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066A -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066A
KR20130089066A KR1020120010421A KR20120010421A KR20130089066A KR 20130089066 A KR20130089066 A KR 20130089066A KR 1020120010421 A KR1020120010421 A KR 1020120010421A KR 20120010421 A KR20120010421 A KR 20120010421A KR 20130089066 A KR20130089066 A KR 2013008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ity
signal
unit
temperature
measu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994B1 (ko
Inventor
김남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2001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9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8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which is flowing continuously
    • G01N27/10Investigation or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operations or for signal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2Measuring resistance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전기전도도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기전도도 센서 제어장치는, 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단과, 전기전도도 및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부와, 측정된 전기전도도 및 온도 신호를 CAN 통신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을 포함하되,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은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극부는 전기전도도 측정을 위한 교류신호를 발생시키는 교류 신호 발생부, 상기 교류신호를 냉각수에 흘려주어 전기전도도를 검출하는 전기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신호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Conductivity Sensor}
본 발명은 전기전도도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연료전지 스택을 냉각하는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전도도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차량은 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차량을 구동시키므로, 연료전지 스택에서 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연료전지차량은 연료전지 스택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사용한다.
그런데, 연료전지 스택은 금속이온으로 인해 내구성과 성능이 저하되므로, 연료전지차량의 냉각수는 금속이온이 제거된 전기전도도(Conductivity) 일정 전기 전도도 이하의 증류수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연료전지차량은 전도도센서를 사용하여 냉각수 배관에 흐르는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 및 관리하고 있다.
종래의 산업용 전도도센서는 각기 구비된 전극봉과 트랜스미터(Transmitter)를 전선으로 연결하여 구성되었고, 트랜스미터를 통해 측정한 전기전도도를 컴퓨터 등으로 전송하였다.
이 같이, 종래의 산업용 전도도센서는 전극봉 및 트랜스미터 분리형이어서, 제조 공정이 번거로웠고, 구조상 냉각수 배관의 연료봉이 끼워지는 부위에 누수가 발생하기 쉬웠으며, 그로 인해 고장 나기도 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전극봉, 그 제어부 및 송신부를 하나의 기구(Housing) 내에 일체형으로 구성 가능한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프링에 의해 각 전극봉과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정된 온도 및 전기전도도 신호를 CAN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지털 신호로 전송하기 위한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기전도도 센서 제어장치는, 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단과, 전기전도도 및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부와, 측정된 전기전도도 및 온도 신호를 CAN 통신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을 포함하되,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은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극부는 전기전도도 측정을 위한 교류신호를 발생시키는 교류 신호 발생부, 상기 교류신호를 냉각수에 흘려주어 전기전도도를 검출하는 전기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신호 측정부를 포함한다.
전기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는 검출된 전기전도도에 대하여 건식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정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도 센서 제어장치는 상기 교류 신호 발생부, 상기 전기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 및 상기 온도 신호 측정부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자가 진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가 진단부는 상기 교류 신호 발생부, 상기 전기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 및 상기 온도 신호 측정부 각각에 자가 진단을 메시지를 송신하고, 송신된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자가 진단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봉, 제어부 및 송신부를 하나의 기구에 포함하고, 스프링에 의해 전극봉과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납땜 및 케이블 공정을 수행했던 종래의 조립/제조 공정의 불편과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고, 제품 크기를 경량화할 수 있으며, 구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홀에 연접하여 결합홀의 틈새를 막는 고무재질의 오링을 추가하여 결합홀을 통한 냉각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냉각수의 온도를 함께 적용하여 별도로 온도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전기전도도를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으로 송신하여 노이즈에 강인할 수 있으며, 진단정보(Diagnosis)를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온도 및 전기전도도를 CAN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지털 신호로 전송함으로써, 노이즈에 대한 내성이 증가되고, ECU 내부의 아날로그 전류 측정을 위한 별도의 회로 구성이 불필요하므로 시스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의 장착 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전기전도도 센서의 대표특성 곡선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트리밍 공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10)는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 제1 및 제2 스프링(121, 122), 제1 및 제2 접속부(131, 132), 제어부(140), 온도센서(150), 송신부(160) 및 커넥터(17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및 제2 접속부(131, 132), 제어부(140), 온도센서(150), 송신부(160) 및 커넥터(170)는 인쇄회로기판(180)에 실장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은 냉각수 배관의 냉각수에 담기며, 제어부(140)와 제1 및 제2 스프링(121, 122), 제1 및 제2 접속부(131, 13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스프링(121, 122)의 일단은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의 냉각수에 담기는 일단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의 타단에 각기 접하며, 제1 및 제2 스프링(121, 122)의 타단은 제1 및 제2 접속부(131, 132)에 각기 접한다.
제1 및 제2 스프링(121, 122)은 전도성 재질로 구성된 환형 스프링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의 타단 및 제1 및 제2 접속부(131, 132)에 각기 접하면,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과 제어부(140)의 해당 인터페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및 제2 접속부(131, 132)는 인쇄회로기판(180)의 패드(PAD)일 수 있으며, 제어부(140)의 제1 및 제2 전극봉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40)는 제1 및 제2 접속부(131, 132)와 제1 및 제2 스프링(121, 122)을 통해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에 교류전압을 공급하여 냉각수의 저항 값(R)을 측정하고,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하여 냉각수의 전기전도도(L)를 측정하여 송신부(160)로 전달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ρ[Ωm]는 비저항(고유저항)이며, l은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의 간격[m]이며, S는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의 단면적[㎡]이다.
송신부(160)는 예컨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트랜시버로서,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받은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차량 네트워크용 데이터로 변환하여 커넥터(170)를 통해 차량 네트워크로 송신한다.
커넥터(170)는 인쇄회로기판(180)에 실장되어, 케이블을 통해 차량 네트워크와 송신부(160) 간을 연결한다.
온도센서(150)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40) 또는 송신부(160)를 통해 차량 네트워크로 전달한다. 여기서,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10)가 전기전도도만 측정하도록 구성된 경우, 온도센서(150)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냉각수의 전기전도도 또는 온도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기준으로 벗어나면, 기설정된 제어(예컨대, 새로운 냉각수 공급 등)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의 사시도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의 장착 예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10)는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 고정부(210), 제1 및 제2 스프링(121, 122), 인쇄회로기판(180), 오링(O-ring)(230), 기구(220) 및 체결부(24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은 수직단면이 십자가 형태이며, 그 둘레는 원통형, 사각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은 그 상부는 십자가 가로에 의해 기구(220)에 안착되고, 제1 및 제2 스프링(121, 122)에 접하여 제1 및 제2 스프링(121, 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의 상부는 십자가 가로 및 십자가 가로의 위쪽 부위이며,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의 하부는 십자가 가로의 아래쪽 부위라고 가정한다.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 하부의 적어도 일부는 고정부(210)에 의해 감싸지고, 하부의 나머지는 고정부(210)의 하부에서 위치하여 고정부(210)의 일부와 함께 배관 내 냉각수에 잠긴다.
고정부(210)는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의 적어도 일부 둘레를 감싸며,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과 함께 배관의 결합홀(Hole)을 통과하여 배관에 끼워진다. 이때, 결합홀(250)은 고정부(210)가 끼워졌을 때 틈새를 줄일 수 있도록 고정부(210)의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고정부(210)는 기구(220)에 고정되며, 기구(22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오링(230)을 고정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링(230)은 고정부(210)의 둘레를 감싸는 고무재질의 부재(예컨대, 고무링)이며, 고정부(210)와 결합홀(250) 간의 틈새를 막아, 냉각수가 틈새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방어한다. 이때, 오링(230)은 고정부(210)의 오링(230)을 고정하는 홈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1 및 제2 스프링(121, 122)은 전도성 재질의 탄성 부재로서, 일단은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의 상부에 끼워지고, 타단은 제1 및 제2 접속부(131, 132)에 접하여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과 제어부(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인쇄회로기판(180)은 제1 및 제2 접속부(131, 132), 제어부(140), 송신부(160) 및 커넥터(170)를 포함한다(도 1 참조).
상세하게는, 제어부(140)는 제1 및 제2 접속부(131, 132) 및 제1 및 제2 스프링(121, 122)을 통해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과 연결되며,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에 교류를 공급하여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고, 송신부(160)를 통해 차량 네트워크용 프로토콜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커넥터(170)로 연결된 차량 네트워크로 송신한다.
기구(220)는 고정부(210)와 결합하여 고정부(210)와 함께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을 고정하며, 인쇄회로기판(180), 제1 및 제2 스프링(121, 122)을 내부에 포함하고,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때, 기구(220) 및 고정부(210)는 하나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기구(220)는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10)를 외부에서 고정하는 고정부재(예컨대, 볼트)를 체결하는 체결부(240)(예컨대, 부시(Bush))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기구(22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이고 사각형상의 측면에서 날개형상으로 외부로 연장되는 부위를 포함할 때, 체결부(240)는 날개형상으로 외부로 연장되는 부위의 상하를 관통하는 홀 내 너트이다. 따라서,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10)는 너트에 체결된 볼트에 의해 연료전지차량의 일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극봉, 제어부 및 송신부를 하나의 기구에 포함하고, 스프링에 의해 전극봉과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납땜 및 케이블 공정을 수행했던 종래의 조립/제조 공정의 불편과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고, 제품 크기를 경량화할 수 있으며, 구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홀에 연접하여 결합홀의 틈새를 막는 고무재질의 오링을 추가하여 결합홀을 통한 냉각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냉각수의 온도를 함께 적용하여 별도로 온도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전기전도도를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으로 송신하여 노이즈에 강인할 수 있으며, 진단정보(Diagnosis)를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전도도 장치(또는, 전기전도도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4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는 교류 신호 발생부(141), 전기 전도도 출력 측정부(142), 온도 신호 측정부(143), 자가 진단부(144), CAN 통신 변환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단(DC/DC 컨버터)과, 측정된 전기전도도 및 온도 신호를 CAN 통신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단은 신호측정을 위한 전극부(예를 들어, 교류 신호 발생부(141), 전기 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142), 온도 신호 측정부(143))와 절연된 상태이며, 이로 인해 전극부는 품질이 뛰어나고 안정적인 측정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교류 신호 발생부(141)는 전기전도도 측정을 위한 교류신호를 발생하여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에 공급한다(S610). 전극봉에 공급된 교류신호는 주기적으로 두 전극의 극성을 변환하여, 냉각수가 전기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양 전극봉의 표면이 분해된 이온 등으로 침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교류신호를 전달 받은 제1 및 제2 전극봉(111, 112)에서 양 전극봉 사이를 통과하는 냉각수에 교류신호를 흘려주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 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 (142)는 전기전도도를 검출한다(S620). 전기전도도를 검출하는 방법은 수학식 1을 참조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기 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142)는 단품의 제조 공차, 제품의 조립 오차로 인한 오차 보정 및 출력 특성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트리밍 공정(trimming process)을 수행한다(S630). 이 때, 전기 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142)는 양 전극봉에서의 교류신호에 의해 얻어지는 전기전도도에 대한 디지털 신호의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이용한다.
측정된 전기전도도에 대한 트리밍 공정은 사용된 전기전도도 센서의 대표특성 곡선을 이용한다. 대표특성 곡선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특정 전기전도도 센서에 대하여 지정된 전도도 값의 전도도 용액 별 측정된 원시 데이터(digital data)를 평균하여 계산되는 특성 곡선으로써, 제조된 전기전도도 센서의 대표성을 나타내며, 양산을 위한 기본 특성곡선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전기전도도 센서의 초기 샘플 제작 및 평가를 위하여 25 pcs의 제품과 10 points(3, 6, 10, 15, 20, 25, 30, 35, 40, 50 uS/cm )의 용액에 대하여 측정 된 원시 데이터의 평균을 취한 특성 곡선을 대표특성 곡선으로 추출하고, 대표 특성곡선의 검증을 위하여 추후 제작된 샘플에 대하여 추가적인 원시 데이터 측정 및 특성곡선 변동폭 확인을 통하여 검증을 실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전기전도도에 대한 트리밍 공정은 기 측정된 대표특성 곡선에 대하여 각각의 제품 제조 시 선정된 대표 전도도 용액(예를 들어, 3points)에 대한 전기전도도 원시 데이터를 측정하고, 대표 특성곡선에 대한 트리밍 팩터(trimming factor)를 계산한 후, 이에 해당하는 특정 곡선 보정값(trimming value)을 각각의 전도도센서에 프로그래밍하여 제품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출력신호를 완성한다.
온도 신호측정부(143)는 양 전극봉(111, 112) 사이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한다(S640).
자가 진단부(144)는 교류 신호 발생부(141), 전기 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142), 온도 신호 측정부(143)의 이상 동작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 각각에 자가 진단을 메시지를 송신하고, 송신된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자가 진단을 수행한다(S650).
검출된 전기 전도도 신호, 온도 신호 및 자가 진단 신호는 CAN 통신 변환부(145)에서 CAN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된다(S660). 변환된 데이터는 송신부(160)를 통해 커넥터(170)로 연결된 차량 네트워크로 송신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전기전도도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단과, 전기전도도 및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부와, 측정된 전기전도도 및 온도 신호를 CAN 통신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을 포함하되,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은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의 구조를 가지는 것
    인 전기전도도 센서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전기전도도 측정을 위한 교류신호를 발생시키는 교류 신호 발생부;
    상기 교류신호를 냉각수에 흘려주어 전기전도도를 검출하는 전기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신호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
    인 전기전도도 센서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는,
    상기 전기전도도 센서의 대표 특성을 나타내는 기 구축된 대표특성 곡선에 대한 특정 곡선 보정값을 이용하여 검출된 전기전도도에 대하여 교정을 수행하는 것
    인 전기전도도 센서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신호 발생부, 상기 전기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 및 상기 온도 신호 측정부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자가 진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가 진단부는 상기 교류 신호 발생부, 상기 전기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 및 상기 온도 신호 측정부 각각에 자가 진단을 메시지를 송신하고, 송신된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것
    인 전기전도도 센서 제어장치.
  5. 전기전도도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교류 신호 발생부가 전기전도도 측정을 위한 교류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전기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가 상기 교류신호를 이용하여 냉각수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검출하는 단계;
    온도 신호 측정부가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가 검출된 온도를 이용하여 검출된 전기전도도를 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전도도 센서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신호 발생부, 상기 전기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 및 상기 온도 신호 측정부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자가 진단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가 진단 단계는 상기 교류 신호 발생부, 상기 전기전도도 신호 출력 측정부 및 상기 온도 신호 측정부 각각에 자가 진단을 메시지를 송신하고, 송신된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것
    인 전기전도도 센서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검출된 전기전도도, 온도 신호 및 자가진단 신호를 CAN 통신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기전도도 센서 제어방법.
KR1020120010421A 2012-02-01 2012-02-01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325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421A KR101325994B1 (ko) 2012-02-01 2012-02-01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421A KR101325994B1 (ko) 2012-02-01 2012-02-01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066A true KR20130089066A (ko) 2013-08-09
KR101325994B1 KR101325994B1 (ko) 2013-11-07

Family

ID=4921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421A KR101325994B1 (ko) 2012-02-01 2012-02-01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2204A (zh) * 2017-09-07 2018-01-26 广东宝莱特医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析液电导率检测仪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211B1 (ko) 2003-10-25 2005-12-12 범아정밀(주) 전기전도도방식 관석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관석측정방법
TWI401422B (zh) * 2006-03-08 2013-07-11 Miura Kogyo Kk 水位檢測用電極棒、水位檢測方法、鍋爐的水位控制方法及氣水分離器的水位控制方法
KR20110014814A (ko) * 2009-08-06 2011-02-14 (주)광산 냉각수의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2204A (zh) * 2017-09-07 2018-01-26 广东宝莱特医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析液电导率检测仪
CN107632204B (zh) * 2017-09-07 2024-05-14 广东宝莱特医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析液电导率检测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994B1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7317B2 (en) Detecting device and detecting method for monitoring battery module
US9766293B2 (en) Vehicle battery monitoring system
CN105699776B (zh) 用于电池组中的接触点检测的方法和装置
CN110429298B (zh) 一种质子交换膜燃料电池的检测装置及其方法
EP31738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electrical connection in main circuit of switching device
EP1807710A1 (en) Kelvin connector including temperature sensor
WO2008151181A1 (en) Battery post connector
US108261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detection in battery packs
US9921270B2 (en) Battery system with cell voltage detecting units
CN111602039B (zh) 用于监测连接到气体绝缘开关设备的电缆的电缆接头的温度的装置和方法
US100669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xceptional watt hour meter terminal temperature
KR101325994B1 (ko) 전기전도도 센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08225607B (zh) 一种电动汽车充电连接器内置无线测温模块
CN106093155B (zh) 高通量电化学测试系统及高通量电化学测试方法
JP2014089998A (ja) 太陽光発電設備のモニタシステム
KR101341107B1 (ko) 능동형 안전진단 전력량계
KR102330459B1 (ko) 전기전도도 센서의 비선형 특성을 고려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102235B (zh) 一种gis母线接头的电接触状态判别方法和装置
EP2926360B1 (en) Fuse holder apparatus
CN217443520U (zh) 监测连接器状态的装置及车辆
KR20130047075A (ko)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
RU2521030C1 (ru)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батарея с составным контактным выводом
JP642062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状態を示す状態値を送受信するマネジメントユニット
CN217211180U (zh) 电缆终端测温装置
US20220404435A1 (en) Cable system for cable condition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