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038A - 소 공간용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소 공간용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038A
KR20130091038A KR1020120012252A KR20120012252A KR20130091038A KR 20130091038 A KR20130091038 A KR 20130091038A KR 1020120012252 A KR1020120012252 A KR 1020120012252A KR 20120012252 A KR20120012252 A KR 20120012252A KR 20130091038 A KR20130091038 A KR 20130091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xtinguishing agent
fire
fire extinguishin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253B1 (ko
Inventor
오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스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스테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스테코
Priority to KR1020120012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2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강전 EPS실(Electrical Piping Shaft 또는 Electric Pipe Shaft) 또는 약전 TPS실(Telecommunication Pipe Shaft) 등과 같은 소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 시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소화약제를 동시에 살포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소 공간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소 공간에서도 기구적으로 감지기 용기에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가 화재를 감지함에 따라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설치된 작동기를 작동시켜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담겨져 있던 소화약제를 살포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화재를 진압하고자 하는 장소에 직접 설치되며 내부에는 CO₂또는 N₂가스가 충진된 감지기 용기(21)와, 상기 감지기 용기에 설치되어 CO₂또는 N₂가스의 유로를 차단하고 있다가 화재의 발생으로 감열체(25)가 이탈함에 따라 CO₂또는 N₂가스의 유로를 개방하는 스프링클러헤드(23)와, 상기 감지기 용기(21)에 각각 연결관(27)으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소화약제가 채워진 소화약제 저장용기(22)와, 상기 연결관(27) 및 각 소화약제 저장용기(22)의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클러헤드(23)의 감열체(25)가 이탈하여 감지기 용기(21)에서 CO₂또는 N₂가스가 분출됨에 따라 소화약제 저장용기(22)의 유로를 개방하는 작동기(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 공간용 소화장치{Fire extinguishing equipment for small space}
본 발명은 건물의 강전 EPS실(Electrical Piping Shaft 또는 Electric Pipe Shaft) 또는 약전 TPS실(Telecommunication Pipe Shaft) 등과 같은 소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 시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소화약제를 동시에 살포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소 공간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강전 EPS실은 건축물이나 다른 공작물을 건설할 경우 보통 설계도면에 표시되어 전기공사의 동력용 전선, 전등용 전선, 전열용 전선 등 여러 종류의 전기와 관련된 전선이 이 통로를 통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시공되는 통로를 의미하며, 약전 TPS실은 통신용 케이블, 자동제어용 케이블, 홈오토메이션 케이블 등 여러 종류의 통신 관련된 전선이 이 통로를 통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시공되는 통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EPS실 및 TPS실은 콘크리트에 의해 구획된다.
그러나 이러한 EPS실 및 TPS실은 공간이 협소하여 소화장치의 설치가 곤란하여 화재 발생 시 굴뚝효과를 일으키게 되므로 빠른 시간 내에 화재가 확산되도록 하는 원인으로 작용된다.
한편, 컴퓨터실, 배전반, 분전반 등과 같은 소 공간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스계 소화설비가 설치되어 화재를 진압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가스계 소화설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건물(1)의 천정에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2)가 설치되어 있고 건물의 외부에는 상기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여 이를 수신반(3)에 전송하면 상기 수신반에 의해 자동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기동용기함(4)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기동용기함에는 CO₂또는 N₂가스가 충진된 기동용기(5) 및 상기 기동용기의 유로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동용기함(4)의 일 측에는 소화약제가 충진된 복수 개의 소화약제 저장용기(7)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각 소화약제 저장용기(7)에는 작동밸브(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소화약제 저장용기(7)는 집합관(9)에 의해 천장에 설치된 공급관(10)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공급관(10)에는 복수 개의 노즐(1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건물(1)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천정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감지기(2)가 화재를 감지하면 이를 수신반(3)에 알리게 되므로 상기 수신반이 신속하게 알람을 울림과 동시에 기동용기함(4)으로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동용기함(4)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밸브(6)가 작동하여 기동용기(5)의 유로를 개방하게 되므로 기동용기 내의 CO₂또는 N₂가스가 분출되어 각각의 소화약제 저장용기(7)에 설치된 작동밸브(8)를 개방하게 되므로 소화약제 저장용기(7) 내에 있던 소화약제가 집합관(9) 및 공급관(10)을 통해 노즐(11)로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잦은 감지기의 고장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한 진압이 불가능하여 대형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되었음은 물론이고 전기 공급이 어려운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또한, 가스계 소화설비의 설치가 곤란한 EPS실이나, TPS실 등 한정된 밀폐공간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조기 진압이 불가능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EPS실이나, TPS실을 따라 불이 빠른 시간 내에 확산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실제로 2011년 부산에서 발생된 고층 건물의 화재가 이러한 경우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소 공간에서도 기구적으로 감지기 용기에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가 화재를 감지함에 따라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설치된 작동기를 작동시켜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담겨져 있던 소화약제를 살포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방설비에 반드시 필요한 검증된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함에 따라 화재의 발생 시 오동작이 발생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화재를 진압하고자 하는 장소에 직접 설치되며 내부에는 CO₂또는 N₂가스가 충진된 감지기 용기와, 상기 감지기 용기에 설치되어 CO₂또는 N₂가스의 유로를 차단하고 있다가 화재의 발생으로 감열체가 이탈함에 따라 CO₂또는 N₂가스의 유로를 개방하는 스프링클러헤드와, 상기 감지기 용기에 각각 연결관으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소화약제가 채워진 소화약제 저장용기와, 상기 연결관 및 각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클러헤드의 감열체가 이탈하여 감지기 용기에서 CO₂또는 N₂가스가 분출됨에 따라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유로를 개방하는 작동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 공간용 소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화재를 진압하고자 하는 장소에 감지기 용기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를 직접 설치하여 화재에 의해 감기지 용기에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의 감열체가 이탈함에 따라 감지기 용기 내에 채워진 CO₂또는 N₂가스가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유로를 개방하여 소화약제를 살포하는 기구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화재 발생 시 오동작 우려가 없음은 물론이고 EPS실이나, TPS실과 같이 소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스계 소화설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서 감지기 용기의 작동 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서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서 감지기 용기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서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작동 상태도로써, 본 발명은 CO₂또는 N₂가스가 충진된 감지기 용기(21) 및 소화약제가 채워진 소화약제 저장용기(22)를, 화재를 진압하고자 하는 장소에 직접 설치하여 상기 감지기 용기(21)에 채워진 CO₂또는 N₂가스 및 소화약제 저장용기(22) 내의 소화약제를 기구적인 동작에 의해 분출되도록 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화재를 진압하고자 하는 장소에 직접 설치되는 감지기 용기(21)의 토출 측에 공지의 스프링클러헤드(23)가 설치되어 있어 정상적인 상태, 즉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a와 같이 밸브(24)가 유로를 차단하고 있다가 화재의 발생으로 감열체(25)가 도 3b와 같이 이탈하면 CO₂또는 N₂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유로(26)를 개방하는 구조이다.
상기 감지기 용기(21)의 유로(26)는 소화약제가 채워진 소화약제 저장용기(22)와 각각 연결관(27)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관(27)의 끝단과 각 소화약제 저장용기(22)의 사이에는 감지기 용기(21)에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23)의 감열체(25)가 이탈하여 감지기 용기(21)에서 CO₂또는 N₂가스가 분출됨에 따라 소화약제 저장용기(22)의 유로를 개방하는 작동기(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기(28)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화약제 저장용기(22)의 토출 측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토출구(29a) 및 토출유로(29b)를 갖는 하우징(29)과, 상기 토출유로 상에 설치되어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밸브(30)와, 상기 밸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작동 전에는 밸브(30)가 토출유로(29b)를 폐쇄하도록 밸브를 상방향으로 밀어주는 코일스프링(3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작동기(28)의 상부에 실린더(3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로드(33)를 갖는 피스턴(34)을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면 CO₂또는 N₂가스의 압력이 단면적이 넓은 피스턴(34)에 작용되므로 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밸브(30)를 하강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 공간에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스프링클러헤드(23)의 감열체(25)가 도 3a와 같이 어세이(Ass'y)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작동기(28)의 밸브(30)가 도 4a와 같이 코일스프링(31)의 탄력에 의해 상승하여 하우징(29)에 형성된 토출유로(29b)를 폐쇄하고 있으므로 소화약제 저장용기(22)에 채워진 소화약제가 분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감지기 용기(21)에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23)의 감열체(25)가 도 3b와 같이 스프링클러헤드(23)에서 이탈하면 유로(26)를 폐쇄하고 있던 밸브(24)가 CO₂또는 N₂가스의 압력에 의해 도 3b와 같이 상승하면서 유로(26)를 개방하므로 고압의 CO₂또는 N₂가스가 연결관(27)을 통해 각 소화약제 저장용기(22)에 설치된 작동기(28)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고압의 CO₂또는 N₂가스가 각 소화약제 저장용기(22)에 설치된 작동기(28)에 동시 공급되면 상기 작동기(28)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피스턴(34)이 하강하면서 피스턴(34)에 고정되어 있던 로드(33)가 밸브(30)를 눌러주게 된다.
이에 따라, 각 하우징(29)에 형성된 토출유로(29b)를 도 4a와 같이 폐쇄하고 있던 밸브(30)가 코일스프링(31)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여 토출유로(29b)를 도 4b와 같이 개방하게 되므로 각 소화약제 저장용기(22)에 채워져 있던 소화약제가 토출구(29a)를 통해 분사되고, 이에 따라 소 공간에서 발생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21 : 감지기 용기 22 : 소화약제 저장용기
23 : 스프링클러헤드 24, 30 : 밸브
25 : 감열체 26 : 유로
27 : 연결관 28 : 작동기
29 : 하우징 29a : 토출구
29b : 토출유로 31 : 코일스프링
32 : 실린더 33 : 로드
34 : 피스턴

Claims (4)

  1. 스프링클러헤드(23)의 기계적 작동에 의한 감압구조의 작동장치를 이용한 감지기 용기(21)에서 저장압력에 대한 스프링클러헤드(23)의 응력을 작게 하기 위하여 밸브로드(24)를 설치하여 넣고 밸브로드의 단면적을 좁게 하여 스프링클러헤드에 미치는 하중을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 공간용 소화장치.
  2. 화재를 진압하고자 하는 장소에 직접 설치되며 내부에는 CO₂또는 N₂가스가 충진된 감지기 용기(21)와, 상기 감지기 용기에 설치되어 CO₂또는 N₂가스의 유로를 차단하고 있다가 화재의 발생으로 감열체(25)가 이탈함에 따라 CO₂또는 N₂가스의 유로를 개방하는 스프링클러헤드(23)와, 상기 감지기 용기(21)에 각각 연결관(27)으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소화약제가 채워진 소화약제 저장용기(22)와, 상기 연결관(27) 및 각 소화약제 저장용기(22)의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클러헤드(23)의 감열체(25)가 이탈하여 감지기 용기(21)에서 CO₂또는 N₂가스가 분출됨에 따라 소화약제 저장용기(22)의 유로를 개방하는 작동기(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 공간용 소화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28)는 소화약제 저장용기(22)의 토출 측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토출구(29a) 및 토출유로(29b)를 갖는 하우징(29)과, 상기 토출유로 상에 설치되어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밸브(30)와, 상기 밸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작동 전에는 밸브(30)가 토출유로(29b)를 폐쇄하도록 밸브를 상방향으로 밀어주는 코일스프링(3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 공간용 소화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28)의 상부에 실린더(3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로드(33)를 갖는 피스턴(34)을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여 CO₂또는 N₂가스의 압력이 작용되어 피스턴(34)이 하강하면 로드(33)가 밸브(30)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 공간용 소화장치.
KR1020120012252A 2012-02-07 2012-02-07 소 공간용 소화장치 KR101384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252A KR101384253B1 (ko) 2012-02-07 2012-02-07 소 공간용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252A KR101384253B1 (ko) 2012-02-07 2012-02-07 소 공간용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038A true KR20130091038A (ko) 2013-08-16
KR101384253B1 KR101384253B1 (ko) 2014-04-11

Family

ID=4921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252A KR101384253B1 (ko) 2012-02-07 2012-02-07 소 공간용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54658A (ja) * 2018-10-02 2020-04-09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6338A (zh) * 2019-07-05 2019-11-26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嘉兴供电公司 一种应用于智慧消防的自动气体阻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153A (ko) * 2005-01-28 2006-08-02 이원일 2유체 소화 분무장치
KR20080001531U (ko) * 2006-11-29 2008-06-03 이원일 2유체 소화 분무장치의 가스용기 개폐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54658A (ja) * 2018-10-02 2020-04-09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253B1 (ko) 201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0028B2 (en) Sprinkler system with a pre-action sprinkler head
US10556139B2 (en) Network-type temperature-controlled hanging extinguishing system
US20180126204A1 (en) Electrically Operated Gas Vents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20190130862A (ko)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WO2022068692A1 (zh) 一种消防系统
CN112190850B (zh) 一种室内变压器消防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384253B1 (ko) 소 공간용 소화장치
KR101269039B1 (ko) 소 공간용 소화장치
KR101346695B1 (ko) 소 공간용 소화장치
KR101993606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KR20090004970U (ko) 자동확산 소화기
CN103861230A (zh) 房顶自动喷淋灭火系统
CN112807594B (zh) 一种智慧建筑用自动防火装置
CN216925208U (zh) 冷却塔自动喷水灭火系统
KR102078081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JPH05253316A (ja) 消火設備
CN213466574U (zh) 一种机械与电控相结合的厨房灭火系统
CN212439812U (zh) 一种密闭空间智能灭火墙面
CN211461853U (zh) 一种用于网络机柜的灭火装置
CN201088798Y (zh) 贮压悬挂式多层立体喷射灭火装置
CN207532673U (zh) 双信号反馈装置
CN215309920U (zh) 一种高楼火灾监控和自主灭火装置
KR20150115439A (ko)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CN211410800U (zh) 一种消防水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