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860A -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860A
KR20130089860A KR1020120002508A KR20120002508A KR20130089860A KR 20130089860 A KR20130089860 A KR 20130089860A KR 1020120002508 A KR1020120002508 A KR 1020120002508A KR 20120002508 A KR20120002508 A KR 20120002508A KR 20130089860 A KR20130089860 A KR 20130089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app
mathematics
concept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섭
Original Assignee
이홍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섭 filed Critical 이홍섭
Priority to KR1020120002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9860A/ko
Publication of KR2013008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된 앱(App)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학습 시스템은, 초기에 앱(App)을 배포하고 이후 앱을 통해 접속하면 수학관련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여 수학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수학교육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학교육서버에 접속하여 앱을 다운로드받고, 이후 앱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수학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로 구성되고, 상기 수학교육서버는 회원DB와 연동하여 접속자들에게 앱을 배포하고, 회원을 등록받으며 회원별 학습로그나 평가결과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모듈; 동영상 강의가 포함된 수학의 각 주제에 대한 개념 내용이 저장된 컨텐츠 DB와 연동하여 선택된 주제의 개념 익히기 학습을 처리하는 개념 익히기 모듈; 문제DB와 연동하여 필수 예제 학습을 처리하는 필수예제모듈; 문제DB와 연동하여 유제 학습을 처리하는 유제모듈; 및 문제DB와 연동하여 예제 학습을 처리하는 예제모듈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OF STUDYING MATHEMATICS STEP BY STEP US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수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된 앱(App)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온라인을 이용한 각종 교육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단순한 동영상 강의부터 학생수준에 맞는 맞춤형 학습 등 다양한 교육 방식이 온라인상에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학습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타 학습의 경우와 다르게 수학의 경우에는 교과의 특성상 문제풀이가 타 과목에 비해 비중이 높으며, 특수기호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입출력이 제한적인 온라인 교육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객관식이나 단답형 주관식이 아닌 서술형 주관식 문제의 경우 수학의 다양한 여러 기호와 풀이 과정을 제대로 구현하기 힘들뿐 아니라, 입력된 답안들을 채점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검토하여 평가해야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온라인상의 주관식 수학문제 학습시스템 및 방법이 공개번호 10-2011-0020662호로 공개되어 온라인상에서 수학문제의 서술형 풀이과정을 손쉽게 입력하고, 입력된 서술형 풀이과정을 채점하여 원활한 온라인 수학문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자기 주도적 학습을 도모할 수 있는 수학학습시스템 및 수학학습방법이 공개번호 10-2010-0138255호로 공개되어 모든 학습자의 학습내역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 통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인 수업과정에서 학습자들에게 적절한 지도방침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수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은 수학의 고유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특히, 스마트폰과 같이 최근에 널리 보급되는 휴대용 단말기들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앱(App)을 통해 신속하고 널리 배포할 수 있고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용이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학의 특성에 맞게 개념부터 단계적으로 학습하도록 유도하여 체계적인 수학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학습 시스템은, 초기에 앱(App)을 배포하고 이후 앱을 통해 접속하면 수학관련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여 수학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수학교육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학교육서버에 접속하여 앱을 다운로드받고, 이후 앱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수학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로 구성되고, 상기 수학교육서버는 회원DB와 연동하여 접속자들에게 앱을 배포하고, 회원을 등록받으며 회원별 학습로그나 평가결과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모듈; 동영상 강의가 포함된 수학의 각 주제에 대한 개념 내용이 저장된 컨텐츠 DB와 연동하여 선택된 주제의 개념 익히기 학습을 처리하는 개념 익히기 모듈; 문제DB와 연동하여 필수 예제 학습을 처리하는 필수예제모듈; 문제DB와 연동하여 유제 학습을 처리하는 유제모듈; 및 문제DB와 연동하여 예제 학습을 처리하는 예제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시스템은 계산력을 평가하는 계산력 평가모듈과, 진단평가를 처리하는 진단평가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학습 방법은, 수학학습서버가 앱(App)을 배포하고, 앱이 탑재된 단말기를 통해 접속된 회원을 등록받아 회원DB에 저장하는 제1단계; 단말기가 앱을 실행하여 차례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제의 개념 익히기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2단계; 개념 익히기 학습이 완료되면, 단말기가 해당 주제의 필수예제를 제공하는 제3단계; 필수예제 풀이과정을 통과하면, 단말기가 해당 주제의 유제를 제공하는 제4단계; 유제 풀이과정을 통과하면, 단말기가 해당 주제의 예제를 제공하는 제5단계; 및 예제 풀이과정을 통과하면 해당 주제에 대한 학습자의 성취도를 평가하는 제6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단계는 필수예제 풀이의 답이 오답이면 오답임을 알려줌과 아울러 다시 한번 필수예제를 풀도록 하고, 두번째 필수예제 풀이과정에서도 오답이면 개념 익히기부터 다시 반복하여 해당 주제의 개념을 익히게 하고, 정답이면 제4단계의 유제풀이과정으로 넘어간다.
상기 제4단계는 유제 풀이에서 오답이면 오답임을 알려줌과 아울러 다시 한번 유제를 풀도록 한고, 두번째 유제 풀이과정에서도 오답이면 개념 익히기부터 다시 반복하여 해당 주제의 개념을 익히게 하고, 정답이면 제5단계의 예제풀이과정으로 넘어간다.
상기 제5단계는 예제 풀이에서 오답이면 오답임을 알려줌과 아울러 다시 한번 예제를 풀도록 하고, 두번째 예제 풀이과정에서도 오답이면 개념 익히기부터 다시 반복하여 해당 주제의 개념을 익히게 하고, 정답이면 다음 예제를 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학학습방법은 신속하고 널리 배포될 수 있는 앱(App)을 기반으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등)에서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수학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수학의 특성에 맞게 개념부터 단계적으로 학습하도록 유도하여 체계적인 수학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4 내지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절차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수학 학습 화면의 예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앱(150)을 배포하고 이후 앱을 통해 접속하면 수학관련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여 수학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수학교육서버(110)와, 유/무선 네트워크(102)를 통해 서버(110)에 접속하여 앱(150)을 다운로드받고 이후 앱(150)을 실행하여 사용자(학습자)가 수학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130,14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수학교육서버(110)는 회원DB(121)와 연동하여 접속자들에게 앱(150)을 배포하고 회원을 등록받으며 회원별 학습로그나 평가결과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모듈(111)과, 동영상 강의가 포함된 개념 내용이 저장된 컨텐츠 DB(122)와 연동하여 각 주제의 개념 익히기 학습을 처리하는 개념 익히기 모듈(112)과, 문제DB(123)와 연동하여 필수 예제 학습을 처리하는 필수예제모듈(113)과, 문제DB(123)와 연동하여 유제 학습을 처리하는 유제모듈(114)과, 문제DB(123)와 연동하여 예제 학습을 처리하는 예제모듈(115)과, 계산력을 평가하는 계산력 평가모듈(116)과, 진단평가를 처리하는 진단평가모듈(117)로 구성된다.
단말기는 네트워크(102)를 통해 서버(110)에 접속하여 앱(150)을 다운로드받고 앱(150)을 실행하여 회원으로 등록하거나 서버(110)가 제공하는 수학학습을 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130) 혹은 테블릿 PC(140)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절차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150)을 다운로드받아 수학교육서버(110)에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S1~S3)와, 앱(150)을 실행하면 차례를 표시한 후 사용자(학습자)가 차례의 주제를 선택하면 선택된 주제의 개념익히기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4~S7)와, 개념 익히기 학습이 완료되면 해당 주제의 필수예제를 제공하는 단계(S8~S10)와, 필수예제 풀이과정을 통과하면 해당 주제의 유제를 제공하는 단계(S11~S14)와, 유제 풀이과정을 통과하면 해당 주제의 예제를 제공하는 단계(S15~S20)와, 예제 풀이과정을 통과하면 해당 주제를 평가하는 단계(S21~S26)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필수예제 풀이과정에서 오답이면 이를 반복하여 통과하면 유제풀이 과정으로 넘어가고, 통과하지 못하면 개념 익히기 과정으로 돌아가 개념 익히기 학습을 반복하게 한다. 개념 익히기 과정에서는 필요시 동영상 강의를 시청할 수 있게 한다.
유제 풀이과정에서 오답이면 이를 반복하여 통과하면 예제 풀이과정으로 넘어가고, 통과하지 못하면 처음 개념 익히기 과정으로 돌아가 개념 익히기 학습부터 반복하게 한다.
또한 예제 풀이과정에서 오답이면 이를 반복하여 통과하면 필요시 계산력 평가나 진단평가를 실시하고, 통과하지 못하면 처음 개념 익히기 과정으로 돌아가 개념 익히기 학습부터 반복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학학습방법은 기초 개념부터, 필수예제, 유제, 예제 순으로 순차적인 단계를 밟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사용자가 저절로 해당 주제와 관련된 개념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11은 도 3에 따른 학습 예에서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되는 수학 학습 화면의 예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습자가 스마트폰(130)에서 앱(150)을 구동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례 화면이 스마트폰(130)에 표시된다(S101,S102).
스마트폰(130)의 화면에서 "소수"를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수"에 대한 개념을 학습하기 위한 내용을 표시하고, 필요시 동영상 강의를 시청할 수 있게 한다(S103~S106). 만일 동영상 강의를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강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개념 익히기 학습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수예제 학습을 위한 필수예제를 제공하여 답을 입력받고, 정답이면 다음 유제 풀이과정으로 넘어간다(S107,S108).
만일, 필수예제 풀이에서 오답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답임을 알려줌과 아울러 다시 한번 필수예제를 풀도록 한다(S109). 두번째 필수예제 풀이과정에서도 오답이면 개념익히기부터 다시 반복하여 해당 주제의 개념을 익히게 하고, 정답이면 유제풀이과정으로 넘어간다(S110).
유제 풀이과정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제 학습을 위한 유제를 제공하여 답을 입력받고, 정답이면 다음 예제 풀이과정으로 넘어간다(S111,S112).
만일, 유제풀이에서 오답이면 오답임을 알려줌과 아울러 다시 한번 유제를 풀도록 한다(S113). 두번째 유제 풀이과정에서도 오답이면 개념 익히기부터 다시 반복하여 해당 주제의 개념을 익히게 하고, 정답이면 예제 풀이과정으로 넘어간다(S114).
예제 풀이과정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제 학습을 위한 예제 문제를 제공하여 답을 입력받고, 정답이면 다음 예제를 풀도록한 후 필요시 평가과정으로 넘어간다(S115). 만일, 예제풀이에서 오답이면 오답임을 알려줌과 아울러 다시 한번 예제를 풀도록 한다. 두번째 예제 풀이과정에서도 오답이면 개념 익히기부터 다시 반복하여 해당 주제의 개념을 익히게 하고, 정답이면 다음 예제를 풀도록 한 후 필요시 평가과정으로 넘어간다.
필요시 계산력평가 과정에서는 계산력 관련 문제를 제공한 후 채점하여 평가하고, 진단평가 과정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평가 문제를 제공한 후 채점하여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부가적인 해설이나 동영상 강의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S116,S117).
이와 같이, 선택된 "소수" 주제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면, 다시 차례를 표시하여 다음 주제를 선택한 후 선택된 다른 주제에 대한 상기 학습과정을 반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수학학습시스템 102: 네트워크
110: 수학교육서버 121: 회원DB
122: 컨텐츠DB 123: 문제DB
130: 스마트폰 140: 테블릿 PC
150: 앱(App)

Claims (6)

  1. 초기에 앱(App)을 배포하고 이후 앱을 통해 접속하면 수학관련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여 수학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수학교육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학교육서버에 접속하여 앱을 다운로드받고, 이후 앱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수학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로 구성되고,
    상기 수학교육서버는
    회원DB와 연동하여 접속자들에게 앱을 배포하고, 회원을 등록받으며 회원별 학습로그나 평가결과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모듈;
    동영상 강의가 포함된 수학의 각 주제에 대한 개념 내용이 저장된 컨텐츠 DB와 연동하여 선택된 주제의 개념 익히기 학습을 처리하는 개념 익히기 모듈;
    문제DB와 연동하여 필수 예제 학습을 처리하는 필수예제모듈;
    문제DB와 연동하여 유제 학습을 처리하는 유제모듈; 및
    문제DB와 연동하여 예제 학습을 처리하는 예제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시스템은
    계산력을 평가하는 계산력 평가모듈과, 진단평가를 처리하는 진단평가모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시스템.
  3. 수학학습서버가 앱(App)을 배포하고, 앱이 탑재된 단말기를 통해 접속된 회원을 등록받아 회원DB에 저장하는 제1단계;
    단말기가 앱을 실행하여 차례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제의 개념 익히기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2단계;
    개념 익히기 학습이 완료되면, 단말기가 해당 주제의 필수예제를 제공하는 제3단계;
    필수예제 풀이과정을 통과하면, 단말기가 해당 주제의 유제를 제공하는 제4단계;
    유제 풀이과정을 통과하면, 단말기가 해당 주제의 예제를 제공하는 제5단계; 및
    예제 풀이과정을 통과하면 해당 주제에 대한 학습자의 성취도를 평가하는 제6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필수예제 풀이의 답이 오답이면 오답임을 알려줌과 아울러 다시 한번 필수예제를 풀도록 하고, 두번째 필수예제 풀이과정에서도 오답이면 개념 익히기부터 다시 반복하여 해당 주제의 개념을 익히게 하고, 정답이면 제4단계의 유제풀이과정으로 넘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유제 풀이에서 오답이면 오답임을 알려줌과 아울러 다시 한번 유제를 풀도록 한고, 두번째 유제 풀이과정에서도 오답이면 개념 익히기부터 다시 반복하여 해당 주제의 개념을 익히게 하고, 정답이면 제5단계의 예제풀이과정으로 넘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예제 풀이에서 오답이면 오답임을 알려줌과 아울러 다시 한번 예제를 풀도록 하고, 두번째 예제 풀이과정에서도 오답이면 개념 익히기부터 다시 반복하여 해당 주제의 개념을 익히게 하고, 정답이면 다음 예제를 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KR1020120002508A 2012-01-09 2012-01-09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9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508A KR20130089860A (ko) 2012-01-09 2012-01-09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508A KR20130089860A (ko) 2012-01-09 2012-01-09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60A true KR20130089860A (ko) 2013-08-13

Family

ID=4921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508A KR20130089860A (ko) 2012-01-09 2012-01-09 앱을 이용한 단계별 수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98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248A (ko) 2014-08-27 2016-03-08 김현옥 메타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수학학습 시스템 및 방법
CN112907410A (zh) * 2021-04-01 2021-06-04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基于大数据和分布式存储的终身学习评价系统及方法
WO2021125374A1 (ko) * 2019-12-17 2021-06-24 (주)미디어포스원 산수 학습 능력 진단에 기반한 산수 학습 스마트러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248A (ko) 2014-08-27 2016-03-08 김현옥 메타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수학학습 시스템 및 방법
WO2021125374A1 (ko) * 2019-12-17 2021-06-24 (주)미디어포스원 산수 학습 능력 진단에 기반한 산수 학습 스마트러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 시스템
CN112907410A (zh) * 2021-04-01 2021-06-04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基于大数据和分布式存储的终身学习评价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nal et al. Comparison of student performance, student perception, and teacher satisfaction with traditional versus flipped classroom models
Shute et al. Review of computer‐based assessment for learn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Donahoe et al. Using EdTech to enhance learning
Belland et al. Synthesizing results from empirical research on computer-based scaffolding in STEM education: A meta-analysis
Chuang SSCLS: A smartphone-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Cavanagh et al. Student buy-in to active learning in a college science course
Corwin et al. The laboratory course assessment survey: a tool to measure three dimensions of research-course design
Gerard et al.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chnology-enhanced inquiry science
Almerich et al. 21st‐century competences: The relation of ICT competences with higher‐order thinking capacities and teamwork competences in university students
Siegler et al. The logarithmic‐to‐linear shift: One learning sequence, many tasks, many time scales
Hooper et al. TIMSS 2015 context questionnaire framework
Rittle-Johnson et al. Emerging understanding of patterning in 4-year-olds
Drake et al. Using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Maré et al. The effectiveness of e-tutoring in an open and distance e-learning environment: Evidence from the University of South Africa
Vivian et al. Identifying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computer science in the primary years
Aikens et al. Teaching quantitative biology: goals, assessments, and resources
Gordon What's wrong with college algebra?
Zheng et al. Emerging approaches for supporting easy, engaged and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Crowe et al. The effect of peer review on student learning outcomes in a research methods course
Kramarski et al. Using computer algebra systems in mathematical classrooms
KR20110075214A (ko) 컴퓨터 기반 수학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inoshita et al. The positive influence of active learning in a lecture hall: An analysis of normalised gain scores in introductory environmental engineering
Khasawneh et al.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e-learning satisfaction, Jordanian Universities’ experience
Durak et al. Programming with Scratch in primary school, indicators related to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cess and analysis of these indicators in terms of various variables
McGuire et al. Counterintuitive effects of online feedback in middle school math: result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ASSIST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