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220A -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 Google Patents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220A
KR20130092220A KR1020120013813A KR20120013813A KR20130092220A KR 20130092220 A KR20130092220 A KR 20130092220A KR 1020120013813 A KR1020120013813 A KR 1020120013813A KR 20120013813 A KR20120013813 A KR 20120013813A KR 20130092220 A KR20130092220 A KR 20130092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ial
media
signal
unit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일
김지원
이장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트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트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트룩스
Priority to KR1020120013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2220A/ko
Publication of KR2013009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Abstract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를 인지하고 이와 관련된 온라인 미디어를 재조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 상의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수집하는 소셜 미디어 수집부, 수집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이슈별, 시점별 또는 개체별로 분석하여, 소셜 시그널을 감지하는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 수집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분석하여 감지된 소셜 시그널과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시그널 아티클을 추출하여 재조합하는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 및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에서 재조합된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시그널 아티클들을 매거진 형태의 통합 출판 미디어로 생성하여 배포하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Device for Online Media Restructuring based social signal}
본 발명은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셜 네트워크상의 소셜 시그널을 감지한 후 이를 고려한 온라인 미디어를 재조직화하는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주관하여 수행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연구기간 : 2011.3.1 ~ 2012. 2. 28, 연구과제명 : 모바일 플랫폼 기반 계획 및 학습 인지 모델 프레임워크 기술 개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발전하고 대중화 되어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이용자는 직업, 연령, 성별에 상관없이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 수 증가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하는 온라인 미디어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소셜 네트워크 상에는 데이터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리트윗 등을 통하여 다량 복제되고 있는바,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를 인지하거나, 이와 관련된 온라인 미디어를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를 인지하고 이와 관련된 온라인 미디어를 재조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 상의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수집하는 소셜 미디어 수집부,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이슈별, 시점별 또는 개체별로 분석하여, 소셜 시그널을 감지하는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분석하여 감지된 상기 소셜 시그널과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시그널 아티클을 추출하여 재조합하는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 및 상기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에서 재조합된 상기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시그널 아티클들을 매거진 형태의 통합 출판 미디어로 생성하여 배포하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셜 미디어 수집부는, 정보 수집 엔진부 및 수집 집중도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 집중도 관리부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에서 배포하는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피드백받아, 상기 정보 수집 엔진부에서 수집할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선택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는,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분석하여 이슈별, 시점별 및 개체별 정규화를 수행하는 소셜 시그널 분석부 및 상기 소셜 시그널 분석부에서 수행된 이슈별, 시점별 및 개체별 정규화 결과를 토대로,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를 감지하는 소셜 시그널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셜 시그널 분석부는,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한 이슈 분석, 시점 분석 및 개체 분석을 직렬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소셜 시그널 분석부는,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한 이슈 분석, 시점 분석 및 개체 분석을 병렬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는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 중 감지된 상기 소셜 시그널과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을 추출하는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부 및 상기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부에서 추출된 소셜 시그널 아티클을 감지된 상기 소셜 시그널을 기초로 중복 제거 및 재조합을 수행하는 소셜 시그널 고연관 아티클 융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셜 시그널 고연관 아티클 융합부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에서 배포하는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피드백받아, 상기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부에서 추출된 소셜 시그널 아티클에 대한 중복 제거 및 재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는 소셜 미디어 규칙 학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셜 시그널 감지부는 소셜 미디어 규칙 학습부가 가지는 소셜 미디어 규칙을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를 감지하며, 상기 소셜 미디어 규칙 학습부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에서 배포하는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피드백받아, 상기 소셜 미디어 규칙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생기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는, 배포 가능한 통합 출판 미디어를 생성하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부, 생성된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를 배포하는 통합 출판 미디어 배포부 및 배포하는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분석하는 피드백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 배포부는 생성된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를 전자우편, 블로그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면서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수많은 온라인 미디어를 보지 않아도,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와 이슈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와 이슈의 근거가 되는 온라인 미디어를 정제 및 선별되어 제공받을 수 있다. 제공받는 온라인 미디어는 시점별, 개체별, 이슈별 흐름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개체 또는 이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트렌드와 이슈의 근거가 되는 온라인 미디어를 연관성이 있는 온라인 미디어와 함께 제공받을 수 있어, 편리성과 함께 신뢰도가 향상된 온라인 미디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피드백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반영한 온라인 미디어를 집중 수집하여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관심을 반영하여 트렌드와 이슈를 선정하거나, 사용자의 관심을 반영한 연관성 있는 온라인 미디어를 제공할 수 있어, 단순한 소셜 네트워크 상의 이슈 또는 트렌드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의 이슈 또는 트렌드에 관련된 온라인 미디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의 구성의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수집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일 양상에 따른 소셜 시그널 분석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소셜 시그널 분석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저장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의 세부 구성의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동일한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 및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연결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연결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모양이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고,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의 구성의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는 소셜 미디어 수집부(100),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200),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300) 및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를 포함한다.
소셜 미디어 수집부(100)는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상의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수집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아티클은 소셜 네티워크 상에 상에 작성/발행/출판된 미디어 데이터 또는 작성/발행/출판된 미디어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옮긴 미디어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아티클은 예를 들면, 페이스북의 포스트, 트위터의 트윗와 같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상의 게시물이나 소셜 네티워킹 서비스 상에 등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링크 정보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상에 등록된 모든 미디어 자료일 수 있다.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200)는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이슈별, 시점별 또는 개체별로 분석하여, 소셜 시그널(social signal)을 감지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은 소셜 네트워크 상의 미디어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얻어질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들의 관심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급 부상한 이슈(사건, 사고 등) 또는 개체(인물, 물건, 장소 등), 특점 시점에서의 관심 이슈 또는 개체, 특정 이슈의 시점 변화에 따른 관심도의 변화, 특정 이슈와 개체들과의 관련도, 특정 개체에 대한 시점 변화에 따른 관심도 또는 트렌드의 변화, 특정 이슈의 시점 변화에 따른 관련 개체의 변화 등이 소셜 시그널로 나타난다. 소셜 시그널은 이슈, 시점 또는 개체 중 하나에 대한 시그널이거나, 이슈, 시점 또는 개체 중 두가지 또는 전부를 결합한 것에 대한 시그널일 수 있다.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300)는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분석하여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200)에서 감지된 상기 소셜 시그널과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시그널 아티클을 추출하여 재조합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300)는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에 포함된 키워드, 태그 또는 속성 정보 등을 분석하여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 사이의 연관성을 식별한 후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을 추출하여 재조합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300)는 연관되는 소셜 미이더 아티클들을 새로운 하나의 소셜 미디어 아티클로 재조합하거나, 하나의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연관성이 높은 순으로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의 목록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새로운 하나의 소셜 미디어 아티클로 재조합할 수도 있으나, 아티클들의 목록을 합성하거나, 중복을 제거하거나, 시점별 흐름을 가지도록 재조합하거나, 이슈별 또는 개체별로 재조합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300)에서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의 목록을 합성하는 경우, 이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 사이의 관계 및 연관 정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형태이거나, 특정 소셜 미디어 아티클과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에 대한 관계 및 연관 정도를 가지는 단어 벡터 형태일 수 있다.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는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300)에서 재조합된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을 매거진 형태의 통합 출판 미디어로 생성하여 배포할 수 있다. 매거진 형태의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는 전자 문서 또는 블로그 포스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는 예를 들면,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오피스웨어용 파일, PDF와 같은 전자 파일, HTML로 작성된 파일, 특정 인터넷 서비스, 특정 SNS, 특정 블로그에 맞는 형식의 문서 등일 수 있다.
즉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300)에서 단순히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을 재조합하거나 목록을 합성할 뿐, 소셜 미디어 아티클 자체의 형태(포맷)를 바꾸지는 않을 수 있다. 이때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는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을 외부에 배포 가능한 특정 포맷을 기준으로 형태를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는 통합 저장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저장부(400)에는 수집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저장하거나, 분석/감지된 소셜 시그널을 저장하거나,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의 재합성 결과 또는 목록 등을 저장하거나,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에서 가공된 통합 출판 미디어를 저장할 수 있다. 통합 저장부(400)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저장 장치일 수도 있으나, 하나 또는 복수의 저장 장치를 논리적으로 구분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분 단위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미디어 수집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셜 미디어 수집부(100)는 정보 수집 엔진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 엔진부(110)는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 엔진부(110)를 통하여 수집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은 통합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정보 수집 엔진부(110)는 수집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수집 대상을 찾을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수집부(100)는 수집 집중도 관리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집 집중도 관리부(120)는 정보 수집 엔진부(110)가 수집할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선택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수집 집중도 관리부(120)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에서 배포한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사용자)의 반응을 피드백받아 정보 수집 엔진부(110)를 관리할 수 있다. 즉,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에서 배포한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사용자 선호를 반영하여 수집하고자 하는 분야의 소셜 미디어 아티클 또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의 종류를 결정하거나, 분야 또는 종류에 따른 집중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수집 성능을 가지는 정보 수집 엔진부(11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선호하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우선적으로 더 많이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에서 생성/배포하는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200)는 소셜 시그널 분석부(210) 및 소셜 미디어 시그널 감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분석부(210)는 수집되어 통합 저장부(400)에 저장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이슈별, 시점별 또는 개체별 정규화를 수행하여 분석할 수 있다. 정규화라함은 불특정 다수가 작성하여 비정규적 형태를 가진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하여 분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셜 시그널 분석부(21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소셜 미디어 시그널 감지부(220)는 소셜 시그널 분석부(210)에서 수행한 이슈별, 시점별 또는 개체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소셜 시그널을 감지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은 소셜 네트워크 상의 미디어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얻어질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들의 관심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급 부상한 이슈(사건, 사고 등) 또는 개체(인물, 물건, 장소 등), 특점 시점에서의 관심 이슈 또는 개체, 특정 이슈의 시점 변화에 따른 관심도의 변화, 특정 이슈와 개체들과의 관련도, 특정 개체에 대한 시점 변화에 따른 관심도 또는 트렌드의 변화, 특정 이슈의 시점 변화에 따른 관련 개체의 변화 등이 소셜 시그널로 나타난다. 소셜 시그널은 이슈, 시점 또는 개체 중 하나에 대한 시그널이거나, 이슈, 시점 또는 개체 중 두가지 또는 전부를 결합한 것에 대한 시그널일 수 있다.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200)는 소셜 미디어 규칙 학습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규칙 학습부(230)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의 구조, 소셜 미디어 아티클의 유형 등의 소셜 미디어 규칙을 가지고서 동시에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시그널 감지부(220)는 소셜 미디어 규칙 학습부(230)가 가지는 상기 소셜 미디어 규칙을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인 소설 시그널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셜 미디어 규칙 학습부(230)는 소셜 미디어 시그널 감지부(220)의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설 미디어 규칙 학습부(230)는 도 1에 보인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에서 배포하는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사용자)들의 반응을 피드백을 받아 상기 소셜 미디어 규칙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여, 학습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일 양상에 따른 소셜 시그널 분석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셜 시그널 분석부(210)는 이슈 분석부(212), 시점 분석부(214) 및 개체 분석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슈 분석부(212), 시점 분석부(214) 및 개체 분석부(216)는 수집되어 저장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하여 각각 이슈별, 시점별 및 개체별 정규화인 이슈 분석, 시점 분석 및 개체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분석부(210)는 수집되어 저장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한 이슈 분석, 시점 분석 및 개체 분석을 병렬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선택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하여 이슈 분석부(212), 시점 분석부(214) 및 개체 분석부(216)에서 각각 별도로 이슈별 정규화, 시점별 정규화 및 개체별 정규화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시그널 감지부(220)는 소셜 시그널 분석부(210)에서 수행된 이슈별, 시점별 및 개체별 정규화 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인 소셜 시그널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슈, 시점 및 개체에 치우치지 않는 종합적인 소셜 시그널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소셜 시그널 분석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셜 시그널 분석부(210)는 이슈 분석부(212), 시점 분석부(214) 및 개체 분석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슈 분석부(212), 시점 분석부(214) 및 개체 분석부(216)는 수집되어 저장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하여 각각 이슈별, 시점별 및 개체별 정규화인 이슈 분석, 시점 분석 및 개체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분석부(210)는 수집되어 저장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한 이슈 분석, 시점 분석 및 개체 분석을 직렬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선택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하여 이슈 분석부(212), 시점 분석부(214) 및 개체 분석부(216)에서 순차적으로 이슈별 정규화, 시점별 정규화 및 개체별 정규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선택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하여 이슈 분석부(212)에서 이슈별 정규화를 수행한 후, 시점 분석부(214)는 각 이슈에 대하여 시점별 정규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개체 분석부(216)에서는 각 이슈의 시점에 따른 결과에 대하여 다시 개체별 정규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소셜 미디어 시그널 감지부(220)는 이 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인 소셜 시그널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슈들을 중점으로 한 소셜 시그널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에는 이슈 분석부(212), 시점 분석부(214) 및 개체 분석부(216)의 순으로 분석이 직렬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순서는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이슈를 중점으로 한 소셜 시그널, 시점을 중점으로 한 소셜 시그널 또는 개체를 중심으로 한 소셜 시그널 등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300)는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부(310) 및 소셜 시그널 고연관 아티클 융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부(310)는 수집되어 통합 저장부(400)에 저장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 중 감지된 상기 소셜 시그널과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출처, 작성자, 노출 빈도, 소셜 네트워크 상의 사회적 영향도를 고려하여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감지된 상기 소셜 시그널과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소셜 미디어 아티클이 가지는 키워드, 태그 또는 속성 정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추출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은 그 목록과 연관성 등의 정보가 단어 벡터 또는 네트워크화되어 통합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고연관 아티클 융합부(320)는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부(310)에서 추출된 상기 소셜 시그널 아티클을 감지된 상기 소셜 시그널을 기초로 중복 제거 및 재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고연관 아티클 융합부(320)는 연관되는 소셜 미이더 아티클들을 새로운 하나의 소셜 미디어 아티클로 재조합하거나, 하나의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의 목록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새로운 하나의 소셜 미디어 아티클로 재조합할 수도 있으나, 아티클들의 목록을 합성하거나, 중복을 제거하거나, 시점별 흐름을 가지도록 재조합하거나, 이슈별 또는 개체별로 재조합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고연관 아티클 융합부(320)에서 재조합된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은 그 자체로 또는 그 목록과 연관성 등의 정보가 단어 벡터 형태 또는 네트워크 형태로 통합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소셜 시그널 고연관 아티클 융합부(320)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에서 배포하는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피드백받아,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부(310)에서 추출된 소셜 시그널 아티클에 대한 중복 제거 및 재조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확한 융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저장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합 저장부(400)는 소셜 미디어 저장부(410), 소셜 미디어 분석정보 저장부(420), 소셜 시그널 아티클 저장부(430) 및 통합 미디어 저장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저장부(410)에는 소셜 미디어 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저장부(410)에 저장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은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200)에서 소셜 시그널을 감지하는데 사용된 후, 감지된 소셜 시그널은 소셜 미디어 분석정보 저장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저장부(410)에 저장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은 소셜 미디어 분석정보 저장부(420)에 저장된 소셜 시그널을 기초로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300)에서 상기 소셜 시그널과의 연관성이 분석되어, 상기 소셜 시그널과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이 추출되고 재조합된 후 통합 미디어 저장부(4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통합 미디어 저장부(440)에 저장된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 또는 추출 결과를 토대로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에서 통합 출판 미디어로 생성되어 배포될 수 있다.
통합 저장부(400)는 소셜 미디어 규칙 저장부(4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규칙 저장부(424)에는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200)에서 소셜 시그널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의 규칙이 저장될 수 있다.
통합 저장부(400)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저장 장치일 수도 있으나, 하나 또는 복수의 저장 장치를 논리적으로 구분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구분 단위일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부(510) 및 통합 출판 미디어 배포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부(510)는 도 6에 보인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300)에서 재조합된 통합 저장부(400)에 저장된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을 배포 가능한 매거진 형태의 통합 출판 미디어로 생성하여 배포할 수 있다. 매거진 형태의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는 전자 문서 또는 블로그 포스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는 예를 들면,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오피스웨어용 파일, PDF와 같은 전자 파일, HTML로 작성된 파일, 특정 인터넷 서비스, 특정 SNS, 특정 블로그에 맞는 형식의 문서 등일 수 있다.
통합 출판 미디어 배포부(520)는 생성된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를 네트워크(10)를 통하여 배포할 수 있다. 통합 출판 미디어 배포부(520)는 생성된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를 전자우편, 블로그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출판 미디어 배포부(520)는 생성된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를 전자우편으로 전송하거나, 블로그에 포스팅하거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 게시할 수 있다. 또는 통합 출판 미디어 배포부(520)는 생성된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를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가 포함하거나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와 연계된 별도의 온라인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다. 통합 출판 미디어 배포부(520)는 생성된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 자체를 배포할 수도 있으나, 포스팅 또는 게시/등록된 URL 또는 URL와 같은 자원을 명시하는 방법으로 배포할 수도 있다.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는 피드백 분석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분석부(530)는 배포하는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사용자)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피드백할 수 있다. 피드백 분석부(530)에서 분석한 독자들의 반응은 소셜 미디어 수집부(100), 특히 도 2에 보인 수집 집중도 관리부(120), 또는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200), 특히 도 3에 보인 소셜 미디어 규칙 학습부(230), 또는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300), 특히 도 6에 보인 소셜 시그널 고연관 아티클 융합부(320)에 피드백되어 성능 향상을 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의 세부 구성의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소셜 미디어 수집부(100)의 정보 수집 엔진부(110)가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수집한다. 이때 수집 집중도 관리부(120)는 정보 수집 엔진부(110)가 수집할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선택하도록 관리할 수 있으며, 수집 집중도 관리부(120)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의 피드백 분석부(530)에서 분석한 기 배포한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피드백받아 정보 수집 엔진부(110)를 관리할 수 있다. 수집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은 통합 저장부(400)의 소셜 미디어 저장부(410)에 저장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200)의 소셜 시그널 분석부(210)는 소셜 미디어 저장부(210)에 저장된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하여 이슈별, 시점별 또는 개체별 정규화를 실시하여 분석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시그널 감지부(220)는 소셜 미디어 저장부(210)에서 수행된 이슈별, 시점별 또는 개체별 정규화 결과로부터 소셜 시그널을 감지하여 소셜 미디어 분석 정보 저장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시그널 감지부(220)는 소셜 미디어 규칙 학습수(230)는 가지는 소셜 미디어 규칙을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인 소셜 시그널을 감지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규칙 학습부(230)는 지속적으로 소셜 미디어 규칙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소셜 미디어 규칙 저장부(424)에 저장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300)의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부(310)는 소셜 미디어 저장부(410)에 저장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중 소셜 미디어 분석 정보 저장부(420)에 저장된 소셜 시그널과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을 추출하여 그 결과를 소셜 시그널 아티클 저장부(430)에 저장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고연관 아티클 융합부(320)는 소셜 미디어 분석 정보 저장부(420)에 저장된 소셜 시그널을 기초로 소셜 시그널 아티클 저장부(430)에 저장된 소셜 시그널과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한 중복 제거 및 재조합을 수행하는 융합을 한 후 그 결과를 통합 미디어 저장부(440)에 저장할 수 있다. 소셜 시그널 고연관 아티클 융합부(320)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500)에서 배포하는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피드백 분석부(530)로부터 피드백받아,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부(310)에서 추출된 소셜 시그널 아티클에 대한 중복 제거 및 재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부(510)는 통합 미디어 저장부(440)에 저장된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 또는 추출 결과를 토대로 수집된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을 통합 출판 미디어로 생성하고, 통합 출판 미디어 배포부(520)는 생성된 통합 출판 미디어를 네트워크(10)를 통하여 배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되어 배포되는 통합 출판 미디어는, 소셜 네트워크의 트렌드를 이슈, 시점 및/또는 개체를 중점으로 분석하여 중복 제거 및 재가공하여 생성한 것으로, 소셜 네트워크 상의 매우 많고 중복도 많은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도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와 이슈를 읽어낼 수 있고, 원하는 잉슈 및 트렌드에 대해 정제되고 선별된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100 : 소셜 미디어 수집부, 200 :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 300 :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 400 : 통합 저장부, 500 :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

Claims (10)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 상의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수집하는 소셜 미디어 수집부;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이슈별, 시점별 또는 개체별로 분석하여, 소셜 시그널을 감지하는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분석하여 감지된 상기 소셜 시그널과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시그널 아티클을 추출하여 재조합하는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 및
    상기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에서 재조합된 상기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시그널 아티클들을 매거진 형태의 통합 출판 미디어로 생성하여 배포하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를 포함하는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미디어 수집부는, 정보 수집 엔진부 및 수집 집중도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 집중도 관리부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에서 배포하는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피드백받아, 상기 정보 수집 엔진부에서 수집할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선택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는,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을 분석하여 이슈별, 시점별 및 개체별 정규화를 수행하는 소셜 시그널 분석부; 및
    상기 소셜 시그널 분석부에서 수행된 이슈별, 시점별 및 개체별 정규화 결과를 토대로,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를 감지하는 소셜 시그널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시그널 분석부는,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한 이슈 분석, 시점 분석 및 개체 분석을 직렬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시그널 분석부는,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에 대한 이슈 분석, 시점 분석 및 개체 분석을 병렬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융합부는 수집된 상기 소셜 미디어 아티클 중 감지된 상기 소셜 시그널과 연관성을 가지는 소셜 미디어 아티클들을 추출하는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부; 및
    상기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부에서 추출된 소셜 시그널 아티클을 감지된 상기 소셜 시그널을 기초로 중복 제거 및 재조합을 수행하는 소셜 시그널 고연관 아티클 융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시그널 고연관 아티클 융합부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에서 배포하는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피드백받아, 상기 소셜 시그널 고연관 미디어 아티클 추출부에서 추출된 소셜 시그널 아티클에 대한 중복 제거 및 재조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시그널 분석/감지부는 소셜 미디어 규칙 학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셜 시그널 감지부는 소셜 미디어 규칙 학습부가 가지는 소셜 미디어 규칙을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상의 트렌드를 감지하며,
    상기 소셜 미디어 규칙 학습부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에서 배포하는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피드백받아, 상기 소셜 미디어 규칙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생기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배포부는,
    배포 가능한 통합 출판 미디어를 생성하는 통합 출판 미디어 생성부;
    생성된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를 배포하는 통합 출판 미디어 배포부; 및
    배포하는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을 분석하는 피드백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 배포부는 생성된 상기 통합 출판 미디어를 전자우편, 블로그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KR1020120013813A 2012-02-10 2012-02-10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KR20130092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13A KR20130092220A (ko) 2012-02-10 2012-02-10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13A KR20130092220A (ko) 2012-02-10 2012-02-10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220A true KR20130092220A (ko) 2013-08-20

Family

ID=4921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813A KR20130092220A (ko) 2012-02-10 2012-02-10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22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940A (ko) * 2014-08-01 2016-02-15 황금석 소셜 네트워크 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888B1 (ko) * 2018-12-17 2019-09-0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온라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KR20200074843A (ko) *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Sns 판매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940A (ko) * 2014-08-01 2016-02-15 황금석 소셜 네트워크 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888B1 (ko) * 2018-12-17 2019-09-0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온라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WO2020130369A1 (ko) *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온라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KR20200074843A (ko) *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Sns 판매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 Rahman et al. Sentiment analysis of twitter data
Inel et al. Crowdtruth: Machine-human computation framework for harnessing disagreement in gathering annotated data
Adwan et al. Twitter sentiment analysis approaches: A survey
US201800604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ssue management
US202300602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rganizing, Finding, and Using Data
CN106537387B (zh) 检索/存储与事件相关联的图像
Jha et al. A review on the study and analysis of big data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Yao et al. Predicting movie sales revenue using online reviews
Stoica et al. Mining customer feedback documents
Chen et al. A web-based tool for collaborative social media data analysis
US201401012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ssue record, and generating issue record
Almasoud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data mining applications and techniques
Hildebrandt et al. Server sounds and network noises
KR20130092220A (ko) 소셜 시그널 기반의 온라인 미디어 재조직화 장치
Rouhani et al. Meta-synthesis of big data impacts on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Dai et al. MOETA: a novel text-mining model for collecting and analysing competitive intelligence
Kadir et al. Text analysis on health product reviews using r approach
Liu et al. On the influence propagation of web videos
Jung Discovering social bursts by using link analytics on large-scale social networks
Khurdiya et al. Multi-perspective linking of news articles within a repository
CA29416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mporal identification of latent communities using electronic content
Osial et al. Smartphon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web data integration techniques
Vakili et al. A Machine Learning-Based Method for Identifying Critical Distance Relays for Transient Stability Studies
Das et al. Context level entity extraction using text analytics with big data tools
Sethi et al. Structured analysis of the isi atomic pair actions dataset using workfl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