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422Y1 - Wire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playback device - Google Patents
Wire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playback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3422Y1 KR200413422Y1 KR2020060002258U KR20060002258U KR200413422Y1 KR 200413422 Y1 KR200413422 Y1 KR 200413422Y1 KR 2020060002258 U KR2020060002258 U KR 2020060002258U KR 20060002258 U KR20060002258 U KR 20060002258U KR 200413422 Y1 KR200413422 Y1 KR 20041342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uetooth module
- voice signal
- signal
- wireless
- audio jac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01100188686 Danio rerio opn1sw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1414 EF-hand domain-containing protein D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1150096151 EFHD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150089053 SWS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유무선 겸용 음성신호 재생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유무선 겸용 음성신호 재생장치는 수신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오디오 잭,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와 유선 통신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오디오 잭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유무선 겸용 음성신호 재생장치는 오디오 잭에 연결 케이블이 삽입되는 경우 유선통신 모드로 자동 변환된다.Disclosed is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The wire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includes a Bluetooth module for converting a received Bluetooth wireless signal into a voice signal, an audio jack, and a wired communication mode output from the Bluetooth module for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e in response to a switching signal. And a switch for outputting one of the voice signals input through the audio jack to perform a speaker. The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that perform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e is automatically converted to the wired communication mode when a connection cable is inserted into the audio jack.
이어폰, 유무선 겸용 Earphones, both wired and wireless
Description
본 고안이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drawing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cited.
도 1은 이동 통신 장치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이동 통신 장치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블락도를 나타낸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3 is a block diagram of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5 is a block diagram of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6 is a block diagram of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자동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de automatic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휴대용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reproduc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producing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wired or wireles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휴대용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란 이어폰(earphone), 헤드폰(headphone), 또는 컴퓨터용, 이동전화기용, 전화기용 헤드셋(headset), 등을 총칭하는 장치를 말한다.As used herein, the portable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reproducing apparatus refers to a device that collectively refers to an earphone, a headphone, a computer, a mobile phone, a headset for a telephone, and the like.
현재의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 특히 이어폰은 유선이어폰과 무선이어폰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유선이어폰은 오디오 잭(audio jack) 표준에 따른 플러그 잭(3.5Φ), 이동통신 단말기 표준에 따른 플러그 잭(2.5Φ), 또는 USB 형태의 잭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유선이어폰은 제한된 길이를 갖는 유선을 사용하므로 사용거리의 제한이 있고, 상기 유선을 사용하므로 보관과 관리(예컨대, 엉키거나 꼬이는 경우)가 불편하다.Current wired and wireless combined voice playback device, in particular, earphones are divided into wired and wireless earphones. The wired earphone may be a plug jack (3.5Φ) according to an audio jack standard, a plug jack (2.5Φ) accord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andard, or a USB type jack, but the wired earphone has a limited length.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use distance because the use of a wire, which has a wire, it is inconvenient to store and manage (for example, tangled or twisted).
또한, 무선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가 다른 경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사가 동일하더라도 모델이나 디자인이 서로 다른 경우에 상기 무선이어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들 사이의 호환성이 떨어진다.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earphone is used,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wireless earphone and the mobile terminal is inferior when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fferent or the model or the design is different even if the manufacturer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the same.
또한, 상기 무선 이어폰은 무선통신을 사용하므로 전파간섭, 잡음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이어폰은 일반적으로 배터리(battery)를 내장하 고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의 시간사용과 사용전압의 저하에 따라 상기 무선이어폰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wireless earphone uses wireless communication, problems such as radio interference and noise generation occur. In addition, since the wireless earphone generally includes a battery, there is a case where the wireless earphone fails to perform its function according to time usage of the battery and a decrease in the use voltage.
또한, 무선통신기능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별도의 장치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voice signal output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to be repro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device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hould be attach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유선이어폰의 단점과 무선이어폰의 단점을 배제하고 상기 유선이어폰의 장점과 상기 무선이어폰의 장점을 모두 구비하는 유무선 겸용 음성신호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both the advantages of the wired earphone and the advantages of the wireless earphone, excluding the disadvantage of the wired earphone and the disadvantage of the wireless earphon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유무선 겸용 음성신호 재생장치는 수신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오디오 잭;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와 상기 오디오 잭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청취가능한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may include: a Bluetooth module for converting a received Bluetooth wireless signal into a voice signal; Audio jacks; A switch for outputting any one of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Bluetooth module and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audio jack in response to a switching signal;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as audible vo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유무선 겸용 음성신호 재생장치는 수신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오디오 잭;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도중에 연결 케이블이 상기 오디오 잭에 삽입된 경우 상기 오디오 잭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선택회로; 및 상기 선택회로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청취가능한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may include: a Bluetooth module for converting a received Bluetooth wireless signal into a voice signal; Audio jacks; A selection circuit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audio jack when a connection cable is inserted into the audio jack while outputting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Bluetooth module;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election circuit as audible voice.
상기 선택회로는 상기 오디오 잭에 접속되고, 상기 오디오 잭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검출회로; 및 상기 신호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와 상기 오디오 잭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The selection circuit is connected to the audio jack, and detects a signal input through the audio jack and outputs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And a switch for outputting any one of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Bluetooth module and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audio jack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detection circuit.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유무선 겸용 음성신호 재생장치는 수신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오디오 잭;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may include: a Bluetooth module for converting a received Bluetooth wireless signal into a voice signal;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Bluetooth module; Audio jacks;
스피커; 및 상기 전원, 상기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오디오 잭에 접속되고, 제1상태를 갖는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 공급되는 상기 동작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오디오 잭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고, 제2상태를 갖는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speaker; And cut off the operation power supplied to the Bluetooth module in response to a switching signal having a first state a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audio jack, and output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audio jack to the speaker. And a switch for supplying the operation power to the Bluetooth module in response to a switching signal having a second state, and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Bluetooth module to the speak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유무선 겸용 음성신호 재생장치는 수신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오디오 잭; 상기 오디오 잭에 접속되고, 상기 오디오 잭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따른 제1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검출회로; 스피커; 및 상기 전원, 상기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오디오 잭에 접속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2스위칭 신호와 상기 제1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 공급되는 상기 동작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오디오 잭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거나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may include: a Bluetooth module for converting a received Bluetooth wireless signal into a voice signal;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Bluetooth module; Audio jacks; A signal detec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audio jack and detect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audio jack and outputting a first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speaker; And cut off the operation power supplied to the Bluetooth module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signal and the first switching signal, which ar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audio jack, and through the audio jack. And a switch for transmitting an input voice signal to the speaker or supplying the operation power to the Bluetooth module and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Bluetooth module to the speaker.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이동 통신 장치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10)은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20), 이동통신장치(30), 및 연결 케이블(40)을 구비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20)의 일예로서 이어폰을 중심으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상기 이어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동통신장치(30)는 이동전화기(mobile), PDA, 스마트 폰, DMB 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an example of the wired / wireless combined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이어폰(20)과 상기 이동통신장치(30)는 연결 케이블(40)을 통하여 음성신호를 주고받는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20)은 상기 이동통신 장치(30)로부터 무선으로 출력된 음성신호를 재생할 수 있고(이하 '무선 통신 모드'라 한다), 상기 연결 케이블(40)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이하 '유선 통신 모드'라 한다).The
도 2는 이동 통신 장치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상기 이동통신 장치(30)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31)과 유선으로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잭(33)을 구비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명세서에는 이어폰(2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31)과 오디오 잭(33)만을 도시하고 본 고안의 본질적인 사상과 무관한 주변장치들에 대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specification, only the Bluetooth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20)은 블루투스 모듈(21), 오디오 잭(24), 스위치(25), 및 스피커(26)를 구비하며, 마이크(27)를 선택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블루투스 모듈(21)은 상기 이동통신 장치(30)로부터 출력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마이크(27)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무선신호로 변환한다.The Bluetooth
상기 블루투스 모듈(21)은 무선 송수신 회로(22)와 신호처리회로(23)를 구비 한다. 무선 송신시, 상기 무선 송수신 회로(22)는 상기 이동통신 장치(30)로부터 출력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신호를 상기 신호처리회로(23)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회로(23)로 출력한다. The Bluetooth
또한, 무선 신호 송신시 상기 무선 송수신 회로(22)는 상기 신호처리회로(2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장치(30)의 블루투스 모듈(31)이 인식할 수 있는 블루투스 무선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블루투스 무선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장치(30)로 출력한다. 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the wireless transmission /
상기 신호처리회로(23)는 상기 무선 송수신 회로(22)와 상기 스위치(25) 사이에서 주고받는 신호를 처리한다.The
상기 오디오 잭(24)은 연결 케이블(40)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연결 케이블(40)이 상기 이동통신 장치(30)의 오디오 잭(33)과 상기 이어폰(20)의 상기 오디오 잭(24)각각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잭(24)은 상기 이동통신 장치(30)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한다.The
상기 스위치(25)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21), 상기 오디오 잭(24), 상기 스피커(26), 및 상기 마이크(27)에 접속된다. 상기 스위치(25)는 스위칭 신호(SWS)에 응답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와 상기 오디오 잭(24)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25)는 절환 스위치, 또는 버튼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 스위치(25)는 스위칭 신호(SWS)에 응답하여 마이크(27)를 통하여 변환 된 음성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21)과 상기 오디오 잭(24)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송한다. 이때 마이크(27)를 통하여 변환된 음성신호는 블루투스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이동통신 장치(30)로 전송되거나 상기 오디오 잭(24)을 통하여 연결 케이블(40)로 전송된다.The
상기 스피커(26)는 상기 스위치(25)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청취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으로 변화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청취자는 무선통신 모드에서 무선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 또는 유선통신 모드에서 연결 케이블(40)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스위치(25)를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위치(25)는 스위치 온(ON) 상태일 때에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출력하고 스위치 오프(OFF) 상태일 때에는 상기 오디오 잭(24)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출력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 오프(OFF) 상태일 때에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출력하고 스위치 온(ON) 상태일 때에는 상기 오디오 잭(24)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Bluetooth
따라서 이어폰(20)으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예컨대 배터리(미도시)의 전압레벨이 낮아지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상기 청취자는 스위치(25)의 조작과 연결 케이블(40)을 대응되는 잭들(33과 24)에 삽입한 후 상기 이동통신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26)를 통하여 청 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voltage level of a power supply, for example, a battery (not shown), that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케이블(40)과 이어폰(20)의 오디오 잭(24)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 스위치(45)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전송한다. 즉, 이어폰(20)은 무선통신 모드를 수행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3, when the
그러나, 상기 연결 케이블(40)이 상기 이어폰(20)의 오디오 잭(24)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45)는 상기 오디오 잭(24)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전송한다. 즉, 이어폰(20)은 유선통신 모드를 수행한다.However, when the
청취자가 상기 연결 케이블(40)과 상기 이어폰(20)의 오디오 잭(24)을 분리하는 경우, 유선 통신 모드에서 무선통신 모드로 자동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45)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전송한다. When the listener disconnects the
상기 유선 통신 모드에서 상기 무선통신 모드로 자동으로 변환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45)는 복원력을 가진 소정의 스프링과 같은 복원장치(미도시)를 내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케이블(40)이 상기 이어폰(20)의 오디오 잭(24)에 삽입되는 경우, 이어폰(20)의 통신 모드는 유선 통신 모드에서 무선 통신 모드로 자동으로 변환되고, 상기 연결 케이블(40)이 상기 이어폰(20)의 오디오 잭(24)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20)의 통신 모드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드에서 유선 통신 모드로 자동으로 변환된다.In order to automatically convert from the wired communication mod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e, the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어폰(20)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21), 선택회로(50), 오디오 잭(24), 및 스피커(26)를 구비하며, 선택적으로 마이크(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선택회로(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상기 선택회로(50)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26)로 출력하는 도중에 연결 케이블(40)이 상기 오디오 잭(24)에 삽입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26)로 출력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오디오 잭(24)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26)로 출력한다.The
상기 선택회로(50)는 스위치(51)와 신호검출회로(53)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검출회로(53)는 상기 오디오 잭(24)에 접속되고, 상기 오디오 잭(24)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따른 스위칭 신호(SWS)를 스위치(51)로 출력한다. 상기 신호검출회로(53)가 검출하는 신호는 연결 케이블(40)을 통하여 이동통신 장치(30)로부터 출력된 전류 또는 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즉, 상기 신호검출회로(53)는 상기 연결 케이블(40)이 오디오 잭(24)에 삽입됨에 따라 입력된 신호를 검출한다.That is, the
상기 스위치(51)는 상기 신호검출 회로(53)로부터 출력된 상기 스위칭 신호(SWS)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잭(24)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출력한다.The
즉, 이어폰(20)의 통신 모드는 별도의 스위치의 조작 없이 연결 케이블(40) 이 오디오 잭(24)에 삽입되는 경우 무선 통신 모드에서 자동으로 유선통신 모드로 변환되고, 상기 연결 케이블(40)이 오디오 잭(24)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20)의 통신 모드는 유선 통신 모드에서 자동으로 무선통신 모드로 변환된다.That is,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20)은 블루투스 모듈(21), 전원(60), 스위치(63), 오디오 잭(24), 및 스피커(26)를 구비하며, 선택적으로 마이크(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5 is a block diagram of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referring to FIG. 5, the
상기 전원(60)은 상기 블루투스 모듈(21)과 이어폰(20)의 다른 회로(미도시)로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The
상기 스위치(63)는 상기 전원(60), 상기 블루투스 모듈(21), 및 상기 오디오 잭(24)에 접속되고, 제1상태를 갖는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 공급되는 상기 동작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오디오 잭(24)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전송하고, 제2상태를 갖는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전송한다.The
예컨대, 상기 제1상태가 스위치 오프(OFF) 상태일 때 상기 스위치(63)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 공급되는 상기 동작 전원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21)은 비활성화되므로, 상기 스위치(63)는 연결 케이블(40)과 오디오 잭(24)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전송한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state is a switch off state, the
상기 제2상태가 스위치 온(ON) 상태일 때 상기 스위치(63)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 상기 동작 전원을 다시 공급하므로, 상기 블루투스 모듈(21)은 활성화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63)는 상기 오디오 잭(24)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가 상기 스피커(26)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전송한다.Since the
도 6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음성재생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20)은 자동으로 무선 통신 모드를 유선 통신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20)은 전원(60), 블루투스 모듈(21), 오디오 잭(24), 신호검출회로(75), 스위치(77), 및 스피커(26)를 구비하며, 선택적으로 마이크(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6 is a block diagram of a wired / wireless combined voice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the
상기 전원(60)은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The
상기 신호검출회로(75)는 상기 오디오 잭(24)에 접속되고, 무선 통신 모드에서 연결 케이블(40)이 상기 오디오 잭(24)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잭(24)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따른 스위칭 신호(SWS2)를 스위치(77)로 출력한다.The
상기 스위치(77)는 상기 전원(60), 상기 블루투스 모듈(21), 및 상기 오디오 잭(24)에 접속되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모드에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출력하는 도중에 상기 연결 케이블(40)이 상기 오디오 잭(24)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신호(SWS2)에 응답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21)로 공급되는 상기 동작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오디오 잭(242)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로 전송한다. 즉 , 이어폰(20)이 무선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연결 케이블(40)이 오디오 잭(24)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20)의 통신 모드는 무선 통신 모드에서 자동으로 유선 통신 모드로 변환된다. Th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자동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초기에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20)은 무선통신 모드를 수행하고 있다고 가정한다(S10).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de automatic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o 7, it is assumed that the
무선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45와 77) 또는 선택회로(50)는 연결 케이블(40)이 오디오 잭(24)에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0), 상기 연결 케이블(40)이 상기 오디오 잭(24)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20)은 무선 통신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While perform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e, the
그러나 상기 연결 케이블(40)이 상기 오디오 잭(24)에 삽입된 경우, 이어폰(20)은 상기 삽입을 자동으로 검출하고 현재 진행중인 상기 무선통신 모드를 차단하고 상기 오디오 잭(24)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26)를 통하여 청취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30). 즉, 이어폰(20)의 통신 모드는 무선 통신 모드에서 유선통신 모드로 변환된다.However, when the
상기 이어폰(320)은 상기 연결 케이블(40)이 상기 오디오 잭(24)으로부터 분리되었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단하고(S40), 상기 연결 케이블(40)이 상기 오디오 잭(24)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유선통신 모드를 차단하고 상기 무선통신 모드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연결 케이블(40)이 상기 오디오 잭(24)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이어폰(20)은 유선 통신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The earphone 320 determines again whether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유무선 음성신호 재생장치는 유선이어폰이 갖는 길이의 제한을 극복하고, 무선을 사용함에 따라 보관과 관리에서 편리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wired / wireless voic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limitation of the length of the wired earphone and is convenient in storage and management by using wireles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유무선 음성신호 재생장치는 유선과 무선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무선통신기능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선을 사용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재생할 수 있으므로 무선통신기능을 구비하는 별도의 장치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wired and wireless voic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both wired and wireless, the voice signal can be reproduced by using a wire when a voice signal output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desired.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attach a separate device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유무선 음성신호 재생장치는 상기 재생장치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이 부족한 경우에는 연결 케이블을 사용하여 이동통신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재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wired / wireless voice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roduce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y using a connection cable when the battery of the built-in battery is insufficient. It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2258U KR200413422Y1 (en) | 2006-01-25 | 2006-01-25 | Wire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playback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2258U KR200413422Y1 (en) | 2006-01-25 | 2006-01-25 | Wire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playback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3422Y1 true KR200413422Y1 (en) | 2006-04-07 |
Family
ID=4176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2258U KR200413422Y1 (en) | 2006-01-25 | 2006-01-25 | Wire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playback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3422Y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8531B1 (en) * | 2010-02-01 | 2012-01-31 | 강대현 | Wired and wireless multimedia signal switching device |
KR101745898B1 (en) * | 2016-05-27 | 2017-06-12 | 주식회사 블루콤 | Bluetooth-Earphone available for wired type |
KR101889021B1 (en) | 2017-04-07 | 2018-08-16 | (주)파트론 | Multi mode earphon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
KR101889023B1 (en) * | 2017-03-29 | 2018-08-16 | (주)파트론 | Earphon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
KR20180002878U (en) | 2018-04-02 | 2018-10-08 | (주)파트론 | Earphone device |
KR102042491B1 (en) * | 2018-10-19 | 2019-11-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audio output set, and audio output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
CN111447529A (en) * | 2020-04-11 | 2020-07-24 | 中山市天键通讯技术有限公司 | Anti-interference audio output switching control circuit |
EP3496416B1 (en) * | 2017-12-05 | 2023-01-04 | Skullcandy, Inc. | Headphone with adaptive controls |
-
2006
- 2006-01-25 KR KR2020060002258U patent/KR200413422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8531B1 (en) * | 2010-02-01 | 2012-01-31 | 강대현 | Wired and wireless multimedia signal switching device |
KR101745898B1 (en) * | 2016-05-27 | 2017-06-12 | 주식회사 블루콤 | Bluetooth-Earphone available for wired type |
KR101889023B1 (en) * | 2017-03-29 | 2018-08-16 | (주)파트론 | Earphon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
KR101889021B1 (en) | 2017-04-07 | 2018-08-16 | (주)파트론 | Multi mode earphon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
EP3496416B1 (en) * | 2017-12-05 | 2023-01-04 | Skullcandy, Inc. | Headphone with adaptive controls |
KR20180002878U (en) | 2018-04-02 | 2018-10-08 | (주)파트론 | Earphone device |
KR200489052Y1 (en) * | 2018-04-02 | 2019-04-23 | (주)파트론 | Earphone device |
KR102042491B1 (en) * | 2018-10-19 | 2019-11-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audio output set, and audio output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
CN111447529A (en) * | 2020-04-11 | 2020-07-24 | 中山市天键通讯技术有限公司 | Anti-interference audio output switching control circu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13422Y1 (en) | Wire / wireless combined voice signal playback device | |
KR101790042B1 (en) | Earphone system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and Operation Method of Earphone based on the same | |
JP3116881U (en) | Bluetooth module sound source input / output device | |
KR100659506B1 (en) | External speaker system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receiving pack for same | |
KR101122767B1 (en) | Hearing aid combination Bluetooth-Headset and Control Method | |
KR20020001348A (en) | Headset for hearing the digital audio data through a given wireless link of short-range mobile radio system | |
US20130064393A1 (en) |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sound reproducing method | |
KR20070105555A (en) | Earphone with microphone | |
CN103813228A (en) | Earphones and activation method thereof | |
KR101664195B1 (en) | Bluetooth headset with built-in speakers | |
JP2009224911A (en) | Headphone | |
KR100775000B1 (en) | Multi-function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using Bluetooth | |
KR20170039428A (en) | Electronic device | |
CN105072538B (en) | Stereo play system and stereo play method | |
JP2954150B1 (en) | Mobile phone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ed therefor | |
JP3144831U (en) | Wireless audio system with stereo output | |
KR100804745B1 (en) | External speaker with compound functions | |
CN110740400A (en) | Charging box, TWS earphone, system of charging box and TWS earphone, reconnection device and method | |
CN219372568U (en) | Earphone with double-interface multifunctional transmitter | |
KR101366313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 |
KR200180377Y1 (en) | Appratus having both handy audio ear-phone and cellular phone ear-phone | |
KR200188050Y1 (en) | Wireless headset apparatus for computer | |
JP4189966B2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rdless telephone and program | |
KR20030066578A (en) | MP3 Player With Transmitter Interface Include Memory Chip And Cigar Plug | |
KR20050053931A (en) | A mobile phone charging system having function of audio signal outpu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125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3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12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4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2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