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162A - 동적 iot 설정점 및 간섭 제어 - Google Patents

동적 iot 설정점 및 간섭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162A
KR20130093162A KR1020137017233A KR20137017233A KR20130093162A KR 20130093162 A KR20130093162 A KR 20130093162A KR 1020137017233 A KR1020137017233 A KR 1020137017233A KR 20137017233 A KR20137017233 A KR 20137017233A KR 20130093162 A KR20130093162 A KR 20130093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indicator
sector
set point
serving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900B1 (ko
Inventor
에드워드 해리슨 티구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9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역방향 링크 간섭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총 간섭의 정량적 측정값인 동적 및 변경가능한 IoT 설정점을 사용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간섭은 인접한 섹터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역방향 링크를 통해 통신하고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IoT 설정점은 향후의 스케줄링 정보 및/또는 섹터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조건들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급상승 표시자(Up+)는 역방향 링크 간섭에 대해 송신될 수 있으며, 이는 생성되는 부가적인 간섭이 섹터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의 장점을 수신 디바이스가 갖도록 허용한다. 간섭 제어 동작은 무선으로 또는 백홀을 통해 OSIB(Other Sector Interference Bit) 채널에서 송신될 수 있다. 간섭 제어 동작은 동적 IoT 설정점의 함수로써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적 IOT 설정점 및 간섭 제어{DYNAMIC IOT SETPOINTS AND INTERFERENCE CONTROL}
이하의 설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를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브로드캐스트, 및 메시징 서비스들 뿐만 아니라 다른 것들과 같은 다수의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전개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접속 시스템들일 수 있다. 그러한 다중-접속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들 및 다른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무선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들에서, 각각의 단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에서 송신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섹터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섹터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섹터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들은 단일-입력 단일-출력(SISO) 시스템들, 다중-입력 단일-출력(MISO) 시스템들, 및/또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들 등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다수의 단말들은 시간, 주파수, 및/또는 코드 도메인에서 서로 직교하는 이들의 송신들을 멀티플렉싱함으로써 역방향 링크를 통해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송신들 간의 완전한 직교성(orthogonality)이 달성되면, 각각의 단말로부터의 송신들은 수신 섹터에서 다른 단말들로부터의 송신들을 간섭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이한 단말들로부터의 송신들 간에 완전한 직교성은 종종 채널 조건들, 수신기 결함, 및 다른 요인들로 인해 달성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단말들은 종종 다른 단말들에 대한 일부 간섭량을 유발한다. 더욱이, 상이한 섹터들과 통신하는 단말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전형적으로 서로 직교하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단말은 또한 인근 섹터들과 통신하는 단말들에 대한 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은 시스템 내의 각 단말에서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의 효과들을 경감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술들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그러한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한다. 이러한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양상들의 포괄적인 개요가 아니며, 모든 양상들의 핵심 또는 중요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주를 서술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 이의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제공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전제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설명된 양상들은 서빙 섹터에서의 순간적인 부하 정보에 기초할 수 있는 간섭 제어를 위한 기술들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들을 완화한다.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섹터가 현재에 높은 IoT(Interference Over Thermal) 설정점(setpoint)들에 영향을 받지 않더라도 IoT 값이 섹터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는 전통적인 제한들을 완화할 수 있다. IoT 값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총 간섭의 정량적 측정값이고, 서빙 섹터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간섭의 영향을 표시할 수 있다. 간략화를 목적으로, IoT란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간섭 영향을 정량화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영향을 정량화하는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거나 이러한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시된 양상들은 그러한 모든 실질적으로 등가적인 방식들 및/또는 용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 양상은 동적 간섭 설정점과의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서빙 섹터와 연관된 간섭 설정점을 설정하는(establish) 단계 및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된 역방향 링크 간섭량의 함수(function)인 간섭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간섭값 및 간섭 설정점의 비교에 기초하여 간섭 제어를 위한 동작(action)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동작은 이웃하는 섹터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에 통신된다. 간섭 설정점은 서빙 섹터의 현재 파라미터들 또는 예측된 요구들(needs)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동적 설정점이다.
다른 양상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는 서빙 섹터의 현재 파라미터들 또는 예측된 요구들에 기초하여 동적 간섭 설정점을 설정하는 것에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한다. 메모리는 또한 서빙 섹터에 수신된 간섭량을 계산하는 것, 동작을 결정하기 위해 간섭 설정점을 수신된 간섭량과 비교하는 것, 그리고 동작을 이웃하는 섹터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통신하는 것에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연결되고 메모리 내에 보유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양상은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서빙 섹터의 현재 파라미터들 또는 예측된 요구들에 기초하여 동적 간섭 설정점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서빙 섹터에 수신된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간섭량과 간섭 설정점의 비교에 기초하여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이웃하는 섹터에 상기 동작을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상은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섹터의 현재 파라미터들 또는 예측된 요구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되는 서빙 섹터 타겟 간섭 설정점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세트의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product)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량을 측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 2 세트의 코드들,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측정된 간섭량 및 타겟 간섭 설정점의 비교에 기초하여 수행될 동작을 제안(recommend)하도록 하기 위한 제 3 세트의 코드들을 포함한다. 측정된 간섭량은 간섭값이다. 또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안된 동작을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섹터들의 디바이스들에게 통신하도록 하기 위한 제 4 세트의 코드들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내에 포함된다. 통신은 백홀(backhaul) 채널을 통해 또는 무선으로(over the air)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서빙 섹터에서 간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프로세서는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 1 모듈, 및 서빙 섹터의 현재 파라미터들 또는 예측된 요구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되는 타겟 간섭 설정점을 설정하기 위한 제 2 모듈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는 측정된 간섭량과 타겟 간섭 설정점을 비교하고 비교에 기초하여 수행될 동작을 제안하기 위한 제 3 모듈, 및 제안된 동작을 표시하기 위해 OSIB 채널에 비트를 설정하고 OSIB 채널을 무선으로 또는 백홀 채널을 통해 이웃하는 섹터에 통신하기 위한 제 4 모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서빙 섹터에 허용가능한(tolerable) 역방향 링크 간섭량 및 서빙 섹터 정보를 평가하는 단계, 및 서빙 섹터에서 경험되는 간섭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상기 허용가능한 간섭량 및 경험되는 상기 간섭량의 평가에 기초하여 간섭 표시자(indicator)가 급상승(fast up) 표시자(Up+)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인접한 섹터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에게 OSIB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SIB 채널은 상기 급상승 표시자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는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 및 서빙 섹터를 평가하는 것 그리고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량을 측정하는 것에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한다. 메모리는 또한 간섭 표시자가 급상승 표시자(Up+)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 그리고 상기 급상승 표시자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을 하나 이상의 인접한 섹터들에게 송신하는 것에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연결되고 메모리에 보유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양상은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 및 서빙 섹터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 및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또한 간섭 표시자가 급상승 표시자(Up+)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급상승 표시자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을 하나 이상의 인접한 섹터들의 디바이스들에게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은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섹터에 의해 수신되는 간섭량을 계산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세트의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섹터가 허용할 수 있는 간섭량 및 서빙 섹터를 평가하도록 하기 위한 제 2 세트의 코드들,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평가에 기초하여 급상승 표시자가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 3 세트의 코드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급상승 표시자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을 송신하도록 하기 위한 제 4 세트의 코드들은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된다. 상기 송신은 무선으로 또는 백홀 채널을 통해 수행된다.
또 다른 양상은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프로세서는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 및 서빙 섹터와 연관된 정보를 평가하기 위한 제 1 모듈, 및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제 2 모듈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급상승 표시자로 설정될 수 있는 OSIB 채널에서 비트를 결정하기 위한 제 3 모듈, 및 상기 OSIB 채널을 무선으로 또는 백홀을 통해 인접한 섹터에 송신하기 위한 제 4 모듈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상은 역방향 링크 간섭 관리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OSIB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및 급상승 표시자(Up+)에 대해 OSIB 채널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방법은 송신 전력을 상위 레벨로 신속하게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위 레벨의 송신 전력으로 역방향 링크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연결되고 메모리에 보유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다수의 비트들을 포함하는 OSIB 채널을 수신하는 것 그리고 급상승 표시자에 관련된 비트가 설정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OSIB 채널을 평가하는 것에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한다. 메모리는 또한 급상승 표시자에 관련된 상기 비트가 설정되는 경우 송신 전력을 상위 레벨로 조정하는 것 그리고 상위 송신 전력 레벨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한다.
또 다른 양상은 역방향 링크 간섭을 관리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인접한 섹터의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백홀 채널을 통해 상기 OSIB 채널을 수신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OSIB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채널의 급상승 표시 비트가 설정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OSIB 채널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상승 표시 비트가 설정되는 경우 송신 전력을 상위 레벨로 신속하게 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상위 송신 전력 레벨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다.
다른 양상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OSIB 채널을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세트의 코드들,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급상승 표시자에 대해 상기 OSIB 채널을 평가하도록 하기 위한 제 2 세트의 코드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급상승 표시자와 일치하는 레이트(rate)에서 송신 전력을 상위 레벨로 조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 3 세트의 코드들,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역방향 링크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기 위한 제 4 세트의 코드들이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된다. 상기 신호는 상위 송신 전력 레벨로 송신된다.
또 다른 양상은 역방향 링크 간섭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프로세서는 무선으로 또는 백홀을 통해 송신된 OSIB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모듈, 및 상기 OSIB 채널이 급상승 표시자를 포함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제 2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상승 표시자가 상기 OSIB 채널에 포함되는 경우 송신 전력 레벨을 신속하게 증가시키기 위한 제 3 모듈, 및 증가된 송신 전력 레벨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 4 모듈이 프로세서에 포함된다.
전술한 목적들 및 관련 목적들의 달성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이후에 완전하게 상술되고 특히 청구범위에서 지적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특징들을 상세히 상술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일부만을 나타낸다. 다른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하여 고려될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제시되는 양상들은 그러한 모든 양상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른 다중 접속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양상들에 따라 역방향 링크 간섭 관리를 위한 다중 접속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를 위해 동적 IoT 설정점들을 이용하기 위한 일 예의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양상들에 따라 급상승 표시자를 사용하기 위한 일 예의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양상들에 따라 백홀 채널을 통한 역방향 링크(RL) 간섭 관리를 위한 일 예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은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최소 시스템 안정성 및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들을 보장(guarantee)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역방향 링크(RL) 간섭 제어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급상승(Up+) 표시자를 사용하는 역방향 링크 간섭 관리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RL 간섭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수신된 급상승(Up+) 표시자에 응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하나 이상의 제시된 양상들에 따라 급상승(Up+) 표시자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의 수신을 원활하게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은 하나 이상의 제시된 양상들에 따라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의 송신을 원활하게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1은 제시된 양상들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2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일 예의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도 1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일 예의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도 14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관리하는 일 예의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이제 다양한 양상들은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상술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이러한 양상들의 설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본 개시물에 사용되는 것처럼, "컴포넌트", "시스템", "모듈"이란 용어들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파일,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서,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는 둘다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하나의 컴포넌트가 하나의 컴퓨터에서 로컬화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형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또는 신호에 의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시스템들과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양상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계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이동, 모바일, 무선 단말, 디바이스,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될 수 있고, 이들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스마트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단말기(PDA), 랩톱,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 위성 라디오, 무선 모뎀 카드 및/또는 무선 시스템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양상들은 기지국과 연계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기지국은 무선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일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들 면에서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은 부가적인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거나/있고 도면들과 연계하여 논의되는 모든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고 인식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른 다중 접속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도시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은 다수의 섹터들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하는 3-섹터 기지국(102)이 도시되며,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4, 106)을 포함하고, 다른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8, 110)을 포함하며, 제 3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12, 114)을 포함한다. 도면에 따라, 2개의 안테나들만이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도시되지만, 더 많거나 더 적은 안테나들이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6)는 안테나들(112, 114)과 통신하고, 여기서 안테나들(112, 114)은 순방향 링크(120)를 통해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16)로 송신하며, 역방향 링크(118)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모바일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22)는 안테나들(104, 106)과 통신하고, 여기서 안테나들(104, 106)은 순방향 링크(126)를 통해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22)로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24)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이들이 통신하도록 지정되는 각 그룹의 안테나들 및/또는 영역은 기지국(102)의 섹터로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서, 안테나 그룹들은 각각 기지국(1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 또는 섹터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지정된다. 기지국은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국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인접한 셀들(미도시됨)에 있고 다른 기지국들(미도시됨)에 의해 서빙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기지국(102) 및/또는 서빙받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예, 모바일 디바이스들(116, 122))에 대한 간섭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셀"이란 용어는 이 용어가 사용되는 정황에 따라, 기지국 및 이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한다. 간섭은 인접한 셀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의 서빙 기지국에 송신하고 있을 때 역방향 링크를 통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역방향 링크(RL) 간섭으로서 지칭된다. RL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기지국(102)은 하나 이상의 비트들일 수 있는 OSIB(Other Sector Interference Bit) 채널을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OSIB 채널은 급상승 표시(Up+)와 같은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OSIB 채널은 간섭 제어를 위한 제어 시그널링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다이렉트 채널이다. 제어 시그널링 정보는 기지국(102)에 의해 검출되는 총 간섭의 정량적 측정값(quantitative measurement)인 IoT 값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웃하는 섹터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섹터에서 OSIB 송신값들을 설정하는 알고리즘은 섹터의 현재 및/또는 예측된 활동 요구들(activity needs)에 따라 섹터의 타겟 IoT 설정점이 달성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IoT 설정점은 IoT 값이 비교되는 수(number)이고 목표된 IoT의 특성이다. 예를 들어, IoT 설정점 미만인 IoT 값이 바람직하다. OSIB 채널은 기지국(102) 인근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신 및/또는 OSIB 채널은 백홀 채널을 통해 이웃하는 기지국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백홀 채널을 통하는 경우, 인접한 기지국은 서빙받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게 간섭 관리 정보(예, 송신 전력 정보)를 차례로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양상들에 따라 역방향 링크 간섭 관리를 위한 다중 접속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시스템(200)은 OSIB 채널에 급상승 표시(Up+)를 포함시키는 것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OSIB 비트들은 예측된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시스템(200)은 섹터 내의 순간적인 부하(instantaneous load)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섹터들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순간적인 부하 정보를 사용하는 것은 섹터가 임의의 특정 시간에서 높은 IoT 설정점들에 영향을 받지 않더라도(insensitive) IoT 설정점이 섹터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종래의 제한을 완화할 수 있다.
섹터화된 셀에서, 그 셀의 모든 섹터들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들은 전형적으로 셀에 대한 기지국 내에서 상호-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역방향 링크 간섭 관리 기술들은 섹터화된 셀들을 갖는 시스템 및 섹터화되지 않는 셀들을 갖는 시스템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섹터"란 용어는 섹터화된 셀들을 갖는 시스템에서 종래의 기지국 및/또는 이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섹터화되지 않는 셀들을 갖는 시스템에서 종래의 기지국 및/또는 이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 및 "사용자(user)"란 용어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고, "섹터" 및 "기지국"이란 용어들은 또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섹터는 단말이 통신하는 기지국/섹터이다. 이웃(또는 인접한) 기지국/섹터는 단말이 통신하지 않는 기지국/섹터이다.
역방향 링크 간섭 관리 기술들은 또한 다양한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술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 인터리브형(interleaved)(IFDMA) 시스템, 로컬형 FDMA(LFDMA) 시스템, 공간 분할 다중 접속(SDMA) 시스템, 의사-직교 다중-접속 시스템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IFDMA는 또한 분산형 FDMA로 지칭되고, LFDMA는 또한 협대역 FDMA 또는 전통적인 FDMA로 지칭된다.
또한 세부적으로, 다중 접속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셀들(202, 204, 206)로서 도시된 다수의 셀들을 포함한다. 도 2에서, 각각의 셀(202, 204, 206)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하는 기지국(208, 210, 2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섹터들은 각각 셀의 일부분에 있는 액세스 단말들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안테나들의 그룹들에 의해 형성된다. 셀(202)에서, 안테나 그룹들(214, 216, 218)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상응한다. 셀(204)에서, 안테나 그룹들(220, 222, 224)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상응한다. 셀(206)에서, 안테나 그룹들(226, 228, 230)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상응한다.
각각의 셀은 각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섹터들과 통신하는 액세스 단말들로서 예시되는 몇개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전형적으로 시스템에 걸쳐 분산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말은 고정식 또는 이동식일 수 있다. 단말은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를 통해 제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들(232, 234, 236, 238)은 기지국(208)과 통신하고, 액세스 단말들(240, 242, 244)은 액세스 포인트(210)와 통신하며, 액세스 단말들(246, 248, 250)은 액세스 포인트(212)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셀(204)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액세스 단말(240, 242, 244)은 동일한 셀 내의 각각의 다른 액세스 단말과 상이한 그 각각의 셀 부분에 위치된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액세스 단말(240, 242, 244)은 통신하고 있는 대응 안테나 그룹들로부터 상이한 거리일 수 있다. 이러한 두 요인들은 셀 내에서 환경적 및 다른 조건들로 인한 상황들을 제공하여, 각각의 액세스 단말과 각각의 액세스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이의 대응 안테나 그룹 사이에 상이한 채널 조건들이 나타나도록 한다.
제어기(252)는 각각의 셀들(202, 204, 206)에 연결되고 각각의 기지국들에 대한 조정(coordination) 및 제어를 제공한다. 제어기(252)는 단일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집합체일 수 있다. 분산형 아키텍쳐에서, 기지국들은 필요한 경우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252)는 인터넷과 같은 다중 네트워크들, 다른 패킷 기반 네트워크들, 또는 다중 접속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셀들과 통신하는 액세스 단말들에 정보를 제공하고 액세스 단말들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회선 교환방식 음성 네트워크들로의 하나 이상의 접속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52)는 액세스 단말들로부터 그리고 액세스 단말들로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스케쥴러를 포함하거나 스케쥴러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케쥴러는 각각의 개별 셀, 셀의 각 섹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는 물리적 섹터들(예, 상이한 섹터들에 대한 상이한 안테나 그룹들을 갖는)을 도시하지만, 다른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공간에서 셀의 상이한 영역들을 각각 커버하는 다수의 고정식 "빔들"을 사용하는 것은 물리적 섹터들 대신에 또는 물리적 섹터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특정 셀 내의 액세스 단말들은 그 셀과 연관된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고 이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이웃하는 셀과 연관된 기지국(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232)이 역방향 링크를 통해 이의 서빙 기지국(208)과 통신할 때, 통신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21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는 액세스 포인트(210) 및/또는 서빙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섹터간(inter-sector) 간섭(OSI(Other Sector Interference) 또는 RL 간섭으로도 지칭됨)을 유발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액세스 단말(248)로부터의 통신들은 액세스 포인트들(210, 212)에 의해 수신(예, 간섭)될 수 있고, 액세스 단말(250)로부터의 통신들은 액세스 포인트들(208, 212)에 의해 수신(예, 간섭)될 수 있는 등이다. 경험되는 간섭을 완화하려는 시도에서, 기지국(210)은 예를 들어, 기지국(210)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 뿐만 아니라, 간섭을 유발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시그널링 또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을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OSIB 채널들을 전달하는 것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동적 및 변경가능한 IoT 설정점은 단독으로 또는 "Up+" 값과 연계하여, 무선으로 바로 모바일 디바이스들에게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백홀을 통해 이웃하는 기지국들에게 송신될 수 있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를 위한 동적 IoT 설정점들을 사용하기 위한 일 예의 시스템(3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시스템(300)은 단말(304)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308) 및 기지국(302)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306)을 통하여 순방향 링크 및/또는 역방향 링크에서, 이웃하는 섹터의 모바일 디바이스(304)로 나타낸 무선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기지국(302)으로 나타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이웃하는 기지국(302)은 셀(예, 셀(202)) 또는 셀 내부의 영역(예, 섹터(204))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단지 하나의 기지국(302) 및 모바일 디바이스(304)가 간략화를 위해 시스템(300)에서 도시되지만, 시스템(300)은 임의의 수의 기지국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300)은 기지국(3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거나 영역의 어떤 부분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각각의 지리적 영역들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300)은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304)가 역방향 링크(RL)를 통해 서빙 기지국(미도시됨)에 송신할 때, 이웃하는 기지국(302)은 역방향 링크(RL) 간섭을 경험할 수 있다. 기지국(302)에 의해 검출되는 RL 간섭량에 기초하여, OSIB 채널은 이웃하는 섹터들 내의 사용자들(예, 모바일 디바이스(304))에 의한 수신을 위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기지국(302)은 기지국(302)이 과도한 간섭을 경험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응하는 OSI(Other Sector Interference) 메시지들 및/또는 다른 유사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전용 OSI 채널 및/또는 다른 적절한 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되면, OSI 메시지들은 역방향 링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들을 조정하기 위해 단말들(30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종래의 기술들은 다른 섹터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304)에 의한 수신을 위해 이러한 정적 IoT 설정점에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을 송신함으로써 정적 변경불가능한(static unchangeable) IoT 설정점을 유지하려고 시도하는 분산형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알고리즘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들에서, IoT 설정점은 전형적으로 고정값이다. 모든 섹터들 및 관련 채널 강도 차이들의 고려사항들을 포함하는, 이러한 채널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304)의 대응하는 전력 제어 반응은 복잡할 수 있다. 종래의 시스템들에 의해 사용되는 기술들의 단점들이 존재한다. 단점은 정적 IoT 설정점이 바람직하다는 가정이 있다는 점이다. 이는 특히 특정 섹터가 특정 시간들에서 높은 IoT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부분적인 부하(partial loading) 경우들에서(예, 섹터 내에서 스케줄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렇치 않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시되는 양상들은 매우 동적인 IoT 설정점들의 능력을 제공한다.
시스템(300)은 섹터에서 OSIB 송신값들을 설정하는 알고리즘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시스템들은 특정한 정적 IoT 설정점을 목표로 OSIB를 설정하는 반면, 시스템(300)은 섹터의 현재 및/또는 예측된 활동 및 요구들에 따라 타겟 섹터의 타겟 IoT 설정점이 설정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이 섹터 내에서 스케줄링되지 않는 경우, 또는 섹터 내의 능동(active) 사용자들이 매우 강한 채널들을 갖고 있는 경우, 섹터에 대한 IoT 설정점이 증가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기지국(302)은 서빙 섹터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섹터 플래너(sector planner)(310)를 포함한다. 섹터 플래너(310)는 현재 정보 및/또는 미래 정보에 관한 정보를 수집(예, 관측, 수신, 요청)할 수 있다. 정보(현재 및 미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는 섹터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 미래에 섹터에 합류(join)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나중 시간에 섹터를 떠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의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는 미래 시간에 섹터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트래픽 및/또는 섹터 내에서 현재 발생하고 있는 트래픽의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집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섹터 플래너(310)는 동적 값일 수 있는 IoT 설정점을 설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내의 변경들 또는 예상된 변경들이 표시되는 경우, IoT 설정점은 변경들을 고려하기 위한 섹터 플래너(310)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화될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이한 전개(deployment) 특성이 있는 경우, IoT 설정점은 전개 특성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고려하도록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IoT 설정점은 제시된 양상들에 따라 임의의 횟수들로 조정될 수 있다. IoT 설정점은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의 표시(indication)이다.
RL 간섭 검출기(312)는 이웃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304)로부터 수신되는 RL 간섭을 평가하고 현재 IoT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RL 간섭은 모바일 디바이스(304)가 RL 링크를 통해 이의 서빙 기지국과 통신할 때 유발된다. 모바일 디바이스(304)가 기지국(302)에 의해 서빙되는 섹터에 근접하는 경우, 과도한 RL 간섭이 전개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304)가 기지국(302)에 의해 서빙되는 섹터에 인접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304)는 RL 간섭(있는 경우)을 거의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간섭 제어 컴포넌트(314)는 간섭을 제어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을 결정하기 위해, RL 간섭 검출기(312)에 의해 계산된 IoT 값 및 섹터 평가기(310)에 의해 설정된 IoT 설정점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간섭 제어 컴포넌트(314)는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IoT 값을 IoT 설정점과 비교할 수 있다. 과도한 간섭이 검출되는 경우, 간섭 제어 컴포넌트(314)는 네트워크의 안정성 및 성능을 유지 또는 최적화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간섭 제어 컴포넌트(314)는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OSIB 채널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설정한다. OSIB 채널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304)에게 송신된다.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OSIB 채널은 무선으로 및/또는 백홀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섹터 플래너(310)에 의해 제공되는 동적 IoT 설정점 할당은 기본 IoT 설정점(종래의 시스템들에서 사용되는)에 부가된다. 시스템(300)은 가변하는 동적 IoT 설정점을 제공하는 값을 인식하며, 여기서 기지국(302)은 현재 조건들 및/또는 미래 조건들(예측된 또는 계획된)에 따라 IoT에 대한 상이한 임계값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섹터가 사용자들을 갖는 않는 경우, IoT 값은 그 간섭에 의해 영항을 받을 사용자들이 없기 때문에 중요하지 않다. 추가적으로, 손상을 받고 있는 사용자들이 없기 때문에, 각각의 송신들(예, 송신 전력)을 턴다운(turn down)하기 위해 다른 섹터들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304)에 메시지를 송신할 이유가 없을 수 있다. 종래의 기술들은 정적 IoT 설정점을 사용하기 때문에, 섹터 내에 사용자들이 없더라도, IoT 설정점은 엄격하게 유지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없고 측정된 IoT 값이 정적 IoT 설정점보다 더 높더라도, 간섭을 경감하기 위해(예,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웃하는 섹터들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을 표시하는 OSIB 채널은 송신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양상들은 정적 IoT 설정점의 그러한 문제점들을 완화시키고, 이는 이웃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304)이 더 높은 전력에서 송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으며, 통신하고 있는 그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들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예를 계속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서빙 섹터에 진입하는 경우, 기지국(302)은 상이한 동작을 표시하는 OSIB 채널 내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디바이스로 인하여, IoT 설정점은 변경될 수 있다. 더 높은 IoT 설정점이 이전에 허용되었던 경우(섹터 내에 사용자들이 없었거나 적은 사용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높은 IoT 설정점은 이제 섹터에 손상을 주고 있을 수 있다(예, 새로운 디바이스에 대한 간섭을 유발). 따라서, 기지국(302)은 간섭량을 완화하도록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통지하기 위해 IoT 설정점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섹터 내에서 이러한 새로운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링크들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L 간섭을 잘 관리하는 섹터 내의 일부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강한 역방향 링크 채널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IoT 값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섹터의 가장자리(edge)로 이동되는 경우, RL 간섭은 더 높을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영향을 받기 때문에, IoT 설정점 임계값은 중요해진다. 따라서, 기지국(302)은 IoT 설정점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OSIB 채널에서 상이한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IoT 설정점은 섹터 내의 변경 조건들에 따라 변경된다.
따라서, 시스템(300)은 고정된 정적 IoT 설정점이 적합하지 않은 상황들에 대해 동적 IoT 설정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양상들에 따라, 정적 IoT 설정점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적 IoT 설정점을 사용하여 음성 서비스의 전개를 위해 간섭을 완화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더 높은 IoT 설정점이 설정되면, 임계값이 충족될 가능성이 적고, 이에 따라 다른 섹터들 내의 디바이스들이 IoT 값을 감소(예,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해야 함을 나타내는 OSIB 채널을 기지국이 송신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IoT 설정점은 필요한 경우 동작중에(on the fly)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기지국(302)은 서빙 섹터의 현재 파라미터들 또는 예측된 요구들에 기초하여 동적 간섭 설정점을 설정하는 것에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또한 서빙 섹터에 수신되는 간섭량을 계산하는 것, 동작을 결정하기 위해 수신된 간섭량과 간섭 설정점을 비교하는 것, 그리고 상기 동작을 이웃하는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예, 무선 통신 디바이스(304))에 통신하는 것에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연결될 수 있고 메모리에 보유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양상들에 따라 급상승 표시자를 사용하기 위한 일 예의 시스템(4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시스템(4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406, 408)을 통하여 순방향 링크 및/또는 역방향 링크 상에서, 이웃하는 섹터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404)로 나타낸 무선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기지국(402)으로 나타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이웃하는 기지국(402)은 셀(예, 셀(202)) 또는 셀 내의 영역(예, 섹터(204))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하나보다 많은 기지국(402) 및 하나보다 많은 모바일 디바이스(404)가 시스템(4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400)은 기지국(4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거나 커버되는 영역의 아무 것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각각의 지리적 영역들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400)은 모바일 디바이스(404)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404)가 역방향 링크(RL)를 통해 서빙 기지국(미도시됨)으로 송신할 때, 이웃하는 기지국(402)은 역방향 링크(RL) 간섭을 경험할 수 있다. 기지국(402)에 의해 검출되는 RL 간섭량에 기초하여, OSIB 비트는 이웃하는 섹터들 내의 사용자들(예, 모바일 디바이스(404))에 의한 수신을 위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기지국(402)은 OSI(Other Sectior Interference) 메시지들 및/또는 기지국(402)이 경험하고 있는 간섭량에 대응하는 다른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전용 OSI 채널 및/또는 다른 적절한 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되면, OSI 메시지들은 역방향 링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들을 조정하기 위해 단말들(404)(다른 섹터들 내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종래의 기술들은 3개의 값들, "Up", "Down", 및 "Down++"을 포함하는 OSIB 채널을 사용한다. "Up"은 섹터의 IoT 값이 IoT 설정점 미만이라는 것을 표시하고, "Down"은 섹터의 IoT 값이 IoT 설정점을 초과한다는 것을 표시하며, "Down++"은 섹터의 IoT 값이 위험하게 높다는 것을 표시한다. 시스템(400)은 동적 IoT 설정점들을 갖는 환경에서 유용한 OSIB 채널을 통해 "Up+" 표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IoT 설정점이 매우 빨리 상승할 때, 섹터는 "Up+"를 시그널링하여 다른 섹터들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402)이 더 높은 허용된 IoT의 장점을 신속하게 가질 수 있다(예, 그러한 디바이스들은 더 높은 전력에서 송신할 수 있음).
시스템(400)의 장점의 간단한 일 예는 섹터 내에 스케줄링되는 사용자들이 없을 때마다 부분적으로 부하를 받는(loaded) 섹터들이 IoT에 대한 무반응(insensitivity)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다. 이웃하는 섹터들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이들이 생성하는 부가적인 간섭이 이웃하는 섹터를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의 장점을 갖도록 이러한 간격 동안 이들의 송신 전력을 신속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기지국(402)은 기지국(402)의 서빙 섹터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섹터 평가기(sector evaluator)(410)를 포함한다. 섹터 평가기(410)는 현재 정보 및/또는 미래 정보에 관한 정보를 수집(예, 관측, 수신, 요청)할 수 있다. 정보(현재 및 미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는 섹터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 미래에 섹터 내에 합류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나중 시간에 섹터를 떠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의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는 섹터 내에서 현재 발생하고 있는 트래픽 및/또는 미래 시간에 섹터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트래픽의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섹터 평가기(410)는 평가에 기초하여 섹터에 대한 IoT 설정점을 설정할 수 있다.
IoT 값 계산기(412)는 섹터 내의 정보를 평가하고 IoT 값을 계산할 수 있다. IoT 값은 섹터 내에서 경험되는 총 간섭의 측정값으로서, 열 잡음(thermal noise)을 포함할 수 있다.
IoT 설정점 및 IoT 값에 기초하여, 전력 제어 컴포넌트(414)는 역방향 링크를 통한 송신 전력이 조정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이웃하는 섹터들 내의 디바이스들(예, 모바일 디바이스(404))에게 통지하기 위해 OSIB 채널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조정들은 이웃하는 디바이스들(404)이 기지국(402)의 서빙 섹터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간섭 레벨에 기여하지 않으면서 부가적인 전력 자원들의 장점을 가질 수 있음을 표시하는 급상승("Up+")을 포함할 수 있다. Up+는 IoT 설정점이 IoT 값보다 훨씬 더 높은 경우에(예, 서빙 섹터가 훨씬 더 많은 간섭을 허용할 수 있음) 송신될 수 있다. "Up+" 표시는 특정 타입들의 환경들에서 간섭의 더 신속한 제어가 용인된다는(warranted) 승인(recognition)이다. 따라서, 섹터(예, 기지국(402))는 인접한 사용자들을 매우 신속하게 턴다운("Down++")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서빙 섹터 내의 모든 사용자들이 떠나가는 반대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예, 각각의 접속들을 셧다운(shut down)하고 이웃하는 섹터들로 핸드오프(handoff)됨), 기지국(402)은 이웃하는 사용자들이 "Up+" 표시자를 통해 더욱 많은 송신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웃하는 사용자들에게 신속하게 통지할 수 있다.
예로서 제한됨이 없이, 기지국(402)은 역방향 링크의 존재 및 특성들에 기초하여 섹터 내의 사용자들에게 송신(예, IoT 값)하기 위한 적정값(예, "Up", "Up+", "Down", "Down+")을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 방법, 또는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간단한 상황은 섹터 내의 모든 사용자들이 사라지고 기지국(402)이 더욱 높은 IoT("Up+")를 허용하길 원하는 경우이며, 또한 기지국(402)이 더욱 낮은 IoT("Down" 또는 "Down+")를 허용하길 원하는 상황들이 있을 수 있다. 더 복잡한 알고리즘은 더 정교한 등급 조정(grade tuning)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IoT에 대한 섹터 내의 RL의 누적 민감성(cumulative susceptibility)에 따라, 기지국(402)은 사용될 수 있는 IoT의 임계값(예, IoT 설정점)에 대한 수학식을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들이 없는 경우, 기지국(402)은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이웃하는 사용자들이 얼마나 신속하게 각각의 송신 전력 레벨들을 상승시켜야 하는지에 따라 "Up" 또는 "Up+" 표시자가 송신될 수 있다.
OSIB 채널이 송신된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404)와 같은, 이웃하는 섹터들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OSIB 채널을 수신할 수 있고 그 내부에 포함된 정보를 평가할 수 있다. 제어 채널의 "Up+" 부분이 구현되는 경우(예, 기지국(402)에 의해 적용되는 바와 같이), 송신 조정 컴포넌트(416)는 3개의 값들("Up", "Down", 및 "Down+")만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기술들과 상이한 방식으로 응답한다. 예를 들어, "Up+"는 섹터 내에 사용자들이 없을 때 사용되며, 이에 따라 송신 조정 컴포넌트(416)는 목표된 바와 같이 이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Up+" 값은 이전에 논의된 것처럼, 동적 IoT 설정점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2)가 전통적인 업 및 다운 명령들("Up", "Down", "Down+")에 응답하는 레이트는 디바이스들이 장기간에 걸쳐 충족되려고 시도하고 있는 고정된 IoT 설정점을 단순히 사용하고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저속(slow)일 수 있다. 동적 IoT 설정점에서, 간섭의 더욱 빠른 제어가 있다. "Up"과 같은 저속 명령으로 더 넓은 IoT 설정점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황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섹터의 간섭의 무반응의 장점을 갖는데 과도한 시간량이 소요될 수 있다. 급상승(fast up) 명령("Up+")은 모바일 디바이스들(404)이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 더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402)은 "Up" 또는 "Up+"를 송신하는 옵션을 갖는다. IoT 값이 임계값(예, IoT 설정점) 미만이고 간섭 레벨에 대한 일부 민감성이 있는 경우, 기지국(402)은 "Up"을 송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값이 제로인 경우, 기지국(402)은 RL 간섭 레벨이 임계값(예, IoT 설정점) 미만이라는 것을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402)은 사용자들이 훨씬 더 신속하게 도달(come up)하도록(예,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지국(402)은 모바일 디바이스들(404)이 훨씬 더 신속하게 상황의 장점을 갖도록 허용하기 위해 "Up+"를 송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기지국(402)은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 및 서빙 섹터를 평가하고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량을 측정하는 것에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간섭 표시자가 급상승 표시자(Up+)로 설정될 수 있다고 추가적으로 결정하고 무선 통신 장치(304)에 의한 수신을 위해 급상승 표시자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을 하나 이상의 인접한 섹터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4)는 다수의 비트들을 포함하는 OSIB 채널을 수신하고 급상승 표시자에 관련된 비트가 설정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OSIB 채널을 평가하는 것에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OSIB 채널은 백홀을 통해 OSIB 채널을 수신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거나, 및/또는 OSIB 채널은 이웃하는 섹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될 수 있다. 메모리는 또한 급상승 표시자에 관련된 비트가 설정되면 송신 전력을 상위 레벨로 조정하는 것, 그리고 상위 송신 전력 레벨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관련된 명령들을 보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연결될 수 있고 메모리에 보유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제시된 양상들에 따라 백홀 채널을 통한 역방향 링크(RL) 간섭 관리를 위한 일 예의 시스템(500)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은 무선 간섭 관리 또는 백홀 간섭 관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모바일 디바이스(502)는 역방향 링크 송신을 이의 서빙 기지국(504)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역방향 링크 간섭은 인접한 섹터(506) 내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제시된 양상들에 따라, 인접한 섹터(506)는 동적 IoT 설정점 및/또는 급상승("Up+") 표시자(또는 다른 표시자)의 함수인 제어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을 백홀 채널을 통해 서빙 섹터(504)에 송신할 수 있다. 서빙 섹터(504)는 OSIB 표시를 수신할 수 있고, 송신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또는 다른 조정들을 통하여 정보에 응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502)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RL 간섭 관리가 무선으로 또는 백홀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여부와 무관하게, 모바일 디바이스(502)는 유사한 방식으로 응답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502)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인접한 기지국들로부터 간섭의 표시들을 수신한 후에(예, 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백홀을 통하여) 서빙 기지국과의 역방향 링크를 통한 송신들에 관여(engage)할 때 하나 이상의 델타-기반(delta-based) 전력 제어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502)는 모바일 디바이스(502)의 송신 전력이 델타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는 델타-기반 전력 제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특정한 제한적이지 않은 예로서, 델타 오프셋 값은 모바일 디바이스(502)에 의해 사용되는 트래픽 채널 및 파일럿 채널 사이의 송신 전력 차이,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메트릭(metric)에 상응할 수 있다. 전력 제어 및 간섭 제어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는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ORTHOGONAL MULTIPLEXING"란 명칭의 미국 특허출원번호 제10/897,463호, 및 "INTERFEREN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이란 명칭의 미국 특허출원번호 제11/158,584호에 제시되어 있으며, 상기 미국특허들은 본 출원인에게 양도되고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앞서 도시되고 설명된 예시적인 시스템들의 관점에서, 제시된 대상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방법들은 이하의 흐름도들을 참조로 더욱 잘 인식될 것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목적으로, 방법들은 일련의 블록들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일부 블록들은 여기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것과 다른 블록들과 상이한 순서들 및/또는 실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청구대상은 블록들의 수 또는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고 인식한다. 더욱이,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이후에 설명되는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블록들과 연관된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이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예, 디바이스, 시스템, 프로세스, 컴포넌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한다. 부가적으로, 이후에 그리고 본 명세서에 걸쳐 제시되는 방법들은 그러한 방법들을 다양한 디바이스들로 전송 및 전달하는 것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조 물품에 저장될 수 있다는 점을 추가적으로 인식해야 한다. 통상의 당업자는 방법이 상태도에서처럼, 일련의 상관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대안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고 인식할 것이다.
도 6은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최소 시스템 안정성 및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들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역방향 링크(RL) 간섭 제어를 위한 방법(600)을 도시한다. 방법(600)은 동적 IoT 설정점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설정점은 공지된 및/또는 예측된 섹터 요구들에 기초한다.
방법(600)은 602에서, 서빙 섹터와 연관된 파라미터들이 평가되고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간섭 설정점이 설정될 때 시작된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섹터 내의 디바이스들의 특성들, 섹터 내의 트래픽의 특성들, 섹터 내의 트래픽 및/또는 계획된 또는 잠재적 디바이스들의 특성들 뿐만 아니라 다른 파라미터들에 관련될 수 있다. 파라미터들은 네트워크 내에서 발생하는 통신들의 관측(observance)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파라미터들은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들로부터 정보(예, 디바이스 능력(capability)들,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등)를 요청(soliciting)함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 따라, 파라미터들은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진입할 때(예, 핸드오프 동안)와 같이, 자동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간섭 설정점은 합리적인 양의 확실성(certainty)으로 예측될 수 있는 미리 조건들 뿐만 아니라 섹터에서의 현재 조건들 둘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예, 동작중에). 일부 양상들에 따라, IoT 설정점은 파라미터들, 현재 섹터 요구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604에서, 역방향 링크(RL) 간섭의 레벨 또는 양이 측정되거나 결정되며,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은 간섭값으로서 식별된다. 간섭값은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유발되는 간섭의 함수인 끊임없이(constantly) 변경되는 값이다.
간섭 설정점 및 간섭값은 606에서, 간섭 관리를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을 결정하기 위해 비교되며, 상기 동작은 다른 섹터들 내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을 위한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에 관련된 정보는 OSIB 채널에 포함되고, OSIB 채널에서 하나 이상의 비트들은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에 따라 "1" 또는 "0"으로 설정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은 급상승(Up+) 표시자를 갖는 동적 IoT 설정점이다.
608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에 관련된 정보는 OSIB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따라서, OSIB 채널은 간섭 관리 명령들을 전달하기 위해 다른 섹터들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게 통신된다. 동작을 통신하는 것은 동작을 표시하기 위해 OSIB 채널에 비트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OSIB 비트는 서빙 섹터의 공지된 향후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OSIB 채널은 무선으로 또는 백홀 채널을 통하여 다른 섹터들로 통신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간섭 설정점은 IoT 설정점이고, 간섭값은 IoT 값이다.
예를 들어, 이의 서빙 기지국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말이 다른 기지국들(예, 인접한 섹터들 내의)에 대해 적은 간섭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위 전력 레벨에서 송신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반대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웃하는 기지국들에 대해 많은 간섭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서빙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의 가장자리를 쪽으로 위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하위 송신 전력 레벨로 제한될 수 있다. 송신 전력을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함으로써, 방법(600)은 더 높은 SNR들 및 이에 따라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달성하기 위해 "자격이 부여된(qualified)" 단말들을 허용하면서 인접한 기지국들에 의해 관측된 총 간섭(예, IoT 값)을 완화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OSI 비트는 IoT에 기초하여 설정될 뿐만 아니라, 향후에 공지된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동적 및 변경가능한 IoT 설정점들은 608에서, 무선으로, 또는 일부 양상들에 따라 백홀을 통해 송신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동적 IoT 설정점은 실질적으로 급상승("Up+") 표시자가 송신되는 동시에 송신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급상승("Up+") 표시자를 사용하는 역방향 링크 간섭 관리를 위한 방법(700)이 도시된다. 인접한 셀들 내의 디바이스들이 인접 셀에 대한 과도한 역방향 링크 간섭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역방향 링크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일부 상황들이 있을 수 있다.
702에서, 서빙 섹터 정보가 평가되고 IoT 설정점이 설정된다. 서빙 섹터 정보는 서빙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요건들, 서빙 섹터 내에서 발생하는 트래픽 요건들, 공지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평가는 섹터 내의 디바이스들의 요건들, 트래픽 요건들 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서빙 섹터 내에서 발생하는(또는 가까운 미래에 섹터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트래픽 및/또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RL 간섭의 영향에 관한 정보가 평가될 수 있다. 섹터가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 IoT 설정점은 상위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IoT 설정점은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역방향 링크 간섭량의 표시이다.
704에서, 섹터에서 경험되는 간섭량을 정량화하는 IoT 값이 계산된다. IoT 값은 이웃하는 섹터들에 의해 유발되는 간섭의 측정값이다.
706에서, IoT 값은 IoT 설정점 및 OSI 채널에 포함된 적정한 IoT 설정점과 비교된다. IoT 설정점은 4-레벨 OSIB 채널 중 하나일 수 있다. OSI 채널은 인접한 섹터들 내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것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4-레벨들은 "Up", "Up+", "Down", 및 "Down+"를 포함한다. "Down+"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웃하는 섹터에서 갑자기 나타나고 상당한 IoT에 기여하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 모든 링크들이 이웃하는 섹터에서 실패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히 신속하게 섹터가 그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을 턴다운할 수 있다는 승인(recognition)이다. "Up+" 값은 반대의 상황이 발생하도록 허용하여, 인접한 셀 내의 디바이스들이 서빙 섹터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또는 아주 적게 영향을 주는 경우), 디바이스들은 목표된만큼 높게 각각의 전력 레벨들을 설정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IoT 설정점이 IoT 값보다 훨씬 더 높은 경우(예, 섹터가 많은 양의 섹터간 간섭을 허용할 수 있음), Up+ 표시가 OSIB 채널에 포함된다. 급상승 표시자 "Up+"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증가된 IoT 설정점에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추가적으로, 급상승 표시자는 인접한 섹터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섹터에서의 순간적인 부하 정보에 기초하도록 할 수 있다.
IoT 설정점은 설정 비트로서 OSIB 채널에 표시되고, OSI 채널은 708에서, 인접한 섹터들로 송신된다. 이러한 송신은 네트워크 구성들(configurations)에 따라, 무선으로 또는 백홀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Up+" 표시자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양상들에 따라 실질적으로 동적 IoT 설정점이 사용되는 동시에 사용된다.
도 8은 RL 간섭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수신된 급상승("Up+") 표시자에 응답하기 위한 방법(800)을 도시한다. 방법(800)은 부분적으로 부하를 받는 섹터들이 섹터 내에 스케줄링되는 사용자들이 없을 때마다 IoT에 대한 무반응을 표시하도록 인에이블한다. 이웃하는 섹터들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이들이 생성하는 부가적인 간섭이 섹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의 장점을 갖도록 이러한 간격 동안 이들의 송신 전력을 신속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802에서, OSIB 채널은 인접한 섹터 내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다. OSIB 채널은 인접한 섹터 내의 디바이스들(예, 기지국,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의해 경험되는 RL 간섭에 응답하여 송신될 수 있다. OSIB 채널은 무선으로, 또는 일부 양상들에 따라 백홀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804에서, OSIB 채널은 수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이 어떻게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값(또는 설정 비트)에 대해 평가된다. 값들은 "Up", "Up+", "Down" 및 "Down+"를 포함한다. "Down" 값이 수신되면, 이는 송신 전력이 감소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Down+"가 수신되면, 이는 송신 전력이 신속하게 감소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Up"은 수신 디바이스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Up+"는 수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이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수신되는 값에 기초하여, 806에서, 송신 전력은 이에 따라 조정된다. 예를 들어, 급상승 표시자가 수신되면, 송신 전력은 상위 레벨로 신속하게 조정되고; 신호는 상위 레벨 송신 전력으로 역방향 링크를 통해 송신된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제시된 양상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급상승(Up+) 표시자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의 수신을 원활하게 하는 시스템(900)이 도시된다. 시스템(900)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위치할 수 있다. 시스템(900)은 예를 들어 수신기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902)를 포함한다. 수신기(902)는 수신된 신호의 필터링, 증폭, 다운컨버팅 등과 같은 전형적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기(902)는 또한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다. 복조기(904)는 각각의 심볼 기간 동안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신된 심볼들을 프로세서(906)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906)는 송신기(908)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정보를 생성 및/또는 수신기 컴포넌트(9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는 것으로 전용된 프로세서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906)는 사용자 디바이스(9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할 수 있고, 수신기(9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할 수 있으며, 송신기(908)에 의한 송신을 위해 정보를 생성,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9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906)는 부가적인 사용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들을 조정할 수 있는 제어기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900)는 통신들을 조정하는 것에 관련된 정보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906)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908)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10)는 샘플 재배열과 연관된 프로토콜들을 부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데이터 저장(예, 메모리들) 컴포넌트들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둘다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예로서 제한됨이 없이, 비휘발성 메모리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 프로그래머블 ROM(P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가능한 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작용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한됨이 없이, RAM은 동기식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석 DRAM(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SDRAM(DDR SDRAM), 인핸스드 SDRAM(ESDRAM), 싱크링크 DRAM(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RAM(DRRAM)과 같은 많은 형태들로 이용가능하다. 본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의 메모리(908)는 이에 제한됨이 없이 이러한 그리고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들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사용자 디바이스(900)는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908) 및 심볼 변조기(91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6)는 이웃하는 섹터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OSIB 채널에 기초하여 송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송신 조정 컴포넌트(9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OSIB 채널은 디바이스(902)가 이의 송신 전력을 신속하게 증가시키도록 허용하는 급상승 표시자("Up+")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제시된 양상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의 송신을 원활하게 하는 시스템(1000)의 도면이다. 시스템(1000)은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1002)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처럼, 기지국(1002)은 수신 안테나(1006)에 의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1004)로부터 신호(들)를 수신하고, 송신 안테나(1008)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1004)에게 송신한다.
기지국(1002)은 수신 안테나(10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1012)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되는 수신기(1010)를 포함한다. 복조된 심볼들은 유니캐스트 파형 내에 삽입되는(embedded)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파형들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16)에 연결되는 프로세서(1014)에 의해 분석된다. 변조기(1018)는 송신 안테나(1008)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들(1004)로의 송신기(1020)에 의한 송신을 위해 신호를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4)는 섹터 내의 현재 및/또는 예측된 디바이스들, 섹터 내의 트래픽, 또는 이들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IoT 설정점을 생성할 수 있는 IoT 설정점 설정기(establisher)(1022)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설정점은 현재 및/또는 예측된 서빙 섹터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필요한 경우 변경될 수 있는 동적 값이다. 또한, 섹터 내에 수신된 간섭량을 측정할 수 있고 간섭을 정량화할 수 있는 IoT 값 계산기(1024)가 포함된다. 간섭 제어 동작(action)(1026)은 IoT 설정점 및 IoT 값에 기초하여 간섭 제어를 위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동작은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 및/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이웃하는 섹터 내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서빙 섹터가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예, 섹터 내에 현재 디바이스들이 없는 경우), 간섭 제어 동작(1026)은 디바이스들이 이들의 송신 전력을 신속하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표시하는("Up+") OSIB 채널에 비트를 설정(예, "1"로 설정)할 수 있다. OSIB 채널은 송신기(1020)에 의해 송신된다.
도 11은 제시된 양상들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100)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100)은 간략화를 위하여 하나의 기지국 및 하나의 단말을 도시한다. 그러나, 시스템(1100)은 하나보다 많은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하나보다 많은 단말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부가적인 기지국들 및/또는 단말들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기지국 및 단말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기지국 및/또는 단말은 이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다운링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105),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110)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 포맷팅, 코딩, 인터리빙(interleave), 및 변조(또는 심볼 맵핑)하고 변조 심볼들("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115)는 데이터 심볼들 및 파일럿 심볼들을 수신 및 처리하고 심볼들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115)는 데이터 및 파일럿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하고 N개의 송신 심볼들의 세트를 획득한다. 각각의 송신 심볼은 제로의 신호값, 데이터 심볼, 또는 파일럿 심볼일 수 있다. 파일럿 심볼들은 각각의 심볼 기간에 연속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시분할 멀티플렉싱(TDM),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 또는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DM)일 수 있다.
송신기 유닛(TMTR)(1120)은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해 적합한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조정(예,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업컨버팅)한다. 그 다음, 다운링크 신호는 안테나(1125)를 통해 단말들로 송신된다. 단말(1130)에서, 안테나(1135)는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수신기 유닛(RCVR)(1140)에 제공한다. 수신기 유닛(1140)은 수신된 신호를 조정(예,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다운컨버팅)하고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한다. 심볼 복조기(1145)는 N개의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고 채널 추정을 위해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을 프로세서(1150)에 제공한다. 심볼 복조기(1145)는 프로세서(1150)로부터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응답 추정값을 추가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에 대한 데이터 복조를 수행하여 데이터 심볼 추정값들(송신된 데이터 심볼들의 추정값들임)을 획득하며, 데이터 심볼 추정값들을 RX 데이터 프로세서(1155)에 제공하여 송신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데이터 심볼 추정값들을 복조(즉, 심볼 디맵핑),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심볼 복조기(1145) 및 RX 데이터 프로세서(1155)에 의한 처리는 액세스 포인트(1105)에서 각각 심볼 변조기(1115)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110)에 의한 처리에 상보적이다.
업링크를 통해, TX 데이터 프로세서(1160)는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고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165)는 데이터 심볼들을 수신하여 파일럿 심볼들과 멀티플렉싱하고, 변조를 수행하며, 심볼들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그 다음, 송신기 유닛(1170)은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안테나(1135)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1105)에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액세스 포인트(1105)에서, 단말(1130)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는 안테나(1125)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 유닛(1175)에 의해 처리되어 샘플들을 획득한다. 그 다음, 심볼 복조기(1180)는 샘플들을 처리하고 업링크에 대해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 및 데이터 심볼 추정값들을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185)는 단말(1130)에 의해 송신되는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데이터 심볼 추정값들을 처리한다. 프로세서(1190)는 업링크를 통한 각각의 능동(active) 단말 송신을 위해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들(1190, 1150)은 각각 액세스 포인트(1105) 및 단말(1130)에서 동작을 명령(예, 제어, 조정, 관리, …)한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190, 115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들(미도시됨)과 연관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1190, 1150)은 또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해 각각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추정값들을 유도하기 위한 계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중-접속 시스템(예, FDMA, OFDMA, CDMA, TDMA 등)에서, 다수의 단말들은 업링크를 통해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파일럿 부대역(subband)들은 상이한 단말들 간에 공유될 수 있다. 채널 추정 기술들은 각각의 단말에 대한 파일럿 부대역들이 전체 동작 대역에 걸쳐 있는(span) 경우들(가능하면 대역 엣지들을 제외)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파일럿 부대역 구조는 각각의 단말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diversity)를 획득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처리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SPD),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들(1190, 11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일 예의 무선 통신 장치(1200)가 도시된다. 무선 통신 장치(1200)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 펌웨어)로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낸다는 점을 고려한다.
무선 통신 장치(1200)는 개별적으로 또는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1202)을 포함한다. 논리적 그룹(1202)은 서빙 섹터의 현재 파라미터들 또는 예측된 요구들에 기초하여 동적 간섭 설정점을 설정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204)를 포함한다. 동적 간섭 설정점은 서빙 섹터의 현재 파라미터들 또는 예측된 요구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되는 타겟 간섭 설정점일 수 있다.
또한, 서빙 섹터에 수신되는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206)가 논리적 그룹(1202)에 포함된다. 수신되는 간섭량은 서빙 섹터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량을 나타낼 수 있다. 측정되는 간섭량은 간섭값으로 지칭된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간섭 설정점은 IoT 설정점으로 지칭되고 간섭값은 IoT 값으로 지칭된다.
논리적 그룹(1202)은 또한 수신된 간섭량과 간섭 설정점의 비교에 기초하여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208)를 포함한다. 전기적 컴포넌트(1208)는 급상승(Up+) 표시자를 갖는 동적 IoT 설정점으로서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섹터에게 동작을 통신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210)가 논리적 그룹(1202)에 포함된다. 전기적 컴포넌트(1210)는 결정된 동작에 따라 OSIB 채널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1" 또는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200)는 전기적 컴포넌트들(1204, 1206, 1208, 1210)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한 메모리(12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12)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하나 이상의 전기적 컴포넌트들(1204, 1206, 1208, 1210)은 메모리(1212) 내에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한다.
도 1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일 예의 무선 통신 장치(1300)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장치(1300)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 펌웨어)으로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낸다.
개별적으로 또는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전기적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1302)이 무선 통신 장치(1300)에 포함된다. 논리적 그룹(1302)은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 및 서빙 섹터를 평가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304)를 포함한다.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요건들, 서빙 섹터 내에서 발생하는 트래픽, 예측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들의 함수이다. 일부 양상들에 따라,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은 서빙 섹터 내의 순간적인 부하 정보에 기초하는 동적 IoT 설정점으로 표시된다. 논리적 그룹(1302)은 또한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306)를 포함한다.
간섭 표시자가 급상승 표시자(Up+)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308)는 또한 논리적 그룹(1302)에 포함된다. 급상승 표시자는 하나 이상의 인접한 섹터들 내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서빙 섹터 내의 순간적인 부하 정보에 기초하도록 허용한다.
추가적으로, 논리적 그룹(1302)은 급상승 표시자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을 하나 이상의 인접한 섹터들 내의 디바이스들에게 송신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310)를 포함한다. OSIB 채널은 백홀 채널을 통해 또는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300)는 전기적 컴포넌트들(1304, 1306, 1308, 1310)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한 메모리(13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12)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하나 이상의 전기적 컴포넌트들(1304, 1306, 1308, 1310)은 메모리(1312) 내에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한다.
도 14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관리하는 일 예의 무선 통신 장치(1400)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장치(1400)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 펌웨어)으로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낸다.
무선 통신 장치(1400)는 개별적으로 또는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전기적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1402)을 포함한다. 논리적 그룹(1402)은 인접한 섹터 내의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또는 백홀을 통해 OSIB 채널을 수신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OSIB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4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널 내의 급상승 표시가 설정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OSIB 채널을 평가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406), 및 급상승 표시 비트가 설정되는 경우 송신 전력을 상위 레벨로 신속하게 조정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408)가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논리적 그룹(1402)은 더 높은 송신 전력 레벨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전기적 컴포넌트(1410)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400)는 전기적 컴포넌트들(1404, 1406, 1408, 1410)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한 메모리(14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12)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하나 이상의 전기적 컴포넌트들(1404, 1406, 1408, 1410)은 메모리(1412) 내에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양상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촉진시키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하게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일반적으로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 역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양상들과 연계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및/도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 내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종래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서로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CDMA 시스템은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와이드밴드-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예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포함한다. TDMA 시스템은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이벌브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쉬 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벌루션(LTE)는 다운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고 업링크에서 SC-FDMA를 사용하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다음 릴리스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란 협회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부가적으로,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란 협회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언페어드 언라이센스드 스펙트럼들, 802.xx 무선 LAN, BLUETOOTH 및 임의의 다른 단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을 종종 사용하는 피어-투-피어(예, 모바일-투-모바일) 애드훅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방법, 장치, 또는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제조 물품"이란 용어는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부가적으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란 용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부가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product)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제시된 양상들과 연계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RAM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저장 매체의 임의의 다른 형태로서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매체는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프로세서는 저장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통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양상들에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존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ASIC은 사용자 단말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양상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상의 명령들 및/또는 코드들의 세트 또는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개시물은 예시적인 양상들 및/또는 양상들을 논의하지만, 다양한 변화들 및 변경들은 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양상들 및/또는 설명된 양상들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설명된 양상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변화들, 변경들, 및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설명된 양상들 및/또는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은 단수 형태로 청구되거나 설명될 수 있지만, 단수로의 제한이 명시적으로 상술되지 않는 한 복수개도 고려된다. 부가적으로, 임의의 양상 및/또는 양상의 전부 또는 일부는 반대로 상술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양상 및/또는 양상의 전부 또는 일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포함하는(include)"이란 용어가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범주에서, 그러한 용어는 청구항에서 전이어로서 사용될 때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용어가 해석되는 것처럼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또는"이란 용어는 청구항들 또는 상세한 설명에서 "비-배타적인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Claims (45)

  1. 동적 간섭 설정점(dynamic interference setpoint)으로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빙 섹터(serving sector)와 연관된 간섭 설정점을 설정하는(establish) 단계 ― 상기 간섭 설정점은 상기 서빙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projected)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동적 설정점임 ― ;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experienced) 역방향 링크 간섭량의 함수인 간섭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간섭 설정점과 상기 간섭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간섭 제어를 위한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이웃하는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동작을 전달하는(communicate) 단계
    를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을 표시하기 위해 OSIB(Other Sector Interference Bit) 채널에 비트를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OSIB 비트는 상기 서빙 섹터의 공지된 향후(future)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세팅되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전달하는 단계는 무선으로(over the air) 상기 이웃하는 섹터에 상기 동작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전달하는 단계는 백홀(backhaul) 채널을 통해 상기 이웃하는 섹터에 상기 동작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전달하는 단계는 OSIB 채널 내의 비트를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OSIB 비트는 제 1 표시자를 가진 동적 IoT(interference over thermal) 설정점에 기초하여 세팅되고, 상기 제 1 표시자 및 제 2 표시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음을 표시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제 1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설정점은 IoT 설정점이고, 상기 간섭 값은 IoT 값인,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7. 무선 통신 장치로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보유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서빙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 간섭 설정점을 설정하고, 상기 서빙 섹터에서 수신된 간섭량을 계산하는 것, 동작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간섭 설정점을 상기 수신된 간섭량과 비교하는 것, 그리고 이웃하는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동작을 전달하는 것과 관련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전달하는 것은 상기 서빙 섹터의 공지된 향후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OSIB 채널 비트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OSIB 채널 비트는 상기 동작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전달하는 것은 무선으로 또는 백홀 채널을 통해 상기 이웃하는 섹터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동작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전달하는 것은 OSIB 채널 내의 비트를 세팅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OSIB 비트는 제 1 표시자를 가진 동적 IoT 설정점에 기초하여 세팅되고, 상기 제 1 표시자 및 제 2 표시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음을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제 1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간섭 설정점은 IoT 설정점이고, 상기 수신된 간섭량은 IoT 값으로 표현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서빙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 간섭 설정점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서빙 섹터에서 수신된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간섭 설정점과 상기 수신된 간섭량 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이웃하는 섹터에 상기 동작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
    를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결정된 동작에 따라 OSIB 채널 내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1" 또는 "0"으로 세팅하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표시자를 가진 동적 IoT 설정점으로서 상기 동작을 표현하고, 상기 제 1 표시자 및 제 2 표시자는 상기 이웃하는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음을 표시하며, 상기 이웃하는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제 1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되는 서빙 섹터 타겟 간섭 설정점을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세트의 코드들;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량을 측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 2 세트의 코드들 ― 상기 측정된 간섭량은 간섭 값임 ― ;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타겟 간섭 설정점과 상기 측정된 간섭량의 비교에 기초하여 수행될 동작을 제안하도록 하기 위한 제 3 세트의 코드들;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섹터 내의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제안된 동작을 전달하도록 하기 위한 제 4 세트의 코드들 ― 상기 전달은 무선 또는 백홀 채널을 통함 ― 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세트의 코드들은 추가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안된 동작에 기초하여 OSIB 채널 비트를 설정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간섭량은 IoT 값으로서 나타내고, 상기 타겟 간섭 설정점은 감소(down) 표시자, 상승(up) 표시자, 급감소(fast down) 표시자, 및 급상승(fast up) 표시자를 포함하는 동적 IoT 설정점이며, 상기 상승 표시자 및 상기 급상승 표시자는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섹터들 내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할 수 있음을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은 상기 상승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급상승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8. 서빙 섹터에서 간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 1 모듈;
    상기 서빙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되는 타겟 간섭 설정점을 설정하기 위한 제 2 모듈;
    상기 측정된 간섭량 및 상기 타겟 간섭 설정점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수행될 동작을 제안하기 위한 제 3 모듈; 및
    상기 제안되는 동작을 표시하기 위해 OSIB 채널에 비트를 세팅하고, 무선으로 또는 백홀 채널을 통해 이웃하는 섹터에 상기 OSIB 채널을 전달하기 위한 제 4 모듈을 포함하는,
    서빙 섹터에서 간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간섭 설정점은 동적 IoT 설정점이고, 상기 측정된 간섭값은 IoT 값인, 서빙 섹터에서 간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20. 무선 통신 환경에서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빙 섹터에 대해 허용가능한(tolerable) 역방향 링크 간섭량 및 서빙 섹터 정보를 평가하는 단계 ― 설정점은 상기 서빙 섹터에 대해 허용가능한 역방향 링크 간섭량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그리고 상기 설정점은 상기 서빙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됨 ― ;
    상기 서빙 섹터에서 경험되는 간섭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경험되는 간섭량 및 상기 설정점의 평가에 기초하여 간섭 표시자를 제 1 표시자로 세팅될 수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자 및 제 2 표시자는 인접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제 1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음 ― ; 및
    상기 인접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로 OSIB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OSIB 채널은 상기 제 1 표시자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가능한 역방향 링크 간섭량은 상기 서빙 섹터 내부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요건들, 상기 서빙 섹터 내에서 발생하는 트래픽 요건들, 공지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무선 통신 환경에서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OSIB 채널은 무선으로 또는 백홀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섹터에 대해 허용가능한 역방향 링크 간섭량은 동적 IoT 설정점인,
    무선 통신 환경에서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24. 무선 통신 장치로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보유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 및 서빙 섹터를 평가하는 것 ― 설정점은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그리고 상기 설정점은 상기 서빙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됨 ― ,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량을 측정하는 것.
    상기 경험되는 간섭량 및 상기 설정점의 평가에 기초하여 간섭 표시자를 제 1 표시자로 세팅될 수 있는지 결정하는 것 ― 상기 제 1 표시자 및 제 2 표시자는 하나 이상의 인접 섹터들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음을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제 1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음 ―, 및
    상기 제 1 표시자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을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섹터들로 송신하는 것에 관련되는,
    무선 통신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은 상기 서빙 섹터 내에서 발생하는 트래픽 요건들, 공지된 스케줄링 정보, 상기 섹터 내에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요건들,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함수인,
    무선 통신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섹터들 내의 디바이스들 중 송신 전력이 빠른 레이트로 증가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을 알리는,
    무선 통신 장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OSIB 채널은 무선으로 또는 백홀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 통신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은 동적 IoT 설정점으로서 표현되는, 무선 통신 장치.
  29.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 및 상기 서빙 섹터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 ― 설정점은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그리고 상기 설정점은 상기 서빙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됨 ―;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경험되는 간섭량 및 설정점의 평가에 기초하여, 간섭 표시자를 제 1 표시자로 세팅될 수 있는지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표시자 및 제 2 표시자는 하나 이상의 인접 섹터들 내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음을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제 1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음 ― ;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섹터들 내의 디바이스들로, 상기 제 1 표시자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요건들, 상기 서빙 섹터 내에서 발생하는 트래픽, 예측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함수인,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OSIB 채널은 백홀 채널을 통해 또는 무선으로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은 동적 IoT 설정점에 의해 표시되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33.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섹터에 의해 수신된 간섭량을 계산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세트의 코드들;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섹터가 허용할 수 있는 간섭량 및 상기 서빙 섹터를 평가하도록 하기 위한 제 2 세트의 코드들 ― 설정점은 상기 서빙 섹터가 허용할 수 있는 간섭량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설정점은 상기 서빙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됨 ― ;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표시자가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세팅될 수 있음을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 3 세트의 코드들 ― 상기 제 1 표시자 및 제 2 표시자는 인접 섹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제 1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음 ― ;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표시자를 포함하는 OSIB 채널을 송신하도록 하기 위한 제 4 세트의 코드들 ― 상기 송신은 무선으로 또는 백홀 채널을 통해 발생함 ― 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섹터가 허용할 수 있는 간섭량은 동적 IoT 설정점으로서 나타내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5.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서빙 섹터와 연관된 정보 및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을 평가하기 위한 제 1 모듈 ― 설정점은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그리고 상기 설정점은 상기 서빙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됨 ― ;
    상기 서빙 섹터에 의해 경험되는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제 2 모듈;
    OSIB 채널 내의 비트가 상기 평가 및 상기 계산된 간섭량에 기초하여 제 1 표시자로 세팅될 수 있음을 결정하기 위한 제 3 모듈 ― 상기 제 1 표시자 및 제 2 표시자는 인접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제 1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음 ― ; 및
    상기 인접 섹터에 무선으로 또는 백홀을 통해 상기 OSIB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제 4 모듈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될 수 있는 간섭량은 상기 서빙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요건들, 상기 서빙 섹터에서 발생하는 트래픽 요건들, 공지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역방향 링크 간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37. 역방향 링크 간섭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서,
    인접 섹터 내의 기지국으로부터 OSIB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표시자에 대해 상기 OSIB 채널을 평가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자 및 제 2 표시자는 서빙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상기 서빙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제 1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고, 상기 제 1 표시자는 설정점에 기초하여 세팅되고, 그리고 상기 설정점은 상기 인접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됨 ―;
    송신 전력을 더 높은 레벨로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더 높은 송신 전력 레벨로 역방향 링크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간섭 관리를 위한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백홀을 통해 상기 OSIB 채널이 수신된, 서빙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OSIB 채널이 수신되는, 역방향 링크 간섭 관리를 위한 방법.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OSIB 채널은 상기 인접 섹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되는,
    역방향 링크 간섭 관리를 위한 방법.
  40. 무선 통신 장치로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보유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하는 OSIB 채널을 인접 섹터 내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
    제 1 표시자에 관련된 비트가 세팅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OSIB 채널을 평가하는 것 ― 상기 제 1 표시자 및 제 2 표시자는 서빙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상기 서빙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상기 제 2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제 1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고, 상기 제 1 표시자와 관련된 비트는 설정점에 기초하여 세팅되고, 그리고 상기 설정점은 상기 인접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됨 ― ,
    상기 제 1 표시자와 관련된 비트가 세팅되는 경우, 송신 전력을 더 높은 레벨로 조정하는 것, 및
    상기 더 높은 송신 전력 레벨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관련되는,
    무선 통신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OSIB 채널은 무선으로 상기 인접 섹터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장치.
  42. 제 40 항에 있어서,
    백홀을 통해 상기 OSIB 채널이 수신된, 서빙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OSIB 채널이 수신되는, 무선 통신 장치.
  43. 역방향 링크 간섭을 관리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인접 섹터 내의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백홀을 통해 OSIB 채널이 수신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상기 OSIB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1 표시자와 관련된 상기 채널 내의 비트가 세팅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OSIB 채널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표시자 및 제 2 표시자는 서빙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상기 서빙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제 1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고, 상기 제 1 표시자와 관련된 상기 채널 내의 비트는 설정점에 기초하여 세팅되고, 그리고 상기 설정점은 상기 인접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됨 ― ;
    상기 제 1 표시자 비트가 세팅되는 경우, 송신 전력을 더 높은 레벨로 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더 높은 송신 전력 레벨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관리하는 무선 통신 장치.
  44.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인접 섹터 내의 기지국으로부터 OSIB 채널을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세트의 코드들;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표시자에 대해 상기 OSIB 채널을 평가하도록 하기 위한 제 2 세트의 코드들 ― 상기 제 1 표시자 및 제 2 표시자는 서빙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상기 서빙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제 1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고, 상기 제 1 표시자를 포함하는 상기 OSIB 채널은 설정점에 기초하고, 그리고 상기 설정점은 상기 인접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됨 ― ;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전력을 상기 제 1 표시자에 부합하는 레이트에서 더 높은 레벨로 조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 3 세트의 코드들;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역방향 링크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기 위한 제 4 세트의 코드들 ― 상기 신호는 상기 더 높은 송신 전력 레벨로 송신됨 ― 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5. 역방향 링크 간섭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인접한 섹터 내의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또는 백홀을 통해 전송된 OSIB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모듈;
    상기 OSIB 채널이 제 1 표시자를 포함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제 2 모듈 ― 상기 제 1 표시자 및 제 2 표시자는 서빙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상기 서빙 섹터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 2 표시자를 가진 경우보다 상기 제 1 표시자를 가진 경우에 더 빠른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고, 상기 OSIB 채널이 상기 제 1 표시자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는 설정점에 기초하고, 그리고 상기 설정점은 상기 인접 섹터 내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정됨 ― ;
    상기 제 1 표시자가 상기 OSIB 채널에 포함되는 경우,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 3 모듈; 및
    상기 증가된 송신 전력 레벨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 4 모듈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간섭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KR1020137017233A 2008-07-31 2009-07-30 동적 iot 설정점 및 간섭 제어 KR101389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83,957 US9420548B2 (en) 2008-07-31 2008-07-31 Dynamic IoT setpoints and interference control
US12/183,957 2008-07-31
PCT/US2009/052273 WO2010014823A2 (en) 2008-07-31 2009-07-30 Dynamic iot setpoints and interference contro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758A Division KR20110038158A (ko) 2008-07-31 2009-07-30 동적 iot 설정점 및 간섭 제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162A true KR20130093162A (ko) 2013-08-21
KR101389900B1 KR101389900B1 (ko) 2014-04-29

Family

ID=412026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758A KR20110038158A (ko) 2008-07-31 2009-07-30 동적 iot 설정점 및 간섭 제어
KR1020137017233A KR101389900B1 (ko) 2008-07-31 2009-07-30 동적 iot 설정점 및 간섭 제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758A KR20110038158A (ko) 2008-07-31 2009-07-30 동적 iot 설정점 및 간섭 제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420548B2 (ko)
EP (1) EP2316239A2 (ko)
JP (1) JP5373082B2 (ko)
KR (2) KR20110038158A (ko)
CN (1) CN102113389B (ko)
BR (1) BRPI0916608A2 (ko)
CA (1) CA2730335A1 (ko)
RU (1) RU2011107264A (ko)
TW (1) TW201012250A (ko)
WO (1) WO20100148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0082B2 (en) * 2006-01-05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utilizing multiple rate interference indications
US9072060B2 (en) * 2008-06-03 2015-06-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ower control to mitigate interference
EP2154917A1 (en) * 2008-08-13 2010-02-17 Nokia Siemens Networks OY Transmission of a synchronization signal with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with temporarily increased transmitting power
US8554200B2 (en) * 2008-09-12 2013-10-0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erence measurements for device to-device communication
US8868091B2 (en) * 2010-01-18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via over the air load indicator and relative narrowband transmit power
KR101622792B1 (ko) * 2010-02-04 201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8862140B2 (en) * 2011-06-20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ployment and control of small cells
US9847961B2 (en) * 2013-02-25 2017-12-19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IoT device social network expansion
JP2015012404A (ja) * 2013-06-27 2015-01-19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KR20180057740A (ko) 2013-08-29 2018-05-30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사물 인터넷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TWI577611B (zh) * 2014-04-30 2017-04-11 林陳淳睦 瓶蓋
CN106797341B (zh) * 2014-07-03 2020-08-28 阿贝尔环球国际有限公司 电子装置的群组控管方法及控制机器
WO2017111833A1 (en) 2015-12-26 2017-06-29 Intel Corporation Reusable device management in machine-to-machine systems
KR101697568B1 (ko) 2016-05-11 2017-01-18 이영재 IoT 네트워크 기반 메인 컨트롤러 제공 시스템
US10212639B2 (en) 2016-07-26 2019-02-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ata path selection for narrow band wireless communication
US10436693B2 (en) * 2016-07-27 2019-10-08 Chevron U.S.A. Inc.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s for analyzing injection fluids
US9781259B1 (en) 2016-07-27 2017-10-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t location track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0412562B2 (en) 2016-08-08 2019-09-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oftware defined IoT service network architecture
CN106302823A (zh) * 2016-10-21 2017-01-04 过冬 一种基于物联网的数据推送系统及其调度方法
US10973027B2 (en) 2017-03-17 2021-04-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 carrier management and network slicing for internet of things (IoT)
US10262019B1 (en) * 2017-09-22 2019-04-16 EMC IP Holding Company LLC Distributed management optimization for IoT deployments
CN115442820B (zh) * 2021-06-03 2024-05-28 中国移动通信集团四川有限公司 一种小区服务优化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1478B1 (en) * 1993-05-17 2001-10-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ra cell handover and channel allocation to reduce interference
AU3260195A (en) * 1995-08-31 1997-03-1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6603745B1 (en) * 1998-10-28 2003-08-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link overload detection
US6628956B2 (en) * 1999-03-15 2003-09-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power control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s
US6968201B1 (en) * 1999-10-06 2005-11-2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verse link interference rise and power control instability in a wireless system
US20040010286A1 (en) 2000-03-16 2004-01-15 Gieringer Robert E. Arthroscopic suture thread and method of use
JP3844968B2 (ja) 2001-02-01 2006-11-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呼受付制御装置及び方法
KR100459573B1 (ko) * 2001-08-25 200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역방향 전송 전력 오프셋과 고속 순방향 공통 채널 전력레벨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8977284B2 (en) * 2001-10-04 2015-03-10 Traxcell Technologies, LLC Machine for providing a dynamic data base of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7096019B2 (en) * 2002-05-31 2006-08-2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allocating channel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responsive to mobile station movement
US20040120286A1 (en) * 2002-12-23 2004-06-24 Uwe Schwarz Transmission method, system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US7321780B2 (en) * 2003-04-30 2008-01-22 Motorola, Inc. Enhanced uplink rate selection by a communication device during soft handoff
US7414989B2 (en) * 2003-05-07 2008-08-19 Motorola, Inc. ACK/NACK determination reliability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8452316B2 (en) * 2004-06-18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orthogonal multiplexing
US7680093B2 (en) * 2004-08-27 2010-03-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ctor selection for F-SCH
KR20060038131A (ko) * 2004-10-29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Fh-ofdma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상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US8594704B2 (en) * 2004-12-16 2013-11-26 Atc Technologies, Llc Location-based broadcast messaging for radioterminal users
US7636322B1 (en) * 2005-03-07 2009-12-22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RF access probes based on RF conditions
US7742444B2 (en) * 2005-03-15 2010-06-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other sector information combining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42639B2 (en) * 2005-03-15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0464603C (zh) * 2005-06-16 2009-02-25 上海原动力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同频组网的数字蜂窝通信系统中越区切换的方法
ES2249192B1 (es) * 2005-08-17 2006-11-16 T.O.P. Optimized Technologies, S.L. Metodo y aparato de control de potencia por lazo externo para sistemas de comunicacion inalambrica.
US8023955B2 (en) * 2005-08-22 2011-09-20 Sony Corporation Uplink resource allocation to control intercel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40048A4 (en) * 2005-09-21 2012-04-25 Fujitsu Ltd TARGET POWER CONTROL TARGET VALUE CALCULATION DEVICE
WO2007044281A1 (en) * 2005-10-06 2007-04-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ownlink transmission power for ofdma based evolved utra
US8046019B2 (en) * 2006-08-04 2011-10-25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al allocation of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communication networks
JP2008092545A (ja) 2006-09-08 2008-04-17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及び基地局
US7945222B2 (en) * 2007-03-14 2011-05-17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transmit diversity feedback
US7773991B2 (en) * 2007-04-02 2010-08-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ducing access latency while protecting against control signaling data processing overload
US8072918B2 (en) * 2007-04-03 2011-12-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etwork-based inter-cell power control for multi-channel wireless networks
US7983687B2 (en) * 2007-05-11 2011-07-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error as a load instability indicator for load control in cellular systems
US20090061886A1 (en) * 2007-08-29 2009-03-05 Carmela Cozzo System and Method for Activity-Based Power Control Target Adjust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5323852B2 (ja) * 2007-11-09 2013-10-23 ノーテル・ネットワークス・リミテッド 熱干渉(IoT)負荷制御によるアップリンクパワー制御
US8194602B2 (en) * 2008-03-19 2012-06-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ownlink control signal structure for multi-user MIMO
US8977311B2 (en) * 2008-04-04 2015-03-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126403B2 (en) * 2008-04-23 2012-0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stimating and limiting inter-cell interference
US8385832B2 (en) * 2009-03-13 2013-0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in an uplink multi-carrier radio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20548B2 (en) 2016-08-16
BRPI0916608A2 (pt) 2015-11-10
JP2011530229A (ja) 2011-12-15
CN102113389A (zh) 2011-06-29
WO2010014823A3 (en) 2010-05-06
WO2010014823A2 (en) 2010-02-04
RU2011107264A (ru) 2012-09-10
CA2730335A1 (en) 2010-02-04
EP2316239A2 (en) 2011-05-04
JP5373082B2 (ja) 2013-12-18
US20100029211A1 (en) 2010-02-04
CN102113389B (zh) 2014-08-27
TW201012250A (en) 2010-03-16
KR20110038158A (ko) 2011-04-13
KR101389900B1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900B1 (ko) 동적 iot 설정점 및 간섭 제어
US8175594B2 (en) Active set management with hotspot carriers
US8576733B2 (en) Control of access terminal operation based on interference information
US8902867B2 (en) Favoring access poin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603062B2 (en) Classifying access points using pilot identifiers
US875087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justing resource management procedures i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based on cell information
JP523155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セル再選択
RU2417525C2 (ru) Управление мощностью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ндикаций помех на множестве скоростей
US9265048B2 (en) Dominant interferer indication in access probe
EP2815604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justing resource management procedures i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US9820278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20090093255A1 (en) Adjusting multi-carrier allocation in wireless networks
KR20120114400A (ko) 무선 통신에서의 서빙 셀 선택
KR20100106533A (ko) 통신 핸드오버 관리
KR20100087211A (ko) 섹터 파라미터 서명들을 이용한 섹터 식별
JP2014146865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測定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20170280457A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Managing Uplink Resources to be Used by a Wireless Device
AU2011211344A1 (en) Power control using multiple rate interference ind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