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구성의 예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적인 업데이트 후 측정 구성의 예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사용자 장치의 기능 블록들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무선 접속 노드의 기능 블록들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이제, E-UTRA 네트워크와 관련된 것으로서, E-UTRA/LTE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콘텍스트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실시예들은 IEEE802.16 WiMax 시스템과 같은,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을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들을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들은 특정 무선 접속 기술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릴리즈 8/9의 LTE 규격들에서) LTE 시스템들의 초기 배치들, 사용자 장치는 전형적으로 단지, 하나의 주파수, 즉 하나의 캐리어 상에서, 하나의 셀에 연결된다. 캐리어 결합(carrier aggregation)의 도입으로, 이 상황은 변경된다. 그리고 사용자 장치는 하나의 주 컴포넌트 캐리어(PCC, Primary Component Carrier) 및 하나 이상의 부 컴포넌트 캐리어(SCC, Secondary Component Carrier)들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의 적합한 지속이 인트라 LTE 핸드오버(intra-LTE handover), 즉 하나의 LTE 셀로부터 다른 LTE 셀로 핸드오버에서 처리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주 컴포넌트 캐리어가 변경되어야 할 지, 만약 그렇다면 어떤 노드가 어떤 컴포넌트 캐리어가 새로운 주 컴포넌트 캐리어가 될지를 결정할 지,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무엇을 수행할 지, 즉 그들이 지속되거나 해제되거나 또는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의해 교체될 지, 그리고 그러한 캐리어 결합 핸드오버에서 사용자 장치에 구성되는 측정 구성으로 무엇을 수행할 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컴포넌트 캐리어 결합을 특징짓는(featuring) 무선 접속 네트워크 2를 보인다. 2개의 무선 접속 노드들이 도시되며, 전형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eNB(EUTRAN node B)들이며, 이는 이로부터 사용자 장치(4)가 핸드오버 될 수 있는 소스 무선 접속 노드(6a), 및 이것으로 무선 접속 노드가 핸드오버 될 수 있는 타겟 무선 접속 노드(6b)이다. 소스 eNB(6a)는, 보인 바와 같은, 관련된 커버리지 섹터(8a)를 가진다. 그리고 타겟 eNB(6b)는 보인 바와 같은 관련된 커버리지 섹터들(8b 및 8c)을 가진다. 각 커버리지 섹터에서, 주파수 f1, f2 또는 f3이 이용될 수 있다. 셀은 특정 주파수에서 사용되는 커버리지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캐리어 결합을 채택한 시스템에 적용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득을 설명하기 위하여, 핸드오버 절차들이, 예컨대 LTE 릴리즈 8/9 시스템들과 같은, 캐리어 결합을 채택하지 않는 시스템에 대해 먼저 설명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종래의 시스템들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연결된 모드에 있는(또는, 정확히 RRC_CONNECTED 상태가 되는) 사용자 장치의 이동성을 제어한다. 즉, 네트워크는 사용자 장치가 어떤 셀(또한 서빙 셀로도 나타내는)과 무선 연결을 유지해야 할지를 결정한다. 네트워크는 전형적으로 하나의 셀, 서빙 셀로부터 다른 셀, 타겟 셀로 사용자 장치가 이동하도록 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적용한다. 네트워크는 전형적으로, 사용자 장치가 무선 품질(radio quality)에 기초하여 전형적으로 연결해야 하는 셀 및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을 결정한다. 하지만, 이는 또한 다른 팩터들, 예컨대, 셀 부하, 사용자 장치 성능들, 수립된(수립되고 있는) 비어러(bearer)들의 형식을 고려할 수 있다. 핸드오버 결정 프로세스들을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는 통상적으로, 서빙 주파수, (인터-프리퀀시 측정(inter-frequency measurement, 주파수간 측정)으로 나타내어지는) 다른 E-UTRA 주파수들, (인터-RAT 측정(inter-RAT measurement, 무선 접속 기술 간 측정)으로 나타내어지는)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들에 대한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장치를 구성한다.
LTE 네트워크에 있어서, 하나의 LTE 셀에서 다른 LTE 셀로 핸드오버(즉, 인트라-LTE(intra-LTE) 핸드오버)하는 2개의 형식이 존재할 수 있다.
X2 핸드오버는 높은 성능과 단순 절차를 가지지만, 소스 및 타켓 eNB 사이에 직접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대안적으로, S1 핸드오버는 다소 낮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보다 복잡할 수 있지만, 소스 및 타켓 eNB 사이에 직접 인터페이스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면, S1 링크를 통해).
이제, X2 핸드오버가, 캐리어 결합이 도입되면 도출될 수 있는 단점들을 보여주기 위해 캐리어 결합을 채택하지 않은 시스템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유사한 단점들이 S1 핸드오버의 경우에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X2 및 S1 핸드오버 양자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전체 X2 핸드오버 절차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며, 도 2는 인트라-MME/서빙 게이트웨이 핸드오버를 도시한다. 특히, 핸드오버 절차의 관련된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단계 2에서, 사용자 장치는 측정 보고 트리거 기준에 맞는 이웃하는 셀을 검출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소스 eNB로 전송한다. 제공된 측정 정보 및 소스 eNB에서 제공된 다른 인식 내용(knowledge)에 기초하여, 소스 eNB는 이제 핸드오버 준비를 시작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4에서, 소스 eNB가 핸드오버 준비를 시작하면, 소스 eNB는 타겟 eNB로 핸드오버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 message)를 전송할 것이다. 이 메시지는 핸드오버준비정보 메시지(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message) 내의 핸드오버 준비 정보를 전달하며,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치 무선 접속 성능; 현재 무선 접속(즉, 접속 계층(AS; access stratum)) 구성; 무선 자원 관리(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구성; 즉, 오직 주로 RRM을 위해 사용되는 eNB에 의해 유지되는 정보. 정보의 사용은 eNB 구현에 따른다; 무선 접속(AS; Radio Access) 콘텍스트, 즉, eNB에 의해 유지되고, 무선 인터페이스에 걸쳐 교환되지 않은 정보, 예컨대,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 및 타겟 셀 식별자(target cell identification).
단계 6에서, 타겟 eNB가 핸드오버를 수락하면, 이는 무선 리소스들을 예약하고, 타겟 셀에서 사용자 장치에 의해 사용되기 위한 무선 접속 구성(radio access configuration)의 세부사항을 결정한다. 이 구성은 핸드오버 요청 수락(HANDOVER REQUEST ACK) 메시지 내에서 소스 eNB로 리턴된다. 이 메시지는 핸드오버명령(HandoverCommand) 메시지 내의 무선 접속 구성을 전달한다. 핸드오버명령 메시지는 다시 RRC연결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달한다.
E-UTRA 내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때, 이 메시지는 타겟 셀에서 사용되기 위한 무선 접속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메시지는 델타(delta), 즉 소스 셀에서 사용되는 구성과 비교한 차이에 의해 표현되는 측정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타겟 eNB는 측정 구성에서 변화들을 지시한다.) 또한, 이 메시지는 (셀 식별자를 사용하여) 타겟 셀 식별자를 특정할 수 있는 이동성 제어 정보 및 특징(만약, 소스 셀에서 사용된 것과 다르다면, 즉 델타(delta)로서, 주파수, 대역폭, 및 추가 스펙트럼 방사 정보), 타겟 셀에서 사용되기 위한 새로운 무선 접속 식별자, 셀 특정 무선 리소스 구성(모든 사용자 장치들에 공통), 타겟 셀에서 초기 접속에 사용되는 전용 리소스들 및 사용자 장치가 타겟 셀에 연결을 시도하는 기간을 제한하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는 또한 소스 셀에서 사용되는 구성과 비교한 차이인, 델타로도 표현되는, 사용자 장치 특정 무선 리소스 구성(즉, 전용 무선 구성), 및 무선 접속 보안 키들의 유도를 유발하는 파라미터들(즉, 새로운 베이스 키가 사용될 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 및 모든 핸드오버에 대해 증가되는 카운터)과 함께, 소스 셀에서 사용되는 것과 차이가 있다면, 즉 그 알고리즘들인, 보안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7 단계에서, 소스가 핸드오버를 계속할 때, 이는 실행 페이즈(execution phase)를 시작할 수 있다. 이는, RRC연결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에 전달하는 소스 eNB를 포함한다. 즉, 이는 메시지 콘텐츠들 변경하지 않는다. 소스는, 하지만, 메시지의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타겟 셀에 대해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9, 10 단계). 그리고 사용자 장치는 RRC연결재구성완료(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리턴한다.
LTE에서 종래의 측정 구성의 설명 및 핸드오버에서 이 구성의 핸드오버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제공될 것이다. 종래에, LTE 측정 모델은 3 개의 메인 컴포넌트들로 구성된다: 첫째, 측정 식별자, 이는 측정 객체에 대한 측정 보고 구성을 연결한다; 둘째, 측정 객체, 이는 어떤 RAT 형식의 셀들의 세트를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LTE 주파수 상의 모드 셀들, UMTS 주파수들 상의 셀들의 리스트, CSM 셀들/주파수들의 리스트, 등); 및 셋째, 측정 보고 구성, 이는 사용자 장치가 측정 보고를 트리거 해야 할 때와 함께 사용자 장치가 이 보고에 포함시켜야 하는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측정 보고 구성은, 보고가 개별 이벤트, 예컨대, 이웃하는 셀이 현제 서빙 셀 보다 임의의 오프셋 이상 좋아지는, 이벤트 A3이 발생하는 경우에 트리거 되야 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이는 사용자 장치가, 즉, 베스트(bes) 셀 우선인, 측정 결과를 위해 구성 가능한 수의 셀들을 (최대 구성 가능한 수의 횟수까지) 정기적인 간격(regular intervals)으로 제공하는 경우에, 주기적인(periodical) 보고가 적용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장치에서 종래의 측정 구성의 예를 보인다. 이는 다중 객체들에 대한 하나의 보고 구성을 연결하는 것 그리고 동일한 객체들에 대해 다중 보고 구성들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스마트한 연결 측정 객체들 및 측정 보고 구성 다중 횟수들에 의해,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최소화될 수 있다. 예컨대, 단지 기존의 보고 구성에 대한 기존의 측정 객체를 연결하는 새로운 측정 식별자를 정의하는 것에 의해, 새로운 측정이 정의된다.
핸드오보에서 측정 구성 관련 시그널링을 제한할 수 있는 종래의 메커니즘은 “객체 스와핑(object swapping)"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객체 스와핑과 함께, 서빙 셀의 주파수가 변경되면, 즉 서빙 셀이 객체1의 이전 부분이었고 핸드오버 후 새로운 서빙 셀이 객체2의 부분이면, 핸드오버 명령에서 수신된 측정 구성 업데이트를 고려하여 사용자 장치는 자체적으로 재연결한다(re-link). 특히, 사용자 장치는 새로운 서빙 주파수에 대해 구 서빙 주파수와 이전에 관련된 모든 측정 식별자들을 및 구 서빙 주파수에 대해 새로운 서빙 주파수와 이전에 관련된 모든 측정 식별자들과 재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이 프로세스의 결과를 보이며, 도 5는 도 2의 측정 모델을 도시한다. 하지만, 사용자 장치의 자체 업데이트 후, 핸드오버 전 서빙 셀은 측정 객체1(주파수1)에 대응한다고 가정한다. 반면, 핸드오버 후, 서빙 셀은 측정 객체2(주파수2)에 대응한다고 가정한다. 이 객체 스와핑과 함께, (명시적인 시그널링 없이) 대부분의 중요한 측정들, 즉 새로운 서빙 주파수에서 서빙 주파수에 대한 인트라 주파수 이동성(intra-frequency mobility)을 위한 측정이 계속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캐리어 결합을 채택하지 않는 시스템과 관련된 종래의 핸드오버 프로세스가 설명되었고,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캐리어 결합을 채택한 시스템에 관련되어 설명될 것이다. 캐리어 결합(CA; carrier aggregation)과 함께 사용자 장치는 다중 캐리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이들 ‘서빙 주파수들’ 각각에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intra-frequency measurements)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 장치는 예컨대, 구성된 컴포넌트 캐리어(CC)/비 구성된 컴포넌트 캐리어를 가지는 서빙 주파수/이웃하는 주파수를 비교하는 인터 주파수 측정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는 다음의 구성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f1은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사용되며, 반면, 주파수 f2는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사용된다. 사용자 장치는 f1 및 f2 양자 모두에서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 장치는 즉, f3 상에 이웃하는 셀들과 f1 상의 서빙 셀을 비교하는, f2에서 인터 주파수 측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이 캐리어 결합과 관련될 수 있다. 2개의 객체들에 대한 연결(link)은 서빙 주파수 및 이웃하는 주파수들 양자 모두를 지시하도록 요구되어질 수 있다. 서빙 주파수를 지시하는 다른 방법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 6에 사용된 점선은 이러한 특정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캐리어 결합을 가지는 LTE 측정 구성의 예를 보인다.
캐리어 결합 없이, 사용자 장치는 단지 전형적으로 하나의 주파수, 즉 하나의 캐리어에서 하나의 셀에 연결된다. 캐리어결합의 도착과 함께 이는 변경된다. 즉, 사용자 장치는 하나의 주 컴포넌트 캐리어(PCC) 및 하나 이상의 부 컴포넌트 캐리어(SCC)들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다음의 이슈들이 다루어질 수 있다: 주 컴포넌트 캐리어가 변경될 지 여부, 만일 그렇다면, 어떤 노드가 어떤 컴포넌트 캐리어가 새로운 주 컴포넌트 캐리어가 될지를 결정할 것인지; 부 컴포넌트 캐리어들의 것으로 무엇이 행해질 것인지, 즉 그들은 계속되거나 해제되거나 또는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의해 교체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캐리어 결합 핸드오버(CA-handover)에서 사용자 장치에서 구성되는 측정 구성으로 무엇이 행해질 것인지;
종래의 비 캐리어 결합 핸드오버 시퀀스는 캐리어 결합을 채택하는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몇몇의 제한들을 가진다.
첫째, 사용자 장치 측정 보고를 고려하면, 어떤 측정 보고(앞서 보인 핸드오버 시컨스의 2 단계)에서도, 사용자 장치는 하나의 객체/주파수/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셀들에 관련된 측정 결과들을 단지 보고할 수 있다. 이는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처리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네트워크에서 제공할 수 없다.
둘째로, 핸드오버 후에 사용되는 캐리어들 및 타겟 셀들의 결정을 고려하면, 소스 eNB는, 도 6에서 보인 핸드오버 시퀀스의 4 및 6 단계들에서 타겟 셀을 결정할 수 있고, 타겟 eNB에 대해 추가 측정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캐리어 결합으로, 종래에는, 어떤 타겟 셀(들)이 결정되는지 또는 어떻게 타겟 셀(들)이 결정될지, 어떤 새로운 주 컴포넌트 캐리어가 결정되는지 또는 어떻게 새로운 주 컴포넌트 캐리어가 결정될지, 그리고 어떤 추가 부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결정되는지 또는 어떻게 추가 부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결정될지, 정의할 수 없다.
셋째로, 사용자 장치에 의한 자체 측정 구성 업데이트를 고려하면, “객체 스와핑”은 단일-캐리어 동작에서 소스 및 타겟 주파수들에 대해 특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지시된 핸드오버 관련 문제들을 다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와핑은 구성들에서 다중 캐리어들을 가지는 구성들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일부는 계속될 수 있고, 일부는 추가될 수 있고, 그리고 일부는 핸드오버 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측정 보고를 고려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는 캐리어 상의 셀들과 관련된 측정 결과들에 더하여, 추가 LTE 캐리어들 상에서 얻어지는 측정 결과들 또한, 측성 보고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EUTRAN은, 사용자 장치가 현재 측정하는 모든 주파수들을 포함할 수 있는지 여부 측정의 리포팅 구성 내의 단일 온/오프(on/off) 지시자에 의하여 사용자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만약 설명되면, 사용자 장치는 그 셀을 위한 이용 가능한 측정 결과와 함께 베스트(best, 최적) 셀을 각 고려되는 주파수에 대해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다중의 양들이 고려되는 셀에 대해 이용 가능하면, 사용자 장치는 그들 모두를 간단하게 포함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장치가 다른 트리거 양들을 가지는, 개별 주파수에 대해 다중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면, 여전히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치가 어떤 셀이 베스트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어떤 양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 실시에에서, 시스템은 측정 보고가 추가의 주파수들을 포함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순 온/오프 제어를 채택한다. 가장 단순한 것은, 예를 들면, 장치 규격에서 양의 규격을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 장치의 구성에서(수신된 신호 파워 또는 수신된 신호 품질과 같은) 측정 양을 고정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다른 양들이 고려되는 주파수를 위해 구성되는 경우를 위해, 사용자 장치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양에 따라 베스트 셀을 결정한다. 이는 또한, 그러한 경우, 사용자 장치는 단지 RSRP 양에 대한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것으로 특정될 수 있다. 즉, 측정 양은, 수신된 신호 양에 관련된 제2 양, 양들 모두에 대해서라기보다는, 수신된 신호 파워에 관련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장치가 추가 측정들을 수행할 필요를 회피하기 위해서, 사용자 장치가 현재 측정한 모든 주파수들에 대한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보고가 존재하지만, 수행되는 추가 측정들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 측정 보고는 사용자 장치가 측정한 각 주파수 상의 베스트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장치가 그 주파수 상의 가장 강한 셀을 결정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주파수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려되는 주파수는 추가 측정 보고의 일부가 아닐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이벤트 A1 형식”으로 알려진 측정들과 같은, 단지 서빙 셀을 고려하는 측정들에 대해 적용한다.
사용자 장치가 주파수 상에서 가장 강한 셀을 결정하도록 하는 측정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첫째, 형식 “A3"의 측정들, 이는 측정된 양이 동일한 주파수에서 소스 셀(즉, 구성된 셀)의 그것 보다 나은 오프셋을 가지는 개별 주파수 상에 이웃하는 셀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둘째로, 이벤트 “A4"의 측정들, 이는, 그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구성된 특정된 임계치 이상인 측정된 양을 가지는 개별 주파수 상에 이웃하는 셀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셋째로, 이벤트 “A5" 형식의 측정들, 이는, 개별 주파수 상에서 서빙 셀(즉, 구성된 셀)의 측정된 양이 제1 임계치 이하이고, 동시에 측정된 양이 다른 임계치 이상인 동일한 주파수 상의 이웃하는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트리거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캐리어 주파수와 관련된 측정 결과에 따라 사용자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트리거 및 지시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따라, 측정 보고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로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측정 보고는 트리거가 기초되는 캐리어 주파수 이외의 캐리어 주파수에 적어도 관련될 수 있다. 즉, 캐리어 결합을 위해 사용될 가능성이 있거나, 사용되는 캐리어 주파수들은 측정 보고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보고를 트리거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지 캐리어들 중 하나에 기초할 수 있다.
지시자는 측정 보고가 제1 캐리어 주파수 이외의 캐리어 주파수에 적어도 관련되도록 요구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지시자는 캐리어 결합에 관련된 측정이 요구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측정 보고는 전형적으로 사용자 장치가 측정을 위해 구성되는 캐리어 주파수들의 측정을 포함할 것이다. 즉, 전형적으로 측정 보고는 네트워크로부터 측정 보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기 전 사용자 장치가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측정들을 이용할 것이다. 측정 보고는 베스트 셀이 식별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제외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는 그러한 주파수들 상의 정보는 핸드오버의 지원에 있어 유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외는 신호들이 적어도 이웃하는 셀에서 측정되는지 여부에 기초할 수 있다. 왜냐하면, 측정이 단지 서빙 셀 상에서 수행되면, 이는 베스트 셀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정 보고는 신호들이 단지 서빙 셀로부터 측정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제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 보고는 사용자 장치가 측정하도록 구성된 모든 캐리어 주파수들의 측정들을 포함한다. 왜냐하면, 이는 시그널링의 최소화를 구현하는 단순 스킴이기 때문이다. 사용자 장치는 상기 측정 보고에 포함되는 각 캐리어 주파수에 대한 베스트 셀과 같은, 선택된 셀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정보는 핸드오버의 지원에 유용할 수 있다. 각 캐리어 주파수에 대한 선택된 셀은, 전형적으로 수신된 신호 파워 또는 수신된 신호 양인, 결정된 측정 양의 측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에서 구성된 양이 사용될 것이지만, 하나 이상의 측정 양이 각 캐리어 주파수를 위해 사용자 장치에서 구성되면, 수시된 신호 파워에 기초한 양이 디폴트(default)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장치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캐리어 주파수를 위해 몇몇 선택된 셀들은 결정된 측정 양의 측정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셀들은 결정된 측정 양의 측정들로부터 유도되는 순서로 측정 보고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스트 셀들이 먼저 포함될 수 있다. 이 정보는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시자(indicator)는 사용자 장치가 측정 보고에서 측정들에 포함되도록 요구되는 캐리어 주파수들의 지시(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지시자는 측정 보고에 포함된 선택된 셀들의 수의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캐리어 주파수를 위해 선택된 셀들의 수는 셀들의 수이거나, 또는, 셀들의 수 보다 적은 수이다. 예를 들면, 측정 보고는 최대로 캐리어 주파수 당 베스트 셀들의 수를 포함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측정된 캐리어 주파수는 사용자 장치와 무선 접속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캐리어 주파수는 통신을 위한 미래 사용에 대한 후보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상기 측정 보고는 제2 양의 아닌 제1 양의 측정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측정들은 예를 들면, 수신된 파워 또는 수신된 신호 양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측정 보고는 제1 양의 측정을 포함할지 또는 제2 양의 측정을 포함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의 존재하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에 기초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시자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의해 요구되는 측정 양을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임계치의 지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임계치를 초과하는 측정 결과에 따라 측정 보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EUTRAN이 추가 측정 보고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는 메시지에서 지시자에 의해, 사용자 장치를 구성할 때,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장치가 주파수의 가장 강한 셀을 결정하도록 하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장치가 구성되는 각 주파수의 베스트 셀(들)의 측정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더욱 강화된 제어 옵션들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각 경우에 있어서, 지시자는 사용자 장치에서 요구되는 측정 구성을 지시하는 사용자 장치에서 수신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EUTRAN은 사용자 장치가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어떤 주파수들이 측정 보고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즉 어떤 주파수들이 요구되는 추가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구성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EUTRAN은, 주파수에 대해 측정된 결과들이 다중 셀들에 이용할 수 있으면, 사용자 장치가 N 베스트 셀들에 대해 추가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의, 숫자 N을 구성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르면, EURTAN은, 사용자 장치가 다중 양들이 이용 가능하면, 추가 측정 정보의 일부로 고려되는 양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의, 양을 구성할 수 있다.
제6 실시예에 따르면, EUTRAN은 사용자 장치가 단지 측정된 결과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셀들에 대한 추가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의, 임계치를 구성할 수 있다.
‘추가 측정 보고’는 인트라 LTE 핸드오버를 이외의 경우들 및 시나리오들에서 유용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핸드오버 후에 사용되는 캐리어들의 결정을 고려하면, 캐리어 결합을 채택하지 않은 시스템들에서, 타겟 셀 주파수 및 “L1" 식별자는 전형적으로 소스 eNB가 타겟 eNB에 대해 준비하는 보안키로 입력된다. 소스 eNB는 타겟 셀을 선택하기 때문에, 따라서 타겟 셀의 식별자(특히, “L1" 식별자) 및 주파수을 인지하며, 이 정보는 소스 셀에 대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추가로, 이 정보는 또한 핸드 오버 후 사용자 장치에 대해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치는 동일한 보안 유도를 수행할 수 있다.
캐리어 결합을 채택한 시스템들에서 유사한 유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보안 키 유도를 위해 입력으로 그 셀의 L1 식별자 및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소스 eNB는 핸드오버 후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인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장치는 보안 키 유도를 위해 동일한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될 셀을 인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악성(malicious) 소스 eNB가 타겟 eNB에서 사용되는 키들을 위한 키 유도를 다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 후 구성되지 않은 셀로부터 L1 식별자/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핸드오버는 사용자 장치가 현재 구성되는 것 보다 나은 셀을 보고하는 것에 의해 바람직하게 트리거된다. 이는 소스 eNB가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결정하도록 만든다. 캐리어 결합을 채택하지 않은 시스템들에서, eNB는 사용자 장치에 대해 구성된 주파수들/컴포넌트 캐리어들 중 하나 상의 서빙 셀 보다 이웃하는 셀이 나아진 것을 반영하는, 단일 측정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있다. 즉, eNB는 핸드오버에 대한 레퍼런스로 하나의 주파수/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기지국은 모든 주파수들/컴포넌트 캐리어들을 고려하는 추가 정보를 얻기 위해, 문제 1에 대한 앞선 논의에서 나열된 해결책들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치 측정 보고(들)에 기초하여, 소스 eNB는 핸드오버 후 감지할 수 있는 주 캐리어를 결정하기에 좋은 위치에서 있을 수 있다. 즉, 현재 주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계속할 수 있거나, 다른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eNB는 핸드오버 후 어떤 것이 주 컴포넌트 캐리어가 될 지, 그리고 어떤 셀이 주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사용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소스 eNB는 핸드오버 준비의 일부로 타겟 셀 및 타겟 eNB에 대해 선택된 주 컴포넌트 캐리어를 지시한다.
소스 eNB는 잠재적인 핸드오버 타겟 셀들/주파수들의 리소스 상황 및 부하의 완벽한 개요를 가질 수 없을 수도 있다. 이는 소스 eNB가 어떤 캐리어들이 핸드오버 후 부 컴포넌트 캐리어들로 구성될지 결정하는 데에 있어 이롭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eNB는 핸드오버 후 어떤 주파수들을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eNB는 핸드오버 준비 동안 타겟 eNB로 (앞서 설명된 첫 번째 내지 여섯 번째 실시예들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측정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어떤 셀이 부 컴포넌트 캐리어들로 선택될지에 대하여, 실시예들은 적어도 2개의 옵션들을 채택할 수 있다: 첫째로, 소스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보고되는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셀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둘째로, 타겟은 소스 eNB에 의해 전달되는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첫 번째 옵션은 소스 eNB가 타겟 셀을 고려한 측정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 두 번째 옵션은 소스 eNB가 고려되는 주파수들 상에서 다중 셀들의 측정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후자는 또한 사용자 장치에 의한 측정 보고에 영향을 미친다. 즉, 사용자 장치는 또한 두 번째 옵션을 수용하기 위해 다중 셀들에 관해 보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두 번째 옵션은 추가 시그널링 및 추가 복잡도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를 들면, 어떤 셀을 사용할지를 결정할 때 어카운트로 셀 부하를 고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옵션들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eNB는 주 컴포넌트 캐리어의 역할을 할당받은 것 이외의 사용자 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주파수들 상에서 타겟 셀을 선택한다. 즉, 주 컴포넌트 캐리어의 역할을 할당받지 않은 주파수들에 대해, 소스 eNB는 타겟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소스 eNB가, 타겟 셀이 어떤 주파수들이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될지 결정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각 주파수 상에 타겟 셀들을 위한 측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스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츠정된 결과들을 제공하거나, 또는, 소스는, 예컨대, 베스트 셀 우선과 같이, 핸드오버 준비 정보에 포함되는 타겟(주파수, 셀 조합)의 순서에 의한, 측정 정보를 묵시적으로(implicitly)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eNB는 선택된 타겟 셀을 위해, 사용자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두 번째 옵션에 따르면, 타겟 eNB는 주 컴포넌트 캐리어의 역할이 할당된 것 이외의 사용자 장치에 의해 측정된 주파수들 상에서 타겟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소스 eNB는 고려되는 주파수들 상에서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타겟 셀들을 위해, 사용자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옵션들에 따르면, eNB는, 즉, 잠재적인 타겟들의 목록에서 엔트리들을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에 의해, 측정 정보를 묵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옵션 b의 경우에 있어서, 순서는 2 레벨들, 즉, 주파수들의 레벨에서 첫 번째, 그리고 주파수 상 셀들의 레벨에서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eNB는 즉, 핸드오버 준비 정보에 포함된 나열된 타겟들(주파수, 셀 조합들)의 순서에 의해, 측정 정보를 묵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스트 타겟은 리스트에서 첫 번째로 나타난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옵션들은 상호간에 동시에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소스는 일부 주파수들 상에 셀들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 타겟은 다른 주파수들 상에서 셀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것들은 사용자 장치에 의해 어떤 측정 정보도 제공되지 않는 것이다.
사용자 장치에 의한 자체적인 측정 구성 업데이트를 고려하면, 주 컴포넌트 캐리어는 이동 관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컴포넌트 캐리어가 될 수 있다. 이는 추정의 관점에서, 전형적으로 주 컴포넌트 캐리어 상의 무선 연결이 없어질 때, 사용자 장치는 재수립(re-establishment)을 수행할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동일한 것이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들(부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해 발생될 때, 주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 통신은 여전히 지속될 수 있음으로 어떤 과감한 동작들도 취해지지 않을 수 있다. 주 컴포넌트 캐리어 상의 연결을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약, 구성되었다면, 바람직하게, 주 컴포넌트 캐리어 상의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은, 핸드오버 후 즉시 계속된다. 이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 및 타겟 eNB는 다중 캐리어들이 구성될 때, 핸드오버 및 재수립에 대해 자체적인 객체 스와핑을 바람직하게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오버 및 재수립에 대해,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을 위해, 사용자 장치 및 타겟 eNB는 핸드오버 후 주 컴포넌트 캐리어(즉, “새로운 주 컴포넌트 캐리어(new primary 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는 측정 객체에 대해 핸드오버 전 주 컴포넌트 캐리어(즉, “구 주 컴포넌트 캐리어(old primary 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는 측정 객체에 연결되는 어떤 측정 식별자를 바람직하게 자체적으로 재연결(re-link)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의 변형으로, 핸드오버 및 재수립에 대한,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을 위해, 사용자 장치 및 타겟 eNB는 구 주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는 측정 객체에 대해 새로운 주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는 객체에 연결되는 어떤 측정 식별자를 바람직하게 자체적으로 재연결한다.
인터 주파수 측정들을 위해, 객체 스와핑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이웃 주파수가 서빙 주파수가 되는 어떤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인터 주파수 측정들을 위해, 객체 스와핑이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즉, 측정은 이전 서빙 주파수에 대해 재 연결된다(re-linked). 바람직하게, 객체 스와핑은 고려되는 주파수들이 스와핑되면 적용될 수 있다. 즉, 구성되지 않은 컴포넌트 캐리어와 서빙/구성된 컴포넌트 캐리어(‘구 서빙(old serving)’)를 비교하는 측정이 존재한다. 구 서빙은 구성되지 않은 컴포넌트 캐리어가 된다. 그리고 구 구성되지 않은 컴포넌트 캐리어는 서빙/구성된 컴포넌트 캐리어가 된다.
조합된 실시예가 다음이 전형적으로 적용되는, 도 6에 도시된 예에 의해 도시될 수 있다.
핸드오버 전, 사용자 장치는 다음의 구성을 사용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주파수 f1은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사용되며, 한편 주파수 f2는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사용된다; 그리고 사용자 장치는 f1 및 f2 양자 모두에서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 장치는 f3에서 즉, f3과 f1 상의 서빙을 비교하는, 인트라 주파수 측정을 수행한다.
핸드오버는 다음의 구성의 결과로 수행된다: 주파수 f3은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사용되며, 한편, 주파수 f2는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어 유지된다; 사용자 장치는 f2 및 f3 양자 모두에서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 장치는 즉, f1 상의 이웃들과 f3의 서빙을 비교하는, f1에서 인트라 주파수 측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객체 스와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f1(구 주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인트라 주파수 측정은 실시예 3.2 및 3.3에 따라, f3(새로운 주 컴포넌트 캐리어)에 재연결된다; 그리고 f3에서 이웃들과 f1에서 서빙을 비교하는 인터 주파수 측정들은 재연결된다. 따라서 이는 f1에서 이웃들과 f3에서 서빙을 비교한다.
도 7은 객체 스와핑 후, 캐리어 결합을 가지는 예시적인 LTE 측정 구성을 보인다.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자체적인 업데이트를 보다 제한하는 것은 이득이 될 수 있다. 즉, 다른 부 컴포넌트 캐리어들 또는 다른 캐리어들에 관련된 재연결을 특정할 필요는 없다. 즉, 사용자 장치 및 타겟 eNB는 앞서 실시예에서 커버된 것 이외의 자체적인 재연결을 바람직하게 수행하지 않는다. EUTRAN은 이러한 주파수들/캐리어들을 위한 어떤 재구성을 수행하기 위해 묵시적인 시그널링 바람직하게 적용한다.
도 8은 측정 구성 및 연속된 측정 보고에 대한 메시지 교환의 실시예의 개요를 제공한다. 이는 도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도 8에 도시된 특정 메시지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을 참조하면, 소스 eNB는 사용자 장치가 1 단계에서, 필드 measConfig를 포함하는 RRC연결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이, reportConfigToAddModList의 엔트리의 일부를 포함한다.
첫째, reportAdditionalFreqInfo: 이는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서 처럼,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장치가 측정하도록 구성된 모든 주파수들의 추가 측정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 또는, 어떤 주파수가 사용자 장치가 측정하도록 구성된 것이지를 나타내는 필드를 가진다. 사용자 장치는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추가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reportAdditionalMaxCells: 만약 포함된다면, 사용자 장치는 이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제한 N을 가지는, N 베스트 셀들을 보고할 수 있다. 만약 포함되지 않았다면, 사용자 장치는 단지 베스트 셀만을 보고할 수 있다.
셋째, reportAdditionalQuant: 만약 포함되고, 만약 사용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양에 이용할 수 있는 측정 결과를 가진다면, 사용자 장치는 단지, 이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양에 대한 결과들을 보고할 수 있다.
넷째, reportAdditionalThresh: 만약, 포함된다면, 사용자 장치는 단지, 측정된 결과가 이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임계치를 초과하는 셀들에 대한 추가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의 2 단계에서, 추가 측정 보고가 구성되는 측정에 대한 트리거 조건이 만족될 때, 사용자 장치는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보고(MeasurementRepor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측정 보고의 필드들은 additionalMeasInfo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첫 번째 리스트된 베스트 주파수를 가지는, 주파수들의 리스트에 대한 측정 결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주파수에 대해, 사용자 장치는 첫 번째 리스트된 베스트 주파수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셀들의 리스트를 위한 측정 결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셀에 대해, 사용자 장치는 아무것도(즉, 순서 이외에 어떤 측정 정보도 필요하지 않을 때) 또는 하나 이상의 양들에 대한 이요할 수 있는 측정된 결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드오버 상에서 메시지 교환의 개요를 제공한다. 보여지는 메시지들은 설명을 위한 목적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보여진 메시지들의 사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소스 eNB는 1 단계에서,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를 타겟 eNB에 전송하는 것에 의해, 핸드오보 절차를 바람직하게 시작한다. 메시지는 핸드오버준비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한다. 이는 캐리어 결합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들을 위한 다중 컴포넌트 캐리어들의 계속된 사용을 지원하도록 릴리즈 10에서 확장된다.
소스 eNB는 어떤 주파수가 이 주파수 상의 타겟 셀과 함께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될지를 바람직하게 결정한다.
다른 주파수들을 위해, 소스 eNB는 바람직하게, 타겟 셀을 지시하거나, 또는, 주파수 상의 베스트 셀들을 위한 측정 정보를 제공한다. 측정 결과는 주파수 별로 첫 번째 리스트된(주파수 상에 베스트 셀에 따라 랭크된(ranked)) 베스트 주파수가 제공된다.
도 9의 1 단계의 필드 “pcc-Info”는 어떤 주파수가 이 주파수 상의 타겟 셀과 함께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사용될지를 지시한다. 이 지시는 EUTRAN 시그널링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존재하는 필드, 예컨대, 타겟 셀 식별자(ECGI)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필드 “otherCC-Info”는, 앞서 참조된 첫 번째 옵션에 따라, 타겟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는 주파수들의 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는 타겟 셀 식별자를 제공할 수 있고, 주파수들이 즉, 베스트 타겟 우선으로, 나열된(listed) 순서에 의해 묵시적으로 될 수 있는, 타겟 셀에 대한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앞서 설명딘 바와 같은 두 번째 옵션에 따르면, 필드 “otherCC-info”는 타겟 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주파수들의 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필드는, 주파수들이 즉, 베스트 타겟 우선으로, 나열된(listed) 순서에 의해 묵시적으로 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타겟 셀들에 대한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면, 타겟 eNB는 수락 제어(admission control)를 수행하고, 타겟 셀에서 리소스들을 예약하며, 그리고 RRC연결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준비한다. 타겟 eNB는 도 9의 2 단계에서 소스 eNB로 리턴되는, 핸드오버 요청 수락(HANDOVER REQUEST ACK) 메시지에 RRC연결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포함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eNB는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소스에 의해 지시되어지는 주파수(및 대응하는 셀)를 구성한다. 타겟 eNB는 소스 eNB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고려하여, 어떤 주파수들을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할지를 결정한다.
타겟 eNB는 RRC연결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준비할 수 있고, RRC연결재구성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에 전달하는 소스 eNB로 준비된 RRC연결재구성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RRC연결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장치는 부 컴포넌트 캐리어(들)와 함께 주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 지시된 타겟 셀로 핸드오버를 시작할 수 있다. 이 절차의 일부로, 사용자 장치는 RRC연결재구성 메시지에 타겟 eNB에 의해 포함된 필드들에 따라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장치가 주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 랜덤 접속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핸드오버가 성공한 것으로 간주된다.
타겟 셀과의 연결을 성공적으로 수립하면, 사용자 장치는 RRC연결재구성완료(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바람직하게 전송한다.
도 10은 사용자 장치의 상위 레벨 모델을 보인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블록들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일반 제어는 계층 3 프로토콜(layer 3 protocol), 즉,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의 준비 및 전송과 함께 수신, 처리를 다룰 수 있다. 측정 유닛은 EUTRAN에 의해 구성되는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보안 유닛은 관련된 키 유도들과 함께, SRB(Signalling Radio Bearer)들에 대한 무결성 보호, 모든 RB(Radio Bearer)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접속 유닛은 무선 접속 프로토콜들의 계층 1 및 2를 다룰 수 있다.
특히, 기능 블록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일반 제어 유닛은 추가 측정 정보를 보고하기 위해 reportConfigToAddModList 내의 새로운 필드들의 수신을 다룰 수 있고, 측정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측정 유닛은 일반 제어 유닛으로 보고되는 정보에 관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추가 측정 보고가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측정 유닛은 일반 제어 유닛에 제공되는 보고에서 추가 주파수들을 고려하는 측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eNB의 상위 레벨 모델을 보인다. 다음은 적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영향을 미치는 기능 블록들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사용자 장치 제어는 계층 3 무선 접속 프로토콜, 즉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의 준비 및 전송과 함께 수신, 처리를 다룰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유사한 기능들을 다룰 수 있다; 측정 제어는 사용자 장치 및 eNB에서 측정 기능들의 구성을 다룰 수 있다; 보안 제어는 무선 접속의 보안 기능들, 즉, 무결성 보호 및 암호화의 구성을 다룰 수 있다; 그리고 무선 리소스 제어는 무선 접속 프로토콜들의 계층 1 및 2의 구성을 다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이 eNB의 다수의 기능 블록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제어 유닛은, 측정 제어 유닛 및 이동성 제어 유닛과의 관련된 인터렉션(interaction)과 함께, 측정보고(MeasurementReport) 메시지 내의 추가 측정 정보의 수신 및 reportConfigToAddModList 내의 새로운 필드들의 전송을 다룰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는 이동성 제어 유닛(예컨대, 타겟 측: 어떤 부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구성될지 결정) 및 측정 제어 유닛(예컨대 타겟 측: 객체 스와핑)과의 관련된 인터렉션과 함께, 이러한 필드들(타겟 측)의 수신 및 핸드오버준비정보(HandoverPreparationInformation) 메시지 내의 새로운 필드의 전송을 다룰 수 있다. 이동성 제어 유닛을 고려하면, 소스 측은 주 컴포넌트 캐리어를 결정하고, 고려되는 주파수 상의 타겟 셀을 선택할 수 있다. 더욱이, 소스는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들(타겟 셀, 측정 정보, 가능한 묵시적으로)을 고려하는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타겟 측은 어떤 주파수들을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할지(그리고 가능한, 어떤 셀들을 이들 주파수들에 사용할지)를 결정한다. 타겟 측은 또한 핸드오버의 성공적인 완료(주 컴포넌트 캐리어가 성공적으로 수립)를 검증한다. 측정 제어 유닛을 고려하면, 소스 측은 언제 사용자 장치가 추가 측정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타겟 eNB는 측정 구성의 스와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9의 메시지 흐름도에 보인 바와 같은 핸드오버에 관련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재수립(re-establishment)을 연결하는 것에 대해 적용될 수도 있다. 재수립 연결에 앞서 핸드오버 준비는 핸드오버에 대한 그것과 유사하다. 즉, 주 컴포넌트 캐리어 및 부 컴포넌트 캐리어에 관해 소스로부터 타겟으로 제공되는 정보는 동일하다. 사용자 장치는 즉, 소스 eNB에 의해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선택되지 않은 주파수 상의 셀을 포함하여, 동일한 타겟 eNB 하의 어떤 셀 상에서도 재수립을 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연결 수립과 같이, 타겟은 단지 단일 주파수 상의 무선 통신을 재수립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고려되는 주파수는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간주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측정 및 무선 리소스 구성들은 임시로 중단되며, 모든 관련된 구성 부분들은 유지되고, 첫 번째 후속 재구성 메시지에서 델타의 근거로 사용된다. 핸드오버에서 수행된 오브젝트 스와핑하는 유사한 측정은 또한 재수립에서도 수행된다. 이는 또한 ‘중단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업데이트된 측정 구성의 결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다음의 이득들을 가질 수 있다. 첫째로, 사용자 장치가 예컨대, 특정한 배치의 경우들에 최적화된 다른 트리거 기준과 같이, 어떤 특정한 사항들을 도입함이 없이 이동성 시나리오의 큰 다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일반 수단을 도입하는, 보고를 트리거하는 주파수들을 이외의 측정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옵션. 추가 측정 보고는 핸드오버에 다음에 즉시, 다중/가장 적합한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사용하는 것을 계속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강화된 제어들이, 예컨대, 주파수들의 지시, 셀들의 수, 양을 보고하는 것, 최소 임계치와 같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추가로 조정하거나/최적화하도록 도입될 수 있다.
둘째로, 메커니즘은 기존의 핸드오버 및 보안 원칙들을 보존하도록 특정될 수 있다. 소스에 의해 결정되는, 주 컴포넌트 캐리어를 (개별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하고, 보안 키 유도에 사용되는 입력을 정의하는) 주 주파수/셀로 간주하면, 반면, 부 컴포넌트 캐리어는 추가 무선 리소스로 간주되고, 타겟 eNB에 의해 결정된다. 다른 시그널링 옵션들은 예컨대, 리스트 내의 순서에 의해 측정 정보를 묵시적으로 시그널링하는 것으로 커버된다.
셋째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리어 결합을 커버하는 메커니즘을 특정할 수 있다. 주요 측면은 주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인트라 주파수 측정들이 지속된다. 즉, 이들 측정들은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간주된다. 왜냐하면, 고려되는 주파수는 통신에서 필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해, 유사한 객체 스와핑은 비 캐리어 결합 시스템에 대해 제안될 수 있다. 이는 무선 연결을 유지하는 데에 있어 덜 중요하지만,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eNB(6a)는 각 주파수에서 타겟 셀을 선택할 수 있고, 어떤 주파수가 주 컴포넌트 캐리어가 될지 결정할 수 있다. 타겟 eNB(6b)는 어떤 주파수가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될지 결정할 수 있다. 소스 eNB(6a)는 다중 주파수들에 대한 측정 정보를 타겟 eNB(6b)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타겟 eNB(6b)는 어떤 주파수가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될지 결정할 대 이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즉, EUTRAN은 보고, 즉, 추가 주파수 결과의 전송이 트리거되는 것을 이외로 측정된 주파수들의 측정 결과들을 포함하도록 사용자 장치(4)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4) 및 타겟 eNB(6b)는 최소 시그널링을 가지는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할당된 주파수 상에 측정들의 지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정 객체들의 연결과 관련된 측정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장치는, 다른 객체들의 연결이 변경되지 않을 때(즉, EURTAN이 묵시적 시그널링을 사용한다.), 이전 그리고 새로운 주 컴포넌트 캐리어의 객체를 스와핑할 수 있다. 상술한 바는 EUTRAN이 적합한 세트의 주 컴포넌트 캐리어 및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사용자 장치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핸드 오버 후 즉시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하나의 실시예들에 관련되어 설명된 어떤 특징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설명된 다른 특징들과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그리고 어떤 다른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과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어떤 다른 실시예들의 어떤 조합이 될 수도 있다. 더욱이, 앞서 설명되지 않은 동등한 것 및 수정된 것은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채택될 수도 있다.
4: 사용자 장치 6a: 소스 eNB
6b: 타겟 eNB 10: MME
12: 서빙 게이트웨이 14: 일반 제어
16: 측정 유닛 18: 보안 유닛
20: 무선 접속 유닛 22: 사용자 장치 제어
24: 이동성 제어 26: 보안 제어
28: 측정 제어 30: 무선 리소스 제어
3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

Claims (33)

  1. 셀 및 캐리어 주파수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장치 및 소스 무선 접속 노드 사이에 통신을 위해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주 컴포넌트 캐리어(primary component carrier) 및 적어도 하나의 부 컴포넌트 캐리어(secondary component carrier)를 포함하는, 복수의 캐리어 주파수들 및 복수의 셀들을 가지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을 위해, 소스 무선 접속 노드로부터 타겟 무선 접속 노드로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소스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을 위한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도록 제1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을 위해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도록 제2 캐리어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을 위해 상기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을 위한 셀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을 위한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을 위한 셀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셀과 관련된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로 상기 소스 무선 접속 노드로부터 측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캐리어 주파수와 관련된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로 상기 소스 무선 접속 노드로부터 측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는 정보의 아이템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며, 각 아이템은 셀 및 캐리어 주파수의 조합과 관련되며,
    상기 방법은,
    정보의 각 아이템에 대해 신호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순서대로 상기 리스트의 상기 아이템들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순서는 각 아이템의 상기 신호 측정 파라미터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에서, 핸드오버 후, 상기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을 위한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와 통신을 위한 셀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어 주파수의 셀들 또는 셀과 관련된 상기 타겟 무선 접속 노드로 상기 소스 무선 접속 노드로부터 측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9. 복수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가지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을 위한 사용자 장치로부터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시자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시자는 측정 보고가 상기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의해 요구되는 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캐리어 주파수와 관련된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트리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및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를 전달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 외에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적어도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측정 보고가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 이외의 캐리어 주파수에 적어도 관련되도록 요구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캐리어 주파수들의 측정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베스트 셀이 식별되지 않는 다고 판단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베스트 셀이 식별되지 않는 다고 판단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외는
    신호들이 적어도 이웃하는 셀에서 측정되는지 여부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신호들이 오직 서빙 셀로부터 측정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든 캐리어 주파수들의 측정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측정 보고에 포함되는 각 캐리어 주파수를 위해 선택된 셀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보고에 각 선택된 셀을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각 선택된 셀은
    각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베스트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결정된 측정 양의 측정에 기초하여 각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선택된 셀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측정 양은, 하나 이상의 측정 양이 각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구성되면, 수신된 신호 파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결정된 측정 양의 측정들에 기초하는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복수의 선택된 셀들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선택된 셀들은 상기 결정된 측정 양의 측정들로부터 유도되는 순서로 상기 측정 보고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21. 제9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측정 보고의 측정들을 포함하도록 요구되는 캐리어 주파수들의 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22. 제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셀들의 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선택된 셀들과 관련된 상기 측정 보고에서 측정들을 포함하도록 요구되며,
    각 캐리어 주파수를 위한 상기 선택된 셀들의 수는 상기 셀들의 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23. 제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는
    상기 사용자 장치 및 상기 무선 접속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도록 구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24. 제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가 제2 양이 아닌 제1 양의 측정을 포함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치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25. 제9항 내지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제1 양의 측정들을 포함하는지 또는 제2 양의 측정들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의 존재하는 구성을 이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26. 제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의해 요구되는 측정 양을 지시하며,
    상기 무선 접속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와 관련된 제2 양의 측정이 아닌 제1 양의 측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은 수신된 신호 파워와 관련되며,
    상기 제2 양은 수신된 신호 양에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28. 제24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은 수신된 신호 양과 관련되며,
    상기 제2 양은 수신된 신호 파워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29. 제9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계치의 지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측정 결과에 따른 상기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30. 복수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가지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을 위한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시자는 측정 보고가 상기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의해 요구되는 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캐리어 주파수에 관련된 측정 결과에 따라 트리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및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를 전달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로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처리되도록 하며,
    상기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 외에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적어도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들을 보고하는 방법.
  31. 셀 및 캐리어 주파수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될 수 있고, 통신을 위해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주 컴포넌트 캐리어(primary component carrier) 및 적어도 하나의 부 컴포넌트 캐리어(secondary component carrier)를 포함하는, 복수의 캐리어 주파수들 및 복수의 셀들을 가지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을 위해,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제1 측정 식별자에 링크되는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전에 사용자 장치를 구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측정은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의 이웃하는 주파수에서 제2 캐리어 주파수의 양을 가지는 상기 부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상기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제1 캐리어 주파수에서 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하는 단계; 및
    핸드오버에 따라, 그리고 핸드오버 후 주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상기 제2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1 측정 식별자와 링크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치를 재구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측정은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에서 양을 가지는 상기 부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상기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상기 제2 캐리어 주파수에서 양을 포함하는, 재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 네트워크로부터 통신에 따라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 이외의 캐리어 주파수에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장치를 재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33. 셀 및 캐리어 주파수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될 수 있고, 통신을 위해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주 컴포넌트 캐리어(primary component carrier) 및 적어도 하나의 부 컴포넌트 캐리어(secondary component carrier)를 포함하는, 복수의 캐리어 주파수들 및 복수의 셀들을 가지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을 위한 사용자 장치로서,
    제1 측정 식별자에 링크되는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전에 사용자 장치를 구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측정은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의 이웃하는 주파수에서 제2 캐리어 주파수의 양을 가지는 상기 부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상기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제1 캐리어 주파수에서 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하는 단계; 및
    핸드오버에 따라, 그리고 핸드오버 후 주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부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상기 제2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1 측정 식별자와 링크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치를 재구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측정은 상기 제1 캐리어 주파수에서 양을 가지는 상기 부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상기 주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상기 제2 캐리어 주파수에서 양을 포함하는, 재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
KR1020127029577A 2010-05-11 2011-04-27 캐리어 결합을 가지는 핸드오버 KR101783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007869.9 2010-05-11
GB1007869.9A GB2479601B (en) 2010-04-12 2010-05-11 Handover with carrier aggregation
PCT/KR2011/003115 WO2011142544A2 (en) 2010-05-11 2011-04-27 Handover with carrier aggreg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707A true KR20130094707A (ko) 2013-08-26
KR101783289B1 KR101783289B1 (ko) 2017-09-29

Family

ID=44924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577A KR101783289B1 (ko) 2010-05-11 2011-04-27 캐리어 결합을 가지는 핸드오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569979A4 (ko)
JP (1) JP2013526794A (ko)
KR (1) KR101783289B1 (ko)
CN (1) CN102948214B (ko)
AU (1) AU2011251152B2 (ko)
CA (1) CA2798930C (ko)
RU (1) RU2576385C2 (ko)
WO (1) WO20111425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9534B (en) 2010-04-12 2014-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over with carrier aggregation
WO2014015474A1 (en) * 2012-07-24 2014-01-30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Cell switching strategy for an lte-advanced system based on carrier aggregation technology
CN102917396B (zh) * 2012-09-17 2016-01-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于载波聚合系统的测量上报方法和设备
US9516512B2 (en) * 2012-09-25 2016-1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control plane and a user plan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338518B (zh) 2012-12-31 2016-12-28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rrc信令的方法、基站和系统
CN110086764B (zh) * 2013-09-11 2022-04-0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使能用于enb间的传输的安全通信的方法和系统
US9386460B2 (en) * 2013-12-02 2016-07-0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rrier aggregation deployment and organization in unlicensed bands
US9603074B2 (en) * 2013-12-16 2017-03-2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rrier channel selection in carrier aggregation enabled networks
KR102170402B1 (ko) 2014-01-29 2020-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CN105991255B (zh) * 2015-01-28 2019-04-23 中国移动通信集团广东有限公司 一种载波聚合的配置方法及装置
US10484979B2 (en) * 2015-02-27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Fast enhanced component carrier activation
EP3424240B1 (en) * 2016-03-04 2020-07-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frequency load balancing
EP3965327A1 (en) * 2016-10-28 2022-03-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witching from one ofdm mode having a certain numerology to another
CN108243450B (zh) * 2016-12-27 2021-07-16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方法和装置
US20200351729A1 (en) * 2019-05-02 2020-11-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Wireless resource configuration for simultaneous connectivity
CN112203331B (zh) * 2019-07-08 2021-11-1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方法及装置
CN114073033A (zh) * 2019-07-10 2022-02-18 诺基亚通信公司 用于载波聚合优化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63139T1 (de) 2002-09-10 2010-04-15 Spyder Navigations Llc Messungen in kommunikationssystemen
US7212821B2 (en) * 2003-12-05 2007-05-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ffs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453912B2 (en) * 2004-04-15 2008-11-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etween multiple carriers based on signal energy measurements
KR100696401B1 (ko) * 2004-11-29 2007-03-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부반송파별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JP4762680B2 (ja) * 2005-11-04 2011-08-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キャリア方法通知方法、周辺セル測定方法、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US8620328B2 (en) * 2006-03-21 2013-12-31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procedur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1547486B (zh) * 2008-03-24 2011-02-02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处理的方法、系统和装置
US8676208B2 (en) * 2008-06-11 2014-03-18 Mediatek Inc. Scanning and handover operation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BRPI1009480B1 (pt) * 2009-03-16 2021-01-26 Sun Patent Trust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 aparelho terminal, aparelho de estação base e método de comunicação sem fio
WO2011099634A1 (ja) * 2010-02-15 2011-08-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1122045A1 (ja) * 2010-03-31 2011-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76385C2 (ru) 2016-03-10
CN102948214A (zh) 2013-02-27
WO2011142544A2 (en) 2011-11-17
JP2013526794A (ja) 2013-06-24
CN102948214B (zh) 2016-11-23
CA2798930A1 (en) 2011-11-17
KR101783289B1 (ko) 2017-09-29
EP2569979A2 (en) 2013-03-20
WO2011142544A3 (en) 2012-03-01
CA2798930C (en) 2020-01-21
RU2012147810A (ru) 2014-05-20
AU2011251152B2 (en) 2015-09-17
EP2569979A4 (en) 2017-09-13
AU2011251152A1 (en)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1533B2 (en) Handover with carrier aggregation
KR101783289B1 (ko) 캐리어 결합을 가지는 핸드오버
US113886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reporting in carrier aggreg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0512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ity for cell having small cell service are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980159B2 (en) RRC re-establishment on secondary eNodeB for dual connectivity
EP30952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of special scell selection in dual connectivity
US20240089756A1 (en) User equipment and network node for configuring measurements of cells and bea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536859C1 (ru) Базовая радиостанция, ретрансляционная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US20180220303A1 (en) Radio station, radio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KR20150119327A (ko) Lte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단말 핸드오버
JP5624154B2 (ja) マイクロ基地局再構成のための方法、及び対応するマイクロ基地局
EP2627121B1 (en) A method for efficient mobility handl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