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692B1 -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692B1
KR102094692B1 KR1020120120471A KR20120120471A KR102094692B1 KR 102094692 B1 KR102094692 B1 KR 102094692B1 KR 1020120120471 A KR1020120120471 A KR 1020120120471A KR 20120120471 A KR20120120471 A KR 20120120471A KR 102094692 B1 KR102094692 B1 KR 102094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pplication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4685A (ko
Inventor
이동희
현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692B1/ko
Priority to US13/750,348 priority patent/US9317240B2/en
Priority to CN201310049463.2A priority patent/CN103294339B/zh
Priority to EP13000758.6A priority patent/EP2629193A3/en
Publication of KR20140054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이 허여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VIDEO DISPLAY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최근에는 영상표시기기를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영상표시기기에서 구동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영상표시기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작은 디스플레이화면을 영상표시기기의 큰 디스플레이화면에서 볼 수 있고,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영상표시기기에서 구동시켜 활용하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기존에는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그대로 보여주는데 그치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단말기의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단말기의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이 허여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이 허여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가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정보를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가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의 대화면을 통해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가장 성능이 좋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 중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른 또는, 통신 사용 요금이 가장 저렴한, 또는 배터리 충전상태가 가장 양호한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에 기존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후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조를 설명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 충전상태가 좋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하여 각 단말기에 설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단말기의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XML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보여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단말기의 구분 없이 표시한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단말기의 구분하여 표시한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및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이외의 부가 정보를 더 표시한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포인터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위치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부가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정보 창을 통해 표시된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동일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2 단말기(200B)에서 표시하는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비교 결과를 표시한 예를 보여준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조를 설명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 표시 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 표시 기기(100)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네트워크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packet)들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망으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및 컨텐츠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는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5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5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를 포함한 사용자 입력부(120)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5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5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실행되는 경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제어부(15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영상표시기기(100)와 복수의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복수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각 단말기 별로 디스플레이부(160)의 영역에 구획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6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영상 표시 기기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100)에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는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e) 폰, GSM 폰, CDMA-2000 폰, WCDMA 폰과 같은 통상적인 이동 전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노트북, MBS(Mobile Broadcast System) 폰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에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하고, 표시된 아이콘들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중복 설치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 어느 단말기에서 실행시킬지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에서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복수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100)에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10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기기에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복수의 단말기가 연결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연결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한다(S103). 일 실시 예에서 연결된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이를 인식하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만을 표시할 수 있고, 연결된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라도 제어부(150)는 중복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모두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 예에서는 연결된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라도 각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60)에 모두 표시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표시기기에 복수의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제어부(150)는 각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각 단말기 별로 디스플레이부(160)의 영역을 구획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된 각 디스플레이부(160)의 영역에는 해당 단말기에 대한 기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본 정보는 단말기의 모델명, 통신 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들 중 하나의 아이콘을 사용자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선택받는다(S105). 제어부(15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각 단말기에 동시에 설치되어 있는 중복된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한다(S107). 제어부(150)는 각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된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각 단말기에 동시에 설치되어 있는 중복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50)는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를 결정한다(S109).
일 실시 예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에 대한 결정기준은 가장 성능이 좋은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할 수 있고, 가장 성능이 좋은 어플리케이션은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에 대한 결정기준은 가장 성능이 좋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성능이 좋은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르거나, 통신 장애의 발생 정도가 가장 낮은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실시간으로 각 단말기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여 가장 성능이 좋은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에 대한 결정기준은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선택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에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시에 연결되고, 제1,2 단말기 각각에 동일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2개의 동일한 제1 어플리케이션 중 자신의 선택에 의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는, 두 개의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두 개 이상의 단말기가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경우도 포함된다.
일 실시 예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에 대한 결정기준은 각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기초로 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각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고려하여 충전상태가 가장 좋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비율이 90%이고, 제2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비율이 50%인 경우, 제1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가 더 양호하기 때문에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도중, 제1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비율이 20% 정도로 감소한 경우,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A)를 통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시키고, 제2 단말기(200B)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1,2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20%는 예시에 불과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비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각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각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확인하여 충전상태가 양호한 단말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에 대한 결정기준은 현재 이용하는 통신 방식의 사용 요금이 더 저렴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가 현재 이용하는 통신 방식이 무선랜(WIFI)이고, 제2 단말기가 현재 이용하는 통신 방식은 3G망을 이용한 셀룰러 네트워크인 경우, 무선랜의 경우가 3G망을 이용한 셀룰러 네트워크인 경우보다 사용 요금이 더 저렴하기 때문에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표시기기와 제1,2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제어부는 제1,2 단말기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통신 방식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어느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는 영상표시기기와 제1,2 단말기가 연결될 시에 저렴한 사용 요금이 부과되는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기가 어느 단말기 인지 팝업창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팝업창을 확인하여 사용 요금이 더 저렴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어 단말기의 사용 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지에 대한 결정기준은 CPU 사용량이 적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에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연결되고, 제1 단말기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2 단말기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고 가정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다. 이 때, 제1 단말기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 사용자가 제1 단말기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외의 작업을 수행하면, 제1 단말기의 데이터 사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제어부는 이를 인식하여, 제1 단말기를 통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시키고, 제2 단말기를 통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도록 제1,2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결정된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11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화면을 끄거나 켤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끄거나 켜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각 단말기에 동시에 설치되어 있는 중복된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단말기를 통해 실행시킨다(S11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가 연결되어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1) 및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2)을 포함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1)에는 제1 단말기(200A)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표시되고,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2)에는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가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도 3과 다르게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구획된 영역 없이 표시된다. 다만, 제1 단말기(200A)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제1 어플리케이션(A)과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제2 어플리케이션(B)이 동일한 경우,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버전의 어플리케이션(A)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별도의 과정 없이 영상표시기기의 연결만을 통해 가장 최근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중복되는 경우, 충전상태가 좋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가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60)의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1)에는 제1 단말기(200A)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 및 제1 단말기(200A)의 충전상태를 포함한 제1 단말기(200A)의 기본 상태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2)에는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 및 제2 단말기(200B)의 충전상태를 포함한 제2 단말기(200B)의 기본 상태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제1 단말기(200A)의 배터리 충전비율은 90%이고, 제2 단말기(200B)의 배터리 충전비율이 50%이라 가정한다.
제1 단말기(200A)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제1 어플리케이션(A)과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제2 어플리케이션(B)이 동일한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B)의 아이콘이 선택되더라도 충전상태가 더 양호한 제1 단말기(200A)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A)이 실행된다.
만약, 제1 단말기(200A)의 배터리 충전 비율이 제2 단말기(200B)의 충전 비율보다 떨어지는 경우로 변한다면,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B)이 실행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두 개의 단말기를 영상표시기기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더라도 충전상태가 자동으로 고려되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므로 전원이 감소됨에 따른 문제를 야기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7에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제1 단말기(200A)에 설치되고,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제1 단말기(200A)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 단말기(200B)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는 영상표시기기에 제1,2 단말기 즉, 두 개의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단말기가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와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201).
그 후, 영상표시기기와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 각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한다(S203).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 각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각 단말기 별로 디스플레이부(160)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을 구획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A)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및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205).
그 후, 제어부(150)는 비교 화면을 표시한다(S207). 일 실시 예에서 비교 화면이란, 제2 단말기(200B)에는 설치되어 있으나, 제1 단말기(200A)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표시된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교 화면이란, 제1 단말기(200A)에는 설치되어 있으나, 제2 단말기(200B)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포함된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 및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을 함께 표시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화면만을 표시할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 및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을 별도의 팝업 창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교 화면이란, 제1 단말기(200A)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및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하여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최신에 업데이트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비교 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사용자 입력부(120) 또는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선택 받는다(S209).
그 후, 제어부(15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1 단말기(200A)에 설치한다(S211).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 안에 설치여부에 대한 선택목록을 표시하여 제1 단말기(200A)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한 꺼번에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A)에 제2 단말기(200B)에는 설치되어 있으나, 제1 단말기(200A)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설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터치 시간이 1초를 경과하면, 상기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아이콘의 터치 시간이 1초가 경과된 후, 제1 단말기(200A)의 어플리케이션 구획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이 수행되면, 제1 단말기(200A)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단계(S205)에서 제1,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하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는 제1,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각 단말기 별로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을 구획하여 표시한다(S21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하여 각 단말기에 설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부(160)의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1)에는 제1 단말기(200A)에는 설치되어 있으나, 제2 단말기(200B)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표시되고,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2)에는 제2 단말기(200B)에는 설치되어 있으나, 제1 단말기(200A)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3) 및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4) 중 하나의 화면 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1)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A)을 제2 단말기(200B)에 설치하고자 할 때,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포인터(400)를 활용할 수 있다. 포인터(400)를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2)의 어플리케이션(A) 아이콘을 선택한 후,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4) 영역으로 이동시키면, 제2 단말기(200B)에 어플리케이션(A)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에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사용자는 상대방 단말기에는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와 과정을 통해 별도의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지 않으면서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추후에 단말기와 영상표시기기 간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와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301).
그 후, 영상표시기기와 단말기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50)는 단말기 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한다(S303).
그 후,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사용자 입력부(120) 또는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선택받는 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305).
그 후, 제어부(15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정보를 영상표시기기의 저장부(140)에 저장한다(S307).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날짜 및 시간에 대한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정보를 영상표시기기의 저장부(140)가 아닌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SDP: Service Discovery Protocol)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 후, 제어부(150)는 단말기와 영상표시기기(100)의 연결이 해제됨을 확인한다(S309).
그 후, 제어부(150)는 저장된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영상표시기기에 설치한다(S31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에 다른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사용자의 설치명령에 의해 다른 단말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표시기기(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디스플레이부(160), 통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네트워크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packet)들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망으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서비스 및 컨텐츠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는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5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5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를 포함한 사용자 입력부(120)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5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5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수신한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의 정보는 단말기의 기본 정보 및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제어부(15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된 단말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영상표시기기(100)와 복수의 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각 단말기 별로 디스플레이부(160)의 영역에 구획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어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외부로 영상표시기기(10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된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7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제어부(150)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6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영상 표시 기기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150)의 상세 동작은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먼저, 영상표시기기(100)의 통신부(170)는 외부로 영상표시기기(10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401).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170)는 동보 통신(broadcast)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표시기기(100)의 근처에 위치한 단말기(200)에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보 통신은 어떤 하나의 장소에서 복수의 장소로 동일한 정보나 메시지를 동시에 보내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요청 메시지는 영상표시기기(100)와 단말기(200)간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주소(IP Address), 포트 및 후술할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을 지원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통신부(170)는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403). 일 실시 예에서 응답 메시지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한 통신 프로토콜 주소, 포트 및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 주소, 포트 및 식별자를 이용하여 소켓 통신을 통해 영상표시기기(100)와 단말기(200)는 연결을 완료한다(S405). 소켓 통신은 디바이스 간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양방향 통신방식의 일종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신뢰성 통신(TCP) 또는 비신뢰성 통신(UDP)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200) 또한, 영상표시기기(10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영상표시기기(100)가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단말기(200)에 전송하여 소켓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간 접속이 완료될 수도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50)는 연결된 단말기(200)에 단말기(200)의 기본 정보를 요청한다(S407).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200)의 기본 정보는 단말기(200)의 모델명, 단말기(200)가 사용하고 있는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영상표시기기(100)의 통신부(170)는 상기 단말기(200)의 기본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연결된 단말기(200)의 기본 정보를 수신한다(S409).
영상표시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60)는 수신한 단말기(200)의 기본 정보를 표시한다(S411).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60)는 수신한 단말기(200)의 기본 정보를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와 연결된 단말기의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12의 실시 예에서는 영상표시기기(200)와 연결된 제1 단말기(200A)와 제2 단말기(200B)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 12의 실시 예에서는 영상표시기기(100)와 2 개의 단말기(200)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2개를 초과하는 단말기(200)가 영상표시기기(100)에 접속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이 완료된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의 기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60)는 각 단말기(200)의 모델명과 각 단말기가 사용하고 있는 운영체제를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60)가 표시하는 리스트는 각 단말기(200)의 연결 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설명하면,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50)는 연결된 단말기(200)에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요청한다(S413).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각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로, 각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개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 명칭, 어플리케이션의 클래스 명칭, 어플리케이션의 버젼,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통신부(17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각 단말기(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한다(S415). 일 실시 예에서 영상표시기기(100)는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포맷으로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표시기기(100)는 각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 eXtensible Language)로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표시기기(100)는 각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어플리케이션의 개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 명칭, 어플리케이션의 클래스 명칭, 어플리케이션의 버전에 대한 정보를 XML로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한 XML에 대해서는 도 13에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XML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보여준다.
<ApplicationCount>는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개수를 의미하는 항목이다.
<ApplicationInfo>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AppNumber>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번호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Name>은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을 나타내는 항목이다.
<Package>는 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 명칭을 나타내는 항목이다.
<Class>는 어플리케이션의 클래스 명칭을 나타내는 항목이다.
다시 도 11을 설명하면, 일 실시 예에서 영상표시기기(100)는 각 단말기(200)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단말기(200)에 설치된 일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200)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일부 어플리케이션 정보만을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통해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될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전송되지 않을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잠금 설정을 통해 영상표시기기(100)와의 연결 시 전송되지 않을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추후, 영상표시기기(1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요청 시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전송이 허여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만을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60)는 각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한다(S417).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60)는 다양한 방법으로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멸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된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단말기의 구분 없이 표시한 실시 예이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하단에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을 단말기의 구분 없이 표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60)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된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단말기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표시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60)에는 제1 단말기(200A)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아이콘, 명칭)와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아이콘, 명칭)가 단말기별로 구분되어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60)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및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이외의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디스플레이부(160)에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및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이외의 부가 정보가 더 표시된 실시 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부가 정보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C)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단말기가 사용하는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의 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 예는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단말기의 구분없이 표시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15에서처럼, 단말기별로 구분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표시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6과는 달리 포인터(400)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위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부가 정보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정보창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7에서 설명한다.
도 17은 포인터(400)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위치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부가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정보 창을 통해 표시된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C)에 포인터(400)가 위치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정보 창(D)이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터(40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C)에 포인터(4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포인터(400)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C)에 위치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정보 창(D)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창(D)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포인터(40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C)를 한 번 클릭하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 정보 창(D)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실시 예는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단말기의 구분없이 표시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15에서처럼, 단말기별로 구분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표시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60)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그룹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8에서 설명한다.
도 18은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가 표시하는 실시 예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된 단말기(200)가 가지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중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의 실시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상에 어플리케이션의 부가 정보가 표시되는 도 16의 실시 예 및 포인터(400)의 위치 및 클릭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정보 창이 생성되는 도 17의 실시 예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및 동일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상기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동일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9에서 설명한다.
도 19는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동일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실시 예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1),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2) 및 제3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3)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60)의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1)에는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2)에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되지 않고, 제1 단말기(200A)로부터만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제3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3)에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제1 단말기(200A)로부터 수신되지 않고, 제2 단말기(200B)로부터만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단말기(200)에 설치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및 동일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실시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상에 어플리케이션의 부가 정보가 표시되는 도 16의 실시 예 및 포인터(400)의 위치 및 클릭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정보 창이 생성되는 도 17의 실시 예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설명하면,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 선택 명령을 수신한다(S419).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선택 명령은 도 17에 도시된 포인터(400)를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두 번 클릭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50)는 어플리케이션 선택 명령의 수신에 따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단말기(200)에 요청한다(S421).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제1 단말기(200A)로부터만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A)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제1 단말기(200A)는 영상표시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S423), 영상표시기기(100)는 제1 단말기(200A)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425).
그 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에 대한 응답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제1 단말기(200A)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공유한다(S427).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공유는 다양한 영상 공유(Video sharing)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MHL(Mobile High Definition Link),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WiDi(Wireless Display) 중 어느 한 가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통신부(170)는 제2 단말기(200B)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S429). 즉, 영상표시기기(100)는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영상표시기기(100)와 현재 연결된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통신부(170)는 제2 단말기(200B)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된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2 단말기(200B)에 전송한다(S431).
제2 단말기(200B)는 영상표시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한다(S433). 이에 대해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영상표시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2 단말기(200B)에서 표시하는 실시 예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B)는 영상표시기기(100)로부터 영상표시기기(100)가 가지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아니더라도 제2 단말기(200B)를 통해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된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기(200B)는 이동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고,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100)와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는 한 제2 단말기(200B)를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고, 이동한 장소에서도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된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50)는 단말기(200)와의 연결이 해제되었는지를 확인한다(S435).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단말기(200)에 주기적으로 연결 신호를 보내어 영상표시기기(100)와 단말기(200)간의 연결이 해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와 단말기(200)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란, 단말기(200)의 전원이 꺼지거나, 단말기(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만약, 영상표기기(100)와 단말기(200)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영상표시기기(100)의 저장부(140)는 연결이 해제된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한다(S437). 일 실시 예에서 저장부(140)는 연결이 해제된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뿐만 아니라, 단말기(200)의 기본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표시기기(100)와 단말기(200)와의 연결이 해제되기 전, 영상표시기기(100)의 저장부(140)는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고, 연결이 해제되면,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50)는 연결이 해제된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단계(S501)부터 단계(S505)까지는 도 11에서 설명한 단계(S401)부터 단계(S405)까지의 내용과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연결된 단말기(200)에 단말기(200)의 정보를 요청한다(S507).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200)의 정보는 단말기(200)의 기본 정보 및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의 기본 정보는 단말기(200)의 모델명, 단말기(200)가 사용하고 있는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 각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개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 명칭, 어플리케이션의 클래스 명칭, 어플리케이션의 버젼,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단말기(200)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각 단말기(200)로부터 단말기(200)의 정보를 수신한다(S509).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기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200A)와 제2 단말기(200B)의 운영체제가 동일한지 확인한다(S511).
만약, 제1 단말기(200A)의 운영체제와 제2 단말기(200B)의 운영체제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A)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한다(S513). 즉,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200A)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 동일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비교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60)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비교 결과를 표시한다(S515). 디스플레이부(160)는 다양한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비교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비교 결과를 표시한 예를 보여준다.
도 2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1),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2) 및 제3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3)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60)의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1)에는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2)에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제2 단말기(200B)로부터 수신되지 않고, 제1 단말기(200A)로부터만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제3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163)에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제1 단말기(200A)로부터 수신되지 않고, 제2 단말기(200B)로부터만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단말기(200)에 설치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및 동일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실시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상에 어플리케이션의 부가 정보가 표시되는 도 16의 실시 예 및 포인터(400)의 위치 및 클릭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정보 창이 생성되는 도 17의 실시 예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1을 설명하면,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 선택 명령을 수신한다(S517).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 선택 명령은 제1 단말기(200A)에는 있으나, 제2 단말기(200B)에는 없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명령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명령은 포인터(400)의 클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50)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선택 명령에 따라 제2 단말기(200B)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요청하면(S519), 제2 단말기(200B)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S521). 일 실시 예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요청 및 설치과정은 포인터(400)의 드래그 앤 드롭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20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2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포인터(400)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162)에 위치한 제1 단말기(200A)에만 있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E)를 선택한 후, 제3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163)으로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을 수행하면, 제2 단말기(200B)에 어플리케이션 아이콘(E)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 21을 설명하면, 영상표시기기(10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접속한다(S523).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의 접속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설치 명령을 수신한다(S525). 이 때,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일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50)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설치 명령에 따라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에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요청을 하면(S527),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S529).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요청 및 설치과정은 도 24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단말기(20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단말기(20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도 2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포인터(400)를 통해 영상표시기기(100)가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제1 단말기(100A) 및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F)를 선택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A) 및 제2 단말기(200B)에 설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F)가 선택되면,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에는 어플리케이션(F)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포인터(400)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161)에 위치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위치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F)을 선택한 후, 제2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162) 및 제3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163)으로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을 수행하면, 제1 단말기(200A) 및 제2 단말기(200B)에 어플리케이션 아이콘(F)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모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1 영역, 상기 제1 단말기에만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단말기에만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3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에만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3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요청에 따라 이동된 상기 제1 단말기에만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연결이 해제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연결이 해제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기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의 운영체제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의 운영체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가 수신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잠금 설정을 통해 미리 정해진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14.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및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모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1 영역, 상기 제1 단말기에만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단말기에만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3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단말기에만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3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따라 이동된 상기 제1 단말기에만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단말기에 설치하는
    영상표시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연결이 해제된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기본 정보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의 기본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기종 및 상기 단말기의 운영체제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명칭, 버전을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연결이 해제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삭제하는
    영상표시기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전송하는
    영상표시기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의 운영체제가 동일한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의 운영체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영상표시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의 접속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설치하는
    영상표시기기.
KR1020120120471A 2012-02-15 2012-10-29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4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471A KR102094692B1 (ko) 2012-10-29 2012-10-29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13/750,348 US9317240B2 (en) 2012-02-15 2013-01-25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310049463.2A CN103294339B (zh) 2012-02-15 2013-02-07 图像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13000758.6A EP2629193A3 (en) 2012-02-15 2013-02-14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471A KR102094692B1 (ko) 2012-10-29 2012-10-29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685A KR20140054685A (ko) 2014-05-09
KR102094692B1 true KR102094692B1 (ko) 2020-03-31

Family

ID=50886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471A KR102094692B1 (ko) 2012-02-15 2012-10-29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6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165B1 (ko) * 2010-07-06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US9069584B2 (en) * 2010-09-13 2015-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atform application player
KR101832758B1 (ko) * 2011-04-08 2018-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통합 유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685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9193A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985374B2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haring of video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EP2854013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385689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62836B1 (ko) 필드 속성을 이용한 컨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30132896A1 (en) System and method of recommending applications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EP2851785B1 (en) Dual screen system and method
KR101885133B1 (ko)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자동 인스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45223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ding home screen page
US20150128068A1 (en) Method for operating message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9451645B2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US102417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nalyzing fragmentation of electronic device
CN102982052A (zh) 用于划分媒体文件的方法和设备
US20150067669A1 (en)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30007811A (ko) 외부 장치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60147499A1 (en) Method of exchanging informa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KR102213897B1 (ko)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1501779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bject provided through display
US10459650B2 (en) Data op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0042856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data
US20150331600A1 (en) Operating method using an input control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90310954A1 (en) Data Access Method and Related Device
KR10209469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9059B1 (ko) 대기 화면에서 퀵 메뉴 및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208047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