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781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781B1
KR101108781B1 KR1020107013101A KR20107013101A KR101108781B1 KR 101108781 B1 KR101108781 B1 KR 101108781B1 KR 1020107013101 A KR1020107013101 A KR 1020107013101A KR 20107013101 A KR20107013101 A KR 20107013101A KR 101108781 B1 KR101108781 B1 KR 101108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bs
subframe
unicast
data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048A (ko
Inventor
이욱봉
구자호
문성호
곽진삼
임빈철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8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은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위한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 및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데이터를 위한 MBS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유니캐스트 데이터 및 상기 MBS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MBS 서브프레임에는 데이터가 실리지 않는 유휴시간(idle time)이 포함되고, 상기 유휴시간은 상기 MBS 서브프레임 내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늦은 위치에 배치된다. 다중 셀로부터 전송되는 MBS 신호에 대하여 적절한 CP(cyclic prefix)를 사용할 수 있는 MBS 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유휴시간을 줄일 수 있어 한정된 무선자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니캐스트 데이터 및 MBS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은 광대역 무선 접속(broadband wireless access)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과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1999년부터 표준화가 진행되어 2001년 IEEE 802.16-2001이 승인되었다. 이는 'WirelssMAN-SC'라는 단일 반송파(single carrier) 물리계층에 기반한다. 이후 2003년에 승인된 IEEE 802.16a 표준에서는 물리계층에 'WirelssMAN-SC' 외에'WirelssMAN-OFDM'과 'WirelssMAN-OFDMA'가 더 추가되었다. IEEE 802.16a 표준이 완료된 후 개정된(revised) IEEE 802.16-2004 표준이 2004년 승인되었다. IEEE 802.16-2004 표준의 결함(bug)과 오류(error)를 수정하기 위해 'corrigendum'이라는 형식으로 IEEE 802.16-2004/Cor1이 2005년에 완료되었다.
일반적으로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는 단일대역망(Single Frequency Network; SFN) 시스템에서 사용되어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이득 및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이득을 얻는다. 복수의 기지국들은 동일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순열(permutation) 등을 적용한 동일한 MBS 신호를 단말로 전송한다. 다중 셀(multicell)로부터 전송되는 동일한 MBS 신호들은 셀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으로 작용하지 않고 자기 신호(self signal)로 작용하여 다중경로 페이딩(multipath fading)과 같은 효과를 가져 온다. 단말은 다중 셀로부터 전송되는 동일한 MBS 신호들로부터 주파수 다이버시티 및 매크로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SFN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다중 셀로부터 전송되는 MBS 신호에 대한 지연확산(delay spread)은 기지국들과 단말 간의 거리에 따라 일반적인 유니캐스트(unicast) 신호에 비하여 매우 커질 수 있다. MBS 신호의 지연확산이 증가하여 CP(cyclic prefix)를 초과하게 되면 심볼 간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ISI)을 유발한다. CP는 심볼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호가 실리지 않는 구간이다. 따라서, MBS 신호에 대한 CP의 길이는 유니캐스트 신호보다 길어야 한다. 그러나 한정된 무선자원에서 CP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상대적으로 데이터를 실을 수 있는 자원영역이 줄어든다. 셀간 거리가 먼 경우에는 MBS 신호에 대한 지연확산이 커지므로 CP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셀간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CP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MBS 신호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CP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에 대하여 명확히 제시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니캐스트 데이터 및 MBS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은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위한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 및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데이터를 위한 MBS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유니캐스트 데이터 및 상기 MBS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MBS 서브프레임에는 데이터가 실리지 않는 유휴시간(idle time)이 포함되고, 상기 유휴시간은 상기 MBS 서브프레임 내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늦은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무선자원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상기 프레임의 제1 영역을 통하여 제1 CP가 삽입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에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제2 영역을 통하여 제2 CP가 삽입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CP 및 상기 제2 CP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 영역에는 데이터가 실리지 않는 유휴시간이 포함된다.
다중 셀로부터 전송되는 MBS 신호에 대하여 적절한 CP(cyclic prefix)를 사용할 수 있는 MBS 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유휴시간을 줄일 수 있어 한정된 무선자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송신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프레임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셀간 거리(inter site distance; ISD)별로 데이터 전송에 대한 누적분포함수(CDF)를 나타낸다.
도 5는 CP 비율별로 셀간 거리(SID)에 대한 전송효율(spectral efficiency)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S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S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BS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MBS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MBS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CP 비율을 사용하는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과 MBS 서브프레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CP 비율을 사용하는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과 MBS 서브프레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CP 비율에 따른 MBS를 수행한 결과의 일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CP 비율에 따른 MBS를 수행한 결과의 다른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 시스템일 수 있다. OFDM은 다수의 직교 부반송파를 이용한다. OFDM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과 FFT(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의 직교성 특성을 이용한다. 송신기에서 데이터는 IFFT를 수행하여 전송된다. 수신기에서 수신신호에 FFT를 수행하여 원래 데이터를 복원한다. 송신기는 다중 부반송파들을 결합하기 위해 IFFT를 사용하고, 수신기는 다중 부반송파들을 분리하기 위해 대응하는 FFT를 사용한다.
도 2는 송신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기(100)는 채널 인코더(channel encoder; 101), 맵퍼(mapper; 102), OFDM 변조기(103) 및 CP(cyclic prefix) 삽입부(104)를 포함한다.
채널 인코더(101)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정해진 코딩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coded data)를 형성한다. 맵퍼(102)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하여, 진폭과 위상 성상(constellation)에 따른 위치를 표현하는 심벌들로 맵핑한다. OFDM 변조기(103)는 입력되는 심벌들을 OFDM 심벌로 변환한다. OFDM 변조기(103)는 입력 심벌들에 대해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하여 시간 영역 샘플들로 변환할 수 있다.
CP 삽입부(104)는 변환된 시간영역 샘플들에 CP를 추가한다. CP 삽입부(104)는 유니캐스트(unicast) 데이터에 대하여 삽입하는 CP의 길이 및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데이터에 대하여 삽입하는 CP의 길이를 서로 달리하여 삽입할 수 있다. CP 삽입부(104)는 셀 반경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CP를 사용할 수 있다. CP가 삽입된 시간 영역 샘플들은 안테나(105)를 통해 송신된다.
수신기는 수신신호에서 CP를 제거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하고, 맵퍼(102) 및 채널 인코더(101)의 역과정을 수행한다.
도 3은 프레임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프레임은 물리적 사양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된 시간 동안의 데이터 시퀀스이다. 이는 IEEE 표준 802.16-2004 "Part 16: Air Interface for Fixed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 (이하, 참조문헌 1)의 8.4.4.2절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은 하향링크(DL) 프레임과 상향링크(UL) 프레임을 포함한다. 시간 분할 이중(Time Division Duplex)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송이 동일 주파수를 공유하지만 서로 다른 시간에 일어나는 방식이다. 하향링크 프레임은 상향링크 프레임보다 시간적으로 앞선다. 하향링크 프레임은 프리앰블(preamble), FCH(Frame Control Header), DL(Downlink)-MAP, UL(Uplink)-MAP, 버스트 영역의 순서로 시작된다.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을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guard time)이 프레임의 중간 부분(하향링크 프레임과 상향링크 프레임 사이)과 마지막 부분(상향링크 프레임 다음)에 삽입된다.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는 다운링크 버스트와 계속되는(subsequent) 상향링크 버스트 사이의 갭이다.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는 상향링크 버스트와 계속되는 하향링크 버스트 사이의 갭이다.
프리앰블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초기 동기, 셀 탐색, 주파수 오프셋 및 채널추정에 사용된다. FCH는 DL-MAP 메시지의 길이와 DL-MAP의 코딩 방식(coding scheme) 정보를 포함한다.
DL-MAP은 DL-MAP 메시지가 전송되는 영역이다. DL-MAP 메시지는 하향링크 채널의 접속을 정의한다. DL-MAP 메시지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의 구성 변화 카운트 및 기지국 ID(identifier)를 포함한다. DCD는 현재 맵에 적용되는 하향링크 버스트 프로파일(downlink burst profile)을 기술한다. 하향링크 버스트 프로파일은 하향링크 물리채널의 특성을 말하며, DCD는 DCD 메시지를 통해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다.
UL-MAP은 UL-MAP 메시지가 전송되는 영역이다. UL-MAP 메시지는 상향링크 채널의 접속을 정의한다. UL-MAP 메시지는 UCD(Uplink Channel Descriptor)의 구성 변화 카운트, UL-MAP에 의해 정의되는 상향링크 할당의 유효 시작 시각을 포함한다. UCD는 상향링크 버스트 프로파일(uplink burst profile)을 기술한다. 상향링크 버스트 프로파일은 상향링크 물리채널의 특성을 말하며, UCD는 UCD 메시지를 통해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다.
이하에서, 슬롯(slot)은 최소한의 가능한 데이터 할당 유닛으로, 시간과 서브채널(subchannel)로 정의된다. 서브채널의 수는 FFT 크기와 시간-주파수 맵핑에 종속한다. 서브채널은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서브채널 당 부반송파의 수는 순열(permutation) 방식에 따라 따르다. 순열은 논리적인 서브채널을 물리적인 부반송파로의 맵핑을 의미한다. FUSC(Full Usage of Subchannels)에서 서브채널은 48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PUSC(Partial Usage of Subchannels)에서 서브채널은 24개 또는 16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세그먼트(segment)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채널 집합을 말한다.
물리계층에서 데이터를 물리적인 부반송파로 맵핑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2단계를 거친다. 첫번째 단계에서,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논리적인 서브채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슬롯으로 맵핑된다. 두번째 단계에서, 각 논리적인 서브채널은 물리적인 부반송파로 맵핑된다. 이를 순열이라 한다. 참조문헌 1은 FUSC, PUSC, O-FUSC(Optinal-FUSC), O-PUSC(Optional-PUSC),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등의 순열 방식을 개시한다. 동일한 순열 방식이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집합을 순열 영역(permutation zone)이라고 하고, 하나의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순열 영역을 포함한다.
FUSC와 O-FUSC는 하향링크 전송에만 사용된다. FUSC는 모든 서브채널 그룹을 포함하는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각 서브채널은 전체 물리채널을 통해 분포되는 물리적인 부반송파로 맵핑된다. 이 맵핑은 각 OFDM 심벌마다 바뀐다. 슬롯은 하나의 OFDM 심벌상에서 하나의 서브채널로 구성된다. O-FUSC는 FUSC와 파일럿이 할당되는 방식이 다르다.
PUSC는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 모두에 사용된다. 하향링크에서, 각 물리적인 채널은 2개의 OFDM 심벌 상에서 14개의 인접하는(contiguous) 부반송파로 구성되는 클러스터(cluster)로 나누어진다. 물리채널은 6개의 그룹으로 맵핑된다. 각 그룹 내에서, 파일럿은 고정된 위치로 각 클러스터에 할당된다. 상향링크에서, 부반송파들은 3 OFDM 심벌상에서 4 인접하는 물리적 부반송파로 구성된 타일(tile)로 나누어진다. 서브채널은 6 타일을 포함한다. 각 타일의 모서리에 파일럿이 할당된다. O-PUSC는 상향링크 전송에만 사용되고, 타일은 3 OFDM 심벌 상에서 3 인접하는 물리적 부반송파로 구성된다. 파일럿은 타일의 중심에 할당된다.
도 4는 셀간 거리(inter site distance; ISD)별로 데이터 전송에 대한 누적분포함수(CDF)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ISD가 0.5km인 경우, 대부분의 데이터가 64개의 CP 이내에 전송됨을 알 수 있다. ISD가 1.5km인 경우, 대부분의 데이터가 128개의 CP 이내에 전송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SID 3.0km, 5.0km와 같은 큰 셀(large cell)에서는 데이터가 CP 128을 크게 초과하여 전송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CP 비율별로 셀간 거리(SID)에 대한 전송효율(spectral efficiency)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CP 비율(CP radio)은 CP의 길이(length 또는 duration)를 의미한다. ISD가 0.5km일 때는 CP 비율이 1/16인 경우가 가장 좋은 전송효율을 나타내고, ISD가 1.5km일 때는 CP 비율 1/8인 경우가 가장 좋은 전송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아주 작은 크기의 셀(ISD=0.5km)에서는 작은 크기의 CP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ISD가 1.5km 이상인 중간 크기 또는 큰 크기의 셀에서는 중간 크기의 CP(CP radio=1/8)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MBS 프레임은 유니캐스트 데이터와 MBS 데이터를 함께 실어서 전송할 수 있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MBS 프레임 구조를 결정할 때, 유니캐스트 데이터만을 위한 일반적인 프레임 구조를 고려하여야 한다. 유니캐스트 데이터에 적용되는 CP의 길이와 MBS 데이터에 적용되는 CP의 길이는 서로 달리 정해질 수 있는데, 유니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프레임 구조를 고려하지 않으면 MBS 프레임은 데이터가 실리지 않는 유휴시간(idle time)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S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MBS 프레임은 하향링크 프레임과 상향링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에는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unicast subframe) 및 MBS 서브프레임이 포함된다. MBS 서브프레임은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뒤따를 수 있다. MBS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늦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MBS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프레임 내에서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MBS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는 DL-MAP 메시지 또는 MBS 서브프레임을 위한 MBS-MAP 메시지를 통하여 지시할 수 있다. MBS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늦은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MBS 서브프레임이 시작되는 OFDM 심볼 인덱스로 MBS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MBS 프레임은 여러 가지 서브프레임으로 구분될 수 있고, 구분되는 각 서브프레임에는 서브프레임 인덱스(subframe index)가 부여될 수 있다. 이때, MBS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는 MBS 서브프레임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 인덱스로 표현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MBS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늦은 위치에 배치될 때, MBS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는 MBS 서브프레임의 개수로 표현될 수 있다.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MBS 서브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MBS 데이터 심볼(MBS data symbols)이 포함된다. 하향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 심볼, 하향링크 제어심볼 및 MBS 데이터 심볼은 OFDM 심볼에 대응된다.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의 OFDM 심볼을 유니캐스트 OFDM 심볼이라 하고, MBS 서브프레임의 OFDM 심볼을 MBS OFDM 심볼이라 할 수 있다. MBS 서브프레임은 MBS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하향링크 프레임에 포함되는 다수의 OFDM 심볼 중 일부를 사용할 수 있다. 즉, MBS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MBS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하향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 심볼의 일부가 MBS 데이터 심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CP(cyclic prefix)를 유니캐스트 CP라 하고, MBS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CP를 MBS CP라 하며, OFDM 심볼 길이(duration)에 대한 CP 길이의 비율을 CP 비율(CP ratio)이라 한다. CP 비율은 CP의 길이(length 또는 duration)를 의미한다. 유니캐스트 CP의 CP 비율을 유니캐스트 CP 비율, MBS CP의 CP 비율을 MBS CP 비율이라 한다.
MBS CP의 구간(또는 길이)을 설정함에 있어서 적어도 다음 두 가지가 고려되어야 한다. (1) MBS CP의 길이는 심볼 간 간섭(ISI)을 줄이고 SFN(single frequency network) 이득을 충분히 얻을 수 있을 만큼 길어야 한다. (2) MBS 서브프레임 구조는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 구조와 일치하여야 한다. 유니캐스트 CP 및 MBS CP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경우, MBS 서브프레임의 길이가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의 길이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그 차이만큼의 유휴시간(idle time)이 발생한다. 유휴시간은 아무런 신호도 보내지 않는 구간으로 무선자원의 낭비 요인이 되므로, MBS CP의 길이를 설정함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한다.
유휴시간(idle time)은 MBS 서브프레임 내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늦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유휴시간은 MBS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MBS 데이터 심볼의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MBS 서브프레임이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뒤따를 때, 유휴시간은 하향링크 프레임 내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늦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유휴시간은 하향링크 프레임과 상향링크 프레임 사이의 TTG에 인접하여 시간적으로 앞설 수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유휴시간은 MBS 서버프레임 내에서 처음의 MBS 데이터 심볼의 앞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MBS 프레임의 길이는 5ms이고, 유니캐스트 CP 및 MBS CP는 1/8 CP 비율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자. OFDM 심볼의 길이가 102.86㎲ 이라고 하면, 유니캐스트 CP 및 MBS CP의 길이는 11.43㎲가 된다. 이러한 CP의 길이를 적용하면 MBS 서브프레임 구조는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고, 큰 셀 반경을 가지는 다중 셀 환경에서도 유니캐스트 데이터 및 MBS 데이터를 하나의 MBS 프레임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큰 셀 반경(large cell)에 대하여 MBS 프레임에서 유니캐스트 CP 및 MBS CP는 1/8 CP 비율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1/8 CP 비율은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너무 큰 CP 길이가 될 수 있고, 유니캐스트 CP 비율을 줄일 필요가 있다.
이하, CP 비율을 변화시킴에 따라 MBS 프레임에서 생길 수 있는 유휴시간 및 MBS 프레임을 이용한 전송 효율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록 도 6에 나타난 MBS 프레임은 TDD 프레임이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MBS 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는 FDD(frequecny division duplex) 프레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S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BS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유니캐스트 CP 비율이 1/12로 설정되었을 때, 도 7은 MBS 서브프레임의 MBS OFDM 심볼의 수가 11개인 경우이고, 도 8은 MBS 서브프레임의 MBS OFDM 심볼의 수가 8개인 경우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유니캐스트 CP의 길이를 변경하여 MBS CP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유니캐스트 CP 비율과 MBS CP 비율은 서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MBS CP의 비율을 유니캐스트 CP 비율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CP 비율을 1/12로 설정하고, MBS CP 비율을 유니캐스트 CP 비율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표 1은 유니캐스트 CP 비율을 1/12로 설정하였을 때, MBS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Unicast CP ratio Number of unicast OFDM symbols per
MBS subframe
MBS CP length/MBS CP ratio Number of MBS OFDM symbols per MBS subframe Idle time
Case A 1/12 12 16.43㎲
(23/128)
11 1.79㎲
Case B 1/12 9 19.82㎲
(111/512)
8 1.16㎲
Case C 1/12 N 7.619㎲
(1/12)
N 0㎲
Case A의 경우(도5 참조), MBS 서브프레임은 11개의 MBS OFDM 심볼을 포함한다. MBS 서브프레임의 길이(duration)가 1188.2㎲이면, MBS 서브프레임에 대한 유니캐스트 OFDM 심볼의 수는 12개가 된다. MBS CP의 길이가 16.43㎲, 즉 MBS CP 비율이 23/128이면, MBS 서브프레임에는 11개의 MBS OFDM 심볼이 포함되고, 유휴시간(idle time)은 1.79㎲가 된다.
Case B의 경우(도6 참조), MBS 서브프레임은 8개의 MBS OFDM 심볼을 포함한다. MBS 서브프레임의 길이(duration)가 891.16㎲이면, MBS 서브프레임에 대한 유니캐스트 OFDM 심볼의 수는 9개가 된다. MBS CP의 길이가 19.82㎲, 즉 MBS CP 비율이 111/512이면, MBS 서브프레임에는 8개의 MBS OFDM 심볼이 포함되고, 유휴시간(idle time)은 1.16㎲가 된다.
Case C는 유니캐스트 CP 비율과 MBS CP 비율을 모두 1/12로 설정한 경우이다. MBS CP의 길이는 7.619㎲가 되고, MBS 서브프레임에 대한 유니캐스트 OFDM 심볼의 수와 MBS OFDM 심볼의 수는 N으로 같아지고, 유휴시간은 0㎲이 된다.
Case A 및 B에서 유니캐스트 CP 비율과 MBS CP 비율이 달라짐에 따라 생성되는 유휴시간은 MBS 서브프레임 내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늦게 위치할 수 있다.
도 9는 MBS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MBS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 1의 Case A, B, C에 따른 MBS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 셀간 거리(inter site distance; ISD)에 대한 전송 효율(spectral efficiency)을 나타낸다. Case C의 전송 효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난다. 즉, CP 비율이 1/12인 CP는 충분히 MBS CP로 사용될 수 있다. MBS 프레임에서 유니캐스트 CP 및 MBS CP는 1/12 CP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CP 비율을 사용하는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과 MBS 서브프레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은 1/16 CP 비율을 사용하고, MBS 서브프레임은 1/8 CP 비율을 사용한다. 이때, MBS 서브프레임에 대한 유니캐스트 OFDM 심볼의 수가 N개라고 하면(10<N≤18일 때), MBS 서브프레임에는 N-1개의 MBS OFDM 심볼이 포함된다. 그리고, MBS 서브프레임의 유휴시간(idle time)은 수학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8064815-pct00001
여기서, Tidle은 유휴시간, NFFT는 FFT(Fast Fourier Transform)의 크기, GMBS는 MBS CP 비율, Guni는 유니캐스트 CP 비율, Fs는 샘플링 대역(sampling frequency)이다.
유니캐스트 OFDM 심볼의 수가 18<N≤36인 경우에는 MBS 서브프레임에는 N-2개의 MBS OFDM 심볼이 포함되고, MBS 서브프레임의 유휴시간은 수학식 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0038064815-pct00002
CP를 확장하기 위해 빌려오는 OFDM 심볼의 수가 K개이면, 수학식 1과 2는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0038064815-pct00003
수학식 3은 모든 CP 길이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유니캐스트 CP 비율이 1/16이고, MBS CP 비율이 1/8일 때, K = ceil(N/18)로 적용될 수 있다.
유니캐스트 CP 비율과 MBS CP 비율을 서로 달리 정함으로써 발생하는 유휴시간은 MBS 서브프레임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늦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MBS 서브프레임이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뒤따를 때, 유휴시간은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늦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CP 비율을 사용하는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과 MBS 서브프레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은 1/16 CP 비율을 사용하고, MBS 서브프레임은 1/8 CP 비율을 사용한다. 유휴시간은 MBS 서브프레임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앞서는 위치에 배치된다. MBS 서브프레임이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뒤따르를 때, 유휴시간은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과 MBS 서브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유휴시간은 MBS 서브프레임이 시작됨을 의미할 수 있고, 단말은 유휴시간으로부터 MBS 서브프레임의 시작을 알 수 있다.
도 12는 CP 비율에 따른 MBS를 수행한 결과의 일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셀간 거리(inter site distance; ISD)가 1.5km일 때, CP 비율이 1/16인 경우와 CP 비율이 1/8인 경우에 MBS를 수행한 결과이다. CP 비율이 1/16인 경우는 전송 효율(spectral efficiency)이 일정하게 나타난다. CP 비율이 1/8인 경우는 MBS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MBS OFDM 심볼의 수(Number of MBS OFDM symbols)가 증가할수록 전송 효율이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MBS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MBS OFDM 심볼의 수가 10개 이하인 경우에는 1/16 CP 비율을 사용하고, MBS OFDM 심볼의 수가 10개 이상인 경우에는 1/8 CP 비율을 사용하는 것이 전송 효율 면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은 CP 비율에 따른 MBS를 수행한 결과의 다른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셀간 거리(ISD)가 1.5km일 때, CP 비율이 1/16인 경우와 CP 비율이 1/12인 경우에 MBS를 수행한 결과이다. MBS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MBS OFDM 심볼의 수가 10개 이하인 경우에는 1/16 CP 비율을 사용하고, MBS OFDM 심볼의 수가 10개 이상인 경우에는 1/12 CP 비율을 사용하는 것이 전송 효율 면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는 MBS 프레임에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유니캐스트 CP 비율 및 MBS CP 비율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다.
Unicast CP ratio MBS CP size option / CP ratio (G)
(Cell size)
Number of unicast OFDM symbols per MBS subframe Number of MBS OFDM symbols per MBS subframe Idle time
Guni=1/8 11.43 μs (GMBS=1/8)
(Small to large)
N N 0㎲
Guni=1/12 7.619 μs
(GMBS =1/12)
(Small to large)
N N 0㎲
Guni=1/16 5.71 μs
(GMBS =1/16)
(Small)
N N 0㎲
Guni=1/16 5.71 μs
(GMBS =1/16)
(Medium to large,
short subframe size : ex) N <= 10)
N N 0㎲
Guni=1/16 11.43 μs (GMBS =1/8)
(Medium to large,
medium subframe size
: ex) 10<N<=18)
N N-1 NFFT*(1+GMBS)/Fs-NFFT*(GMBS-Guni)/Fs*N s
Guni=1/16 11.43 μs
(GMBS =1/8)
(Medium to large,
long subframe size :
ex) 18<N<=36)
N N-2 2*NFFT*(1+GMBS)/Fs-NFFT*(GMBS-Guni)/Fs*N s
유니캐스트 CP 비율(Guni) 1/8 및 MBS CP 비율(GMBS) 1/8은 셀 반경이 작은 경우부터 큰 경우까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유니캐스트 CP 비율 1/12 및 MBS CP 비율 1/12도 셀 반경이 작은 경우부터 큰 경우까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유니캐스트 CP 비율 1/16 및 MBS CP 비율 1/16은 셀 반경이 작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10개 이하의 MBS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작은 크기의 MBS 서브프레임 경우(short subframe size), 유니캐스트 CP 비율 1/16 및 MBS CP 비율 1/16은 셀 반경이 중간에서 큰 경우까지 적용될 수 있다. 유니캐스트 CP 비율 1/16 및 MBS CP 비율 1/8은 MBS OFDM 심볼의 수(N)가 10<N≤18인 중간 크기의 MBS 서브프레임(medium subframe size)에 대해 셀 반경이 중간에서 큰 경우까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유니캐스트 CP 비율 1/16 및 MBS CP 비율 1/8은 MBS OFDM 심볼의 수(N)가 18<N≤38인 큰 크기의 MBS 서브프레임(long subframe size)에 대해 셀 반경이 중간에서 큰 경우까지 적용될 수 있다.
표 3은 MBS 프레임에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유니캐스트 CP 비율 및 MBS CP 비율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다.
Unicast CP ratio MBS CP size option / CP ratio (G)
(Cell size)
Number of unicast OFDM symbols per MBS subframe Number of MBS OFDM symbols per MBS subframe Idle time
Guni=1/8 11.43 μs (GMBS=1/8)
(Small to large)
N N 0㎲
Guni=1/12 7.619 μs
(GMBS =1/12)
(Small to large)
N N 0㎲
Guni=1/16 5.71 μs
(GMBS =1/16)
(Small)
N N 0㎲
Guni=1/16 5.71 μs
(GMBS =1/16)
(Medium to large,
short subframe size : ex) N <= 10)
N N 0㎲
Guni=1/16 7.619 μs
(GMBS =1/12)
(Medium to large,
medium to large subframe size : ex) N<10)
N N-1 NFFT*(1+GMBS)/Fs-NFFT*(GMBS-Guni)/Fs*N s
Guni=1/24 3.81 μs (GMBS =1/24)
(Small to any N and Medium to large with short subframe size
: ex) N<=10)
N N 0㎲
Guni=1/24 7.619 μs
(GMBS =1/12)
(Medium to large,
Medium to large subframe size :
ex) N<=26)
N N-2 NFFT*(1+GMBS)/Fs-NFFT*(GMBS-Guni)/Fs*N s
유니캐스트 CP 비율 1/16 및 MBS CP 비율 1/12은 MBS OFDM 심볼의 수(N)가 N<10인 MBS 서브프레임에 대해 셀 반경이 중간에서 큰 경우까지 적용될 수 있다. 유니캐스트 CP 비율 1/24 및 MBS CP 비율 1/24은 MBS OFDM 심볼의 수(N)에 상관없이 작은 셀 반경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고, N<10인 MBS OFDM 심볼을 포함하는 MBS 서브프레임에 대해 셀 반경이 중간에서 큰 경우까지 적용될 수 있다. 유니캐스트 CP 비율 1/24 및 MBS CP 비율 1/24은 MBS OFDM 심볼의 수(N)가 N≤26인 중간에서 큰 크기의 MBS 서브프레임에 대해 셀 반경이 중간에서 큰 경우까지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위한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 및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데이터를 위한 MBS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유니캐스트 데이터 및 상기 MBS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MBS 서브프레임에는 데이터가 실리지 않는 유휴시간(idle time)이 포함되고, 상기 유휴시간은 상기 MBS 서브프레임 내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늦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MBS 서브프레임은 상기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에 시간적으로 뒤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하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유휴시간은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 내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늦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MBS 서브프레임에 삽입되는 MBS CP(cyclic prefix) 및 상기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에 삽입되는 유니캐스트 CP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MBS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상기 MBS 서브프레임이 시작되는 OFDM 심볼 인덱스 또는 서브프레임 인덱스로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MBS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상기 MBS 서브프레임의 개수로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6.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무선자원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1 영역을 통하여 제1 CP가 삽입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에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제2 영역을 통하여 제2 CP가 삽입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CP 및 상기 제2 CP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 영역에는 데이터가 실리지 않는 유휴시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시간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뒤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시간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앞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9. 삭제
KR1020107013101A 2007-12-27 2008-12-2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 KR101108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1207P 2007-12-27 2007-12-27
US61/016,812 2007-12-27
US1958208P 2008-01-07 2008-01-07
US61/019,582 2008-01-07
US2131508P 2008-01-15 2008-01-15
US61/021,315 2008-01-15
KR20080006320 2008-01-21
KR1020080006320 2008-01-21
US12/810,622 US8498232B2 (en) 2007-12-27 2008-12-24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8/007688 WO2009084868A2 (en) 2007-12-27 2008-12-24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048A KR20100086048A (ko) 2010-07-29
KR101108781B1 true KR101108781B1 (ko) 2012-02-27

Family

ID=4082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101A KR101108781B1 (ko) 2007-12-27 2008-12-2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98232B2 (ko)
KR (1) KR101108781B1 (ko)
WO (1) WO20090848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5633A1 (en) * 2008-01-18 2009-07-23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pecifying the Location of Data Bursts
US8547989B2 (en) * 2008-12-01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LTE-WIMAX coexistence
KR101813031B1 (ko) * 2010-04-13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319107B2 (en) * 2016-03-07 2022-05-03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for standalone LTE broadcas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2272A1 (en) * 2004-03-30 2006-12-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07091607A1 (ja) 2006-02-08 2007-08-16 Ntt Docomo, Inc.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20070189289A1 (en) 2005-12-27 2007-08-1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frequency domain multiplexed multicast and unicast transmission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3358A (ja) * 1993-09-20 1997-03-31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ケーブル・ネットワークへのトランク電話アクセスの方法および装置
US6996823B1 (en) * 2000-04-06 2006-0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 process communications in a distributed CP and NP environment
KR100561393B1 (ko) * 2002-11-30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매체 접근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7336600B2 (en) * 2003-12-29 2008-02-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ell search method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base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0945340B1 (ko) 2003-12-31 2010-03-08 엘지노텔 주식회사 다중 표준을 수용하는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인터페이스 동기방법
US8031583B2 (en) * 2005-03-30 2011-10-04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ound trip latency and overhead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EP1713284A1 (en) * 2005-04-15 2006-10-1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digital data
EP1734714B1 (en) * 2005-06-17 2012-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67312B1 (ko) * 2005-09-05 2007-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시스템의 하향 링크 신호 생성 장치와 셀 탐색 방법및 장치
CN1941687A (zh) * 2005-09-29 2007-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广播业务信道与非广播业务信道的复用方法
WO2007037414A1 (ja) * 2005-09-30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通信移動局装置およびrachデータ送信方法
WO2007043477A1 (ja) * 2005-10-07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パイロット送信方法
KR100961927B1 (ko) 2005-10-19 201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SG166826A1 (en) * 2005-11-07 2010-12-29 Agency Science Tech & Res Methods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from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EP2501075A1 (en) * 2005-12-27 2012-09-19 Fujitsu Limited Subframe structure for the multiplexing of unicast and multicast services
JPWO2007083636A1 (ja) * 2006-01-17 2009-06-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送信方法
JP4451400B2 (ja) * 2006-01-18 2010-04-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AU2007200185A1 (en) * 2006-02-08 2007-08-23 Nec Australia Pty Ltd Delivery of multicast and uni-cast services in an OFDMA system
KR20070105558A (ko) * 2006-04-26 2007-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반 셀룰러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공통제어채널의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한방법 및 장치
US9019888B2 (en) * 2006-05-01 2015-04-28 Wichoru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a plurality of packets in multicast broadcast service (MBS) communication network
US7746839B2 (en) * 2006-05-30 2010-06-29 Wichoru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in an OFDMA system
AU2006344626B2 (en) * 2006-06-15 2011-04-14 Fujitsu Limit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859988B2 (en) * 2006-06-22 2010-12-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for flexible cyclic prefix length for preamble symbols in an OFDM based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04891A (ko) * 2006-07-07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57202B2 (en) * 2006-08-28 2013-06-0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expected distortion in decoded video blocks
JP4932432B2 (ja) * 2006-11-01 2012-05-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
US7843870B2 (en) * 2006-11-07 2010-11-30 Clear Wireless Llc Systems and methods of supporti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WO2008060123A1 (en) * 2006-11-16 2008-05-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downlink frame
CN103152149B (zh) * 2007-01-10 2016-08-17 联想创新有限公司(香港) 基站、用户设备、通信系统和通信方法
US7796639B2 (en) * 2007-03-21 2010-09-14 Motorola Mobilit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ulti-antenna channel quality data acquisition in a broadcast/multicast service network
US7860465B2 (en) * 2007-05-01 2010-12-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open loop diversity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1675672B (zh) * 2007-05-02 2016-03-02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发信号通知邻近小区的分配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US7916713B2 (en) * 2007-07-31 2011-03-2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presence and a start of a zone in a frame
KR20090029623A (ko) * 2007-09-18 2009-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획득 방법
KR101448309B1 (ko) * 2007-09-28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US20090141690A1 (en) * 2007-10-01 2009-06-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ontrol signaling
KR101387529B1 (ko) * 2007-10-15 2014-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기지국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및 이동 통신 단말
KR101632080B1 (ko) * 2007-11-09 2016-06-20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통신 시스템용의 유연한 ofdm/ofdma 프레임 구조
KR101523100B1 (ko) * 2007-12-05 2015-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US8396068B2 (en) * 2007-12-20 2013-03-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08784B1 (ko) * 2009-01-21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데이터를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2272A1 (en) * 2004-03-30 2006-12-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89289A1 (en) 2005-12-27 2007-08-1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frequency domain multiplexed multicast and unicast transmissions
WO2007091607A1 (ja) 2006-02-08 2007-08-16 Ntt Docomo, Inc.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048A (ko) 2010-07-29
US8498232B2 (en) 2013-07-30
US20100278094A1 (en) 2010-11-04
WO2009084868A2 (en) 2009-07-09
WO2009084868A3 (en)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09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 control channel resource of a relay node in a backhaul subframe
US839606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31515B1 (ko) 파일롯 서브캐리어 할당을 사용하는 복수개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US975000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a broadcast system
KR101498059B1 (ko) 파일롯 서브캐리어 할당을 사용하는 복수개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JP201053500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媒体アクセス制御フレーム構造
US8886238B2 (en)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05686B1 (ko) 가변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무선자원 할당 방법
KR10137790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송을 위한 데이터 전송방법
KR10110878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
KR2009006701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WO2009011513A2 (en) Method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KR1016370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