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616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616A
KR20130094616A KR1020120016008A KR20120016008A KR20130094616A KR 20130094616 A KR20130094616 A KR 20130094616A KR 1020120016008 A KR1020120016008 A KR 1020120016008A KR 20120016008 A KR20120016008 A KR 20120016008A KR 20130094616 A KR20130094616 A KR 20130094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main body
camera
mobil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욱
오형훈
김준태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6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4616A/ko
Publication of KR2013009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보안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가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촬영 기능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AMERA OPERA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단말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장착되어,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진이나 동영상촬영은 기업이나 연구소, 전시회와 같이 보안 유지가 필요한 곳에서는 금지사항이므로, 사용자는 기업이나 연구소, 전시회에 출입하는 경우, 카메라에 스티커를 붙이거나, 카메라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영상촬영이 제한되는 특정영역 내에서, 영상촬영과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가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촬영 기능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식별이 제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미리 설정된 이미지가 오버랩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촬영 이벤트에 응답하여 활성화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상에 위치하면, 상기 촬영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되지 않도록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 기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한영역 내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 상에 저장할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권한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본체의 식별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식별정보가 전송됨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권한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 받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권한과 관련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 영역에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 위치함을 알리는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상기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정보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매칭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출력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정보가 상기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상기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기 저장되거나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출력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복호화 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복호화 키가 입력됨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출력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서버로 출력권한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권한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결과,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권한이 없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모니터링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것을 차단시키고,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인증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한 촬영 이벤트에 응답하여,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제한영역에 대응되면, 상기 보안서버로 촬영권한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보안서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한영역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촬영권한이 있는지 인증하는 단계 및 인증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에서는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매칭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출력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정보가 상기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출력시키는 출력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정보가 상기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영역에서만 출력가능하도록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영역 내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케이블 통신을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고, 전자메일, 멀티 미디어 메시지 및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가 상기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케이블 통신, 전자메일, 멀티 미디어 메시지 및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은 영상촬영 이벤트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가 제한영역 내에 있는지 판단함으로써, 제한영역 내에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것을 차단시키거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소나 기업과 같은 보안 유지가 필요한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에 의해 영상이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은 촬영권한이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제3자에게 무단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 동작을 제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영상촬영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도 8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제한영역 내에서 영상을 촬영한 경우, 촬영된 영상을 암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a, 도 12b,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한영역에서 촬영된 사진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전자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 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시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100)(이하, '바디'라 한다)는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구비한다. 또한 바디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양단을 구비한다.
바디(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케이스는 전면(이하, '프론트 케이스'라 한다, 101)과 후면(이하, '리어 케이스'라 한다, 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100)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1)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마이크(122)는 바디(100)의 타단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 리어케이스(102)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 바디의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가(121')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 프론트 케이스에 장착된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2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음향 출력부(2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도 3a를 살펴보면,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3a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를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3a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3a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s(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로 송신하고, MSC(280)는,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와 연결하고, MSC(280)는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3b에서는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은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서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으로 단말기(100)의 위치정보가 요청되면,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100)에 접속된 무선 AP(310. 320, 330)의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Channel,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50)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추출된 무선 AP(310, 320, 330)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위치정보가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됨으로써,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임의의 무선 AP들의 정보(SSID. MAC Address, Channel, Signal Strength, Noise Strength 등)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350)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임의의 무선 AP의 정보와, 상기 무선 AP의 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값을 함께 매칭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350)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AP의 정보가 수집된 지점의 위치값은 GPS를 이용하여, 수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의 데이터베이스(350)에는 무선 AP정보 및 무선 AP에 대응되는 위치값이 매칭되어 있으므로,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단말기(100)에서 수집된 무선 AP의 정보와 대응되는 무선 AP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AP정보에 매칭된 위치값을 추출하여,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가 기 설정된 제한영역(또는 특정영역, 특정구역)내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촬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 동작을 제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영상촬영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단말기 본체(100)가 제한영역(30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촬영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기업이나 연구소, 전시회와 같이 보안 유지가 필요한 곳에서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이 촬영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단말기 본체(100)가 제한영역(30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촬영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기 본체(100) 일면에 구비된 카메라(121, 121')를 통해 영상이 촬영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촬영 이벤트는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를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홈 스크린 화면(200) 등에서,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 아이콘(204)을 선택하거나, 메뉴 화면에서,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이벤트는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 및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60, 도 1 참조)에 저장시키는 제어명령이 인가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촬영'아이콘(220) 또는 단말기 본체(100)에 구비된 촬영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부(130, 미도시됨)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또는 가압)되면, 상기 촬영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촬영 이벤트는 상기 제한영역 내에서 메모리(16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시키는 출력명령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말기 본체(100)가 제한영역(300, 도 4 참조) 내에 위치하면,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촬영 기능을 제한함으로써, 기업이나, 연구소 등은 카메라를 통해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촬영 기능'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활성화하거나, 상기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제한영역 내에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은 제한영역 내에 단말기 본체가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제한영역 내에서 저장된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기업 및 연구소 등은 카메라를 통해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영상촬영 이벤트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촬영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610). 여기에서, 촬영 이벤트는 앞서, 도 5와 함께 살펴본 것과 같이, 카메라를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홈 스크린 화면(200) 등에서,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 아이콘(204)을 선택하거나, 메뉴 화면에서,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및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60, 도 1 참조)에 저장시키는 제어명령이 인가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촬영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80)는 단말기 본체(100)가 도 4에서 살펴보았던 것과 같이, 제한영역(300, 도 4 참조)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620).
상기 판단부(182)가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300, 도 4 참조)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를 살펴보면, 판단부(182)는 위치정보부(115)를 통해 수집되는 위치정보와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된 제한영역(300)에 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본체(100)가 제한영역(300, 도 4 참조)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된 제한영역(300)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거나, 사용자가 특정건물에 진입하는 경우, 건물 내에 소속된 특정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한편, 위치정보부(115)는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도 3a 및 도 3b에서 살펴본,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또는 Wi-Fi를 이용하여,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판단부(182)가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300, 도 4 참조)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살펴보면, 한편, 판단부(182)는 제한영역(300, 도 4 참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한영역 상에서 상기 단말기 본체, 특히 무선 통신부(110, 도 1 참조)와 3G 무선신호, 4G 무선신호 또는 WiFi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특정서버(예를 들어, 보안서버)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 본체(100)가 상기 제한영역(300, 도 4 참조) 내에 진입하는 경우, 기지국 또는 보안서버는 상기 단말기 본체, 즉 무선 통신부(110)로 현재 단말기 본체가 제한영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판단부(182)는 외부로부터 무선신호를 통해 "단말기 본체가 제한영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전송되는 것에 근거하여, 단말기 본체가 제한영역(300, 도 4 참조)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상기 판단부(182)에 의한 판단결과, 단말기 본체가 제한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카메라(121 또는 121', 도 2a 및 도 2b참조)를 이용한 영상촬영 기능이 제한되도록 제어한다(S63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카메라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사용자가 식별하지 못하도록 이미지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단말기 본체가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182)에 의한 판단결과(S620), 단말기 본체가 제한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카메라(121 또는 121', 도 2a 및 도 2b참조)에 의해 영상이 촬영되도록 한다(S64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영상촬영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의 예들을 도면과 함께 살펴보면, 먼저, 도 7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홈 스크린(200)화면에서,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204)이 선택된다. 그러면, 판단부(182)는 상기 아이콘(204)의 선택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촬영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아이콘(204)에 대응되는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단말기 본체(100)가 제한영역(300, 도 4 참조)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본체(100)가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210)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식별이 제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8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영상(210)에 미리 설정된 이미지를 오버랩시킴으로써, 상기 영상(210)이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사용자에게 식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영상(210)과 오버랩되는 이미지는 특정패턴을 갖는 이미지일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의 대부분을 가리도록 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명령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어명령이 인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160, 도 1 참조)에 저장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제한영역 내에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도록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이해 '촬영'아이콘(220)이 선택되어, 상기 영상(210)을 저장하는 제어명령이 생성되는 경우에도,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210)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60)에 저장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제어부(180)는 도 7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에게 팝업창(240)을 출력하거나,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한영역 내에서 촬영이 제한됨'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이해 '촬영'아이콘(220)이 선택되어, 상기 영상(210)을 저장하는 제어명령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오버랩된 이미지를 상기 영상(210)과 함께 메모리(16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즉, 이 경우,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식별 불가능하도록 하는 오버랩 이미지와 함께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제한영역 내에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이 촬영(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에도, 촬영된 영상이 오버랩 이미지에 의해 식별되지 않으므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7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204)이 선택되어, 촬영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본체(100)가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카메라(121, 121')가 활성화되지 않도록, 카메라의 활성화 기능 자체를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어부(180)는 도 7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팝업창(240),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카메라 활성화 기능이 제한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단말기 본체가 영상촬영이 금지된 특정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특정구역 내에서 사진 또는 동영상이 촬영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단말기 본체가 제한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촬영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단말기 본체가 제한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촬영권한의 유무에 따라 영상촬영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도 8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810). 여기에서, 촬영 이벤트는 앞서, 도 5와 함께 살펴본 것과 같이, 카메라를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홈 스크린 화면(200) 등에서,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 아이콘(213)을 선택하거나, 메뉴 화면에서,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및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60, 도 1 참조)에 저장시키는 제어명령이 인가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촬영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80)는 단말기 본체(100)가 도 4에서 살펴보았던 것과 같이, 제한영역(300, 도 4 참조)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820).
상기 판단부(182)가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300, 도 4 참조)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를 살펴보면, 판단부(182)는 위치정보부(115)를 통해 수집되는 위치정보와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된 제한영역(300)에 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본체(100)가 제한영역(300, 도 4 참조)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된 제한영역(300)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거나, 사용자가 특정건물에 진입하는 경우, 건물 내에 소속된 특정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한편, 위치정보부(115)는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도 3a 및 도 3b에서 살펴본,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또는 Wi-Fi를 이용하여,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판단부(182)가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 9와 함께, 살펴보면, 한편, 판단부(182)는 제한영역(300)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한영역 상에서 상기 단말기 본체, 특히 무선 통신부(110, 도 1 참조)와 3G 무선신호, 4G 무선신호 또는 WiFi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기지국(base station, 500) 또는 특정서버(예를 들어, 보안서버. 600)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 본체(100)가 상기 제한영역(300, 도 4 참조) 내에 진입하는 경우, 기지국(500) 또는 보안서버(600)는 상기 단말기 본체, 즉 무선 통신부(110)로 현재 단말기 본체가 제한영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판단부(182)는 외부로부터 무선신호를 통해 "단말기 본체가 제한영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전송되는 것에 근거하여, 단말기 본체가 제한영역(300, 도 4 참조)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상기 판단부(182)에 의한 판단결과, 단말기 본체가 제한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외부서버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보안서버(600)로 상기 제한영역(300)에서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촬영권한을 요청한다(S830).
이 경우,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 도 1 참조)를 통해 상기 촬영권한과 관련된 요청 메시지와 함께, 상기 본체의 식별정보를 보안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의 식별정보는 단말기에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번호로서, IMEI(Interan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번호 및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번호 및 단말기 시리얼(serial) 번호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S830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촬영권한 요청 메시지가 보안서버(600)로 전송되면, 보안서버(6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서 영상을 촬영할 권한이 있는지를 인증한다(S840).
보안서버(600)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메모리 등에 저장된 인증관련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단말기가 촬영권한이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보안서버(600)에는 인증관련정보 즉, 제한영역 내에서 영상촬영이 가능한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 상기 보안서버(600)가 촬영권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와 함께 전송된 식별정보에 포함된 단말기의 고유번호와 미리 저장된 고유번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촬영권한을 인증한다.
비교결과, 상기 단말기의 고유번호와 일치하는 고유번호가 있는 경우, 보안서버(600)는 상기 단말기로 촬영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안서버(600)는 인증결과, 상기 단말기가 촬영권한이 있는 단말기인 경우, 촬영권한과 관련된 인증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S850).
또한,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상기 보안서버(60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인증결과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촬영 기능을 제어한다(S860).
즉, 제어부(180)는 인증결과, 촬영권한이 없는 경우, 앞서, 도 7a 및 7b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카메라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사용자가 식별하지 못하도록 이미지를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인증결과, 상기 단말기가 촬영권한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제한영역 내에서 촬영권한이 있는 경우,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촬영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제한영역 내에서 영상을 촬영한 경우, 촬영된 영상을 암호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1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홈 스크린(200) 화면에서,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204)이 선택된다. 그러면, 판단부(182)는 상기 아이콘(204)의 선택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촬영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아이콘(204)에 대응되는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단말기 본체(100)가 제한영역(300, 도 4 참조)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본체(100)가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외부서버로부터 촬영권한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가 제한영역 내에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권한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결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서 영상을 촬영할 권한, 즉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권한이 있는 경우, 도 1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 예를 들어, '촬영'아이콘(220)이 선택됨에 근거하여, 제어부(180)는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210)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메모리(160)에 저장하는 경우, 도 11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모리(160)에 기 저장되거나, 외부서버(또는 보안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한영역 내에서 촬영된 영상을 암호화함으로써, 상기 암호화된 영상을 이용할 권한이 없는 제3 자에게 상기 영상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11의 (b)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영상(210)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60)에 저장하는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위치정보부(115, 도 1 참조) 통해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수집된 위치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매칭시켜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는 출력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함으로써, 제한영역에서 촬영된 영상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한영역 내에서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메일, 메신저, 메시지 등을 통해 다른 단말기 또는 서버로 전송되지 못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1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가 촬영권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팝업창(211),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곳이 제한영역임을 알리는 정보를 팝업창(212),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일 영역에 상기 본체가 제한영역 내에 위치함을 알리는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한영역 내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2a, 도 12b,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한영역에서 촬영된 사진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앞서, 도 11의 (c)와 함께 살펴본 것과 같이,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예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일 예로서, 도 12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234)를 출력하는 출력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도 12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영상 데이터(234)를 복호화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복호화 키를 입력받는 화면(300)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화면(300)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234)를 복호화하는 것이 가능한 복호화 키(또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도 12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영상 데이터(234)에 대응하는 영상(310)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하는 출력명령에 응답하여,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복호화 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복호화 키가 입력됨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 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도 12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234)를 출력하는 출력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외부서버(또는 보안서버)로 상기 영상 데이터(234)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12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234)를 출력할 권한을 부여하는 승인정보가 수신되면, 도 12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310)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경우, 외부서버(또는 결재서버, 보안서버)로부터 승인이 있는 경우에만,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제한영역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을 복호화시키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만 복호화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앞서 살펴본 보안서버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는 보안서버에 미리 등록된 아이디(ID: identification number)와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의 (c)에서 살펴보았던 것과 같이, 위치정보가 함께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1의 (b)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상기 영상 데이터에 위치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는 출력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3a 의 (a) 및 도 13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234)를 출력하는 출력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는 상기 출력명령에 응답하여,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위치정보와 상기 영상 데이터(234)와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234)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100)가 제한영역(300)을 벗어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팝업창(240), 소리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이 출력되지 않음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3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100)가 제한영역(300) 내에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 데이터(234)의 출력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310)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고, 이를 저장시키는 제어명령이 인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위치정보부(110)를 통해 수집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매칭시켜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출력명령에 응답하여, 단말기 본체가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본체가 상기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가능하도록 상기 메모리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출력시키는 출력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정보가 상기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영역에서만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메모리를 제어한다.
일 예로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출력명령에 응답하여,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나아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거나, 케이블 통신을 통해 외부기기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나, 케이블 통신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거리가 제한적이므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매칭된 위치정보가 대응되는 영역 내에서만 외부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영역에서만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전자메일, 멀티 미디어 메시지 및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가 상기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케이블 통신, 전자메일, 멀티 미디어 메시지 및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단말기 본체가 상기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곳에서만 영상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제한영역 밖에서 영상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한영역 내에서 촬영된 영상이 복호화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다시 출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이 단말기의 기능에 의하여 캡쳐(capture) 또는 복사되지 않도록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앞서 도 9 및 도 10에서 살펴본 보안서버에 대하여 좀더 살펴보면, 상기 보안서버는 위에서 살펴본 제한영역 내에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이 촬영되는 것을 관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서버일 수 있다. 상기 보안서버에는 촬영권한을 갖는 단말기들의 고유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제한영역에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보안서버 상에 미리 단말기 고유번호를 등록해야 한다.
또한, 상기 보안서버에는 제한영역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들 및 상기 영상 데이터들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보안서버의 요청 등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안서버는 촬영권한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관리하고, 제한영역 내에서 촬영된 영상을 관리함으로써, 제한영역 내에서 영상이 무단으로 촬영되어,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은 영상촬영 이벤트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가 제한영역 내에 있는지 판단함으로써, 제한영역 내에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것을 차단시키거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소나 기업과 같은 보안 유지가 필요한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에 의해 영상이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은 촬영권한이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제3자에게 무단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0)

  1.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가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촬영 기능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식별이 제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미리 설정된 이미지가 오버랩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촬영 이벤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상에 위치하면, 상기 촬영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되지 않도록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한영역 내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 상에 저장할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권한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본체의 식별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식별정보가 전송됨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권한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권한과 관련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 영역에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 위치함을 알리는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상기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기 저장되거나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출력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복호화 키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복호화 키가 입력됨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출력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서버로 출력권한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권한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결과,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권한이 없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매칭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출력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정보가 상기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출력시키는 출력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정보가 상기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영역에서만 출력가능하도록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영역 내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케이블 통신을 통해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고,
    전자메일, 멀티 미디어 메시지 및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가 상기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케이블 통신, 전자메일, 멀티 미디어 메시지 및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가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인증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한 촬영 이벤트에 응답하여, 단말기 본체가 기 설정된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상기 본체가 상기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보안서버로 촬영권한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보안서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한영역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촬영권한이 있는지 인증하는 단계; 및
    인증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
KR1020120016008A 2012-02-16 2012-02-16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 KR20130094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008A KR20130094616A (ko) 2012-02-16 2012-02-16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008A KR20130094616A (ko) 2012-02-16 2012-02-16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616A true KR20130094616A (ko) 2013-08-26

Family

ID=4921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008A KR20130094616A (ko) 2012-02-16 2012-02-16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461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3268A (zh) * 2012-09-29 2013-01-16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对照片加密的方法及装置
WO2017014362A1 (ko) * 2015-07-21 2017-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0037005A (zh) * 2019-05-23 2019-07-23 北京中电慧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mesh组网的驱、诱鸟系统及方法
KR102271673B1 (ko) * 2020-09-29 2021-07-02 강준영 상호협력 기반 파파라치샷 촬영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538A (ko) * 2003-09-18 200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 촬영 방법
KR20050073870A (ko) * 2004-01-12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상제한방법 및 그에따른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538A (ko) * 2003-09-18 200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 촬영 방법
KR20050073870A (ko) * 2004-01-12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상제한방법 및 그에따른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3268A (zh) * 2012-09-29 2013-01-16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对照片加密的方法及装置
CN102883268B (zh) * 2012-09-29 2015-12-16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对照片加密的方法及装置
WO2017014362A1 (ko) * 2015-07-21 2017-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0037005A (zh) * 2019-05-23 2019-07-23 北京中电慧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mesh组网的驱、诱鸟系统及方法
CN110037005B (zh) * 2019-05-23 2023-10-31 北京中电慧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mesh组网的驱、诱鸟系统及方法
KR102271673B1 (ko) * 2020-09-29 2021-07-02 강준영 상호협력 기반 파파라치샷 촬영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682B1 (ko) 이동 단말기, 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공개 제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7867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KR10204611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8032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091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5893866A (zh) 截屏方法和装置
KR2011013371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282155B (zh) 一种终端间进行交互的权限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2013009461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카메라 동작 제어방법
KR10185243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2192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공유 방법
KR201400629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8550B1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5740728B (zh) 移动终端、数据加密或解密方法
KR20120081886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잠금 해제 방법
KR102123352B1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80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20075090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방법
KR2011001630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500393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764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CN105101188B (zh) 防止信息泄露的方法、系统和装置
KR20090049870A (ko) 무선랜 접속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KR2013007645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CN106358178B (zh) 一种智能修改账户信息的方法及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