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903A -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903A
KR20130089903A KR1020120003286A KR20120003286A KR20130089903A KR 20130089903 A KR20130089903 A KR 20130089903A KR 1020120003286 A KR1020120003286 A KR 1020120003286A KR 20120003286 A KR20120003286 A KR 20120003286A KR 20130089903 A KR20130089903 A KR 20130089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framework
smart phone
specific func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550B1 (ko
Inventor
강삼석
정창진
권동혁
Original Assignee
(주)마상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상소프트 filed Critical (주)마상소프트
Priority to KR1020120003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550B1/ko
Priority to JP2012102377A priority patent/JP2013143125A/ja
Priority to CN2012101381529A priority patent/CN103207943A/zh
Priority to EP12174588.9A priority patent/EP2615789A2/en
Priority to US13/739,128 priority patent/US20130179859A1/en
Publication of KR20130089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게임 개발에 필요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개인 또는 단말기 제조사 등의 업체에서 별도로 구현하여 제공하는 특정 기능을 포함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와, 일반 사용자에게 게임을 배포하는 스토어 서버와, 상기 SDK 및 프레임워크를 다운로드하여 게임을 개발하고 그 개발된 게임을 상기 스토어 서버에 등록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가 어플리케이션(게임)을 개발함에 있어서, 개발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기능을 개인 또는 단말기 제조사 등의 업체에서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에서 차용하여 구현함으로써 개발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개발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SYSTEM FOR PLATFORM SYSTEM BASED ON NETWORK}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시장(smartphone market)은, 애플사가 개발한 아이오에스(iOS; i operating system)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폰과, 구글사가 개발한 안드로이드 오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폰을 중심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의 스마트 폰 시장은 애플사와 구글사가 스마트 폰 플랫폼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는 개발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존과 달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와 배포가 용이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개발자들은 공개된 '소스 코드'를 확장, 대체 또는 재사용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손쉽게 되었다 하더라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별도로 다시 개발하여야 하므로 어플리케이션 개발기간이 많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어플리케이션의 출시 시점을 놓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게임)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미리 제작하여 개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창안한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개발된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될 특정 기능의 UI 화면 인식코드들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스토어 서버;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로부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제공받아 개발자의 키 입력에 따라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함은 물론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 구현되어 있는 특정 기능을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하고 상기 생성된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자의 키 입력에 의해 상기 스토어 서버에 등록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client terminal devic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와,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된 특정 기능의 UI 화면들을 편집하여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스토어 서버; 상기 스토어 서버에서 다운로드한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하며, 실행 중에 임의의 기능을 위한 키 입력이 감지되면 그 키 입력 정보를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해당 기능의 UI 화면을 웹페이지 형태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에 관련한 과금을 상기 스토어 서버와 연동하여 처리하고 상기 과금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배포정보를 기초로 하여 개발자에게 수익을 분배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와,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될 특정 기능의 UI 화면 인식코드들과,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된 특정 기능의 UI 화면들을 편집하여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스토어 서버;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로부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제공받아 개발자의 키 입력에 따라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자의 키 입력에 의해 상기 스토어 서버에 등록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client terminal device); 상기 스토어 서버에서 다운로드한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하며, 실행 중에 임의의 기능을 위한 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키 입력 정보를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해당 기능의 UI 화면을 웹페이지 형태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에 관련한 과금을 상기 스토어 서버와 연동하여 처리하고 상기 과금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배포정보를 기초로 하여 개발자에게 수익을 분배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개발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한 특정 기능의 UI 화면을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에서 검색하여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UI 화면의 인식 코드를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랩탑(Laptop) 컴퓨터, 노트북(Notebook) 컴퓨터, UMPC(Ultra Mobile PC),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으로 구성한다.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웹브라우저 호출,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위한 인식코드 및 특정 기능의 UI 화면의 인식코드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와, 상기 라이브러리에 의해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브러리는 특정기능의 키 입력이 감지되면 웹 브라우저를 먼저 실행시키고, 상기 특정 기능의 키 입력에 해당하는 인식코드와 인증키를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에 전송하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웹 브라우저를 상호 전환시키도록 구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키 입력 정보는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감지된 키 입력에 대응하는 해당 특정기능의 인식코드, 및 특정 기능을 제공받기 위한 UI화면의 인식코드 및 단말기 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특징기능의 인식코드 및 UI화면의 인식코드를 인식하고 그 인식결과에 따라 특정기능의 UI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적합하게 웹 페이지 형태로 편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 스토어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과금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간은 유,무선 통신망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은 프로그래머가 어플리케이션(게임) 개발시에 개발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기능을 개인 또는 단말기 제조사 등의 업체에서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에서 차용하여 구현함으로써 개발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개발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은 개발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기능을 업체가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에서 차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게임)의 컴파일 에러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게임 개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개발된 게임 아키텍처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게임 실행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결재화면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3에서 버디(buddy) 화면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3에서 게임 랭킹 화면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7은 도 3에서 아이템 검색화면의 일례를 보인 도면.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 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 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 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본질적 특성을 명료히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삼성 등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 플랫폼에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기반의 플랫폼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하며,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은 '게임'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게임 제작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임 개발에 필요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개인 또는 단말기 제조사 등의 업체에서 별도로 구현하여 제공하는 특정 기능을 포함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와, 일반 사용자에게 게임을 배포하는 스토어 서버(130)와, 상기 SDK 및 프레임워크를 다운로드하여 게임을 개발하고 그 개발된 게임을 상기 스토어 서버(130)에 등록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 스토어 서버(130)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120) 간의 데이터 통신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프레임워크, SDK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20)로 제공한다. 안드로이드(android)란 모바일 기기용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미들웨어(middleware), 키 응용프로그램(key application)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그리고, 안드로이드 SDK(Software Development Kit)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툴(tool)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시하는 상기 프레임워크에는 친구 검색/초대, 게임대전, 게임 참여에 따른 랭킹(ranking), 게임아이템 부분유료화, 게임 내 광고 등의 기능 및 별도의 UI(User Interface) 지원 기능을 OpenAPI 형태로 제공하도록 포함되는데, 개인 또는 단말기 제조사 등의 업체에서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란 차세대 인터넷 환경의 특징 중 하나로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개방형 서비스 구조를 택하여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따라서, OpenAPI 제공자는 인터페이스를 외부에 개방하여 데이터의 공유와 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구축할 필요가 없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20)는 프레임워크를 제공받아 임의의 게임을 개발하기 위한 장치로서, 노트북 컴퓨터, 개인용 PC, 데스크탑, PDA, 스마트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20)는 개발자의 키 입력에 따라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로부터 SDK 및 프레임워크를 제공받아 설치하며, 개발자는 상기 SDK를 이용하여 게임을 개발하게 된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기(120)의 개발자는 개발자 사이트에서 개발하려는 게임에 대한 인증키를 미리 부여받을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개발한 게임에 친구 검색/초대, 게임대전, 게임 참여에 따른 랭킹(ranking), 게임아이템 부분유료화, 게임 내 광고 등의 특정 기능을 탑재하려는 경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프레임워크에 구현되어 있는 특정 기능의 인식 코드를 게임 프로그램에 삽입하면 된다.
그런데,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려는 경우 개발자는 해당 기능을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기능의 개발을 위한 기간이 소요되는 것을 감수하여야 한다.
또한, 개발자는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에 접속하여 게임 프로그램에 탑재된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 화면를 검색한 후 원하는 UI 화면을 선택하여 해당 UI 화면의 인식 코드만을 게임 프로그램에 탑재하게 된다.
이는 일반 사용자가 게임을 즐기다가 친구 검색/초대, 게임대전, 랭킹 검색, 게임아이템 부분유료화 등의 특정 기능을 설정하면 게임 내에 탑재된 특정 기능의 인식 코드와 그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 화면의 인식 코드를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에 전달하여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로부터 해당 기능의 UI 화면을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 화면의 인식코드만을 게임 프로그램에 탑재함으로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에서 특정 기능의 UI 화면을 변경하여도 별다른 문제없이 해당 기능의 UI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게임 개발 및 별도의 필요 기능 구현이 완료되면 런치프로그램 형태로 모바일 웹 브라우저를 탑재하여 최종적으로 게임 개발이 완료된다. 상기 과정으로 개발된 게임 아키텍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임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및 모바일 웹 브라우저가 탑재된 형태이다.
상기 모바일 웹브라우저는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표준화하고 있는 서버-클라이언트간의 데이터 교환 표준 예를 들어, PUSH/Rest, HTML5 등의 표준을 준수하며, 안드로이드 웹 뷰(web view)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라이브러리는 웹 브라우저 실행 기능과, 특정 기능의 인식코드값 및 인증키값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라이브러리는 게임 실행 중에 특정 기능의 키 입력이 감지되면 모바일 웹 브라우저를 먼저 실행시키고, 상기 특정 기능의 키 입력에 해당하는 인식코드와 인증키를 서버(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게임 개발이 완료되면 개발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스토어 서버(130)에 접속한 후 해당 게임을 등록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게임 등록 시에 등록을 위하여 개발자 정보가 요구되는데, 이는 건전한 게임의 배포 및 게임 배포에 따른 수익분배를 위해 필요하다. 상기 개발자 정보는 사업자 등록번호, 게임개발자 연락처, 계좌번호, 게임의 인증키 등을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게임에 대한 인증 키를 미리 발급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개발 완료된 게임을 등록하는 시점에서 게임의 인증키를 발급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게임을 개발하여 스토어 서버(130)에 등록하면 일반 사용자가 상기 스토어 서버(130)에서 해당 게임을 다운로드하여 즐길 수 있게 되는데, 게임 실행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게임 실행 시스템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 또는 단말기 제조사 등에서 별도로 구현하여 제공하는 특정 기능을 포함하는 프레임워크 및 상기 특정 기능의 UI(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와, 과금 서버(150)와, 일반 이용자에게 게임을 배포하며, 상기 과금 서버(150)와 연동하여 게임 배포에 따른 과금을 처리하는 스토어 서버(130)와, 상기 스토어 서버(130)에서 게임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며, 게임 실행 중에 친구 검색/초대, 대전게임 실행, 게임랭킹 검색, 게임아이템 획득 등의 기능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 스토어 서버(130), 과금 서버(150) 및 사용자 단말기(140) 간은 유,무선 통신망으로 상호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게임 실행 시스템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게임을 즐기려는 일반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스토어 서버(130)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게임들을 검색하여 원하는 게임을 다운로드하게 된다.
이때, 게임 다운로드 시에 스토어 서버(130)는 과금 서버(150)와 연동하여 과금 처리를 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40)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으로서, 과금은 신용카드 결재 또는 폰 요금에 합산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과금 서버(130)와 연동한 스토어 서버(130)는 사용자가 결재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결재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4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결재 화면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재계정 정보, 핸드폰 정보, 주민번호 또는 공인인증서 등의 사용자 인증번호를 입력하도록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이후, 게임을 실행시키면 사용자 단말기(140)는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에 접속시키게 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40)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참조하여 해당 게임을 실행하게 된다.
이때, 게임 실행 중에 친구 초대/검색을 위해 버디(buddy) 기능을 설정하면 사용자 단말기(140)는 런치 브라우저 형태의 모바일 웹브라우저로서 웹 뷰(web view)를 실행하여 해당 UI 펑션 및 단말기 정보를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는 단말기 정보와 UI 펑션을 참조하여 도 5와 같은 버디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40)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40)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의 버디 화면에서 친구 검색/초대를 진행하면서 게임을 즐기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도 5의 버디 화면 표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 6과 같은 랭킹 화면을 제공받아 게임의 랭킹을 검색하거나, 도 7 과 같은 아이템 화면을 제공받아 게임에 필요한 아이템을 검색하고 도 4의 결재화면을 이용하여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다.
이후, 게임을 종료하면 사용자 단말기(140)가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와의 연결을 해제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11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40)로부터 특정기능의 인식코드와 그 특정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 화면의 인식코드만을 받아 해당 특정기능의 UI 화면을 웹 페이지 형태로 제공함으로, 언제라도 특정기능의 UI 화면을 변경하여도 아무런 문제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40)로 해당 특정기능의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 120 : 클라이언트 단말기
130 : 스토어 서버 140 : 사용자 단말기
150 : 과금 서버

Claims (10)

  1.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개발된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될 특정 기능의 UI 화면 인식코드들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스토어 서버;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로부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제공받아 개발자의 키 입력에 따라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함은 물론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에 구현되어 있는 특정 기능을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하고 상기 생성된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자의 키 입력에 의해 상기 스토어 서버에 등록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client terminal devi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2.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와,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된 특정 기능의 UI 화면들을 편집하여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스토어 서버;
    상기 스토어 서버에서 다운로드한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하며, 실행 중에 임의의 기능을 위한 키 입력이 감지되면 그 키 입력 정보를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해당 기능의 UI 화면을 웹페이지 형태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에 관련한 과금을 상기 스토어 서버와 연동하여 처리하고 상기 과금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배포정보를 기초로 하여 개발자에게 수익을 분배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3.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와,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될 특정 기능의 UI 화면 인식코드들과,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된 특정 기능의 UI 화면들을 편집하여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스토어 서버;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로부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제공받아 개발자의 키 입력에 따라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자의 키 입력에 의해 상기 스토어 서버에 등록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기 스토어 서버에서 다운로드한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하며, 실행 중에 임의의 기능을 위한 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키 입력 정보를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해당 기능의 UI 화면을 웹페이지 형태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에 관련한 과금을 상기 스토어 서버와 연동하여 처리하고 상기 과금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배포정보를 기초로 하여 개발자에게 수익을 분배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개발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한 특정 기능의 UI 화면을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에서 검색하여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UI 화면의 인식 코드를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하여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웹브라우저 호출,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위한 인식코드 및 특정 기능의 UI 화면의 인식코드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와,
    상기 라이브러리에 의해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안드로드 기반의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는
    특정기능의 키 입력이 감지되면 웹 브라우저를 먼저 실행시키고, 상기 특정 기능의 키 입력에 해당하는 인식코드와 인증키를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웹 브라우저를 상호 전환시키도록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정보는
    스마트 폰용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감지된 키 입력에 대응하는 해당 특정기능의 인식코드, 및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화면의 인식코드 및 단말기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특징기능의 인식코드 및 UI화면의 인식코드를 인식하고 그 인식결과에 따라 특정기능의 UI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적합하게 웹 페이지 형태로 편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KR1020120003286A 2012-01-11 2012-01-11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KR10137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286A KR101373550B1 (ko) 2012-01-11 2012-01-11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JP2012102377A JP2013143125A (ja) 2012-01-11 2012-04-27 ネットワーク基盤の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
CN2012101381529A CN103207943A (zh) 2012-01-11 2012-05-04 基于网络的平台系统
EP12174588.9A EP2615789A2 (en) 2012-01-11 2012-07-02 Platform system based on network
US13/739,128 US20130179859A1 (en) 2012-01-11 2013-01-11 Platform system based 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286A KR101373550B1 (ko) 2012-01-11 2012-01-11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903A true KR20130089903A (ko) 2013-08-13
KR101373550B1 KR101373550B1 (ko) 2014-03-13

Family

ID=4675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286A KR101373550B1 (ko) 2012-01-11 2012-01-11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79859A1 (ko)
EP (1) EP2615789A2 (ko)
JP (1) JP2013143125A (ko)
KR (1) KR101373550B1 (ko)
CN (1) CN1032079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585A1 (ko) * 2015-03-31 2016-10-06 최민석 스마트 폰 제어 방법 및 상기 스마트 폰의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제공 서버
KR20240024700A (ko) 2022-08-17 2024-02-26 김지은 웹 연동 게이미피케이션 구현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1403B2 (en) 2013-11-14 2019-08-2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Game extensions in a gaming environment
CN104363264B (zh) * 2014-10-22 2017-10-03 北京棱镜云桥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软件的多渠道sdk接入系统
JP2017004273A (ja) * 2015-06-10 2017-01-05 株式会社Smarprise プラットフォーム提供システム、プラットフォーム提供方法、プラットフォームを提供する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装置
JP6674435B2 (ja) * 2017-12-05 2020-04-01 エンブレース株式会社 医療・介護支援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構築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8344A1 (en) * 2001-03-08 2004-12-30 Sridhar Obilisetty Centrally managed and distributed applications
JPWO2003069470A1 (ja) * 2002-02-15 2005-06-09 株式会社イマージュ アプリケーション作成システム、作成装置、および作成方法、並びに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システム、提供装置、および提供方法、並びにアプリケーション運用システム、運用装置、および運用方法
US20070099658A1 (en) * 2005-11-03 2007-05-03 Blue Label Interactive Systems and methods for developing, delivering and using video applications for a plurality of mobile platforms
US8869027B2 (en) * 2006-08-04 2014-10-21 Apple Inc. Management and generation of dashboards
US8307337B2 (en) * 2006-12-01 2012-11-06 Murex S.A.S. Parallelization and instrumentation in a producer graph oriented programming framework
GB2458110A (en) * 2008-03-03 2009-09-09 Trelleborg Crp Ltd Mould for forming vortex inducing suppression features on an elongate member
US8099332B2 (en) * 2008-06-06 2012-01-1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pplication management for a mobile device
WO2010109776A1 (ja) * 2009-03-25 2010-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281475A1 (en) * 2009-05-04 2010-11-04 Mobile On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smart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elivery
CA2698066A1 (en) * 2009-07-31 2011-01-31 Nitobi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mpiling multi-platform native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KR101161946B1 (ko) * 2010-03-24 2012-07-04 (주)아이윈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US8438294B2 (en) * 2010-04-07 2013-05-07 Apple In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online applications
CN102065077B (zh) * 2010-11-11 2013-12-1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终端应用软件分发方法及系统
CN102184101B (zh) * 2011-04-27 2014-02-05 赵悦 一种面向智能手机的软件应用框架及其开发系统
CN102231106A (zh) * 2011-05-27 2011-11-02 王志勇 实现移动通用开发平台应用代码生成的方法
US8856685B2 (en) * 2011-07-28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b content on a mobil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585A1 (ko) * 2015-03-31 2016-10-06 최민석 스마트 폰 제어 방법 및 상기 스마트 폰의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제공 서버
KR20240024700A (ko) 2022-08-17 2024-02-26 김지은 웹 연동 게이미피케이션 구현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07943A (zh) 2013-07-17
JP2013143125A (ja) 2013-07-22
US20130179859A1 (en) 2013-07-11
KR101373550B1 (ko) 2014-03-13
EP2615789A2 (en)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19586B (zh) 多层安全移动交易使能平台
KR101373550B1 (ko)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Conder Android Wireless Application Development, 2/e
US10026079B2 (en) Selecting ecosystem features for inclusion in operational tiers of a multi-domain ecosystem platform for secure personalized transactions
US10176476B2 (en) Secure ecosystem infrastructure enabling multiple types of electronic wallets in an ecosystem of issuers, service providers, and acquires of instruments
Thun et al. When global technology meets local standards
CN102968312B (zh) 用于应用扩展程序的用户界面占位符
US201201443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obile application analysis
KR102122451B1 (ko)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지원하는 플랫폼의 동작 방법 및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CN109716331A (zh) 符合应用程序数据共享和决策服务平台模式的应用程序部署
US20110214115A1 (en) Method and appartus for providing a high level mobile virtual machine
CN106469414A (zh) 移动股票开放平台装置与方法
CN102843430A (zh) 一种基于移动互联网的广告推送方法
EP35082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user activity information
CN104317648A (zh) 一种监测广告的方法和装置
KR101161946B1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320044A1 (en) Coordinating services across multiple providers
CN105100132A (zh) 终端设备、识别终端设备的方法及系统
US20130117132A1 (en) System for inserting services in a software application
KR20090107602A (ko) 모바일 게임프로그램의 구매방법 및 그 시스템
Krajci et al. Android on x86: An Introduction to Optimizing for Intel® Architecture
US9491231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tateful applications system
Islam Android Project Business Card: Ecard
CN108156122B (zh) 能力开放平台的能力引入方法、系统及设备
KR20230139689A (ko) 토큰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