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900A -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900A
KR20130089900A KR1020120003152A KR20120003152A KR20130089900A KR 20130089900 A KR20130089900 A KR 20130089900A KR 1020120003152 A KR1020120003152 A KR 1020120003152A KR 20120003152 A KR20120003152 A KR 20120003152A KR 20130089900 A KR20130089900 A KR 20130089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mobile device
information
mobil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003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9900A/ko
Publication of KR2013008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재와 같이 모바일 기기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온라인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가 모바일 기기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광고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으면서도, 광고 컨텐츠의 운영이나 관리 리소스 및 비용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고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모바일 기기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에 관한 하드웨어 정보나 소프트웨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광고 포맷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소정의 광고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변환된 광고 포맷의 광고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METHOD FOR SIMULTANEOUSLY PROCESSING ADVERTISEMENT MATERIAL AT INTERNET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와 같이 모바일 기기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온라인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가 모바일 기기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광고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으면서도, 광고 컨텐츠의 운영이나 관리 리소스 및 비용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Internet)은 랜(LAN, Local Area Network) 등 소규모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는 형태에서 점차 발전하여 현재는 전세계를 망라하는 거대한 통신망의 집합체가 되었으며, 현재 인터넷은 전화망에 버금가는 거대한 세계적 정보의 기반으로 되어 그 통신량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인터넷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또한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데, 그 예로는 전자우편(E-mail), 원격 컴퓨터 연결, 인터넷을 통해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파일을 전송하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비스, 인터넷을 이용해 의사를 교환하는 유즈넷 뉴스(Usenet News), 정보의 내용을 주제나 종류별로 구분하여 구성된 메뉴에 의한 인터넷 정보 검색 서비스인 고퍼(Gopher), 인터넷 E대화와 토론 서비스인 IRC(Internet Relay Chat), 전자 게시판(BBS, Bulletin Board System),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통한 하이퍼텍스트 정보 열람, 온라인 게임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하며, 동화상이나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서비스나 비디오 회의 등 새로운 서비스가 차례로 개발되어 이용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이처럼 인터넷을 통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그 이용량이 증가하면서, 인터넷이라는 매체의 장점을 활용한 소위 인터넷 광고라는 새로운 개념의 광고가 등장하게 되었다. 인터넷 광고를 통해서 기업은 적은 비용으로 많은 소비자를 만날 수 있으며, 고객의 반응도 바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러한 인터넷 광고는 크게 기업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Interactive Media) 모델과 배너 광고(Banner Advertising)를 조합한 모델로 분류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미디어 광고는 인터넷의 쌍방향성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취향을 분석해서 차별적으로 광고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서 기업은 불특정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기존 광고에 비해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맞춤형 인터넷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배너 광고는 화면 한구석에 나와 있는 일종의 띠 형상의 광고로서, 도로 광고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웹페이지 상의 장소에 배너 광고를 띄워넣고 관심이 있는 사람이 이것을 클릭하여 자사(즉, 광고주 기업)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현재 인터넷 광고의 유형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쓰이는 유형이다. 배너 광고는 인기있는 홈페이지의 한쪽에 특정 웹사이트의 이름이나 내용을 부착하여 홍보하는 그래픽 이미지 형태로 제작되는데, 마치 현수막처럼 생겨 배너(Banner)란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처음에는 사각형 모양에 도메인과 사업내용을 알리는 단순한 형태로 시작했으나, 최근에는 동영상을 넣거나 홈페이지를 열면 화면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인터넷 광고를 집행하는 방식에서 보면, 소위 오버추어(Overture) 광고라는 형태가 가장 보편화된 인터넷 광고 방식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게재하는 키워드 광고를 말하는 한편, 그러한 광고를 대행하는 기업의 명칭이기도 하다. 오버추어 광고는 광고가 수행되었을 때에만 비용을 지불하는 P4P(Pay for Performance) 광고로서, 실제 인터넷 광고가 클릭되었을 때에만 광고주가 광고 비용을 지불하는 CPC(Cost Per Click)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이 광고 집행 방식에 따르면 광고주는 미리 광고 대행 기업에 광고비를 입금하고, 클릭이 한 번 발생할 때마다 정해진 금액을 차감 당하는 방식으로 광고를 집행하게 된다. 이 외에 CPM(Cost Per Millenium) 방식처럼 예컨대 인터넷 광고가 1000회 노출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광고주가 지불할 광고 단가를 책정하는 개념도 존재한다.
인터넷 광고는 특히, 최근 모바일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그 시장성이 대폭 확대되고 있는바, 휴대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이동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접하게 되는 온라인(혹은 인터넷) 광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ⅰ)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바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ⅱ) 고성능 휴대단말기의 등장이라는 2가지 측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우선, 최근 무선 인터넷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통신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예컨대 와이파이(Wi-Fi)는 무선랜 기술을 장려하고 표준을 준수하면 제품을 인증해 주는 기관인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의 상표명으로서,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연결과 장치 간 연결(Wi-Fi P2P), PAN(Personal Area Network)/LAN(Local Area Network)/WAN(Wide Area Network) 구성 등을 지원하는 일련의 기술을 뜻한다. 와이파이는 무선접속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나 노트북 컴퓨터를 통해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무선주파수를 이용하므로 전화선이나 전용선이 필요 없으나 PDA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모바일 기기에는 무선 랜카드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또 다른 예로서 IEEE 802.11은 흔히 와이어리스랜(Wireless LAN)이라고 부르는 좁은 지역(Local Area)을 위한 컴퓨터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술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LAN/MAN 표준 위원회(IEEE 802)의 11번째 워킹 그룹에서 개발된 표준 기술을 의미한다. IEEE 802.11에는 몇 가지 버전이 존재하는데, 최근에 개발된 IEEE 802.11n-2009는 40MHz의 채널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초당 54Mbit에서 초당 600Mbit로 향상시킨 것이며, 이 외에도 IEEE 802.11a/b/g 등도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이에 관해서는 후술함)를 통해 음성이나 영상, 데이터 등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성이 부여된 통신 체계를 이동통신 혹은 모바일 통신(Mobile Communication)이라고 한다.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어국, 기지국, 그리고 이동체가 필요한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서비스 제공 지역을 포괄하는 기지국들을 설치한다. 하나의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범위를 셀이라 하며, 기지국들이 서로 인접하여 있어서 서비스 제공 지역 전체를 벌집처럼 덮어 사용자가 하나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오버(Handover) 기술도 이동통신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동통신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각자 고유 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가입자 개개인에게는 이동통신 번호가 부여된다. 사용자의 단말기는 통화가 없더라도 지속적으로 기지국으로 단말기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보내며, 이렇게 전송받은 단말기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이동통신 규격은 큰 범주로 1세대(1G), 2세대(2G), 3세대(3G)로 나뉘어 있으며, 현재 4세대(4G) 이동통신 방식으로 발전 중이다. 도 1은 현재까지 개발된 이동통신 표준을 정리한 도표로서, 예컨대 도 1에 기재된 와이브로(WiBro)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3G 이동통신의 6번째 기술 표준으로 채택된 이동통신 표준이다. 각 세대 구분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데이터 전송속도의 차이에 있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4G 이동통신 기술은 정지중 초당 최대 10억 비트(1GB), 이동 중 초당 최대 1억 비트(100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구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휴대전화기는 이러한 데이터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단순히 사용자 간의 음성 통화만을 지원하지 않고 이제는 일종의 초소형 컴퓨터로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대폭 강화되고 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개인 휴대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넷북(Netbook) 등 신개념의 이동통신 단말기 내지 모바일 기기가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메일을 주고 받거나 이동 중에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은 휴대전화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음성 통화 기능 외에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소형의 기기에 통합시켜 그 편의성과 활용도는 더욱 증대되어 가고 있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전화기와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혹은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 사용자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고, 심지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 있으며, 동일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도 스마트폰과 일반 휴대전화기를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으로 꼽힌다.
실제로 최근의 스마트폰은 과거의 일반 휴대전화기에 비하여 더 넓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개선되었고, 소위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이라 불리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충전과 동시에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도 있으며, 수천 개에 이르는 주소를 관리할 수 있는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개인정보 관리)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은 이제 모바일 인터넷 뱅킹, 모바일 신용카드, 모바일 소셜 네트워킹, 모바일 쇼핑 등 활용 분야를 막론하고 실생활에 편리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은행, 증권회사, 신용카드 회사, 소셜 커머스 업체, 인터넷 쇼핑몰 업체들은 자사만의 고유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맞게 개발하여 유료 혹은 무료로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있다.
이처럼 모바일 기기에 온라인 광고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2가지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서 광고를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비지니스 모델과 서버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에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광고 서버"에 관한 한국공개특허 제2010-0103608호(이하 "선행문헌1")는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광고 서버를 개시한다.
위 선행문헌1에 따른 광고 서버는, 상기 서버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온라인 컨텐츠 선택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장치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에 액세스하고,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프로필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데이터베이스 조회를 행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 조회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장치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행문헌1에 따른 광고 서버는 모바일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과 관련된 프로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프로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바, 이는 연령, 사회 계층, 성별, 인종, 수입, 학력, 집 소유 유무, 고용 상태 외에도 검색 습성, 이메일링(Emailing) 또는 텍스팅(Texting) 습성 등과 같은 사용자의 온라인 습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버는 모바일 장치 등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될 광고 컨텐츠를 관리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광고 컨텐츠에는 오디오 광고, 비디오 광고, 문자 기반 광고, 그래픽 기반 광고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한국공개특허 제2009-0078396호(이하 "선행문헌2")는 온라인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시하고 있는바, 도 2는 선행문헌2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5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행문헌2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50)은, 광고주가 접속할 수 있는 광고주 접속 페이지를 온라인 상으로 제공하는 광고주 인터페이스 관리부(10); 광고가 노출될 광고매체와 온라인 상으로 접속하는 광고매체 인터페이스 관리부(20); 및 광고를 타게팅된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되, 광고의 노출 빈도를 제어하며, 광고 노출 전에 광고 효과를 예측하고, 광고 노출 후에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광고 관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광고주 인터페이스 관리부(10)에 의하여 포탈 사이트 등의 광고주 인터페이스(51)에 광고주 접속 페이지가 제공되며, 광고주는 광고주 인터페이스(51)에 제공되는 광고주 접속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10)으로 광고를 주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 관리부(30)는 광고주로부터 주문받은 광고를 타게팅된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되, 광고의 노출 빈도를 제어하며, 광고 노출 전에 광고 효과를 예측하고, 광고 노출 후에 광고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광고 관리부(30)는, 광고주로부터 주문받은 광고의 예산, 광고매체(52), 광고기간 및 노출빈도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광고의 예산배분, 광고매체(52), 광고기간 및 노출빈도를 시뮬레이션하여 적합한 광고 형태를 결정하는 예측 관리부(31);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고, 노출될 매체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키는 컨텐츠 관리부(32); 광고를 노출시킬 고객을 추출하는 타게팅 관리부(33); 매체 별로 광고를 노출시킬 위치를 결정하고, 매체(52)에 적합한 태그(상기 광고 제공 시스템(50)의 IP 주소 또는 URL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에 결합시키는 노출 관리부(34); 고객에 대한 추적 및 로그 분석을 수행하고, 투자 대비 수익률을 계산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분석 관리부(35); 및 광고 노출에 대하여 상기 광고주에게 비용을 정산하거나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관리부(3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고 관리부(30)는 추가로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38);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39); 및 전송 형태 및 노출 스케줄링을 관리하는 전송 관리부(37)를 더 포함한다.
선행문헌2에 따르면, 광고주가 주문한 광고를 타게팅된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되, 광고의 노출 횟수, 노출 시간 및 노출 위치 등을 제어하며, 광고 노출 전에 광고 효과를 예측하고, 광고 노출 후에 광고 효과를 측정하며, 광고 매체에 제공되는 광고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현재까지 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온라인 광고 기술은 선행문헌1과 같이 사용자의 위치 정보나 프로필 정보에 기초한 타케팅 광고를 구현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이는데 주목하거나, 선행문헌2와 같이 온라인 광고의 효과를 사전에 혹은 사후에 어떻게 면밀하게 분석해 낼 것인지에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중 어떤 것도 전술한 바와 같이 광고가 제공되는 모바일 기기 및 그 네트워크 접속 환경이 다양하다는 점에는 주목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현재 PC를 통해 한국의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www.naver.com)에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광고는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유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PC와 USB 접속된 휴대전화기에 제공되는 경우와 WAP 서버를 이용하여 무선 이동통신망에 접속한 휴대전화기에 제공되는 경우, 그리고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한 스마트폰에 제공되는 경우마다 다른 포맷으로, 즉 다른 광고 캠페인으로 광고를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광고 서버를 운영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광고주로부터 하나의 광고 컨텐츠를 광고하기로 계약하더라도, 실제로 해당 광고 컨텐츠가 노출될 모바일 기기의 종류가 늘어날수록 광고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기 위하여 더 많은 리소스와 비용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광고주가 자신의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고자 하는 웹페이지 수가 늘어날수록 그러한 리소스와 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광고 서버는 하나의 광고 지면별로 노출될 광고 컨텐츠를 각각 설정하고 세팅하는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운영되어 오고 있다.
현재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는 Wi-Fi, 와이브로, 2G, 3G, 4G 등 다양한 주파수, 커버리지(Coverage) 및 전송 속도로 구분된 복수의 이용자 접속 환경을 지원하고 있고, 이에 맞추어 실제로 한국 삼성전자의 모바일 기기인 Galaxy S2 HD LTETM는 LTE(Long Term Evolution), HSPA+(Evolved High Speed Packet Access), 802.11a/b/g/n 등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있고, 또 미국 애플사의 iPhone4S의 경우에도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i-Fi 802.11b/g/n, 블루투스 등의 네트워크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선행문헌1이나 선행문헌2와 같이 이용자가 어떠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예컨대, 태블릿 컴퓨터나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로 혹은 어떠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어떠한 인터넷 탐색기로 온라인 광고에 노출될 것인지를 고려하지 않고 광고 컨텐츠를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이는 용량이 비교적 낮은 텍스트 광고나 2D 이미지 광고의 경우는 물론이고 고용량의 3D 이미지 광고나 동영상 광고의 경우에 광고 서버에 과대한 운용 리소스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를 낳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현재와 같이 모바일 기기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온라인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가 모바일 기기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광고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으면서도 광고 컨텐츠의 운영이나 관리 리소스 및 비용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광고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모바일 기기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에 관한 하드웨어 정보나 소프트웨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광고 포맷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소정의 광고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변환된 광고 포맷의 광고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해야 할 상기 모바일 기기에 관한 상기 기기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는 에이전트 디텍션(Agent Detection)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기기는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고 컨텐츠는 오디오 광고, 비디오 광고, 문자 기반 광고, 그래픽 기반 광고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드웨어 정보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소프트웨어 정보는 상기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운영체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가 실행된 이후, 상기 변환된 광고 포맷의 광고 컨텐츠를 폐기하거나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그룹핑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광고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모바일 기기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를 구비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에 관한 하드웨어 정보나 소프트웨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동작; 상기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광고 포맷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소정의 광고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 2 동작; 및 상기 변환된 광고 포맷의 광고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제 3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동작은,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해야 할 상기 모바일 기기에 관한 상기 기기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는 에이전트 디텍션(Agent Detection) 기능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고 컨텐츠는 오디오 광고, 비디오 광고, 문자 기반 광고, 그래픽 기반 광고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도 상기 하드웨어 정보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소프트웨어 정보는 상기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운영체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술한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제 3 동작이 수행된 이후, 상기 변환된 광고 포맷의 광고 컨텐츠를 폐기하거나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그룹핑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 4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와 같이 모바일 기기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온라인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가 모바일 기기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광고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으면서도, 광고 컨텐츠의 운영이나 관리 리소스 및 비용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현재까지 개발된 이동통신 표준을 정리한 도표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언하자면,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500)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바일 광고 시스템(500)은 적어도 광고 서버(100), 모바일 기기(200) 및 광고 서버(100)와 모바일 기기(200)를 무선 접속하는 네트워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광고주 단말(미도시)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광고 시스템(500)의 사업자와 소정의 광고 계약을 체결하고 유무선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를 통해 광고 서버(100)에 접속하여 자신이 홍보하고자 하는 전자적인 형태의 광고물을 업로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도 3이나 후술하는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고주 단말(미도시)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이 종료된 이후 정액제, 기간제 혹은 기타의 약정된 지불 방식에 따라 소정의 광고료를 광고 서버(100)에 지불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한편, 광고주 단말(미도시)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참고로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부언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500)의 운영자 내지 사업자는 광고 서버(100), 광고 정보 관리 쓰레드(240) 및 광고 SDK(230)를 제작 및 관리하는 주체일 수 있지만,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광고 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주 단말(미도시)과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선 혹은 무선의 네트워크로 접속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데이터베이스(즉, 광고 데이터베이스)를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고 서버(100)는 이용자가 무선 인터넷뿐만 아니라 유선 인터넷, 이동통신 등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광고 프로세스를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기기(200)는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중 하나 혹은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인터넷, 이더넷, PSTN 전화망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라도 광고 서버(100)에 접속 가능한 이용자 단말기(200)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모두 본 발명의 적용 범주에 속하는 이용자 단말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이용자 단말기(200)가 이동 중인 상황에서 제공되는 소위 모바일 광고를 전제로 한 것이지만, 예컨대 스마트폰(200)을 USB 단자로 노트북과 유선 접속한 상태에서 광고 서버(100)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제공받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는 도 1에 기재된 2 이상의 이동통신 표준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2008-009154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종의 무선망을 모바일 기기(200)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핸드오버 기능이 지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200)에는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나 펌웨어의 형태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탑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적인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언하자면 모바일 기기(200) 상에서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모바일 기기(200)는 자체적으로 구비되거나 착탈식인 메모리와 제어부(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모바일 광고의 노출 내역(예컨대, 동영상 광고 컨텐츠의 재생 시점, 재생 시간, 재생 도중 중단 여부, 재생 횟수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광고 서버(100)와 모바일 기기(200) 간에 송수신하는 쿠키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쿠키란 고객이 특정 홈페이지를 접속할 때 생성되는 정보를 담은 임시 파일로서, 파일 크기는 4KB 이하로 작은 편에 속한다. 쿠키에는 개인 ID와 비밀번호, 방문한 사이트 등의 정보가 담겨 접속자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 이 쿠키는 기본 구성양식만 갖추면 서버 측에서 무엇이든 원하는 데이터를 접속자 브라우저에 보낼 수 있으며 나중에 이 쿠키를 가져갈 수도 있다. 쿠키는 애초 인터넷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접속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서, 특정 사이트를 처음 방문하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기록한 쿠키가 만들어지고, 다음에 접속했을 때 별도 절차 없이 사이트에 빠르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쿠키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쿠키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용자는 동일 웹사이트에서 다른 서비스 페이지를 방문할 때마다 회원정보를 계속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쿠키는 사용하는 웹브라우저가 자동으로 만들기도 하고 갱신하기도 하며 웹사이트(혹은 서버)로 기록을 전달하기도 한다. 쿠키 정보로 네티즌이 해당 사이트를 찾을 경우 웹서버에서는 그가 누구인지, 어떤 정보를 주로 찾았는지 바로 파악할 수 있다. 즉 네티즌이 어떤 제품을 샀는지, 어떤 분야에 관심이 많은가를 파악할 수 있어 웹사이트 운영자 측에서는 쿠키를 이용한 타겟 마케팅 내지 타겟형 인터넷 광고가 가능하며, 본 발명에 이러한 쿠키의 기능을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바일 기기(200)는 도 2에 도시된 참조번호 210 내지 240과 같은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번호 210 내지 240은 모바일 기기(200)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을 기능 블록으로 시각화한 것인데, 먼저 참조번호 210은 운영체제 프레임워크(소위 "커널"이라고 함, Kernel)를 나타낸다.
커널(210)은 인터럽트 처리,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관리,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제공 등을 수행하는 일종의 하드웨어 제어용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로서,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구성요소이지만 일반적으로 접근이 불가능한 메모리에 로드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면, 커널(210)은 하나의 프로그램 덩어리로서 부분적인 수정이 어렵도록 제작된 모놀리식 커널(Monolithic Kernel)일 수 있고, 개별적인 모듈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커널(Micro Kernel)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뷰어(220)는 상용으로 제작된 동영상 파일이나 화상 파일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되어 모바일 기기(200)에 탑재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로서, 화상과 음성 파일 모두를 재생할 수 있는 경우 멀티 뷰어(Multi-Viewer) 또한 본 발명의 뷰어(220)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뷰어(220)는 텍스트나 멀티미디어 형태로 제작된 광고 서버(100)로부터의 광고 컨텐츠를 모바일 기기(200)의 이용자에게 노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광고 SDK(230)는 예컨대 광고 서버(100)에 의하여 광고용으로 제작 및 배포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oftware Development Kit)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SDK의 개념과 마찬가지로 광고 SDK(230)는 소프트웨어 기술자가 특정한 소프트웨어 꾸러미,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하드웨어 플랫폼, 컴퓨터 시스템, 게임기, 운영 체제 등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개발 도구의 집합을 의미한다. 광고 SDK(230)는 샘플 코드를 포함하여 기술 참고나 지원 문서를 지원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명확한 요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부언하자면,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해당 시스템의 개발자로부터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받는데, 인터넷으로 다운로드하는 경우가 많으며, 많은 경우 해당 시스템이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장려하기 위해서 무료로 제공될 수 있지만,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고 정보 관리 쓰레드(24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광고 방법(예컨대, 도 3 참조)을 구성하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경우 프로그램 환경에 따라 둘 이상의 쓰레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방식을 멀티쓰레드(Multithread)라고 한다. 참고로, 멀티프로세스와 멀티쓰레드는 양쪽 모두 여러 흐름이 동시에 진행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멀티프로세스에서 각 프로세스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각각 별개의 메모리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에, 멀티쓰레드는 프로세스 내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프로세스 간의 전환 속도보다 쓰레드 간의 전환 속도가 일반적으로 더 빠르다. 또한 멀티쓰레드의 다른 장점으로서, CPU가 여러 개일 경우에 각각의 CPU가 쓰레드 하나씩을 담당하는 방법으로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광고 서버(100)가 광고주 단말(미도시)로부터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된 광고를 수집한다(스텝 S1). 여기서 광고는 오디오 광고, 2D 혹은 3D 비디오 광고, 문자 기반의 텍스트 광고, 그래픽 기반 광고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부언하자면 본 발명의 경우에는 광고 컨텐츠의 용량이 큰 경우(예컨대 3D 비디오 광고) 종래기술에 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2에서 이용자는 모바일 기기(200)의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광고가 노출될 만한 웹 페이지(예컨대, 한국의 www.naver.com과 같은 포털 사이트)에 방문한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200)의 네트워크 접속 기능은 도 1에 기재된 어떠한 이동통신 표준을 이용하여서도 구현 가능하며, LAN, MAN, PAN과 같은 네트워킹 방식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스텝 S2에서, 광고 서버(100)는 종래기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바일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과 관련된 프로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프로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이는 연령, 사회 계층, 성별, 인종, 수입, 학력, 집 소유 유무, 고용 상태 외에도 검색 습성, 이메일링(Emailing) 또는 텍스팅(Texting) 습성 등과 같은 사용자의 온라인 습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광고 서버는 모바일 장치 등의 사용자 장치에 제공될 광고 컨텐츠를 관리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물리적으로 별개로 혹은 물리적으로 통합하여 포함한다.
스텝 S2에서 모바일 기기(100)가 방문한 웹 페이지가 광고 서버(100)로부터 제공될 광고를 포함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200)의 광고 정보 관리 쓰레드(240)는 광고 서버(100)와 통신하게 되는데, 이때 광고 서버(100)는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에이전트 디텍션(Agent Detection)을 실행하여 광고 컨텐츠의 전송 대상인 모바일 기기(200)에 관한 하드웨어 정보나 소프트웨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3).
여기서 상기 하드웨어 정보는 모바일 기기(200)가 상술한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하드웨어 정보는 한국의 삼성전자나 미국의 애플에서 생산하는 스마트폰의 기기별 고유 식별번호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정보는 상술한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모바일 기기(200)에 탑재된 운영체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소프트웨어 정보는 미국 애플의 모바일 기기용 운영체제인 iOS1 내지 iOS5 중 어떤 운영체제인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익스플로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탐색을 하는지 아니면 애플의 사파리(Safari) 탐색기를 이용하고 있는지 등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 S4에서는, 광고 서버(100)가 상술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광고 포맷을 확인하고, 광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의 광고 컨텐츠를 소정의 광고 포맷으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A라는 컬러 텍스트 기반의 광고라도, 컬러 디스플레이를 지원하지 않는 휴대전화기의 기기 정보가 수신된 경우라면 광고 서버(100)가 A라는 광고 컨텐츠를 흑과 백의 색상 정보만을 포함하는 텍스트 광고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B라는 동영상 광고의 해상도를 기기 정보에 따라 확인되는 스마트폰의 성능에 따라 다르게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스텝 S5에서, 광고 서버(100)는 스텝 S4에서 변환된 광고 포맷의 광고 컨텐츠를 모바일 기기(200)에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후에는 선택적으로, 스텝 S6으로 진행하여 스텝 S4에서 변환된 광고 포맷의 광고 컨텐츠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폐기하거나, 스텝 S7로 진행하여 광고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변환된 광고 포맷의 광고 컨텐츠를 광고 지면별로 그룹핑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광고 서버에서는 하나의 광고 지면별로 노출될 광고 소재를 각각 설정하여 세팅하고 있었기 때문에 광고가 노출되어야할 기기 종류 개수만큼 광고 캠페인을 세팅해야 했다. 종래 PC 중심의 인터넷 광고의 경우 기기 종류가 1개(즉, PC)였기 때문에 기기 종류에 따라 광고를 세팅하여도 광고 운영상의 문제가 발생되지는 않았으나, 모바일 광고, 태블릿 PC 광고 등으로 온라인 광고의 유형이 다양하게 확대되면서, 모바일 기기의 종류 및 태블릿 PC의 종류만큼 광고 세팅을 해주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스텝 S1 내지 S7을 포함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기기별로 광고 세팅을 하는 것이 아니라 광고를 송출하기 전 모바일 기기(200)의 광고 접속 정보를 사전에 확인하여 송출해야할 모바일 기기(200)에 관한 기기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는 에이전트 디텍션(Agent Detection) 기능을 통해, 광고를 송출해야할 기기별 지면을 임의적으로 그룹핑을 하여 광고를 송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를 서비스할 모바일 기기(200)의 종류가 확장되더라도 광고 운영 리소스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200)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한 형태의 광고 소재(즉, 광고 컨텐츠)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혹은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예컨대, 광고 서버(100)나 모바일 기기(200)의 제어부)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실시형태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예컨대 CRT나 LCD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지고,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예컨대 마우스나 트랙볼(Trackball)과 같은 지시 장치 및 키보드를 갖는 컴퓨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종류의 장치도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데, 예컨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은 예를 들어 가시적인 피드백, 가청 피드백 혹은 촉각형 피드백과 같은 감각적인 피드백의 어떠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음향, 발성 혹은 촉각적 입력을 포함하는 어떠한 연관된 형태로도 수신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실시형태는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로는 LAN(Local Area Network)과 WAN(Wide Area Network), 예컨대 인터넷이 포함된다.
연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보통 서로 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작용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는 각각의 컴퓨터 상에서 구동되고 서로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발생한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모든 프로그램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50 광고 제공 시스템
100 광고 서버
200 모바일 기기
210 운영체제 프레임워크
220 뷰어
230 광고 SDK
240 광고 정보 관리 쓰레드
500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

Claims (14)

  1. 광고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모바일 기기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에 관한 하드웨어 정보나 소프트웨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광고 포맷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소정의 광고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변환된 광고 포맷의 광고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해야 할 상기 모바일 기기에 관한 상기 기기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는 에이전트 디텍션(Agent Detection)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는 오디오 광고, 비디오 광고, 문자 기반 광고, 그래픽 기반 광고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정보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정보는 상기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운영체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가 실행된 이후, 상기 변환된 광고 포맷의 광고 컨텐츠를 폐기하거나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그룹핑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방법.
  8. 광고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모바일 기기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를 구비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에 관한 하드웨어 정보나 소프트웨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동작; 상기 기기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광고 포맷을 확인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소정의 광고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 2 동작; 및 상기 변환된 광고 포맷의 광고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제 3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은,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전송해야 할 상기 모바일 기기에 관한 상기 기기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는 에이전트 디텍션(Agent Detection) 기능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는 오디오 광고, 비디오 광고, 문자 기반 광고, 그래픽 기반 광고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정보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정보는 상기 PDA,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넷북, 휴대전화기 및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운영체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
  14.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제 3 동작이 수행된 이후, 상기 변환된 광고 포맷의 광고 컨텐츠를 폐기하거나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그룹핑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 4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 처리 시스템.
KR1020120003152A 2012-01-10 2012-01-10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 KR20130089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152A KR20130089900A (ko) 2012-01-10 2012-01-10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152A KR20130089900A (ko) 2012-01-10 2012-01-10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900A true KR20130089900A (ko) 2013-08-13

Family

ID=4921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152A KR20130089900A (ko) 2012-01-10 2012-01-10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990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043A1 (ko) * 2014-02-24 2015-08-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표시 방법 및 광고 제공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50106023A (ko) * 2014-03-10 2015-09-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50111811A (ko) * 2014-03-25 2015-10-06 김준모 검색광고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CN114282949A (zh) * 2021-12-27 2022-04-05 广州通达汽车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方法及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043A1 (ko) * 2014-02-24 2015-08-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표시 방법 및 광고 제공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50106023A (ko) * 2014-03-10 2015-09-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50111811A (ko) * 2014-03-25 2015-10-06 김준모 검색광고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CN114282949A (zh) * 2021-12-27 2022-04-05 广州通达汽车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7258B2 (e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communicating and displaying content in a messenger application
KR101336210B1 (ko) 프로모션들의 지속적인 마이크로타겟팅 및 모바일 광고를 위한 플랫폼
US9489686B2 (e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user terminal
RU2467394C2 (ru) Множество действий и значков для рекламы в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ах
US9544212B2 (en) Data usage profiles for users and applications
US201502135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bile applications to users at a predetermined data rate
KR20160123377A (ko) 크리에이티브의 랜딩 페이지와 함께 기능적 확장들을 제공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
CN104753911A (zh) 一种基于社交应用的信息处理方法、相关装置及系统
KR20100107521A (ko) 모바일 광고의 마이크로타깃팅을 위한 키워드 추적
WO2009099880A2 (en) Platform for mobile advertising and microtargeting of promotions
CN102833347A (zh) 基于云平台的移动终端广告
EP31270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vertising services to devices
EP2862338A1 (en) Method, server, and client for pushing and displaying splash screen
CA2970075A1 (en) Techniques for contextual mobile data access
US11783381B2 (en) Visual inventory rules building system
CN109034867B (zh) 点击流量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4027876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pplication provisioning
KR20130089900A (ko) 인터넷 모바일 기기에서의 광고 소재 동시 처리 방법
CN104636378A (zh) 应用程序的推送方法及装置
US8612274B2 (en) Pricing engine revenue evaluation
US20150142568A1 (en) Method for enabling a mobile device to generate message feedback, and advertising server implementing the same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KR101244777B1 (ko) 무선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통한 광고 시스템
KR20130024627A (ko) 애플리케이션 로딩 시간을 이용한 광고 실행 방법
KR20130089899A (ko) 모바일 기기에서의 이용자 접속 환경에 따라 광고 소재 및 광고 정보를 차별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KR20140065603A (ko) 휴대 통신 장치 송수신 통화 광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