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777A -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777A
KR20130087777A KR1020120008906A KR20120008906A KR20130087777A KR 20130087777 A KR20130087777 A KR 20130087777A KR 1020120008906 A KR1020120008906 A KR 1020120008906A KR 20120008906 A KR20120008906 A KR 20120008906A KR 20130087777 A KR20130087777 A KR 20130087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control unit
input
wireless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8036B1 (ko
Inventor
양일석
김종대
허세완
오지민
김민기
권종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08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036B1/ko
Priority to US13/596,618 priority patent/US9391462B2/en
Publication of KR2013008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1Energy harvesting or scaven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에너지원에서 생성되는 에너지가 입력되는 에너지 입력부; 상기 다수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을 선택하고, 유선동작모드 또는 무선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에너지 입력 제어부; 상기 에너지 입력 제어부의 무선동작모드 동작시 상기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 상기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제어부;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저장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출력부; 및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에너지 출력부에 분배하는 에너지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with Wire and Wireless Energy Transfer Function}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통해 다양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다양한 응용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그리드는 기존의 에너지 제공자와 소비자 간에 단 방향에서 양 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으로서 원자력 및 화력 등의 기저 에너지원 이외에 태양광, 풍력 및 조력 등의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원에서 생성되는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그리드는 양 방향 통신을 위해서 다양한 에너지원에서 입력되는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는 다수의 2차 전지 셀로 구성된 2차 전지 팩과 모듈로 구성된다.
한편,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는 다양한 에너지원에서 입력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에너지를 관리 및 유지하며, 필요한 시기에 출력 부하의 부하상황에 따라 전력소스의 전력이 잘 분배되도록 제어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마트그리드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요구된다. 또한, 최근에는 에너지를 유선으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유선 에너지 전송 기술보다 선이 없어서 간단하고 다양한 응용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무선으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무선 에너지 전송 기술(Wireless Energy Transfer)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통해 다양한 에너지원에서 입력되는 에너지를 다양한 응용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다수의 에너지원에서 생성되는 에너지가 입력되는 에너지 입력부; 상기 다수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을 선택하고, 유선동작모드 또는 무선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에너지 입력 제어부; 상기 에너지 입력 제어부의 무선동작모드 동작시 상기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 상기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제어부;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저장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출력부; 및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에너지 출력부에 분배하는 에너지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그리드용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유선 및 무선 방식의 에너지 전송 방식을 통해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으며, 이에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좀 더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다수의 에너지원에서 생성되는 에너지를 입력으로 하는 에너지 입력부(110), 다수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을 선택하고, 유선동작모드 또는 무선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전달하는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의 무선동작모드 동작시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130),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저장 및 제어하는 에너지 저장/제어부(140),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된 에너지를 에너지 출력부(160)의 출력 부하로 효율적으로 분배 및 관리하는 에너지 출력 제어부(150) 및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된 에너지를 직접 소비하는 에너지 출력부(160)로 구성된다.
에너지 입력부(110)는 자연 주변의 다중 자가충전 에너지 변환 소자들(Multi Energy Harvesting Devices)에서 수확되는 불규칙하고 랜덤한 전기 에너지, 신재생 에너지원에서 생성되는 불안정한 전기 에너지 및 기저 전기 에너지원에서 생성되는 안정적인 전기 에너지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는 다수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을 선택하고, 유선동작모드 또는 무선동작모드를 선택하며, 유선동작모드 또는 무선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130)는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의 무선동작모드 동작시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너지 저장/제어부(140)는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에너지를 관리 및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너지 출력 제어부(150)는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된 에너지를 에너지 출력부(160)의 출력 부하의 상황에 맞게 분배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너지 출력부(160)는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된 에너지를 직접 소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에너지의 저장 및 분배를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4가지의 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응용분야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첫째,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는 에너지 입력부(110)와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를 순차적으로 거쳐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되고,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된 에너지는 에너지 출력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에너지 출력부(160)에 분배된다.
둘째,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는 에너지 입력부(110),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130) 및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를 순차적으로 거쳐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되고,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된 에너지는 에너지 출력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에너지 출력부(160)에 분배된다.
셋째,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는 에너지 입력부(110) 및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130)를 순차적으로 거쳐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되고,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된 에너지는 에너지 출력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에너지 출력부(160)에 분배된다.
넷째,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는 에너지 입력부(110)를 거쳐 직접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되고,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된 에너지는 에너지 출력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에너지 출력부(160)에 분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n개의 에너지 입력원(112, 114, 116)으로 구성된 에너지 입력부(110),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 및 에너지 관리기(Energy Management System)(124)로 구성된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 에너지 무선 송신기(132) 및 에너지 무선 수신기(134)로 구성된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130), 2차 전지 모듈(142) 및 전지 관리기(Battery Management System)(144)로 구성된 에너지 저장/제어부(140), 전력 관리기(Power Management System)(152)로 구성된 에너지 출력 제어부(150) 및 출력 부하들(162)로 구성된 에너지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에너지 입력부(110)는 다중 자가충전 에너지 변환 소자들에서 수확되는 불규칙하고 랜덤한 전기 에너지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불규칙 자가 에너지 입력원(116), 신재생 에너지원에서 생성되는 불안정한 전기 에너지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불안정 신재생 에너지 입력원(114) 및 기저 전기 에너지원에서 생성되는 안정적인 전기 에너지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규칙 기저 에너지 입력원(112)으로 구성된다.
자연 주변의 열전, 압전, 모션 및 진동 등의 에너지 변환 소자들로 구성된 다중 자가충전 에너지 변환 소자들에서 수확되는 에너지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불규칙 자가 에너지 입력원(116)에서 출력되는 에너지는 시간에 따라 매우 랜덤하게 발생하고 크기 또한 매우 적어서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회로가 필요하고, 자연 주변의 태양광, 풍력 및 조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원에서 생성되는 에너지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불안정 신재생 에너지 입력원(114)에서 출력되는 에너지는 자연환경 조건에 따라 불안정하게 발생하여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회로가 필요하다.
이에 반해, 원자력, 화력 및 수력 발전소 등의 기저 전기 에너지원에서 생성되는 에너지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규칙 기저 에너지 입력원(112)에서 출력되는 에너지는 매우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하기 위한 회로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규칙 기저 에너지 입력원(112)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는 유선동작모드 또는 무선동작모드를 선택하는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와, n개의 에너지 입력원(112, 114, 116)을 제어하여 n개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전달하는 에너지 관리기(124)로 구성된다.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는 n개의 에너지 입력원(112, 114, 116)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하기 위해 n개의 유선동작모드와 n개의 무선동작모드를 합친 2n개의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에너지 관리기(124)는 유무선동작 선택기(122)로부터 n개의 유선동작모드 출력과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130)로부터 n개의 무선동작모드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들여 2n개의 동작모드 중 하나의 동작모드로 동작하여 n개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130)는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의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의 무선동작모드에서만 동작하고, 이를 위해 에너지 무선 송신기(132)와 에너지 무선 수신기(134)로 구성된다.
에너지 저장/제어부(140)는 에너지 관리기(124)에 의해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저장하는 2차 전지 모듈(142)과, 2차 전지 모듈(142)의 셀 밸런싱, 관리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지 관리기(144)로 구성된다.
에너지 출력 제어부(150)는 전력 관리기(152)로 구성되어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된 에너지를 에너지 출력부(160)의 출력 부하들(162)의 상황에 맞게 분배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너지 출력부(160)는 RF, 프로세서, 주변장치, 센서, 각종 가전제품들, 전기 자동차 등과 같은 출력 부하들(162)로 구성되어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저장된 에너지를 직접 소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에너지의 저장 및 분배를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4가지의 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응용분야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첫째, n개의 에너지 입력원(112, 114, 116)과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에 의해 n개의 유선동작모드 출력이 생성되고, 에너지 관리기(124)의 제어 신호에 의해 n개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이 선택되며,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가 전지 관리기(144)로 전달되어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되고, 전력 관리기(152)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된 에너지가 에너지 출력부(160)의 출력 부하들(162)에 분배된다.
둘째, n개의 에너지 입력원(112, 114, 116)과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에 의해 n개의 무선동작모드 출력이 생성되고, 에너지 관리기(124)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n개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이 선택되며,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가 전지 관리기(144)로 전달되어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되고, 전력 관리기(152)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된 에너지가 에너지 출력부(160)의 출력 부하들(162)에 분배된다.
셋째, n개의 에너지 입력원(112, 114, 116)과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에 의해 n개의 무선동작모드 출력이 생성되고, 전지 관리기(144)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n개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이 선택되며,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가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되고, 전력 관리기(152)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된 에너지가 에너지 출력부(160)의 출력 부하들(162)에 분배된다.
넷째, n개의 에너지 입력원(112, 114, 116) 중 규칙 기저 에너지 입력원(112)에서 직접 전지 관리기(144)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n개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이 선택되고,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가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되며, 전력 관리기(152)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된 에너지가 에너지 출력부(160)의 출력 부하들(162)에 분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좀 더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n개의 에너지 입력원(112, 114, 116)으로 구성된 에너지 입력부(110), 입력 에너지 선택기(121),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 및 에너지 관리기(124)로 구성된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 에너지 무선 송신기(132)와 에너지 무선 수신기(134)로 구성된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130), 2차 전지 모듈(142)과 전지 관리기(144)로 구성된 에너지 저장/제어부(140), 전력 관리기(152)로 구성된 에너지 출력 제어부(150) 및 출력 부하들(162)로 구성된 에너지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즉, 도 3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도 2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나,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의 구성에 있어서 상이하다.
자세하게는, 에너지 입력 제어부(120)는 n개의 에너지 입력원(112, 114, 116)을 제어하여 n개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입력 에너지 선택기(121), 유선동작모드 또는 무선동작모드를 선택하는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 및 입력 에너지 선택기(121)에 의해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전달하는 에너지 관리기(124)로 구성된다.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는 1개의 유선동작모드와 1개의 무선동작모드를 합친 2개의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에너지 관리기(124)는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로부터 1개의 유선동작모드 출력과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130)로부터 1개의 무선동작모드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들여 2개의 동작모드 중 하나의 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입력 에너지 선택기(121)에 의해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제어부(14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에너지의 저장 및 분배를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4가지의 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응용분야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첫째, n개의 에너지 입력원(112, 114, 116), 입력 에너지 선택기(121) 및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에 의해 1개의 유선동작모드 출력이 생성되고, 에너지 관리기(124)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가 전지 관리기(144)로 전달되어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되고, 전력 관리기(152)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된 에너지가 출력 부하들(162)에 분배된다.
둘째, n개의 에너지 입력원(112, 114, 116), 입력 에너지 선택기(121) 및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에 의해 1개의 무선동작모드 출력이 생성되고, 에너지 관리기(124)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가 전지 관리기(144)로 전달되어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되고, 전력 관리기(152)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된 에너지가 출력 부하들(162)에 분배된다.
셋째, n개의 에너지 입력원(112, 114, 116)과 입력 에너지 선택기(121) 및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122)에 의해 1개의 무선동작모드 출력이 생성되고, 에너지 관리기(124)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가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되고, 전력 관리기(152)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된 에너지가 출력 부하들(162)에 분배된다.
넷째, n개의 에너지 입력원(112, 114, 116) 중 규칙 기저 에너지 입력원(112)에서 직접 전지 관리기(144)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가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되고, 전력 관리기(152)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2차 전지 모듈(142)에 저장된 에너지가 출력 부하들(162)에 분배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10: 에너지 입력부 120: 에너지 입력 제어부
130: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 140: 에너지 저장/제어부
150: 에너지 출력 제어부 160: 에너지 출력부

Claims (8)

  1. 다수의 에너지원에서 생성되는 에너지가 입력되는 에너지 입력부;
    상기 다수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을 선택하고, 유선동작모드 또는 무선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에너지 입력 제어부;
    상기 에너지 입력 제어부의 무선동작모드 동작시 상기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
    상기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제어부;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저장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출력부; 및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에너지 출력부에 분배하는 에너지 출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는 상기 에너지 입력부 및 상기 에너지 입력 제어부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에너지 입력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저장되고,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저장된 에너지는 상기 에너지 출력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에너지 출력부에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는 상기 에너지 입력부, 상기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에너지 입력 제어부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에너지 입력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저장되고,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저장된 에너지는 상기 에너지 출력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에너지 출력부에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는 상기 에너지 입력부 및 상기 에너지 무선 송수신부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저장되고,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저장된 에너지는 상기 에너지 출력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에너지 출력부에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는 상기 에너지 입력부를 거쳐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직접 저장되고,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저장된 에너지는 상기 에너지 출력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에너지 출력부에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입력부는,
    다중 자가충전 에너지 변환 소자들에서 수확되는 불규칙하고 랜덤한 전기 에너지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불규칙 자가 에너지 입력원;
    신재생 에너지원에서 생성되는 불안정한 전기 에너지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불안정 신재생 에너지 입력원; 및
    기저 전기 에너지원에서 생성되는 안정적인 전기 에너지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규칙 기저 에너지 입력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입력 제어부는,
    유선동작모드 또는 무선동작모드를 선택하는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 및
    상기 다수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을 선택하고, 상기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전달하는 에너지 관리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입력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에너지원 중 하나의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입력 에너지 선택기;
    유선동작모드 또는 무선동작모드를 선택하는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 및
    상기 유무선동작모드 선택기에 의해 선택된 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입력 에너지 선택기에 의해 선택된 에너지원의 에너지를 상기 에너지 저장/제어부에 전달하는 에너지 관리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0120008906A 2012-01-30 2012-01-30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818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906A KR101818036B1 (ko) 2012-01-30 2012-01-30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13/596,618 US9391462B2 (en) 2012-01-30 2012-08-28 Energy storage system with wired and wireless energy transfer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906A KR101818036B1 (ko) 2012-01-30 2012-01-30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777A true KR20130087777A (ko) 2013-08-07
KR101818036B1 KR101818036B1 (ko) 2018-01-15

Family

ID=4886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906A KR101818036B1 (ko) 2012-01-30 2012-01-30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91462B2 (ko)
KR (1) KR101818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499B1 (ko) * 2016-02-18 2017-02-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찰 전기를 이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0484B (zh) * 2013-12-04 2016-01-13 哈尔滨工业大学 弱异构源供能的无线自集能腐蚀监测节点
CN104701920A (zh) * 2013-12-10 2015-06-10 国家电网公司 便携式直流电源
CN104701919A (zh) * 2013-12-10 2015-06-10 国家电网公司 便携式直流电源
CN110537310B (zh) * 2017-04-28 2023-11-10 思拓凡瑞典有限公司 用于为生物处理环境中的传感器无线提供功率的系统和方法
CN108933456B (zh) * 2017-05-23 2020-12-08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动车充电电路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1062B2 (en) 2002-06-12 2008-12-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ireless battery charging
US8538560B2 (en) 2004-04-29 2013-09-17 Rosemount Inc. Wireless power and communication unit for process field devices
KR200415537Y1 (ko) * 2006-01-31 2006-05-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유선 충전부를 구비하는 무접점 충전장치
DE102006055883B4 (de) * 2006-11-27 2009-06-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zur Umwandlung und Speicherung von Energie
US8212401B2 (en) * 2007-08-03 2012-07-03 Stratascale, Inc. Redundant isolation and bypass of critical power equipment
US8138624B2 (en) * 2008-06-23 2012-03-20 Ming-Hsiang Yeh Conversion device for automobile
KR101071933B1 (ko) 2009-10-07 2011-10-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비접촉 전력 전송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JP5013283B2 (ja) * 2010-02-17 2012-08-29 株式会社安川電機 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の制御装置
KR101097267B1 (ko) 2010-03-02 2011-1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914158B2 (en) * 2010-03-11 2014-12-16 Aes Corporation, The Regulation of contribution of secondary energy sources to power grid
US9561730B2 (en) * 2010-04-08 2017-02-0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electric vehicles
US8860234B2 (en) * 2011-01-03 2014-10-14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harvesting vibrational energy from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499B1 (ko) * 2016-02-18 2017-02-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찰 전기를 이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036B1 (ko) 2018-01-15
US9391462B2 (en) 2016-07-12
US20130193774A1 (en)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036B1 (ko) 유무선 에너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ES2659399T3 (es) Unidad aislada de una red de energía aislada para la comunicación de demandas de energía con otra unidad aislada
US9190873B2 (en) Control system, correction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JP6365550B2 (ja) 電力制御装置及び電力制御方法
JPWO2017199604A1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蓄電制御装置
Li et al. An energy efficient solution: Integrating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in smart grid with renewable energy
CN103107600A (zh) 一种物联网智能充电供电系统及其调度方法
JPWO2013047114A1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サーバ
Scognamiglio et al. Photovoltaics in net zero energy buildings and clusters: Enabling the smart city operation
CN102255390B (zh) 一种采用超级电容与动力电池构成的家用储能装置
Shen et al. EFCon: Energy flow control for sustainable wireless sensor networks
WO2013047116A1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及び上位電力管理装置
JPWO2016157576A1 (ja) 発電装置監視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10892651B2 (en) Combined multi-source energy harvesting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Nassor et al. Enhancement of voltage stability of dc smart grid during islanded mode by load shedding scheme
Srbinovska et al. Optimization methods for energy consumption estim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O2016147456A1 (ja) 発電装置監視制御システム、電力系統システム、制御装置、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Li et al. Supply and demand oriented energy management in the internet of things
Bdiri et al. Wireless sensor nodes using energy harvesting and B-Mac protocol
KR20130123851A (ko) 대용량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13047113A1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及び上位電力管理装置
Johal et al. Grid integration of energy storage
CN104168652A (zh) 一种共享可再生能源和数据的无线通信系统及其资源分配方法
KR20190055915A (ko) 이종 이상의 주변 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US20210278809A1 (en) AI-enabled Self-Learning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