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973A -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ear jack between an electrical device and an outside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ear jack between an electrical device and an outsid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973A
KR20130088973A KR1020120010255A KR20120010255A KR20130088973A KR 20130088973 A KR20130088973 A KR 20130088973A KR 1020120010255 A KR1020120010255 A KR 1020120010255A KR 20120010255 A KR20120010255 A KR 20120010255A KR 20130088973 A KR20130088973 A KR 20130088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electronic device
data communication
connection
ear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2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72522B1 (en
Inventor
윤영은
Original Assignee
윤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은 filed Critical 윤영은
Priority to KR102012001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522B1/en
Publication of KR20130088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9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5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26A/D convertors

Landscapes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ntrol the size of an outputted signal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kind of the electronic devices. CONSTITUTION: When an interface use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ear jack arranged in an electronic device (10) and an external device (20) is connected, the external device senses the conn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S30). The external device notifies the sensing state of connec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S40). When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s the sensing state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converts the level of a signal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into a required level(S60). [Reference numerals] (10) Electronic device; (20) External device; (AA) Start a program; (BB) End; (S10) Sound output mode; (S110,S130) Separate an ear jack; (S120) Program end?; (S20) Connection standby; (S30) Connection sensing?; (S40) Connection sensing notice; (S50) Connection sensing reception; (S60) Converting into a data communication mode; (S70) Transmitting a reception check; (S80) Reception check receive? or valid data receive?; (S90,S100) Data transmission

Description

전자기기와 외부장치간의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ear jack between an electrical device and an outside device}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ear jack between an electrical device and an outside device}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와 혈당계 등과 같은 외부장치간에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using an ear jack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nd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blood glucose meter.

음향을 출력하거나 수신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한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이어잭을 구비하고 있다. 이어잭은 이어폰 등을 통한 음향의 출력과 마이크를 통한 음향의 수신을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최근에는 이어잭을 통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고안되어 이어잭의 용도가 단순한 음향의 입출력에 그치지 않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수단으로서도 사용되고 있다.Devices that have the ability to output, receive, and store sound typically have ear jacks. Ear jacks are generally used for the output of sound through earphones and the reception of sound through microphones. Recently, data communication through ear jacks has been devised, and the purpose of the ear jacks is not just input and output of sound. It is also used as a means for data communication.

나아가,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한국 특허출원 제2011-65846호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와 혈당계와 같은 외부장치간에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개하는 중개장치가 고안되어 있다. 도 1 은 이러한 중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urthermore,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1-65846, which is invent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mediary device is designed to allow data communication using an ear jack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nd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blood glucose meter.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such an intermediary device.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장치(30)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10)와 혈당계 등과 같은 외부장치(20)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를 이어잭을 통해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즉, 전자기기(10)에는 이어잭(11)이 마련되어 있고 외부장치(20)에는 인터페이스(22)가 마련되어 있으며, 중개장치(30)에는 제 1 연결부(31)와 제 2 연결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연결부(31)와 제 2 연결부(32)는 각각 이어잭(11)과 인터페이스(22)에 연결됨으로써 전자기기(10)와 외부장치(20)가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연결부(31)와 이어잭(11)간의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고 제 2 연결부(32)와 인터페이스(22)간의 신호는 디지털 신호이다. 즉, 전자기기(10)가 외부장치(20)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는 이어잭(11)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의 형식이나 동 신호는 디지털 데이터를 담고 있는 신호이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intermediary device 30 is interposed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10 such as a smart phone and an external device 20 such as a blood glucose meter to connect both of them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through an ear jack. do. That is, the ear jack 11 is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interface 22 is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2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 are provided in the intermediary device 30. It is prepared. The first connector 31 and the second connector 32 are connected to the ear jack 11 and the interface 22, respectively,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external device 20 are connected in data communication. The signal between the first connector 31 and the ear jack 11 is an analog signal and the signal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32 and the interface 22 is a digital signal. That is, in the data communication mod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ear jack 11 is in the form of an analog signal, but the signal is a signal containing digital data.

통상적으로 전자기기(10)의 이어잭(11)과 외부장치(20)의 인터페이스(22)는 입출력 신호의 레벨이 서로 상이하여 상호간을 직접 연결할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할 수 있는데, 중개장치(30)는 이어잭(11)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전자기기(10)의 오디오 코덱이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 레벨을 변환시키고 또한 이어잭(11)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장치(20)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 레벨로 변환시킴으로써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Typically, the ear jack 11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interface 22 of the external device 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level of input / output signals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However, data communication may not be possible. ) Converts the signal level so that the audio codec of the electronic device 10 can recognize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ear jack 11 and the external device 20 recognizes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ear jack 11. It converts to a signal level that can be used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따라서 사용자는 예컨대 전자기기(10)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자기기(10)의 이어잭(11)에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고, 외부장치(20)와의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중개장치(30)를 통해 외부장치(20)와 연결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may, for example, connect the earphone to the ear jack 11 of the electronic device 10 when the user wants to listen to music using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mediate when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 is required. The device 3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

한편, 도 1 에서는 중개장치(30)가 외부장치(20)와 별개의 제품으로 제작되어 양자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외부장치(20) 자체가 중개장치(30)를 포함하는 일체형 장치로 제작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외관상으로는 외부장치(20)의 외측에 제 1 연결부(31)만이 구비되어 있어 이어잭(11)을 통해 전자기기(10)가 연결되고, 제 2 연결부(32)는 외부장치(20) 내의 제어부와 중개장치(20)간의 직접 연결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외견상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Meanwhile, in FIG. 1, the intermediate apparatus 30 is manufactured as a separate product from the external apparatus 20 and connected to each other. However, the external apparatus 20 itself is manufactured as an integrated apparatus including the intermediate apparatus 30. Sometimes. In this case, only the first connection part 31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external device 20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 is connected through the ear jack 1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 By being connected by a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intermediary device 20 in 20) it does not seem to exist.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중개장치(30)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에서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existing intermediate apparatus 30,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중개장치(30)를 도 1 과 같이 연결한 상태에서는 전자기기(10)는 외부장치(2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전자기기(1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 모드로 변경되는데,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신호의 레벨은 음향이 출력되는 경우의 신호레벨에 비해 매우 높다. 즉, 음향신호 출력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의 신호레벨로 출력되도록 이어잭(11)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크기가 낮게 조절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볼륨을 조절함으로써 음향의 크기를 원하는 크기로 조절한다. 그런데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는 데이터 통신시의 정확성을 위하여 이어잭(11)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출력 가능한 최대치 또는 필요에 따라서 최대치의 2/3 정도에 해당되는 소정 이상의 크기로 조절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ry device 30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nic device 10 is changed to a data communication mode by a program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 The level of the signal required for communication is very high compared to the signal level when sound is output. That is, in the sound signal output mode,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ear jack 11 is adjusted to be low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listen to the sound, and in this state, the user adjusts the volume. By adjusting the sound volume to the desired size. However, in the data communication mode, the level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ear jack 11 is adjust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corresponding to about 2/3 of the maximum value as necessary for the accuracy of data communication.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만약 중개장치(30)를 분리하고 음향을 청취하기 위하여 이어폰을 연결하는 경우 전자기기(10)는 데이터 통신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음향을 출력하게 되고, 따라서 출력되는 음향은 그 크기가 최대치 또는 그에 가까운 지나치게 큰 크기가 되어 사용자의 청력 손상을 유발할 수가 있다.In this state, if the user disconnects the intermediary device 30 and connects the earphones to listen to the sound, the electronic device 10 outputs the sound in the state set to the data communication mode, and thus the output sound is loud. Can be at or near the maximum size and cause hearing loss.

따라서, 음향을 청취하는 경우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에 대해 각각 이어잭(11)을 통한 출력 신호의 레벨을 달리할 필요가 있는데, 기존의 상태에서는 이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전자기기(10)에는 통상적으로 이어잭(11)에 외부의 이어폰 단자가 삽입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감지 수단은 기계적 또는 전기적 방식에 의해 이어폰 단자의 삽입 여부만을 감지할 뿐이고 삽입된 장치가 음향 출력 장치인진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치인지를 여부까지는 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만약 중개장치(30)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전자기기(10)의 출력 모드가 설정된 이후 중개장치(30)가 이어잭(11)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어폰과 같은 음향 출력 기기가 이어잭(11)에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전자기기(10)를 조작하여 음향 출력 모드로 변경 설정하지 않는 한 최대 크기의 음향이 출력될 수밖에 없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ary the level of the output signal through the ear jack 11 for the case of listening to the sound and the case of data communication, but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is automatically in the existing state.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0 is typically provided with a means for detecting when the external earphon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ear jack 11, the detection means can detect only whether the earphone terminal is inserted by a mechanical or electrical method. It does not detect whether or not the inserted device is a device for true data communication. Therefore, if the output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s se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mediary device 30, the intermediary device 30 is separated from the ear jack 11, and the sound output device such as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 jack ( 11), unless the user individually operates to change the sound output mode by setting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sound of the maximum size is inevitably output.

따라서, 전자기기(10)에 연결되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음향 출력을 위한 모드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드를 구분 인식하여 이어잭(11)을 통한 출력 신호의 레벨을 자동으로 변경시키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Therefore, a method of automatically changing the level of the output signal through the ear jack 11 by recognizing a mode for sound output and a mode for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is provided. ne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의 이어잭을 통한 음향 출력 또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어잭에 연결되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 음향 출력을 위한 모드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드로 자동 변경하여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ear jack in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ear jack of the electronic device or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mode for a sound output and a mode for data communication to adjust a magnitude of an output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기기와 외부장치간의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자기기에 마련된 이어잭과 상기 외부장치에 데이터 통신을 위해 마련된 인터페이스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전자기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로 연결 감지를 통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연결 감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신호의 레벨을 데이터 통신에 요구되는 크기 이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을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an ear jack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an interface provided for data communication to the external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enable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detecting the conn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 the external device notifying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connection detection through the interface; And c) when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s the connection detec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changing a level of a signal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ar jack to a size greater than that required for data communication. A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is provided.

상기 c) 단계 후에,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수신 사실 통지를 한다.After the step c), the electronic device notifies the external device of the reception via the ear jack.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신호 레벨을 소정 이하의 크기로 유지한다.Before step a), the electronic device maintains the signal level at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상기 c) 단계 후에,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외부장치간의 연결 해제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신호 레벨을 소정 이하의 크기로 변경한다.After the step c), when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detected, the electronic device changes the signal level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상기 c) 단계 후에,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외부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신호 레벨을 소정 이하의 크기로 변경한다.After the step c), when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terminated, the electronic device changes the signal level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수신 사실 통지를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b)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If the external device does not receive the reception fact notific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in step c), the external device repeats step b).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연결감지 통지와 함께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식별정보 통지할 수 있다.In step b), the external device may notif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detection notification.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의 상기 수신 사실 통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유효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개시한다.When the external device receives the notification of receipt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or receives valid data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e external device initiates data communic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이어잭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구비한 중개 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In the step a),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mediation device having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ear jack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interface. .

상기 중개 장치는 통지 수단에 의하여 상기 a) 단계에서의 연결 사실을 상기 외부장치로 통지한다.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이어잭의 마이크단자와 접지단자로부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로 상기 연결 사실을 통지한다.The intermediate apparatus notifies the external apparatus of the connection fact in the step a) by a notification means. The informing means notifies the external device of the connection using the outputs from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of the ear jack.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마이크단자와 상기 접지단자의 출력 차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외부장치 내에 구비된 제어부로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한다. 상기 비교기는 상기 제어부 내에 구비되어 있는 비교기일 수 있다.The notification means includes a comparator for outputting an activation signal to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when an output difference between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comparator may be a comparator provided in the controller.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마이크단자와 상기 접지단자의 출력을 수신하여 A/D 컨버젼을 수행하는 A/D 컨버터을 포함한다. 상기 A/D 컨버터는 상기 외부장치 내에 구비된 제어부 내에 마련되어 A/D 컨버터일 수 있다.The notification means includes an A / D converter which receives the output of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to perform A / D conversion. The A / D converter may be an A / D converter provided in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상기 중개장치는, 하나의 케이싱 내에 상기 외부장치와 함께 설치되어 상기 외부장치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The intermediary device may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external device in one casing and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이어잭을 통해 출력되는 전자기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를 이어잭에 연결되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 가변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시에 요구되는 신호 레벨과 음향 출력시에 필요한 신호 레벨간을 자동 변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음향 출력 시 사용자의 청력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varying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output through the ear jack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ear jack, the signal level required for data communication and the signal level required for sound output You can automatically convert between liv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hearing damage of the user at the time of sound output.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중개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와 외부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와 외부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3 은 도 2 의 제어방법 수행을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 는 각각 도 3 의 통지 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using a conventional general intermediary device.
2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n intermediar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used to carry out the control method of FIG.
4 and 5 each show an embodiment of the notification means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에 도시한 종래의 중개장치(30)를 이용한 전자기기(10)와 외부장치(20)간의 연결 구성은 본 발명에서도 동일하게 채용되며, 이에 따라 도 1 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인용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제어방법은 전자기기(10)와 외부장치(20)가 중개장치(30)를 매개함이 없이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를 고려하여 도 2 에서는 중개장치(30)를 도시하지 않고 전자기기(10)와 외부장치(20)간에 직접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 1 과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도 2 에서 전자기기(10)와 외부장치(20)간에 수행되는 제 과정은 중개장치(30)를 거쳐서 수행될 것이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개장치(30)는 외부장치(20) 내에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도 포함된다.The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external device 20 using the conventional intermediary device 30 shown in FIG. 1 is equally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 Quote with the same reference number. However,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cas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external device 20 are directly connected without intermediary of the intermediate device 30. It is illustrated as directly communicating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external device 20, not shown. However, when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the process perform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external device 20 in FIG. 2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intermediary device 30. 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ry device 30 may be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external device 20,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uch a case.

이하의 설명에서, 음향 출력 모드는 이어잭(11)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레벨이 사용자가 음향을 청취하기에 적합하도록 낮게 조절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드와 데이터 통신 모드간의 자동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데이터 통신 모드는 외부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어잭(11)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나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는 전자기기(10)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담고 있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이때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어잭(11)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외부장치(20)가 데이터로서 인식 가능하기 위해 요구하는 크기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이는 전자기기(10)가 이어잭(1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최대 크기에 해당된다. 그러나 항상 최대 크기의 신호는 아니며, 어떤 장치는 최대 볼륨이 되는 경우 잡음의 신호도 함께 커지므로 예컨대 최대 크기의 2/3 정도의 크기를 채용하기도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ound output mode means that the signal level output through the ear jack 11 is adjusted to be low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erforming automatic switching between such sound output mode and data communication mode. Here, the data communication mode means a mod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external device 20.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ear jack 11 is an analog signal or an electronic device 10 in the data communication mode. ) Is an analog signal containing the data to be transmitted. At this time, in order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the level of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ear jack 11 should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ize required for the external device 20 to recognize the data, which is typically follow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 It corresponds to the maximum size that can be output through the jack (11). However, it is not always the maximum size of the signal, and some devices adopt a noise level of 2/3 of the maximum size because the signal of the noise increases with the maximum volume.

한편, 전자기기(10)에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사전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기의 제 과정은 이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동작 개시된 상태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ic device 10 is pre-installed wit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process described below, the following process is driven by the program in the state in which the program is installed and started operation.

도 2 를 참조하면, 먼저 전자기기(10)는 음향 출력 모드로 대기 상태에 있다.(S10) 그리고, 외부장치(20)는 전원을 켬에 따라(Power ON) 연결대기 상태에 놓여 있다.(S20) 연결대기 상태는 아직 외부장치(20)에 전자기기(10)가 이어잭(11) 및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서, 보다 정확하게는 외부장치(20)가 전자기기(10)의 연결을 감지하지 않은 상태이다.Referring to FIG. 2, first, the electronic device 10 is in the standby state in the sound output mode (S10). The external device 20 is in the connection standby state as the power is turned on. S20) the standby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 is not yet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 through the ear jack 11 and the interface 22, and more precisely, the external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 Is not detected.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수작업 등에 의해 도 1 과 같이 연결되면 외부장치(20)는 전자기기(10)가 인터페이스(22)에 연결되었음을 감지한다.(S30) 전자기기(10)의 연결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만약 외부장치(10)가 전자기기(10)의 연결을 감지하지 못하면 연결대기 상태(S20)가 지속되며, 연결을 감지하면 외부장치(20)는 연결감지 사실을 전자기기(10)로 통지한다.(S40)In this state, when connected as shown in FIG. 1 by a user's manual operation, the external device 20 detects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22. (S30) For detecting the conn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 3. If the external device 10 does not detect the conn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connection standby state (S20) continues, and if the connection is detected, the external device 20 notifies the electronic device 10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40)

여기에서 연결감지 통지는 외부장치(20) 자신이 데이터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행위에 해당된다. 따라서, 전자기기(10)는 외부장치(20)로부터의 연결감지 통지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 디바이스가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연결감지 통지는 외부장치(10) 자신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기기(10)는 외부장치(10)와의 데이터 통신이 외부장치(10)에 부합되어 이루어지도록 외부장치(10)에 대한 드라이버(전자기기(10)에 사전에 인스톨되어 있거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웹상의 어플리케이션 마켓으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인스톨 함)를 구동시킬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detection notification corresponds to an act of notifying that the external device 20 itself is a device for data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know that the data communication device is connected by the connection detection notific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20. In addition, the connection detection notific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10 itself. Through this,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installed in advance in the driver (electronic device 10)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device 10 so that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10 i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external device 10. Can be downloaded from the application market on the web and installed).

전자기기(10)는 이어잭(11)을 통해 외부장치(20)가 통지한 연결감지를 수신하고(S50), 수신이 확인되면 전자기기(10)는 데이터 통신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이어잭(11)을 통한 출력신호를 최대화 또는 외부장치(2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필요한 크기 이상으로 변화시킨다.(S60)The electronic device 10 receives the connection detection notified by the external device 20 through the ear jack 11 (S50), and when the reception is confirmed, the electronic device 10 switches to the data communication mode so that the ear jack 11 Maximize or output the output signal through or larger than the size required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0) (S60).

그리고 나서, 전자기기(10)는 수신을 확인하였다는 승인 신호를 이어잭(11)을 통해 외부장치(20)로 전송하고(S70),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한다(S100). 외부장치(20)가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수신확인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S80), 외부장치(20)는 수신 후부터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S90) 이에 따라 전자기기(10)가 외부장치(2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100) 여기에서의 데이터 통신은 예컨대 외부장치(20)가 혈당계인 경우 혈당계가 측정한 수치의 전송 및 전자기기(10)로부터 혈당계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의 전송 등과 같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의미한다. 한편, S70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Then, the electronic device 10 transmits an acknowledgment signal confirming reception to the external device 20 through the ear jack 11 (S70), and start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100). When the external device 20 receives the acknowledgment acknowledgment signal through the interface 22 (S80), the external device 2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after the reception (S90). It is possible to perform a data communication with the (20). (S100) Here, the data communication in the case where the external device 20 is a blood glucose meter, for example, to transmit a value measured by the blood glucose meter and to control the blood glucose meter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It mean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such as the transmission of a command. On the other hand, step S70 may be omitted.

한편, S80 단계에서는 전자기기(10)가 수신확인을 하는 승인 신호가 외부장치(30)에 수신되는 경우 외에도, 전자기기(10)로부터 유효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S90 단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유효 데이터란 전자기기(10)가 S100 단계에 의해 전송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전자기기(10) 입장에서는 S70 단계에서 수신확인을 전송한 이후 곧바로 S100 단계로 넘어가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할 수 있는데, 만약 S80 단계에서 외부장치(30)가 오류 등으로 인하여 수신확인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수신확인의 수신 전에 S100 단계에 의해 전송되는 유효 데이터를 먼저 전송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외부장치(20)는 자신이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에 따른 명령어나 데이터인 유효 데이터가 전자기기(10)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경우에는 이를 수신확인 신호의 수신과 동일한 것으로 취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step S80, in addition to the case where the acknowledgment signal for acknowledging the electronic device 10 is received by the external device 30, the data communication in step S90 is performed even when valid data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 Here, the valid data means data transmitt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 by step S100.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0 can immediately proceed to step S100 after transmitting the acknowledgment in step S70 and start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f the external device 30 does not receive the acknowledgment due to an error in step S80, If not, the valid data transmitted by step S100 may be first received before receipt of the acknowledgment. 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20 preferably treats the same as the reception of the acknowledgment signal when the valid data, which is a command or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format used by the external device, is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received.

이와 같이 외부장치(30)가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전자기기(10)로부터의 상기 수신 사실 통지를 수신하거나 전자기기(10)로부터 유효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외부장치(20)는 전자기기(10)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개시한다.(S90)As such, when the external device 30 receives the notification of receipt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through the interface 22 or receives valid data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external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 Start data communication for step 10) (S90).

한편, 외부장치(20)가 전자기기(10)로부터 수신확인 승인 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는 연결감지 통지(S40)를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기기(10)는 연결감지를 수신(S50)하기 전까지는 음향출력 모드(S1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repeat the connection detection notification (S40) until the external device 20 receives the acknowledgment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10 preferably maintains the sound output mode S10 until the connection detection is received (S50).

전자기기(10)가 데이터 통신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만약 이어잭(11)과 중개장치(30)간의 연결이 해제되면 전자기기(10)는 이를 감지하여 다시 음향출력 모드(S10)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중개장치(30)의 연결 해제 후 예컨대 이어잭(11)에 이어폰과 같은 음향 출력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음향에 적합한 크기의 신호레벨을 갖는 신호가 출력되어 사용자의 청력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기기(10)의 이어잭(11)에 대한 연결의 해제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 is switched to the data communication mode, 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ear jack 11 and the intermediary device 30 is released, the electronic device 10 detects this and changes back to the sound output mode (S10). do. Accordingly, when the sound output device such as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 jack 11 after disconnection of the intermediary device 30, a signal having a signal level of a size suitable for sound can be output to prevent the user's hearing damage. have. The release of the connection to the ear jack 11 of the electronic device 10 can be detected in a mechanical or electrical manner, which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이와 같이 데이터 통신 모드(S100)로부터 음향출력 모드(S10)로의 변경은 상기와 같은 이어잭(11)에 대한 연결 해제의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경우에도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의 전자기기(10) 조작에 의하여 강제로 음향출력 모드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하거나, 그 밖에 어떤 조건 하에서 전자기기(10)와 외부장치(20)간의 데이터 통신이 종료되거나 종료되었다는 조작을 하여 전자기기(10)에 설치된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경우 모드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S120).On the other hand, the change from the data communication mode (S100) to the sound output mode (S10)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performed not only in the case of disconnection of the ear jack 11 as described above, but also in other cases. For example, the user may be forced to change the sound output mode by manipul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 or under other conditions,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external device 20 may be terminated or terminated. When the program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is terminated, the mode may be changed (S120).

한편, 외부장치(20)는 데이터 통신을 하다가(S90) 이어잭(11)이 분리됨을 감지하는 경우(S130) 다시 데이터 통신을 중단하고 연결대기 상태(S20)로 전환된다. 또한, 외부장치(30)가 전자기기(10)와 연결은 유지된 상태에서 어떤 이유로 외부장치(30)의 구동 프로그램이 종료되고 다시 구동되는 경우(S140), 이를 Time Out 으로 취급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종료하고 다시 연결감지 통지(S40)를 함으로써 전자기기(10)의 데이터 통신 모드 전환을 다시 유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device 2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S90) and detects that the ear jack 11 is disconnected (S130), the external device 20 stops data communication again and switches to the connection standby state (S20). In addition, when the driving program of the external device 30 is terminated and driven again for some reason while the external device 3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S140), it is treated as a time ou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terminating and providing the connection detection notification (S40) agai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data communication mode switch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gain.

도 3 은 본 발명에서 외부장치(20)가 전자기기(10)의 연결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중개장치(3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 은 중개장치(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전자기기(10)와 외부장치(20)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연결부(31)와 제 2 연결부(32) 외의 기타 구성(예컨대 신호 레벨 변환부 등)에 대해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3 briefly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intermediary device 30 in which the external device 20 may perform a function of detecting a conn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intermediary device 30, and other tha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external device 20, respectively. Illustration is omitted about the configuration (e.g., signal level converter).

중개장치(30)는 이어잭(11)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31) 및 인터페이스(22)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32)를 구비한다. 제 1 연결부(31)는 좌측 음향신호 단자(L), 우측 음향신호 단자(R), 마이크 단자(M), 및 접지 단자(G)를 가지고 있으며, 제 2 연결부(32) 또한 마찬가지의 L, R, M, G 단자를 가지고 있다. 제 1 연결부(31)의 L, R 단자는 각각 제 2 연결부(32)의 L, R 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제 1 연결부(31)의 제 1 마이크 단자와 제 1 접지 단자는 각각 제 2 연결부(32)의 제 2 마이크 단자와 제 1 접지 단자에 전환부(33)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연결부(31) 내의 M, G 단자는 제 1 마이크 단자와 제 1 접지단자로 칭하고 제 2 연결부(31) 내의 M, G 단자는 제 2 마이크 단자와 제 2 접지단자로 칭하되, 이들에 대한 도면부호는 별도 구분없이 M, G 로 인용한다.)The intermediary device 30 has a first connection portion 31 connected to the ear jack 11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32 connected to the interface 22.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 has a left sound signal terminal L, a right sound signal terminal R, a microphone terminal M, and a ground terminal 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 also has the same L, It has R, M and G terminals. The L and R terminals of the first connector 31 are connected to the L and R terminals of the second connector 3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microphone terminal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31 are connected to the second microphone terminal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32 via a switching unit 33, respectively.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M and G terminals in the first connector 31 are referred to as the first microphone terminal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M and G terminals in the second connector 31 are referred to as the second microphone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se are referred to as M, G without distinction.)

전환부(33)는 제 1 연결부(31)의 제 1 마이크 단자와 제 1 접지 단자의 배열 순서와 제 2 연결부(32)의 제 2 마이크 단자와 제 2 접지 단자의 배열 순서가 서로 반대인 경우에도 연결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 즉,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어잭 내의 마이크 단자와 접지 단자의 순서가 반대인 경우가 있으며, 전환부(33)는 이러한 경우에도 상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 switching unit 33 has an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microphone terminal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31 and an arrangement order of the second microphone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 being opposite to each other. It is a configuration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at is, depending on the type of device, the order of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in the ear jack may be reversed, and the switching unit 33 functions to enable interconnection even in this case.

구체적으로, 전환부(33)는 제 1 선택기(S1), 제 2 선택기(S2), 및 제 1 비교기(C1)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선택기(S1)와 제 2 선택기(S2)에는 각각 제 1 마이크 단자와 제 1 접지 단자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제 1 비교기(C1)에도 제 1 마이크 단자와 제 1 접지 단자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제 1 비교기(C1)의 출력은 제 1 선택기(S1)와 제 2 선택기(S2)의 제어 신호로 입력되어, 제 1 비교기(C1)의 출력 신호의 레벨에 따라 제 1 선택기(S1)와 제 2 선택기(S2)의 출력 신호는 M 과 R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출력된다. 이때, 제 1 비교기(C1)의 출력이 "High" 인 경우에는 제 1 선택기(S1)는 M 을 출력하고 제 2 선택기(S2)는 G 을 출력하며, 반대로 제 1 비교기(C1)의 출력이 "Low" 인 경우에는 제 2 선택기(S2)는 M 을 출력하고 제 1 선택기(S1)는 G 을 출력한다. 각 선택기(S1, S2)의 출력은 제 2 연결부(32)의 제 2 마이크 단자와 제 2 접지 단자로 공급된다.Specifically, the switching unit 33 is composed of a first selector S1, a second selector S2, and a first comparator C1. Signals from the first microphone terminal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are input to the first selector S1 and the second selector S2, respectively. The signal from the first microphone terminal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is also input to the first comparator C1. The output of the first comparator C1 is input as a control signal of the first selector S1 and the second selector S2, an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comparator C1, the first selector S1 and the first comparator C1 are controlled. As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selector S2, either one of M and R is selected and output. At this time,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comparator C1 is "High", the first selector S1 outputs M and the second selector S2 outputs G, on the contrary, the output of the first comparator C1 In the case of "Low", the second selector S2 outputs M and the first selector S1 outputs G. The outputs of the selectors S1 and S2 are supplied to the second microphone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

통상적으로 마이크 단자는 소정 크기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있고 접지 단자는 전압 레벨이 "0" 이다. 따라서 비교기(C1)의 출력은 "High" 가 되어 제 1 선택기(S1)는 M 을, 제 2 선택기(S2)는 G 를 출력함으로써, 제 1 연결부(31)의 M, G 단자의 신호는 각각 제 2 연결부(S32)의 M, G 단자로 공급된다.Typically, the microphone terminal has a bias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the ground terminal has a voltage level of "0". Therefore,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1 becomes "High" so that the first selector S1 outputs M and the second selector S2 outputs G, so that the signals of the M and G terminals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 are respectively. The M and G terminals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S32 are supplied.

그런데, 만약 제 1 연결부(31)에 연결되는 전자기기(10)의 이어잭(11)이 제 1 연결부(31)의 각 단자 배치 순서와는 달리 M 과 G 단자가 역순으로 배치된 기기라면, 제 1 연결부(31)의 M 단자와 G 단자에는 전자기기(10)의 접지 단자와 마이크 단자가 각각 연결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비교기(C1)의 출력은 "Low" 가 되어 제 1 선택기(S1)는 G 를 출력하고 제 2 선택기(S2)는 M 을 출력하며, 이에 따라 제 1 연결부(31)의 M, G 출력신호는 그 순서가 바뀌어 각각 제 2 연결부(32)의 G, M 단자로 연결된다.However, if the ear jack 11 of the electronic device 1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31 is a device in which the M and G terminals are arranged in a reverse order unlike the terminal arrangement order of the first connector 31, The ground terminal and the microphone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10 will be connected to the M terminal and the G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31,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1 becomes "Low" so that the first selector S1 outputs G and the second selector S2 outputs M, thus outputting M and G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 The signals are reversed in order and connected to the G and M terminals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2, respectively.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전자기기(10)의 종류에 따라 마이크 단자와 접지 단자의 순서가 반대로 배치된 기기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중개장치(30)를 통해 연결하는 경우 정확하게 대응되는 단자끼리 연결된다.By such operation, even when the device is arranged in reverse order of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termina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correctly connected when connected through the intermediary devic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개장치(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장치(20)에 전자기기(10)가 연결되는 경우 연결 사실을 외부장치(20)로 통지하기 위한 통지 수단(28)에 연결된다. 통지 수단(28)은 제 2 연결부(32) 내의 마이크단자(M)와 접지단자(G)의 출력을 이용하여 외부장치(20)로 연결 사실을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편의상 통지수단(28)은 제 2 연결부(32) 내의 M, G 단자를 입력받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개념적으로는 제 1 연결부(31) 내의 M, G 단자를 입력받는 것과도 동일하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ry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 the notification means 28 for notifying the external device 20 of the connection facts. Is connected to. The notification means 28 is configured to notify the external device 20 of the connection using the output of the microphone terminal M and the ground terminal G 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 (Herein, for convenience, the notification means 28 is illustrated as receiving the M and G terminals i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2, but is conceptually the same as receiving the M and G terminals 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1,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such cases as well.)

도 4 및 통지 수단(28)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의 예에서, 통지 수단(28)은 비교기(C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교기(C2)는 제 2 연결부(32) 내의 제 2 마이크단자(M)와 제 2 접지단자(G)의 출력을 비교하여 신호레벨의 차이가 소정 이상인 경우 외부장치(20)로 활성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전자기기(10)와 외부장치(20)가 상호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었음을 외부장치(20)로 알려준다. 즉, 전자기기(10)와 제 1 연결부(31)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연결부(32)가 외부장치(20)와 연결되면 전자기기(10)로부터 인가되는 마이크 단자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인해 제 2 연결부(32)의 제 2 마이크 단자(M)와 제 2 접지 단자(G)간에 전압차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비교기(C2)의 출력은 "High"가 된다. 이 출력이 활성화 신호로 외부장치(20)에 제공됨으로써 외부장치(20)는 전자기기(10)가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연결되었음을 알게 된다.4 and one embodiment of the notification means 28 are shown. In the example of FIG. 4, the notification means 28 comprises a comparator C2. The comparator C2 compares the outputs of the second microphone terminal M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G 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 and outputs an activation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20 when the difference in signal level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level. By doing so,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external device 20 informs the external device 20 that the data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wh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 while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 are connected, the second voltage may be reduced due to the bias voltage of the microphone terminal appli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A voltage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microphone terminal M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G of the connecting portion 32, so that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2 becomes "High". This output is provided to the external device 20 as an activation signal so that the external device 20 knows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 is connected via the interface 22.

이때, 활성화 신호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20) 내에 구비된 제어부(25)에 입력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5) 내에 구비되어 있는 디지털신호 입출력부인 GPIO부(General Purpose Input/Output)(25a)에 입력된다. 제어부(25)는 GPIO부(25a)에 입력되는 활성화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10)가 연결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ctivation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25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20 as shown in FIG. 4, and more specifically, the GPIO unit (General Purpose Input), which is a digital signal input / output unit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25. / Output) (25a). The controller 25 may detect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 is connected by using an activation signal input to the GPIO unit 25a.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에서와 같이 이어잭에 단자가 삽입되는 경우 삽입 여부만을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감지하는 방식의 경우, 전자기기(10)와 제 1 연결부(31)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도 제 2 연결부(32)와 외부장치(20)간의 연결을 감지하게 되어 실제로 전자기기(10)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까지는 구분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연결부(32)와 외부장치(32)간의 연결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종국적으로 전자기기(10)가 외부장치(20)와 연결되는 경우에만 이를 감지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에서의 연결 감지 단계(S30)를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을 본 발명의 중개장치가 수행하게 된다.When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ear jack as in the related art,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31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31 are not connect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unit 32 and the external device 20 is detected so that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device 10 is actually connect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detec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 and the external device 32, it detects on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 Therefore, the intermedia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operation necessary to accurately perform the connection detection step (S30) in the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도 5 는 통지 수단(28)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의 예에서, 통지 수단(28)은 A/D 컨버터(2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D 컨버터(25b)는 외부장치(20) 내에 구비된 제어부(25)에 기 마련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4 의 예에서의 비교기(C2)와 같이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제어부(25)에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notification means 28. As shown in FIG. In the example of FIG. 5, the notification means 28 comprises an A / D converter 25b. It is preferable to use the A / D converter 25b that is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25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20. However,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provide an output signal to the controller 25 in a separate configuration, such as the comparator C2 in the example of FIG. 4.

A/D 컨버터(25b)에는 제 2 연결부(32)의 마이크 단자(M)와 접지 단자(G)의 출력이 입력된다.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마이크 단자(M)로부터 A/D 컨버터(25b)로 입력되는 신호가 없으므로 A/D 컨버터(25b)는 출력이 없으나 연결된 상태에서는 마이크 단자(M)로부터 전압이 출력되므로 A/D 컨버터(25b)는 일정 신호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제어부(25)는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A/D 컨버터(25b)의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의 방법을 이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A/D 컨버터(25b)는 두 신호의 차이를 감지하는 differential 방식과 각각을 인식하는 single ended 방식 모두 구현이 가능하다.The output of the microphone terminal M and the ground terminal G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 is input to the A / D converter 25b. Since no signal is input from the microphone terminal M to the A / D converter 25b in the unconnected state, the A / D converter 25b has no output, but the voltage is output from the microphone terminal M in the connected state. The / D converter 25b outputs a signal having a constant signal level. Therefore, through this, the controller 25 can detect the connection. In the case of the A / D converter 25b,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polling method must be used periodically, but a desired resul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A / D converter 25b may implement both a differential method for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two signals and a single ended method for recognizing each.

나아가, 도 5 의 실시예에서, A/D 컨버터(25b) 대신 제어부(25) 내에 마련되어 있는 비교기(comparator)(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교기의 경우는 아날로그 값을 자동 비교하여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제어부(25)에 GPIO 처럼 통지(notification)를 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폴링(polling) 방식도 가능하다.Furthermore, in the embodiment of FIG. 5,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mpara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25 instead of the A / D converter 25b. In the case of a comparator, when the analog values are automatically compared to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the controller 25 can notify the controller 25 like a GPIO, and a polling method is also possible.

도 5 의 실시예는 대부분의 MCU 가 제공하는 기능이므로 이를 이용한다면 제어부(25) 외부에 별도의 회로가 필요 없어 도 4 의 구성에 비해 회로의 구성이 간단해진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embodiment of FIG. 5 is a function provided by most MCUs,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ircuit outside the control unit 25, so that the circuit configuration is simpler than that of FIG. 4.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잭을 통해 출력되는 전자기기의 출력 신호의 크기를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 가변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시에 요구되는 신호 레벨과 음향 출력시에 필요한 신호 레벨간을 자동 변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음향 출력시 사용자의 청력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output through the ear jack is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signal level required for data communication and the signal required for sound output You can automatically switch between leve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ring damage of the user during the sound outpu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의 종래기술에 대한 도면에서와 같이 중개장치(30)가 외부장치(20)와 별도로 구성되어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 경우 도 4 와 도 5 의 구성은 외부장치(20) 내에 마련되어 중개장치(30)와는 별개의 구성으로서 구성된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the related art of FIG. 1, it is illustrated that the relay device 30 is separately configured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FIGS. 4 and 5 is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20 and is configured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intermediary device 30.

그러나, 중개장치(30)가 하나의 케이싱 내에 외부장치(20)와 함께 설치되어 외부장치(20)와 일체로 제작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관상으로는 외부장치(20)만이 존재하므로 전자기기(10)의 이어잭(11)을 외부장치(20)와 삽입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양자가 연결된다.However, the intermediary device 30 may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external device 20 in one casing to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external device 20. In this case, since only the external device 20 exists in appearance, both are connected by connecting the ear jack 11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o the external device 20 by insertion.

나아가, 중개장치(30) 없이 외부장치(20)에 도 4 와 도 5 의 구성만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only the configuration of FIGS. 4 and 5 in the external device 20 without the intermediary device 30.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Other implementations may b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6)

전자기기와 외부장치간의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자기기에 마련된 이어잭과 상기 외부장치에 데이터 통신을 위해 마련된 인터페이스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전자기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로 연결 감지를 통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연결 감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신호의 레벨을 데이터 통신에 요구되는 크기 이상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In a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ing an ear jack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a) detecting the conn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y the external device as an ear jack provided on the electronic device and an interface provided for data communication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 the external device notifying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connection detection through the interface; And
c) when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s the connection detec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changing a level of a signal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ar jack to a size larger than required for data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수신 사실 통지를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tep c), the electronic device notifying the external device of the reception via the ear jack;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신호 레벨을 소정 이하의 크기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fore the step a), the electronic device is a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maintaining the signal level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외부장치간의 연결 해제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신호 레벨을 소정 이하의 크기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tep c), when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detected, the electronic device changes the signal level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외부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신호 레벨을 소정 이하의 크기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tep c), when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is terminated, changing the signal level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수신 사실 통지를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b)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the external device does not receive the reception fact notific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in step c), the external device repeats step 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연결감지 통지와 함께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식별정보 통지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in step b), the external device notifi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detection notif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의 상기 수신 사실 통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유효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rnal device initiat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external device receives the notification of receipt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or receives valid data from the electronic device;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이어잭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구비한 중개 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a),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mediation device having a first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ear jack,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interface.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장치는 통지 수단에 의하여 상기 a) 단계에서의 연결 사실을 상기 외부장치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intermediate apparatus notifies the external device of the connection fact in step a) by a notification mean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이어잭의 마이크단자와 접지단자로부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로 상기 연결 사실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notifying means notifies the external device of the connection using the output from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of the ear jack.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마이크단자와 상기 접지단자의 출력 차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외부장치 내에 구비된 제어부로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notifying means includes a comparator for outputting an activation signal to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when an output difference between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제어부 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mparator is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마이크단자와 상기 접지단자의 출력을 수신하여 A/D 컨버젼을 수행하는 A/D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notifying means is an A / D converter which receives the outputs of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nd performs A / D convers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A/D 컨버터는 상기 외부장치 내에 구비된 제어부 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A / D converter is provided in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제 9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장치는, 하나의 케이싱 내에 상기 외부장치와 함께 설치되어 상기 외부장치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1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5,
The intermediary device is installed with the external device in one casing, and the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duction is integrated with the external device.
KR1020120010255A 2012-02-01 2012-02-01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ear jack between an electrical device and an outside device KR1013725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55A KR101372522B1 (en) 2012-02-01 2012-02-01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ear jack between an electrical device and an outsid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55A KR101372522B1 (en) 2012-02-01 2012-02-01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ear jack between an electrical device and an outsid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973A true KR20130088973A (en) 2013-08-09
KR101372522B1 KR101372522B1 (en) 2014-03-12

Family

ID=4921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255A KR101372522B1 (en) 2012-02-01 2012-02-01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ear jack between an electrical device and an outsid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5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183A (en) 2015-01-30 201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Interface apparatus between an electrical device and an outside device using an ear jack of the electriacl device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552A (en) * 2003-06-27 2005-01-1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for connecting periphery device through earmic-jack
KR20040072553A (en) * 2004-07-26 2004-08-18 이동화 Electrocardiogram measuring necklace and portabl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KR20110041456A (en) * 2011-04-05 2011-04-21 윤영은 Sensing apparatus having data communication functionality using ear jack
KR101254453B1 (en) 2012-02-01 2013-04-12 윤영은 Data trasmitting/receving intermediating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throuh ear jack between electrical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522B1 (en)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41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earphone and USB to share micro-USB interface
US10659894B2 (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pplication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hearing aid
US20160219358A1 (en) Wireless earbuds with reciprocating leader and follower configuration
EP18344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pairing
US8548538B2 (en) Multi-button control headset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636771B1 (en) Circuit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earphone in electronic device
CN109547897B (en) Wireless earphone conn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wireless earphone box
EP348103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2577397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adapter for a hearing assistance device
EP2216971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jack plug port
CN102480563B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process of inserting earphone into earphone socket
US9756434B2 (en) Method of operating a binaural hearing aid system and a binaural hearing aid system
EP2129165A2 (en) Wireless headse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balanced stereo and method thereof
JP2010251859A (en) Mobile terminal
CN101198192A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estimating telephone earphone species and correlation technique thereof
US6724900B2 (en) Hearing aid
KR200413422Y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wire/wireless audio signal
KR10137252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ear jack between an electrical device and an outside device
CN106550310B (en)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thereof
CN110740400A (en) Charging box, TWS earphone, system of charging box and TWS earphone, reconnection device and method
KR101023308B1 (en) Apparatus for bluetooth headset capabl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343367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switch for internal/external speaker-microphone mechanism used in radio and PTT communications
KR101946900B1 (en) Media peripherals Wireless connection system
KR200326794Y1 (en) External speaker interfa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6050730A1 (en) Headset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