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121A -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121A
KR20130079121A KR1020120102749A KR20120102749A KR20130079121A KR 20130079121 A KR20130079121 A KR 20130079121A KR 1020120102749 A KR1020120102749 A KR 1020120102749A KR 20120102749 A KR20120102749 A KR 20120102749A KR 20130079121 A KR20130079121 A KR 20130079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upgrade
infant
upgrade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일
고창석
김정근
최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2198204.5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11192A1/en
Priority to US13/731,441 priority patent/US20130169892A1/en
Priority to CN2012105927823A priority patent/CN103188563A/zh
Publication of KR2013007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라서 외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처리부와;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하게 마련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유아이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해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지 않은 영상신호의 외부 입력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유아이 영상이 디스플레이장치 및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각각의 외부 입력 상태를 함께 표시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이 디스플레이장치를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장치,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업그레이드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존 동작 구성이 개선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다양한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현 예시로는 TV 또는 모니터 등이 있으며, 예를 들면 TV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디코딩, 스케일링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러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다양한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한 회로 구성으로 구현된 영상처리보드를 내장한다. 그런데, 기술의 발달, 사용자의 요구에 대한 대응, 편의성 향상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디스플레이장치에 요구되는 능력은 심화 및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 향상, 즉 업그레이드(upgrade)를 위해서는 하드웨어의 측면과, 소프트웨어의 측면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런데, 하드웨어의 관점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업그레이드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내장된 영상처리보드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물리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바, 제조 측면 및 사용 측면 모두에서 용이하지 않다. 소프트웨어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보다 발전된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응하게 설계된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는 바, 결국 일반 사용자로서는 업그레이드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새로 구매하는 부담을 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라서 외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하게 마련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유아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지 않은 영상신호의 외부 입력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각각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를 함께 표시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을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다이렉트로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외부 입력 상태에 따라서 상기 영상신호의 수신을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수신부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영상신호를 다이렉트로 수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대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 상태가,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아이 영상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기능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기능 각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 가능하게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을 통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 상기 제1기능 및 상기 제2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진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상기 영상신호 또는 구동전원의 전달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대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미접속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폴트 동작을 위한 기본모드를 상기 유아이 영상에 표시하며, 상기 접속부에 대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 시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모드가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기본모드로 전환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에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이 영상은,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접속된 상기 접속단자의 표시를 삭제하거나,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접속된 상기 접속단자를 선택할 수 없게 비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접속된 상기 접속단자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접속된 상기 둘 이상의 접속단자 중 어느 하나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미접속 시의 상기 기본모드를 삭제 또는 선택할 수 없게 비활성화하여 표시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상기 접속모드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 시의 상기 유아이 영상의 상기 기본모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TV를 포함하며, 상기 기본모드는 방송신호에 기초하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업그레이드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라서 외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시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에 대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지 않은 영상신호의 외부 입력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각각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를 함께 표시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을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다이렉트로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외부 입력 상태에 따라서 상기 영상신호의 수신을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수신부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영상신호를 다이렉트로 수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 상태가,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아이 영상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기능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기능 각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 가능하게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을 통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 상기 제1기능 및 상기 제2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진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상기 영상신호 또는 구동전원의 전달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을 통한 선택 결과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 시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모드가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기본모드로 전환 표시되게 제어하며, 상기 기본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미접속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폴트 동작을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접속부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에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이 영상은,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접속단자의 표시를 삭제하거나,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접속단자를 선택할 수 없게 비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접속단자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둘 이상의 접속단자 중 어느 하나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미접속 시의 상기 기본모드를 삭제 또는 선택할 수 없게 비활성화하여 표시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상기 접속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 시의 상기 유아이 영상의 상기 기본모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라서 외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유아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하게 마련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 시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영상신호의 외부 입력을 수신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각각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라서 외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에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시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유아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지 않은 영상신호의 외부 입력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각각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라서 외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며, 업그레이드된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업그레이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지 않은 영상신호의 외부 입력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각각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해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접속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외부 입력 상태를 나타내는 유아이 영상의 예시도,
도 7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는 외부 입력 상태를 나타내는 유아이 영상의 예시도,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영상공급원 및 업그레이드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접속부에 접속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은 도 9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장치 및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의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장치 및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된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의 예시도,
도 13은 도 9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의 예시도,
도 16은 도 14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17은 도 14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시키는 업그레이드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1)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TV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TV 이외에도 영상을 표시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구현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을 업그레이드하고, 업그레이드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영상신호가 처리되게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화질의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유선으로 접속됨으로써 업그레이드장치(20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사이에 데이터/정보/신호/전원이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업그레이드장치(20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호간의 물리적/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단자 구성(110, 210)을 각각 포함한다.
또는,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본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무선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에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별도의 외부전원 또는 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유선으로 접속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단독으로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접속에 따라서 상기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이 업그레이드되고, 이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화질이 향상된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301)이 접속되는 제1접속부(110)와, 제1접속부(110)를 통해 영상공급원(301)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영상처리부(120)와, 제1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기 설정된 커맨드를 출력하는 사용자입력부(140)와,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15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제1접속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301)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1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며,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규격이나 영상공급원(301)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1접속부(11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 접속단자(미도시)에 영상공급원(301)을 비롯한 다양한 외부장치가 접속됨으로써, 제1접속부(110)를 경유한 통신이 가능하다.
즉, 제1접속부(110)에 접속되는 외부장치는 영상공급원(301)으로 한정할 수 없으며, 제1접속부(1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사이에 신호/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는 제1접속부(110)에 접속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업그레이드장치(200) 또한 제1접속부(110)에 접속될 수 있다.
제1영상처리부(120)는 제1접속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제1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제1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 배선(미도시)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제1영상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1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된다.
또는,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1제어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1저장부(1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6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1제어부(16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제1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제1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제어부(160)는 제1영상처리부(1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제1접속부(110)를 통한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사용자입력부(14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기술의 발전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한다.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 단계에서 제안되지 않았던 새로운 포맷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이거나, 또는 고화질 영상을 요구하는 트렌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수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시스템 부하를 보다 경감시키고자 하는 경우 등 다양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업그레이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각각의 측면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업그레이드하도록 마련된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1접속부(110)에 접속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존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업그레이드시킨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자원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자원에 대응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한다. 업그레이드장치(200)가 포함하는 이들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기한 적어도 일부 자원보다 향상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된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존 자원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대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하, 업그레이드장치(2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접속부(110)에 접속되는 제2접속부(210)와, 제1영상처리부(120)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에서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처리 가능한 제2영상처리부(220)와,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250)와,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제2접속부(210)는 제1접속부(110)에 접속됨으로써 업그레이드장치(20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제2접속부(210)는 제1접속부(110)와 접속하도록 제1접속부(110)에 대응하는 규격에 따라서 마련되며, 제1접속부(110)의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접속부(210)는 제1접속부(110)의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 중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 사이에 영상신호가 송수신되도록 HDMI단자(미도시)에, 그리고 데이터 및 전원이 송수신되도록 USB단자(미도시)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제1접속부(110) 및 제2접속부(210) 사이의 접속 방식은 상기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영상처리부(2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제1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일부의 제1프로세스에 대해, 제1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제2프로세스를 수행 가능하다. 제1프로세스 및 제2프로세스는 상호 구별을 위해 편의상 지칭한 것이며, 또한 하나의 단위 프로세스일 수 있고, 복수의 단위 프로세스일 수도 있다. 제2프로세스는 제1프로세스에 비해 기능적으로 향상되며, 이는 칩셋과 같은 하드웨어의 개선이나 또는 알고리즘/실행코드/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개선에 의해 실현된다.
제2영상처리부(2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접속 시에 제1제어부(160) 또는 제2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서, 제1프로세스를 대체하여 제2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수행됨에 있어서, 제1프로세스보다 기능적으로 향상된 제2프로세스가 제1프로세스 대신 수행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에 관한 자세한 실시예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2저장부(250)는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2저장부(2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제2저장부(250)는 제1제어부(160) 또는 제2제어부(260)에 의해 액세스되며, 이들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한편, 제1저장부(150) 또한 구현 방식에 따라서 제1제어부(160) 뿐만 아니라 제2제어부(260)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제2제어부(260)는 전체적인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 사이의 접속 동작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60) 및 제1제어부(160)는 CPU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제2제어부(260)가 제1제어부(160)보다 향상된 기능을 수행 가능하다면 제2제어부(260)는 제1제어부(160)를 디스에이블(disable) 또는 비활성화시키고 제1제어부(160)를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2제어부(260)는 제1제어부(160)와 함께 디스플레이 시스템(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업그레이드장치(200)의 구조에서, 제2영상처리부(220)에서 처리하는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영상공급원(301)으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신호일 수 있다. 즉,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처리 대상이 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경유하지 않고 영상공급원(302)으로부터 다이렉트(direct)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에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영상공급원(302)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 가능한 제2수신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영상공급원(301) 및 영상공급원(302)는 서로 상이한 구성일 수도, 동일한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업그레이드장치(200)는 그 설계 방식에 따라서, 제2수신부(270)를 포함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제2수신부(270)가 없다면,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영상공급원(302)으로부터 다이렉트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나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가능하다. 반면, 제2수신부(270)가 있다면,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영상공급원(302)으로부터 다이렉트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업그레이드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해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공급원(301)으로부터의 소정의 신호, 예를 들어서 방송신호가 수신되면(411), 이를 기 설정된 시퀀스의 영상처리 프로세스(412, 413, 414)에 따라서 처리한다. 도면에 나타난 영상처리 프로세스(412, 413, 414)의 예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간결히 표현하도록 몇 가지의 예시만을 나타낸 것일 뿐, 실제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구현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 모두를 나타낸 것이 아님을 밝힌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부가데이터로 분류하는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한다(412).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멀티플렉싱이 수행된 각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바, 예를 들어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포맷으로 디코딩 처리한다(413).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소정 해상도로 스케일링하고(414), 스케일링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415).
이 일련의 시퀀스 중에서,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코딩 프로세스(413)에 대응하는 프로세스(423)를 수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수행 가능한 디코딩 프로세스(423)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수행 가능한 디코딩 프로세스(413)와 비교할 때, 디코딩이라는 동작 측면에서는 동일한 반면에 기능적으로 보다 향상된 바, 후자(413) 대신 전자(423)가 수행되는 것이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423)에서는 후자(413)에서 처리할 수 없는 레벨 이상의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처리 가능하거나, 후자(413)에서 처리할 수 없는 포맷의 영상신호를 처리 가능하거나, 후자(413)에서 적용될 수 없는 부가적 효과가 영상신호에 적용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시퀀스는, 제1제어부(160) 또는 제2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서, 디멀티플렉싱 단계(412) 이후에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코딩 단계(413)를 대체하여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디코딩 단계(423)가 수행된다.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디코딩 단계(423) 이후에는 스케일링 단계(414)가 수행된다.
이러한 시퀀스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 사이에는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가 상호간에 송수신되며, 이는 제1제어부(160) 또는 제2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서 수행된다.
한편,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에서 일부 프로세스가 대체된 도 3의 경우와 달리,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영상처리부(22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영상처리부(120) 전체를 대체하는 경우도 가능한 바, 이에 관해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서, 제1접속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전송과정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신호는 제1접속부(110)에 수신되면(431), 제1영상처리부(120)에 전달된다(432). 제1영상처리부(120)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하며(433),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30)는 제1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한편,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면, 영상신호는 제1접속부(110)에 수신된 이후(431), 제1영상처리부(120)가 아닌 제2영상처리부(220)에 전송된다(434). 제2영상처리부(220)는 제1영상처리부(120) 대신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는 다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된다(435).
영상신호는 제1영상처리부(120)에 전달되지 않게 바이패스(bypass)되어 디스플레이부(130)에 전달되며(436),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30)는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또는, 영상신호는 제1접속부(110)로부터 제1영상처리부(120)에 전달되지만, 제1영상처리부(120)는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30)에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접속 시, 제2제어부(260)는 제1제어부(160)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제1영상처리부(120) 및 제2영상처리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2저장부(250)에 저장된 운영체제가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운영체제보다 버전업(version-up)된 경우, 제1저장부(150)의 운영체제를 제2저장부(250)의 운영체제로 업데이트시키고 업데이트된 운영체제를 구동시키거나, 또는 제1저장부(150)의 운영체제 대신 제2저장부(250)의 운영체제를 구동시키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다.
도 5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접속부(110)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부(110)는 HDMI, USB, 컴포넌트, 안테나 입력 등과 같은 다양한 규격의 외부 입력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규격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110a, 110b, 110c, 110d)를 포함한다. 본 도면에 도시된 각 접속단자(110a, 110b, 110c, 110d)는 제1접속부(110)가 포함할 수 있는 일부의 예시일 뿐인 바, 제1접속부(110)는 외부 입력의 규격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접속단자(110a, 110b, 110c, 110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표시하는 외부 입력 상태를 나타내는 유아이 영상(UI, user interface)(510)의 예시도이다.
제1접속부(110)는 다양한 영상공급원(301)으로부터 다양한 규격에 기초한 영상신호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영상공급원(301)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라고 한다면, 복수의 영상공급원(301)으로부터 영상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경우는 복수의 외부 입력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러한 복수의 외부 입력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를 선택하도록 제공할 수 있는 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아이 영상(510)을 표시한다. 본 유아이 영상(510)은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표시하는 경우의 영상이다.
유아이 영상(510)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복수의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한다. 즉, 유아이 영상(510)은 제1접속부(110)의 각 접속단자(110a, 110b, 110c, 110d, 도 5 참조)를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여 표시할 것인지에 관한 사용자의 선택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해 외부 입력 상태의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유아이 영상(510)을 표시한다. 유아이 영상(510)을 통해 어느 하나의 접속단자(110a, 110b, 110c, 110d, 도 5 참조)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은 선택된 접속단자(110a, 110b, 110c, 110d, 도 5 참조)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상태에서 유아이 영상(510)의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업그레이드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경유하지 않고 다이렉트로 영상신호의 수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2수신부(270, 도 2 참조)에 해당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판단을 수행한다.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2수신부(270, 도 2 참조)에 해당하는 구성을 가지지 않는, 즉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경유하지 않고 다이렉트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구성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외부 입력 상태의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6과 같은 유아이 영상(510)을 표시한다.
반면,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2수신부(270, 도 2 참조)에 해당하는 구성을 가지는, 즉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경유하지 않고 다이렉트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접속부(110) 뿐 아니라, 업그레이드장치(200)를 통해서도 수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도 6과 같은 유아이 영상(510)은 업그레이드장치(200)를 통한 외부 입력 상태는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7과 같은 유아이 영상(520)을 표시한다.
도 7은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표시하는 외부 입력 상태를 나타내는 유아이 영상(520)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영상신호를 다이렉트로 수신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유아이 영상(520)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외부 입력 상태(521)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에 대한 외부 입력 상태(522)를 함께 표시한다. 즉, 도 7의 유아이 영상(520)은 도 6의 유아이 영상(510)에 비해, 업그레이드장치(200)에 다이렉트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의한 외부 입력 상태를 추가하여 확장시킨 영상이다.
즉, 유아이 영상(520)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는 옵션(521)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는 옵션(522)을 함께 제공한다. 여기서,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외부 입력 상태를 나타내는 New Interface 1 및 New Interface 2(522)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외부 입력 상태(521)와 같은 규격 명칭 등에 준하여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외부 입력 상태(521)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에 대한 외부 입력 상태(522)는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윈도우 내에서 동일 계층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윈도우에 각각 표시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유아이 영상(520)을 통해 어느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가 선택되면, 선택된 외부 입력 상태에 따라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한다. 이로써,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업그레이드가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에게 외부 입력 상태의 선택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어 동작의 주체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상태에서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어 동작의 주체가 될 수도 있다. 이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변경 가능한 사항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이러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상태를 초기 상태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 입력 상태의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S100), 접속된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다이렉트로 영상신호를 수신 가능한 구성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판단 결과,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다이렉트로 영상신호를 수신 가능한 구성이라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외부 입력 상태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에 대한 외부 입력 상태를 각각 확인한다(S120). 확인이 끝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확인된 외부 입력 상태를 포함하는 유아이 영상을 포함한다(S130). 이 경우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외부 입력 상태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에 대한 외부 입력 상태를 모두 포함하며, 사용자는 이들 외부 입력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반면, 판단 결과,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다이렉트로 영상신호를 수신 가능한 구성이 아니라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원래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외부 입력 상태만을 확인한다(S140). 확인이 끝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확인된 외부 입력 상태를 포함하는 유아이 영상을 포함한다(S130). 이 경우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외부 입력 상태만을 포함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함에 따라서 외부 입력 상태가 확장되는 경우, 이들 외부 입력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접속부(110)에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구조 하에서,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은 복수의 외부 입력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즉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소스가 되는 영상공급원을 선택하는 유아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이 제공하는 유아이 영상의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 제1제어부(16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체이며,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경우에 제2제어부(260)가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체인 것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이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업그레이드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따라서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는 사항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경우에 제1제어부(160)가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는 영상공급원(310, 32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1접속부(110)에 접속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부(110)는 복수의 접속단자(111, 112, 113, 114, 115, 116)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속단자(111, 112, 113, 114, 115, 116)는 예를 들면, HDMI단자(111, 112, 113), USB단자(114, 115), 컴포넌트단자(116) 등 다양한 규격의 단자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접속단자(111, 112, 113, 114, 115, 116) 중에서, 제1HDMI단자(111)에는 DVD 플레이어(310)가, 제2HDMI단자(112)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320)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제3HDMI단자(113) 및 제2USB단자(115)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단자의 규격은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사항이 아니며, 다만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편의상 도입된 내용일 뿐임을 밝힌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미도시)로부터 DTV규격에 따라서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바, 이러한 방송신호의 수신은 제1접속부(110)를 통해 수행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별도로 설치된 수신 구성(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TV로 구현되는 경우, 이러한 방송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방송 영상으로 표시하는 동작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본적인 디폴트(default) 모드, 즉 기본모드가 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기본모드 시에 방송신호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것 이외에, 제1접속부(110)에 로컬(local) 접속된 타 영상공급원(310, 320)으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복수의 영상공급원(310, 3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영상공급원(310, 320)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데, 이를 해당 영상공급원(310, 320)의 접속모드라고 지칭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기본모드 및 영상공급원(310, 320)의 접속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모드로 전환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가 이러한 모드의 선택을 수행하도록, 즉 사용자가 영상신호의 소스의 선택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유아이 영상을 제공한다.
도 10은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530)의 예시도이다. 즉, 본 도면의 유아이 영상(530)은 도 9에서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3HDMI단자(113) 및 제2USB단자(115)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되는 영상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해 영상신호의 소스 전환을 명령하는 커맨드를 제1제어부(160)에 전달하면, 제1제어부(160)는 제1접속부(110)의 외부 접속 상태에 기초하여 유아이 영상(530)을 표시한다.
유아이 영상(530)에서, "TV"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본모드, 즉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한편, "HDMI-1"은 제1HDMI단자(111)를, "HDMI-2"는 제2HDMI단자(112)를 각각 나타낸다. 유아이 영상(530)은 제1HDMI단자(111)에 DVD 플레이어(310)가 접속되어 있고, 제2HDMI단자(112)에 블루레이 플레이어(320)가 접속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유아이 영상(530)의 해칭(hatching)된 하단 부분은, 해당 유아이 영상(530)에서 선택할 수 없게 비활성화 표시된 영역이다. 즉, 현 시점에서 제3HDMI단자(113), 제1USB단자(114), 제2USB단자(115), 컴포넌트단자(116)에는 어떠한 장치도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도 9 참조), 제1제어부(160)는 유아이 영상(530)에서 해당 단자들을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해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제어부(160)는 유아이 영상(530)에서 해당 단자들을 삭제함으로써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가 유아이 영상(530)을 통해 기본모드, DVD 플레이어(310)의 접속모드, 블루레이 플레이어(320)의 접속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1제어부(160)는 선택한 모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영상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도 11은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540)의 예시도이다. 즉, 본 도면의 유아이 영상(540)은 도 9에서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3HDMI단자(113) 및 제2USB단자(115)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표시되는 영상이다.
1차적으로, 제2제어부(260)는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제3HDMI단자(113) 및 제2USB단자(115)의 복수 접속단자(113, 115)에 접속되면, 제3HDMI단자(113) 및 제2USB단자(115) 중에서 어느 하나만이 유아이 영상(540)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접속모드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2제어부(260)는 유아이 영상(540)에서 제3HDMI단자(113)에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어 있음을 표시하고, 제2USB단자(115)는 유아이 영상(540)에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적으로, 제2제어부(260)는 유아이 영상(540)에서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접속모드의 명칭을 수정하고, 기본모드로 표시되게 한다. 앞서 도 6의 경우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본모드는 "TV"로 표시되어 있었다면, 제2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미접속 시의 기본모드(도 10의 "TV" 참조)를 표시하지 않고,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접속모드를 현재 상태의 기본모드로서 유아이 영상(540)에 "TV"로 표시한다.
제2제어부(260)는 유아이 영상(540)에서 "TV"가 선택되면,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해 업그레이드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방송신호를 처리 및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 사이의 접속에 대응하여, 영상신호의 소스를 선택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 유아이 영상(540)이 제공된다.
한편, 도 12는 도 11의 경우와 상이하게 구성된 유아이 영상(550)의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미접속된 상태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본모드와,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상태의 업그레이드장치(200) 접속모드를 유아이 영상(550)에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유아이 영상(550)에서 전자의 경우를 "TV"로, 후자의 경우를 "Upgrade TV"로 나타낸다면, 제2제어부(260)는 업그레이드장치(200) 접속모드를 현재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기본모드로서 "Upgrade TV"로 표시하고, "TV"는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시켜 표시한다. 또는 "TV"를 유아이 영상(550)에서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제어방법에 관해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이러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아이 영상을 표시한다(S200). 이후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면(S21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유아이 영상에서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접속모드를 기본모드로 전환하여 표시한다(S220).
유아이 영상을 통해 기본모드가 선택되면(S230),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해 업그레이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1) 하에서 방송 영상을 표시한다(S240). 한편, 유아이 영상을 통해 타 영상공급원(300)의 접속모드가 선택되면(S250), 해당 영상공급원(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S260).
한편, 제3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어 있을 때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한 업그레이드를 수행할지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유아이 영상(560)을 도 14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아이 영상(560)의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이 영상(560)은 예를 들면 기존 TV 시스템을 선택하는 옵션 및 업그레이드 TV 시스템을 선택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전자의 옵션의 경우,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존 구성만으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 경우는,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되어 있으나 비활성화되므로,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수행하지 않는다.
후자의 옵션의 경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수행한다.
도 15는 도 14의 경우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이 영상(570)의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이 영상(570)은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대해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복수의 기능 또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경우, 각각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유아이 영상(570)에서 "기존 TV 시스템"이 제공하는 네 기능 중에서 "A 기능" 및 "C 기능"을 활성화하고 "B 기능" 및 "D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 또는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유아이 영상(570)을 통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 기능에 기초하여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진행시킨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기존 TV 시스템"의 "B 기능" 및 "D 기능"이 비활성화되게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기존에 제공하던 "B 기능" 및 "D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을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도면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본 실시예를 간결히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만을 표현한 것임을 밝힌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접속부(110), 제1영상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1제어부(160)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인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시스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170)와,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업그레이드장치(200)에 대한 영상신호 또는 전원의 전달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280)를 포함한다.
스위칭부(280)는 전원공급부(170)로부터의 구동 전원이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전송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치(281)와, 제1영상처리부(120)로부터의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2스위치(282)와, 제1영상처리부(12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 사이의 영상신호의 송수신을 스위칭하는 제3스위치(283)를 포함한다. 이들 스위칭부(280)의 스위칭 여부는 제1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며, 스위칭부(280)는 본 실시예에 설명하는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신호의 송수신을 스위칭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스위치(281)는 제1접속부(110) 및 전원공급부(170) 사이의 전원 경로 상에 설치됨으로써, 전원공급부(170)로부터의 전원이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전달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제1스위치(281)가 전원 전달을 차단하는 경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의 전원을 전달받을 수 없다.
이러한 전원 차단은,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별도의 전원 수단을 가지므로 구동 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 공급이 불필요한 경우이거나, 또는 업그레이드장치(200)를 비활성화시키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도 14 참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업그레이드장치(200)를 비활성화시키는 경우, 제1제어부(160)는 제1스위치(281)가 전원 전달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제2스위치(282)는 제1영상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만일, 업그레이드장치(20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다이렉트로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하는 구성인 경우, 제2스위치(282)는 영상신호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제3스위치(283)는 제1영상처리부(120) 및 제1접속부(110) 사이의 신호 경로 상에 설치되며, 제1영상처리부(12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신호 송수신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만일, 업그레이드장치(200)를 비활성화시키는 경우, 제3스위치(283)는 제1영상처리부(12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 사이의 신호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제3스위치(283)는 업그레이드장치(200)에 다이렉트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1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는 경우나, 업그레이드장치(20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제1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는 경우에, 제1영상처리부(12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 사이의 신호 전달을 허용한다.
제1제어부(160)는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한 업그레이드 수행의 선택에 따라서 이라한 스위칭부(280)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 내부,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00) 사이의 전원 또는 신호 전달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이러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다(S300).
이러한 접속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업그레이드장치(200)를 활성화할 것인지, 즉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한 업그레이드의 수행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받는다(S310). 이와 같은 입력은 앞선 도 14 관련 예시와 같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한 입력으로부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활성화 요청 여부를 판단한다(S320).
업그레이드장치(200)의 활성화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업그레이드장치(20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업그레이드가 수행되게 한다(S330).
반면, 업그레이드장치(200)의 활성화가 아닌 비활성화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업그레이드장치(200)를 비활성화하고 기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의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34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접속된 상태에도,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따라서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한 업그레이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제1접속부
120 : 제1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사용자입력부
150 : 제1저장부
160 : 제1제어부
200 : 업그레이드장치
210 : 제2접속부
220 : 제2영상처리부
250 : 제2저장부
260 : 제2제어부
270 : 제2수신부

Claims (26)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라서 외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하게 마련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유아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지 않은 영상신호의 외부 입력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각각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를 함께 표시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을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다이렉트로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외부 입력 상태에 따라서 상기 영상신호의 수신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수신부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영상신호를 다이렉트로 수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대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 상태가,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이 영상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기능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기능 각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 가능하게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을 통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 상기 제1기능 및 상기 제2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진행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상기 영상신호 또는 구동전원의 전달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대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미접속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폴트 동작을 위한 기본모드를 상기 유아이 영상에 표시하며, 상기 접속부에 대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 시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모드가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기본모드로 전환 표시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에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이 영상은,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접속된 상기 접속단자의 표시를 삭제하거나,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접속된 상기 접속단자를 선택할 수 없게 비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접속된 상기 접속단자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접속된 상기 둘 이상의 접속단자 중 어느 하나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미접속 시의 상기 기본모드를 삭제 또는 선택할 수 없게 비활성화하여 표시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상기 접속모드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 시의 상기 유아이 영상의 상기 기본모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TV를 포함하며,
    상기 기본모드는 방송신호에 기초하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디스플레이장치의 업그레이드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라서 외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시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에 대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지 않은 영상신호의 외부 입력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각각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를 함께 표시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을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다이렉트로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외부 입력 상태에 따라서 상기 영상신호의 수신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수신부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영상신호를 다이렉트로 수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 상태가,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이 영상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기능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기능 각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 가능하게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을 통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 상기 제1기능 및 상기 제2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진행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상기 영상신호 또는 구동전원의 전달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을 통한 선택 결과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 시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모드가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기본모드로 전환 표시되게 제어하며,
    상기 기본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미접속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폴트 동작을 위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접속부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에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이 영상은,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접속단자의 표시를 삭제하거나,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접속단자를 선택할 수 없게 비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접속단자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둘 이상의 접속단자 중 어느 하나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미접속 시의 상기 기본모드를 삭제 또는 선택할 수 없게 비활성화하여 표시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상기 접속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 시의 상기 유아이 영상의 상기 기본모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24.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라서 외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유아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하게 마련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 시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영상신호의 외부 입력을 수신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각각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5. 디스플레이장치의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라서 외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에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시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유아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이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지 않은 영상신호의 외부 입력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유아이 영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각각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26.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따라서 외부 입력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며, 업그레이드된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업그레이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지 않은 영상신호의 외부 입력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대한 각각의 상기 외부 입력 상태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20102749A 2011-12-30 2012-09-17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30079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98204.5A EP2611192A1 (en) 2011-12-30 2012-12-19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system
US13/731,441 US20130169892A1 (en) 2011-12-30 2012-12-31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system
CN2012105927823A CN103188563A (zh) 2011-12-30 2012-12-31 显示装置、升级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显示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300 2011-12-30
KR20110147300 2011-12-30
KR20120010075 2012-01-31
KR20120009988 2012-01-31
KR1020120009988 2012-01-31
KR1020120010075 2012-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121A true KR20130079121A (ko) 2013-07-10

Family

ID=4899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749A KR20130079121A (ko) 2011-12-30 2012-09-17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91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1782B2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of display system
US9823816B2 (en) Display system including a display apparatus and an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9093015B2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US9508311B2 (en) Display apparatus, connectable external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US2013016960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76676A (ko)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30169653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EP2611193B1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13140571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アップグレード装置、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この制御方法
US20130194282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79121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30194283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US20130169892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system
KR10197095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713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963777B1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
KR101936615B1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30087749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어플리케이션을 검사하는 시스템
KR20130088653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
CN104010216A (zh) 显示设备、升级设备、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30076675A (ko) 디스플레이장치, 이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