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19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할당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할당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193A
KR20130086193A KR1020130069885A KR20130069885A KR20130086193A KR 20130086193 A KR20130086193 A KR 20130086193A KR 1020130069885 A KR1020130069885 A KR 1020130069885A KR 20130069885 A KR20130069885 A KR 20130069885A KR 20130086193 A KR20130086193 A KR 20130086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ownlink subframe
sub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530B1 (ko
Inventor
문성호
한승희
노민석
권영현
곽진삼
이현우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8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기지국은 프레임에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subset)을 할당하고,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 시스템과 다른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을 할당한다. 기지국은 또한,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필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FCH(frame control header)를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서 전송하고,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필수 시스템 파라미터 및 시스템 구성 정보를 나르는 SFH(supreframe header)를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서 전송한다. 이때 상기 FCH와 상기 SFH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의 비율에 관계 없이 상기 프레임의 고정된 위치에 할당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할당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필수 제어정보를 할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은 광대역 무선 접속(broadband wireless access)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과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1999년부터 표준화가 진행되어 2001년 IEEE 802.16-2001이 승인되었다. 이는 'WirelssMAN-SC'라는 단일 반송파(single carrier) 물리계층에 기반한다. 이후 2003년에 승인된 IEEE 802.16a 표준에서는 물리계층에 'WirelssMAN-SC' 외에'WirelssMAN-OFDM'과 'WirelssMAN-OFDMA'가 더 추가되었다. IEEE 802.16a 표준이 완료된 후 개정된(revised) IEEE 802.16-2004 표준이 2004년 승인되었다. IEEE 802.16-2004 표준의 결함(bug)과 오류(error)를 수정하기 위해 'corrigendum'이라는 형식으로 IEEE 802.16-2004/Cor1(이하, IEEE 802.16e)이 2005년에 완료되었다.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하향링크(downlink, DL) 전송 및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uplink, UL) 전송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IEEE 802.16e 기반의 시스템 프로파일(profile)은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전송을 시간 영역(time domain)으로 구분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지원한다. TDD 방식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되는 방식이다. TDD 방식은 상향링크 채널 특성 및 하향링크 채널 특성이 상보적(reciprocal)이기 때문에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현재, IEEE 802.16e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술 표준 규격인 IEEE 802.16m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IEEE 802.16m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뿐만 아니라 H-FDD(half-duplex FDD)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FDD 방식은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동시에 수행되는 방식이다. H-FDD 방식은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되는 방식이다. 즉, H-FDD 방식은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되지 않는 방식으로, H-FDD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에게는 하향링크 무선자원과 상향링크 무선자원이 같은 시간 영역에서 할당되지 않는다.
종래의 시스템(legacy system)으로부터 발전된 시스템(evolution system)은 종래의 시스템을 포괄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데, 이를 역지원성(backward compatibility)라 한다. 발전된 시스템은 역지원성을 만족하기 위해 TDD 방식뿐만 아니라 FDD 방식, H-FDD 방식 등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전송 방식이 지원됨에 따라 종래 시스템 및 발전된 시스템 각각에 대한 필수 제어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필수 제어정보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모든 단말이 획득하여야 하는 제어정보이다. 필수 제어정보에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되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동기화 정보(synchronization information) 등이 있다. 발전된 시스템에 대한 필수 제어정보는 종래 시스템에 대한 필수 제어정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시스템에 대한 역지원성을 만족하는 발전된 시스템에서 필수 제어정보를 어떻게 할당할 것인지에 대해 명확히 제시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필수 제어정보를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프레임에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subset)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 시스템과 다른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필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FCH(frame control header)를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필수 시스템 파라미터 및 시스템 구성 정보를 나르는 SFH(supreframe header)를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FCH와 상기 SFH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의 비율에 관계 없이 상기 프레임의 고정된 위치에 할당된다.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의 합은 5일 수 있다. 이때 상기 FCH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SFH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간의 간격은 3개, 2개 또는 1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의 합은 6일 수 있다. 이때 상기 FCH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SFH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간의 간격은 2개 또는 1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의 합은 3일 수 있다. 이때 상기 FCH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SFH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간의 간격은 1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FCH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의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SFH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의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SFH의 주기는 40 ms의 정수 배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프레임에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는 3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복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1 시스템을 위한 필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FCH(frame control header)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 및 제2 시스템을 위한 필수 시스템 파라미터 및 시스템 구성 정보를 나르는 SFH(supreframe header)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을 가지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SFH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시스템과 상기 제2 시스템은 2개의 서로 다른 시스템들이며, 상기 FCH와 상기 SFH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의 비율에 관계 없이 상기 프레임의 고정된 위치에 할당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프레임에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subset)을 할당하고,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 시스템과 다른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을 할당하고,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필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FCH(frame control header)를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서 전송하고,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필수 시스템 파라미터 및 시스템 구성 정보를 나르는 SFH(supreframe header)를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FCH와 상기 SFH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의 비율에 관계 없이 상기 프레임의 고정된 위치에 할당된다.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시스템 간에 무선자원의 할당량이 변경되더라도 시스템 간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스템 전환점의 수를 하나로 유지하면서 필수 제어정보를 특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할당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든 단말이 반드시 수신하여야 하는 필수 제어정보를 오버헤드의 증가 없이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종 시스템의 다중화 여부를 검출할 필요 없이 고정된 위치의 필수 제어정보를 바탕으로 핸드 오버를 위한 셀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어 시그널링에 의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복수의 순열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FDD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H-FDD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CGS(Complementary Grouping and Scheduling) 기반의 H-FDD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슈퍼 프레임(super-frame)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슈퍼 프레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전송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전송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Carrier FDMA)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20)은 적어도 하나의 셀(cell)을 가진다. 셀은 기지국(20)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이다. 하나의 셀 내에서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이종의 무선통신 시스템이 통신 서비스 영역을 공유하면서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이종의 무선통신 시스템 또는 이종의 시스템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종의 시스템은 서로 다른 접속 기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이 될 수 있고, 또는 종래의 시스템(legacy system)과 종래의 시스템에 역지원성을 지원하는 발전된 시스템(evolution system)이 될 수 있다.
도 2는 프레임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프레임은 물리적 사양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된 시간 동안의 데이터 시퀀스이다. 이는 논리적 프레임으로, IEEE 표준 802.16-2004 "Part 16: Air Interface for Fixed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 의 8.4.4.2절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은 하향링크(DL) 프레임과 상향링크(UL) 프레임을 포함한다. 하향링크 프레임을 통하여 하향링크 전송이 수행되고, 상향링크 프레임을 통하여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된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동일 주파수를 공유하지만 서로 다른 시간에 일어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다. 하향링크 프레임은 상향링크 프레임보다 시간적으로 앞선다. 하향링크 프레임은 프리앰블(preamble), FCH(Frame Control Header), DL-MAP, UL-MAP, 버스트 영역의 순서로 시작된다.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을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guard time)이 프레임의 중간 부분(하향링크 프레임과 상향링크 프레임 사이)과 마지막 부분(상향링크 프레임 다음)에 삽입된다.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는 다운링크 버스트와 계속되는(subsequent) 상향링크 버스트 사이의 갭이다.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는 상향링크 버스트와 계속되는 하향링크 버스트 사이의 갭이다.
프리앰블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초기 동기, 셀 탐색, 주파수 오프셋 및 채널추정에 사용된다. FCH는 DL-MAP 메시지의 길이와 DL-MAP의 코딩 방식(coding scheme) 정보를 포함한다.
DL-MAP은 DL-MAP 메시지가 전송되는 영역이다. DL-MAP 메시지는 하향링크 채널의 접속을 정의한다. DL-MAP 메시지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의 구성 변화 카운트 및 기지국 ID(identifier)를 포함한다. DCD는 현재 맵에 적용되는 하향링크 버스트 프로파일(downlink burst profile)을 기술한다. 하향링크 버스트 프로파일은 하향링크 물리채널의 특성을 말하며, DCD는 DCD 메시지를 통해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다.
UL-MAP은 UL-MAP 메시지가 전송되는 영역이다. UL-MAP 메시지는 상향링크 채널의 접속을 정의한다. UL-MAP 메시지는 UCD(Uplink Channel Descriptor)의 구성 변화 카운트, UL-MAP에 의해 정의되는 상향링크 할당의 유효 시작 시각을 포함한다. UCD는 상향링크 버스트 프로파일(uplink burst profile)을 기술한다. 상향링크 버스트 프로파일은 상향링크 물리채널의 특성을 말하며, UCD는 UCD 메시지를 통해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다.
이하에서, 슬롯(slot)은 최소한의 가능한 데이터 할당 유닛으로, 시간과 서브채널(subchannel)로 정의된다. 서브채널의 수는 FFT 크기와 시간-주파수 맵핑에 종속한다. 서브채널은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서브채널 당 부반송파의 수는 순열(permutation) 방식에 따라 따르다. 순열은 논리적인 서브채널을 물리적인 부반송파로의 맵핑을 의미한다. FUSC(Full Usage of Subchannels)에서 서브채널은 48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PUSC(Partial Usage of Subchannels)에서 서브채널은 24 또는 16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세그먼트(segment)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채널 집합을 말한다.
물리계층에서 데이터를 물리적인 부반송파로 맵핑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2단계를 거친다. 첫번째 단계에서,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논리적인 서브채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슬롯으로 맵핑된다. 두번째 단계에서, 각 논리적인 서브채널은 물리적인 부반송파로 맵핑된다. 이를 순열이라 한다. 참조문헌 1은 FUSC, PUSC, O-FUSC(Optional-FUSC), O-PUSC(Optional-PUSC),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등의 순열 방식을 개시한다. 동일한 순열 방식이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집합을 순열 영역(permutation zone)이라고 하고, 하나의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순열 영역을 포함한다.
FUSC와 O-FUSC는 하향링크 전송에만 사용된다. FUSC는 모든 서브채널 그룹을 포함하는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각 서브채널은 전체 물리채널을 통해 분포되는 물리적인 부반송파로 맵핑된다. 이 맵핑은 각 OFDM 심벌마다 바뀐다. 슬롯은 하나의 OFDM 심벌상에서 하나의 서브채널로 구성된다. O-FUSC는 FUSC와 파일럿이 할당되는 방식이 다르다.
PUSC는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 모두에 사용된다. 하향링크에서, 각 물리적인 채널은 2 OFDM 심벌상에서 14 인접하는(contiguous) 부반송파로 구성되는 클러스터(cluster)로 나누어진다. 물리채널은 6 그룹으로 맵핑된다. 각 그룹내에서, 파일럿은 고정된 위치로 각 클러스터에 할당된다. 상향링크에서, 부반송파들은 3 OFDM 심벌상에서 4 인접하는 물리적 부반송파로 구성된 타일(tile)로 나누어진다. 서브채널은 6 타일을 포함한다. 각 타일의 모서리에 파일럿이 할당된다. O-PUSC는 상향링크 전송에만 사용되고, 타일은 3 OFDM 심벌 상에서 3 인접하는 물리적 부반송파로 구성된다. 파일럿은 타일의 중심에 할당된다. 파일럿은 참조신호(reference signal)로 불릴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순열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는 물리적 프레임이다. 이는 IEEE 표준 802.16-2004의 8.4.4.2절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프레임(DL frame)의 프리앰블, FCH 및 DL-MAP은 매 프레임마다 반드시 나타난다. FCH 및 DL-MAP에는 PUSC 순열이 적용된다. 하향링크 프레임에는 PUSC, FUSC, 선택적 PUSC, AMC 순열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하향링크 프레임에 나타나는 순열은 DL-MAP에서 지정될 수 있다. 상향링크 프레임에는 PUSC, 선택적 PUSC, AMC 순열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상향링크 프레임에 나타나는 순열은 UL-MAP에서 지정될 수 있다.
논리적 프레임 구조에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 스케줄링 이득, 파일럿 오버헤드,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 적용, 적응적 안테나(adaptive antenna) 적용 등을 고려하여 순열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동일한 순열 방식이 사용되는 영역을 순열 구역(permutation zone)이라 한다. 다수의 순열 구역은 시간 영역으로 구분되며, 순열 구역의 전환은 DL-MAP 또는 UL-MAP에서 지정된다. 상향링크 프레임 및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사용되는 순열의 종류는 제한이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표 1은 프레임에 대한 파라미터의 일예이다.
Transmission Bandwidth(MHz) 5 10 20
Over-sampling factor 28/25
Sampling Frequency(MHz) 5.6 11.2 22.4
FFT Size 512 1024 2048
Sub-carrier Spacing(kHz) 10.94
OFDM symbol time, Tu(us) 91.4
Cyclic Prefix (CP) Ts(us) OFDM symbols per Frame Idle time(us)
Tg = 1/4 Tu 91.4 + 22.85 = 114.25 43 87.25
Tg = 1/8 Tu 91.4 + 11.42 = 102.82 48 64.64
Tg = 1/16 Tu 91.4 + 5.71 = 97.11 51 47.39
Tg = 1/32 Tu 91.4 + 2.86 = 94.26 53 4.22
각 프레임의 프리앰블, FCH 및 DL-MAP 등을 통하여 프레임 내의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의 정확한 획득이 가능하다. 프리앰블, FCH 및 DL-MAP은 단말이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 제어정보라 할 수 있다. 프레임은 5ms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필수 제어정보는 프레임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앞서 할당된다.
이하,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안하는 프레임은 이종 시스템이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경우를 위한 것으로 이종 시스템의 종류나 정의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종 시스템은 2 이상의 무선통신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무선통신 시스템이 이종 시스템으로 다중화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두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시스템 A, 다른 하나를 시스템 B라 한다. 시스템 A가 종래 시스템(legacy system)이고, 시스템 B가 시스템 A에 대한 역지원성을 지원하는 발전된 시스템(evolution syste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A는 IEEE 802.16e 표준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의미하고, 시스템 B는 IEEE 802.16m 표준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는 하향링크 전송에서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다중화되어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TDM 방식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 영역(time domain)으로 무선자원을 나누어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 단위로 무선자원이 할당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서브프레임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서 복수의 OFDM 심볼로 정의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프레임과 상향링크 프레임이 시간적으로 구분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에서 하향링크 프레임과 상향링크를 구분하는 단위가 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내에서 시스템 A를 위한 자원영역과 시스템 B를 위한 자원영역을 구분하는 단위가 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단위로 무선자원 할당 및 스케줄링이 수행되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데이터 재전송에서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에 있어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또는 H-FDD(half-duplex FDD) 방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TDD 방식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되는 방식이다. FDD 방식은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동시에 수행되는 방식이다. H-FDD 방식은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되는 방식이다.
도 4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은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을 포함한다. 하향링크 프레임이 상향링크 프레임보다 시간적으로 앞서는 TDD 방식이다.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 및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으로 사용된다. 즉,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은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 및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을 일정한 비율로 포함한다. 하향링크 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전체 서브프레임을 시스템 A를 위한 자원영역이라 하고, 시스템 B를 위한 전체 서브프레임을 시스템 B를 위한 자원영역이라 한다.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자원영역과 시스템 B를 위한 자원영역이 할당되는 비율을 결정하는 최소단위이다.
설명을 위해, 하향링크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향링크 프레임은 3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의 비율 A:B 는 4:1, 3:2, 2:3, 1:4와 같이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 간의 경계를 시스템 전환점(system switching point; 이하 SSP)이라 한다. 프레임 내에서 SSP를 경계로 시스템에 따른 자원할당 방식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SP를 경계로 시스템 A를 위한 자원영역에서는 PUSC, FUSC, AMC 등의 순열 방식을 사용하고 시스템 B를 위한 자원영역에서는 새로이 정의되는 순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의 비율이 변경됨에 따라 프레임 내에서 SSP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이 주파수 영역으로 구분되는 FDD 방식의 프레임이다.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이 시간적으로 구분되는 TDM 방식으로 다중화된다.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이 서브프레임을 5개씩 포함할 때,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의 비율 A:B 는 4:1, 3:2, 2:3, 1:4와 같이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TDM 방식으로 다중화될 때, 상향링크 프레임에서는 FDM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도 있다.
도 6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FDD 방식의 프레임에서 있어서,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FDM 방식으로 다중화되는 경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이 주파수 영역으로 구분되는 FDD 방식의 프레임이다.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간적으로 구분되는 TDM 방식으로 다중화된다. 반면,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적으로 구분되는 FDM 방식으로 다중화된다.
하향링크 프레임이 5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때,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 A:B 는 4:1, 3:2, 2:3, 1:4와 같이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에 따라 SSP의 위치가 변경된다.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FDM 방식으로 다중화되므로, 시스템 A를 위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수는 동일하다.
도 7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FDD 방식의 프레임에서 상향링크 프레임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경우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의 FDD 방식의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동일하게 정해진다. 즉, SSP가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도 6의 FDD 방식의 프레임에서는 시스템 A를 위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FDM 방식으로 다중화되어 SSP가 하향링크 프레임에만 적용된다.
이와 같이, FDD 방식의 프레임에 있어서,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의 수가 서로 달리 정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SSP의 위치가 서로 달리 정해질 수 있다.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 및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이 다중화되는 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고, 하향링크 프레임만을 고려할 때 도시한 바와 같이 FDD 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SSP는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된다.
도 8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H-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도 8을 참조하면, H-FDD 방식은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지는 방식이므로, 하향링크 프레임과 상향링크 프레임은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 및 서로 다른 시간 영역을 차지한다.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TDM 방식으로 다양한 비율로 다중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SSP의 위치가 정해진다.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의 다중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 A는 TDD 방식을 사용하고, 시스템 B는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시스템 A는 TDD 방식을 사용하므로 시스템 A의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구분된다. 시스템 B는 FDD 방식을 사용하므로 시스템 B의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구분된다.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스템 A의 하향링크 프레임 내에서 TDM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은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시스템 B는 FDD 방식을 사용하므로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수는 동일하다.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의 다중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전송을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구분하는 전송방식을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서로 동일하게 사용하거나 서로 달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전송방식 이외에도, 시스템 A의 전송방식과 시스템 B의 전송방식 (A,B)는 (FDD, TDD), (H-FDD, FDD), (H-FDD, TDD), (FDD, H-FDD), (TDD, H-FDD) 등 다양한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고, 시스템 A 및 시스템 B는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도 10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의 비율이 일정할 때, 시스템 전환점(SSP)의 수가 달라지는 경우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5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 A:B가 3:2라고 하자.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배치에 따라 SSP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같은 시스템을 위한 서브프레임들이 연속되도록 배치되면 하향링크 프레임 내에서 시스템 A 및 시스템 B에 대해 하나의 SSP가 생긴다. 그러나 같은 시스템을 위한 서브프레임들이 분산되어 시스템 A 및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들이 섞여서 배치되면 하향링크 프레임 내에서 2 이상의 SSP가 생긴다.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시스템 간의 전환이 자주 발생하게 되면 시스템에 따른 파라미터가 자주 변경되어야 한다. 이는 전송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시스템의 부담을 증가시켜 전송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SSP의 수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즉, 시스템 A 및 시스템 B를 지원하는 프레임 내에서 시스템 A를 위한 서브프레임 및 시스템 B를 위한 서브프레임이 연속되도록 배치하여 하나의 SSP로 생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2 이상의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필수 제어정보의 할당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를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필수 제어정보는 해당 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말이 반드시 획득하여야 하는 제어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의 전원이 켜진 후 초기에 수행하는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또는 핸드오버나 주변 셀 측정(neighbor cell measurement)을 수행하는 비-초기 셀 탐색(non-initial cell search) 등을 수행하기 위해 획득하여야 하는 제어정보를 필수 제어정보라 한다. 필수 제어정보에는 프리앰블, FCH, DL-MAP/UL-MAP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되는 시스템 정보, 동기화 정보 등이 있다. 필수 제어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하향링크 프레임을 통하여 전송되므로,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이종 시스템의 다중화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이종 시스템은 TDM 방식, FDM 방식, CDM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도 11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TDD 방식을 사용하는 프레임에서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 및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고정된 위치에 할당되는 경우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프레임이 5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때,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세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된다고 하자. 각 필수 제어정보는 해당 시스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되어야 하므로,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되는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항상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되는 세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항상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된다.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 A:B 가 4:1, 3:2 인 경우에 SSP는 2개 생기고, 2:3, 1:4 인 경우에 SSP는 1개 생긴다.
프레임에서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 및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고정된 위치에 할당되면,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이 변경되더라도 필수 제어정보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단말에게 필수 제어정보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특별한 오프셋 값을 알려줄 필요가 없고, 단말은 필수 제어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초기 네트워크 진입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SSP를 가지는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고정되어 할당되는 반면,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SSP에 인접한 서브프레임에 할당된다고 하자.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이 변경됨에 따라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의 위치는 변경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를 기준으로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의 위치를 특정 오프셋 값으로 알려주어야 한다.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의 위치가 오프셋 값으로 지시되지 않으면 단말은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초기 네트워크 진입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야 한다. 이는 단말이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고정된 위치에 할당되면 이러한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도 12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FDD 방식을 사용하는 프레임에서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 및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고정된 위치에 할당되는 경우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FDD 프레임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이 5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때,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세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된다고 하자.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 A:B 가 4:1, 3:2 인 경우에 SSP는 2개 생기고, 2:3, 1:4 인 경우에 SSP는 1개 생긴다.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이 변경되더라도 필수 제어정보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단말에게 필수 제어정보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특별한 오프셋 값을 알려줄 필요가 없고, 단말은 필수 제어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초기 네트워크 진입 과정을 다시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를 5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에서 세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하여 할당하는 경우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에 따라 SSP가 2 이상 생기는 경우가 생긴다.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SSP가 복수개로 정해지면 시스템 간의 잦은 전환으로 전송 알고리즘의 복잡도가 증가되고 시스템 효율을 떨어뜨리다. 따라서 필수 제어정보를 프레임 내에서 고정된 위치에 할당하되 SSP가 최소한으로 생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TDD 방식을 사용하는 프레임에서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간적으로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프레임이 5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때,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다섯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즉 시간적으로 가장 마지막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된다.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 및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양 끝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각각 할당된다. TDD 방식의 프레임에서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하향링크 프레임과 상향링크 프레임 사이의 보호시간인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에 인접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된다.
이와 같이,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 및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고정된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양 끝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위치에 할당되면,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이 변경되더라도 SSP를 항상 하나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에게 필수 제어정보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특별한 오프셋 값을 알려줄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간의 잦은 전환으로 전송 알고리즘의 복잡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FDD 방식을 사용하는 프레임에서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간적으로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되는 경우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 및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양 끝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각각 할당되면,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FDD 방식을 사용하는 프레임에서도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이 변경되더라도 SSP를 항상 하나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에게 필수 제어정보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특별한 오프셋 값을 알려줄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간의 잦은 전환으로 전송 알고리즘의 복잡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TDD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의 변동폭을 고려하여 필수 제어정보를 고정된 위치에 할당하는 경우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TDD 방식을 사용하는 프레임의 하향링크 프레임에 5개의 서브프레임이 포함될 때,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 A:B 가 3:2, 2:3, 1:4의 변동폭을 가지고 변경된다고 하자. 즉,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최소 1개에서 최대 3개 할당되고,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최소 2개에서 최대 4개 할당된다.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최소 개수만큼 떨어진 위치에 고정적으로 할당된다.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최소 2개 할당되므로, 하향링크 프레임의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역으로 두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고정적으로 할당된다.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항상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하거나, 또는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최소 개수만큼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최소 개수만큼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를 고정적으로 할당하면 항상 SSP를 하나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필수 제어정보를 고정된 위치에 할당하는 이점 및 SSP의 수를 최소화하는 이점을 모두 얻을 수 있다.
도 16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FDD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의 변동폭을 고려하여 필수 제어정보를 고정된 위치에 할당하는 경우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FDD 방식을 사용하는 프레임에서도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최소 개수만큼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를 고정적으로 할당하면 항상 SSP를 하나로 유지할 수 있다.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항상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하거나, 또는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최소 개수만큼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필수 제어정보를 고정된 위치에 할당하는 이점 및 SSP의 수를 최소화하는 이점을 모두 얻을 수 있다.
도 17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TDD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의 변동폭을 고려하지 않고 필수 제어정보를 고정된 위치에 할당하는 경우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TDD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의 변동폭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3에서와 같이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하여 SSP를 하나로 유지한다.
도 18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FDD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의 변동폭을 고려하지 않고 필수 제어정보를 고정된 위치에 할당하는 경우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FDD 프레임에서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의 변동폭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4에서와 같이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하여 SSP를 하나로 유지한다.
이하, CGS(Complementary Grouping and Scheduling) 기반의 H-FDD 방식의 프레임에서 필수 제어정보의 할당에 대하여 설명한다. CGS 기반의 H-FDD 방식은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되어야 하는 H-FDD 방식에서 낭비되는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식이다. 먼저, FDD 방식 및 H-FDD 방식에 비교하여 CGS 기반의 H-FDD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FDD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H-FDD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CGS(Complementary Grouping and Scheduling) 기반의 H-FDD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 내지 21을 참조하면, 기지국 관점에서의 FDD 방식의 프레임은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을 주파수 영역으로 구분한다.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동시에 이루어진다. 필수 제어정보는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일정 간격의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 관점에서 H-FDD 방식의 프레임은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을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으로 구분한다.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진다. 필수 제어정보는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일정 간격의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H-FDD 방식에서는 하향링크 전송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향링크 전송이 이루질 수 없으므로, 사용되지 않는 자원영역이 발생하여 그 만큼 무선자원이 낭비된다.
CGS 기반의 H-FDD 방식은 단말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제1 그룹의 단말에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할당될 때 제2 그룹의 단말에게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할당하고, 제1 그룹의 단말에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할당될 때에는 제2 그룹의 단말에게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할당하는 방식이다. 즉, 제1 그룹의 단말과 제2 그룹의 단말에 대해 하향링크 무선자원 및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서로 엇갈려 할당하는 방식이다. 제1 그룹의 단말의 관점에서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지는 H-FDD 방식을 만족한다. 그리고 제2 그룹의 단말의 관점에서도 H-FDD 방식을 만족한다. CGS 기반의 H-FDD 방식에서 기지국의 관점에서는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과 같으므로 무선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단, 필수 제어정보는 제1 그룹의 단말 및 제2 그룹의 단말이 동일하게 수신하여야 하므로,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은 두 그룹의 단말에게 모두 동일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사용된다.
이제,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CGS 기반의 H-FDD 방식이 적용될 때 필수 제어정보의 할당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시스템 A는 FDD 방식을 사용하고, 시스템 B는 CGS 기반의 H-FDD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고정적으로 할당된다.
시스템 B는 CGS 기반의 H-FDD 방식을 사용하므로,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되는 시간 영역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시스템 B의 제1 그룹을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의 제2 그룹을 위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동일한 시간 영역에서 할당되고, 시스템 B의 제1 그룹을 위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의 제2 그룹을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동일한 시간 영역에서 할당된다.
이와 같이, CGS 기반의 H-FDD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프레임의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함으로써,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이 변경되더라도 SSP를 항상 하나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시스템 A의 전송방식과 시스템 B의 전송방식 (A,B)는 (TDD, CGS 기반의 H-FDD), (CGS 기반의 H-FDD, CGS 기반의 H-FDD) 등 다양한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프레임의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하여,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에 상관없이 항상 하나의 SSP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 시스템 A를 기준으로 하여 시스템 B가 다중화되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즉, 시스템 A의 관점에서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시스템 A가 기존 시스템(legacy system)이고 시스템 B가 발전된 시스템(evolution system)이라고 할 때, 역지원성을 위하여 시스템 A가 프레임 내에서 시간적으로 앞서 할당되고 시스템 B가 추가적으로 할당되는 것으로 가정한 것이다. 그러나 프레임은 연속된 데이터 전송 과정 중에서 정의된 특정 시간 동안의 데이터 시퀀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프레임의 정의에 따라 프레임 내에서 시간적으로 앞서는 시스템은 달라질 수 있다.
이하, 각 시스템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시스템 A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TDD 프레임이고, 도 24는 시스템 B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TDD 프레임이다.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시스템 A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TDD 프레임에서는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를 프레임의 시작으로 정의하고, RTG(또는 idle time)를 프레임의 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된다.
시스템 B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TDD 프레임에서는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를 프레임의 시작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이어서 TTG를 사이에 두고 상향링크 프레임이 뒤따른다. 그리고 상향링크 프레임에 이어서 RTG를 사이에 두고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으로 시작되는 하향링크 프레임이 뒤따른다. 프레임의 끝은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프레임의 끝에 이어서는 다음 프레임의 시작인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뒤따른다. 연속되는 프레임들의 관계를 고려할 때,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되는 것과 동일한 결과이다. 즉, 시스템 A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TDD 프레임에서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프레임에서 가장 앞서도록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들을 순환 시프트(cyclic shift)시킨 것과 같은 결과이다.
시스템 A의 관점에서 TDD 프레임을 정의하든지 시스템 B 관점에서 TDD 프레임을 정의하든지 상관없이 순환 시프트로 연속하는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를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를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하면 하나의 SSP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5는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서 제어정보를 나타낸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시스템 A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FDD 프레임의 하향링크 프레임이고, 도 26은 시스템 B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FDD 프레임의 하향링크 프레임이다.
도 25 및 26을 참조하면, 시스템 A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FDD 프레임에서는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를 프레임의 시작으로 정의하고, 유휴시간(idle time)을 프레임의 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된다.
시스템 B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FDD 프레임에서는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를 프레임의 시작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이어서 유휴시간을 사이에 두고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뒤따른다.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에서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된다. 시스템 A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이어서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뒤따른다. 프레임의 끝은 시스템 B를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에서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시스템 A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FDD 프레임에서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프레임에서 가장 앞서도록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들을 순환 시프트(cyclic shift)시킨 것과 같은 결과이다.
시스템 A의 관점에서 FDD 프레임을 정의하든지 시스템 B 관점에서 FDD 프레임을 정의하든지 상관없이 순환 시프트로 연속하는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를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를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하면 하나의 SSP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의 크기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필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프레임은 필수 제어정보의 주기로 정의될 수 있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같은 주기를 가지고 하나의 프레임 내에 함께 할당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시스템 A 및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슈퍼 프레임(super-frame)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시스템 B 관점에서의 슈퍼 프레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의 주기가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의 주기의 정수배의 크기를 가진다. 즉, 시스템 B에 대한 프레임의 크기가 시스템 A에 대한 프레임의 크기의 정수배이다.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의 주기를 프레임의 크기라 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의 주기를 슈퍼 프레임의 크기라 할 수 있다.
슈퍼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는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된다.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를 슈퍼 프레임의 헤더(header)라 할 수 있다. 슈퍼 프레임 헤더에는 브로드캐스팅되는 시스템 정보, 동기화 정보 등이 할당된다. 슈퍼 프레임에는 복수의 프레임이 포함되고, 각 프레임에는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된다. 시스템 A 관점의 프레임에서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할당되고, 이를 프레임의 헤더라 할 수 있다. 프레임 헤더에는 프레임의 자원구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슈퍼 프레임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도 28은 이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슈퍼 프레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시스템 B 관점에서의 하향링크 슈퍼 프레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의 주기가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의 주기의 정수배의 크기를 가진다.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의 주기를 프레임의 크기라 하고,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의 주기를 슈퍼 프레임의 크기라 할 수 있다. 슈퍼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는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되고, 이를 슈퍼 프레임 헤더라 할 수 있다. 슈퍼 프레임 헤더에는 브로드캐스팅되는 시스템 정보, 동기화 정보 등이 할당된다. 슈퍼 프레임에는 복수의 프레임이 포함되고, 각 프레임에는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가 할당된다. 시스템 A 관점의 프레임에서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는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할당되고, 이를 프레임의 헤더라 할 수 있다. 프레임 헤더에는 프레임의 자원구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슈퍼 프레임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상, 제안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필수 제어정보는 해당 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말이 반드시 획득하여야 하는 최소한의 제어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시스템 A의 필수 제어정보 및 시스템 B의 필수 제어정보는 같은 종류의 제어정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제어정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슈퍼 프레임, 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의 크기는 제한되지 않는다.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서로 다른 크기의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시스템 A 및 시스템 B가 다중화되는 최소 단위인 서브프레임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안하는 제어정보 할당방법은 하향링크 전송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상향링크에서 이종 시스템의 다중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필수 제어정보를 위한 무선자원으로 서브프레임 전체가 할당될 수도 있고, 서브프레임의 일부가 할당될 수도 있다. 필수 제어정보를 위한 무선자원이 서브프레임의 일부로 할당될 때 서브프레임 내에서 필수 제어정보의 위치나 크기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에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subset)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 시스템과 다른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필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FCH(frame control header)를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필수 시스템 파라미터 및 시스템 구성 정보를 나르는 SFH(supreframe header)를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FCH와 상기 SFH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의 비율에 관계 없이 상기 프레임의 고정된 위치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의 합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FCH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SFH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간의 간격은 3개, 2개 또는 1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의 합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FCH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SFH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간의 간격은 2개 또는 1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의 합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FCH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SFH가 할당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간의 간격은 1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CH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의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FH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의 첫 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FH의 주기는 40 ms의 정수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는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복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시스템을 위한 필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FCH(frame control header)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 및 제2 시스템을 위한 필수 시스템 파라미터 및 시스템 구성 정보를 나르는 SFH(supreframe header)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을 가지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SFH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시스템과 상기 제2 시스템은 2개의 서로 다른 시스템들이며,
    상기 FCH와 상기 SFH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의 비율에 관계 없이 상기 프레임의 고정된 위치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프레임에 제1 시스템을 위한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subset)을 할당하고;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 시스템과 다른 제2 시스템을 위한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을 할당하고;
    상기 제1 시스템을 위한 필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FCH(frame control header)를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서 전송하고; 및
    상기 제2 시스템을 위한 필수 시스템 파라미터 및 시스템 구성 정보를 나르는 SFH(supreframe header)를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FCH와 상기 SFH는 상기 제1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상기 제2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부집합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의 비율에 관계 없이 상기 프레임의 고정된 위치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30069885A 2008-02-26 2013-06-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427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36808P 2008-02-26 2008-02-26
US61/031,368 2008-02-26
US3804008P 2008-03-19 2008-03-19
US61/038,040 2008-03-19
US3805708P 2008-03-20 2008-03-20
US61/038,057 2008-03-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271A Division KR101422852B1 (ko) 2008-02-26 2008-06-1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할당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193A true KR20130086193A (ko) 2013-07-31
KR101427530B1 KR101427530B1 (ko) 2014-08-07

Family

ID=412093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271A KR101422852B1 (ko) 2008-02-26 2008-06-1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할당방법
KR1020130069885A KR101427530B1 (ko) 2008-02-26 2013-06-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할당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271A KR101422852B1 (ko) 2008-02-26 2008-06-1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할당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8437301B2 (ko)
JP (1) JP2011515044A (ko)
KR (2) KR101422852B1 (ko)
WO (1) WO2009107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2676B2 (en) 2006-10-17 2013-06-11 Intel Corporation Frame structure for support of large delay spread deployment scenarios
KR101422852B1 (ko) 2008-02-26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할당방법
US20090325578A1 (en) * 2008-06-27 2009-12-31 Nokia Siemens Networks Oy Support for multi-group frequency division duplex wireless network
CN101834654B (zh) * 2009-03-11 2016-03-09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中继tdd系统中避免不同步而产生的干扰的方法和装置
KR101472750B1 (ko) * 2009-04-01 2014-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적 셀 구조에서 간섭 완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US8942192B2 (en) * 2009-09-15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bframe interlac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CN105812114B (zh) * 2009-10-05 2019-08-0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载波聚合的方法和装置
US8750189B2 (en) * 2011-01-06 2014-06-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720617B2 (ja) * 2012-04-18 2015-05-20 横河電機株式会社 管理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9042280B2 (en) 2012-07-12 2015-05-2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half duplex scheduling
WO2017014560A1 (en) * 2015-07-20 2017-0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tdd frame for short tti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0651B2 (ja) 1994-08-09 2003-07-2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データ、制御情報同時伝送方法
US6282430B1 (en) * 1999-01-01 2001-08-28 Motorola, Inc. Method for obtaining control information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FI111505B (fi) * 1999-05-31 2003-07-31 Nokia Corp Menetelmä ohjaustiedon välittämiseksi tiedonsiirtojärjestelmässä, tiedonsiirtojärjestelmä, langaton päätelaite ja tukiasemajärjestelmä
US6941132B2 (en) * 2000-03-20 2005-09-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nsport of radio network-originated control information
US6529527B1 (en) * 2000-07-07 2003-03-04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packetized voice and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20050044219A (ko) * 2003-11-07 2005-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RU2292119C2 (ru) 2004-08-31 2007-01-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Полет" Способ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и радио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WO2007052995A1 (en) * 2005-11-07 2007-05-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using flexible bandwidth in ofdma-based cognitive radio system, base station and subscriber station using the same
KR100871856B1 (ko) * 2006-01-06 2008-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7109064A1 (en) * 2006-03-17 2007-09-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estimation using time-frequency localized pilots and de-noising techniques
KR100866024B1 (ko) * 2006-04-19 200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248076A1 (en) * 2006-04-21 2007-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frame synchronization, channel estimation and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080056390A1 (en) 2006-08-29 2008-03-06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doppler estimation
EP1936853B1 (en) * 2006-12-20 2018-11-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Avoidance of feedback collision in mobile communications
KR101236624B1 (ko) * 2007-02-01 201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망간 서비스 연동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
PL2071795T3 (pl) 2007-12-12 2010-09-30 Lg Electronics Inc Urządzenie do transmitowania i odbierania sygnału oraz sposób transmitowania i odbierania sygnału
US8175022B2 (en) * 2007-12-19 2012-05-08 Intel Corporation Transmission of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mobile WiMAX systems
KR101422852B1 (ko) 2008-02-26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할당방법
KR101468741B1 (ko) * 2008-04-04 201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852B1 (ko) 2014-07-25
KR20090092208A (ko) 2009-08-31
US8437301B2 (en) 2013-05-07
US20130235827A1 (en) 2013-09-12
KR101427530B1 (ko) 2014-08-07
US9237554B2 (en) 2016-01-12
US20150063198A1 (en) 2015-03-05
US20110007699A1 (en) 2011-01-13
US9750009B2 (en) 2017-08-29
US9578624B2 (en) 2017-02-21
US20170111892A1 (en) 2017-04-20
WO2009107978A1 (ko) 2009-09-03
JP2011515044A (ja)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53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할당 방법 및 장치
US839606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54718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 wideband frame
JP543966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媒体アクセス制御フレーム構造
USRE46529E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superframe structure
US20110019597A1 (en) Method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s in fdd frame
KR101505686B1 (ko) 가변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무선자원 할당 방법
US8886238B2 (en)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32205B2 (en) Frame transmiss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400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ang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6701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10878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
KR101558568B1 (ko) 셀간 간섭을 완화하는 자원영역 할당방법
RU2451395C1 (ru) Способ размещения управляющей информаци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KR1016370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090088779A (ko) Tdd 방식에 따른 프레임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