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718A - Drm 컨텐츠 재생 장치 및 drm 해독코드 서버 - Google Patents

Drm 컨텐츠 재생 장치 및 drm 해독코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718A
KR20130093718A KR1020110141761A KR20110141761A KR20130093718A KR 20130093718 A KR20130093718 A KR 20130093718A KR 1020110141761 A KR1020110141761 A KR 1020110141761A KR 20110141761 A KR20110141761 A KR 20110141761A KR 20130093718 A KR20130093718 A KR 2013009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m
decryption code
content
drm cont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천
박철현
문호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41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3718A/ko
Publication of KR2013009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3Digital right managa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컨텐츠 재생 장치 및 DRM 해독코드 서버가 제공된다. 여기서, DRM 컨텐츠 재생 장치는 암호화된 DRM 컨텐츠에 대한 해독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DRM 해독코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해독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DRM 컨텐츠를 복호하는 DRM 에이전트; 및 상기 DRM 에이전트로부터 전달받은 복호된 DRM 컨텐츠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해독코드와 분리되어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DRM 해독코드 서버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컨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해독코드를 관리하는 해독코드 관리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DRM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DRM 컨텐츠에 대한 해독코드를 요청받는 수신부; 및 상기 해독코드 관리부로부터 요청받은 DRM 컨텐츠에 대한 해독코드를 획득하여 상기 DRM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DRM 컨텐츠 재생 장치 및 DRM 해독코드 서버{APPARATUS FOR PLAYING DRM CONTENTS AND DRM SERVER}
본 발명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 컨텐츠 재생 장치 및 DRM 해독코드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 권한을 보호하는 DRM에 관한 내용이다.
DRM은'Digital Rights Management'의 약자로서,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고, 불법복제 및 유통을 방지하는 기술 및 서비스이다. 이러한 DRM은 디지털 컨텐츠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저작권자가 배포하는 '라이센스'를 발급받아야 한다는 개념을 기술적으로 보장해주는 기술이다.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저작권 보호 대상인 디지털 컨텐츠는 배포 시에 이미 기술적인 보호 조치가 되어있는 상태이고, 사용자가 이 보호된 컨텐츠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을 허가하는 라이센스를 획득한 이후에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술적 통제가 되어있는 기술이다.
광의의 의미에서의 DRM은 디지털 컨텐츠의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보호기술(protection)과 디지털 컨텐츠의 관리 효율화를 위해 사용되는 관리기술(management), 그리고 디지털 컨텐츠의 투명하고 편리한 유통환경을 위해 사용되는 유통기술(distribution)로 크게 구분되며, 능동적 보호기술의 사용 제어기술(Use Control)이 협의의 의미로서의 DRM 기술 범주에 해당된다.
기존의 DRM의 운용방식에 따르면, 마켓 서버에 있는 DRM 컨텐츠는 라이센스가 없는 사용자가 쉽게 원본 컨텐츠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강력한 보호장치가 되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 있는 미디어 재생기는 DRM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DRM 모듈은 라이센스를 적용한 후 컨텐츠의 보호 장치를 풀고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과 라이센스의 내용에 따라 컨텐츠 사용의 범위를 통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종래 DRM 모듈은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DRM 해독코드와 이러한 DRM 해독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하고, 라이센스를 수신 및 확인하며, DRM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해석하는 DRM 에이전트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즉 DRM 컨텐츠 마다 DRM 타입이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DRM 타입 별 해독코드 역시 상이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DRM 타입 별 해독코드와 DRM 에이전트가 하나의 DRM 모듈로 구성되므로, DRM 타입 별 DRM 모듈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어 있어야 각 DRM 타입으로 패키징된 DRM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DRM 컨텐츠마다 플랫폼 종속적인 DRM 모듈을 개발해야 되는 부담이 있다.
또한, 기존 미디어재생기도 DRM 모듈과 종속적인 특성을 갖고 있어 미디어재생기도 DRM 컨텐츠에 따라 추가 개발해야 되는 부담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해독코드와 독립된 DRM 에이전트를 탑재한 DRM 컨텐츠 재생 장치와 DRM 해독코드를 관리하는 DRM 해독코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DRM 컨텐츠 재생 장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암호화된 DRM 컨텐츠에 대한 해독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DRM 해독코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해독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DRM 컨텐츠를 복호하는 DRM 에이전트; 및 상기 DRM 에이전트로부터 전달받은 복호된 DRM 컨텐츠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해독코드와 분리되어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DRM 에이전트는,
표준화된 시스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구현되어 DRM 컨텐츠의 포맷 또는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DRM 컨텐츠 재생 장치에 디폴트로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RM 에이전트는,
가상 머신 상에서 동작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미디어 재생부와 연동하기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사용자가 DRM 컨텐츠를 구매한 마켓 서버로부터 암호화된 DRM 컨텐츠, 메타데이터 및 해독코드 URI(U 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패키징된 DRM 컨텐츠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DRM 컨텐츠 패키지로부터 상기 암호해독코드 URI를 추출하여 접속한 상기 DRM 해독코드 서버에게 상기 해독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RM 컨텐츠 패키지는,
헤더에 상기 해독코드 URI가 수록되고, 바디에 암호화된 DRM 컨텐츠가 수록된 HTTP(Hyper Text Transport Protocol)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DRM 에이전트는,
HTTP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DRM 해독코드 서버로 상기 해독코드를 요청하고, 상기 패키징된 DRM 해독코드가 포함된 HTT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RM 에이전트는,
DRM 해독코드, DRM 메타 정보 및 라이센스가 포함된 DRM 해독코드 패키지를 상기 DRM 해독코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DRM 메타 정보에 포함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사용 권한이 확인되면, 상기 DRM 해독코드로 상기 암호화된 DRM 컨텐츠를 복호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DRM 해독코드 패키지를 저장하고, 상기 미디어 재생부로부터 DRM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메타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책을 확인하여 1회 인증기간 만료일이 도래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1회 인증 기간 만료일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상기 DRM 해독코드를 이용하여 복호된 DRM 컨텐츠를 상기 미디어 재생부로 전달하며, 상기 1회 인증 기간 만료일이 도래한 경우, 상기 DRM 해독코드 서버에 접속하여 다시 DRM 해독코드 패키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DRM 해독코드 서버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컨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해독코드를 관리하는 해독코드 관리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DRM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DRM 컨텐츠에 대한 해독코드를 요청받는 수신부; 및 상기 해독코드 관리부로부터 요청받은 DRM 컨텐츠에 대한 해독코드를 획득하여 상기 DRM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이때, DRM 해독코드 서버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요청받은 DRM 컨텐츠의 구매 정보를 마켓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정책을 설정하는 정책 설정부; 상기 구매 정보 및 상기 인증 정책을 토대로 DRM 메타 정보를 생성하는 메타 정보 생성부; 및 상기 DRM 컨텐츠의 사용 권한인 라이센스를 제공하는 라이센스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DRM 메타 정보, 상기 라이센스 및 상기 해독코드를 패키징한 DRM 해독코드 패키지를 상기 DRM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책 설정부는, 1회 인증 기간 만료일을 설정하고,
상기 메타 정보 생성부는, 상기 1회 인증 기간 만료일 및 상기 구매 정보에 포함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DRM 메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DRM 모듈에서 DRM 에이전트와 DRM 해독코드를 표준 인터페이스로 분리하여 DRM 에이전트를 사업 표준화하고 DRM 해독코드는 별도의 서버에서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DRM 정책설정과 각 플랫폼 별로 DRM 모듈을 개발해야 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재생기를 독립형 DRM 에이전트와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발함으로써, DRM 컨텐츠마다 미디어 재생기를 제작해야 되는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미디어 재생기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다양한 코덱기술만 확보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DRM 컨텐츠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M 컨텐츠 패키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DRM 해독코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M 컨텐츠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M 에이전트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M(Digital Rights Managemen) 컨텐츠 재생 장치 및 DRM 해독코드 서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켓 서버(100)는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하는 서버로서, 일명'앱스토어'를 운영하는 서버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컨텐츠는 디지털 포맷으로 제작 또는 가공한 컨텐츠로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이때, 디지털 컨텐츠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기술이 적용된 DRM 컨텐츠(200)이다. 이러한 DRM 컨텐츠(200)는 사전 규정된 암호화키 및 암호화 형식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으며, 또한 사전 규정된 포맷(format)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사용제한정보(Usage Rule, 재생 가능한 횟수, 재생 가능한 기간 등)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DRM 컨텐츠(200)는 항상 암호화된 상태로 존재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해당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DRM 컨텐츠(200)가 복제되더라도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200)를 사용하기 위한 특정 라이센스(license)에 의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도록 제어함으로써 불법 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는 이러한 DRM 컨텐츠(200)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마켓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재생한다. 이러한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미도시)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 또는 모바일 단말로서, 휴대폰, 스마트 폰, UMPC(Ultra Mobile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DRM 해독코드 서버(500)에 접속하여 다운로드한 암호화된 DRM 컨텐츠(200)의 사용 권한이 명시된 라이센스 및 복호화 할 수 있는 해독코드를 획득하여 DRM 컨텐츠(200)를 재생한다.
DRM 해독코드 서버(500)는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가 요청한 암호화된 DRM 컨텐츠(200)의 라이센스 및 해독코드를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DRM 컨텐츠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는 DRM 에이전트(310) 및 미디어 재생부(330)를 포함한다.
DRM 에이전트(310)는 마켓 서버(100)로부터 암호화된 DRM 컨텐츠(200) 및 메타데이터로 패키징된 DRM 컨텐츠 패키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메타데이터는 DRM 컨텐츠에 대한 부연설명을 담고 있는 데이터이다. 통상, 메타데이터를 통해 DRM 컨텐츠에 어떤 DRM 기술이 적용되었는지 알 수 있다.
이때, DRM 컨텐츠 패키지의 메타데이터는 암호화된 DRM 컨텐츠의 복호화키 즉 해독코드를 획득할 수 있는 접속 주소인 해독코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DRM 컨텐츠 패키지는 도 3과 같이 HTTP(Hyper Text Transport Protocol) 메시지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M 컨텐츠 패키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HTTP 메시지의 헤더(Header)(201)는 DRM 해독코드 URI가 수록된다. 또한, HTTP 메시지의 본문(Body)(203)에는 암호화된 DRM 컨텐츠가 수록된다. 그리고 이러한 암호화된 컨텐츠는 자바(Java) 기반에서 실행 가능한 모바일 코드(Mobile Code)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도 2에 관한 설명을 하면, DRM 에이전트(310)는 도 3의 HTTP 메시지의 헤더에 수록된 DRM 해독코드 URI를 추출하여 DRM 해독코드 서버(500)로 접속하여 획득한 해독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DRM 컨텐츠(200)를 복호화한다. 그리고 복호화된 DRM 컨텐츠를 미디어 재생부(330)로 전달한다
이때, DRM 에이전트(310)는 웹 기능을 탑재하고, 웹 기능을 이용하여 DRM 해독코드 서버(500)에 접속한다.
여기서, 웹 기능은 요청/응답 모델인 HTTP 프로토콜 기술을 이용하여 DRM 에이전트(310)는 요청 자원의 URI 즉 해독코드 URI와 헤더(HTTP버전, 요청 메소드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DRM 해독코드 서버(500)에게 요청한다. 그리고, DRM 해독코드 서버(500)는 DRM 에이전트(310)의 요청이 들어오면 자원과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요청한 자원의 데이터와 헤더(HTTP 상태코드, 서버정보, 리소스 수정일 등)을 포함하여 DRM 에이전트(310)에게 응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DRM 에이전트(310)는 DRM 컨텐츠 재생이 이루어질 때마다 DRM 해독코드 서버(500)에서 수신한 해독코드를 이용하여 복호하여 재생한다.
여기서, 해독코드는 재생 때마다 DRM 해독코드 서버(500)에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DRM 해독코드 서버(500)의 인증 정책에 따라 1회 인증 만료일까지 해독코드를 저장해두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RM 에이전트(310)는 DRM 해독코드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DRM 메타 정보에 수록된 기기 정보가 DRM 컨텐트 재생 장치(300)의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기기 인증을 수행한 후, 기기 인증에 성공하면, 복호한다. 이러한 기기 인증은 DRM 해독코드 서버(500)의 인증 정책에 따라 1회 인증 만료일까지 유효할 수 있다.
이처럼, DRM 에이전트(310)는 DRM 컨텐츠 수신 및 저장, 네트워킹, 메타데이터 해석, DRM 해독코드 및 라이센스 리드(Read) 및 실행, DRM 컨텐츠 재생을 위한 미디어 재생부(330)와의 표준 인터페이스 제공을 구현한다.
이때, DRM 에이전트(310)는 미디어 재생부(330)와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하여 미디어 재생부(330)에 종속되지 않는다.
또한, DRM 에이전트(310)는 종래와 달리 독립적인 프로그램 형태로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탑재된다.
이러한 DRM 에이전트(310)는 모든 사업자, 다양한 DRM 포맷을 수용할 수 있는 표준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표준화된 시스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구현되어 DRM 컨텐츠의 포맷 또는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또한, DRM 에이전트(310)는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제조 단계에서 탑재될 수 있다.
또한, DRM 에이전트(310)는 가상 머신 상에서 동작하고, 외부 서버 예를 들어 마켓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미디어 재생부(330)는 DRM 에이전트(310)로부터 전달받은 복호화된 DRM 컨텐츠를 재생한다. 미디어 재생부(330)는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DRM 컨텐츠의 리스트를 화면 상에 제공하여 선택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DRM 컨텐츠의 구동 요청이 발생하면, DRM 에이전트(310)에게 구동 요청이 발생한 DRM 컨텐츠의 복호화를 요청한다.
도 4는 도 1의 DRM 해독코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DRM 해독코드 서버(500)는 수신부(510), 정보 수집부(520), 정책 설정부(530), 메타 정보 생성부(540), 해독코드 관리부(550), 라이센스 관리부(560) 및 전송부(570)를 포함한다.
수신부(51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로부터 DRM 해독코드를 요청받는데, DRM 컨텐츠의 구매 번호가 수록된 HTT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520)는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구매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DRM 컨텐츠의 구매 번호를 토대로 마켓 서버(100)로부터 사용자가 DRM 컨텐츠 구매시 이력하는 정보 즉 ID 및 패스워드, 단말 등록 정보, 컨텐츠 ID, 가격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정책 설정부(530)는 DRM 컨텐츠에 대한 인증 정책을 설정할 수 있으며, DRM 컨텐츠 유형별 혹은 사용자 편의성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회 인증시 재생기간 만료일을 설정하여 이 만료일이 도래할때까지는 DRM 해독코드 서버(500)에 접속하지 않고도 DRM 컨텐츠의 복호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메타 정보 생성부(540)는 정보 수집부(520)가 수집한 구매 정보, 정책 설정부(530)가 설정한 인증 정책을 포함하는 DRM 메타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DRM 메타 정보에 포함되는 구매 정보는 DRM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 정보만일 수 있다.
라이센스 관리부(560)는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가 요청한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관리한다. 이때, DRM 해독코드 서버(500)가 자체적으로 라이센스 발급 및 그 내역을 관리하는 Clearinghouse 역할을 함께 할 수 있으며, 혹은 Clearinghouse 역할을 하는 별도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센스 관리부(560)는 자체적으로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발급 및 관리하거나 혹은 별도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센스는 저작권자에 의해 설정된 DRM 컨텐츠의 사용 권한, 예컨대, 컨텐츠의 사용 권한, 사용 횟수, 사용 가능 기간 등 을 명시하는 내용의 정보가 포함되며, DRM 컨텐츠와 라이센스가 모두 저장되면, 사용자는 DRM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해독코드 관리부(560)는 암호화된 DRM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키 즉 해독코드를 관리한다.
전송부(570)는 메타 정보 생성부(540)가 생성한 DRM 메타 정보, 해독코드 관리부(550)로부터 전달받은 DRM 해독코드 및 라이센스 관리부(560)로부터 전달받은 라이센스를 패키징한 DRM 해독코드 패키지를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부(570)는 HTTP 프로토콜의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로 DRM 해독코드 패키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기술한 DRM 해독코드 서버(500)는 프로세서,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저장장치,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수신부(510), 정보 수집부(520), 정책 설정부(530), 메타 정보 생성부(540), 해독코드 관리부(550), 라이센스 관리부(560) 및 전송부(570)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메모리에 로드하여 앞서 기술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이제 DRM 컨텐츠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 1~ 도 4의 구성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M 컨텐츠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DRM 컨텐츠를 구매하면, 마켓 서버(100)는 암호화된 DRM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Meta data)를 포함하는 DRM 컨텐츠 패키지를 생성(S101)하여 전송한다(S103).
DRM 에이전트(310)는 S103 단계에서 다운로드한 DRM 컨텐츠 패키지가 구동(S105)되면, DRM 컨텐츠 패키지의 메타데이터를 해석하여 해독코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추출한다(S107).
DRM 에이전트(310)는 추출한 해독코드 URI로 접속(S109)하여 해독코드를 요청한다.
DRM 해독코드 서버(500)는 마켓 서버(100)와 연동하여 DRM 컨텐츠 패키지의 구매 정보를 수집한다(S111).
이때, DRM 해독코드 서버(500)는 S109 단계에서 DRM 에이전트(310)로부터 컨텐츠 구매번호를 수신하여 컨텐츠 구매번호를 토대로 마켓 서버(100)로부터 구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정보는 사용자가 DRM 컨텐츠 구매시 이력하는 정보 즉 ID 및 패스워드, 단말 등록 정보, 컨텐츠 ID, 가격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DRM 해독코드 서버(500)는 S111 단계에서 수집한 구매 정보를 토대로 인증 정책을 설정한다(S113).
즉 구매 가격, 판매정책을 토대로 1회 인증시 재생가능한 정책 예를 들어 1회 인증시 재생기간 만료일을 설정할 수 있다. 1회 인증시 재생기간 만료일은 사업자가 DRM 컨텐츠 유형별 혹은 사용자 편의성에 따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처럼, 재생기간 만료일을 설정하게 되면, 구매후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DRM 컨텐츠가 계속 사용되고 있는지 추적할 수 있으며, 불법복제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 DRM 해독코드 서버(500)는 S111 단계에서 수집한 구매 정보 및 S113 단계에서 생성한 인증 정책을 포함하는 메타 정보를 생성한다(S115). 이때, 메타 정보 생성시 포함되는 구매 정보는 기기 정보 즉 사용자의 장치 정보만 포함될 수 있다.
다음, DRM 해독코드 서버(500)는 S109 단계에서 요청받은 DRM 컨텐츠의 해독코드, 라이센스 및 S115 단계에서 생성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DRM 해독코드 패키지를 생성(S117)하여 DRM 에이전트(310)로 전송한다(S119).
다음, DRM 에이전트(310)는 DRM 해독코드 패키지에 포함된 해독코드, 라이센스 및 메타 정보를 저장한다(S121).
다음, DRM 에이전트(310)는 메타 정보에 포함된 기기 정보와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기기 정보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기기 인증을 수행한다(S123).
또한, S121 단계에서 수신한 라이센스의 유효성 즉 DRM 컨텐츠 재생 장치(300)가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체크한다(S125).
다음, DRM 에이전트(310)는 S123 단계의 기기 인증에 성공하고, S125 단계에서 라이센스가 유효하면, S119 단계에서 수신한 해독코드를 이용하여 S103 단계에서 수신한 암호화된 DRM 컨텐츠를 복호화(S123)하여 미디어 재생부(330)로 전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M 에이전트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5의 과정 이후의 동작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DRM 에이전트(310)는 암호화된 DRM 컨텐츠가 구동(S201)되면, 라이센스 정보를 확인한다(S203).
다음, DRM 에이전트(310)는 라이센스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S205)하여 유효하지 않으면, DRM 컨텐츠의 구동을 중지한다(S207).
반면, DRM 에이전트(310)는 라이센스 정보가 유효한 경우, DRM 메타 정보를 해석한다(S209).
이때, DRM 메타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책이 충족되는지를 판단한다(S211). 즉 1회 인증 만료일이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한다.
1회 인증 만료일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인증 정책이 충족되는 경우로 판단하여 해독코드를 이용하여 DRM 컨텐츠를 복호화한다(S213).
반면, 1회 인증 만료일이 도래한 경우, 인증 정책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로 판단하여 DRM 해독코드 서버(500)에 다시 접속(S215)하여 DRM 해독코드 패키지를 재수신한다.
이 과정에서 DRM 해독코드 서버(500)는 해당 DRM 컨텐츠의 사용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불법복제된 경우, 이과정에서 DRM 해독코드 서버(500)에 접속하여 DRM 해독코드 패키지를 재수신하는 과정없이는 DRM 컨텐츠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암호화된 DRM 컨텐츠에 대한 해독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DRM 해독코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해독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DRM 컨텐츠를 복호하는 DRM 에이전트; 및
    상기 DRM 에이전트로부터 전달받은 복호된 DRM 컨텐츠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해독코드와 분리되어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진 DRM 컨텐츠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표준화된 시스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구현되어 DRM 컨텐츠의 포맷 또는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되는 DRM 컨텐츠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DRM 컨텐츠 재생 장치에 디폴트로 탑재되는 DRM 컨텐츠 재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가상 머신 상에서 동작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는 DRM 컨텐츠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미디어 재생부와 연동하기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DRM 컨텐츠 재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사용자가 DRM 컨텐츠를 구매한 마켓 서버로부터 암호화된 DRM 컨텐츠, 메타데이터 및 해독코드 URI(U 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패키징된 DRM 컨텐츠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DRM 컨텐츠 패키지로부터 상기 암호해독코드 URI를 추출하여 접속한 상기 DRM 해독코드 서버에게 상기 해독코드를 요청하는 DRM 컨텐츠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RM 컨텐츠 패키지는,
    헤더에 상기 해독코드 URI가 수록되고, 바디에 암호화된 DRM 컨텐츠가 수록된 HTTP(Hyper Text Transport Protocol) 메시지인 DRM 컨텐츠 재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HTTP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DRM 해독코드 서버로 상기 해독코드를 요청하고, 상기 패키징된 DRM 해독코드가 포함된 HTT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DRM 컨텐츠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DRM 해독코드, DRM 메타 정보 및 라이센스가 포함된 DRM 해독코드 패키지를 상기 DRM 해독코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DRM 메타 정보에 포함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사용 권한이 확인되면, 상기 DRM 해독코드로 상기 암호화된 DRM 컨텐츠를 복호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부로 전달하는 DRM 컨텐츠 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DRM 해독코드 패키지를 저장하고, 상기 미디어 재생부로부터 DRM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메타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책을 확인하여 1회 인증기간 만료일이 도래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1회 인증 기간 만료일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상기 DRM 해독코드를 이용하여 복호된 DRM 컨텐츠를 상기 미디어 재생부로 전달하며, 상기 1회 인증 기간 만료일이 도래한 경우, 상기 DRM 해독코드 서버에 접속하여 다시 DRM 해독코드 패키지를 수신하는 DRM 컨텐츠 재생 장치.
  11.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컨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해독코드를 관리하는 해독코드 관리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DRM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DRM 컨텐츠에 대한 해독코드를 요청받는 수신부; 및
    상기 해독코드 관리부로부터 요청받은 DRM 컨텐츠에 대한 해독코드를 획득하여 상기 DRM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DRM 해독코드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로부터 요청받은 DRM 컨텐츠의 구매 정보를 마켓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정책을 설정하는 정책 설정부;
    상기 구매 정보 및 상기 인증 정책을 토대로 DRM 메타 정보를 생성하는 메타 정보 생성부; 및
    상기 DRM 컨텐츠의 사용 권한인 라이센스를 제공하는 라이센스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DRM 메타 정보, 상기 라이센스 및 상기 해독코드를 패키징한 DRM 해독코드 패키지를 상기 DRM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DRM 해독코드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 설정부는, 1회 인증 기간 만료일을 설정하고,
    상기 메타 정보 생성부는,
    상기 1회 인증 기간 만료일 및 상기 구매 정보에 포함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DRM 메타 정보를 생성하는 DRM 해독코드 서버.
KR1020110141761A 2011-12-23 2011-12-23 Drm 컨텐츠 재생 장치 및 drm 해독코드 서버 KR20130093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61A KR20130093718A (ko) 2011-12-23 2011-12-23 Drm 컨텐츠 재생 장치 및 drm 해독코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61A KR20130093718A (ko) 2011-12-23 2011-12-23 Drm 컨텐츠 재생 장치 및 drm 해독코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718A true KR20130093718A (ko) 2013-08-23

Family

ID=4921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761A KR20130093718A (ko) 2011-12-23 2011-12-23 Drm 컨텐츠 재생 장치 및 drm 해독코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37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0564B2 (ja) 携帯用メディア上のコンテンツの暗号化およびデータ保護
JP4790021B2 (ja) Srmのデジタル著作権管理方法及び装置
KR101028601B1 (ko) 애플리케이션들 및 미디어 콘텐츠의 보호되는 배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98199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방법
CN101243434B (zh) 经由流送的远程访问受保护文件
KR101944800B1 (ko) Drm 모듈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KR100828370B1 (ko) Drm 컨텐츠 및 라이센스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drm 컨텐츠 사용 방법 및 장치
US20060173787A1 (en) Data protec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data protection management method
JP2001175606A5 (ko)
KR101478337B1 (ko) 호스트 장치의 drm 유형을 기초로한 암호화 키를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1909210A1 (en) Contents Decryption Method Using DRM Card
JP2008159040A (ja) 権利客体の復号方法と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共有方法と装置
KR101447194B1 (ko) Drm 에이전트의 공유장치 및 방법
JP4791425B2 (ja) DRM(DigitalRightsManagement)デバイスを用いてDRM機能と付加機能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US84740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US20080229094A1 (en) Method of transmitting contents between devices and system thereof
JP5292237B2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
JP5345989B2 (ja) ファイルデータ削除プログラム及びファイルデータ削除システム
KR20130093718A (ko) Drm 컨텐츠 재생 장치 및 drm 해독코드 서버
JP2005316903A (ja) ファイルデータ削除プログラム及びファイルデータ削除システム
JP4969821B2 (ja) 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復号化方法
KR100696249B1 (ko) Drm을 이용한 mp3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36459B1 (ko) Drm 복호화 기능을 구비한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에서의 drm 복호화 방법
KR101532927B1 (ko) 호스트 장치의 drm 유형을 기초로한 암호화 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117771A (ko) Drm 기반의 컨텐츠 재생 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