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220A -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상기 배전함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상기 배전함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6220A KR20130086220A KR1020137008956A KR20137008956A KR20130086220A KR 20130086220 A KR20130086220 A KR 20130086220A KR 1020137008956 A KR1020137008956 A KR 1020137008956A KR 20137008956 A KR20137008956 A KR 20137008956A KR 20130086220 A KR20130086220 A KR 201300862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eaker
- distribution box
- load
- accident
-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02J3/0073—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for providing alternative feeding paths between load and source when the main path fails, e.g. transformers, busba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power line carrier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n auxiliary distribution system and its associated lamps are brought into servic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05B47/25—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overcurre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05B47/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earth f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 쌍을 포함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갖는 양방향 전원 선로에 이용하고, 상기 각 2열의 전원 선로는 서로 대향되는 상기 차단기 쌍으로 연결하되, 상기 차단기 쌍 중에서 한 개의 차단기는 부하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단기 쌍을 포함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갖는 양방향 전원 선로에 이용하고, 상기 각 2열의 전원 선로는 서로 대향되는 차단기끼리 연결하되, 상기 차단기 쌍 중에서 한 개의 차단기는 부하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단기 쌍을 포함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갖는 루프 배선 연결 선로에 이용하고, 상기 2열의 전원 선로 중 각각의 선로는 차단기 각 단자에서 폐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단기 쌍을 포함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갖는 루프 배선 연결 선로에 이용하고, 상기 각 2열의 전원 선로는 서로 대향되는 차단기끼리 연결하되, 상기 차단기 쌍 중에서 한 개의 차단기는 부하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머레이루프 측정모듈을 포함하고, 2선 지락 고장점 측정을 위해 상기 머레이루프 측정모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단기 쌍을 포함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제어단말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갖는 양방향 전원 선로에 이용하고, 상기 각 2열의 전원 선로는 서로 대향되는 차단기끼리 연결하고, 상기 각각의 차단기는 식별 가능한 센서 노드로서 작동하며,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식별 가능한 각각의 차단기의 부하 연결을 제어하며, 상기 차단기 쌍 중에서 한 개의 차단기는 부하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함에는 계량기 및 차단기 등이 설치되며, 선로를 통해 연결된 부하에 전력을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차단기는 서지 및 낙뢰 등에 따른 과전류 또는 누전 등에 따른 추가 사고를 방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서, 주로 추가적인 사고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배전함이 이용되는 지역에 따라서, 예를 들어, 공원, 길거리, 아파트 단지 또는 군대 경계지역 등과 같은 곳에서는, 추가적인 사고를 예방하는 것 이외에도 사고가 신속히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배전함 구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도 1a는 단방향 배선 연결구조에 배전함을 채용한 종래기술의 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전함(10)은 차단기(10a)를 포함하고 있으며, 단방향 선로(20)를 통해 부하(31∼35)에 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만약에 도 1b의 경우와 같이,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부하(33∼35)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되며, 이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굴착 공사를 통해 배관 및 배선을 교체하여야 된다.
그런데 도 1의 부하가 공원, 길거리 또는 아파트 단지 같은 공공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이거나 보안등, 조명등이라면 사고가 신속히 복구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왜냐하면 굴착 공사에 따른 민원이나 교통사고가 추가적으로 발생되거나 또는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이 지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굴착 공사를 통해 배선 및 배관을 교체하게 되면, 복구비용이 많이 소요될뿐더러 기초 시설물의 미관이 크게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한편 지락 사고의 경우에, 고장점을 찾는 방법은 머레이루프법, 정전용량법 및 펄스레이다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머레이루프법이 가장 정확도가 높고 취급이 용이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1선 지락의 경우에는 용이하게 머레이루프법이 채용될 수 있으나 2상 케이블로 된 2선 지락의 경우에는 보조선로를 이용하여야 되기 때문에 적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누전 및 선로 단선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도로 굴착 및 배선, 배관 교체를 하지 않고 부하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사고가 신속히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2선 지락 사고의 경우 고장점 측정이 매우 용이한,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차단기 쌍을 포함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갖는 양방향 전원 선로에 이용하고, 상기 각 2열의 전원 선로는 서로 대향되는 차단기끼리 연결하되, 상기 차단기 쌍 중에서 한 개의 차단기는 부하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차단기 쌍을 포함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갖는 루프 배선 연결 선로에 이용하고, 상기 2열의 전원 선로 중 각각의 선로는 차단기 각 단자에서 폐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차단기 쌍을 포함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갖는 루프 배선 연결 선로에 이용하고, 상기 각 2열의 전원 선로는 서로 대향되는 차단기끼리 연결하되, 상기 차단기 쌍 중에서 한 개의 차단기는 부하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머레이루프 측정모듈을 포함하고, 2선 지락 고장점 측정을 위해 상기 머레이루프 측정모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차단기 쌍을 포함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제어단말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갖는 양방향 전원 선로에 이용하고, 상기 각 2열의 전원 선로는 서로 대향되는 차단기끼리 연결하고, 상기 각각의 차단기는 식별 가능한 센서 노드로서 작동하며,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식별 가능한 각각의 차단기의 부하 연결을 제어하며, 상기 차단기 쌍 중에서 한 개의 차단기는 부하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인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제어 시스템은, 누전 및 선로 단선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도로 굴착 및 배선, 배관 교체를 하지 않고 부하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사고가 신속히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인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제어 시스템은, 2선 지락 사고의 경우 고장점 측정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a는 단방향 배선 연결구조에 배전함을 채용한 종래기술의 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단방향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2b의 선로 단선 사고가 복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루프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도 3b의 선로 단선 사고가 복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루프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의 선로 단선 사고가 복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루프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6b는 1선 지락의 경우에 머레이 루프법에 의한 누전점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이의 제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단방향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2b의 선로 단선 사고가 복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루프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도 3b의 선로 단선 사고가 복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루프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의 선로 단선 사고가 복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루프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6b는 1선 지락의 경우에 머레이 루프법에 의한 누전점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이의 제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단방향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사고 복구용 배전함(100, 100')은 양방향 선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2a의 경우에, 단방향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단방향 배선 구조 이외의 양방향 선로에 모두 이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사고 복구용 배전함(100, 100')에는 각각 2개의 차단기(110a와 120b, 110b와 120a)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4개의 차단기를 예로 들었을 뿐,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시공 지역 및 부하 특징 등의 설계 조건에 따라 차단기는 가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2열의 전원 선로는 서로 대향되는 차단기끼리(110a와 110b, 120a와 120b)연결하되, 일측의 차단기(110a, 120a)는 부하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대향하는 차단기(110b, 120b)는 부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부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는 다양한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먼저 선로가 배전함(100)에 인입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면서 물리적으로 차단기에 전혀 접촉이 되지 않은 경우를 들 수 있다.
두 번째로, 전력 스위칭 소자 등을 이용한 스위칭모듈을 통해 이미 차단기에 접촉하고 있으나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서로 대향하는 차단기에는(110a와 110b, 120a와 120b)은 부하가 선택적으로 배치되는데, 도 2a의 예에서는 차단기(110a와 110b) 사이에는 부하(111, 112, 113, 114, 115, 116)가 배치되며, 차단기(120a와 120b)에는 부하(121, 122, 123, 124, 125, 126)가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2b는 도 2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c는 도 2b의 선로 단선 사고가 복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만약 부하(124)과 부하(115) 사이에서 선로 단선이 발생하게 되면, 부하(121, 122, 123, 124, 115, 116)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에 부하에 연결되지 않고 대기 상태였던 차단기(110b, 120b)를 부하에 연결하게 되면, 도 2c와 같이 신속하게 사고가 복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선로가 인입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면서 물리적으로 차단기에 전혀 접촉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신속하게 작업자가 접속 작업을 처리하게 된다.
또한 전력 스위칭 모듈을 통해 이미 차단기에 접촉하고 있으나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관련 제어 구성으로 신속하게 온(ON) 상태가 되도록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도로 굴착이나 배선 및 배관 등의 교체 작업이 전혀 필요 없이, 신속하게 전력 공급이 이루어져 사고가 복구됨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선로 단선 사고를 예로 들었을 뿐 누전 사고에 따른 경우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루프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사고 복구용 배전함(100)은 양방향 선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3a의 경우에, 루프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루프 구성 이외의 양방향 선로에 모두 이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100)은 양방향 선로에 사용하되,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이용하여 부하를 각 2열의 전원 선로에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곳에 이용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100)은 각 2열의 전원 선로에서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차단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밝혀둔다.
도 3a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100)을 루프 배선 연결 구조에 채용한 것으로서, 상기 배전함(100)은 4개의 차단기(110a, 110b, 120a, 120b)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4개의 차단기를 예로 들었을 뿐,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시공 지역 및 부하 특징 등의 설계 조건에 따라 차단기는 가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2열의 전원 선로는 서로 대향되는 차단기 쌍(110a와 110b, 120a와 120b)을 이용하여 연결하되, 일측의 차단기(110a, 120b)는 부하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대향하는 차단기(110b, 120a)는 부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부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는 다양한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먼저 선로가 배전함(100)에 인입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면서 물리적으로 차단기에 전혀 접촉이 되지 않은 경우를 들 수 있다.
두 번째로, 전력 스위칭 소자 등을 이용한 스위칭모듈을 통해 이미 차단기에 접촉하고 있으나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서로 대향하는 차단기 쌍(110a와 110b, 120a와 120b)은 부하가 선택적으로 배치되는데, 도 3a의 예에서는 제1 차단기 쌍(110a와 110b)에는 부하(111, 112, 113, 114, 115, 116)가 배치되며, 제 2 차단기 쌍(120a와 120b)에는 부하(121, 122, 123, 124, 125, 126)가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3b는 도 3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c는 도 3b의 선로 단선 사고가 복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만약 부하(121)과 부하(112) 사이에서 선로 단선이 발생하게 되면, 부하(111, 121)을 제외한 모든 부하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에 부하에 연결되지 않고 대기 상태였던 차단기(110b, 120a)를 부하에 연결하게 되면, 도 3c와 같이 신속하게 사고가 복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선로가 인입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면서 물리적으로 차단기에 전혀 접촉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신속하게 작업자가 접속 작업을 처리하게 된다.
또한 전력 스위칭 모듈을 통해 이미 차단기에 접촉하고 있으나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관련 제어 구성으로 신속하게 온(ON) 상태가 되도록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도로 굴착이나 배선 및 배관 등의 교체 작업이 전혀 필요 없이, 신속하게 전력 공급이 이루어져 사고가 복구됨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선로 단선 사고를 예로 들었을 뿐 누전 사고에 따른 경우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루프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서는, 대향하는 차단기 쌍(120a와 120b)에서 차단기(120b)가 전력을 제공하도록 시공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도 4a에서는 차단기(120a)가 전력을 먼저 제공하도록 시공된 예를 나타낸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대향하는 차단기 쌍(110a와 110b, 120a와 120b) 중에서 전력을 먼저 제공하도록 하는 차단기는 선택적으로 시공될 수 있는 것으로서, 시공 지역 및 부하 특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c는 도 4b의 선로 단선 사고가 복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만약 부하(121)과 부하(112) 사이에서 선로 단선이 발생하게 되면, 배치되어 있는 부하들에게 교대로 전력이 공급됨을 알 수 있다.
즉 도 4a의 구조는 부하가 보안등이나 조명등과 같은 지역에 적극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완전 소등되는 구역이 발생되지 않고 격등됨으로써 복구 직전까지 추가 사고를 방지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하겠다.
도 4b와 같이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 부하에 연결되지 않고 대기 상태였던 차단기(110b, 120b)를 부하에 연결하게 되면, 도 4c와 같이 신속하게 사고가 복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을 루프 배선 연결구조에 채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전함(100)은 차단기 쌍(110a, 120a)를 포함하며, 각 차단기의 두 개의 (+), (-) 단자에서 폐루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b와 같이, 부하(121) 및 부하(112) 사이에서 단선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오프(OFF)되는 부하가 없이 전체 부하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것으로서, 자동적으로 사고가 복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a, 6b는 1선 지락의 경우에 머레이 루프법에 의한 누전점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와 같이 1선 지락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도 6b와 같이 고장점을 측정할 수 있다.
즉 검류계(G)의 지침이 영(0)이 되도록 하면 브리지 회로의 평형 원리에 의해, R1/R2=R3/R4가 성립되며, 케이블 도전율 ρ, 케이블 단면적 A, 케이블 길이 L, 고장점까지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R3=ρ(2L-l)/A, R4=ρl/A 가 된다.
따라서 R1/R2=(2L-l)/l이 되며, 측정점에서 고장점까지의 거리 l은 2R2L/(R1+R2)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선 지락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보조선로를 새로이 설치하여야만 상기와 같은 머레이루프법의 이용이 가능한데, 이는 루프 구조를 만들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이의 제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100)에는 머레이루프 측정모듈이 포함된다.
상기 머레이루프 측정모듈은 루프 배선 연결 구조에 배전함이 사용되었을 경우에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2선 지락이 발생되면 상기 측정모듈을 이용하여 고장점을 측정할 수 있게된다.
즉 루프 배선 연결구조에 적용한다면 새로운 보조선로가 필요없이 고장점까지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고 지점을 신속히 알아 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고 복구용 배전함(100)은 복수개의 차단기를 포함하되, 각 차단기는 스위칭 모듈 및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통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사고 복구용 배전함의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배전함(100) 및 제어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스위칭 모듈은 전력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부하로의 전력 공급을 온/오프(ON/OFF)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제어단말기(20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USN 통신모듈은 각 차단기가 식별 가능한 센서 노드로서 작동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서, 센서 네트워크용으로 설계된 운영체제에서 동작되도록 설계된다.
즉 각 차단기가 식별 가능한 노드 ID를 갖고 제어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TinyOS, MANTIS, PEEROS 또는 T-Engine 등의 운영체제를 적용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인 지그비(Zigbee) 통신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일예로, 센서 네트워크의 운영체제로서 TinyOS를 채용한다면 USN 통신모듈이 전송하는 메시지는 TOS_Msg 규칙을 따르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페이로드(Payload)에 노드 ID가 삽입되어 전송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끔 다른 운영체제 및 메시지 규칙을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단말기(200)는 조작인터페이스, 제어모듈 및 USN 통신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조작인터페이스는 제어단말기(200) 표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창 및 각 종 조작 버튼 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설계되며, 제어단말기(200) 내부의 제어모듈 및 USN 통신모듈과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제어모듈은 제어단말기(200)의 버튼을 통해 처리되는 각 차단기에 포함된 스위칭 모듈의 온/오프(ON/OFF) 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USN 통신모듈은 제어모듈과 연동하여, 센서 노드 ID로 식별되는 각 차단기의 USN 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제어 명령이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누전 또는 선로 단선 사고가 발생시에, 작업자가 제어단말기(200)를 소지하고 현장에 와서 버튼 조작만으로 각 차단기의 온/오프(ON/OFF)제어를 처리함으로써, 신속하게 사고가 복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기타 전력 제어 시스템 등과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제어단말기(200)에 포함된 일부 모듈이 배전함(100) 내부에 별도로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7의 구성 및 기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10)
- 차단기 쌍을 포함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갖는 양방향 전원 선로에 이용하고;
상기 각 2열의 전원 선로는 서로 대향되는 차단기끼리 연결하되, 상기 차단기 쌍 중에서 한 개의 차단기는 부하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쌍은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것은,
선로가 상기 배전함 내부에 인입된 채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전원 선로는 단방향 배선 연결 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전원 선로는 루프 배선 연결 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고가 발생시에 상기 차단기 쌍 중에서 부하에 연결되지 않은 차단기를 부하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 차단기 쌍을 포함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갖는 루프 배선 연결 선로에 이용하고;
상기 2열의 전원 선로 중 각각의 선로는 차단기 각 단자에서 폐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열의 전원 선로에 연결되는 부하는 상기 차단기 쌍 중에 포함된 차단기와 교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 차단기 쌍을 포함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갖는 루프 배선 연결 선로에 이용하고;
상기 각 2열의 전원 선로는 서로 대향되는 차단기끼리 연결하되, 상기 차단기 쌍 중에서 한 개의 차단기는 부하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머레이루프 측정모듈을 포함하고;
2선 지락 고장점 측정을 위해 상기 머레이루프 측정모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 차단기 쌍을 포함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제어단말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2열의 전원 선로를 갖는 양방향 전원 선로에 이용하고;
상기 각 2열의 전원 선로는 서로 대향되는 차단기끼리 연결하고;
상기 각각의 차단기는 식별 가능한 센서 노드로서 작동하며;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식별 가능한 각각의 차단기의 부하 연결을 제어하며;
상기 차단기 쌍 중에서 한 개의 차단기는 부하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복구용 배전함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1036 | 2010-10-27 | ||
KR2020100011036U KR200453130Y1 (ko) | 2010-10-27 | 2010-10-27 | 가로등 네트워크 배선 연결구조 |
KR1020110048214A KR101079339B1 (ko) | 2011-05-22 | 2011-05-22 |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상기 배전함의 제어 시스템 |
KR1020110048214 | 2011-05-22 | ||
PCT/KR2011/008101 WO2012057549A2 (ko) | 2010-10-27 | 2011-10-27 |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상기 배전함의 제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6220A true KR20130086220A (ko) | 2013-07-31 |
Family
ID=4599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8956A KR20130086220A (ko) | 2010-10-27 | 2011-10-27 |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상기 배전함의 제어시스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13542705A (ko) |
KR (1) | KR20130086220A (ko) |
WO (1) | WO2012057549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0569B1 (ko) * | 2017-04-13 | 2018-06-2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차단기용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07886A1 (en) * | 2013-07-18 | 2015-01-22 | Koninklijke Philips N.V. | Power distribution system |
JP6358562B2 (ja) * | 2014-10-28 | 2018-07-18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超電導ケーブル線路の劣化位置測定方法 |
CN108631312A (zh) * | 2018-06-19 | 2018-10-09 |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漳州供电公司 | 一种配电网接线方式 |
CN111864737A (zh) * | 2020-07-23 | 2020-10-30 | 国网北京市电力公司 | 一种华灯负荷快切装置及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9083A (ko) * | 2002-10-31 | 2004-05-10 | 국제전자제어 주식회사 | 양방향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감시 제어시스템 및감시 제어방법 |
KR100848808B1 (ko) * | 2006-12-19 | 2008-07-28 | 한국전기연구원 | 가로등 제어시스템 |
KR100915401B1 (ko) * | 2009-03-31 | 2009-09-03 | (주)시그너스시스템 | 자가 진단이 가능한 지능형 배전반 |
-
2011
- 2011-10-27 JP JP2013536518A patent/JP2013542705A/ja active Pending
- 2011-10-27 WO PCT/KR2011/008101 patent/WO2012057549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10-27 KR KR1020137008956A patent/KR2013008622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0569B1 (ko) * | 2017-04-13 | 2018-06-2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차단기용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57549A2 (ko) | 2012-05-03 |
WO2012057549A3 (ko) | 2012-09-07 |
JP2013542705A (ja) | 2013-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86220A (ko) |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상기 배전함의 제어시스템 | |
CN109474899A (zh) | 一种基于北斗云物联网的自动化监测rtu及组网系统 | |
CN202817896U (zh) | 一种馈线自动化系统 | |
CN101636659A (zh) | 电功率系统控制通信网络 | |
CN103412536A (zh) | 基于ZigBee-GPRS技术的箱式变电站远程监控系统 | |
CN203134087U (zh) | 特种设备应急救援系统 | |
CN103308830B (zh) | 电力电缆局部放电在线监测系统 | |
CN105474552A (zh) | 馈电线路切换电路、分支设备、海底电缆系统和馈电线路切换方法 | |
CN105242178A (zh) | 低压配电线路在线监测系统 | |
CN103795458A (zh) | 光纤切换保护系统及其控制方法 | |
CN107367665A (zh) | 一种基于NB‑IoT技术的供电电缆断线监测报警装置 | |
JP3229755U (ja) | リターンケーブルセグメント用早期警報システム | |
KR101079339B1 (ko) | 사고 복구용 배전함 및 상기 배전함의 제어 시스템 | |
CN104215180A (zh) | 一种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输电线路弧垂检测装置 | |
CN107516930B (zh) | 通信用应急供电系统 | |
CN116316474A (zh) | 基于5g通信的纵联差动保护系统及方法 | |
CN214901323U (zh) | 一种超长高压电力管廊内的无线通信系统 | |
CN203773701U (zh) | 一种防漏水监测装置 | |
CN202797920U (zh) | 一种供电网的防越级跳闸的系统 | |
CN209417204U (zh) | 一种区域电缆故障检测系统 | |
CN102938191A (zh) | 特种设备应急救援系统及方法 | |
CN207937627U (zh) | 一种基于自愈光纤环路的机场自动气象观测系统 | |
CN202918293U (zh) | 光路自动切换设备 | |
CN113015124A (zh) | 一种基于北斗通信的环境监测终端 | |
CN202918294U (zh) | 光路自动切换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