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811A - Sns 정보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Sns 정보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811A
KR20130085811A KR1020120006896A KR20120006896A KR20130085811A KR 20130085811 A KR20130085811 A KR 20130085811A KR 1020120006896 A KR1020120006896 A KR 1020120006896A KR 20120006896 A KR20120006896 A KR 20120006896A KR 20130085811 A KR20130085811 A KR 20130085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ns
panoramic image
sns information
pano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002B1 (ko
Inventor
서동만
김수현
박호건
고희동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06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0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NS 정보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파노라마 카메라와, 파노라마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과 관련되는 SNS 정보를 획득하는 SNS 정보 획득부와, 파노라마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을 디코딩 및 인코딩하는 서버와,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되, 서버는 파노라마 영상에 SNS 정보를 오버레이하고, SNS 정보가 오버레이된 파노라마 영상을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한다.

Description

SNS 정보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Panoramic Video Interfa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SNS Information}
본 발명은 파노라마 영상을 클라이언트 단말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렉티브 TV와 같이 사용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한 소셜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대부분의 TV 플랫폼은 가상 공유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친구 또는 가족과 화면을 공유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즉, 현재 대부분의 인터렉티브 TV는 양방향 통신 채널을 통하여 TV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에 한정된다.
기존 한국등록특허 제10-0836470호 ‘스포츠 중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경우에도 양방향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시청자가 임의 관전 포인트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정보를 이용하여 시청자 간의 능동적이고 참여적인 시청 환경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3647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SNS 정보가 오버레이된 파노라마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능동적이고, 사용자 참여적인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하는 파노라마 카메라와, 상기 파노라마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과 관련되는 SNS 정보를 획득하는 SNS 정보 획득부와, 상기 파노라마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을 디코딩 및 인코딩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가 디코딩 및 인코딩한 파노라마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파노라마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에 상기 SNS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SNS 정보를 오버레이하고, 상기 SNS 정보가 오버레이된 파로라마 영상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SNS 정보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SNS 정보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추출된 위치의 깊이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SNS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SNS 정보를 오버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근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NS 정보는 SNS 종류 정보, SNS 발생 횟수 정보, 발생된 SNS의 콘텐츠 정보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SNS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에 오버레이할 SNS 정보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파노라마 카메라로부터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파노라마 영상과 관련되는 SN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SNS 정보를 상기 파노라마 영상에 오버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SNS 정보가 오버레이된 파노라마 영상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SNS 정보를 상기 파노라마 영상에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SNS 정보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노라마 영상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SNS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위치의 깊이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SNS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원근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크기가 조절된 SNS 정보를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버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NS 정보는 SNS 종류 정보, SNS 발생 횟수 정보, 발생된 SNS의 콘텐츠 정보 중 하나일 수 있으며,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SNS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에서 오버레이할 SNS 정보의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파노라마 영상에 SNS 정보를 오버레이함으로써, 사용자 참여형 파노라마 영상 중계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파노라마 영상에서 실제 SNS 정보가 생성된 위치에 SNS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현실감 있는 파노라마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TV 플랫폼 상에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중계 파노라마 영상의 일실시예이다.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5a 내지 도 5d는 스마트폰 상에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중계 파노라마 영상의 일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도면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의 가능한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의 내용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시스템은 파노라마 카메라(10)와, SNS 정보 획득부(20)와, 서버(30)와, 클라이언트 단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노라마 카메라(10)는 방송 서비스를 위하여 경기장 등과 같은 곳에 설치되어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파노라마 카메라(10)는 멀티 앵글 방송 서비스를 위하여 다수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파노라마 카메라(10)는 360도 촬영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으며, 파노라마 카메라(10)의 사양에 따라 각 렌즈의 영상 또는 전체 영상을 파노라마 카메라(10) 자체의 하드웨어 인코더를 통하여 인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음성은 별로도 구성되는 마이크 또는 파노라마 카메라(10)에 장착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파노라마 카메라(100)에서 획득된 파노라마 영상(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USB, IEEE1394, 이더텟(Ethernet), 광케이블 등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후술할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SNS 정보 획득부(20)는 트위터(Tweeter), 페이스북(Facebook), 유튜브(YouTube) 등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에서 생성되는 SNS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서버(30)는 파노라마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을 디코딩 및 인코딩하여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4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자세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40)은 서버(200)로부터 인코딩된 파노라마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클라이언트 단말(40)은 서버(3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크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면 그 대상에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40)은 PC(41), 노트북(42), 스마트폰(43), 스마트 TV(44)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30)는 디코딩 모듈(31)과 인코딩 모듈(32)과, 오버레이 모듈(33)과, 스트리밍 모듈(34)과 접속 제어 모듈(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코딩 모듈(31)은 파노라마 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 파노라마 영상을 디코딩하는 역할을 한다.
인코딩 모듈(32)은 디코딩 모듈(31에서 디코딩된 파노라마 영상을 서버(30)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40)의 요청 사양에 맞게 인코딩하는 역할을 한다.
오버레이 모듈(33)은 SNS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SNS 정보를 파노라마 카메라(10)에서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에 오버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오버레이 모듈(33)은 SNS 정보로부터 SNS 정보가 생성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에서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SNS 정보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SNS 정보는 SNS 종류 정보, SNS 발생 횟수 정보, 발생된 SNS의 콘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페이스북, 트위터, 유투브 등의 SNS 종류 정보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의 SNS 별 발생된 메시지 등의 콘텐츠 스트림 횟수, 구체적인 메시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스트리밍 모듈(34)은 오버레이 모듈(33)에서 생성된 SNS 정보가 오버레이된 파노라마 영상을 클라이언트 단말(4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스트미링 모듈(34)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는 QoS 제어 모듈(미도시)과, 클라이언트 단말(40)의 접속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RTP, HTTP, P2P 멀티캐스트 등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제어 모듈(35)은 서버(30)에 접속하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40)의 접속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접속 제어 모듈을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40)의 인증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미리 구축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40)이 서버(30)에 접속을 하거나, 접속 후 특정 영상 정보를 요청하여 채널 변경이 필요한 경우, 그 접속 요청을 승인하거나 거절한다.
본 발명의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이와 같이, 파노라마 영상에 SNS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능동적이고 사용자 참여적인 스포츠 중계 등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도 3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 따른 스포츠 중계 파노라마 영상을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TV 플랫폼 상에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중계 파노라마 영상의 일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모드 설정에 따라서, 여러 가지 SNS 정보 중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SNS 정보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3a는 사용자가 레벨 1을 선택하였을 경우 스마트 TV 상의 야구 중계 영상을 나타낸다. 화면의 우측 상단에는 트위터, 페이스북, 사용자 제작 동영상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으며, 각 아이콘에는 각 해당 SNS에서 발생한 메시지 등의 콘텐츠 발생 스트림 횟수가 표시되어 있다. 좌측 관중석 및 우측 관중석에는 원 모양으로 영역이 표시되고, 각 해당 영역에서의 SNS 종류별 데이터 발생 횟수가 표시되어 있다. 즉, 레벨 1은 대략의 SNS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드이다.
한편, 도 3b에는 도 3a와 유사하지만, 좌측 및 우측의 관중석에 각각 발생한 SNS 정보를 발생 지점에 모두 SNS 종류별 아이콘을 도시한 경우이다. 도 3b의 경우 레벨 2에 해당하는 경우로 보다 더 세부적인 SNS 정보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도 3c는 레벨 3에 해당하는 영상으로서 TV 영상 정보와 스코어 정보 및 관련 SNS 메시지 정보를 오버레이한 경우이다.
도 3d는 레벨 4에 해당하는 영상으로 특정 SNS에서 실제 발생한 메시지 스트림을 파노라마 영상에 오버레이한 경우이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각각 다른 모드에서 선택하여 필요한 SNS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5a 내지 도 5d는 스마트폰 상에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중계 파노라마 영상의 일실시예이다.
앞의 도 3a 내지 도 3d와 마찬가지로, 도 4a에서 스마트폰 우측 위치에는 각 SNS 종류별 아이콘 및 데이터 발생 횟수가 표시되어 있으며, 도 4b에는 구체적으로 관중석이 발생시킨 SNS 정보를 해당 관중 위족에 구체적인 메시지창을 띄워 놓고 있다. 한편 도 4c에서는 가장 구체적인 정보를 볼 수 있는 모드로서, 파노라마 동영상은 보여주지 않고, SNS의 메시지, 동영상 등의 정보만을 구체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는 기존의 텔레비전에서 제공하는 생중계 화면을 물론, 경기장 안팎에서 사용자들이 제작하여 올리는 UGC 또는 UCC와 연계하여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기장에 설치된 방송 중계용 카메라 또는 다른 다양한 카메라,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경기장 화면 등과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a 및 도 5d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d는 사용자가 스마트폰 상의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를 동작하는 예시 도면이다. 도 5a에 같이, 사용자는 스마트폰 상에서 특정 관심 영역을 메타 정보(즉, SNS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가 오버레이된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멀티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을 통하여 관심 영역으로 화면을 확대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b에는 사용자가 특정 영역으로 확대 이동 후에 라이브 티비(Live TV)를 제공하는 SNS 아이콘을 클릭하는 장면이다. 이 경우 방송사에서 제공받는 라이브 티비 방송으로 직접 연결된다. 물론, 사용자가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UGC 또는 UCC 동영상에 해당하는 SNS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제작 영상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은 파노라마 영상에 SNS 아이콘들이 표시될 때, 파노라마 영상의 깊이 정보와 현재 사용자의 화면 시청 정보(예를 들어 화면 위치, 확대 축소 정보 등)을 활용하여 해당 SNS 아이콘이 파노라마 영상의 거리감과 유사한 거리감으로 표현되도록 아이콘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아이콘이 표시되어야 하는 위치의 위치 정보와 해당 위치의 파노라마 영상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원근감을 느끼게 하여 실제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 되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페이스북에 해당하는 SNS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 도 5d와 같이 특정 사용자의 페이스북 페이지로 바로 접속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기본적으로 파노라마 영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파노라마 영상에 실제 SNS 정보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직접 SNS 종류 아이콘 정보, 발생 횟수 정보, 발생 메시지 또는 동영상 등의 정보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또한, 방송사에서 송출하는 중계 영상은 물론, 경기장 등의 현장의 다양한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 및 사용자들이 직접 제작한 영상을 모두 연계하여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10: 파노라마 카메라 20: SNS 정보 획득부
30: 서버 40: 클라이언트 단말

Claims (10)

  1.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하는 파노라마 카메라;
    상기 파노라마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과 관련되는 SNS 정보를 획득하는 SNS 정보 획득부;
    상기 파노라마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을 디코딩 및 인코딩하는 서버;
    상기 서버가 디코딩 및 인코딩한 파노라마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파노라마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에 상기 SNS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SNS 정보를 오버레이하고, 상기 SNS 정보가 오버레이된 파노라마 영상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SNS 정보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SNS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추출된 위치의 깊이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SNS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SNS 정보를 오버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근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NS 정보는 SNS 종류 정보, SNS 발생 횟수 정보, 발생된 SNS의 콘텐츠 정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SNS 정보중에서 상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에 오버레이할 SNS 정보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6. 파노라마 카메라로부터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파노라마 영상과 관련되는 SN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SNS 정보를 상기 파노라마 영상에 오버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SNS가 오버레이된 파노라마 영상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NS 정보를 상기 파노라마 영상에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SNS 정보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파노라마 영상에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SNS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위치의 깊이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SNS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원근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크기가 조절된 SNS 정보를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버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NS 정보는 SNS 종류 정보, SNS 발생 횟수 정보, 발생된 SNS의 콘텐츠 정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SNS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파노라마 영상에 오버레이할 SNS 정보의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KR1020120006896A 2012-01-20 2012-01-20 Sns 정보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95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96A KR101295002B1 (ko) 2012-01-20 2012-01-20 Sns 정보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96A KR101295002B1 (ko) 2012-01-20 2012-01-20 Sns 정보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811A true KR20130085811A (ko) 2013-07-30
KR101295002B1 KR101295002B1 (ko) 2013-08-08

Family

ID=4899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896A KR101295002B1 (ko) 2012-01-20 2012-01-20 Sns 정보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8849A (zh) * 2019-06-20 2019-10-08 浙江开奇科技有限公司 基于全景视频影像的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7178B1 (en) 2017-09-26 2023-03-15 LG Electronics Inc. Overlay processing method in 360 video system, and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502B1 (ko) 2006-01-13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증강현실기반의 메시지 작성 방법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JP2010287059A (ja) * 2009-06-11 2010-12-24 Sony Corp 移動端末、サーバ装置、コミュニティ生成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50579B1 (ko) * 2010-06-24 201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신저 제공방법
KR101669521B1 (ko) * 2010-08-23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8849A (zh) * 2019-06-20 2019-10-08 浙江开奇科技有限公司 基于全景视频影像的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002B1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3502B2 (en) Manipulation of media content to overcome user impairments
US10271082B2 (en) Video distribution method, video reception method, server, terminal apparatus, and video distribution system
US89845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content
CN110383848B (zh) 用于多设备呈现的定制视频流式传输
US20180077430A1 (en) Cloned Video Streaming
US89821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ication of telecommunication video content
EP2628306B1 (en) Streaming digital video between video devices using a cable television system
US9955228B2 (en) Sharing mobile subscriber content in a publically viewable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US94561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parate communication zones in a large format videoconference
US20160182940A1 (en) Interactive binocular video display
US20130204930A1 (en) Virtual presence model
US108056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a content
KR101282955B1 (ko) 실시간 고해상도 파노라마 영상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5366A (ko) 고 해상도 영상에서의 영상 추출 장치 및 방법
US201802705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lient interpretation and presentation of zoom-coded content
CN106817628B (zh) 一种网络直播平台
KR101369273B1 (ko) 양방향 라이브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751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60 degree virtual reality broadcasting service
KR20170081517A (ko) 시청자의 참여가 가능한 양방향 방송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1295002B1 (ko) Sns 정보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5781A (ko)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
Aracena et al. Live VR end-to-end workflows: Real-life deployments and advances in VR and network technology
Seo et al. Immersive panorama TV service system
Oyman et al. VRIF Guidelines on Live VR Services
CN112738424A (zh) 一种基于视频媒体的多镜头播放呈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