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649A -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 - Google Patents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649A
KR20130090649A KR1020120011935A KR20120011935A KR20130090649A KR 20130090649 A KR20130090649 A KR 20130090649A KR 1020120011935 A KR1020120011935 A KR 1020120011935A KR 20120011935 A KR20120011935 A KR 20120011935A KR 20130090649 A KR20130090649 A KR 20130090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message
call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483B1 (ko
Inventor
전승일
김재범
지영하
조진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20011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48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착신 단말이 연결된 제1 교환기 및 홈 사용자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의 음성 호 연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홈 사용자 관리 서버로부터 발신 단말 정보 및 착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PRN(Providing Roaming Number) 메시지를 수신하면, PRN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 단말 정보를 토대로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는지 판단한다.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면, 제1 교환기로 착신 단말로의 프리페이징을 요청하고, 제1 교환기로부터 요청한 프리페이징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착신 단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홈 사용자 관리 서버로 PRN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발신 단말이 연결된 제2 교환기로부터 IAM(Initial Address Message) 메시지 및 착신 단말로부터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Description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Method for time reducing of call connection and mobile switching center thereof}
본 발명은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LTE: Long Term Evolution)의 개발과 더불어, 사용자들은 기존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던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망(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G 망'이라 지칭함)과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망(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LTE 망'이라 지칭함) 중 어느 하나 혹은 두 개의 망을 함께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이동통신망 사업자들은 사용자들이 데이터는 LTE 망을 통해 이용하고, 음성은 기존의 3G 망을 통해 이용하는 CSFB(Circuit Switch Fall Back) 기술을 도입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때 마다 LTE 망과 3G 망의 이종 망간 천이가 필수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3G 망으로의 호 연결 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서비스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CSFB 가입자의 음성 호 연결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착신 단말이 연결된 제1 교환기 및 홈 사용자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의 음성 호 연결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은,
상기 홈 사용자 관리 서버로부터 발신 단말 정보 및 상기 착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PRN(Providing Roaming Number)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RN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착신 단말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면, 상기 제1 교환기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프리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교환기로부터 상기 요청한 프리페이징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홈 사용자 관리 서버로 PRN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발신 단말이 연결된 제2 교환기로부터 IAM(Initial Address Message) 메시지 및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제1 교환기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플래그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발신 단말이 제1 서비스를 제공을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제1 교환기로부터 프리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교환기로 프리페이징에 대한 확장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프리페이징에 대한 상기 착신 단말의 응답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착신 단말의 음성 호 연결 시간을 단축하는 교환기는,
홈 사용자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 단말 정보 및 착신 교환기 정보를 요청하는 PRN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 단말 정보 및 발신 단말 정보를 추출하고, 제1 교환기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교환기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들로부터 각각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말 정보 저장부; 상기 메시지 수신부가 추출한 착신 단말의 정보와 상기 단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단말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정보 확인부; 및 상기 단말 정보 확인부에서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제1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확인하면, 상기 제1 교환기로 프리페이징의 수행을 요청하는 페이징 요청부를 포함한다.
상기 교환기는 상기 메시지 수신부가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홈 사용자 관리 서버로 PRN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정보 확인부는 상기 메시지 수신부가 추출한 발신 단말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발신 단말이 제1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발신 단말의 정보에 포함된 플래그 정보를 토대로 제1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요청부는 상기 단말 정보 확인부에서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제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인하면, 상기 제1 교환기로 페이징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LTE 서비스 가입자의 호 연결을 위한 발신 지연 시간 또는 착신 지연 시간을 단축시켜, 3G 망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품질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리페이징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연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일반적인 프리페이징(Pre-Paging) 절차에 대해 도 1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리페이징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프리페이징은 GMSC(Gateway Mobile Switching Center)가 IAM(Initial Address Message)을 받은 후에 MSC/VLR(Mobile Switching Center/Visitor Location Register)이 바로 단말로 페이징을 요청하지 않고, MSC/VLR이 PRN(Provide Roaming Number)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페이징을 수행하고 단말의 페이징 응답에 따라 PRN ACK 또는 SRI ACK(Send Routing Information Acknowledge)를 GMSC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즉, GMSC가 IAM을 수신한 후(S10)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SRI(Send Routing Information)을 전송하면(S20), HLR은 MSC/VLR로 PRN을 요청한다(S30). 그러면 MSC/VLR은 단말로 페이징을 지시하고(S40), 단말이 페이징에 따른 페이징 응답을 MSC/VLR로 전송한다(S50). MSC/VLR은 S50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응답에 따라 PRN 응답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고(S60), HLR은 GMSC로 SRI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70). 그 후 GMSC는 MSC/VLR로 IAM을 전송한다(S80). 이상에서 언급한 절차는 이미 규격화되어 언급된 사항들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프리페이징 절차는 동일 망에서의 망 천이시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LTE 망과 3G 망 사이의 천이시에는 호 연결을 위한 연결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호 연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망의 교환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홈 사용자 관리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와 연동하여 착신 단말에 페이징을 요청하는 착신 교환기(100)는 메시지 수신부(110), 단말 정보 확인부(120), 단말 정보 저장부(140), 페이징 요청부(130) 및 서비스 요청부(150)를 포함한다.
메시지 수신부(110)는 홈 사용자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 단말 정보 및 착신 교환기 정보를 요청하는 PRN 메시지를 수신하고, PRN 메시지로부터 착신 단말의 정보 및 발신 단말의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메시지 수신부(110)는 LTE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페이징에 대한 응답 여부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말 정보 확인부(120)는 메시지 수신부(110)가 PRN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정보 중 착신 단말의 정보와 단말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단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착신 단말이 LTE 서비스 지원 여부를 파악한다. 또한 단말 정보 확인부(120)는 메시지 수신부(110)가 PRN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정보 중 발신 단말의 정보 중 플래그 정보(CSMO(CS fallback Mobile Originating) Flag)를 토대로, 발신 단말에서 LTE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
단말 정보 저장부(140)는 착신 교환기(100)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각각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단말 정보는 착신 교환기(100)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단말들의 변동에 따라 수시로 수집되어 저장되는데, 착신 교환기(100) 영역은 LTE 교환기 영역과 중첩되어 관리되기 때문에, 단말 정보 저장부(140)가 수집하는 단말 정보는 LTE 망의 LTE 교환기로부터 전달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 정보는 단말의 식별 정보, LTE 서비스 지원 여부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페이징 요청부(130)는 단말 정보 확인부(120)에서 확인한 착신 단말이 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LTE 교환기로 프리페이징을 수행/요청한다. 그러나 LTE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착신 단말이라면, LTE 교환기로 일반적인 페이징 절차를 수행/요청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서비스 요청부(150)는 메시지 수신부(110)가 수신한 메시지가 서비스 요청 메시지인 경우에, 홈 사용자 관리 서버로 PRN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착신 교환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LTE CSFB 단말에 음성 호 연결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착신 단말이 LTE 망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발신 단말의 요청에 의해 3G 망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할 때, LTE 망에서 3G 망으로의 천이 시 발생하는 음성 호 연결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LTE 교환기를 제1 교환기, 착신 교환기를 제2 교환기, 발신 교환기를 제3 교환기라 지칭하여 설명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교환기와 제3 교환기는 3G 망에 위치한 교환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교환기는 홈 사용자 관리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로 착신 단말의 정보 및 착신 교환기의 정보를 요청하는 SRI 메시지를 전달한다(S100). 이때, SRI 메시지에는 발신 단말에 대한 정보 및 착신 단말의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SRI 메시지를 수신한 홈 사용자 관리 서버는 착신 교환기로 착신 단말 정보 및 착신 교환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발신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착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PRN 메시지를 전송한다(S101). 착신 교환기의 메시지 수신부(110)는 S101 단계에서 수신한 PRN 메시지에서 착신 단말의 정보 및 발신 단말의 정보를 추출하고, 단말 정보 확인부(120)는 착신 단말이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
즉, 단말 정보 저장부(130)에는 사전에 착신 교환기(100)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들에 대한 단말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단말 정보에는 해당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 정보 확인부(120)는 자신이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단말이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단말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들을 토대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착신 단말이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정보는 단말의 가입자별 단말 정보(SGs Associated)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착신 단말이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프리페이징을 수행할 수 있고 일반적인 페이징 절차를 수행해야 할 경우도 있다. 또한 발신 단말이 LTE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에 따라서는 프리페이징 절차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발신 단말이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발신 단말이 MM CM-SVC-REQEST 메시지에 올리는 CSMO 플래그를 활용한다. 이때의 메시지는 다음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dditional update parameters value (octet 1, bit 1 to 4)

CSMT (1 bit field)

Bit
1
0 No additional information.
1 CS fallback mobile terminating call

CSMO (1 bit field)

Bit
2
0 No additional information.
1 CS fallback mobile originating call

Bits 4 and 3 of octet 1 are spare and shall be all coded as zero.
그리고 착신 단말이 LTE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에 따라 3G 망에서 LTE 망으로 망 천이 절차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LTE 교환기로 페이징을 요청할 때 착신 단말의 LTE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가 추가될 수 있다. 착신 단말이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착신 단말이 위치한 영역의 LTE 교환기 혹은 착신 단말이 위치해 있으며 LTE 망과 중첩된 3G 망의 착신 교환기가 착신 단말의 정보를 수집한다.
만약 3G 망의 착신 교환기가 착신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였다면, 착신 교환기는 수집한 단말의 정보를 LTE 교환기로 전달한다. 그러면, LTE 교환기는 착신 단말에 대한 정보 중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단말이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해당 단말이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착신 교환기의 페이징 요청부(130)는 발신 단말 정보 및 착신 단말 정보를 포함하여 페이징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LTE 교환기로 전송한다(S102). LTE 교환기는 S103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에서 착신 단말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착신 단말로 프리페이징을 수행한다(S104).
프리페이징은 착신 교환기가 IAM 메시지를 받기 전 PRN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페이징을 수행하기 때문에, 착신 단말은 프리페이징을 시도한 LTE 교환기로 ESR(Extended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105). 여기서 ESR 메시지에는 착신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페이징에 대한 응답 여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LTE 교환기는 ESR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 교환기로 해당 착신 단말의 상태를 알리고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06). 착신 교환기는 홈 사용자 관리 서버로 PRN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S107), 이를 수신한 홈 사용자 관리 서버는 발신 교환기로 착신 단말의 정보 및 착신 교환기 정보를 포함하는 SRI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108). 발신 교환기는 착신 교환기 정보를 포함하는 SRI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 교환기로 발신 단말의 발신 번호 및 착신 단말의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IAM 메시지를 전송한다(S109).
이때, S104 단계와 S108 단계 사이의 어느 시점에 착신 단말은 페이징을 수행하고, 착신 단말이 통화중이 아니거나 연결 가능한 상태라 페이징에 성공하면 호 설정을 위한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로 전송한다(S110).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호 연결을 시도하면, 종래의 LTE CSFB 호 연결 시간의 주요한 시간 지연 요소로 작용하던 망간 천이 시간을 페이징의 병렬적인 처리를 통해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3G와 유사한 품질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S102 단계에서 착신 교환기가 판단한 결과 착신 단말에서 LTE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페이징 절차를 수행한다(S111). 이때 일반적인 페이징 절차는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착신 단말이 연결된 제1 교환기 및 홈 사용자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의 음성 호 연결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사용자 관리 서버로부터 발신 단말 정보 및 상기 착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PRN(Providing Roaming Number)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RN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착신 단말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면, 상기 제1 교환기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프리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교환기로부터 상기 요청한 프리페이징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홈 사용자 관리 서버로 PRN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발신 단말이 연결된 제2 교환기로부터 IAM(Initial Address Message) 메시지 및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제1 교환기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플래그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발신 단말이 제1 서비스를 제공을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제1 교환기로부터 프리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교환기로 프리페이징에 대한 확장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프리페이징에 대한 상기 착신 단말의 응답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는 LTE(Long Term Evolution) 서비스이고,
    상기 교환기 및 제2 교환기는 3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교환기인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 방법.
  7. 착신 단말의 음성 호 연결 시간을 단축하는 교환기에 있어서,
    홈 사용자 관리 서버로부터 착신 단말 정보 및 착신 교환기 정보를 요청하는 PRN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 단말 정보 및 발신 단말 정보를 추출하고, 제1 교환기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교환기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들로부터 각각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말 정보 저장부;
    상기 메시지 수신부가 추출한 착신 단말의 정보와 상기 단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단말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착신 단말이 제1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정보 확인부; 및
    상기 단말 정보 확인부에서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제1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확인하면, 상기 제1 교환기로 프리페이징의 수행을 요청하는 페이징 요청부
    를 포함하는 교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수신부가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홈 사용자 관리 서버로 PRN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부
    를 포함하는 교환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 확인부는 상기 메시지 수신부가 추출한 발신 단말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발신 단말이 제1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발신 단말의 정보에 포함된 플래그 정보를 토대로 제1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교환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요청부는 상기 단말 정보 확인부에서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제1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확인하면, 상기 제1 교환기로 페이징의 수행을 요청하는 교환기.
KR20120011935A 2012-02-06 2012-02-06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 KR101487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1935A KR101487483B1 (ko) 2012-02-06 2012-02-06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1935A KR101487483B1 (ko) 2012-02-06 2012-02-06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649A true KR20130090649A (ko) 2013-08-14
KR101487483B1 KR101487483B1 (ko) 2015-01-29

Family

ID=4921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11935A KR101487483B1 (ko) 2012-02-06 2012-02-06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4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9566B (zh) * 2007-06-18 2013-06-12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上行链路同步的方法
JP2009296098A (ja) * 2008-06-03 2009-12-17 Ne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呼接続方法
US8515485B2 (en) 2009-10-20 2013-08-20 Lg Electronics Inc. Provisioning of voice and other CS-domain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483B1 (ko)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1178B1 (en) Handover method and mobility management network element
FI102234B (fi) Digitaalinen matkaviestinjärjestelmä ja menetelmiä päättyvän puhelun k äsittelemiseksi
US9014708B2 (en) Network entity for mobile communications towards a mobile station
US20090215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Roaming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92374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packet switch domain short message service, and user equipment
EP3496477B1 (en) Pag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related computer-readable medium
JP5795084B2 (ja) モバイル通信デバイスのためのモバイル着信ローミング転送
KR20140043095A (ko) 회선 교환 폴백을 위한 인터네트워킹
JP6034994B2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位置更新と並行してモバイル着信呼を扱うことに起因する呼ループの形成の回避
JP200929609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呼接続方法
EP2883346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oaming charging for cs fallback mtrf call
WO2012034674A1 (en) Method, public land mobile network and requesting entity
KR101487483B1 (ko)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
KR102129901B1 (ko) 회선 교환 폴백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187361B1 (ko) 해외로밍 가입자의 위치등록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15556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7107041B1 (en) Method for monitoring authentication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05592507B (zh) 语音回落的方法、装置及系统
KR20150028779A (ko) 회선 교환 폴백-네트워크 개시된 ussd 요청/통지 절차, 모바일-착신 위치 요청 절차, 가입자 정보 제공 절차를 위한 인터네트워킹
US20240098148A1 (en) Restoration of a pdn connection at pgw failure
KR100878076B1 (ko) 국제로밍시 음성사서함 자동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10110104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페이징 처리 방법
KR100991646B1 (ko) 로밍시 특정 호를 차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90107B1 (ko) 통신시스템에서 객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25997B1 (ko)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