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912A -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912A
KR20130093912A KR1020120015156A KR20120015156A KR20130093912A KR 20130093912 A KR20130093912 A KR 20130093912A KR 1020120015156 A KR1020120015156 A KR 1020120015156A KR 20120015156 A KR20120015156 A KR 20120015156A KR 20130093912 A KR20130093912 A KR 20130093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pplication
display device
applications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329B1 (ko
Inventor
한성우
이쌍수
조기형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329B1/ko
Priority to US13/750,348 priority patent/US9317240B2/en
Priority to CN201310049463.2A priority patent/CN103294339B/zh
Priority to EP13000758.6A priority patent/EP2629193A3/en
Publication of KR20130093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경우, 연결된 각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고,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중복 설치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가장 성능이 좋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 중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른 또는, 통신 사용 요금이 가장 저렴한, 또는 배터리 충전상태가 가장 양호한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영상표시기기에 기존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후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영상표시시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최근에는 영상표시기기를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영상표시기기에서 구동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영상표시기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작은 디스플레이화면을 영상표시기기의 큰 디스플레이화면에서 볼 수 있고,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영상표시기기에서 구동시켜 활용하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기존에는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그대로 보여주는데 그치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특정한 단말기에 실행시키기 위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제1 단말기에 설치되고, 제2 단말기에 설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제2 단말기에 설치하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와 단말기 연결의 해제 후,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정보를 이용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경우, 연결된 각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고,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중복 설치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업데이트 버전이 더 최신인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통신 속도가 더 빠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더 양호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정해진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 요금이 더 저렴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CPU 사용량이 더 적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일부가 중복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비교하여 상기 각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연결된 각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고,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중복 설치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 어느 단말기에서 실행시킬지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업데이트 버전이 더 최신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통신 속도가 더 빠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비교하여 상기 각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단말기와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의 기본 정보를 이용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가장 성능이 좋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 중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른 또는, 통신 사용 요금이 가장 저렴한, 또는 배터리 충전상태가 가장 양호한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하다.
셋째, 영상표시기기에 기존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후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조를 설명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영상표시기기(100)와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 충전상태가 좋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영상표시기기(100)와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하여 각 단말기에 설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조를 설명한 블록도이다.
영상표시기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네트워크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packet)들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망으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및 컨텐츠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는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60)(120)는 제어부(15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영상표시기기와 복수의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복수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각 단말기 별로 디스플레이부(160)의 영역에 구획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5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5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를 포함한 사용자 입력부(120)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5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5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영상 표시 기기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6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영상 표시 기기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에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는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e) 폰, GSM 폰, CDMA-2000 폰, WCDMA 폰과 같은 통상적인 이동 전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MBS(Mobile Broadcast System) 폰 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에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하고, 표시된 아이콘들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중복 설치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 어느 단말기에서 실행시킬지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에서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에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10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기기에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복수의 단말기가 연결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연결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한다(S103). 일 실시 예에서 연결된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이를 인식하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만을 표시할 수 있고, 연결된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라도 제어부(150)는 중복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모두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 예에서는 연결된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라도 각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60)에 모두 표시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표시기기에 복수의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제어부(150)는 각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각 단말기 별로 디스플레이부(160)의 영역을 구획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된 각 디스플레이부(160)의 영역에는 해당 단말기에 대한 기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본 정보는 단말기의 모델명, 통신 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들 중 하나의 아이콘을 사용자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선택받는다(S105). 제어부(15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각 단말기에 동시에 설치되어 있는 중복된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한다(S107). 제어부(150)는 각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된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각 단말기에 동시에 설치되어 있는 중복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50)는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를 결정한다(S109).
일 실시 예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에 대한 결정기준은 가장 성능이 좋은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할 수 있고, 가장 성능이 좋은 어플리케이션은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에 대한 결정기준은 가장 성능이 좋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성능이 좋은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르거나, 통신 장애의 발생 정도가 가장 낮은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실시간으로 각 단말기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여 가장 성능이 좋은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에 대한 결정기준은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선택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에 제1 단말기(200)와 제2 단말기(300)가 동시에 연결되고, 제1,2 단말기 각각에 동일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2개의 동일한 제1 어플리케이션 중 자신의 선택에 의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는, 두 개의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두 개 이상의 단말기가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경우도 포함된다.
일 실시 예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에 대한 결정기준은 각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기초로 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각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고려하여 충전상태가 가장 좋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00)의 배터리 충전 비율이 90%이고, 제2 단말기(300)의 배터리 충전 비율이 50%인 경우, 제1 단말기(200)의 배터리 충전 상태가 더 양호하기 때문에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도중, 제1 단말기(200)의 배터리 충전 비율이 20% 정도로 감소한 경우,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를 통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시키고, 제2 단말기(30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1,2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20%는 예시에 불과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비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각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각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확인하여 충전상태가 양호한 단말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에 대한 결정기준은 현재 이용하는 통신 방식의 사용 요금이 더 저렴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00)가 현재 이용하는 통신 방식이 무선랜(WIFI)이고, 제2 단말기(300)가 현재 이용하는 통신 방식은 3G망을 이용한 셀룰러 네트워크인 경우, 무선랜의 경우가 3G망을 이용한 셀룰러 네트워크인 경우보다 사용 요금이 더 저렴하기 때문에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제1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표시기기와 제1,2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1,2 단말기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통신 방식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어느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와 제1,2 단말기가 연결될 시에 저렴한 사용 요금이 부과되는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기가 어느 단말기 인지 팝업창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팝업창을 확인하여 사용 요금이 더 저렴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어 단말기의 사용 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에 대한 결정기준은 CPU 사용량이 적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에 제1 단말기(200)와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되고, 제1 단말기(200)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2 단말기(300)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고 가정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다. 이 때, 제1 단말기(200)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 사용자가 제1 단말기(200)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외의 작업을 수행하면, 제1 단말기(200)의 데이터 사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제어부(150)는 이를 인식하여, 제1 단말기(200)를 통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시키고, 제2 단말기(300)를 통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도록 제1,2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결정된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11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화면을 끄거나 켤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끄거나 켜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각 단말기에 동시에 설치되어 있는 중복된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단말기를 통해 실행시킨다(S113).
도 3은 영상표시기기(100)와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되어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1) 및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2)을 포함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1)에는 제1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표시되고,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2)에는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도 4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도 3과 다르게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구획된 영역 없이 표시된다. 다만, 제1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제1 어플리케이션(A)과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제2 어플리케이션(B)이 동일한 경우,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버전의 어플리케이션(A)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별도의 과정 없이 영상표시기기의 연결만을 통해 가장 최근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 충전상태가 좋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60)의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1)에는 제1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 및 제1 단말기(200)의 충전상태를 포함한 제1 단말기(200)의 기본 상태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2)에는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 및 제2 단말기(300)의 충전상태를 포함한 제2 단말기(300)의 기본 상태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제1 단말기(200)의 배터리 충전비율은 90%이고, 제2 단말기(300)의 배터리 충전비율이 50%이라 가정한다.
제1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제1 어플리케이션(A)과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제2 어플리케이션(B)이 동일한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B)의 아이콘이 선택되더라도 충전상태가 더 양호한 제1 단말기(20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A)이 실행된다.
만약, 제1 단말기(200)의 배터리 충전 비율이 제2 단말기(300)의 충전 비율보다 떨어지는 경우로 변한다면,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B)이 실행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두 개의 단말기를 영상표시기기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더라도 충전상태가 자동으로 고려되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므로 전원이 감소됨에 따른 문제를 야기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7에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제1 단말기(200)에 설치되고,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제1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 단말기(300)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영상표시기기에 제1,2 단말기 즉, 두 개의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단말기가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와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201).
그 후, 영상표시기기와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 각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한다(S203).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 각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각 단말기 별로 디스플레이부(160)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을 구획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및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205).
그 후, 제어부(150)는 비교 화면을 표시한다(S207). 일 실시 예에서 비교 화면이란, 제2 단말기(300)에는 설치되어 있으나, 제1 단말기(200)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표시된 제1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교 화면이란, 제1 단말기(200)에는 설치되어 있으나, 제2 단말기(300)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포함된 제2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을 함께 표시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화면만을 표시할 있다. 제어부(150)는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을 별도의 팝업 창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교 화면이란, 제1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및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하여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최신에 업데이트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비교 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사용자 입력부(120) 또는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선택 받는다(S209).
그 후, 제어부(15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1 단말기(200)에 설치한다(S211).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제1 화면 안에 설치여부에 대한 선택목록을 표시하여 제1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한 꺼번에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에 제2 단말기(300)에는 설치되어 있으나, 제1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설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터치 시간이 1초를 경과하면, 상기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아이콘의 터치 시간이 1초가 경과된 후, 제1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구획 영역으로 사용자의 터치를 이동(드레그)하면, 제1 단말기(200)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단계(S205)에서 제1,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하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는 제1,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각 단말기 별로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을 구획하여 표시한다(S213).
도 7은 영상표시기기(100)와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하여 각 단말기에 설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 제1 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부(160)의 제1 화면(163)에는 제1 단말기(200)에는 설치되어 있으나, 제2 단말기(300)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표시되고, 제2 화면(164)에는 제2 단말기(300)에는 설치되어 있으나, 제1 단말기(200)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제1 화면(163) 및 제2 화면(164) 중 하나의 화면 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8은 제2 단말기(30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화면(163)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A)을 제2 단말기(300)에 설치하고자 할 때,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포인터(400)를 활용할 수 있다. 포인터(400)를 제1 화면(163)의 어플리케이션(A) 아이콘을 선택한 후, 제2 화면(164) 영역으로 이동시키면, 제2 단말기(300)에 어플리케이션(A)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에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사용자는 상대방 단말기에는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와 과정을 통해 별도의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지 않으면서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추후에 단말기와 영상표시기기 간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와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301).
그 후, 영상표시기기와 단말기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50)는 단말기 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한다(S303).
그 후,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사용자 입력부(120) 또는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선택받는 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305).
그 후, 제어부(15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정보를 영상표시기기의 저장부(140)에 저장한다(S307).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날짜 및 시간에 대한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정보를 영상표시기기의 저장부(140)가 아닌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SDP: Service Discovery Protocol)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단말기와 영상표시기기가 해제됨을 확인한다(S309).
그 후, 제어부(150)는 저장된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영상표시기기에 설치한다(S31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에 다른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사용자의 설치명령에 의헤 다른 단말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영상표시기기
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160: 디스플레이부
200: 제1 단말기
300: 제2 단말기

Claims (20)

  1.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경우, 연결된 각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고,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중복 설치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업데이트 버전이 더 최신인 어플리케이션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통신 속도가 더 빠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더 양호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정해진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 요금이 더 저렴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CPU 사용량이 더 적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일부가 중복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비교하여 상기 각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각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기와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의 기본 정보를 이용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13.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아이콘들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중복 설치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 어느 단말기에서 실행시킬지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14. 제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업데이트 버전이 더 최신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결정하는 영상표시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통신 속도가 더 빠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결정하는 영상표시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비교하여 상기 각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영상표시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하도록 제어하는 영상표시기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단말기와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의 기본 정보를 이용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하도록 제어하는 영상표시기기.
  20.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15156A 2012-02-15 2012-02-15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2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156A KR102012329B1 (ko) 2012-02-15 2012-02-15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13/750,348 US9317240B2 (en) 2012-02-15 2013-01-25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310049463.2A CN103294339B (zh) 2012-02-15 2013-02-07 图像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13000758.6A EP2629193A3 (en) 2012-02-15 2013-02-14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156A KR102012329B1 (ko) 2012-02-15 2012-02-15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912A true KR20130093912A (ko) 2013-08-23
KR102012329B1 KR102012329B1 (ko) 2019-10-21

Family

ID=4921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156A KR102012329B1 (ko) 2012-02-15 2012-02-15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3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764A1 (ko) * 2013-11-13 2015-05-21 엘지전자(주) 네트워크 상에서 복수개의 기기 간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02834A (ko) * 2015-02-23 201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2149A1 (en) * 2004-09-20 2006-03-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hone user with accurate capability indicator
US20070089143A1 (en) * 2003-11-10 2007-04-19 Lefevre Cha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display of conte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device in a network
US20090249204A1 (en) * 2008-03-27 2009-10-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ile management system, mobil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mobile terminal program
KR20120114786A (ko) * 2011-04-08 2012-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합 유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9143A1 (en) * 2003-11-10 2007-04-19 Lefevre Cha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display of conte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device in a network
US20060062149A1 (en) * 2004-09-20 2006-03-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hone user with accurate capability indicator
US20090249204A1 (en) * 2008-03-27 2009-10-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ile management system, mobil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mobile terminal program
KR20120114786A (ko) * 2011-04-08 2012-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합 유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764A1 (ko) * 2013-11-13 2015-05-21 엘지전자(주) 네트워크 상에서 복수개의 기기 간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65082B2 (en) 2013-11-13 2018-1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nection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over network
KR20160102834A (ko) * 2015-02-23 201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329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7240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672762B1 (en) Connecting the highest priority Bluetooth device to a mobile terminal
KR101944414B1 (ko)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25309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home screen in mobile terminal
KR101430887B1 (ko) 제스처 인식을 위한 환경-의존 동적 범위 컨트롤
EP2385689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52977B1 (ko) 다중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30268885A1 (en) Terminal for supporting icon operation and icon operation method
US201302193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ouping application program folders in electronic device
EP353427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field attribute
WO2015078293A1 (zh) 音效处理方法、装置、插件管理器及音效插件
AU20132376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eset operation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EP2474924A1 (en) Method for searching for a scene in a video and mobile device adapted to the method
CN104049840A (zh) 移动终端的应用呈现方法和系统
WO2015058619A1 (zh) 控制任务速度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2982052A (zh) 用于划分媒体文件的方法和设备
KR10190641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136808A (ko)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7861602B (zh) 终端cpu性能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12329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9059B1 (ko) 대기 화면에서 퀵 메뉴 및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10955436A (zh) 一种应用程序安装方法及电子设备
KR2015010859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92644A (ko)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9469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