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347A -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347A
KR20130087347A KR1020120055373A KR20120055373A KR20130087347A KR 20130087347 A KR20130087347 A KR 20130087347A KR 1020120055373 A KR1020120055373 A KR 1020120055373A KR 20120055373 A KR20120055373 A KR 20120055373A KR 20130087347 A KR20130087347 A KR 20130087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upply
upgrading
process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615B1 (ko
Inventor
나기욱
강병권
조성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740,748 priority Critical patent/US9093015B2/en
Priority to EP13152275.7A priority patent/EP2621184A3/en
Priority to CN201310031391.9A priority patent/CN103227955B/zh
Publication of KR20130087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92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volatile storage medium, e.g. Random Access Memory [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요소 및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접속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에 의하여, 유휴자원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시스템 성능의 저하없이 보다 개선된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업그레이드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다양한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현 예시로는 TV 또는 모니터 등이 있으며, 예를 들면 TV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디코딩, 스케일링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으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러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다양한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한 회로 구성으로 구현된 영상처리보드를 내장한다.
최근 기술의 발달, 사용자의 요구에 대한 대응, 편의성 향상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디스플레이장치에 요구되는 능력은 심화 및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 향상, 즉 업그레이드(upgrade)를 위해서는 하드웨어의 측면과, 소프트웨어의 측면을 고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에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업그레이드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새롭게 연결된 업그레이드장치가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되며,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기존의 구성은 사용되지 않는 유휴자원으로 존재하게 되므로, 사용되지 않는 유휴자원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요소 및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접속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하여 제어된다.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1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저장되는 제2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업그레이드 버전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절감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제1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실행 가능하면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슬립 모드가 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전원 오프가 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제2사용자 선택이 입력되고, 상기 제2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 및 상기 제2저장부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것이면, 상기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하는 그래픽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처리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후처리는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처리,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후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믹싱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믹싱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처리부의 후처리는 쉐이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처리부의 후처리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영상처리와 비동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후처리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접속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는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처리,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믹싱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믹싱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의 영상처리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후처리와 비동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업그레이드장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1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1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저장되는 제2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면,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또는 제2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원절감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면,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슬립 모드가 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전원 오프가 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저장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2사용자 선택이 수신되고, 상기 제2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 및 상기 제2저장부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것이면,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저장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하는 그래픽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접속부를 제어하며, 상기 그래픽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는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처리,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후처리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접속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처리부의 후처리는 쉐이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행될수 있다.
상기 그래픽처리부의 후처리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처리와 비동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업그레이드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감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1사용자 선택이 입력되고,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을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서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슬립 모드가 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용자 선택이 입력되고, 상기 제2사용자 선택을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제2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 및 상기 제2저장부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것이면, 상기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는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처리,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믹싱하는 단계와; 상기 믹싱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그래픽처리부가 쉐이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영상처리와 비동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에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후처리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는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처리,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믹싱하는 단계와; 상기 믹싱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의 영상처리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후처리와 비동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1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1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저장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2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감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1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슬립 모드가 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2저장부에 전원 공급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 및 상기 제2저장부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제2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저장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는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처리,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된 영상처리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그래픽처리부가 쉐이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1저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며,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저장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업그레이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전원공급이 제어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하는 제1그래픽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그래픽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하는 제2그래픽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그래픽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업그레이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해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6은 업그레이드장치에서 영상처리 및 후처리가 수행되는 경우의 영상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업그레이드장치에서 영상처리가 수행되고,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후처리가 수행되는 경우의 영상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이에 접속될 수 있는 외장형 주변장치인 업그레이드장치(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존 동작을 개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즉, 기존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확장 디바이스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호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방송신호와 같은 영상신호 및 각종 데이터, 전원 등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300)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1)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TV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TV 이외에도 영상을 표시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구현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실행할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존 동작을 개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보다 업그레이드된 구성을 포함하여, 업그레이드된 구성에 의해 영상신호가 처리되게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화질의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영상처리회로 등과 같이 TV의 하드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하여 유선으로 접속됨으로써 업그레이드장치(20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사이에 데이터/정보/신호/전원이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업그레이드장치(20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호간의 물리적/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단자 구성(미도시)을 각각 포함한다.
한편,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본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무선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에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별도의 외부전원 또는 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1과 같이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유선으로 접속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단독으로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스마트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스마트 TV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신호, 영상신호 등을 수신, 처리하는 제1블록과; 웹브라우저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 기능,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롯폼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제2블록으로 기능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분리된 블록 중에서 제2블록의 기능이 업그레이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기능은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어 상기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이 업그레이드된다. 이러한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업그레이드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화질이 향상된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300)이 접속되는 영상수신부(110)와, 영상공급원(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영상처리부(120)와,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업그레이드장치(200)를 포함하는 주변장치와 접속하는 제1접속부(140)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커맨드를 출력하는 사용자입력부(15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와,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17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영상수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1영상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영상수신부(110)는 방송국의 송출장치(미도시)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수신부(110)는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미도시) 및/또는 튜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수신부(11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30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I/O(input/output) 장치로서,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규격이나 영상공급원(30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영상처리부(120)는 제1영상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제1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제1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제1영상처리부(120)는 상기 기재한 영상처리 이외에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음성신호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처리된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 배선(미도시)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수신부(110) 및 제1영상처리부(120)는 다양한 칩셋, 전자부품, 배선 등의 회로구성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보드로 구현되어 하나의 물리적인 블록 단위(도2의 A)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제1영상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후술하는 제1저장부(170)의 어느 한 프로그램이 제1제어부(180)에 의하여 실행되면, 그 실행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1접속부(140)를 통하여 접속되어,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저장부(270)의 어느 한 프로그램이 제2제어부(280)에 의하여 실행되면, 그 실행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제1접속부(140)는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접속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 사이에 각종 데이터 신호, 영상신호, 제어신호, 전원 등이 송수신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접속부(140)는 영상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컴포넌트(component) 규격에 대응하는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신호/제어신호/전원 등이 송수신되도록 USB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업그레이드장치(200)로 전달되는 모든 신호는 컨텐츠 보안을 위하여 암호화 될 수 있다. 물론, 암호화된 신호는 업그레이드장치(200)에서 암호 해제된 후 처리될 것이다.
제1접속부(140)에 접속되는 외부장치는 업그레이드장치(200)로 한정할 수 없으며, 제1접속부(1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사이에 신호/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는 제1접속부(140)에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1제어부(180)에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입력부(150)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입력을 제1접속부(140)를 통하여 업그레이드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된다.
한편,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마련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1제어부(18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제1접속부(140)를 통하여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면,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및/또는 업그레이드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로 공급되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제1접속부(160)에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지 않으면, 전원공급부(160)는 제1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접속부(140)에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면, 전원공급부(160)는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제어부(280)의 제어 하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및/또는 업그레이드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저장부(170)는 제1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1저장부(17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1저장부(170)에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1저장부(170)는 제1 OS, 제1웹 브라우저, 제1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 상기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하여 다운로드받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한다. 제1저장부(170)는 상기 예를 든 각종 프로그램과 함께 각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제1저장부(17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저장부(170)는 제1제어부(180)에 의하여 액세스되며, 제1제어부(18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제1저장부(170)는 제1제어부(180)에 의하여 수행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접속부(140)를 통하여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면, 제1저장부(170)는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하여 액세스 될 수 있으며, 제2제어부(28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제1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제어부(180)는 제1영상처리부(1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제1접속부(140)를 통한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8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81)로 구현되어, 제1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제1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제1제어부(180)는 CPU(181)를 보조하는 제1그래픽처리부(182)(이하, GPU(Graphic Processing Unit) 라고도 한다)와, DDR 메모리(RAM)와 같은 메모리(Memory)(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그래픽처리부(182)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그래픽성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OpenGL 또는 OpenGL ES 등의 표준 그래픽스 라이브러리를 하드웨어를 통해 가속할 수 있다. 이러한 제1GPU(182)는 사용자가 임의로 동작 파이프라인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기능(Programmable Pipeline)을 지원하며, 사용자는 쉐이더 프로그램(Shader Program)을 사용하여 제1GPU(182)를 다양한 그래픽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그래픽처리부(182)는 제1영상처리부(120) 또는 제2영상처리부(22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후처리는 GUI와 같은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처리,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스테레오 스코픽) 등의 다양한 영상처리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쉐이더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다양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1그래픽처리부(181)의 성능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적용 가능한 후처리 기능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추가될 수 있다.
제1그래픽처리부(182)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는 제1영상처리부(120) 또는 제2영상처리부(220)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와 혼합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예 따라, 제1저장부(170) 및 제1제어부(180)는 다양한 칩셋, 전자부품, 배선 등의 회로구성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보드로 구현되어 하나의 물리적인 블록 단위(도2의 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기술의 발전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한다.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 단계에서 제안되지 않았던 새로운 포맷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이거나, 또는 고화질 영상을 요구하는 트렌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수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시스템 부하를 보다 경감시키고자 하는 경우 등 다양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업그레이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각각의 측면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업그레이드하도록 마련된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1접속부(140)에 접속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존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업그레이드시킨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자원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자원에 대응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한다. 업그레이드장치(200)가 포함하는 이들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기한 적어도 일부 자원보다 향상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된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존 자원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대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어권을 가지고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하드웨어적으로 대체하면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인 제1저장부(170), 제1CPU(181), 제1GPU(182), 2D 가속기(GA: graphic accelerator) 등이 유휴자원으로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유휴자원인 제1저장부(170), 제1제어부(18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유휴자원인 제1그래픽처리부(182)를 이용하여 영상신호의 후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메인 디바이스인 업그레이드장치(200)의 기본 그래픽 출력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유휴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영상의 품질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하, 업그레이드장치(2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제1영상처리부(120)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에서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처리 가능한 제2영상처리부(22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접속부(140)에 접속되는 제2접속부(240)와,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270)와,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제2영상처리부(2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제1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일부의 제1프로세스에 대해, 제1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제2프로세스를 수행 가능하다. 제1프로세스 및 제2프로세스는 상호 구별을 위해 편의상 지칭한 것이며, 또한 하나의 단위 프로세스일 수 있고, 복수의 단위 프로세스일 수도 있다. 제2프로세스는 제1프로세스에 비해 기능적으로 향상되며, 이는 칩셋과 같은 하드웨어의 개선이나 또는 알고리즘/실행코드/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개선에 의해 실현된다.
제2영상처리부(2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접속 시에 제1제어부(180) 또는 제2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서, 제1프로세스를 대체하여 제2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수행됨에 있어서, 제1프로세스보다 기능적으로 향상된 제2프로세스가 제1프로세스 대신 수행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에 관한 자세한 실시예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2접속부(240)는 제1접속부(140)에 접속됨으로써 업그레이드장치(20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제2접속부(240)는 제1접속부(140)의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제2접속부(240)는 제1접속부(140)와 접속하도록 제1접속부(140)에 대응하는 규격에 따라 마련된다. 따라서, 제2접속부(240)는 제1접속부(140)에 대응하여 업그레이드장치(200)와 디스플레이장치(100)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 신호, 영상신호, 제어신호, 전원 등이 송수신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접속부(240)는 영상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컴포넌트(component) 규격에 대응하는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신호/제어신호/전원 등이 송수신되도록 USB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접속부(240)는 제1접속부(140)의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 중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 사이에 영상신호가 송수신되도록 HDMI단자(미도시)에, 그리고 데이터 및 전원이 송수신되도록 USB단자(미도시)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제1접속부(140) 및 제2접속부(240) 사이의 접속 방식은 상기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저장부(270)에는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2저장부(27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된다. 제2저장부(270)는 제2제어부(28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2제어부(28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제2저장부(270)는 제2제어부(280)에 의하여 수행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2저장부(270) 또한 구현 방식에 따라서 제2제어부(280) 뿐만 아니라 제1제어부(180)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제2저장부(270)는 제1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버전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1OS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제2OS, 제1웹 브라우저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제2 웹 브라우저, 제1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제2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 상기 제2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하여 다운로드받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한다. 제2저장부(270)는 상기 예를 든 각종 프로그램과 함께 각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제2제어부(280)는 전체적인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2제어부(280)는 제2영상처리부(2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제2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한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80)는 제2저장부(27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제2제어부(280)는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를 실행시켜, 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제2제어부(280)는 제2접속부(240)를 통한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예 따라, 제2저장부(270) 및 제2제어부(280)는 다양한 칩셋, 전자부품, 배선 등의 회로구성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보드로 구현되어 하나의 물리적인 블록 단위(도2의 B')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제어부(280) 및 제1제어부(18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81, 181)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제2제어부(280)가 제1제어부(180)보다 향상된 기능을 수행 가능하다면 제2제어부(280)는 제1제어부(180)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제1제어부(180)를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2제어부(280)는 제1제어부(180)와 함께 디스플레이 시스템(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제2제어부(280)는 CPU(281)를 보조하는 제1그래픽처리부(181)(이하, GPU(Graphic Processing Unit) 라고도 한다)와, DDR 메모리(RAM)와 같은 메모리(Memory)(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그래픽처리부(282)는 제2영상처리부(220) 또는 제1영상처리부(21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한 후처리, GUI 처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제2그래픽처리부(282)는 업그레이드장치(200)의 그래픽성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OpenGL 또는 OpenGL ES 등의 표준 그래픽스 라이브러리를 하드웨어를 통해 가속할 수 있다. 이러한 제2GPU(282)는 사용자가 임의로 동작 파이프라인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기능(Programmable Pipeline)을 지원하며, 사용자는 쉐이더 프로그램(Shader Program)을 사용하여 제2GPU(282)를 다양한 그래픽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2그래픽처리부(282)는 제1영상처리부(120) 또는 제2영상처리부(22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후처리는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스테레오 스코픽) 등의 다양한 영상처리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쉐이더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다양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2그래픽처리부(182)의 성능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적용 가능한 후처리 기능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르면,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2접속부(2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면, 제2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접속부(240) 및 제1접속부(140)를 통하여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면, 기설정된 세팅에 의하여 제2제어부(280)가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면, 디폴트된 설정에 의하여 제2제어부(280)가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여 제1저장부(170) 및 제1제어부(18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2저장부(270)에는 제1저장부(17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2저장부(270)의 프로그램의 실행시킬 경우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저장부(170)와 제2저장부(270)는 동일/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므로, 양자 모두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전원소비가 비경제적이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2접속부(240) 및 제1접속부(140)를 통하여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더라도,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1제어부(180)가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제2제어부(280)가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절감모드가 선택되면, 제2제어부(280)는 제1저장부(170) 및 제1제어부(18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2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저장부(170)와 제1제어부(180); 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로 선택적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하여 제1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면, 이는 제2접속부(240)를 통하여 제2제어부(280)로 전달된다. 제2제어부(280)는 상기 수신된 제1사용자 선택이 제1저장부(170)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가능한지, 아니면 제2저장부(220)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제1사용자 선택이 제1저장부(170)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지 않고 제2저장부(220)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제어부(280)는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여 제1저장부(170) 및 제1제어부(18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킨다. 또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제1저장부(170)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이면, 제2제어부(280)는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여 제1저장부(170) 및 제1제어부(18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슬립모드/전원절감모드가 되도록 하거나,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전원 오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원절감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커맨드라면, 제2제어부(280)는 상기 제1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버전정보가 제1저장부(170)에 저장된 제1OS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제1OS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이면, 제2제어부(280)는 전원 절감을 위하여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여 업그레이드장치(200)를 슬립모드/전원절감모드가 되도록 하거나 또는 업그레이드장치(20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전원오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1OS가 아닌 제2저장부(220)의 제2OS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이면, 제2제어부(280)는 전원 절감을 위하여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여 제1저장부(170) 및 제1제어부(18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또는, 제2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저장부(170)와 제1제어부(180);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로 전원이 모두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하여 제2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면, 이는 제2접속부(240)를 통하여 제2제어부(280)로 전달된다. 제2사용자 선택이 제1저장부(170)의 프로그램 및 제2저장부(220)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것이면, 제2제어부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저장부(170) 및 제1제어부(18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로 모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사용자선택이 PIP(Picture-in-picture) 기능 또는 PBP(Picture-by-picture) 기능의 실행을 포함할 수 있는바, 제1저장부(170)에 저장된 어느 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메인 화면에, 제2저장부(220)에 저장된 어느 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보조 화면에 표시시키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제2제어부(280)가 제1저장부(170) 및 제1제어부(180); 및/또는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상수신부(110), 영상처리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로의 전원은 항상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방송신호 또는 외부 영상공급원으로부터의 영상신호의 처리 및 표시와 관련된 구성 요소로의 전원공급에는 제어영향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영상처리부(12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영상처리부(220)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수신부(110)를 통해 3D 영상신호가 수신되고, 제1영상처리부(120)는 3D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없고, 제2영상처리부(220)가 3D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제2제어부(280)는 제1영상처리부(1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영상처리부(12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영상처리부(220)에 전원이 모두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업그레이드시키고, 유휴자원에 대한 불필요한 전원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온 되고(S301),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하여 사용자 선택이 입력된다(S302).
제1접속부(140)를 통하여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303), 확인결과,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지 않으면, 전원공급부(160)는 기본적으로 제1제어부(180)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1저장부(170) 및 제1제어부(180)로 전원공급이 되도록 한다(S304).
단계 S303의 확인결과,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절감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11). 단계 S311의 확인결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절감모드가 선택된 것이면,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제어부(280)는 단계 S302에서 입력된 사용자 선택이 제1저장부(170)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12).
단계 S312의 확인 결과, 단계 S302의 사용자 선택이 제1저장부(170)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이면, 제2제어부(280)는 제1저장부(170) 및 제1제어부(18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한다(S304). 여기서, 제2제어부(280)는 업그레이드장치(200)로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312의 확인결과, 단계 S302의 사용자 선택이 제1저장부(170)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지 않고, 제2저장부(270)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제어부(280)는 제1저장부(170) 및 제1제어부(180)로의 전원 공급은 차단되도록하고, 업그레이드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한다(S313).
단계 S311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절감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고, 단계 S302의 사용자 선택이 제1저장부(170)의 프로그램 및 제2저장부(270)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커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21).
단계 S321의 확인 결과, 단계 S302의 사용자 선택이 동시 실행을 명령하는 것이면, 제2제어부(280)는 제1저장부(170) 및 제1제어부(18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 모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한다(S322).
한편,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르면,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2접속부(2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업그레이드장치(200)에 모두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유휴자원인 GPU(182, 282)를 이용하여 영상신호의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서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업그레이드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해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공급원(300)으로부터의 소정의 신호, 예를 들어서 방송신호가 수신되면(411), 이를 기 설정된 시퀀스의 영상처리 프로세스(412, 413, 414, 415, 416)에 따라서 처리한다. 도면에 나타난 영상처리 프로세스(412, 413, 414, 415, 416)의 예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간결히 표현하도록 몇 가지의 예시만을 나타낸 것일 뿐, 실제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구현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 모두를 나타낸 것이 아님을 밝힌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부가데이터로 분류하는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한다(412).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멀티플렉싱이 수행된 각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바, 예를 들어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포맷으로 디코딩 처리한다(413).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코딩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그래픽 처리)를 수행하고(414), 후처리된 영상신호와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믹싱한다(415). 디스플레이장치는(100)는 믹싱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소정 해상도로 스케일링하고(416), 스케일링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417).
이 일련의 시퀀스 중에서,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코딩 프로세스(413)에 대응하는 프로세스(423)를 수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수행 가능한 디코딩 프로세스(423)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수행 가능한 디코딩 프로세스(413)에 비해 디코딩이라는 동작 측면에서는 동일한 반면에 기능적으로 보다 향상된 바, 후자(413) 대신 전자(423)가 수행되는 것이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423)에서는 후자(413)에서 처리할 수 없는 레벨 이상의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처리 가능하거나, 후자(413)에서 처리할 수 없는 포맷의 영상신호를 처리 가능하거나, 후자(413)에서 적용될 수 없는 부가적 효과가 영상신호에 적용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시퀀스는, 제1제어부(180) 또는 제2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서, 디멀티플렉싱 단계(412) 이후에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코딩 단계(413)를 대체하여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디코딩 단계(423)가 수행된다.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디코딩 단계(423) 이후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GPU(182)에 의한 후처리단계(414)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후처리된 영상신호와 업그레이드장치(200)에서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믹싱하는 단계(415)가 수행되고, 이후 스케일링 단계(414)가 수행된다.
이러한 시퀀스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 사이에는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가 상호간에 송수신되며, 이는 제1제어부(180) 또는 제2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서 수행된다.
한편,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에서 일부 프로세스가 대체된 도 4의 경우와 달리,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영상처리부(22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영상처리부(120)를 대체하는 경우도 가능한 바, 이에 관해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서, 제1인터페이스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전송과정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신호는 영상수신부(110)에 수신되면(431), 제1영상처리부(120)에 전달된다(432). 제1영상처리부(120)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하며(433),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30)는 제1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면, 영상신호는 영상수신부(110)에 수신된 이후(431), 제1접속부(140)를 통해(434) 제1영상처리부(120)가 아닌 제2영상처리부(220)에 전송된다(435). 제2영상처리부(220)는 제1영상처리부(120) 대신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는 다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된다(436).
제2영상처리부(22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는 제1그래픽처리부(182)로 전달되고(437), 제1그래픽처리부(182)에서 후처리되어 제1영상처리부(120)에 전달된다(438). 제1영상처리부(220)는 신호를 믹싱 및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전달한다(433).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30)는 제2영상처리부(220) 및 제1그래픽처리부(182)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접속 시, 제2제어부(280)는 제1제어부(180)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제1영상처리부(120) 및 제2영상처리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2저장부(270)에 저장된 운영체제가 제1저장부(170)에 저장된 운영체제보다 버전업(version-up)된 경우, 제1저장부(170)의 운영체제를 제2저장부(270)의 운영체제로 업데이트시키고 업데이트된 운영체제를 구동시키거나, 또는 제1저장부(170)의 운영체제 대신 제2저장부(270)의 운영체제를 구동시키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업그레이드시키고,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영상의 화질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서 영상프레임의 처리를 도 6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6은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영상처리부(220)와 제2그래픽처리부(282)에서 영상처리 및 후처리가 수행되는 경우의 영상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처리가 수행되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그래픽처리부(182)에서 후처리가 수행되는 경우의 영상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그레이장치(200)에서 영상처리와 후처리가 모두 수행되는 경우, 하나의 프레임에 대하여 영상처리 및 후처리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즉, 제2제어부(280)는 1번 프레임에 대하여 영상처리 및 후처리가 모두 수행된 다음, 2번 프레임에 대하여 영상처리 및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제2영상처리부(220) 및 제2그래픽처리부(282)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출력영상이 생성되는데 t1 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그레이장치(200)에서 영상처리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후처리가 각각 수행되는 경우,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영상처리 및 후처리가 비동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그래픽처리부(182)에서 수행되는 후처리 동작은, 업그레이드장치(100)의 제2영상처리부(220) 및 제2그래픽처리부(282)의 동작과 독립적/비동기적으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제2제어부(280)는 1번 프레임에 대하여 영상처리가 수행되면, 후처리 여부와 관계없이 즉시 2번 프레임에 대하여 영상처리를 수행하도록 제2영상처리부(220)를 제어한다. 또한, 제1제어부(180)는 업그레이드장치(200)로부터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즉시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제1그래픽처리부(182)를 제어한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출력영상이 생성되는데 t1보다 짧은 t2 의 시간만이 소요되므로, 프레임레이트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후처리에 의해 보다 화질이 향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일장치에서 영상처리 및 후처리가 수행되는 경우보다,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가 전체 시스템의 처리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유휴자원에 의한 그래픽처리를 출력 파이프라인에 추가하여, 전체 시스템 성능의 저하없이 후처리가 수행된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어권을 가지는 메인 디바이스가 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을 유휴자원으로 활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반대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어권을 가지고 업그레이드장치(200)를 유휴자원으로 활용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유휴자원으로서 그래픽처리부(GPU)를 활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GPU 뿐 아니라 CPU, 2D-GA 등 유휴자원으로서 활용 가능한 모든 하드웨어 구성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접속부(140)에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면, 제2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업그레이드장치(200) 모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S501). 여기서, 단계 S501은 도 3의 제1실시예의 단계 S322에 대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공급원(300)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S502).
제1제어부(180)는 단계 S502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업그레이드장치(200)로 송신하고,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이를 수신한다(S504).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도록 제2영상처리부(220)를 제어한다(S506).
제2제어부(280)는 단계 S506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를 수신한다(S508).
제1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유휴자원인 제1그래픽처리부(182)가 단계 S508에서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510).
제1제어부(180)는 단계 S510에서 후처리된 영상신호를 단계 S508에서 수신된 원 영상신호와 믹싱하고, 스케일링한다(S512).
그리고, 제1제어부(180)는 단계 S512에서 스케일링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S514).
도 8에서는 업그레이드장치(200)에서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후처리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반대의 경우 즉,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업그레이드장치(200)에서 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유휴자원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 및/또는 프로그램의 기능에 따라 전력이 차단되는 유휴자원을 결정하거나, 모든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결정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모든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후처리 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의 저하 없이 동작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개선된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쉐이더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다양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유휴자원의 성능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적용 가능한 후처리 기능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추가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수신부 120 : 제1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1접속부
150 : 사용자입력부 160 : 전원공급부
170 : 제1저장부 180 : 제1제어부
181 : CPU 182 : 제1그래픽처리부(GPU)
183 : 메모리 200 : 업그레이드장치
220 : 제2영상처리부 240 : 제2접속부
270 : 제2저장부 280 : 제2제어부
281 : CPU 282 : 제2그래픽처리부(GPU)
283 : 메모리 300 : 영상공급원

Claims (62)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요소 및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접속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1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저장되는 제2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업그레이드 버전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절감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제1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실행 가능하면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슬립 모드가 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전원 오프가 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제2사용자 선택이 입력되고, 상기 제2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 및 상기 제2저장부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것이면, 상기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하는 그래픽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처리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는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처리,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후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믹싱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믹싱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처리부의 후처리는 쉐이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처리부의 후처리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영상처리와 비동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후처리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접속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는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처리,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믹싱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믹싱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의 영상처리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후처리와 비동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9. 디스플레이장치의 업그레이드장치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1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1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저장되는 제2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면,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또는 제2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원절감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면,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1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면,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실행 가능하면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슬립 모드가 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전원 오프가 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저장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2사용자 선택이 수신되고, 상기 제2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 및 상기 제2저장부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것이면,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저장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하는 그래픽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접속부를 제어하며, 상기 그래픽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는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처리,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후처리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접속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처리부의 후처리는 쉐이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31. 제27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처리부의 후처리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처리와 비동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32.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업그레이드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감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제1사용자 선택이 입력되고,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을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서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슬립 모드가 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제2사용자 선택이 입력되고, 상기 제2사용자 선택을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제2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 및 상기 제2저장부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것이면, 상기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는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처리,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믹싱하는 단계와;
    상기 믹싱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그래픽처리부가 쉐이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영상처리와 비동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5.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영상처리부에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후처리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는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처리,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믹싱하는 단계와;
    상기 믹싱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의 영상처리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후처리와 비동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9.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1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1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저장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2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감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1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선택이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슬립 모드가 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4.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2저장부에 전원 공급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5.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저장부의 프로그램 및 상기 제2저장부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제2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저장부와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저장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6.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는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처리, 영상의 화질개선, 선명도향상, 이미지필터링, 세피아효과, 2D-3D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된 영상처리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그래픽처리부가 쉐이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60.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1저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며,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저장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업그레이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전원공급이 제어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하는 제1그래픽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그래픽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하는 제2그래픽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그래픽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20055373A 2012-01-27 2012-05-24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93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40,748 US9093015B2 (en) 2012-01-27 2013-01-14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EP13152275.7A EP2621184A3 (en) 2012-01-27 2013-01-22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CN201310031391.9A CN103227955B (zh) 2012-01-27 2013-01-28 显示设备、升级设备、其控制方法和显示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204 2012-01-27
KR20120008204 2012-01-27
KR20120009425 2012-01-31
KR1020120009425 2012-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347A true KR20130087347A (ko) 2013-08-06
KR101936615B1 KR101936615B1 (ko) 2019-04-09

Family

ID=4921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373A KR101936615B1 (ko) 2012-01-27 2012-05-24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6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336A (ko) * 2006-08-18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20080078030A (ko) * 2005-11-30 2008-08-2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Tv-pc 아키텍처
KR20090132374A (ko) * 2008-06-20 200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서버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스템 제어프로그램 업데이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8030A (ko) * 2005-11-30 2008-08-2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Tv-pc 아키텍처
KR20080016336A (ko) * 2006-08-18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20090132374A (ko) * 2008-06-20 200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서버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스템 제어프로그램 업데이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615B1 (ko)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1782B2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of display system
US9093015B2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US20200326907A1 (en) Method for outputting audio data of applications and display device
EP2620865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23816B2 (en) Display system including a display apparatus and an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11557098B (zh) 电子装置及其显示方法
CN111432257A (zh) 一种显示设备开启屏幕保护的方法及显示设备
KR20130076676A (ko)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6634240A (zh) 一种显示设备的界面切换方法及显示设备
KR101936615B1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30194397A1 (en) Display apparatus, apparatus for upgrading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of display system
EP2611201A2 (en) Upgrad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US20130169876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20073798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620867A2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4122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アップグレード装置、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この制御方法
KR20130088712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방법
KR10198064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94283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US927078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inspecting application
US20130169892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system
CN114694599B (zh) 显示设备和mura处理方法
KR101963777B1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
WO2019058712A1 (ja)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30076675A (ko) 디스플레이장치, 이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